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1719A - 조정가능한 장식을 갖는 전자 디바이스들 - Google Patents

조정가능한 장식을 갖는 전자 디바이스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1719A
KR20190111719A KR1020180115630A KR20180115630A KR20190111719A KR 20190111719 A KR20190111719 A KR 20190111719A KR 1020180115630 A KR1020180115630 A KR 1020180115630A KR 20180115630 A KR20180115630 A KR 20180115630A KR 20190111719 A KR20190111719 A KR 201901117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justable
layer
decoration
electronic device
appear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56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96505B1 (ko
Inventor
제임스 알. 윌슨
마르타 엠. 지아치노
매튜 에스. 로저스
Original Assignee
애플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애플 인크. filed Critical 애플 인크.
Publication of KR201901117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1719A/ko
Priority to KR10202001811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70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65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65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79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 H04M1/0283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for providing a decorative aspect, e.g. customization of casings, exchangeable facepla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8Interference 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4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based on polymer dispersed liquid crystals, e.g. microencapsulated liquid crysta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7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e.g. field-induced phase transition, orientation effect, guest-host interaction or dynamic scattering
    • G02F1/13718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e.g. field-induced phase transition, orientation effect, guest-host interaction or dynamic scattering based on a change of the texture state of a cholesteric liquid crystal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7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e.g. field-induced phase transition, orientation effect, guest-host interaction or dynamic scattering
    • G02F1/1372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e.g. field-induced phase transition, orientation effect, guest-host interaction or dynamic scattering based on guest-host interac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 G02F1/151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characterised by the electrochromic material, e.g. by the electrodeposited material
    • G02F1/152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characterised by the electrochromic material, e.g. by the electrodeposited material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7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variable-absorption el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15 - G02F1/169
    • G02F1/172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variable-absorption el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15 - G02F1/169 based on a suspension of orientable dipolar particles, e.g. suspended particles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8Carrying enclosures containing additional elements, e.g. case for a laptop and a prin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06F1/3265Power saving in display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18Telephone se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hips, mines, or other places exposed to adverse environmen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43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for decorative purpo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전자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및 다른 컴포넌트들과 같은 전기 컴포넌트들이 장착된 하우징을 가질 수 있다. 조정가능한 장식이 전자 디바이스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조정가능한 장식은 하우징에 대한 테두리(trim) 또는 하우징 상에 장착된 컴포넌트로서 역할을 할 수 있거나, 로고를 포함할 수 있거나, 다른 시각적 요소들을 형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조정가능한 장식은 전자 디바이스의 제어 회로부에 의해 전기적으로 조정가능한 외관을 가질 수 있다. 이벤트들을 검출하기 위해, 제어 회로부는 센서들을 사용하여 센서 데이터를 측정할 수 있고, 입력-출력 디바이스들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수집할 수 있으며, 입력-출력 디바이스들을 이용하여 다른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인입 통신, 캘린더 리마인더, 사용자 입력, 카메라와 같은 전기 컴포넌트의 활성화 또는 다른 이벤트와 같은 이벤트가 검출되는 경우, 제어 회로부는 조정가능한 장식의 외관을 조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조정가능한 장식을 갖는 전자 디바이스들{ELECTRONIC DEVICES WITH ADJUSTABLE DECORATION}
본 출원은 2018년 9월 18일에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16/134,846호, 및 2018년 3월 22일에 출원된 가특허 출원 제62/646,677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전문이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편입된다.
기술분야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전자 디바이스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장식을 갖는 전자 디바이스들에 관한 것이다.
셀룰러 전화들과 같은 전자 디바이스들은 디스플레이들, 센서들, 버튼들, 및 다른 컴포넌트들과 같은 전기 컴포넌트들을 포함한다. 전자 디바이스의 전기 컴포넌트들은 디바이스로 하여금 사용자 및 사용자 주변으로부터 입력을 수집하게 하고, 디바이스로 하여금 사용자에게 출력을 제공하게 한다.
셀룰러 전화기들과 같은 전자 디바이스들 및 다른 디바이스들은 또한 잉크 층들 및 패턴화된 금속 특징부들과 같은 기본적으로 장식적인 구조물들을 포함한다. 때로는 장식으로 지칭될 수 있는 이러한 구조물들은 매력적인 외관을 갖는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일부 구성들에서, 패턴화된 금속 또는 잉크 층들과 같은 특징부들이 로고를 형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및 다른 컴포넌트들과 같은 전기 컴포넌트들이 장착된 하우징을 가질 수 있다. 일부 구성들에서, 하우징은 유리 층과 같은 투명한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는 하우징 또는 사용자에 의해 착용되도록 구성된 다른 지지 구조물을 갖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일 수 있다.
조정가능한 장식이 전자 디바이스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조정가능한 장식은, 하우징에 대한 테두리(trim) 또는 하우징 상에 장착된 컴포넌트로서 역할을 할 수 있거나, 투명한 부재를 통해 가시화될 수 있거나, 또는 달리 전자 디바이스 내로 통합될 수 있다. 조정가능한 장식은 전자 디바이스의 제어 회로부에 의해 전기적으로 조정가능한 외관을 가질 수 있다.
제어 회로부는 센서들을 사용하여 센서 데이터를 측정할 수 있고, 입력-출력 디바이스들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수집할 수 있으며, 다른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인입 통신, 캘린더 리마인더, 사용자 입력, 카메라와 같은 전기 컴포넌트의 활성화 또는 다른 이벤트와 같은 적절한 이벤트가 검출되는 경우, 제어 회로부는 조정가능한 장식의 외관을 조정하여 사용자 및 다른 사람들에게 이벤트의 발생을 통지하도록 도울 수 있다. 조정가능한 장식은 또한 미적인 이유들로 조정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랩톱 컴퓨터와 같은 예시적인 전자 디바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헬드 전자 디바이스와 같은 예시적인 전자 디바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태블릿 컴퓨터, 손목시계, 머리 장착형 디바이스, 또는 다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같은 예시적인 전자 디바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와 같은 예시적인 전자 디바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전자 디바이스의 개략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전자 디바이스의 측단면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조정가능한 장식을 위한 층들의 측단면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장식의 층의 측단면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장식 층을 위한 박막 간섭 필터 구조물을 형성하는 유전체 스택의 측단면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장식을 갖는 예시적인 전자 디바이스의 배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장식을 갖는 전자 디바이스를 위한 예시적인 층들의 측단면도들이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정가능한 장식을 갖는 전자 디바이스를 동작시키는 것에 수반되는 예시적인 동작들의 흐름도이다.
전자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들, 카메라들, 센서들, 및 다른 컴포넌트들과 같은 입력-출력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 하우징의 부분들 주위의 테두리 구조물들, 디스플레이 또는 카메라를 둘러싸는 테두리, 또는 다른 테두리 구조물들, 장식 로고, 원하는 외관을 갖는 코팅들, 또는 다른 장식 구조물들(때때로 장식, 장식 층들, 패턴화된 장식 구조물들 등으로 지칭됨)과 같은 장식이 전자 디바이스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셀룰러 전화기 또는 다른 디바이스의 하우징 벽에 장식이 제공될 수 있다. 장식은 디스플레이에 디스플레이된 정지 이미지 및 움직이는 이미지 콘텐츠와 같은 복합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데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전자 디바이스에 원하는 외관 및/또는 브랜드 마크를 제공한다.
전자 디바이스의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전자 디바이스의 장식은 조정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의 표면에는 전기적으로 조정가능한, 광학 특성들을 갖는 하나 이상의 층들이 제공될 수 있다. 전기적으로 조정가능한 층(들)을 조정함으로써, 층들로부터 형성되고/되거나 층들에 의해 중첩되는 장식의 외관이 조정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적인 구성을 통해, 유리 하우징 벽의 내측 표면에는 고정된 외관(예컨대, 패턴화된 로고, 원하는 외관의 블랭킷 코팅 등)을 갖는 하나 이상의 장식 요소들이 제공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조정가능한 층들이 제공될 수 있다. 조정가능한 색조, 반사율, 및/또는 탁도(haze)를 갖는 층과 같은 전기적으로 조정가능한 층이 고정된 장식 요소들에 중첩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의 동작 중에 장식의 외관이 조정될 수 있다. 시각적인 통지로서 역할을 하는 조정들이 가능할 수 있다(예컨대, 메시지의 수신, 카메라의 활성화 등과 같은 이벤트의 발생에 대해 전자 디바이스의 부근에 있는 사용자 또는 다른 사람들에게 경고하기 위함). 조정들은 또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전자 디바이스에 원하는 컬러(color)나 다른 외관 속성을 특정하는 입력을 제공할 수 있다.
조정가능한 장식이 제공될 수 있는 예시적인 전자 디바이스가 도 1, 도 2, 도 3, 및 도 4에 도시된다.
도 1은 전자 디바이스(10)가 상부 하우징(12A), 및 키보드(16) 및 터치패드(18)와 같은 컴포넌트들이 구비된 하부 하우징(12B)을 갖는 랩톱 컴퓨터의 형상을 가질 수 있는 방식을 도시한다. 디바이스(10)는 상부 하우징(12A)이 하부 하우징(12B)에 대해 회전축(24)을 중심으로 하는 방향들(22)로 회전하게 하는 힌지 구조물들(20)을 가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14)는 상부 하우징(12A) 내에 장착될 수 있다. 때때로 디스플레이 하우징 또는 덮개(lid)로 지칭될 수 있는 상부 하우징(12A)은 회전축(24)을 중심으로 하여 하부 하우징(12B)을 향해 상부 하우징(12A)을 회전시킴으로써 닫힌 위치에 놓일 수 있다.
도 2는 전자 디바이스(10)가 셀룰러 전화기, 음악 재생기, 게이밍 디바이스, 내비게이션 유닛, 또는 다른 소형 디바이스와 같은 핸드헬드 디바이스일 수 있는 방식을 도시한다. 디바이스(10)에 대한 이러한 유형의 구성에서, 하우징(12)은 대향하는 전방 및 후방 표면들을 가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14)는 하우징(12)의 전면 상에 장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4)는, 원하는 경우, 버튼(26)과 같은 컴포넌트들을 위한 개구부들을 가질 수 있거나 버튼 기능들은 터치 센서들, 힘 센서들, 및/또는 디스플레이(14) 아래의 다른 센서들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개구부들은 또한 스피커 포트(예컨대, 도 2의 스피커 포트(28)를 참조)를 수용하도록 디스플레이(14)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는 태블릿 컴퓨터, 손목시계 디바이스, 웨어러블 디바이스(예컨대, 머리 장착형 디바이스), 또는 다른 디바이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의 디바이스(10)는 손목시계 또는 다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같은 소형 휴대용 디바이스일 수 있다. 디바이스(10)가 사용자의 손 또는 머리에 착용될 수 있도록 스트랩이 디바이스(10)에 부착될 수 있다. 일부 구성들에서, 디바이스(10)는 머리 장착형 디바이스(예컨대, 헬멧, 고글, 안경 등)일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구성들에서, (예를 들어, 디바이스(10)가 태블릿 컴퓨터인 구성들에서) 전자 디바이스(10)는 대향하는 평면형 전방 및 후방 표면들을 갖는 하우징(예컨대, 하우징(12))을 가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14)는 하우징(12)의 전방 표면 상에 장착될 수 있다. 일부 구성들에서, 디스플레이(14)는 (일 예로서) 버튼(26)과 같은 컴포넌트를 수용하기 위한 개구부를 가질 수 있다. 머리 장착형 디바이스들 및 다른 웨어러블 디바이스들에서, 하우징(12)은 사용자의 머리에 사용자에 의해 착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예컨대, 하우징(12)은 머리 장착형 지지 구조물 또는 디바이스(10)가 사용자에 의해 착용될 수 있게 하는 다른 지지 구조물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음).
도 4는 전자 디바이스(10)가 컴퓨터 디스플레이 또는 컴퓨터 디스플레이 내로 통합된 컴퓨터일 수 있는 방식을 도시한다. 이러한 유형의 구성에서, 디바이스(10)를 위한 하우징(12)은 스탠드(30)와 같은 지지 구조물 상에 장착될 수 있거나, (예컨대, 디바이스(10)를 벽 상에 장착하기 위해) 스탠드(30)가 생략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4)는 하우징(12)의 전면 상에 장착될 수 있다.
도 1, 도 2, 도 3, 및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디바이스(10)에 대한 예시적인 구성들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 디바이스(10)는 랩톱 컴퓨터, 임베디드 컴퓨터(embedded computer)를 포함하는 컴퓨터 모니터, 태블릿 컴퓨터, 셀룰러 전화기, 미디어 재생기, 또는 다른 핸드헬드 또는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 손목시계 디바이스, 펜던트 디바이스, 헤드폰 또는 이어피스 디바이스, 또는 다른 웨어러블 또는 미니어처 디바이스와 같은 소형 디바이스(예컨대, 안경, 고글, 다른 머리 장착형 장비 등), 텔레비전, 임베디드 컴퓨터를 포함하지 않은 컴퓨터 디스플레이, 게이밍 디바이스, 내비게이션 디바이스, 디스플레이를 갖는 전자 장비가 키오스크(kiosk) 또는 자동차 내에 장착된 시스템과 같은 임베디드 시스템, 이들 디바이스들 중 둘 이상의 기능을 구현하는 장비, 또는 다른 전자 장비일 수 있다.
때때로 케이스로 지칭되는 디바이스(10)의 하우징(12)은 플라스틱, 유리, 세라믹, 탄소-섬유 복합재 및 다른 섬유-기반 복합재, 금속(예컨대, 기계가공된 알루미늄, 스테인리스 강, 또는 다른 금속들), 다른 재료들, 또는 이들 재료들의 조합과 같은 재료들로 형성될 수 있다. 디바이스(10)는 하우징(12)의 대부분 또는 전체가 단일 구조 요소(예컨대, 기계가공된 금속 조각 또는 몰딩된 플라스틱 조각)로부터 형성되는 유니바디 구성(unibody construction)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다수의 하우징 구조물들(예컨대, 내부 프레임 요소들에 장착된 외부 하우징 구조물들 또는 다른 내부 하우징 구조물들)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4)는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일 수 있거나, 터치에 대해 불감응형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14)를 위한 터치 센서들은 용량성 터치 센서 전극들의 어레이, 저항성 터치 어레이, 음향 터치, 광학 터치 또는 힘-기반 터치 기술들에 기초한 터치 센서 구조물들, 또는 다른 적합한 터치 센서 컴포넌트들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디바이스(10)를 위한 디스플레이(14)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컴포넌트들, 발광 다이오드들(예컨대, 유기 발광 다이오드들 또는 개별 결정질 반도체 다이들로부터 형성된 발광 다이오드들),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컴포넌트들 또는 다른 적합한 이미지 픽셀 구조물들로부터 형성된 디스플레이 픽셀들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커버 층이 디스플레이(14)의 표면을 덮을 수 있거나, 컬러 필터 층과 같은 디스플레이 층 또는 디스플레이의 다른 부분이 디스플레이(14) 내의 최외곽(또는 거의 최외곽) 층으로 사용될 수 있다. 최외곽 디스플레이 층은 투명한 유리 시트, 투명한 플라스틱 층, 또는 다른 투명한 부재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디바이스(10) 내에서 사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컴포넌트들을 도시하는 디바이스(10)의 개략도가 도 5에 도시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10)는 제어 회로부(32)를 가질 수 있다. 제어 회로부(32)는 디바이스(10)의 동작을 지원하기 위한 저장 및 프로세싱 회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 및 프로세싱 회로부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저장장치, 비휘발성 메모리(예컨대, 플래시 메모리, 또는 고체 상태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다른 전기적 프로그래밍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예컨대, 정적 또는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 등과 같은 저장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회로부(32)의 프로세싱 회로부는 디바이스(10)의 동작을 제어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프로세싱 회로부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마이크로컨트롤러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들, 베이스밴드 프로세서들, 전력 관리 유닛들, 오디오 칩들, 응용 주문형 집적 회로들 등에 기초할 수 있다. 제어 회로부(32)는 디바이스(10)와 외부 장비 사이의 통신 링크들(예컨대, 유선 링크, 셀룰러 전화기 회선들과 같은 무선 링크들,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 링크들, 블루투스(Bluetooth)® 링크들 등)을 형성하기 위한 무선 주파수 송수신기 회로부, 안테나들, 및/또는 다른 통신 회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회로부(32) 내의 위성 내비게이션 시스템 수신기 회로부는 디바이스(10)의 지리적 위치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위치 정보는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 연결들에 관한 정보, 셀룰러 전화기 정보(예컨대, 디바이스(10)와 통신하는 셀 타워들(cell towers)의 식별에 관한 정보) 등을 사용하여 또한 수집될 수 있다.
입력-출력 디바이스들(34)과 같은 디바이스(10) 내의 입력-출력 회로부는 데이터가 디바이스(10)에 공급되게 하기 위해, 그리고 데이터가 디바이스(10)로부터 외부 디바이스들로 제공되게 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입력-출력 디바이스들(34)은 버튼들, 조이스틱들, 스크롤링 휠들, 터치 패드들, 키 패드들, 키보드들, 마이크로폰들, 스피커들, 톤 생성기들, 햅틱 출력 디바이스들(예컨대, 진동기들), 카메라들, 발광 다이오드들 및 다른 상태 표시기들, 데이터 포트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입력-출력 디바이스들(34)을 통해 커맨드들을 공급함으로써 디바이스(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고, 입력-출력 디바이스들(34)의 출력 리소스들을 사용하여 디바이스(10)로부터 상태 정보 및 다른 출력을 수신할 수 있다.
입력-출력 디바이스들(34)은 디스플레이(14)와 같은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4)는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을 수집하기 위한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일 수 있거나, 디스플레이(14)는 터치에 불감응형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14)를 위한 터치 센서는 정전용량성 터치 센서 전극들의 어레이, 음향 터치 센서 구조물들, 저항성 터치 컴포넌트들, 힘-기반 터치 센서 구조물들, 광-기반 터치 센서, 또는 다른 적합한 터치 센서 구성들에 기초할 수 있다.
입력-출력 디바이스들(34)은 또한 센서들(38)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들(38)은 용량성 센서, 광 기반 근접 센서, 자기 센서, 가속도계, 힘 센서, 터치 센서, 온도 센서, 압력 센서, 나침반, 마이크로폰, 컬러 주변광 센서, 깊이 센서들, 및 다른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36)와 같은 이미지 센서들은 이미지들을 캡처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36)와 같은 카메라들은 태블릿 컴퓨터, 셀룰러 전화기, 또는 시계의 전면 상에 장착될 수 있고, 랩톱 또는 데스크톱 컴퓨터의 디스플레이(14) 위에 장착될 수 있거나, 그렇지 않으면 하우징(12) 내에 장착될 수 있다. 원하는 경우, 카메라(36)와 같은 카메라들은 후방 하우징 벽 상에(예를 들어, 셀룰러 전화기, 태블릿 등의 후면 상에) 장착될 수 있다. 머리 장착형 디바이스들에서, 카메라(36)와 같은 카메라들은 하우징 상의 외향으로 향하는 위치들에 장착될 수 있다(예를 들어, 사용자의 부근에 있는 사람들을 포함하는 사용자의 주변 환경의 현실 세계 이미지들을 캡처하기 위함).
조정가능한 장식(40)은 각각 장식(40)의 하나 이상의 광학 특성들을 수정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전기적으로 조정가능한 층들과 같은 하나 이상의 조정가능한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광학 특성들은 예를 들어, 색조(예컨대, 불투명도 및/또는 컬러), 반사율, 투과율, 흡수율, 및 탁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성들에서, 조정가능한 장식(40)은 고정된 장식 요소들(예컨대, 테두리, 로고들, 텍스트, 및/또는 다른 패턴들을 형성하는 금속 또는 다른 재료들의 패턴화된 층(들))을 포함할 수 있다. 조정가능한 층(들) 및 고정된 외관의 층(들)이 조합되어 조정가능한 장식(40)을 형성하는 구성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일부 구성들에서, 조정가능한 장식(40)은 디바이스(10)의 전면 상에(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4)를 포함하는 디바이스(10)의 측면 상에) 형성된다. 다른 구성들에서, 조정가능한 장식(40)은 다른 디바이스 위치들 상에 형성된다. 예를 들어, 조정가능한 장식(40)은 디바이스(10) 내의 만곡형 또는 평면형 측벽들(예컨대, 디바이스(10)의 후방 하우징 벽과 전면 사이에 연장되는 하우징 벽들)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조정가능한 장식(40)은 디바이스(10) 내의 후방 하우징 벽의 일부 또는 전체 상에 또한 형성될 수 있다. 디바이스(10)는 일 예로서, 유리 층 또는 다른 투명한 부재로부터 형성된 후방 하우징 벽을 가질 수 있다. 조정가능한 장식(40)은 디바이스(10)의 외부로부터 가시화되도록 유리 층의 내측(내부) 표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조정가능한 장식이 디바이스(10)의 전면 상의 디스플레이 커버 층 아래에(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4)에 인접한 디스플레이 커버 층의 주변 부분에) 장착되는 구성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후방 하우징 유리 층과 같은 투명한 부재 아래에 조정가능한 장식(40)이 형성되는 예시적인 시나리오들이 본 명세서에서 때때로 일 예로서 설명될 수 있다. 원하는 경우, 조정가능한 장식(40)을 디바이스(10) 내로 통합시키기 위한 다른 구성들이 사용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의 일부분의 측단면도가 도 6에 도시된다. 도 6의 예시적인 구성에서, 디바이스(10)는 디스플레이(14)가 형성된 전방 측(전면)을 갖는다. 방향(62)에서 디바이스(10)를 보고 있는 관찰자(60)와 같은 사용자는 디스플레이(14)의 픽셀들(44) 상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들을 볼 수 있다. 픽셀들(44)은 디스플레이 커버 층(42)(예컨대, 투명한 유리 또는 중합체의 층) 아래의 어레이로 배열될 수 있다. 디바이스(10)는 조정가능한 장식(40)이 형성된 대향하는 후방 측(후면)을 또한 갖는다. 전기 컴포넌트들(50)(예를 들어, 도 1의 제어 회로부(32) 및/또는 입력-출력 디바이스들(34)을 참조)은 디바이스(10)의 내부(46)의 인쇄 회로(48)와 같은 하나 이상의 기판들 상에 장착될 수 있다.
장식(40)은 방향(66)에서 디바이스(10)의 후방을 보고 있는 관찰자(64)와 같은 사용자에 대해 조정가능한 외관을 가질 수 있다. 도 6의 예에서, 카메라(36)와 같은 후방 대면 카메라가 디바이스(10)의 하우징 내에 장착되었다. 일부 구성들에서, 조정가능한 장식(40) 및 카메라(36)는 둘 모두 관찰자(64)에 가시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36) 및 장식(40)은 둘 모두 디바이스 내부(46)로부터 외향으로(예를 들어, 도 6의 예시적인 구성에서 후방 방향으로) 향할 수 있다.
일부 구성들에서, 조정가능한 장식(40)은 균일한 외관을 갖는다. 다른 구성들에서, 조정가능한 장식(40)의 상이한 부분들은 상이한 개개의 외관들을 갖는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정가능한 장식(40)을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재료의 층들은, 각각 동일한 시각적 외관을 가질 수 있고/있거나 각각 사용자에 대해 상이한 개개의 시각적 외관을 가질 수 있는 제1 부분(58), 제2 부분(54) 및 제3 부분(56)과 같은 개개의 부분들을 형성하도록 패턴화될 수 있다.
일부 구성들에서, 조정가능한 장식(40)은 3차원 형상(예컨대, 융기 또는 다른 돌출부의 형상, 홈 또는 다른 리세스의 형상, 피라미드 형상, 원뿔 형상, 상자형 돌출부 또는 리세스를 갖는 형상, 및/또는 다른 3차원 형상)을 갖는다. 조정가능한 장식(40)이 얇은 층(예컨대, 코팅 등)의 형태를 갖는 예시적인 구성들이 본 명세서에서 때때로 일 예로서 설명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정가능한 장식(40)은 하나 이상의 층들(40')(때때로, 서브층(sublayer)들로 지칭됨)을 가질 수 있다. 층들(40')은 고정된 패턴화된 금속 층들과 같은 고정 층들, 유전체 스택들로부터 형성된 고정된 패턴화된 박막 간섭 필터들, 고정된 패턴화된 중합체 층들(예컨대, 확산 매립 입자들을 갖는 중합체, 중합체 코팅 및/또는 염료 및/또는 안료와 같은 착색제가 있거나 또는 없는 다른 중합체, 라미네이팅된 중합체 필름들 등), 직물의 고정 층들, 텍스처화된 필름들, 서리 유리(frosted glass)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층들(40')은 또한 하나 이상의 조정가능한 광학 층들을 포함할 수 있다. 조정가능한 층(들)은 조정가능한 장식(40)에 대한 광학 특성들을 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고, 조정가능한 색조 층, 조정가능한 미러 층, 조정가능한 탁도 층 등과 같은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조정가능한 색조 층(때때로 광 변조기 층 또는 조정가능한 컬러 층으로 지칭됨)은 전기변색 디바이스, 게스트-호스트 액정 디바이스, 부유 입자 디바이스(suspended particle device) 또는 다른 적합한 전기적으로 조정가능한 색조 층과 같은 광 변조기 컴포넌트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조정가능한 색조 층을 사용하여 광 흡수율 및/또는 컬러(투과 시 및/또는 반사 시)가 조정될 수 있다.
전기변색 디바이스는 한 쌍의 투명한 전극들을 가질 수 있다. LiNiOP와 같은 전해질(예컨대, 겔 전해질)은 전극들 상의 전기변색 코팅들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전기변색 코팅들은 예를 들어, 전극들 중 제1 전극 상의 LixNiO 코팅 및 전극들 중 제2 전극 상의 WO3 코팅일 수 있다. 전극들은 전기변색 층을 어둡게(채색) 또는 밝게(변색)하기 위해 전기변색 코팅들에 전류를 인가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전기변색 디바이스들은 낮은 탁도(예컨대, 5% 미만)를 나타낼 수 있으며, 고장 시 그것의 현재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원하는 경우, 조정가능한 장식(40)을 위한 색조 층은 고체 유기 또는 무기 재료가 전기변색 전해질을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 고체 상태 전기변색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게스트-호스트 액정 디바이스는 액정 "호스트" 층 내에 광 흡수 염료 "게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재료들은 한 쌍의 투명한 전극들 사이에 개재되는 층을 형성할 수 있다. 게스트-호스트 층에 전기장이 인가되는 경우, 액정들이 회전하고 따라서 빛 흡수를 향상시키는 배향으로 게스트 염료(guest dye)를 회전시킨다. 전기장이 제거되는 경우, 게스트 염료 분자들은 더 이상 고 흡수 배향으로 유지되지 않으므로 층이 투명하게 된다. 게스트-호스트 층은 투명과 불투명 사이에서 변동될 수 있다. 부분적으로 투명한 상태들이 또한 나타날 수 있다(예컨대, 중간 전기장 값들). 일부 상태들(예컨대, 불투명한 상태들)에서, 게스트-호스트 층은 컬러 캐스트(color cast)(예컨대, 게스트 염료와 연관된 컬러)를 나타낼 수 있다.
층들(40')은 부유 입자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구현된 조정가능한 색조 층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부유 입자 디바이스는 투명한 전도성 전극들을 갖는 기판 층들 사이에 개재된 액체 내에 부유하는 나노입자들의 층을 포함한다. 인가되는 전기장이 없으면, 나노입자들은 무작위로 배향되어 빛을 흡수한다(즉, 조정가능한 색조 층의 색조가 어두움). 전기장이 인가되는 경우, 나노입자들이 정렬되어 빛이 통과하게 한다(즉, 층의 색조가 투명함). 부유 입자 디바이스들은 조정가능한 색조를 얻게 하는 것에 추가하여, 연관된 조정가능한 탁도에 의해 특징지어진다(예를 들어, 부유 입자 디바이스가 오프(off)되고 낮은 광 흡수량을 나타내는 경우 6% 탁도, 및 부유 입자 디바이스가 온(on)되고 높은 광 흡수량을 나타내는 경우 50% 탁도). 이러한 방식으로, 부유 입자 디바이스는 조정가능한 색조 층과 조정가능한 탁도 층 둘 모두로서 역할을 할 수 있다.
일부 구성들에서, 층들(40')은 조정가능한 반사성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조정가능한 장식(40)에 대한 조정가능한 반사성 층은 콜레스테릭 액정(cholesteric liquid crystal) 층과 같은 조정가능한 반사율 컴포넌트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콜레스테릭 액정 디바이스는 조정가능한 미러 반사율을 나타낼 수 있다. 조정가능한 장식(40)에 사용되는 경우, 콜레스테릭 액정 디바이스는 "온" 상태 및 "오프" 상태에 의해 특징지어질 수 있다. "온" 상태에서(예를 들어, 제어 회로부(32)가 콜레스테릭 액정 디바이스에 전압을 인가하는 경우), 콜레스테릭 액정 디바이스는 투명할 수 있다. 콜레스테릭 액정 디바이스의 투과성은 인가된 전압을 조정함으로써 조정될 수 있다(즉, 콜레스테릭 액정 층은 조정가능한 반사성 층 및 조정가능한 색조 층 둘 모두로서 역할을 할 수 있음). "오프" 상태에서, 콜레스테릭 액정 디바이스는 부분 미러로서 작용할 수 있고, 입사 광의 50% 초과, 입사 광의 70% 초과, 입사 광의 99% 미만 또는 입사광의 다른 적합한 양을 반사할 수 있다.
콜레스테릭 액정 층들은 비교적 빠른 스위칭 속도들, 낮은 탁도(예컨대, 5% 미만의 탁도 값들), 및 양호한 반사율(예컨대, "오프"인 경우)을 나타낼 수 있다. 원하는 경우, 조정가능한 반사성 층들은 다른 유형들의 조정가능한 미러 컴포넌트들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정가능한 장식(40)을 위한 조정가능한 반사성 컴포넌트는 스위칭가능한 금속 수소화물 필름에 기초한 고체 상태 스위칭 미러 컴포넌트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예를 들어, 조정가능한 장식(40)은 조정가능한 마그네슘 수소화물 미러 층을 포함할 수 있음).
원하는 경우, 탁도는 층들(40') 내의 조정가능한 탁도 층을 사용하여 조정될 수 있다. 조정가능한 탁도 층은 중합체 분산형 액정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 유형의 디바이스에서, 액정 재료로 충전된 공극들을 갖는 중합체 층이 개개의 제1 및 제2 투명한 기판들 상의 도전성 투명한 전극들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전극들에 전기장이 인가되지 않은 경우에, 공극들 내의 액정들은 무작위로 배향되고 주위의 중합체 층과의 굴절률 차이를 나타낸다. 이는 공극들의 액정 재료가 중합체 층을 통과하는 광을 산란시키는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탁도를 생성하게 한다. 제어 회로부(32)에 의해 전극들에 전기장이 인가되는 경우, 공극들 내의 액정 재료의 액정들이 정렬되어 공극들 내의 액정 재료가 주위의 중합체와 일치하는 굴절률을 나타낸다. 이 구성에서, 조정가능한 탁도 층은 낮은 탁도 및 높은 투명도를 나타낸다. 중간 탁도 레벨들은 중간 레벨에서 전기장을 인가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조정가능한 장식(40)의 층들(40') 내에 이들 조정가능한 광학 층들 중 하나 이상을 통합시키는 것에 추가하여, 하나 이상의 고정된 광학 층들(40')이 조정가능한 장식(40) 내에 통합될 수 있다. 층들(40')은 예를 들어, 고정된 반사성 층들(예컨대, 얇은 반사 금속 코팅들, 얇은 반사 유전체 스택 코팅들 등), 고정된 색조(예컨대, 광-흡수 입자들, 염료, 금속 코팅 재료 등의 통합에 의해 어둡게 된 유리 또는 중합체), 및/또는 (예컨대, 유리 또는 플라스틱 재료 내에 텍스처화된 중합체 또는 유리 층, 마이크로버블들 또는 광-산란 입자들로부터 형성된 혼탁 층을 통합시키는 등에 의해) 고정된 탁도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조정가능한 외관을 나타내는 임의의 유형의 조정가능한 층이 장식(40) 내에 통합될 수 있다. 조정가능한 색조, 탁도, 및/또는 반사성을 갖는 층(들)을 사용하여 조정가능한 광학 특성들(예컨대, 조정가능한 외관 특성들)을 갖는 조정가능한 장식을 제공하는 데 있어서 조정가능한 층들의 사용은 예시적인 것이다.
고정된 장식 층으로서 사용될 수 있는 구조물의 예는 도 8에 도시된다. 도 8의 층(68)은 금속의 고체 층, 중합체(예컨대, 안료, 염료, 및/또는 다른 착색제를 갖는 중합체 및/또는 투명한 중합체), 세라믹, 유리, 텍스처화된 재료 또는 다른 혼탁 재료(예컨대, 상이한 굴절률의 매립된 무기 입자들, 매립된 기체 기포들, 및/또는 다른 광-산란 입자들을 갖는 중합체 층), 및/또는 다른 고체 층일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도 9의 층(70)의 유전체 스택을 고려한다. 층(70)은 다중 유전체 층들(72)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층들(72)은, 예를 들어, 각각 두께가 3 마이크로미터 미만, 1.5 마이크로미터 미만, 0.5 마이크로미터 미만, 또는 다른 작은 두께인 박막 층들일 수 있다. 층들(72)의 굴절률 값들은 교번하거나 다른 적합한 구성들을 가질 수 있다. 층들(72)의 두께들, 재료들 및 굴절률들은 원하는 광학 속성들(파장의 함수로서의 원하는 반사율, 광 흡수, 및 광 투과)을 갖는 층(70)으로부터 박막 간섭 필터를 형성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박막 간섭 필터 구조물을 사용하여, 층(70)에 원하는 외관이 구비될 수 있다.
층(68) 및/또는 층(70)과 같은 층들은 블랭킷 필름으로서 (예컨대, 조정가능한 장식(40) 전역에 걸쳐) 침착될 수 있고/있거나 패턴화될 수 있다(예컨대, 조정가능한 장식(40) 내의 선택된 영역들에만 이들 층들이 나타나도록 국부화됨). 층들의 패턴들은 로고들, 장식 기호들, 텍스트, 테두리, 및/또는 다른 장식을 형성할 수 있다. 조정가능한 장식(40)을 형성함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패턴화된 층들 및/또는 층들(68) 및/또는 층(70)과 같은 블랭킷 층들은 하나 이상의 조정가능한 광학 층들과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디바이스(10)에 대한 예시적인 조정가능한 장식의 평면도가 도 10에 도시된다. 도 10의 예에서, 조정가능한 장식(40)의 일부분(40G)은 제1 외관(예컨대, 제1 반사율, 컬러, 및/또는 탁도)을 갖고, 테두리 부분(40T)은 제2 외관(예컨대, 제2 반사율, 컬러, 및/또는 탁도)을 가지며, 로고(40L)는 제3 외관(예컨대, 제3 반사율, 컬러, 및/또는 탁도)을 갖는다. 조정가능한 장식(40)의 이들 부분들의 각각의 상대적인 외관들은 서로에 대해 개별적으로 변동될 수 있고/있거나 고정된 외관 층들과 (위 및/또는 아래로) 중첩되는 조정가능한 층(들)을 사용하여 이들 부분들 중 2개 또는 3개 부분들에 전역적인 외관 조정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디바이스(10) 내의 조정가능한 장식(40)의 예시적인 구성들이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다. 도 11 및 도 12의 예들에서, 관찰자(사용자)(64)는 층(74)을 통해 방향(66)에서 디바이스(10)를 보고 있다. 층(74)은 예를 들어, 투명한 후방 하우징 벽, 디바이스(10)의 다른 부분 상의 투명한 하우징 벽, 또는 디바이스(10) 내의 다른 투명한 구조물(예컨대, 중합체, 유리, 세라믹, 사파이어와 같은 투명한 결정질 재료 등의 투명한 층)일 수 있다. 원하는 경우, 도 11 및 도 12의 조정가능한 장식(40)은 디바이스(10)의 다른 부분들 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의 구성들은 예들로서 제시된다.
도 11의 예시적인 구성에서, 조정가능한 장식(40)은 장식 층(78)과 투명 층(74)의 내부 표면 사이에 개재된 조정가능한 층(76)과 같은 조정가능한 층을 포함한다. 층들(76, 78)과 같은 층들은 열 및/또는 압력을 사용하여 층(74)의 내측 표면 상으로 라미네이팅될 수 있고/있거나 접착제의 개재 층들을 이용해 부착될 수 있다.
층(78)은 고정된 장식의 층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층(78)은 도 8의 층(68)의 패턴화된 부분들 및/또는 도 9의 층(70)의 패턴화된 부분들과 같은 패턴화된 구조물들 중 하나 이상의 층들을 로고, 테두리, 텍스트, 및/또는 다른 장식 요소들을 형성하는 패턴으로 가질 수 있다. 일 예로서, 로고의 형상의 금속 로고 또는 박막 간섭 필터 미러가 층(78)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층(78)의 내부 부분(예컨대, 디바이스(10)의 내부를 향하는 부분)은, 로고와 중첩되고 고체 배경으로서 역할을 하는 중합체 층(예컨대, 중합체 내의 착색제를 함유한 잉크 또는 페인트)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서, 로고는 반짝이는 반사성 외관을 가질 수 있으며, 중합체 층은 중합체 층이 반짝이는 로고 뒤에서 전역적인 배경 층으로서 역할을 하게 하는 어두운 외관을 가질 수 있다(예를 들어, 로고는 층(76)과 층(78)의 어두운 중합체 층 사이에 개재될 수 있음). 다른 구성들에서, 패턴화된 금속, 패턴화된 중합체(예컨대, 착색제를 갖는 중합체), 금속, 중합체, 유리 또는 다른 재료의 텍스처화된 층들, 및/또는 반사 미러들을 형성하는 박막 간섭 필터들, 착색된 반사 층들(예컨대, 불균일한 가시광 반사 스펙트럼으로 인해 청색 또는 적색을 띤 층들), 및/또는 층(78) 내의 다른 구조물들은 층(78) 내의 조정불가능한 장식 패턴들을 형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도 11의 층(76)은 층(78)과 층(74) 사이에 개재되고, 따라서 관찰자(64)가 방향(66)에서 디바이스(10)를 보는 중에 관찰자(64)에 대한 층(78)의 외관을 조정한다. 층(76)은 임의의 적합한 조정가능한 광학 층(예컨대, 조정가능한 색조 층, 조정가능한 미러 층, 조정가능한 탁도 층, 및/또는 다른 광학 속성들 및/또는 이들 속성들 중 임의의 둘 이상의 조합들을 조정하는 층)일 수 있다. 일 예로서, 조정가능한 층(76)이 흑색에서 투명까지의 범위에서 전기적으로 조정가능한 불투명도를 나타내는 조정가능한 색조 층인 시나리오를 고려한다. 투명한 상태에 놓일 때, 층(76)은 관찰자(64)가 층(78)에 의해 형성된 패턴(예컨대, 반짝이는 로고)을 보게 한다. 불투명한 상태(들)에 놓일 때, 층(76)은 층(78)을 시야로부터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은폐(obscure)한다(예를 들어, 로고가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차단될 수 있음). 이 방법으로 로고나 다른 패턴의 컬러가 또한 조정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층(76)이 조정가능한 탁도 층인 시나리오를 고려한다. 그의 낮은 탁도 상태에서, 층(76)은 관찰자(64)가 층(78)을 보게 하도록 충분히 투명할 수 있다. 보다 높은 탁도 상태에서, 층(76)은 층(78)을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은폐하도록 충분히 혼탁할 수 있다. 층(76)이 조정가능한 미러인 시나리오에서, 층(76)은 낮은 반사율 상태 또는 높은 반사율 상태에 놓일 수 있고, 이에 따라 층(78)의 얼마나 많은 부분이(존재한다면) 가시적일 수 있으며 얼마나 많은 주변 광이 관찰자(64)에게 반사되는지를 변경시킬 수 있다.
원하는 경우,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정가능한 층(76)은 고정된 장식 층들(78-1, 78-2)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층들(78-1, 78-2)은 예를 들어, 금속, 중합체(예컨대, 착색된 중합체), 박막 간섭 필터 구조물들(미러들, 색 필터들, 반사 방지 코팅들 등)을 형성하는 유전체 스택들, 및/또는 텍스처화된 층들(예컨대, 고정된 탁도를 갖는 층들)을 갖는 층들일 수 있다. 도 11의 층(78)에서와 같이, 층들(78-1 및/또는 78-2)의 상이한 영역들은 로고들, 텍스트, 테두리, 및/또는 장식의 다른 패턴들을 형성하도록 상이하게 패턴화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층(78-1)은 원하는 패턴을 갖는 영역(82) 내에 선택적인 개구부를 가질 수 있다. 일 예로서, 층(78-2)이 흰색 배경 층이고, 층(78-1)이 흑색 전경 층인 경우, 개구부(82)는 로고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므로 관찰자(64)는 흑색 배경 상의 백색 로고를 보게 된다. 층(78-2)은 영역(80)과 같은 패턴화된 영역들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층(78-1)은 부분적으로 투명한 적색 층일 수 있고 층(78-2)은 영역(80) 내의 금속 로고 형상을 갖는 흑색 층일 수 있다. 이러한 시나리오에서는, 적색계열의 어두운 배경으로 둘러싸인 반사형 적색 로고가 영역(80)에 나타날 것이다.
도 12의 조정가능한 장식(40)의 외관을 조정하는 것이 요구될 때, 제어 회로부(32)는 층(78-1, 78-2) 사이에 개재된 층(76)의 광학 특성들을 전기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층(78-1)이 컬러 구배(예컨대, 측방향으로 변동되는 컬러 캐스트)를 갖고, 층(78-2)이 전경 금속 로고(예컨대, 흑색 중합체 층과 층(76) 사이에 형성된 금속 로고)를 갖는 흑색 중합체 배킹 층(backing layer)을 갖는 시나리오를 고려한다. 제1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층(76)은 불투명한 백색 컬러(이 경우 로고는 차단되고 디바이스(10)의 후방은 층(78-1)의 외관에 의해 결정된 컬러 구배를 가짐과 투명한 상태(이 경우 로고는 가시적이고, 층(78-1)의 외관에 의해 결정된 컬러 구배를 가짐) 사이에서 변동되는 조정가능한 색조 층이다. 제2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층(76)은 조정가능한 탁도 층이다. 그의 낮은 탁도 상태에서, 층(76)은 관찰자(64)가 층(78-2)을 보게 하도록 충분히 투명할 수 있다. 층(78-2)을 보는 경우, 층(78-2)은 층(74)(예컨대, 투명한 하우징 층)을 통해, 그리고 (색조, 구배, 탁도 패턴, 및/또는 다른 특성들을 층(78-2)의 외관에 부여할 수 있는) 층(78-1)을 통해 보여진다. 그의 보다 높은 탁도 상태에서, 층(76)은 층(78-2)을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은폐하기에 충분히 혼탁할 수 있는 반면, 층(76)의 혼탁한 표면이 층(78-1)을 통해 보이게 할 수 있다. 제3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층(76)은 조정가능한 미러 반사율을 갖는 층이다. 층(76)이 조정가능한 미러인 경우, 층(76)은 낮은 반사율 상태 또는 높은 반사율 상태에 놓일 수 있고, 이에 따라 층(78-2)의 얼마나 많은 부분이(존재한다면) 층(78-1) 및 층(76)을 통해 가시적일 수 있는 지를 변경시키고, 장식(40)의 외관을 조정할 수 있다.
조정가능한 장식(40)은 천천히(예컨대, 1초 내지 10초, 적어도 2초, 100초 미만의 기간들, 또는 다른 적합한 조정 기간들에 걸쳐 완만한 변동들을 가지고) 조정될 수 있고/있거나 빠르게 조정될 수 있다(예를 들어, 0.1초 내지 0.3초, 적어도 0.01초, 0.2초 미만의 기간, 또는 다른 적합한 기간 동안 플래싱(flashing) 온 및/오프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빠르게 외관을 변경함). 장식(40)의 외관은 간헐적으로(예를 들어, 사용자가 디바이스(10)의 외관을 변경시키는 것을 원할 때 하루 또는 일주일에 한 번) 변경될 수 있고/있거나 적합한 조정 기준들 등의 충족에 응답하여 보다 자주, 연속적으로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회로부(32)는 인입 셀룰러 전화기 호(incoming cellular telephone call)들, 텍스트 메시지들, 이메일 메시지들, 또는 다른 통신들을 모니터링할 수 있고, 응답으로 조정가능한 장식(40)의 외관을 조정할 수 있다(예를 들어, 로고, 로고의 배경, 및/또는 로고를 덮는 전역적인 층의 외관이 변경될 수 있고/있거나 인입 전화기 호 또는 메시지가 수신되었음을 표시하기 위해 제1 및 제2 외관 상태들 사이에서 반복적으로 플래싱할 수 있음). 다른 예로서, 제어 회로부(32)는 캘린더 엔트리, 타이머의 만료, 또는 다른 시간 기반 및/또는 날짜 기반의 외관 조정 기준들과 연관된 리마인더와 같은 이벤트의 검출에 응답하여 조정가능한 장식(40)의 외관을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캘린더 리마인더가 발생하거나 타이머가 만료되는 경우, 조정가능한 장식(40)은 플래싱되거나, 컬러를 변경하고, 탁도를 변경하고, 불투명도를 변경하고/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외관이 조정될 수 있다.
조정가능한 장식(40)을 갖는 디바이스(10)와 같은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것에 수반되는 예시적인 동작들의 흐름도가 도 13에 도시된다. 블록(90)의 동작들 동안, 제어 회로부(32)는 특정 센서 판독치들(예를 들어, 광, 온도, 자기, 소리 등의 측정치들)의 발생에 대해, 디바이스(10)의 사용자로부터의 사용자 입력의 발생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특정 지리적 위치(예를 들어, 제어 회로부(32) 내의 위성 내비게이션 시스템 수신기 회로부에 의해 결정된 위치)의 발생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다른 이벤트들(특정 시간 및/또는 날짜 등)의 발생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전화 통화, 메시지, 또는 기타 통신들의 수신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예를 들어, 디바이스(10)를 외부 장비와 쌍으로 만드는 무선 링크의 형성에 의해 표시되는 바와 같이) 피어 디바이스 또는 액세서리의 근접성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특정 사용자들의 존재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디바이스(10) 내의 특정 기능들의 활성화를 모니터링하기 위해(예를 들어, 카메라(36)가 정지 이미지 및/또는 움직이는 이미지를 캡처하게 하는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의 활성화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운영 체제 특징부들(예를 들어, 음성 인식, 얼굴 스캐닝 등)의 활성화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그리고/또는 다른 이벤트들의 발생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입력-출력 디바이스들(34)을 사용할 수 있다.
장식(40)의 조정을 보증할 수 있는 이벤트들은 센서들(38) 및/또는 디바이스(10) 내의 다른 회로부(예컨대, 입력-출력 디바이스들(34))를 사용하여 측정된 이벤트들, 사용자 입력, 통신들, 디바이스(10) 내의 컴포넌트들의 동작 상태 및/또는 카메라 애플리케이션, 음성 인식 애플리케이션, 사운드 레코딩 애플리케이션, 또는 다른 애플리케이션 및/또는 운영 체제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의 동작 상태를 검출함으로써 측정된 이벤트들, 및/또는 다른 이벤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조정가능한 장식(40)의 조정을 보증하는 이벤트들이 검출되지 않으면, 블록(90)의 동작들 중의 프로세싱이 계속될 수 있다(예를 들어, 디바이스(10)의 회로부는 이벤트 발생에 대해 계속해서 모니터링할 수 있음). 조정가능한 장식(40)의 조정을 보증하는 이벤트의 검출에 응답하여, 디바이스(10)(예컨대, 제어 회로부(32))는 블록(92)의 동작들 중에 조정가능한 장식(40)의 외관을 조정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카메라(36)(예컨대, 사용자의 부근에 있는 사람들을 향한 카메라)가 활성화되었다는 검출에 응답하여, 카메라가 활성화되었다는 것(예를 들어, 카메라가 사람들의 이미지들을 포함한 이미지 데이터를 캡처하고 있다는 것)을 이들 사람들에게 경고하기 위해 조정가능한 장식(40)의 외관이 조정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인입 호 또는 메시지가 검출되거나, 캘린더 리마인더가 트리거되거나, 타이머가 만료되는 경우, 조정가능한 장식(40)의 외관은 인입 통신들 또는 다른 이벤트의 존재를 사용자에게 경고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예를 들어, 플래싱하거나, 1회 또는 2회 변경하는 등에 의함). 장식(40)의 외관은 또한 미적 이유들로(예컨대, 장식(40)의 외관을 사용자의 의복, 디바이스(10) 상의 제거가능한 케이스의 외관, 디바이스(10)의 하우징 등과 조화시키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일부 구성들에서, 디바이스(10) 내의 보다 전력 집약적인 조정가능한 컴포넌트들 대신에(예컨대, 디스플레이(14) 대신에) 사용자에게 경고들과 다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조정가능한 장식(40)을 사용함으로써 전력 소비가 감소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의 후방의 컬러는 비교적 드물게 변경될 수 있고/있거나 메시지가 수신되었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상기시키기 위해 (예컨대, 사용자에 의해 클리어(clear)될 때까지) 지속적으로 변경된 채로 유지될 수 있다. 이 외관 조정 프로세스는 디바이스(10)가 동일한 유형의 리마인더(일 예로서)를 계속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14)에 전력공급할 경우보다 현저하게 적은 전력을 소비할 수 있다. 장식(40)의 외관에 대한 변경들을 통해 사용자에게 통지들과 다른 정보를 제공하는 것은 또한 다른 형태들의 통지보다 눈에 덜 거슬릴 수 있다. 백라이트는 장식(40)의 일부 또는 전부 뒤에 제공될 수 있고, 장식(40)의 외관을 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고/있거나 백라이트 컴포넌트들이 생략될 수 있다(예컨대, 전력 보존을 돕기 위함).
일 실시예에 따르면, 투명 층을 갖는 하우징, 투명 층에 의해 중첩되고 투명 층을 통해 보았을 때 외관을 갖는 조정가능한 장식, 및 이벤트에 응답하여 외관을 조정하도록 구성된 제어 회로부를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조정가능한 장식은 고정된 패턴을 갖는 제1 장식 층을 포함하고, 조정가능한 광학 컴포넌트를 갖는 제2 장식 층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조정가능한 광학 컴포넌트는 조정가능한 색조 층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조정가능한 광학 컴포넌트는 조정가능한 탁도 층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조정가능한 광학 컴포넌트는 조정가능한 미러 층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조정가능한 광학 컴포넌트는 가변 광학 특성을 갖는 전기적으로 조정가능한 층이고, 조정가능한 광학 컴포넌트는 제1 장식 층과 투명 층 사이에 개재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이벤트는 사용자 입력의 검출을 포함하고, 제어 회로부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전기적으로 조정가능한 층을 조정함으로써 조정가능한 장식의 외관을 조정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디바이스는 이벤트의 발생과 연관된 센서 데이터를 측정하도록 구성된 센서를 포함하며, 제어 회로부는 센서 데이터에 응답하여 조정가능한 장식의 외관을 조정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이벤트는 제어 회로부를 이용한 메시지의 수신과 연관되고, 제어 회로부는 메시지의 수신에 응답하여 조정가능한 장식의 외관을 조정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회로부는 셀룰러 전화기 호들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통신 회로부를 포함하고, 이벤트는 인입 셀룰러 전화기 호의 수신을 포함하고, 제어 회로부는 인입 셀룰러 전화기 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사용자를 위한 플래싱(flashing) 통지를 생성하기 위해 외관을 조정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장식 층의 고정된 패턴은 로고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조정가능한 장식은 제3 장식 층을 포함하고, 제3 장식 층은 제2 장식 층과 투명한 부재 사이에 개재되며, 제2 장식 층은 제1 장식 층과 투명한 부재 사이에 개재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3 장식 층은 박막 간섭 필터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유전체 스택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장식 층은 로고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조정가능한 광학 컴포넌트는 조정가능한 불투명 층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조정가능한 광학 컴포넌트는 조정가능한 탁도를 나타내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디스플레이가 형성된 전면을 갖고 투명한 부재를 지닌 대향하는 후면을 갖는 하우징, 후면 상의 카메라, 외관을 가지며 투명한 부재를 통해 가시적인 조정가능한 장식, 및 조정가능한 장식의 외관을 조정하도록 구성된 제어 회로부를 포함하는 셀룰러 전화기가 제공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회로부는 카메라의 활성화에 응답하여 조정가능한 장식의 외관을 조정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조정가능한 외관을 갖는 조정가능한 장식, 전기 컴포넌트, 및전기 컴포넌트의 사용의 검출에 응답하여 조정가능한 장식의 외관을 조정하도록 구성된 제어 회로부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 컴포넌트는 카메라를 포함하고, 조정가능한 장식은 조정가능한 장식 층에 의해 중첩된 고정된 장식 층을 포함한다.
전술한 내용은 단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설명된 실시예들의 범주 및 기술적 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수정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개별적으로 또는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Claims (20)

  1. 전자 디바이스로서,
    투명 층을 갖는 하우징;
    상기 투명 층에 의해 중첩되고 상기 투명 층을 통해 보았을 때 외관을 갖는 조정가능한 장식; 및
    이벤트에 응답하여 상기 외관을 조정하도록 구성된 제어 회로부
    를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가능한 장식은 고정된 패턴을 갖는 제1 장식 층을 포함하고, 조정가능한 광학 컴포넌트를 갖는 제2 장식 층을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가능한 광학 컴포넌트는 조정가능한 색조 층을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가능한 광학 컴포넌트는 조정가능한 탁도 층을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가능한 광학 컴포넌트는 조정가능한 미러 층을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가능한 광학 컴포넌트는 가변 광학 특성을 갖는 전기적으로 조정가능한 층이고, 상기 조정가능한 광학 컴포넌트는 상기 제1 장식 층과 상기 투명 층 사이에 개재되는, 전자 디바이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는 사용자 입력의 검출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회로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전기적으로 조정가능한 층을 조정함으로써 상기 조정가능한 장식의 상기 외관을 조정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의 발생과 연관된 센서 데이터를 측정하도록 구성된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 회로부는 상기 센서 데이터에 응답하여 상기 조정가능한 장식의 상기 외관을 조정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는 상기 제어 회로부를 이용한 메시지의 수신과 연관되고, 상기 제어 회로부는 상기 메시지의 상기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조정가능한 장식의 상기 외관을 조정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부는 셀룰러 전화기 호(cellular telephone call)들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통신 회로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벤트는 인입 셀룰러 전화기 호의 수신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회로부는 상기 인입 셀룰러 전화기 호의 상기 수신에 응답하여 사용자를 위한 플래싱(flashing) 통지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외관을 조정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장식 층의 상기 고정된 패턴은 로고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가능한 장식은 제3 장식 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3 장식 층은 상기 제2 장식 층과 상기 투명한 부재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제2 장식 층은 상기 제1 장식 층과 상기 투명한 부재 사이에 개재되는, 전자 디바이스.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장식 층은 박막 간섭 필터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유전체 스택을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장식 층은 로고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가능한 광학 컴포넌트는 조정가능한 불투명 층을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가능한 광학 컴포넌트는 조정가능한 탁도를 나타내도록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17. 셀룰러 전화기로서,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가 형성된 전면을 갖고 투명한 부재를 지닌 대향하는 후면을 갖는 하우징;
    상기 후면 상의 카메라;
    외관을 가지며 상기 투명한 부재를 통해 가시적인 조정가능한 장식; 및
    상기 조정가능한 장식의 상기 외관을 조정하도록 구성된 제어 회로부
    를 포함하는, 셀룰러 전화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부는 상기 카메라의 활성화에 응답하여 상기 조정가능한 장식의 상기 외관을 조정하도록 구성되는, 셀룰러 전화기.
  19. 웨어러블 전자 디바이스로서,
    조정가능한 외관을 갖는 조정가능한 장식;
    전기 컴포넌트; 및
    상기 전기 컴포넌트의 사용의 검출에 응답하여 상기 조정가능한 장식의 상기 외관을 조정하도록 구성된 제어 회로부
    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 디바이스.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컴포넌트는 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조정가능한 장식은 조정가능한 장식 층에 의해 중첩된 고정된 장식 층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 디바이스.
KR1020180115630A 2018-03-22 2018-09-28 조정가능한 장식을 갖는 전자 디바이스들 KR1021965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1135A KR102337058B1 (ko) 2018-03-22 2020-12-22 조정가능한 장식을 갖는 전자 디바이스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862646677P 2018-03-22 2018-03-22
US62/646,677 2018-03-22
US16/134,846 2018-09-18
US16/134,846 US10630824B2 (en) 2018-03-22 2018-09-18 Electronic devices with adjustable decoration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1135A Division KR102337058B1 (ko) 2018-03-22 2020-12-22 조정가능한 장식을 갖는 전자 디바이스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1719A true KR20190111719A (ko) 2019-10-02
KR102196505B1 KR102196505B1 (ko) 2020-12-30

Family

ID=6368374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5630A KR102196505B1 (ko) 2018-03-22 2018-09-28 조정가능한 장식을 갖는 전자 디바이스들
KR1020200181135A KR102337058B1 (ko) 2018-03-22 2020-12-22 조정가능한 장식을 갖는 전자 디바이스들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1135A KR102337058B1 (ko) 2018-03-22 2020-12-22 조정가능한 장식을 갖는 전자 디바이스들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10630824B2 (ko)
EP (1) EP3543823B1 (ko)
KR (2) KR102196505B1 (ko)
CN (2) CN11030019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1427A (ko) * 2020-08-13 2022-02-22 애플 인크. 만곡 디스플레이 표면을 구비한 전자 디바이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92286B2 (en) * 2017-07-31 2019-05-14 Apple Inc. Patterned glass layers in electronic devices
CN111077714A (zh) * 2019-12-27 2020-04-28 江西沃格光电股份有限公司 变色装饰膜及其形成方法
US11175700B1 (en) * 2020-05-14 2021-11-16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with adjustable-appearance housing structures
JP7370025B2 (ja) * 2020-06-30 2023-10-2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光学デバイス
CN112954093A (zh) * 2021-02-10 2021-06-11 东莞市聚龙高科电子技术有限公司 一种渐变色手机后盖及其制备方法
WO2022179244A1 (zh) * 2021-02-24 2022-09-0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变色膜片、壳体组件和电子设备
WO2022247052A1 (zh) * 2021-05-28 2022-12-01 安徽精卓光显技术有限责任公司 一种通电变色电子设备保护壳
CN113568210A (zh) * 2021-07-09 2021-10-29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调光结构及其制作方法、电子设备壳体和电子设备
CN113534558A (zh) * 2021-07-12 2021-10-2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壳体及其电子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36605A1 (en) * 2002-02-07 2005-02-17 Robert John Mulligan Device housing responsive to an environmental stimulus
US20050170154A1 (en) * 2004-01-22 2005-08-04 Ims Kunststoff Ag Decoration of a multi-layered device, especially a (winter) sports apparatus
US20120044045A1 (en) * 2009-05-08 2012-02-23 Zte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 and casing color changing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88322B2 (en) 1997-08-26 2005-05-03 Color Kinetics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color changing device and enclosure
US20030017848A1 (en) * 2001-07-17 2003-01-23 Engstrom G. Eric Personalizing electronic devices and smart covering
US8384674B1 (en) 2001-01-30 2013-02-2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Integrated enclosure/touch screen assembly
US7373180B2 (en) 2001-05-25 2008-05-13 Kyocera Wireless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ntuating graphical elements on a mobile handset housing
US7242393B2 (en) 2001-11-20 2007-07-10 Touchsensor Technologies Llc Touch sensor with integrated decoration
WO2004003836A1 (en) 2002-06-27 2004-01-08 Nokia Corporation Cover for an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with a cover
US6937950B2 (en) * 2002-12-26 2005-08-3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nimated graphical object notification system
EP1557207A1 (en) * 2004-01-22 2005-07-27 IMS Kunststoff AG Decoration of a multi-layered device, especially a (winter) sports apparatus
JP2006113166A (ja) 2004-10-13 2006-04-27 Nec Saitama Ltd イルミネーション構造、および電子機器
KR101121715B1 (ko) * 2005-03-18 2012-03-09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착신 표시용 도광판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KR20070059951A (ko) 2005-12-06 2007-06-1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화면 표시장치 및 방법
US8223426B2 (en) 2008-12-19 2012-07-17 Motorola Mobilit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decorative surface
US8576561B2 (en) 2010-02-02 2013-11-05 Apple Inc. Handheld device enclosure
US10042480B2 (en) 2010-04-08 2018-08-07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Apparatuses, methods, and systems for an electronic device with a detachable user input attachment
US20110253571A1 (en) 2010-04-14 2011-10-20 Wayne Philip Rothbaum Cord Management System
WO2011130872A1 (zh) 2010-04-19 2011-10-27 铂邑科技股份有限公司 塑质薄壳件复合体的外表膜及其应用方法
CN102375475B (zh) * 2010-08-09 2015-04-29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便携式电子设备及其光效显示方法
US8467177B2 (en) 2010-10-29 2013-06-18 Apple Inc. Displays with polarizer windows and opaque masking layers for electronic devices
US8947648B2 (en) * 2011-03-06 2015-02-03 Ninepoint Medical,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ignal processing in optical imaging systems
US9083779B2 (en) * 2011-06-29 2015-07-14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Electronic device with color-changing layer over optical shuttering layer
US20140132569A1 (en) * 2011-08-30 2014-05-15 Wintek Corporation Touch-sensitive panel
US9363869B2 (en) 2012-01-04 2016-06-07 Blackberry Limited Optical navigation module with decoration light using interference avoidance method
US20140063784A1 (en) 2012-08-29 2014-03-06 Gregory P. Muiter Multi-Layered Electronic Device Cover
CN103677359A (zh) 2012-09-06 2014-03-26 宸鸿科技(厦门)有限公司 触控面板及其触控屏幕结构、触控显示设备
TWI475307B (zh) * 2012-09-24 2015-03-01 Wistron Corp 電致色變面板及控制裝置
EP2954384B1 (en) * 2013-02-06 2023-08-02 Apple Inc. Input/output device with a dynamically adjustable appearance and function
CN104070913B (zh) 2013-03-29 2017-06-13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壳体及其制作方法
TW201447668A (zh) * 2013-06-14 2014-12-16 Wintek Corp 裝飾蓋板及其觸控面板
CN103347120A (zh) * 2013-06-20 2013-10-09 上海华勤通讯技术有限公司 手机的外壳色彩调节方法及手机
TW201508579A (zh) * 2013-08-29 2015-03-01 Wintek Corp 裝飾基板以及觸控面板
US9917935B2 (en) 2014-03-04 2018-03-13 Houdinix Llc Multi-layer handheld electronic device
JP6353720B2 (ja) * 2014-06-30 2018-07-0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US9730506B2 (en) * 2014-09-16 2017-08-15 Geanine M. Lamberger Mirror for a mobile device
EP3278199B1 (de) * 2015-04-02 2022-09-07 Jörg R. Bauer Touchpad und system zum erfassen eines gegenstandes auf einer erfassungsfläche sowie erzeugen und ausgeben gegenstandsspezifischer information
US9991654B1 (en) 2015-08-19 2018-06-05 Thomas DePhillips Intelligent decoration system
JP2018526685A (ja) * 2015-10-01 2018-09-13 イー インク コーポレイション 可変色および透過性被覆材
WO2017091735A1 (en) * 2015-11-24 2017-06-01 California Labs, Inc. Counter-top device and services for displaying, navigating, and sharing collections of media
US10501025B2 (en) * 2016-03-04 2019-12-1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badge
WO2018015922A1 (en) 2016-07-21 2018-01-25 Sabic Global Technologies B.V. Multilayer structure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JP6768394B2 (ja) 2016-07-29 2020-10-14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電子機器
JP6518384B2 (ja) 2017-03-06 2019-05-2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タッチパネル用導電性シートおよびタッチセンサ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36605A1 (en) * 2002-02-07 2005-02-17 Robert John Mulligan Device housing responsive to an environmental stimulus
US20050170154A1 (en) * 2004-01-22 2005-08-04 Ims Kunststoff Ag Decoration of a multi-layered device, especially a (winter) sports apparatus
US20120044045A1 (en) * 2009-05-08 2012-02-23 Zte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 and casing color changing method thereof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1427A (ko) * 2020-08-13 2022-02-22 애플 인크. 만곡 디스플레이 표면을 구비한 전자 디바이스
US11862083B2 (en) 2020-08-13 2024-01-02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with curved display surfa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6505B1 (ko) 2020-12-30
EP3543823A1 (en) 2019-09-25
KR20210000296A (ko) 2021-01-04
CN110300197A (zh) 2019-10-01
US11050867B2 (en) 2021-06-29
US10630824B2 (en) 2020-04-21
US20190297177A1 (en) 2019-09-26
CN115426425A (zh) 2022-12-02
US20200204669A1 (en) 2020-06-25
EP3543823B1 (en) 2023-10-04
KR102337058B1 (ko) 2021-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37058B1 (ko) 조정가능한 장식을 갖는 전자 디바이스들
US11243403B2 (en) Electronic devices having electrically adjustable optical layers
US20220232698A1 (en) Patterned Glass Layers in Electronic Devices
US8867015B2 (en) Displays with liquid crystal shutters
US20230314891A1 (en) Electronic Devices Having Electrically Adjustable Optical Shutters
US10720126B2 (en) Color ambient light sensor with adjustable neutral density filter
CN107182175A (zh) 一种显示装置及其一体化显示盖板
US20110050755A1 (en) Electrical device with selectively reflective display
US11754759B2 (en) Electronic devices having optical diffusers for optical components
JP2004056496A (ja) 携帯電話機用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携帯電話機
JP3094091U (ja) 携帯電話機用ディスプレイ装置および携帯電話機
JP2001337319A (ja) 電子時計
JP4108397B2 (ja) 携帯電話機用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携帯電話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