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4377A - 굴삭기 장착용 다관절 트윈 락 드릴 - Google Patents

굴삭기 장착용 다관절 트윈 락 드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4377A
KR20190114377A KR1020180036973A KR20180036973A KR20190114377A KR 20190114377 A KR20190114377 A KR 20190114377A KR 1020180036973 A KR1020180036973 A KR 1020180036973A KR 20180036973 A KR20180036973 A KR 20180036973A KR 20190114377 A KR20190114377 A KR 201901143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ck drill
swing device
excavator
support structur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6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승현
장동욱
모진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필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필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필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800369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14377A/ko
Publication of KR201901143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43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7/00Special methods or apparatus for drilling
    • E21B7/02Drilling rigs characterised by means for land transport with their own drive, e.g. skid mounting or wheel mounting
    • E21B7/025Rock drills, i.e. jumbo dril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9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 E02F3/965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of metal-cutting or concrete-crushing imp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7/00Special methods or apparatus for drilling
    • E21B7/02Drilling rigs characterised by means for land transport with their own drive, e.g. skid mounting or wheel mounting
    • E21B7/021With a rotary table, i.e. a fixed rotary drive for a relatively advancing tool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7/00Special methods or apparatus for drilling
    • E21B7/02Drilling rigs characterised by means for land transport with their own drive, e.g. skid mounting or wheel mounting
    • E21B7/022Control of the drilling operation;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for activation or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굴삭기 장착용 다관절 트윈 락 드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로드를 이용하여 굴착공을 시공하는 한 쌍의 락 드릴 본체와, 굴삭기 암에 장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베이스 플레이트의 전면 양측에 각각 일단이 힌지결합되며, 타측 끝단에는 서포트 구조물의 수직회전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제1 스윙 장치가 장착된 붐대와, 제1 스윙 장치에 하면이 장착되어 제1 스윙 장치의 구동에 의해 정역회전하는 서포트 구조물과, 서포트 구조물의 일측면에 장착되면서 락 드릴 본체의 측방향을 이루는 면과 평행하게 설치되어 락 드릴 본체의 정역회전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제2 스윙 장치 및 제2 스윙 장치의 구동측과 락 드릴 본체의 측면부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제2 스윙 장치의 작동에 의해 정역회전하는 연결 프레임을 구비한 프레임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굴삭기 장착용 다관절 트윈 락 드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락 드릴의 회전방향을 수평회전 및 수직회전 등의 다양한 회전방향으로의 전환이 가능한 동시에, 상하좌우로의 틸팅이 가능하여 자유자재로 천공 작업 자세를 전환할 수 있기 때문에 굴삭기 암의 움직임을 최소화하면서도 터널 등의 좁은 공간에서도 천공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굴삭기 장착용 다관절 트윈 락 드릴{Twin rock drill of multiarticulated for excavator attachment}
본 발명은, 굴삭기의 암에 장착되는 트윈형 락 드릴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발파 시공을 위해 암반 구간에 화약 장입을 위한 천공작업시 두 개의 천공 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굴삭기 장착용 다관절 트윈 락 드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파 공법은, 토목, 건설현장이나 광산 등에서 가장 널리 쓰이고 있는 공법 중의 하나로서, 현재까지 다른 공법들보다 암반파쇄 및 절취를 위한 공사기간이 짧고, 공사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등 공법의 우수성을 인정받아 왔다.
이러한 발파 공법은, 지하철 공사장이나 도로의 터널 등과 같은 각종 터널 공사장, 채석장 등에서 굴착, 암석의 제거, 채석 등의 목적으로 발파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암석에 화약을 장입하기 위한 구멍을 뚫거나, 할암기를 사용하여 암석을 깨기 위한 구멍을 뚫거나, 혹은 락 볼트를 삽입하기 위해 구멍을 뚫는 경우에 주로 사용되는 공법이다.
예를 들면, 지하철이나 터널 굴착공사시 굴착 진행방향에 암반이 존재할 경우에 통상 화약을 사용하여 발파 작업을 하게 되는데, 이 경우 락 드릴 장치를 사용하여 다수의 구멍을 뚫은 다음, 각 구멍마다 다이너마이트를 장입하여 폭발시키는 방법으로 굴착 작업을 진행한다.
또한, 터널 굴착 후에 터널 천장이나 벽면을 보강하는 작업을 하는 경우, 이때의 보강작업은 터널 내주면의 암반에 다수의 락 볼트 삽입용 구멍을 뚫은 후, 정착재료와 함께 락 볼트를 삽입한 다음, 락 볼트측에 정착물을 고정하는 방식으로 굴착된 터널의 안정화 보강작업을 진행한다.
보통 굴삭기 장착용 락 드릴은, 굴삭기 등과 같은 굴착장비에 장착하여 사용하게 되며, 굴삭기의 운전 조작을 통해 락 드릴 장치의 각도나 방향 등의 자세를 전환시키면서 굴착 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한편, 종래의 굴삭기 장착용 락 드릴은, 자세를 전환시키기 위한 회전 방식으로 수평의 축선을 기준으로 하여 그 둘레를 따라 회전하는 수직회전 방식으로 되어 있으며, 굴삭기측의 스윙 장치를 조작하여 락 드릴의 자세를 바꾸어가면서 굴착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오로지 수직회전 방식 만을 이용하여 락 드릴을 회전시키는 방법으로는 터널과 같은 좁은 공간의 천정을 천공하기 위해 락 드릴을 수직방향으로만 회전시키는 경우, 굴삭기 암이 움직이는 반경이 커서 터널과 같은 좁은 공간에서의 천공 작업시 넓은 작업 반경을 확보하기 어려워 터널 모서리 부분이 천공되지 않는 빈 사각지대가 존재하는 등의 정밀한 작업 반경의 대응이 매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작업반경이 좁고, 다양한 자세 전환에 한계가 있는 등 천공 작업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95476호(2012년 10월 30일 공고)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과제는, 락 드릴의 회전방향을 수평회전 및 수직회전 등의 다양한 회전방향으로의 전환이 가능한 동시에, 상하좌우로의 틸팅이 가능하여 자유자재로 천공 작업 자세를 전환할 수 있는 굴삭기 장착용 다관절 트윈 락 드릴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부수적인 과제는, 두 개의 락 드릴이 동시에 개별적으로 천공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굴삭기 장착용 다관절 트윈 락 드릴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굴삭기 장착용 다관절 트윈 락 드릴로서, 로드를 이용하여 굴착공을 시공하는 한 쌍의 락 드릴 본체, 굴삭기 암에 장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전면 양측에 각각 일단이 힌지결합되며, 타측 끝단에는 서포트 구조물의 수직회전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제1 스윙 장치가 장착된 붐대, 상기 제1 스윙 장치에 하면이 장착되어 제1 스윙 장치의 구동에 의해 정역회전하는 서포트 구조물, 상기 서포트 구조물의 일측면에 장착되면서 상기 락 드릴 본체의 측방향을 이루는 면과 평행하게 설치되어 락 드릴 본체의 정역회전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제2 스윙 장치 및 상기 제2 스윙 장치의 구동측과 상기 락 드릴 본체의 측면부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2 스윙 장치의 작동에 의해 정역회전하는 연결 프레임을 구비한 프레임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상기 붐대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사이에는 제1 틸팅용 실린더가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1 틸팅용 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붐대가 좌우로 틸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스윙 장치는, 중심축 역할을 하는 부분으로서, 수평의 중심축선을 가지면서 상기 붐대의 끝단면에 결합되는 내륜, 베어링을 매개로 하여 상기 내륜의 둘레에 동심원상으로 결합되는 동시에 외주면에는 기어부가 구비되며, 상기 서포트 구조물의 하면에 결합되는 외륜 및 상기 외륜의 일측에 설치되며, 외륜의 기어부와 맞물리는 웜기어를 이용하여 외륜을 회전시켜주는 유압모터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스윙 장치는, 중심축 역할을 하는 부분으로서, 수평의 중심축선을 가지면서 상기 서포트 구조물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내륜, 베어링을 매개로 하여 상기 내륜의 둘레에 동심원상으로 결합되는 동시에 외주면에는 기어부가 구비되며,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의 연결 프레임과 연결되는 외륜 및 상기 외륜의 일측에 설치되며, 외륜의 기어부와 맞물리는 웜기어를 이용하여 외륜을 회전시켜주는 유압모터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는, 상기 락 드릴 본체의 피드 프레임에 결합되는 프레임 브라켓과, 일측은 수평체결되는 프레임 핀에 의해 상기 프레임 브라켓 측에 힌지구조로 연결되는 동시에 타측은 상기 제2 스윙 장치의 구동측과 연결되어 제2 스윙 장치의 작동에 의해 정역회전하는 연결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락 드릴 본체의 피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 사이에는 제2 틸팅용 실린더가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2 틸팅용 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락 드릴 본체가 틸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락 드릴의 회전방향을 수평회전 및 수직회전 등의 다양한 회전방향으로의 전환이 가능한 동시에, 상하좌우로의 틸팅이 가능하여 자유자재로 천공 작업 자세를 전환할 수 있기 때문에 굴삭기 암의 움직임을 최소화하면서도 터널 등의 좁은 공간에서도 천공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락 드릴을 포함하는 굴삭기 전체의 작업반경을 넓게 확보할 수 있음은 물론, 락 드릴의 자세를 다양한 각도 및 방향으로 전환시킬 수 있으며, 특히 상향 천공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등의 전체적인 천공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두 개의 락 드릴이 동시에 개별적으로 천공 작업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암반 파쇄를 위한 기초 천공 작업 시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굴삭기 장착용 다관절 트윈 락 드릴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굴삭기 장착용 다관절 트윈 락 드릴에서 제1 틸팅용 실린더에 의해 락 드릴 본체가 좌우로 틸팅되는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굴삭기 장착용 다관절 트윈 락 드릴에서 제2 스위 장치에 의해 락 드릴 본체가 회전하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굴삭기 장착용 다관절 트윈 락 드릴을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굴삭기 장착용 다관절 트윈 락 드릴에서 제2 틸팅용 실린더에 의해 락 드릴 본체가 틸팅되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굴삭기 장착용 다관절 트윈 락 드릴에서 제1 스윙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굴삭기 장착용 다관절 트윈 락 드릴에서 제1 스윙 장치의 작동 관계를 나타낸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굴삭기 장착용 다관절 트윈 락 드릴에서 프레임 어셈블리와 제2 스윙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굴삭기 장착용 다관절 트윈 락 드릴에서 제2 스윙 장치의 작동 관계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굴삭기 장착용 다관절 트윈 락 드릴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굴삭기 장착용 다관절 트윈 락 드릴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제1 틸팅용 실린더에 의해 락 드릴 본체가 좌우로 틸팅되는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3은 제2 스위 장치에 의해 락 드릴 본체가 회전하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4는 굴삭기 장착용 다관절 트윈 락 드릴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5는 제2 틸팅용 실린더에 의해 락 드릴 본체가 틸팅되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굴삭기 장착용 다관절 트윈 락 드릴은, 락 드릴 본체(100), 베이스 플레이트(200), 제1 스윙 장치(300), 붐대(400), 서포트 구조물(500) 및 제2 스윙 장치(600)를 포함하는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며,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굴삭기 장착용 다관절 트윈 락 드릴은, 굴삭기 암(A)에 장착된 베이스 플레이트(200)의 전면에 두 개의 락 드릴 본체(100)가 마련되고, 베이스 플레이트(200)와 락 드릴 본체(100) 사이에는, 두 개의 락 드릴 본체(100)가 수평회전, 수직회전 및 상하좌우로 틸팅되게 하여 두 개의 락 드릴 본체(100)의 자유로운 위치 전환을 가능하게 하는 제1 스윙 장치(300), 붐대(400), 서포트 구조물(500) 및 제2 스윙 장치(600)가 각각 구비된다.
즉, 하나의 락 드릴 본체(100)와, 이 락 드릴 본체(100)와 베이스 플레이트(200) 사이에 구비된 구성요소들과, 다른 락 드릴 본체(100)와, 이 락 드릴 본체(100)와 베이스 플레이트(200) 사이에 구비된 다른 구성요소들은 서로 동일 구성요소이기에 이에 대한 중복설명은 생략하며, 이와 함께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 또한 생략한다.
본 발명의 굴삭기용 트윈 락 드릴 장치는, 굴착공의 시공을 위한 한 쌍의 락 드릴 본체(100)가 마련된다. 이러한 각각의 락 드릴 본체(100)의 하단에는 비트가 장착되어 있는 로드가 구비되어, 이 로드를 이용하여 굴착공을 천공할 수 있게 된다.
베이스 플레이트(200)는, 판상형으로 굴삭기 암(A)에 수평하게 장착된다.
붐대(400)는, 베이스 플레이트(200)의 수평면을 기준으로 베이스 플레이트(200)의 전면 양측에 각각 수직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붐대(400)의 일단은 베이스 플레이트(200)에 힌지결합된 상태로 설치되어 틸팅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이를 위해, 붐대(400)와 베이스 플레이트(200) 사이에는 제1 틸팅용 실린더(800)가 개재되는데, 이때의 제1 틸팅용 실린더(800)의 실린더 몸체는 실린더 브라켓을 이용하여 베이스 플레이트(200)에 고정되고, 실린더 로드 역시 실린더 브라켓을 이용하여 붐대(400)의 일측에 연결된다.
즉, 제1 틸팅용 실린더(800)는 경사진 자세를 취하면서 아래쪽의 실린더 몸체는 베이스 플레이트(200) 측에, 윗쪽의 실린더 로드는 붐대(400) 측에 각각 연결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이에 따라, 제1 틸팅용 실린더(800)가 전후진 작동하게 되면, 붐대(400)는 힌지축을 중심축으로 하여 정역회전하면서 좌우로 틸팅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붐대(400)의 타측 끝단에는 서포트 구조물(500)의 수직회전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제1 스윙 장치(300)가 장착된다. 부연하면, 서포트 구조물(500)의 하면이 제1 스윙 장치(300)에 장착됨으로써 제1 스윙 장치(300)의 구동에 의해 서포트 구조물(500)이 180°또는 360°로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수직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락 드릴 본체(100)의 일측에는 서포트 구조물(500)이 마련되고, 이때의 서포트 구조물(500)의 일측면에는 락 드릴 본체(100)를 정역회전시켜주는 제2 스윙 장치(600)가 장착된다.
이렇게 장착되는 제2 스윙 장치(600)는, 수평의 중심축선을 가지면서 락 드릴 본체(100)의 측방향을 이루는 면과 평행한 자세를 취하게 된다.
그리고, 제2 스윙 장치(600)와 락 드릴 본체(100)는, 제2 스윙 장치(600)의 구동측과 락 드릴 본체(100)의 측면부 사이에 연결 설치되는 프레임 어셈블리(700)에 의해 일체식 구조를 이루게 되고, 이에 따라 제2 스윙 장치(600)가 작동하면 락 드릴 본체(100)는 프레임 어셈블리(700)와 함께 제2 스윙 장치(600)의 수평의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그 둘레를 따라 회전하게 된다.
또한, 락 드릴 본체(100)는, 180°또는 360°회전 뿐만 아니라, 틸팅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이를 위해, 락 드릴 본체(100)의 피드 프레임(110)과 프레임 어셈블리(700) 사이에는 제2 틸팅용 실린더(900)가 개재되는데, 이때의 제2 틸팅용 실린더(900)의 실린더 몸체는 실린더 브라켓을 이용하여 피드 프레임(110)에 고정되고, 실린더 로드 역시 실린더 브라켓을 이용하여 프레임 어셈블리(700)가 갖는 연결 프레임(730)의 저면에 연결된다.
즉, 제2 틸팅용 실린더(900)는 경사진 자세를 취하면서 아래쪽의 실린더 몸체는 피드 프레임(110) 측에, 윗쪽의 실린더 로드는 연결 프레임(730) 측에 각각 연결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이에 따라, 제2 틸팅용 실린더(900)가 전후진 작동하게 되면, 락 드릴 본체(100)는 프레임 어셈블리(700)가 갖는 프레임 핀(720)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하면서 틸팅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굴삭기 장착용 다관절 트윈 락 드릴에서 제1 스윙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은 제1 스윙 장치의 작동 관계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서포트 구조물(500)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수직회전시켜주는 제1 스윙 장치(300)의 구조를 나타낸다.
제1 스윙 장치(300)의 구동측, 예를 들면 제1 스윙 장치(300)의 외륜(330)에 볼트 체결구조로 연결되어, 서포트 구조물(500)은 외륜(330)과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스윙 장치(300)의 작동에 의해 그 출력이 외륜(330)을 통해 제공되면, 즉 외륜(330)이 회전하게 되면, 서포트 구조물(500) 전체는 제1 스윙 장치(300)가 가지는 수평의 중심축선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제1 스윙 장치(300)는, 서포트 구조물(500)의 회전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수단으로서, 붐대(400)의 끝단면에 장착되며, 이렇게 장착되는 제1 스윙 장치(300)는 서포트 구조물(500)의 하면과는 서로 마주보는 나란한 상태가 되면서 수평의 중심축선을 가지게 된다.
이를 위해, 제1 스윙 장치(300)는, 중간에 베어링(320)을 사이에 두고 내외측에서 서로 동심원상으로 조합되는 내륜(310)과 외륜(330)을 포함하며, 이때의 내륜(310)은 마치 센터 링과 같이 중심축 역할을 하는 부분으로서 수평의 중심축선을 가지면서 붐대(400)의 끝단면에 볼트 체결 구조로 결합되고, 외륜(330)은 외주면에 기어부(331)를 가지는 마치 링 기어 형태로 이루어져 서포트 구조물(500)의 하면과 볼트 체결 구조로 결합된다.
그리고, 제1 스윙 장치(300)의 동력원으로서 유압모터(350)가 마련되며, 이 유압모터(350)의 모터축에는 웜기어(340)가 결합되는 동시에 이때의 웜기어(340)는 외륜(330)의 접선방향으로 배치되어 외륜(330)의 기어부(331)와 맞물리면서 치합 전동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웜기어(340)는 기어 하우징(341) 내에 배치되어 한쪽은 유압모터(350)의 모터축에, 다른 한쪽은 기어 하우징(341)의 벽면에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될 수 있으며, 유압모터(350) 또한 기어 하우징(341)의 한쪽 단부에 고정되면서 웜기어(340) 측과 연결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유압모터(350)를 포함하는 기어 하우징(341) 전체는 후술하는 하우징(360) 상에 고정될 수 있으며, 물론 이때의 하우징(360)과 기어 하우징(341)은 서로 통하는 구조로서, 외륜(330)의 기어부와 웜기어(340) 간의 치합을 가능하게 해준다.
이에 따라, 유압모터(350)의 작동에 의해 웜기어(340)가 회전하면, 이와 함께 외륜(330)이 회전하게 되므로서, 이 외륜(330)과 일체식으로 결합되는 서포트 구조물(500) 전체가 수직회전되고, 결과적으로 락 드릴 본체(100) 또한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1 스윙 장치(300)에는 내외륜(310, 330) 간의 베어링(320) 결속부위로 이물질 등이 침투되는 것을 막아줄 수 있는 하우징(360)이 구비되는데, 이때의 하우징(360)은 붐대(400)와 내륜(310) 간의 체결시 그 결합부위에 개재되어 함께 체결되는 구조로 설치되며, 이렇게 설치된 상태에서 외륜(330)의 둘레를 커버하여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굴삭기 장착용 다관절 트윈 락 드릴에서 프레임 어셈블리와 제2 스윙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9는 제2 스윙 장치의 작동 관계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여기서는 락 드릴 본체(100)를 회전시켜주는 제2 스윙 장치(600)의 구조는 물론, 이러한 제2 스윙 장치(600)와 락 드릴 본체(100)를 연결시켜주는 프레임 어셈블리(700)의 구조를 나타낸다.
프레임 어셈블리(700)는, 락 드릴 본체(100) 측과 연결되는 프레임 브라켓(710)과 제2 스윙 장치(600) 측에 연결되는 연결 프레임(730)을 포함하며, 프레임 브라켓(710)과 연결 프레임(730)은 프레임 핀(720)에 의해 상호 간에 회전가능한 구조로 결합된다.
이를 위해, 락 드릴 본체(100)에 있는 피드 프레임(110)의 측면부에는 프레임 브라켓(710)이 볼트 체결에 의해 고정되고, 이렇게 고정되는 프레임 브라켓(710)의 내측으로 연결 프레임(730)의 한쪽이 수용됨과 동시에 이때의 프레임 브라켓(710)과 연결 프레임(730) 간의 중첩부위가 수평방향으로 체결되는 프레임 핀(720)에 의해 함께 관통됨으로써, 프레임 브라켓(710)과 연결 프레임(730)은 서로 힌지구조로 결합될 수 있다.
이때, 프레임 핀(720)이 체결되는 부위에는 연결 프레임(730) 과의 사이에 부싱이 개재될 수 있어 프레임 브라켓(710)과 연결 프레임(730) 간의 힌지 작동이 보다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연결 프레임(730)의 다른 한쪽은 제2 스윙 장치(600)의 구동측, 예를 들면 제2 스윙 장치(600)의 외륜(630)에 볼트 체결구조로 연결되어, 연결 프레임(730)은 외륜(630)과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스윙 장치(600)의 작동에 의해 그 출력이 외륜(630)을 통해 제공되면, 즉 외륜(630)이 회전하게 되면, 연결 프레임(730) 및 프레임 브라켓(710)을 포함하는 락 드릴 본체(100) 전체는 제2 스윙 장치(600)가 가지는 수평의 중심축선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제2 스윙 장치(600)는, 락 드릴 본체(100)의 회전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수단으로서, 서포트 구조물(500)의 일측면에 장착되며, 이렇게 장착되는 제2 스윙 장치(600)는 락 드릴 본체(100)의 측면과는 서로 마주보는 나란한 상태가 되면서 수평의 중심축선을 가지게 된다.
이를 위해, 제2 스윙 장치(600)는, 중간에 베어링(620)을 사이에 두고 내외측에서 서로 동심원상으로 조합되는 내륜(610)과 외륜(630)을 포함하며, 이때의 내륜(610)은 마치 센터 링과 같이 중심축 역할을 하는 부분으로서 수평의 중심축선을 가지면서 서포트 구조물(500)의 측면부에 볼트 체결 구조로 결합되고, 외륜(630)은 외주면에 기어부(631)를 가지는 마치 링 기어 형태로 이루어져 프레임 어셈블리(700)의 연결 프레임(730)과 볼트 체결 구조로 결합된다.
그리고, 제2 스윙 장치(600)의 동력원으로서 유압모터(650)가 마련되며, 이 유압모터(650)의 모터축에는 웜기어(640)가 결합되는 동시에 이때의 웜기어(640)는 외륜(630)의 접선방향으로 배치되어 외륜(630)의 기어부(631)와 맞물리면서 치합 전동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웜기어(640)는 기어 하우징(641) 내에 배치되어 한쪽은 유압모터(650)의 모터축에, 다른 한쪽은 기어 하우징(641)의 벽면에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될 수 있으며, 유압모터(650) 또한 기어 하우징(641)의 한쪽 단부에 고정되면서 웜기어(640) 측과 연결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유압모터(650)를 포함하는 기어 하우징(641) 전체는 후술하는 하우징(660) 상에 고정될 수 있으며, 물론 이때의 하우징(660)과 기어 하우징(641)은 서로 통하는 구조로서, 외륜(630)의 기어부(631)와 웜기어(640) 간의 치합을 가능하게 해준다.
이에 따라, 유압모터(650)의 작동에 의해 웜기어(640)가 회전하면, 이와 함께 외륜(630)이 회전하게 되므로서, 이 외륜(630)과 일체식으로 결합되는 연결 프레임(730)을 포함하는 프레임 어셈블리(700) 전체가 회전되고, 결국 락 드릴 본체(100) 또한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2 스윙 장치(600)에는 내외륜(610, 630) 간의 베어링(620) 결속부위로 이물질 등이 침투되는 것을 막아줄 수 있는 하우징(660)이 구비되는데, 이때의 하우징(660)은 서포트 구조물(500)과 내륜(610) 간의 체결시 그 결합부위에 개재되어 함께 체결되는 구조로 설치되며, 이렇게 설치된 상태에서 외륜(630)의 둘레를 커버하여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청구항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변형이나 변경 실시가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0: 락 드릴 본체 110: 피드 프레임
200: 베이스 플레이트 300: 제1 스윙 장치
310, 610: 내륜 320, 620: 베어링
330, 630: 외륜 331, 631: 기어부
340, 640: 웜기어 350, 650: 유압모터
360, 660: 하우징 400: 붐대
500: 서포트 구조물 600: 제2 스윙 장치
700: 프레임 어셈블리 710: 프레임 브라켓
720: 프레임 핀 730: 연결 프레임
800: 제1 틸팅용 실린더 900: 제2 틸팅용 실린더

Claims (6)

  1. 로드를 이용하여 굴착공을 시공하는 한 쌍의 락 드릴 본체(100);
    굴삭기 암(A)에 장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200);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0)의 전면 양측에 각각 일단이 힌지결합되며, 타측 끝단에는 서포트 구조물(500)의 수직회전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제1 스윙 장치(300)가 장착된 붐대(400);
    상기 제1 스윙 장치(300)에 하면이 장착되어 제1 스윙 장치(300)의 구동에 의해 정역회전하는 서포트 구조물(500);
    상기 서포트 구조물(500)의 일측면에 장착되면서 상기 락 드릴 본체(100)의 측방향을 이루는 면과 평행하게 설치되어 락 드릴 본체(100)의 정역회전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제2 스윙 장치(600); 및
    상기 제2 스윙 장치(600)의 구동측과 상기 락 드릴 본체(100)의 측면부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2 스윙 장치(600)의 작동에 의해 정역회전하는 연결 프레임(730)을 구비한 프레임 어셈블리(700);
    를 포함하는 굴삭기 장착용 다관절 트윈 락 드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붐대(400)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0) 사이에는 제1 틸팅용 실린더(800)가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1 틸팅용 실린더(800)의 작동에 의해 붐대(400)가 좌우로 틸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 장착용 다관절 트윈 락 드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윙 장치(300)는,
    중심축 역할을 하는 부분으로서, 수평의 중심축선을 가지면서 상기 붐대(400)의 끝단면에 결합되는 내륜(310);
    베어링(320)을 매개로 하여 상기 내륜(310)의 둘레에 동심원상으로 결합되는 동시에 외주면에는 기어부(331)가 구비되며, 상기 서포트 구조물(500)의 하면에 결합되는 외륜(330); 및
    상기 외륜(330)의 일측에 설치되며, 외륜(330)의 기어부(331)와 맞물리는 웜기어(340)를 이용하여 외륜(330)을 회전시켜주는 유압모터(350);
    를 포함하는 굴삭기 장착용 다관절 트윈 락 드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윙 장치(600)는,
    중심축 역할을 하는 부분으로서, 수평의 중심축선을 가지면서 상기 서포트 구조물(500)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내륜(610);
    베어링(620)을 매개로 하여 상기 내륜(610)의 둘레에 동심원상으로 결합되는 동시에 외주면에는 기어부(631)가 구비되며,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700)의 연결 프레임(730)과 연결되는 외륜(630); 및
    상기 외륜(630)의 일측에 설치되며, 외륜(630)의 기어부(631)와 맞물리는 웜기어(640)를 이용하여 외륜(630)을 회전시켜주는 유압모터(650);
    를 포함하는 굴삭기 장착용 다관절 트윈 락 드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700)는,
    상기 락 드릴 본체(100)의 피드 프레임(110)에 결합되는 프레임 브라켓(710)과, 일측은 수평체결되는 프레임 핀(720)에 의해 상기 프레임 브라켓(710) 측에 힌지구조로 연결되는 동시에 타측은 상기 제2 스윙 장치(600)의 구동측과 연결되어 제2 스윙 장치(600)의 작동에 의해 정역회전하는 연결 프레임(7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 장착용 다관절 트윈 락 드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락 드릴 본체(100)의 피드 프레임(110)과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700) 사이에는 제2 틸팅용 실린더(900)가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2 틸팅용 실린더(900)의 작동에 의해 락 드릴 본체(100)가 틸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 장착용 다관절 트윈 락 드릴.
KR1020180036973A 2018-03-30 2018-03-30 굴삭기 장착용 다관절 트윈 락 드릴 KR201901143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6973A KR20190114377A (ko) 2018-03-30 2018-03-30 굴삭기 장착용 다관절 트윈 락 드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6973A KR20190114377A (ko) 2018-03-30 2018-03-30 굴삭기 장착용 다관절 트윈 락 드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4377A true KR20190114377A (ko) 2019-10-10

Family

ID=68206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6973A KR20190114377A (ko) 2018-03-30 2018-03-30 굴삭기 장착용 다관절 트윈 락 드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1437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4927B1 (ko) * 2019-11-19 2020-02-07 김영국 공사 현장용 다관절 천공 장치
CN113106829A (zh) * 2020-12-25 2021-07-13 罗玉琴 一种工程施工用道路破碎锤
KR102472012B1 (ko) * 2022-07-04 2022-11-29 주식회사 필엔지니어링 에어플러싱 기능을 탑재한 굴삭기용 락드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5476B1 (ko) 2010-07-26 2012-10-30 주식회사 필엔지니어링 틸팅 및 회전가능한 굴삭기용 락 드릴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5476B1 (ko) 2010-07-26 2012-10-30 주식회사 필엔지니어링 틸팅 및 회전가능한 굴삭기용 락 드릴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4927B1 (ko) * 2019-11-19 2020-02-07 김영국 공사 현장용 다관절 천공 장치
CN113106829A (zh) * 2020-12-25 2021-07-13 罗玉琴 一种工程施工用道路破碎锤
KR102472012B1 (ko) * 2022-07-04 2022-11-29 주식회사 필엔지니어링 에어플러싱 기능을 탑재한 굴삭기용 락드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5476B1 (ko) 틸팅 및 회전가능한 굴삭기용 락 드릴 장치
CN108868810B (zh) 悬臂式掘锚一体机
KR20190114377A (ko) 굴삭기 장착용 다관절 트윈 락 드릴
JP6429098B2 (ja) 掘削機を用いた掘削装置
KR100978532B1 (ko) 굴삭기 장착용 락드릴
EA034047B1 (ru) Стволопроходческий комбайн
CN111206931A (zh) 一种悬臂竖井掘进机
CN115929368B (zh) 适用于拱形巷道的锚杆转载机组、组合装置及施工方法
CN210370654U (zh) 一种硬岩双层自平衡伸缩截割臂及悬臂掘进机
CN208900104U (zh) 一种搭载悬切刀破岩的多臂式悬臂掘进机
CN210127854U (zh) 钻臂装置及掘进设备
KR100478029B1 (ko) 무진동 암반파쇄기용 브라켓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암반굴착 방법
CN103615244A (zh) 一种截割头姿态可控悬臂式掘进机
CN110578530A (zh) 一种基于辅助液压凿岩的硬岩掘进设备及工艺
CN210798959U (zh) 掘钻机
CN210003277U (zh) 一种尾部带锚杆钻机的巷道工作装置
KR200483502Y1 (ko) 굴삭기
CN210264685U (zh) 掘锚一体机
CN111997644A (zh) 一种包括铲铣机臂架及铣挖装置的总成
KR101874708B1 (ko) 무진동 터널굴착방법 및 무진동 터널굴착장치
KR101698445B1 (ko) 슬라이딩붐을 이용한 암파쇄장치
CN216811675U (zh) 具有多功能钻机系统的掘锚一体机
RU2126888C1 (ru) Проходческий комбайн
CN212296385U (zh) 一种包括铲铣机臂架及铣挖装置的总成
CN212479288U (zh) 铲锚一体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