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0881A - Medical Video Data Processing Device - Google Patents

Medical Video Data Process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0881A
KR20190110881A KR1020180032886A KR20180032886A KR20190110881A KR 20190110881 A KR20190110881 A KR 20190110881A KR 1020180032886 A KR1020180032886 A KR 1020180032886A KR 20180032886 A KR20180032886 A KR 20180032886A KR 20190110881 A KR20190110881 A KR 201901108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video data
medical
image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288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28890B1 (en
Inventor
손상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토리지솔루션포닥터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토리지솔루션포닥터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토리지솔루션포닥터스
Priority to KR10201800328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8890B1/en
Publication of KR201901108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088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88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889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3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 G16H3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for processing medical images, e.g. edi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0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 A61B1/00004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electronic signal processing
    • A61B1/00009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electronic signal processing of image signals during a use of endosco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0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 A61B1/00043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provided with output arrangements
    • A61B1/00045Display arrang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3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 G16H3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for handling medical images, e.g. DICOM, HL7 or PAC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dical video data processing device capable of monitoring on a single screen. The medical video data processing device comprises: endoscopic equipment (10); a video input unit (70) to input an image acquired by the endoscopic equipment (10); an embedded system (100) to receive, store, and transmit an image inputted via the video input unit (70); an output video data conversion device (60) to perform an overlay display function of combining multi-inputted video data transmitted by the embedded system (100) into a single video; and a monitor (50) which outputs an image combined by the output video data conversion device (60) and includes an endoscope screen (30) and a user interface screen (45). The user interface screen (45) includes a picture archiving and communications system (PACS) screen (40), a picture photographing display (51), and a captured image display (52). The endoscope screen (30) is a real-time display screen for clinical practice. The picture archiving and communications system (PACS) screen (40) is a screen to receive information from a database (DB) to output the information.

Description

의료용 비디오 데이터 처리장치{Medical Video Data Processing Device}Medical Video Data Processing Device

본 발명은 의료용 비디오 데이터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의료 검사가 바쁜 관계로 내시경 모니터만을 보고 검사 및 수술을 진행함으로 인하여 의료-영상-저장-전송시스템(PACS: Picture Archiving and Communications System)의 모니터를 확인 하지 못하는 경우, 환자의 세부(최근 및 과거) 의료 정보를 확인하지 못하고 시술할 수 있으며, 검사 중 촬영 했다고 생각하지만 정상 촬영이 되지 않아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아 문제점이 유발될 수 있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dical video data processing apparatus. In particular, a medical examination monitors a picture-archive and communication system (PACS) because only a endoscopic monitor is examined and a procedure is performed due to a busy medical examination. If it is not confirmed, the patient's detailed (recent and past) medical information can be performed without checking, and it is thought that the image was taken during the examination, but the normal image is not taken, which may cause problems.

또한, 검사 중 사진 또는 동영상 촬영이 된 것인지 자꾸 확인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의료-영상-저장-전송시스템(PACS: Picture Archiving and Communications System)의 디스플레이 기능과 내시경의 실시간 모니터 기능을 동시에 한 화면에 구현하는 의료용 비디오 데이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proposed to solve the problem of checking whether the picture or video was taken during the test,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display function and endoscope of the picture archiving and communications system (PAC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dical video data processing device for simultaneously implementing a real-time monitor function of a screen.

병의 진단 등의 목적을 위해서 병원에는 엑스레이(X-ray), CT(Computed Tomography), 양전자 단층촬영(Positron Emission Tomography) 장치와 같은 의료 영상 촬영장치(modality)가 사용되고 있다. 의료영상 촬영장치는 환자의 신체를 촬영한 후 다수 개의 의료영상을 생성하는데, 이와 같은 의료 영상은 의료용-디지털이미지-통신(DICOM: Digital Imaging and Communications in Medicine) 파일로 변환된 후 의료-영상-저장-전송시스템(PACS: Picture Archiving and Communications System)에 의해서 의료진에게 제공된다.For the purpose of diagnosing diseases, hospitals use medical imaging modalities such as X-ray, computed tomography (CT), and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CT). The medical imaging apparatus photographs a patient's body and then generates a plurality of medical images. The medical images are converted into a digital imaging and communications in medicine (DICOM) file and then the medical images. Provided to medical staff by Picture Archiving and Communications System (PACS).

의료영상 촬영장치가 획득한 의료영상을 원본 이미지는 손상될 수 없도록 규제되고 있다. Medical images acquired by medical imaging apparatuses are regulated so that original images cannot be damaged.

따라서 의료영상의 크기가 적절하지 않아서 의료진이 보기 불편한 경우에도 의료영상 원본 이미지를 손상시켜서 편집할 수 없고 의료-영상-저장-전송시스템(PACS) 화면과 내시경 촬영 화면을 개별적으로 각각의 모니터를 통해 모니터링 해야하며, 작동시스템이 문제가 있을 경우 재부팅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불편함이 초래되고 있다.Therefore, even if the medical image is not suitable due to the inappropriate size of the medical image, the original medical image cannot be edited by damaging the original image, and the medical-image-storage-transmission system (PACS) screen and the endoscopy screen can be separately It has to be monitored and it causes inconvenience because it takes a long time to reboot if the operating system has a problem.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기존의 선행문헌으로는 [특허문헌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47829호, 공고일 2014. 10. 08.(이하 [특허문헌1]이라함)에서는 전자의무기록(EMR: Electronic Medical Record)과 의료-영상-저장-전송시스템(PACS: Picture Archiving and Communications System)의 통합시스템을 공개하였다.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e existing prior literature [Patent Document 1]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447829, Publication Date 2014. 10. 08. (hereinafter referred to as [Patent Document 1]) the electronic obligation record (EMR: We unveiled an integrated system of Electronic Medical Record (PAC) and Picture Archiving and Communications System (PACS).

[특허문헌1]에서 전자의무기록(EMR: Electronic Medical Record)과 의료-영상-저장-전송시스템(PACS: Picture Archiving and Communications System) 기능을 하나의 시스템으로 통합함으로써, 하나의 시스템에서 전자의무기록 데이터베이스와 의료-영상-저장-전송시스템 데이터베이스의 사람 또는 동물 환자 정보의 동기화가 가능한 전자의무기록과 의료-영상-저장-전송시스템의 통합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In [Patent Document 1],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 in one system by integrating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 (EMR) and Picture Archiving and Communications System (PACS) functions into one system. It is a technical feature to provide an integrated system of electronic medical records and medical-image-storage-transmission systems capable of synchronizing human or animal patient information in a database and a medical-image-storage-transmission system database.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45269호, 공개일 2016. 12. 20.(이하 [특허문헌2]이라함)에서는 의료영상 편집장치 및 편집방법을 공개하였다.In addition,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6-0145269, Publication Date December 20, 2016 (hereinafter referred to as "Patent Document 2") disclosed a medical image editing device and editing method.

[특허문헌2]에서는 의료영상 편집장치 및 편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의료영상의 원본 이미지를 손상하지 않고 원하는 부분만 편집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Patent Literature 2] relates to a medical image editing apparatus and an editing method, and it is a technical feature that the user can edit and use only a desired part without damaging the original image of the medical image.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343887호, 공고일 2002. 07. 20.(이하 [특허문헌3]이라함)에서는 PACS를 위한 DICOM 관리 장치를 공개하였다.In addition,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0343887, Publication Date July 20, 2002 (hereinafter referred to as [Patent Document 3]) disclosed a DICOM management device for PACS.

[특허문헌3]에서는 의료용-디지털이미지-통신(DICOM: Digital Imaging and Communications in Medicine)을 지원하는 촬영장비와 의료용-디지털이미지-통신을 지원하지 않는 촬영장비에서 영상을 획득하여 적절한 영상 저장 매체로 데이터를 넘겨줄 때 국제 협약 표준인 DICOM 3.0 파일 포맷을 사용할 수 있는 의료-영상-저장-전송시스템(PACS)을 위한 의료용-디지털이미지-통신을 위한 관리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In [Patent Document 3], an image is obtained from an imaging device that supports DICOM (Digital Imaging and Communications in Medicine) and an imaging device that does not support medical-digital image-communication. It provides a management device for medical-digital image-communication for medical-image-storage-transmission system (PACS) that can use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standard DICOM 3.0 file format when handing over data.

하지만, 기존의 상기 [특허문헌1] 내지 [특허문헌3]에서는 의료용 비디오 데이터를 모니터 하는데 의료-영상-저장-전송시스템(PACS) 화면과 내시경 촬영의 화면이 각각의 화면에 출력이 되어 동시에 모니터 되지 못하고, 전원이 분리되어 있지 않아 임베디드 시스템 오류 발생시 임상 진료시에 사용하는 실시간 디스플레이 화면을 포함하여 전체를 재부팅하여야 하므로 재부팅 시간동안 임상 진료가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existing [Patent Documents 1] to [Patent Documents 3], medical video data is monitored, and a medical-image-storage-transmission system (PACS) screen and an endoscopy screen are output on each screen and simultaneously monitored. Since the power is not disconnected, the entire system must be rebooted including the real-time display screen used in the clinical practice when an embedded system error occurs. Therefore, the clinical practice is delayed during the reboot time.

[특허문헌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47829호, 공고일 2014. 10. 08.[Patent Document 1]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447829, Publication Date 2014. 10. 08. [특허문헌2]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45269호, 공개일 2016. 12. 20.[Patent Document 2]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6-0145269, Publication Date December 20, 2016. [특허문헌3]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343887호, 공고일 2002. 07. 20.[Patent Document 3]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0343887, Publication Date 2002. 07. 20.

본 발명에서는 첫째, 의료-영상-저장-전송시스템(PACS) 화면(40)과 내시경 촬영의 실시간 화면인 내시경 화면(30)이 한 화면에 출력이 되어 한 화면에서 모니터링이 가능한 의료용 비디오 데이터 처리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의사가 내시경 화면(30)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환자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며, 동시에 환자의 세부(최근 및 과거) 의료 정보를 확인하면서 시술을 진행할 수 있는 것을 해결하려는 과제로 한다. 둘째, 불특정으로 임베디드 시스템(100)에 오류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주전원(91)은 비디오 입력부(70)-> 출력 비디오 데이터 변환 장치(60) -> 모니터(50)에 전원을 공급하여 실시간 디스플레이가 가능하고 해당 시스템을 개별적으로 온(on)/오프(off) 할 수 있으며, 부전원(92)은 MIPI방식 영상 처리부(80)-> 임베디드 시스템(100)에 전원을 공급하여 개별적으로 온(on)/오프(off)할 수 있고 임베디드 시스템(100)이 오동작(誤動作)시에 해당 임베디드 시스템(100)만을 재부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first, the medical-image-storage-transmission system (PACS) screen 40 and the endoscope screen 30, which is a real-time screen of endoscopy, are output on one screen, and the medical video data processing apparatus capable of monitoring on one screen. I would like to propose. Through this, the doctor can check the patient's condition in real time through the endoscope screen 30, and at the same time, the task of solving the procedure that can proceed with the procedure while checking the patient's (recent and past) medical information. Second, since an error may occur in the embedded system 100 unspecified, the main power supply 91 supplies power to the video input unit 70-> output video data conversion device 60-> monitor 50 to display the real time. It is possible to turn on / off the system individually, and the sub power source 92 supplies power to the MIPI-type image processing unit 80-> embedded system 100 and individually on ( It is possible to turn on / off and to reboot only the embedded system 100 when the embedded system 100 malfunctions.

본 발명에서는 첫째, 의료-영상-저장-전송시스템(PACS) 화면(40)과 내시경 촬영의 실시간 화면인 내시경 화면(30)이 한 화면에 출력이 되어 한 화면에서 모니터링이 가능한 의료용 비디오 데이터 처리장치를 위하여 한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를 위하여 출력 비디오 데이어 변환 장치(60)를 통하여 다중 입력된 비디오를 하나의 비디오로 합치는 기능으로 비디오 오버레이 디스플레이(Overlay Display)방식을 통하여 이를 모니터(50)에서 각 비디오 입력장치들을 본 영상 속에 부가적으로 작게 들어가는 PIP(Picture In Picture)기능을 사용하여 내시경 화면(30)과 의료-영상-저장-전송시스템(PACS) 화면(40)을 하나의 모니터 화면에 같이 볼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둘째, 불특정으로 임베디드 시스템(100)에 오류가 발생시 해당 임베디드 시스템(100)만을 재부팅을 위하여 전원을 주전원(91)과 부전원(92)으로 분리하여 분리된 주전원(91)은 비디오 입력부(70)-> 출력 비디오 데이터 변환 장치(60) -> 모니터(50)에 전원을 공급하여 실시간 디스플레이가 가능하고 해당 시스템을 개별적으로 온(on)/오프(off) 할 수 있으며, 부전원(92)은 MIPI방식 영상 처리부(80)-> 임베디드 시스템(100)에 전원을 공급하여 개별적으로 온(on)/오프(off)할 수 있는 것을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first, the medical-image-storage-transmission system (PACS) screen 40 and the endoscope screen 30, which is a real-time screen of endoscopy, are output on one screen, and the medical video data processing apparatus capable of monitoring on one screen. In order to display on one screen, the output video data conversion unit 60 combines multiple input video into one video. The endoscope screen 30 and the medical-image-storage-transmission system (PACS) screen 40 are combined on a single monitor screen using the Picture In Picture (PIP) function, which additionally inserts video input devices into the image. It is aimed at being able to see. In addition, secondly, when an error occurs in the embedded system 100 unspecified, the main power 91 separated by separating the power into the main power 91 and the sub power 92 for rebooting only the embedded system 100 is a video input unit ( 70)-> Output video data converter 60-> Power supply to the monitor 50 for real-time display, the system can be turned on / off individually, and the sub-power (92) ) Is a solution to the problem that can be turned on (on) / off (off) individually by supplying power to the MIPI-type image processing unit 80-> embedded system 100.

본 발명은 첫째, 의료-영상-저장-전송시스템(PACS) 화면(40)과 실시간 화면인 내시경 화면(30)이 한 화면에 출력이 되어 한 화면에서 모니터링이 가능하기 때문에 의사가 환자의 현재 상태 및 환자의 세부(최근 및 과거) 의료 정보를 확인하면서 시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주전원(91)은 비디오 입력부(70)-> 출력 비디오 데이터 변환 장치(60) -> 모니터(50)에 전원을 공급하여 실시간 디스플레이가 가능하고 해당 시스템을 개별적으로 온(on)/오프(off) 할 수 있으며, 부전원(92)은 MIPI방식 영상 처리부(80)-> 임베디드 시스템(100)에 전원을 공급하며, 주전원(91)과 부전원(92)은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불특정으로 임베디드 시스템(100)에 오류가 발생시 해당 임베디드 시스템(100)만을 재부팅할 수 있다. 셋째, 이로 인하여 실시간 화면인 내시경 화면(30)은 상시(항상) 디스플레이 되며, 의료-영상-저장-전송시스템(PACS: Picture Archiving and Communications System) 및 상기 의료-영상-저장-전송시스템(PACS) 화면(40)만 재부팅 할 수 있기에 의사가 지속적인 의료를 수행할 수 있는 상승된 효과가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first, since the medical-image-storage-transmission system (PACS) screen 40 and the endoscope screen 30, which is a real-time screen, are output on one screen, the doctor can monitor on one screen. And it has the effect that can be performed while checking the patient's (recent and past) medical information. Second, the main power supply 91 supplies power to the video input unit 70-> output video data conversion device 60-> monitor 50 to enable real-time display and to individually turn on / off the corresponding system. and the sub power source 92 supplies power to the MIPI type image processing unit 80-> embedded system 100, and since the main power source 91 and the sub power source 92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When an error occurs in the system 100, only the embedded system 100 may be rebooted. Third, due to this, the endoscope screen 30, which is a real-time screen, is always displayed, and a picture archiving and communication system (PACS) and the medical-image-storing-transmission system (PACS) Since only the screen 40 can be rebooted, there is an increased effect of allowing the doctor to perform continuous medical care.

도 1은 기존의 의료용 비디오 데이터 처리 방법 구성도
도 2는 제안된 의료용 비디오 데이터 처리 방법 제1 구성도
도 3는 제안된 의료용 비디오 데이터 처리 방법 제2 구성도
도 4은 제안된 비디오 데이터 화면 구성 제1 실시예
도 5는 제안된 비디오 데이터 화면 구성 제2 실시예
도 6은 제안된 의료용 비디오 데이터 처리장치 모니터링 제1 실시예
도 7은 제안된 의료용 비디오 데이터 처리장치 모니터링 제2 실시예
도 8은 비디오 시그널 출력 처리(Embedded System Display) 순서도
도 9는 제안된 비디오 시그널 출력 처리(Embedded System Display)세부 순서도
도 10은 제안된 전원분리 구성도
도 11은 제안된 전원분리 회로도 제1 실시예
도 12는 제안된 전원분리 회로도 제2 실시예
도 13은 제안된 전원분리 회로도 제3 실시예
도 14는 제안된 전원분리 회로도 제4 실시예
도 15는 제안된 전원분리 회로도 제5 실시예
도 16은 제안된 전원분리 회로도 제6 실시예
도 17은 비디오 데이터 처리장치 커넥터 실시예
도 18은 제안된 비디오 데이터 처리장치 메인보드 평면도
도 19는 제안된 비디오 데이터 처리장치 메인보드 저면도
도 20은 메인보드와 결합되는 CPU 평면도
도 21은 메인보드와 결합되는 CPU 저면도
도 22는 메인보드와 CPU 결합도
1 is a block diagram of a conventional medical video data processing method
2 is a first configuration diagram of a proposed method for processing medical video data
3 is a second configuration diagram of a proposed medical video data processing method
4 is a first embodiment of the proposed video data screen configuration
5 is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oposed video data screen configuration
Figure 6 is a first embodiment of monitoring the medical video data processing apparatus proposed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econd embodiment of monitoring a medical video data process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lowchart of video signal output processing (Embedded System Display)
9 is a detailed flowchart of the proposed video signal output processing (Embedded System Display)
10 is a proposed power separation configuration diagram
11 is a first embodiment of a proposed power disconnect circuit diagram.
12 is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oposed power disconnect circuit diagram.
13 is a third embodiment of the proposed power disconnect circuit diagram.
14 is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oposed power disconnect circuit diagram.
15 is a fifth embodiment of the proposed power disconnect circuit diagram.
16 is a sixth embodiment of a proposed power separation circuit diagram;
17 is a video data processing device connector embodiment
18 is a plan view of a main board of a proposed video data processing apparatus;
19 is a bottom view of the proposed video data processing apparatus main board;
20 is a CPU plan view coupled with the motherboard
21 is a bottom view of the CPU coupled to the motherboard
22 is a motherboard and CPU coupling diagram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기존의 의료용 비디오 데이터 처리 방법 구성도를 나타낸다.1 is a block diagram of a conventional medical video data processing method.

기존의 의료용 비디오 데이터 처리 방법은 내시경 장비(10)에서 비디오 출력(19)이 되고 디지털 영상저장 및 전송장비 DVR(Digital Video Recorder)(20)을 통하여 모니터 출력(29)이 되어 내시경 화면(30)이 내시경 모니터에 의료-영상-저장-전송시스템(PACS) 화면(40)은 PACS 모니터에 각각 출력이 되는 것을 나타낸다.Existing medical video data processing method is a video output 19 from the endoscope equipment 10 and the monitor output 29 through the digital image recording and transmission equipment DVR (Digital Video Recorder) 20 endoscope screen 30 The medical-image-storage-transmission system (PACS) screen 40 on this endoscope monitor indicates output to the PACS monitor, respectively.

일반적으로 상기 내시경 화면(30)은 실시간 화면이며, 상기 의료-영상-저장-전송시스템(PACS) 화면(40)은 데이터베이스(DB)에서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화면이므로 시간적으로 약 0.1[초] 내지 0.3[초] 정도의 시간 지연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의사가 내시경 시술을 진행하면서, 실시간 화면인 내시경 화면(30) 만을 보며, 데이터베이스(DB)에서 정보를 수신하기에 시간적으로 약 0.1[초] 내지 0.3[초] 정도의 시간 지연이 발생하는 의료-영상-저장-전송시스템(PACS) 화면(40)은 보지 않기 때문에, 의사가 환자의 현재 상태 및 환자의 세부(최근 및 과거) 의료 정보를 확인하지 못하고 시술하는 문제점이 있었다.Generally, the endoscope screen 30 is a real-time screen, and the medical-image-storage-transmission system (PACS) screen 40 is about 0.1 [seconds] in time because it is a screen for receiving and outputting information from a database (DB). There is a problem that a time delay of about 0.3 [seconds] occurs. In general, as the doctor proceeds to the endoscopy, the doctor sees only the endoscope screen 30, which is a real-time screen, and a time delay of about 0.1 [sec] to 0.3 [sec] occurs in time to receive information from the database DB. Since the PACS screen 40 is not view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octor fails to check the patient's current state and the patient's detailed (latest and past) medical information.

도 2는 제안된 의료용 비디오 데이터 처리 방법 제1 구성도를 나타낸다.2 shows a first configuration diagram of a proposed medical video data processing method.

제안된 의료용 비디오 데이터 처리 방법은 내시경 장비(10)에서 비디오 출력(19)이 되고 디지털 영상저장 및 전송장비 DVR(Digital Video Recorder)(20)을 통하여 모니터 출력(29)이 되는데 이때 내시경 화면(30)과 의료-영상-저장-전송시스템(PACS) 화면(40)이 도 2(a)의 제1 모니터 배치(50-1) 또는 도 2(b)의 제2 모니터 배치(50-2)처럼 일측(一側)에는 내시경 화면(30)이 타측(他側)에는 의료-영상-저장-전송시스템(PACS) 화면(40)이 한 화면에 출력이 되어 여러 개의 화면을 보지 않고 하나의 화면을 보면서 검진 및 수술이 가능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The proposed medical video data processing method becomes a video output 19 from the endoscope equipment 10 and a monitor output 29 through a digital video recorder (DVR) 20. The endoscope screen 30 ) And the medical-image-storage-transmission system (PACS) screen 40 may look like the first monitor arrangement 50-1 of FIG. 2A or the second monitor arrangement 50-2 of FIG. 2B. On one side, the endoscope screen 30 is displayed on the other side, and the medical-image-storage-transmission system (PACS) screen 40 is outputted on one screen so that one screen is not viewed. It is characterized by the fact that the examination and surgery is possible.

도 3은 제안된 의료용 비디오 데이터 처리 방법 제2 구성도를 나타낸다.3 shows a second configuration diagram of a proposed medical video data processing method.

제안된 의료용 비디오 데이터 처리 방법은 내시경 장비(10)에서 비디오 출력(19)이 되고 디지털 영상 저장 및 전송장비 DVR(Digital Video Recorder)(20)을 통하여 모니터 출력(29)이 되는데 도 3(a)의 제3 모니터 배치와 같이 일측(一測)에 내시경 화면(30)과 타측(他側)에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45)가 출력되어 화면이 구성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45)에 의료-영상-저장-전송시스템(PACS) 화면(40)이 출력 될 수 있으며, 도 3(b)의 제4 모니터 배치와 같이 일측(一測)에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45)가 타측(他側)에 내시경 화면(30)이 출력되어 한 화면에 내시경 화면(30)과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45)가 동시에 출력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The proposed medical video data processing method becomes a video output 19 from the endoscope equipment 10 and a monitor output 29 through a digital video recorder (DVR) 20. Like the third monitor arrangement, the endoscope screen 30 and the user interface screen 45 are output to one side, and the screen is configured, and the medical-image on the user interface screen 45 is configured. -The PACS screen 40 can be outputted, and the user interface screen 45 on one side is endoscope on the other side as shown in the fourth monitor arrangement of FIG. 3 (b). It is a technical feature that the screen 30 is output so that the endoscope screen 30 and the user interface screen 45 can be simultaneously output on one screen.

도 4는 제안된 비디오 데이터 화면 구성 제1 실시예를 나타낸다.4 shows a first embodiment of the proposed video data screen configuration.

모니터(50)에 내시경 화면(30)과 의료-영상-저장-전송시스템(PACS) 화면(40)을 제1 내지 4 의료-영상-저장-전송시스템(PACS) 화면(40-1, 40-2, 40-3, 40-4)에 원하는 위치에 선택하여 배치될 수 있도록 비디오 데이터 화면을 설정 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The endoscope screen 30 and the medical-image-storage-transmission system (PACS) screen 40 on the monitor 50 are the first to fourth medical-image-storage-transmission system (PACS) screens 40-1 and 40-. 2, 40-3, 40-4) is a technical feature of setting the video data screen to be selected and placed in the desired position.

도 5는 제안된 비디오 데이터 화면 구성 제2 실시예를 나타낸다.5 shows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oposed video data screen configuration.

도 5(a)에서는 제안된 비디오 데이터 화면은 한 화면의 일측(一側)에는 내시경 화면(30)을 모니터하고, 타측(他側)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45)에 의료-영상-저장-전송시스템(PACS) 화면(40)과 사진 촬영 표시(51)와 캡쳐 이미지 표시(52)가 되는 것을 나타내며, 도 5(b)에서는 제안된 비디오 데이터 화면은 한 화면의 일측(一側)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45)에 의료-영상-저장-전송시스템(PACS) 화면(40)과 동영상 촬영표시(53) 및 동영상 촬영 시간 표시(54)를 나타내고, 한 화면에 내시경 화면(30)과 의료-영상-저장-전송시스템(PACS) 화면(40)을 동시에 모니터링 하며 사진 촬영 또는 동영상 촬영 진행여부와 촬영 상태를 확인 할 수 있으며 화면배치를 원하는 형태로 선택해서 배치할 수 있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In FIG. 5 (a), the proposed video data screen monitors the endoscope screen 30 on one side of one screen and the medical-image-storage-transfer to the user interface screen 45 on the other side. The system (PACS) screen 40, the photographing display 51, and the captured image display 52 are shown. In FIG. 5 (b), the proposed video data screen has a user interface on one side of one screen. The screen 45 shows a medical-image-storage-transmission system (PACS) screen 40, a video recording display 53, and a video recording time display 54, and the endoscope screen 30 and the medical-image on one screen. -The storage-transmission system (PACS) monitors the screen 40 at the same time, and can check the progress of photo shooting or video shooting, and the shooting status, and the screen features can be selected and arranged in the desired form.

도 6은 제안된 의료용 비디오 데이터 처리장치 모니터링 제1 실시예를 나타낸다.6 shows a first embodiment of a monitoring method for medical video data processing.

도 6에서 제안된 의료용 비디오 데이터 처리장치의 모니터(50) 화면에서 일측(一側)에는 임상진료를 위한 실시간 디스플레이 화면인 내시경 화면(30)이 출력되며, 모니터(50) 화면의 타측(他側)에는 저장된 데이터베이스(DB)에서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되는 의료-영상-저장-전송시스템(PACS) 화면(40)은 실시간 출력이 되는 내시경 화면(30)보다 약간의 시간지연(딜레이)는 있지만 한 화면에 내시경 화면(30)과 의료-영상-저장-전송시스템(PACS) 화면(40)을 동시에 모니터링 할 수 있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In the monitor 50 screen of the medical video data processing apparatus proposed in FIG. 6, an endoscope screen 30, which is a real-time display screen for clinical treatment, is output to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monitor 50 screen. ), The medical-image-storage-transmission system (PACS) screen 40, which receives and outputs information from a stored database, has a slight time delay (delay) than the endoscope screen 30 which is output in real time. Technical features that can simultaneously monitor the endoscope screen 30 and the medical-image-storage-transmission system (PACS) screen 40 on the screen.

또한, 도 6(a)에서와 같이 사진 촬영모드일 경우 사진 촬영 표시(51)를 통해 사진 촬영 동작 여부를 확인 할 수 있으며, 캡쳐 이미지 표시(52)와 같이 캡쳐된 이미지와 이미지 개수(個數)를 확인 할 수 있으며, 도 6(b)에서와 같이 동영상 촬영 표시(53)를 통해 동영상 촬영 동작 여부를 확인 할 수 있으며, 동영상 촬영 시간 표시(54)를 통해 현재 촬영된 시간을 확인 할 수 있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photographing mode as shown in Figure 6 (a) it can be confirmed whether the photographing operation through the photographing display 51, and the captured image and the number of images (個數 capture image display 52) ), And as shown in FIG. 6 (b), it is possible to check whether the video recording operation is performed through the video recording display 53, and the current recording time can be checked through the video recording time display 54. What is technical feature.

도 7은 제안된 의료용 비디오 데이터 처리장치 모니터링 제2 실시예를 나타낸다.Figure 7 shows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oposed medical video data processing apparatus monitoring.

도 7에서 제안된 의료용 비디오 데이터 처리장치의 모니터(50) 화면 일측(一側)에 의료-영상-저장-전송시스템(PACS) 데이터베이스(DB)에서 정보를 수신하여 의료-영상-저장-전송시스템(PACS) 화면(40)이 출력이 되며, 모니터(50) 화면의 타측(他側)에는 임상진료를 위한 실시간 디스플레이 화면인 내시경 화면(30)이 출력되어 한 화면에 내시경 화면(30)과 의료-영상-저장-전송시스템(PACS) 화면(40)을 동시에 모니터링 할 수 있고 내시경 화면(30)과 의료-영상-저장-전송시스템(PACS) 화면(40)이 출력되는 화면을 원하는 위치로 선택적으로 배치 할 수 있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A medical-image-storage-transmission system by receiving information from a medical-image-storage-transmission system (PACS) database (DB) on one side of the monitor 50 screen of the medical video data processing apparatus proposed in FIG. 7. (PACS) screen 40 is to be output, the other end of the monitor (50) screen endoscope screen 30, which is a real-time display screen for clinical treatment is output, endoscope screen 30 and medical on one screen Optionally select the screen where the image-storage-transmission system (PACS) screen 40 can be monitored at the same time and the endoscope screen 30 and the medical-image-storage-transmission system (PACS) screen 40 are output as desired. The technical features that can be arranged by.

도 8은 비디오 시그널 출력 처리(Embedded System Display) 순서도를 나타낸다.8 shows a video signal output processing (Embedded System Display) flow chart.

도 8(a)는 기존의 비디오 시그널 출력 순서로 ①비디오 입력부(70)-> ②MIPI방식 영상 처리부(80)-> ③임베디드 시스템(100)-> ④ 모니터(50) 순서로 비디오 시그널 출력 처리가 진행된다. 상기 임베디드 시스템(100)은 메인보드 수신부(110) -> 메인보드(120) -> 메인보드 출력부(130) 순서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FIG. 8 (a) shows video signal output processing in the order of video output unit ① video input unit 70-> MIPI type image processing unit 80-> ③ embedded system 100-> ④ monitor 50 in the existing video signal output order. Proceed. The embedded system 100 shows that the main board receiving unit 110-> main board 120-> main board output unit 130 in the order.

도 8(b)는 제안된 비디오 시그널 출력 처리 순서는 ①비디오 입력부(70)-> ②출력 비디오 데이터 변환장치(60) -> ③모니터(50) 순서로 진행되는 제1 비디오 데이터 출력 처리 방식(81)과 ①비디오 입력부(70)-> ②MIPI방식 영상 처리부(80)-> ③임베디드 시스템(100)-> ④출력 비디오 데이터 변환 장치(60) -> ⑤모니터(50) 순서로 진행되는 제2 비디오 데이터 출력 처리 방식(82)으로 진행되며, 제1 비디오 데이터 출력 처리 방식(81)은 임상진료를 위한 실시간 디스플레이 화면인 내시경 화면(30)이 출력되고, 제2 비디오 데이터 출력 처리 방식(82)은 데이터베이스(DB)에서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화면인 의료-영상-저장-전송시스템(PACS)화면(40)이 출력되어 출력 비디오 데이터 변환 장치(60)의 오버레이(Overlay) 기능을 통하여 하나의 모니터 화면에 내시경 화면(30)과 의료-영상-저장-전송시스템(PACS)화면(40)을 같이 볼 수 있도록 출력 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8 (b) shows a first video data output processing method in which the proposed video signal output processing sequence is performed in the order of (1) video input unit (70)-> (2) output video data conversion apparatus (60)-> (3) monitor ( 81) and ① video input unit 70-> ② MIPI image processing unit 80-> ③ embedded system 100-> ④ output video data conversion device 60-> ⑤ monitor 50 proceeds in the second order The video data output processing method 82 is performed. In the first video data output processing method 81, an endoscope screen 30, which is a real-time display screen for clinical treatment, is output, and the second video data output processing method 82 is performed. Is a screen for receiving and outputting information from a database (DB), which is a medical-image-storage-transmission system (PACS) screen 40, which is output through the overlay function of the output video data conversion device 60. Endoscopic Screen (30) and Medical-Young on Monitor Screen - and that the output to be viewed as a transmission system (PACS) screen 40 in a technical feature-storage.

도 9는 제안된 비디오 시그널 출력 처리(Embedded System Display) 세부 순서도를 나타낸다.9 shows a detailed flowchart of the proposed video signal output processing (Embedded System Display).

① 비디오 입력부(70)단계에서 SDI 외부입력(71), HDMI 외부입력(72), DVI 외부입력(73)의 외부입력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신호를 받아 입력 비디오 데이터 변환 장치(75)를 통하여 특정신호로 비디오 데이터를 변환하고 변환된 비디오 데이터를 ② MIPI방식 영상 처리부(80)에서 시스템으로 영상을 전송하고, ③ 임베디드 시스템(100)의 메인보드 수신부(110)에서 시스템 영상을 수신하여 메인보드(120)로 전달하고 전달된 시스템 영상을 메인보드(120)에서 저장 및 전송 처리하여 메인보드 출력부(130)에서 영상 출력을 진행하고, ④ 출력 비디오 데이어 변환 장치(60)를 통하여 다중 입력된 비디오를 하나의 비디오로 합치는 기능으로 비디오 오버레이 디스플레이(Overlay Display)방식을 통하여 이를 ⑤ 모니터(50)에서 각 비디오 입력장치들을 본 영상 속에 부가적으로 작게 들어가는 영상 기능인 PIP(Picture In Picture)기능을 선택하여 보여주는 방식으로 내시경 화면(30)과 의료-영상-저장-전송시스템(PACS) 화면(40)을 한 화면에 같이 볼 수 있도록 출력 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① In the video input unit 70, a specific signal is received through the input video data converter 75 by receiving any one or more signals from the external inputs of the SDI external input 71, the HDMI external input 72, and the DVI external input 73. Converts the video data into a computer and transmits the converted video data to the system from the MIPI image processing unit 80, and receives the system image from the main board receiving unit 110 of the embedded system 100. And the system image is stored and transmitted from the main board 120 to process the image output from the main board output unit 130, and the multi-input video is output through the output video data converter 60. To combine the video into a single video through the video overlay display method. Technically, the endoscope screen 30 and the medical-image-storage-transmission system (PACS) screen 40 are outputted to be viewed together on a screen by selecting and displaying a PIP (Picture In Picture) function, which is a thin image function. It is done.

도 10은 제안된 전원분리 구성도를 나타낸다.10 shows a proposed power separation configuration diagram.

도 10에서 주전원(91)과 부전원(92)로 분리하여 전원을 공급한다.In FIG. 10, power is supplied by separating the main power supply 91 and the sub power supply 92.

분리된 주전원(91)은 ①비디오 입력부(70)-> ②출력 비디오 데이터 변환 장치(60) -> ③모니터(50)에 전원을 공급하여 실시간 디스플레이가 가능하고 해당 시스템을 개별적으로 온(on)/오프(off) 할 수 있으며, 부전원(92)은 ①MIPI방식 영상 처리부(80)-> ②임베디드 시스템(100)에 전원을 공급하여 개별적으로 온(on)/오프(off) 할 수 있고, 임베디드 시스템(100)이 오동작(誤動作)시에 부전원(92) 재부팅함을 통하여 해당 임베디드 시스템(100)을 재부팅 할 수 있다.The separated main power source 91 supplies power to the ① video input unit 70-> ② output video data conversion device 60-> ③ monitor 50 to enable real-time display and individually turn on the system. It is possible to turn on / off (off), the secondary power supply 92 can be individually on (on) / off (off) by supplying power to the ① MIPI-type image processing unit 80-> ② embedded system 100, When the embedded system 100 malfunctions, the embedded system 100 may be rebooted by rebooting the sub-power 92.

즉, 주전원(91)과 부전원(92)을 분리해서 재부팅이 가능하며, 임베디드 시스템(100) 동작이 순조롭지 못할 경우 임베디드 시스템(100)관련 부분인 부전원(92)만 재부팅할 수 있어 임상 진료시에 사용하는 실시간 디스플레이에 사용하는 주전원(91)은 계속 디스플레이가 된다.That is, it is possible to reboot by separating the main power 91 and the sub power 92, and if the operation of the embedded system 100 is not smooth, only the sub power 92 related to the embedded system 100 can be rebooted. The main power supply 91 used for the real-time display used at the time of examination is displayed continuously.

따라서 임상진료에 어떠한 문제점을 야기하지 않으며 임베디드 시스템(100)관련 부분만을 간편히 재부팅할 수 있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Therefore, it does not cause any problems in clinical care, and the technical features that can easily reboot only the relevant portion of the embedded system (100).

도 11은 제안된 전원분리 회로도 제1 실시예를 나타낸다.11 shows a first embodiment of a proposed power disconnect circuit.

상기 제안된 전원분리 회로도(제1 실시예)는 역률개선 컨버터부(140)와 DC-DC 컨버터부(17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역률개선 컨버터부(140)는 교류전원(141)을 정류하는 정류 다이오드(142)와 상기 정류 다이오드(142)의 (+) 출력단자에 연결된 역률개선 인덕터(143)의 일측(一側)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역률개선 인덕터(143)의 타측(他側)은 제1,2 보조 다이오드(144,145)의 애노드(Anode)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보조 다이오드(144)의 캐소드(Cathode) 및 상기 제2 보조 다이오드(145)의 캐소드(Cathode) 사이에는 변압기 1차측 권선(148-1)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변압기 1차측 권선(148-1)의 타측(他側)에는 역률개선 컨버터부 주 스위치(146)가 배치되었으며, 상기 역률개선 컨버터부 주 스위치(146)의 온(on)/오프(off)를 통하여 변압기(148)의 2차측 권선(148-2)으로 변환된 전력이 전달된다. 상기 변압기(148)의 2차측 권선(148-2)과 연결된 정류 다이오드(181)를 통하여 상기 변압기 2차측 권선(148-2)의 출력전압을 정류한다. 상기 정류 다이오드(181)와 연결된 에너지 변환 인덕터(184)는 상기 변압기(148)를 통하여 변환된 전력을 상기 DC-DC 컨버터부(170)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The proposed power separation circuit diagram (the first embodiment) includes a power factor improving converter 140 and a DC-DC converter 170. The power factor improving converter 140 includes a rectifier diode 142 rectifying the AC power source 141 and one side of the power factor improving inductor 143 connected to the positive output terminal of the rectifier diode 142. It is connected. An anode of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diodes 144 and 145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power factor improving inductor 143, and a cathode and the second of the first auxiliary diode 144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 transformer primary side winding 148-1 is disposed between the cathodes of the auxiliary diode 145. On the other side of the transformer primary winding 148-1, a power factor improving converter unit main switch 146 is disposed, and the power factor improving converter unit main switch 146 is turned on / off. The converted power is transferred to the secondary winding 148-2 of the transformer 148. The output voltage of the transformer secondary side winding 148-2 is rectified through a rectifying diode 181 connected to the secondary side winding 148-2 of the transformer 148. The energy conversion inductor 184 connected to the rectifier diode 181 performs a function of transferring the converted power through the transformer 148 to the DC-DC converter 170.

상기 역률개선 컨버터부(140)는 교류전원(141)의 입력전류가 정현파(Sine Wave)로 유지하여 역률(Power Factor)을 개선시키며, 상기 DC-DC 컨버터부(170)로 변환된 전압을 전달하게 된다. 상기 에너지 변환 인덕터(184)에는 병렬로 동기 스위치(183)가 연결되어 있다.The power factor improving converter 140 maintains an input current of the AC power source 141 as a sine wave to improve a power factor and transfers the voltage converted to the DC-DC converter 170. Done. A synchronous switch 183 is connected to the energy conversion inductor 184 in parallel.

상기 에너지 변환 인덕터(184)의 후단에는 상기 DC-DC 컨버터부(170)가 연결되어 있으며, 제1 스위치(171)는 상기 에너지 변환 인덕터(184)를 상기 변압기(148) 2차측 접지(Ground)와 연결시키며, 상기 에너지 변환 인덕터(184)에 에너지를 저장시키는 기능을 담당한다.The DC-DC converter unit 170 is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energy conversion inductor 184, and the first switch 171 connects the energy conversion inductor 184 to the transformer 148 secondary side ground. And store energy in the energy conversion inductor 184.

또한, 제2 스위치(172)는 주전원(91)으로 전력을 전달시키는 스위치이며, 제3 스위치(173)는 부전원(92)으로 전력을 전달시키는 스위치이다. 주전원(91)과 부전원(92)은 각각 분리되게 제어되어 전원을 공급하며, 주전원(91)은 ①비디오 입력부(70)-> ②출력 비디오 데이터 변환 장치(60) -> ③모니터(50)에 전원을 공급하여 실시간 디스플레이가 가능하며, 실시간 디스플레이 하는 내시경 화면(30)은 지속적인 전원의 공급이 필요하다. 또한, 부전원(92)은 ①MIPI방식 영상 처리부(80)-> ②임베디드 시스템(100)에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임베디드 시스템(100)이 오동작(誤動作)시에 부전원(92) 재부팅이 가능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second switch 172 is a switch for transmitting power to the main power source 91, the third switch 173 is a switch for transferring power to the sub-power source 92. The main power supply 91 and the sub power supply 92 are separately controlled to supply power, and the main power supply 91 is ① video input unit 70-> ② output video data conversion device 60-> ③ monitor 50. Real-time display is possible by supplying power to the endoscope screen 30 to display in real time, the continuous supply of power is required. In addition, the secondary power supply 92 supplies power to the ① MIPI type image processing unit 80-> ② embedded system 100 so that the secondary power supply 92 can be rebooted when the embedded system 100 malfunctions. do.

(1) 주전원(91) 및 부전원(92)의 전압이 기준의 전압(Vref)보다 낮은 경우, (1) When the voltages of the main power supply 91 and the sub power supply 92 are lower than the reference voltage Vref,

상기 에너지 변환 인덕터(184)와 상기 주전원(91) 및 부전원(92)의 (-) 단자 사이에 연결된 상기 제1 스위치(171)가 온(on)/오프(off) 동작을 통하여 상기 주전원(91) 및 부전원(92)의 전압을 상승시킴    The first power switch 171 connected between the energy conversion inductor 184 and the negative terminal of the main power supply 91 and the sub power supply 92 is turned on / off to operate the main power supply. 91) and increase the voltage of the negative power supply 92

(2) 주전원(91) 및 부전원(92)의 전압이 기준의 전압(Vref)보다 높은 경우, 상기 에너지 변환 인덕터(184)와 병렬로 연결된 동기 스위치(183)의 온(on)/오프(off) 동작을 통하여, 상기 주전원(91) 및 부전원(92)의 전압을 감소시킴(2) When the voltages of the main power supply 91 and the sub power supply 92 are higher than the reference voltage Vref, on / off of the synchronous switch 183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energy conversion inductor 184 off) to reduce the voltage of the main power supply 91 and the sub power supply 92

이라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It is characterized by the technical features.

즉 제1 스위치가 온(on) 상태에서 제2,3 스위치(172,173)가 오프(off) 상태이며, 제1 스위치가 오프(off) 상태에서 제2,3 스위치(172,173)가 온(on) 또는 오프(off) 상태가 된다.That is, the second and third switches 172 and 173 are off when the first switch is on, and the second and third switches 172 and 173 are on when the first switch is off. Or off state.

또한, 제1 스위치가 온(on) 상태에서 동기스위치(183)가 오프(off) 상태이며, 제1 스위치가 오프(off) 상태에서 동기스위치(183)가 온(on) 또는 오프(off) 상태가 된다. In addition, the synchronous switch 183 is off when the first switch is on, and the synchronous switch 183 is on or off when the first switch is off. It becomes a state.

동시에 주전원(91) 및 부전원(92)의 전압이 기준의 전압(Vref)보다 낮은 경우, 상기 에너지 변환 인덕터(184)와 상기 주전원(91) 및 부전원(92)의 (-) 단자 사이에 연결된 상기 제1 스위치(171)가 온(on)/오프(off) 동작을 통하여 상기 주전원(91) 및 부전원(92)의 전압을 상승시키며, 주전원(91) 및 부전원(92)의 전압이 기준의 전압(Vref)보다 높은 경우, 상기 에너지 변환 인덕터(184)와 병렬로 연결된 동기 스위치(183)의 온(on)/오프(off) 동작을 통하여, 상기 주전원(91) 및 부전원(92)의 전압을 감소시키는 것을 가장 큰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At the same time, when the voltage of the main power supply 91 and the sub power supply 92 is lower than the reference voltage Vref, between the energy conversion inductor 184 and the negative terminal of the main power supply 91 and the sub power supply 92. The connected first switch 171 raises the voltage of the main power supply 91 and the sub power supply 92 through an on / off operation, and the voltage of the main power supply 91 and the sub power supply 92. When the reference voltage Vref is higher than the reference voltage Vref, the main power supply 91 and the sub power supply (through the on / off operation of the synchronous switch 183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energy conversion inductor 184). Reducing the voltage of 92 is the biggest technical feature.

또한, 주전원(91)은 제2 스위치(172)의 지속적인 온(on)/오프(off) 동작을 통하여 지속적인 전력의 공급이 가능하며, 부전원(92)은 제3 스위치(173)의 오프(off) 동작을 통하여 임베디드 시스템(100)이 오동작(誤動作)시에 부전원(92) 재부팅 할 수 있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ain power supply 91 may be supplied with a continuous power through the continuous on (on) / off (off) operation of the second switch 172, the secondary power supply 92 is turned off (the third switch 173) It is a technical feature that the embedded system 100 can reboot the sub-power 92 during a malfunction by off) operation.

상기 역률개선 컨버터부(140)는 상기 역률개선 컨버터부 주 스위치(145) 하부의 전류센서(147)에서 스위치 전류 정보를 검출하며, 역률개선 컨버터부(140)의 출력전압 검출부(185)로부터 출력 전압을 검출하여, 역률개선 컨버터부의 제어부(210)에서 상기 역률개선 컨버터부 주 스위치(145)를 온(on)/오프(off) 제어를 수행한다.The power factor improving converter 140 detects switch current information from the current sensor 147 under the main power factor improving converter 145 and outputs the output current from the output voltage detector 185 of the power factor improving converter 140. By detecting the voltage, the control unit 210 of the power factor improving converter unit performs on / off control of the main switch 145 of the power factor improving converter unit.

또한, DC-DC 컨버터부(170)에서는 주전원(91)의 출력 전압 및 전류센서(179,178)로부터 상기 주전원(91)의 출력 전압 및 전류 정보를 검출하며, 부전원(92)의 출력 전압 및 전류센서(176,175)로부터 상기 부전원(92)의 출력 전압 및 전류 정보를 검출하여, DC-DC 컨버터부의 제어부(220)를 통하여 제1,2,3 스위치(171,172,173) 및 동기스위치(183)을 온(on)/오프(off) 제어를 수행한다.In addition, the DC-DC converter 170 detects output voltage and current information of the main power supply 91 from the output voltage and current sensors 179 and 178 of the main power supply 91, and output voltage and current of the sub power supply 92. The output voltage and current information of the sub power source 92 is detected from the sensors 176 and 175, and the first, second and third switches 171, 172, 173 and the synchronous switch 183 are turned on through the control unit 220 of the DC-DC converter. Perform (on) / off (off) control.

또한, 중앙제어부(240)에서는 통신부(230) 및 전원 제어부(200)를 통하여 상기 역률개선 컨버터부의 제어부(210)와 DC-DC 컨버터부의 제어부(220)를 종합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부전원(92)은 제3 스위치(173)의 오프(off) 동작을 통하여 임베디드 시스템(100)이 오동작(誤動作)시에 부전원(92)을 재부팅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entral control unit 240 may comprehensively control the control unit 210 and the control unit 220 of the DC-DC converter unit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30 and the power control unit 200, the secondary power ( 92 may reboot the sub power source 92 when the embedded system 100 malfunctions through the off operation of the third switch 173.

도 12는 제안된 전원분리 회로도 제2 실시예를 나타낸다.12 shows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oposed power disconnect circuit.

상기 제안된 전원분리 회로도(제2 실시예)는 역률개선 컨버터부(140)에서 역률개선 인덕터(143), 변압기(148) 및 에너지 변환 인덕터(184)가 자기결합(149)을 형성하는 것을 가장 큰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하여 상기 역률개선 컨버터부(140)의 인덕터의 수를 저감시킬 수 있으며, 전원공급 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한 보다 큰 장점이 있다.The proposed power separation circuit diagram (second embodiment) shows that the power factor improving inductor 143, the transformer 148, and the energy conversion inductor 184 form the magnetic coupling 149 in the power factor improving converter 140. It is a big technical feature. As a result, the number of inductors of the power factor improving converter 140 may be reduced, and the power supply device may be miniaturized.

도 13은 제안된 전원분리 회로도 제3 실시예를 나타낸다.13 shows a third embodiment of the proposed power disconnect circuit.

상기 제안된 전원분리 회로도(제3 실시예)는 역률개선 컨버터부(140)와 DC-DC 컨버터부(17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역률개선 컨버터부(140)는 교류전원(141)을 정류하는 정류 다이오드(142)와 상기 정류 다이오드(142)의 (+) 출력단자에 연결된 제11 보조 다이오드(151)와 역률개선 인덕터(143)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역률개선 인덕터(143)의 타측(他側)은 역률개선 컨버터부 주 스위치(146) 및 제11 보조 커패시터(155)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11 보조 커패시터(155)의 타측(他側)과 상기 역률개선 컨버터부 주 스위치(146)의 소스(Source) 사이에는 변압기 1차측 권선(148-1)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역률개선 컨버터부 주 스위치(146)의 온(on)/오프(off)를 통하여 변압기(148)의 2차측 권선(148-2)으로 변환된 전력이 전달된다. 상기 변압기(148)의 2차측 권선(148-2)과 연결된 정류 다이오드(181)를 통하여 상기 변압기 2차측 권선(148-2)의 출력전압을 정류한다. 상기 정류 다이오드(181)와 연결된 에너지 변환 인덕터(184)는 상기 변압기(148)를 통하여 변환된 전력을 상기 DC-DC 컨버터부(170)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The proposed power separation circuit diagram (third embodiment) includes a power factor improving converter 140 and a DC-DC converter 170. The power factor improving converter 140 includes a rectifier diode 142 rectifying the AC power source 141, an eleventh auxiliary diode 151 connected to a positive output terminal of the rectifier diode 142, and a power factor improving inductor 143. ) Is connected. The other side of the power factor improving inductor 143 is connected to a power factor improving converter main switch 146 and an eleventh auxiliary capacitor 155, and the other side of the eleventh auxiliary capacitor 155. The primary winding 148-1 of the transformer is disposed between the source and the source of the power factor improving converter main switch 146. The converted power is transferred to the secondary winding 148-2 of the transformer 148 through on / off of the main power factor improving converter unit 146. The output voltage of the transformer secondary side winding 148-2 is rectified through a rectifying diode 181 connected to the secondary side winding 148-2 of the transformer 148. The energy conversion inductor 184 connected to the rectifier diode 181 performs a function of transferring the converted power through the transformer 148 to the DC-DC converter 170.

상기 역률개선 컨버터부(140)는 교류전원(141)의 입력전류가 정현파(Sine Wave)로 유지하여 역률(Power Factor)을 개선시키며, 상기 DC-DC 컨버터부(170)로 변환된 전압을 전달하게 된다. 상기 에너지 변환 인덕터(184)에는 병렬로 동기 스위치(183)가 연결되어 있다.The power factor improving converter 140 maintains an input current of the AC power source 141 as a sine wave to improve a power factor and transfers the voltage converted to the DC-DC converter 170. Done. A synchronous switch 183 is connected to the energy conversion inductor 184 in parallel.

상기 에너지 변환 인덕터(184)의 후단에는 상기 DC-DC 컨버터부(170)가 연결되어 있으며, 제1 스위치(171)는 상기 에너지 변환 인덕터(184)를 상기 변압기(148) 2차측 접지(Ground)와 연결시키며, 상기 에너지 변환 인덕터(184)에 에너지를 저장시키는 기능을 담당한다.The DC-DC converter unit 170 is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energy conversion inductor 184, and the first switch 171 connects the energy conversion inductor 184 to the transformer 148 secondary side ground. And store energy in the energy conversion inductor 184.

또한 제2 스위치(172)는 주전원(91)으로 전력을 전달시키는 스위치이며, 제3 스위치(173)는 부전원(92)으로 전력을 전달시키는 스위치이다. 주전원(91)과 부전원(92)은 각각 분리되게 제어되어 전원을 공급하며, 주전원(91)은 ①비디오 입력부(70)-> ②출력 비디오 데이터 변환 장치(60) -> ③모니터(50)에 전원을 공급하여 실시간 디스플레이가 가능하며, 실시간 디스플레이 하는 내시경 화면(30)은 지속적인 전원의 공급이 필요하다. 또한, 부전원(92)은 ①MIPI방식 영상 처리부(80)-> ②임베디드 시스템(100)에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임베디드 시스템(100)이 오동작(誤動作)시에 부전원(92) 재부팅이 가능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second switch 172 is a switch for transmitting power to the main power source 91, the third switch 173 is a switch for transferring power to the sub-power source 92. The main power supply 91 and the sub power supply 92 are separately controlled to supply power, and the main power supply 91 is ① video input unit 70-> ② output video data conversion device 60-> ③ monitor 50. Real-time display is possible by supplying power to the endoscope screen 30 to display in real time, the continuous supply of power is required. In addition, the secondary power supply 92 supplies power to the ① MIPI type image processing unit 80-> ② embedded system 100 so that the secondary power supply 92 can be rebooted when the embedded system 100 malfunctions. do.

(1) 주전원(91) 및 부전원(92)의 전압이 기준의 전압(Vref)보다 낮은 경우, (1) When the voltages of the main power supply 91 and the sub power supply 92 are lower than the reference voltage Vref,

상기 에너지 변환 인덕터(184)와 상기 주전원(91) 및 부전원(92)의 (-) 단자 사이에 연결된 상기 제1 스위치(171)가 온(on)/오프(off) 동작을 통하여 상기 주전원(91) 및 부전원(92)의 전압을 상승시킴    The first power switch 171 connected between the energy conversion inductor 184 and the negative terminal of the main power supply 91 and the sub power supply 92 is turned on / off to operate the main power supply. 91) and increase the voltage of the negative power supply 92

(2) 주전원(91) 및 부전원(92)의 전압이 기준의 전압(Vref)보다 높은 경우, 상기 에너지 변환 인덕터(184)와 병렬로 연결된 동기 스위치(183)의 온(on)/오프(off) 동작을 통하여, 상기 주전원(91) 및 부전원(92)의 전압을 감소시킴(2) When the voltages of the main power supply 91 and the sub power supply 92 are higher than the reference voltage Vref, on / off of the synchronous switch 183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energy conversion inductor 184 off) to reduce the voltage of the main power supply 91 and the sub power supply 92

이라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It is characterized by the technical features.

즉 제1 스위치가 온(on) 상태에서 제2,3 스위치(172,173)가 오프(off) 상태이며, 제1 스위치가 오프(off) 상태에서 제2,3 스위치(172,173)가 온(on) 또는 오프(off) 상태가 된다.That is, the second and third switches 172 and 173 are off when the first switch is on, and the second and third switches 172 and 173 are on when the first switch is off. Or off state.

또한, 제1 스위치가 온(on) 상태에서 동기스위치(183)가 오프(off) 상태이며, 제1 스위치가 오프(off) 상태에서 동기스위치(183)가 온(on) 또는 오프(off) 상태가 된다. In addition, the synchronous switch 183 is off when the first switch is on, and the synchronous switch 183 is on or off when the first switch is off. It becomes a state.

동시에 주전원(91) 및 부전원(92)의 전압이 기준의 전압(Vref)보다 낮은 경우, 상기 에너지 변환 인덕터(184)와 상기 주전원(91) 및 부전원(92)의 (-) 단자 사이에 연결된 상기 제1 스위치(171)가 온(on)/오프(off) 동작을 통하여 상기 주전원(91) 및 부전원(92)의 전압을 상승시키며, 주전원(91) 및 부전원(92)의 전압이 기준의 전압(Vref)보다 높은 경우, 상기 에너지 변환 인덕터(184)와 병렬로 연결된 동기 스위치(183)의 온(on)/오프(off) 동작을 통하여, 상기 주전원(91) 및 부전원(92)의 전압을 감소시키는 것을 가장 큰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At the same time, when the voltage of the main power supply 91 and the sub power supply 92 is lower than the reference voltage Vref, between the energy conversion inductor 184 and the negative terminal of the main power supply 91 and the sub power supply 92. The connected first switch 171 raises the voltage of the main power supply 91 and the sub power supply 92 through an on / off operation, and the voltage of the main power supply 91 and the sub power supply 92. When the reference voltage Vref is higher than the reference voltage Vref, the main power supply 91 and the sub power supply (through the on / off operation of the synchronous switch 183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energy conversion inductor 184). Reducing the voltage of 92 is the biggest technical feature.

또한, 주전원(91)은 제2 스위치(172)의 지속적인 온(on)/오프(off) 동작을 통하여 지속적인 전력의 공급이 가능하며, 부전원(92)은 제3 스위치(173)의 오프(off) 동작을 통하여 임베디드 시스템(100)이 오동작(誤動作)시에 부전원(92) 재부팅 할 수 있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ain power supply 91 may be supplied with a continuous power through the continuous on (on) / off (off) operation of the second switch 172, the secondary power supply 92 is turned off (the third switch 173) It is a technical feature that the embedded system 100 can reboot the sub-power 92 during a malfunction by off) operation.

상기 역률개선 컨버터부(140)는 상기 역률개선 컨버터부 주 스위치(146) 하부의 전류센서(147)에서 스위치 전류 정보를 검출하며, 역률개선 컨버터부(140)의 출력전압 검출부(185)로부터 출력 전압을 검출하여, 역률개선 컨버터부의 제어부(210)에서 상기 역률개선 컨버터부 주 스위치(145)를 온(on)/오프(off) 제어를 수행한다.The power factor improving converter 140 detects switch current information from the current sensor 147 under the main power factor improving converter 146 and outputs the output current from the output voltage detector 185 of the power factor improving converter 140. By detecting the voltage, the control unit 210 of the power factor improving converter unit performs on / off control of the main switch 145 of the power factor improving converter unit.

또한, DC-DC 컨버터부(170)에서는 주전원(91)의 출력 전압 및 전류센서(179,178)로부터 상기 주전원(91)의 출력 전압 및 전류 정보를 검출하며, 부전원(92)의 출력 전압 및 전류센서(176,175)로부터 상기 부전원(92)의 출력 전압 및 전류 정보를 검출하여, DC-DC 컨버터부의 제어부(220)를 통하여 제1,2,3 스위치(171,172,173) 및 동기스위치(183)을 온(on)/오프(off) 제어를 수행한다.In addition, the DC-DC converter 170 detects output voltage and current information of the main power supply 91 from the output voltage and current sensors 179 and 178 of the main power supply 91, and output voltage and current of the sub power supply 92. The output voltage and current information of the sub power source 92 is detected from the sensors 176 and 175, and the first, second and third switches 171, 172, 173 and the synchronous switch 183 are turned on through the control unit 220 of the DC-DC converter. Perform (on) / off (off) control.

또한, 중앙제어부(240)에서는 통신부(230) 및 전원 제어부(200)를 통하여 상기 역률개선 컨버터부의 제어부(210)와 DC-DC 컨버터부의 제어부(220)를 종합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부전원(92)은 제3 스위치(173)의 오프(off) 동작을 통하여 임베디드 시스템(100)이 오동작(誤動作)시에 부전원(92)을 재부팅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entral control unit 240 may comprehensively control the control unit 210 and the control unit 220 of the DC-DC converter unit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30 and the power control unit 200, the secondary power ( 92 may reboot the sub power source 92 when the embedded system 100 malfunctions through the off operation of the third switch 173.

도 14는 제안된 전원분리 회로도 제4 실시예를 나타낸다.14 shows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oposed power disconnect circuit.

상기 제안된 전원분리 회로도(제4 실시예)는 역률개선 컨버터부(140)에서 역률개선 인덕터(143), 변압기(148) 및 에너지 변환 인덕터(184)가 자기결합(149)을 형성하는 것을 가장 큰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하여 상기 역률개선 컨버터부(140)의 인덕터의 수를 저감시킬 수 있으며, 전원공급 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한 보다 큰 장점이 있다.The proposed power disconnection circuit diagram (fourth embodiment) shows that the power factor improving inductor 143, the transformer 148, and the energy conversion inductor 184 form the magnetic coupling 149 in the power factor improving converter 140. It is a big technical feature. As a result, the number of inductors of the power factor improving converter 140 may be reduced, and the power supply device may be miniaturized.

도 15는 제안된 전원분리 회로도 제5 실시예를 나타낸다.15 shows a fifth embodiment of the proposed power disconnect circuit.

상기 제안된 전원분리 회로도(제5 실시예)는 역률개선 컨버터부(140)와 DC-DC 컨버터부(17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역률개선 컨버터부(140)는 교류전원(141)을 정류하는 정류 다이오드(142)와 상기 정류 다이오드(142)의 (+) 출력단자에 연결된 제21 보조 다이오드(162) 및 역률개선 인덕터(143)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21 보조 다이오드(162)의 캐소드(Cathode)와 상기 역률개선 인덕터(143)의 타측(他側)에는 제21 보조 커패시터(164)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21 보조 커패시터(164)의 타측(他側)에는 상기 역률개선 컨버터부 주 스위치(146)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21 보조 커패시터(164)의 일측(一側)에는 제22 보조 다이오드(163)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22 보조 다이오드(163)의 캐소드(Cathode)와 상기 역률개선 컨버터부 주 스위치(146)의 소스(Source) 사이에는 변압기 1차측 권선(148-1)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역률개선 컨버터부 주 스위치(146)의 온(on)/오프(off)를 통하여 변압기(148)의 2차측 권선(148-2)으로 변환된 전력이 전달된다. 상기 변압기(148)의 2차측 권선(148-2)과 연결된 정류 다이오드(181)를 통하여 상기 변압기 2차측 권선(148-2)의 출력전압을 정류한다. 상기 정류 다이오드(181)와 연결된 에너지 변환 인덕터(184)는 상기 변압기(148)를 통하여 변환된 전력을 상기 DC-DC 컨버터부(170)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The proposed power separation circuit diagram (the fifth embodiment) includes a power factor improving converter 140 and a DC-DC converter 170. The power factor improving converter 140 includes a rectifier diode 142 rectifying the AC power source 141, a twenty-first auxiliary diode 162 connected to a positive output terminal of the rectifier diode 142, and a power factor improving inductor 143. ) Is connected. A twenty-first auxiliary capacitor 164 is connected to a cathode of the twenty-first auxiliary diode 162 and the other side of the power factor improving inductor 143, and the other side of the twenty-first auxiliary capacitor 164. (Iii) a main switch 146 of the power factor improving converter unit 146 is connected, and a twenty-second auxiliary diode 163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twenty-first auxiliary capacitor 164, and the twenty-second A transformer primary side winding 148-1 is disposed between a cathode of the auxiliary diode 163 and a source of the power factor improving converter unit main switch 146. The converted power is transferred to the secondary winding 148-2 of the transformer 148 through on / off of the main power factor improving converter unit 146. The output voltage of the transformer secondary side winding 148-2 is rectified through a rectifying diode 181 connected to the secondary side winding 148-2 of the transformer 148. The energy conversion inductor 184 connected to the rectifier diode 181 performs a function of transferring the converted power through the transformer 148 to the DC-DC converter 170.

상기 역률개선 컨버터부(140)는 교류전원(141)의 입력전류가 정현파(Sine Wave)로 유지하여 역률(Power Factor)을 개선시키며, 상기 DC-DC 컨버터부(170)로 변환된 전압을 전달하게 된다. 상기 에너지 변환 인덕터(184)에는 병렬로 동기 스위치(183)가 연결되어 있다.The power factor improving converter 140 maintains an input current of the AC power source 141 as a sine wave to improve a power factor and transfers the voltage converted to the DC-DC converter 170. Done. A synchronous switch 183 is connected to the energy conversion inductor 184 in parallel.

상기 에너지 변환 인덕터(184)의 후단에는 상기 DC-DC 컨버터부(170)가 연결되어 있으며, 제1 스위치(171)는 상기 에너지 변환 인덕터(184)를 상기 변압기(148) 2차측 접지(Ground)와 연결시키며, 상기 에너지 변환 인덕터(184)에 에너지를 저장시키는 기능을 담당한다.The DC-DC converter unit 170 is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energy conversion inductor 184, and the first switch 171 connects the energy conversion inductor 184 to the transformer 148 secondary side ground. And store energy in the energy conversion inductor 184.

또한 제2 스위치(172)는 주전원(91)으로 전력을 전달시키는 스위치이며, 제3 스위치(173)는 부전원(92)으로 전력을 전달시키는 스위치이다. 주전원(91)과 부전원(92)은 각각 분리되게 제어되어 전원을 공급하며, 주전원(91)은 ①비디오 입력부(70)-> ②출력 비디오 데이터 변환 장치(60) -> ③모니터(50)에 전원을 공급하여 실시간 디스플레이가 가능하며, 실시간 디스플레이 하는 내시경 화면(30)은 지속적인 전원의 공급이 필요하다. 또한, 부전원(92)은 ①MIPI방식 영상 처리부(80)-> ②임베디드 시스템(100)에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임베디드 시스템(100)이 오동작(誤動作)시에 부전원(92) 재부팅이 가능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second switch 172 is a switch for transmitting power to the main power source 91, the third switch 173 is a switch for transferring power to the sub-power source 92. The main power supply 91 and the sub power supply 92 are separately controlled to supply power, and the main power supply 91 is ① video input unit 70-> ② output video data conversion device 60-> ③ monitor 50. Real-time display is possible by supplying power to the endoscope screen 30 to display in real time, the continuous supply of power is required. In addition, the secondary power supply 92 supplies power to the ① MIPI type image processing unit 80-> ② embedded system 100 so that the secondary power supply 92 can be rebooted when the embedded system 100 malfunctions. do.

(1) 주전원(91) 및 부전원(92)의 전압이 기준의 전압(Vref)보다 낮은 경우, (1) When the voltages of the main power supply 91 and the sub power supply 92 are lower than the reference voltage Vref,

상기 에너지 변환 인덕터(184)와 상기 주전원(91) 및 부전원(92)의 (-) 단자 사이에 연결된 상기 제1 스위치(171)가 온(on)/오프(off) 동작을 통하여 상기 주전원(91) 및 부전원(92)의 전압을 상승시킴    The first power switch 171 connected between the energy conversion inductor 184 and the negative terminal of the main power supply 91 and the sub power supply 92 is turned on / off to operate the main power supply. 91) and increase the voltage of the negative power supply 92

(2) 주전원(91) 및 부전원(92)의 전압이 기준의 전압(Vref)보다 높은 경우, 상기 에너지 변환 인덕터(184)와 병렬로 연결된 동기 스위치(183)의 온(on)/오프(off) 동작을 통하여, 상기 주전원(91) 및 부전원(92)의 전압을 감소시킴(2) When the voltages of the main power supply 91 and the sub power supply 92 are higher than the reference voltage Vref, on / off of the synchronous switch 183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energy conversion inductor 184 off) to reduce the voltage of the main power supply 91 and the sub power supply 92

이라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It is characterized by the technical features.

즉 제1 스위치가 온(on) 상태에서 제2,3 스위치(172,173)가 오프(off) 상태이며, 제1 스위치가 오프(off) 상태에서 제2,3 스위치(172,173)가 온(on) 또는 오프(off) 상태가 된다.That is, the second and third switches 172 and 173 are off when the first switch is on, and the second and third switches 172 and 173 are on when the first switch is off. Or off state.

또한, 제1 스위치가 온(on) 상태에서 동기스위치(183)가 오프(off) 상태이며, 제1 스위치가 오프(off) 상태에서 동기스위치(183)가 온(on) 또는 오프(off) 상태가 된다. In addition, the synchronous switch 183 is off when the first switch is on, and the synchronous switch 183 is on or off when the first switch is off. It becomes a state.

동시에 주전원(91) 및 부전원(92)의 전압이 기준의 전압(Vref)보다 낮은 경우, 상기 에너지 변환 인덕터(184)와 상기 주전원(91) 및 부전원(92)의 (-) 단자 사이에 연결된 상기 제1 스위치(171)가 온(on)/오프(off) 동작을 통하여 상기 주전원(91) 및 부전원(92)의 전압을 상승시키며, 주전원(91) 및 부전원(92)의 전압이 기준의 전압(Vref)보다 높은 경우, 상기 에너지 변환 인덕터(184)와 병렬로 연결된 동기 스위치(183)의 온(on)/오프(off) 동작을 통하여, 상기 주전원(91) 및 부전원(92)의 전압을 감소시키는 것을 가장 큰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At the same time, when the voltage of the main power supply 91 and the sub power supply 92 is lower than the reference voltage Vref, between the energy conversion inductor 184 and the negative terminal of the main power supply 91 and the sub power supply 92. The connected first switch 171 raises the voltage of the main power supply 91 and the sub power supply 92 through an on / off operation, and the voltage of the main power supply 91 and the sub power supply 92. When the reference voltage Vref is higher than the reference voltage Vref, the main power supply 91 and the sub power supply (through the on / off operation of the synchronous switch 183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energy conversion inductor 184). Reducing the voltage of 92 is the biggest technical feature.

또한, 주전원(91)은 제2 스위치(172)의 지속적인 온(on)/오프(off) 동작을 통하여 지속적인 전력의 공급이 가능하며, 부전원(92)은 제3 스위치(173)의 오프(off) 동작을 통하여 임베디드 시스템(100)이 오동작(誤動作)시에 부전원(92) 재부팅 할 수 있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ain power supply 91 may be supplied with a continuous power through the continuous on (on) / off (off) operation of the second switch 172, the secondary power supply 92 is turned off (the third switch 173) It is a technical feature that the embedded system 100 can reboot the sub-power 92 during a malfunction by off) operation.

상기 역률개선 컨버터부(140)는 상기 역률개선 컨버터부 주 스위치(146) 하부의 전류센서(147)에서 스위치 전류 정보를 검출하며, 역률개선 컨버터부(140)의 출력전압 검출부(185)로부터 출력 전압을 검출하여, 역률개선 컨버터부의 제어부(210)에서 상기 역률개선 컨버터부 주 스위치(146)를 온(on)/오프(off) 제어를 수행한다.The power factor improving converter 140 detects switch current information from the current sensor 147 under the main power factor improving converter 146 and outputs the output current from the output voltage detector 185 of the power factor improving converter 140. By detecting the voltage, the control unit 210 of the power factor improving converter unit performs on / off control of the main switch 146 of the power factor improving converter unit.

또한, DC-DC 컨버터부(170)에서는 주전원(91)의 출력 전압 및 전류센서(179,178)로부터 상기 주전원(91)의 출력 전압 및 전류 정보를 검출하며, 부전원(92)의 출력 전압 및 전류센서(176,175)로부터 상기 부전원(92)의 출력 전압 및 전류 정보를 검출하여, DC-DC 컨버터부의 제어부(220)를 통하여 제1,2,3 스위치(171,172,173) 및 동기스위치(183)을 온(on)/오프(off) 제어를 수행한다.In addition, the DC-DC converter 170 detects output voltage and current information of the main power supply 91 from the output voltage and current sensors 179 and 178 of the main power supply 91, and output voltage and current of the sub power supply 92. The output voltage and current information of the sub power source 92 is detected from the sensors 176 and 175, and the first, second and third switches 171, 172, 173 and the synchronous switch 183 are turned on through the control unit 220 of the DC-DC converter. Perform (on) / off (off) control.

또한, 중앙제어부(240)에서는 통신부(230) 및 전원 제어부(200)를 통하여 상기 역률개선 컨버터부의 제어부(210)와 DC-DC 컨버터부의 제어부(220)를 종합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부전원(92)은 제3 스위치(173)의 오프(off) 동작을 통하여 임베디드 시스템(100)이 오동작(誤動作)시에 부전원(92)을 재부팅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entral control unit 240 may comprehensively control the control unit 210 and the control unit 220 of the DC-DC converter unit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30 and the power control unit 200, the secondary power ( 92 may reboot the sub power source 92 when the embedded system 100 malfunctions through the off operation of the third switch 173.

도 16는 제안된 전원분리 회로도 제6 실시예를 나타낸다.16 shows a sixth embodiment of the proposed power disconnect circuit.

상기 제안된 전원분리 회로도(제6 실시예)는 역률개선 컨버터부(140)에서 역률개선 인덕터(143), 변압기(148) 및 에너지 변환 인덕터(184)가 자기결합(149)을 형성하는 것을 가장 큰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하여 상기 역률개선 컨버터부(140)의 인덕터의 수를 저감시킬 수 있으며, 전원공급 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한 보다 큰 장점이 있다.The proposed power disconnection circuit diagram (sixth embodiment) shows that the power factor improving inductor 143, the transformer 148, and the energy conversion inductor 184 form the magnetic coupling 149 in the power factor improving converter 140. It is a big technical feature. As a result, the number of inductors of the power factor improving converter 140 may be reduced, and the power supply device may be miniaturized.

도 17은 비디오 데이터 처리장치 커넥터 실시예를 나타낸다.17 illustrates a video data processor connector embodiment.

도 17에서는 전원을 on/off 할 수 있는 파워 스위치(11) 그리고 비디오 데이터 처리장치 커넥터(connecter)로 파워 케이블(12), HDMI포트(13), 네트워크 포트(14), RS232C포트(15), 제1 타입(Type) USB포트(16), 오디오 포트(17), 페달 포트(18)로 구성되어 있다.In FIG. 17, a power switch 11 capable of turning on / off power and a video data processing device connector include a power cable 12, an HDMI port 13, a network port 14, an RS232C port 15, A first type USB port 16, audio port 17, and pedal port 18 are configured.

도 18, 도 19는 제안된 비디오 데이터 처리장치 메인보드 평면도와 저면도를 나타낸다.18 and 19 show a plan view and a bottom view of the main board of the video data processing apparatus proposed.

제안된 비디오 데이터 처리장치 메인보드(28)에는 전원을 온(on)/오프(off) 할 수 있는 파워 스위치(11)와 임베디드 시스템을 재부팅하여 초기화 할 수 있는 Reset버튼(31) 그리고 비디오 데이터 처리장치 커넥터(connecter)로 HDMI포트(13), 네트워크 포트(14), RS232C포트(15), 제1 타입(Type) USB포트(16), 제1 타입(Type) 제3 USB포트(16-3) 오디오 포트(17), 비디오 연결 케이블 포트(23)로 구성되어 있으며, 도 1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타입(Type) USB 포트(21), Micro SD 포트(2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CPU를 연결 할 수 있는 CPU연결 포트(24)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The proposed video data processing main board 28 has a power switch 11 for turning on / off the power, a reset button 31 for resetting the embedded system, and video data processing. HDMI port 13, network port 14, RS232C port 15, Type 1 USB port 16, Type 1 3rd USB port 16-3 as a device connector. ) It is composed of audio port 17, video connection cable port 23, and includes a second type (USB) port 21, Micro SD port 22, as shown in FIG.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PU connection port 24 that can be connected to.

도 20, 도 21은 메인보드와 결합되는 CPU 평면도와 저면도를 나타낸다.20 and 21 show a CPU plan view and a bottom view coupled to the main board.

중앙처리 장치인 CPU(25)를 메인보드와 연결할 수 있는 메인보드 연결부(26)로 구성되어 있으며 메인보드 연결부(26)를 통하여 메인보드와 연결이 가능한 것을 나타낸다.The CPU 25, which is a central processing unit, is configured as a main board connection part 26 that can connect with the main board, and indicates that the main board connection part 26 can be connected to the main board.

도 22는 메인보드와 CPU 결합도를 나타낸다.22 shows a main board and a CPU coupling diagram.

메인보드(28)의 CPU 연결 포트(24)에 연결된 CPU(25) 결합도를 나타낸다.A coupling diagram of the CPU 25 connected to the CPU connection port 24 of the motherboard 28 is shown.

메인보드(28)의 일측(一側)에는 전원을 온(on)/오프(off) 할 수 있는 파워 스위치(11)와 임베디드 시스템을 재부팅하여 초기화 할 수 있는 Reset버튼(31) 그리고 타측(他側)에는 비디오 데이터 처리장치 커넥터(connecter)로 HDMI포트(13), 네트워크 포트(14), RS232C포트(15), 제1 타입(Type) USB포트(16), 제1 타입(Type) 제3 USB포트(16-3), 오디오 포트(17), 비디오 연결 케이블 포트(23)로 구성되어 있어 필요에 따라 주변기기에 연결하여 사용 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One side of the main board 28 has a power switch 11 for turning on / off the power, a reset button 31 for initializing the rebooted embedded system, and the other side. I) HDMI connector 13, network port 14, RS232C port 15, Type 1 USB port 16, Type 1 3 It is composed of a USB port (16-3), an audio port (17), a video connection cable port (23)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used to connect to a peripheral device as needed.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의료용 비디오 데이터 처리 장치에 있어서, 내시경 장비(10); 상기 내시경 장비(10)를 통해 획득한 영상을 입력하는 비디오 입력부(70); 상기 비디오 입력부(70)를 통해 입력된 영상을 수신 및 저장과 전송을 하는 임베디드 시스템(100); 상기 임베디드 시스템(100)에서 전송된 다중 입력된 비디오 데이터를 하나의 비디오로 합치는 오버레이 디스플레이 기능을 수행하는 출력 비디오 데이터 변환 장치(60); 상기 출력 비디오 데이터 변환 장치(60)에서 합쳐진 영상을 출력하며 내시경 화면(30)과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45)으로 구성된 모니터(50);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45)은 의료-영상-저장-전송시스템(PACS) 화면(40), 사진 촬영 표시(51) 및 캡쳐 이미지 표시(52)로 구성되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45)은 의료-영상-저장-전송시스템(PACS) 화면(40), 동영상 촬영 표시(53) 및 동영상 촬영 시간 표시(54)로 구성되며; 상기 내시경 화면(30)은 임상진료를 위한 실시간 디스플레이 화면이며; 상기 의료-영상-저장-전송시스템(PACS) 화면(40)은 데이터베이스(DB)에서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화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비디오 데이터 처리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edical video data processing apparatus, the endoscope equipment 10; A video input unit 70 for inputting an image acquired through the endoscope equipment 10; An embedded system 100 for receiving, storing, and transmitting an image input through the video input unit 70; An output video data conversion device (60) for performing an overlay display function of combining multiple input video data transmitted from the embedded system (100) into one video; A monitor 50 that outputs the combined image from the output video data conversion device 60 and comprises an endoscope screen 30 and a user interface screen 45; The user interface screen 45 is composed of a medical-image-storage-transmission system (PACS) screen 40, a photographing display 51 and a captured image display 52; The user interface screen 45 is composed of a medical-image-storage-transmission system (PACS) screen 40, a video recording display 53, and a video recording time display 54; The endoscope screen 30 is a real-time display screen for clinical care; The medical-image-storage-transmission system (PACS) screen 40 is intended to propose a medical video data processing apparatus, which is a screen for receiving and outputting information from a database DB.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의료용 비디오 데이터 처리 장치에 있어서, 내시경 장비(10); 상기 내시경 장비(10)를 통해 획득한 영상을 입력하는 비디오 입력부(70); 상기 비디오 입력부(70)를 통해 입력된 비디오 데이터를 시스템으로 영상을 전송하는 MIPI방식 영상 처리부(80); 상기 MIPI방식 영상 처리부(80)를 통해 전송된 영상을 수신 및 저장과 전송을 하는 임베디드 시스템(100); 상기 임베디드 시스템(100)에서 전송된 다중 입력된 비디오 데이터를 하나의 비디오로 합치는 오버레이 디스플레이 기능을 수행하는 출력 비디오 데이터 변환 장치(60); 상기 출력 비디오 데이터 변환 장치(60)에서 합쳐진 영상을 출력하며 내시경 화면(30)과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45)으로 구성된 모니터(50); 상기 내시경 화면(30)은 임상진료를 위한 실시간 디스플레이 화면이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45)은 데이터베이스(DB)에서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화면인 의료-영상-저장-전송시스템(PACS)화면(40)을 디스플레이 하고, 사진 촬영시 사진 촬영 표시(51) 및 캡쳐 이미지 표시(52)로 구성되며, 동영상 촬영시 동영상 촬영 표시(53) 및 동영상 촬영 시간 표시(54)로 구성되며; 상기 모니터(50)의 한 개의 화면에 내시경 화면(30)과 의료-영상-저장-전송시스템(PACS) 화면(40)을 동시에 모니터링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비디오 데이터 처리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edical video data processing apparatus, the endoscope equipment 10; A video input unit 70 for inputting an image acquired through the endoscope equipment 10; A MIPI type image processing unit 80 for transmitting an image of the video data input through the video input unit 70 to a system; An embedded system 100 for receiving, storing, and transmitting an image transmitted through the MIPI image processing unit 80; An output video data conversion device (60) for performing an overlay display function of combining multiple input video data transmitted from the embedded system (100) into one video; A monitor 50 that outputs the combined image from the output video data conversion device 60 and comprises an endoscope screen 30 and a user interface screen 45; The endoscope screen 30 is a real-time display screen for clinical care; The user interface screen 45 displays a medical-image-storage-transmission system (PACS) screen 40, which is a screen for receiving and outputting information from a database (DB), and displaying a photographing display 51 when taking a photograph. A captured image display 52, and comprises a moving picture shooting display 53 and a moving picture shooting time display 54 during video shooting; The medical video data processing apparatus is characterized by simultaneously monitoring the endoscope screen 30 and the medical-image-storage-transmission system (PACS) screen 40 on one screen of the monitor 50.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의료용 비디오 데이터 처리 장치에 있어서, 내시경 장비(10); 출력 비디오 데이터 변환 장치(60)를 통하여 상기 내시경 장비(10)의 실시간 내시경 화면(30)과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45)을 디스플레이 하는 모니터(50); 상기 내시경 장비(10)의 실시간 디스플레이 화면인 내시경 화면(30)에 전원을 공급하는 주전원(91); 상기 데이터베이스(DB)에서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상기 의료-영상-저장-전송시스템(PACS) 화면(40)에 전원을 공급하는 부전원(92); 교류전원(141)을 공급받아 역률(Power Factor)을 개선하는 역률개선 컨버터부(140); 상기 역률개선 컨버터부(140)의 출력전압을 공급받아 주전원(91)과 부전원(92)을 출력하는 DC-DC 컨버터부(170); 상기 주전원(91)과 부전원(92)은 각각 분리하여 제어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비디오 데이터 처리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edical video data processing apparatus, the endoscope equipment 10; A monitor 50 for displaying the real-time endoscope screen 30 and the user interface screen 45 of the endoscope equipment 10 through an output video data conversion device 60; Main power supply 91 for supplying power to the endoscope screen 30, which is a real-time display screen of the endoscope equipment 10; A sub-power 92 for supplying power to the PACS screen 40 for receiving and outputting information from the database; A power factor improving converter unit 140 that receives an AC power source 141 and improves a power factor; A DC-DC converter unit 170 receiving the output voltage of the power factor improving converter unit 140 and outputting a main power supply 91 and a sub power supply 92; The main power source 91 and the sub-power source 92 is to propose a medical video data process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each can be controlled separately.

본 발명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다양한 변형에 의하여 의료용 비디오 데이터 처리장치에 적용시킬 수 있으며, 기술적으로 용이하게 변형시키는 기술의 범주도 본 특허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인정해야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medical video data processing apparatus by various modification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t should be recognized that the scope of technology that can be easily modified technically belong to the scope of the patent.

10 : 내시경 장비
11 : 파워 스위치
12 : 파워 케이블 포트
13 :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포트
13-1 : HDMI 입력 포트
13-2 : HDMI 출력 포트
14 : 네트워크 포트
15 : RS232C 포트
15-1 : RS232C 출력 포트
15-2 : RS232C 입력 포트
16 : 제1 타입(Type) USB 포트
16-1 : 제1 타입(Type) 제1 USB 포트
16-2 : 제1 타입(Type) 제2 USB 포트
16-3 : 제1 타입(Type) 제3 USB 포트
17 : 오디오 포트
17-1 : 오디오 출력 포트
17-2 : 오디오 입력 포트
18 : 페달(Pedal) 포트
18-1 : 장비 연결 포트
18-2 : 핸드 또는 풋 스위치(Hand or Foot Switch) 연결 포트
19 : 비디오 출력
20 : 디지털 영상저장 및 전송장비 DVR(Digital Video Recorder)
21 : 제2 타입(Type) USB 포트
22 : Micro SD 포트
23 : 비디오 연결 케이블 포트
24 : CPU 연결 포트
25 : CPU
26 : CPU 연결부
28 : 메인보드
29 : 모니터 출력
30 : 내시경 화면
31 : 초기화 Reset 버튼
40 : 의료-영상-저장-전송시스템(PACS) 화면
40-1 : 제1 의료-영상-저장-전송시스템(PACS) 화면
40-2 : 제2 의료-영상-저장-전송시스템(PACS) 화면
40-3 : 제3 의료-영상-저장-전송시스템(PACS) 화면
40-4 : 제4 의료-영상-저장-전송시스템(PACS) 화면
45 :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 화면
50 : 모니터
50-1 : 제1 모니터 배치
50-2 : 제2 모니터 배치
50-3 : 제3 모니터 배치
50-4 : 제4 모니터 배치
51 : 사진 촬영 표시
52 : 캡쳐 이미지 표시
53 : 동영상 촬영 표시
54 : 동영상 촬영 시간 표시
60 : 출력 비디오 데이터 변환장치
70 : 비디오 입력
71 : SDI(Serial Digital Interface) 외부입력
72 :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외부입력
73 : DVI(Digital Visual Interface) 외부입력
75 : 입력 비디오 데이터 변환장치
80 :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 방식 영상 처리부
81 : 제1 비디오 데이터 출력 처리 방식
82 : 제2 비디오 데이터 출력 처리 방식
91 : 주전원
92 : 부전원
100 : 임베디드 시스템(Embedded System)
110 : 메인보드 수신부
120 : 메인보드
130 : 메인보드 출력부
140 : 역률개선 컨버터부
141 : 교류전원
142 : 정류 다이오드
143 : 역률개선 인덕터
144 : 제1 보조 다이오드
145 : 제2 보조 다이오드
146 : 역률개선 컨버터부 주 스위치
146-1 : 역률개선 컨버터부 주 스위치의 역병렬 다이오드
147 : 스위치 하부 전류센서
148 : 변압기
148-1 : 변압기 1차측 권선
148-2 : 변압기 2차측 권선
149 : 자기결합
151 : 제11 보조 다이오드
155 : 제11 보조 커패시터
162 : 제21 보조 다이오드
163 : 제22 보조 다이오드
164 : 제21 보조 커패시터
170 : DC-DC 컨버터부
171 : 제1 스위치
171-1 : 제1 스위치의 역병렬 다이오드
172 : 제2 스위치
172-1 : 제2 스위치의 역병렬 다이오드
173 : 제3 스위치
173-1 : 제3 스위치의 역병렬 다이오드
174 : 제1 출력 커패시터
175 : 부전원의 전류센서
176 : 부전원의 전압센서
177 : 제2 출력 커패시터
178 : 주전원의 전류센서
179 : 주전원의 전압센서
181 : 정류 다이오드
182 : 환류 다이오드
183 : 동기 스위치
183-1 : 동기 스위치의 역병렬 다이오드
184 : 에너지 변환 인덕터
185 : 역률개선 컨버터부의 출력전압 검출부
200 : 전원 제어부
210 : 역률개선 컨버터부의 제어부
211 : 역률개선 컨버터부에서 주 스위치의 게이트 신호 발생부
212 : 역률개선 컨버터부에서 전류 검출부
213 : 역률개선 컨버터부에서 전압 검출부
220 : DC-DC 컨버터부의 제어부
221 : DC-DC 컨버터부에서 동기 스위치의 게이트 신호 발생부
222 : DC-DC 컨버터부에서 제1,2,3 스위치의 게이트 신호 발생부
223 : DC-DC 컨버터부에서에서 제1 전류 검출부
224 : DC-DC 컨버터부에서에서 제1 전압 검출부
225 : DC-DC 컨버터부에서에서 제2 전류 검출부
226 : DC-DC 컨버터부에서에서 제2 전압 검출부
230 : 통신부
240 : 중앙 제어부
10: endoscope equipment
11: power switch
12: power cable port
13: 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HDMI) Port
13-1: HDMI input port
13-2: HDMI output port
14: network port
15: RS232C port
15-1: RS232C output port
15-2: RS232C input port
16: Type 1 USB Port
16-1: First Type (First) USB Port
16-2: First Type 2nd USB Port
16-3: First Type Third USB Port
17: audio port
17-1: Audio output port
17-2: Audio input port
18: Pedal port
18-1: Equipment Connection Port
18-2: Hand or Foot Switch Connection Port
19: video output
20: DVR (Digital Video Recorder)
21: Type 2 USB Port
22: Micro SD Port
23: video connection cable port
24: CPU connection port
25: CPU
26: CPU connection
28: motherboard
29: monitor output
30: endoscope screen
31: Reset Reset Button
40: Medical-Image-Save-Transfer System (PACS) Screen
40-1: First Medical-Image-Save-Transfer System (PACS) Screen
40-2: Second Medical-Image-Storage-Transmission System (PACS) Screen
40-3: Third Medical-Image-Storage-Transmission System (PACS) Screen
40-4: Fourth Medical-Image-Storage-Transmission System (PACS) Screen
45: User Interface (UI) Screen
50: monitor
50-1: First monitor layout
50-2: second monitor layout
50-3: Third monitor layout
50-4: 4th monitor arrangement
51: Take Picture Display
52: capture image display
53: Movie shooting display
54: Movie recording time display
60: output video data converter
70: video input
71: SDI (Serial Digital Interface) external input
72: HDMI (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external input
73: DVI (Digital Visual Interface) external input
75: input video data converter
80: MIPI (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 method image processing unit
81: first video data output processing method
82: second video data output processing method
91: main power
92: negative power
100: Embedded System
110: main board receiving unit
120: main board
130: main board output
140: power factor improvement converter
141: AC power
142: rectifier diode
143 power factor improvement inductor
144: first auxiliary diode
145: second auxiliary diode
146 main power factor converter
146-1: Inverse parallel diode of main switch of power factor improving converter
147: Current sensor under switch
148: Transformer
148-1: primary winding of transformer
148-2: secondary winding of transformer
149: magnetic coupling
151: the eleventh auxiliary diode
155: 11th auxiliary capacitor
162: 21st auxiliary diode
163: 22nd auxiliary diode
164: 21st auxiliary capacitor
170: DC-DC converter section
171: first switch
171-1: antiparallel diode of the first switch
172: second switch
172-1: anti-parallel diode of the second switch
173: third switch
173-1: anti-parallel diode of the third switch
174: first output capacitor
175: current sensor of the negative power supply
176: voltage sensor of the negative power supply
177: second output capacitor
178: current sensor of the main power supply
179: voltage sensor of the main power supply
181: Rectifier Diode
182: free-wheel diode
183: Synchronous switch
183-1: Anti-Parallel Diode of Synchronous Switch
184: Energy Conversion Inductors
185: output voltage detector of the power factor correction converter
200: power control unit
210: control unit of the power factor improvement converter
211: gate signal generator of the main switch in the power factor improving converter
212: current detection unit in the power factor correction converter unit
213: voltage detector in power factor improving converter
220: control unit of the DC-DC converter
221: gate signal generator of the synchronous switch in the DC-DC converter
222: gate signal generator of the first, second, third switch in the DC-DC converter
223: First current detector in the DC-DC converter
224: First voltage detector in the DC-DC converter
225: second current detector in the DC-DC converter
226: second voltage detector in the DC-DC converter
230: communication unit
240: central control unit

Claims (12)

의료용 비디오 데이터 처리 장치에 있어서,
내시경 장비(10);
상기 내시경 장비(10)를 통해 획득한 영상을 입력하는 비디오 입력부(70);
상기 비디오 입력부(70)를 통해 입력된 영상을 수신 및 저장과 전송을 하는 임베디드 시스템(100);
상기 임베디드 시스템(100)에서 전송된 다중 입력된 비디오 데이터를 하나의 비디오로 합치는 오버레이 디스플레이 기능을 수행하는 출력 비디오 데이터 변환 장치(60);
상기 출력 비디오 데이터 변환 장치(60)에서 합쳐진 영상을 출력하며 내시경 화면(30)과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45)으로 구성된 모니터(50);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45)은 의료-영상-저장-전송시스템(PACS) 화면(40), 사진 촬영 표시(51) 및 캡쳐 이미지 표시(52)로 구성되며;
상기 내시경 화면(30)은 임상진료를 위한 실시간 디스플레이 화면이며;
상기 의료-영상-저장-전송시스템(PACS) 화면(40)은 데이터베이스(DB)에서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화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비디오 데이터 처리 장치
In the medical video data processing apparatus,
Endoscope equipment 10;
A video input unit 70 for inputting an image acquired through the endoscope equipment 10;
An embedded system 100 for receiving, storing, and transmitting an image input through the video input unit 70;
An output video data conversion device (60) for performing an overlay display function of combining multiple input video data transmitted from the embedded system (100) into one video;
A monitor 50 that outputs the combined image from the output video data conversion device 60 and comprises an endoscope screen 30 and a user interface screen 45;
The user interface screen 45 is composed of a medical-image-storage-transmission system (PACS) screen 40, a photographing display 51 and a captured image display 52;
The endoscope screen 30 is a real-time display screen for clinical care;
The medical-image-storage-transmission system (PACS) screen 40 is a medical video data processing apparatus, which is a screen for receiving and outputting information from a database DB.
의료용 비디오 데이터 처리 장치에 있어서,
내시경 장비(10);
상기 내시경 장비(10)를 통해 획득한 영상을 입력하는 비디오 입력부(70);
상기 비디오 입력부(70)를 통해 입력된 영상을 수신 및 저장과 전송을 하는 임베디드 시스템(100);
상기 임베디드 시스템(100)에서 전송된 다중 입력된 비디오 데이터를 하나의 비디오로 합치는 오버레이 디스플레이 기능을 수행하는 출력 비디오 데이터 변환 장치(60);
상기 출력 비디오 데이터 변환 장치(60)에서 합쳐진 영상을 출력하며 내시경 화면(30)과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45)으로 구성된 모니터(50);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45)은 의료-영상-저장-전송시스템(PACS) 화면(40), 동영상 촬영 표시(53) 및 동영상 촬영 시간 표시(54)로 구성되며;
상기 내시경 화면(30)은 임상진료를 위한 실시간 디스플레이 화면이며;
상기 의료-영상-저장-전송시스템(PACS) 화면(40)은 데이터베이스(DB)에서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화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비디오 데이터 처리 장치
In the medical video data processing apparatus,
Endoscope equipment 10;
A video input unit 70 for inputting an image acquired through the endoscope equipment 10;
An embedded system 100 for receiving, storing, and transmitting an image input through the video input unit 70;
An output video data conversion device (60) for performing an overlay display function of combining multiple input video data transmitted from the embedded system (100) into one video;
A monitor 50 that outputs the combined image from the output video data conversion device 60 and comprises an endoscope screen 30 and a user interface screen 45;
The user interface screen 45 is composed of a medical-image-storage-transmission system (PACS) screen 40, a video recording display 53, and a video recording time display 54;
The endoscope screen 30 is a real-time display screen for clinical care;
The medical-image-storage-transmission system (PACS) screen 40 is a medical video data processing apparatus, which is a screen for receiving and outputting information from a database DB.
의료용 비디오 데이터 처리 장치에 있어서,
내시경 장비(10);
상기 내시경 장비(10)를 통해 획득한 영상을 입력하는 비디오 입력부(70);
상기 비디오 입력부(70)를 통해 입력된 비디오 데이터를 시스템으로 영상을 전송하는 MIPI방식 영상 처리부(80);
상기 MIPI방식 영상 처리부(80)를 통해 전송된 영상을 수신 및 저장과 전송을 하는 임베디드 시스템(100);
상기 임베디드 시스템(100)에서 전송된 다중 입력된 비디오 데이터를 하나의 비디오로 합치는 오버레이 디스플레이 기능을 수행하는 출력 비디오 데이터 변환 장치(60);
상기 출력 비디오 데이터 변환 장치(60)에서 합쳐진 영상을 출력하며 내시경 화면(30)과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45)으로 구성된 모니터(50);
상기 내시경 화면(30)은 임상진료를 위한 실시간 디스플레이 화면이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45)은 데이터베이스(DB)에서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화면인 의료-영상-저장-전송시스템(PACS)화면(40)을 디스플레이 하고, 사진 촬영시 사진 촬영 표시(51) 및 캡쳐 이미지 표시(52)로 구성되며, 동영상 촬영시 동영상 촬영 표시(53) 및 동영상 촬영 시간 표시(54)로 구성되며;
상기 모니터(50)의 한 개의 화면에 내시경 화면(30)과 의료-영상-저장-전송시스템(PACS) 화면(40)을 동시에 모니터링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비디오 데이터 처리 장치
In the medical video data processing apparatus,
Endoscope equipment 10;
A video input unit 70 for inputting an image acquired through the endoscope equipment 10;
A MIPI type image processing unit 80 for transmitting an image of the video data input through the video input unit 70 to a system;
An embedded system 100 for receiving, storing, and transmitting an image transmitted through the MIPI image processing unit 80;
An output video data conversion device (60) for performing an overlay display function of combining multiple input video data transmitted from the embedded system (100) into one video;
A monitor 50 that outputs the combined image from the output video data conversion device 60 and comprises an endoscope screen 30 and a user interface screen 45;
The endoscope screen 30 is a real-time display screen for clinical care;
The user interface screen 45 displays a medical-image-storage-transmission system (PACS) screen 40, which is a screen for receiving and outputting information from a database (DB), and displaying a photographing display 51 when taking a photograph. A captured image display 52, and comprises a moving picture shooting display 53 and a moving picture shooting time display 54 during video shooting;
Medical video data process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o monitor the endoscope screen 30 and the medical-image-storage-transmission system (PACS) screen 40 at the same time on one screen of the monitor 50
의료용 비디오 데이터 처리 장치에 있어서,
내시경 장비(10);
상기 내시경 장비(10)를 통해 획득한 영상을 입력하는 비디오 입력부(70);
상기 비디오 입력부(70)를 통해 다중 입력된 비디오 데이터를 하나의 비디오로 합치는 오버레이 디스플레이 기능을 수행하는 출력 비디오 데이터 변환 장치(60);
상기 출력 비디오 데이터 변환 장치(60)에서 합쳐진 영상을 출력하며 내시경 화면(30)과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45)으로 구성된 모니터(50);
상기 내시경 화면(30)은 임상진료를 위한 실시간 디스플레이 화면이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45)은 데이터베이스(DB)에서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의료-영상-저장-전송시스템(PACS) 화면(40)을 디스플레이 하며;
상기 모니터(50)의 한 개의 화면에 내시경 화면(30)과 의료-영상-저장-전송시스템(PACS) 화면(40)을 동시에 모니터링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비디오 데이터 처리 장치
In the medical video data processing apparatus,
Endoscope equipment 10;
A video input unit 70 for inputting an image acquired through the endoscope equipment 10;
An output video data conversion device (60) for performing an overlay display function of combining video data input through the video input unit (70) into one video;
A monitor 50 that outputs the combined image from the output video data conversion device 60 and comprises an endoscope screen 30 and a user interface screen 45;
The endoscope screen 30 is a real-time display screen for clinical care;
The user interface screen 45 displays a medical-image-storage-transmission system (PACS) screen 40 for receiving and outputting information from a database DB;
Medical video data process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o monitor the endoscope screen 30 and the medical-image-storage-transmission system (PACS) screen 40 at the same time on one screen of the monitor 50
청구항 제1항 내지 청구항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50) 화면에 내시경 화면(30)과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45) 및 의료-영상-저장-전송시스템(PACS) 화면(40)를 원하는 위치에 선택하여 배치할 수 있으며 한 개의 화면에 여러개의 비디오 데이터 화면을 구성하여 동시에 모니터링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비디오 데이터 처리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The endoscope screen 30, the user interface screen 45, and the medical-image-storage-transmission system (PACS) screen 40 may be selected and arranged on a desired position on the monitor 50 screen. Medical video data processing device comprising the configuration of the video data screen of the monitoring at the same time
청구항 제1항 내지 청구항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시경 화면(30)은 ①비디오 입력부(70) ②출력 비디오 데이터 변환 장치(60) ③모니터(50) 순서로 비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1 비디오 데이터 출력 처리 방식(81)으로 디스플레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비디오 데이터 처리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The endoscope screen 30 is displayed by a first video data output processing method 81 for outputting video data in the order of ① video input unit 70 ② output video data conversion device 60 ③ monitor 50. Medical video data processing equipment
청구항 제1항 내지 청구항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영상-저장-전송시스템(PACS) 화면(40)은 ①비디오 입력부(70) ② MIPI방식 영상 처리부(80) ③임베디드 시스템(100) ④출력 비디오 데이터 변환장치(60) ⑤ 모니터(50) 순서로 비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방식인 제2 비디오 데이터 출력 처리 방식(82)으로 디스플레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비디오 데이터 처리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The PACS screen 40 includes: ① video input unit 70 ② MIPI image processing unit 80 ③ embedded system 100 ④ output video data converter 60 ⑤ monitor 50 And the second video data output processing method 82, which is a method of outputting video data in order).
청구항 제7항에 있어서,
제1 비디오 데이터 출력 처리 방식(81)에 전원을 공급하는 주전원(91);
상기 제2 비디오 데이터 출력 처리 방식(82)에 전원을 공급하는 부전원(92);
상기 주전원(91)과 부전원(92)은 각각 분리하여 구동 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비디오 데이터 출력 처리 방식(82)에 포함된 임베디드 시스템(100)에 오류 발생시 해당 임베디드 시스템(100)관련 부분인 부전원(92)만 재부팅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비디오 데이터 처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A main power source 91 for supplying power to the first video data output processing scheme 81;
A sub power supply 92 for supplying power to the second video data output processing scheme 82;
The main power source 91 and the sub power source 92 may be driven separately, and when the embedded system 100 included in the second video data output processing method 82 has an error, the relevant part of the embedded system 100 Medical video data process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only the secondary power supply 92 can be rebooted
의료용 비디오 데이터 처리 장치에 있어서,
내시경 장비(10);
출력 비디오 데이터 변환 장치(60)를 통하여 상기 내시경 장비(10)의 실시간 내시경 화면(30)과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45)을 디스플레이 하는 모니터(50);
상기 내시경 장비(10)의 실시간 디스플레이 화면인 내시경 화면(30)에 전원을 공급하는 주전원(91);
데이터베이스(DB)에서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의료-영상-저장-전송시스템(PACS) 화면(40)에 전원을 공급하는 부전원(92);
교류전원(141)을 공급받아 역률(Power Factor)을 개선하는 역률개선 컨버터부(140);
상기 역률개선 컨버터부(140)의 출력전압을 공급받아 주전원(91)과 부전원(92)을 출력하는 DC-DC 컨버터부(170);
상기 주전원(91)과 부전원(92)은 각각 분리하여 제어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비디오 데이터 처리 장치
In the medical video data processing apparatus,
Endoscope equipment 10;
A monitor 50 for displaying the real-time endoscope screen 30 and the user interface screen 45 of the endoscope equipment 10 through an output video data conversion device 60;
Main power supply 91 for supplying power to the endoscope screen 30, which is a real-time display screen of the endoscope equipment 10;
A sub-power 92 for supplying power to a PACS screen 40 for receiving and outputting information from a database DB;
A power factor improving converter unit 140 that receives an AC power source 141 and improves a power factor;
A DC-DC converter unit 170 receiving the output voltage of the power factor improving converter unit 140 and outputting a main power supply 91 and a sub power supply 92;
The medical video data process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main power supply 91 and the sub power supply 92 can be controlled separately.
청구항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주전원(91)을 제어하는 제2 스위치(172);
상기 부전원(92)을 제어하는 제3 스위치(17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비디오 데이터 처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9
A second switch 172 for controlling the main power source 91;
And a third switch 173 for controlling the sub power supply 92.
청구항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주전원(91) 및 부전원(92)의 전압이 기준의 전압(Vref)보다 낮은 경우, 에너지 변환 인덕터(184)와 상기 주전원(91) 및 부전원(92)의 (-) 단자 사이에 연결된 제1 스위치(171)가 온(on)/오프(off) 동작을 통하여 상기 주전원(91) 및 부전원(92)의 전압을 상승시키며;
주전원(91) 및 부전원(92)의 전압이 기준의 전압(Vref)보다 높은 경우, 상기 에너지 변환 인덕터(184)와 병렬로 연결된 동기 스위치(183)의 온(on)/오프(off) 동작을 통하여, 상기 주전원(91) 및 부전원(92)의 전압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비디오 데이터 처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9
When the voltages of the main power supply 91 and the sub power supply 92 are lower than the reference voltage Vref, an energy conversion inductor 184 is connected between the (-) terminals of the main power supply 91 and the sub power supply 92. A first switch 171 raises the voltage of the main power supply 91 and the sub power supply 92 through an on / off operation;
On / off operation of the synchronous switch 183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energy conversion inductor 184 when the voltage of the main power supply 91 and the sub power supply 92 is higher than the reference voltage Vref. Through the medical video data process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reducing the voltage of the main power supply 91 and the sub power supply 92
청구항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역률개선 컨버터부(140)에서 역률개선 인덕터(143), 변압기(148) 및 에너지 변환 인덕터(184)가 자기결합(149)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비디오 데이터 처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9
In the power factor improving converter 140, the power factor improving inductor 143, the transformer 148, and the energy conversion inductor 184 form a magnetic coupling 149.
KR1020180032886A 2018-03-21 2018-03-21 Medical Video Data Processing Device KR10202889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2886A KR102028890B1 (en) 2018-03-21 2018-03-21 Medical Video Data Process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2886A KR102028890B1 (en) 2018-03-21 2018-03-21 Medical Video Data Process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0881A true KR20190110881A (en) 2019-10-01
KR102028890B1 KR102028890B1 (en) 2019-10-07

Family

ID=68208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2886A KR102028890B1 (en) 2018-03-21 2018-03-21 Medical Video Data Process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8890B1 (en)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3887B1 (en) 2000-10-24 2002-07-20 Maro Tech Inc Dicom managing apparatus for pacs
KR20060042615A (en) * 2004-11-10 2006-05-15 (주)중외정보기술 System for capturing medicine imag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JP2007319478A (en) * 2006-06-01 2007-12-13 Fujifilm Corp Medical image displaying unit and method, and endoscope device
KR20090099320A (en) * 2008-03-17 2009-09-22 주식회사 인트로메딕 Method and system for playing of capsule endoscope image, and record media recoded program for implement thereof
KR20140018802A (en) * 2012-08-03 2014-02-13 삼성전기주식회사 Single stage forward-flyback converter, power supplying apparatus and power suppying apparatus for light emitting diode
KR101447829B1 (en) 2013-07-06 2014-10-08 (주)인투씨엔에스 Emr and pacs total system
KR20160145269A (en) 2015-06-10 2016-12-20 신동준 Medical image editing device and method
KR20160147190A (en) * 2015-06-12 2016-12-22 해성옵틱스(주) Endoscope device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3887B1 (en) 2000-10-24 2002-07-20 Maro Tech Inc Dicom managing apparatus for pacs
KR20060042615A (en) * 2004-11-10 2006-05-15 (주)중외정보기술 System for capturing medicine imag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JP2007319478A (en) * 2006-06-01 2007-12-13 Fujifilm Corp Medical image displaying unit and method, and endoscope device
KR20090099320A (en) * 2008-03-17 2009-09-22 주식회사 인트로메딕 Method and system for playing of capsule endoscope image, and record media recoded program for implement thereof
KR20140018802A (en) * 2012-08-03 2014-02-13 삼성전기주식회사 Single stage forward-flyback converter, power supplying apparatus and power suppying apparatus for light emitting diode
KR101447829B1 (en) 2013-07-06 2014-10-08 (주)인투씨엔에스 Emr and pacs total system
KR20160145269A (en) 2015-06-10 2016-12-20 신동준 Medical image editing device and method
KR20160147190A (en) * 2015-06-12 2016-12-22 해성옵틱스(주) Endoscope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8890B1 (en) 2019-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32021B2 (en) Control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US10139722B2 (en) Radiation image capturing system
US20060106284A1 (en) Communication method of storage device, image storage system and image storage device
US7538327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CN1825204A (en) X-ray imaging apparatus
US20160147939A1 (en) Efficient management of visible light still images and/or video
KR20200075623A (en) Dental Treatment Planning Apparatus Using Matching Of 2D Medical Image And 3D Medical Image And Method Thereof
US20200128214A1 (en) Medical display apparatus, endoscopic surgery system, and method of displaying medical image
US9912911B2 (en) Inter-module link interface
US20220181019A1 (en) Medical Diagnostic Kit
KR102028890B1 (en) Medical Video Data Processing Device
WO2023155907A1 (en) Ultrasonic imaging system, medical image system and terminal device
US9313868B2 (en) Radiography control apparatus and radiography control method
JP4424811B2 (en) Medical image switching device and medical image display system provided with medical image switching device
CN110881989B (en) Radiography system, radiography method, and storage medium
CN209821739U (en) Medical computer system
US20230094793A1 (en) Video Input Connector
US20220157453A1 (en) Medical power supply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US20240172918A1 (en) Medical imaging systems, devices, and related methods of use
CN213129393U (en) AI minimally invasive diagnosis medical endoscope camera system
EP431124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outing multimedia signals
EP4316410A1 (en) Surgical operation room system, image recording method, program, and medical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CN203838611U (en) Medical computer device
JP5649481B2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and display control method
JP2012236089A (en) Photographing apparatus, photographing system, photograph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