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0847A - 구조물 모니터링을 위한 통합 미들웨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구조물 모니터링을 위한 통합 미들웨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0847A
KR20190110847A KR1020180032805A KR20180032805A KR20190110847A KR 20190110847 A KR20190110847 A KR 20190110847A KR 1020180032805 A KR1020180032805 A KR 1020180032805A KR 20180032805 A KR20180032805 A KR 20180032805A KR 20190110847 A KR20190110847 A KR 201901108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unit
measuring device
logger
monito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28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순성
이강문
남동우
이정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제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제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제이텍
Priority to KR10201800328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10847A/ko
Publication of KR201901108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08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9/00Recording measured values
    • G01D9/02Producing one or more recordings of the values of a single vari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bugging And Monito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물의 모니터링을 위한 통합 미들웨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모니터링 대상 구조물에 장착되는 복수의 계측기기 또는 데이터로거에 연결되어 각 계측기기 또는 데이터로거별 고유의 통신 방식에 맞춰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한 데이터를 설정된 통합 전송 프로토콜 형식으로 가공하는 데이터취합부; 상기 데이터취합부에서 통합 전송 프로토콜 형식으로 가공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분류 저장하며, 계측기기 또는 데이터로거의 추가에 따른 확정성을 갖도록 복수의 저장공간이 구비되는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와 연결되어 관리자가 요구하는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서 조회하고, 조회된 데이터를 제공하는 데이터제공부; 및 상기 데이터제공부에서 제공되는 데이터를 표시하는 모니터링부;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구조물 모니터링을 위한 통합 미들웨어 시스템{integrated middleware system for monitoring of structures}
본 발명은 교량 등의 구조물에 설치되는 복수의 계측기기 및 복수의 데이터로거와 연결되어 상기 계측기기 및 데이터 로거의 데이터를 통합적으로 취합하고 이 과정에서 획득되는 다양한 처리 데이터를 제공하며 이를 관리자가 용이하게 인지할 수 모니터링할 수 있는 구조물 모니터링을 위한 통합 미들웨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교량 등 구조물의 구조적 성능 문제 발생 시 초기에 경고하며, 유사 구조물의 설계, 시공 및 유지관리를 위한 정보제공을 목적으로 설치되는 계측 시스템(SHMS,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System)은 현재 설계 당시부터 반영되는 추세이다.
국내 현장에 적용되고 있거나 현장 적용을 위해 개발된 모든 계측 시스템은 신호기반 알고리즘으로 구분할 수 있다. SI(system identification) 기법에 관한 연구로는 뉴럴 네트워크 기법에 의한 손상 평가(Neural Network based damage assessment), 상시 진동 측정을 통한 교량 상태평가(ambient vibration based bridge rating), 하이브리드 상태평가 모니터링 기법(hybrid SHM technique) 등이 있다. 특히 뉴럴 네트워크 기법을 사용한 구조물 평가 및 손상진단에 대한 알고리즘은 대학교를 중심으로 연구용으로 활발히 적용되고 있다.
USN 센서 방식 모니터링은 구조물의 센서유닛에서 획득된 데이터를 무선(ZigBee)으로 주제어장치로 전송하고 CDMA를 통해 데이터서버로 전송하는 방식의 모니터링 사례와, ZigBee 무선 통신 방식의 모니터링과 기존 시스템과의 비교 사례가 있지만 아직까지는 연구단계 이다.
일 예로 전국 국도상 케이블교(현수교, 사장교 한정)의 모니터링시스템은 기존의 국도 관리사무소 업무를 2009년 통합하여 한국시설안전공단과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에서 위탁관리하는 일반국도 케이블교 통합유지관리센터의 구축을 진행하고 있으며, 국도상 케이블교 설계에 대하여 유지관리 자문을 수행하고 있다.
장경간 케이블교량용 계측 시스템의 개발은 해당 시스템을 구축하는 전문업체들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다. 전문업체들의 경우 계측 시스템을 구축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문제들을 개선하는 형태로 계측 시스템을 발전시키고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전문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고 할 수 없다. 그리고 정부, 공사 및 전문 연구기관에서도 계측시스템의 개발에 지속적인 투자를 하지 않고 있어 체계적인 연구 인프라가 부족한 수준이다.
현재 국내에서는 서해대교, 영종대교, 인천대교, 광안대교 등 서남해안을 중심으로 국도 상에 약 30여개의 케이블교량이 공용 중에 있으며, 이들 교량 대부분은 별도의 유지관리 체계를 갖추고 계측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 교량에 설치 및 운영되고 있는 국내외 계측기기(계측 센서, 데이터로거)와 계측 시스템의 대부분이 교량별 특성에 따라 상이하게 설치 및 운영되고 있어, 관리자에 의한 신규 항목의 추가 확장이 사실상 어려운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로 인해, 계측기기의 증설 또는 교체 시 모니터링 프로그램의 내부 소스코드를 수정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이에 따른 계측 데이터의 손실, 프로그램 추가 개발 시간 및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계측기기가 추가되거나, 계측기기의 정보가 변경되는 경우 관리자가 직접 작업을 수행하기가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114439호(2012.10.17.)
본 발명의 목적은 교량 등의 구조물에 설치되는 복수의 계측기기 및 복수의 데이터로거와 연결되어 상기 계측기기 및 데이터 로거의 데이터를 통합적으로 취합하고 이 과정에서 획득되는 다양한 처리 데이터를 제공하며 이를 관리자가 용이하게 인지할 수 모니터링할 수 있는 구조물 모니터링을 위한 통합 미들웨어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함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조물 모니터링을 위한 통합 미들웨어 시스템은, 모니터링 대상 구조물에 장착되는 복수의 계측기기 또는 데이터로거에 연결되어 각 계측기기 또는 데이터로거별 고유의 통신 방식에 맞춰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한 데이터를 설정된 통합 전송 프로토콜 형식으로 가공하는 데이터취합부; 상기 데이터취합부에서 통합 전송 프로토콜 형식으로 가공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분류 저장하며, 계측기기 또는 데이터로거의 추가에 따른 확정성을 갖도록 복수의 저장공간이 구비되는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와 연결되어 관리자가 요구하는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서 조회하고, 조회된 데이터를 제공하는 데이터제공부; 및 상기 데이터제공부에서 제공되는 데이터를 표시하는 모니터링부;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는, 실시간 데이터를 저장하는 실시간 로우 데이터 저장부와 통계 및 분석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통계 데이터 저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실시간 로우 데이터 저장부 및 통계 데이터 저장부가 계측기기 또는 데이터로거의 추가에 따라 추가된 계측기기 또는 데이터로거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을 자동 할당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모니터링부는, 표시단말을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제공부에서 제공되는 데이터를 상기 표시단말에 적합한 형태로 가공하여 표시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데이터취합부는, 상기 계측기기 또는 데이터로거 사이의 연결 상태를 체크하고, 상기 계측기기 또는 데이터로거의 기본 정보와 상태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로 송신하며, 상기 모니터링부는, 표시단말을 통해 상기 계측기기 또는 데이터로거의 기본 정보 및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기본 정보는 계측기기 또는 데이터로거의 이름, 경간이름, 시리얼넘버, 설치위치, 설치이정, 계산방법설명, 기준 EL 및 가격 정보을 포함하며, 상기 상태 정보는 계측기기 또는 데이터로거의 동작, 전력감도 및 통신감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구조물 모니터링을 위한 통합 미들웨어 시스템은 교량 등의 구조물에 설치되는 복수의 계측기기 및 복수의 데이터로거와 연결되어 상기 계측기기 및 데이터 로거의 데이터를 통합적으로 취합하고 이 과정에서 획득되는 다양한 처리 데이터를 제공하며 이를 관리자가 용이하게 인지할 수 모니터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계측기기 또는 데이터 로거의 철거, 교체, 추가 등과 같은 문제가 발생했을 때 개발자의 도움 없이 관리자가 용이하게 작업을 시행할 수 있도록 지원함은 물론 구조물의 계측 업무에서 발생되는 계측 데이터의 증가, 계측기기의 변경 등의 문제에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구조물 모니터링을 위한 통합 미들웨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구조물 모니터링을 위한 통합 미들웨어 시스템의 신호처리도.
도 3은 도 2의 통신 연결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순서도.
도 4 내지 도 11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표시 화면을 통해 표시되는 모니터링 화면.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구조물 모니터링을 위한 통합 미들웨어 시스템은 교량 등의 구조물에 설치되는 복수의 계측기기와 복수의 데이터로거와 연결되어 상기 계측기기 및 데이터 로거의 데이터를 통합적으로 취합하고 이 과정에서 획득되는 처리 데이터를 제공하며 이를 용이하게 모니터링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구조물 모니터링을 위한 통합 미들웨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구조물 모니터링을 위한 통합 미들웨어 시스템은 데이터취합부(100)와 데이터베이스부(200)와 데이터제공부(300) 및 모니터링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취합부(100)는 교량과 같은 모니터링 대상 구조물에 설치되는 계측기기(1) 또는 계측기기(1)의 계측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 구비되는 데이터로거(2)와 연결된다.
상기 데이터취합부는(100)는 각 계측기기(1) 또는 데이터로거(2)별 고유의 통신 방식에 맞춰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으며, 상기 계측기기(1) 또는 데이터로거(2)로부터 수집되는 신호를 내부 버퍼에 임시로 보관하고, 이 데이터를 기정의된 통합 전송 프로토콜(RDEP, Realtime Data Exchange Protocol) 형식으로 가공한 후 상기 데이터베이스부(200)로 전송한다.
여기서 계측기기(1) 중 통합 전송 프로토콜(RDEP)이 내장되어 있는 계측기기(예를 들어, NI-cRIO)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는 데이터취합부(100)에서 별도의 데이터 처리 과정을 거치지 않고 바로 데이터베이스부(200)로 전송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데이터취합부(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취합모듈(110)과 드라이버모듈(120) 및 데이터관리모듈(1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취합모듈(110)은 상기 드라이버모듈(120)과 연동하여 드라이버모듈(120)에 드라이버가 설치된 계측기기(1) 또는 데이터로거(2)와 통신 경로를 형성할 수 있으며, 형성된 통신 경로를 통해 상기 계측기기(10) 또는 데이터로거(2)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취합모듈(110)은 수집한 데이터를 통합 전송 프로토콜(RDEP) 형식으로 가공할 수 있다.
상기 드라이버모듈(120)은 새로운 계측기기(1)나 데이터로거(2)와 같은 장치에 대한 드라이버가 설치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입력된 드라이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드라이버모듈(120)은 설정된 주기에 따라 기설치된 드라이버를 업데이트할 수 있으며, 업데이트 시 새로운 장치의 드라이버를 선택적으로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데이터관리모뮬(130)은 상기 데이터취합부(100)와 계측기기(1)나 데이터로거(2)와 같은 장치 사이의 연결 상태를 체크하고, 장치의 기본 정보 및 상태를 체크한다.
이때 상기 기본 정보는 장치의 이름, 경간이름, 시리얼넘버, 설치위치, 설치이정, 계산방법설명, 기준 EL, 가격 등일 수 있다. 장치의 상태는 계측기기(1) 또는 데이터로거(2)의 동작이나 통신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상기 데이터관리모듈(130)은 가공된 통합 전송 프로토콜(RDEP) 형식의 데이터를 신호 처리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부(200)로 전송한다.
한편 상기 데이터베이스부(200)는 계측결과 저장을 위한 통합 데이터베이스로서, 상기 데이터취합부(100)에서 통합 통신 프로토콜 형식으로 가공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분류 저장하며, 계측기기 또는 데이터로거의 추가에 따른 확정성을 갖도록 복수의 저장공간을 구비한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부(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간 데이터를 저장하는 실시간 로우 데이터 저장부(210)와 통계 및 분석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통계 데이터 저장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데이터관리모듈(130)은 상기 데이터취합모듈(110)에서 가공된 실시간 데이터를 신호 처리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200)의 실시간 로우 데이터 저장부(210)로 출력한다. 이때, 신호 처리는 이상 신호 제거, 트리거링(Triggering), 로우 데이터 파일 저장, 리 샘플링(Re-Sampling)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관리모듈(130)은 실시간 로우 데이터 저장부(210)에 저장된 데이터를 신호 처리하여 통계 데이터 저장부(220)로 출력한다. 이때, 신호 처리는 계측기기(1)별로 설정된 주기 동안 데이터를 통계하기, 스팩트럼 분석하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즉, 상기 데이터관리모듈(130)은 계측기기(1)별로 실시간 로우 데이터 저장부(210)의 데이터를 통계 처리할 수 있으며, 설정된 주기 단위로 실시간 로우 데이터 저장부(210)의 데이터를 통계 처리할 수 있다. 이때, 설정된 주기는 계측기기(1)별로 다를 수 있다.
상기 실시간 로우 데이터 저장부(210) 및 통계 데이터 저장부(220)는 계측기기(1)나 데이터로거(2)가 추가될 때마다 추가된 계측기기(1)나 데이터로거(2)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을 자동 할당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추가되는 계측기기(10)나 데이터로거(2)와 같은 장치에 대한 데이터 확장성을 갖출 수 있다.
상기 데이터제공부(300)는 상기 데이터베이스(200)와 연결되어 관리자가 요구하는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부(200)에서 조회하고, 조회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따.
상기 모니터링부(400)는 표시단말(410)을 포함하고 있으며, 관리자의 데이터 요청 명령을 입력하거나 상기 데이터제공부(300)에서 제공되는 데이터를 상기 표시단말(410)에 적합한 형태로 가공하여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표시단말(410)은 웹 서비스 기반의 컴퓨터, 웹 어플리케이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중 하나일 수 있다.
관리자가 실시간 데이터, 관제 화면에 표시할 데이터, 실시간 분석/저장된 데이터 등과 같은 데이터를 요구할 경우, 상기 데이터제공부(300)는 데이터베이스부(200) 중 실시간 로우 데이터 저장부(210)를 조회하여 해당 데이터를 관리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관리자가 통계 데이터, 계측기기 정보 및 계산식 관리 정보, 분석 데이터, 보고서 조회 데이터, 이벤트 및 경보 조회 데이터, 로우 데이터 파일 분석 데이터 등과 같은 데이터를 요구할 경우, 상기 데이터제공부(300)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부(200) 중 통계 데이터 저장부(220)를 조회하여 해당 데이터를 관리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데이터 관리부(130)는 어느 계측기기(10)의 데이터 중 일정 주기동안 취합된 데이터에 하나의 Block No를 부여하여 개방형 통합 데이터베이스(200)에 저장할 수 있으며, 관리자 측에서 데이터를 요청할 경우 데이터제공부(300)는 요청한 데이터의 Block No를 분석하여 응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실시간 데이터와 통계 데이터를 분리하여 저장함으로써, 관리자의 요구에 적합한 데이터를 검색하는 시간이 단축되어 데이터 처리 성능을 높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구조물 모니터링을 위한 통합 미들웨어 시스템의 신호처리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데이터취합모듈(110)은 상기 드라이버모듈(120)과 연동하여 계측기기(1) 또는 데이터로거(2) 등의 장치와 통신 경로를 형성한다(S410).
그리고 형성된 통신 경로를 통해 연결된 장치의 데이터를 수집한다(S420).
상기 데이터취합모듈(110)은 수집된 데이터를 설정된 통합 전송 프로토콜 형식의 데이터로 가공하고(S430), 상기 데이터관리모듈(130)은 통합 전송 프로토콜 형식으로 가공된 실시간 데이터를 실시간 로우 데이터 저장부(210)로 전송하며 실시간 로우 데이터 저장부(210)는 실시간 데이터를 저장한다(S440).
그리고 상기 데이터관리모듈(130)은 계측기기(1) 또는 데이터로거(2) 마다 정해진 주기별로 실시간 로우 데이터 저장부(210)에 저장된 데이터를 통계 처리하여 통계 데이터 저장부(220)로 출력하고(S450), 통계 데이터 저장부(220)는 통계 처리된 데이터를 저장한다(S460).
상기 데이터제공부(300)는 모니터링부(400)를 통해 관리자로부터 데이터 요청이 입력되면(S470), 관리자가 요구하는 데이터를 실시간 로우 데이터 저장부(210) 또는 통계 데이터 저장부(220) 에서 선택적으로 조회한다(S480).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데이터제공부(300)는 관리자가 모니터링부(400)를 통해 요청한 데이터가 실시간 데이터, 관제 화면에 표시할 데이터, 실시간 분석/저장된 데이터 중 어느 하나의 데이터인 경우, 통합 데이터 제공부(300)는 실시간 로우 데이터 저장부(210)를 조회한다.
그러나 상기 데이터제공부(300)는 모니터링부(400)를 통해 관리자가 요청한 데이터가 통계 데이터, 계측기기(1)나 데이터로거(2) 정보 및 계산식 관리 정보, 분석 데이터, 보고서 조회 데이터, 이벤트 및 경보 조회 데이터, 로우 데이터 파일 분석 데이터 중 어느 하나의 데이터인 경우, 통계 데이터 저장부(220)를 조회한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제공부(300)는 조회된 데이터를 상기 모니터링부(400)로 제공한다(S490).
이후, 상기 모니터링부(400)는 상기 데이터제공부(300)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를 표시단말(410)에 적합한 형태 예를 들면, GUI(graphical user interface)환경으로 가공하여 상기 표시단말(410)을 통해 표시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실시간 데이터와 통계 데이터를 분리하여 저장함으로써, 관리자의 요구에 적합한 데이터를 검색하는 시간이 단축되어 데이터 처리 성능을 높일 수 있으며, 실시간 로우 데이터 저장부(210) 및 통계 데이터 저장부(220)가 계측기기(10) 또는 데이터로거(2)가 추가될 때마다 추가된 계측기기(10) 또는 데이터로거(2)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을 자동 할당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추가되는 계측기기(10) 또는 데이터로거(2)에 대한 데이터 확장성을 갖출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다양한 계측기기(1) 또는 데이터로거(2)로부터 데이터를 취합할 수 있는 데이터취합부(100)를 포함하고 있어 서로 다른 종류의 계측기기(1) 또는 데이터로거(2)의 통합 활용이 가능하다. 서로 다른 종류의 계측기기(1) 또는 데이터로거(2)의 데이터를 통합 수신함으로써, 구조물마다 별도의 소프트웨어 개발이 필요하지 않으며, 계측기기(1) 또는 데이터로거(2)의 설치 및 테스트 기간 및 데이터 안정화 기간이 단축될 수 있고 운영 및 관리 비용 감소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통신 연결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데이터관리모듈(130)은 계측기기(1) 또는 데이터로거(2)로 기본 정보를 요청한다(S510).
이때, 상기 기본 정보는 계측기기(1) 또는 데이터로거(2)의 이름, 경간이름, 시리얼넘버, 설치위치, 설치이정, 계산방법설명, 기준 EL, 가격 등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관리모듈(130)은 계측기기(1) 또는 데이터로거(2)로부터 기본정보를 수신한다(S520).
이때, 상기 데이터관리모듈(130)은 계측기기(1) 또는 데이터로거(2)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계측기기(1) 또는 데이터로거(2)의 기본 정보 외에 계측기기(1) 또는 데이터로거(2)의 상태를 파악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계측기기(1) 또는 데이터로거(2)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의 수신 강도가 설정된 수신 강도보다 낮은 경우 계측기기(1) 또는 데이터로거(2)의 전력이나 통신에 문제가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계측기기(1) 또는 데이터로거(2)가 정상적으로 동작한다고 판단되면(S530), 상기 데이터관리모듈(130)은 상ㄱ 데이터취합모듈(110)로 통신 개시 신호를 전송한다(S540).
상기 데이터취합모듈(110)은 통신 개시 신호가 전달된 계측기기(1) 또는 데이터로거(2)에 대응되는 드라이버가 드라이버모듈(120)에 저장되어 있는지 판단한다(S550).
드라이버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데이터취합모듈(110)은 계측기기(1) 또는 데이터로거(2)와 통신 경로를 형성한다(S560).
그러나, 드라이버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드라이버모듈(120)은 업데이트를 실시하여 새로운 계측기기(1) 또는 데이터로거(2)에 대응되는 드라이버를 설치한다(S570).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새로운 계측기기(1) 또는 데이터로거(2)에 대한 드라이버를 드라이버모듈(120)이 선택적, 정기적으로 업데이트함으로써, 개발자의 도움없이 계측기기(1) 또는 데이터로거(2)의 변경, 교체가 불가능하였던 기존 개발자 중심의 계측 시스템 환경을 관리자 중심의 계측 시스템 환경으로 전환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표시 화면을 통해 표시되는 모니터링 화면이다.
이하에서는 상기 데이터제공부(300)에서 제공되는 데이터와 이 데이터를 모니터링부(400)의 GUI(graphical user interface)환경을 통해 표시되는 화면을 설명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데이터제공부(300)는 관리자의 데이터 요청에 따라 구조물에 설치되는 다양한 계측기기(1) 또는 데이터로거(2)의 목록과 기본 정보 및 상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모니터링부(400)의 표시화면(410)을 통해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표시화면(410)을 통해 선택된 계측기기(1) 또는 데이터로거(2)의 취합 시작, 중단, 종료 등 취합 과정를 표시할 수 있으며, 상기 기본 정보 및 상태 정보와 더불어 실시간 로우데이터 정보를 통해 계측기기(1) 또는 데이터로거(2)의 통신 ip 정보, 접속 정보, 신호 수신 정보, 통합 전송 프로토콜 가공 진행 정보, 미들웨어 접속대기/전송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제공부(300)는 정적 데이터로거(예를 들면, CRX)에 대한 데이터 취합 프로세서를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모니터링부(400)의 표시화면(410)을 통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거 장비 연결 상태, 데이터 수신 형식 가공 상태, 정적 미들웨어 형식 데이터 파일 저장 상태 등을 제공 및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정적 데이터로거(2)에서 수신한 신호를 통합 데이터 파일 형식으로 가공 저장할 수 있으나, 로거 자체에서 통합 파일 형식을 지원하는 경우 별도 연결이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도 7 내지 도 11은 동적 또는 정적 미들웨어에 대한 통합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표시 화면에 관한 것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적 또는 정적 미들웨어의 전반적인 상태와 장치 알람, 장치별 상태를 리스트화하여 표시단말(410)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각 취합 Process 및 로거 목록, 각 취합 Process 별 연결 채널 리스트, 각 취합 Process Online 상태, 일반 정보, 오류 메시지 등 취합 과정에 발생할 수 있는 메시지 표시, 취합 시작 및 중단 표시, 취합 진행률 표시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표시단말(410)에서는 도 8에서와 같이 동적 또는 정적 미들웨어에 대하여 통계 데이터 조회 화면을 표시할 수 있으며, 동적 또는 정적 미들웨어가 신호를 수집하여 통계 처리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 결과를 간단히 조회할 수 있다. 주로 데이터 취합 상태 확인용으로 사용하고 분석을 위한 각 계측기기(1)별 특성화된 조회는 별도의 조회 소프트웨어를 이용할 수 있다.
이 표시화면을 이용하여 조회 대상 계측기기(채널) 선택, 조회 기간 선택, 조회 실행 등의 관리자 명령을 입력할 수 있으며, 조회 결과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부(200)로부터 조회되는 데이터의 표시는 물론 시간별 최대/최소/평균/RMS/STDV/첨도/왜도 조회와 그 결과 데이터를 표시함에 있어 결과 데이터를 가공하여 차트 또는 표 등으로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적 또는 정적 미들웨어 계측기기 정보 메뉴를 표시할 수 있는 바, 동적 또는 정적 미들웨어에 연결된 로거의 계측기기의 정보를 표시하면서 계측기기의 일반정보와 계산식 관련 정보, 트리거링 필터링 정보 등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이 표시화면을 이용하여 계측기기를 선택할 수 있으며, 선택에 계측기기의 이름, 배치구역, 연결 로거, 로거 인덱스, 최종취합일, 상태 정보 등을 표시하고, 계산팩터, Offset, 초기치, 취합 주파수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트리거 기준 표시 및 필터링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0은 동적 또는 정적 미들웨어 로거 정보 표시 화면으로, 동적 또는 정적 미들웨어에 연결된 로거, 취합 Process의 정보를 조회 및 관리할 수 있다. 이 표시화면을 통해 선택된 로거 이름(취합 Process 이름), 종류, 최종 취합 시간, 취합 여부 와 결정, 통신 IP주소, 장비 시리얼 넘버, 통신 포트 등을 표시할 수 있으며, 이를 통신 상태 체크하고, 선택적으로 정보를 수정할 수도 있다.
도 11은 동적 또는 정적 미들웨어 실시간 데이터 조회 화면을 표시하는 화면으로, 동적 또는 정적 미들웨어에서 수집하고 있는 계측기기의 실시간 신호를 확인할 수 있다. 이 표시화면에서는 조회 대상 계측기기를 선택할 수 있으며, 실시간 계측기기의 신호(Rawdata), 실시간 계측기기의 계산 결과, FFT 변환 결과 등을 표시하고, 축 크기의 조정, 임시 필터링을 차트 가공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100 : 데이터취합부 110 : 데이터취합모듈
120 : 드라이버부 130 : 데이터관리부
200 : 데이터베이스부 210 : 실시간 로우 데이터 저장부
220 : 통계 데이터 저장부 300 : 데이터제공부
400 : 모니터링부 410 : 표시단말

Claims (5)

  1. 모니터링 대상 구조물에 장착되는 복수의 계측기기 또는 데이터로거에 연결되어 각 계측기기 또는 데이터로거별 고유의 통신 방식에 맞춰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한 데이터를 설정된 통합 전송 프로토콜 형식으로 가공하는 데이터취합부;
    상기 데이터취합부에서 통합 전송 프로토콜 형식으로 가공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분류 저장하며, 계측기기 또는 데이터로거의 추가에 따른 확정성을 갖도록 복수의 저장공간이 구비되는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와 연결되어 관리자가 요구하는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서 조회하고, 조회된 데이터를 제공하는 데이터제공부; 및
    상기 데이터제공부에서 제공되는 데이터를 표시하는 모니터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모니터링을 위한 통합 미들웨어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는,
    실시간 데이터를 저장하는 실시간 로우 데이터 저장부와 통계 및 분석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통계 데이터 저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실시간 로우 데이터 저장부 및 통계 데이터 저장부가 계측기기 또는 데이터로거의 추가에 따라 추가된 계측기기 또는 데이터로거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을 자동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모니터링을 위한 통합 미들웨어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부는,
    표시단말을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제공부에서 제공되는 데이터를 상기 표시단말에 적합한 형태로 가공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모니터링을 위한 통합 미들웨어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취합부는,
    상기 계측기기 또는 데이터로거 사이의 연결 상태를 체크하고, 상기 계측기기 또는 데이터로거의 기본 정보와 상태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로 송신하며,
    상기 모니터링부는,
    표시단말을 통해 상기 계측기기 또는 데이터로거의 기본 정보 및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모니터링을 위한 통합 미들웨어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정보는 계측기기 또는 데이터로거의 이름, 경간이름, 시리얼넘버, 설치위치, 설치이정, 계산방법설명, 기준 EL 및 가격 정보을 포함하며, 상기 상태 정보는 계측기기 또는 데이터로거의 동작, 전력감도 및 통신감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구조물 모니터링을 위한 통합 미들웨어 시스템.
KR1020180032805A 2018-03-21 2018-03-21 구조물 모니터링을 위한 통합 미들웨어 시스템 KR201901108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2805A KR20190110847A (ko) 2018-03-21 2018-03-21 구조물 모니터링을 위한 통합 미들웨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2805A KR20190110847A (ko) 2018-03-21 2018-03-21 구조물 모니터링을 위한 통합 미들웨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0847A true KR20190110847A (ko) 2019-10-01

Family

ID=68207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2805A KR20190110847A (ko) 2018-03-21 2018-03-21 구조물 모니터링을 위한 통합 미들웨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1084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3257B1 (ko) * 2021-09-29 2022-06-27 주식회사 휴랜 범용성과 확장성을 갖는 건설현장의 스마트 안전관리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14439A (ko) 2011-03-25 2012-10-17 한국유지관리 주식회사 유에스엔 기반 지능형 교량 모니터링 및 안전성 평가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14439A (ko) 2011-03-25 2012-10-17 한국유지관리 주식회사 유에스엔 기반 지능형 교량 모니터링 및 안전성 평가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3257B1 (ko) * 2021-09-29 2022-06-27 주식회사 휴랜 범용성과 확장성을 갖는 건설현장의 스마트 안전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65012B2 (ja) データフロー制御装置およびデータフロー制御方法
CN105308576A (zh) 确定和监测计算机资源服务的性能能力
US7912586B2 (e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enhanced remote communication protocol for controlling multi-type air conditioners
KR101337619B1 (ko) 통합 관제 시스템 및 통합 관제 방법
US2012016649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stablishing database and processing user interface for monitoring building information in remote building control system
US2011015307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tributing and monitoring robot application and robot driven thereby
JP2013148962A (ja) サービス員派遣支援装置、サービス員派遣支援方法及びサービス員派遣支援プログラム
CN110059939A (zh) 一种风险检测方法及装置
CN113196261B (zh) 数据检索装置及其数据检索方法和程序、边缘服务器及其程序
EP3327638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system, method, and program for notifying a malfunctioning apparatus
JP2016146020A (ja) データ分析システム及び分析方法
KR20190110847A (ko) 구조물 모니터링을 위한 통합 미들웨어 시스템
JP5066222B2 (ja) ネットワーク解析支援装置、ネットワーク解析支援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076708B1 (ko) 구조물 모니터링을 위한 계측설비의 자가진단 시스템
KR101811532B1 (ko) 복수 설비 자주보전 시스템
CN107133189B (zh) 用于机器仪器的隔离通信结构
KR102302916B1 (ko) IoT 센서정보 관제 시스템 및 방법
KR101612388B1 (ko) 교량 유지/관리를 위한 관리자 중심 확장형 계측 시스템
JP2018156373A (ja) 設備保全情報管理システム及び設備保全情報管理方法
JPWO2016190434A1 (ja) ショベル支援装置
KR102506224B1 (ko) 스마트팩토리를 위한 근로자 주도 서비스 시스템
EP3979022B1 (en) Remote monitoring system and remote monitoring method
KR101439907B1 (ko) 구조물의 진동 제어를 위한 통합 무선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651063B1 (ko)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위치인식 기반의 원격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KR102557382B1 (ko) 사물인터넷 기반 유동인구 전자설문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