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2439A - 스마트 화분 및 이를 이용한 식물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 화분 및 이를 이용한 식물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2439A
KR20190112439A KR1020180034440A KR20180034440A KR20190112439A KR 20190112439 A KR20190112439 A KR 20190112439A KR 1020180034440 A KR1020180034440 A KR 1020180034440A KR 20180034440 A KR20180034440 A KR 20180034440A KR 20190112439 A KR20190112439 A KR 201901124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
light emitting
unit
water
pl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44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33649B1 (ko
Inventor
김철
배한신
Original Assignee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344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3649B1/ko
Publication of KR201901124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24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36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36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3Controls for self-acting wate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5Reservoirs connected to flower-pots through condu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4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 A01G7/045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with electric ligh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06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visual means, e.g. scarecrows, moving elements, specific shapes, patterns or the like
    • A01M29/1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visual means, e.g. scarecrows, moving elements, specific shapes, patterns or the like using light sources, e.g. lasers or flashing ligh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24Earth materials
    • G01N33/245Earth materials for agricultural purpos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24Earth materials
    • G01N33/246Earth materials for water cont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 G01N2033/245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14Measures for saving energy, e.g. in green hous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Immunology (AREA)
  • Geology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Ec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rd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otany (AREA)
  • Zo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Abstract

스마트 화분 및 이를 이용한 식물 관리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식물이 식재되도록 토양이 수용된 제1본체와, 상기 제1본체의 외측 일면에 구비된 스피커와, 상기 토양 내부의 수분량 및 영양성분을 측정하도록 상기 제1본체의 토양 내에 설치된 토양센서와, 식물이 광합성을 하도록 상기 제1본체의 상측면에 소정길이로 연장되게 형성된 성장발광부와, 상기 제1본체의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1본체와 분리가능하도록 형성된 제2본체와, 식물에 해충이 접근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2본체의 외측 일면에 형성된 기피발광부와, 상기 스피커, 토양센서, 성장발광부 및 기피발광부와 연결되어 각각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상기 제2본체의 내측에 구비된 제어부를 포함하는 스마트화분 및 상기 스마트화분에 물을 공급하도록 구비된 물공급부와, 상기 스마트화분에 양액을 공급하도록 구비된 양액공급부와, 상기 물공급부 및 양액공급부에 연결되며, 상기 토양센서에 의해 감지된 수분량 및 영양성분의 설정된 기준값을 비교하여 설정된 기준값 미달시 상기 스마트화분에 물 또는 양액을 공급하기 위한 펌프와, 상기 스마트화분에 공급되고 남은 물을 회수하도록 상기 스마트화분의 상기 제1본체와 제2본체가 결합되는 부분에 형성된 회수부 및 상기 스마트화분, 물공급부, 양액공급부, 펌프에 연결되며, 상기 토양센서에 의해 감지된 수분량 및 영양성분의 설정된 기준값을 비교하여 상기 스마트화분과 펌프의 작동 여부 제어 및 설정된 기준값 미달시 경고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시스템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식물에 태양광과 유사한 파장 대역의 엘이디(LED)를 이용하여 식물이 광합성을 하도록 빛을 공급함으로써 실내의 햇볕이 잘 들지 않는 곳에 배치하여도 식물의 생장에 큰 영향을 받지 않고, 해충이 기피하는 파장 대역의 빛이 발광되는 적황색이 발광되는 엘이디(LED)를 이용하여 해충의 접근을 차단함과 동시에 실내의 무드등으로 활용 가능하여 실내의 분위기에 맞는 조명을 선택할 수 있으며, 화분의 수분 및 영양상태를 감지하도록 토양센서를 구비하여 실시간으로 화분에 수용된 토양의 수분 및 영양상태를 신속하게 모니터링 할 수 있고, 구비된 스피커를 통해 화분의 이상 유무 점검 및 음악감상 등의 다양한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화분과 물공급부, 양액공급부, 펌프, 카메라 및 모바일기기가 통신망에 연결되어 원격으로 관리자가 화분을 관리하되, 토양에 수분 및 영양소의 결핍 시 관리자에게 모바일기기로 전송하고, 결핍된 수분 및 영양소를 자동으로 공급하는 장치를 통해 관리자가 장시간 외출할 경우, 사용자가 소지한 모바일기기를 통해 실시간으로 화분의 상태를 점검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스마트 화분 및 이를 이용한 식물 관리 시스템{Smart potted plants and plant management system using them}
본 발명은 스마트 화분 및 이를 이용한 식물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식물이 광합성을 하도록 빛을 공급하고, 해충이 기피하는 파장 대역의 빛을 발생하며, 토양에 결핍된 수분 및 영양소를 자동으로 공급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활환경이 급진적으로 변천해 감에 따라 인간생활의 주거환경과 주변미화도 다양하게 변화되도록 요구되고 있다. 즉, 주변을 자연친화적으로 가꾸기 위하여 정원이나 꽃밭 등에서 꽃을 재배하고, 계절마다 화초나 꽃등을 화분이나 분재 또는 기타 수단을 통해 실내외에서 취미생활이나 장식용으로 활용하고 있는 것이다.
일례로 화훼원에서 꽃, 열매나 잎 등을 보고 즐기거나 향기를 맡기 위하여 가꾸고 있는 관상식물은 보통 실내 조건에 맞고 자연 그대로의 분위기를 연출하기 위하여 여러 종류의 화분, 분재, 꽃병, 그리고 별도의 다른 수단을 이용하여 계절이나 장소, 또는 취향에 맞게 미려하고 아름답게 자라날 수 있도록 가꾸게 된다.
또한, 가정이나 사무실을 비롯하여 다양한 실내 또는 실외에서 꽃이나 나무 등의 식물을 대지로부터 독립적으로 가꾸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식물의 재배는 공기 정화 외에도 마음을 안정시켜주는 등 심리적인 효과도 있기 때문에 가정이나 사무실에서의 식물재배가 권장된다.
그러나 대다수의 식물 소비자들은 자신이 가꾸고 있는 식물의 명칭은 물론, 특징, 관수법(물주는 방법), 잘 자라는 온도나 습도, 공기정화기능의 유무, 병해충 등의 식물 관리 정보를 거의 모르는 상태에서 식물을 구입하여 재배를 시작하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일부 식물은 관리를 제대로 하지 못해 고사하는 경우도 종종 발생한다.
따라서 식물을 전문적으로 생육하는 전문가가 아닌 일반인이 다양한 식물을 제대로 관리하여 재배하는 것이 매우 어려워, 가정이나 사무실 등 비 전문가가 키우는 식물은 그 종류가 매우 제한적이다.
이에 따라, 식물을 관리하기 위한 화분 및 시스템에 대하여 다양한 방법들이 제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식물을 관리하기 위한 화분 및 시스템에 대한 기술로는 "화분 식물용 자동 물공급 장치(한국 공개특허 제10-2016-0057695호)" 및 "화분 내장형 칩을 이용한 식물 관리 서비스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한국 공개특허 제10-2016-0129972호) 등에서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은 화분에 필요한 적정량의 수분을 자동으로 공급함으로써 식물이 수분 부족 또는 과잉 공급으로 인한 생장의 어려움이나 고사를 방지할 수 있는 화분 식물용 자동 물 공급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화분에 식재된 식물 급수용 물을 저장하는 물탱크, 상기 화분의 토양 내에 설치되어 토양 내의 수분량을 감지하기 위한 습도센서, 상기 습도센서와 연결되며 감지된 상기 토양 내의
수분량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수단, 상기 물탱크와 연결되며 상기 습도센서에 의해 감지된 수분량이 설정된 기준에 미달하는 경우 상기 화분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펌프 및 상기 습도센서, 디스플레이수단 및 펌프와 연결되며 상기 습도센서에 의해 감지된 수분량과 설정된 기준량을 비교하여 상기 펌프의 작동 여부 제어 및 감지된 수분량을 상기 디스플레이수단에 표시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급수자가 상기 화분에 공급되는 수분량 및 물 공급주기를 제어하는 수동모드와 상기 급수자에 의해 공급되는 수분량 및 공급주기를 저장하여 데이터화 한 후, 저장된 데이터에 따라 상기 화분에 물을 자동으로 공급하기 위한 자동모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수단은 감지된 수분량에 따라 단계적으로 점등되는 LED일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수단은 감지된 수분량이 설정된 기준에 미달하는 경우 알림음 발생을 위한 음향발생수단이 더 구비된다.
이 경우, 화분에 필요한 적정량의 수분을 자동으로 공급함으로써 식물이 수분 부족 또는 과잉 공급으로 인한 생장의 어려움이나 고사를 방지할 수 있지만, 원거리에 있는 사용자가 화분의 상태를 파악하기 곤란하고, 화분 시스템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2는 초보자도 식물의 기본정보와 관리 정보를 확인하여 식물재배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화분 내장형 칩을 이용한 식물관리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화분의 일측에 형성되는 통신부 본체와, 상기 통신부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며, 식물의 기본정보 및 관리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정보내장 칩과, 상기 통신부 본체에 마련되며, 상기 정보내장 칩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무선통신을 통해 송신하는 무선통신부와, 상기 무선통신부의 구동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정보통신모듈과 상기 정보통신모듈에서 송신되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무선통신부와, 제공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휴대단말기를 구비하며, 상기 정보통신모듈의 무선통신부와, 휴대단말기의 무선통신부는 정보를 송수신하여 상기 휴대단말기가 정보통신모듈과 설정된 거리 이내로 접근하면 식물의 관리 정보가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정보통신모듈의 무선통신부와 상기 휴대단말기의 무선통신부는 비콘(Beacon), 블루투스(Bluetooth)를 포함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 중 적어도 한가지 방식에 의하여 통신 수 있으며, 상기 휴대단말기는, 상기 정보통신모듈에서 제공되는 관리정보에 따라 설정된 급수 주기, 급수량, 필요로 하는 영양제 성분, 및 상기 필요로 하는 영양제의 공급 주기를 포함하는 식물 관리 정보의 세트를 수신하고, 상기 식물 관리 정보의 세트 중 제1그룹의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고, 상기 식물 관리 정보의 세트 중 제2그룹의 데이터를 상기 휴대단말기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고, 상기 정보통신모듈의 전원공급부는 상기 통신부 본체의 일측 또는 화분의 일측에 설치되며 태양광을 통해 전기를 생성하는 태양광 발전패널을 더 구비하며, 상기 휴대단말기는 인터넷 연결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정보 내장 칩에는 식물의 관리에 필요한 물품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물품의 판매사이트와의 접속을 위한 정보가 내장되어 상기 휴대단말기로 제공되며, 사용자는 상기 휴대단말기를 통해 상기 물품의 판매사이트에서 물품을 주문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 경우, 식물재배에 전문지식이 없는 초보자도 식물의 기본정보 및 관리 정보를 제공받아 안전하고 용이하게 식물재배를 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으나, 토양에 결핍된 수분 및 영양소를 자동으로 공급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16-0057695호 (2014. 11. 14) 한국 등록특허 제10-2016-0129972호 (2015. 04. 30)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식물에 태양광과 유사한 파장 대역의 엘이디(LED)를 이용하여 식물이 광합성을 하도록 빛을 공급하고, 해충이 기피하는 파장 대역의 빛이 발광되도록 적황색이 발광되는 엘이디(LED)를 이용하여 해충의 접근을 차단하며, 화분의 수분 및 영양상태를 감지하도록 토양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토양센서에서 이상이 감지될 때 경고신호를 발생하고, 식물의 생육에 유리한 음악을 제공하도록 스피커가 마련된 스마트화분을 제공하고, 상기 스마트화분과 물공급부, 양액공급부, 펌프, 카메라 및 모바일기기가 통신망에 연결되어 원격으로 관리자가 화분을 관리하되, 토양에 수분 및 영양소의 결핍 시 관리자에게 모바일기기로 전송하고, 결핍된 수분 및 영양소를 자동으로 공급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화분 및 이를 이용한 식물 관리 시스템은, 식물이 식재되도록 토양이 수용된 제1본체와, 상기 제1본체의 외측 일면에 구비된 스피커와, 상기 토양 내부의 수분량 및 영양성분을 측정하도록 상기 제1본체의 토양 내에 설치된 토양센서와, 식물이 광합성을 하도록 식물에 광을 조사하기 위해 상기 제1본체의 상측면에 소정길이로 연장되게 형성된 성장발광부와, 상기 제1본체의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1본체와 분리가능하도록 형성된 제2본체와, 식물에 해충이 접근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2본체의 외측 일면에 형성된 기피발광부 및 상기 스피커, 토양센서, 성장발광부 및 기피발광부와 연결되어 각각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상기 제2본체의 내측에 구비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스마트 화분 및 이를 이용한 식물 관리 시스템의 상기 성장발광부는 상기 제1본체와 분리가능하도록 상기 성장발광부의 단부에는 제2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본체의 일측에 제2결합부가 형성되되, 상기 제1결합부는 소정길이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제1결합부에 대응되도록 결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스마트 화분 및 이를 이용한 식물 관리 시스템의 상기 성장발광부는 0.2㎛ 내지 0.4㎛ 의 파장대역을 가지도록 발광되는 엘이디(LED)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스마트 화분 및 이를 이용한 식물 관리 시스템의 상기 기피발광부는 600nm 내지 650nm 의 파장대역을 가지도록 적황색으로 발광되는 엘이디(LED)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스마트 화분 및 이를 이용한 식물 관리 시스템의 상기 제1본체에 공급되고 남은 물이 배출되도록 상기 제1본체와 제2본체가 결합되는 부분에 물받이홈이 더 형성되고, 상기 물받이홈으로 배출되는 물을 회수하도록 상기 물받이홈에 대응되게 형성된 물받이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스마트 화분 및 이를 이용한 식물 관리 시스템의 상기 물받이부는 상기 물받이홈으로 배출되는 물을 정화하도록 상기 물받이부의 내측에 대응되도록 회수필터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스마트 화분 및 이를 이용한 식물 관리 시스템은 식물이 식재되도록 토양이 수용된 제1본체와,
상기 제1본체의 외측 일면에 구비된 스피커와,
상기 토양 내부의 수분량 및 영양성분을 측정하도록 상기 제1본체의 토양 내에 설치된 토양센서와,
식물이 광합성을 하도록 상기 제1본체의 상측면에 소정길이로 연장되게 형성된 성장발광부와,
상기 제1본체의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1본체와 분리가능하도록 형성된 제2본체와,
식물에 해충이 접근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2본체의 외측 일면에 형성된 기피발광부와,
상기 스피커, 토양센서, 성장발광부 및 기피발광부와 연결되어 각각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상기 제2본체의 내측에 구비된 제어부를 포함하는 스마트화분과, 상기 스마트화분에 물을 공급하도록 구비된 물공급부와, 상기 스마트화분에 양액을 공급하도록 구비된 양액공급부와, 상기 물공급부 및 양액공급부에 연결되며, 상기 토양센서에 의해 감지된 수분량 및 영양성분의 설정된 기준값을 비교하여 설정된 기준값 미달시 상기 스마트화분에 물 또는 양액을 공급하기 위한 펌프와, 상기 스마트화분에 공급되고 남은 물을 회수하도록 상기 스마트화분의 상기 제1본체와 제2본체가 결합되는 부분에 형성된 회수부 및 상기 스마트화분, 물공급부, 양액공급부, 펌프에 연결되며, 상기 토양센서에 의해 감지된 수분량 및 영양성분의 설정된 기준값을 비교하여 상기 스마트화분과 펌프의 작동 여부 제어 및 설정된 기준값 미달시 경고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시스템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스마트 화분 및 이를 이용한 식물 관리 시스템의 상기 성장발광부는 상기 제1본체와 분리가능하도록 상기 성장발광부의 단부에는 제2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본체의 일측에 제2결합부가 형성되되, 상기 제1결합부는 소정길이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제1결합부에 대응되도록 결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스마트 화분 및 이를 이용한 식물 관리 시스템의 상기 성장발광부는 0.2㎛ 내지 0.4㎛의 파장대역을 가지도록 발광되는 엘이디(LED)이고, 상기 기피발광부는 600nm 내지 650nm 의 파장대역을 가지도록 적황색으로 발광되는 엘이디(LED)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스마트 화분 및 이를 이용한 식물 관리 시스템의 상기 회수부는 상기 제1본체에 공급되고 남은 물이 배출되도록 상기 제1본체와 제2본체가 결합되는 부분에 물받이홈이 더 형성되고, 상기 물받이홈으로 배출되는 물을 회수하도록 상기 물받이홈에 대응되게 형성된 리턴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스마트화분에 공급되고 남은 물을 상기 물공급부로 보내도록 상기 리턴부의 일측에는 리턴관이 형성되고, 상기 리턴관에서 회수된 물을 정화하도록 상기 물공급부와 상기 리턴관의 단부 사이에는 리턴필터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스마트 화분 및 이를 이용한 식물 관리 시스템의 상기 리턴부에 침전된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상기 물받이부의 타측에는 고압수공급부가 더 구비되어, 상기 고압수공급부에서 공급된 물로 상기 리턴부가 세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스마트 화분 및 이를 이용한 식물 관리 시스템의 상기 시스템제어부는 통신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시스템제어부에서 수신된 정보는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관리자의 모바일기기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스마트 화분 및 이를 이용한 식물 관리 시스템의 상기 시스템제어부는 상기 모바일기기를 통해 관리자가 상기 시스템제어부에서 송신된 정보에 의해 상기 스마트화분 및 물공급부, 양액공급부, 펌프를 직접 제어하는 수동모드를 통해 관리자가 직접 제어하거나, 상기 관리자에 의해 공급되는 수분량 및 영양성분의 공급주기를 저장하여 데이터화 한 후, 저장된 데이터에 따라 상기 스마트화분에 물 또는 양액을 자동으로 공급하기 위한 자동모드를 통해 상기 시스템제어부가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스마트 화분 및 이를 이용한 식물 관리 시스템의 상기 통신모듈과 모바일기기의 통신은 무선인터넷, 비콘(Beacon),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식 중 적어도 한가지 방식에 의하여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스마트 화분 및 이를 이용한 식물 관리 시스템의 상기 스마트화분의 현재 상황이 관찰 가능하도록 상기 스마트화분의 일측에는 카메라가 더 구비되고, 상기 카메라를 통해 생성된 영상정보는 상기 모바일기기를 통해 확인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식물에 태양광과 유사한 파장 대역의 엘이디(LED)를 이용하여 식물이 광합성을 하도록 빛을 공급함으로써 실내의 햇볕이 잘 들지 않는 곳에 배치하여도 식물의 생장에 큰 영향을 받지 않고, 해충이 기피하는 파장 대역의 빛이 발광되는 적황색이 발광되는 엘이디(LED)를 이용하여 해충의 접근을 차단함과 동시에 실내의 무드등으로 활용 가능하여 실내의 분위기에 맞는 조명을 선택할 수 있으며, 화분의 수분 및 영양상태를 감지하도록 토양센서를 구비하여 실시간으로 화분에 수용된 토양의 수분 및 영양상태를 신속하게 모니터링 할 수 있고, 구비된 스피커를 통해 화분의 이상 유무 점검 및 음악감상 등의 다양한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화분과 물공급부, 양액공급부, 펌프, 카메라 및 모바일기기가 통신망에 연결되어 원격으로 관리자가 화분을 관리하되, 토양에 수분 및 영양소의 결핍 시 관리자에게 모바일기기로 전송하고, 결핍된 수분 및 영양소를 자동으로 공급하는 장치를 통해 관리자가 장시간 외출할 경우, 사용자가 소지한 모바일기기를 통해 실시간으로 화분의 상태를 점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화분의 정면을 기준으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화분의 배면을 기준으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화분을 정면을 기준으로 바라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화분을 저면을 기준으로 바라본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화분을 정면에서 배면을 기준으로 절단하여 바라본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화분을 좌측면에서 우측면을 기준으로 절단하여 바라본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화분의 식재부 일부분을 절단하여 바라본 부분단면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화분의 식재부와 성장발광부가 분리결합되는 모습을 표현한 부분분리결합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화분을 도식화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화분의 사용상태를 표현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화분의 사용상태를 표현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화분을 이용한 식물 관리 시스템을 표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화분을 이용한 식물 관리 시스템을 도식화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화분을 이용한 식물 관리 시스템을 통해 관리자의 모바일기기에 전달되는 메시지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화분을 이용한 식물 관리 시스템을 통해 관리자의 모바일기기에 현재의 스마트화분에 식재된 식물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모습을 예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화분 및 이를 이용한 식물 관리 시스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대하여,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화분(10)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화분(10)은 제1본체(100)와, 스피커(700)와, 토양센서(600)와, 성장발광부(300)와, 제2본체(200)와, 기피발광부(400) 및 제어부(800)를 포함한다.
상기 제1본체(100)는 식물(P)이 식재되도록 형성된 것으로, 식재부(110), 토양수용부(120), 제1우회로(130), 배수부(140), 제1결합부(150)를 포함한다.
상기 식재부(110)는 수용된 토양(T)이 유실되지 않도록 상기 제1본체(100)의 외측면에 형성된다. 상기 식재부(1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의 기둥을 사용할 수도 있고, 다각형의 기둥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토양수용부(120)는 상기 식재부(110)의 내측에 형성되어 토양(T)을 수용하고, 수용된 토양(T)에 의해 식물(P)이 성장하는 기초를 마련한다.
상기 제1우회로(130)는 상기 스마트화분(10)의 각각의 구성에 포함된 전선이 직접적으로 토양(T) 및 물에 닿지 않도록 상기 토양수용부(120)를 우회하게 형성된다.
상기 배수부(140)는 상기 제1본체(100)의 하측에 형성되어, 토양(T)의 유실을 최소화하는 범위 내에서 상기 토양수용부(120)에 유입된 물을 배수시킨다. 상기 배수부(140)에는 다수 개의 배수공이 형성되어 상기 배수공을 통해 물이 상기 제1본체(100)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스피커(700)는 상기 제1본체(100)의 일측에 설치되되, 상기 제1우회로(130) 외측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피커(700)는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등의 무선신호를 이용하여 음악이 재생될 수도 있고, 화분에 이상신호가 발생하는 경우 경고음을 발생시킬 수도 있다.
상기 토양센서(600)는 상기 토양수용부(120)에 수용된 토양(T) 내부에 구비된다. 상기 토양센서(600)는 토양(T)의 수분량 또는 영양성분을 측정한다.
상기 성장발광부(300)는 상기 제1본체(100)에 심어진 식물(P)이 광합성을 하도록 식물(P)에 광을 조사한다. 이를 위해, 상기 성장발광부(300)는 상기 제1본체(100)의 상측면에 소정길이로 연장되게 형성되되, 식물(P)에 골고루 광을 조사하기 위해 아치형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성장발광부(300)에서 발광되는 광은 태양광과 유사하도록 0.2㎛ 이상, 0.4㎛ 이하의 파장대역을 가진 성장엘이디(310)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성장발광부(300)는 상기 제1본체(100)와 결합되도록 상기 제1본체(100)의 상측면에 제1결합부(150)가 형성되되, 상기 제1결합부(150)는 상기 성장발광부(300)에 결합되도록 소정깊이를 갖는 홈으로 형성된다.
상기 성장발광부(300)의 단부는 제2결합부(320)가 마련되되, 상기 제2결합부(320)는 상기 제1결합부(150)에 결합되도록 상기 상기 제1결합부(150)에 대응되게 돌출 형성된다. 이로 인해, 상기 성장발광부(300)가 상기 제1본체(100)에 결합되며, 필요에 따라 상기 성장발광부(300)는 상기 제1본체(100)에서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제2본체(200)는 상기 제1본체(100)의 하측에 연장 형성된다. 상기 제2본체(200)는 지지부(210), 제어수용부(220), 제2우회로(230), 본체받침(240), 전원공급부(250)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210)는 상기 제2본체(200)의 외측에 형성되어 상기 스마트화분(10)이 배치되는 장소에 상기 스마트화분(10)을 지지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어수용부(220)는 상기 지지부(210)의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어부(800) 및 전원공급부(250)를 수용한다.
상기 제2우회로(230)는 상기 제1우회로(130)를 통해 인입되는 전선을 수용하고, 상기 인입된 전선이 제어부(800)에 연결되도록 전선의 수용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본체받침(240)은 상기 지지부(210)의 하측에 구비되되, 상기 지지부(210)와 착탈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전원공급부(250)는 상기 스마트화분(10)의 외측에서 전력을 인입하여 상기 스마트화분(10)에 전력을 공급한다. 전력은 외부 전력을 직접 사용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외부 전력을 충전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제2본체(200)는 상기 제1본체(100)와 연결되도록 상기 제1본체(100)의 하측면에 연결돌기(111)가 형성되고, 상기 제2본체(200)의 상측에는 상기 연결돌기(111)와 대응되게 연결홈(211)이 형 된다. 이로 인해, 상기 제2본체(200)가 상기 제1본체(100)에 연결되며, 필요에 따라 상기 제2본체(200)는 상기 제1본체(100)에서 분리될 수 있다.
상기 기피발광부(400)는 상기 스마트화분(10)에 식재된 식물(P)에 해충이 접근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2본체(200)의 외측 일면에 마련된다.
상기 기피발광부(400)는 다수 개의 기피엘이디(410)가 상기 제2본체(200)의 외측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기피엘이디(410)에서 발광되는 광은 해충들이 기피하는 파장대역인 600nm 이상, 650nm 이하의 파장대역을 발생하도록 적황색으로 발광하는 기피엘이디(410)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제2본체(200)의 제어수용부(220) 내측에 수용되어, 상기 토양센서(600)에 의해 감지된 수분량 및 영양성분의 설정된 기준값을 비교하여 상기 성장발광부(300) 및 기피발광부(400)의 작동 여부 제어 및 설정된 기준값 미달시 상기 스피커(700)를 통해 경고신호를 발생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제1본체(100)와 제2본체(200)가 결합되는 부분에는 물받이부(50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물받이부(500)는 물받이홈(260)과 물받침(510)을 포함한다.
상기 물받이홈(260)은 상기 제1본체(100)에 공급되고 남은 물이 배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물받침(510)은 상기 제1본체(100)에서 상기 물받이홈(260)으로 배출되는 물을 회수하도록 상기 물받이홈(260)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물받침(510)은 상기 물받이홈(260)에 슬라이딩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물받침(510)은 회수필터(52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회수필터(520)는 상기 제1본체(100)에서 상기 물받이홈(260)으로 배출되는 흙, 양액들이 뒤섞인 물을 정화하도록 가는 메쉬망 형태로 형성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화분(10)의 사용상태를 표현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10을 살펴보면, 상기 스마트 회분 내부에 토양(T)이 수용되고, 수용된 토양(T)에 식물(P)이 식재되며, 식재된 식물(P)은 성장발광부(300)에 의해 광합성을 하고, 상기 스마트화분(10) 주위로 해충이 날아들지 못하도록 기피발광부(400)가 작동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화분(10)의 사용상태를 표현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11을 살펴보면, 식재된 식물(P)이 성장하여 성장발광부(350)에 의해 성장이 방해될 경우,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성장발광부(350)로 교체할 수 있다. 도면상에는 바(bar) 형태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있으나, 상기 성장발광부(350)의 형태는 바(bar) 형태 이외의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화분(10)을 이용한 식물 관리 시스템을 표현한 도면이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도 12 내지 도 13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화분(10)을 이용한 식물 관리 시스템은 스마트화분(10)과, 물공급부(30), 양액공급부(40), 펌프(50), 회수부(20) 및 시스템제어부(70)를 포함한다.
상기 물공급부(30)는 상기 스마트화분(10)에 물을 공급하도록 구비되며, 수조(32) 및 급수부(31)를 포함한다.
상기 급수부(31)는 상기 수조(32)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수조(32)의 수위가 설정된 기준치보다 미달일 경우 외부의 수원을 통해 상기 수조(32)의 내부로 물을 공급한다.
상기 수조(32)는 유입관(32a)을 포함한다. 상기 유입관(32a)은 상기 수조(32)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수조(32) 내부의 물을 외부로 전달한다.
상기 양액공급부(40)는 상기 스마트화분(10)에 양액을 공급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양액공급부(40)는 별도의 통신모듈을 구비하여, 상기 스마트화분(10)에서 전달되는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에 맞추어 양액의 양을 조절한다.
상기 펌프(50)는 상기 물공급부(30) 및 양액공급부(40)에 연결되며, 상기 토양센서(600)에 의해 감지된 수분량 및 영양성분의 설정된 기준값을 비교하여 설정된 기준값 미달시 상기 스마트화분(10)에 물 또는 양액을 공급한다. 상기 펌프(50)는 별도의 통신모듈을 구비하여, 상기 스마트화분(10)에서 전달되는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에 맞추어 물 또는 양액의 양을 조절한다. 상기 펌프(50)에서 이송되는 물 또는 양액은 공급관(51)을 통해 상기 스마트화분(10)으로 공급된다.
상기 회수부(20)는 상기 스마트화분(10)의 상기 제1본체(100)와 제2본체(200)가 결합되는 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스마트화분(10)에 공급되고 남는 물을 회수한다. 상기 회수부(20)는 물받이홈(260)과 리턴부(21) 및 리턴관(22)이 구비된다.
상기 리턴부(21)는 상기 물받이홈(260)으로 배출되는 물을 회수하도록 상기 물받이홈(260)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상기 리턴관(22)은 상기 리턴부(21)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스마트화분(10)에 공급되고 남은 물을 상기 물공급부(30)로 보낸다.
상기 리턴관(22)과 상기 물공급부(30) 사이에는 리턴필터(3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리턴필터(33)는 상기 리턴관(22)에서 상기 물공급부(30)로 배출되는 흙, 양액들이 뒤섞인 물을 정화하도록 가는 메쉬망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리턴부(21)에는 고압수공급부(23)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고압수공급부(23)는 상기 리턴부(21)에 침전된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상기 리턴부(21)에 고압의 물을 공급하여 상기 고압수공급부(23)에서 공급된 물로 상기 리턴부(21)가 세척되게 한다.
상기 시스템제어부(70)는 상기 스마트화분(10), 물공급부(30), 양액공급부(40), 펌프(50)에 연결되며, 상기 토양센서(600)에 의해 감지된 수분량 및 영양성분의 설정된 기준값을 비교하여 상기 스마트화분(10)과 펌프(50)의 작동 여부 제어 및 설정된 기준값 미달시 경고신호를 발생시킨다. 또한, 상기 시스템제어부(70)는 통신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시스템제어부(70)에서 수신된 정보는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관리자의 모바일기기(80)로 전송된다.
상기 시스템제어부(70)는 상기 모바일기기(80)를 통해 관리자가 상기 시스템제어부(70)에서 송신된 정보에 의해 상기 스마트화분(10) 및 물공급부(30), 양액공급부(40), 펌프(50)를 관리자가 직접 제어하도록 하는 수동모드와, 상기 관리자에 의해 공급되는 수분량 및 영양성분의 공급주기를 저장하여 데이터화 한 후, 저장된 데이터에 따라 상기 스마트화분(10)에 물 또는 양액을 자동으로 공급하기 위해 상기 시스템제어부(70)가 제어하는 자동모드를 갖는다.
상기 시스템제어부(70)의 상기 통신모듈과 모바일기기(80)의 통신은 무선인터넷, 비콘(Beacon),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식 중 적어도 한가지 방식에 의하여 통신한다.
상기 식물 관리 시스템은 카메라(6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60)는 상기 스마트화분(10)의 현재 상황이 관찰 가능하도록 상기 스마트화분(10)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카메라(60)를 통해 생성된 영상정보는 상기 모바일기기(80)를 통해 확인되도록 형성된다.
도 14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화분(10)을 이용한 식물 관리 시스템을 통해 관리자의 모바일기기(80)에 전달되는 상태표시화면(81) 및 카메라수신화면(82)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4 내지 도 15를 살펴보면, 상기 모바일기기(80)의 상태표시화면(81)을 통해 상기 스마트화분(10)의 환경정보를 수신받고, 상기 모바일기기(80)를 통해 성장엘이디(310), 기피엘이디(410), 펌프(50) 등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카메라(60)에서 수신된 영상을 상기 모바일기기(80)의 카메라수신화면(82)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식물에 태양광과 유사한 파장 대역의 엘이디(LED)를 이용하여 식물이 광합성을 하도록 빛을 공급함으로써 실내의 햇볕이 잘 들지 않는 곳에 배치하여도 식물의 생장에 큰 영향을 받지 않고, 해충이 기피하는 파장 대역의 빛이 발광되는 적황색이 발광되는 엘이디(LED)를 이용하여 해충의 접근을 차단함과 동시에 실내의 무드등으로 활용 가능하여 실내의 분위기에 맞는 조명을 선택할 수 있으며, 화분의 수분 및 영양상태를 감지하도록 토양센서를 구비하여 실시간으로 화분에 수용된 토양(T)의 수분 및 영양상태를 신속하게 모니터링 할 수 있고, 구비된 스피커를 통해 화분의 이상 유무 점검 및 음악감상 등의 다양한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화분과 물공급부, 양액공급부, 펌프, 카메라 및 모바일기기가 통신망에 연결되어 원격으로 관리자가 화분을 관리하되, 토양에 수분 및 영양소의 결핍 시 관리자에게 모바일기기로 전송하고, 결핍된 수분 및 영양소를 자동으로 공급하는 장치를 통해 관리자가 장시간 외출할 경우, 사용자가 소지한 모바일기기를 통해 실시간으로 화분의 상태를 점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스마트화분
100 : 제1본체
110 : 식재부
111 : 연결돌기
120 : 토양수용부
130 : 제1우회로
140 : 배수부
141 : 배수공
150 : 제1결합부
200 : 제2본체
210 : 지지부
211 : 연결홈
220 : 제어수용부
230 : 제2우회로
240 : 본체받침
250 : 전원공급부
260 : 물받이홈
300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성장발광부
310 : 성장엘이디
320 : 제2결합부
350 :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성장발광부
400 : 기피발광부
410 : 기피엘이디
500 : 물받이부
510 : 물받침
520 : 회수필터
600 : 토양센서
700 : 스피커
800 : 제어부
20 : 회수부
21 : 리턴부
22 : 리턴관
23 : 고압수공급부
30 : 물공급부
31 : 급수부
32 : 수조
32a : 유입관
33 : 리턴필터
40 : 양액공급부
50 : 펌프
51 : 공급관
60 : 카메라
70 : 시스템제어부
80 : 모바일기기
81 : 상태표시화면
82 : 카메라수신화면
P : 식물 T : 토양

Claims (15)

  1. 식물이 식재되도록 토양이 수용된 제1본체;
    상기 제1본체의 외측 일면에 구비된 스피커;
    상기 토양 내부의 수분량 및 영양성분을 측정하도록 상기 제1본체의 토양 내에 설치된 토양센서;
    식물이 광합성을 하도록 식물에 광을 조사하기 위해 상기 제1본체의 상측면에 소정길이로 연장되게 형성된 성장발광부;
    상기 제1본체의 하측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본체와 분리가능하도록 구비된 제2본체;
    식물에 해충이 접근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2본체의 외측 일면에 마련된 기피발광부; 및
    상기 스피커, 토양센서, 성장발광부 및 기피발광부와 연결되어 각각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상기 제2본체의 내측에 구비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화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성장발광부는 상기 제1본체와 분리가능하도록 상기 성장발광부의 단부에는 제2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본체의 일측에 제2결합부가 형성되되,
    상기 제1결합부는 소정길이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제1결합부에 대응되도록 결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화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성장발광부는 0.2㎛ 내지 0.4μm 의 파장대역을 가지도록 발광되는 엘이디(LE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화분.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피발광부는 600nm 내지 650nm 의 파장대역을 가지도록 적황색으로 발광되는 엘이디(LE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화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본체에 공급되고 남은 물이 배출되도록 상기 제1본체와 제2본체가 결합되는 부분에 물받이홈이 더 형성되고,
    상기 제1본체에서 상기 물받이홈으로 배출되는 물을 회수하도록 상기 물받이홈에 대응되게 형성된 물받침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화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물받침은 상기 제1본체에서 상기 물받이홈으로 배출되는 물을 정화하도록 상기 물받침의 내측에 대응되도록 회수필터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화분.
  7. 식물이 식재되도록 토양이 수용된 제1본체와,
    상기 제1본체의 외측 일면에 구비된 스피커와,
    상기 토양 내부의 수분량 및 영양성분을 측정하도록 상기 제1본체의 토양 내에 설치된 토양센서와,
    식물이 광합성을 하도록 상기 제1본체의 상측면에 소정길이로 연장되게 형성된 성장발광부와,
    상기 제1본체의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1본체와 분리가능하도록 형성된 제2본체와,
    식물에 해충이 접근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2본체의 외측 일면에 형성된 기피발광부와,
    상기 스피커, 토양센서, 성장발광부 및 기피발광부와 연결되어 각각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상기 제2본체의 내측에 구비된 제어부를 포함하는 스마트화분;
    상기 스마트화분에 물을 공급하도록 구비된 물공급부;
    상기 스마트화분에 양액을 공급하도록 구비된 양액공급부;
    상기 물공급부 및 양액공급부에 연결되며, 상기 토양센서에 의해 감지된 수분량 및 영양성분의 설정된 기준값을 비교하여 설정된 기준값 미달시 상기 스마트화분에 물 또는 양액을 공급하기 위한 펌프;
    상기 스마트화분에 공급되고 남은 물을 회수하도록 상기 스마트화분의 상기 제1본체와 제2본체가 결합되는 부분에 형성된 회수부; 및
    상기 스마트화분, 물공급부, 양액공급부, 펌프에 연결되며, 상기 토양센서에 의해 감지된 수분량 및 영양성분의 설정된 기준값을 비교하여 상기 스마트화분과 펌프의 작동 여부 제어 및 설정된 기준값 미달시 경고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시스템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관리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성장발광부는 상기 제1본체와 분리가능하도록 상기 성장발광부의 단부에는 제2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본체의 일측에 제2결합부가 형성되되,
    상기 제1결합부는 소정길이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제1결합부에 대응되도록 결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화분.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성장발광부는 0.2㎛ 내지 0.4㎛의 파장대역을 가지도록 발광되는 엘이디(LED)이고,
    상기 기피발광부는 600nm 내지 650nm 의 파장대역을 가지도록 적황색으로 발광되는 엘이디(LE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관리 시스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부는 상기 제1본체에 공급되고 남은 물이 배출되도록 상기 제1본체와 제2본체가 결합되는 부분에 물받이홈이 형성되고,
    상기 물받이홈으로 배출되는 물을 회수하도록 상기 물받이홈에 대응되게 형성된 리턴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스마트화분에 공급되고 남은 물을 상기 물공급부로 보내도록 상기 리턴부의 일측에는 리턴관이 형성되고,
    상기 리턴관에서 회수된 물을 정화하도록 상기 물공급부와 상기 리턴관의 단부 사이에는 리턴필터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관리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리턴부에 침전된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상기 리턴부의 타측에는 고압수공급부가 더 구비되어, 상기 고압수공급부에서 공급된 물로 상기 리턴부가 세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관리 시스템.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제어부는 통신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시스템제어부에서 수신된 정보는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관리자의 모바일기기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관리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제어부는 상기 모바일기기를 통해 관리자가 상기 시스템제어부에서 송신된 정보에 의해 상기 스마트화분 및 물공급부, 양액공급부, 펌프를 직접 제어하는 수동모드를 통해 관리자가 직접 제어하거나,
    상기 관리자에 의해 공급되는 수분량 및 영양성분의 공급주기를 저장하여 데이터화 한 후, 저장된 데이터에 따라 상기 스마트화분에 물 또는 양액을 자동으로 공급하기 위한 자동모드를 통해 상기 시스템제어부가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관리 시스템.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모듈과 모바일기기의 통신은 무선인터넷, 비콘(Beacon),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식 중 적어도 한가지 방식에 의하여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관리 시스템.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화분의 현재 상황이 관찰 가능하도록 상기 스마트화분의 일측에는 카메라가 더 구비되고,
    상기 카메라를 통해 생성된 영상정보는 상기 모바일기기를 통해 확인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관리 시스템.
KR1020180034440A 2018-03-26 2018-03-26 스마트 화분 및 이를 이용한 식물 관리 시스템 KR1020336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4440A KR102033649B1 (ko) 2018-03-26 2018-03-26 스마트 화분 및 이를 이용한 식물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4440A KR102033649B1 (ko) 2018-03-26 2018-03-26 스마트 화분 및 이를 이용한 식물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2439A true KR20190112439A (ko) 2019-10-07
KR102033649B1 KR102033649B1 (ko) 2019-10-17

Family

ID=68422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4440A KR102033649B1 (ko) 2018-03-26 2018-03-26 스마트 화분 및 이를 이용한 식물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364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8199B1 (ko) * 2020-02-28 2021-04-08 함석훈 인공지능 대화형 스마트 화분 스피커
KR102278418B1 (ko) * 2020-05-25 2021-07-16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노지 텃밭용 증강현실 디바이스, 그리고 이를 이용한 노지 텃밭 감시 시스템 및 방법
KR20210101068A (ko) * 2020-02-07 2021-08-18 장석균 스마트 식생화분
CN113924888A (zh) * 2021-11-18 2022-01-14 上海健康医学院 一种多功能智能花盆的控制系统、智能花盆及其控制方法
CN115299265A (zh) * 2022-08-05 2022-11-08 黄璐 一种植物培养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9673B1 (ko) 2020-03-10 2020-08-31 안혁 스마트 식물재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식물재배 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7301B1 (ko) * 2011-08-22 2013-06-20 유형근 조명 스탠드
KR20160057695A (ko) 2014-11-14 2016-05-24 이세현 화분 식물용 자동 물공급 장치
KR20160129972A (ko) 2015-04-30 2016-11-10 (주)제이케이데이터시스템즈 화분 내장형 칩을 이용한 식물 관리 서비스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1690182B1 (ko) * 2015-01-20 2016-12-27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아일랜드 식탁형 공기정화장치 및 그 운용방법
KR20170041329A (ko) * 2015-10-06 2017-04-17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시스템과 연동되는 스마트 화분
KR20170068909A (ko) * 2015-12-10 2017-06-20 박동희 벽걸이형 스마트 자동급수 화분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7301B1 (ko) * 2011-08-22 2013-06-20 유형근 조명 스탠드
KR20160057695A (ko) 2014-11-14 2016-05-24 이세현 화분 식물용 자동 물공급 장치
KR101690182B1 (ko) * 2015-01-20 2016-12-27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아일랜드 식탁형 공기정화장치 및 그 운용방법
KR20160129972A (ko) 2015-04-30 2016-11-10 (주)제이케이데이터시스템즈 화분 내장형 칩을 이용한 식물 관리 서비스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20170041329A (ko) * 2015-10-06 2017-04-17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시스템과 연동되는 스마트 화분
KR20170068909A (ko) * 2015-12-10 2017-06-20 박동희 벽걸이형 스마트 자동급수 화분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1068A (ko) * 2020-02-07 2021-08-18 장석균 스마트 식생화분
KR102238199B1 (ko) * 2020-02-28 2021-04-08 함석훈 인공지능 대화형 스마트 화분 스피커
KR102278418B1 (ko) * 2020-05-25 2021-07-16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노지 텃밭용 증강현실 디바이스, 그리고 이를 이용한 노지 텃밭 감시 시스템 및 방법
CN113924888A (zh) * 2021-11-18 2022-01-14 上海健康医学院 一种多功能智能花盆的控制系统、智能花盆及其控制方法
CN115299265A (zh) * 2022-08-05 2022-11-08 黄璐 一种植物培养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3649B1 (ko) 2019-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3649B1 (ko) 스마트 화분 및 이를 이용한 식물 관리 시스템
KR20120000837A (ko) 화분의 수분 조절장치
KR102439173B1 (ko) 수경 재배를 위한 디바이스
US20160128288A1 (en) Self-watering, self-lighting hydroponic system
US8689483B2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growth of organisms
KR102137860B1 (ko) 수직 다층 식물 재배 장치
JP2018537967A (ja) 植物栽培用の装置および方法、ならびにそのための播種および植栽マット
CN105104153A (zh) 基于物联网的室内植物智能培育装置和培育方法
KR101582389B1 (ko) 무선 제어 가능한 식물 재배 시스템
KR101408932B1 (ko) 디지털 기반의 가전형 식물재배장치
US20170105373A1 (en) Fluid filtration and distribution system for planting devices
US20200375127A1 (en) Soilless plant growing systems
CN206686837U (zh) 一种led灯和雾培联用的室内植物培育装置
US20160242370A1 (en) Automated Plant Irrigation System
KR20210074552A (ko) 도시농업용 스마트 아쿠아포닉스 시스템 장치 및 그 시스템 장치를 이용한 수경재배방법
KR20190062083A (ko) 식물 재배 기능을 갖는 휴대용 수족관
US20210251161A1 (en) Automated terrarium
KR101335205B1 (ko) 무인 식물관리장치
KR20170062784A (ko) 맞춤형 led 식물 재배장치
KR20100073700A (ko) 식물의 생장 환경 감지 및 감성 인터페이스가 내장된 애완 화분 장치
CN204860455U (zh) 基于物联网的室内植物智能培育装置
KR101284229B1 (ko) 식물 재배장치
KR102241200B1 (ko) 수직형 수경재배기
CN102550336A (zh) 生物生长控制装置
KR200339682Y1 (ko) 화분의 급수신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