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1213A - 치실 홀더 - Google Patents

치실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1213A
KR20190111213A KR1020180033032A KR20180033032A KR20190111213A KR 20190111213 A KR20190111213 A KR 20190111213A KR 1020180033032 A KR1020180033032 A KR 1020180033032A KR 20180033032 A KR20180033032 A KR 20180033032A KR 20190111213 A KR20190111213 A KR 201901112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ntal floss
case
control unit
bobbin
elastic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30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75235B1 (ko
Inventor
이범찬
박정훈
최병률
Original Assignee
이범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범찬 filed Critical 이범찬
Priority to KR10201800330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5235B1/ko
Publication of KR201901112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12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52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52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5/00Devices for cleaning between the teeth
    • A61C15/04Dental floss; Floss holders
    • A61C15/046Floss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5/00Devices for cleaning between the teeth
    • A61C15/04Dental floss; Floss holders
    • A61C15/041Dental flo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5/00Devices for cleaning between the teeth
    • A61C15/04Dental floss; Floss holders
    • A61C15/043Containers, dispensers, or the like, e.g. with cutt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치실 일측만 사용자의 손으로 파지하여 편리하고 정확하게 치실을 조작할 수 있으면서 동시에, 위생적인 사용과 효과적인 치실 교체 장착이 가능한 치실 홀더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치실 홀더{Floss Equipment}
본 명세서는 치실을 보관 및 사용하기 위한 치실 홀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실은 치아 사이의 음식물과 이물질 등을 청소하는 구강 관리 기구로서 치실 케이스와 치실 케이스 내부에 권취된 치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사용자는 치실 케이스를 잡고 권취된 치실을 풀어서 원하는 길이만큼 인출한 뒤, 치실케이스에 구비된 치실 절단 기구를 이용해 치실을 절단하여 치실의 양단부를 양 손의 검지, 혹은 중지에 감아 고정한 뒤, 치실을 감지 않은 중지 혹은 검지로 치실을 조작하며 사용한다. 일반적인 치실은 인출한 치실 양단부를 양손 손가락으로 파지해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치실의 조작이 정교하지만, 사용자가 치실을 고정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치실 사용량이 증가하는 문제들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종래의 일측을 고정하는 치실 기구들은, 권취된 치실을 포함하는 치실케이스가 인출된 치실의 일측을 위치 고정하고 일단측은 다른 한 손에 고정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치실케이스를 파지해야하기 때문에 치실케이스를 파지한 손의 손가락을 치실 조작에 사용할 수 없어 보통 치실 인출구 방향으로 돌출된 전면부 팁을 형성하여 구강 내로 치실 케이스의 전면부 팁이 인입되며 사용하는 형태를 가진다. 이러한 치실 기구를 사용할 경우 손가락이 아닌 치실 케이스의 전면부 팁으로 치실을 조작하기 때문에 좁고 복잡한 구강과 치아 사이를 청소하는데 치실의 세밀한 조작이 어려워 사용에 불편함이 생긴다. 또한, 돌출된 전면부 팁이 구강내로 인입되면 치실 케이스의 전면부 팁과 팁 근처의 치실이 타액이나 이물질 등으로 오염되고, 치실 케이스에 구비된 치실 절단 기구에도 오염된 치실이 닿아 비위생적이고 사용자의 건강에 해로운 문제점이 있다. 나아가, 상기된 종래의 치실 케이스는 보빈에 권취된 치실을 전부 사용하면, 치실 케이스를 분해하기 어렵고, 치실이 권취된 새로운 보빈을 교체 장착하기 어려워 재사용하기 까다롭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치실 장치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명세서는 치실 일측만 사용자의 손으로 파지하여 편리하고 정확하게 치실을 조작할 수 있으면서 동시에, 위생적인 사용과 효과적인 치실 교체 장착이 가능한 치실 홀더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는 치실 케이스(100); 상기 치실 케이스(100) 내부에 치실을 권취하기 위한 보빈(200); 상기 보빈(200)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보빈(200) 측면에 마련되는 회전 톱니(300); 및 상기 보빈(200) 및 상기 회전 톱니(300)의 회전 가능 여부를 조절하기 위한 제어부(400)를 포함하고, 상기 치실 케이스(100)는 상기 치실이 상기 치실 케이스(100)의 내부에서 외부로 인출되기 위한 치실 인출구(111) 및 상기 치실을 사용한 후에 절단하기 위한 절단부(112)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치실 인출구(111) 및 상기 절단부(112)의 개폐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치실 케이스(100) 상에 마련되며,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제어부(400)의 폐쇄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탄성부재, 상기 제어부(400)의 폐쇄 시, 상기 회전 톱니(300)와 접해서 상기 회전 톱니(300)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돌기(430)를 포함하는 치실 홀더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제어부(400)의 조작으로 간단하고 정확하게 치실의 인출 및 정지 여부를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치실 사용이 끝난 뒤 치실을 절단부(112)로 절단하는 데 있어, 구강 내로 인입되지 않은 부분의 치실을 절단하여 사용한 치실을 제거하기 때문에 이 후의 치실 사용에 있어서 위생적이다.
또한, 치실 인출구(111) 및 절단부(112)의 개폐를 관장하는 제어부(400)가 폐쇄 상태에 있을 때에는 외부의 이물질이 치실 인출구(111) 및 절단부(112)로 들어가지 않으므로 보관에 있어서도 위생적이다.
또한, 치실 케이스(100)가 상 하부 치실 케이스(120)로 탈부착이 가능하며, 따라서 사용이 끝난 보빈(200)을 새로운 보빈(200)으로 교체하기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치실 홀더 부품들의 조립 전 배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a 및 2b는 각각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제어부(400)를 나타낸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도 3a 및 3b는 각각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제어부(400)가 열려있는 상태 및 닫혀있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제어부(400)가 치실 케이스(100) 내부에 마련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하기 예들은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를 기술한 것으로,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의한 치실 홀더 부품들의 조립 전 배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치실 케이스(100); 상기 치실 케이스 내부에 치실을 권취하기 위한 보빈(200); 상기 보빈(200)을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보빈(200) 측면에 마련되는 회전 톱니(300); 및 상기 보빈(200) 및 상기 회전 톱니(300)의 회전 가능 여부를 조절하기 위한 제어부(400)를 포함하고, 상기 치실 케이스(100)는 상기 치실이 상기 치실 케이스(100)의 내부에서 외부로 인출되기 위한 치실 인출구(111) 및 상기 치실을 사용한 후에 절단하기 위한 절단부(112)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치실 인출구(111) 및 상기 절단부(112)의 개폐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치실 케이스(100) 상에 마련되며,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제어부(400)의 폐쇄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탄성부재, 상기 제어부(400)의 폐쇄 시, 상기 회전 톱니(300)와 접해서 상기 회전 톱니(300)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돌기(430)를 포함하는 치실 홀더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치실 케이스(100)는 치실을 권취하기 위한 보빈(200), 상기 보빈(200)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톱니(300)를 보관 및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그 재료는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치실 케이스(100)에 사용되는 재료가 사용될 수 있으며, 그 모형에 있어서는 특별히 한정은 없으나, 원형, 구형, 직육면체형, 링 형상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치실 케이스(100)는 상기 제어부 몸통(410)이 상기 치실 케이스(100) 상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안내 홈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내 홈은 상기 제어부(400)가 상기 치실 케이스(100)에 고정 및 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치실 케이스(100)는 상부 치실 케이스(110) 및 하부 치실 케이스(120)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치실 케이스(110)에는 상기 하부 치실 케이스(120)와의 탈부착이 가능하게 마련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치실 케이스(110)와 상기 하부 치실 케이스(120)가 탈부착이 가능하게 마련됨으로 인해서, 상기 치실 케이스(100) 내부에 마련되는 치실이 권취된 보빈(200)의 치실이 전부 소진되는 경우에, 새로운 치실이 권취된 보빈(200)으로 교체하기가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는 결합 돌기(131) 및 결합 홈(132)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 돌기(131) 및 상기 결합 홈(132)의 위치는 특별히 한정이 있는 것은 아니나, 상기 결합 돌기(131)는 상기 상부 치실 케이스(110)에 마련되고, 상기 결합 홈(132)은 상기 하부 치실 케이스(120)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보빈(200)은 치실을 권취하기 위한 것으로, 치실을 권취하기 용이한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이 있는 것은 아니나, 원형일 수 있다. 또한, 권취된 치실이 옆으로 풀리지 않도록 치실을 권취하기 위한 홈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도 2a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제어부(4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a를 참고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상기 제어부(400)는 제어부 몸통(410); 상기 제어부 몸통(410)이 상기 치실 케이스(100) 상에서 고정 및 개폐되기 위한 안내부(440); 및 상기 탄성부재를 인입하기 위한 탄성부재 홈(42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400)가 폐쇄 상태인 경우에 상기 회전 톱니(300)와 접해서 상기 회전 톱니(300)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돌기(430)가 마련될 수 있다.
도 2b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제어부(400)의 측면도이다. 도 2b를 참고하면, 상기 안내부(440)는 상기 치실 케이스(100) 상에서 상기 제어부(400)가 일정한 운동을 가능하게 하여 상기 치실 인출구(111) 및 절단부(112)의 개폐를 조절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갖기 위한 형태로는 특별히 한정이 있는 것은 아니나, T자 형태의 안내부(440)를 가질 수 있다. T자 형태의 안내부(440)에 의해서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치실 케이스(100) 상에 고정됨과 동시에 일정한 운동이 가능하게 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탄성부재 홈(420)은 깊이가 상기 탄성부재의 횡 방향 단면(310)의 어느 길이보다 긴 것일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의 횡 방향 단면(310)은 탄성부재의 탄성력이 작용하는 방향과 수직방향의 단면(310)을 말하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탄성부재가 일반적인 원기둥형인 경우에는 원 단면(310)의 지름의 길이보다 상기 탄성부재 홈(420)의 깊이가 길 수 있다. 이런 구조로 인해서, 상기 탄성부재가 상기 탄성부재 홈(420)에 인입된 이후에는 상기 탄성부재가 외부로 쉽게 노출되지 않으며, 이로 인해서 상기 치실 케이스(100)를 분리하여 새로운 보빈(200)으로 교체할 때도 탄성부재가 분리되거나, 다시 장착해야하는 불편함을 없앨 수 있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제어부(400)의 개폐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며, 도 3a는 제어부(400)가 열려있는 상태, 도 3b는 제어부(400)가 닫혀있는 상태를 각각 보여준 것이다.
도 3a를 참고하면, 상기 제어부(400)가 상기 치실 케이스(100) 상에서 개폐되는 형식에는 특별히 한정이 있는 것은 아니나,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치실 케이스(100) 상에서 슬라이드 형식으로 개폐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제어부(400)를 열린 상태로 하기 위한 힘을 가할 수 있으며, 이러한 힘은 상기 탄성 부재(450)의 탄성력이 작용하는 반대방향으로 힘을 가하게 되어 상기 제어부(400)는 열릴 수 있다. 상기 제어부(400)가 열려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제어 돌기(430)는 상기 회전 톱니(300)에 접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 톱니(300)는 자유롭게 회전이 가능하게 되며, 사용자가 치실을 인출하는 힘을 주면, 상기 회전 톱니(300)는 상기 보빈(200)과 함께 회전한다.
이후 도 3b를 참고하면, 사용자가 제어부(400)의 열림 상태에서 상기 탄성 부재(450)의 탄성력이 작용하는 반대방향으로 가하던 힘을 없애면 탄성 부재(45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어부(400)는 다시 원래 자리로 돌아오게 되며, 이로인해 상기 제어부(400)는 닫힌 상태가 되게 된다. 상기 제어부(400)가 닫힌 상태가 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어 돌기(430)는 상기 회전 톱니(300)와 접하게 되며, 이로인해 회전 톱니(300)의 회전을 제어하게 된다. 따라서, 보빈(200)의 회전도 불가능하게 되고, 결국 치실의 인출은 제어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제어부(400)는 상기 치실 케이스(100)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도 4는 상기 제어부(400)가 상기 치실 케이스(100) 내부에 마련되는 경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400)의 손잡이부가 상기 치실 케이스(100) 외부로 돌출된 상태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의 제어부(400)는 닫힌 상태일 때 상기 치실 케이스(100)와의 결합 부분으로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실링부를 상기 제어부(400) 및 상기 치실 케이스(100)가 닫힌 상태에서 서로 맞닿는 부분에 추가로 마련할 수 있다. 상기 실링부는 상기 제어부(400)에 마련될 수도 있으며, 상기 치실 케이스(100)에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 실링부의 재료로는 특별히 한정이 있는 것은 아니나, 통상적인 실링 분야에서 사용되는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회전 톱니(300)의 형태에는 특별히 한정이 없으나, 하나의 톱니에 단면(310) 및 경사면(3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치실을 인출하기 위한 회전 톱니(300)의 회전 방향은 특별히 한정이 있는 것은 아니나, 하나의 톱니의 경사면(320)에서 단면(310)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 돌기(430)가 상기 단면(310)에 접하게 되면 상기 회전 톱니(300)의 회전하는 힘을 억제하는 힘이 최대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 톱니(300)의 회전 여부는 보빈(200)의 회전 여부와 직접적으로 연결이 되어야 하므로, 상기 회전 톱니(300)는 상기 보빈(200)의 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고정하기 위한 방법에는 특별히 한정이 있는 것은 아니나, 상기 보빈(200)에 돌출부를 갖고 상기 회전 톱니(300)에 홈을 가져 이를 맞물려 고정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치실 홀더를 사용하는 일 실시예를 기재한다.
상기 치실 케이스(100)가 링 형상으로 마련되는 경우에는 상기 치실 케이스(100)상에는 한 손가락을 삽입해 파지하여 고정할 수 있는 부분이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치실 케이스(100)에 손가락을 삽입한 후 한 손으로 파지하여, 상기 치실 홀더를 한 손으로 잡고 반대편 손으로 치실을 파지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00)의 폐쇄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제어부(400)의 제어부 몸통(410)을 당기면, 상기 탄성 부재(450)가 수축되면서 상기 제어 돌기(430)와 함께 상기 제어부(400)의 상기 안내부(440)는 상기 치실 케이스 상의 안내 홈을 따라 후방으로 운동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400)의 제어부 몸통(410)을 후방으로 당기면, 상기 치실 케이스(100)상의 안내 홈을 따라 후방으로 운동하여 상기 치실 인출구(111)가 노출된다.
상기 제어부(400)의 제어부 몸통(410)을 후방으로 당기면, 상기 회전 톱니(300)에 접하고 있던 상기 제어 돌기(430)가 상기 회전 톱니(300)에서 떨어져 상기 보빈(200)의 회전이 가능하다.
상기 치실 인출구(111)가 노출되면, 사용자는 상기 치실 홀더를 파지하지 않은 손으로 치실을 파지하여 치실을 당기면, 상기 보빈(200)이 회전하면서 상기 보빈(200)에 권취된 치실이 풀리면서 상기 치실 인출구(111)를 통해 치실이 인출된다.
사용자는 치실을 인출하는 동안 상기 제어부(400)를 열린 상태로 유지한다.
사용자가 사용할만큼 치실을 인출한 뒤, 상기 제어부 몸통(410)을 놓으면 상기 탄성 부재(450)가 탄성력에 의해 원래 모습으로 돌아오면서, 상기 제어부(400)가 상기 제어 돌기(430)와 함께 상기 제어부(400)의 상기 안내부(440)는 안내홈을 따라 전방으로 운동하여 상기 제어부(400)가 닫힌다. 상기 제어부(400)가 닫혀 폐쇄상태가 되면 상기 제어 돌기(430)가 상기 회전 톱니(300)와 접해 상기 회전 톱니(300)의 회전을 제어하게 된다. 따라서, 보빈(200)의 회전도 불가능하게 되고, 결국 치실의 인출은 제어된다. 사용자는 치실의 인출을 고정한 상태로 치아 사이를 청소하게 된다.
사용자가 상기 치실 홀더를 이용해 치아 사이를 청소하고 난 뒤, 상기 제어부(400)의 제어부 몸통(410)을 당겨 상기 절단부(112)를 노출시킨다. 사용자는 치실을 파지한 손의 사용한 치실을 상기 절단부(112)에 걸어서 사용한 치실을 절단하여 제거할 수 있다.
사용자는 치실을 절단하는 동안 상기 제어부(400)를 열린 상태로 유지한다.
사용자가 사용한 치실을 절단한 뒤, 상기 제어부 몸통(410)을 놓으면 상기 탄성부재(450)가 탄성력에 의해 원래 모습으로 돌아오면서, 상기 제어부(400)가 상기 제어 돌기(430)와 함께 상기 제어부(400)의 상기 안내부(440)는 안내홈을 따라 전방으로 운동하여 상기 제어부(400)가 닫힌다.
상기 제어부(400)가 닫히면, 상기 제어부(400)가 상기 치실 인출구(111)를 덮어 사용자가 상기 치실 홀더를 사용하지 않을 때 치실을 위생적으로 보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400)가 닫히면, 상기 제어부(400)가 상기 절단부(112)를 덮어 상기 절단부(112)를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다.
100: 치실 케이스 110: 상부 치실 케이스
111: 치실 인출구 112: 절단부
120: 하부 치실 케이스 131: 결합 돌기
132: 결합 홈 200: 보빈
300: 회전 톱니 310: 단면
320: 경사면 400: 제어부
410: 제어부 몸통 420: 탄성 부재 홈
430: 제어 돌기 440: 안내부
450: 탄성 부재

Claims (8)

  1. 치실 케이스(100);
    상기 치실 케이스(100) 내부에 치실을 권취하기 위한 보빈(200);
    상기 보빈(200)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보빈(200) 측면에 마련되는 회전 톱니(300); 및
    상기 보빈(200) 및 상기 회전 톱니(300)의 회전 가능 여부를 조절하기 위한 제어부(400)를 포함하고,
    상기 치실 케이스(100)는 상기 치실이 상기 치실 케이스(100)의 내부에서 외부로 인출되기 위한 치실 인출구(111) 및 상기 치실을 사용한 후에 절단하기 위한 절단부(112)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치실 인출구(111) 및 상기 절단부(112)의 개폐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치실 케이스(100) 상에 마련되며,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제어부(400)의 폐쇄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탄성부재, 상기 제어부(400)의 폐쇄 시, 상기 회전 톱니(300)와 접해서 상기 회전 톱니(300)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돌기(430)를 포함하는 치실 홀더.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0)는 제어부 몸통(410);
    상기 제어부 몸통(410)이 상기 치실 케이스(100) 상에서 고정 및 개폐되기 위한 안내부(440); 및
    상기 탄성부재를 인입하기 위한 탄성부재 홈(420)을 포함하는 치실 홀더.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치실 케이스(100)는 상기 제어부 몸통(410)이 상기 치실 케이스(100) 상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안내 홈을 추가로 더 포함하는 치실 홀더.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치실 케이스(100) 상에서 슬라이드 형식으로 개폐되는 치실 홀더.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치실 케이스(100)는 상부 치실 케이스(110) 및 하부 치실 케이스(120)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치실 케이스(110)에는 상기 하부 치실 케이스(120)와의 탈부착이 가능하게 마련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인 치실 홀더.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결합 돌기(131) 및 결합 홈(132)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 돌기(131)는 상기 상부 치실 케이스(110)에 마련되고, 상기 결합 홈(132)은 상기 하부 치실 케이스(120)에 마련되는 것인 치실 홀더.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 홈(420)의 깊이는 상기 탄성부재의 횡 방향 단면(310)의 어느 길이보다 긴 것인 치실 홀더.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 톱니(300)의 톱니 하나는 경사면(320) 및 절단면(310)을 포함하며,
    상기 톱니 하나의 상기 경사면(320)에서 상기 절단면(310)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보빈(200)에 권취된 치실이 상기 치실 인출구(111)로 인출되는 것인 치실 홀더.
KR1020180033032A 2018-03-22 2018-03-22 치실 홀더 KR1020752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3032A KR102075235B1 (ko) 2018-03-22 2018-03-22 치실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3032A KR102075235B1 (ko) 2018-03-22 2018-03-22 치실 홀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1213A true KR20190111213A (ko) 2019-10-02
KR102075235B1 KR102075235B1 (ko) 2020-03-02

Family

ID=68422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3032A KR102075235B1 (ko) 2018-03-22 2018-03-22 치실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52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5548B1 (ko) * 2021-11-09 2022-02-23 임영주 슬라이드 인출형 치실대를 포함하는 치실기구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2299Y1 (ko) * 1999-12-08 2000-05-15 장지일 플로스 케이스를 포함하는 플로스 홀더
CN2662857Y (zh) * 2003-10-09 2004-12-15 范盛发 牙线刷棒
US20050263169A1 (en) * 2004-06-01 2005-12-01 Romine William R Dental flossing tool and dispenser
KR200441751Y1 (ko) * 2008-01-17 2008-09-05 하명훈 치실 이탈 방지 홀드
KR20180103578A (ko) 2017-03-10 2018-09-19 김혜경 치실 홀더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2299Y1 (ko) * 1999-12-08 2000-05-15 장지일 플로스 케이스를 포함하는 플로스 홀더
CN2662857Y (zh) * 2003-10-09 2004-12-15 范盛发 牙线刷棒
US20050263169A1 (en) * 2004-06-01 2005-12-01 Romine William R Dental flossing tool and dispenser
KR200441751Y1 (ko) * 2008-01-17 2008-09-05 하명훈 치실 이탈 방지 홀드
KR20180103578A (ko) 2017-03-10 2018-09-19 김혜경 치실 홀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5548B1 (ko) * 2021-11-09 2022-02-23 임영주 슬라이드 인출형 치실대를 포함하는 치실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5235B1 (ko) 2020-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534745A (en) Dental tape holder for power driven tooth cleaning devices
US5823207A (en) Dental floss apparatus with improved mechanism for collecting spent floss and with improved tip structure, and method of use
US5105840A (en) Dental floss holder
KR101706973B1 (ko) 장력조절이 가능한 치실 홀더
US9016287B2 (en) Dental flossing device
KR102075235B1 (ko) 치실 홀더
WO2005120284A1 (en) Dental floss tool device and method
WO2019113028A1 (en) Dental flosser
EP0661026A1 (en) Self-dispensing dental floss applicator
EP3410981A1 (en) Adjustable interdental cleaning element and a device and method therefor
JP4038244B2 (ja) デンタル・フロスに張力を掛け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並びに歯を清掃するための装置
KR101462916B1 (ko) 치실 홀더
KR101760437B1 (ko) 양손으로 사용하는 치간 세정기
EP3698753B1 (en) Dental floss insertion device
US5899214A (en) Dental floss dispenser and applicator used in fixed orthodontic appliances
KR101535796B1 (ko) 휴대용 치실장치
KR100756832B1 (ko) 치간 청소구
US3833009A (en) Dental floss dispenser
KR101284256B1 (ko) 절단 부재가 구성된 인출용 치간 칫솔
KR200482253Y1 (ko) 길이확인이 가능한 치실이 구비된 치실공급기
US20210000578A1 (en) Dental floss insertion device
KR101661429B1 (ko) 원터치형 치실 홀더
JP3165571U (ja) 歯科用吸引装置
US7322367B2 (en) Device for cleaning teeth
CN219516627U (zh) 一种牙线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