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0875A - 공통 상향링크 제어채널 선택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공통 상향링크 제어채널 선택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0875A
KR20190110875A KR1020180032872A KR20180032872A KR20190110875A KR 20190110875 A KR20190110875 A KR 20190110875A KR 1020180032872 A KR1020180032872 A KR 1020180032872A KR 20180032872 A KR20180032872 A KR 20180032872A KR 20190110875 A KR20190110875 A KR 201901108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link control
control channel
common uplink
quality parameter
communication qua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28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진명
문영진
문장원
손경열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800328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10875A/ko
Publication of KR201901108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08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04W72/542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using measured or perceived quality
    • H04W72/08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91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using two or more sectors, i.e. sector diversity
    • H04W72/041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6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the resource being in the space domain, e.g. b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단말이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빔으로부터 제1 통신 품질 파라미터 및 제2 통신 품질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공통 상향링크 제어채널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빔 중 제1 통신 품질 파리미터가 문턱값을 초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빔을 추출하는 단계 및 추출한 적어도 하나의 빔 중 제2 통신 품질 파라미터가 가장 높은 하나의 빔의 공통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밀리미터파를 이용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공통 상향링크 제어채널 선택 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공통 상향링크 제어채널 선택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COMMON UPLINK CONTROL CHANNEL}
본 발명은 공통 상향링크 제어채널 선택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밀리미터파(millimeter wave)를 이용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공통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선택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무선 통신 시스템은 폭발적인 데이터 수요 증가로 효율적인 주파수 사용만으로는 감당할 수 없는 상황이 되었다. 이에 따라, 조금 더 넒은 대역폭을 사용할 수 있는 6 GHz이상의 주파수를 가지는 밀리미터파(millimeter wave) 기술이 필요하게 되었으며, 5G(Generation) 이동 통신 시스템에 이러한 밀리미터파 기술을 적용하기 위해 연구가 지속되고 있다.
밀리미터파 기술은 기존 통신 시스템과 비교하여 높은 직진성으로 인해 전파 경로 손실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밀리미터파를 위해 스마트 안테나의 방식 중 하나인 빔포밍(Beamforming) 기술의 연구도 함께 지속되고 있는 실정이다.
다만, 5G 이동 통신 시스템에 적용하는 밀리미터파 기술을 위한 3차원 빔포밍(3D Beamforming)은 이를 지원하는 기지국의 셀이 다수 개의 빔 영역(Beam Sector)으로 구성되며, 다수 개의 빔으로 인해 매크로 기지국의 셀 간 상호 간섭과 비슷한 빔 섹터 간 간섭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공통 상향링크 제어채널 선택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공통 상향링크 제어채널 선택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통 상향링크 제어채널 선택 방법은, 단말이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빔으로부터 제1 통신 품질 파라미터 및 제2 통신 품질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공통 상향링크 제어채널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빔 중 제1 통신 품질 파리미터가 문턱값을 초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빔을 추출하는 단계 및 추출한 적어도 하나의 빔 중 제2 통신 품질 파라미터가 가장 높은 하나의 빔의 공통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선택한 공통 상향링크 제어채널의 정보를 빔 스케쥴러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통신 품질 파라미터가 문턱값을 초과하는 빔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공통 상향링크 제어채널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정보를 빔 스케줄러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통신 품질 파라미터는, RSRQ(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통신 품질 파라미터는, 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통 상향링크 제어채널 선택 장치는, 프로세서(processor) 및 프로세서를 통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이 저장된 메모리(memory)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단말이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빔으로부터 제1 통신 품질 파라미터 및 제2 통신 품질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공통 상향링크 제어채널의 정보를 각각 수신하도록 실행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빔 중 제1 통신 품질 파리미터가 문턱값을 초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빔을 추출하도록 실행될 수 있고, 추출한 적어도 하나의 빔 중 제2 통신 품질 파라미터가 가장 높은 하나의 빔의 공통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선택하도록 실행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선택한 공통 상향링크 제어채널의 정보를 빔 스케쥴러에 제공하도록 실행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제1 통신 품질 파라미터가 문턱값을 초과하는 빔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공통 상향링크 제어채널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정보를 빔 스케줄러에 제공하도록 실행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통신 품질 파라미터는, RSRQ(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통신 품질 파라미터는, 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지국과 다수의 단말이 다중 빔섹터 기술을 기반으로 신호를 송수신하는 다중 접속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각각의 빔섹터에 공통으로 사용하는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두어서 다이버시티(diversity)에 의한 제어정보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중 접속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채널의 빔 섹터 간 간섭으로 인한 데이터 수신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대용량 다중 안테나를 이용한 3차원 빔포밍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빔으로부터 공통 상향링크 제어채널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통 상향링크 제어채널 선택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통 상향링크 제어채널 선택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언급되는 단말 또는 사용자 단말은 WiFi, WiBro 등 무선 인터넷 통신, WCDMA, LTE 등 이동통신이 지원되는, 스마트폰, 음성/영상 전화 통화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테블릿 PC, 노트북 PC 등 무선 단말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기지국은, WCDMA(Wide-band CDMA), LTE(Long Term Evolution) 등 이동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사용자 단말과 코어 네트워크 사이에서 이동통신 서비스를 중계하기 위한, 중계기(relay station), NB(Node B), eNB(evolved NB), home-eNB, RRH(Remote Radio Head), AP(Access Point) 등의 중계 장치를 포함하며, 소형셀(small cell) 형태일 수 있지만, 피코셀(pico cell), 펨토셀(femto cell)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대용량 다중 안테나를 이용한 3차원 빔포밍의 개념도이다.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빔포밍(beamforming)은 스마트 안테나(smart antenna) 또는 적응적 안테나를 이용한 전송 기술 중 하나로 안테나의 빔이 특정 단말에게만 할당되도록 제어하는 기술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스마트 안테나는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다수의 안테나를 이용해 구현될 수 있으며, 복수의 안테나를 송신기 및 수신기 모두에 구현한 경우를 다중 입출력(Multi-Input Multi-Ouput, MIMO) 안테나라고 지칭할 수 있다.
여기서, 다중 입출력 안테나는 5G(Generation) 이동 통신 서비스를 위한 핵심 기술로 전력이나 주파수의 도움 없이 안테나 수에 비래하는 채널 용량을 획득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밀리미터파(millimeter wave)는 30 ~ 300 GHz의 주파수를 가지는 전파를 의미할 수 있으며,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6 GHz 이상의 주파수를 가지는 전파를 의미할 수 있고, 밀리파 또는 EHF(Extremely-High-Frequency)로 지칭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밀리미터파는 높은 주파수를 가지는 빛에 근접한 전파를 의미할 수 있으며, 이를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파의 통신량을 훨씬 상회하는 초다중통신이 가능할 수 있다.
다만, 전파는 주파수가 높을수록 직진성이 강하므로, 빛 및 밀리미터파 등과 같이 주파수대가 높은 신호는 한 방향으로 집중하여 송신하지 않는 경우, 신호 전송에 많은 에너지가 소모될 수 있다. 따라서,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밀리미터파를 이용하는 경우 에너지 소모를 방지하기 위해 한 방향으로 집중하여 신호를 송신하는 빔포밍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밀리미터파를 통한 이통 통신을 위해 기지국에서 3차원 빔포밍(3D beamforming)을 지원할 수 있으나, 셀은 복수의 빔 영역으로 구성되고, 복수의 빔은 매크로 기지국의 셀 간 상호 간섭 및 비슷한 빔 섹터 간 간섭의 증가를 야기할 수 있어, 데이터 수신 오류가 증가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술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기지국 및 복수의 단말이 다중 빔 섹터 기술을 기반으로 신호를 송수신하는 다중 접속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각각의 빔 섹터에 공통으로 사용하는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이용할 수 있으며, 복수의 빔 중 RSRQ(Reference Signal Receied Quality) 및 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를 기초로 하나의 빔에 따른 하나의 공통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선택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빔으로부터 공통 상향링크 제어채널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통 상향링크 제어채널 선택 장치는 선택을 위해 복수의 빔으로부터 공통 상향링크 제어채널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공통 상향링크 제어채널 선택 장치는 기지국에 탑재되거나 포함되어 단말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별도로 위치하여 기지국과 연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단말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용이한 설명을 위해 단말 및 기지국 간에 4개의 빔 안테나를 통해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단말은 제1 빔 안테나(beam antenna), 제2 빔 안테나, 제3 빔 안테나 및 제4 빔 안테나 각각에 따른 물리적 상향링크 제어채널(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을 통해 기지국으로 제어정보를 송신할 수 있으며, 각 빔마다 동일 설정을 유지하기 위해 각 제어정보는 수신 빔 공통 제어채널 처리부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통 상향링크 제어채널 선택 장치에 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통 상향링크 제어채널 선택 장치는 4개의 빔 안테나에 따른 제어채널을 통해 제어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하는 지점에 다이버시티 포인트(diversity point)가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다이버시티에 의해 제어정보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여기서, 물리적 상향링크 제어채널은 단말(user equipment or terminal)에서 기지국(base station or evoloved node B)으로 제어 정보의 형태를 지정하여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ACK(ACKnowledge)/NACK(Negative-ACKnowledge), CQI(Channel Quality Indicator), PMI(Precoding Matrix Information), RI(Ranking Indication) 및 SR(Scheduling Request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ACK/NACK는 상향링크와 대응되는 하향링크에서 수신된 데이터 패킷들을 정상적으로 수신하였는지에 대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고, CQI는 단말에 의해 제공된 downlink radio link quality에 대한 정보를 기지국에 피드백을 받아 기록하기 위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PMI 및 RI는 MIMO 모드 선택과 구성에 대한 지원 정보를 의미할 수 있고, SR은 추가적인 상향링크 자원에 대한 요청이 있는 경우 사용될 수 있는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통 상향링크 제어채널 선택 장치는 복수의 빔 안테나에 따른 복수의 공통 상향링크 제어채널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빔 스케줄러가 공통 상향링크 정보를 처리할 수 있도록 빔 스케줄러에 제공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통 상향링크 제어채널 선택 장치는 복수의 빔 안테나에 따른 복수의 공통 상향링크 제어채널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한 정보를 기초로 하나의 공통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통 상향링크 제어채널 선택 장치가 수신한 공통 상향링크 제어채널에 대한 정보는 각 제어채널의 통신 품질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품질 파라미터는 RSRQ(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 및 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RSRP는 reference signal의 수신 전력을 나타낸 지표를 의미할 수 있고, RSRQ는 C/I 형태의 측정으로 수신된 reference signal의 품질을 나타낸 지표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통 상향링크 제어채널 선택 장치는 복수의 빔 안테나에 따른 복수의 공통 상향링크 제어채널에 대한 정보 중 RSRQ 통신 품질 파라미터가 미리 설정한 문턱값(threshold)을 초과하는 빔 안테나에 따른 공통 상향링크 제어채널이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있으며, 초과하는 공통 상향링크 제어채널이 없는 경우, 공통 상향링크 제어채널이 없다고 처리할 수 있다.
다만, 공통 상향링크 제어채널 선택 장치는 RSRQ 통신 품질 파라미터가 문턱값을 초과하는 공통 상향링크 제어채널이 복수인 경우, RSRP 통신 품질 파라미터가 가장 큰 빔 안테나에 따른 공통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선택할 수 있으며, 선택한 공통 상향링크 제어채널의 정보를 빔 스케쥴러에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술한 방법에 따라 밀리미터파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정해진 빔 섹터 내에서 복수의 단말과 접속하는 경우, 각각의 빔 섹터에 공통으로 사용하는 상향링크 제어체널을 두어 빔 스위핑 시에 발생하는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통해 제어정보의 수신 오류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통 상향링크 제어채널 선택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통 상향링크 제어채널 선택 장치(3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10), 메모리(320) 및 저장 장치(3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공통 상향링크 제어채널 선택 장치(300)는 기지국에 탑재되거나 포함되어 단말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별도로 위치하여 기지국과 연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단말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프로세서(310)는 메모리(320) 및/또는 저장 장치(330)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program command)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310)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그래픽 처리 장치(graphics processing unit, GPU) 또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들이 수행되는 전용의 프로세서를 의미할 수 있다. 메모리(320)와 저장 장치(330)는 휘발성 저장 매체 및/또는 비휘발성 저장 매체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320)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 및/또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로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320)는 프로세서(310)를 통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단말이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빔으로부터 제1 통신 품질 파라미터 및 제2 통신 품질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공통 상향링크 제어채널의 정보를 수신하는 명령, 적어도 하나의 빔 중 제1 통신 품질 파리미터가 문턱값(threshold)을 초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빔을 추출하는 명령 및 추출한 적어도 하나의 빔 중 제2 통신 품질 파라미터가 가장 높은 하나의 빔의 공통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선택하는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선택한 공통 상향링크 제어채널의 정보를 빔 스케쥴러에 제공하는 명령 및 제1 통신 품질 파라미터가 문턱값을 초과하는 빔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공통 상향링크 제어채널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정보를 빔 스케줄러에 제공하는 명령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통신 품질 파라미터는, RSRQ(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통신 품질 파라미터는, 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통 상향링크 제어채널 선택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통 상향링크 제어채널 선택 장치는 공통 상향링크 제어채널의 선택을 위해 단말이 전송하는 복수의 빔으로부터 RSRQ(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 값 및 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값을 포함하는 공통 상향링크 제어채널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410).
공통 상향링크 제어채널 선택 장치는 수신한 공통 상향링크 제어채널의 정보 중 RSRQ 값이 문턱값(threshold)을 초과하는 빔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으며(S420), RSRQ 값이 문턱값을 초과하는 빔이 복수개인 경우, RSRQ 값이 문턱값을 초과하는 빔 중 RSRP 값이 가장 큰 빔의 공통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선택할 수 있다(S430). 여기서, 문턱값은 사용자 또는 관리자에 의해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또한, 공통 상향링크 제어채널 선택 장치는 선택한 공통 상향링크 제어채널의 정보를 빔 스케쥴러에 제공할 수 있다(S440).
다만, 공통 상향링크 제어채널 선택 장치는 RSRQ 값이 문턱값을 초과하는 빔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공통 상향링크 제어채널이 없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S450).
따라서, 공통 상향링크 제어채널 선택 장치는 상술한 방법에 따라 공통 상향링크 제어채널 선택에 일정한 문턱값을 적용함으로써 수신되는 제어정보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과 같이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은 컴파일러(compiler)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interpreter)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측면들은 장치의 문맥에서 설명되었으나, 그것은 상응하는 방법에 따른 설명 또한 나타낼 수 있고, 여기서 블록 또는 장치는 방법 단계 또는 방법 단계의 특징에 상응한다. 유사하게, 방법의 문맥에서 설명된 측면들은 또한 상응하는 블록 또는 아이템 또는 상응하는 장치의 특징으로 나타낼 수 있다. 방법 단계들의 몇몇 또는 전부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프로세서, 프로그램 가능한 컴퓨터 또는 전자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 장치에 의해(또는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몇몇의 실시예에서, 가장 중요한 방법 단계들의 하나 이상은 이와 같은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프로그램 가능한 로직 장치(예를 들어, 필드 프로그머블 게이트 어레이)가 여기서 설명된 방법들의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필드 프로그머블 게이트 어레이는 여기서 설명된 방법들 중 하나를 수행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와 함께 작동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방법들은 어떤 하드웨어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300: 공통 상향링크 제어채널 선택 장치
310: 프로세서 320: 메모리
330: 저장 장치

Claims (1)

  1. 밀리미터파를 이용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공통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선택하는 방법으로서,
    단말이 전송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빔으로부터 제1 통신 품질 파라미터 및 제2 통신 품질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공통 상향링크 제어채널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빔 중 상기 제1 통신 품질 파리미터가 문턱값을 초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빔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한 적어도 하나의 빔 중 제2 통신 품질 파라미터가 가장 높은 하나의 빔의 공통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통 상향링크 제어채널 선택 방법.
KR1020180032872A 2018-03-21 2018-03-21 공통 상향링크 제어채널 선택 방법 및 장치 KR201901108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2872A KR20190110875A (ko) 2018-03-21 2018-03-21 공통 상향링크 제어채널 선택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2872A KR20190110875A (ko) 2018-03-21 2018-03-21 공통 상향링크 제어채널 선택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0875A true KR20190110875A (ko) 2019-10-01

Family

ID=68207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2872A KR20190110875A (ko) 2018-03-21 2018-03-21 공통 상향링크 제어채널 선택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1087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6253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reference signal channel characteristics, and communication device
US20230388030A1 (en) Information sending and receiving method and device, storage medium and processor
US11284246B2 (en) Uplink transmission method, uplink transmission configuration method, user equipment and base station
EP3780847A1 (en) Communication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WO2019214682A1 (zh) 通信方法及装置
US1171181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uplink signal,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uplink signal
US11088748B2 (en) Multi-band beam codebook design and operations
US20170289917A1 (en) Dynamic time division duplex interference mitigation in a wireless network
CN112368948A (zh) 多trp码本
CN103250356B (zh) 一种用于执行外环链路自适应操作的方法和设备
US11438041B2 (en) Methods and devices for reduc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feedback overhead
US11764839B2 (en) Cell-free massive MIMO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same
US20180175992A1 (en) A Wireless Device, A Radio Network Node, And Methods Therein
CN111082905B (zh) 信息接收、发送方法及装置
JP6663256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管理装置
KR20200105895A (ko) 빔 선택 우선 순위
WO2020164027A1 (en) Beam selection of multi-trp
CN115053464B (zh) 多个传输点下的波束选择
KR20190110875A (ko) 공통 상향링크 제어채널 선택 방법 및 장치
CN112956133B (zh) 虚拟化有源天线系统(aas)中的端口到天线映射设计
WO2021022556A1 (en) Beam alignment
WO2022141050A1 (en) Method,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of communication
US11588525B2 (en) Adaptive co-phasing for beamforming using co-phasing matrices for wireless communications
KR20240047695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간 교차 링크 간섭을 측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N117220732A (zh) 一种波束管理方法和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