KR20190114770A - Child care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smart device, and child care service providing system using IoT - Google Patents

Child care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smart device, and child care service providing system using Io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4770A
KR20190114770A KR1020190029909A KR20190029909A KR20190114770A KR 20190114770 A KR20190114770 A KR 20190114770A KR 1020190029909 A KR1020190029909 A KR 1020190029909A KR 20190029909 A KR20190029909 A KR 20190029909A KR 20190114770 A KR20190114770 A KR 201901147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mart terminal
child care
screen
selection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990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선섭희
Original Assignee
(주)레몬옐로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레몬옐로우 filed Critical (주)레몬옐로우
Publication of KR201901147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477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fant care service system using an IoT and a smart terminal, and an infant-relate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The infant care service providing method provides infant-related information systematic in a time series through a program installed in a smart terminal (20) of a user. The method comprises: a selection area display step (S11) of displaying, on a screen of a smart terminal (20) of a user, a plurality of selection areas including a first selection area (A1) for selecting development information on an infant and a second selection area (A2) for selecting development confirmation corresponding to the development information on the screen of the smart terminal (20) of the user; and an event execution step (S12) of displaying a preset new screen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selection areas (A1, A2) selected in the selection area display step (S11) among the selection areas on the screen of the smart terminal (20) of the user.

Description

육아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및 아이오티 및 스마트단말기를 이용한 육아관리 서비스 시스템 {Child care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smart device, and child care service providing system using IoT}Child care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child care service system using IOT and smart terminal {Child care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smart device, and child care service providing system using IoT}

본 발명은, 육아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및 아이오티 및 스마트단말기를 이용한 육아관리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ild care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a child care management service system using an IOT and a smart terminal.

스마트폰, PC를 넘어 자동차, 냉장고, 세탁기, 시계 등 모든 사물이 인터넷에 연결되는 것을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즉 IoT(아이오티) 라고 한다. Beyond smartphones and PCs, everything connected to the Internet, including cars, refrigerators, washing machines and watches, is called the Internet of Things, or IoT.

이 기술을 이용하면 각종 기기에 통신, 센서 기능을 장착해 스스로 데이터를 주고 받고 이를 처리해 자동으로 구동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Using this technology, various devices can be equipped with communication and sensor functions to send and receive data on their own and to drive it automatically.

교통상황, 주변 상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해 무인 주행이 가능한 자동차나 집 밖에서 스마트폰으로 조정할 수 있는 가전제품이 대표적이다.Representatives are cars that can check the traffic situation and surrounding conditions in real time, and home appliances that can be controlled by a smartphone outside the house.

이미 삼성전자, LG전자, 구글, 아우디 등 세계 각 분야의 기업들은 사물인터넷 서비스 개발·상용화에 나섰다. 구글은 스마트 온도조절기 업체인 네스트랩스를 인수해 스마트홈 시장에 뛰어든 데 이어 최근에는 무인차 개발에 나섰다고 밝혔다.Already, companies in various fields, including Samsung Electronics, LG Electronics, Google, and Audi, have begun to develop and commercialize IoT services. Google took over the smart home market by acquiring Nestraps, a smart thermostat maker, and recently announced that it has been developing driverless cars.

삼성전자·LG전자도 사물인터넷 기능이 들어간 생활가전 제품을 대거 개발해 시장에 선보였다. 이를 통해 앞으로 터치 한 번, 말 한 마디면 모든 것을 조정할 수 있다. Samsung Electronics and LG Electronics have also developed and introduced a number of household appliances with IoT functions to the market. This lets you tweak everything with a single touch and a word.

특히 급속한 기술발전으로 IoT는 인류의 생활 속에 접목되고 있으며 스마트홈시스템 등 다양한 시스템 및 방법들에서 사용되고 있다.In particular, due to the rapid development of technology, IoT is being integrated into human life and used in various systems and methods such as smart home system.

한편 스마트폰과 접목한 IoT기술은,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07151호와 같은 육아분야에서의 적용이 시도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IoT technology combined with a smart phone has been attempted to be applied in child care fields such as Korean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17-0107151.

그러나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07151호는, 물론 상용화된 프로그램의 경우 IoT기능이 탑재된 체온계 등으로부터 정보를 전달받아 스마트폰에 표시하는 등 사용자의 편익에 중심을 두고 있다.However, Korean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10-2017-0107151, of course, in the case of a commercialized program is focused on the user's convenience, such as receiving information from a thermometer equipped with an IoT function and displaying it on a smartphone.

또한 다른 상용화된 프로그램은, 접종종류 및 접종시기 등 육아관련정보를 단순히 제공하는 수준에 머물고 있는 실정이다.In addition, other commercialized programs are simply providing childcare related information such as the type and timing of vaccination.

그러나 종래기술은, 아이오티 기기와의 활용에 그치거나, 육아관련정보가 체계화되지 않아 사용자에 대한 정보전달효율이 저하되어 실제 활용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related art, only the use with the IOT device or the child care related information is not organized, and thus, the information transfer efficiency to the user is lowered, thereby lowering the actual utilization.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추세 및 현실을 인식하여 아이오티 및 스마트단말기를 이용하여 유아에 관한 개별정보를 취합하고, 취합된 개별정보 및 체계화된 육아관련정보를 함께 제공함으로써 육아를 편리하고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아이오티 및 스마트단말기를 이용한 육아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및 육아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육아관련정보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recognizing the above trends and reality to collect individual information about the infant using the IOT and smart terminal, and provides the child care by providing the combined individual information and systematic child care related information It is to provide a child care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child care management service system and child care relate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using IOT and smart terminal that can be effectively perform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스마트단말기(20)에 설치된 프로그램을 통하여 시계열로 체계화한 육아관련정보를 제공하는 육아관리 서비스 제공방법으로서, 사용자의 스마트단말기(20)의 화면에 유아의 발달정보의 선택을 위한 제1선택영역(A1) 및 발달정보에 대응되는 발달확인의 선택을 위한 제2선택영역(A2)을 포함하는 복수의 선택영역들을 사용자의 스마트단말기(20)의 화면에 표시하는 선택영역표시단계(S11)와; 상기 복수의 선택영역들 중 상기 선택영역표시단계(S11)에 의하여 선택된 해당 선택영역(A1, A2)에 대응되어 미리 설정된 새로운 화면표시로서 사용자의 스마트단말기(20)의 화면에 표시하는 이벤트실행단계(S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아관리 서비스 제공방법을 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a child care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method for providing child care related information organized in time series through a program installed in the user's smart terminal 20. On the screen of the smart terminal 20 of the user, a plurality of first comprising a first selection area (A1) for selecting the developmental information of the infant and a second selection area (A2) for the selection of the development confirmation corresponding to the development information A selection area display step (S11) of displaying the selection areas on the screen of the user's smart terminal 20; An event execution step of displaying on the screen of the user's smart terminal 20 as a new screen display preset in correspondence with the corresponding selection areas A1 and A2 selected by the selection area display step S11 among the plurality of selection areas. Disclosed is a method for providing child care management service, comprising (S12).

상기 선택영역표시단계(S11)는, 사용자의 스마트단말기(20)의 화면에 월령선택영역(C2)를 추가로 표시하며, 상기 이벤트실행단계(S12)는, 상기 선택영역표시단계(S11)에서 상기 월령선택영역(C2)이 선택된 경우 시계열로 배치된 월령들 각각에 대응되는 서브월령선택영역(M0~M12)들을 사용자의 스마트단말기(20)의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선택영역표시단계(S11)에서 상기 서브월령선택영역(M0~M12)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된 경우 선택된 서브월령선택영역(M0~M12)에 대응되는 월령에 대응되는 정보를 사용자의 스마트단말기(20)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In the selection area display step S11, the moon age selection area C2 is additionally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user's smart terminal 20, and the event execution step S12 is performed in the selection area display step S11. When the moon age selection area C2 is selected, the sub moon age selection areas M0 to M12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moon ages arranged in time series ar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user's smart terminal 20, and the selection area display step S11. If one of the sub-month selection area (M0 ~ M12) is selecte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moon age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sub-month selection area (M0 ~ M12) to b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smart terminal 20 of the user Can be.

상기 선택영역표시단계(S11)는, 사용자의 스마트단말기(20)의 화면에 필요용품선택영역(A4)를 추가로 표시하며, 상기 이벤트실행단계(S12)는, 상기 선택영역표시단계(S11)에서 상기 필요용품선택영역(A4)이 선택된 경우 시계열로 배치된 월령들 각각에 대응되는 서브월령선택영역(M0~M12)들을 사용자의 스마트단말기(20)의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선택영역표시단계(S11)에서 상기 서브월령선택영역(M0~M12)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된 경우 선택된 서브월령선택영역(M0~M12)에 대응되는 월령에 대응되는 용품정보를 사용자의 스마트단말기(20)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The selection area display step S11 further displays the necessary goods selection area A4 on the screen of the user's smart terminal 20, and the event execution step S12 includes the selection area display step S11. If the necessary goods selection area (A4) is selected in the sub-month age selection area (M0 ~ M12)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moon ages arranged in time series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user's smart terminal 20, the selection area display step In operation S11, when any one of the sub-month selection areas M0 to M12 is selected, the articl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moon age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sub-month selection area M0 to M12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user's smart terminal 20. Can be marked on.

상기 발달정보는, 키, 체중 및 머리둘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발달정보와; 유아의 반사행동, 기기, 뒤집기 및 서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운동발달정보와; 얼굴인식 및 음성인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인지발달정보와; 식단의 종류, 수유량, 및 수유횟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식생활발달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development information may include development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height, weight, and head circumference; Exercise development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reflexive behavior, device, flip and standing of the infant; Cognitive development information comprising at least one of facial recognition and voice recognition; It may include dietary development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a type of diet, a feeding amount, and a feeding frequency.

본 발명에 따른 육아관리 서비스 제공방법은, 무선에 의하여 육아에 필요한 육아측정정보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IoT기기(11~18)들 및 사용자에 의한 입력수단 중 적어도 하나의 방법에 의하여 유아의 연월령 기준으로 상기 육아관련정보에 대응되는 개별정보를 입력하는 정보입력단계(S20)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상기 정보입력단계(S20)에서 입력된 개별정보를 대응되는 육아관련정보와 함께 사용자의 스마트단말기(20)에 직접 또는 가공하여 제공하는 입력정보표시단계(S3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In the parenting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ge and age of the infant by at least one method of the one or more IoT devices (11-18) and the user input means for providing the parenting measurement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parenting by wireless An information input step (S20) of inputting individua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arenting related information as a reference;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further includes an input information display step (S30) for providing the individual information input in the information input step (S20) directly or processed to the user's smart terminal 20 with the corresponding child care related information. can do.

상기 입력정보표시단계(S30)는, 상기 발달정보들 중 적어도 하나의 시계열적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 및 상기 발달정보들에 대응되는 표준수치 대비 입력된 개별정보의 상대지수를 보여주는 그래프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The input information display step S3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graph showing a time series change of at least one of the development information, and a graph showing a relative index of individual information input to a standard value corresponding to the development information. I can display it.

상기 스마트단말기(20)는, 상기 하나 이상의 IoT기기(11~18)들로부터 무선에 의하여 육아측정정보를 수신하고 가공하는 프로그램이 설치될 수 있다.The smart terminal 20, a program for receiving and processing the child care measurement information by wireless from the one or more IoT devices (11-18) may be installed.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육아관리 서비스 제공방법의 수행을 위한 아이오티 및 스마트단말기를 이용한 육아관리 서비스 시스템으로서, 무선에 의하여 육아에 필요한 개별정보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IoT기기(11~18)들과; 상기 하나 이상의 IoT기기(11~18)들로부터 무선에 의하여 육아측정정보를 수신하고 가공하여 디스플레이(21)에 표시하는 스마트단말기(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오티 및 스마트단말기를 이용한 육아관리 서비스 시스템을 개시한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the child care management service system using the IoT and smart terminal for performing the child care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method as described above, one or more IoT devices (11-18) to provide individual information necessary for child care by wireless With; Childcare using the IoT and smart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mart terminal 20 for receiving and processing the child care measurement information by wireless from the one or more IoT devices (11-18) to display on the display 21 Initiate a management service system.

본 발명에 따른 아이오티 및 스마트단말기를 이용한 육아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육아관련정보제공방법은, 무선통신을 이용한 아이오티기기 및 스마트단말기를 시스템으로서 구축하고 아이오티기기에서 측정된 육아측정정보를 수집하고 가공하여 사용자에게 육아에 요구되는 가공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육아를 편리하고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Child care management service system and child care relate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using the IoT and smart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O device and smart terminal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as a system to collect the child care measurement information measured in the IoT device By processing and providing the user with the processed information required for child ca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user can perform child care conveniently and effectively.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아이오티 및 스마트단말기를 이용한 육아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육아관련정보제공방법은, 무선통신을 이용한 아이오티기기 및 스마트단말기를 시스템으로서 구축하고 아이오티기기에서 측정된 육아측정정보를 수집 및 축적, 축적된 육아관련정보의 통계화, 축적된 육아관련정보를 기반으로 연령별, 지역별 등 미리 설정된 기준에 의한 표준화, 성장단계별 육아관련정보 및 육아활동정보 제공과의 연동 등 사용자에게 보다 유익한 육아관련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particular, the parenting management service system and parenting relate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using the IOT and smart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OT device and smart terminal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s a system and collect the childcare measurement information measured in the IOT device Childcare that is more beneficial to users, such as standardization based on pre-established criteria such as age and region based on accumulated child care related information, statistics on accumulated child care related information, linkage with child care related information and child care activity information by growth stage This has the advantage of providing relevant informa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아이오티 및 스마트단말기를 이용한 육아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및 육아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육아관련정보제공방법은, 아이오티 및 스마트단말기를 이용하여 유아에 관한 개별정보를 취합하고, 취합된 개별정보 및 체계화된 육아관련정보를 함께 제공함으로써 육아를 편리하고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method for providing child care management service and child care management service system and child care relate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using IOT and smart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llects individual information about the infant using IOT and smart terminal, and collected individual By providing information and systematic parenting related information together,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convenient and effective to carry out parenting.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아이오티 및 스마트단말기를 이용한 육아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육아관련정보제공방법은, 육아관련 정보를 제공함에 있어서 각종 정보를 연령, 월령 등 시계열에 따라 체계화한 데이터베이스의 구축 및 구축된 데이터베이서를 근거로 시계열적으로 사용자에게 화면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 대한 정보전달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child care management service system and child care relate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using the IoT and smart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ovision of child care related information in the construction of a database that is organized by the various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time series such as age, age, etc. By displaying on the screen to the user in time series based on the Bayer,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effect to the us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아이오티 및 스마트단말기를 이용한 육아관리 서비스 시스템의 개념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육아관련정보제공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육아관련정보제공 방법의 수행을 위하여 스마트단말기에 표시되는 화면표시의 일 예를 보여주는 배치도이다.
도 4는, 도 2의 육아관련정보제공 방법의 수행을 위하여 월령선택영역의 선택 후에 스마트단말기에 표시되는 화면표시의 일예를 보여주는 배치도이다.
도 5는, 도 2의 육아관련정보제공 방법의 수행을 위하여 스마트단말기에 표시되는 화면표시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배치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도 2의 육아관련정보제공 방법을 실제로 구현한 앱으로 구현되어 메인선택영역 중 발달정보가 선택된 후 스마트단말기에 화면표시에 표시된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들로서, 도 6a는, 0개월 월령시, 도 6b는, 월령 선택과정, 도 6c는, 월령, 예를 들면 3개월 월령 선택 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도 6의 화면의 표시 후 신체발달정보('무럭무럭'으로 표시된 픽토그램)가 선택된 이후의 조작과정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도 6의 화면 표시 후 운동발달정보('꼬물꼬물'으로 표시된 픽토그램), 인지발달정보('또랑또랑'으로 표시된 픽토그램), 식생할정보('냠냠꿀꺽') 각각이 선택된 이후의 조작과정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9a 및 도 9b는, 도 6의 화면 표시 후 예방접종이 선택된 이후의 조작과정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0a 내지 도 10e는, 도 6의 화면 표시 후 필요용품이 선택된 이후의 조작과정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더.
도 11a 내지 도 11f는, 도 2의 육아관련정보제공 방법을 실제로 구현한 앱으로 구현되어 스마트단말기에 메인선택영역 중 다이어리가 선택된 후 화면표시에 표시된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들로서, 다이어리가 선택된 이후의 조작과정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도 2의 육아관련정보제공 방법을 실제로 구현한 앱으로 구현되어 스마트단말기에 메인선택영역 중 제품정보가 선택된 후 화면표시에 표시된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들로서, 제품정보가 선택된 이후의 조작과정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3a 내지 도 13h는, 도 2의 육아관련정보제공 방법을 실제로 구현한 앱으로 구현되어 스마트단말기에 메인선택영역 중 리포트가 선택된 후 화면표시에 표시된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들로서, 리포트가 선택된 이후의 조작과정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4a 내지 도 14i는, 도 2의 육아관련정보제공 방법을 실제로 구현한 앱으로 구현되어 스마트단말기에 메인선택영역 중 IoT가 선택된 후 화면표시에 표시된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들로서, IoT가 선택된 이후의 조작과정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concept of a child care management service system using the IoT and smart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providing child care related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layout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creen display displayed on a smart terminal for performing the parenting relate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of FIG. 2.
FIG. 4 is a layout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creen display displayed on a smart terminal after the selection of the moon age selection area in order to perform the parenting relate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of FIG. 2.
FIG. 5 is a layout view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 screen display displayed on a smart terminal for performing the parenting relate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of FIG. 2.
6A to 6C are diagrams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displayed on a screen display of a smart terminal after development information is selected from the main selection area, which is implemented as an app that actually implements the parenting relate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of FIG. 2. 6B is a view illustrating a lunar age selection process, and FIG. 6C is a diagram illustrating a lunar age, for example, after a 3-month lunar age is selected.
7A to 7C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after body development information (a pictogram marked as 'smoothly') is selected after display of the screen of FIG. 6.
8A to 8C, after the screen display of FIG. 6, the exercise development information (the pictogram indicated by the 'cobweb'), the cognitive development information (the pictogram denoted by the 'Tangrangang'), and the vegetation sliced information ('냠냠 gulp'), respectively. Figures showing the operation process after the selection.
9A and 9B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after vaccination is selected after the screen display of FIG. 6 is selected.
10A to 10E are views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after a necessity is selected after the screen display of FIG. 6 is selected.
11A to 11F are diagrams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displayed on a screen display after the diary is selected from the main selection area on the smart terminal by implementing the child care relate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of FIG. 2, after the diary is selected. Figures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process.
12A and 12B are diagrams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displayed on a screen display after product information is selected from a main selection area on a smart terminal by implementing the child care relate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of FIG. Figures showing the operation process after the selection.
13A to 13H are diagrams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displayed on a screen display after a report is selected from a main selection area on a smart terminal, which is implemented as an app that actually implements the parenting relate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of FIG. 2. Figures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process.
14A to 14I are diagrams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displayed on a screen display after the IoT is selected from the main selection area in the smart terminal by implementing the child care relate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of FIG. 2. Figures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process.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아이오티 및 스마트단말기를 이용한 육아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육아관련정보제공방법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th respect to the child care management service system and child care relate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using the IoT and smart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아이오티 및 스마트단말기를 이용한 육아관리 서비스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에 의하여 육아에 필요한 육아측정정보, 즉 개별정보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IoT기기(11~18)들과; 하나 이상의 IoT기기(11~18)들로부터 무선에 의하여 육아측정정보를 수신하고 가공하여 디스플레이(21)에 표시하는 스마트단말기(20)를 포함한다.Child care management service system using the IoT and smart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1, one or more IoT devices (11-18) to provide child care measurement information, that is, individual information necessary for child care by wireless With; It includes a smart terminal 20 for receiving and processing the granulation measurement information by wireless from one or more IoT devices (11-18) to display on the display 21.

상기 하나 이상의 IoT기기(11~18)들은, 무선에 의하여 육아에 필요한 육아정보(개별정보)를 제공하는 하는 기기로서, 블루투스, 지그비, 와이파이, 2.5GHz무선통신, 적외선통신 등 무선통신기능을 구비한 기기이면 어떠한 기기도 가능하다.The one or more IoT devices 11 to 18 are devices that provide parenting information (individual information) necessary for parenting by wireless, and have a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such as Bluetooth, Zigbee, Wi-Fi, 2.5 GHz wireless communication, and infrared communication. Any device can be any one device.

구체적으로, 상기 IoT기기(11~18)는,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스마트 체온계(11), 수면시간측정기능 및 체온측정기능을 구비하며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트래커(12), 용기 내 내용물의 온도측정 및 음용량의 측정기능을 구비하며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스마트피딩용기(13), 유아의 체중을 측정하며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스마트체중계(14), 유아의 기저귀 등에 부착되어 유아의 대소변의 종류 및 시점을 측정하여 그 정보를 스마트단말기(20)로 전송하는 배변케어(15), 유아를 촬영하여 그 정보를 스마트단말기(20)로 전송하는 카메라(16), 스마트단말기(20)와 통신이 가능하며 육아에 관한 인공지능기능이 탑재된 AI모듈(17), 유아의 주변환경에 대한 온도, 습도, 미세먼지 등의 공기질을 측정하여 그 정보를 스마트단말기(20)로 전송하는 공기질측정모듈(18) 등을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IoT devices 11 to 18 include a smart thermometer 11 having a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a tracker 12 having a sleep time measurement function and a body temperature measurement function and having a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and a temperature of contents in a container. Smart feeding container (13) having a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and measuring and volume measurement function, smart weight (14) having a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to measure the weight of the infant, attached to the diaper of the infant, the type of urine And measuring the point of view and transmitting the bowel care 15 to transmit the information to the smart terminal 20, the camera 16 to photograph the infant and transmit the information to the smart terminal 20, the communication with the smart terminal 20 AI module 17 equipped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function for child care, air quality measurement module for measuring the air quality such as temperature, humidity, fine dust for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the infant and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to the smart terminal 20 ( 18) etc It may include.

상기 스마트 체온계(11)는,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체온계로서 유아의 체온을 측정할 수 있는 기기이면 어떠한 기기도 가능하다.The smart thermometer 11 may be any device as long as it is a device capable of measuring a baby's body temperature as a thermometer having a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상기 트래커(12)는, 육아에 착용되어 수면시간측정기능 및 체온측정기능을 구비하며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The tracker 12 is worn on child care, has a sleep time measurement function and a body temperature measurement function, and has a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and various configurations are possible.

상기 스마트피딩용기(13)는, 용기 내 내용물의 온도측정, 음용량의 측정기능 등을 구비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The smart feeding container 13 is a configuration having a temperature measurement of the contents of the container, a measurement function of the volume, and the like, and various configurations are possible.

예로서, 상기 스마트피딩용기(13)는, 가열기능, 음용량측정기능, 내용물온도측정기능 등 다양한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mart feeding container 13 may include various functions such as a heating function, a volume measurement function, and a content temperature measurement function.

상기 스마트체중계(14)는, 유아의 체중을 측정하며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The smart weight 14, as a configuration having a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to measure the weight of the infant is possible in a variety of configurations.

상기 배변케어(15)는, 유아의 기저귀 등에 부착되어 유아의 대소변의 종류 및 시점을 측정하며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The bowel care 15 is attached to a diaper or the like of the baby to measure the type and time of feces of the baby and has a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various configurations are possible.

예로서, 상기 배변케어(15)는, 귀저귀의 색상변화를 감지하는 광센서를 구비하여 감지된 색상변화에 따라 대소변 여부, 대소변의 양 등을 판별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bowel care 15 may be provided with an optical sensor for detecting a color change of the ear canal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stool, the amount of stool according to the detected color change.

또한 상기 배변케어(15)는, 시간측정수단을 구비하여 대소변 여부의 판별시 그 감지시점을 후술하는 스마트단말기(20)에 대소변 여부, 대소변의 양 등에 대한 정보와 함께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owel care 15 is provided with a time measuring means can be transmitted to the smart terminal 2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when the determination of whether or not the toilet, with the information about the stool, the amount of urine and the like wirelessly.

상기 카메라(16)는, 유아를 촬영하여 그 정보를 스마트단말기(20)로 전송하는 구성으로서, 별도의 카메라로 구성되거나, 스마트단말기(20), 인공지능모듈, 즉 AI모듈(17) 등 타기기와 하나의 모듈로서 구성될 수 있다.The camera 16 is configured to photograph the infant and transmit the information to the smart terminal 20, which is configured as a separate camera, or rides the smart terminal 20, artificial intelligence module, that is, the AI module 17, etc. It can be configured as a module.

상기 AI모듈(17)은, 스마트단말기(20)와 통신이 가능하며 육아에 관한 인공지능기능이 탑재된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The AI module 17 is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smart terminal 20, and can be variously configured as a configuration having an artificial intelligence function related to child care.

예로서, 상기 AI모듈(17)은, 부모, 유모 등 육아를 수행하는 사람을 보조하는 인공지능을 구비한 로봇 등으로 구성이 가능하며, 유아 수면시 백색소음을 발생시키거나, 유아의 인지반응을 유도하기 위하여 필요한 음향, 동작 등의 구현 등 육아에 필요한 인공지능이 탑재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AI module 17 may be configured as a robot having an artificial intelligence to assist a person performing parenting, such as a parent and a nanny, and may generate white noise when the infant is sleeping or a cognitive response of the infant. Artificial intelligence required for parenting, such as the implementation of the sound, motion, etc. necessary to induce it can be mounted.

상기 공기질측정모듈(18)은, 유아의 주변환경에 대한 온도, 습도, 미세먼지 등의 공기질을 측정하여 그 정보를 스마트단말기(20)로 전송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The air quality measurement module 18 is configured to measure the air quality, such as temperature, humidity, fine dust for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the infant and transmit the information to the smart terminal 20 can be configured in various ways.

한편 상기 하나 이상의 IoT기기(11~18)들은, 무선통신만이 아니고 유선통신이 가능하고 육아관련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기기 또한 포함할 수도 있는 것은 물론이다.Meanwhile, the one or more IoT devices 11 to 18 may not only include wireless communication but also include a device capable of providing wired communication and providing child care related information.

또한 상기와 같이 예시된 IoT기기(11~18)들은, 하나 이상이 서로 병합되어 구성되거나, 각 IoT기기(11~18)들이 서로 통신이 가능하거나, 스마트단말기(20)에 병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oT devices 11 to 18 exemplified as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by one or more merged with each other, each IoT device 11 through 18 ma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or may be merged into the smart terminal 20.

상기 스마트단말기(20)는, 하나 이상의 IoT기기(11~18)들로부터 무선에 의하여 육아측정정보를 수신하고 가공하여 디스플레이(21)에 표시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The smart terminal 20 is configured to receive and process child care measurement information by wireless from one or more IoT devices 11 to 18 and display it on the display 21.

상기 스마트단말기(20)는,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스마트TV, PC, 노트북, 스틱PC 등 하나 이상의 IoT기기(11~18)들로부터 무선에 의하여 육아관련정보의 수신 및 가공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설치될 수 있는 기기이면 어떠한 구성도 가능하다.The smart terminal 20, a program for performing the reception and processing of child-related information by wireless from one or more IoT devices (11-18), such as smart phone, smart pad, smart TV, PC, notebook, stick PC Any configuration can be used as long as the device can be installed.

즉, 상기 스마트단말기(20)는, 하나 이상의 IoT기기(11~18)들로부터 무선에 의하여 육아측정정보를 수신하고 가공하는 프로그램이 설치될 수 있다.That is, the smart terminal 20, a program for receiving and processing the child care measurement information by wireless from one or more IoT devices (11-18) may be installed.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육아관리 서비스 시스템은, 시계열로 체계화된 육아관련정보가 저장되고 전기통신망을 통하여 사용자의 스마트단말기(20)로 육아관련정보를 전송하는 육아관련정보저장서버(3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child care management servi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child care related information storage server 30 which stores child care related information organized in time series and transmits child care related information to the smart terminal 20 of the user through a telecommunication network. It may include.

상기 육아관련정보저장서버(30)는, 시계열로 체계화된 육아관련정보가 저장되고 전기통신망을 통하여 사용자의 스마트단말기(20)로 육아관련정보를 전송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The child care related information storage server 30 is configured to store child care related information organized in time series and transmit child care related information to the smart terminal 20 of the user through a telecommunication network.

예로서, 상기 육아관련정보저장서버(30)는, 디지털 데이터로서 육아관련정보가 저장가능하고, 스마트단말기(20)로부터 전기통신망을 통한 육아관련정보의 요청이 있은 경우 서식화된 육아관련정보를 전기통신망을 통하여 스마트단말기(20)로 전달하는 구성으로서, 일반 서버와 유사한 구성을 가지는 등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For example, the child care related information storage server 30 may store child care related information as digital data, and when the child care related information is requested from the smart terminal 20 through a telecommunication network, the child care related information is formatted. As a configuration for transmitting to the smart terminal 20 through the telecommunications network, a variety of configurations are possible, such as having a configuration similar to a general server.

그리고 상기 육아관련정보는, 유아의 월령에 기초하여 육아관련정보를 체계화한 육아관련정보 데이터베이스로서 저장됨이 바람직하다.The child care related information is preferably stored as a child care related information database in which child care related information is organized based on the age of the infant.

한편 상기 육아관련정보는, 시계열로 체계화된 육아관련정보로서 다양한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parenting related information may include various information as parenting related information organized in a time series.

예로서, 상기 육아관련정보는, 연령 및 월령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따른 유아의 발달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arenting related information may include developmental information of an infant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age and age.

그리고 상기 발달정보는, 도 3, 도 6a 내지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 체중 및 머리둘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신체발달정보(A11)와; 유아의 반사행동, 기기, 뒤집기, 팔다리 구부리기, 손동작 및 서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운동발달정보(A12)와; 얼굴인식 및 음성인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인지발달정보(A13)와; 식단의 종류, 수유량, 및 수유횟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식생활발달정보(A14) 등 유아의 발달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And the development information, as shown in Figures 3, 6a to 6c, body development information (A11) including at least one of height, weight and head circumference; Exercise development information (A12) including at least one of reflexive behavior, device, flip, limb bending, hand movement, and standing of the infant; Cognitive development information A13 including at least one of face recognition and voice recognition; It may include a variety of information about the development of the infant, such as dietary development information (A14)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type of diet, lactation amount, and the number of lactations.

여기서 상기 스마트단말기에 신체발달정보(A11) 등이 표시될 때 해당 정보를 직감하거나 유추할 수 있는, 의성어 표현, 의태어 표현, 은유적 표현 등 문구, 그림, 기호 등 다양한 방식에 의하여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Here, when the body development information (A11) is displayed on the smart terminal, the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by various methods such as phrases, pictures, symbols, etc. Can be.

또한 상기 육아관련정보저장서버(30)는, IoT기기(11~18)들로부터 무선에 의하여 수집된 육아관련정보를 유무선 통신에 의하여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화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hild care related information storage server 30, the child care related information collected by wireless from the IoT devices (11 to 18) can be received by a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to make a database.

또한 상기 육아관련정보저장서버(30)는, 유아 IoT기기, 영유아 성장단계별 육아가이드 서비스 등 육아관련정보제공서비스와 연동을 통해 유아의 건강상태 체크, 건강 가이드 등을 제공하는 등 사용자에게 유익한 육아관련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hild care related information storage server 30, by linking with the child care related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s such as infant IoT devices, child care guide services for each infant growth stage, provide health care of the infant, health guides, etc., which is beneficial to the user Information can be provided.

구체적 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육아관리 서비스 제공방법은, 도 2 및 도 6a 내지 도 14i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스마트단말기(20)에 설치된 프로그램을 통하여 시계열로 체계화한 육아관련정보를 제공하는 육아관리 서비스 제공방법으로서, 사용자의 스마트단말기(20)의 화면에 유아의 발달정보의 선택을 위한 제1선택영역(A1) 및 발달정보에 대응되는 발달확인의 선택을 위한 제2선택영역(A2)을 포함하는 복수의 선택영역들을 사용자의 스마트단말기(20)의 화면에 표시하는 선택영역표시단계(S11)와; 복수의 선택영역들 중 선택영역표시단계(S11)에 의하여 선택된 해당 선택영역(A1, A2)에 대응되어 미리 설정된 새로운 화면표시로서 사용자의 스마트단말기(20)의 화면에 표시하는 이벤트실행단계(S12)를 포함한다.As a specific example, the method of providing a child care management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2 and 6a to 14i, provides child care related information organized in a time series through a program installed in the user's smart terminal 20. As a method of providing a child care management service, a first selection area A1 for selecting infant development information and a second selection area for selection of development confirmation corresponding to the development information on the screen of the smart terminal 20 of the user ( A selection area display step S11 of displaying a plurality of selection areas including A2) on a screen of the user's smart terminal 20; An event execution step of displaying on the screen of the user's smart terminal 20 as a new preset screen display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selection areas A1 and A2 selected by the selection area display step S11 among the plurality of selection areas (S12). ).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육아관리 서비스 제공방법은, 사용자의 스마트단말기(20)에 설치된 프로그램을 통하여 시계열로 체계화한 육아관련정보를 제공함을 특징으로 한다.In particular, the method for providing child care management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provides child care related information systemized in a time series through a program installed in the user's smart terminal 20.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육아관리 서비스 제공방법은, 복수의 선택영역들을 사용자의 스마트단말기(20)의 화면에 표시하는 선택영역표시단계(S11)와; 복수의 선택영역들 중 선택영역표시단계(S11)에 의하여 선택된 해당 선택영역(A1, A2)에 대응되어 미리 설정된 새로운 화면표시로서 사용자의 스마트단말기(20)의 화면에 표시하는 이벤트실행단계(S12)를 통하여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arenting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lection area display step (S11) for displaying a plurality of selection areas on the screen of the smart terminal 20 of the user; An event execution step of displaying on the screen of the user's smart terminal 20 as a new preset screen display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selection areas A1 and A2 selected by the selection area display step S11 among the plurality of selection areas (S12). It can be implemented through).

여기서 상기 화면표시는, 본 발명에 따른 육아관리 서비스 제공방법에 의하여 구현되는 프로그램의 구동에 따라서 사용자의 스마트단말기(20)의 화면에 표시되는 것으로 정의된다.Here, the screen display is defined as being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smart terminal 20 of the user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program implemented by the parenting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각 단계의 수행 후에 새롭게 표시되는 화면표시는, 화면 구성의 적어도 일부가 변경되는 등 다양한 방식에 의하여 사용자의 스마트단말기(20)의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The screen display newly displayed after each step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smart terminal 20 of the user by various methods such as at least a part of the screen configuration being changed.

상기 선택영역표시단계(S11)는, 사용자의 손터치, 마우스 등의 주변기기에 의한 조작 등에 의한 선택을 위한 복수의 선택영역들을 사용자의 스마트단말기(20)의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로서,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The selection area display step S11 is a step of displaying a plurality of selection areas for selection by a user's hand touch, operation by a peripheral device such as a mouse, etc. on the screen of the user's smart terminal 20. It can be performed by.

상기 선택영역표시단계(S11)의 수행을 위한 화면 표시방법으로서, 도 3, 도 6a 내지 도 14i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표시될 수 있다.As a screen display method for performing the selection area display step S11, as shown in FIGS. 3 and 6A to 14I, the screen may be displayed by various methods.

여기서 상기 선택영역표시단계(S11)는, 도 3, 도 6a 내지 도 14i에 도시된 예 이외에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표시될 수 있으며, 이벤트실행단계(S12)를 통하여 표시되는 새로운 화면표시 또한 복수의 선택영역들을 사용자의 스마트단말기(20)의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Here, the selection area display step S11 may be displayed by various methods other than the examples shown in FIGS. 3, 6A, and 14I, and a new screen display displayed through the event execution step S12 may also be selected. Areas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smart terminal 20 of the user.

한편 상기 복수의 선택영역들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새로운 화면표시의 표시를 위하여 스마트단말기(20)의 화면에 표시되는 영역들로서, 화면표시의 구성에 따라서 다양한 방식(사진, 기호, 도형, 문자 등) 및 크기로 표시될 수 있다.Meanwhile, the plurality of selection areas are area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smart terminal 20 in order to display a new screen display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and various methods (photos, symbols, figures, texts, etc.)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screen display. ) And size.

예로서, 상기 복수의 선택영역들은, 사용자의 스마트단말기(20)의 화면에 유아의 발달정보의 선택을 위한 제1선택영역(A1), 발달정보에 대응되는 발달확인의 선택을 위한 제2선택영역(A2) 등을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lurality of selection areas may include a first selection area A1 for selecting infant development information on a screen of the smart terminal 20 of the user, and a second selection for selection of development confirmation corresponding to the development information. Area A2 and the like.

또한 상기 복수의 선택영역들은, 사용자의 스마트단말기(20)의 화면에 월령선택영역(C2)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selection areas may further include a moon age selection area C2 on the screen of the smart terminal 20 of the user.

상기 월령선택영역(C2)은, 유아의 월령에 따라서 체계화된 정보를 새롭게 표시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스마트단말기(20)의 화면에 표시하는 선택영역으로서, 사용자의 선택 시, 도 4와 같은 리스트 방식에 의한 화면표시, 도 6b와 같이 팝업 방식에 의한 화면표시 등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사용자의 스마트단말기(20)의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The moon age selection area C2 is a selection area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smart terminal 20 of the user in order to newly display information organized according to the age of the infant. 6B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smart terminal 20 of the user by various methods such as screen display by a pop-up method as shown in FIG. 6B.

또한 상기 복수의 선택영역들은, 사용자의 스마트단말기(20)의 화면에 필요용품선택영역(A4)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selection areas may further include a necessity selection area A4 on the screen of the smart terminal 20 of the user.

상기 필요용품선택영역(A4)은, 선택시 육아에 필요한 용품, 예를 들면 젓병 등의 수유용품, 욕조 등의 목욕용품, 장남감, 침구 등에 관한 정보를 새로운 화면표시로서 표시하기 위한 선택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The necessary goods selection area A4 is defined as a selection area for displaying a new screen display of items necessary for childcare, for example, nursing supplies such as chopsticks, bathing supplies such as bathtubs, toys, bedding, and the like. Can be.

특히 상기 필요용품선택영역(A4)은, 선택시 등록된 사용자의 연월령에 연동되어 해당 연월령에 대응되어 선택용품들이 용도별, 제조사별, 연령별 등 다양한 분류기준에 의하여 표시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necessity goods selection area A4 may be displayed in accordance with various classification criteria such as use, manufacturer, and age, in response to the corresponding age and age of the registered user when selected, corresponding to the age and age.

또한 상기 복수의 선택영역들은, 사용자의 스마트단말기(20)의 화면에 예방접종선택영역(A3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selection areas may further include an immunization selection area A3 on the screen of the user's smart terminal 20.

상기 예방접종선택영역(A3)은, 선택시 예방접종에 관한 정보를 새로운 화면표시로서 표시하기 위한 선택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The immunization selection area A3 may be defined as a selection area for displaying information on immunization at the time of selection as a new screen display.

한편 상기 복수의 선택영역들은, 프로그램의 구동 순서에 따라서 메인화면표시 및 그에 연결되는 복수의 서브화면표시들로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plurality of selection areas may include a main screen display and a plurality of sub-screen displays connected thereto in accordance with a driving order of a program.

상기 메인화면표시는, 도 3, 도 6a 내지 도 14i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선택영역(발달정보(MA1), 다이어리(MA2), 제품정보(MA3), 리포트(MA4), IoT기기(MA5) 등; MA)들이 표시될 수 있다.3, 6A to 14I, the main screen display includes the main selection area (development information MA1, diary MA2), product information MA3, report MA4, IoT device MA5. MA) may be displayed.

상기 메인선택영역(MA)은, 메인화면표시에 표시되는 발달정보(MA1), 다이어리(MA2), 제품정보(MA3), 리포트(MA4), IoT기기(MA5) 등에 대응되는 선택영역들을 포함할 수 있다.The main selection area MA may include selection areas corresponding to the development information MA1, the diary MA2, the product information MA3, the report MA4, the IoT device MA5, and the like displayed on the main screen display. Can be.

상기 서브화면표시는, 각 메인선택영역에 대응되는 새로운 화면표시로서, 해당 화면표시에는 서브선택영역(성장발달정보(A1), 발달확인(A2), 예방접종(A3), 필요용품(A4) 등)들이 표시될 수 있다.The sub-screen display is a new screen display corresponding to each main selection area, and the sub-display area (growth development information (A1), development confirmation (A2), vaccination (A3), necessary supplies (A4) Etc.) may be displayed.

상기 서브선택영역은, 성장발달정보(A1), 발달확인(A2), 예방접종(A3), 필요용품(A4)에 대응되는 선택영역(A1~A4)들을 포함할 수 있다.The sub-selection area may include selection areas A1 to A4 corresponding to growth development information A1, development confirmation A2, vaccination A3, and necessity A4.

한편 상기 서브선택영역은, 메인선택영역(MA)의 하위개념에 해당되는 선택영역, 이전 화면표시로의 이동 등의 선택영역, 월령선택영역(C2) 등 미리 선택된 기능의 수행을 위한 선택영역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sub selection area may include a selection area corresponding to a sub-concept of the main selection area MA, a selection area for moving to a previous screen display, a selection area for performing a preselected function such as a moon age selection area C2, and the like. It may include.

특히 사용자의 스마트단말기(20)에 시계열로 체계화된 육아관련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사용자의 스마트단말기(20)의 서브화면표시는, 도 3,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월령선택영역(C2)을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In particular, as a method for displaying child care-related information organized in a time series on the user's smart terminal 20, the sub-screen display of the user's smart terminal 20, as shown in Figs. (C2) can be selectively displayed.

그리고 상기 월령선택영역(C2)이 선택된 경우, 사용자가 월령을 선택할 수 있도록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월령선택영역(M0~M12)들이 리스트 방식으로 새로이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When the moon age selection area C2 is selected, as shown in FIG. 4, the sub moon age selection areas M0 to M12 may be newly displayed on the screen in a list manner so that the user can select the moon age.

일 실시예로서, 상기 선택영역표시단계(S11)는, 사용자의 스마트단말기(20)의 화면에 월령선택영역(C2)을 추가로 표시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election area display step (S11), may further display the moon age selection area (C2) on the screen of the smart terminal 20 of the user.

상기 월령선택영역(C2)는, 도 3,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월령을 선택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스마트단말기(20)의 화면에 표시되는 영역으로서, 리스트방식, 팝업방식 등 다양한 패턴 및 위치에 표시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3 and 6B, the moon age selection area C2 is an area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smart terminal 20 of the user so that the user can select the moon age. And location.

그리고, 상기 이벤트실행단계(S12)는, 선택영역표시단계(S11)에서 월령선택영역(C2)이 선택된 경우 시계열로 배치된 월령들 각각에 대응되는 서브월령선택영역(M0~M12)들을 사용자의 스마트단말기(20)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In the event execution step S12, when the lunar month selection area C2 is selected in the selection area display step S11, the sub-month selection areas M0 to M12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moon ages arranged in time series are displayed. It can b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smart terminal 20.

그리고, 상기 선택영역표시단계(S11)에서 서브월령선택영역(M0~M12)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된 경우 선택된 서브월령선택영역(M0~M12)에 대응되는 월령에 대응되는 정보를 사용자의 스마트단말기(20)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ny one of the sub-month selection areas M0 to M12 is selected in the selection area display step S11, the user's smart terminal display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moon age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sub-month selection area M0 to M12. It can display on the screen of (20).

여기서 월령에 대응되는 정보는, 키, 체중 및 머리둘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성장발달정보(A11)와; 유아의 반사행동, 기기, 뒤집기 및 서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운동발달정보(A12)와; 얼굴인식 및 음성인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인지발달정보(A13)와; 식단의 종류, 수유량, 및 수유횟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식생활발달정보(A14) 등 유아의 발달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age, growth development information (A11) including at least one of height, weight and head circumference; Exercise development information A12 including at least one of reflexive behavior, device, flipping, and standing of the infant; Cognitive development information A13 including at least one of face recognition and voice recognition; It may include a variety of information about the development of the infant, such as dietary development information (A14)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type of diet, lactation amount, and the number of lactations.

또한 상기 월령에 대응되는 정보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면표시와 같이, 위와 같은 정보들이 가공된 다양한 통계데이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age of the month, as shown on the screen display, as shown in Figure 5, may include a variety of statistical data, such as the above information is processed.

상기 서브월령선택영역(M0~M12)은, 0개월, 1개월 등 월령별 선택이 가능하도록 스마트단말기(20)의 화면에 표시되는 선택영역으로서, 해당 선택영역이 선택되면 해당 선택영역의 월령에 대응되는 정보를 스마트단말기(20)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The sub-month selection area (M0 ~ M12) is a selection area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smart terminal 20 to be selected for each month, such as 0 months, 1 month, etc.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smart terminal 20.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선택영역표시단계(S11)는, 사용자의 스마트단말기(20)의 화면에 필요용품선택영역(A4)를 추가로 표시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selection area display step S11 may additionally display the necessary goods selection area A4 on the screen of the user's smart terminal 20.

그리고 상기 이벤트실행단계(S12)는, 선택영역표시단계(S11)에서 필요용품선택영역(A4)이 선택된 경우 시계열로 배치된 월령들 각각에 대응되는 서브월령선택영역(M0~M12)들을 리스트방식, 팝업방식 등 다양한 방식에 의하여 사용자의 스마트단말기(20)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In the event execution step S12, when the necessary goods selection area A4 is selected in the selection area display step S11, the sub-month selection area M0 to M12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moon ages arranged in time series are listed. The display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smart terminal 20 of the user by various methods such as a popup method.

그리고 상기 선택영역표시단계(S11)에서 서브월령선택영역(M0~M12)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된 경우 선택된 서브월령선택영역(M0~M12)에 대응되는 월령에 대응되는 용품정보를 사용자의 스마트단말기(20)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And if any one of the sub-age selection area (M0 ~ M12) is selected in the selection area display step (S11), the smart terminal of the user to supply the good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month age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sub-month selection area (M0 ~ M12) It can display on the screen of (20).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육아관리 서비스 제공방법은, IoT기기(11~18)들과 조합하여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Meanwhile, the parenting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perform various functions in combination with IoT devices 11 to 18.

즉, 본 발명에 따른 육아관리 서비스 제공방법은, IoT기기(11~18)들과의 조합에 의하여, 무선에 의하여 육아에 필요한 육아측정정보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IoT기기(11~18)들 및 사용자에 의한 입력수단 중 적어도 하나의 방법에 의하여 유아의 연월령 기준으로 육아관련정보에 대응되는 개별정보를 입력하는 정보입력단계(S20)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정보입력단계(S20)에서 입력된 개별정보를 대응되는 육아관련정보와 함께 사용자의 스마트단말기(20)에 직접 또는 가공하여 제공하는 입력정보표시단계(S3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That is, the method for providing child care management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one or more IoT devices 11 to 18 that provide child care measurement information necessary for child care by wireless, in combination with IoT devices 11 to 18, and An information input step (S20) of inputting individua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child-raising related information on the basis of the age and age of the infant by at least one method of input means by the user;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the input information display step (S30) of providing the individual information input in the information input step (S20) directly or processed to the user's smart terminal 20 together with the corresponding child care related information may further include. Can be.

상기 정보입력단계(S20)는, 무선에 의하여 육아에 필요한 육아측정정보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IoT기기(11~18)들 및 사용자에 의한 입력수단 중 적어도 하나의 방법에 의하여 유아의 연월령 기준으로 육아관련정보에 대응되는 개별정보를 입력하는 단계로서, IoT기기(11~18)의 종류 및 방식에 따라서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The information input step (S20) is based on the age and age of the infant by at least one method of the input means by the user and one or more IoT devices (11-18) for providing the child care measurement information necessary for childcare by wireless. As the step of inputting individua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arenting related information, it may be performed by various methods according to the type and method of the IoT device (11-18).

상기 정보입력단계(S20)는, 육아에 필요한 육아측정정보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IoT기기(11~18)들로부터 무선에 의하여 육아측정정보를 수신하는 육아관련정보수신단계(S21)로서 수행될 수 있다.The information input step (S20) may be performed as a child care related information receiving step (S21) for receiving child care measurement information by wireless from one or more IoT devices 11-18 providing child care measurement information required for child care. have.

특히 상기 육아관련정보수신단계(S21)는,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하여 자동으로 작동할 수 있는 IoT기기(11~18)들 및 스마트단말기(20)에 의하여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parenting related information receiving step S21 may be automatically performed by the IoT devices 11 to 18 and the smart terminal 20 which can be automatically operated by a preset program.

상기 입력정보표시단계(S3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정보입력단계(S20)에서 입력된 개별정보를 대응되는 육아관련정보와 함께 사용자의 스마트단말기(20)에 직접 또는 가공하여 제공하는 단계로서,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The input information display step (S30), as the step of providing the individual information input in the information input step (S20) directly or processed to the user's smart terminal 20 with the corresponding child care related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It may be performed by various methods.

즉, 상기 육아관련정보제공단계(S20)는, 육아관련정보수신단계(S21)에서 수신된 육아관련정보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가공된 육아관련정보를 스마트단말기(20)의 디스플레이(21)에 표시하는 단계로서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That is, the child care related information providing step (S20), to display the processed child care related information to the user on the display 21 of the smart terminal 20 through the child care related information received in the child care related information receiving step (S21). As a step, it can be performed by various methods.

구체적으로, 상기 IoT기기(11~18)는, 용기 내 내용물의 온도측정기능, 음용량의 측정기능 등을 구비하며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스마트피딩용기(13)를 포함하며, 이때 육아관련정보제공단계(S20)는, 스마트피딩용기(13) 및 스마트단말기(20)를 이용하여 수유시간대, 수유하는데 걸린 시간, 수유량, 수유횟수를 기록하여 육아정보저장서버(30)에 데이터베이스로서 구축하고,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수유시간대, 수유하는데 걸린 시간, 수유량, 수유횟수를 기반으로 식생활발달정보, 발달정보, 운동발달정보, 인지발달정보의 전문지식, 표준데이터와 상관관계가 있는 정보를 자동으로 매칭하여 사용자에게 유아의 건강상태 및 건강가이드 등의 가공된 진단 결과를 성장단계별 육아가이드 서비스로서 제공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IoT devices 11 to 18 include a smart feeding container 13 having a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and having a temperature measuring function, a volume measuring function, and the like in the container, and providing child care related information. Step (S20), by using the smart feeding container 13 and the smart terminal 20, recording the feeding time, the time taken to feed, the feeding amount, the number of feedings are built as a database on the child care information storage server 30, data Based on the feeding time, feeding time, feeding amount, and feeding frequency from the base, it automatically matches the diet development information, development information, exercise development information, expertise of cognitive development information, and information correlated with standard data. Processed diagnosis results such as health status and health guide of the infant can be provided as a parenting guide service for each growth stage.

특히 상기 육아관련정보제공단계(S2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월령선택영역(C2)을 활용할 수 있다.In particular, in the parenting related information providing step (S20),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utilize the moon age selection area (C2).

구체적으로서, 상기 육아관련정보제공단계(S20)의 수행시 사용자의 스마트단말기(20)의 화면에 월령선택영역(C2)을 표시하고, 월령선택영역(C2)이 선택된 경우 시계열로 배치된 월령들 각각에 대응되는 서브월령선택영역(M0~M12)들을 리스트방식, 팝업방식 등 다양한 방식에 의하여 사용자의 스마트단말기(20)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월령은, 리스트방식, 팝업방식 등에 의한 입력되거나, 직접 입력에 의한 입력 등 다양한 방식에 의하여 입력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Specifically, when the child care related information providing step S20 is performed, the moon age selection area C2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user's smart terminal 20, and when the moon age selection area C2 is selected, the moon ages are arranged in time series. The sub-month selection areas M0 to M12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screens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smart terminal 20 of the user by various methods such as a list method and a pop-up method. Here, the month is input by a list method, a pop-up method, or the like, or may be input by various methods such as an input by a direct input.

그리고, 상기 서브월령선택영역(M0~M12)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된 경우 선택된 서브월령선택영역(M0~M12)에 대응되는 월령에 대응되는 정보를 사용자의 스마트단말기(20)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When one of the sub-month selection areas M0 to M12 is selecte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moon age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sub-month selection area M0 to M12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smart terminal 20 of the user. Can b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육아관리 서비스 제공방법의 구현에 있어서, 한국 공개특허 제10-2015-0055199호에 개시된 육아 가이드 인쇄물을 모두 프로그램화하여 스마트단말기(20)에 설치함으로써 육아관련정보제공단계(S20)가, 성장단계별 육아가이드 서비스로서 수행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implementation of the method of providing a child care management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hild care-related information providing step by programming all of the parenting guide printout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15-0055199 to be installed in the smart terminal 20 (S20) ) May be performed as a parenting guide service for each growth stage.

예를 들면, 스마트피딩용기(13)를 통하여 육아의 수유횟수, 수유시간대, 수유시간, 수유량 등의 육아측정정보를 스마트단말기(20)로 수신하고, 수신된 육아측정보를 프로그램화된 한국 공개특허 제10-2015-0055199호에 개시된 육아 가이드 표에 표시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위 육아측정정보를 인식할 수 있게 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mart feeding container 13 receives the child care measurement information such as the number of feedings, feeding time period, feeding time, feeding amount, etc. to the smart terminal 20, and the received child care information is disclosed in Korea. It may be displayed in the parenting guide table disclosed in Patent No. 10-2015-0055199,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the parenting measurement information.

또한 스마트피딩용기(13)를 통하여 육아의 수유횟수, 수유시간대, 수유시간, 수유량 등의 육아측정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서 축적하여 기간별, 시점별 통계데이터를 그래프화할 수 있으며, 표준 또는 권장 지표와 비교하여 표시하는 등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mart feeding container 13 accumulates childcare measurement information such as feeding frequency, feeding time, feeding time, and feeding amount as a database to graph statistical data for each period and time point, and compares them with standard or recommended indicators. It can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displaying.

즉, 상기 입력정보표시단계(S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달정보들 중 적어도 하나의 시계열적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 및 발달정보들에 대응되는 표준수치(지역표준, 국가표준, 세계표준, 성별표준, 연령별표준, 실행앱 유저별 표준 등)와 같은 기준 대비 입력된 개별정보의 상대지수를 보여주는 그래프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That is, the input information display step (S30), as shown in Figure 5, a graph showing a time series change of at least one of the development information, and the standard values corresponding to the development information (local standard, national standard, At least one of the graphs showing the relative index of the individual information input against the criteria such as the world standard, gender standard, age-specific standards, standards for running app users, etc.) may be displayed.

한편 상기 스마트피딩용기(13) 및 스마트단말기(20)를 이용하여 축적된 육아관련정보를 기반으로, 육아관련정보제공단계(S20)에서 전문정보를 제공하는 예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On the other hand, based on the child care related information accumulated using the smart feeding container 13 and the smart terminal 20, examples of providing specialized information in the child care related information providing step (S20) are as follows.

1. 수유시간, 수유횟수를 데이터베이스는 통해 밤시간대의 수유 횟수가 상대적으로 증가하면 스마트단말기(20)의 디스플레이(21)에서 현재 유아의 개월수를 기준으로 밤 시간에 수유횟수가 몇 주 혹은 1개월 전보다 많이 증가하여 유아의 건강에 해를 끼칠 수 있음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1. Feeding time, number of feedings in the night time through the database, the number of feedings in the night time is relatively increased on the display 21 of the smart terminal 20, the number of feedings in the night time based on the number of months of the current infant weeks or 1 May increase more than a month ago may harm infants' health.

이때 상기 스마트단말기(20)의 디스플레이(21)에 육아 전문가와 상담하기를 권유하는 알림, 육아 전문가의 연락처, 홈화면표시 등의 관련정보, 또는 수유리듬을 찾을 수 있는 정보가 직접 또는 간접으로 표시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display 21 of the smart terminal 20 displays a notification inviting a consultation with a child care professional, a contact information of a child care professional, a home screen display, or related information such as information or a handful of rhythms, directly or indirectly. Can be.

또한, 밤시간대의 수유를 끊어야 할 특정 시기가 오면 밤시간대의 수유를 끊을 수 있는 적절한 방법에 대한 신뢰성 있는 정보를 스마트단말기(20)의 디스플레이(21)를 통하여 직접 또는 간접으로 표시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 specific time to stop feeding at night time comes, reliable information on a suitable method for stopping feeding at night time may be displayed directly or indirectly through the display 21 of the smart terminal 20.

2. 스마트단말기(20)의 디스플레이(21)를 통하여 수유횟수와 수유량 데이터를 통해 수유형태 대한 진단결과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각 개월 수마다 적절한 수유횟수 및 수유량 정보를 제공하고 세부적으로 나누워 낮과 밤의 수유횟수 및 수유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2. The display 21 of the smart terminal 20 provides the diagnosis result about the feeding type through the feeding frequency and the feeding amount data, and provides the appropriate feeding frequency and feeding amount information for each month and divides it in detail by day and night. Feeding frequency and lactation information can be provided.

3. 상기 축적된 육아관련정보를 기반으로, 육아관련정보제공단계(S20)에서 건강 가이드를 다음과 같이 제공할 수 있다.3. Based on the accumulated child care related information, in the child care related information providing step (S20) may provide a health guide as follows.

3.1. 스마트피딩용기(13) 및 스마트단말기(20)를 이용하여 축적된 육아관련정보를 기반으로, 가입된 사용자의 육아 프로필의 개월 수를 기반으로 식습관에 관련 건강 가이드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이유식을 먹이는 시기와 이유식을 먹일 때 주의하여야 하는 점 등 식습관에 관한 정보를 스마트단말기(20)의 디스플레이(21)를 통하여 제공할 수 있다.3.1. Based on the child care related information accumulated using the smart feeding container 13 and the smart terminal 20, based on the number of months of the child care profile of the subscribed user to provide a relevant health guide to eating habits, when feeding baby food And when feeding baby food can be provided through the display 21 of the smart terminal 20, such as information about the eating habits.

3.2. 또한 이유식을 준비할 시기에 권장되는 이유식 계열 음식 정보 및 조리 방법을 스마트단말기(20)의 디스플레이(21)를 통하여 제공할 수 있다.3.2. In addition, the baby food based food information and cooking method recommended at the time of preparing the baby food may be provided through the display 21 of the smart terminal 20.

3.3. 몸무게와 수유량을 기준으로 표준치와 비교하여 현재 상태에 대한 결과 정보를 스마트단말기(20)의 디스플레이(21)를 통하여 제공할 수 있다.3.3. Compared with the standard value based on the weight and the feeding amount, the result information on the current state may be provided through the display 21 of the smart terminal 20.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육아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육아관련정보제공방법 중 스마트폰과 같은 스마트단말기에 설치된 실행앱을 통한 구체적 실시예를 도 6a 내지 도 14i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 specific embodiment of the child care service system and the child care relate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A to 14I through an execution app installed in a smart terminal such as a smartphone.

먼저 메인화면(미도시)에서 발달정보선택영역(A1)의 선택 후 또는 실행앱의 실행 후 초기 화면으로서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유아의 이름, 성별, 월령, 지역 등 개인정보 등의 기초정보의 입력을 위한 설정선택영역(미도시)의 선택 후 기초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First, after the selection of the development information selection area A1 on the main screen (not shown) or after the execution of the execution app, it may be displayed as shown in FIG. 6A. Here, the basic information may be input after selecting a setting selection area (not shown) for inputting basic information such as personal information such as a child's name, gender, age, and region.

여기서 스마트단말기의 화면, 특히 상단 부분에는 해당 유아에 관한 기초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Here, basic information about the infant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smart terminal, particularly, the upper portion.

구체적으로 스마트단말기의 상단 부분에는 해당 유아의 이름 또는 애칭, 월령(B1)이 표시되고, 해당 유아의 사진(E1)이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해당 유아의 사진은 월령에 대응되는 대표사진으로 설정될 수 있다.In detail, the upper part of the smart terminal may display the infant's name or nickname, the age (B1), and the infant's photo (E1). The photograph of the infant may be set as the representative photograph corresponding to the age of the month.

그리고 도 6a에 도시된 화면에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도 6b에 도시된 형식을 거친 후 유아의 월령이 선택될 수 있으며, 월령선택 후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6A may be selected after the format shown in FIG. 6B by the user's selection on the screen illustrated in FIG. 6A, and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smart terminal as illustrated in FIG. 6C after the month age selection. have.

한편 메인화면(미도시)에서 발달정보선택영역(A1)의 선택 후 성장발달정보(A11), 즉 '무럭무럭'으로 표시된 픽토그램, 운동발달정보(A12), 즉 '꼬물꼬물'으로 표시된 픽토그램, 인지발달정보(A13), 즉 '또랑또랑'으로 표시된 픽토그램, 식생활발달정보(A14), 즉 '냠냠꿀꺽'으로 표시된 픽토그램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아의 월령을 선택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fter the selection of the development information selection area A1 on the main screen (not shown), the growth and development information A11, that is, the pictogram indicated by 'smooth', the exercise development information A12, that is, the pictogram indicated by the 'cobweb', One of the cognitive development information A13, that is, the pictogram represented by 'Tang Rang Trang', and the dietary development information A14, that is, the pictogram represented by 'Gurley Gulp' may be selected. Here, the user may select the age of the infant as shown in FIG. 6B.

상기와 같이, 여기서 유아의 월령 선택 및 성장발달정보(A11), 즉 '무럭무럭'으로 표시된 픽토그램이 선택되면, 유아의 월령과 연계하여 유아의 성장발달에 관한 체계화된 정보(예를 들면 전문 정보, 통계 정보 등)가 스마트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infant's age selection and growth development information (A11), that is, a pictogram displayed as 'sufficiently' is selected, systematic information on the infant's growth development in association with the infant's age (for example, professional information) , Statistical information, etc.)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smart terminal.

그리고 상기 운동발달정보(A12), 즉 '꼬물꼬물'으로 표시된 픽토그램이 선택되면, 유아의 월령과 연계하여 유아의 운동발달에 관한 체계화된 정보(예를 들면 전문 정보, 통계 정보 등)가 스마트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And if the exercise development information (A12), that is, a pictogram displayed as 'knapsak' is selected, systematic information (eg, professional information, statistical information, etc.) about the infant's exercise development in conjunction with the age of the infant is a smart terminal Can be displayed on the screen.

그리고 인지발달정보(A13), 즉 '또랑또랑'으로 표시된 픽토그램이 선택되면, 유아의 월령과 연계하여 유아의 인지발달에 관한 체계화된 정보(예를 들면 전문 정보, 통계 정보 등)가 스마트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If cognitive development information (A13), that is, a pictogram labeled 'Trang Trang' is selected, systematic information (eg, professional information, statistical information, etc.) about the infant's cognitive development is linked to the age of the infant. It can be displayed on the screen.

마지막으로 식생활발달정보(A14), 즉 '냠냠꿀꺽'으로 표시된 픽토그램이 선택되면, 유아의 월령과 연계하여 유아의 유아의 식생활발달에 체계화된 정보(예를 들면 전문 정보, 통계 정보 등)가 스마트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Finally, when the food development information (A14), that is, a pictogram marked as 'kwakku' is selected, the systematized information (e.g., professional information, statistical information, etc.) in the infant's dietary development is linked to the age of the infant. It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terminal.

한편 메인화면(미도시)에서 발달확인선택영역(A2)의 선택 후 또는 실행앱의 실행 후 기타 화면에 발달확인선택영역(A2)이 선택되면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되고, 더 나아가 성장발달정보(A11), 즉 '무럭무럭'으로 표시된 픽토그램이 선택되면,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이 전환되어 유아의 해당월령에 대응되는 성장발달정보(해당월령에 따른 성장통계정보, 권장정보, 성장전문정보 등)와 함께 또는 별도로, 몸무게, 키 등의 성장정보의 입력을 위한 입력영역 등이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발달확인선택영역(A2)의 선택 후 표시되는 정보들은, 앞서 설명한 발달정보선택영역(A1)의 선택 후 표시되는 발달정보와 연계하여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when the development confirmation selection area A2 is selected on the other screen after the development confirmation selection area A2 is selected on the main screen (not shown) or after the execution of the execution app, it is displayed as shown in FIG. 7A and further grows. When the development information (A11), that is, a pictogram displayed as 'smoothly' is selected, as shown in FIG. 7B, the screen is switched so that the growth developmen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age of the infant (growth statistics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age, recommended Information, growth special information, etc.) or separately, an input area for inputting growth information such as weight and height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The information displayed after the selection of the development confirmation selection area A2 is preferably displayed in association with the development information displayed after the selection of the development information selection area A1 described above.

또한 도 7b의 화면에서 입력된 유아의 성장정보를 기준으로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계 평균, 국가 평균, 지역 평균, 앱 사용자 기준 평균 등 다양한 데이터를 기준으로 그래프로서 표시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7C based on the growth information of the infant input on the screen of FIG. 7B, the data may be displayed as a graph based on various data such as a global average, a national average, a regional average, an app user standard average, and the like.

보다 구체적으로, 월령에 따른 유아의 몸무게를 세계 평균 범위에 연계하여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유아의 성장정보는,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유아 기준 월기준으로 시계열적 그래프로서 표시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More specifically, the weight of the infant according to the age can be displayed in connection with the world average range. Herein, the growth information of the infant may be displayed as a time series graph on a monthly basis of each infant, as shown in FIG. 7C.

도 7c를 참조하면, 발달확인선택영역(A2)의 선택 후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되거나, 후술하는 IoT기기에 의하여 자동으로 입력된 입력값(체중, 키 등)을 유아의 성장정보를 세계 평균, 국가 평균, 지역 평균, 앱 사용자 기준 평균 등의 다양한 데이터에 기초한 기준범위와 함께 표시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C, the infant's growth information is input to the input value (weight, height, etc.) input by the user after the development confirmation selection area A2 or automatically input by an IoT device,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t can be displayed along with a reference range based on various data such as average, regional average, and app user average.

사용자는, 도 7c와 같은 그래프를 참조하여 유아의 성장발달 등이 정상여부를 확인함으로써 육아에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게 된다.The user, by referring to the graph as shown in Figure 7c to check whether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the infant is normal can be much help in child care.

특히 사용자는 도 7c와 같은 그래프를 참조하여 유아의 성장발달 종류 중 유아의 상태를 확인함으로써 체중, 키, 수유량 등의 육아 내용의 과부족을 조절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user can check the state of the infant among the growth and development types of the infant with reference to the graph as shown in Figure 7c can adjust the oversufficiency of parenting content such as weight, height, lactation.

한편 도 7c와 같은 그래프 등의 표시방법은, 성잘발달정보는 물론 후술하는 운동발달정보, 인지발달정보 및 식생활발달정보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On the other hand, the display method such as a graph as shown in Figure 7c, of course, can be applied to the development information, cognitive development information and dietary development information described later, as well as sexual development information.

한편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동발달정보(A12), 즉 '꼬물꼬물'으로 표시된 픽토그램이 선택되면, 유아의 해당월령에 대응되는 운동발달정보(해당월령에 따른 성장통계정보, 권장정보, 성장전문정보 등)와 함께 또는 별도로, 해당 유아의 운동발달정보의 입력을 위한 입력영역 등이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8a, if the exercise development information (A12), that is, a pictogram marked 'knapsae' is selected, exercise developmen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age of the infant (growth statistics, recommended information, Together with or separately from the growth specialist information, an input area for inputting the exercise development information of the infant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또한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지발달정보(A13), 즉 '또랑또랑'으로 표시된 픽토그램이 선택되면, 유아의 해당월령에 대응되는 인지발달정보(해당월령에 따른 성장통계정보, 권장정보, 성장전문정보 등)와 함께 또는 별도로, 해당 유아의 인지발달정보의 입력을 위한 입력영역 등이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8b, when the cognitive development information (A13), that is, a pictogram displayed as 'Trang Trang' is selected, the cognitive developmen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age of the infant (growth statistics, recommended information, Together with or separately from the growth specialist information, an input area for inputting cognitive development information of the infant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또한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생활발달정보(A14), 즉 '냠냠꿀꺽'으로 표시된 픽토그램이 선택되면, 유아의 해당월령에 대응되는 식생활발달정보(해당월령에 따른 성장통계정보, 권장정보, 성장전문정보 등)와 함께 또는 별도로, 해당 유아의 식생활발달정보의 입력을 위한 입력영역 등이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8c, when the dietary development information (A14), that is, a pictogram displayed as '냠냠 gulp' is selected, the dietary developmen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age of the infant (growth statistics information, recommended information, Together with or separately from the growth specialist information, an input area for inputting the dietary development information of the infant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한편 도 7a 내지 도 8c에 도시된 성장발달정보(A11), 운동발달정보(A12), 인지발달정보(A13), 식생활발달정보(A14) 등 중 해당 유아의 정보는 후술하는 IoT기기에 의하여 자동으로 입력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Meanwhile, among the growth development information (A11), the exercise development information (A12), the cognitive development information (A13), and the dietary development information (A14) shown in FIGS. Of course, it can also be entered.

또한 도 7a 내지 도 8c에 도시된 성장발달정보(A11), 운동발달정보(A12), 인지발달정보(A13), 식생활발달정보(A14) 등 중 해당 유아의 정보는, 세계 평균값 또는 범위, 국가 평균값 또는 범위, 지역 평균값 또는 범위, 실행앱 사용자들 중의 평균값 또는 범위, 통계데이터에 기반한 권장 값 또는 범위에 대비하여 편차 등을 계산하고 계산된 편차를 기준으로 성장발달정보(A11), 운동발달정보(A12), 인지발달정보(A13), 식생활발달정보(A14)에 기반한 권장정보를 스마트단말기를 통하여 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among the growth development information (A11), exercise development information (A12), cognitive development information (A13), and dietary development information (A14) shown in FIGS. Calculates deviations from average values or ranges, local average values or ranges, average values or ranges among users of running apps, recommended values or ranges based on statistical data, and based on the calculated deviations, growth development information (A11) and exercise development information. (A12), recommendation information based on cognitive development information (A13) and dietary development information (A14) may be presented through a smart terminal.

한편 스마트단말기의 화면에는, 도 7a 내지 도 8c에 도시된 성장발달정보(A11), 운동발달정보(A12), 인지발달정보(A13), 식생활발달정보(A14) 등 중 해당 유아의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정보확인영역을 제공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on the screen of the smart terminal, the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infant among the growth development information (A11), exercise development information (A12), cognitive development information (A13), dietary development information (A14) and the like shown in Figure 7a to 8c An information confirmation area can be provided.

그리고 정보확인영역이 선택되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 7c와 같은 그래프로서 성장발달정보(A11), 운동발달정보(A12), 인지발달정보(A13), 식생활발달정보(A14) 등을 확인할 수 있다.When the information confirmation region is selected, as shown in FIG. 7C, the growth development information A11, the exercise development information A12, the cognitive development information A13, and the dietary development information A14 may be checked.

또한 정보확인영역이 선택되면 후술하는 "메인화면(미도시)에서 리포트(MA4)의 선택 후 또는 실행앱의 실행 후 기타 화면에서 리포트(MA4)가 선택"된 것과 같이 실행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information confirmation area is selected, it may be executed as if "report MA4 is selected on the other screen after the selection of the report MA4 on the main screen (not shown) or after executing the execution app".

한편 메인화면(미도시)에서 예방접종선택영역(A3)의 선택 후 또는 실행앱의 실행 후 기타 화면에서 예방접종선택영역(A3)이 선택되면, 도 9a 또는 도 9b와 같이 유아의 해당월령에 대응되는 예방접종정보와 함께 또는 별도로, 해당 유아의 월령, 접종여부에 따라서 예방접종에 관한 정보가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fter the selection of the immunization selection area (A3) on the main screen (not shown) or after the execution of the execution app is selected in the immunization selection area (A3) on the other screen, as shown in Figure 9a or 9b the infant age In addition to the corresponding vaccination information or separately, information about vaccination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according to the age and vaccination of the infant.

이때 해당 화면에는 해당 유아에 관한 접종여부의 입력, 접종일정, 접종종류 등 다양한 정보 등이 표시될 수 있다.In this case, various information such as input of inoculation of the infant, inoculation schedule, inoculation type, etc.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이때 상기 예방접종선택영역(A3)이 선택되면, 별도의 선택영역을 두어 예방접종정보와 함께 실행앱이 실행되는 스마트단말기의 위치정보 또는 미리 등록된 주소정보를 활용하여 부근에 위치된 예방접종기관(병원, 보건소 등)의 위치, 운영시간 정보 등을 제공할 수 있다.At this time, if the vaccination selection area (A3) is selected, a vaccination institution located in the vicinity by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r pre-registered address information of the smart terminal running the application running along with the vaccination information with a separate selection area Information about the location of the hospital (hospital, public health center, etc.)

여기서 상기 예방접종기관에 관한 정보는, 스마트단말기를 통한 광고형식을 취할 수도 있다.Here, the information about the immunization agency may take the form of an advertisement through a smart terminal.

한편 메인화면(미도시)에서 필요용품선택영역(A4)의 선택 후 또는 실행앱의 실행 후 기타 화면에서 필요용품선택영역(A4)이 선택되면, 도 10a 또는 도 10e와 같이 유아의 해당월령에 대응되는 필요용품정보와 함께 또는 별도로, 해당 유아의 월령에 따라서 필요용품에 관한 정보가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necessary goods selection area A4 is selected on the main screen (not shown) after the selection of the necessary goods selection area A4 or after execution of the execution app, the corresponding age of the infant as shown in FIG. 10A or 10E In addition to or in addition to the corresponding necessity information, information about the necessities according to the age of the infant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구체적으로, 필요용품선택영역(A4)이 선택되면, 도 10a 및 도 10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유아에 대응되는 육아용품, 놀이용품 등 상위 메뉴가 화면에 표시된 다음,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도 10b, 도 10c, 도 10e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용품들이 픽토그램 형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필요용품선택영역(A4)이 선택되면 메인화면(미도시)에서 제품정보(MA3)의 선택 후 또는 실행앱의 실행 후 기타 화면에서 제품정보(MA3)가 선택된 후 해당제품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he necessity goods selection area A4 is selected, as shown in FIGS. 10A and 10D, upper menus such as child care items and play goods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infant are displayed on the screen, and then,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As shown in FIG. 10B, FIG. 10C, and FIG. 10E, each article may be displayed in pictogram format. In this case, when the necessary goods selection area A4 is selected, after selecting the product information MA3 on the main screen (not shown) or after executing the running app, the product information MA3 is selected on the other screen, and the information on the corresponding product is displayed. You can do that.

한편 상기 용품들에 대응되는 픽토그램이 선택되면 해당 용품에 관한 추천정보, 전문가정보, 업체정보 등이 표시될 수 있다.Meanwhile, when pictograms corresponding to the articles are selected, the recommendation information, the expert information, the company information, and the like may be displayed.

여기서 업체정보는, 스마트단말기와 같은 광고형식으로서, 스폰서 업체와 연계하여 광고방식을 채택하여 화면에 표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Here, the company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by adopting an advertisement method in association with a sponsor company as an advertisement format such as a smart terminal.

한편 메인화면(미도시)에서 다이어리(MA2)의 선택 후 또는 실행앱의 실행 후 기타 화면에서 다이어리(MA2)가 선택되면, 도 11a 내지 도 11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해당 유아에 대한 육아 히스토리가 표시될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diary MA2 is selected on the other screen after the selection of the diary MA2 on the main screen (not shown) or after the execution of the execution app, the child care for the infant in various forms as shown in FIGS. 11A to 11F. History can be displayed.

예로서,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유아에 관한 일자별 일기의 입력을 위한 입력창 또는 입력결과가 사진정보와 함께 스마트단말기에 표시될 수 있다.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 11A, an input window or an input result for inputting a daily diary for the infant may be displayed on the smart terminal together with the photo information.

또한 도 11b 및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유아에 관한 다이어리의 확인을 위하여 달력 등으로 표시하여 해당 월일의 선택 후 해당 월일의 다이어리를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as illustrated in FIGS. 11B and 11C, the diary of the month may be checked after the selection of the corresponding month day by displaying a calendar or the like to confirm the diary of the infant.

또한 도 11d 내지 도 11f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유아에 관한 성장히스토리, 즉 성장일기가 리스트 방식, 해당 일의 사진정보와 함께, 구체적 데이터 등으로 표시되는 등 다양한 방식에 의하여 스마트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11D to 11F, the growth history of the infant, that is, the growth diary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smart terminal by various methods such as a list method, a picture data of the day, and the like as detailed data. Can be displayed.

여기서 성장히스토리는, 앞서 설명한 발달정보에서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되거나, 후술하는 IoT기기에 의하여 자동으로 입력된 입력값들이 활용됨으로써 사용자의 육아활동을 극대화하는 한편 육아 히스토리를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게 한다.Here, the growth history may maximize the parenting activity of the user and conveniently check the parenting history by utilizing input values input by the user in the above-described development information or automatically input by the IoT devices described below.

한편 메인화면(미도시)에서 제품정보(MA3)의 선택 후 또는 실행앱의 실행 후 기타 화면에서 제품정보(MA3)가 선택되면, 도 12a 내지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육아에 관한 제품 정보가 스마트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product information (MA3) is selected on the other screen after the selection of the product information (MA3) on the main screen (not shown) or after the execution of the execution app, as shown in Figure 12a to 12b relates to child care in various forms Product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smart terminal.

특히 육아에 관한 제품 정보를 표시할 때, 안정인증 및 기준 등의 제품가이드, 실행앱 사용자, 전문가 등의 제품리뷰, 신제품소개 등이 스마트단말기의 화면에 동시에 또는 별도로 표시될 수 있다.In particular, when displaying product information related to child care, product guides such as stability certification and standards, product reviews such as users of running apps, experts, and new product introductions may be simultaneously or separately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smart terminal.

그리고 제품정보(MA3)의 제품표시방식은 앞서 설명한 필요용품선택영역(A4)와 동일한 또는 유사한 방식에 의하여 표시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duct display method of the product information MA3 may be displayed in the same or similar manner as the necessary article selection area A4 described above.

즉, 상기 제품들에 대응되는 픽토그램이 표시되고, 어느 하나의 픽토그램이 선택되면 해당 제품에 관한 추천정보, 전문가정보, 업체정보 등이 표시될 수 있다.That is, pictograms corresponding to the products may be displayed, and when any one pictogram is selected, recommendation information, expert information, and company information about the corresponding product may be displayed.

그리고 업체정보는, 스마트단말기를 통한 광고형식으로서, 스폰서 업체와 연계하여 광고방식을 채택하여 화면에 표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company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by adopting an advertisement method in association with a sponsor company as an advertisement format through a smart terminal.

한편 메인화면(미도시)에서 리포트(MA4)의 선택 후 또는 실행앱의 실행 후 기타 화면에서 리포트(MA4)가 선택되면, 도 13a 내지 도 13h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육아에 관한 리포트가 스마트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report MA4 is selected on the other screen after the selection of the report MA4 on the main screen (not shown) or after the execution of the execution app, the report on the parenting is displayed in various forms as shown in FIGS. 13A to 13H. It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smart terminal.

예로서, 메인화면(미도시)에서 리포트(MA4)의 선택 후 또는 실행앱의 실행 후 기타 화면에서 리포트(MA4)가 선택되면,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포트(MA4)의 초기화면으로서 표시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report MA4 is selected on the other screen after the selection of the report MA4 on the main screen (not shown) or after the execution of the execution app, as shown in FIG. 13A, the initial screen of the report MA4 is displayed. Can be displayed.

그리고 상기 리포트(MA4)의 리포트 내용은, "오늘의 얼굴", "발달확인 결과", "월간리포트", "성장앨범"과 같이 사용자의 육아활동에 관한 다양한 형식의 리포트를 사용자에게 제시할 수 있다.The report contents of the report MA4 may present the user with various types of reports on parenting activities of the user, such as "today's face", "development confirmation result", "monthly report" and "growth album". have.

이때 리포트(MA4)의 초기화면에는 "오늘의 얼굴", "발달확인 결과", "월간리포트", "성장앨범"의 선택영역의 표시, 월령별 픽토그램의 표시 등을 스마트단말기의 화면에 표시하고 사용자의 리포트 형식을 다양하게 선택하게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initial screen of the report MA4 displays "Selection of the face of today", "Development confirmation result", "Monthly report", "Growth album", and the display of the pictogram for each age on the screen of the smart terminal. You can choose from a variety of report formats.

한편 "오늘의 얼굴"이 선택되면,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늘의 얼굴"이 이미지로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face of the day" is selected, as shown in Figure 13b, "face of the day"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as an image.

여기서 "오늘의 얼굴" 표시방식은, 사용자가 스마트단말기를 이용하여 복수의 유아의 사진을 날짜 순으로 하나의 화면에 표시하거나, 슬라이드 방식으로 화면에 표시하는 등 유아의 얼굴의 시계열적 변화를 확인하게 할 수 있다.Here, the "face of the day" display method, the user uses a smart terminal to display a plurality of infants' photos on a single screen in the order of the date, or slide the screen to display the time series changes of the infant's face It can be done.

그리고 "발달확인 결과" 또는 "월간리포트"가 선택되면, 도 13c 내지 도 13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아의 발달정보가 다양한 방식에 의하여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When the "development confirmation result" or "monthly report" is selected, as shown in FIGS. 13C to 13F, the developmental information of the infant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by various methods.

그리고 "성장앨범"이 선택되면, 도 13g 또는 도 13h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유아에 관한 성장앨범의 제작을 위하여 사용자의 선택을 위한 선택입력란이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When "growth album" is selected, as shown in FIG. 13G or 13H, a selection input field for selecting a user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to produce a growth album for the infant.

이때 선택입력란은, 미리 설정된 앨범의 형식, 앨범에 포함될 유아의 이미지 선택, 앨범에 포함될 기간 등의 선택을 위한 정보입력란이 하나의 화면 또는 단계별로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election input field may display an information input field for selecting a preset album type, an infant's image to be included in the album, a period to be included in the album, and the like on one screen or step by step.

한편 메인화면(미도시)에서 IoT기기(MA5)의 선택 후 또는 실행앱의 실행 후 기타 화면에서 IoT기기(MA5)가 선택되면, 도 14a 내지 도 14i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단말기에 연결된 IoT 및 그에 따른 측정정보가 다양한 형태로 스마트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fter the IoT device MA5 is selected on the main screen (not shown) or after the execution of the execution app, if the IoT device MA5 is selected on the other screen, the IoT connected to the smart terminal as shown in FIGS. The measurement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smart terminal in various forms.

예로서, 메인화면(미도시)에서 IoT기기(MA5)의 선택 후 또는 실행앱의 실행 후 기타 화면에서 IoT기기(MA5)가 선택되면, 도 1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IoT기기(MA5)의 초기화면으로서 표시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IoT device MA5 is selected on the other screen after the IoT device MA5 is selected on the main screen (not shown) or after execution of the execution app, as shown in FIG. 14A, the IoT device MA5 It can be displayed as an initial screen.

여기서 IoT기기(MA5)의 초기화면에 표시된 IoT기기는, 사용자의 선택, 앱 자동 실행에 의하여 스마트단말기와 기기연결이 완료된 상태를 전제로 한다.Here, the IoT device displayed on the initial screen of the IoT device MA5 is based on the premise that the connection between the smart terminal and the device is completed by user selection and automatic execution of an app.

다른 예로서, IoT기기(MA5)의 초기화면에 미리 설정된 IoT기기들이 표시되고 기기연결이 완료된 IoT기기가 활성화된 상태로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preset IoT devices may be displayed on the initial screen of the IoT device MA5 and displayed on the screen with the activated IoT device completed.

활성화된 상태의 표시는, 명암효과, 흑백 및 컬러(색상) 등 다양한 방식에 의하여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되지 않은 기기는 초기화면에서 표시되지 않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display of the activated state may be displayed by various methods such as contrast effect, black and white and color (color). Devices not connected here may not be displayed on the initial screen, of course.

한편 IoT기기(MA5)의 초기화면 중 수유케어가 선택되면, 도 14b 내지 도 1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유에 관한 정보가 다양한 형식 및 내용으로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Meanwhile, when lactation care is selected from the initial screen of the IoT device MA5, as shown in FIGS. 14B to 14E, information about lactation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in various formats and contents.

구체적 예로서, 도 14c 내지 도 1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유수유, 분유수유 등 수유의 종류, 수유횟수, 수유량 등이 그래프, 수치 등으로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As a specific example, as shown in FIGS. 14C to 14E, types of breastfeeding, breastfeeding, and the like, feeding frequency, feeding amount, and the like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as graphs or numerical values.

한편 IoT기기(MA5)의 초기화면 중 토탈케어가 선택되면, 도 14f 및 도 14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아의 주변환경, 즉 온도, 습도, 유해물질(VOC, 미세먼지 등) 정보가 다양한 형태로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Meanwhile, when total care is selected among the initial screens of the IoT device MA5, as shown in FIGS. 14F and 14G,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hat is, temperature, humidity, and harmful substances (VOC, fine dust, etc.) information of the infant may be in various forms. It can be displayed on the screen.

한편 IoT기기(MA5)의 초기화면 중 배변케어가 선택되면, 도 14h 및 도 14i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변종류, 배변횟수, 배변량, 귀저기 사용횟수 등 배변에 관한 정보가 다양한 형태로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bowel care is selected from the initial screen of the IoT device (MA5), as shown in Figure 14h and 14i, information about bowel movements, such as bowel type, bowel movements, bowel movements, the number of earrings is displayed on the screen in various forms Can be.

여기서 배변에 관한 정보 표시시 귀저기의 사용량, 남음 갯수(사용자가 귀저기 숫자를 미리 입력함) 등이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Here, when the information about the bowel movements, the amount of use of the earrings and the number of remaining (the user inputs the earrings number in advance)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한편 도 8a 내지 도 14i에 도시된 도면 중 사진 부분은, 실제 앱 환경에서 선명하게 표시되나 초상권 등 개인보호를 위하여 선명도를 인의적으로 조정하였다.On the other hand, the photo portion of the drawings shown in Figures 8a to 14i is clearly displayed in the actual app environment, but artificially adjusted the sharpness for personal protection such as portrait rights.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들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다.Th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by way of example,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specific embodiments, and may be appropriately changed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11~18 : IoT기기 20 : 스마트단말기
30 : 육아관리서버
11 ~ 18: IoT device 20: Smart terminal
30: parenting management server

Claims (8)

사용자의 스마트단말기(20)에 설치된 프로그램을 통하여 시계열로 체계화한 육아관련정보를 제공하는 육아관리 서비스 제공방법으로서,
사용자의 스마트단말기(20)의 화면에 유아의 발달정보의 선택을 위한 제1선택영역(A1) 및 발달정보에 대응되는 발달확인의 선택을 위한 제2선택영역(A2)을 포함하는 복수의 선택영역들을 사용자의 스마트단말기(20)의 화면에 표시하는 선택영역표시단계(S11)와;
상기 복수의 선택영역들 중 상기 선택영역표시단계(S11)에 의하여 선택된 해당 선택영역(A1, A2)에 대응되어 미리 설정된 새로운 화면표시로서 사용자의 스마트단말기(20)의 화면에 표시하는 이벤트실행단계(S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아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As a method for providing a child care management service that provides child care related information organized in a time series through a program installed in a user's smart terminal 20,
A plurality of selections including a first selection area A1 for selecting infant development information and a second selection area A2 for selecting development confirmation corresponding to the development information on a screen of the smart terminal 20 of the user. A selection area display step (S11) of displaying the areas on the screen of the user's smart terminal 20;
An event execution step of displaying on the screen of the user's smart terminal 20 as a new screen display preset in correspondence with the corresponding selection areas A1 and A2 selected by the selection area display step S11 among the plurality of selection areas. Child care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method comprising the (S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선택영역표시단계(S11)는,
사용자의 스마트단말기(20)의 화면에 월령선택영역(C2)를 추가로 표시하며,
상기 이벤트실행단계(S12)는, 상기 선택영역표시단계(S11)에서 상기 월령선택영역(C2)이 선택된 경우 시계열로 배치된 월령들 각각에 대응되는 서브월령선택영역(M0~M12)들을 사용자의 스마트단말기(20)의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선택영역표시단계(S11)에서 상기 서브월령선택영역(M0~M12)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된 경우 선택된 서브월령선택영역(M0~M12)에 대응되는 월령에 대응되는 정보를 사용자의 스마트단말기(20)의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아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lection area display step (S11),
To further display the moon age selection area (C2) on the screen of the user's smart terminal 20,
In the event execution step S12, when the lunar month selection area C2 is selected in the selection area display step S11, the sub-month age selection areas M0 to M12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moon ages arranged in time series are displayed.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smart terminal 20,
When any one of the sub-month selection areas (M0 to M12) is selected in the selection area display step (S11),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moon age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sub-month selection area (M0 to M12) is displayed. Child care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displayed on the screen of 20).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선택영역표시단계(S11)는,
사용자의 스마트단말기(20)의 화면에 필요용품선택영역(A4)를 추가로 표시하며,
상기 이벤트실행단계(S12)는, 상기 선택영역표시단계(S11)에서 상기 필요용품선택영역(A4)이 선택된 경우 시계열로 배치된 월령들 각각에 대응되는 서브월령선택영역(M0~M12)들을 사용자의 스마트단말기(20)의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선택영역표시단계(S11)에서 상기 서브월령선택영역(M0~M12)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된 경우 선택된 서브월령선택영역(M0~M12)에 대응되는 월령에 대응되는 용품정보를 사용자의 스마트단말기(20)의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아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selection area display step (S11),
Further display the necessary goods selection area (A4) on the screen of the user's smart terminal 20,
In the event execution step S12, when the necessary goods selection area A4 is selected in the selection area display step S11, the user selects the sub-month-age selection areas M0 to M12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moon periods arranged in time serie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smart terminal 20,
When any one of the sub-month selection areas M0 to M12 is selected in the selection area display step S11, the user's smart terminal displays produc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moon age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sub-month selection area M0 to M12. Child care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displayed on the screen (2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발달정보는,
키, 체중 및 머리둘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발달정보와;
유아의 반사행동, 기기, 뒤집기 및 서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운동발달정보와;
얼굴인식 및 음성인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인지발달정보와;
식단의 종류, 수유량, 및 수유횟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식생활발달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아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development information,
Developmental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height, weight, and head circumference;
Exercise development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reflexive behavior, device, flip and standing of the infant;
Cognitive development information comprising at least one of facial recognition and voice recognition;
Child care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method comprising dietary development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type of diet, lactation, and the number of feedings.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무선에 의하여 육아에 필요한 육아측정정보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IoT기기(11~18)들 및 사용자에 의한 입력수단 중 적어도 하나의 방법에 의하여 유아의 연월령 기준으로 상기 육아관련정보에 대응되는 개별정보를 입력하는 정보입력단계(S20)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상기 정보입력단계(S20)에서 입력된 개별정보를 대응되는 육아관련정보와 함께 사용자의 스마트단말기(20)에 직접 또는 가공하여 제공하는 입력정보표시단계(S30)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아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Individua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arenting related information on the basis of the age and age of the infant by at least one of the one or more IoT devices (11 to 18) for providing the child care measurement information necessary for child care by wireless and the input means by the user An information input step (S20) for inputting;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further includes an input information display step (S30) for providing the individual information input in the information input step (S20) directly or processed to the user's smart terminal 20 with the corresponding child care related information. Child care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입력정보표시단계(S30)는,
상기 발달정보들 중 적어도 하나의 시계열적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 및 상기 발달정보들에 대응되는 표준수치 대비 입력된 개별정보의 상대지수를 보여주는 그래프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아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The input information display step (S30),
Providing at least one of a graph showing a time-series change of at least one of the development information, and a graph showing a relative index of the individual information input relative to the standard value corresponding to the development information Way.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단말기(20)는, 상기 하나 이상의 IoT기기(11~18)들로부터 무선에 의하여 육아측정정보를 수신하고 가공하는 프로그램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아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The smart terminal 20, child care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a program for receiving and processing the child care measurement information by wireless from the one or more IoT devices (11-18) is installed.
청구항 5에 따른 육아관리 서비스 제공방법의 수행을 위한 아이오티 및 스마트단말기를 이용한 육아관리 서비스 시스템으로서,
무선에 의하여 육아에 필요한 개별정보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IoT기기(11~18)들과;
상기 하나 이상의 IoT기기(11~18)들로부터 무선에 의하여 육아측정정보를 수신하고 가공하여 디스플레이(21)에 표시하는 스마트단말기(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오티 및 스마트단말기를 이용한 육아관리 서비스 시스템.
As a child care management service system using an IoT and smart terminal for performing the method of providing a child care management service according to claim 5,
One or more IoT devices 11-18 that provide individual information necessary for childcare by wireless;
Childcare using the IoT and smart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mart terminal 20 for receiving and processing the child care measurement information by wireless from the one or more IoT devices (11-18) to display on the display 21 Management service system.
KR1020190029909A 2018-03-30 2019-03-15 Child care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smart device, and child care service providing system using IoT KR20190114770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7415 2018-03-30
KR20180037415 2018-03-30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9996A Division KR102041507B1 (en) 2018-03-30 2019-03-15 Child care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smart device, and child care service providing system using Io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4770A true KR20190114770A (en) 2019-10-10

Family

ID=6820623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9996A KR102041507B1 (en) 2018-03-30 2019-03-15 Child care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smart device, and child care service providing system using IoT
KR1020190029909A KR20190114770A (en) 2018-03-30 2019-03-15 Child care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smart device, and child care service providing system using IoT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9996A KR102041507B1 (en) 2018-03-30 2019-03-15 Child care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smart device, and child care service providing system using Io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04150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60199A1 (en) 2018-09-18 2020-03-26 주식회사 엘지화학 Method for preparing iron sulfide, cathode comprising iron sulfide prepared thereby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same
KR20230101326A (en) 2021-12-29 2023-07-06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arenting system for deaf
KR102444145B1 (en) * 2022-01-17 2022-09-16 주식회사 프릭스헬스케어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of remote medical service using infant health information
KR102564583B1 (en) * 2022-06-17 2023-08-04 한국성서대학교 산학협력단 Providing Method of Health Information Services for Vietnamese Pregnant Women Living in Korea and Storage Medium Recording Program for Execut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6112A (en) * 2000-08-09 2002-02-20 Doe:Kk System and method for assisting child care, and recording medium
KR102285325B1 (en) * 2013-11-12 2021-08-03 (주)레몬옐로우 Child care method using prints and app
KR20170107151A (en) * 2016-03-15 2017-09-25 (주)레몬옐로우 Child care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method using IoT and smart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4771A (en) 2019-10-10
KR102041507B1 (en) 2019-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1507B1 (en) Child care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smart device, and child care service providing system using IoT
US20230114515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bile Platform Designed for Digital Health Management and Support for Remote Patient Monitoring
US11024070B2 (en) Device and method of managing user information based on image
US8747312B2 (en) Biometric monitoring device having a body weight sensor, and methods of operating same
JP4690082B2 (en) Health maintenance support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user system used therefor, operation method, and operation program
US20140099614A1 (en) Method for delivering behavior change directives to a user
US20140363797A1 (en) Method for providing wellness-related directives to a user
US20150238150A1 (en) Smartwatch with a multi-purpose sensor for remote monitoring of a patent
CN113243658B (en) Oral Care Monitoring and Habit Development System
KR102609999B1 (en) Evaluation methods and evaluation devices for prescribed devices or services
CN103927391A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KR101801384B1 (en) An information managing and pattern analyzing system for child care
KR20170107151A (en) Child care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method using IoT and smart device
CN106131338B (en) Mobile phone control method and device and terminal
KR20150000538A (en) A system for health management using network and a method thereby
US20190087885A1 (en) Diaper ordering system and method
WO2018127043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for data collection, and related charging station and system
KR102288208B1 (en) Real-review communication system using technique of custom filtering and review data based on commodity experience of time
JP2014182777A (en) Information processor and method therefor, and program
KR20190109655A (en) Postpartum Care Welfare Notification System using IoT and AI smart devices
WO2005110209A1 (en) Remote control with alert function
KR102395631B1 (en) Personal dietarian management system using smart trays
KR102267507B1 (en) A smart food tagging system and A method of providing health management information using the same
WO2019190269A1 (en) Childcare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childcare management service system using iot and smart terminal
US11568443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