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3162A - 이종 블록체인 기반의 토큰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토큰 관리 서버 - Google Patents

이종 블록체인 기반의 토큰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토큰 관리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3162A
KR20190113162A KR1020180035466A KR20180035466A KR20190113162A KR 20190113162 A KR20190113162 A KR 20190113162A KR 1020180035466 A KR1020180035466 A KR 1020180035466A KR 20180035466 A KR20180035466 A KR 20180035466A KR 20190113162 A KR20190113162 A KR 201901131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yptocurrency
exchange
user
management server
token man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54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계한
윤경호
김봉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웨이투빗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웨이투빗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웨이투빗
Priority to KR10201800354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13162A/ko
Publication of KR201901131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31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5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using an alias or single-use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06Q20/06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1Currency convers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 G06Q20/3827Use of message hash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종 블록체인 기반의 토큰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토큰 관리 서버에 관한 것으로, 제1 암호화폐를 소유한 사용자에 의한 제1 암호화폐의 제2 암호화폐로의 교환 요청에 대응하여 제1 블록체인으로 하여금 교환 요청된 제1 암호화폐의 소유권이 사용자로부터 토큰 관리 서버로 이전되도록 하며, 교환 요청된 제1 암호화폐에 대응되는 제2 암호화폐를 발행하고, 제2 블록체인으로 하여금 발행된 제2 암호화폐의 소유권이 토큰 관리 서버로부터 사용자로 이전되도록 하며, 제2 암호화폐를 소유한 사용자에 의한 제2 암호화폐의 제1 암호화폐로의 교환 요청에 대응하여 제2 블록체인으로 하여금 교환 요청된 제2 암호화폐의 소유권이 사용자로부터 토큰 관리 서버로 이전되도록 하며, 교환 요청된 제2 암호화폐를 폐기하고, 제1 블록체인으로 하여금 폐기된 제2 암호화폐에 대응되는 제1 암호화폐의 소유권이 토큰 관리 서버로부터 사용자로 이전되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이종 블록체인 기반의 토큰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토큰 관리 서버{METHOD FOR MANAGING TOKEN BASED ON HETEROGENEOUS BLOCKCHAINS, AND TOKEN MANAGEMENT SERVE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이종 블록체인 기반의 토큰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토큰 관리 서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1 암호화폐를 소유한 사용자에 의한 제1 암호화폐의 제2 암호화폐로의 교환 요청에 대응하여 제1 블록체인으로 하여금 교환 요청된 제1 암호화폐의 소유권이 사용자로부터 토큰 관리 서버로 이전되도록 하며, 교환 요청된 제1 암호화폐에 대응되는 제2 암호화폐를 발행하고, 제2 블록체인으로 하여금 발행된 제2 암호화폐의 소유권이 토큰 관리 서버로부터 사용자로 이전되도록 하며, 제2 암호화폐를 소유한 사용자에 의한 제2 암호화폐의 제1 암호화폐로의 교환 요청에 대응하여 제2 블록체인으로 하여금 교환 요청된 제2 암호화폐의 소유권이 사용자로부터 토큰 관리 서버로 이전되도록 하며, 교환 요청된 제2 암호화폐를 폐기하고, 제1 블록체인으로 하여금 폐기된 제2 암호화폐에 대응되는 제1 암호화폐의 소유권이 토큰 관리 서버로부터 사용자로 이전되도록 하는 이종 블록체인 기반의 토큰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토큰 관리 서버에 관한 것이다.
기존 산업에서는 콘텐츠 정보 발신자와 수신자 간 신뢰 문제가 항상 존재해 왔다. 그 이유는 있는 그대로의 사실을 제공했는지 여부의 증명과 확인이 어렵고, 해당 정보들에 대한 투명한 공개가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이러한 정보들은 언제나 수정할 수 있고, 유실될 수 있는 특성을 가졌기 때문이다.
특히, 콘텐츠 제공자가 선의의 정보를 제공한 경우라도, 사용자로서는 해당 정보에 대한 사실 여부를 확인하기가 어려우며, 제공자 역시 정보의 사실성을 증명하고 이해시키기 쉽지 않다. 일 예로, 온라인 포커 게임에서 매 게임 무작위로 섞인 카드 패가 공정하게 배분된다는 정보에 대해 게임 플레이어는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기 어렵다. 다른 예로, 랜덤 상자에서 희귀한 게임 아이템을 1%의 확률로 얻을 수 있다는 정보를 제공하더라도, 사용자는 여전히 그 정보를 믿지 못하고 상품 구매를 주저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사실 여부를 떠나 정보를 있는 그대로 투명하게 제공하는 것 또한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즉, 서버와 DB를 소유하고 있는 콘텐츠 제공자는 정보의 기록과 보관, 공개 여부를 스스로 통제할 수 있으며, 그 때문에 사용자들은 어떤 정보들이 기록되고 그 중 어느 수준의 정보가 공개되는지 알기 어려웠다. 일 예로, 일부 제도적으로 의무화된 서비스를 제외하고 대부분의 온라인 포커 게임들은 매 게임의 진행 내용과 결과 처리에 대한 정보(Hand history)를 제공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모바일 게임들은 앱 내 구매(In-app purchase)를 통해 판매하는 확률형 상품에 관한 개별 확률과 기대값을 제공하지 않는다.
또한, DB에 담긴 이 정보들은 버그, 운영자의 실수 혹은 고의에 의해 언제든 수정, 변조가 가능하고, 때로는 정보가 유실되거나 심지어 존재하지도(기록해두지도) 않는 경우가 있으며, 이러한 정보의 가역성은 서비스 신뢰도에 나쁜 영향을 미쳐왔다.
그리고, 이러한 문제들은 적지 않은 비용 낭비를 발생시키기도 한다. 예를 들어, 온라인 포커 서비스에서 발생되는 고객 문의의 대부분은 '패 조작 의심과 게임 기록에 대한 불신' 또는 '내 게임 머니가 분실되었거나 해킹되었다'와 관련한 내용들이며, 온라인 포커 서비스 제공자는 이런 항의와 문의를 처리하기 위해 별도의 상담 조직과 대규모 인력을 운영하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게임, 커뮤니티, 겜블링, 엔터테인먼트 등 콘텐츠 제공자는 콘텐츠를 제작하거나 유통하고 동시에 그와 관련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며, 사용자는 시간 투자, 참여, 노력, 몰입, 결제 행위 등을 통해 콘텐츠를 즐기고 소비한다. 그 결과로 콘텐츠 제공자는 직접적인 수익 또는 이익의 원천을 얻고, 사용자는 감정, 경험, 디지털 자산을 얻는다. 이렇게 양자 간 가치가 거래되며(trade off) 얻어진 것임에도, 사용자 자산의 상당 부분은 온전히 본인의 것이 될 수 없다. 그 이유는 사용자 디지털 자산의 대부분이 콘텐츠 제공자의 서비스에 의존한 구조이기 때문이다.
일 예로, 사용자가 적립한 '1억개의 게임 머니', 커뮤니티에서 쌓은 '플래티넘 명성 등급', 시간과 돈을 들여 완성한 '전투력 10만의 군대'는 모두 해당 콘텐츠 서비스가 중단되면 사용자가 그것을 얻고 적립하는 데에 얼마나 많은 시간과 노력, 돈을 들였는지 여부와 관계없이 사라진다. 이러한 사용자 자산 의존성, 즉 어차피 내 것이 아니라고 생각하는 부분이 사용자들의 참여, 몰입, 지불 수준을 낮추게 되며, 그에 따라 콘텐츠 제공자들은 충성도 높은 사용자를 찾기 위해 더 큰 노력과 비용을 들일 수밖에 없다.
더불어, '일대다(一對多)' 형태를 보이는 사용자와 콘텐츠 서비스 제공자 간 관계 구조상, 동일 사용자의 것임에도 서로 다른 서비스에서 축적된 자산들은 하나로 통합되거나 일관된 기준으로 가치 측정될 수 없다. 즉, 가치를 측정할 수 없는 자산은 소유, 교환, 거래의 대상이 되기 어려우며, 결과적으로 이러한 성격의 자산을 얻기 위해 본인의 노력을 제공하고 금액을 지불하고자 하는 사용자들은 상대적으로 소수일 수밖에 없다.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게임 등 콘텐츠 제공자들은 앱 내 구매(In-app purchase) 또는 프리미엄(Freemium) 모델 기반에서 사용자 구매 전환율을 조금이라도 높이기 위해 큰 비용을 지출하고 치열한 경쟁을 벌여야 한다.
또한, 콘텐츠 서비스의 자산은 그 가치가 쉽게 훼손되거나 상실될 수 있다. 사용자가 수년간의 플레이를 통해 축적한 블랙잭 게임머니 1억 개는 해킹이나 어뷰징에 의해 게임 머니 복제가 발생하면서 그 가치가 1/100로 줄어들 수 있다. 어느 날 블랙잭 사업자가 신규 회원 유치를 위해 공격적으로 매일 1억 개의 게임머니를 무상 제공하면서 게임머니의 가치가 폭락할 수도 있다.
이렇듯 콘텐츠 제공자에 의존하고, 쉽게 통합되기 어려우며, 언제든 상실될 수 있는 사용자 디지털 자산은 가치를 가지기 어렵다. 당연히 가치 기반의 교환, 거래 활동이 이루어지기도 어렵다. 이는 사용자의 참여 동기와 참여의 질을 떨어트린다. 이로 인해 충성도 높은 사용자 확보 비용이 많이 들고, 늘어난 비용 부담은 결과적으로 서비스 품질이 하락하는 악순환을 가져올 수 있다.
또한, 일부 콘텐츠 서비스의 디지털 자산은 중개를 통해 교환 또는 거래가 발생하면서 가치를 인정받기도 한다. 예를 들어 모바일 RPG 게임에서는 게임 머니(예. 골드)를 사용자로부터 매입하여, 게임 내 상점보다 싼 값에 판매하는 중개 거래가 이루어질 수 있다. 게임 머니 거래가 활성화된 게임 서비스의 경우, 게임 머니를 사용자로부터 매입하여 재판매하는 전문 브로커가 존재하기도 한다. 이들은 보통 게임 내 상점 가격의 80% 수준에 매입하고, 이를 90% 수준에 되팔아 10~15%의 이익을 남겨왔으며, 이들의 추산 거래 규모는 게임 서비스 내에서 발생하는 매출보다 큰 경우가 많다.
하지만 중개 거래 과정에서의 거래 사기와 과도한 수수료는 거래 위험과 비용을 높이고 거래 품질을 떨어트렸다. 일부 악성 중개 거래자들은 해킹을 통해 게임머니를 탈취하고, 이를 염가에 재판매하기도 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아이템 거래 전문 사이트 가 등장했지만, 여전히 구매자와 판매자 간 사기는 발생하고, 거래 절차는 복잡하며, 수수료는 저렴하지 않다.
특히, 게임, 커뮤니티 등 인터넷 기반 상용 콘텐츠 서비스는 대량의 그리고 신속한 트랜잭션 처리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최근에는 정보 제공의 신뢰성과 제공된 데이터의 위변조를 방지하며, 신속한 트랜잭션 처리를 위하여 탈중앙화 애플리케이션 플랫폼인 블록체인 기반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시도하려는 콘텐츠 제공자가 많아지고 있다.
하지만, 많은 콘텐츠 제공자들은 블록체인 기술을 도입함에 있어 기존 결제 모듈과 신용카드 대신 탈중앙화된 지갑과 결제 솔루션을 계획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폐를 이용하여 게임 등과 같은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사용자들은 높은 수수료 부담을 지게 된다.
특히, 트랜잭션 건당 수수료를 부담하는 구조(fixed commission fee)에서 빈번한 트랜잭션이 발생할 경우, 사용자의 비용 부담은 커질 수 밖에 없으며, 콘텐츠 이용보다 트랜잭션 피(fee)에 의해 소모되는 암호화폐의 양이 많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모두 해결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콘텐츠 이용에 따른 사용자의 디지털 자산에 대한 내용과 가치를 보장하여 줄 수 있는 방법 및 서버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디지털 콘텐츠 내의 사용자의 디지털 자산에 대한 거래 위험이나 거래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법 및 서버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디지털 콘텐츠 내에서의 거래 실행과 기록을 안전하고 투명하게 보장할 수 있는 방법 및 서버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암호화폐를 이용하는 제1 블록체인과 상기 제1 암호화폐에 종속되는 제2 암호화폐를 이용하는 제2 블록체인 사이에서 상기 제1 암호화폐와 상기 제2 암호화폐의 교환을 수행하는 토큰 관리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제1 암호화폐를 소유한 사용자에 의한 상기 제1 암호화폐의 상기 제2 암호화폐로의 교환 요청이 획득되는 경우, 토큰 관리 서버가, 상기 제1 블록체인으로 하여금 상기 교환 요청된 상기 제1 암호화폐의 소유권이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토큰 관리 서버로 이전되도록 하고, 상기 교환 요청된 상기 제1 암호화폐에 대응되는 상기 제2 암호화폐를 발행하며, 상기 제2 블록체인으로 하여금 상기 발행된 상기 제2 암호화폐의 소유권이 상기 토큰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로 이전되도록 하는 단계; 및 (b) 상기 제2 암호화폐를 소유한 사용자에 의한 상기 제2 암호화폐의 상기 제1 암호화폐로의 교환 요청이 획득되는 경우, 상기 토큰 관리 서버가, 상기 제2 블록체인으로 하여금 상기 교환 요청된 상기 제2 암호화폐의 소유권이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토큰 관리 서버로 이전되도록 하고, 상기 교환 요청된 상기 제2 암호화폐를 폐기하며, 상기 제1 블록체인으로 하여금 상기 폐기된 상기 제2 암호화폐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암호화폐의 소유권이 상기 토큰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로 이전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시장 가격을 가지는 제1 암호화폐를 이용하는 퍼블릭 블록체인과, 상기 제1 암호화폐에 종속되는 제2 암호화폐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각각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각각의 서비스 서버에 연동되는 프라이빗 블록체인들 사이에서 상기 제1 암호화폐와 상기 제2 암호화폐의 교환을 수행하는 토큰 관리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제1 암호화폐를 소유한 상기 사용자에 의한 상기 제1 암호화폐의 상기 제2 암호화폐로의 교환 요청이 획득되는 경우, 토큰 관리 서버가, 상기 퍼블릭 블록체인으로 하여금 상기 교환 요청된 상기 제1 암호화폐의 소유권이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토큰 관리 서버로 이전되도록 하고, 상기 교환 요청된 상기 제1 암호화폐에 대응되는 상기 제2 암호화폐를 발행하며, 상기 프라이빗 블록체인들 중 적어도 일부로 하여금 상기 발행된 상기 제2 암호화폐의 소유권이 상기 토큰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로 이전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사용자가 상기 발행된 상기 제2 암호화폐를 이용하여 상기 프라이빗 블록체인들 중 적어도 일부에 연동되는 서비스 서버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를 이용하도록 하는 단계; 및 (b) 상기 제2 암호화폐를 소유한 사용자에 의한 상기 제2 암호화폐의 상기 제1 암호화폐로의 교환 요청이 획득되는 경우, 상기 토큰 관리 서버가, 상기 제2 블록체인으로 하여금 상기 교환 요청된 상기 제2 암호화폐의 소유권이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토큰 관리 서버로 이전되도록 하고, 상기 교환 요청된 상기 제2 암호화폐를 폐기하며, 상기 제1 블록체인으로 하여금 상기 폐기된 상기 제2 암호화폐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암호화폐의 소유권이 상기 토큰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로 이전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의 방법들을 수행하는 토큰 관리 서버가 제공된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더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콘텐츠 내의 사용자 자산이 본인에게 귀속되고 생태계 내에서의 소유와 가치 전환이 보장되므로, 생태계 내 특정 콘텐츠 제공자의 서비스가 중단되거나 사라지더라도, 사용자의 디지털 자산은 소멸되지 않으며 언제든 다른 서비스를 이용하거나 다른 디지털 자산으로 전환할 수 있으므로 콘텐츠 이용에 따른 사용자의 디지털 자산에 대한 내용과 가치를 보장하여 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종 블록체인을 통해 트랜잭션 피(fee) 없이 디지털 콘텐츠를 이용 가능하게 하므로 사용자의 디지털 자산에 대한 거래 위험이나 거래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개적이며 위변조가 불가능한 이종 블록체인을 이용함으로써 디지털 콘텐츠 내에서의 거래 실행과 기록이 안전하고 투명하게 보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 블록체인 기반의 토큰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에코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 블록체인 기반의 토큰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에코시스템의 플랫폼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 블록체인 기반의 토큰 관리 방법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 블록체인 기반의 토큰 관리 방법에서의 암호화폐의 이용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 블록체인 기반의 토큰 관리 방법의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는 제1 블록체인(300)과 제2 블록체인(100)이 언급될 것인데, 가령, 제1 블록체인(300)은 퍼블릭 블록체인이고 제2 블록체인(100)은 프라이빗 블록체인일 것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 블록체인 기반의 토큰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에코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에코시스템은 제2 블록체인(100), 및 토큰 관리 서버(20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제2 블록체인(100)은 제1 블록체인(300)에서 이용되는 제1 암호화폐에 종속되는 제2 암호화폐를 이용하는 블록체인으로, 사용자(10)에게 각각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20)들에 연동하여 각각의 서비스 서버(20)를 통한 트랜잭션들을 분산 원장 기술을 이용하여 기록하거나 트랜잭션들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제2 블록체인(100)은 제2 암호화폐를 이용하여 사용자(10)들에게 각각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각각의 서비스 서버(20)에 대응되는 각각의 서브 블록체인(서비스1, 서비스2, …, 서비스n)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앞서 말했듯이, 제2 블록체인(100)은 프라이빗 블록체인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토큰 관리 서버(200)는 제1 암호화폐를 이용하는 제1 블록체인(300)과 제1 암호화폐에 종속되는 제2 암호화폐를 이용하는 제2 블록체인(100) 사이에서 제1 암호화폐와 제2 암호화폐의 교환을 수행하는 것으로, 통신부(210)와 프로세서(220)를 포함할 수 있다. 동일한 참조 부호를 이용하여 나타낸 것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이들 개별 장치들이 동일하다는 의미로 의도된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의 방법은 서버를 상이하게 구성하여 해당 방법을 수행하거나 동일한 토큰 관리 서버(200)를 통해 해당 방법을 수행할 수도 있다. 가령, 토큰 관리 서버(200)는 제2 블록체인(100)의 각각의 노드 자체에 대응하는 서버이거나, 제2 블록체인(100)의 노드를 관리하는 서버 또는 트랜잭션 서버일 수 있다. 이에 더하여, 토큰 관리 서버(200)는 제2 블록체인(100)을 구성하는 서버와 동일한 서버일 수 있으며, 서버 내에서 논리적으로 동작하는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토큰 관리 서버(200)는 전형적으로 컴퓨팅 장치(예컨대, 컴퓨터 프로세서, 메모리, 스토리지, 입력 장치 및 출력 장치, 기타 기존의 컴퓨팅 장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는 장치; 라우터, 스위치 등과 같은 전자 통신 장치; 네트워크 부착 스토리지(NAS) 및 스토리지 영역 네트워크(SAN)와 같은 전자 정보 스토리지 시스템)와 컴퓨터 소프트웨어(즉, 컴퓨팅 장치로 하여금 특정의 방식으로 기능하게 하는 인스트럭션들)의 조합을 이용하여 원하는 시스템 성능을 달성하는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컴퓨팅 장치의 통신부(210)는 연동되는 타 컴퓨팅 장치와 요청과 응답을 송수신할 수 있는 바, 일 예시로서 그러한 요청과 응답은 동일한 TCP 세션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바, 예컨대 UDP 데이터그램으로서 송수신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컴퓨팅 장치의 프로세서(220)는 MPU(Micro Processing Unit) 또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캐쉬 메모리(Cache Memory), 데이터 버스(Data Bus) 등의 하드웨어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운영체제, 특정 목적을 수행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소프트웨어 구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 블록체인 기반의 토큰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에코시스템의 플랫폼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플랫폼은 코어 레이어(1000), 서비스 레이어(2000), 및 애플리케이션 레이어(3000)를 포함할 수 있다.
코어 레이어(1000)에는 인프라와 데이터 네트워크 상부에 제2 블록체인(100)이 위치하며, 제2 블록체인(100) 상부에 토큰 관리 서버(200)가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서비스 레이어(2000)에는 API와 SDK 상부에 아이덴티피케이션과 동작 툴 등이 위치할 수 있으며, 그 상부에 플랫폼의 정책(policy)가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애플리케이션 레이어(3000)에는 제2 블록체인(100)의 애플리케이션이나 웹의 상부에 콘텐츠 제공자의 애플리케이션이나 웹이 위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콘텐츠 제공자들은 각각 독립적인 블록체인 실행이 가능하게 되며, 플랫폼 내 다른 사업자, 즉, 다른 블록체인의 영향으로부터 독립된 데이터와 트랜잭션 실행을 보장하여 안전한 서비스 환경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 블록체인 기반의 토큰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에코시스템을 통해 토큰을 관리하는 방법, 즉, 제1 암호화폐를 이용하는 제1 블록체인(300)과 제1 암호화폐에 종속되는 제2 암호화폐를 이용하는 제2 블록체인(100) 사이에서 제1 암호화폐와 제2 암호화폐의 교환을 수행하는 토큰 관리 방법을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을 참조하여 제1 암호화폐를 제2 암호화폐로 교환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사용자가 제2 블록체인(100)에 연동되는 서비스 서버(20)들에 의해 제공되는 게임, 커뮤니티 등의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제2 암호화폐를 확보하기 위하여, 암호화폐 거래 시장에서 유통되는 제1 암호화폐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을 통해 제1 암호화폐의 제2 암호화폐로의 교환을 요청한다(S1). 이때, 사용자 단말은 PC(Personal Computer), 모바일 컴퓨터, PDA/EDA, 휴대 전화, 스마트폰, 태블릿 IoT 기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유무선 통신 기능을 가진 휴대용 게임기, 디지털 카메라, 개인 내비게이션 등의 모든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은 정보의 송수신을 지원하는 통신부와 정보를 처리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토큰 관리 서버(200)는 제1 블록체인(300)으로 하여금 교환 요청된 제1 암호화폐의 소유권이 사용자(10)로부터 토큰 관리 서버(200)로 이전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예로, 토큰 관리 서버(200)는 통신부(210)를 통해 획득되는 제1 암호화폐의 제2 암호화폐로의 교환 요청에 대응하여 제1 블록체인(300)에 교환 요청된 제1 암호화폐에 대한 소유권이 사용자(10)로부터 토큰 관리 서버(200)로 이전되도록 요청하거나 사용자(10)로 하여금 제1 블록체인(300) 상에서 교환 요청된 제1 암호화폐를 토큰 관리 서버(200)로 전송하도록 한다(S2). 그러면, 제1 블록체인(300)은 토큰 관리 서버(200) 또는 사용자(10)에 의해 생성된 제1 암호화폐의 전송과 관련한 트랜잭션에 대응하여 사용자에 의해 제2 암호화폐로의 교환 요청된 제1 암호화폐가 토큰 관리 서버(200)로 전송되도록 하며(S3), 결과 정보를 사용자(10) 및 토큰 관리 서버(200) 중 적어도 일부에게 전송하여 준다(S4). 즉, 제1 블록체인(300) 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전송 요청된 제1 암호화폐의 소유권이 사용자(10)로부터 토큰 관리 서버(200)로 이전되도록 한다.
또한, 토큰 관리 서버(200)는 교환 요청된 제1 암호화폐에 대응되는 제2 암호화폐를 발행하며, 제2 블록체인(100)으로 하여금 발행된 제2 암호화폐의 소유권이 토큰 관리 서버(200)로부터 사용자(10)로 이전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예로, 토큰 관리 서버(200)는 교환 요청된 제1 암호화폐에 대응되는 제2 암호화폐에 대한 발행을 제2 블록체인(100)으로 요청한다(S5). 그러면, 제2 블록체인(100)은 토큰 관리 서버(200)에 의해 요청된 제2 암호화폐를 토큰 관리 서버(200)의 소유로 발행하며, 토큰 관리 서버(200)의 소유로 발행된 제2 암호화폐의 소유권이 사용자(10)로 이전되도록 하고(S6). 결과 정보를 사용자(10) 및 토큰 관리 서버(200) 중 적어도 일부에게 전송하여 준다(S7).
이때, 제2 블록체인(200)은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2 암호화폐를 이용하여 사용자(10)들에게 각각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각각의 서비스 서버(20)에 대응되는 각각의 서브 블록체인들(서비스1, 서비스2, …, 서비스n 로 표시함)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토큰 관리 서버(200)는 각각의 서브 블록체인들에서 생성되는 제2 암호화폐와 관련된 트랜잭션들을 모니터링하며, 각각의 서브 블록체인들 전체에서의 사용자(10)에 대응되는 제2 암호화폐의 정보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즉, 사용자(10)는 제2 암호화폐를 이용하여 각각의 서비스 서버(20)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들을 이용할 수 있으며, 토큰 관리 서버(200)는 사용자(10)가 각각의 서비스에서 제2 암호화폐를 사용하는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10)가 각각의 서비스를 이용하고 최종적으로 제2 암호화페를 소유한 정보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제2 블록체인(200)이 각각의 서브 블록체인들(서비스1, 서비스2, …, 서비스n)을 포함할 경우, 토큰 관리 서버(200)는 각각의 서브 블록체인들에서 제2 암호화폐가 각각의 서로 다른 단위의 가치를 가지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즉, 도 4를 참조하면, 제2 암호화폐는 제1 암호화폐에 종속되며, 제2 블록체인(100)에서 제공되는 각각의 서비스, 즉, 게임, 커뮤니티 등의 콘텐츠를 이용하는 데 사용될 수 있으며, 게임들에서 사용되는 제2 암호화폐의 단위와 커뮤니티에서 사용되는 제2 암호화폐의 단위가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 게임에서 하나의 제2 암호화폐는 10 단위로, 커뮤니티에서 하나의 제2 암호화폐는 100 단위로 설정함으로써 하나의 제2 암호화폐로, 게임에서는 10번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커뮤니티에서는 100번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제2 암호화폐는 서브 블록체인들에서 각각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지도록 설정될 수 있다.
즉, 도 4를 참조하면, 제2 암호화폐는 제1 암호화폐에 종속되며, 제2 블록체인(100)의 서브 블록체인들에서 제공되는 각각의 서비스, 즉, 게임, 커뮤니티 등의 콘텐츠를 이용하는 데 사용될 수 있으며, 각각의 서브 블록체인에서 각각의 게임에서의 제2 암호화폐와 관련한 트랜잭션 정보만을 기록되게 하거나, 게임 아이템 거래에서의 거래 트랜잭션 정보에 더하여 거래 아이템의 속성 정보도 추가하여 기록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제2 암호화폐의 특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나, 제공되는 콘텐츠에 대응하여 다양한 특성을 가지도록 확장될 수 있다.
또한, 토큰 관리 서버(200)는 제1 암호화폐의 제2 암호화폐로의 교환 시, 시장 가치를 가지는 제1 암호화폐와 제1 암호화폐에 종속되는 제2 암호화폐 사이의 교환율을 시장 가치에 대응하여 가변되도록 설정하거나, 기설정된 교환율로 고정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일 예로, 교환율을 가변되도록 설정할 경우에는, 제1 암호화폐는 외부 거래가 가능하므로 기본적으로 변동하는 시장 가격을 가지게 되며, 제2 암호화폐는 명목화폐에 고정된 가치, 예를 들면, 하나의 제2 암호화폐는 1원의 가치를 가지게 된다. 이때, 제1 암호화폐와 제2 암호화폐 사이의 교환을 위해 적용하는 교환율은 매 주기 제1 암호화폐의 시장 가격을 참고하여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교환율은 매 시점 변하게 된다.
이는 사용자 서비스 환경에서 강점을 가지는 것으로, 실제 서비스에서 사용되는 토큰인 제2 암호화폐가 안정적으로 고정된 가치를 지니므로, 사용자는 직관적이고 부담없이 제2 암화화폐를 서비스 이용에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다른 예로, 교환율을 고정되도록 설정할 경우, 제2 암화화폐의 가치는 제1 암화화폐에 연동되어 변동하게 된다. 따라서, 제1 암호화페와 제2 암호화폐 사이의 교환을 위해 적용하는 교환율은 특정 상수 값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는 플랫폼 내에서의 자금 운용 필요성 없이, 안정적으로 제1 암호화폐와 제2 암호화폐 사이의 밸런스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토큰 관리 서버(200)는 사용자에 의한 제1 암호화폐의 제2 암호화폐로의 교환 요청들을 확인하여, 교환 요청들 중 기설정된 규칙에 위배되는 요청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기설정된 규칙에 위배되는 요청에 대응하여 요청자 경고, 이상 전환 요청에 대한 시스템 알람, 비정상 트랜잭션의 취소 처리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토큰 관리 서버(200)는 제1 암호화폐와 제2 암호화폐 사이의 교환 규칙과 교환 비율 생성 규칙을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토큰 관리 서버(200)는 제1 암호화폐와 제2 암호화폐 사이의 교환율 함수 설정, 교환 요청에 대응되는 트랜잭션당 요청 가능 금액 설정, 사용자 당 요청 가능 금액 설정, 특정 기간 당 요청 가능 금액 및 횟수 설정, 교환 비율 정책 설정, 제2 암호화폐에서 제1 암호화폐로의 교환시 교환 수수료 정책 설정, 교환 요청 시점 대비 교환 실행 시점 계산 정책 설정, 및 전체 제2 암호화폐 통화량 대비 인출 요청량 및 제한 정책 설정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토큰 관리 서버(200)는 제1 암호화폐와 제2 암호화폐 사이의 교환 규칙과 교환 비율 생성 규칙을 관리함에 있어서, 상기의 조건 설정이외에도 교환과 관련한 다양한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의 방법에 의해 사용자(10)에게 제2 암호화폐가 전달되면, 사용자(10)는 제2 암호화폐를 이용하여 제2 블록체인(100)과 연동되는 각각의 서비스 서버(20)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일 예로, 사용자(10)는 제2 암호화폐를 이용하여 게임 등을 통해 제2 암호화폐를 소비하거나 게임 내 콘텐츠에 따라 아이템의 판매 등에 의해 제2 암호화폐를 획득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사용자의 제1 암호화폐의 제2 암호화폐로의 교환 요청에 대응하여 토큰 관리 서버(200)가 제1 암호화폐의 소유권을 이전하는 동작과 제2 암화화폐를 발행하는 동작은, 순차적으로 진행되거나 순서에 상관없이 진행될 수도 있으며, 동시에 진행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여 제2 암호화폐를 제1 암호화폐로 교환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3의 방법에 의해 교환된 제2 암호화폐를 이용하여 사용자가(10) 제2 블록체인(100)과 연동되는 서비스들을 이용하는 중, 사용자(10)가 자신이 소유한 제2 암호화폐를 제1 암호화폐로의 교환 요청을 한다(S11). 이때, 사용자(10)는 서비스의 이용자뿐만 아니라 서비스 제공자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토큰 관리 서버(200)는 제2 블록체인(100)으로 하여금 교환 요청된 제2 암호화폐의 소유권이 사용자(10)로부터 토큰 관리 서버(200)로 이전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예로, 토큰 관리 서버(200)는 통신부(210)를 통해 획득되는 제2 암호화폐의 제1 암호화폐로의 교환 요청에 대응하여 제2 블록체인(100)에 교환 요청된 제2 암호화폐에 대한 소유권이 사용자(10)로부터 토큰 관리 서버(200)로 이전되도록 요청하거나 사용자(10)로 하여금 제2 블록체인(100) 상에서 교환 요청된 제2 암호화폐를 토큰 관리 서버(200)로 전송하도록 한다(S12). 그러면, 제2 블록체인(300)은 토큰 관리 서버(200) 또는 사용자(10)에 의해 생성된 제2 암호화폐의 전송과 관련한 트랜잭션에 대응하여 사용자에 의해 제1 암호화폐로의 교환 요청된 제2 암호화폐가 토큰 관리 서버(200)로 전송되도록 하며(S13), 결과 정보를 사용자(10) 및 토큰 관리 서버(200) 중 적어도 일부에게 전송하여 준다(S14). 즉, 제2 블록체인(300) 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전송 요청된 제2 암호화폐의 소유권이 사용자(10)로부터 토큰 관리 서버(200)로 이전되도록 한다.
또한, 토큰 관리 서버(200)는 교환 요청된 제2 암호화폐를 폐기하며, 제1 블록체인(300)으로 하여금 폐기된 제2 암호화폐에 대응되는 제1 암호화폐의 소유권이 토큰 관리 서버(200)로부터 사용자(100)로 이전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예로, 토큰 관리 서버(200)는 교환 요청되어 자신의 소유로 이전된 제2 암호화폐에 대한 폐기를 제2 블록체인(100)으로 요청한다(S15). 그러면, 제2 블록체인(100)은 토큰 관리 서버(200)에 의해 폐기 요청된 제2 암호화폐를 폐기하고(S16), 결과 정보를 토큰 관리 서버(200)로 전송하여 준다(S17).
그리고, 토큰 관리 서버(200)는 교환 요청된 제2 암호화폐에 대응되는 제1 암호화폐에 대한 소유권이 토큰 관리 서버(200)로부터 사용자(10)로 이전되도록 제1 블록체인(300)으로 요청한다(S18), 즉, 토큰 관리 서버(200)는 제1 블록체인(300) 상에서 자신이 소유한 제1 암호화폐들 중 교환 요청된 제2 암호화폐에 대응되는 제1 암호화폐를 사용자(10)에게 전송하는 트랜잭션을 생성하게 된다. 그러면, 제1 블록체인(300)은 토큰 관리 서버(200)에 의해 전송 요청된 제1 암호화폐의 소유권이 사용자(10)로 이전되도록 하고(S19). 결과 정보를 사용자(10) 및 토큰 관리 서버(200) 중 적어도 일부에게 전송하여 준다(S20).
이때, 토큰 관리 서버(200)는 제2 암호화폐의 제1 암호화폐로의 교환 시, 제1 암호화폐에 종속되는 제2 암호화폐와 시장 가치를 가지는 제1 암호화폐 사이의 교환율을 시장 가치에 대응하여 가변되도록 설정하거나, 기설정된 교환율로 고정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상기 도 3의 설명으로부터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토큰 관리 서버(200)는 사용자에 의한 제2 암호화폐의 제1 암호화폐로의 교환 요청들을 확인하여, 교환 요청들 중 기설정된 규칙에 위배되는 요청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기설정된 규칙에 위배되는 요청에 대응하여 요청자 경고, 이상 전환 요청에 대한 시스템 알람, 비정상 트랜잭션의 취소 처리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의 최종 제2 암호화폐 발란스가 교환 요청된 제2 암호화폐보다 적을 경우 교환 요청에 따른 트랜잭션을 취소할 수 있다.
또한, 토큰 관리 서버(200)는 제1 암호화폐와 제2 암호화폐 사이의 교환 규칙과 교환 비율 생성 규칙을 관리할 수 있다.
또한, 토큰 관리 서버(200)는 제2 암호화폐에서 제1 암호화폐로의 교환 요청에 대응하여 교환 요청된 제2 암호화폐에서 기설정된 소정의 수수료를 차감하며, 기설정된 소정의 수수료가 차감된 제2 암호화폐를 폐기하며, 제1 블록체인(300)으로 하여금 기설정된 소정의 수수료가 차감된 제2 암호화폐에 대응되는 제1 암호화폐의 소유권이 토큰 관리 서버(200)로부터 사용자(10)로 이전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차감된 수수료는 블록체인 생태계 발전 기금의 재원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이에 더하여, 사용자의 의미 없고 무분별한 제2 블록체인(100)의 트랜잭션 점유를 방지하거나, 관련 스팸 공격을 경제적으로 차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장 가격을 가지는 제1 암호화폐와 고정 가격을 가지는 제2 암호화폐 간 전환을 통해 생태계에 도움되지 않는 자본 이득을 취하려는 특정 개인 또는 집단의 의도를 경제적으로 무력화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토큰 관리 서버(200)는 수수료에 대응되는 제2 암호화폐를 인센티브 펀드로 하여 토큰 관리 서버의 소유권으로 관리하며, 사용자들의 기여도를 참조하여 인센티브 펀드의 제2 암호화폐를 사용자들에게 분배하여 주거나, 제2 암호화폐를 제1 암호화폐로 교환한 다음 제1 암호화폐를 소유한 소유주들에게 분배하여 줄 수 있다.
일 예로, 일정 기준을 달성한 신규 유저들에게 제2 암호화폐를 제공하여 신규 유저 안착을 도울 수도 있으며, VIP 등급별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인센티브 펀드의 지급 대상 산정 방식, 지급 주기, 지급 규모 등은 기설정된 조건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매 1주마다, 제2 암호화폐 트랜잭션을 발생시킨 모든 주소 계정, 즉, 사용자에 대해, 각각 발생시킨 트랜잭션의 지분율만큼 인센티브로 분배 지급할 수 있다.
그리고, 지급 형태는 각 사용자의 주소로 직접 지급될 수도 있고, 주간 로터리나 잭팟 방식의 재미요소가 더해진 방식을 취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2 블록체인을 이용하는 사용자 이외에도, 시장에서 유통되는 제1 암호화폐를 소유한 소유주들에게 분배함으로써 제1 암호화폐의 시장 가치를 상승시키며, 그에 따라 제1 암호화폐에 종속되는 제2 암호화폐의 가치도 상승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제2 블록체인,
200: 토큰 관리 서버,
210: 통신부,
220: 프로세서,
300: 제1 블록체인

Claims (20)

  1. 제1 암호화폐를 이용하는 제1 블록체인과 상기 제1 암호화폐에 종속되는 제2 암호화폐를 이용하는 제2 블록체인 사이에서 상기 제1 암호화폐와 상기 제2 암호화폐의 교환을 수행하는 토큰 관리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제1 암호화폐를 소유한 사용자에 의한 상기 제1 암호화폐의 상기 제2 암호화폐로의 교환 요청이 획득되는 경우, 토큰 관리 서버가, 상기 제1 블록체인으로 하여금 상기 교환 요청된 상기 제1 암호화폐의 소유권이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토큰 관리 서버로 이전되도록 하고, 상기 교환 요청된 상기 제1 암호화폐에 대응되는 상기 제2 암호화폐를 발행하며, 상기 제2 블록체인으로 하여금 상기 발행된 상기 제2 암호화폐의 소유권이 상기 토큰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로 이전되도록 하는 단계; 및
    (b) 상기 제2 암호화폐를 소유한 사용자에 의한 상기 제2 암호화폐의 상기 제1 암호화폐로의 교환 요청이 획득되는 경우, 상기 토큰 관리 서버가, 상기 제2 블록체인으로 하여금 상기 교환 요청된 상기 제2 암호화폐의 소유권이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토큰 관리 서버로 이전되도록 하고, 상기 교환 요청된 상기 제2 암호화폐를 폐기하며, 상기 제1 블록체인으로 하여금 상기 폐기된 상기 제2 암호화폐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암호화폐의 소유권이 상기 토큰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로 이전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블록체인이 상기 제2 암호화폐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들에게 각각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각각의 서비스 서버에 대응되는 각각의 서브 블록체인들을 포함할 경우,
    상기 토큰 관리 서버는, 상기 각각의 서브 블록체인들에서 생성되는 상기 제2 암호화폐와 관련된 트랜잭션들을 모니터링하며, 상기 각각의 서브 블록체인들 전체에서의 상기 사용자에 대응되는 상기 제2 암호화폐의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토큰 관리 서버는, 상기 각각의 서브 블록체인들에서 상기 제2 암호화폐가 각각의 서로 다른 단위의 가치를 가지도록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큰 관리 서버는,
    (i) 시장 가치를 가지는 상기 제1 암호화폐와 (ii) 상기 제2 암호화폐 사이의 교환율을 상기 시장 가치에 대응하여 가변되도록 설정하거나, 기설정된 교환율로 고정되도록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큰 관리 서버는,
    상기 사용자에 의한 상기 제1 암호화폐의 상기 제2 암호화폐로의 교환 요청들 또는 상기 제2 암호화폐의 상기 제1 암호화폐로의 교환 요청들을 확인하며, 상기 교환 요청들 중 기설정된 규칙에 위배되는 요청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큰 관리 서버는,
    상기 제1 암호화폐와 상기 제2 암호화폐 사이의 교환 규칙과 교환 비율 생성 규칙을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토큰 관리 서버는,
    상기 제1 암호화폐와 상기 제2 암호화폐 사이의 교환율 함수 설정, 상기 교환 요청에 대응되는 트랜잭션당 요청 가능 금액 설정, 상기 사용자당 요청 가능 금액 설정, 특정 기간당 요청 가능 금액 및 횟수 설정, 교환 비율 정책 설정, 상기 제2 암호화폐에서 상기 제1 암호화폐로의 교환시 교환 수수료 정책 설정, 교환 요청 시점 대비 교환 실행 시점 계산 정책 설정, 및 전체 제2 암호화폐 통화량 대비 인출 요청량 및 제한 정책 설정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토큰 관리 서버는,
    상기 제2 암호화폐에서 상기 제1 암호화폐로의 교환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교환 요청된 상기 제2 암호화폐에서 기설정된 소정의 수수료를 차감하며, 상기 기설정된 소정의 수수료가 차감된 상기 제2 암호화폐를 폐기하며, 상기 제1 블록체인으로 하여금 상기 기설정된 소정의 수수료가 차감된 상기 제2 암호화폐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암호화폐의 소유권이 상기 토큰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로 이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토큰 관리 서버는,
    상기 수수료에 대응되는 상기 제2 암호화폐를 인센티브 펀드로 하여 상기 토큰 관리 서버의 소유권으로 관리하며, 상기 사용자들의 기여도를 참조하여 상기 인센티브 펀드의 상기 제2 암호화폐를 상기 사용자들에게 분배하여 주거나, 상기 제2 암호화폐를 상기 제1 암호화폐로 교환한 다음 상기 제1 암호화폐를 소유한 소유주들에게 분배하여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시장 가격을 가지는 제1 암호화폐를 이용하는 퍼블릭 블록체인과, 상기 제1 암호화폐에 종속되는 제2 암호화폐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각각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각각의 서비스 서버에 연동되는 프라이빗 블록체인들 사이에서 상기 제1 암호화폐와 상기 제2 암호화폐의 교환을 수행하는 토큰 관리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제1 암호화폐를 소유한 상기 사용자에 의한 상기 제1 암호화폐의 상기 제2 암호화폐로의 교환 요청이 획득되는 경우, 토큰 관리 서버가, 상기 퍼블릭 블록체인으로 하여금 상기 교환 요청된 상기 제1 암호화폐의 소유권이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토큰 관리 서버로 이전되도록 하고, 상기 교환 요청된 상기 제1 암호화폐에 대응되는 상기 제2 암호화폐를 발행하며, 상기 프라이빗 블록체인들 중 적어도 일부로 하여금 상기 발행된 상기 제2 암호화폐의 소유권이 상기 토큰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로 이전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사용자가 상기 발행된 상기 제2 암호화폐를 이용하여 상기 프라이빗 블록체인들 중 적어도 일부에 연동되는 서비스 서버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를 이용하도록 하는 단계; 및
    (b) 상기 제2 암호화폐를 소유한 사용자에 의한 상기 제2 암호화폐의 상기 제1 암호화폐로의 교환 요청이 획득되는 경우, 상기 토큰 관리 서버가, 상기 제2 블록체인으로 하여금 상기 교환 요청된 상기 제2 암호화폐의 소유권이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토큰 관리 서버로 이전되도록 하고, 상기 교환 요청된 상기 제2 암호화폐를 폐기하며, 상기 제1 블록체인으로 하여금 상기 폐기된 상기 제2 암호화폐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암호화폐의 소유권이 상기 토큰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로 이전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1 암호화폐를 이용하는 제1 블록체인과 상기 제1 암호화폐에 종속되는 제2 암호화폐를 이용하는 제2 블록체인 사이에서 상기 제1 암호화폐와 상기 제2 암호화폐의 교환을 수행하는 토큰 관리 서버에 있어서,
    상기 제1 암호화폐를 소유한 사용자에 의한 상기 제1 암호화폐의 상기 제2 암호화폐로의 교환 요청을 획득하거나, 상기 제2 암호화폐를 소유한 사용자에 의한 상기 제2 암호화폐의 상기 제1 암호화폐로의 교환 요청을 획득하는 통신부; 및
    (i)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1 암호화폐를 소유한 사용자에 의한 상기 제1 암호화폐의 상기 제2 암호화폐로의 교환 요청이 획득되는 경우, 상기 제1 블록체인으로 하여금 상기 교환 요청된 상기 제1 암호화폐의 소유권이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토큰 관리 서버로 이전되도록 하고, 상기 교환 요청된 상기 제1 암호화폐에 대응되는 상기 제2 암호화폐를 발행하며, 상기 제2 블록체인으로 하여금 상기 발행된 상기 제2 암호화폐의 소유권이 상기 토큰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로 이전되도록 하는 프로세스와, (ii)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2 암호화폐를 소유한 사용자에 의한 상기 제2 암호화폐의 상기 제1 암호화폐로의 교환 요청이 획득되는 경우, 상기 제2 블록체인으로 하여금 상기 교환 요청된 상기 제2 암호화폐의 소유권이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토큰 관리 서버로 이전되도록 하고, 상기 교환 요청된 상기 제2 암호화폐를 폐기하며, 상기 제1 블록체인으로 하여금 상기 폐기된 상기 제2 암호화폐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암호화폐의 소유권이 상기 토큰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로 이전되도록 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큰 관리 서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블록체인이 상기 제2 암호화폐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들에게 각각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각각의 서비스 서버에 대응되는 각각의 서브 블록체인들을 포함할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각각의 서브 블록체인들에서 생성되는 상기 제2 암호화폐와 관련된 트랜잭션들을 모니터링하며, 상기 각각의 서브 블록체인들 전체에서의 상기 사용자에 대응되는 상기 제2 암호화폐의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큰 관리 서버.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각각의 서브 블록체인들에서 상기 제2 암호화폐가 각각의 서로 다른 단위의 가치를 가지도록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큰 관리 서버.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i) 시장 가치를 가지는 상기 제1 암호화폐와 (ii) 상기 제2 암호화폐 사이의 교환율을 상기 시장 가치에 대응하여 가변되도록 설정하거나, 기설정된 교환율로 고정되도록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큰 관리 서버.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에 의한 상기 제1 암호화폐의 상기 제2 암호화폐로의 교환 요청들 또는 상기 제2 암호화폐의 상기 제1 암호화폐로의 교환 요청들을 확인하며, 상기 교환 요청들 중 기설정된 규칙에 위배되는 요청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큰 관리 서버.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암호화폐와 상기 제2 암호화폐 사이의 교환 규칙과 교환 비율 생성 규칙을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큰 관리 서버.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암호화폐와 상기 제2 암호화폐 사이의 교환율 함수 설정, 상기 교환 요청에 대응되는 트랜잭션당 요청 가능 금액 설정, 상기 사용자당 요청 가능 금액 설정, 특정 기간당 요청 가능 금액 및 횟수 설정, 교환 비율 정책 설정, 상기 제2 암호화폐에서 상기 제1 암호화폐로의 교환시 교환 수수료 정책 설정, 교환 요청 시점 대비 교환 실행 시점 계산 정책 설정, 및 전체 제2 암호화폐 통화량 대비 인출 요청량 및 제한 정책 설정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큰 관리 서버.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ii) 프로세스에서, 상기 제2 암호화폐에서 상기 제1 암호화폐로의 교환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교환 요청된 상기 제2 암호화폐에서 기설정된 소정의 수수료를 차감하며, 상기 기설정된 소정의 수수료가 차감된 상기 제2 암호화폐를 폐기하며, 상기 제1 블록체인으로 하여금 상기 기설정된 소정의 수수료가 차감된 상기 제2 암호화폐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암호화폐의 소유권이 상기 토큰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로 이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큰 관리 서버.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수료에 대응되는 상기 제2 암호화폐를 인센티브 펀드로 하여 상기 토큰 관리 서버의 소유권으로 관리하며, 상기 사용자들의 기여도를 참조하여 상기 인센티브 펀드의 상기 제2 암호화폐를 상기 사용자들에게 분배하여 주거나, 상기 제2 암호화폐를 상기 제1 암호화폐로 교환한 다음 상기 제1 암호화폐를 소유한 소유주들에게 분배하여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큰 관리 서버.
  20. 시장 가격을 가지는 제1 암호화폐를 이용하는 퍼블릭 블록체인과, 상기 제1 암호화폐에 종속되는 제2 암호화폐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각각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각각의 서비스 서버에 연동되는 프라이빗 블록체인들 사이에서 상기 제1 암호화폐와 상기 제2 암호화폐의 교환을 수행하는 토큰 관리 서버에 있어서,
    상기 제1 암호화폐를 소유한 상기 사용자에 의한 상기 제1 암호화폐의 상기 제2 암호화폐로의 교환 요청을 획득하거나, 상기 제2 암호화폐를 소유한 사용자에 의한 상기 제2 암호화폐의 상기 제1 암호화폐로의 교환 요청을 획득되는 통신부; 및
    (i)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1 암호화폐를 소유한 상기 사용자에 의한 상기 제1 암호화폐의 상기 제2 암호화폐로의 교환 요청이 획득되는 경우, 상기 퍼블릭 블록체인으로 하여금 상기 교환 요청된 상기 제1 암호화폐의 소유권이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토큰 관리 서버로 이전되도록 하고, 상기 교환 요청된 상기 제1 암호화폐에 대응되는 상기 제2 암호화폐를 발행하며, 상기 프라이빗 블록체인들 중 적어도 일부로 하여금 상기 발행된 상기 제2 암호화폐의 소유권이 상기 토큰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로 이전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사용자가 상기 발행된 상기 제2 암호화폐를 이용하여 상기 프라이빗 블록체인들 중 적어도 일부에 연동되는 서비스 서버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를 이용하도록 하는 프로세스와, (ii)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2 암호화폐를 소유한 사용자에 의한 상기 제2 암호화폐의 상기 제1 암호화폐로의 교환 요청이 획득되는 경우, 상기 제2 블록체인으로 하여금 상기 교환 요청된 상기 제2 암호화폐의 소유권이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토큰 관리 서버로 이전되도록 하고, 상기 교환 요청된 상기 제2 암호화폐를 폐기하며, 상기 제1 블록체인으로 하여금 상기 폐기된 상기 제2 암호화폐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암호화폐의 소유권이 상기 토큰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로 이전되도록 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큰 관리 서버.
KR1020180035466A 2018-03-27 2018-03-27 이종 블록체인 기반의 토큰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토큰 관리 서버 KR201901131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5466A KR20190113162A (ko) 2018-03-27 2018-03-27 이종 블록체인 기반의 토큰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토큰 관리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5466A KR20190113162A (ko) 2018-03-27 2018-03-27 이종 블록체인 기반의 토큰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토큰 관리 서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3162A true KR20190113162A (ko) 2019-10-08

Family

ID=68208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5466A KR20190113162A (ko) 2018-03-27 2018-03-27 이종 블록체인 기반의 토큰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토큰 관리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1316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1204B1 (ko) * 2020-04-27 2021-11-03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재산화를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의 지적재산권 보호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334931B1 (ko) * 2020-11-16 2021-12-06 두나무 주식회사 블록체인들 사이의 토큰 교환을 보조하는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1204B1 (ko) * 2020-04-27 2021-11-03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재산화를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의 지적재산권 보호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334931B1 (ko) * 2020-11-16 2021-12-06 두나무 주식회사 블록체인들 사이의 토큰 교환을 보조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220066858A (ko) * 2020-11-16 2022-05-24 두나무 주식회사 블록체인들 사이의 토큰 교환을 보조하는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0015B1 (ko) 이종 블록체인 기반의 토큰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토큰 관리 서버
KR20190110377A (ko) 이종 블록체인 기반의 토큰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토큰 관리 서버
US11316690B2 (en) Blockchain token-based cloud orchestration architecture for discrete virtual network instances
US10243743B1 (en) Tokens or crypto currency using smart contracts and blockchains
US11528147B2 (en) Verifying integrity and secure operations of cloud-based software services
US11283865B2 (en) Service meshes and smart contracts for zero-trust systems
CN102360480B (zh) 一种链接网上支付及记录链接的方法和系统
US20120317034A1 (en) Transparent virtual currency using verifiable tokens
US10354496B2 (en) Method and system for lottery application
CN111316258A (zh) 公共分布式账本系统中的交易隐私
US20130073460A1 (en) Enabling paid-for exchange of identity attributes with minimal disclosure credentials
US20200082668A1 (en) Mobile gaming and peer to peer gifting, receiving and donating platform using block chain integration of centralized or decentralized public ledgers for gaming elements to form, encrypt and distribute digital or crypto currency
KR20130116956A (ko) 특권 양도 방법, 온라인 특권 양도 방법, 온라인 특권 양도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US20190114707A1 (en) Distribution of Blockchain Tokens
JP6404435B1 (ja) アイテム取引システム及びアイテム取引プログラム
US20230153821A1 (en) System and method for blockchain tokens for gaming
US11316933B2 (en) Service meshes and smart contracts for zero-trust systems
KR20160065712A (ko) 개선된 사용자 계정 관리를 교환 플랫폼에게 제공하기 위한 컴퓨터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57909A (ko) 블록체인 기반 부동산 계약 방법 및 부동산 중개 시스템
KR102110395B1 (ko) 가변기여 채굴형 거래소 서버 및 가변기여 채굴 방법
US20190015740A1 (en) Mobile gaming and peer to peer gifting, receiving and donating platform using block chain integration of centralized or decentralized public ledgers for gaming elements to form, encrypt and distribute digital or crypto currency against server generated gaming
US2022009259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 Permissionless Decentralized Virtual Asset Network
JP2019079502A (ja) アイテム取引システム及びアイテム取引プログラム
KR20190113162A (ko) 이종 블록체인 기반의 토큰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토큰 관리 서버
CN105760441B (zh) 事件结果的展示方法和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