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3418A - 원격제어가 가능한 가스 안전 차단장치 - Google Patents

원격제어가 가능한 가스 안전 차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3418A
KR20190113418A KR1020180036073A KR20180036073A KR20190113418A KR 20190113418 A KR20190113418 A KR 20190113418A KR 1020180036073 A KR1020180036073 A KR 1020180036073A KR 20180036073 A KR20180036073 A KR 20180036073A KR 20190113418 A KR20190113418 A KR 201901134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path
gas
opening
control board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60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나연
정병태
Original Assignee
(주)코스모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코스모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코스모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1800360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13418A/ko
Publication of KR201901134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34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44One-way valve
    • F16K31/0655Lift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9Electromagnetically actuated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75Electromagnet aspects, e.g. electric supply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7/00Special means in or on valves or other cut-off apparatu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operation thereof, or for enabling an alarm to be given
    • F16K37/0025Electrical or magnetic means
    • F16K37/0041Electrical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valve parame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7/00Special means in or on valves or other cut-off apparatu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operation thereof, or for enabling an alarm to be given
    • F16K37/0025Electrical or magnetic means
    • F16K37/005Electrical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fluid paramete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eeding And Controlling Fuel (AREA)
  • Safety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스를 장기간 미사용하거나, 가스의 누설이 탐지되거나, 설정된 시간이 되거나 하는 등의 경우에 가스의 유로를 자동으로 차단하여 가스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원격제어가 가능한 가스 안전 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스마트폰과 통신하는 IoT모듈을 내장하여 사용자가 원격에서 가스 안전 차단장치를 모니터링하고 제어할 수 있는 원격제어가 가능한 가스 안전 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원격제어가 가능한 가스 안전 차단장치는 가스가 유입되는 입구와 유출되는 출구를 갖는 유로모듈; 상기 유로모듈을 내장하고, 상기 입구와 출구는 측벽으로 노출되는 하우징; 상기 유로모듈의 유로를 개폐하는 자동 개폐밸브; 상기 자동 개폐밸브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보드; 상기 자동 개폐밸브의 개폐판을 밀어 상기 유로모듈의 유로를 강제로 개방하는 개방로드와, 상기 개방로드의 후방에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의 측벽에 전후진 가능하게 결합되는 푸싱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강제개방유닛; 상기 유로모듈의 유로를 흐르는 가스의 압력을 검출하여 상기 제어보드로 전송하는 압력센서와 상기 푸싱판의 전후진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보드로 전송하는 근접센서가 실장되고, 상기 유로모듈에 장착되는 센싱보드; 상기 센싱보드가 배치된 상기 하우징의 측벽을 구성하며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착탈벽; 상기 제어보드에 연결되고, 사용자의 스마트폰과 통신하여 원격에서 감시 및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Iot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원격제어가 가능한 가스 안전 차단장치{Safety cut-off apparatus for gas}
본 발명은 가스를 장기간 미사용하거나, 가스의 누설이 탐지되거나, 설정된 시간이 되거나 하는 등의 경우에 가스의 유로를 자동으로 차단하여 가스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원격제어가 가능한 가스 안전 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스마트폰과 통신하는 IoT모듈을 내장하여 사용자가 원격에서 가스 안전 차단장치를 모니터링하고 제어할 수 있는 원격제어가 가능한 가스 안전 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정이나 업소에서 난방과 취사를 위해 가스 연료를 주로 사용한다.
가스 연료는 가스배관을 통해 건물 내부까지 공급되고, 가스 레인지나 보일러 등의 가스기기과 배관은 호스를 통해 연결되어 가스 연료가 가스기기로 공급된다.
건물 내의 가스배관에는 가스 연료의 공급을 차단하는 개폐밸브가 의무적으로 설치된다.
개폐밸브로는 사용자가 직접 조작레버를 손으로 돌려 가스의 유로를 폐쇄하는 수동 개폐밸브가 설치된다.
근래에는 가스기기를 점화시킨 상태로 외출하거나 잠드는 등의 부주의로 가스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시간을 설정하거나, 유량이나 압력 등을 감지하여 가스의 유로를 자동으로 폐쇄하는 자동 개폐밸브가 설치되기도 한다.
가스의 유로를 자동으로 개폐하는 자동 개폐밸브에 관한 종래기술로는 등록특허 제10-1442207호 "가스 누설 자동 감지 및 차단장치", 등록실용신안 제20-0484469호 "가스 차단용 밸브 조립체", 공개특허 제10-2017-0079378효 "자동 가스밸브 차단장치" 등이 개시되었다.
종래기술은 가스 안전 차단장치를 현장에서 사용자가 체크하고 조작할 수 밖에 없다. 가스 안전 차단장치는 하우징에 자동 개폐밸브, 압력센서, 제어보드 등을 내장하는데, 압력센서의 유지보수나 교체를 위해 하우징을 개방하기 위해서는 드라이버로 하우징의 개구부를 덮는 커버에 결합된 볼트를 분리해야 하기에 현장에서 직접하기에 번거롭고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가스의 유로를 자동으로 폐쇄하여 가스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원격제어가 가능한 가스 안전 차단장치는 가스 유로를 자동으로 개폐하는 자동 개폐밸브, 가스 유로의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센서, 압력센서에서 검출되는 압력을 분석하여 자동 개폐밸브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보드, 자동 개폐밸브, 압력센서, 제어보드 등을 내장하는 하우징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압력센서는 계속해서 가스 유로의 압력을 검출하고 민감하여 다른 구성품 보다 이상(error)과 고장이 발생할 확률이 높다. 그래서 유지보수와 교체가 필수적이다.
그런데 압력센서의 유지보수나 교체를 위해 하우징을 개방하기 위해서는 드라이버로 하우징의 개구부를 덮는 커버에 결합된 볼트를 분리해야 하기에 현장에서 직접하기에 번거롭고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자동 개폐밸브는 전원이 끊기거나 문제가 발생하여 정상적으로 작동할 수 없는 상태가 되면 가스의 유로를 폐쇄시켜 안전사고를 예방하도록 되어 있다.
그래서 가스 누설 등의 다른 문제는 없으면서 자동 개폐밸브나 제어보드 자체의 문제로 가스 유로가 폐쇄된 경우에 가스기기에 가스를 공급하지 못해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가스 안전 차단장치에 IoT모듈이 구비되고, 사용자의 스마트폰에는 원격제어용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되어서, 원격에서 감시 및 제어가 가능하고, 가스의 사용여부나 누설을 탐지하기 위한 압력센서가 실장된 센싱보드의 유지보수나 교체가 용이하고, 문제가 발생하여 자동 개폐밸브가 유로를 폐쇄한 상태에 있어도 강제개방유닛을 통해 유로를 개방시킬 수 있는 가스 안전 차단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원격제어가 가능한 가스 안전 차단장치는
가스가 유입되는 입구와 유출되는 출구를 갖는 유로모듈;
상기 유로모듈을 내장하고, 상기 입구와 출구는 측벽으로 노출되는 하우징;
상기 유로모듈의 유로를 개폐하는 자동 개폐밸브;
상기 자동 개폐밸브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보드;
상기 자동 개폐밸브의 개폐판을 밀어 상기 유로모듈의 유로를 강제로 개방하는 개방로드와, 상기 개방로드의 후방에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의 측벽에 전후진 가능하게 결합되는 푸싱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강제개방유닛;
상기 유로모듈의 유로를 흐르는 가스의 압력을 검출하여 상기 제어보드로 전송하는 압력센서와 상기 푸싱판의 전후진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보드로 전송하는 근접센서가 실장되고, 상기 유로모듈에 장착되는 센싱보드;
상기 센싱보드가 배치된 상기 하우징의 측벽을 구성하며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착탈벽;
상기 제어보드에 연결되고, 사용자의 스마트폰과 통신하여 원격에서 감시 및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Iot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원격제어가 가능한 가스 안전 차단장치는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이 탑재된 스마트폰을 이용해 원격에서 가스의 누설여부, 사용여부 등을 감시하고 제어할 수 있고,
손가락으로 하우징의 측벽을 구성하는 착탈판을 간편하게 측벽에서 분리시켜 그 안에 배치된 센싱보드의 압력센서를 즉시 유지보수하거나 교체할 수 있고, 가스 사용에 문제가 없음에도 자동 개폐밸브가 유로를 차단한 경우에 강제개방유닛을 이용해 유로를 개방시켜 가스를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강제개방유닛에 의해 유로가 개방된 경우 제어보드를 통해 이를 사용자에게 알려 문제가 해결된 후에도 자동 개폐밸브가 제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되는 것을 예방하고, 수동 개폐밸브와 휴즈콕을 구비하여 이들을 가스 배관에 별도로 구비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비용부담이 없는 원격제어가 가능한 가스 안전 차단장치로서 산업발전에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원격제어가 가능한 가스 안전 차단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원격제어가 가능한 가스 안전 차단장치의 사시도.
도 3 은 도2의 단면도.
도 4 는 도2의 분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원격제어가 가능한 가스 안전 차단장치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원격제어가 가능한 가스 안전 차단장치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원격제어가 가능한 가스 안전 차단장치는 하우징(10), 덮개(20), 착탈벽(30), 유로모듈(40), 자동 개폐밸브(50), 제어보드(80), 센싱보드(90), 강제개방유닛(60), 수동 개폐밸브(70), IoT모듈(10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방향은 도면을 기준으로 상하로 구분한다.
도1을 참조하면, 상기 개폐밸브(70)는 제어보드(7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유로모듈(40)의 유로를 자동으로 개폐하고, 상기 강제개방유닛(60)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유로모듈(40)의 유로를 수동으로 개폐하고, 상기 센싱보드(90)는 상기 유로모듈(40) 유로의 개폐 여부와, 상기 강제개방유닛(60)의 작동여부 등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80)로 전송한다.
상기 IoT모듈(100)은 상기 제어부(80)와 연결되어서 유로의 개폐여부, 가스 안전 차단장치의 작동 상태 등에 대한 정보를 인터넷망을 통해 사용자가 소지하는 스마트폰으로 전송한다.
사용자의 스마트폰에는 원격 감시 및 제어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된다.
사용자는 스마트폰을 통해 가스의 유로와 가스 안전 차단장치의 작동 상태 등을 원격에서 감시하고, 안전 차단장치의 조작이 필요한 경우 스마트폰을 이용해 원격에서 제어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스마트폰에서 전송되는 원격 제어신호는 인터넷망을 통해 IoT모듈(100)로 수신되고, 제어부(80)는 수신된 원격 제어신호를 처리하여 원격 제어되도록 한다.
상기 하우징(10)은 상부가 개방된 박스형 구조를 갖고, 개방된 상부에는 덮개(20)가 결합되어 덮는다.
상기 하우징(10)의 전후방향의 측벽에는 상기 유로모듈(40)의 입구(41)와 출구(42)가 각각 관통하는 관통홀(11, 12)이 형성되고, 정면방향의 측벽에는 상기 강제개방유닛(60)의 푸싱판(61)이 결합되는 결합된다.
상기 하우징(10)의 전방에는 상기 수동 개폐밸브(70)의 바디(71)를 감싸 수용하는 수용부(13)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수용부(13)의 상부면에는 상기 수동 개폐밸브(70)의 조작레버(73)가 관통하여 노출되도록 하는 관통공(14)이 형성된다. 상기 수용부(13)는 바디(71)를 수용하여 지지함으로써, 조작레버(73)를 회전시킬 때 가해지는 하중을 부담한다. 그리하여 반복되어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유로모듈(40)의 유로에 틈새가 발생하거나 하는 등의 손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착탈벽(30)은 상기 하우징(10)의 측벽 일부를 구성하고, 상기 푸싱판(61)이 위치한 하우징(10)의 측벽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착탈벽(30)의 하부측 내면에는 상기 하우징(10)의 바닥에 걸림결합되는 걸림편(31)이 돌출되어 구비되고, 상부측 외면에는 손톱 등을 이용해 착탈벽(30)을 잡아당겨 하우징(10)의 측벽에서 착탈벽(30)을 분리시키는 분리편(33)이 돌출되어 구비된다.
상기 착탈벽(30)의 안쪽 하우징(10) 내부에는 상기 센싱보드(90)가 배치된다.
착탈벽(30)을 하우징(10)에서 분리시키고 그 안에 있는 센싱보드(90)의 교체나 센싱보드(90)에 실장된 압력센서(91), 가변저항(95), 홀센서(93) 등의 유지보수 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상기 덮개(20)는 상기 하우징(10)의 상부측 개구부를 덮는다.
상기 덮개(20)의 내부에는 상기 자동 개폐밸브(5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보드(80)가 장착된다.
상기 덮개(20)의 상부면에는 상기 제어보드(80)에 실장된 조작버튼(81), 표시램프(83), 7-세그먼트(85) 등이 노출되도록 하는 노출홀(21)들이 형성되고, 상기 노출홀(21)들을 덮어 보호하는 보호필름(23)이 부착된다. 보호필름(23)에는 각 노출홀들에 배치도는 조작버튼(81) 등의 기능이나 용도 등을 알리는 문구나 기호가 표시된다.
상기 유로모듈(40)은 상기 하우징(10)에 내장된다.
상기 유로모듈(40)은 가스가 유입되는 입구(41)와, 유출되는 출구(42), 상기 입구(41)에 연결되고 상기 자동 개폐밸브(50)와 강제개방유닛(60)에 결합되는 본체(43)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43)와 출구(42) 사이에는 상기 수동 개폐밸브(70)가 결합된다.
상기 본체(43)의 내부에는 상기 입구(41)와 출구(42)를 연결하는 직선형의 유로를 수직방향으로 전환하는 개폐부(45)가 형성된다.
상기 개폐부에 의해 유로의 방향이 수직으로 전환되고, 전환된 유로를 정면으로 하여, 즉, 가스가 흐르는 방향으로 상기 자동 개폐밸브(50)의 개폐판(51)이 전후진하여 흐르는 가스에 대한 저항으로 개폐판(51)이나 전후진핀(53)이 변형되는 손상을 줄여준다.
상기 자동 개폐밸브(50)는 상기 유로모듈(40)의 본체(43)에 장착되고, 본체(43) 내부의 유로를 개폐한다.
상기 자동 개폐밸브(50)는 상기 본체(43)의 개폐부(45)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개폐판(51)과, 상기 개폐판(51)을 전후진시키는 전후진핀(53)과, 상기 전후진핀(53)의 전후진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55)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부재(55)와 전후진핀(53)은 솔레노이드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가이드부재(55)에는 코일이 감기고, 상기 전후진핀(53)은 자석봉으로 이루어져서,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 발생되는 전자력으로 자석봉이 전진하거나 후진할 수 있다.
상기 강제개방유닛(60)은 상기 자동 개폐밸브(50)에 문제가 발생하거나 상기 제어보드(80)에 문제가 발생되어서, 상기 자동 개폐밸브(50)의 개폐판(51)이 유로를 폐쇄하고 있는 경우에, 상기 개폐판(51)을 밀어 유로를 개방시킴으로써 가스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강제개방유닛(60)은 상기 자동 개폐밸브(50)와 마주보는 쪽에서 상기 유로모듈(40)의 본체(43)에 장착된다.
상기 강제개방유닛(60)은 상기 유로모듈(40)의 내부로 관통되는 개방로드(63)와, 상기 하우징(10)의 측벽에 결합되는 원형캡(67)과, 상기 개방로드(63)의 후방에 연결되고 상기 원형캡(67)에 전후진 가능하게 결합되는 푸싱판(61)과, 상기 개방로드(63)의 외주연으로 삽입되어 본체(43)와 푸싱판(61) 사이에 개재되어 푸싱판(61)을 후방으로 미는 스프링(6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푸싱판(61)의 외주연에는 걸림홈(62)이 형성되고 후면에는 동전홈(61a)이 형성되고, 상기 원형캡(67)의 내면에는 걸림돌기(68)가 형성된다.
상기 푸싱판(61)을 누르면 상기 개방로드(63)가 전진되어 상기 자동 개폐밸브(50)의 개폐판(51)을 밀어 유로를 개방시킨다. 그리고 푸싱판(61)을 누른 상태에서 회전시키면 걸림홈(62)에 걸림돌기(68)가 걸려 푸싱판(61)의 눌림상태가 유지된다. 즉, 개방로드(63)가 개폐판(51)을 밀고 있어 유로는 개방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수동 개폐밸브(70)는 상기 유로모듈(40)의 출구(42)측에 구비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유로를 개폐시킨다.
상기 수동 개폐밸브(70)는 유로 상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개폐볼(75)과, 상기 개폐볼(75)을 회전시켜 유로가 개방 또는 폐쇄되도록 하는 조작레버(73)와, 상기 조작레버(73)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바디(7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사용자는 상기 조작레버(73)를 돌려 유로를 개방하거나 폐쇄시킬 수 있다.
상기 개폐볼(75)과 인접하는 내측의 유로에는 휴즈콕(77)이 구비된다. 상기 휴즈콕(77)은 유로 내의 가스밀도가 일정 수준 이상으로 높아지면 유로를 폐쇄한다. 상기 휴즈콕(77)이 유로를 폐쇄한 경우 상기 개폐볼(75)을 회전시키면 개폐볼(75)이 휴즈콕(77)의 단부를 밀어 유로를 개방시킨다.
상기 제어보드(80)는 상기 자동 개폐밸브(50)의 구동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보드(80)는 압력센서(91)가 검출하는 유로의 압력을 분석하여 가스기기의 가스 사용여부, 가스의 노출 여부 등을 판단한다. 가스의 누출이 있는 경우 자동 개폐밸브(50)를 구동시켜 유로를 폐쇄시키고, 경보음이나 경보램프를 점멸하여 알린다. 그리고 가스를 일정시간 이상 미사용으로 판단되는 때에도 유로를 폐쇄시킨다.
상기 제어보드(80)는 사용자가 입력하는 명령, 사용자가 설정한 시간, 온도센서 등에서 센싱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자동 개폐밸브(50)를 작동시켜 유로를 개방시키거나 폐쇄시킨다.
상기 제어보드(80)에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신호를 입력받는 조작버튼(81), 자동 개폐밸브(50)에 의한 유로의 개폐 여부를 표시하는 표시램프(83), 사용자의 조작이나 시간 설정 등을 표시하여주는 7-세그먼트(85) 등이 구비된다.
상기 센싱보드(90)는 유로 내의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센서(91)와, 상기 강제개방유닛(60)에 의해 유로의 개방 여부를 센싱하는 근접센서(93)가 실장된다.
상기 센싱보드(90)는 상기 강제개방유닛(60) 옆의 유로모듈(40) 본체(43)에 장착된다.
상기 압력센서(91)는 상기 본체(43)를 관통하여 단부가 본체(43) 내부의 유로에 배치된다. 상기 압력센서(91)는 유로의 압력에 따라 저항값이 변화되어 압력을 검출한다.
상기 근접센서(93)는 상기 강제개방유닛(60) 푸싱판(61)의 전후진 상태를 검출한다. 상기 근접센서로는 홀센서(93)가 사용될 수 있다. 즉, 센싱보드(90)에 홀센서(93)가 실장되고, 상기 푸싱판(61)의 내측에는 홀센서(93)를 작동시키는 마그네트(94)가 장착된다. 푸싱판(61)이 눌러 마그네트(94)가 홀센서(93)에 근접되면 홀센서(93)가 이에 반응하여 신호를 상기 제어보드(80)로 전송하고, 푸싱판(61)이 원위치고 복귀하면 마그네트(94)가 홀센서(93)에서 멀어지면 홀센서(93)가 이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보드(80)로 전송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원격제어가 가능한 가스 안전 차단장치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하우징 13 : 수용부
20 : 덮개 23 : 보호필름
30 : 착탈벽 31 : 걸림편
33 : 분리편 40 : 유로모듈
41 : 입구 42 : 출구
43 : 본체 45 : 개폐부
50 : 자동 개폐밸브 51 : 개폐판
53 : 전후진핀 55 : 가이드부재
60 : 강제 개방유닛 61 : 푸싱판
63 : 개방로드 65 : 스프링
70 : 수동 개폐밸브 71 : 바디
73 : 조작레버 75 : 개폐볼
80 : 제어보드 90 : 센싱보드
91 : 압력센서 93 : 홀센서
100 : IoT모듈

Claims (1)

  1. 가스가 유입되는 입구와 유출되는 출구를 갖는 유로모듈;
    상기 유로모듈을 내장하고, 상기 입구와 출구는 측벽으로 노출되는 하우징;
    상기 유로모듈의 유로를 개폐하는 자동 개폐밸브;
    상기 자동 개폐밸브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보드;
    상기 자동 개폐밸브의 개폐판을 밀어 상기 유로모듈의 유로를 강제로 개방하는 개방로드와, 상기 개방로드의 후방에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의 측벽에 전후진 가능하게 결합되는 푸싱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강제개방유닛;
    상기 유로모듈의 유로를 흐르는 가스의 압력을 검출하여 상기 제어보드로 전송하는 압력센서와 상기 푸싱판의 전후진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보드로 전송하는 근접센서가 실장되고, 상기 유로모듈에 장착되는 센싱보드;
    상기 센싱보드가 배치된 상기 하우징의 측벽을 구성하며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착탈벽;
    상기 제어보드에 연결되고, 사용자의 스마트폰과 통신하여 원격에서 감시 및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Iot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원격제어가 가능한 가스 안전 차단장치.
KR1020180036073A 2018-03-28 2018-03-28 원격제어가 가능한 가스 안전 차단장치 KR201901134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6073A KR20190113418A (ko) 2018-03-28 2018-03-28 원격제어가 가능한 가스 안전 차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6073A KR20190113418A (ko) 2018-03-28 2018-03-28 원격제어가 가능한 가스 안전 차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3418A true KR20190113418A (ko) 2019-10-08

Family

ID=68208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6073A KR20190113418A (ko) 2018-03-28 2018-03-28 원격제어가 가능한 가스 안전 차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1341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11823A (zh) * 2022-08-11 2022-11-08 重庆宇泽森智能装备有限公司 燃气管路监测预警系统、方法及存储介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11823A (zh) * 2022-08-11 2022-11-08 重庆宇泽森智能装备有限公司 燃气管路监测预警系统、方法及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95862B1 (en) Gas valve with electronic valve leakage proving system
US10851993B2 (en) Gas valve with overpressure diagnostics
US10697632B2 (en) Gas valve with communication link
EP2604923B1 (en) Gas valve with electronic valve proving system
EP3358256B1 (en) Gas valve with position detection
EP2604922B1 (en) Gas valve with fuel rate monitor
US8947242B2 (en) Gas valve with valve leakage test
US8839815B2 (en) Gas valve with electronic cycle counter
KR100721932B1 (ko) 중간밸브 안전 잠금장치
EP2076715B1 (en) Gas cooking household appliance with automatic gas valves having a safety system
KR20190113418A (ko) 원격제어가 가능한 가스 안전 차단장치
KR101856669B1 (ko) 가스 안전 차단장치
KR102392031B1 (ko) 가스기구용 중간밸브
EP3728913A1 (en) Slam-shut safety device with operational feedback system
KR101402859B1 (ko) 휴대용 가스레인지의 과압 방지를 위한 유로차단 및 복귀장치를 갖춘 안전조정기
US7677085B1 (en) Gas leak detection apparatus
JPS6143653B2 (ko)
KR100388781B1 (ko) 광섬유 케이블을 내장하는 가스 호스 및 이를 이용한원격제어되는 가스 안전시스템
KR100366006B1 (ko) 영구자석을 가스측에 내장한 비접촉식 전자가스밸브
JP2004117171A (ja) ガス安全装置
KR20200009513A (ko) 가스 누설 차단기
TR202100327U5 (tr) Güvenli̇k ci̇hazi
KR200318399Y1 (ko) 가스차단밸브
JP2007078240A (ja) 弁開閉機構
JP2000310400A (ja) ガス流路遮断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