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0182B1 - 아일랜드 식탁형 공기정화장치 및 그 운용방법 - Google Patents

아일랜드 식탁형 공기정화장치 및 그 운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0182B1
KR101690182B1 KR1020150009438A KR20150009438A KR101690182B1 KR 101690182 B1 KR101690182 B1 KR 101690182B1 KR 1020150009438 A KR1020150009438 A KR 1020150009438A KR 20150009438 A KR20150009438 A KR 20150009438A KR 101690182 B1 KR101690182 B1 KR 1016901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sland
turned
color
lighting
illumin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9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89787A (ko
Inventor
임재현
Original Assignee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094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0182B1/ko
Publication of KR201600897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97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01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01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4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 A01G7/045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with electric ligh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3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animal or plant extracts, or vegetabl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22Ioni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purification, e.g. by filtering; by sterilisation; by ozon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1Apparatus for controlling air treatment
    • A61L2209/111Sensor means, e.g. motion, brightness, scent, contaminant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2Lighting mea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Zo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아일랜드 식탁형 공기정화장치는, 주방 바닥면에 설치되며, 상판을 가지는 아일랜드식탁, 상판의 중앙부 저면에 설치되는 식물재배조명, 상판의 하방에 배치되며, 하나 이상의 식물이 놓여지는 식물재배용테이블, 아일랜드식탁 전방에 배치되는 의자의 좌판에 설치되는 압전센서 그리고 아일랜드식탁 표면에 배치되는 가스 센서를 포함하고, 식물재배용테이블에는 피톤치드 및 음이온을 방출하여 공기를 정화하며 탈취 효과가 뛰어난 보스톤 고사리, 미니율마, 스킨답서스, 산호수, 팔손이나무, 및 로즈마리 중 적어도 하나가 재배되는 구성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아일랜드 식탁형 공기정화장치 및 그 운용방법에 따르면, 사용자가 식탁에 착석중인 것이 감지되는 경우에는 식탁면에 구비된 무드조명이 켜지도록 함과 동시에, 사용자가 주방을 떠난 경우에는 식탁면에 구비된 무드 조명이 소등되도록 하며, 음악재생용 스피커에서는 사용자의 핸드폰에 저장되어 있던 음악을 재생시켜주거나, 식물재배에 도움이 되는 백색노이즈가 재생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아일랜드 식탁형 공기정화장치 및 그 운용방법{AIR CLEANING APPARATUS AND MANAGEMENT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아일랜드 식탁형 공기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스톤 고사리, 미니율마, 스킨답서스, 산호수, 팔손이나무, 또는 로즈마리 등이 방출하는 피톤치드 및 음이온을 통해서 공기를 정화하고 탈취를 하는 효과를 가지면서 통상의 아일랜드 식탁에 있어서 재실감지센서 또는 압전센서에 의하여 사용자가 식탁에 착석중인 것이 감지되는 경우에는 식탁면에 구비된 무드조명이 켜지도록 함과 동시에, 사용자가 주방을 떠난 경우에는 식탁면에 구비된 무드 조명이 소등되도록 하며, 음악재생용 스피커에서는 사용자의 핸드폰에 저장되어 있던 음악을 재생시켜주거나, 식물재배에 도움이 되는 백색노이즈가 재생되도록 하는 아일랜드 식탁형 공기정화장치 및 그 운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예로부터, 우리나라는 전통적인 좌식문화로서 식사를 할 때에도 바닥에 앉아서 먹을 수 있는 밥상을 사용해 왔으며, 이러한 밥상의 경우 밥과 반찬 등을 올려놓기 위한 넓은 상판과, 상기 상판을 바닥면으로부터 지지하기 위한 4개의 다리로 이루어져 있고, 이러한 다리부분은 접어서 보관할 수 있도록 제작되어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서양의 입식문화가 생활화되면서 의자에 앉아서 식사를 하는 식탁이 주로 사용되고 있는데, 그 종류도 2인용의 작은 크기부터 여러 명이 앉을 수 있는 대형식탁이 있으며, 그 모양도 사각, 원형 식탁 등으로 매우 다양하게 출시되고 있다.
한편, 1인용 가구의 증가로 인하여 원룸형 주택이나 오피스텔이 급증하면서, 이러한 원룸형 주택과 오피스텔에는 가구형 옵션으로 1인용 또는 2인용 아일랜드 식탁이 설치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주방의 벽면에 일측이 결합되는 통상적인 식탁과는 달리, 아일랜드 식탁(Island Table)이라 함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방(K)의 중앙부 등에 설치되되 상판(F)을 포함하며, 상기 상판(F) 일측에는 가스렌지(G) 등이 설비되어 있어, 주부로 하여금 조리와 동시에 가족들에게는 조리된 음식등을 같은 식탁에서 제공할 수 있어, 편리한 주방문화를 즐길 수 있는 식탁인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기술의 아일랜드 식탁에 따르면, 조리와 동시에 가족들에게는 조리된 음식등을 같은 식탁에서 제공할 수 있는 편리함에도 불구하고, 사용자가 식탁에 착석중인 것이 감지되는 경우에는 식탁면에 구비된 무드조명이 켜지도록 함과 동시에, 사용자가 주방을 떠난 경우에는 식탁면에 구비된 무드 조명이 소등되도록 하는 등 스마트한 생활에 도움이 되는 아일랜드 식탁형 공기정화장치 및 그 운용방법의 개발이 지속적으로 요구되어 왔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식탁에 착석중인 것이 감지되는 경우에는 식탁면에 구비된 무드조명이 켜지도록 함과 동시에, 사용자가 주방을 떠난 경우에는 식탁면에 구비된 무드 조명이 소등되도록 하며, 음악재생용 스피커에서는 사용자의 핸드폰에 저장되어 있던 음악을 재생시켜주거나, 식물재배에 도움이 되는 백색노이즈가 재생되도록 하는 아일랜드 식탁형 공기정화장치 및 그 운용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일랜드 식탁형 공기정화장치는, 주방 바닥면에 설치되며, 상판을 가지는 아일랜드식탁, 상판의 중앙부 저면에 설치되는 식물재배조명, 상판의 하방에 배치되며, 하나 이상의 식물이 놓여지는 식물재배용테이블, 아일랜드식탁 전방에 배치되는 의자의 좌판에 설치되는 압전센서 그리고 아일랜드식탁 표면에 배치되는 가스 센서를 포함하고, 식물재배용테이블에는 피톤치드 및 음이온을 방출하여 공기를 정화하며 탈취 효과가 뛰어난 보스톤 고사리, 미니율마, 스킨답서스, 산호수, 팔손이나무, 및 로즈마리 중 적어도 하나가 재배되고 있는 구성을 가진다.
또한, 아일랜드식탁 일측에 장착되는 환기팬, 식물재배용테이블의 하방에 배치되는 서랍형저수조, 아일랜드식탁 일측에 장착되는 음악재생용스피커 그리고 상판의 상측 둘레를 따라 설치되는 무드조명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측에 연결잭이 구비되며, 아일랜드식탁 일측에 설치되는 핸드폰거치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판의 저면 일측에 설치되는 해충퇴치조명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해충퇴치조명은 식물재배조명이 점등됨과 동시에 함께 점등되고, 식물재배조명이 소등됨과 동시에 함께 소등될 수 있다.
또한, 압전센서에 의하여 사용자가 착석했음이 감지됨에 따라, 무드조명이 점등될 수 있다.
또한, 압전센서에 의하여 사용자가 이석했음이 감지됨에 따라, 무드조명이 소등됨과 동시에, 식물재배조명이 점등될 수 있다.
한편 본원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장치의 운용방법은, 식물재배용테이블의 식물에 의해 방출되는 피톤치드 및 음이온에 의해서 주변 공기에 대한 정화 및 탈취가 진행되는 단계, 재실감지센서 또는 압전센서에 의하여 사용자가 식탁에 착석중인 것이 감지되는 단계, 사용자가 주방을 떠나는 것을 재실감지센서 또는 압전센서가 감지하고 식탁면에 구비된 무드조명이 소등되는 단계, 무드조명이 소등됨에 따라, 식물재배조명이 점등되는 단계 그리고, 식물재배조명이 점등됨에 따라 해충퇴치조명이 점등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센서의 감지 결과, 식탁면에 구비된 무드조명이 켜지는 단계 그리고 재배조명이 점등됨과 동시에 음악재생용스피커에서 백색노이즈가 재생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가스 센서를 이용해서 공기의 품질(산소. 이산화탄소, 음이온)을 결정하는 단계, 결정된 공기의 품질에 따라 미리 결정된 색깔의 조명을 표시하는 단계, 재실감지센서 또는 압전센서의 감지 결과, 식탁면에 구비된 무드조명이 켜지는 단계 그리고 식물재배조명이 점등됨과 동시에 음악재생용스피커에서 백색노이즈가 재생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아일랜드 식탁형 공기정화장치 및 그 운용방법에 따르면, 공기를 정화하는 효과 및 악취를 제거하는 탈취 효과를 가지며, 그와 함께 사용자가 식탁에 착석중인 것이 감지되는 경우에는 식탁면에 구비된 무드조명이 켜지도록 함과 동시에, 사용자가 주방을 떠난 경우에는 식탁면에 구비된 무드 조명이 소등되도록 하는 효과 또한 가지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아일랜드 식탁형 공기정화장치 및 그 운용방법에 따르면, 음악재생용 스피커에서는 사용자의 핸드폰에 저장되어 있던 음악을 재생시켜주거나, 식물재배에 도움이 되는 백색노이즈가 재생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주방의 분위기를 훨씬 편안하게 바꿔줄 뿐만 아니라, 식물이 건강하게 성장 할 수 있도록 하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아일랜드 식탁형 공기정화장치 및 그 운용방법에 따르면, 상기 식물재배용테이블의 하방에 서랍형저수조를 배치시킴으로써, 재배중인 식물에 의하여 실내로 적정한 습도가 유지될 수 있어, 쾌적한 주방을 실현할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도 1은 통상적인 아일랜드형 식탁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일랜드 식탁형 공기정화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아일랜드 식탁형 공기정화장치에 있어서, 식사중일 때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아일랜드 식탁형 공기정화장치에 있어서, 식사시간 외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일랜드 식탁형 공기정화장치의 운용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아일랜드 식탁형 공기정화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과 함께 본 발명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일랜드 식탁형 공기정화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일랜드 식탁형 공기정화장치(100)는, 주방(K) 바닥면에 설치되며, 상판(110a)을 가지는 아일랜드식탁(110); 상기 상판(110a)의 상측 둘레를 따라 설치되는 무드조명(160); 상기 상판(110a)의 중앙부 저면에 설치되는 식물재배조명(170); 상기 상판(110a)의 하방에 배치되며, 하나 이상의 식물이 놓여지는 식물재배용테이블(120); 상기 아일랜드식탁(110) 일측에 장착되는 음악재생용스피커(150); 및 상기 아일랜드식탁(110) 전방에 배치되는 의자의 좌판에 설치되는 압전센서(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일랜드 식탁형 공기정화장치(100)는, 상기 아일랜드식탁(110) 일측에 장착되는 환기팬(140); 및 상기 식물재배용테이블(120)의 하방에 배치되는 서랍형저수조(13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일측에 연결잭(J)이 구비되며, 상기 아일랜드식탁(110) 일측에 설치되는 핸드폰거치대(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일랜드 식탁형 공기정화장치(100)는, 상기 상판(110a)의 저면 일측에 설치되는 해충퇴치조명(180);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해충퇴치조명(180)은 식물재배조명(170)이 점등됨과 동시에 함께 점등되고, 식물재배조명(170)이 소등됨과 동시에 함께 소등된다.
미설명부호 120a는 화분거치홀이고, 130a는 저수조손잡이이며, 190는 이동용바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아일랜드 식탁형 공기정화장치에 있어서, 식사중일 때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일랜드 식탁형 공기정화장치(100)는 상기 압전센서(400)에 의하여 사용자(M1,M2)가 착석했음이 감지됨에 따라, 상기 무드조명(160)이 점등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식탁형 공기정화장치에 사용자가 착석(압전 센서)하거나 주변에 존재(근접 센서)하는 것을 감지하면, 그 감지된 시간 및 날씨 등의 정보를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사용자의 상황(예, 식사, 독서, 휴식 등)을 도출한 후에 각 상황에 적합한 조명 환경(색상, 색온도)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압전센서(400)를 활용하는대신, 재실감지센서(도시하지 않음)를 적용할 수도 있다.
한편, 본원 발명에 따른 식탁형 공기 정화 장치는 그 내부 또는 표면에 산소 및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탐지하는 센서 및/또는 음이온 탐지 센서를 가질 수 있다.
위 센서들에 의해 탐지된 각 값들은 각각에 대한 소정의 임계치와 비교된 후, 그 결과가 쾌적도로 표시된다. 이러한 쾌적도는 사인 조명 역할을 하는 LED 조명의 색상(색온도)으로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쾌적도가 제 1 임계 범위 내라면 초록색 표시 LED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쾌적도가 제 1 임계 범위 밖이지만 제2 임계범위 내라면 주황색 표시 LED를 발광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쾌적도 표시로 주황색 LED가 표시되면 작물 생육 촉진 및 쾌적도 향상을 위해서 식탁형 공기 정화 장치 내부에 존재하는 순환용 In & Out FAN을 가동시킬 수 있다. 만일 쾌적도가 제 1 임계 범위 및 제2 임계범위 밖이라면, 사용자가 식탁 주변에 진입하거나 식탁에 앉는 것을 탐지할 경우, 붉은색 표시 LED를 일정 시간 동안 발광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창문을 열거나 주방 냄새 제거용 FAN을 가동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식물재배용테이블(120)에는 식물 등이 놓여지는데, 이때 재배할 식물은, 보스톤 고사리, 미니율마, 스킨답서스, 산호수, 팔손이나무, 또는 로즈마리 등으로 구성할 수도 있는데, 이들 식물들은 피톤치드는 물론 음이온을 방출하여 공기를 정화하는 효과 및 악취를 제거하는 탈취효과가 뛰어나다. 따라서, 이와 같은 식물의 재배를 통해 주방을 가족건강이 지켜질 수 있는 쾌적한 공간으로 구성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아일랜드 식탁형 공기정화장치에 있어서, 식사시간 외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일랜드 식탁형 공기정화장치(100)에 따르면, 사용자(M1,M2)가 주방(K)을 떠남에 따라, 상기 센서(400)의 감시 결과 상판(110a)에 구비된 무드조명(160)이 소등되고, 무드조명(160)이 소등됨과 동시에 식물재배조명(170)이 점등되는데, 이때 식물재배조명(170)이 점등됨에 따라, 해충퇴치조명(180)이 점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식물재배조명은 주변 광량을 센서를 통해 감지하고 목표 광량 대비 부족한 광량만을 디밍(dimming) 제어함으로써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일랜드 식탁형 공기정화장치의 운용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일랜드 식탁형 공기정화장치의 운용방법은, 재실감지센서(도시하지 않음) 또는 압전센서(400)에 의하여 사용자(M1,M2)가 식탁(100)에 착석중인 것이 감지되는 단계(S110); 상기 센서(400)의 감기결과, 상판(110a)에 구비된 무드조명(160)이 켜지는 단계(S120); 핸드폰거치대(300)에 핸드폰이 장착되는 단계(S130); 장착된 핸드폰에 저장되어 있는 음악이 음악재생용스피커(150)에서 재생되는 단계(S140); 사용자(M1,M2)가 주방(K)을 떠남에 따라, 상기 센서(400)의 감기결과, 상판(110a)에 구비된 무드조명(160)이 소등되는 단계(S150); 무드조명(160)이 소등됨에 따라, 식물재배조명(170)이 점등되는 단계(S160); 및 식물재배조명(170)이 점등됨에 따라, 해충퇴치조명(180)이 점등되는 단계(S1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식물재배용테이블의 식물에 의해 방출되는 피톤치드 및 음이온에 의해서 주변 공기에 대한 정화 및 탈취가 진행되는 단계, 재실감지센서 또는 압전센서에 의하여 사용자가 식탁에 착석중인 것이 감지되는 단계, 사용자가 주방을 떠나는 것을 상기 재실감지센서 또는 압전센서가 감지하고 식탁면에 구비된 무드조명이 소등되는 단계, 무드조명이 소등됨에 따라, 식물재배조명이 점등되는 단계 그리고 식물재배조명이 점등됨에 따라, 해충퇴치조명이 점등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일랜드 식탁형 공기정화장치의 운용방법은, 식물재배조명(170)이 점등됨과 동시에, 상기 음악재생용스피커(150)에서 백색노이즈가 재생되는 단계(S18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아일랜드 식탁형 공기정화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아일랜드 식탁형 공기정화장치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일랜드 식탁형 공기정화장치(100)에 있어서, 상판(110a)의 일측에 프레임(F1)을 설치하고, 설치된 상기 프레임(F1)에는 스텐드(S)를 장착함으로써, 상기 스텐드(S)에 악세사리 소품들을 비치시킬 수 있어, 주방(K)의 분위기를 색다른 공간으로 연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테리어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아일랜드 식탁형 공기정화장치 및 그 운용방법에 따르면, 통상의 아일랜드 식탁에 있어서 재실감지센서 또는 압전센서(400)에 의하여 사용자(M1,M2)가 식탁에 착석중인 것이 감지되는 경우에는 식탁면에 구비된 무드조명이 켜지도록 함과 동시에, 사용자가 주방을 떠난 경우에는 상판(F)에 구비된 무드조명(160)이 소등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아일랜드 식탁형 공기정화장치 및 그 운용방법에 따르면, 음악재생용스피커(150)에서는 사용자(M1,M2)의 핸드폰에 저장되어 있던 음악을 재생시켜주거나, 식물재배에 도움이 되는 백색노이즈가 재생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주방(K)의 분위기를 훨씬 편안하게 바꿔줄 뿐만 아니라, 식물이 건강하게 성장 할 수 있도록 하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아일랜드 식탁형 공기정화장치 및 그 운용방법에 따르면, 상기 식물재배용테이블(120)의 하방에 서랍형저수조(130)를 배치시킴으로써, 재배중인 식물에 의하여 실내로 적정한 습도가 유지될 수 있어, 쾌적한 주방을 실현할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본 발명의 아일랜드 식탁형 공기정화장치
110 : 아일랜드식탁 110a : 상판
120 : 식물재배용테이블 120a : 화분거치홀
130 : 서랍형저수조 130a : 저수조손잡이
140 : 환기팬 150 : 음악재생용스피커
160 : 무드조명 170 : 식물재배조명
180 : 해충퇴치조명 190 : 이동용바퀴
200 : 화분 300 : 핸드폰거치대
400 : 압전센서 F1 : 프레임
G : 가스렌지 J : 연결잭
K : 주방 M1,M2 : 사용자
S : 스텐드

Claims (10)

  1. 공기정화장치에 있어서,
    주방 바닥면에 설치되며, 상판을 가지는 아일랜드식탁;
    상기 상판의 중앙부 저면에 설치되는 식물재배조명;
    상기 상판의 하방에 배치되며, 하나 이상의 식물이 놓여지는 식물재배용테이블;
    상기 아일랜드식탁 전방에 배치되는 의자의 좌판에 설치되는 압전센서;
    상기 아일랜드식탁 일측에 장착되는 환기팬;
    상기 아일랜드식탁 내부 또는 표면에 배치되는 산소 및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탐지하는 센서 및 음이온 탐지 센서; 및
    상기 아일랜드식탁 주변의 공기 쾌적도를 표시하는 색상조명을 포함하고,
    상기 식물재배용테이블에는 피톤치드 및 음이온을 방출하여 공기를 정화하며 탈취 효과가 뛰어난 보스톤 고사리, 미니율마, 스킨답서스, 산호수, 팔손이나무, 및 로즈마리 중 적어도 하나가 재배되며,
    상기 산소 및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탐지하는 센서 및 상기 음이온 탐지 센서들에 의해 탐지된 각 값들을 기초로 공기 쾌적도가 계산되고,
    상기 공기 쾌적도가 제 1 임계 범위 이하인 경우 상기 색상조명에 제1 색상의 빛이, 상기 공기 쾌적도가 제 1 임계 범위 이상이고 제2 임계범위 이하인 경우 상기 색상조명에 제2 색상의 빛이, 상기 공기 쾌적도가 제2 임계범위 이상인 경우 상기 색상조명에 제3 색상의 빛이 표시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색상조명에 상기 제2 색상의 빛 또는 상기 제3 색상의 빛이 표시되는 경우, 자동으로 일정 시간동안 상기 환기팬이 가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인, 아일랜드 식탁형 공기정화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재배용테이블의 하방에 배치되는 서랍형저수조;
    상기 아일랜드식탁 일측에 장착되는 음악재생용스피커; 및
    상기 상판의 상측 둘레를 따라 설치되는 무드조명을 더 포함하는 것인, 아일랜드 식탁형 공기정화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일측에 연결잭이 구비되며, 상기 아일랜드식탁 일측에 설치되는 핸드폰거치대를 더 포함하는 것인, 아일랜드 식탁형 공기정화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의 저면 일측에 설치되는 해충퇴치조명을 더 포함하는 것인, 아일랜드 식탁형 공기정화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해충퇴치조명은 식물재배조명이 점등됨과 동시에 함께 점등되고, 식물재배조명이 소등됨과 동시에 함께 소등되는 것인, 아일랜드 식탁형 공기정화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센서에 의하여 사용자가 착석했음이 감지됨에 따라, 상기 무드조명이 점등되는 것인, 아일랜드 식탁형 공기정화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센서에 의하여 사용자가 이석했음이 감지됨에 따라, 상기 무드조명이 소등됨과 동시에, 상기 식물재배조명이 점등되는 것인, 아일랜드 식탁형 공기정화장치.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50009438A 2015-01-20 2015-01-20 아일랜드 식탁형 공기정화장치 및 그 운용방법 KR1016901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9438A KR101690182B1 (ko) 2015-01-20 2015-01-20 아일랜드 식탁형 공기정화장치 및 그 운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9438A KR101690182B1 (ko) 2015-01-20 2015-01-20 아일랜드 식탁형 공기정화장치 및 그 운용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9787A KR20160089787A (ko) 2016-07-28
KR101690182B1 true KR101690182B1 (ko) 2016-12-27

Family

ID=56681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9438A KR101690182B1 (ko) 2015-01-20 2015-01-20 아일랜드 식탁형 공기정화장치 및 그 운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018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2439A (ko) * 2018-03-26 2019-10-07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화분 및 이를 이용한 식물 관리 시스템
KR102324399B1 (ko) * 2020-08-25 2021-11-09 (주)포스코건설 저주파/음압 멀티 엑추에이터 기기를 이용한 대상 공간에서의 미세먼지 제어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2093B1 (ko) * 2022-06-03 2023-01-30 조영환 수경재배장치의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3054B1 (ko) * 2014-06-17 2014-10-23 김재형 하이브리드형 미니 피시 스마트 테이블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2783A (ko) * 2008-02-21 2009-05-26 우성필 수경공원이 설치된 테이블
KR20110046032A (ko) * 2009-10-28 2011-05-04 서울메트로 인공자연광을 이용한 공기정화 시스템
KR101191588B1 (ko) * 2010-07-15 2012-10-15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식물을 이용한 실내 공기 정화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3054B1 (ko) * 2014-06-17 2014-10-23 김재형 하이브리드형 미니 피시 스마트 테이블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2439A (ko) * 2018-03-26 2019-10-07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화분 및 이를 이용한 식물 관리 시스템
KR102033649B1 (ko) * 2018-03-26 2019-10-17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화분 및 이를 이용한 식물 관리 시스템
KR102324399B1 (ko) * 2020-08-25 2021-11-09 (주)포스코건설 저주파/음압 멀티 엑추에이터 기기를 이용한 대상 공간에서의 미세먼지 제어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9787A (ko) 2016-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0182B1 (ko) 아일랜드 식탁형 공기정화장치 및 그 운용방법
US4349864A (en) Lighted plant stand
US20090050028A1 (en) Ecodesk
KR102261444B1 (ko) 테이블용 살균장치
JP3138291U (ja) 観賞用テーブル
KR20180058334A (ko) 화분용 조명 장치
KR20120104015A (ko) Led를 이용한 다기능 화분
US20060158870A1 (en) Illuminated dinnerware
CN206390828U (zh) 一种可实现牙具消毒功能的led uv牙具架
KR20180023167A (ko) 외부소음 상쇄를 위한 선별적 백색소음 출력 기능이 있는 한지 조명등
JP3209636U (ja) 丸太椅子又は台若しくはテーブル
US6237508B1 (en) Stand convertible to a table or decorative container
WO2007087807A1 (en) A furniture leg with light
KR200452079Y1 (ko) 음이온발생 및 가습기효능을 갖춘 수족관을 구비한 기능성 탁자
US20220137920A1 (en) Atmosphere Adjusting Method, Atmosphere Adjusting Device, And Aroma Diffuser
CN213046092U (zh) 一种带投影和闹钟功能的床头柜
KR20090001803U (ko) 에코데스크
JP5945041B1 (ja) 消臭用構造体
JP2011229578A (ja) プランター付き収納家具
CN203182503U (zh) 具有自动空气净化系统的花瓶
KR100748584B1 (ko) 항균, 탈취 기능을 갖는 다용도 용기
KR20170032106A (ko) 피톤치드 방출을 위한 화분 거치 시스템
KR20120001174U (ko) 다용도 테이블 조명 일체형 화분
KR100732911B1 (ko) 화분 관상 장치
CN215174339U (zh) 一种生活家居用床头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