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4566A - 모바일 장치 사용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모바일 장치 - Google Patents

모바일 장치 사용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모바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4566A
KR20190114566A KR1020180037476A KR20180037476A KR20190114566A KR 20190114566 A KR20190114566 A KR 20190114566A KR 1020180037476 A KR1020180037476 A KR 1020180037476A KR 20180037476 A KR20180037476 A KR 20180037476A KR 20190114566 A KR20190114566 A KR 201901145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time
screen
executable
mobil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74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70732B1 (ko
Inventor
이경아
최영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더플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더플랜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더플랜지
Priority to KR10201800374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0732B1/ko
Publication of KR201901145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45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07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07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6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to restrict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 H04M1/724631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to restrict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by limiting the access to the user interface, e.g. locking a touch-screen or a keypad
    • H04M1/724634With partially locked states, e.g. when some telephonic functional locked states or applications remain accessible in the locked states
    • H04M1/72577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45Controlling the progress of the video game
    • A63F13/46Computing the game scor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60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 A63F13/69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by enabling or updating specific game elements, e.g. unlocking hidden features, items, levels or ver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 사용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모바일 장치가 제공된다. 모바일 장치 사용 관리 방법은, 사용자에 의해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제외한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제한하기 위한 런쳐(launcher)를 실행하는 단계; 기 설정된 제1 시간 동안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가능하도록 유지하는 단계; 상기 제1 시간이 만료되면, 시간 연장을 위한 콘텐트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공된 콘텐트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가능하도록 유지하는 시간을 기 설정된 제2 시간으로 연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시간 동안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가능하도록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모바일 장치 사용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모바일 장치{METHOD FOR MANAGING MOBILE DEVICE USE AND MOBILE DE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모바일 장치 사용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모바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마트폰, 태블릿 PC, 웨어러블 장치 등과 같은 모바일 장치는 다양한 사용자들에게 공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모가 사용하는 모바일 장치를 그들의 자녀들이 함께 사용할 수 있다. 최근에는 모바일 장치에 설치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 등을 통해 각종 멀티미디어 서비스나 동영상, 게임, 실시간 방송 서비스 등의 콘텐트가 제공되어, 부모의 모바일 장치를 공유하는 자녀들이 이를 쉽게 접할 수 있다.
이러한 모바일 장치의 공유는 자제력이 부족한 자녀들이 각종 콘텐트에 쉽게 현혹되어 수업 시간 또는 식사 시간뿐만 아니라 밤늦게까지 모바일 장치를 사용하게 되는 중독을 가져왔고, 이는 사회적 많은 문제를 발생시키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모바일 장치의 사용을 제한하거나 모바일 장치에 설치된 일부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의 사용을 제한하기 위한 서비스가 개발되어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모바일 장치가 일상 생활의 필수품화되어 모바일 장치의 사용 또는 일부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사용을 무조건적으로 제한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모바일 장치 사용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모바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부모가 선택한 어플리케이션을 특정 시간 동안 사용 가능하도록 유지하고, 특정 시간이 만료되면 시간 연장을 위한 콘텐트를 제공하여 콘텐트를 통해 시간을 연장하거나 사용을 제한하도록 함으로써, 자녀의 모바일 장치의 사용 및 일부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사용을 관리할 수 있는 방법 및 이를 위한 모바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 사용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모바일 장치 사용 관리 방법은, 사용자에 의해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제외한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제한하기 위한 런쳐(launcher)를 실행하는 단계; 기 설정된 제1 시간 동안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가능하도록 유지하는 단계; 상기 제1 시간이 만료되면, 시간 연장을 위한 콘텐트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공된 콘텐트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가능하도록 유지하는 시간을 기 설정된 제2 시간으로 연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시간 동안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가능하도록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 사용 관리 방법에서 상기 시간 연장을 위한 콘텐트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시간 연장을 위한 게임 콘텐트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가능하도록 유지하는 시간을 상기 제2 시간으로 연장하는 단계는, 상기 제공된 게임 콘텐트에 관련하여 미리 설정된 제1 기준 정보에 기초하여 또는 랜덤하게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가능하도록 유지하는 시간을 상기 제2 시간으로 연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 사용 관리 방법에서 상기 미리 설정된 제1 기준 정보는, 획득된 게임 점수 및 게임 아이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 사용 관리 방법에서 상기 제1 시간 동안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가능하도록 유지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시간 동안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가능하도록 설정된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화면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관련된 카테고리별 폴더 아이콘, 남은 시간을 나타내는 타이머 위젯 및 채팅 기능에 관련된 채팅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 사용 관리 방법은, 상기 채팅 아이콘이 선택되면 상기 채팅 아이콘에 관련된 채팅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채팅 화면을 통해서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중 미리 설정된 제2 기준 정보에 기초하여 실행 제안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제안하기 위한 그래픽 객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 사용 관리 방법에서 미리 설정된 제2 기준 정보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 횟수,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한 시간, 시간 연장 이전에 사용한 어플리케이션 및 사용자 입력에 관련된 키워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 사용 관리 방법은, 상기 런쳐를 실행하는 단계 이후에 실행 가능하도록 유지하기 위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가능하도록 유지하기 위한 시간 및 횟수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 사용 관리 방법은, 상기 제1 시간이 만료되면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실행을 종료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실행을 제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가 제공된다. 모바일 장치는, 통신 인터페이스; 메모리; 디스플레이; 및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 상기 메모리 및 상기 디스플레이와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에 의해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제외한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제한하기 위한 런쳐(launcher)를 실행하고, 기 설정된 제1 시간 동안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가능하도록 유지하고, 상기 제1 시간이 만료되면, 시간 연장을 위한 콘텐트를 제공하고, 상기 제공된 콘텐트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가능하도록 유지하는 시간을 기 설정된 제2 시간으로 연장하고, 상기 제2 시간 동안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가능하도록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시간 연장을 위한 게임 콘텐트를 제공하고, 상기 제공된 게임 콘텐트에 관련하여 미리 설정된 제1 기준 정보에 기초하여 또는 랜덤하게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가능하도록 유지하는 시간을 상기 제2 시간으로 연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에서 상기 미리 설정된 제1 기준 정보는, 게임 점수 및 게임 아이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시간 동안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가능하도록 설정된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화면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관련된 카테고리별 폴더 아이콘, 남은 시간을 나타내는 타이머 위젯 및 채팅 기능에 관련된 채팅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채팅 아이콘이 선택되면 상기 채팅 아이콘에 관련된 채팅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채팅 화면을 통해서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중 미리 설정된 제2 기준 정보에 기초하여 실행 제안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제안하기 위한 그래픽 객체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에서 상기 미리 설정된 제2 기준 정보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 횟수,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한 시간, 시간 연장 이전에 사용한 어플리케이션 및 사용자 입력에 관련된 키워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실행 가능하도록 유지하기 위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가능하도록 유지하기 위한 시간 및 횟수를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시간이 만료되면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실행을 종료하고,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실행을 제한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은 부모가 설정한 시간 동안 부모가 선택한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자녀의 무분별한 콘텐트 접근 및 과다한 모바일 장치의 사용 중독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부모가 설정한 시간이 만료되더라도 게임 또는 문제풀이 등의 콘텐트를 제공하여 자녀가 해당 콘텐트를 사용함에 따라 시간을 연장하거나 제한하도록 함으로써, 자녀가 올바르게 모바일 장치를 사용할 수 있도록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에서 모바일 장치 사용을 관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순서도이다.
도 3 내지 도 5, 도 6a, 도 6b, 도 6c, 도 6d, 도 10 내지 도 13, 도 14a, 도 14b, 도 15a, 도 15b, 도 16a, 도 16b 및 도 1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에서 모바일 장치 사용을 관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들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 장치(100)는 통신 인터페이스(102), 메모리(104), 디스플레이(106) 및 프로세서(108)를 포함한다.
통신 인터페이스(102)는 모바일 장치(100)가 외부 장치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한다. 예를 들어, 통신 인터페이스(102)는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제외한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실행(또는 사용)을 제한하기 위한 런쳐(launcher)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와 연결하고,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런쳐를 수신할 수 있다.
메모리(104)는 사용자에 의해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제외한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제한하기 위한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04)는 통신 인터페이스(102)를 통해서 수신된 런쳐를 저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06)는 사용자에게 각종 그래픽 객체(예: 텍스트, 이미지, 비디오, 아이콘, 배너, 심볼 등)를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106)는 통신 인터페이스(102)를 통해서 수신된 런쳐에 대한 실행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106)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전자 펜 또는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를 이용한 터치(touch), 제스처(gesture), 근접, 드래그(drag), 스와이프(swipe) 또는 호버링(hovering) 입력 등을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08)는 통신 인터페이스(102), 메모리(104) 및 디스플레이(106)와 동작 가능하게 연결되며, 사용자에 의해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제외한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제한하기 위한 다양한 명령들을 수행한다. 이하에서는 런쳐를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제어하기 위한 동작들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프로세서(108)는 통신 인터페이스(102)를 통해서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된 런쳐를 실행하고, 실행된 런쳐에 대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런쳐에 대한 화면은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제어하기 위한 제1 화면일 수 있다. 상기 제1 화면은 특정 어플리케이션만을 실행 가능하도록 설정된 화면에 접근할 수 있는 특정 사용자(예: 자녀)를 선택 또는 등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특정 사용자가 실행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는 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화면을 통해서 제1 사용자가 선택되고, 선택된 제1 사용자가 실행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이 선택되고,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가능하도록 유지되는 제1 시간이 설정되면 프로세서(108)는 설정된 제1 시간 동안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가능하도록 유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08)는 제1 사용자가 제1 시간 동안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만을 실행 가능하도록 설정된 제2 화면을 디스플레이(106)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2 화면은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제1 그래픽 객체(예: 아이콘), 남은 시간을 나타내는 제2 그래픽 객체(예: 위젯) 및 채팅 기능에 관련된 제3 그래픽 객체(예: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화면을 통해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중 어느 하나에 에 대응하는 제1 그래픽 객체가 선택되면 프로세서(108)는 선택된 제1 그래픽 객체에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제2 화면을 통해서 제3 그래픽 객체가 선택되면 프로세서(108)는 가상의 대상과의 채팅을 위한 채팅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08)는 표시된 채팅 화면 상에 미리 설정된 대화 내용을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표시하고,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수신된 사용자 입력을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기반하여 미리 저장된 대화 내용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선택된 대화 내용을 채팅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08)는 사용자 입력에 포함된 키워드를 확인하고, 확인된 키워드에 관련된 대화 내용을 선택하거나 확인된 키워드가 포함된 대화 내용을 생성하여 채팅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1 화면은 특정 사용자를 선택 또는 등록하기 위한 제1 설정 화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설정 화면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에 대한 프로필 정보를 입력하거나 프로필 정보가 미리 입력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중 어느 하나의 사용자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제1 설정 화면을 통해서 제1 사용자가 선택되면 프로세서(108)는 제1 설정 화면을 통해서 선택된 제1 사용자를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는 사용자로 설정하고, 제1 사용자가 실행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기 위한 제2 설정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2 설정 화면은 실행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을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제2 설정 화면을 통해서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이 선택되면, 프로세서(108)는 제2 설정 화면을 통해서 선택된 아이콘에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제1 사용자가 실행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으로 설정하고,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가능하도록 유지하는 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제3 설정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3 설정 화면은 시간을 입력 또는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제3 설정 화면을 통해서 제1 시간이 입력 또는 선택되면 프로세서(108)는 입력 또는 선택된 제1 시간을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가능하도록 유지하는 시간으로 설정하고, 제1 사용자가 제1 시간 동안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가능하도록 설정된 제2 화면을 디스플레이(106)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08)는 제1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제한하는 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08)는 제공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시간이 입력되면 입력된 시간 동안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제한할 수 있다.
제1 시간이 만료되면 프로세서(108)는 시간 연장을 위한 콘텐트를 제공하고, 제공된 콘텐트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가능하도록 유지하는 시간을 기 설정된 제2 시간으로 연장하고, 연장된 제2 시간 동안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가능하도록 유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08)는 제1 시간이 만료되면 추가적으로 시간을 연장하기 위한 게임 콘텐트를 제공하고, 제공된 게임 콘텐트에 관련하여 미리 설정된 제1 기준 정보에 따라 또는 랜덤(random)하게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가능하도록 유지하는 시간을 기 설정된 제2 시간으로 연장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08)는 연장된 제2 시간 동안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가능하도록 제2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미리 설정된 제1 기준 정보는 게임 점수 및 게임 아이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임 콘텐트를 통해서 시간 연장을 위한 아이템이 획득되거나 획득된 게임 점수가 기 설정된 임계 점수 이상이면 프로세서(108)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가능하도록 유지하는 시간을 기 설정된 제2 시간으로 연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108)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가능하도록 유지하는 시간을 랜덤하게 제2 시간으로 연장할 수도 있다. 게임 콘텐트를 통해서 시간 연장을 위한 아이템이 획득되지 않거나 획득된 게임 점수가 임계 점수 미만이면 프로세서(108)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실행을 제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시간 연장을 위한 콘텐트는 퀴즈, 퍼즐 또는 수수께끼 등과 같은 놀이 콘텐트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08)는 제1 시간이 만료되면 퀴즈, 퍼즐 또는 수수께끼 등을 제공하고, 퀴즈, 퍼즐 또는 수수께끼 등을 풀거나, 퀴즈, 퍼즐 또는 수수께끼 등의 풀이가 완료된 후 풀이 점수가 기 설정된 점수 이상인 경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가능하도록 유지하는 시간을 기 설정된 제2 시간으로 연장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08)는 제1 시간이 만료되면 제1 시간이 만료됨을 알리기 위한 콘텐트(예: 알림창)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콘텐트는 제1 시간이 만료됨을 알리기 위한 텍스트 및 추가적으로 시간을 연장하기 위한 게임 콘텐트를 제공하기 위한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이콘이 선택되면 프로세서(108)는 시간 연장을 위한 게임을 실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08)는 카테고리별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테고리는 언어, 수학, 과학/자연, 상식, 예술/음악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카테고리별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이 선택되면 프로세서(108)는 카테고리별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제2 화면을 표시할 시 카테고리별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그래픽 객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그래픽 객체는 폴더 아이콘일 수 있다. 특정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그래픽 객체가 선택되면 프로세서(108)는 선택된 그래픽 객체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을 포함하는 폴더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폴더 화면 상의 특정 아이콘이 선택되면 프로세서(108)는 선택된 특정 아이콘에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08)는 제1 사용자가 실행 가능하도록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중 미리 설정된 제2 기준 정보에 기초하여 실행을 제안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결정하고,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제안하기 위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2 기준 정보는 제1 사용자에 의해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종류, 실행 횟수, 사용 시간, 시간 연장 이전에 사용한 어플리케이션 및 채팅에서 입력된 키워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08)는 제2 기준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사용자가 가장 많이 이용한 어플리케이션, 가장 최근에 사용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가장 많이 입력된 키워드에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등을 결정하고, 결정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제안하기 위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제안하기 위한 정보는 결정된 어플리케이션의 제안을 나타내는 텍스트와 함께 결정된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08)는 상기 텍스트와 함께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제안하기 위해 결정된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을 제2 화면 상에 표시하거나 채팅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08)는 제1 사용자가 사용한 어플리케이션,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시간 및 사용 횟수, 제1 사용자가 사용한 어플리케이션에 관련된 카테고리별 사용 시간 등을 포함하는 로그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로그 정보에 기초하여 일별 어플리케이션 총 실행 시간 및 카테고리별 어플리케이션 총 실행 시간 등을 산출하고, 산출된 일별 어플리케이션 총 실행 시간 및 카테고리별 어플리케이션 총 실행 시간 등을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08)는 산출된 일별 어플리케이션 총 실행 시간 및 카테고리별 어플리케이션 총 실행 시간 등을 나타내는 정보를 그래프로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08)는 제1 사용자가 실행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기 위한 제2 설정 화면을 표시할 시 수집된 로그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사용자가 선호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 사용자가 선호하는 어플리케이션은 제1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 사용 시간 및 사용 횟수 등에 의해서 결정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08)는 로그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사용자가 가장 많이 사용한 어플리케이션을 결정하고, 결정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08)는 런쳐가 실행되면 어플리케이션 실행 제어를 설정하기 위한 제1 모드로 진입하고, 제1 모드에 관련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1 모드에 관련된 화면은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만을 실행 가능하도록 설정된 화면에 접근할 수 있는 특정 사용자를 선택 또는 등록하고, 특정 사용자가 실행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고,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는 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상기 제1 모드에 관련된 화면을 통해서 제1 사용자가 선택되고, 선택된 제1 사용자가 실행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이 선택되고,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는 제1 시간이 설정되면 프로세서(108)는 설정된 제1 시간 동안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가능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2 모드에 진입하고, 제2 모드에 관련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2 모드에 관련된 화면은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제1 그래픽 객체, 남은 시간을 나타내는 제2 그래픽 객체 및 채팅 기능에 관련된 제3 그래픽 객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08)는 제1 시간 동안 제2 모드를 유지하고, 제1 시간이 만료되면 제2 모드의 유지를 연장하기 위한 콘텐트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08)는 제공된 콘텐트에 기초하여 제2 모드를 유지하기 위한 시간을 기 설정된 제2 시간으로 연장하고, 연장된 시간 동안 제2 모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에서 모바일 장치 사용을 관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순서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에 의해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제외한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제한하기 위한 런쳐가 실행된다(S200). 기 설정된 제1 시간 동안 사용자에 의해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가능하도록 유지된다(S210). 제1 시간이 만료되면 시간 연장을 위한 콘텐트가 제공되고(S220), 제공된 콘텐트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가능하도록 유지하는 시간이 기 설정된 제2 시간으로 연장된다(S230). 연장된 제2 시간 동안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가능하도록 유지된다(S240).
도 3 내지 도 5, 도 6a, 도 6b, 도 6c, 도 6d, 도 10 내지 도 13, 도 14a, 도 14b, 도 15a, 도 15b, 도 16a, 도 16b 및 도 1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에서 모바일 장치 사용을 관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들이다.
도 1, 도 3 내지 도 5, 도 6a, 도 6b, 도 6c, 도 6d, 도 10 내지 도 13, 도 14a, 도 14b, 도 15a, 도 15b, 도 16a, 도 16b 및 도 16c를 참조하여 모바일 장치(100)에서 모바일 장치 사용을 관리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모바일 장치(100)에서 사용자에 의해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제외한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제한하기 위한 런쳐를 제공하고, 제공된 런쳐를 이용하여 부모가 자녀의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제한하기 위한 것을 예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모바일 장치(100)는 런쳐를 실행하고, 자녀를 선택 또는 등록하기 위한 설정 화면(300)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설정 화면(300)은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제한하기 위한 특정 자녀를 선택 또는 등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화면(300)은 특정 자녀의 프로필 정보(예: 이름, 성별 및 생년월일)를 나타내는 그래픽 객체(예: 버튼)(310) 및 새로운 자녀에 대한 프로필 정보를 등록하기 위한 아이콘(3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이콘(320)이 선택되면 모바일 장치(100)는 도 4와 같이 새로운 자녀에 대한 프로필 정보를 등록하기 위한 설정 화면(400)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설정 화면(400)은 자녀 이름을 입력하기 위한 영역(410), 자녀 성별을 입력 또는 선택하기 위한 영역(420), 자녀의 생일을 입력 또는 선택하기 위한 영역(430), 자녀의 프로필 정보를 등록하기 위한 제1 아이콘(예: 확인 아이콘)(440) 및 취소하기 위한 제2 아이콘(예: 취소 아이콘)(45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아이콘(440)이 선택되면 새로운 자녀의 프로필 정보를 나타내는 그래픽 객체가 도 3의 설정 화면(300)의 일부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그래픽 객체(310)가 선택되면 모바일 장치(100)는 도 5와 같이 선택된 자녀에 대한 프로필 정보를 수정하고, 선택된 자녀가 실행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고,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가능하도록 유지하기 위한 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화면(500)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화면(500)은 선택된 자녀의 프로필 정보를 수정하기 위한 제1 그래픽 객체(510), 선택된 자녀가 실행한 어플리케이션, 사용 시간 및 사용 횟수 등을 분석한 분석 정보를 나타내는 제2 그래픽 객체(520), 선택된 자녀가 실행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기 위한 제3 그래픽 객체(530),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가능하도록 유지할 수 있는 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제4 그래픽 객체(540), 전화 송수신을 설정하기 위한 제5 그래픽 객체(550), 모바일 장치(100)에 대한 시스템 및 기기 설정을 제한하기 위한 제6 그래픽 객체(560) 및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실행하도록 설정된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제7 그래픽 객체(57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그래픽 객체(510)가 선택되면 모바일 장치(100)는 자녀의 이름, 성별 및 생일 중 적어도 하나를 수정할 수 있는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1 그래픽 객체(510)는 자녀를 재선택하거나 등록하기 위한 아이콘(512)을 더 포함하고, 상기 아이콘(512)이 선택되면 모바일 장치(100)는 도 3과 같이 자녀를 선택 또는 등록하기 위한 설정 화면(300)을 표시할 수 있다.
제2 그래픽 객체(520)가 선택되면 모바일 장치(100)는 도 6a와 같이 선택된 자녀에 대한 어플리케이션 사용 시간 및 사용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분석 정보를 나타내는 분석 화면(600)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분석 화면(600)은 시간에 대한 분석 정보를 나타내는 제1 아이콘(610) 및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분석 정보를 나타내는 제2 아이콘(6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아이콘(610)이 선택되면 모바일 장치(100)는 도 6b와 같이 일별 어플리케이션 사용 시간을 막대 그래프로 나타내는 일간 사용 통계 정보(630)와 함께 도 6c와 같이 자녀가 사용한 어플리케이션에 관련된 카테고리 정보 및 해당 카테고리 정보에 해당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한 시간을 원형 그래프로 나타내는 카테고리별 어플리케이션 사용량 정보(640)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장치(100)는 자녀가 사용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일별 총 사용 시간 및 카테고리별 어플리케이션 사용 시간 등을 나타내는 로그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제1 아이콘(610)이 선택되면 모바일 장치(100)는 수집된 로그 정보에 기반하여 일별 어플리케이션 총 실행 시간 및 카테고리별 어플리케이션 총 실행 시간을 산출하고, 산출된 일별 어플리케이션 총 실행 시간 및 카테고리별 어플리케이션 총 실행 시간을 일간 사용 통계 정보(630) 및 카테고리별 어플리케이션 사용량 정보(640)로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카테고리별 어플리케이션 사용량 정보(640)는 언어, 수학, 과학/자연, 상식, 예술/음악 등 각각에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한 총 사용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일간 사용 통계 정보(630) 및 카테고리별 어플리케이션 사용량 정보(640)는 사용자의 드래그 입력 또는 스와이프 입력에 의해서 상하로 이동하면서 표시될 수 있다.
제2 아이콘(620)이 선택되면 모바일 장치(100)는 도 6d와 같이 자녀가 가장 많이 사용한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제1 정보(650) 및 자녀가 최근 사용한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제2 정보(660)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1 정보(650) 및 제2 정보(660)는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으로서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장치(100)는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 일별 선택된 자녀가 사용한 어플리케이션 종류, 어플리케이션 사용 시간, 어플리케이션 사용 횟수 및 최근에 사용한 어플리케이션 등을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제2 아이콘(620)이 선택되면 모바일 장치(100)는 수집된 어플리케이션 정보에 기반하여 자녀가 가장 많이 사용한 어플리케이션 및 최근 사용한 어플리케이션을 확인하고, 확인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다시 도 5를 참조하여, 제3 그래픽 객체(530)가 선택되면 모바일 장치(100)는 도 7과 같이 카테고리별 자녀가 실행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기 위한 설정 화면(700)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설정 화면(700)은 언어에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기 위한 제1 아이콘(710), 수학에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기 위한 제2 아이콘(720), 과학/자연에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기 위한 제3 아이콘(730), 상식에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기 위한 제4 아이콘(740) 및 예술/음악에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기 위한 제5 아이콘(7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정 화면(700)은 카테고리별 어플리케이션 선택을 완료하기 위한 아이콘(7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아이콘(710)이 선택되면 모바일 장치(100)는 제1 아이콘(710) 상에 선택을 나타내는 원형 아이콘(712)을 표시하고, 도 8과 같이 언어에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 화면(800)을 팝업(pop-up)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선택 화면(800)은 언어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어플리케이션 아이콘 및 어플리케이션 이름(810) 및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기 위한 체크박스(20)를 포함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선택을 완료하기 위한 확인 버튼(830)은 디스플레이(106)의 일부 영역에 상기 선택 화면(800)과 동시에 표시될 수 있다. 사전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에 대응하는 체크박스(예: 820)가 선택되면 모바일 장치(100)는 선택된 사전 어플리케이션을 언어 카테고리에 대응시켜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모바일 장치(100)는 언어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을 표시할 시 로그 정보에 기초하여 자녀가 가장 많이 사용한 어플리케이션 순으로 또는 자녀가 최근 사용한 어플리케이션 순으로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을 정렬할 수 있다.
다시 도 5를 참조하여, 제4 그래픽 객체(540)가 선택되면 모바일 장치(100)는 도 9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서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가능하도록 유지할 수 있는 시간 및 일일 실행 가능한 횟수를 설정하기 위한 설정 화면(900)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설정 화면(900)은 일일 실행 가능한 횟수를 설정하기 위한 제1 설정 영역(910), 회당 실행 가능하도록 유지하는 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제2 설정 영역(920), 일일 실행 제한을 위한 시간 범위를 설정하기 위한 제3 설정 영역(93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설정 영역(910)은 일일 어플리케이션 실행 가능한 횟수를 숫자로 입력하기 위한 입력 영역(912)을 포함하고, 제2 설정 영역(920)은 회당 어플리케이션 실행 가능한 시간을 입력하기 위한 바(bar) 형태의 입력 영역(9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설정 영역(930)은 평일에 특정 시간(예: 식사 시간 또는 휴식 시간) 동안 자녀의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제한하기 위한 시간 범위를 입력하는 제1 입력 영역(932) 및 주말에 특정 시간 동안 자녀의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제한하기 위한 시간 범위를 입력하는 제2 입력 영역(934)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일일 실행 가능한 횟수, 회당 실행 가능하도록 유지하는 시간 및 일일 실행 제한을 위한 시간 범위가 설정되면 모바일 장치(100)는 설정된 횟수 및 시간 동안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가능하도록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장치(100)는 설정된 제한 시간 동안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지 않도록 차단 또는 제한할 수 있다.
다시 도 5를 참조하여 제5 그래픽 객체(550)가 선택되면 모바일 장치(100)는 도 10과 같이 자녀의 전화 송수신을 설정하기 위한 설정 화면(1000)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설정 화면(1000)은 등록된 번호만 전화를 허용할지 선택하기 위한 제1 아이콘(1010), 등록된 번호만 문자를 허용할지 선택하기 위한 제2 아이콘(1020), 등록된 번호만 전화를 받거나 문자를 받을지 선택하기 위한 제3 아이콘(1030) 및 전화번호를 등록하기 위한 제4 아이콘(104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전화 송수신이 설정되면 모바일 장치(100)는 설정된 시간 동안 등록된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전화에 대한 통화를 수행하거나 문자를 송수신할 수 있다.
다시 도 5를 참조하여 제6 그래픽 객체(560)가 선택되면 모바일 장치(100)는 도 11과 같이 모바일 장치(100)에 대한 시스템 설정 및 기기 설정을 제한하기 위한 설정 화면(1100)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설정 화면(1100)은 시스템 설정을 차단하기 위한 제1 아이콘(1110), 시스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차단하기 위한 제2 아이콘(1120), 알림바를 차단하기 위한 제3 아이콘(1130), 카메라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차단하기 위한 제4 아이콘(1140), 블루투스 기능을 차단하기 위한 제5 아이콘(1150) 및 네트워크 미연결시 서비스를 차단하기 위한 제6 아이콘(116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모바일 장치(100)는 사용자에 의해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가능하도록 유지하는 동안 시스템 설정하기 위한 기능, 시스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하기 위한 기능, 알림바 기능, 카메라 어플리케이션 사용, 블루투스 기능 및 네트워크 미연결시 서비스 사용 등을 차단할 수 있다.
다시 도 5를 참조하여 제7 그래픽 객체(570)가 선택되면 모바일 장치(100)는 도 12와 같이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실행하도록 설정된 화면(1200)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화면(1200)은 언어, 수학, 과학/자연, 상식, 예술/음악과 같은 카테고리별 폴더 아이콘(1210, 1212, 1214, 1216, 1218), 남은 시간을 나타내는 타이머 위젯(1220), 채팅을 위한 채팅 아이콘(1230) 및 화면 설정을 위한 설정 아이콘(1240)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상기 화면(1200)은 배경 화면 상에 폴더 아이콘(1210, 1212, 1214, 1216, 1218), 타이머 위젯(1220), 채팅 아이콘(1230) 및 설정 아이콘(1240)이 레이어링(layering)되고, 이러한 아이콘들 및 위젯 상에 설정 아이콘(1240)에 관련된 메뉴 화면 및 폴더 아이콘(1210, 1212, 1214, 1216, 1218)에 관련된 폴더 화면이 레이어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언어에 관련된 폴더 아이콘(1210)이 선택되면 모바일 장치(100)는 도 13과 같이 사용자에 의해서 선택된 언어 관련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폴더 화면(1300)을 팝업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폴더 화면(1300)은 카테고리가 언어임을 나타내는 아이콘 및 텍스트(1310)와 사용자에 의해서 선택된 사전 어플리케이션 아이콘(1320)을 포함할 수 있다. 사전 어플리케이션 아이콘(1320)이 선택되면 모바일 장치(100)는 선택된 사전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다시 도 12를 참조하여 채팅 아이콘(1230)이 선택되면 모바일 장치(100)는 도 14a와 같이 어플리케이션을 제안하기 위한 채팅 화면(1400)을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모바일 장치(100)는 제1 사용자에 의해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종류, 실행 횟수, 사용 시간, 시간 연장 이전에 사용한 어플리케이션 및 채팅에서 입력된 키워드 등에 기초하여 제1 사용자가 가장 많이 이용한 어플리케이션, 가장 최근에 사용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가장 많이 입력된 키워드에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등을 결정하고, 결정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제안하기 위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채팅 아이콘(1230)에 선택되면 모바일 장치(100)는 특정 시간 간격으로 미리 설정된 대화 내용(1410, 1420) 및 결정된 어플리케이션(예: 사전)을 제안하기 위한 대화 내용(1430)을 채팅 화면(140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대화 내용(1430)은 "사전 어때?"와 같이 사전 어플리케이션을 제안하기 위한 텍스트(1432) 및 사전 어플리케이션 아이콘(1434)과 함께 동일한 카테고리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모바일 장치(100)는 사전 어플리케이션과 함께 가장 많이 사용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최근에 사용한 어플리케이션 등에 대한 아이콘을 포함하는 대화 내용을 표시할 수도 있다. 사전 어플리케이션 아이콘(1434)이 선택되면 모바일 장치(100)는 도 14b와 같이 사전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알리기 위한 알림 화면(1440)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알림 화면(1440)은 "이번엔 10분간 이걸로 노는거야. 준비됐니?"와 같이 사전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알리기 위한 제1 텍스트(1442), 사전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제2 텍스트(1444) 및 사전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취소하기 위한 제3 텍스트(1446)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텍스트(1444)가 선택되면 모바일 장치(100)는 사전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다시 도 12를 참조하여 설정 아이콘(1240)이 선택되면 모바일 장치(100)는 도 15a와 같이 설정 아이콘(1240)의 하단에 설정을 위한 메뉴 화면(1500)을 팝업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메뉴 화면(1500)은 자녀에 대한 프로필 정보를 수정하고, 선택된 자녀가 실행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고,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가능하도록 유지하기 위한 시간을 설정하는 화면(500)을 표시하기 위한 제1 텍스트(예: 부모모드)(1502) 및 런쳐를 종료하기 위한 제2 텍스트(예: 오딩가 종료하기)(1504)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텍스트(1502) 또는 제2 텍스트(1504)가 선택되면 모바일 장치(100)는 도 15b와 같이 비밀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 화면(1510)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입력 화면(1510)은 비밀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창(1512)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창(1512)을 통해서 비밀번호가 입력되면 모바일 장치(100)는 도 5의 화면(500)을 표시하거나 런쳐를 종료할 수 있다.
타이머 위젯(1220)의 설정된 시간이 만료되어 타이머 위젯(1220)의 시간을 표시하는 텍스트가 "00:00"으로 표시되면 모바일 장치(100)는 도 16a와 같이 시간 연장을 위한 게임 콘텐트(1600)를 제공할 수 있다. 게임 콘텐트(1600) 내에서 특정 아이템 또는 특정 게임 점수 이상을 획득하거나 랜덤으로 모바일 장치(100)는 도 16b와 같이 게임이 종료된 후 게임 종료 화면(1610) 상에 게임 내에서 획득한 특정 아이템 및 특정 게임 점수와 함께 이를 통해서 획득한 연장 시간(예: 5분)을 나타내는 정보(1612) 및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가능하도록 유지하는 시간이 획득된 연장 시간으로 연장됨을 알리기 위한 알림바(1614)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알림바(1614)는 "축하해! 추가로 5분 동안 더 사용할 수 있게 됐어!"와 같은 제1 텍스트 및 어플리케이션을 연장 시간 동안 실행하도록 설정된 화면 또는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제2 텍스트(예: 계속)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텍스트가 선택되면 모바일 장치(100)는 도 5의 화면(500)과 같이 어플리케이션을 연장 시간 동안 실행하도록 설정된 화면을 표시하거나 사용중이었던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게임 콘텐트(1600) 내에서 특정 아이템 또는 특정 게임 점수 이상을 획득하지 못하거나 랜덤으로 모바일 장치(100)는 도 16c와 같이 게임이 종료된 후 게임 종료 화면(1620) 상에 게임 내에서 획득한 특정 아이템 및 특정 게임 점수를 나타내는 정보(1622) 및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가능하도록 유지하는 시간이 연장되지 않음을 알리기 위한 알림바(1624)를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알림바(1624)는 "안타깝지만 다음 기회에…"와 같은 제1 텍스트 및 런쳐를 종료하거나 도 12의 화면(1200)에서 설정 아이콘(1240)을 다른 아이콘들의 선택이 제한되도록 하는 제2 텍스트(예: 확인)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텍스트가 선택되면 모바일 장치(100)는 런쳐를 종료하거나 도 12의 화면(1200)에서 설정 아이콘(1240)을 제외한 다른 아이콘들의 선택이 제한되도록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타이머 위젯(1220)의 설정된 시간이 만료되면 모바일 장치(100)는 시간 만료를 알리기 위한 콘텐트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시간 만료를 알리기 위한 콘텐트는 알림창일 수 있다. 상기 알림창은 시간이 만료됨을 알리기 위한 텍스트와 함께 시간 연장을 위한 게임 콘텐트를 제공하기 위한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이콘이 선택되면 모바일 장치(100)는 시간 연장을 위한 게임 콘텐트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그래픽 객체가 특정 텍스트, 이미지, 아이콘 또는 버튼으로 표현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텍스트, 이미지, 아이콘 또는 버튼뿐만 아니라 오디오, 비디오, 또는 심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텍스트, 이미지, 아이콘 또는 버튼이 표시되는 위치, 색상 또는 형태 등은 상기에서 설명한 것으로만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의 서비스를 위한 다양한 위치, 색상 또는 형태 등으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어플리케이션 화면들의 순서, 구성 또는 형태는 상기에서 설명한 것으로만 한정되지 않으며, 게임화 서비스를 위해 다양한 순서, 구성 또는 형태 등을 가지는 어플리케이션 화면들이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부모가 설정한 시간 동안 부모가 선택한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자녀의 무분별한 콘텐트 접근 및 과다한 모바일 장치의 사용 중독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부모가 설정한 시간이 만료되더라도 게임 또는 문제풀이 등의 콘텐트를 제공하여 자녀가 해당 콘텐트를 사용함에 따라 시간을 연장하거나 제한하도록 함으로써, 자녀가 올바르게 모바일 장치를 사용할 수 있도록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 및 장치는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또한 상술한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모바일 장치
102: 통신 인터페이스
104: 메모리
106: 디스플레이
108: 프로세서

Claims (16)

  1. 사용자에 의해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제외한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제한하기 위한 런쳐(launcher)를 실행하는 단계;
    기 설정된 제1 시간 동안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가능하도록 유지하는 단계;
    상기 제1 시간이 만료되면, 시간 연장을 위한 콘텐트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공된 콘텐트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가능하도록 유지하는 시간을 기 설정된 제2 시간으로 연장하는 단계; 및
    상기 연장된 제2 시간 동안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가능하도록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바일 장치 사용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연장을 위한 콘텐트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시간 연장을 위한 게임 콘텐트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가능하도록 유지하는 시간을 상기 제2 시간으로 연장하는 단계는,
    상기 제공된 게임 콘텐트에 관련하여 미리 설정된 제1 기준 정보에 기초하여 또는 랜덤하게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가능하도록 유지하는 시간을 상기 제2 시간으로 연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바일 장치 사용 관리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제1 기준 정보는,
    획득된 게임 점수 및 게임 아이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모바일 장치 사용 관리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간 동안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가능하도록 유지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시간 동안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가능하도록 설정된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화면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관련된 카테고리별 폴더 아이콘, 남은 시간을 나타내는 타이머 위젯 및 채팅 기능에 관련된 채팅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모바일 장치 사용 관리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채팅 아이콘이 선택되면 상기 채팅 아이콘에 관련된 채팅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채팅 화면을 통해서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중 미리 설정된 제2 기준 정보에 기초하여 실행 제안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제안하기 위한 그래픽 객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바일 장치 사용 관리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제2 기준 정보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 횟수,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한 시간, 시간 연장 이전에 사용한 어플리케이션 및 사용자 입력에 관련된 키워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모바일 장치 사용 관리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런쳐를 실행하는 단계 이후에 실행 가능하도록 유지하기 위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가능하도록 유지하기 위한 시간 및 횟수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장치 사용 관리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간이 만료되면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실행을 종료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실행을 제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바일 장치 사용 관리 방법.
  9. 통신 인터페이스;
    메모리;
    디스플레이; 및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 상기 메모리 및 상기 디스플레이와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에 의해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제외한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제한하기 위한 런쳐(launcher)를 실행하고,
    기 설정된 제1 시간 동안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가능하도록 유지하고,
    상기 제1 시간이 만료되면, 시간 연장을 위한 콘텐트를 제공하고,
    상기 제공된 콘텐트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가능하도록 유지하는 시간을 기 설정된 제2 시간으로 연장하고,
    상기 연장된 제2 시간 동안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가능하도록 유지하는, 모바일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시간 연장을 위한 게임 콘텐트를 제공하고, 상기 제공된 게임 콘텐트에 관련하여 미리 설정된 제1 기준 정보에 기초하여 또는 랜덤하게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가능하도록 유지하는 시간을 상기 제2 시간으로 연장하는, 모바일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제1 기준 정보는,
    게임 점수 및 게임 아이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모바일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시간 동안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가능하도록 설정된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화면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관련된 카테고리별 폴더 아이콘, 남은 시간을 나타내는 타이머 위젯 및 채팅 기능에 관련된 채팅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모바일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채팅 아이콘이 선택되면 상기 채팅 아이콘에 관련된 채팅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채팅 화면을 통해서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중 미리 설정된 제2 기준 정보에 기초하여 실행 제안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제안하기 위한 그래픽 객체를 표시하는, 모바일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제2 기준 정보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 횟수,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한 시간, 시간 연장 이전에 사용한 어플리케이션 및 사용자 입력에 관련된 키워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모바일 장치.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실행 가능하도록 유지하기 위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가능하도록 유지하기 위한 시간 및 횟수를 설정하는, 모바일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시간이 만료되면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실행을 종료하고,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실행을 제한하는, 모바일 장치.
KR1020180037476A 2018-03-30 2018-03-30 모바일 장치 사용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모바일 장치 KR1020707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7476A KR102070732B1 (ko) 2018-03-30 2018-03-30 모바일 장치 사용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모바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7476A KR102070732B1 (ko) 2018-03-30 2018-03-30 모바일 장치 사용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모바일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4566A true KR20190114566A (ko) 2019-10-10
KR102070732B1 KR102070732B1 (ko) 2020-01-29

Family

ID=68206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7476A KR102070732B1 (ko) 2018-03-30 2018-03-30 모바일 장치 사용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모바일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073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00047A1 (en) * 2020-07-03 2022-01-06 Ashley Carter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mount of screen time of an individual
WO2023220771A1 (en) * 2022-05-18 2023-11-23 LifeTech Balance Pty Ltd A screen time constraining device and a method for constraining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1700A (ko) * 2020-02-10 2021-08-1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N112090088A (zh) * 2020-09-09 2020-12-18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游戏数据处理方法及相关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27988A (ko) * 2013-04-26 2014-11-05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부모 안심 애플리케이션 사용 제한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88159A (ko) * 2015-01-15 2016-07-25 윤석용 자녀 스마트폰 관리 방법, 스마트폰 및 애플리케이션
KR20170108326A (ko) * 2016-03-17 2017-09-27 송성학 단말기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27988A (ko) * 2013-04-26 2014-11-05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부모 안심 애플리케이션 사용 제한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88159A (ko) * 2015-01-15 2016-07-25 윤석용 자녀 스마트폰 관리 방법, 스마트폰 및 애플리케이션
KR20170108326A (ko) * 2016-03-17 2017-09-27 송성학 단말기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 및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00047A1 (en) * 2020-07-03 2022-01-06 Ashley Carter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mount of screen time of an individual
WO2023220771A1 (en) * 2022-05-18 2023-11-23 LifeTech Balance Pty Ltd A screen time constraining device and a method for constrain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0732B1 (ko) 2020-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0732B1 (ko) 모바일 장치 사용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모바일 장치
US10460085B2 (en) Tablet computer
US20130254660A1 (en) Tablet computer
EP3792797A1 (en) Apparatus amd method for configuring access to applications
CN112565804B (zh) 一种直播互动方法、设备、存储介质及系统
CA2907274A1 (en) Tablet computer
JP5851059B2 (ja) モバイルメッセージングアプリケーション基盤スケジューリングサービス提供方法および装置
US11567638B2 (en) 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 medium for providing reputation badge for video chat
KR20150108324A (ko) 추출된 메시지를 채팅창에 구별하여 표시하는 메시지 표시 방법,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이동 단말 및 채팅 서버
US2015003315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ssage processing
US20160132688A1 (en) Task Oriented Passwords
US11029801B2 (en) Methods, systems, and media for presenting messages
CN113536147B (zh) 群组互动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US11290590B2 (en) Method and system for distraction management of context-aware rule-based smart device
US20160005134A1 (en) Courting and dating technology
KR101814907B1 (ko) 단말기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 및 장치
CN112527175A (zh) 动画实现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101632795B1 (ko) 스마트 기기 사용 조절을 위한 협력적 중재 시스템 및 방법
CN106062804B (zh) 利用徽章来开始活动
KR101557727B1 (ko) 단말 장치 및 그의 배경화면 변경 시스템
Bub et al. User acceptance of proactive recommendations on smartphone and smartwatch
KR101581710B1 (ko) 단말 장치 및 그의 배경화면 변경 시스템
KR20170018709A (ko) 전자 매트를 이용하여 신체 활동 및 지능 활동이 결합된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N117149307A (zh) 一种任务的跳转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TWI602110B (zh) 影音組操作方法與可攜式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