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3392A - 가스 포일 스러스트 베어링 - Google Patents

가스 포일 스러스트 베어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3392A
KR20190113392A KR1020180036015A KR20180036015A KR20190113392A KR 20190113392 A KR20190113392 A KR 20190113392A KR 1020180036015 A KR1020180036015 A KR 1020180036015A KR 20180036015 A KR20180036015 A KR 20180036015A KR 20190113392 A KR20190113392 A KR 201901133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il
slot
circumferential surface
base
inser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60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종원
Original Assignee
한화파워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파워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파워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360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13392A/ko
Priority to PCT/KR2018/004838 priority patent/WO2019189987A1/ko
Publication of KR201901133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33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7/00Sliding-contact 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17/04Sliding-contact 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for axial load only
    • F16C17/042Sliding-contact 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for axial load only with flexible leaves to create hydrodynamic wedge, e.g. axial foil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7/00Sliding-contact 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17/04Sliding-contact 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for axial load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2/00Bear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6C32/06Bear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oving member supported by a fluid cushion formed, at least to a large extent, otherwise than by movement of the shaft, e.g. hydrostatic air-cushion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2/00Bear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6C32/06Bear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oving member supported by a fluid cushion formed, at least to a large extent, otherwise than by movement of the shaft, e.g. hydrostatic air-cushion bearings
    • F16C32/0603Bear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oving member supported by a fluid cushion formed, at least to a large extent, otherwise than by movement of the shaft, e.g. hydrostatic air-cushion bearings supported by a gas cushion, e.g. an air cush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226/00Joining parts; Fastening; Assembling or mounting parts
    • F16C2226/30Material joints
    • F16C2226/36Material joints by we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Support Of The Bearing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스 포일 스러스트 베어링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중심 부분에 삽입홀이 형성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일단이 부착되는 탑포일을 포함하고, 상기 탑포일의 일단과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베이스의 외주면 또는 상기 삽입홀의 내주면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베이스의 외주면 또는 상기 삽입홀의 내주면 중 다른 하나 측으로 슬롯이 형성된다.

Description

가스 포일 스러스트 베어링{Gas foil thrust bearing}
본 발명은 베어링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스 포일 스러스트 베어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회전하는 회전축은 다양한 방향에서 힘을 받을 수 있다. 특히 회전축이 축 방향 힘을 받는 경우 회전축은 회전축의 길이 방향으로 움직임으로써 회전축을 사용하는 장치의 안정성이 문제될 수 있다. 회전축에 가해지는 이러한 축 방향 힘을 지지하기 위하여 스러스트 베어링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스러스트 베어링의 경우 다양한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러스트 베어링은 회전하는 회전축의 일부와 접촉하여 축 방향 힘을 지지하는 접촉식 스러스트 베어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스러스트 베어링은 회전축과 스러스트 베어링 사이에 유체막을 형성하여 회전축을 지지하는 비접촉식 스러스트 베어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이중 비접촉식 스러스트 베어링은 다양한 부재를 서로 용접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때, 다양한 부재의 용접 시 부재의 변형이 발생하는 경우 비접촉식 스러스트 베어링으로써 작용을 하지 못하거나 이를 설치한 장치의 작동이 비정상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비접촉식 스러스트 베어링은 대한민국공개특허 제2017-0118479호(발명의 명칭: 에어 포일 베어링, 출원인: 한온시스템 주식회사)에 구체적으로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2017-0118479호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가스 포일 스러스트 베어링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중심 부분에 삽입홀이 형성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일단이 부착되는 탑포일을 포함하고, 상기 탑포일의 일단과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베이스의 외주면 또는 상기 삽입홀의 내주면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베이스의 외주면 또는 상기 삽입홀의 내주면 중 다른 하나 측으로 슬롯이 형성된 가스 포일 스러스트 베어링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롯은, 상기 베이스의 외주면에서 상기 삽입홀의 내주면 측으로 형성된 제1 슬롯과, 상기 삽입홀의 내주면에서 상기 베이스의 외주면 측으로 형성된 제2 슬롯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홀의 내주면과 상기 베이스의 외주면 사이에 배치되는 임의의 원의 원주는 상기 제1 슬롯과 상기 제2 슬롯을 통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탑포일은 복수개 구비되며, 상기 각 탑포일은 상기 베이스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삽입홀의 내주면 측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된 임의의 원을 형성하도록 상기 베이스에 부착되는 용접점을 포함하고, 상기 원은 상기 슬롯을 통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롯은 상기 베이스의 중심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열변형으로 인한 베이스의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정밀한 가스 포일 스러스트 베어링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회전축의 길이 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을 지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 포일 스러스트 베어링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베이스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스 포일 스러스트 베어링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베이스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1 또는 도 3에 도시된 가스 포일 스러스트 베어링을 포함하는 압축기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본 발명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 포일 스러스트 베어링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베이스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고하면, 가스 포일 스러스트 베어링(100)은 베이스(110), 범프포일(120) 및 탑포일(130)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110)는 바디부(111)와 결합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부(111)는 원형의 고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바디부(111)의 중심 부분에는 삽입홀(113)이 형성되어 회전축(미도시)가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바디부(111)에는 슬롯(114)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슬롯(114)은 복수개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슬롯(114)은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슬롯(114)은 바디부(111)의 외주면(115)으로부터 삽입홀(113)의 내주면(116) 측으로 형성되는 제1 슬롯(114-1)과 삽입홀(113)의 내주면(116)으로부터 바디부(111)의 외주면(115) 측으로 형성된 제2 슬롯(114-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슬롯(114-1)은 바디부(111)의 외주면(115) 측이 개구될 수 있으며, 제2 슬롯(114-2)은 삽입홀(113)의 내주면(116) 측이 개구될 수 있다. 제1 슬롯(114-1)과 제2 슬롯(114-2)은 각각 복수개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제1 슬롯(114-1)은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제2 슬롯(114-2)도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각 제1 슬롯(114-1)과 각 제2 슬롯(114-2)은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접하는 제1 슬롯(114-1) 사이에 제2 슬롯(114-2)이 배치될 수 있으며, 인접하는 제2 슬롯(114-2) 사이에 제1 슬롯(114-1)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각 제1 슬롯(114-1)과 각 제2 슬롯(114-2)는 서로 교번하도록 바디부(111)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제1 슬롯(114-1)과 복수개의 제2 슬롯(114-2) 중 서로 인접하는 제1 슬롯(114-1)과 제2 슬롯(114-2) 및 바디부(111)가 형성하는 각도는 서로 동일하도록 복수개의 제1 슬롯(114-1)과 복수개의 제2 슬롯(114-2)는 바디부(111)에 서로 일정간격을 형성하도록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특히 복수개의 제1 슬롯(114-1)과 복수개의 제2 슬롯(114-2)가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경우 바디부(111)가 변형될 때 각 슬롯 부분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정도의 변형이 발생됨으로써 바디부(111)의 과도한 뒤틀림이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슬롯(114-1)과 각 제2 슬롯(114-2)은 바디부(111)의 외주면(115)과 삽입홀(113)의 내주면(116) 사이에 임의의 제1 원(C)을 그릴 때 제1 원(C)과 겹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임의의 제1 원(C)과 바디부(111)의 외주면(115) 사이의 거리 및 제1 원(C)과 삽입홀(113)의 내주면(116) 사이 거리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특히 제1 슬롯(114-1)의 끝단에서 삽입홀(113)의 내주면(116)까지의 거리는 제2 슬롯(114-2)의 길이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제2 슬롯(114-2)의 끝단에서 바디부(111)의 외주면(115)까지의 거리는 제1 슬롯(114-1)의 길이보다 작을 수 있다. 이때, 바디부(111)의 외주면(115), 삽입홀(113)의 내주면(116) 및 제1 원(C)은 중심이 동일한 원일 수 있다. 제1 슬롯(114-1)과 제2 슬롯(114-2)은 바디부(111)의 중심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슬롯(114-1)의 길이방향 또는 제2 슬롯(114-2)의 길이 방향으로 임의의 직선을 배치하는 경우 이러한 직선은 바디부(111)의 중심을 통과할 수 있다.
결합부(112)는 바디부(111)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결합부(112)에는 볼트, 나사 등이 삽입되도록 삽입홈(112-1)이 형성될 수 있다.
범프포일(120)은 바디부(111)의 일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범프포일(120)은 복수개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범프포일(120)은 바디부(111)의 일면에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바디부(111)의 일면에 고정될 수 있다.
범프포일(120)은 펌프포일고정부(121)와 범프포일날개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펌프포일고정부(121)는 바디부(111)에 범프포일(120)을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펌프포일고정부(121)는 바디부(111)의 외주면(115)에서 삽입홀(113)의 내주면(116)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즉, 펌프포일고정부(121)는 바디부(111)의 중심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범프포일날개부(122)는 적어도 일부분이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범프포일날개부(122)는 적어도 일부분이 아치형, 반원형 등과 같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범프포일날개부(122)는 복수개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범프포일날개부(122)는 펌프포일고정부(1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펌프포일고정부(121)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각 범프포일날개부(122)의 크기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개의 범프포일날개부(122)의 크기는 바디부(111)의 외주면(115)으로부터 삽입홀(113)의 내주면(116)으로 올수록 작아질 수 있다.
탑포일(130)은 범프포일(120)의 상면에 배치되어 바디부(111)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탑포일(130)의 일단만이 바디부(111)에 고정될 수 있으며, 탑포일(130)의 타단은 바디부(111)에 고정되지 않고 자유로운 상태일 수 있다. 이때, 탑포일(130)의 일단은 탑포일(130)의 타단보다 바디부(111)에 가깝게 배치됨으로써 후술할 저널부(미도시)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탑포일(130)는 상기 저널부와의 간격을 상이하게 함으로써 탑포일(130)과 상기 저널부 사이의 기체의 유동속도 및 압력을 가변시켜 상기 저널부를 탑포일(130)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다. 이러한 탑포일(130)은 복수개의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탑포일(130)은 서로 이격되도록 바디부(111)에 배치되어 바디부(111)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각 탑포일(130)은 각 범프포일(120)에 대응되도록 배치되어 각 범프포일(120)을 차폐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가스 포일 스러스트 베어링(100)의 조립을 살펴보면, 베이스(110)에 범프포일(120)을 용접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펌프포일고정부(121)를 바디부(111)의 외주면(115)으로부터 삽입홀(113)의 내주면(116) 방향으로 배치됨으로써 바디부(111)의 중심 방향(예를 들면, 삽입홀(113)의 중심방향)을 향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펌프포일고정부(121)가 배치된 후 펌프포일고정부(121)를 용접하여 바디부(111)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펌프포일고정부(121)에 형성되는 용접점은 범프포일고정부(1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수행될 수 있다. 특히 펌프포일고정부(121)에 형성되는 용접점은 점용접 형태로 형성되어 바디부(111)의 외주면(115)으로부터 삽입홀(113)의 내주면(116)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펌프포일고정부(121)가 바디부(111)에 용접되는 경우 용접으로 인하여 바디부(111)는 열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즉, 바디부(111)의 외주면(115)은 삽입홀(113)의 내주면(116)과 크기가 상이함으로써 열에 의해 변형되는 거리가 상이해짐으로써 삽입홀(113) 부분이 바디부(111)의 외주면(115)보다 높아질 수 있다. 이때, 제1 슬롯(114-1) 및 제2 슬롯(114-2) 중 적어도 하나가 이러한 변형을 저감시킬 수 있다. 즉, 제1 슬롯(114-1) 및 제2 슬롯(114-2) 중 적어도 하나가 구비됨으로써 바디부(111)에서 열로 인한 변형이 발생하는 경우 제1 슬롯(114-1) 및 제2 슬롯(114-2) 중 적어도 하나가 이러한 변형을 수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범프포일(120)을 바디부(111)에 용접 시 발생하는 바디부(111)의 열변형을 저감시킴으로써 바디부(111)의 형상이 뒤틀리거나 변형되는 것을 저감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펌프포일고정부(121)를 용접 한 후 탑포일(130)을 바디부(111)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탑포일(130)의 일단을 바디부(111)에 용접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용접은 점용접 형태로 수행될 수 있다. 특히 탑포일(130)에 형성된 용접점은 일직선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용접점이 형성하는 선분은 바디부(111)의 외주면(115)으로부터 삽입홀(113)의 내주면(116) 방향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탑포일(130)이 고정되는 부분은 펌프포일고정부(121)와 반대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자유로운 탑포일(130)의 타단은 펌프포일고정부(121)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슬롯(114-1) 또는 제2 슬롯(114-2) 중 하나는 펌프포일고정부(121)와 가까운 바디부(111)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슬롯(114-1) 또는 제2 슬롯(114-2) 중 다른 하나는 탑포일(130)의 일단과 가까운 바디부(111)에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제1 슬롯(114-1) 및 제2 슬롯(114-2)은 인접하는 탑포일(1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슬롯(114-1) 및 제2 슬롯(114-2)은 탑포일(130) 및 범프포일(120)과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제1 슬롯(114-1) 및 제2 슬롯(114-2) 중 적어도 하나는 범프포일(120) 및 탑포일(130) 중 적어도 하나를 바디부(111)에 고정시키는 경우 바디부(111)에 가해지는 열에 의한 바디부(111)의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다. 특히 제1 슬롯(114-1) 및 제2 슬롯(114-2) 중 적어도 하나는 범프포일(120) 및 탑포일(130) 중 적어도 하나를 바디부(111)에 용접하는 바디부(111) 부분에 최대한 근접하게 배치됨으로써 바디부(111)의 열 변형 시 발생하는 바디부(111)의 변위를 흡수할 수 있다.
따라서 가스 포일 스러스트 베어링(100)은 베이스(110)의 변형을 최소화함으로써 정밀한 성능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가스 포일 스러스트 베어링(100)은 베이스(110)가 뒤틀리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이러한 뒤틀림 및 변형을 저감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스 포일 스러스트 베어링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베이스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가스 포일 스러스트 베어링(100A)은 베이스(110A), 지지포일(120A-1), 스프링포일(120A-2) 및 탑포일(130A)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110A)는 바디부(111A)와 결합부(112A)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결합부(112A)는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바디부(111A)는 내부에 삽입홀(113A)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바디부(111A)에는 슬롯(114A)이 형성될 수 있다. 슬롯(114A)은 바디부(111A)의 외주면(115A)으로부터 삽입홀(113A)의 내주면(116A)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슬롯(114A)은 바디부(111A)의 외주면(115A) 측이 개구될 수 있다. 이러한 슬롯(114A)은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개의 슬롯(114A)은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슬롯(114A) 중 적어도 하나는 탑포일(130A)이 용접되는 용접라인(L, 또는 용접점을 연결한 원)과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슬롯(114A)은 바디부(111A)의 중심을 기준으로 인접하는 슬롯(114A)와 바디부(111A)가 형성하는 각도가 동일하도록 바디부(111A)에 배치될 수 있다.
지지포일(120A-1)은 바디부(111A)에 배치되어 바디부(111A)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지지포일(120A-1)은 탑포일(130A)의 하면과 접촉하여 탑포일(130A)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지지포일(120A-1)은 일부가 바디부(111A)에 용접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특히 지지포일(120A-1)은 바디부(111A)에 점용접으로 고정될 수 있다.
스프링포일(120A-2)은 지지포일(120A-1)과 인접하게 배치되어 탑포일(130A)을 지지할 수 있다. 이때, 스프링포일(120A-2)은 바디부(111A)에 점용접을 통하여 고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지지포일(120A-1)과 스프링포일(120A-2)은 서로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지지포일(120A-1)과 스프링포일(120A-2)은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지지포일(120A-1)과 스프링포일(120A-2)은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되어 서로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지지포일(120A-1)과 스프링포일(120A-2)은 각각 복수개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지지포일(120A-1)은 서로 이격되도록 바디부(111A)에 배치될 수 있고, 복수개의 스프링포일(120A-2)은 서로 이격되도록 바디부(111A)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각 스프링포일(120A-2)의 용접부위와 각 지지포일(120A-1)의 용접부위를 연결하면 하나의 원을 형성할 수 있다.
탑포일(130A)은 지지포일(120A-1)과 스프링포일(120A-2)의 상면에 배치되어 바디부(111A)에 결합할 수 있다. 이때, 탑포일(130A)은 바디부(111A)에 결합하는 탑포일고정부(132A)와 탑포일고정부(132A)에 연결되는 날개부(131A)를 포함할 수 있다. 탑포일고정부(132A)는 지지포일(120A-1)의 일부 또는 스프링포일(120A-2)의 일부 중 하나의 상면에 배치되어 용접을 통하여 결합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탑포일고정부(132A)는 지지포일(120A-1)의 일부 또는 스프링포일(120A-2)의 일부 중 하나와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되어 바디부(111A)에 직접 용접을 통하여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탑포일고정부(132A)는 바디부(111A)의 외주면(115A)과 유사하게 곡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날개부(131A)는 탑포일고정부(132A)와 연결되며, 바디부(111A)와 같이 유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날개부(131A)는 탑포일고정부(132A)로부터 삽입홀(113A)의 내주면(116A) 방향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탑포일(130A)은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각 탑포일고정부(132A)에 형성된 용접점(P)을 서로 연결하면 하나의 원(L)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원은 상기에서 설명한 지지포일(120A-1)의 용접점을 연결한 원 및 스프링포일(120A-2)의 용접점을 연결한 원과 동일하거나 근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탑포일고정부(132A)에 형성된 용접점(P)가 형성하는 원(L), 지지포일(120A-1)의 용접점을 연결한 원 및 스프링포일(120A-2)의 용접점을 연결한 원이 모두 동일한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경우 슬롯(114A)은 탑포일고정부(132A)에 형성된 용접점(P)가 형성하는 원(L), 지지포일(120A-1)의 용접점을 연결한 원 및 스프링포일(120A-2)의 용접점을 연결한 원이 모두 통과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슬롯(114A)의 끝단은 탑포일고정부(132A)에 형성된 용접점(P)가 형성하는 원(L), 지지포일(120A-1)의 용접점을 연결한 원 및 스프링포일(120A-2)의 용접점을 연결한 원 중 삽입홀(113A)와 가장 가까운 원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탑포일고정부(132A)에 형성된 용접점(P)가 형성하는 원(L), 지지포일(120A-1)의 용접점을 연결한 원 및 스프링포일(120A-2)의 용접점을 연결한 원은 바디부(111A)의 외주면(115A)과 중심이 같은 동심원 형태일 수 있다.
각 탑포일(130A)의 날개부(131A)는 지지포일(120A-1)과 스프링포일(120A-2)을 차폐시킬 뿐만 아니라 인접하는 다른 탑포일(130A)의 날개부(131A)의 적어도 일부를 차폐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가스 포일 스러스트 베어링(100A)의 제조 방법을 살펴보면, 바디부(111A)에 지지포일(120A-1)과 스프링포일(120A-2)을 배치하여 용접을 통하여 바디부(111A)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용접은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점 형태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의 과정이 완료되면, 탑포일(130A)을 배치한 후 지지포일(120A-1) 또는 스프링포일(120A-2)에 용접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용접이 수행되는 경우 바디부(111A)는 용접하는 동안 가해지는 열로 인하여 변형될 수 있다. 이때, 상기와 같이 용접을 점 용접 형태로 수행함으로써 바디부(111A)에 가해지는 열을 최소화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와 같이 용접을 수행하는 경우 바디부(111A)에 열이 가해지면, 바디부(111A)가 변형될 수 있다. 이때, 슬롯(114A)은 바디부(111A)가 수축하거나 늘어날 때 어느 정도 유격을 줌으로써 바디부(111A)의 삽입홀(113A) 부분이 바디부(111A)의 외주면(115A)보다 올라가거나 내려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슬롯(114A)은 탑포일(130A)의 용접점이 형성하는 하나의 원과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탑포일(130A)의 용접점을 서로 연결하여 만들어지는 임의의 원이 슬롯(114A)을 통과하여 지나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슬롯(114A)은 열로 인하여 변위가 가장 많이 가변하는 부분을 서로 분리함으로써 바디부(111A)의 다른 영역으로 이러한 변위의 변화가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슬롯(114A)은 지지포일(120A-1), 스프링포일(120A-2) 및 탑포일(130A)의 용접 부위와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가스 포일 스러스트 베어링(100A)은 베이스(110A)의 변형을 최소화함으로써 정밀한 성능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가스 포일 스러스트 베어링(100A)은 베이스(110A)가 뒤틀리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이러한 뒤틀림 및 변형을 저감시킬 수 있다.
도 5는 도 1 또는 도 3에 도시된 가스 포일 스러스트 베어링을 포함하는 압축기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압축기(10)는 하우징(1), 임펠러(2), 회전축(3), 구동부(4) 및 가스 포일 스러스트 베어링(100,100A)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은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기체를 안내하며, 임펠러(2)가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하우징(1)은 스크롤부(1-1)를 구비하여 임펠러(2)에서 압축된 기체를 외부로 안내할 수 있다.
임펠러(2)는 하우징(1) 내부에 배치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기체를 압축하여 스크롤부(1-1)로 공급할 수 있다.
회전축(3)은 하우징(1) 내부에 배치되며, 임펠러(2)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회전축(3)은 중심축(3-1)과 저널부(3-2)를 포함할 수 있다. 중심축(3-1)은 샤프트 형태로 형성되어 임펠러(2)와 결합할 수 있다. 저널부(3-2)는 중심축(3-1)의 길이 방향에 대해서 수직한 방향으로 중심축(3-1)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동부(4)는 회전축(3)과 연결되어 회전축(3)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구동부(4)는 하우징(1)에 배치되는 고정자(4-1)와 회전축(3)에 배치되는 회전자(4-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고정자(4-1) 또는 회전자(4-2) 중 하나는 전자석을 포함할 수 있으며, 고정자(4-1) 또는 회전자(4-2) 중 다른 하나는 영구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고정자(4-1)가 전자석을 포함하고, 회전자(4-2)가 영구자석을 포함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가스 포일 스러스트 베어링(100,100A)은 하우징(1)에 고정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가스 포일 스러스트 베어링(100,100A)은 저널부(3-2)와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특히 가스 포일 스러스트 베어링(100,100A)은 서로 대향하도록 저널부(3-2)의 양면 각각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가스 포일 스러스트 베어링(100,100A)은 회전축(3)의 회전 시 회전축(3)에 가해지는 축 방향 힘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압축기(10)는 구동부(4)의 작동에 따라 회전축(3)이 회전하면서 임펠러(2)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임펠러(2)의 회전에 따라 압축된 기체는 스크롤부(1-1)를 선회하여 외부로 공급될 수 있다.
임펠러(2)의 회전에 따라 하우징(1) 내부로 진입하는 기체는 가스 포일 스러스트 베어링(100,100A)과 저널부(3-2) 사이로 진입할 수 있다. 이때, 가스 포일 스러스트 베어링(100,100A)과 저널부(3-2)과 저널부(3-2) 사이에서 기체가 통과하면서 기체막을 형성하고, 이러한 기체막으로 인하여 저널부(3-2)가 중심축(3-1)의 길이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가스 포일 스러스트 베어링(100,100A)은 회전축(3)의 축 방향을 지지하므로 전 영역에서 형상이 균일하여야 한다. 이때, 가스 포일 스러스트 베어링(100,100A)의 조립 시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열변형이 발생하여 베이스(미도시)가 변형되는 경우 회전축(3)의 위치를 유지시키지 못함으로써 압축기(10)의 성능이 저하되거나 운전 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다.
그러나 가스 포일 스러스트 베어링(100,100A)은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상기 베이스의 변형을 최소화함으로써 최적의 성능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가스 포일 스러스트 베어링(100,100A)은 상기 베이스의 일부가 서로 분리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베이스 자체의 탄성력으로 인하여 외력을 흡수하거나 외력이 제거된 후 원상태로 용이하게 복귀할 수 있다. 특히 가스 포일 스러스트 베어링(100,100A)는 제조 시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일부분이 돌출되어 저널부(3-2)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압축기(10)는 구동 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구동 시 발생되는 축력을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압축기(10)는 설계 치와 근사하게 작동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한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 하우징
2: 임펠러
3: 회전축
4: 구동부
10: 압축기
100,100A: 가스 포일 스러스트 베어링
110,110A: 베이스
111,111A: 바디부
112,112A: 결합부
113,113A: 삽입홀
114,114A: 슬롯
115,115A: 외주면
116,116A: 내주면
120: 범프포일
120A-1: 지지포일
120A-2: 스프링포일
130,130A: 탑포일
131A: 날개부
132A: 탑포일고정부

Claims (5)

  1. 중심 부분에 삽입홀이 형성되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에 일단이 부착되는 탑포일;를 포함하고,
    상기 탑포일의 일단과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베이스의 외주면 또는 상기 삽입홀의 내주면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베이스의 외주면 또는 상기 삽입홀의 내주면 중 다른 하나 측으로 슬롯이 형성된 가스 포일 스러스트 베어링.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은,
    상기 베이스의 외주면에서 상기 삽입홀의 내주면 측으로 형성된 제1 슬롯; 및
    상기 삽입홀의 내주면에서 상기 베이스의 외주면 측으로 형성된 제2 슬롯;을 포함하는 가스 포일 스러스트 베어링.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홀의 내주면과 상기 베이스의 외주면 사이에 배치되는 임의의 원의 원주는 상기 제1 슬롯과 상기 제2 슬롯을 통과하는 가스 포일 스러스트 베어링.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탑포일은 복수개 구비되며,
    상기 각 탑포일은 상기 베이스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삽입홀의 내주면 측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된 임의의 원을 형성하도록 상기 베이스에 부착되는 용접점을 포함하고,
    상기 원은 상기 슬롯을 통과하는 가스 포일 스러스트 베어링.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은 상기 베이스의 중심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된 가스 포일 스러스트 베어링.
KR1020180036015A 2018-03-28 2018-03-28 가스 포일 스러스트 베어링 KR2019011339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6015A KR20190113392A (ko) 2018-03-28 2018-03-28 가스 포일 스러스트 베어링
PCT/KR2018/004838 WO2019189987A1 (ko) 2018-03-28 2018-04-26 가스 포일 스러스트 베어링 및 이를 포함하는 압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6015A KR20190113392A (ko) 2018-03-28 2018-03-28 가스 포일 스러스트 베어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3392A true KR20190113392A (ko) 2019-10-08

Family

ID=68059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6015A KR20190113392A (ko) 2018-03-28 2018-03-28 가스 포일 스러스트 베어링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90113392A (ko)
WO (1) WO2019189987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6591B1 (ko) * 2021-06-29 2021-12-07 하이터빈 주식회사 방열기능이 구비된 스러스트 베어링
KR20220120382A (ko) * 2021-02-23 2022-08-30 유한회사 아르젠터보 트러스트 에어포일 베어링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9216937A1 (de) * 2019-11-04 2021-05-06 Robert Bosch Gmbh Folienaxiallager
CN111322311A (zh) * 2020-02-27 2020-06-23 至玥腾风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动压滑片轴承转子系统、电机及电器
CN116989060B (zh) * 2023-09-27 2023-12-05 亿昇(天津)科技有限公司 一种推力轴承及轴系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8479A (ko) 2016-04-15 2017-10-25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에어 포일 베어링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66991A1 (en) * 2002-10-03 2004-04-08 R & D Dynamics Corporation High load capacity foil thrust bearings
KR100590139B1 (ko) * 2005-04-14 2006-06-19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포일 스러스트 베어링
WO2010024473A1 (en) * 2008-08-25 2010-03-04 Kturbo, Inc. Thrust foil bearing
KR101204194B1 (ko) * 2010-12-07 2012-1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스 포일 스러스트 베어링 및 그것을 구비하는 원심 압축기
JP2016075324A (ja) * 2014-10-03 2016-05-12 株式会社Ihi スラスト軸受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8479A (ko) 2016-04-15 2017-10-25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에어 포일 베어링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0382A (ko) * 2021-02-23 2022-08-30 유한회사 아르젠터보 트러스트 에어포일 베어링
KR102336591B1 (ko) * 2021-06-29 2021-12-07 하이터빈 주식회사 방열기능이 구비된 스러스트 베어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89987A1 (ko) 2019-10-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13392A (ko) 가스 포일 스러스트 베어링
KR102456838B1 (ko) 에어 포일 저널 베어링
US10808757B2 (en) Air bearing and rotor system
JPWO2019026673A1 (ja) 回転駆動装置、回転駆動装置の組付方法、軸流送風器、軸流送風器の組付方法及びレーザ発振装置
JP6012505B2 (ja) 軸シール装置及び回転機械
US10641125B2 (en) Nozzle drive mechanism, turbocharger, and variable-capacity turbocharger
KR20190027730A (ko) 래비린스 시일 및 래비린스 시일 구조
JP2016223426A (ja) タービン用フレキシブルパッキンリング
EP2894337B1 (en) Rotary compress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WO2016194677A1 (ja) シール装置および回転機械
KR102247594B1 (ko) 볼류트 케이싱 및 이를 구비한 회전 기계
US11078925B2 (en) Vacuum pump and rotating cylindrical body included in vacuum pump
US11035403B2 (en) Radial force support apparatus
KR20190118650A (ko) 가변 정익 및 압축기
KR20200122496A (ko) 축하중 지지 장치
JPH0324561B2 (ko)
KR102442191B1 (ko) 에어포일 베어링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압축기
KR102240987B1 (ko) 베어링 장치 및 회전기계
JP2010159858A (ja) ダンパー構造及び回転機械
KR102634145B1 (ko) 포일 스러스트 베어링
JPH06221102A (ja) 動翼シュラゥド
JP2021025505A (ja) ベーンポンプ
CN114776710B (zh) 径向气体轴承装置及电机
WO2019077962A1 (ja) 過給機のシール構造
KR102598988B1 (ko) 압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