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9965A - 조리 장치 - Google Patents

조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9965A
KR20190109965A KR1020180031709A KR20180031709A KR20190109965A KR 20190109965 A KR20190109965 A KR 20190109965A KR 1020180031709 A KR1020180031709 A KR 1020180031709A KR 20180031709 A KR20180031709 A KR 20180031709A KR 20190109965 A KR20190109965 A KR 201901099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ase
fastening frame
assembly
top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17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7890B1 (ko
Inventor
장병문
Original Assignee
(주)쿠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쿠첸 filed Critical (주)쿠첸
Priority to KR10201800317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7890B1/ko
Publication of KR201901099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99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78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78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0Tops, e.g. hot plates; Rings
    • F24C15/102Tops, e.g. hot plates; Rings electrically he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8Foundations or supports plates; Legs or pillars; Casings; Whe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6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 F24C7/067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on rang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68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 plates or analogous hot-plat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Induction Heating Cooking Devices (AREA)
  • Electric Stoves And Ranges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탑 플레이트 및 상기 탑 플레이트의 일면 상의 체결 프레임을 포함하는 상부 조립체, 및 상기 체결 프레임에 체결되는 베이스 및 상기 체결 프레임을 지지하도록 상기 베이스 상에 마련된 지지체를 포함하는 하부 조립체를 포함하는 조리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조리 장치 {Cooking apparatus}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조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조리 기기로서 전기 레인지(Electric Range)는 전기를 에너지원으로 하여 화구의 가열부를 구동함으로써 화구에 놓여진 피가열체를 가열하는 기기이다. 전기 레인지는 피가열체를 가열함으로써 용기에 담긴 음식을 조리하는 용도로 사용되기도 하며, 용기에 담긴 다양한 액체를 가열하는 용도로 사용되기도 한다. 이러한 전기 레인지는 피가열체가 놓이는 평판 형상의 강화 유리를 포함하며, 이러한 강화 유리를 전기 레인지 본체에 정렬 및 체결하는 과정을 거쳐 제조되고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부 조립체와 하부 조립체를 보다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는 조리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탑 플레이트 및 상기 탑 플레이트의 일면 상의 체결 프레임을 포함하는 상부 조립체, 및 상기 체결 프레임에 체결되는 베이스 및 상기 체결 프레임을 지지하도록 상기 베이스 상에 마련된 지지체를 포함하는 하부 조립체를 포함하는 조리 장치를 제공한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상기 탑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가 이격되도록 상기 체결 프레임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체결 프레임은 상기 지지체를 수용할 수 있는 그루브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체는 상기 그루브에 수용되어 상기 체결 프레임을 지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서로 반대된 제1 측벽 및 제2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체는 상기 제1 측벽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지지체 및 상기 제2 측벽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지지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체 및 상기 제2 지지체는 상기 베이스의 중심을 기준으로 비대칭적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제3 지지체 및 제4 지지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3 지지체의 상단의 높이는 상기 제4 지지체의 상단의 높이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체결 프레임은 하방으로 연장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체는 상기 돌출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체결 프레임은 상기 베이스의 측벽에 체결되고, 상기 체결 프레임은 제1 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베이스의 상기 측벽을 관통하고 상기 제1 관통홀에 연통하는 제2 관통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조리 장치에 의하면, 상부 조립체와 하부 조립체의 정렬 작업 시 상부 조립체의 탑 플레이트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나아가 상부 조립체와 하부 조립체가 오정렬된 상태로 체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조리 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상부 조립체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하부 조립체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상부 조립체가 하부 조립체에 지지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1의 Ⅳ - Ⅳ'에 따른 단면 사시도이다.
도 5는 상부 조립체가 하부 조립체에 지지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조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서, 도 6a는 하부 조립체의 평면도이고, 도 6b는 상부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7a는 도 6a 및 도 6b에 따른 조리 장치에 있어서, 상부 조립체와 하부 조립체가 오정렬(misalign)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b는 도 7a의 B 방향에서 바라본 조리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조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정렬된 상부 조립체 및 하부 조립체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b는 도 8a에 표시된 ⅧB 영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c는 도 8a에 표시된 ⅧC 영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a는 도 8a 내지 도 8c에 따른 조리 장치에 있어서, 상부 조립체와 하부 조립체가 오정렬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b는 도 9a의 ⅨB 영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c는 도 9a의 ⅨC 영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조리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상부 조립체와 하부 조립체가 정렬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조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 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이들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조리 장치(10)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상부 조립체(upper assembly, 100)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하부 조립체(lower assembly, 200)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조리 장치(10)는 상하로 체결되는 상부 조립체(100) 및 하부 조립체(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조립체(100)는 피가열체, 예를 들어 조리 용기가 안착되는 부분일 수 있고, 하부 조립체(200)는 상부 조립체(100)를 지지하며 조리 장치(10)의 구동을 위한 각종 장치, 예를 들어 가열 기기가 설치된 부분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조리 장치(10)는 전기적 원리를 이용해 상부 조립체(100) 상에 놓여진 피가열체를 가열하도록 구성된 전기 레인지일 수 있다.
상부 조립체(100)는 탑 플레이트(top plate, 110) 및 탑 플레이트(110)의 일면 상에 배치된 체결 프레임(120)을 포함할 수 있다.
탑 플레이트(110)는 그 상면에 놓여진 피가열체를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탑 플레이트(110)는 세라믹 글래스 등의 강화 유리로 구성되며, 평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탑 플레이트(110)는 투명 소재 또는 불투명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체결 프레임(120)은 탑 플레이트(110)의 하면 상에 배치되며, 하부 조립체(200)의 베이스(210)에 체결될 수 있다. 상부 조립체(100)와 하부 조립체(200)의 체결 시, 체결 프레임(120)의 제1 관통홀(140)은 하부 조립체(200)의 베이스(210)의 측벽에 마련된 제2 관통홀(230)에 정렬될 수 있고, 스크류와 같은 체결 부재가 상기 제1 관통홀(140) 및 제2 관통홀(230)에 수용되어 체결 프레임(120)과 하부 조립체(200)의 베이스(210)를 체결시키게 된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체결 프레임(120)은 탑 플레이트(110)의 가장자리들 각각에 적어도 1 개가 마련될 수 있고, 탑 플레이트(110)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하부 조립체(200)는 베이스(210) 및 체결 프레임(120)을 지지하도록 구성된 지지체(supporter, 22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210)는 탑 플레이트(110) 아래에 위치되며, 바닥면 및 바닥면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측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닥면 및 측벽에 의해 정의된 베이스(210)의 내부 공간에는,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않았으나, 가열 기기, 제어 기기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지지체(220)는 베이스(210) 상에 마련되어, 체결 프레임(120)을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지지체(220)는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베이스(210)의 둘레를 따라 복수의 지지체(220)가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지지체(220)는 베이스(210)의 측벽에 마련되며, 베이스(210)의 측벽으로부터 베이스(210)의 내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는, 도 3에 도시된 것과 다르게, 지지체(220)는 베이스(210)의 바닥면에 마련되며, 체결 프레임(120)을 접촉 지지하기에 적당한 높이를 가지도록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도 4는 상부 조립체(100)가 하부 조립체(200)에 지지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1의 Ⅳ - Ⅳ'에 따른 단면 사시도이다. 도 5는 상부 조립체(100)가 하부 조립체(200)에 지지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체결 프레임(120)은 지지체(220)가 수용될 수 있는 그루브(groove, 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조립체(100)는 베이스(210)에 마련된 복수의 지지체(220)에 대응하는 개수로 마련된 복수의 그루브(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그루브(130)는 상단으로부터 하단으로 좁아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상부 조립체(100)와 하부 조립체(200)의 체결은 상부 조립체(100)와 하부 조립체(200)의 정렬 작업, 및 정렬된 상부 조립체(100)와 하부 조립체(200)를 스크류와 같은 체결 부재로 체결하는 체결 작업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상부 조립체(100)와 하부 조립체(200)의 정렬 작업 시, 복수의 지지체들(220)은 복수의 그루브들(130) 각각에 수용되고, 체결 프레임(120)을 지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지지체(220)가 그루브(130)에 수용되었는지 여부의 확인을 통해, 상부 조립체(100)와 하부 조립체(200)의 오정렬 여부는 용이하게 확인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체(220)는 탑 플레이트(110)와 베이스(210)가 이격되도록 체결 프레임(120)을 지지할 수 있다. 즉, 탑 플레이트(110)는 체결 프레임(120) 및 지지체(220)의 접촉을 통해 지지되며, 베이스(210) 및/또는 지지체(220)에는 접촉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부 조립체(100)와 하부 조립체(200)의 정렬 작업 또는 체결 작업 시, 탑 플레이트(110)와 베이스(210) 간의 접촉이 방지될 수 있으므로, 탑 플레이트(110)와 베이스(210) 간의 접촉에 의해 탑 플레이트(110)에 스크래치 등의 표면 불량이 발생하거나 또는 탑 플레이트(110)가 파손되는 등의 문제가 방지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조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서, 도 6a는 하부 조립체(200a)의 평면도이고, 도 6b는 상부 조립체(100a)의 사시도이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하부 조립체(200a)는 베이스(210)의 측벽에 마련된 복수의 지지체들(221, 223)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베이스(210)는 대향하는 2쌍의 측벽들, 즉 서로 반대된 제1 및 제2 측벽들(210e1, 210e2)와, 서로 반대된 제3 및 제4 측벽들(210e3, 210e4)를 포함할 수 있고, 베이스(210)의 제1 내지 제4 측벽들(210e1, 210e2, 210e3, 210e4)에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지지체가 마련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복수의 지지체들(221, 223) 중 적어도 일부는 베이스(210)의 중심을 기준으로 비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210)의 중심은 제1 내지 제4 측벽들(210e1, 210e2, 210e3, 210e4)로부터 동일한 거리로 이격된 지점을 의미할 수 있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측벽(210e1)에 마련된 2 개의 제1 지지체들(221, 223)과 제2 측벽(210e2)에 마련된 2 개의 제2 지지체들(221)은 비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2 개의 제1 지지체들(221, 223) 중 제3 측벽(210e3)에 보다 인접한 제1 지지체(223)는 제3 측벽(210e3)로부터 제2 거리(D2)만큼 이격되지만, 다른 제1 지지체(211) 및 제2 지지체(221)들은 제3 측벽(210e3) 및 제4 측벽(210e4) 중 보다 인접한 일 측벽으로부터 제2 거리(D2)와 상이한 제1 거리(D1)로 이격될 수 있다. 이 때, 제2 거리(D2)는 제1 거리(D1)보다 클 수 있고, 또는 제1 거리(D1)보다 작을 수도 있다.
한편, 탑 플레이트(110)는 대향하는 2쌍의 가장자리들, 즉 서로 반대된 제1 및 제2 가장자리(110e1, 110e2)와, 서로 반대된 제3 및 제4 가장자리(110e3, 110e4)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부 조립체(100a)와 하부 조립체(200a)의 정상 정렬 시, 탑 플레이트(110)의 제1 내지 제4 가장자리들(110e1, 110e2, 110e3, 110e4)은, 각각 베이스(210)의 제1 내지 제4 측벽들(210e1, 210e2, 210e3, 210e4)에 대응될 수 있다.
상부 조립체(110a)는 탑 플레이트(110)의 제1 내지 제4 가장자리(110e1, 110e2, 110e3, 110e4)의 근방에 마련된 복수의 체결 프레임들(121, 123)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체결 프레임들(121, 123)은 그루브들(131, 133)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복수의 지지체들(221, 223) 의 비대칭적 배치에 대응하여, 상기 그루브들(131, 133)은 탑 플레이트(110)의 중심을 기준으로 비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제1 가장자리(110e1) 근방에 배치된 제1 체결 프레임들(121, 123)에 마련된 2개의 제1 그루브들(131, 133)과 제2 가장자리(110e2) 근방에 배치된 제2 체결 프레임들(121)에 마련된 2개의 제2 그루브들(131)은 비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제1 그루브들(131, 133) 중 제3 가장자리(110e3)에 보다 인접한 제1 그루브(133)는 제3 가장자리(110e3)로부터 제4 거리(D4)로 이격될 수 있으나, 다른 제1 그루브(131) 및 제2 그루브들(133)은 제3 가장자리(110e3) 및 제4 가장자리(110e4) 중 보다 인접한 일 가장자리로부터 제4 거리(D4)와 상이한 제3 거리(D3)로 이격될 수 있다.
도 7a는 도 6a 및 도 6b에 따른 조리 장치에 있어서, 상부 조립체(100a)와 하부 조립체(200a)가 오정렬(misalign)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b는 도 7a의 B 방향에서 바라본 조리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7a에 있어서, 설명의 편의상 탑 플레이트의 도시는 생략된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조립체(100a)와 하부 조립체(200a)의 정렬 작업 시, 상부 조립체(100a)를 정상 정렬 시와 다른 방향으로, 예컨대 상부 조립체(100a)를 탑 플레이트(110)의 중심에 수직한 직선을 회전축으로 시계 방향으로 180도만큼 회전시켜 하부 조립체(200a) 상에 위치시키는 경우, 비대칭적으로 배치된 제1 지지체(223)는 체결 프레임(121)의 그루브(131)에 수용되지 못하고, 그루브(131)부터 이격된 체결 프레임(121)의 다른 부분을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오정렬 시 상부 조립체(100a)의 수직 방향 위치는, 정상 정렬 시의 상부 조립체(100a)의 수직 방향 위치와 상이하게 된다.
도 7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오정렬 시 상부 조립체(100a)의 수직 방향 위치가 변하므로, 체결 프레임(121)의 제1 관통홀(140)과 베이스(210)의 측벽에 마련된 제2 관통홀(230)은 서로 정렬되지 않게 된다. 이 경우, 스크류와 같은 체결 부재가 제1 관통홀(140) 및 제2 관통홀(230)을 통과하지 못하므로, 상부 조립체(100a)와 하부 조립체(200a)의 오정렬은 용이하게 확인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상부 조립체(100a)와 하부 조립체(200a)가 오정렬된 상태로 체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a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조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정렬된 상부 조립체 및 하부 조립체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b는 도 8a에 표시된 ⅧB 영역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c는 도 8a에 표시된 ⅧC 영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a에 있어서, 설명의 편의상 탑 플레이트의 도시는 생략된다.
도 8a 내지 도 8c를 참조하면, 하부 조립체는 높이가 서로 다른 지지체들(221, 223a)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지지체(221, 223a)의 높이는 지지체(221, 223a)의 상단의 높이를 의미할 수 있다. 이 경우, 지지체(221, 223a)의 높이가 서로 다르다는 것은, 제3 지지체(221)의 상단이 제3 지지체(221)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제3 그루브(131)에 접촉하여 형성된 지지면과, 제4 지지체(223a)의 상단이 제4 지지체(223a)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제4 그루브(133a)에 접촉하여 형성된 지지면의 수직 방향 높이가 서로 다른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 지지체(223a)의 상단의 높이는 제3 지지체(221)의 상단의 높이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4 지지체(223a)와 제4 그루브(133a)의 접촉으로 형성되는 지지면의 높이는 제3 지지체(221)와 제3 그루브(131)의 접촉으로 형성되는 지지면의 높이보다 높을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도 6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베이스(210)가 제1 내지 제4 측벽을 가지는 경우, 제4 지지체(223a)는 베이스(210)의 제1 측벽에만 마련되고, 제3 지지체(221)는 베이스(210)의 제1 측벽 내지 제4 측벽에 마련될 수 있다.
도 9a는 도 8a 내지 도 8c에 따른 조리 장치에 있어서, 상부 조립체와 하부 조립체가 오정렬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b는 도 9a의 ⅨB 영역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c는 도 9a의 ⅨC 영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조립체와 하부 조립체의 정렬 작업 시, 상부 조립체를 정상 정렬 시와 다른 방향으로, 예컨대 상부 조립체(100a)를 탑 플레이트(110)의 중심에 수직한 직선을 회전축으로 시계 방향으로 180도만큼 회전시켜 하부 조립체 상에 위치시키는 경우, 높이가 상대적으로 낮은 제3 지지체(221)는 체결 프레임(121)을 지지하지 않게 된다. 즉,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가 상대적으로 높은 제4 지지체(223a)는 그루브(131)에 수용되어 체결 프레임(121)을 지지할 수 있다. 그러나,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가 상대적으로 낮은 제3 지지체(221)는 그루브(131)에 완전히 수용되지 못하므로, 체결 프레임(121)을 지지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부 조립체와 하부 조립체의 오정렬 시, 상부 조립체의 수직 방향 위치는 정상 정렬 시의 상부 조립체의 수직 방향 위치와 상이하게 된다. 이 경우, 앞서 도 7b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오정렬 시 상부 조립체의 수직 방향 위치가 변하므로, 체결 프레임(121)의 제1 관통홀(140)과 베이스(210)의 측벽에 마련된 제2 관통홀(230)은 서로 정렬되지 않게 된다. 스크류와 같은 체결 부재는 제1 관통홀(140) 및 제2 관통홀(230)을 통과하지 못하므로, 상부 조립체와 하부 조립체의 오정렬은 용이하게 확인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조리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상부 조립체와 하부 조립체가 정렬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부 조립체의 체결 프레임(150)은 돌출부(160)를 포함하며, 하부 조립체의 지지체(260)는 상기 돌출부(160)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부는 돌출부(160)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며, 예컨대 지지체(260)의 상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부 조립체와 하부 조립체의 정렬 시, 돌출부(160)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됨에 따라, 체결 프레임(150)은 지지체(260)에 지지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조리 장치(30)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조리 장치(30)는 상하로 체결되는 상부 조립체(300) 및 하부 조립체(4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조립체(300)는 앞서 설명된 상부 조립체들 및 이들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변형 및 변경된 상부 조립체들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하부 조립체(400)는 앞서 설명된 하부 조립체들 및 이들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변형 및 변경된 하부 조립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조리 장치(30)는 하나 이상의 화구를 포함하고, 전기적 원리를 이용해 화구에 놓여진 피가열체를 가열하는 전기 레인지일 수 있다. 상기 화구라는 용어는 다양하게 정의가 가능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상기 화구는 용기 등의 피가열체가 놓여지는 위치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가열 기기(410)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조리 장치(30)가 다수 개의 화구들을 포함할 때, 일부의 화구는 워킹 코일을 포함하여 전자기 유도 작용을 통해 피가열체를 가열하는 인덕션에 해당할 수 있으며, 다른 일부의 화구는 열선이 포함된 금속판을 가열하여 열을 발생하는 핫플레이트, 열선이 분포되어 세라믹 판을 가열하여 열을 발생하는 하이라이트 등 다른 종류의 화구일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본 명세서에서 특정한 용어를 사용하여 실시예들을 설명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조리 장치 100: 상부 조립체
110: 탑 플레이트 120: 체결 프레임
130: 그루브 140: 제1 관통홀
200: 하부 조립체 210: 베이스
220: 지지체 230: 제2 관통홀

Claims (7)

  1. 탑 플레이트 및 상기 탑 플레이트의 일면 상의 체결 프레임을 포함하는 상부 조립체; 및
    상기 체결 프레임에 체결되는 베이스 및 상기 체결 프레임을 지지하도록 상기 베이스 상에 마련된 지지체를 포함하는 하부 조립체;
    를 포함하는 조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상기 탑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가 이격되도록 상기 체결 프레임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프레임은 상기 지지체를 수용할 수 있는 그루브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체는 상기 그루브에 수용되어 상기 체결 프레임을 지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서로 반대된 제1 측벽 및 제2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체는 상기 제1 측벽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지지체 및 상기 제2 측벽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지지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체 및 상기 제2 지지체는 상기 베이스의 중심을 기준으로 비대칭적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제3 지지체 및 제4 지지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3 지지체의 상단의 높이는 상기 제4 지지체의 상단의 높이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프레임은 하방으로 연장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체는 상기 돌출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프레임은 상기 베이스의 측벽에 체결되고,
    상기 체결 프레임은 제1 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베이스의 상기 측벽을 관통하고 상기 제1 관통홀에 연통하는 제2 관통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장치.
KR1020180031709A 2018-03-19 2018-03-19 조리 장치 KR1021878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1709A KR102187890B1 (ko) 2018-03-19 2018-03-19 조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1709A KR102187890B1 (ko) 2018-03-19 2018-03-19 조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9965A true KR20190109965A (ko) 2019-09-27
KR102187890B1 KR102187890B1 (ko) 2020-12-08

Family

ID=68096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1709A KR102187890B1 (ko) 2018-03-19 2018-03-19 조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789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806U (ja) * 1993-05-27 1995-01-17 リンナイ株式会社 調理器
JPH0745972A (ja) * 1993-07-28 1995-02-14 Fujitsu Ten Ltd プリント基板の固定構造
KR20060034960A (ko) * 2004-10-20 2006-04-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 레인지
KR20180046573A (ko) * 2016-10-28 2018-05-09 (주)쿠첸 전기 레인지의 상판을 설치하기 위한 체결 구조체
KR20180046570A (ko) * 2016-10-28 2018-05-09 (주)쿠첸 전기 레인지의 상판 장착 구조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806U (ja) * 1993-05-27 1995-01-17 リンナイ株式会社 調理器
JPH0745972A (ja) * 1993-07-28 1995-02-14 Fujitsu Ten Ltd プリント基板の固定構造
KR20060034960A (ko) * 2004-10-20 2006-04-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 레인지
KR20180046573A (ko) * 2016-10-28 2018-05-09 (주)쿠첸 전기 레인지의 상판을 설치하기 위한 체결 구조체
KR20180046570A (ko) * 2016-10-28 2018-05-09 (주)쿠첸 전기 레인지의 상판 장착 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7890B1 (ko) 2020-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94492B2 (en) Induction coil assembly for an induction cooking hob
AU2014224800B2 (en) Induction hob
EP3651550B1 (en) Induction heating device having improved cooling structure
EP3544375B1 (en) Induction coil compression apparatus for beam assembly
US10342075B2 (en) Induction heating device and induction hob comprising an induction heating device of this kind
US11388785B2 (en) Connection interface for induction coil array
CA2967686C (en) Power contacting device
US11310874B2 (en) Induction cooktop with improved magnetic flux concentrating foil
US11405989B2 (en) Temperature sensor compression features for induction cooktop assembly
JP2018516366A (ja) 熱絶縁電気接点プローブ
CN106247250A (zh) 用于两个部件的相对定位的定位装置、灯模块和前照灯
KR20190109965A (ko) 조리 장치
KR20180003097U (ko) 케이블 덕트
US20200059049A1 (en) Connection Interface For A Panel And Support Structure
KR20200062529A (ko) 변압 장치
KR20180004567A (ko) 워킹 코일 베이스
KR20200109091A (ko) 조리 장치
KR102142414B1 (ko) 조리 장치의 워킹 코일 어셈블리
KR102453255B1 (ko) 조리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CN210007943U (zh) 一种通用性高的电磁线盘及电磁烹饪器具
KR960002819Y1 (ko) 전자유도가열 밥솥의 내솥 가이드 장치
US20210410236A1 (en) Cooking appliance
KR20200030858A (ko) 바닥판에 슬릿이 형성되는 전기 레인지
CN210986479U (zh) 一种防辐射电磁感应加热装置
KR20240034011A (ko) 전극 건조장치 및 전극의 건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