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4402A - 귀이개 - Google Patents

귀이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4402A
KR20190114402A KR1020180037051A KR20180037051A KR20190114402A KR 20190114402 A KR20190114402 A KR 20190114402A KR 1020180037051 A KR1020180037051 A KR 1020180037051A KR 20180037051 A KR20180037051 A KR 20180037051A KR 20190114402 A KR20190114402 A KR 201901144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wax
connecting rod
hand
handle
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70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순환
Original Assignee
최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순환 filed Critical 최순환
Priority to KR10201800370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14402A/ko
Publication of KR201901144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44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1/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ars or hearing sense; Non-electric hearing aids; Methods or devices for enabling ear patients to achieve auditory perception through physiological senses other than hearing sense; 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11/006Ear cleaners, e.g. curett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7/00Body washing or cleaning imple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syc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Body Washing Hand Wipes And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귀지를 파내는 귀지파개부를 수직방향으로 기립된 형태의 원형상으로 구성함으로써, 귓속의 내면 전체에 접촉되어 한 번에 많은 귀지를 제거할 수 있고, 손잡이부에 제1 미끄럼방지돌기를 형성하여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하게 귀지를 제거할 수 있는 귀이개를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귀이개{A Ear pick}
본 발명은 귀이개에 관한 것으로서, 원형상으로 이루어진 귀지파개부(110);와, 상기 귀지파개부(110)의 중심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연결봉부(120);와, 상기 연결봉부(120)의 말단에 결합되는 손잡이부(1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이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귀이개 또는 귀파개라 함은, 사람의 귀속에 낀 귀지를 파내는 데 쓰는 물건으로, 대체로 숟가락와 유사한 형상으로 제조되고 있으며, 크기는 성냥개비만 한 크기로 제작되는 것이 보통이다..
이러한 귀이개는 사용시 사람의 귀속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귀지를 좀 더 잘 파낼 수 있도록 그 형상과 기능이 다양하게 구성되어 제작되고 있으며, 그 일실시예 중 하기 특허문헌 1의 “손가락 귀이개(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3-0007483호)”는 고무재로 제작되는 타원형의 몸통(2)과, 상기의 몸통(2) 선단부에 금속으로 제작되어 일체형으로 부착되어진 헤드부(1)와, 상기의 몸통(2)의 말단부에 사용자의 손가락(10)을 일체화 할 수 있는 홈(3)으로 구성되는 것이 특징으로서,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귀이개의 몸통부분을 고무소재의 원통형으로 만들어 손가락과 귀이개의 일체화를 통해 불필요한 미끄러움을 방지하고 편리하게 귀지 제거를 가능하게 하며, 손가락의 조절이 용이하여 귀 내부의 손상을 방지하고, 안전하게 귀지를 제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었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의 “손가락 귀이개”는 사용자의 손가락 하나만을 사용하여 귀지를 파내는 것으로서, 움직임의 정교함이 떨어지고, 수평방향의 움직임이 원활치 않아 귀지가 잘 제거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3-0007483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귀지를 파내는 귀지파개부를 수직방향으로 기립된 형태의 원형상으로 구성함으로써, 귓속의 내면 전체에 접촉되어 한 번에 많은 귀지를 제거할 수 있고, 손잡이부에 제1 미끄럼방지돌기를 형성하여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하게 귀지를 제거할 수 있는 귀이개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귀지를 파낸 후 귀지파개부에 부착된 귀지를 탄성부재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귀지파개부로부터 귀지를 편리하게 제거할 수 있는 귀이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귀이개는, 원형상으로 이루어진 귀지파개부(110);와, 상기 귀지파개부(110)의 중심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연결봉부(120);와, 상기 연결봉부(120)의 말단에 결합되는 손잡이부(1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귀지파개부(110)의 선단 둘레(R1) 및 상기 귀지파개부(110)의 말단 둘레(R2)는 둥근 형태의 곡면으로 이루어져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기 손잡이부(130)의 양측면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상기 손잡이부(130)를 파지시, 손이 미끄러지는 것이 방지되도록 제1 미끄럼방지돌기(13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130)는, 내측에 공간으로 이루어진 안착부(131)가 형성되고, 양측에 안착부(131)와 연통되는 이동안내공(132)이 형성되며, 선단에 상기 연결봉부(120)의 말단이 삽입되어 상기 연결봉부(120)의 말단이 상기 안착부(131)에 위치되도록 통과공(133)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봉부(120)의 말단에는 상기 연결봉부(120)의 말단이 상기 안착부(131)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안내공(132)의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는 파지부(121)가 형성되며, 상기 안착부(131)에는 상기 파지부(121)에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탄성부재(14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파지부(121)의 양측면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상기 파지부(121)를 파지시, 손이 미끄러지는 것이 방지되도록 제2 미끄럼방지돌기(12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귀지를 파내는 귀지파개부를 수직방향으로 기립된 형태의 원형상으로 구성함으로써, 귓속의 내면 전체에 접촉되어 한 번에 많은 귀지를 제거할 수 있고, 손잡이부에 제1 미끄럼방지돌기를 형성하여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하게 귀지를 제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귀지를 파낸 후 귀지파개부에 부착된 귀지를 탄성부재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귀지파개부로부터 귀지를 편리하게 제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귀이개의 전체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귀이개의 정면 모습을 보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귀이개의 전체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귀이개의 작동과정을 보인 실시예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이개(100)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 또는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이개(100)는 크게 귀지파개부(110), 연결봉부(120) 및 손잡이부(130)로 구성된다.
먼저, 귀지파개부(11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귀지파개부(110)는 도 1 또는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수직방향으로 기립된 상태에서 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사람의 귓속의 바깥귀길의 내면에 끼어있는 귀지(F)를 긁어 내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귀지파개부(110)가 사람의 귓속으로 들어가는 경우, 귓속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귀지파개부(110)의 선단 둘레(R1) 및 상기 귀지파개부(110)의 말단 둘레(R2)는 둥근 형태의 곡면으로 이루어져 각각 형성된다.
한편, 상기 귀지파개부(110)는 성인, 소아 등의 연령에 따라 그 크기를 다양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통 직경 2㎜∼5㎜ 사이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다음으로, 연결봉부(12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연결봉부(120)는 도 1 또는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선단은 상기 귀지파개부(110)의 후면 중심부에 결합되고, 말단은 후술할 손잡이부(130)의 선단에 결합되는 일종의 봉(棒) 형상의 연결부재로서, 그 직경은 보통 1.5㎜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손잡이부(13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손잡이부(130)는 도 1 또는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연결봉부(120)의 말단과 결합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귀이개(100)를 사용하는 것을 가이드하는 구성요소로서, 그 높이는 5㎜∼6㎜ 사이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한편, 상기 손잡이부(130)의 양측면에는 다수개의 돌기로 이루어진 제1 미끄럼방지돌기(134)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상기 손잡이부(130)를 파지하는 경우, 손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에서는 도 3 또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귀이개(100)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연결봉부(120)의 말단에는 파지부(121)가 형성되는 것이 특징으로서, 상기 파지부(121)는 상기 연결봉부(120)의 말단이 후술할 안착부(131)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안내공(132)의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파지부(121)의 양측면에는 상기 손잡이부(130)와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손으로 상기 파지부(121)를 파지하는 경우, 손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돌기형상의 제2 미끄럼방지돌기(122)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손잡이부(130)의 내측에는 후술할 탄성부재(140)가 안착되고, 상기 연결봉부(120)가 전, 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공간으로 이루어진 안착부(13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130)의 양측에는 안착부(131)와 연통되어 상기 파지부(121)의 양측 일부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이동안내공(132)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130)의 선단에는 상기 연결봉부(120)의 말단이 삽입되어 상기 연결봉부(120)의 말단이 상기 안착부(131)에 위치되도록 통과공(133)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안착부(131)에는 상기 파지부(121)에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탄성부재(14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구성의 예로는 일반적인 스프링이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귀이개(100)를 사용하는 경우, 먼저,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사용자가 귀지(F)를 파낸 후 귀지(F)가 상기 귀지파개부(110)의 후면측에 붙어 있게 된다(도 4의 (a)).
이후, 사용자가 손으로 상기 파지부(121)를 잡은 상태에서 후면방향으로 상기 파지부(121)를 당기게 되면, 상기 파지부(121)와 연결된 상기 연결봉부(121) 및 상기 귀지파개부(110) 또한, 후면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도 4의 (b)).
이때, 상기 탄성부재(140)는 상기 파지부(121)가 후면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인장 상태에서 압축된 상태로 변하게 된다.
다음으로, 후면방향으로 이동된 상태의 상기 파지부(121)를 사용자가 놓게 되면, 탄성부재(14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파지부(121), 상기 연결봉부(120) 및 상기 귀지파개부(110)는 전면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귀지파개부(110)의 후면측에 붙어 있는 귀지(F)는 반발력에 의해 귀지파개부(110)의 후면으로부터 떨어져 나가게 된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귀이개
110: 귀지파개부
120: 연결봉부 121 :파지부
122: 제2 미끄럼방지돌기
130: 손잡이부 131: 안착부
132: 이동안내공 133: 통과공
134: 제1 미끄럼방지돌기
140: 탄성부재
F: 귀지(이물질)

Claims (5)

  1. 원형상으로 이루어진 귀지파개부(110);
    상기 귀지파개부(110)의 중심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연결봉부(120);
    상기 연결봉부(120)의 말단에 결합되는 손잡이부(1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이개(100).
  2.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귀지파개부(110)의 선단 둘레(R1) 및 상기 귀지파개부(110)의 말단 둘레(R2)는 둥근 형태의 곡면으로 이루어져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이개(100).
  3. 청구항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130)의 양측면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상기 손잡이부(130)를 파지시, 손이 미끄러지는 것이 방지되도록 제1 미끄럼방지돌기(13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이개(100).
  4. 청구항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130)는,
    내측에 공간으로 이루어진 안착부(131)가 형성되고,
    양측에 안착부(131)와 연통되는 이동안내공(132)이 형성되며,
    선단에 상기 연결봉부(120)의 말단이 삽입되어 상기 연결봉부(120)의 말단이 상기 안착부(131)에 위치되도록 통과공(133)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봉부(120)의 말단에는 상기 연결봉부(120)의 말단이 상기 안착부(131)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안내공(132)의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는 파지부(121)가 형성되며,
    상기 안착부(131)에는 상기 파지부(121)에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탄성부재(14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이개(100).
  5. 청구항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121)의 양측면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상기 파지부(121)를 파지시, 손이 미끄러지는 것이 방지되도록 제2 미끄럼방지돌기(12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이개(100).

KR1020180037051A 2018-03-30 2018-03-30 귀이개 KR201901144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7051A KR20190114402A (ko) 2018-03-30 2018-03-30 귀이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7051A KR20190114402A (ko) 2018-03-30 2018-03-30 귀이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4402A true KR20190114402A (ko) 2019-10-10

Family

ID=68206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7051A KR20190114402A (ko) 2018-03-30 2018-03-30 귀이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1440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7483U (ko) 2013-11-12 2013-12-30 김찬호 손가락 귀이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7483U (ko) 2013-11-12 2013-12-30 김찬호 손가락 귀이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64081B2 (en) Hearing protection earplug
US6033417A (en) Safe roll--scraping ear pick
KR200278386Y1 (ko) 귀이개
US4750771A (en) Lens cleaning and handling device
US5868149A (en) Retractable toothpick
JPH09298992A (ja) 釣竿用リールシート
EP0199734A1 (en) REMOVABLE HANDLE FOR HEARING AID IN THE EAR.
KR20190114402A (ko) 귀이개
US6883639B1 (en) Stethoscope
USD452909S1 (en) Pair of ear plugs
JP3224339U (ja) 装飾具
JP4099046B2 (ja) 耳栓の取付け構造
CN201030549Y (zh) 一种设置有握位的工具锤锤柄
CN205073121U (zh) 可旋转使用的掏耳工具
KR200349663Y1 (ko) 낚싯대용 그립
CN216781928U (zh) 一种剪刀收纳套
CN219089904U (zh) 挖耳器
CN210453009U (zh) 硅胶隆鼻假体打孔器
KR200179610Y1 (ko) 귀후비개
KR200295174Y1 (ko) 손가락 일체형 귀이개
KR20130007483U (ko) 손가락 귀이개
JP3069620U (ja) ストラップ
CN2928061Y (zh) 一种安全挖耳勺
KR100434798B1 (ko) 지렁이 잡이구
KR20200007763A (ko) 실리콘 귀이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