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9655A - 사물인터넷 기기 및 인공지능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산후조리원 육아돌봄 알림시스템 - Google Patents

사물인터넷 기기 및 인공지능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산후조리원 육아돌봄 알림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9655A
KR20190109655A KR1020180027149A KR20180027149A KR20190109655A KR 20190109655 A KR20190109655 A KR 20190109655A KR 1020180027149 A KR1020180027149 A KR 1020180027149A KR 20180027149 A KR20180027149 A KR 20180027149A KR 20190109655 A KR20190109655 A KR 201901096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e
button
unit
postpartum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71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8475B1 (ko
Inventor
이창하
김지형
옥기윤
차희준
송재영
허수진
김수연
강기용
지성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투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투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투코리아
Priority to KR10201800271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8475B1/ko
Publication of KR201901096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96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84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84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 예는 산후조리원 산후도우미가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고 신생아의 육아돌봄정보를 명확하게 수집하여 신생아 보호자 모바일통신기기에 이미지화하여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산후조리원 육아돌봄 알림시스템은 신생아의 육아돌봄정보가 산후도우미에 의해 직접 입력될 수 있도록 하는 다이얼부 및 버튼부를 구비한 입력부, 입력된 육아돌봄정보를 중계부와 송수신하는 네트워크부, 육아돌봄정보를 수유, 수면, 배변, 소모품 교체, 구토로 구분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정보를 그래프, 이미지, 이미지 모션, 텍스트로 처리하여 네트워크부를 통해 송수신하는 중계부, 네트워크부를 통해 중계부에서 전달받은 처리된 육아돌봄정보를 신생아 보호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화면을 포함하거나, 인공지능 서비스를 포함하는 스마트기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사물인터넷 기기 및 인공지능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산후조리원 육아돌봄 알림시스템 {Postpartum Care Welfare Notification System using IoT and AI smart devices}
본 발명은 산후조리원 육아돌봄 알림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산후조리원에서 신생아의 수유, 수면, 배변, 소모품 교체, 구토와 관련된 육아돌봄정보를 IoT 기기를 이용하여 직접 입력하고 입력된 정보를 신생아 보호자에게 스마트기기를 통해 알려주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산후조리원에서 산모는 산모실에, 신생아는 신생아실에 분리되어 있다. 산모는 산후도우미가 신생아실에서 자신의 아이를 잘 돌보고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는 요구가 있으며, 신생아의 다른 가족들도 마찬가지로 산후조리원에서 산후도우미가 신생아를 잘 돌보고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는 요구가 있다.
예전에는 산후조리원 산후도우미가 신생아 육아돌봄정보를 차트에 기록하여 관리하였다. 신생아 보호자가 차트에 기록된 자신의 아이에 관한 육아돌봄정보를 확인하기 위해서 차트를 보관하고 있는 장소로 가서 차트를 확인해야 했다.
최근에 IoT(사물인터넷) 기술의 발달로 산후조리원에서 산후도우미가 행하는 신생아 육아돌봄정보를 신생아 보호자 모바일통신기기에서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현재 개발된 영유아 관련 기술은 영유아와의 대화에서 특정 정보를 추출하여 성장 정보를 수집하는 것으로, 단어 선택 등의 오류로 수집된 성장 정보가 불명확할 수 있다는 제1문제점을 갖는다.
그리고, 현재 개발된 영유아 관련 기술은 영유아의 성장 정보를 데이터화하여 저장한 후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기능만을 수행하므로, 유아 제품 자동주문 시스템 등과 연동될 수 없다는 제2문제점을 갖는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125088호(발명의 명칭: 육아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이하 종래기술1이라 한다.)에서는, 복수의 대화정보들을 저장하는 DB, 클라이언트로부터 영유아의 성장정보가 포함된 상황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부, 수신된 상기 상황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대화정보들 중 상기 상황정보에 상응하는 특정 대화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제어부, 및 추출된 상기 특정 대화정보를 상기 클라이언트로 전송하기 위한 전송부를 포함하는 육아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125088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산후조리원에서 산후도우미가 신생아 육아돌봄정보를 IoT(사물인터넷)기기에 직접 입력하여 신생아 육아돌봄정보를 명확하게 수집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목적은 신생아 육아돌봄정보를 저장, 처리, 이미지화하여 신생아 보호자 모바일통신기기로 전송하고, 신생아 보호자는 자신의 모바일통신기기에서 신생아 육아돌봄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는, 신생아의 수유, 수면, 배변, 소모품 교체, 구토와 관련된 육아돌봄정보가 산후도우미에 의해 직접 입력될 수 있도록 하는 다이얼부 및 버튼부를 포함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상기 육아돌봄정보를 중계부와 송수신하는 네트워크부; 상기 네트워크부로부터 송신된 상기 육아돌봄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육아돌봄정보를 수유, 수면, 배변, 소모품 교체, 구토로 구분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정보를 그래프, 이미지, 이미지 모션, 텍스트로 처리하여 상기 네트워크부를 통해 송수신하는 중계부; 상기 네트워크부를 통해 상기 중계부로부터 전달받은 그래프, 이미지, 이미지 모션, 텍스트로 처리된 신생아의 수유, 수면, 배변, 소모품 교체, 구토와 관련된 상기 육아돌봄정보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화면을 포함하거나, 인공지능 서비스를 포함하는 스마트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후조리원 육아돌봄 알림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다이얼부는 각각의 눈금에 유체량이 표시되어 있는 원형판에 회전식 손잡이를 부착하고 회전식 손잡이를 돌려 수유량을 산후도우미가 직접 입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는 상기 육아돌봄정보 각각에 맵핑(mapping)되는 하나 이상의 버튼을 구비하고, 산후도우미가 직접 버튼을 눌러서 상기 육아돌봄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는 수유종류, 모유수유, 수면상태, 배변종류와 소모품 교체 및 구토여부로 구분하여 해당 버튼을 모아두어 산후도우미가 손쉽게 상기 육아돌봄정보를 직접 입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는 상기 육아돌봄정보를 입력하는 산후도우미가 버튼의 기능을 쉽게 알 수 있도록 버튼 위에 이모티콘을 사용하여 직관적으로 버튼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수유종류는 분유, 유축유로 구분하여 산후도우미에 의해 입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모유수유는 산모가 어느 쪽으로 신생아에게 직접 수유했는지 산후도우미에 의해 직접 입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는 산후도우미가 상기 네트워크부를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를 할 수 있도록 선택할 수 있는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는 상기 육아 돌봄 정보가 산후도우미에 의해 입력된 후 입력된 내용을 수정할 필요가 있을 경우 입력된 정보를 삭제하고 수정된 정보를 다시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에 산후도우미에 의해 입력된 소모품 교체횟수가 누적으로 처리되어, 산모와 신생아가 산후조리원을 퇴원할 때 산후조리원에서 산후조리원 사용자에게 소모품 금액이 청구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효과는, IoT(사물인터넷)기기를 이용하여 신생아에 대한 육아돌봄정보를 입력하게 하므로, 육아돌봄정보를 명확하게 수집할 수 있고, 조작을 위한 구성이 단순하여 산후조리원 산후도우미가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효과는, 신생아 보호자들이 산후조리원 산후도우미가 신생아를 어떻게 돌보고 있는지에 대한 궁금증을 해소하기 위해 실시간으로 산후조리원 산후도우미가 신생아 육아돌봄정보를 IoT(사물인터넷)기기에 입력하고 이것을 네트워크를 통해 신생아 보호자 스마트기기로 전달하여 이미지화된 육아돌봄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신생아의 육아돌봄정보를 데이터화하여 저장 및 표시할 뿐만 아니라, 버튼의 조작 횟수 등의 정보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유아 제품 금액청구를 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효과는, IoT(사물인터넷)기기와 다른 전자기기의 쌍방향 데이터 연결이 용이하여, IoT(사물인터넷)기기 사용자와 다른 전자기기 사용자가 정보 교류를 통해 육아를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알림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입력부의 모식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통신기기에서 보여지는 화면에 대한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인 산후조리원 육아돌봄 알림시스템에 따른 알림 정보가 산후조리원 내의 모니터로 전송되는 화면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인 산후조리원 육아돌봄 알림시스템에 따른 육아 정보를 통합하여 관리하는 화면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작동,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작동,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알림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육아돌봄 알림시스템은 산후조리원에서 신생아를 돌봄에 있어서 신생아의 수유, 수면, 배변, 소모품 교체, 구토와 관련된 육아돌봄정보가 산후도우미에 의해 직접 입력될 수 있도록 하는 다이얼부(110) 및 버튼부를 포함하는 입력부(10); 입력부(10)에 입력된 육아돌봄정보를 중계부(30)와 송수신하는 네트워크부(20); 네트워크부(20)로부터 송신된 육아돌봄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육아돌봄정보를 수유, 수면, 배변, 소모품 교체, 구토로 구분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정보를 그래프, 이미지, 이미지 모션, 텍스트로 처리하여 네트워크부(20)를 통해 송수신하는 중계부(30); 네트워크부(20)를 통해 중계부(30)로부터 전달받은 그래프, 이미지, 이미지 모션, 텍스트로 처리된 신생아의 수유, 수면, 배변, 소모품 교체, 구토와 관련된 육아돌봄정보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화면을 포함하거나, 인공지능 서비스를 포함하는 스마트기기(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입력부(10)의 모식도이다.
본 발명의 육아돌봄 알림시스템은 산후조리원에서 신생아를 돌봄에 있어서 신생아의 수유, 수면, 배변, 소모품 교체, 구토와 관련된 육아돌봄정보가 산후도우미에 의해 직접 입력될 수 있도록 하는 다이얼부(110) 및 버튼부를 포함하는 입력부(10); 입력부(10)에 입력된 육아돌봄정보를 중계부(30)와 송수신하는 네트워크부(20); 네트워크부(20)로부터 송신된 육아돌봄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육아돌봄정보를 수유, 수면, 배변, 소모품 교체, 구토로 구분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정보를 그래프, 이미지, 이미지 모션, 텍스트로 처리하여 네트워크부(20)를 통해 송수신하는 중계부(30); 네트워크부(20)를 통해 중계부(30)로부터 전달받은 그래프, 이미지, 이미지 모션, 텍스트로 처리된 신생아의 수유, 수면, 배변, 소모품 교체, 구토와 관련된 육아돌봄정보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화면을 포함하거나, 인공지능 서비스를 포함하는 스마트기기(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입력부(10)는 터치패드 형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입력부(10)가 터치패드 형식인 경우, 버튼이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형식일 수 있다.
입력부(10)로 스마트기기가 사용될 수 있다. 스마트기기는 스마트폰, 태블릿PC, 스마트글래스, 스마트와치 또는 스마트밴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스마트기기가 상기와 같은 전자기기라고 설명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또는 PDA와 같은 기존의 전자기기도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0)는 버튼을 사람이 직접 물리적으로 누르거나 돌리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입력부(10)는, 작동 또는 정지 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 표시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의 표시장치는 LED장치나 전구일 수 있다.
입력부(10)는 냉장고, 방문 등에 부착이 가능하도록 소형 크기로 제조될 수 있다. 이 때, 소형 크기는 가로 또는 세로 각각이 10센티미터(cm) 이상 30센티미터(cm) 이하인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도 2 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다이얼부(110)는 각각의 눈금에 유체량이 표시되어 있는 원형판에 회전식 손잡이를 부착하고 회전식 손잡이를 돌려 수유량을 산후도우미가 직접 입력할 수 있다.
다이얼부(110)는 입력부(10)에 포함되므로 터치패드 형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이얼부(110)가 터치패드 형식인 경우, 다이얼부(110)가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형식일 수 있다.
또한, 다이얼부(110)는 입력부(10)에 포함되므로 사람이 직접 다이얼을 물리적으로 돌리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버튼부는 육아돌봄정보 각각에 맵핑(mapping)되는 하나 이상의 버튼을 구비하고, 산후도우미가 직접 버튼을 눌러서 육아돌봄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버튼부는 입력부(10)에 포함되므로 터치패드 형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버튼부가 터치패드 형식인 경우, 버튼부가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형식일 수 있다.
또한, 버튼부는 입력부(10)에 포함되므로 사람이 직접 버튼을 물리적으로 눌러주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버튼부는 수유종류를 입력할 수 있는 수유버튼부(120), 산모가 어느 쪽 가슴으로 수유할지 입력할 수 있는 모유수유버튼부(130), 수면상태를 입력할 수 있는 수면버튼부(140), 배변종류를 선택할 수 있는 배변버튼부(150), 소모품 교체여부를 입력할 수 있는 소모품교체버튼부(150) 및 구토여부를 입력할 수 있는 구토버튼부(150)을 구비하여 산후도우미가 손쉽게 육아돌봄정보를 직접 입력할 수 있다.
수유버튼부(120)은 수유나 분유 섭취와 같이 영양과 관련된 버튼으로 분유 종류, 유축유 수유, 영양 섭취 시간을 입력할 수 있다.
수유버튼부(120)는 분유버튼(121), 유축유버튼(122), 준비양버튼(123)을 구비할 수 있다.
산후도우미가 신생아에게 분유를 수유할 때 분유버튼(121)을 누른 후 수유할 수 있다. 분유버튼(121)은 사람이 직접 버튼을 물리적으로 눌러주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분유버튼(121)이 터치패드 형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분유버튼(121)이 터치패드 형식인 경우, 버튼이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형식일 수 있다.
산후도우미가 신생아에게 유축유를 수유할 때 유축유버튼(122)을 누른 후 수유할 수 있다. 유축유는 산모의 모유를 미리 비축하여 냉장보관 하였다가 필요가 있을 시 가열하여 신생아에게 수유하기 위한 모유이다. 유축유버튼(122)은 사람이 직접 버튼을 물리적으로 눌러주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유축유버튼(122)은 터치패드 형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유축유버튼(122)이 터치패드 형식인 경우, 유축유버튼(122)이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형식일 수 있다.
산후도우미가 신생아에게 수유할 때 준비된 수유량을 준비양버튼(123)을 누른 후 수유할 수 있다. 준비양버튼(123)은 사람이 직접 버튼을 물리적으로 눌러주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준비양버튼(123)은 터치패드 형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준비양버튼(123)이 터치패드 형식인 경우, 준비양버튼(123)이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형식일 수 있다.
수유버튼부(120)의 전체외곽형태는 정사각형, 직사각형, 마름모형, 원형일 수 있다. 수우버튼부(120)의 전체외곽형태가 정사각형, 직사각형, 마름모형일 경우, 전체외곽형태의 모서리 부분은 유선형의 부드러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수유버튼부(120)의 형태는 상부와 하부로 나뉠 수 있다. 수유버튼부(120)의 상부형태는 두 개로 분리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하부형태는 단일한 형태일 수 있다. 분유버튼(121)과 유축유버튼(122)은 수유버튼부(120) 상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준비양버튼(123)은 수유버튼부(120)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모유수유버튼부(130)은 산모가 신생아에게 직접 수유를 할 때 좌우 가슴 중 어느 가슴으로 수유했는지 입력할 수 있다.
모유수유버튼부(130)는 왼쪽수유버튼(131), 오른쪽수유버튼(132), 완료버튼(133)을 구비할 수 있다.
산모가 왼쪽가슴으로 신생아에게 모유를 수유할 때 왼쪽모유버튼을 누른 후 수유할 수 있다. 왼쪽수유버튼(131)은 사람이 직접 버튼을 물리적으로 눌러주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왼쪽수유버튼(131)이 터치패드 형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왼쪽수유버튼(131)이 터치패드 형식인 경우, 버튼이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형식일 수 있다.
산모가 오른쪽가슴으로 신생아에게 모유를 수유할 때 오른쪽모유버튼을 누른 후 수유할 수 있다. 오른쪽수유버튼(132)은 사람이 직접 버튼을 물리적으로 눌러주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오른쪽수유버튼(132)이 터치패드 형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오른쪽수유버튼(132)이 터치패드 형식인 경우, 버튼이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형식일 수 있다.
산모가 신생아에게 모유를 수유를 완료하면 완료버튼(133)을 누른 후 모유수유를 끝낼 수 있다. 완료버튼(133)은 사람이 직접 버튼을 물리적으로 눌러주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완료버튼(133)은 터치패드 형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완료버튼(133)이 터치패드 형식인 경우, 버튼이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형식일 수 있다.
모유수유버튼부(130)의 전체외곽형태는 정사각형, 직사각형, 마름모형, 원형일 수 있다. 모유수유버튼부(130)의 전체외곽형태가 정사각형, 직사각형, 마름모형일 경우, 전체외곽형태의 모서리 부분은 유선형의 부드러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모유수유버튼부(130)의 형태는 상부와 하부로 나뉠 수 있다. 모유수유버튼부(130)의 상부형태는 두 개로 분리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하부형태는 단일한 형태일 수 있다. 왼쪽수유버튼(131)과 오른쪽수유버튼(132)은 모유수유버튼부(130) 상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완료버튼(133)은 모유수유버튼부(130)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수면버튼부(140)은 수면활동과 관련된 버튼으로, 취침 시작 또는 종료 시간, 취침 장소를 입력할 수 있다.
수면버튼부(140)는 잠버튼(141), 깸버튼(142), 목욕버튼(143)을 구비할 수 있다.
산후도우미는 신생아가 잠들면 잠버튼(141)을 누룰 수 있다. 잠버튼(141)은 사람이 직접 버튼을 물리적으로 눌러주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잠버튼(141)은 터치패드 형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잠버튼(141)이 터치패드 형식인 경우, 버튼이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형식일 수 있다.
산후도우미는 신생아가 잠에서 깨면 깸버튼(142)을 누를 수 있다. 깸버튼(142)은 사람이 직접 버튼을 물리적으로 눌러주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깸버튼(142)은 터치패드 형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깸버튼(142)이 터치패드 형식인 경우, 버튼이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형식일 수 있다.
산모가 신생아를 목욕시킬 경우 목욕버튼(143)을 누른 후 신생아를 목욕시킬 수 있다. 목욕버튼(143)은 사람이 직접 버튼을 물리적으로 눌러주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목욕버튼(143)은 터치패드 형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목욕버튼(143)이 터치패드 형식인 경우, 버튼이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형식일 수 있다.
수면버튼부(140)의 전체외곽형태는 정사각형, 직사각형, 마름모형, 원형일 수 있다. 수면버튼부(140)의 전체외곽형태가 정사각형, 직사각형, 마름모형일 경우, 전체외곽형태의 모서리 부분은 유선형의 부드러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수면버튼부(140))의 형태는 상부와 하부로 나뉠 수 있다. 수면버튼부(140)의 상부형태는 두 개로 분리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하부형태는 단일한 형태일 수 있다. 잠버튼(141)과 깸버튼(142)은 수면버튼부(140)상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목욕버튼(143)은 수면버튼부(140)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대변버튼(151)은 대변활동과 관련된 버튼으로, 정상 대변인지 여부(묽기, 변비 여부, 색, 배설 시간)를 입력할 수 있다.
소변버튼(152)은 소변활동과 관련된 버튼으로, 정상 소변인지 여부, 소변량, 소변 상태를 입력할 수 있다.
구토버튼(153)은 신생아의 구토여부를 입력할 수 있다.
소모품교체버튼부(150)은 신생아의 수유활동, 배변활동, 구토활동 후 소모품 교체여부, 소모품 교체시간을 입력할 수 있다. 소모품은 신생아 관련 기저귀, 분유, 옷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신생아 육아돌봄행동을 설명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육아와 관련된 모든 행동이 그 대상이 될 수 있다.
버튼부(10)는, 상기 설명한 육아돌봄행동과 맵핑(mapping)된 버튼 외에, 수량이나 시간 등의 수치 입력을 위해 번호입력버튼을 별도로 구비하여, 상기 육아돌봄행동과 맵핑된 버튼과 동시에 이용할 수 있다.
입력부(10)는 산후도우미가 네트워크부(20)를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를 할 수 있도록 선택할 수 있는 무선통신버튼(160)을 포함할 수 있다. 산후도우미가 신생아에게 육아돌봄행동을 하지 않을 경우 네트워크부(20)를 비활성화 시키면 입력부(10)의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어 효율적으로 입력부(10)를 사용하기 위해 에너지 절약을 할 수 있다.
또한, 산후도우미가 신생아에게 육아돌봄행동을 하지 않을 경우 네트워크부(20)를 비활성화 시키면 신생아에게 영향을 줄 수 있는 전자파를 줄일 수 있다.
입력부(10)는 육아돌봄 정보가 산후도우미에 의해 입력된 후 입력된 내용을 수정할 필요가 있을 경우 입력된 정보를 삭제하고 수정된 정보를 다시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재입력버튼(170)을 포함할 수 있다.
산후도우미가 신생아 육아돌봄정보를 입력부(10)를 통해 잘못 입력할 수 있다. 특별히 수유량 같은 경우, 수치를 입력해야 하기 때문에 잘못된 수치를 입력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재입력버튼(170)을 누르면 입력된 수치가 삭제되고 다시 수치를 입력할 수 있다.
입력부(10)는 육아돌봄정보를 입력하는 산후도우미가 버튼의 기능을 쉽게 알 수 있도록 버튼 위에 이모티콘을 사용하여 직관적으로 버튼을 표시할 수 있다.
입력부(10)에 산후도우미에 의해 입력된 소모품 교체횟수가 누적으로 처리되어 네트워크부(20)를 통해 중계부(30)에 저장될 수 있다. 산후조리원 담당자는 중계부(30)에서 저장된 소비재 누적횟수를 확인하고 산모와 신생아가 산후조리원을 퇴원할 때 산후조리원에서 산후조리원 사용자에게 사용된 소모품만큼 금액을 청구될 수 있다.
네트워크부(20)는 저전력 무선 통신 방법에 따라 브로드캐스트하는 무선통신부를 구비할 수 있다. 무선통신방식으로는 블루투스(BlueTooth), BLE, IEEE 1394, IrDA(적외선통신), 무선랜(Wi-Fi), Zigbee, UWB 또는 HomeRf 중 어느 하나가 이용될 수 있다.
중계부(30)는 육아돌봄정보를 수유, 수면, 배변, 소모품 교체, 구토로 구분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정보를 그래프, 이미지, 이미지 모션, 텍스트로 처리하는 처리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처리부는 육아돌봄정보를 그래프, 이미지, 이미지 모션, 텍스트로 처리하여 신생아에 대한 육야패턴을 알려줄 수 있다.
육아패턴이란, 영유아의 영양섭취, 수면, 배변 등과 관련해서, 특정 시간에 특정 행동의 빈도 수가 많아지는 경우, 이에 대해 패턴화한 것을 말할 수 있다. 그리고, 육아패턴에는, 특정 시간의 특정 행동에 대한 정보뿐만 아니라, 특정 시간에 영유아의 특정 행동의 정도에 대한 정보도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오전10시 경에 영유아의 영양섭취 빈도 수가 높고, 이 때 영유아의 영양섭취량이 소정의 범위 내에서 형성되면, 이것이 하나의 육아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육아패턴을 분석하여 육아관리에 문제가 있는 경우, 육아 전문가의 컨설팅에 의해 육아에 대해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아가 밤에 잠을 잘 자지 않고 밤 중 수유가 빈번한 경우, 이에 대한 육아패턴을 신생아 보호자가 확인하고, 육아 전문가에게 도움을 요청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적절한 조치가 육아 전문가로부터 신생아 보호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신생아 보호자는 신생아에게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도3,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기기(40)에서 보여지는 화면에 대한 모식도이다.
본 발명의 육아돌봄 알림시스템은 산후조리원에서 신생아를 돌봄에 있어서 신생아의 수유, 수면, 배변, 소모품 교체, 구토와 관련된 육아돌봄정보가 산후도우미에 의해 직접 입력될 수 있도록 하는 다이얼부(110) 및 버튼부를 포함하는 입력부(10); 입력부(10)에 입력된 육아돌봄정보를 중계부(30)와 송수신하는 네트워크부(20); 네트워크부(20)로부터 송신된 육아돌봄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육아돌봄정보를 수유, 수면, 배변, 소모품 교체, 구토로 구분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정보를 그래프, 이미지, 이미지 모션, 텍스트로 처리하여 네트워크부(20)를 통해 송수신하는 중계부(30); 네트워크부(20)를 통해 중계부(30)로부터 전달받은 그래프, 이미지, 이미지 모션, 텍스트로 처리된 신생아의 수유, 수면, 배변, 소모품 교체, 구토와 관련된 육아돌봄정보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화면을 포함하거나, 인공지능 서비스를 포함하는 스마트기기(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3,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마트기기(40)는 스마트폰, 태블릿PC, 스마트글래스, 스마트와치, 스마트밴드, 인공지능 스피커 또는 스마트 수유 등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스마트기기(40)가 상기와 같은 전자기기라고 설명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또는 PDA와 같은 기존의 전자기기도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3,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네트워크부(20)를 통해 중계부(30)에서 전달받은 그래프, 이미지, 이미지 모션, 텍스트로 처리된 신생아의 수유, 수면, 배변, 소모품 교체, 구토와 관련된 육아돌봄정보를 스마트기기(40)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마트기기(40)에 수유량은 막대그래프 형태로 표현할 수 있다. 수유량 막대그래프에서 X축은 시간을 나타내며 Y축은 수우량을 나타낼 수 있다. 이것을 통해 시간흐름에 따른 수유량을 그래프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산후도우미가 일정한 시간대에 신생아에게 수유를 한다면, 하루를 기준으로 정해진 시간대에 얼마나 수유했는지 원형그래프를 이용하여 나타낼 수도 있다. 모바일통신기기(40) 화면에서 수유량을 막대그래프나 원형그래프로 표현할 때 2차원 그래프뿐만 아니라 3차원을 이용한 입체형태의 그래프로 나타낼 수 있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모바일통신기기(40) 화면에 수면시간은 꺽은선그래프 형태로 표현할 수 있다. 수면시간 꺽은선그래프에서 X축은 잠든 시간을 나타내며 Y축은 잠에서 깨어난 시간을 나타낼 수 있다. 이것을 통해 신생아의 수면패턴을 확인할 수 있다. 신생아가 일정한 수면패턴을 보인다면 하루를 기준으로 정해진 시간대에 얼마나 수면을 하는지 원형그래프를 이용하여 나타낼 수 있다. 모바일통신기기(40) 화면에서 수유량을 막대그래프나 원형그래프로 표현할 때 2차원 그래프뿐만 아니라 3차원을 이용한 입체형태의 그래프로 나타낼 수 있다.
아래는 도1과 같이 육아돌봄 알림시스템이 산후조리원에서 사용되는 경우 산후도우미가 육아돌봄 알림시스템을 이용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첫째 단계에서, 육아돌봄행위 발생 시, 입력부(10) 버튼을 조작하여 육아돌봄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입력부(10)는 이동성이 용이하므로, 산후도우미는 육아돌봄행위 발생 시, 육아돌봄행위 발생 장소에 입력부(10)를 위치시키고, 육아돌봄행위와 관련된 행동 후 즉시 입력부(10) 버튼을 조작할 수 있다.
수유나 분유 섭취와 같이 영양과 관련된 육아돌봄행위, 배변활동과 관련된 육아돌봄행위 또는 수면활동과 관련된 육아돌봄행위 발생 시, 산후도우미는 육아돌봄행위와 관련된 입력부(10) 버튼부과 다이얼부(110)를 이용하여 육아돌봄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유나 분유 섭취와 같이 영양과 관련된 육아돌봄행위 발생 시, 육아돌봄행위와 관련된 입력부(10) 버튼을 눌러 섭취시간, 수유 또는 분유 여부가 입력되고, 섭취량을 다이얼부(110)를 이용하여 입력할 수 있다.
둘째 단계에서, 육아돌봄정보가 데이터로 변환될 수 있다.
이 때, 육아돌봄정보는, 통신신호로 입력부(10)로부터 네트워크부(20)로 송신되고, 중계부(30)로 순차적으로 송신될 수 있다. 그 다음에, 중계부(30)에서 통신신호가 처리되어 데이터화될 수 있다.
셋째 단계에서, 육아돌봄정보가 처리되어 모바일통신기기(40) 어플리케이션에 전달될 수 있다.
중계부(30)에서 데이터로 처리되어 그래프, 이미지 정보로 변환된 육아돌봄정보는, 다시 통신신호로 네트워크부(20)를 거친 후 스마트기기(40)로 전달되어 스마트기기(40) 어플리케이션에 기록될 수 있다.
넷째 단계에서, 스마트기기(40) 어플리케이션의 기록정보가 스마트기기 (40)에 표시될 수 있다.
기록정보는, 중계부(30)에서 데이터로 처리되어 그래프나 이미지로 변화되고 통신신호로 변환되어 네트워크부(20)를 거친 후 모바일통신기기(40)로 전달되어 스마트기기(40) 어플리케이션에 기록되는 육아돌봄정보일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은, 첫돌까지 필요한 예방 접종과 같은 필수 정보를 제공하고, 이에 대한 알람을 제공하는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육아와 관련된 사진이나 자료 업데이트, 간단한 일기 작성을 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입력부 133 : 완료버튼
20 : 네트워크부 140 : 수면버튼부
30 : 중계부 141 : 잠버튼
40 : 스마트기기 142 : 깸버튼
110 : 다이얼부 143 : 목욕버튼
120 : 수유버튼부 150 : 배변 구토 소모품교체버튼부
121 : 분유버튼 151 : 대변버튼
122 : 유축유버튼 152 : 소변버튼
123 : 준비양버튼 153 : 구토버튼
130 : 모유수유버튼부 160 : 무선통신버튼
131 : 왼쪽수유버튼 170 : 재입력버튼
132 : 오른쪽수유버튼

Claims (11)

  1. 산후조리원에서 신생아를 관리하는 알림시스템에 있어서,
    산후도우미가 신생아를 돌보는 사항과 관련된 육아돌봄정보가 산후도우미에 의해 직접 입력될 수 있도록 하는 다이얼부 및 버튼부를 포함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상기 육아돌봄정보를 중계부와 송수신하는 네트워크부;
    상기 네트워크부로부터 송신된 상기 육아돌봄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육아돌봄정보를 구분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정보를 영상화 혹은 음성화하여 상기 네트워크부를 통해 송수신하는 중계부;
    상기 네트워크부를 통해 상기 중계부로부터 전달받은 영상화 혹은 음성화된 상기 육아돌봄정보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화면을 포함하거나, 인공지능 서비스를 포함하는 스마트기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기기 및 인공지능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산후조리원 육아돌봄 알림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신생아를 돌보는 사항과 관련된 육아돌봄정보는 신생아 수유, 수면, 배변, 소모품 교체, 구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기기 및 인공지능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산후조리원 육아돌봄 알림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이얼부는 각각의 눈금에 유체량이 표시되어 있는 원형판에 회전식 손잡이를 부착하고 회전식 손잡이를 돌려 수유량을 산후도우미가 직접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기기 및 인공지능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산후조리원 육아돌봄 알림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는 상기 육아돌봄정보 각각에 맵핑(mapping)되는 하나 이상의 버튼을 구비하고, 산후도우미가 직접 버튼을 눌러서 상기 육아돌봄정보를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기기 및 인공지능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산후조리원 육아돌봄 알림시스템.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는 수유종류를 입력할 수 있는 수유버튼, 산모가 어느 쪽 가슴으로 수유할지 입력할 수 있는 모유수유버튼, 수면상태를 입력할 수 있는 수면버튼, 배변종류를 선택할 수 있는 배변버튼, 소모품 교체여부를 입력할 수 있는 소모품교체버튼 및 구토여부를 입력할 수 있는 구토버튼을 구비하여 산후도우미가 손쉽게 상기 육아돌봄정보를 직접 입력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기기 및 인공지능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산후조리원 육아돌봄 알림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는 산후도우미가 상기 네트워크부를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를 할 수 있도록 선택할 수 있는 무선통신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기기 및 인공지능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산후조리원 육아돌봄 알림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는 상기 육아 돌봄 정보가 산후도우미에 의해 입력된 후 입력된 내용을 수정할 필요가 있을 경우 입력된 정보를 삭제하고 수정된 정보를 다시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재입력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기기 및 인공지능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산후조리원 육아돌봄 알림시스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에 산후도우미에 의해 입력된 소비재 교체횟수가 누적으로 처리되어, 산모와 신생아가 산후조리원을 퇴원할 때 산후조리원에서 산후조리원 사용자에게 소모품 금액이 청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기기 및 인공지능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산후조리원 육아돌봄 알림시스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부는 저전력 무선 통신 방법에 따라 브로드캐스트하는 무선통신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기기 및 인공지능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산후조리원 육아돌봄 알림시스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계부는 상기 육아돌봄정보를 수유, 수면, 배변, 소모품 교체, 구토로 구분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정보를 그래프, 이미지, 이미지 모션, 텍스트, 음성, 색깔로 처리하는 처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기기 및 인공지능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산후조리원 육아돌봄 알림시스템.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기기는 스마트폰, 태블릿PC, 테스크탑 PC, 노트북, 스마트TV, 인공지능 스피커 또는 스마트 수유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기기 및 인공지능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산후조리원 육아돌봄 알림시스템.
KR1020180027149A 2018-03-07 2018-03-07 사물인터넷 기기 및 인공지능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산후조리원 육아돌봄 알림시스템 KR1022084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7149A KR102208475B1 (ko) 2018-03-07 2018-03-07 사물인터넷 기기 및 인공지능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산후조리원 육아돌봄 알림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7149A KR102208475B1 (ko) 2018-03-07 2018-03-07 사물인터넷 기기 및 인공지능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산후조리원 육아돌봄 알림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9655A true KR20190109655A (ko) 2019-09-26
KR102208475B1 KR102208475B1 (ko) 2021-01-28

Family

ID=68067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7149A KR102208475B1 (ko) 2018-03-07 2018-03-07 사물인터넷 기기 및 인공지능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산후조리원 육아돌봄 알림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84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4150B1 (ko) * 2020-09-22 2020-12-22 (주)피엘씨 산후조리원 운영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5088A (ko) 2014-04-29 2015-11-09 주식회사 올댓베이비 육아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JP2016157010A (ja) * 2015-02-25 2016-09-0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歌唱評価装置及び歌唱評価用プログラム
KR20170100075A (ko) * 2016-01-29 2017-09-04 주식회사 비투코리아 육아 정보관리 및 육아 패턴분석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5088A (ko) 2014-04-29 2015-11-09 주식회사 올댓베이비 육아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JP2016157010A (ja) * 2015-02-25 2016-09-0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歌唱評価装置及び歌唱評価用プログラム
KR20170100075A (ko) * 2016-01-29 2017-09-04 주식회사 비투코리아 육아 정보관리 및 육아 패턴분석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4150B1 (ko) * 2020-09-22 2020-12-22 (주)피엘씨 산후조리원 운영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8475B1 (ko) 2021-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5607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a person's position based on a personal health factor
CN206946665U (zh) 智能监护器及婴幼儿智能监护系统
JP6263892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US9092014B2 (en) Multi-event time and data tracking device
CN111542865A (zh) 监视器和监视系统
KR102041507B1 (ko) 육아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및 아이오티 및 스마트단말기를 이용한 육아관리 서비스 시스템
CN206224753U (zh) 婴幼儿智能监护系统
JP2020071503A (ja) ケアシステム、その管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6326679A (zh) 一种医院用体温和排泄检测集群监护方法和系统
KR20190109655A (ko) 사물인터넷 기기 및 인공지능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산후조리원 육아돌봄 알림시스템
CN107280679A (zh) 一种智能婴幼儿监控照顾系统及其操作方法
KR101801384B1 (ko) 육아 정보관리 및 육아 패턴분석 시스템
JP2018051188A (ja) 活動状況管理装置
KR101708776B1 (ko) 모바일 기반 공동 육아 서비스 시스템
CN103431852A (zh) 老人看护脉搏手表
KR20200106656A (ko) IoT 기술을 활용한 자동 분유제조기
CN108133303A (zh) 智能婴幼儿照护系统
TW201820248A (zh) 智能嬰幼兒照護系統
Suzuki et al. Bidirectional medication support system for medical staff and home care patients
KR20200108526A (ko) IoT 기술을 활용한 자동 분유제조기
CN206003095U (zh) 智慧病房信息交互系统
JP6980872B2 (ja) 活動状況管理装置
Poon et al. Towards using tiny multi-sensors unit for child care reminders
CN109549782A (zh) 智能母婴联动系统
WO2019039145A1 (ja) 情報管理システム、情報管理方法およびケアサポート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