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1928A - 경질 캡슐 외피용 필름 형성 조성물 및 이로부터 수득된 경질 캡슐 외피 - Google Patents

경질 캡슐 외피용 필름 형성 조성물 및 이로부터 수득된 경질 캡슐 외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1928A
KR20190111928A KR1020197020808A KR20197020808A KR20190111928A KR 20190111928 A KR20190111928 A KR 20190111928A KR 1020197020808 A KR1020197020808 A KR 1020197020808A KR 20197020808 A KR20197020808 A KR 20197020808A KR 20190111928 A KR20190111928 A KR 201901119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forming
hard capsule
starch
present
forming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08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76977B1 (ko
Inventor
아르만드 첸
용 미아오
베르나르드 포라
Original Assignee
로께뜨프레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께뜨프레르 filed Critical 로께뜨프레르
Publication of KR201901119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19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69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69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6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gums, starch, alginate, dextrin, hyaluronic acid, chitosan, inulin, agar or pec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0Alcohols; Phenols; Salts thereof, e.g. glycerol; Polyethylene glycols [PEG]; Poloxamers; PEG/POE alkyl 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26Carbohydrates, e.g. sugar alcohols, amino sugars, nucleic acids, mono-, di- or oligo-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polysorbates, sorbitan fatty acid esters or glycyrrhiz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4816Wall or shell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4833Encapsulating processes; Filling of capsu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General Preparation And Processing Of Food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분질 물질에 기반을 둔 경질 캡슐 외피를 제조하는데 적합한 필름 형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필름 형성 조성물로부터 만들어지는 경질 캡슐 외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경질 캡슐 외피용 필름 형성 조성물 및 이로부터 수득된 경질 캡슐 외피
본 발명은 전분질 물질에 기반을 둔 경질 캡슐 외피를 제조하는데 적합한 필름 형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필름 형성 조성물로 만들어지는 경질 캡슐 외피에 관한 것이다.
경질 캡슐은 통상적으로 경구 투여를 위한 경질 외피를 갖는 고체 투여 형태로서, 대개 하나 이상의 활성 성분(들) 및 하나 이상의 부형제(들)를 함유한다.
경질 캡슐은 서로 잘 들어맞는 2개의 조립식 원통형 부분으로 이루어진 외피를 갖는다. 각 부분의 일 말단은 둥글며 폐쇄형이고, 다른 말단은 개방형이다. 경질 캡슐의 내용물은 대개 고체 형태(분말 또는 과립)이다.
경질 캡슐 외피는 통상적으로 젤라틴으로 만들어지며, 이의 밀도는 글리세롤 또는 소르비톨과 같은 가소제를 첨가함으로써 조절될 수 있다.
젤라틴은 반투명하고, 거의 무색이고, (건조 시) 부서지기 쉽고, 향이 없는 물질로서, 다양한 동물 부산물, 주로 돼지가죽, 소가죽 및 뼈에서 수득되는 콜라겐에서 유래한다.
온수에 용해하고 냉각한 후, 젤라틴은 캡슐의 제조에 있어 많은 이점을 갖는 반고체의 콜로이드성 겔을 형성한다. 젤라틴은 빠른 겔화 능력, 우수한 필름 형성 특성, 및 산소 불침투성을 부여하는 능력을 갖는다. 가소화된 젤라틴으로부터 형성된 필름은 매우 빠르게 경화되며, 높은 습식 필름 강도를 갖는다. 이들은 또한 양호한 선명도와 함께 매우 탄력이 있다. 또한, 가소화된 젤라틴은 높은 고형분 농도로 사용되는 경우에도 상대적으로 낮은 점도를 갖는다. 게다가, 젤라틴은 실온에서 물이 존재하면 팽창하지만, 열이 가해질 때까지 용해되지 않는다.
다년간, 젤라틴은 호평을 받아 왔다. 그러나 광우병의 발생 이후, 식용 제제에서의 젤라틴의 사용에 대한 논쟁이 매우 많았다.
더욱이, 젤라틴의 사용은 특정 신념 또는 종교적 관례와도 양립할 수 없었다. 일부의 채식주의자 및 완전 채식주자는 특히 동물에서 유래하는 어떠한 제품의 소비도 거부하고, 그 결과 젤라틴을 함유하는 모든 식용 제품의 구매를 거부하고 있다. 또한, 젤라틴은 배치 물성이 변하고, 이용 가능성이 제한되며, 비용이 높다는 단점을 갖는다.
이들 단점으로 인해, 젤라틴에 대한 요구가 가장 높은 이들 산업은 오랫동안 100% 식물 기반 해결을 위해 젤라틴을 제거하기 위한 수단을 찾고 있었다.
이를 위해, 다양한 대안이 제안되었지만, 이들 대안은 산업적 견지에서 볼 때 일관성이 없었고, 따라서 이들은 추가로 개발되지 않았다.
채식주의자가 허용하는 젤라틴에 대한 대안인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HPMC), 풀루란 또는 카라지난은, 예를 들어 젤라틴보다도 훨씬 더 비싸서 생산할 수 없다.
전분 기반 제형이 또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로부터 형성된 필름은 투명도 및 안정성이 부족하다. 수개월 후, 이들로부터 수득된 필름의 강도, 가요성 및 가소성은 감소한다. 이는 동시에, 이로 인해 이들의 유약성(friability) 및 불투명성(opacity)이 증가하게 된다. 또한, 캡슐 외피의 제조에 있어서, 담금 단계에 필요한 시간은 이들 제형보다 상대적으로 길다(젤라틴 용액의 경우 1초 또는 2초와 비교하여 20초임).
사실, 유용한 젤라틴 대체재는 특정 응용을 위해 이와 대체되는 젤라틴의 특성에 상응하는 특성을 제공해야 하며; 이는 합리적 가격을 위한 것이다. 캡슐을 제조하기 위해, 캡슐은 양호한 습식 및 건식 필름 강도, 적당한 용해성 파라미터, 온도 및 압력 밀봉성, 필름 선명도, 필름 가요성, 식용성, 피복될 약물 또는 기타 물질에 대한 불활성, 및 겔을 형성하기 위한 고온 액체에서의 빠른 경화와 같은 특성을 가져야 한다.
최근, 특허 출원 제PCT/EP2016/068743호에서, 본 발명자들은 경질 및 연질 캡슐 둘 모두를 제조하는데 적합한 조성물을 개발하였으며, 이때 상기 조성물은 이소소르비드 및 가소제를 포함한다는 사실을 특징으로 한다. 이들로부터 수득되는 캡슐은 양호한 안정성 및 투명도를 갖는다. 그러나, 이 같은 제형을 개선시키기 위한 요구가 여전히 존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분질 물질에 기반을 둔 경질 캡슐 외피용 필름 형성 조성물을 제공하여, 이들 조성물 내의 젤라틴을 부분적으로 대체하고, 이상적으로는 완전히 대체하는 것을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었다.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식용 경질 캡슐 외피와 같은 물품을 제조하는데 적합한 필름 형성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생물 기반 물질, 바람직하게는 제조하기 쉽고 취급하기 쉬우며, 이들의 제조 및 사용에 막대한 비용을 수반하지 않는, 동물 유래의 물질을 제외한 물질을 이용하여 필름 형성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었다.
본 발명자들은 전분, 젤란검, 이소소르비드, 소르비톨 및 글리세롤을 포함하는 특정한 필름 형성 조성물을 개발함으로써 종래의 젤라틴이 없는 전분 기반 조성물의 단점을 개선하는데 성공하였다.
본 발명의 필름 형성 조성물에서, 전분은 필름 형성제로서 작용할 가능성이 있는 반면, 젤란검은 겔화제로서 작용한다.
이소소르비드의 경우, 이것이 이들 조성물 내에서 어떻게 작용하는지 명확하게 이해되지 않는다. 임의의 경우, 이소소르비드는 가소제의 효과, 즉 글리세롤 및 소르비톨의 효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이 명백해 보인다.
본 발명의 필름 형성 조성물은 젤라틴의 사용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캡슐 외피와 같은 물품을 제조하기 위해 젤라틴을 부분적으로, 그리고 심지어는 완전히 대체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필름 형성 조성물은 유리하게는 자연 유래의 물질, 특히 유리하게는 비동물 유래의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종래의 필름 형성 조성물과는 반대로, 이들 조성물은 우수한 특성, 특히 기계적 내성, 용해성, 투명도, 가요성, 내건성(drought resistance), 내습성 및 붕해에 대해 우수한 특성을 갖는 경질 캡슐 외피를 제조하는 것을 가능케 한다. 또한 이들 필름 형성 조성물은 사용하기가 용이하다: 캡슐 제조사들은 이미 이들이 소유하고 있는 장비를 이용함으로써 본 발명의 필름 형성 조성물로 이들의 통상적인 젤라틴 조성물을 대체할 수 있고; 공정 설정에서의 유의한 변경을 요구하지 않으면서도 이를 대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필름 형성 조성물을 사용함으로써 제조되는 캡슐 외피는 화장품, 제약, 식품, 동물 사료의 중요한 응용, 및 산업들 사이에서의 중요한 응용을 따를 수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의 필름 형성 조성물은 많은 응용을 위한 경질 캡슐 외피의 제조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양태는 가수 분해된 전분, 젤란검, 이소소르비드, 소르비톨 및 글리세롤을 포함하는 필름 형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제2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가수 분해된 전분, 젤란검, 이소소르비드, 소르비톨 및 글리세롤을 포함하는 캡슐 외피에 관한 것이다.
제3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경질 캡슐 외피를 포함하는 경질 캡슐에 관한 것이다.
제4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경질 캡슐 외피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방법은 본 발명의 필름 형성 조성물을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필름 형성 조성물
본 발명의 필름 형성 조성물은 가수 분해된 전분, 젤란검, 이소소르비드, 소르비톨 및 글리세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에서 "필름 형성 조성물"이란 표현은 통상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중합체(필름 형성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지칭하며, 이때 상기 중합체는 용매, 특히 물의 존재 하에 본질적 연속 필름을 형성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된다. 본 발명에서, 필름 형성 조성물은 특히 전분질 필름 형성 조성물, 즉 주요 필름 형성제로서 전분, 특히 가수 분해된 전분을 이용하는 전분질 필름 형성 조성물이다.
또한, "전분"이란 표현은 통상적으로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는 임의의 기법에 의해 임의의 적당한 식물 공급원으로부터 단리되는 전분을 지칭하는 것으로 상기된다. 단리된 전분은 전형적으로 3% 이하의 불순물을 함유하고; 상기 비율(%)은 단리된 전분의 총 건조 중량에 대한 불순물의 건조 중량으로 표시된다. 이들 불순물은 전형적으로 단백질, 콜로이드성 물질 및 섬유성 잔류물을 포함한다. 적당한 식물 공급원으로는, 예를 들어 콩과 식물, 곡물 및 덩이줄기를 들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에 유용한 전분은 바람직하게는 완두 전분, 옥수수 전분, 타피오카 전분 또는 이들의 혼합물, 바람직하게는 완두 전분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가수 분해된 전분은 25% 내지 45%,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45%,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40% 범위 내에서 선택되는 아밀로오스 함량을 나타내는 천연 전분에서 유래하며; 이들 비율(%)은 이것이 유래하는 상기 천연 전분의 총 건조 중량에 대한 아밀로오스의 건조 중량으로 표시된다.
또한, 본 발명에 유용한 가수 분해된 전분은, 상기 가수 분해된 전분의 목적하는 특성을 간섭하지 않는 한, 기타 물리적 및/또는 화학적 변형을 겪을 수 있다. 화학적 변형의 예로는 알킬화 및 가교 결합이 있다. 물리적 변형은 바람직하게는 호화 및 전호화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유용한 가수 분해된 전분은 또한 알킬화되고, 바람직하게는 하이드록시프로필화된다.
이 경우, 본 발명에 유용한 가수 분해된 하이드록시프로필화 전분은 일반적으로 1% 내지 50%, 심지어 1% 내지 15%, 심지어 5% 내지 9%, 예를 들어 6% 내지 8%의 하이드록시프로필기 함량을 갖고; 상기 비율(%)은 하이드록시프로필화 가수 분해된 전분의 총 건조 중량에 대한 하이드록시프로필기의 건조 중량으로 표시되고, 예를 들어 표준 EN ISO 11543:2002 F에 따라 양성자 핵자기 공명(양성자 NMR)에 의해 측정된다.
본 발명에 유용한 가수 분해된 전분, 특히 본 발명에 유용한 가수 분해된 알킬화 전분은 바람직하게는 20 kDa 내지 2,000 kDa, 바람직하게는 100 kDa 내지 1,000 kDa, 예를 들어 200 kDa 내지 800 kDa, 예를 들어 200 kDa 내지 500 kDa, 또는 200 kDa 내지 400 kDa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갖고; 상기 중량 평균 분자량은 HPSEC-MALLS(다중 각 레이저 광 산란과 온라인 결합된 고성능 크기 배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측정된다.
적합한 가수 분해된 전분은 구매 가능하다. 특히 바람직한 가수 분해된 전분은 로케트(ROQUETTE)의 라이코트®(LYCOAT®)란 상표로 판매되는 가수 분해된 하이드록시프로필화 전분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유용한 젤란검은 아실 젤란검, 바람직하게는 저아실 젤란검이다.
본 발명의 특정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의 필름 형성 조성물은,
- 50% 내지 98%,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95%, 예를 들어 80% 내지 90%의 가수 분해된 전분;
- 0.5%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1% 내지 8%,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 예를 들어 1% 내지 3%의 젤란검;
- 0.5%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1% 내지 8%,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 예를 들어 1% 내지 3%의 이소소르비드;
- 0.5%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1% 내지 8%, 바람직하게는 1% 내지 6%, 예를 들어 2% 내지 5%의 소르비톨;
- 0.5%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1% 내지 8%, 바람직하게는 1% 내지 6%, 예를 들어 2% 내지 5%의 글리세롤;
- 선택적으로 0% 내지 0.50%,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0.50%,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0.40%, 예를 들어 0.10% 내지 0.30%의 완충제,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KCl, K3PO4, KH2PO4, 시트르산칼륨 중에서 선택되는 칼륨염, 바람직하게는 KCl;
- 선택적으로 0%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0% 내지 5%, 전형적으로 0% 내지 3%, 또는 심지어 0% 내지 1%의 기타 성분으로 구성된다.
상기 비율(%)은 상기 필름 형성 조성물의 총 건조 중량에 대한 성분의 건조 중량으로 표시되며, 이들의 합은 100%와 같다.
본 발명의 필름 형성 조성물은, 상기 필름 형성 조성물의 목적하는 특성을 간섭하지 않는 한, 실제로 기타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같은 기타 성분은, 예를 들어 계면 활성 물질, 비투과성 충전제, 보존제, 항미생물제, 감미제, 향료 물질, 안료, 증백제, 붕해제, 활주제(glidant), 윤활제, 위장관에서 필름의 붕해 거동을 개질할 수 있는 물질일 수 있다.
이 같은 기타 성분은 또한 본 발명의 가수 분해된 전분 및 젤란검을 제외한 하이드로콜로이드로부터 단독으로 또는 함께 선택될 수 있다. 이 같은 기타 하이드로콜로이드는 전형적으로 다당류, 단백질, 젤라틴 및 합성 중합체(예를 들어,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폴리비닐알콜)이다. 예를 들어, 이는 카라지난, 알긴산염, 풀루란, 글루코만난(예를 들어, 곤약(Konjac) 글루코만난), 크산탄, 타라검(tara gum), 펙틴, 아라비아 고무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다.
물론, 젤라틴이 사용되는 경우, 이는 바람직하게는 필름 형성 조성물의 50% 이하, 바람직하게는 30%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이하, 바람직하게는 5% 이하, 바람직하게는 1% 이하에 해당하고; 이들 비율(%)은 필름 형성 조성물의 총 건조 중량에 대한 젤라틴의 건조 중량으로 표시된다.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필름 형성 조성물에는 젤라틴이 없다.
이 같은 기타 성분은 또한 글리세롤 및 소르비톨을 제외한 가소제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이 같은 기타 가소제는, 예를 들어 트레할로스, 폴리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시트레이트, 폴리소르베이트, 카르나우바 왁스, 경화 피마자 오일,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필름 형성 조성물은 본질적으로 또는 심지어 전적으로 자연 유래의 성분, 바람직하게는 비동물 유래의 성분, 바람직하게는 식물 유래의 성분으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필름 형성 조성물은 식용 성분으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필름 형성 조성물은 4 ℃ 내지 50 ℃, 심지어 20 ℃ 내지 40 ℃의 온도, 예를 들어 실온(20 ℃ 내지 25 ℃에서 선택됨), 또는 37.5 ℃에서 수용성인 필름을 형성할 수 있다.
필름을 형성할 수 있기 위해, 필름 형성 조성물의 성분은 이의 사용 직전에 적당한 용매에서 용해되어야 한다. 이는, 필요한 경우에 가열 하에, 예를 들어 약 90 ℃에서 성분을 용매와 단순히 혼합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용매는 물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필름 형성 조성물은 액체 형태, 특히 용액 형태, 바람직하게는 수성 형태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액체 필름 형성 조성물은 10 중량% 내지 70 중량%, 심지어 20 중량% 내지 60 중량%, 심지어 20 중량% 내지 50중량%, 심지어 25 중량% 내지 45중량%, 예를 들어 25 중량% 내지 35중량%의 건조물 함량을 갖는다.
분말 형태의 필름 형성 조성물은 또한 본 발명에 포함된다. 이들은 전형적으로 "사용하기 용이한" 분말 조성물이다. 사용하기 용이한 분말 조성물의 경우, 분말 조성물의 사용은 통상적으로 용매, 바람직하게는 물을 첨가하고 상기 용매에서 상기 분말 조성물을 가용화하는 단계만을 필요로 한다.
필름 형성 조성물이 분말 형태인 경우, 이를 포함하는 다양한 분말 성분을 단순히 혼합함으로써 이를 제조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유리하게는 분무 건조 분말 형태일 수 있다. 분무 건조 분말의 형태 경우, 분무 건조 분말 형태의 경우, 필름 형성 조성물은 유리하게는 먼저 임의의 적당한 용매, 바람직하게는 물에 성분을 용해함으로써 제조된다. 이어서, 이렇게 수득된 액체 조성물은 분말을 수득하기 위해 분무 건조된다. 분무 건조된 형태는, 예를 들어 캡슐 제조사들이 사용하기 매우 용이하다는 이점을 갖는다: 이러한 분말의 용해는 단순한 물리적 혼합물과 비교할 때 보다 낮은 온도에서 보다 용이하게 달성된다.
경질 캡슐 외피 및 이들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필름 형성 조성물은 경질 캡슐 외피를 제조하는데 유용한 식용의 수용성 필름 또는 겔(다소 딱딱함)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가수 분해된 전분, 젤란검, 이소소르비드, 소르비톨 및 글리세롤을 포함하는 경질 캡슐 외피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필름 형성 조성물을 위한 캡슐 외피의 건조물의 조성물은 앞서 기술한 바와 같다.
경질 캡슐 외피의 고형분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80%보다 높고, 심지어 85%보다 높으며, 대개 85% 내지 95%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경질 캡슐 외피는 4 ℃ 내지 50 ℃, 심지어 20 ℃ 내지 40 ℃의 온도, 예를 들어 실온(20 ℃ 내지 25 ℃에서 선택됨), 또는 37.5 ℃에서 수용성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캡슐 외피는 식용이다.
본 발명은 또한 이 같은 캡슐 외피를 포함하는 경질 캡슐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경질 캡슐 외피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며, 이때 상기 방법은 본 발명에 따른 필름 형성 조성물을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경질 캡슐 외피는,
(a) 본 발명에 따른 필름 형성 조성물을 액체 형태로 제공하는 단계;
(b) 단계 (a)에서 수득된 조성물을 이용하여 캡슐 외피를 성형하는 단계;
(c) 단계 (b)에서 수득된, 성형된 조성물을 건조하는 단계;
(d) 이렇게 수득된 캡슐 외피를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따라 보다 정확하게 수득될 수 있다.
단계 (b)는 특히 핀을 필름 형성 조성물에 담금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건조 단계 (c)는 100 ℃ 미만, 바람직하게는 80 ℃ 미만, 바람직하게는 30 ℃ 내지 50 ℃, 예를 들어 35 ℃ 내지 45 ℃의 온도에서 가열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필름 형성 조성물은 제조하고 취급하는 것이 정말 간단하다. 젤라틴에서와 같이, 성분을 가용화하고, 적당한 온도에서 가열하고, 건조하는 것은 목적하는 생성물을 수득하는데 충분하다.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본 발명에서 "X 내지 Y"란 표현은 인용된 한계치를 포함하지 않는 반면, "X 내지 Y의 범위 내에서 선택되는"이란 표현은 인용된 한계치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게다가, "성분의 건조 중량"은 결국 분말 상태의 성분에 본질적으로 존재하는 물을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역할을 하며, 결코 본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실시예
하기 실시예에서, 판독 용이성을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시험은 참조부호 "IN-X"로 표시되는 반면, 비교용 시험은 참조부호 "CP-X"로 표시된다.
1. 실험용 규모의 경질 캡슐 외피의 제조
하기 시험에서, 하기와 같이 필름 형성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글리세롤(존재하는 경우), 이소소르비드(존재하는 경우) 및 KCl을 265 g의 탈이온수에 용해하였다. 먼저, 전분질 물질, 소르비톨(존재하는 경우) 및 젤란검 또는 κ-카라지난을 혼합하고, 이어서 수용액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500 rpm으로 기계적 교반을 이용하여 20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모든 성분을 가용화하기 위한 수조를 이용하여 혼합물을 90 ℃에서 1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이어서, 기포를 제거하기 위해 용액을 70 ℃에서 3시간 동안 방치한 후, 침지 이전에 60 ℃에서 1시간 동안 방치하였다(점도: 대략 300 cps). 주형을 사용하기 전에 36 ℃로 예열하였다. 침지 후, 주형을 36 ℃ 및 30% 상대습도에서 50분 동안 건조하였다. 이형(demolding) 후, 경질 캡슐을 재조립하였다.
수득된 결과는 표 1에 나타나 있다.
IN-1 CP-1 CP-2 CP-3 CP-4 CP-5
성분
가수 분해된 하이드록시프로필화 전분* 87.1% 87.1% 87.1% 87.1% 87.1%
하이드록시프로필화 전분 87.1%
저아실 젤란검 1.9% 1.9% 1.9% 1.9% 1.9%
κ-카라지난 1.9%
이소소르비드 2.2% 2.2% 2.2% 2.2% 2.2%
소르비톨 4.3% 4.3% 4.3% 8.6% 5.4%
글리세롤 4.3% 4.3% 4.3% 8.6% 5.4%
KCl 0.2% 0.2% 0.2% 0.2% 0.2% 0.2%
고형분 함량 29% 29% 29% 29% 29% 29%
결과 투명도: +
물성: +
안정성: +
취급 불가능 투명도: +
물성: +
안정성: +/-
투명도: +
물성: -
안정성: nd
투명도: +
물성: +
안정성: +/-
투명도: +
물성: +
안정성: -
* 7%의 하이드록시프로필 함량 및 330 kDa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갖는 가수 분해된 하이드록시프로필화 완두 전분(라이코트 ® RS 780, 로케트 프레르(
Figure pct00001
)).
nd: 측정 불가.
본 표에서, 성분의 양은 조성물의 총 건조 중량에 대한 성분의 건조 중량으로 표시된다.
조성물 CP-1(가수 분해되지 않은 전분질 물질을 사용함)은 취급하는 것이 불가능하여 본 출원인조차도 이로부터 캡슐을 수득할 수 없었다.
조성물 CP-2(젤란검 대신에 κ-카라지난을 겔화제로서 사용함) 및 조성물 CP-4(글리세롤 부재)는 양호한 물성을 갖는 투명 캡슐을 수득하는 것을 가능케 한다. 그러나 이들 경질 캡슐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IN-1로부터 수득되는 경질 캡슐만큼 안정적이지는 않았다. 조성물 CP-2 및 조성물 CP-4로부터 수득되는 경질 캡슐은 수분 손실로 인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부서지기 쉽게 되었다.
조성물 CP-3(소르비톨 부재)은 투명 캡슐을 수득하는 것을 가능케 한다. 그러나 이로부터 수득된 필름이 너무 연질이어서 이의 물성은 경질 캡슐에 사용하기에 적합하지 않았다.
조성물 CP-5(이소소르비드 부재)는 양호한 물성을 갖는 투명 캡슐을 수득하는 것을 가능케 한다. 그러나 경질 캡슐은 전혀 적합하지 않았다: 이들은 부서지기 쉽게 되었으며, 이들의 투명도를 매우 빠르게 상실하였다.
2. 산업 규모의 경질 캡슐 외피의 제조
경질 캡슐을 제조하기 위한 산업 장비 상에서 조성물 IN-1을 시험하였다.
얻어진 캡슐의 사진은 도 1에 나타나 있다.
엄청난 양의 경질 캡슐 외피를 수득하였으며, 투명도, 물성 및 안정성이 양호하였다. 이로 인해 본 출원인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이 산업 규모로 사용하는데 적합하다는 것을 확인하게 되었다.

Claims (7)

  1. 가수 분해된 전분, 젤란검, 이소소르비드, 소르비톨 및 글리세롤을 포함하는 필름 형성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수 분해된 전분은 알킬화되어 있는 필름 형성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수 분해된 전분은 하이드록시프로필화되어 있는 필름 형성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형성 조성물은 본질적으로 자연 유래의 성분으로 구성되는 필름 형성 조성물.
  5. 가수 분해된 전분, 젤란검, 이소소르비드, 소르비톨 및 글리세롤을 포함하는 경질 캡슐 외피.
  6. 제5항에 따른 경질 캡슐 외피를 포함하는 경질 캡슐.
  7. 경질 캡슐 외피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필름 형성 조성물을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197020808A 2017-02-08 2018-02-07 경질 캡슐 외피용 필름 형성 조성물 및 이로부터 수득된 경질 캡슐 외피 KR1024769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7305147.5 2017-02-08
EP17305147.5A EP3360544A1 (en) 2017-02-08 2017-02-08 Film-forming compositions for hard capsule shells and hard capsule shells obtained thereof
PCT/EP2018/053111 WO2018146165A1 (en) 2017-02-08 2018-02-07 Film-forming compositions for hard capsule shells and hard capsule shells obtaine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1928A true KR20190111928A (ko) 2019-10-02
KR102476977B1 KR102476977B1 (ko) 2022-12-14

Family

ID=58094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0808A KR102476977B1 (ko) 2017-02-08 2018-02-07 경질 캡슐 외피용 필름 형성 조성물 및 이로부터 수득된 경질 캡슐 외피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1040105B2 (ko)
EP (2) EP3360544A1 (ko)
JP (1) JP6890182B2 (ko)
KR (1) KR102476977B1 (ko)
CN (1) CN110300577B (ko)
CA (1) CA3052722A1 (ko)
CO (1) CO2019008377A2 (ko)
ES (1) ES2863317T3 (ko)
WO (1) WO201814616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57433A (zh) * 2020-09-08 2020-12-11 华侨大学 一种复合植物硬胶囊壳的制备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75981B1 (en) * 2000-06-01 2002-04-23 A. E. Staley Manufacturing Co. Modified starch as a replacement for gelatin in soft gel films and capsules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57173A1 (fr) * 1996-12-17 1998-06-19 Warner Lambert Co Compositions polymeres d'origine non-animale pour la formation de films
AU4061702A (en) * 2001-05-15 2003-04-03 Mcneil-Ppc, Inc. Dip coating compositions containing starch or dextrin
JP2005170929A (ja) * 2003-11-18 2005-06-30 Showa Sangyo Co Ltd ソフトカプセル基剤
US7494667B2 (en) * 2004-03-02 2009-02-24 Brunob Ii B.V. Blends of different acyl gellan gums and starch
US20070128267A1 (en) * 2005-12-02 2007-06-07 Zhixin Li Blends of gelling and non-gelling starches with gellan gums and plasticizer
CN101245157B (zh) * 2007-02-17 2011-06-15 长春大成特用玉米变性淀粉开发有限公司 成膜剂组合物和含有该组合物的淀粉质植物胶
FR2927084B1 (fr) * 2008-02-01 2011-02-25 Roquette Freres Procede de preparation de compositions thermoplastiques a base d'amidon plastifie et compositions ainsi obtenues.
US20120178858A1 (en) * 2011-01-10 2012-07-12 Andrew Julian Wnuk Isosorbide-Plasticized Starch And Uses Thereof
CN102813275B (zh) * 2011-06-10 2015-09-30 杭州养生堂保健品有限公司 一种咀嚼型软胶囊皮和咀嚼型软胶囊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75981B1 (en) * 2000-06-01 2002-04-23 A. E. Staley Manufacturing Co. Modified starch as a replacement for gelatin in soft gel films and capsu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351062A1 (en) 2019-11-21
CO2019008377A2 (es) 2019-10-31
CN110300577B (zh) 2022-04-05
CN110300577A (zh) 2019-10-01
ES2863317T3 (es) 2021-10-11
KR102476977B1 (ko) 2022-12-14
US11040105B2 (en) 2021-06-22
CA3052722A1 (en) 2018-08-16
EP3360544A1 (en) 2018-08-15
JP2020507642A (ja) 2020-03-12
WO2018146165A1 (en) 2018-08-16
EP3579822B1 (en) 2020-12-16
EP3579822A1 (en) 2019-12-18
JP6890182B2 (ja) 2021-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80898B2 (ja) ペクチンフィルム組成物
EP1057862B1 (en) Polymer film compositions for capsules
CN107847454B (zh) 基于淀粉材料的成膜组合物及由其获得的制品
EP1117736B2 (en) Modified starch film compositions
EP3178473B1 (en) Acid resistant capsule shell and its preparation process
JP2000355534A (ja) 薬剤、塗料ボールおよび他の調合物に使用することのできる、ゼラチンを含まない可撓性のあるカプセル材
EP4134071A1 (en) Soft capsule shell and soft capsule
EP4134072A1 (en) Soft capsule shell and soft capsule
US20220226478A1 (en) Film-forming composition containing gellan gum and starch, and application in soft capsule
KR101961991B1 (ko) 하이드로겔 마스크팩 제조용 정제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하이드로겔 마스크팩
KR102476977B1 (ko) 경질 캡슐 외피용 필름 형성 조성물 및 이로부터 수득된 경질 캡슐 외피
JP2011026262A (ja) ソフトカプセルの製造方法
EP2815744A1 (en) Gastro-resistant soft shell capsule and process for its manufacture
US20160317450A1 (en) Aqueous composition for hard capsule, and hard capsule produced using same
TW201422256A (zh) 硬膠囊
Li et al. The fabrication and character of a plant hard capsule made from corn starch treated with isoamylase
He et al. Accelerating Disintegration Time of Vegetable Pullulan Capsules Via Phenylboronic Ester Crosslin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