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1326A - Parenting system for deaf - Google Patents

Parenting system for dea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1326A
KR20230101326A KR1020210191334A KR20210191334A KR20230101326A KR 20230101326 A KR20230101326 A KR 20230101326A KR 1020210191334 A KR1020210191334 A KR 1020210191334A KR 20210191334 A KR20210191334 A KR 20210191334A KR 20230101326 A KR20230101326 A KR 202301013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ant
crying
user
parenting
auxiliar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9133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장종칠
이준영
김태호
이혜진
홍유준
안현주
박동한
Original Assignee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1913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01326A/en
Publication of KR202301013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132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09B21/009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deaf pers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02Specific input/output arrangements not covered by G06F3/01 - G06F3/16
    • G06F3/005Input arrangements through a video camer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ultimedia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청각 장애인들의 육아 활동에 특화된 육아 보조 시스템인 청각 장애인을 위한 육아 도우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유아의 울음 소리를 인식한 후 울음 신호를 생성하는 울음 인식부를 포함하는 유아측 보조기기 및 사용자의 인체에 착용되며, 상기 울음 신호가 발생하는 경우 시각 및 촉각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식에 따라 표출되는 울음 경보를 생성하는 사용자측 보조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ild care assistant system for the hearing impaired, which is a child care assistance system specialized in parenting activities of the hearing impaired, an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fant side assistive device including a cry recognition unit that generates a crying signal after recognizing the infant's crying sound. and a user-side auxiliary device that is worn on the user's body and generates a crying alert expressed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visual and tactile senses when the crying signal is generated.

Description

청각 장애인을 위한 육아 도우미 시스템{Parenting system for deaf}Parenting helper system for hearing impaired {Parenting system for deaf}

본 발명은 청각 장애인을 위한 육아 도우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아의 보호자 등이 청각 장애를 갖고 있더라도, 이러한 보호자들의 육아 활동을 보조할 수 있는 청각 장애인을 위한 육아 도우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ild care assistant system for the hearing impaired, and more particularly, to a child care assistant system for the hearing impaired, which can assist childcare activities of guardians of infants and the like even if they have a hearing impairment.

영유아들에게는 부모의 돌봄과 관심을 통한 정서 함양이 절대적으로 중요하며, 특히 영유아들은 위험에 대한 인식력이 낮고 신체적으로도 취약하여 각종 위험 상황 발생시 보호자들은 즉각적인 대처를 수행해야만 한다. Emotional cultivation through parental care and attention is absolutely important for infants and toddlers. In particular, infants and young children have low awareness of danger and are physically vulnerable, so when various dangerous situations occur, guardians must perform immediate action.

그러나, 최근 핵가족화가 가속화되고 맞벌이 부부 등이 증가하는 등, 충분한 육아 활동을 위한 사회적/경제적 여건 조성이 어려운 실정이어서, 이에 대한 별도의 육아 보조안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However, it is difficult to create social/economic conditions for sufficient child-rearing activities, such as the recent acceleration of nuclear families and the increase in double-income couples.

이와 같은 육아 활동을 보조하기 위한 일 예로, 선행하는 대한민국 공개 특허 제 10-2019-0114771 호에는 육아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및 아이오티 및 스마트단말기를 이용한 육아관리 서비스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As an example for assisting such parenting activities, prior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9-0114771 discloses a method for providing child care services and a child care service system using IoT and smart terminals.

상기 선행문헌에 따르면, 유아에 관한 각종 정보들이 취합 및 체계화될 수 있고, 이에 맞춤화된 각종 육아 관련 정보들이 부모 등 보호자들에게 제공될 수 있게 되어, 이를 통해 유아 보호자들에게는 육아 관련 각종 참고 지표가 용이하게 제공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ior literature, various information about infants can be collected and systematized, and various child-rearing-related information customized to this can be provided to guardians such as parents. can be easily provided.

이때, 유아들의 경우 정신적/신체적으로 미성숙하여 각종 위험 상황이나 정서적 불안 상태에 놓이면 이에 이성적/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어렵고 주로 울음만을 터트릴 뿐이나, 해당 보호자가 청각 장애인일 경우 이러한 울음 소리를 사실상 듣지 못하게 되어, 이로 인해 육아 활동에 심각한 위기가 발생할 위험이 높아지게 된다.At this time, in the case of infants, mentally/physically immature and placed in various dangerous situations or emotional anxiety, it is difficult to cope with them rationally/actively and mainly only bursts into crying. , this increases the risk of serious crises in parenting activities.

그러나, 상기 선행문헌에는 상술한 청각 장애인들을 위한 육아 관련 보조 수단들이 전혀 개시되어 있지 않아, 이를 위한 별도의 대책이 필요한 실정이다. However, the prior literature does not disclose any of the above-mentioned parenting-related assistive means for the hearing-impaired, and thus, a separate countermeasure is required.

대한민국 공개 특허 제 10-2019-0114771 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9-0114771

상술한 과제 해결의 일환으로, 본 발명은 청각 장애인들의 육아 활동에 특화된 육아 보조 시스템인 청각 장애인을 위한 육아 도우미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As part of solving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hild care assistant system for the hearing impaired, which is a child care assistance system specialized in childcare activities of the hearing impaired.

본 발명에 의한 청각 장애인을 위한 육아 도우미 시스템은, 유아의 울음 소리를 인식한 후 울음 신호를 생성하는 울음 인식부를 포함하는 유아측 보조기기 및 사용자의 인체에 착용되며, 상기 울음 신호가 발생하는 경우 시각 및 촉각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식에 따라 표출되는 울음 경보를 생성하는 사용자측 보조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arenting helper system for the hearing-impai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worn on the user's body and an infant side auxiliary device including a crying recognition unit that generates a crying signal after recognizing the crying sound of the infant, and when the crying signal is generat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user-side auxiliary device that generates a crying alert expressed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visual and tactile methods.

또한, 상기 유아측 보조기기는, 유아의 울음 소리가 인식되는 경우, 유아의 심리를 진정시킬 수 있도록 청각 및 시각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식에 따라 표출되는 돌봄 컨텐츠를 생성하는 육아 보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infant-side auxiliary device includes a child-rearing auxiliary unit that generates caring contents expressed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auditory and visual methods so as to calm the infant's mind when the infant's crying sound is recognized. to be characterized

또한, 상기 유아측 보조기기는, 유아의 위치를 추적 및 촬영하며, 소정 시간 이상 유아의 위치가 확인되지 않는 경우 미확인 신호를 생성하는 위치 확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infant-side auxiliary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positioning unit that tracks and photographs the position of the infant and generates an unconfirmed signal when the position of the infant is not confirm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or longer.

또한, 상기 유아측 보조기기는, 상기 위치 확인부의 촬영 영상을 사용자 단말로 실시간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hild-side auxiliary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transmits the captured image of the positioning unit to the user terminal in real time.

본 발명에 의한 청각 장애인을 위한 육아 도우미 시스템에 따르면, 유아의 울음 소리가 발생하는 경우 유아측 보조기기가 이를 즉각적으로 인식하여 사용자가 휴대한 사용자측 보조기기에 시각/촉각 등과 같은 비 청각적 방식으로 알림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청각 장애인들 또한 용이하면서도 즉각적으로 육아 위기 상황에 대처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arenting helper system for the hearing-impai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n infant's crying is generated, the infant's assistive device immediately recognizes it, and the user-side assistive device carried by the user uses a non-auditory method such as visual/tactile sense. Notification can be made, and through this, hearing impaired people can also easily and immediately cope with childcare crisis situations.

또한, 유아의 울음 소리가 발생하는 경우, 해당 유아의 심리적 진정을 위한 시/청각 기반의 돌봄 컨텐츠가 자동적으로 제공될 수 있는 등 육아 관련 각종 유용한 보조 활동들이 제공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various useful auxiliary activities related to childcare such as visual/auditory-based care contents for psychological calming of the infant may be automatically provided when the crying sound of the infant occurs.

또한, 유아에 대한 실시간 위치 추적 및 촬영이 수행될 수 있고, 유아의 위치가 확인되지 않는 경우 별도의 알람이 생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육아 관련 사각 지대가 최소화되는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In addition, real-time location tracking and photographing of the infant may be performed, and a separate alarm may be generated when the position of the infant is not confirmed, thereby minimizing childcare-related blind spots.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청각 장애인을 위한 육아 도우미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유아측 보조기기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사용자측 보조기기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유아측 보조기기와 사용자측 보조기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육아 보조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도 1에 도시된 위치 확인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parenting helper system for the hearing impai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infant-side auxiliary device shown in FIG. 1 .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user-side auxiliary device shown in FIG. 1 .
4A and 4B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the child-side auxiliary device and the user-side auxiliary device shown in FIGS. 2 and 3 .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child care assistant shown in FIG. 1 .
6A and 6B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positioning unit shown in FIG. 1 .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 예 및 도면에 포함되어 있고, 명세서 전체에 걸쳐 기재된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Prior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details for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and drawings,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describ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denote the same components.

또한, 본 명세서에서의 단수형 표현들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이상 복수형도 포함한다 할 것이다.In addition, singular expressions in this specification will also includ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in the phrase.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청각 장애인을 위한 육아 도우미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parenting helper system for the hearing impai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청각 장애인을 위한 육아 도우미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parenting helper system for the hearing impai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청각 장애인을 위한 육아 도우미 시스템(1000)은 유아측 보조기기(100) 및 사용자측 보조기기(20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 the parenting helper system 1000 for the hearing-impai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infant-side auxiliary device 100 and a user-side auxiliary device 200.

그리고,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유아측 보조기기(100) 및 상기 사용자측 보조기기(200)와, 사용자 소유의 사용자 단말(10) 등은 네트워크 망(1)을 통해 상호 통신할 수 있다.And, referring to FIG. 1 , the child-side auxiliary device 100 and the user-side auxiliary device 200 and the user terminal 10 owned by the user may mutually communicate through the network 1 .

이때, 상기 네트워크 망(1)은 유선 인터넷 전산망, 롱텀 에볼루션, 와이파이, 블루투스, 사물인터넷 수단, 인공 위성, 그 외 언급되지 않은 각종 유/무선 통신 수단들을 총괄하는 수단으로 이해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network 1 may be understood as a means for integrating a wired Internet computer network, long-term evolution, Wi-Fi, Bluetooth, IoT means, artificial satellites, and various other wired/wireless communication means not mentioned.

그리고, 상기 사용자 단말(10)은 상기 청각 장애인을 위한 육아 도우미 시스템(1000)이 적용될 수 있는 별도의 수단 중 하나로서, 도 1에는 상기 사용자 단말(10)이 스마트 기기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랩탑, 데스크탑, PDA, 그 외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수단들이 상기 사용자 단말(10)의 세부 선택 사항에 해당될 수 있다. The user terminal 10 is one of separate means to which the parenting helper system 1000 for the hearing impaired can be applied. Although the user terminal 10 is shown as a smart device in FIG. 1, it is a laptop computer. , desktop, PDA, and other various means not mentioned may correspond to the detailed selection of the user terminal 10.

이어서,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유아측 보조기기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사용자측 보조기기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Subsequently,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auxiliary device for a child shown in FIG. 1 , and FIG. 3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n auxiliary device for a user shown in FIG. 1 .

그리고, 도 4a 및 도 4b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유아측 보조기기와 사용자측 보조기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And, FIGS. 4A and 4B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the child-side auxiliary device and the user-side auxiliary device shown in FIGS. 2 and 3 .

도 1에 도 2를 더 참조하면, 상기 유아측 보조기기(100)는 유아 장치측 바디부(110)와, 울음 인식부(120)와, 육아 보조부(130)와, 위치 확인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further to FIG. 1 and FIG. 2 , the infant side auxiliary device 100 includes an infant device side body part 110, a cry recognition unit 120, a child rearing assistance unit 130, and a positioning unit 140 can include

더 상세하게는, 상기 유아 장치측 바디부(110)는 소정의 크기를 지닌 일종의 패널 프레임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infant device side body part 110 may include a kind of panel frame structure having a predetermined size.

또한, 도 4a를 더 참조하면, 상기 유아 장치측 바디부(110)는 유아의 각종 현황을 모니터링하고 육아 보조에 용이하도록 유아의 활동 장소 주변에 마련될 수 있다. Further, referring to FIG. 4A , the infant device-side body part 110 may be provided around an activity site of the infant to monitor various conditions of the infant and facilitate childcare assistance.

그리고, 상기 울음 인식부(120)는 상기 유아 장치측 바디부(110)에 설치될 수 있고, 소리 인식을 위한 각종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유아의 울음 소리(v)를 인식하여 울음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rying recognition unit 120 may be installed on the body part 110 on the side of the infant device, may include various sensors for sound recognition, recognize the infant's crying sound (v) and generate a crying signal. can create

이때, 다른 소음과 상기 울음 소리(v)를 구분하기 위하여, 딥러닝, 기계 학습, 그 외 다양한 수단들이 활용될 수 있다.At this time, deep learning, machine learning, and other various means may be used to distinguish the crying sound (v) from other noises.

그리고, 도 3을 더 참조하면, 상기 사용자측 보조기기(200)는 사용자 장치측 바디부(210)와, 사용자 장치측 바디부(210)와, 사용자 알람부(220)와, 현황 알림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Further, referring to FIG. 3 , the user-side auxiliary device 200 includes a user device-side body part 210, a user device-side body part 210, a user alarm unit 220, and a current status notification unit 230. ) may be included.

더 상세하게는, 상기 사용자 장치측 바디부(210)는 사용자에 의해 휴대될 수 있으며, 이때의 사용자란 유아의 보호자를 의미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사용자는 청각 장애인일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user device-side body part 210 may be carried by a user, and in this case, the user may mean a guardian of an infant, and the user may also be a hearing impaired person.

또한, 상기 사용자 장치측 바디부(210)는 휴대성 증진 및 분실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 웨어러블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일 예로 상기 사용자 장치측 바디부(210)가 일종의 손목 시계 구조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상술한 웨어러블 목적을 위해 상기 사용자 장치측 바디부(210)는 다양한 다른 구조로도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user device side body portion 210 may be formed in a wearable structure to enhance portability and minimize the risk of loss, and as an example of this, the user device side body portion 210 is a kind of wrist watch structure Although shown, the user device-side body 210 may be formed in various other structures for the wearable purpose described above.

그리고, 상기 사용자 알람부(220)는 LED 등과 같은 각종 발광 수단 및 진동 수단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 장치측 바디부(210)에 설치될 수 있다.Also, the user alarm unit 220 may include various light emitting units such as LEDs and vibration units, and may be installed in the body unit 210 of the user device.

그리고, 상기 현황 알림부(230)는 일종의 디스플레이 패널 구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 장치측 바디부(210)에 설치될 수 있다.And, the current status notification unit 230 may include a kind of display panel structure and may be installed on the user device-side body unit 210 .

또한, 상기 사용자 알람부(220) 및 상기 현황 알림부(230)는 유아에게 발생한 각종 상황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이에 관한 각종 알람을 생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alarm unit 220 and the current status notification unit 230 may receive information on various situations occurring to infants and generate various alarms related thereto.

이에 관한 일 예로, 먼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아의 울음에 대응하여 상기 울음 신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알람부(220)와 상기 현황 알림부(230)는 상기 울음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As an example of this, first, as shown in FIG. 4A, when the crying signal is generated in response to the crying of an infant, the user alarm unit 220 and the current status notification unit 230 may receive the crying signal. there is.

다음으로, 도 4a에서 도 4b로 도시된 순과 같이, 사용자에게 육아 관련 경각심을 일깨울 수 있도록 상기 사용자 알람부(220) 및 상기 현황 알림부(230)는 울음 경보(va)를 생성할 수 있다. Next, as shown in FIGS. 4A to 4B , the user alarm unit 220 and the current status notification unit 230 may generate a crying alarm va so as to alert the user to a child-related alert. .

더 상세하게는, 상기 울음 경보(va)는 상기 사용자 알람부(220)의 발광 작용이나 현황 알림부(230)의 관련 현황 디스플레이와 같은 시각적 방식에 해당될 수 있고, 아울러 사용자 알람부(220)의 진동 작용에 의한 촉각적 방식에 해당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crying alert (va) may correspond to a visual method such as a light emitting action of the user alarm unit 220 or a related status display of the status notification unit 230, and also the user alarm unit 220 It may correspond to the tactile method by the vibration action of.

즉, 사용자측 보조기기(200)는 청각 장애인인 사용자를 위하여, 청각 외의 다른 감각에 관한 방식으로 육아 관련 각종 알람 및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the user-side auxiliary device 200 can generate various alarms and data related to childcare in a manner related to senses other than hearing for a hearing-impaired user.

덧붙여, 상기 울음 인식부(120)는 기계 학습 등에 의해 화재 경보 등과 같은 다양한 소리를 인식할 수 있고, 이와 같은 경보 발생 사항은 전술한 울음 경보(va)에 대응되는 방식을 통해 사용자에게 알림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ry recognition unit 120 may recognize various sounds such as a fire alarm by machine learning and the like, and such alarm occurrences may be notified to the user through a method corresponding to the aforementioned cry alarm va. there is.

이어서,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육아 보조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Subsequently,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the child care assistant shown in FIG. 1 .

도 5를 더 참조하면, 상기 육아 보조부(130)는 상기 유아 장치측 바디부(110)에 설치될 수 있는 일종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further to FIG. 5 , the parenting assistance unit 130 may include a kind of display panel that may be installed on the infant device-side body unit 110 .

또한, 도 4a 및 도 5로 도시된 순과 같이, 상기 울음 소리(v)가 인식되는 경우, 상기 육아 보조부(130)는 유아의 심리 정서를 진정시키기 위한 돌봄 컨텐츠(cc)를 표출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4A and 5 , when the crying sound (v) is recognized, the parenting assistance unit 130 may display care content (cc) for calming the child's psychological emotion. .

이때, 상기 돌봄 컨텐츠(cc)는 각종 시청각 데이터에 해당될 수 있으며, 시각 컨텐츠의 경우 정지 화상이나 이동 화상일 수 있다. At this time, the caring content (cc) may correspond to various types of audio-visual data, and in the case of visual content, it may be a still image or a moving image.

또한, 해당 유아의 취향에 대응하여, 사용자는 다양한 돌봄 컨텐츠(cc)를 상기 육아 보조부(130)에 저장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corresponding to the child's taste, the user can store various care contents (cc) in the parenting assistant 130 .

이어서, 도 6a 및 도 6b는 도 1에 도시된 위치 확인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Subsequently, FIGS. 6A and 6B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positioning unit shown in FIG. 1 .

도 6a 및 도 6b를 더 참조하면, 상기 위치 확인부(140)는 상기 유아 장치측 바디부(110)에 설치될 수 있는 일종의 촬영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further to FIGS. 6A and 6B , the positioning unit 140 may include a kind of photographing means that may be installed on the body part 110 on the side of the infant device.

또한, 도 6a 및 도 6b의 순 또는 그 역순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아의 이동에 대응하여 상기 위치 확인부(140)는 해당 유아의 위치를 추적 및 촬영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the order of FIGS. 6A and 6B or vice versa, the positioning unit 140 may track and photograph the position of the infant in response to the movement of the infant.

이때, 촬영 수단의 틸팅/스위빙 등과 같은 회전 작용이 수행됨으로써 상술한 유아 추적 및 촬영 작용이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위치 확인부(140)는 기계 학습 등 다양한 수단을 통해 육아의 외형을 인식 및 추적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above-described infant tracking and photographing actions may be implemented by performing a rotation action such as tilting / swiveling of the photographing means, and the location confirmation unit 140 recognizes the appearance of the child through various means such as machine learning and can be traced

또한, 상술한 유아 촬영 현황은 이동 화상의 포맷으로 사용자 기기에 실시간 송신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의 육아 활동이 더욱 면밀하게 수행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infant photographing status may be transmitted to the user device in real time in the format of a moving image, and through this, the user's parenting activities may be performed more closely.

또한, 상술한 유아 위치 추적 작용에도 불구하고 기설정된 시간 이상 해당 유아의 위치가 확인되지 않는 경우, 상기 위치 확인부(140)는 미확인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In addition, if the position of the infant is not confirm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or longer despite the above-described infant location tracking action, the location confirmation unit 140 may generate an unconfirmed signal.

이때, 전술한 사용자 알람부(220)와 현황 알림부(230)는 상기 미확인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전술한 울음 경보에 대응되는 방식으로 각종 알람을 생성함으로써 사용자에게 경각심을 상기시킬 수 있다. At this time, the above-described user alarm unit 220 and the current status notification unit 230 may remind the user of alertness by generating various alarms in a manner corresponding to the above-described crying alarm when the unconfirmed signal is receive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청각 장애인을 위한 육아 도우미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주요한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으며, 도면을 참고하여 상술한 실시 예는 단지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특허 청구범위 뿐만이 아닌, 다양하게 존재할 수 있는 균등한 실시 예에도 미친다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main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arenting helper system for the hearing impaired, and 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s only one embodiment,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atent It will extend not only to the claims, but also to equivalent embodiments that may exist in various ways.

1000 : 본 발명에 의한 청각 장애인을 위한 육아 도우미 시스템
100 : 유아측 보조기기
110 : 유아 장치측 바디부
120 : 울음 인식부
130 : 육아 보조부
140 : 위치 확인부
200 : 사용자측 보조기기
210 : 사용자 장치측 바디부
220 : 사용자 알람부
230 : 현황 알림부
1000: Parenting helper system for the hearing impai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0: infant side auxiliary device
110: infant device side body part
120: cry recognition unit
130: Parenting Assistant
140: location confirmation unit
200: user side auxiliary device
210: user device side body
220: user alarm unit
230: status notification unit

Claims (4)

유아의 울음 소리를 인식한 후 울음 신호를 생성하는 울음 인식부를 포함하는 유아측 보조기기; 및
사용자의 인체에 착용되며, 상기 울음 신호가 발생하는 경우 시각 및 촉각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식에 따라 표출되는 울음 경보를 생성하는 사용자측 보조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 장애인을 위한 육아 도우미 시스템.
An infant-side auxiliary device including a crying recognition unit that generates a crying signal after recognizing the crying sound of the infant; and
It is worn on the user's body and includes a user-side auxiliary device that generates a crying alert expressed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visual and tactile senses when the crying signal is generated. A parenting helper system for the hearing impair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아측 보조기기는,
유아의 울음 소리가 인식되는 경우, 유아의 심리를 진정시킬 수 있도록 청각 및 시각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식에 따라 표출되는 돌봄 컨텐츠를 생성하는 육아 보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 장애인을 위한 육아 도우미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infant side auxiliary device,
A parenting helper for the hearing-impaired,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child-rearing assistant for generating care content expressed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hearing and visual methods to calm the infant's mind when the crying sound of the infant is recognized. syste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아측 보조기기는,
유아의 위치를 추적 및 촬영하며, 소정 시간 이상 유아의 위치가 확인되지 않는 경우 미확인 신호를 생성하는 위치 확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 장애인을 위한 육아 도우미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infant side auxiliary device,
A parenting helper system for the hearing-impaired, comprising a positioning unit that tracks and photographs the position of the infant and generates an unidentified signal when the position of the infant is not confirm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or longer.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유아측 보조기기는,
상기 위치 확인부의 촬영 영상을 사용자 단말로 실시간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아 도우미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3,
The infant side auxiliary device,
Parenting helper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transmitting the captured image of the positioning unit to the user terminal in real time.
KR1020210191334A 2021-12-29 2021-12-29 Parenting system for deaf KR2023010132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1334A KR20230101326A (en) 2021-12-29 2021-12-29 Parenting system for dea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1334A KR20230101326A (en) 2021-12-29 2021-12-29 Parenting system for dea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1326A true KR20230101326A (en) 2023-07-06

Family

ID=87185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1334A KR20230101326A (en) 2021-12-29 2021-12-29 Parenting system for dea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01326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4771A (en) 2018-03-30 2019-10-10 (주)레몬옐로우 Child care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smart device, and child care service providing system using Io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4771A (en) 2018-03-30 2019-10-10 (주)레몬옐로우 Child care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smart device, and child care service providing system using Io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63999B2 (en) Voice controlled assistance for monitoring adverse events of a user and/or coordinating emergency actions such as caregiver communication
KR100838099B1 (en) Automatic system for monitoring independent person requiring occasional assistance
US9443415B2 (en) Disseminating information to facilitate user safety
Greene et al. IoT-based fall detection for smart home environments
US11308744B1 (en) Wrist-wearable tracking and monitoring device
CN108476260A (en) The method and system of Situation Awareness for emergency response
JP6093124B2 (en) Supervisory system
KR20030001504A (en) Automatic system for monitoring person requiring care and his/her caretaker
US20040155781A1 (en) Interactive personal security system
US20180353069A1 (en) Distributed slave beacon network requiring no mobile telephone or compute applications
Senthamilarasi et al. Child safety monitoring system based on IoT
KR20020017907A (en) Surveillance system
Murphy et al. Interacting with trapped victims using robots
KR20230101326A (en) Parenting system for deaf
US10847007B1 (en) Interactive monitoring system
US11775780B2 (en) Personal monitoring apparatus and methods
TW202347096A (en) Smart glass interface for impaired users or users with disabilities
US11361647B2 (en) System and method of wirelessly tracking a walking assistance tool
TWI656502B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portable safety care
Kashyap et al. Review on child safety wearable devices
Kumar et al. Smart Monitoring System for Physically Handicapped Infants using IoT
KR101997225B1 (en) Care system for the old and the infirm people
JP4399379B2 (en) Device comprising portable behavior detection device and behavior analysis device
KR20210047449A (en) Smart infant monitoring system, server and method
Halvorsen et al. Fusion of Body Sensors’ Data and Video Images in Assistive Techn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