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8904A -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measurement of deviation angle in strabismus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measurement of deviation angle in strabism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8904A
KR20190108904A KR1020180030562A KR20180030562A KR20190108904A KR 20190108904 A KR20190108904 A KR 20190108904A KR 1020180030562 A KR1020180030562 A KR 1020180030562A KR 20180030562 A KR20180030562 A KR 20180030562A KR 20190108904 A KR20190108904 A KR 201901089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eye
angle
cyan
right ey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056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12339B1 (en
Inventor
김선호
임선택
김창룡
이준성
정인영
Original Assignee
김선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선호 filed Critical 김선호
Priority to KR10201800305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2339B1/en
Publication of KR201901089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890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23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233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2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 A61B3/08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for testing binocular or stereoscopic vision, e.g. strabismus
    • A61B3/085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for testing binocular or stereoscopic vision, e.g. strabismus for testing strabismu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strabismal angle measurement method and an automatic strabismal angle measurement device using the same, which can accurately and automatically measure a strabismal angle of an examinee by analyzing a change in position of a cornea while moving positions of a left image viewed by a left eye and a right image viewed by a right eye to correspond to a biased visual axis. The automatic strabismal angle measurem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ody; an image output unit installed inside the body to separate and output a left image viewed by a left eye and a right image viewed by a right eye; a photographing unit installed inside the body to photograph the left and right eyes facing the image output uni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positions of the left and right images, and calculating a biasing degree of a strabismal eye from a photographing image obtained through the photographing unit.

Description

사시각 자동 측정방법과 이를 이용한 사시각 자동 측정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measurement of deviation angle in strabismus}Automatic method for measuring angle of deviation and using the same method for measuring automatic angle of devi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measurement of deviation angle in strabismus}

본 발명은 사시각 자동 측정방법과 이를 이용한 사시각 자동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좌안이 바라보는 좌측영상과 우안이 바라보는 우측영상의 위치를 편위된 시축에 맞추어 이동시키면서 각막의 위치변화를 분석함으로써 피검자의 사시각을 정밀하게 자동으로 측정할 수 있는 사시각 자동 측정방법과 이를 이용한 사시각 자동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measurement method of a perspective angle and an automatic measurement device us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he position of the cornea while moving the position of the left image viewed by the left eye and the right image viewed by the right eye according to the biased time axi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automatically measuring a perspective angle capable of precisely and automatically measuring a subject's perspective angle by analyzing a change, and to a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measuring a perspective angle using the same.

사시(strabismus)는 두 눈이 정렬되지 않고 서로 다른 지점을 바라보는 시력 장애이다. 사시인 경우, 한쪽 눈이 정면을 바라볼 때 다른 쪽 눈은 안쪽 또는 바깥쪽으로 돌아가거나 위 또는 아래로 돌아가 편위된다. 이러한 편위의 정도를 객관적인 수치로 나타낸 것이 사시각(deviation angle)이다. Strabismus is a vision disorder in which the two eyes look at different points without being aligned. In strabismus, when one eye faces the front, the other eye turns inward or outward, or turns up or down and is biased. It is the deviation angle that expresses the degree of this deviation as an objective figure.

안과 분야에서의 안구의 편위를 측정하는 방법은 다양한 치료 영역에서 필요하며, 보다 정확한 치료를 위해서는 보다 정밀한 안구의 편위 측정이 요구된다. 특히 사시 환자의 경우에 정확한 사시각의 측정이 수반되어야 정확한 치료에 의하여 사시 증상을 완화시키거나 교정시킬 수 있다.Methods for measuring ocular deviation in the ophthalmology field are needed in various therapeutic areas, and more accurate ocular deviation measurement is required for more accurate treatment. Particularly in the case of strabismus patients, accurate measurement of strabismus should be accompanied to correct or correct strabismus symptoms by accurate treatment.

사시각 측정방법으로 다양한 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나, 프리즘 커버 테스트(Prism Cover Test, PCT)가 임상적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Although various methods are used as a measurement method of the perspective angle, the prism cover test (PCT) is the most widely used clinically.

프리즘 커버 테스트는 프리즘을 이용하여 사시각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복수 개의 서로 다른 굴절률을 갖는 프리즘을 번갈아 가며 검사 대상자의 눈 앞에 하나씩 위치시켜 검사 대상자의 사시각을 찾아내는 방법이다.The prism cover test is a method of measuring a perspective angle using a prism. The prism cover test alternates a plurality of prisms having different refractive indices and is placed one by one in front of the subject's eyes to find the subject's perspective angle.

하지만, 이러한 검사법은 환자의 사시 정도를 검사자가 수작업을 통해 측정 및 계산하므로, 검사자의 경험 및 숙련도에 따라 측정값의 편차가 크게 나타날 수 있으며,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는 단점을 가진다.However, this test method has the disadvantage that the deviation of the measurement value may appear largely according to the experience and proficiency of the examiner because the tester measures and calculates the degree of strabismus by manual labor.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61635호에는 사시각 측정방법 및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761635 discloses a perspective angle measuring method and apparatus.

상기 특허는 한쪽 안구의 시야 차단 전후의 카메라 영상을 비교하여 안구의 이동거리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사시각을 측정하므로 기존의 프리즘 커버 테스트에 비해 더 객관적이고 정확한 사시판단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하지만, 상기 특허는 시야 차단 및 영상촬영 등이 모두 수동방식으로 이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The patent measures the perspective angle by comparing the camera images before and after the blocking of one eye's field of view and measures the eye movement distance, and thus has the advantage of allowing more objective and accurate judging than the conventional prism cover test. However, the patent has a problem that both the blocking of the field and the image taking is made in a manual manner.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12249호에는 사시 자동측정기구가 개시되어 있다.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812249 discloses an automatic measurement mechanism isometric.

상기 사시 자동측정기구는 내부에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양안과 접하는 일측에 형성된 대안홀과 타측에 형성되는 관측홀을 포함하는 프레임과, 프레임의 내부공간에 구비되고 양안의 전방에 대응하도록 배치되며 경사지도록 구비되는 분광유리와, 분광유리의 상측에 각각 구비되어 분광유리를 통하여 양안을 각각 촬영하는 인식카메라와, 관측홀에 구비되어 관측홀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차폐제어장치와, 인식카메라와 연결되고 차폐제어장치에 의하여 발생하는 양측 안구의 변위를 각각 분석하여 사시를 측정하는 변위분석부를 포함한다. The strabismus automatic measuring device includes a frame including an alternative hole formed on one side and an observation hole formed on the other side and an inner space formed therein, and provided in the inner space of the frame and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front of both eyes. It is connected to the identification camera and the recognition camera which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spectral glass, respectively to shoot both eyes through the spectral glass, the shielding control device provided in the observation hall to selectively shield the observation hall, It includes a displacement analysis unit for measuring the strabismus by analyzing the displacement of both eyes generated by the shielding control device.

상기 사시 자동측정기구는 얼굴에 착용할 수 있도록 하여 자동으로 사시각을 측정할 수 있다는 점에서 사용편의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The automatic strabismus measuring instrument has an advantage of being easy to use in that it can be measured on the face automatically so that it can be worn on the face.

하지만, 양안을 촬영하는 카메라 및 양안에 영상을 비춰주는 영상출력장치가 특정 위치에 고정되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양안 간의 거리는 사람마다 각각 다르므로 정확한 사시각 측정을 위해서는 카메라와 영상이 각 눈의 중심에 위치될 필요가 있다.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a camera for photographing both eyes and an image output device for illuminating an image in both eyes are fixed at a specific position. Since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eyes varies from person to person, the camera and the image need to be positioned at the center of each eye for accurate perspective measurement.

또한, 상기 특허는 좌안과 우안의 차폐에 의한 안구의 변위를 통해 사시각을 측정하고 있으나, 이렇게 측정된 사시각을 최종적으로 검증하는 과정이 없어서 양안의 카파각이 다른 경우나 ARC(이상망막대응) 등 드문 사시 이상에 대처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patent measures the perspective angle through the displacement of the eye due to the shielding of the left and right eyes, but there is no final process of verifying the measured angle of deviation so that the kappa angle of both eyes is different or ARC (abnormal retinal response) It is difficult to cope with unusual strabismus abnormalities.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61635호: 사시각 측정방법 및 장치1.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761635: Method and device for measuring the measurement angle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12249호: 사시 자동측정기구2. 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812249: Isometric automatic measuring mechanism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좌안이 바라보는 좌측영상과 우안이 바라보는 우측영상을 서로 분리하여 2개의 영상으로 출력하고, 각 영상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시안이 바라보는 영상을 사시안의 시축에 맞추어 이동시키면서 사시안의 각막의 위치변화를 분석하여 정확한 사시각의 측정이 가능한 사시각 자동 측정방법과 이를 이용한 사시각 자동 측정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improve the above problems, by separating the left image seen by the left eye and the right image seen by the right eye from each other and outputting them as two images, which is configured to move the position of each image.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automatically measuring the perspective angle, and to analyze the positional change of the corneal cornea while moving the image to the visual axis, and to provide an automatic measurement device using the same.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사시각 자동 측정장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좌안이 볼 수 있는 좌측영상과 우안이 볼 수 있는 우측영상을 서로 분리하여 출력하는 영상출력부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영상출력부를 바라보는 좌안과 우안을 촬영하는 촬영부와; 상기 좌측영상 및 상기 우측영상의 위치를 조절하며, 상기 촬영부를 통해 획득한 촬영이미지로부터 사시안의 편위정도를 산출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A perspective angle automatic measur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nd the main body; An image output unit installed in the main body and separately outputting a left image visible to the left eye and a right image viewed to the right eye; A photographing unit installed in the main body to photograph the left and right eyes facing the image output unit; And a control unit which adjusts positions of the left image and the right image, and calculates a deviation degree of the cyan from the photographed image obtained through the photographing unit.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좌안 및 우안에 불빛을 조사하는 광원부를 더 구비한다.The light source unit is installed on the main body and emits light to the left and right eyes.

상기 본체는 커버하우징과, 상기 커버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커버하우징의 내부를 좌안과 대응되는 좌측공간부 및 우안과 대응되는 우측공간부로 분리하는 차단부재를 구비한다.The main body includes a cover housing and a blocking member installed inside the cover housing to separate the inside of the cover housing into a left space corresponding to the left eye and a right space corresponding to the right eye.

상기 영상출력부는 상기 좌측공간부에 상기 좌측영상을 출력하고 상기 우측공간부에 상기 우측영상을 출력한다.The image output unit outputs the left image to the left space and the right image to the right space.

상기 영상출력부는 상기 좌측영상과 상기 우측영상을 좌우로 분리하여 출력하는 하나의 디스플레이로 구비된다.The image output unit is provided as one display for separating and outputting the left image and the right image left and right.

상기 영상출력부는 상기 좌측영상을 출력하는 좌안 디스플레이와, 상기 우측영상을 출력하는 우안 디스플레이로 구비된다.The image output unit includes a left eye display for outputting the left image and a right eye display for outputting the right image.

상기 디스플레이는 곡면으로 형성된다.The display is formed into a curved surface.

상기 촬영부는 상기 좌측공간부에 설치되어 좌안을 촬영하는 좌안카메라와, 상기 우측공간부에 설치되어 우안을 촬영하는 우안카메라를 구비하다.The photographing unit includes a left eye camera installed in the left space and photographing the left eye, and a right eye camera installed in the right space and photographing the right eye.

상기 좌안카메라 및 상기 우안카메라를 독립적으로 각각 이동시키기 위한 카메라이동수단을 더 구비한다.And a camera moving means for independently moving the left eye camera and the right eye camera, respectively.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의 전방을 촬영하여 제 1외부영상이미지를 획득하는 제 1외부카메라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커버하우징의 전방을 촬영하여 제 2외부영상이미지를 획득하는 제 2외부카메라를 더 구비하고, 상기 영상출력부를 통해 상기 제 1외부영상이미지는 상기 좌측영상으로 출력되고 상기 제 2외부영상이미지는 상기 우측영상으로 출력된다. A first external camera installed in the main body to obtain a first external video image by capturing the front of the main body, and a second external camera installed in the main body to obtain a second external video image by capturing the front of the cover housing; The camera further includes a first external video image as the left image and the second external video image as the right image through the image output unit.

그리고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사시각 자동 측정방법은 좌안이 볼 수 있는 좌측영상과 우안이 볼 수 있는 우측영상의 간격을 피검자의 양안 거리에 맞추어 조절하는 영상간격조절단계와; 상기 피검자의 좌안과 우안을 촬영한 1차 촬영이미지로부터 좌안 및 우안의 각막 위치변화를 비교하여 주시안과 사시안을 판별하는 판별단계와; 상기 판별단계에서 판별된 상기 사시안의 편위정도를 구하여 사시각을 산출하는 산출단계;를 포함한다.And automatic angle measuremen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the image interval adjusting step of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left image visible to the left eye and the right image visible to the right eye according to the binocular distance of the subject; A discriminating step of discriminating a principal eye and a blind eye by comparing the change of the cornea position of the left eye and the right eye from the primary photographed image of the left eye and the right eye of the subject; And calculating a perspective angle by obtaining a deviation degree of the cyanide determined in the discriminating step.

상기 산출단계 후 상기 사시각의 정확 여부를 검증하는 검증단계;를 더 포함한다.And a verifying step of verifying whether the perspective angle is correct after the calculating step.

상기 검증단계는 a)상기 사시각으로부터 계산된 이동 값만큼 상기 좌측 및 우측영상 중 상기 사시안에 대응되는 어느 하나의 영상 위치를 이동시키는 단계와, b)상기 피검자의 좌안과 우안을 촬영한 2차 촬영이미지로부터 상기 사시안에 해당하는 각막의 위치변화를 통해 이동된 영상이 사시안의 시축과 일치하는지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The verification step includes a) moving any one of the image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cyan in the left and right images by a movement value calculated from the perspective angle; and b) a second image of the left and right eyes of the examinee. And comparing the image shifted through the positional change of the cornea from the photographed image with the visual axis of the cyanide.

상기 검증단계에서 상기 사시안에 해당하는 각막의 위치변화가 있을 시 상기 사시각을 보정하여 재검증하는 재검증단계;를 더 포함한다. And a revalidation step of correcting and revalidating the perspective angle when the position of the cornea corresponding to the astigmatism is changed in the verification step.

상기 재검증단계는 a)상기 2차 촬영이미지로부터 상기 사시안에 해당하는 각막의 위치변화를 분석하여 상기 사시각의 보정량을 구하는 단계와, b)상기 보정량으로부터 계산된 이동 값만큼 상기 좌측 및 우측영상 중 상기 사시안에 대응되는 어느 하나의 영상 위치를 이동시키는 단계와, c)상기 피검자의 좌안과 우안을 촬영한 3차 촬영이미지로부터 상기 사시안에 해당하는 각막의 위치변화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다.The re-validation step may include a) obtaining a correction amount of the strabismus angle by analyzing a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cornea corresponding to the cyanoid from the secondary photographed image, and b) the left and right images by the shift value calculated from the correction amount. Moving an imag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yan, and c) comparing a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cornea corresponding to the cyan from a third photographed image of the left and right eyes of the examinee.

상기 3차 촬영이미지에서 상기 사시안에 해당하는 각막의 위치변화가 없을 시 상기 사시각에 상기 보정량을 산입하여 보정된 사시각을 계산하다.When there is no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cornea corresponding to the strabismus in the third photographed image, the corrected perspective angle is calculated by adding the correction amount to the perspective angle.

상기 판별단계는 a)상기 좌측 및 우측영상을 동시에 출력시키는 상태에서 상기 좌측영상을 바라보는 좌안을 촬영하여 제 1좌안이미지를 얻고, 상기 우측영상을 바라보는 우안을 촬영하여 제 1우안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와, b)상기 좌측 및 우측영상을 교대로 출력시키는 상태에서 상기 좌측영상의 출력시 상기 좌측영상을 바라보는 좌안을 촬영하여 제 2좌안이미지를 얻고, 상기 우측영상의 출력시 상기 우측영상을 바라보는 우안을 촬영하여 제 2우안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와, c)상기 제 1좌안이미지와 상기 제 2좌안이미지의 각막 위치변화를 비교하고, 상기 제 1우안이미지와 상기 제 2우안이미지의 각막 위치변화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determining may include a) photographing a left eye looking at the left image while simultaneously outputting the left and right images, and obtaining a first left eye image, photographing a right eye facing the right image to obtain a first right eye image. And b) photographing the left eye facing the left image when the left image is output while the left and right images are alternately output to obtain a second left eye image, and the right image when the right image is output. Acquiring a second right eye image by photographing the right eye, and c) comparing a change in the corneal position of the first left eye image and the second left eye image, and comparing the first right eye image with the second right eye image. Comparing the change of corneal position.

상기 판별단계는 상기 피검자의 전방을 촬영하여 획득한 제 1외부영상이미지를 상기 좌측영상으로 출력시키고, 상기 피검자의 전방을 촬영하여 획득한 제 2외부영상이미지를 상기 우측영상으로 출력시킨다.The discriminating step outputs a first external image image obtained by photographing the front of the subject as the left image, and outputs a second external image image obtained by photographing the front of the subject as the right image.

상기 산출단계는 상기 주시안 또는 상기 사시안으로부터 구한 카파각을 상기 사시안으로부터 구한 편위각과 비교하여 사시각을 산출한다. The calculating step calculates the perspective angle by comparing the kappa angle obtained from the main cyan or the cyan to the deviation angle obtained from the cyan.

상기 산출단계는 a)상기 주시안과 상기 사시안에 불빛을 비춘 상태에서 상기 주시안과 상기 사시안을 촬영하여 주시안 각막반사이미지와 사시안 각막반사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와, b)상기 주시안 각막반사이미지를 통해 상기 주시안의 각막에 발생된 반사점과 각막 중심의 거리를 측정하여 상기 주시안의 카파각을 산출하는 단계와, c)상기 사시안의 각막반사이미지를 통해 상기 사시안의 각막에 발생된 반사점과 각막 중심의 거리를 측정하여 상기 사시안의 편위각을 산출하는 단계와, d)상기 주시안의 카파각과 상기 사시안의 편위각을 비교하여 상기 사시안의 사시각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calculating step includes the steps of: a) photographing the subject cyan and the cyan in a state in which the light is illuminated on the subject cyan and the cyan to obtain a cyan corneal reflecting image and a cyan corneal reflecting image; b) obtaining the cyan corneal reflecting image. Calculating the kappa angle of the main cyan by measuring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er of the cornea and the reflection point generated in the cornea of the main cyan, c) through the corneal reflection image of the cyan, Calculating a deviation angle of the cyanide by measuring a distance; and d) calculating a deviation angle of the cyanide by comparing the kappa angle of the main cyan and the deviation angle of the cyanide.

상기 판별단계는 a)상기 좌측 및 우측영상을 동시에 출력시키는 상태에서 상기 좌측영상을 바라보는 좌안을 촬영하여 제 1좌안이미지를 얻고, 상기 우측영상을 바라보는 우안을 촬영하여 제 1우안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와, b)상기 좌측 및 우측영상을 교대로 출력시키는 상태에서 상기 좌측영상의 출력시 우안을 촬영하여 제 2우안이미지를 얻고, 상기 우측영상의 출력시 좌안을 촬영하여 제 2좌안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와, c)상기 제 1좌안이미지와 상기 제 2좌안이미지의 각막 위치변화를 비교하고, 상기 제 1우안이미지와 상기 제 2우안이미지의 각막 위치변화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The determining may include a) photographing a left eye looking at the left image while simultaneously outputting the left and right images, and obtaining a first left eye image, photographing a right eye facing the right image to obtain a first right eye image. And b) photographing the right eye at the time of outputting the left image in the state of alternately outputting the left and right images, obtaining a second right eye image, and photographing the left eye at the time of outputting the right image. And acquiring a change in the corneal position of the first left eye image and the second left eye image, and comparing the change of the corneal position of the first right eye image and the second right eye imag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하 또는 좌우로 이동할 수 있는 2개의 영상과 카메라를 이용함으로써 피검자의 양안 간의 거리에 맞추어 각 눈의 중심 위치에서 영상을 보여주고 이를 촬영할 수 있으므로 보다 정확한 사시각의 측정이 가능하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two images and a camera which can move up and down or left and right, the image can be displayed and photographed at the center position of each eye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both eyes of the subject, so that a more accurate measurement of the perspective angle can be obtained. It is possible.

또한, 본 발명은 1차로 계산된 사시각에 근거하여 사시안이 바라보는 영상을 사시안의 시축에 맞추어 이동시키면서 사시안의 각막의 위치변화를 분석하는 검증과정을 통해 1차로 계산된 사시각의 정확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the primary angle of the first calculated angle to see whether the corrected angle of the first angle through the verification process to analyze the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cornea while moving the image viewed by the visual axis of the subject is correct. You can check it.

이에 따라 사시각의 정밀한 측정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양안의 카파각이 다른 경우나 ARC(이상망막대응) 등 드문 사시 이상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This enables not only accurate measurement of the strabismus angle, but also effective coping with rare strabismus abnormalities such as different kappa angles in both eyes and ARC.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시각 자동 측정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1에 적용된 요부를 발췌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1의 블록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사시각 자동 측정장치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사시각 자동 측정장치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시각 자동 측정장치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11은 도 9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12는 정상인의 양안이 물체를 주시할 때의 모습을 개념적으로 나타내 모식도이고,
도 13은 도 12에서 우안의 카파각을 계산하기 위한 모식도이고,
도 14는 사시환자의 양안이 물체를 주시할 때의 모습을 개념적으로 나타내 모식도이고,
도 15는 정상인의 각막반사점을 보여주는 그림이고,
도 16은 우안이 내사시인 환자의 각막반사점을 보여주는 그림이고,
도 17은 우안이 외사시인 환자의 각막반사점을 보여주는 그림이고,
도 18은 우안이 내사시인 환자의 양안 각막반사이미지이고,
도 19는 우안이 외사시인 환자의 양안 각막반사이미지이고,
도 20은 좌안이 내사시인 환자의 양안 각막반사이미지이고,
도 21은 좌안이 외사시인 환자의 양안 각막반사이미지이고,
도 22는 사시안의 편위정도에 따라 각막반사점의 위치변화를 나타내는 그림이고,
도 23은 주시안의 편위거리와 편위각을 나타내는 모식도이고,
도 24는 사시안의 편위거리와 편위각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erspective angle automatic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inside of FIG. 1;
3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inside of FIG. 1,
4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inside of FIG. 1;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ortion applied to Figure 1,
6 is a block diagram of FIG. 1,
7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interior of the automatic perspective measur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interior of the automatic perspective measur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interior of the automatic perspective measur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inside of FIG. 9,
FIG. 11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interior of FIG. 9;
12 is a schematic diagram conceptually showing a state when both eyes of a normal person gaze at an object,
FIG. 13 is a schematic diagram for calculating the kappa angle of the right eye in FIG. 12;
14 is a schematic diagram conceptually showing how both eyes of an strabismus patient observe an object,
15 is a diagram showing the corneal reflection of a normal person,
16 is a diagram showing the corneal reflection of the right eye esotropia,
17 is a diagram showing the corneal reflection of the right eye of the patient with exotropia,
18 is a bilateral corneal reflection image of a patient having an esotropia of the right eye,
19 is a bilateral corneal reflex image of a patient whose right eye is exotropia,
20 is a bilateral corneal reflection image of a patient with esotropia of the left eye,
FIG. 21 is a bilateral corneal reflection image of a patient with an exotropia in the left eye,
22 is a diagram showing the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corneal reflecting point according to the degree of deviation of the cyanide,
Fig. 2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deviation distance and deviation angle of the main eye;
It is a schematic diagram which shows the deviation distance and deviation angle of a cyanid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사시각 자동 측정방법과 이를 이용한 사시각 자동 측정장치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automatic perspective measurement metho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perspective angle measurement apparatus using the same.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사시각 자동 측정장치는 본체(6)와, 본체(6)의 내부에 설치되어 좌안이 볼 수 있는 좌측영상(11)과 우안이 볼 수 있는 우측영상(13)을 서로 분리하여 출력하는 영상출력부(10)와, 본체(6)의 내부에 설치되어 영상출력부(10)를 바라보는 좌안과 우안을 촬영하는 촬영부와, 좌측영상(11) 및 우측영상(13)의 위치를 조절하며 촬영부를 통해 획득한 촬영이미지로부터 사시안의 편위정도를 산출하는 제어부(100)를 구비한다. 1 to 6, a perspective angle automatic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6 and a left image 11 and a right eye which are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6 and can be seen by the left eye. An image output unit 10 for separating and outputting the right side viewable image 13 from each other, a photographing unit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6 and photographing the left and right eyes facing the image output unit 10; The control unit 100 adjusts the positions of the left image 11 and the right image 13 and calculates the degree of deviation of the cyan from the photographed image obtained through the photographing unit.

본체(6)는 피검자의 얼굴 전면에 위치한다. 따라서 피검자는 좌안과 우안을 통해 본체(6)의 내부를 들여다 볼 수 있다. The main body 6 is located in front of the face of the examinee. Therefore, the examinee can look inside the main body 6 through the left eye and the right eye.

본체(6)는 웨어러블(wearable) 방식으로 얼굴에 착용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body 6 may have a structure that can be worn on the face in a wearable manner.

이와 달리 본체는 웨어러블 방식보다는 더 크게 형성되어 실내의 바닥이나 테이블 위에 또는 지지프레임 위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체는 자판기와 같은 사각 형태로 실내 또는 실외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본체의 경우 피검자는 본체의 앞에 앉거나 서 있는 상태로 본체의 내부를 들여다보면서 사시각을 측정할 수 있다. On the contrary, the main body may be formed larger than the wearable method and installed on the floor or table of the room or on the support frame. In addition, the main body may be installed indoors or outdoors in a rectangular form such as a vending machine. In the case of such a body, the subject may measure the perspective angle while looking into the interior of the body while sitting or standing in front of the body.

본체(6)는 외관을 이루는 커버하우징(1)의 내부에 차단부재(5)가 설치되어 커버하우징(1)의 내부공간이 좌측공간부와 우측공간부로 분리된 구조를 갖는다.  The main body 6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blocking member 5 is installed inside the cover housing 1 forming the exterior so that the inner space of the cover housing 1 is divided into a left space part and a right space part.

이하에서는 얼굴에 착용가능한 웨어러블 방식의 본체를 일 예로 들어 설명한다. Hereinafter will be described taking the main body of the wearable type wearable on the face as an example.

도시된 본체(6)는 커버하우징(1)과, 커버하우징(1)의 내부에 설치되어 커버하우징(1)의 내부를 좌측공간부(3) 및 우측공간부(4)로 분리하는 차단부재(5)를 구비한다. The main body 6 shown is installed in the cover housing 1 and the cover housing 1, and a blocking member for separating the inside of the cover housing 1 into the left space part 3 and the right space part 4. (5) is provided.

커버하우징(1)은 얼굴의 전면에 위치하여 양안을 덮을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다. 커버하우징(1)은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며, 전면이 막혀 있다. 이러한 커버하우징(1)은 웨어러블방식으로 얼굴에 착용이 가능하다. Cover housing (1) is formed in a structure that can be located on the front of the face to cover both eyes. The cover housing 1 is formed with an empty space therein, the front is blocked. The cover housing 1 may be worn on the face in a wearable manner.

이를 위해 커버하우징(1)을 안면에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수단이 본체에 더 구비될 수 있다. 고정수단의 예로 커버하우징(1)에 설치되는 고정벨트(9)가 도시되어 있다. 고정벨트(9)는 환자의 머리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고정벨트(9) 대신에 헬멧, 밴드 등의 다양한 고정수단을 적용하여 커버하우징(1)을 안면에 고정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To this end, fixing means for fixing the cover housing 1 to the face may be further provided in the main body. As an example of the fixing means there is shown a fixing belt 9 installed in the cover housing 1. Fixing belt (9) is coupled to detachable to the patient's head. Instead of the fixing belt (9) by applying a variety of fixing means, such as helmet, band can be fixed to the cover housing (1) of course.

안면과 접촉하는 커버하우징(1)의 후면은 안면과의 밀착성을 높이기 위해 곡면 형태로 굽어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커버하우징(1)의 후면 가장자리에는 유연한 소재로 형성되어 안면과 접촉되는 쿠션부(2)가 마련될 수 있다. The rear surface of the cover housing 1 in contact with the face is preferably formed to be bent in a curved shape in order to increase the adhesion to the face. In addition, the rear edge of the cover housing 1 may be provided with a cushioning portion 2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in contact with the face.

커버하우징(1)의 내부에는 차단부재(5)가 설치된다. 차단부재(5)는 판상으로 형성된다. 차단부재(5)는 커버하우징(1)의 내부를 2개의 공간, 즉 좌측공간부(3)와 우측공간부(4)로 분리하는 역할을 한다. 좌측공간부(3)는 피검자의 좌안과 대응되는 공간이며, 우측공간부(4)는 피검자의 우안과 대응되는 공간이다. The blocking member 5 is installed inside the cover housing 1. The blocking member 5 is formed in a plate shape. The blocking member 5 serves to separate the inside of the cover housing 1 into two spaces, that is, the left space portion 3 and the right space portion 4. The left space 3 is a space corresponding to the left eye of the subject, and the right space 4 is a space corresponding to the right eye of the subject.

도시되지 않았지만 커버하우징(1)에는 내부의 조명을 위한 조명램프가 설치될 수 있다. 조명램프는 조도를 단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LED를 적용할 수 있다. 조명램프는 좌측공간부(3)와 우측공간부(4)에 각각 하나씩 설치될 수 있다. 조명램프에 의해 좌측공간부(3)와 우측공간부(4)를 밝게 유지하거나 어둡게 유지할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the cover housing 1 may be provided with an illumination lamp for internal lighting. Lighting lamps can be applied to the LED to adjust the illumination step by step. One lighting lamp may be installed in each of the left space part 3 and the right space part 4. By the lighting lamp, the left space part 3 and the right space part 4 can be kept bright or dark.

커버하우징(1)의 후면의 좌우측에는 광학렌즈(7)(8)가 각각 설치된다. 광학렌즈(7)(8)는 좌우로 일정거리 이격된다. 좌측에 위치하는 광학렌즈(7)는 피검자의 좌안과 대응되고, 우측에 위치하는 광학렌즈(8)는 피검자의 우안과 대응된다. 피검자의 좌안은 좌측의 광학렌즈(7)를 통해 좌측공간부(3)를 볼 수 있으며, 우안은 우측의 광학렌즈(8)를 통해 우측공간부(4)를 볼 수 있다. Optical lenses 7 and 8 are respectively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rear surface of the cover housing 1. The optical lenses 7 and 8 are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side to side. The optical lens 7 located on the left side corresponds to the left eye of the subject, and the optical lens 8 located on the right side corresponds to the right eye of the subject. The left eye of the subject can see the left space 3 through the left optical lens 7, and the right eye can see the right space 4 through the right optical lens 8.

광학렌즈(7)(8)는 영상출력부(10)를 통해 출력되는 좌측영상(11)과 우측영상(13)을 피검자가 선명하게 볼 수 있도록 한다. 광학렌즈(7)(8)는 좌측영상과 좌안의 거리, 우측영상과 우안의 거리에 따라 적절한 형태의 렌즈가 이용될 수 있다. 가령, 광학렌즈로 볼록렌즈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광학렌즈로 단일 또는 2개 이상의 렌즈가 조합된 형태로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The optical lenses 7 and 8 allow the examinee to clearly see the left image 11 and the right image 13 output through the image output unit 10. As the optical lenses 7 and 8, a lens having an appropriate shape may be used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left image and the left eye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right image and the right eye. For example, a convex lens may be applied to the optical lens. In addition, of course, the optical lens may be applied in the form of a single or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lenses.

광학렌즈(7)(8)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좌우로 이동될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광학렌즈(7)(8)의 좌우 이동구조는 다양한 주지기술을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The optical lenses 7 and 8 may be installed to be moved left and right by a user's operation. The left and right movement structures of the optical lenses 7 and 8 can be implemented using various known techniques.

사람의 왼쪽 눈과 오른쪽 눈의 거리, 즉 양안 거리는 동일하지 않다. 일반적으로 어린이는 양안 거리가 좁고 어른은 양안 거리가 넓다. 또한, 같은 연령대에서도 얼굴의 해부학적 구조에 따라 양안 거리가 달라진다. 따라서 광학렌즈(7)(8)를 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음에 따라 피검자의 양안 거리에 맞추어 2개의 광학렌즈(7)(8)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The distance between the left and right eyes of a person, ie binocular distance, is not the same. In general, children have a narrow binocular distance, and adults have a wide binocular distance. In addition, even in the same age, the binocular distance varies according to the anatomy of the face. Therefore, as the optical lenses 7 and 8 can be moved left and right,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optical lenses 7 and 8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binocular distance of the examinee.

한편, 도시된 바와 달리 커버하우징(1)의 후면에는 광학렌즈가 설치되지 않고 그 위치에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좌안과 우안은 광학렌즈를 통하지 않고 관통홀을 통해 좌측영상(11)과 우측영상(13)을 직접 바라볼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unlike the illustrated, the rear surface of the cover housing 1 is not provided with an optical lens, the through hole may be formed at the position. In this case, the left eye and the right eye can directly view the left image 11 and the right image 13 through the through-hole without passing through the optical lens.

영상출력부(10)는 커버하우징(1)의 내부에 설치된다. 가령 영상출력부(10)는 커버하우징(1)의 전면 내측에 설치될 수 있다. The image output unit 10 is installed inside the cover housing 1. For example, the image output unit 10 may be installed inside the front of the cover housing (1).

영상출력부(10)는 좌안이 볼 수 있는 좌측영상(11)과 우안이 볼 수 있는 우측영상(13)을 출력한다. 좌측영상(11)과 우측영상(13)은 공간적으로 분리되어 있다. 좌측영상(11)은 좌측공간부(3)에 위치하고 우측영상(13)은 우측공간부(4)에 위치한다. 차단부재(5)에 의해 좌안은 좌측영상(11)만 볼 수 있고, 우안은 우측영상(13)만 볼 수 있다. The image output unit 10 outputs the left image 11 that the left eye can see and the right image 13 that the right eye can see. The left image 11 and the right image 13 are spatially separated. The left image 11 is located in the left space portion 3 and the right image 13 is located in the right space portion 4. By the blocking member 5, the left eye can only see the left image 11, and the right eye can only see the right image 13.

바람직하게 좌측영상(11)의 중심은 좌안의 중심과 대응되게 위치하고, 우측영상(13)의 중심은 우안의 중심과 대응되게 위치한다. 좌안과 우안의 중심은 각 안구의 중심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안구의 중심은 안구의 해부학적 중심 또는 각막의 중심을 의미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center of the left image 11 is located to correspond to the center of the left eye, and the center of the right image 13 is located to correspond to the center of the right eye. The center of the left and right eyes may mean the center of each eye. And the center of the eye may mean the anatomical center of the eye or the center of the cornea.

영상출력부(10)는 메모리부(120)에 저장된 영상들 중에서 제어부(100)에 의해 선택된 영상을 좌측영상(11)과 우측영상(13)으로 각각 출력할 수 있다. 좌측영상(11)과 우측영상(13)은 사진과 같은 정지영상 또는 영화, 게임 등과 같은 동영상일 수 있다. The image output unit 10 may output the image selected by the controller 100 among the images stored in the memory unit 120 as the left image 11 and the right image 13, respectively. The left image 11 and the right image 13 may be a still image such as a picture or a moving image such as a movie or a game.

영상출력부(10)는 하나 또는 2개의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다. The image output unit 10 may be implemented as one or two displays.

도시된 예는 하나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하나의 디스플레이의 화면을 좌우로 나누어 좌측화면영역과 우측화면영역으로 각각 할당하고, 좌측화면영역 내에서 좌측영상(11)을 출력하고 우측화면영역 내에서 우측영상(13)을 출력한다. 2개의 화면영역은 좌우로 분리되어 좌측화면영역은 좌측공간부(3)에 위치하고, 우측화면영역은 우측공간부(4)에 위치한다. 하나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하는 경우 좌측영상(11)이 출력되는 좌측화면영역과 우측영상(13)이 출력되는 우측화면영역 사이에 차단부재(5)가 위치한다. The illustrated example shows the use of one display. The screen of one display is divided into left and right and assigned to the left screen area and the right screen area, respectively, and the left image 11 is output in the left screen area and the right image 13 is output in the right screen area. The two screen areas are divided left and right, so that the left screen area is located in the left space part 3 and the right screen area is located in the right space part 4. When one display is used, the blocking member 5 is positioned between the left screen region on which the left image 11 is output and the right screen region on which the right image 13 is output.

하나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할 경우 제어부(100)는 좌측화면영역 내에서 좌측영상(11)의 위치와 크기를 조절할 수 있고, 우측화면영역 내에서 우측영상(13)의 위치와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00)의 제어에 의해 좌측영상(11)과 우측영상(13)의 위치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상하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자체를 기계적인 방법으로 좌우 또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좌측영상과 우측영상을 이동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When using one display, the control unit 100 may adjust the position and size of the left image 11 in the left screen region, and adjust the position and size of the right image 13 in the right screen region. Accordingly, the position of the left image 11 and the right image 13 may be mov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r freely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00. In addition,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the effect of moving the left image and the right image can be obtained by moving the display itself in the left and right or up and down directions by a mechanical method.

좌측영상(11)과 우측영상(13)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음에 따라 피검자와 좌안과 우안에 각각 서로 다른 영상을 출력하여 보여줄 수 있으며, 영상의 위치를 피검자의 양안거리에 맞춰 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좌측영상과 우측영상 중 어느 하나만을 독립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사시안에 시축에 맞추어 사시안 측의 영상을 이동시키면서 사시안의 각막의 위치변화를 분석하여 정밀한 사시각 측정이 가능하다. 또한, 좌측영상과 우측영상 중 어느 하나의 영상만을 선택적으로 출력할 수 있으므로 한눈을 가리지 않더라도 커버테스트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As the position of the left image 11 and the right image 13 can be moved, it is possible to output different images of the subject, the left eye, and the right eye, respectively, and the position of the image can be adjusted to the binocular distance of the subject. Do. In addition, since only one of the left image and the right image can be moved independently, accurate perspective angle measurement is possible by analyzing the change of the position of the corneal cornea while moving the image of the cyanide side in accordance with the time axis in the astigmatism. In addition, since only one image of the left image and the right image can be selectively output, the cover test is possible even without covering the eyes.

그리고 도시된 예에서 영상출력부(10)는 평면으로 형성된 디스플레이를 이용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으나 이와 달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출력부(19)는 곡면으로 형성된 디스플레이를 이용할 수 있다. 좌우 방향으로 휘어져 곡면으로 형성된 디스플레이는 영상의 왜곡도를 줄일 수 있다.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image output unit 10 shows a state of using a flat display, but as shown in FIG. 7, the image output unit 19 may use a curved display. A curved display curv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may reduce distortion of an image.

그리고 도시되지 않았지만 영상출력부가 2개의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경우 좌측공간부에 좌안 디스플레이가 설치되고, 우측공간부에 우안 디스플레이가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2개의 디스플레이는 좌우로 분리된다. 차단부재는 2개의 디스플레이 사이에 위치한다. 좌안 디스플레이의 화면을 통해 좌측영상이 출력되고, 우안 디스플레이의 화면을 통해 우측영상이 출력된다. 각각의 디스플레이 화면 내에서 좌측영상 또는 우측영상의 위치와 크기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좌측영상과 우측영상의 위치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상하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when the image output unit is implemented as two displays, the left eye display may be installed in the left space, and the right eye display may be installed in the right space. Thus, the two displays are separated from side to side. The blocking member is located between the two displays. The left image is output through the screen of the left eye display, and the right image is output through the screen of the right eye display. Since the position and size of the left image or the right image can be adjusted within each display screen, the position of the left image and the right image can be moved in the left or right direction or freely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영상출력부가 2개의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경우 각각의 디스플레이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곡면 디스플레이로 좌우 및 상하 방향으로 모두 휘어져 안구의 형상과 비슷한 비구면 형태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할 수 있다. When the image output unit is implemented by two displays, each display may be formed in a curved surface. Preferably, as a curved display, an aspherical display similar to the shape of an eyeball may be used, which is bent in both left and right and up and down directions.

커버하우징(1)의 내부에는 영상출력부(10)를 바라보는 좌안과 우안을 촬영하는 촬영부가 설치된다. Inside the cover housing 1, a photographing unit for photographing the left and right eyes facing the image output unit 10 is installed.

촬영부는 1개의 카메라 또는 2개의 카메라로 이루어질 수 있다. 1개의 카메라로 이루어질 경우 카메라는 커버하우징의 중앙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2개의 카메라로 이루어질 경우 좌측공간부와 우측공간부에 각각 하나씩 위치한다. The photographing unit may include one camera or two cameras. When the camera consists of one camera, the camera may be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cover housing. When the camera is composed of two cameras, the camera is positioned one by one in the left space and the right space.

도시된 예에서 촬영부는 피검자의 좌안과 우안을 각각 촬영할 수 있도록 2개의 카메라(20)(25)로 구비된다. 좌측공간부(3)에 좌안카메라(20)가 설치되고, 우측공간부(4)에 우안카메라(25)가 설치된다. 좌안카메라(20)는 피검자의 좌안을 촬영하고, 우안카메라(25)는 피검자의 우안을 촬영한다.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photographing unit is provided with two cameras 20 and 25 so as to photograph the left and right eyes of the examinee, respectively. The left eye camera 20 is installed in the left space 3, and the right eye camera 25 is installed in the right space 4. The left eye camera 20 photographs the subject's left eye, and the right eye camera 25 photographs the subject's right eye.

좌안카메라(20)와 우안카메라(25)로 고행상도 CCD카메라를 사용할 수 있다. 좌안카메라(20)에서 촬영한 좌안의 영상이미지와 우안카메라(25)에서 촬영한 우안의 영상이미지는 제어부(100)로 보내진다. A high resolution CCD camera can be used as the left eye camera 20 and the right eye camera 25. The video image of the left eye taken by the left eye camera 20 and the video image of the right eye taken by the right eye camera 25 are sent to the controller 100.

도시된 예에서 좌안카메라(20)와 우안카메라(25)는 커버하우징(1)의 전면 내측에 설치되어 영상출력부(10)의 하부에 위치한다. 좌안카메라(20)는 좌측영상(11)의 중심과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고, 우안카메라(25)는 우측영상(13)의 중심과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된다.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left eye camera 20 and the right eye camera 25 are installed inside the front side of the cover housing 1 and are positioned below the image output unit 10. The left eye camera 20 is install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enter of the left image 11, and the right eye camera 25 is install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enter of the right image 13.

본 발명에서 좌안카메라(20)와 우안카메라(25)는 카메라이동수단에 의해 독립적으로 각각 이동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이에 따라 카메라(20)(25)의 위치를 피검자의 양안거리에 맞춰 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카메라(20)(25)를 좌우 또는 상하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정밀한 사시각 측정이 가능하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eft eye camera 20 and the right eye camera 25 may be independently moved by camera moving means.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camera 20, 25 according to the binocular distance of the subject. In addition, since the camera 20, 25 can be moved freely in the left and right or up and down directions, precise perspective angle measurement is possible.

도시된 카메라이동수단은 제 1이송부(30)와 제 2이송부(39)로 구비된다. 제 1이송부(30)는 좌안카메라(20)를 이동시키고, 제 2이송부(39)는 우안카메라(25)를 이동시킨다. 제 1 및 제 2이송부(30)(39)는 좌우이동 및 상하 이동이 모두 가능한 방식을 적용하고 있다. 이와 달리 좌우 이동만 하거나 상하 이동만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The illustrated camera moving means is provided with a first transfer unit 30 and a second transfer unit 39. The first transfer unit 30 moves the left eye camera 20, and the second transfer unit 39 moves the right eye camera 25. The first and second transfer units 30 and 39 employ a method capable of both left and right movement and up and down movement. Unlike this, only the left and right movements or only the vertical movements can be made.

일 예로, 제 1 및 제 2이송부(30)(39)는 커버하우징(1)의 전면 내측에 설치된 스테이지(29)와, 스테이지(29)에 설치되어 좌우 방향(X축 방향) 및 상하 방향(Y축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X-Y이송유닛으로 이루어진다. For example, the first and second transfer parts 30 and 39 may be provided on a stage 29 provided inside the front surface of the cover housing 1, and installed on the stage 29.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X-axis direction) and the vertical direction ( It consists of an XY feed unit that can move in the Y-axis direction).

제 1 및 제 2이송부(30)(39)는 설치위치만 다를 뿐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도 5에 도시된 제 1이송부(30)의 구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Since the first and second transfer parts 30 and 39 have the same structure except that only the installation positions thereof, the structure of the first transfer part 30 shown in FIG. 5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영상출력부의 하부에 사각의 스테이지(29)가 설치된다. 그리고 스테이지(29)에 X-Y이송유닛이 설치된다. The rectangular stage 29 is installed below the image output unit. The stage 29 is provided with an X-Y transfer unit.

X-Y이송유닛으로 다양한 이송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가령, 리니어 모터(linear motor)를 이용할 수 있다. 리니어 모터는 직선으로 전개배치된 고정자에 이동자가 결합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전원이 공급되면 이동자가 직선운동을 한다. 이러한 리니어 모터는 소형화 및 위치제어에 유리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Various transfer devices are available as X-Y transfer unit. For example, a linear motor can be used. The linear motor has a structure in which a mover is coupled to a stator deployed in a straight line, and when the power is supplied, the mover performs a linear movement. Such a linear motor has an advantage of miniaturization and position control.

도시된 X-Y이송유닛은 한쌍의 X축 리니어 모터(31)(32)와, X축 리니어 모터(31)(32)를 연결하는 세로가이드바(35)와, 한쌍의 Y축 리니어 모터(33)(34)와, Y축 리니어 모터(33)(34)를 연결하는 가로가이드바(36)와, 세로가이드바(35)와 가로가이드바(36)가 관통하며 좌안카메라(20)가 설치되는 이동블록(37)을 구비한다. The illustrated XY transfer unit includes a pair of X-axis linear motors 31 and 32, a vertical guide bar 35 connecting the X-axis linear motors 31 and 32, and a pair of Y-axis linear motors 33. A horizontal guide bar 36 connecting the 34 and the Y-axis linear motors 33 and 34 and the vertical guide bar 35 and the horizontal guide bar 36 pass through the left eye camera 20. A moving block 37 is provided.

한쌍의 X축 리니어 모터(31)(32)는 상하로 나란하게 배치된다. 각 X축 리니어 모터(31)(32)의 고정자(31a)는 스테이지(29)에 고정되고, 고정자(31a)에 이동자(31b)가 결합된다. X축 리니어 모터(31)(32)의 작동에 의해 이동자(31b)는 좌우로 이동된다. A pair of X-axis linear motors 31 and 32 are arranged side by side up and down. The stator 31a of each X-axis linear motor 31, 32 is fixed to the stage 29, and the mover 31b is coupled to the stator 31a. The mover 31b is moved left and right by the operation of the X-axis linear motors 31 and 32.

그리고 한쌍의 Y축 리니어 모터(33)(34)는 좌우로 나란하게 배치된다. 각 Y축 리니어 모터(33)(34)의 고정자(34a)는 스테이지(29)에 고정되고, 고정자(34a)에 이동자(34b)가 결합된다. Y축 리니어 모터(33)(34)의 작동에 의해 이동자(34b)는 상하로 이동된다. And a pair of Y-axis linear motors 33 and 34 are arranged side by side to the left and right. The stator 34a of each Y-axis linear motor 33, 34 is fixed to the stage 29, and the mover 34b is coupled to the stator 34a. The mover 34b is moved up and down by the operation of the Y-axis linear motors 33 and 34.

세로가이드바(35)는 한쌍의 X축 리니어 모터(31)(32)의 이동자(31b)에 연결되고, 가로가이드바(36)는 한쌍의 Y축 리니어 모터(33)(34)의 이동자(34b)에 연결된다. The vertical guide bar 35 is connected to the mover 31b of the pair of X-axis linear motors 31 and 32, and the horizontal guide bar 36 is the mover (of the pair of Y-axis linear motors 33 and 34). 34b).

이동블록(37)에는 세로가이드바(35)가 통과하는 세로 슬라이딩홀이 상하로 관통되어 형성되고, 가로가이드바(36)가 통과하는 가로 슬라이딩홀이 좌우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이동블록(37)에는 좌안카메라(20)가 설치된다. 제 2이송부(39)를 구성하는 이동블록(38)에는 우안카메라(25)가 설치됨은 물론이다. 그리고 제 1이송부(30)의 이동블록(37)에는 후술할 좌안광원부(40)가 설치되고, 제 2이송부(39)의 이동블록에는 후술할 우안광원부(45)가 설치된다. The movable block 37 has a vertical sliding hole through which the vertical guide bar 35 passes up and down, and a horizontal sliding hole through which the horizontal guide bar 36 passes through is formed left and right. The left eye camera 20 is installed in the moving block 37. Of course, the right eye camera 25 is installed in the moving block 38 constituting the second transfer unit 39. The left eye light source unit 40 to be described later is installed in the moving block 37 of the first transfer unit 30, and the right eye light source unit 45 to be described later is installed in the moving block of the second transfer unit 39.

제어부(100)의 제어에 의해 X축 리니어 모터(31)(32)가 작동하면 이동블록(37)은 좌우 어느 한 방향으로 이동하고, Y축 리니어 모터(33)(34)가 작동하면 이동블록(37)은 상하 어느 한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X-Y이송유닛에 의해 좌안카메라(20) 및 우안카메라(25)를 필요한 위치로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다. When the X-axis linear motors 31 and 32 operat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00, the moving block 37 moves in either direction, and when the Y-axis linear motors 33 and 34 operate, the moving block moves. Reference numeral 37 moves in one of the up and down directions. Thus, the present invention can freely move the left eye camera 20 and the right eye camera 25 to the required position by the X-Y transfer unit.

또한, 좌안카메라와 우안카메라는 바라보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이동블록에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In addition, the left eye camera and the right eye camera may be installed in the moving block to adjust the viewing angle.

한편, 본 발명은 좌안 및 우안에 불빛을 조사하기 위한 광원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원부는 1개의 광원 또는 2개의 광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1개의 광원으로 이루어질 경우 광원부는 커버하우징의 중앙에 위치한다. 그리고 2개의 광원으로 이루어질 경우 좌측공간부와 우측공간부에 각각 하나씩 위치한다. 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light source for emitting light to the left and right eyes. The light source unit may consist of one light source or two light sources. In the case of one light source, the light source unit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cover housing. When the light source is composed of two light sources, the light source is positioned one by one in the left space part and the right space part.

도시된 예에서 광원부는 피검자의 좌안과 우안에 불빛을 각각 조사할 수 있도록 2개의 광원으로 구비된다. 즉, 좌안에 불빛을 조사하기 위한 좌안광원부(40)가 좌측공간부(3)에 설치되고, 우안에 불빛을 조사하기 위한 우안광원부(45)가 우측공간부(4)에 설치된다. 좌안광원부(40)와 우안광원부(45)는 좌안과 우안에 불빛을 조사하여 각막에서 불빛의 반사점 위치를 파악하기 위함이다.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light source unit is provided with two light sources to irradiate light to the left eye and the right eye of the examinee, respectively. That is, the left eye light source unit 40 for irradiating the light on the left eye is installed in the left space part 3, and the right eye light source unit 45 for irradiating the light on the right eye is installed in the right space part 4. The left eye light source unit 40 and the right eye light source unit 45 are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reflection point of the light on the cornea by irradiating the light on the left eye and the right eye.

좌안광원부(40)와 우안광원부(45)는 눈으로 불빛을 조사할 수 있는 위치면 특별히 설치위치가 제한되지 않으나, 눈의 정면방향에서 불빛을 조사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left eye light source unit 40 and the right eye light source unit 45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in terms of their installation position if they can irradiate light with their eyes, but are preferably installed at positions where the light can be irradiated from the front direction of the eye.

도시된 예에서는 좌안카메라(20)와 함께 이동이 가능하도록 좌안광원부(40)는 제 1이송부(30)의 이동블록(37)에 설치되고, 우안카메라(25)와 함께 이동이 가능하도록 우안광원부(45)는 제 2이송부(39)의 이동블록(38)에 설치된다.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left eye light source unit 40 is installed in the moving block 37 of the first transfer unit 30 to move together with the left eye camera 20, and the right eye light source unit to move together with the right eye camera 25. 45 is installed in the moving block 38 of the second transfer unit 39.

좌안광원부(40) 및 우안광원부(45)는 기판상에 설치된 발광다이오드와, 발광다이오드의 빛을 집속시키기 위한 렌즈로 각각 이루어질 수 있다. 발광다이오드로 적외선 광을 생성하는 적외선 발광다이오드를 사용할 수 있다. The left eye light source unit 40 and the right eye light source unit 45 may be formed of a light emitting diode provided on a substrate and a lens for focusing light of the light emitting diode. An infrared light emitting diode that generates infrared light may be used as the light emitting diode.

제어부(100)는 커버하우징(1)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커버하우징(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커버하우징(1)의 외부에 제어부(100)가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The controller 100 may be installed inside the cover housing 1. Unlike this, of course, the control unit 100 may be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cover housing 1 by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ver housing 1.

제어부(100)는 마이크로 프로세스와, 각종 구동회로로 이루어져 본 발명의 작동을 제어한다. 가령, 제어부(100)는 영상출력부(10)의 온오프 및 좌측영상(11)과 우측영상(13)의 위치조절, 좌안카메라(20)와 우안카메라(25)의 작동, 제 1 이송부(30) 및 제 2이송부(39)의 이동, 좌안광원부(40)와 우안광원부(45)의 온오프 등을 제어한다. The controller 100 is composed of a micro process and various driving circuits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00 may turn on and off the image output unit 10 and adjust the position of the left image 11 and the right image 13, the operation of the left eye camera 20 and the right eye camera 25, and the first transfer unit ( 30) and the movement of the second transfer part 39, the on-off of the left eye light source part 40 and the right eye light source part 45, etc. are controlled.

또한, 제어부(100)는 선택된 영상을 영상출력부(10)를 통해 좌안영상(11)과 우안영상(13)으로 출력하고, 좌안카메라(20) 및 우안카메라(25)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영상이미지를 분석 및 처리하고, 처리된 영상이미지로부터 사시안의 편위정도를 연산하여 산출함으로써 사시각을 측정한다. 또한, 제어부(100)는 영상이미지와 각종 결과값을 메모리부(120)에 저장하고 외부장치로 출력하여 나타낼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00 outputs the selected image to the left eye image 11 and the right eye image 13 through the image output unit 10, and various image images input from the left eye camera 20 and the right eye camera 25. Is analyzed and processed, and the perspective angle is measured by calculating and calculating the deviation degree of the cyan from the processed image image. In addition, the controller 100 may store the image image and various result values in the memory unit 120 and output them to an external device for display.

한편, 본 발명은 전원을 제공하기 위한 전원부(110),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부(120), 조작을 위한 조작부(130), 외부장치와 통신을 위한 통신부(140) 등을 더 구비할 수 있다. Meanwhile,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power supply unit 110 for providing power, a memory unit 120 for storing data, an operation unit 130 for operation, and a communication unit 140 for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device. have.

본 발명에 전원을 제공하기 위한 전원부(110)는 커버하우징(1)에 설치되는 배터리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전원부(110)로 상용전원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전원케이블을 이용하여 커버하우징(1)과 연결시킬 수 있다. The power supply unit 110 for supplying power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se a battery installed in the cover housing (1). In addition, a commercial power source may be used as the power supply unit 110. In this case, the power supply unit 110 may be connected to the cover housing 1 using a power cable.

메모리부(120)는 각종 영상데이터와 수치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다양한 저장소자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저장을 위한 메모리부(120)로 커버하우징(1)에 설치될 수 있는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및 하드 디스크일 수 있다. 또한, 메모리부(120)는 커버하우징의 외부에 존재하는 플로피 디스크, 콤팩트디스크 및 유에스비(USB) 등이 이용될수 있다. The memory unit 120 may be configured as various reservoirs for storing various image data and numerical data. It may be a volatile memory, a nonvolatile memory, and a hard disk that may be installed in the cover housing 1 as the memory unit 120 for storage. In addition, the memory unit 120 may use a floppy disk, a compact disk, a USB (USB), and the like, which exist outside the cover housing.

조작부(130)는 커버하우징(1)의 외측에 마련될 수 있다. 조작부(130)는 전원버튼을 포함한 지원되는 기능을 설정할 수 있는 키로 구비되거나 터치패널로 구비될 수 있다. The operation unit 130 may be provided outside the cover housing 1. The operation unit 130 may be provided as a key for setting a supported function including a power button or may be provided as a touch panel.

통신부(140)는 제어부(100)에 제어되어 통신을 수행한다. 통신부(140)는 유선 또는 무선방식으로 통신이 가능하다. 무선 통신부(140)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지원하는 블루투스 통신모듈에 의해 무선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축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140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100 to perform communication. The communication unit 140 may communicate in a wired or wireless manner.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40 may be configured to perform wireless communication by a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supporting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또한, 본 발명은 결과값을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외부출력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외부출력부는 커버하우징의 외부에 마련될 수 있다. 외부출력부는 제어부와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되어 결과를 출력한다. 이러한 외부출력부로 컴퓨터, TV, 소형의 LCD 디스플레이, 프린터, 이동단말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n external output unit for outputting the result value to the outside. The external output unit may be provided outside the cover housing. The external output unit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by wireless or wired and outputs a result. As the external output unit, a computer, a TV, a small LCD display, a printer, a mobile terminal, or the like may be used.

또한, 본 발명은 피검자에게 음성안내를 위한 스피커가 설치될 수 있다. 제어부는 스피커를 통해 피검자에게 사시각 측정과정에 적절한 자세나 시선방향 등을 요청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a speaker for voice guidance to the subject. The controller may request a subject to posture or gaze direction suitable for a perspective measurement process through a speaker.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사시각 자동 측정장치를 도 8에 도시하고 있다. On the other hand, a perspective angle automatic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FIG.

도 8에 도시된 사시각 자동 측정장치는 제 1외부카메라(50)와 제 2외부카메라(55)를 더 구비한다. 나머지 구성요소는 상술한 실시 예와 동일하다. The perspective angle automatic measuring device shown in FIG. 8 further includes a first external camera 50 and a second external camera 55. The remaining components are the same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도 8을 참조하면, 커버하우징(1)의 전면에 제 1외부카메라(50)와 제 2외부카메라(55)가 설치된다. 제 1외부카메라(50)와 제 2외부카메라(55)가 좌우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설치된다. Referring to FIG. 8, a first external camera 50 and a second external camera 55 are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cover housing 1. The first external camera 50 and the second external camera 55 are spaced from side to side and installed side by side.

제 1외부카메라(50)는 좌측공간부(3)와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고, 제 2외부카메라(55)는 우측공간부(4)와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된다. 제 1외부카메라(50)는 커버하우징(1)의 전방을 촬영하여 제 1외부영상이미지를 획득하고, 제 2외부카메라(55)는 커버하우징(1)의 전방을 촬영하여 제 2외부영상이미지를 획득한다. The first external camera 50 is install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eft space 3, and the second external camera 55 is install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right space 4. The first external camera 50 photographs the front of the cover housing 1 to obtain a first external video image, and the second external camera 55 photographs the front of the cover housing 1 to the second external video image. Acquire.

제 1외부카메라(50)와 제 2외부카메라(55)는 바라보는 거리에 따라 주시각(convergence angle)이 조절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령, 가까운 곳을 바라볼 때는 제 1외부카메라(50)의 주시방향과 제 2외부카메라(55)의 주시방향이 이루는 주시각이 커지고, 멀리 바라볼 때는 제 1외부카메라(50)의 주시방향과 제 2외부카메라(55)의 주시방향이 이루는 주시각이 작아진다. The first external camera 50 and the second external camera 55 may be configured to adjust a convergence angle according to the viewing distance. For example, when looking at a near place, the viewing angle between the gazing direction of the first external camera 50 and the gazing direction of the second external camera 55 is increased, and when viewing a distance, the gazing direction of the first external camera 50 is increased. And the viewing angle formed by the viewing direction of the second external camera 55 is reduced.

제 1외부카메라(50)로 촬영된 제 1외부영상이미지는 제어부에 의해 좌측영상으로 출력되고, 제 2외부카메라(55)로 촬영된 제 2외부영상이미지는 제어부에 의해 우측영상으로 출력된다. 제어부는 제 1외부영상이미지와 제 2외부영상이미지를 실시간으로 출력하거나 메모리부에 저장한 후 나중에 출력할 수 있다. The first external video image photographed by the first external camera 50 is output as the left image by the controller, and the second external video image photographed by the second external camera 55 is output as the right image by the controller. The controller may output the first external image image and the second external image image in real time or store the memory unit in a memory unit and later output the same.

제 1외부영상이미지를 피검자는 좌안을 통해 바라보고, 제 2외부영상이미지를 피검자는 우안을 통해 바라보므로 피검자는 안면에 커버하우징(1)을 착용한 상태에서도 전방의 물체를 입체적인 영상으로 볼 수 있다. Since the subject looks at the first external image image through the left eye and the subject looks at the second external image image through the right eye, the examiner sees the front object as a three-dimensional image even when the cover housing 1 is worn on the face. Can be.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시각 자동 측정장치를 도 9 내지 도 11에 나타내었다. On the other hand, a perspective angle automatic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Figs.

도시된 사시각 자동 측정장치는 분광기의 일종인 빔 스플리터(beam splitter)(60)(65)를 이용하여 카메라와 영상출력부의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The illustrated automatic angle measuring apparatus shows that the position of the camera and the image output unit can be freely adjusted using beam splitters 60 and 65 which are a kind of spectrometer.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좌안카메라(20)와 우안카메라(25)가 커버하우징(1)의 전면 내측에 설치되고, 영상출력부(10)가 커버하우징(1)의 바닥면 내측에 설치된다는 점에서 도 2의 실시 예와 차이가 있다. 9 to 11, the left eye camera 20 and the right eye camera 25 are installed inside the front side of the cover housing 1, and the image output unit 10 is placed inside the bottom surface of the cover housing 1. It is different from the embodiment of FIG. 2 in that it is installed.

좌측공간부(3)에 좌측 빔 스플리터(60)가 경사지게 설치되고, 우측공간부(4)에 우측 빔 스플리터(65)가 경사지게 설치된다. The left beam splitter 60 is inclined in the left space 3, and the right beam splitter 65 is inclined in the right space 4.

영상출력부(10)를 통해 출력되는 좌측영상은 좌측 빔 스플리터(60)에 의해 반사되어 피검자의 좌안으로 보내지고, 우측영상은 우측 빔 스플리터(65)에 의해 반사되어 피검자의 우안으로 보내진다. 그리고 좌안카메라(20)와 우안카메라(25)는 피검자의 양안 정면에 설치되어 피검자의 좌안과 우안을 각각 촬영한다. 따라서 도시된 본 발명은 좌안카메라(20)와 우안카메라(25)가 피검자의 양안 정면에서 좌안과 우안을 각각 촬영하므로 더욱 정확한 사시각의 측정이 가능하다. The left image output through the image output unit 10 is reflected by the left beam splitter 60 and sent to the left eye of the subject, and the right image is reflected by the right beam splitter 65 and sent to the right eye of the subject. The left eye camera 20 and the right eye camera 25 are installed in front of both eyes of the examinee to photograph the left and right eyes of the examinee, respectively.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the left eye camera 20 and the right eye camera 25 can shoot the left eye and the right eye, respectively, in front of the eyes of the examinee, it is possible to more accurately measure the perspective angle.

그리고 도시된 바와 달리 빔 스플리터를 이용하여 영상출력부를 커버하우징의 상면 내측에 설치하거나, 좌안카메라와 우안카메라를 커버하우징의 바닥면 내측 또는 상면 내측에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And unlike the illustrated, using the beam splitter, the image output unit may be installed inside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housing, or the left eye camera and the right eye camera may be installed inside the bottom surface or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housing.

상술한 웨어러블 타입의 본 발명은 VR(Virtual Reality) 기기나 AR(Augmented Reality) 기기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VR 기기나 AR 기기가 본 발명의 기술구성을 포함하고 있는 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포함된다. The present invention of the wearable type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as a virtual reality (VR) device or an augmented reality (AR) device. Therefore, as long as the VR device or the AR device includes the technica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includ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상술한 사시각 자동 측정장치를 이용한 사시각 자동 측정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a method for automatically measuring a perspective angle using the above-mentioned automatic measuring apparatus.

사시(strabismus)는 두 눈이 정렬되지 않고 서로 다른 지점을 바라보는 시력 장애이다. 사시인 경우, 한쪽 눈이 정면을 바라볼 때 다른 쪽 눈은 안쪽 또는 바깥쪽으로 돌아가거나 위 또는 아래로 돌아가 편위된다. 이러한 편위의 정도를 객관적인 수치로 나타내는 것이 사시각(deviation angle)이다. Strabismus is a vision disorder in which the two eyes look at different points without being aligned. In strabismus, when one eye faces the front, the other eye turns inward or outward, or turns up or down and is biased. It is the deviation angle that expresses the degree of this deviation as an objective figure.

도 12에 사시장애가 없는 정상인의 양안이 물체를 주시할 때의 모습을 개념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Fig. 12 conceptually shows a state in which both eyes of a normal person without strabismus observe the object.

도 12를 참조하면, 안구의 해부학적 중심을 광축(optical axis)이라 하고, 물체를 바라보는 시선의 경로를 시축(visual axis)이라고 하면, 광축과 시축은 반드시 일치하지 않는다. Referring to FIG. 12, when the anatomical center of the eye is referred to as an optical axis, and the path of a gaze for looking at an object is called a visual axis, the optical axis and the visual axis do not necessarily coincide.

광축은 각막의 중심(또는 동공의 중심) A을 지나고 각막의 표면에 수직인 선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시축은 바라보는 물체(주시점)와 망막의 중심와(fovea centralis)를 연결하는 선으로 절점에서 광축과 교차된다. 황반의 중앙부분인 중심와의 위치가 망막의 중심으로부터 벗어나 있기 때문에 광축과 시축이 일치하지 않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때 광축과 시축이 이루는 각을 카파각(angel kappa)이라 한다. 따라서 광축과 시축이 일치하면 카파각이 0이다. The optical axis can be represented by a line that passes through the center of the cornea (or the center of the pupil) A and is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of the cornea. The visual axis is the line connecting the object (viewing point) and the fovea centralis of the retina. Intersect with the optical axis. Since the position of the central part of the macula is away from the center of the retina, the optical axis and the visual axis do not coincide. The angle between the optical axis and the time axis is called an angel kappa. Therefore, if the optical and time axes coincide, the kappa angle is zero.

대부분의 사람들은 광축과 시축이 일치하지 않으므로 카파각이 있다. 시축과 각막의 교점(B)이 각막의 중심(A)에서 내측(코 방향)으로 떨어져 있으면 양성카파각이고, 각막의 중심(A)에서 외측(귀 방향)으로 떨어져 있으면 음성카파각으로 구분할 수 있다. 도시된 예는 시축과 각막의 교점(B)이 각막의 중심(A)에서 내측(코 방향)으로 떨어져 있으므로 양성카파각이다. Most people have a kappa angle because their optical and time axes do not coincide. When the intersection (B) of the visual axis and the cornea is separated from the center (A) of the cornea to the inner side (nose direction), it is a positive kappa angle, and if it is separated from the center (A) of the cornea to the outside (ear direction), it can be classified as a negative kappa angle. have. The illustrated example is a positive kappa angle because the intersection B of the visual axis and the cornea is separated from the center A of the cornea to the inner side (nose direction).

양성카파각이 크면 외사시처럼 보이고 음성카파각이 크면 내사시처럼 보인다. 정상인에게 주로 양성카파각이 많고, 안과학적으로 카파각이 5도 이하인 경우는 정상으로 간주한다. A large positive kappa angle looks like an exotropy and a large negative kappa angle looks like an esotropia. Normally, the normal number of benign kappa angles and the kappa angle less than 5 degrees in ophthalmology are considered normal.

카파각은 직접적으로 측정이 어려우므로, A(각막의 중심)와 B(시축과 각막의 교점) 사이의 직선거리를 측정하여 환산할 수 있다. Since kappa angle is difficult to measure directly, it can be converted by measuring the linear distance between A (center of cornea) and B (intersection of cornea and cornea).

도 12에 나타난 우안의 카파각을 계산하기 위한 모식도를 도 13에 나타내고 있다. The schematic diagram for calculating the kappa angle of the right eye shown in FIG. 12 is shown in FIG.

도 13을 참조하면, A와 B를 잇는 직선(Ln)을 그었을 때 각막의 곡률을 무시하면 직선 Ln은 광축에 대하여 직각이라고 가정할 수 있다. C(절점)와 A(각막의 중심)의 거리(L0)를 알 경우 tanθk=Ln/L0 이므로 θk를 구할 수 있다. 여기서 θk는 카파각을 의미한다. 카파각은 광축으로부터 시축이 얼마나 편위되었는지를 각도로 나타낸 수치이다. 카파각이 θk일 경우 A와 B 사이의 직선거리가 편위거리이다. 그리고 각막의 중심에서 절점까지의 거리 L0은 사람마다 차이가 다소 있으나 평균적으로 7.14mm로 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3, when a straight line Ln connecting A and B is drawn, if the curvature of the cornea is ignored, the straight line Ln may be assumed to be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If the distance (L 0 ) between C (node) and A (center of the cornea) is known, θ k can be obtained because tanθ k = Ln / L 0 . Where θ k means kappa angle. The kappa angle is an angle indicating how far the visual axis is from the optical axis. If the kappa angle is θ k , the linear distance between A and B is the deviation distance.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cornea to the node L 0 varies slightly from person to person, but on average it is 7.14mm.

편위거리가 1mm인 경우 카파각은 약 8°이고, 이를 프리즘디옵터(prism diopter,Δ)로 환산하면 약 14Δ이다. 그리고 편위거리가 3mm인 경우 카파각은 약 22.8°이고, 이를 프리즘디옵터로 환산하면 약 42Δ이다. 프리즘디옵터와 카파각의 관계는 Δ=100×tanθk이다. When the deviation distance is 1mm, the kappa angle is about 8 °, which is about 14Δ when converted into a prism diopter (Δ). And when the deviation distance is 3mm, the kappa angle is about 22.8 °, which is about 42Δ when converted into a prism diopt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ism diopter and the kappa angle is Δ = 100 × tanθ k .

양안이 모두 정상일 경우 도 12와 같이 좌안과 우안의 시축은 물체를 향하므로 시선이 한곳에서 융합된다. 이와 달리 사시의 경우 폭주(convergence) 능력이 없거나 저하되어 시선이 한곳에서 융합되지 않는다. If both eyes are normal, the visual axis of the left and right eyes is directed toward the object as shown in FIG. In contrast, strabismus does not have convergence or deteriorates, so the gaze does not converge in one place.

도 14를 참조하면, 좌안이 정상이고 우안이 외사시인 경우의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Referring to FIG. 14, the left eye is normal and the right eye is exotropy.

통상적으로 사시환자의 경우 두 눈으로 하나의 물체를 바라볼 때 한눈은 정상적으로 물체를 주시하지만, 다른 눈은 물체를 주시하지 못한다. 정상적으로 물체를 주시하는 눈을 주시안이라 하고, 주시안과 바라보는 방향이 달라 물체를 주시하지 못하는 눈을 사시안이라 하면, 도 14에서 우안은 사시안이고, 좌안은 주시안이다. 좌안의 시축은 물체를 향하고 있으나 우안의 시축은 물체의 바깥 방향으로 벗어나 있다. Normally, in strabismic patients, when one looks at an object with both eyes, one eye normally looks at the object, but the other eye does not. Normally, an eye that looks at an object is called a main cyan, and when an eye that does not look at an object is different from that of a cyan, a cyan, a right eye is a cyan and a left eye is a cyan in FIG. The visual axis in the left eye faces the object, but the visual axis in the right eye is outward of the object.

사시안이 정상일 경우를 가정하였을 때의 시축을 가상시축이라고 정의하면, 사시각은 가상시축으로부터 사시안의 시축이 편위된 정도를 의미한다. 따라서 θs가 사시각이다. When the visual axis is assumed to be normal and the visual axis is defined as the virtual axis, the perspective angle means the degree of deviation of the visual axis from the virtual axis. Θ s is therefore the perspective angle.

사시각을 계산하기 위해 주시안에 대해서는 카파각을 측정하고, 사시안에 대해서는 편위각을 측정한다. 주시안의 카파각과 사시안의 편위각은 후술할 각막반사법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To calculate the strabismus angle, measure the kappa angle for the visual acuity and the deviation angle for the acuity. The kappa angle of the occlusion and the deviation angle of the cyan may be obtained using the corneal reflection method described later.

주시안의 카파각과 사시안의 편위각을 비교하여 사시각을 구할 수 있다. The angle of deviation can be obtained by comparing the kappa angle of the occidental angle with the deviation angle of the cyanide.

주시안이 좌안이므로 주시안의 시축이 광축에 대해 이루는 각도인 카파각은 θk이다. 그리고 사시안의 편위각은 가상시축과 광축이 이루는 각도(θd)로 정의될 수 있다. Since the dominant eye is the left eye, the kappa angle, which is the angle of the dominant eye axis to the optical axis, is θ k . In addition, the deviation angle of the cyanide may be defined as an angle θ d formed between the virtual visual axis and the optical axis.

그리고 사시각(θs)은 주시안의 카파각(θk)과 사시안의 편위각(θd)의 차이로 구할 수 있다. 사시안의 시축과 광축이 이루는 각도 θm은 주시안의 카파각 θk과 동일하다고 볼 수 있으므로 사시각 θs = θd - θk 이다. And the deviation angle (θ s) can be determined as the difference between each kappa (θ k) and deviation (θ d) of sasian in the eye. Angle θ m the visual axis and the optical axis of the sasian forms will be visible to be the same and each kappa θ k in eye angle of deviation θ s = θ d θ k to be.

그리고 도시되지 않았지만 내사시의 경우 사시각은 주시안의 카파각과 사시안의 편위각을 더해 구할 수 있다. 가령, 내사시의 경우 사시각 θs = θd + θk 이다. In the case of esotropia, although not shown, the angle of deviation can be obtained by adding the kappa angle of the occidental angle and the deviation angle of the cyanide. For example, the angle of deviation θ s for esotropia. = θ d + θ k to be.

또한, 위에 언급한 것과 달리 사시안의 카파각과 사시안의 편위각을 비교하여 사시각을 구할 수 있다. 사시안의 카파각 역시 후술할 각막반사법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사시안의 카파각은 주시안의 카파각과 동일한 것으로 볼 수 있으나, 드물게 사시안의 카파각과 주시안의 카파각은 다를 수 있다. Also, unlike the above, the angle of deviation can be obtained by comparing the kappa angle of cyanide and the deviation angle of cyanide. The kappa angle of cyanide can also be obtained using corneal reflection,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n general, the kappa angle of the cyan may be considered to be the same as the kappa angle of the cyan, but in rare cases the kappa angle of the cyan and the cyan may be different.

두 눈으로 물체를 바라볼 때 사시안은 물체를 주시하지 못하지만, 주시안을 가린 상태에서 사시안으로만 물체를 바라볼 경우 사시안은 물체를 주시한다. 따라서 사시안으로만 물체를 바라보게 하고 이때의 사시안의 시축과 광축이 이루는 각도를 계산하여 카파각을 산출할 수 있다. When looking at an object with both eyes, the cyanide does not look at the object, but when looking at the object with only the cyan with the occlusion obscured, it looks at the object. Therefore, the kappa angle can be calculated by looking at the object only with the cyan, and by calculating the angle between the visual axis and the optical axis of the cyan.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사시각 자동 측정방법을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An automatic perspective measur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6.

본 발명의 사시각 자동 측정방법은 크게 영상간격조절단계와, 판별단계와, 산출단계로 이루어진다. 이하, 각 단계별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The automatic perspective measuremen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n image interval adjusting step, a discrimination step, and a calculation step. Hereinafter, each step will be described in detail.

1. 영상간격조절단계1. Image interval adjustment

사시각의 정밀한 측정을 위해 피검자의 양안 거리에 맞추어 좌측영상(11)과 우측영상(13)의 간격을 조절한다. The distance between the left image 11 and the right image 13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binocular distance of the subject for precise measurement of the perspective angle.

양안 거리는 좌안의 각막 중심과 우안의 각막 중심 사이의 거리를 의미한다. 이는 동공간의 거리(PD, pupil-distance)와 동일한 개념이다. The binocular distance refers to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er of the cornea of the left eye and the center of the cornea of the right eye. This is the same concept as pupil-distance (PD).

피검자의 양안 거리는 별도의 측정도구를 이용하여 전문의가 측정하거나, 안경사가 측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측정된 피검자의 양안 거리를 조작부(130)를 통해 입력하면 제어부(100)가 영상출력부(10)를 제어하여 좌측영상(11)의 중심과 우측영상(13)의 중심 사이의 거리를 양안 거리만큼 조절한다. 이와 함께 제어부(100)는 제 1이송부(30)와 제 2이송부(39)를 구동하여 좌안카메라(20)와 우안카메라(25) 사이의 거리를 양안 거리만큼 조절할 수 있다. The binocular distance of the subject can be measured by a specialist or a optician using a separate measuring tool. In this case, when the measured binocular distance of the examinee is input through the manipulation unit 130, the controller 100 controls the image output unit 10 to determine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er of the left image 11 and the center of the right image 13. Adjust the distance between both eyes.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00 may drive the first transfer unit 30 and the second transfer unit 39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left eye camera 20 and the right eye camera 25 by a binocular distance.

그리고 상술한 바와 달리 피검자의 양안 거리는 좌안카메라(20)와 우안카메라(25)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가령, 커버하우징(1)을 안면에 착용한 상태에서 좌안카메라(20)로 좌안을 촬영하고, 우안카메라(25)로 우안을 촬영한 후 좌안의 촬영이미지 내에서 각막 중심의 위치와, 우안의 촬영이미지 내에서 각막 중심의 위치를 판독하여 양안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Unlike the above, the binocular distance of the subject may be measured using the left eye camera 20 and the right eye camera 25. For example, the left eye is photographed with the left eye camera 20 while the cover housing 1 is worn on the face, the right eye is photographed with the right eye camera 25, and then the position of the corneal center and the right eye The binocular distance can be calculated by reading the location of the center of the cornea in the photographed image.

2. 판별단계2. Determination Step

다음으로, 커버하우징(1)을 안면에 착용한 상태에서 좌안과 우안을 촬영하여 1차 촬영이미지를 얻고, 1차 촬영이미지로부터 좌안 및 우안의 각막 위치변화를 비교하여 주시안과 사시안을 판별하는 판별단계를 수행한다. 판별단계를 통해 양안 중 어떤 눈이 주시안이고 어떤 눈이 사시안인지를 판별할 수 있다. Next, the left eye and the right eye are photographed while the cover housing 1 is worn on the face to obtain a primary photographed image. Perform the steps. The discriminating step may determine which of the two eyes is the main cyan and which is the cyan.

구체적으로, 판별단계는 a)좌측 및 우측영상을 동시에 출력시키는 상태에서 좌측영상을 바라보는 좌안을 촬영하여 제 1좌안이미지를 얻고, 우측영상을 바라보는 우안을 촬영하여 제 1우안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와, b)좌측 및 우측영상을 교대로 출력시키는 상태에서 좌측영상의 출력시 좌측영상을 바라보는 좌안을 촬영하여 제 2좌안이미지를 얻고, 우측영상의 출력시 우측영상을 바라보는 우안을 촬영하여 제 2우안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와, c)제 1좌안이미지와 제 2좌안이미지의 각막 위치변화를 비교하고, 제 1우안이미지와 제 2우안이미지의 각막 위치변화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In detail, the determining may include a) obtaining a first left eye image by photographing a left eye looking at a left image while simultaneously outputting a left and right image, and obtaining a first right eye image by photographing a right eye looking at a right image And b) photographing the left eye looking at the left image when the left image is output while the left and right images are alternately output to obtain a second left eye image, and photographing the right eye looking at the right image when the right image is output. Acquiring a second right eye image, and c) comparing a change in corneal position between the first left eye image and the second left eye image, and comparing the change in the corneal position between the first right eye image and the second right eye image. .

(a)제 (a) Article 1좌안이미지1 Left Eye Image  And 우안이미지Right Eye Image 획득 acheive

제 1좌안이미지와 제 1우안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해, 제어부(100)의 제어에 의해 영상출력부(10)를 통해 좌측영상(11)과 우측영상(13)을 동시에 출력시킨다. 좌측영상(11)과 우측영상(13)은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다. In order to obtain the first left eye image and the first right eye image, the left image 11 and the right image 13 are simultaneously output through the image output unit 1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00. The left image 11 and the right image 13 may be a still image or a moving image.

바람직하게 좌측영상과 우측영상은 3D카메라로 촬영된 영상일 수 있다. 서로 다른 각도에서 촬영한 2개의 2D 영상을 좌측영상과 우측영상으로 각각 출력하게 되면 피검자는 입체영상을 볼 수 있다. Preferably, the left image and the right image may be images captured by a 3D camera. When two 2D images taken from different angles are output as left and right images, the examinee can see a stereoscopic image.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외부카메라(50)와 제 2외부카메라(55)가 구비된 경우, 제 1외부카메라(50)로 촬영된 제 1외부영상이미지는 제어부(100)에 의해 좌측영상(11)으로 실시간으로 출력되고, 제 2외부카메라(55)로 촬영된 제 2외부영상이미지는 제어부(100)에 의해 우측영상(13)으로 실시간으로 출력될 수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8, when the first external camera 50 and the second external camera 55 are provided, the first external video image photographed by the first external camera 50 is transferred to the controller 100. By the left image 11 is output in real time, the second external image taken by the second external camera 55 may be output in real time to the right image 13 by the controller 100.

좌측영상(11)과 우측영상(13)을 동시에 출력시키면 피검자의 좌안은 좌측영상(11)을 바라보고, 우안은 우측영상(13)을 바라본다. 이때 좌측영상(11)을 바라보는 좌안을 좌안카메라(20)로 촬영하여 제 1좌안이미지를 얻고, 우측영상을 바라보는 우안을 우안카메라(25)로 촬영하여 제 2우안이미지를 얻는다. When the left image 11 and the right image 13 are output simultaneously, the subject's left eye looks at the left image 11, and the right eye looks at the right image 13. At this time, the left eye looking at the left image 11 is photographed with the left eye camera 20 to obtain a first left eye image, and the right eye looking at the right image is photographed with the right eye camera 25 to obtain a second right eye image.

획득한 제 1좌안이미지와 제 2우안이미지는 메모리부(120)에 저장된다. The obtained first left eye image and second right eye image are stored in the memory unit 120.

(b)제 (b) Article 2좌안이미지2 Left Eye Image 및 제  And Article 2우안이미지2Eye Images 획득 acheive

다음으로, 제 2좌안이미지와 제 2우안이미지를 획득한다. Next, a second left eye image and a second right eye image are obtained.

제 2좌안이미지와 제 2우안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해 좌측영상(11) 및 우측영상(13)을 교대로 출력시키면서 좌안과 우안을 촬영한다. The left and right eyes are photographed while alternately outputting the left image 11 and the right image 13 to acquire the second left eye image and the second right eye image.

가령, 좌측영상(11)이 출력되면 좌안을 좌안카메라(20)로 촬영하여 제 2좌안이미지를 얻는다. 이때 우측영상은 출력되지 않는다. For example, when the left image 11 is output, the left eye is photographed by the left eye camera 20 to obtain a second left eye image. At this time, the right image is not output.

그리고 좌측영상(11)의 출력을 중단시키고 우측영상(13)을 출력시킨다. 이 상태에서 우측영상(13)을 바라보는 우안을 우안카메라(25)로 촬영하여 제 2우안이미지를 획득한다. 획득한 제 2좌안이미지와 제 2우안이미지는 메모리부(120)에 저장된다. The output of the left image 11 is stopped and the right image 13 is output. In this state, the right eye looking at the right image 13 is photographed with the right eye camera 25 to obtain a second right eye image. The obtained second left eye image and second right eye image are stored in the memory unit 120.

그리고 제 2좌안이미지와 제 2우안이미지를 획득 시 최대한 큰 편위각을 측정하기 위해서 일정시간 동안 양안에 영상을 교대로 비추어 준 다음 제 2좌안이미지와 제 2우안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When the second left eye image and the second right eye image are acquired, the second left eye image and the second right eye image may be obtained after alternately illuminating the images in both eyes for a predetermined time to measure the largest deviation angle.

한쪽 눈을 가렸을 때 나머지 한쪽 눈의 각막 위치 변화를 통해 사시장애를 알 수 있는데 이러한 방법이 안과병원에서 행해지는 통상적인 커버테스트이다. When one eye is covered, changes in the position of the cornea of the other eye can be used to identify strabismus. This is a common cover test performed at an ophthalmology clinic.

종래의 커버테스트는 교대로 한쪽 눈을 가리고 나머지 한쪽 눈으로 주시점을 바라보게 하면서 수행한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은 좌측영상과 우측영상을 교대로 출력하는 방법에 의해 한쪽 눈을 가리는 효과를 가지므로 종래와 같이 한쪽 눈을 가리는 번거로움을 피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과 같이 자동화된 장치로 구현시 한쪽 눈을 가리는 별도의 구성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구조를 간소화시킬 수 있다. The conventional cover test is performed while alternately covering one eye and looking at the gaze point with the other eye. On the contrary,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covering one eye by a method of alternately outputting a left image and a right image, thereby avoiding the hassle of covering one eye as in the related art. In addition, since the separate configuration covering one eye can be omitted when implemented in an automated device a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ucture can be simplified.

(c)각막 위치변화 비교(c) Comparison of corneal position changes

제어부(100)는 메모리부(120)에 저장된 1차촬영이미지인 제 1좌우안이미지와 제 2좌우안이미지를 불러와 사시장애 여부를 판별하고, 사시장애가 있을 경우 주시안과 사시안을 판별한다. The controller 100 retrieves the first left and right eye images and the second left and right eye images, which are the first photographed images stored in the memory 120,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strabismus disorder, and to determine a visual acuity and a strabismus.

사시장애가 없는 정상인의 경우 두 눈으로 물체를 바라보든 한 눈으로만 물체를 바라보든 두 눈은 항상 물체를 주시한다. 따라서 각막의 위치 변화가 없다. In normal people without strabismus, both eyes always look at the object, whether looking at the object with both eyes or only with one eye. Therefore, there is no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cornea.

하지만 사시장애가 있는 경우 두 눈으로 물체를 바라볼 때 주시안은 물체를 주시하지만, 사시안은 물체를 주시하지 못한다. 그리고 두 눈 중 사시안으로만 물체를 바라볼 때는 사시안은 물체를 주시한다. 따라서 사시안의 경우 각막의 위치변화가 발생한다. However, in people with strabismus, when they look at the object with both eyes, the eye sees the object, but the eye sees the object. When looking at an object only through the cyan, the cyan observes the object. Thus, in the case of astigmatism, a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cornea occurs.

각막의 위치가 내사시의 경우 귀 방향으로 움직이고, 외사시의 경우 코 방향으로 움직이다. 그리고 상사시 또는 하사시의 경우 아래 또는 위로 움직인다. The position of the cornea moves in the ear direction in esotropia and in the nose direction in esotropia. And moves up or down in case of upper or lower strabismus.

제어부(100)는 소프트웨어를 통해 제 1좌안이미지와 제 2좌안이미지를 비교하여 좌안의 각막 위치 변화를 분석하고, 제 1우안이미지와 제 2우안이미지를 비교하여 우안의 각막 위치 변화를 분석하여 사시장애 여부를 판별한다. The control unit 100 compares the first left eye image with the second left eye image through software, analyzes the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cornea of the left eye, compares the first right eye image with the second right eye image, and analyzes the change of the corneal position of the right eye. Determine if there is a failure.

가령, 좌안과 우안 모두 각막 위치의 변화가 발생하지 않을 경우 정상으로 판별하고, 좌안과 우안 중 어느 하나에서 각막의 위치변화가 발생한 경우 사시장애로 판별한다. For example, if the corneal position does not occur in both the left and right eyes, it is determined to be normal, and if the corneal position changes in either the left or right eye, it is determined as a strabismus disorder.

그리고 사시장애로 판별된 경우, 각막의 위치 변화가 어느 쪽 눈에서 발생하였느냐 여부를 통해 주시안과 사시안을 판별한다. 좌안의 각막 위치변화가 발생한 경우 좌안이 사시안이고 우안이 주시안이다. 그리고 우안의 각막 위치변화가 발생한 경우 우안이 사시안이고 좌안이 주시안이다. In the case of strabismus, the main and the astigmatism are distinguished based on which eye the corneal position changes occurred. If the corneal position changes in the left eye, the left eye is the left eye and the right eye is the main eye. In the case of corneal position changes in the right eye, the right eye is the left eye and the left eye is the main eye.

그리고 사시안의 위치변화가 어느 방향으로 발생하였느냐에 따라 외사시, 내사시, 상사시, 하사시로 구분하여 판별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which direction the position change of the astigmatism occurs, it can be distinguished by being divided into exotropia, exotropia, superior oblique and hypotropia.

한편, 사시는 현성사시와 잠복사시(사위)로 구분할 수 있다. 현성사시는 융합기능이 떨어져 두 눈으로 물체를 바라볼 때 어느 한 눈이 편위된다. 그리고 잠복사시는 두 눈으로 물체를 바라볼 때 융합기능이 있어서 평소에는 사시가 드러나지 않으나 한쪽 눈을 가리고 볼 때 가린 눈이 편위된다. On the other hand, the strabismus can be divided into prehistoric strabismus and latent strabismus. Overt strabismus has a lack of convergence, and one eye is biased when looking at the object with both eyes. In addition, latent emissive eyes have a convergence function when looking at an object with both eyes, so the strabismus is not usually revealed, but the blind eye is biased when covering one eye.

현성사시의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영상이 출력되는 쪽의 눈의 각막 위치 변화를 통해 판별이 가능하다. 하지만 잠복사시의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은 판별방법으로 판별할 수 없으므로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판별한다. In the case of manifested strabismus, as described above, it can be discriminated through the change of the corneal position of the eye of the image output side. However, in case of latent copying, it cannot be discriminated by the above-described discrimination method.

좌측 및 우측영상(11)(13)을 동시에 출력시키는 상태에서 좌측영상(11)을 바라보는 좌안을 촬영하여 제 1좌안이미지를 얻고, 우측영상(13)을 바라보는 우안을 촬영하여 제 1우안이미지를 획득한다. 그리고 좌측 및 우측영상(11)(13)을 교대로 출력시키는 상태에서 좌측영상(11)의 출력시 우안을 촬영하여 제 2우안이미지를 얻고, 우측영상(13)의 출력시 좌안을 촬영하여 제 2좌안이미지를 획득한다. 그리고 제 1좌안이미지와 제 2좌안이미지의 각막 위치변화를 비교하고, 제 1우안이미지와 제 2우안이미지의 각막 위치변화를 비교한다. 비교 결과 좌안과 우안 중 어느 하나에서 각막의 위치변화가 발생한 경우 잠복사시로 판별하 수 있다. While the left and right images 11 and 13 are simultaneously output, the left eye facing the left image 11 is photographed to obtain a first left eye image, and the right eye facing the right image 13 is photographed to capture the first right eye. Acquire an image. In addition, the left and right images 11 and 13 are alternately output to obtain a second right eye image when the left image 11 is output, and the left eye is taken when the right image 13 is output. Acquire 2 left eye images. The change of the corneal position of the first left eye image and the second left eye image is compared, and the change of the corneal position of the first right eye image and the second right eye image.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when the corneal position changes in either the left eye or the right eye, it can be identified as latent radiation.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좌측영상과 우측영상을 교대로 출력하는 방식으로 양 눈을 번갈아 가리는 효과를 가지므로 영상이 출력되는 경우와 영상이 출력되지 않는 경우 모두 해당 눈의 촬영이 가능하다. 따라서 잠복사시의 판별이 매우 용이하다. 반면에 종래의 커버테스트는 차폐판으로 눈을 가리기 때문에 가린 눈의 각막 위치 변화를 파악할 수 없어 잠복사시의 판별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alternately covering both eyes in a manner of alternately outputting the left image and the right image, so that both the image and the image can be taken when the image is not output. Therefore, discrimination at the time of latent radiation is very easy. On the other hand, the conventional cover test ha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the latent radiation because it can not grasp the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cornea of the blind eye because it covers the eye with a shielding plate.

3. 사시각 산출단계3. Visual angle calculation stage

사시장애로 판별된 경우 사시안의 편위정도로부터 사시각을 산출하는 산출단계를 수행한다. If it is determined as strabismus disorder, a calculation step of calculating the deviation angle from the degree of deviation of the strabismus is performed.

산출단계는 주시안 또는 사시안으로부터 구한 카파각을 사시안으로부터 구한 편위각과 비교하여 사시각을 산출할 수 있다. 주시안의 카파각과 사시안의 카파각, 사시안의 편위각은 각막반사법으로 각각 구할 수 있다. The calculating step may calculate the perspective angle by comparing the kappa angle obtained from the main cyan or the cyan to the deviation angle obtained from the cyan. The kappa angle of the occlusion, the kappa angle of the cyan, and the deviation angle of the cyan can be obtained by corneal reflection.

각막반사법은 얼굴의 전면에서 불빛을 비추어 불빛이 반사되는 각막의 어느 한 지점(이하, 각막반사점이라 함)이 각막의 중심에서 어느 정도 변위되었는지를 측정하는 방법이다. The corneal reflection method is a method of measuring how much a certain point (hereinafter, referred to as corneal reflection point) of the cornea that the light is reflected from the front of the face is displaced from the center of the cornea.

양안에 각막반사점이 나타난 예를 도 15 내지 도 17에 나타내었다. 도 15는 정상인의 이미지이고, 도 16은 내사시가 있는 환자의 양안 이미지이고, 도 17은 외사시가 있는 환자의 양안 이미지이다. 도 15 내지 도 17에서 각막에 흰색의 원으로 표시된 부분이 각막반사점이다. Examples of corneal reflections in both eyes are shown in FIGS. 15 to 17. 15 is an image of a normal person, FIG. 16 is a binocular image of a patient with esotropia, and FIG. 17 is a binocular image of a patient with exotropia. In FIGS. 15 to 17, portions of the cornea marked with white circles are corneal reflection points.

도 15를 참조하면, 정상인의 경우 좌안과 양안 모두 각막반사점의 위치가 각막중심 부근에 형성된다. 정상인의 경우 대부분 각막반사점이 각막의 중심에서 코 방향으로 약간 떨어져 형성된다. 안과학적으로 카파각이 5도 이하인 경우는 정상으로 간주하므로 각막반사점이 각막 중심에서 떨어진 거리가 0.62mm 이내이면 정상이다. 정상인에서 각막반사점은 시축의 경로상에 존재한다. 따라서 시축과 각막의 표면이 만나는 교점이 각막반사점이다. 각막반사점은 도 12에서 B를 의미한다. Referring to FIG. 15, in a normal person, corneal reflection points are formed near the corneal center in both the left eye and the both eyes. In normal cases, corneal reflex points are formed slightly away from the cornea's center. In ophthalmology, a kappa angle of less than 5 degrees is considered normal, so it is normal if the corneal reflex point is within 0.62mm from the center of the cornea. Corneal reflexes are present on the visual axis in normal subjects. Therefore, the intersection between the time axis and the surface of the cornea is the corneal reflection point. Corneal reflection point means B in FIG.

그리고 도 16은 좌안이 주시안이고, 우안이 내사시인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좌안의 경우 각막반사점이 각막의 중심 부근에 형성된 반면에 우안은 각막반사점이 각막중심으로부터 귀 방향으로 치우쳐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Fig. 16 shows a case in which the left eye is occlusion and the right eye is esotropia. In the left eye, the corneal reflex is formed near the center of the cornea, while in the right eye, the corneal reflex is biased toward the ear from the center of the cornea.

그리고 17은 좌안이 주시안이고, 우안이 외사시인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좌안의 경우 각막반사점이 각막의 중심 부근에 형성된 반면에 우안은 각막반사점이 각막중심으로부터 코 방향으로 치우쳐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And 17 shows the case where the left eye is the main eye and the right eye is the exotropia. In the left eye, the corneal reflex is formed near the center of the cornea, while in the right eye, the corneal reflex is biased toward the nose from the corneal center.

이와 같이 얼굴의 전면에서 불빛을 비추고 이때 양안의 사진을 촬영한 이미지(각막반사이미지)를 통해 사시안의 편위정도를 측정할 수 있다. As such, the degree of deviation of the cyanogen can be measured by illuminating the light from the front of the face and taking a picture of both eyes (corneal reflection image).

일 예로, 산출단계는 a)주시안과 사시안에 불빛을 비춘 상태에서 주시안과 사시안을 촬영하여 주시안 각막반사이미지와 사시안 각막반사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와, b)주시안 각막반사이미지를 통해 주시안의 각막에 발생된 반사점과 각막 중심의 거리를 측정하여 주시안의 카파각을 산출하는 단계와, c)사시안의 각막반사이미지를 통해 사시안의 각막에 발생된 반사점과 각막 중심의 거리를 측정하여 사시안의 편위각을 산출하는 단계와, d)주시안의 카파각과 사시안의 편위각을 비교하여 사시안의 사시각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For example, the calculating step may include a) acquiring the occlusion corneal reflection image and the acetabular corneal reflection image by photographing the occlusion eye lens and the cyanogen eye in a state where the light is illuminated in the occlusion eye lens and the cyanide eye eye; Calculating the kappa angle of the main cyan by measuring the distance between the reflection point and the center of the cornea, and c) the deviation angle of the cyan by measuring the distance between the reflection point and the center of the cornea through the corneal reflection image. Comprising the step of calculating the d, and the angle of deviation of the kappa angle of the cyan and the deviation angle of the cyan, and calculating the angle of deviation of the cyan.

(a)(a) 각막반사이미지Corneal Reflection Image 획득 acheive

주시안과 사시안에 불빛을 비춘다. 이를 위해 제어부(100)는 좌안광원부(40)와 우안광원부(45)를 동시에 작동시켜 좌안광원부(40)와 우안광원부(45)에서 불빛을 발생시킨다. 이때 피검자는 불빛을 바라보도록 한다. 피검자의 양안에는 불빛이 반사되어 각막반사점이 형성된다. 이 상태에서 좌안카메라(20)로 좌안을 촬영하여 좌안의 각막반사이미지를 획득하고, 우안카메라(25)로 우안을 촬영하여 우안의 각막반사이미지를 획득한다. 좌안과 우안의 각막반사이미지 중 주시안에 해당하는 이미지가 주시안 각막반사이미지이고, 사시안에 해당하는 이미지가 사시안 각막반사이미지이다. Light up Josiah and Sasiah. To this end, the control unit 100 simultaneously operates the left eye light source unit 40 and the right eye light source unit 45 to generate light from the left eye light source unit 40 and the right eye light source unit 45. At this time, the subject looks at the light. Light is reflected from both eyes of the subject, forming corneal reflection. In this state, the left eye is photographed with the left eye camera 20 to obtain a corneal reflection image of the left eye, and the right eye is photographed with the right eye camera 25 to obtain a corneal reflection image of the right eye. Among the left eye and right eye corneal reflex images, the image corresponding to the gaze is the occidental corneal reflex image, and the image corresponding to the cyanogenous eye is the cyanotic corneal reflex image.

다양한 각막반사이미지의 예들을 도 18 내지 도 21에 도시하고 있다. Examples of various corneal reflection images are shown in FIGS. 18-21.

도 18 및 도 19는 좌안이 주시안이고, 우안이 사시안인 피검자의 양안을 촬영하여 획득한 각막반사이미지의 모습이다. 18 and 19 are views of corneal reflection images obtained by photographing both eyes of a subject having a left eye and a right eye and a right eye.

도 18을 참조하면, 주시안인 좌안에 비해 우안은 얼굴 안쪽으로 시선이 형성되고, 이에 따라 우안의 각막 중심은 각막반사점으로부터 코 방향으로 치우쳐 위치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따라서 우안이 내사시다. Referring to FIG. 18, the right eye of the right eye is formed inside the face compared to the left eye of the main eye, and accordingly, the center of the cornea of the right eye is located away from the corneal reflection point in the nose direction. Therefore, let the right eye die.

그리고 도 19에서는 주시안인 좌안에 비해 우안은 얼굴 바깥쪽으로 시선이 형성되고, 이에 따라 우안의 각막중심은 각막반사점으로부터 귀 방향으로 치우쳐 형성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따라서 우안이 외사시이다. In addition, in FIG. 19, the right eye of the right eye is formed outward from the face, and the cornea center of the right eye is biased toward the ear from the corneal reflection point. The right eye is therefore an exotropia.

도 20 및 도 21은 우안이 주시안이고, 좌안이 사시안인 피검자의 양안을 촬영하여 획득한 각막반사이미지의 모습이다. 20 and 21 are views of corneal reflection images obtained by photographing both eyes of a subject having a right eye and a left eye and a left eye.

도 20을 참조하면, 주시안인 우안에 비해 좌안은 얼굴 안쪽으로 시선이 형성되고, 이에 따라 좌안의 각막 중심은 각막반사점으로부터 코 방향으로 치우쳐 위치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따라서 좌안이 내사시다. Referring to FIG. 20, the left eye of the left eye is formed inside the face compared to the right eye, and thus the center of the cornea of the left eye is located in the nose direction from the corneal reflection. So let's have a left eye.

그리고 도 21에서는 주시안인 우안에 비해 좌안은 얼굴 바깥쪽으로 시선이 형성되고, 이에 따라 좌안의 각막중심은 각막반사점으로부터 귀 방향으로 치우쳐 형성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따라서 좌안이 외사시이다. In FIG. 21, the left eye of the left eye is formed toward the outside of the face compared to the right eye of the main eye, and accordingly, the center of the cornea of the left eye is biased toward the ear from the corneal reflection point. Therefore, the left eye is exotropia.

사시안의 편위정도가 커질수록 각막의 중심은 각막반사점으로부터 더 멀어진다. 도 22를 참조하면, 우안이 주시안이고 좌안이 내사시일 경우의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a)의 경우 좌안의 각막반사점은 동공연 부근에 형성되고, (b)의 경우 각막반사점은 동공연과 각막윤부의 사이에 형성되고, (c)의 경우 각막반사점은 각막윤부 부근에 형성된다. The greater the degree of deviation, the further the center of the cornea is from the corneal reflex. Referring to Fig. 22, the right eye is the main eye and the left eye is esotropia. In the case of (a), the corneal reflection in the left eye is formed near the pupillary, in (b) the corneal reflection is formed between the pupil and the corneal limbus, and in (c) the corneal reflection is formed near the corneal limbus. .

(b)(b) 주시안의Zucian 카파각Kappa angle 산출 Calculation

다음으로, 주시안 각막반사이미지를 통해 주시안의 각막반사점과 각막 중심과의 거리인 Ln를 측정하여 주시안의 카파각을 산출한다. Next, the kappa angle of the occlusion is calculated by measuring L n , which is the distance between the corneal reflection point of the occlusion and the center of the cornea through the occlusion corneal reflection image.

좌안이 주시안이고 우안이 외사시일 경우, 주시안의 Ln과 카파각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If the left eye is the main eye and the right eye is the exotropia, L n and the kappa angle of the main eye can be calculated as follows.

도 23에 나타낸 주시안의 모습을 참조하면, 제어부(100)는 각막 중심(A)과 각막반사점(B)의 위치를 검출한 후 각막 중심(A)과 각막반사점(B)의 거리 Ln을 계산한다. Referring to the state of the main eye shown in FIG. 23, the control unit 100 detects the positions of the corneal center A and the corneal reflecting point B, and then calculates the distance L n between the corneal center A and the corneal reflecting point B. FIG. do.

획득된 각막반사이미지에서 각막 중심(A)을 검출하기 위해서 CED(Circular Edge Detection), 캐니 경계 검출(Canny Boundary Detection), 타원 경계 검출 (Ellipse Boundary Detection)등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획득된 각막반사이미지에서 각막반사점(B)을 검출하기 위해서 2진화(Binarization), 컴포넌트 라벨링(Component Labeling) 등의 기법을 사용하여 정확한 위치검출이 소프트웨어적으로 가능하다.Circular edge detection (CED), canny boundary detection, ellipse boundary detection, and the like may be applied to detect the corneal center A in the acquired corneal reflection image. In addition, accurate position detection is possible in software using techniques such as binarization and component labeling to detect the corneal reflection point B in the acquired corneal reflection image.

검출된 각막 중심(A)과 각막반사점(B)을 통해 제어부(100)는 각막 중심(A)과 각막반사점(B)과의 거리 Ln을 계산한다. 그리고 계산된 Ln 값을 바탕으로 제어부(100)는 주시안의 카파각(θk)을 계산한다. tanθk=Ln/L0 이므로 편위각(θk)=tan-1(Ln/L0)으로 구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00 calculates the distance L n between the corneal center A and the corneal reflecting point B through the detected corneal center A and the corneal reflecting point B. And the calculated L n Based on the value, the controller 100 calculates the kappa angle θ k of the main cyan. Since tanθ k = Ln / L 0 , the deviation angle (θ k ) = tan -1 (Ln / L 0 ) can be obtained.

(c)사시안의 (c) cyanide 편위각Excursion 산출 Calculation

다음으로, 사시안의 각막반사이미지를 통해 사시안의 각막반사점과 각막 중심과의 거리인 Ls을 측정하여 사시안의 편위각을 산출한다. Next, the deviation angle of the deviation angle is calculated by measuring L s , which is the distance between the deviation angle and the corneal center, using the angle reflection image of the deviation eye.

좌안이 주시안이고 우안이 외사시일 경우, 사시안의 Ls와 편위각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If the left eye is the dominant eye and the right eye is the exotropia, the Ls and deviation angles of the right eye can be calculated as follows.

도 24에 나타낸 사시안의 모습을 참조하면, 제어부(100)는 각막 중심(A)과 각막반사점(B)의 위치를 검출한 후 각막 중심(A)과 각막반사점(B)의 거리 Ls을 계산한다. Referring to the state of the cyanoid shown in FIG. 24, the control unit 100 calculates the distance Ls between the corneal center A and the corneal reflecting point B after detecting the positions of the corneal center A and the corneal reflecting point B. .

검출된 각막의 중심과 각막반사점을 통해 제어부(100)는 각막의 중심(A)과 각막반사점(B)과의 거리 Ls을 계산한다. 그리고 계산된 Ls 값을 바탕으로 제어부는 사시안의 편위각(θd)을 계산한다. 편위각 tanθd=Ls/L0 이므로 편위각(θd)=tan-1(Ls/L0)으로 구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00 calculates a distance Ls between the center A of the cornea and the corneal reflection point B based on the detected corneal center and the corneal reflection point. The controller calculates the deviation angle θ d of the cyan on the basis of the calculated Ls value. Since the deviation angle tanθ d = Ls / L 0, it can be obtained as the deviation angle (θ d ) = tan -1 (Ls / L 0 ).

(d)(d) 사시각Perspective 산출 Calculation

다음으로, 주시안의 카파각과 사시안의 편위각을 비교하여 사시안의 사시각을 산출한다. Next, the deviation angle between the kappa angle of the main cyan and the deviation angle of the cyan is calculated.

거의 모든 사람들이 양성카파각임을 감안할 때, 외사시의 경우 사시안의 편위각에서 주시안의 카파각을 뺀 값이 사시각이다. 즉, 외사시의 경우 사시각 θs = θd - θk 이다. 그리고 내사시의 경우 사시안의 편위각에 주시안의 카파각을 더한 값이 사시각이다. 즉, 내사시의 경우 사시각 θs = θd + θk 이다. Given that almost everyone is a positive kappa angle, the angle of deviation is the deviation angle of the cyanogenus minus the kappa angle of the occidental angle. That is, in the case of exotropia, the angle of deviation θ s = θ dk to be. In the case of esotropia, the deviation angle of the astigmatism is the sum of the kappa angle of the occlusion. In other words, the angle of deviation θ s for esotropia = θ d + θ k to be.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양안의 촬영이미지와 각막반사법을 이용하여 사시각(θs)을 산출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calculate the perspective angle θ s using the photographed images of both eyes and the corneal reflection method.

한편, 사시각은 사시안의 카파각을 구한 다음 이를 사시안의 편위각을 비교하여 산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On the other hand, the deviation angle can be calculated by obtaining the kappa angle of the cyan, and then comparing the deviation angle of the cyan.

가령, 사시안에만 불빛을 비춘 상태에서 사시안을 촬영하여 제 1사시안 각막반사이미지를 획득한다. 사시안에만 불빛을 비추게 되면 사시안은 불빛을 주시한다. 이를 촬영한 제 1사시안 각막반사이미지를 통해 사시안의 각막에 발생된 반사점과 각막 중심의 거리를 측정하여 사시안의 카파각을 산출한다. 다음으로, 주시안과 사시안에 불빛을 비춘 상태에서 사시안을 촬영하여 제 2사시안 각막반사이미지를 획득한다. 주시안과 사시안이 동시에 불빛을 바라보는 경우 사시안은 편위된다. 제 2사시안 각막반사이미지를 통해 사시안의 각막에 발생된 반사점과 각막 중심의 거리를 측정하여 사시안의 편위각을 구한다. 이와 같이 사시안의 카파각과 사시안의 편위각을 구한 다음 카파각과 편위각을 비교하여 사시각을 산출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first cyanotic corneal reflection image may be acquired by photographing the cyanogen in a state where only the cyan is lit. If a light shines only on it, it will keep an eye on it. The kappa angle of the cyanogen is calculated by measuring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er of the cornea and the reflection point generated in the corneal of the cyan using the first cyanographic corneal reflection image. Next, the second cyanotic corneal reflection image is obtained by photographing the cyanogen in a state in which light is lit on the main cyan and the cyan. If both the main cyan and the cyan see the light at the same time, the cyan is biased. The deviation angle of the cyanide is obtained by measuring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er of the cornea and the reflection point generated in the cyanide cornea through the second cyanide corneal reflection image. In this way, the kappa angle of the cyanide and the deviation angle of the cyanide can be obtained, and then the angle of deviation can be calculated by comparing the kappa angle and the deviation angle.

4. 검증단계4. Verification step

한편, 본 발명은 산출된 사시각이 정확한지 여부를 검증하는 검증단계를 더 수행할 수 있다. 이는 좌안과 우안의 카파각이 다른 경우나 ARC(이상망막대응) 등 드문 사시 이상에 대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Meanwhile,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perform a verification step of verifying whether the calculated perspective angle is correct. This is to cope with unusual strabismus abnormalities such as different kappa angles of left and right eyes or ARC (Aberrant Retinal Response).

검증단계는 사시안에 대응되는 어느 하나의 영상을 사시안의 시축과 일치되도록 위치시킨 후 사시안의 각막 위치에 변화가 있는지 없는지를 통해 사시각을 검증한다. 검증단계를 통해 산출된 사시각이 맞지 않을 경우 사시각을 보정하여 재검증한다. 재검증은 사시각이 맞을 때까지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다. In the verification step, any one image corresponding to the cyanogen is positioned to coincide with the visual axis of the cyanogen, and then the perspective angle is verified by whether there is a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corneal. If the calculated perspective angle is not correct, correct the perspective angle and re-verify. Revalidation may be repeated until the right angle is correct.

구체적으로, 검증단계는 a)사시각으로부터 계산된 이동 값만큼 좌측 및 우측영상 중 사시안에 대응되는 어느 하나의 영상 위치를 이동시키는 단계와, b)피검자의 좌안과 우안을 촬영한 2차 촬영이미지로부터 사시안에 해당하는 각막의 위치변화를 통해 이동된 영상이 사시안의 시축과 일치하는지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Specifically, the verifying step includes: a) moving any one of the left and right images corresponding to the cyan in the left and right images by a movement value calculated from the perspective angle; and b) a second photographed image of the left and right eyes of the examinee. And comparing the image shifted through the change of the position of the cornea corresponding to the acuity from the axial axis.

(a)영상위치 이동(a) Video position shift

사시각의 확인을 위해 영상의 이동값을 산출한다. The moving value of the image is calculated to confirm the perspective angle.

영상은 사시안과 대응되는 쪽을 이동시킨다. 가령, 사시안이 좌안일 경우 좌측영상(11)을 이동시키고, 사시안이 우안일 경우 우측영상(13)을 이동시킨다. 영상은 사시안의 편위 방향에 따라 좌우 방향 또는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The image shifts the side corresponding to the cyanide. For example, if the right eye is left eye 11 is moved, if the right eye is right eye 13 is moved. The image may be mov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r the vertical direction according to the deviation direction of the cyanide.

이동값은 사시각으로부터 계산된다. 제어부(100)는 영상과 눈과의 거리를 고려하여 사시각으로부터 이동값을 계산한 후 영상출력부(10)를 제어하여 좌측 및 우측영상(11)(13) 중 어느 하나의 위치를 이동값만큼 이동시킨다. The shift value is calculated from the perspective angle. The controller 100 calculates a moving value from the perspective angle in consideration of the distance between the image and the eye, and then controls the image output unit 10 to move the position of any one of the left and right images 11 and 13. Move by.

그리고 영상의 이동과 함께 좌안카메라(20) 또는 우안카메라(25)도 이동시킨다. 좌측영상(11)을 이동시킬 경우 좌안카메라(20)도 동일한 방향으로 동일한 거리 이동시키고, 우측영상(13)을 이동시킬 경우 우안카메라도 동일한 방향으로 동일한 거리 이동시킨다. 좌안카메라(20)와 우안카메라(25)는 제어부(100)에 의해 제어되는 제 1 및 제 2이송부(30)(39)를 통해 이동된다. The left eye camera 20 or the right eye camera 25 is also moved along with the movement of the image. When the left image 11 is moved, the left eye camera 20 is also moved the same distance in the same direction, and when the right image 13 is moved, the right eye camera is also moved the same distance in the same direction. The left eye camera 20 and the right eye camera 25 are mov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transfer units 30 and 39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100.

산출된 사시각이 정확하다면 이동 후 영상의 위치는 사시안의 시축과 일치된다. 그리고 산출된 사시각이 정확하지 않다면 이동 후 영상의 위치는 사시안의 시축과 일치되지 않는다. If the calculated perspective angle is correct, the position of the image after movement coincides with the visual axis of the cyanide. If the calculated perspective angle is not correct, the position of the image after moving does not coincide with the visual axis of the cyanogen.

(b)사시안 각막 위치변화 비교(b) Comparison of Changes in the Location of Cerebral Corneal

사시안과 대응되는 쪽의 영상을 이동시킨 후, 피검자의 좌안과 우안을 촬영한 2차 촬영이미지로부터 사시안의 각막 위치변화를 비교하여 사시각의 정확여부를 확인한다. After moving the image on the side corresponding to the astigmatism, the change of corneal position of the astigmatism is compared from the second photographed image of the subject's left and right eyes to confirm whether the angle of deviation is correct.

이를 위해 좌측 및 우측영상(11)(13)을 동시에 출력시키면서 좌측영상(11)을 바라보는 좌안을 좌안카메라(20)로 촬영하여 제 3좌안이미지를 얻고, 우측영상(13)을 바라보는 우안을 우안카메라(25)로 촬영하여 제 3우안이미지를 얻는다. To this end, the left and right images 11 and 13 are simultaneously output, and the left eye looking at the left image 11 is photographed with the left eye camera 20 to obtain a third left eye image, and the right eye looking at the right image 13. To the right eye camera 25 to obtain a third right eye image.

그리고 좌측 및 우측영상(11)(13)을 교대로 출력시키면서 좌측영상(11)의 출력시 좌측영상(11)을 바라보는 좌안을 좌안카메라로 촬영하여 제 4좌안이미지를 얻고, 우측영상(13)의 출력시 우측영상(13)을 바라보는 우안을 우안카메라(25)로 촬영하여 제 4우안이미지를 얻는다. Then, while outputting the left and right images 11 and 13 alternately, the left eye looking at the left image 11 when the left image 11 is output is taken with a left eye camera to obtain a fourth left eye image, and the right image 13 The right eye looking at the right image 13 is output by the right eye camera 25 to obtain a fourth right eye image.

위와 같이 2차촬영이미지로 제 3좌안 및 우안이미지, 제 4좌안 및 우안이미지를 얻은 다음 2차촬영이미지에 나타난 각막의 위치를 비교하여 각막의 위치변화를 검출한다. As described above, a third left eye image, a right eye image, a fourth left eye image and a right eye image are obtained, and then the position of the cornea is detected by comparing the positions of the corneas shown in the second image.

산출된 사시각이 정확하다면 이동 후 영상의 위치는 사시안의 시축과 일치된다. 따라서 사시안의 각막 위치 변화가 없다. 그리고 그리고 산출된 사시각이 정확하지 않다면 이동 후 영상의 위치는 사시안의 시축과 일치되지 않는다. 따라서 사시안의 각막 위치 변화가 발생한다. If the calculated perspective angle is correct, the position of the image after movement coincides with the visual axis of the cyanide. Thus, there is no change in the location of the cornea. And if the calculated perspective is not correct, the position of the image after movement does not coincide with the visual axis of the cyan. Thus, a change in the location of the cornea of the cilia occurs.

사시안이 좌안일 경우 제 3좌안이미지와 제 4좌안이미지의 각막 위치를 비교하고, 사시안이 우안일 경우 제 3우안이미지와 제 4우안이미지의 각막 위치를 비교한다. If the right eye is left eye, the corneal position of the third left eye image and the fourth left eye image are compared.

비교 결과 각막의 위치변화가 없으면 위의 산출단계에서 산출한 사시각이 정확함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산출단계에서 산출한 사시각을 피검자의 최종 사시각으로 확진할 수 있다. The comparison shows that if there is no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cornea, the perspective angle calculated in the above calculation step is correct. Accordingly, the perspective angle calculated at the calculation stage can be confirmed as the final perspective angle of the subject.

그리고 각막의 위치변화가 있을 경우 위의 산출단계에서 산출한 사시각이 정확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이 경우 정확한 사시각을 다시 계산하기 위해 산출단계에서 산출한 사시각을 보정한 후 재검증하는 단계를 추가로 수행한다. And if there is a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cornea, it means that the perspective angle calculated in the above calculation step is not accurate. In this case, in order to recalculate the correct angle of deviation, a step of correcting the angle of deviation calculated in the calculation step and then re-verifying is additionally performed.

5. 재검증단계5. Revalidation stage

재검증단계는 a)2차 촬영이미지로부터 사시안에 해당하는 각막의 위치변화를 분석하여 사시각의 보정량을 구하는 단계와, b)보정량으로부터 계산된 이동 값만큼 좌측 및 우측영상 중 사시안에 대응되는 어느 하나의 영상 위치를 이동시키는 단계와, c)피검자의 좌안과 우안을 촬영한 3차 촬영이미지로부터 사시안에 해당하는 각막의 위치변화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The re-validation step includes a) analyzing the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cornea corresponding to the astigmatism from the secondary image, and obtaining a correction amount of the deviation angle; And shifting one image position, and c) comparing a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cornea corresponding to the cyan on the third captured image of the left and right eyes of the examinee.

(a)(a) 사시각의Perspective 보정량 계산 Compensation amount calculation

2차 촬영이미지로부터 사시각의 보정량(Δθs)을 구한다.The correction amount Δθ s of the deviation angle is obtained from the secondary photographed image.

일 예로, 사시안이 좌안일 경우 제 3좌안이미지와 제 4좌안이미지의 각막 위치를 비교하여 각막의 위치변화값(Lc)을 먼저 구한다. 각막의 위치변화값은 제 3좌안이미지에 나타난 각막의 중심과 제 4좌안이미지에 나타난 각막의 중심과의 거리로 계산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caudal eye is the left eye, the position change value Lc of the cornea is first obtained by comparing the corneal positions of the third left eye image and the fourth left eye image. The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cornea can be calculated by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er of the cornea shown in the third left eye image and the center of the cornea shown in the fourth left eye image.

각막의 위치변화값(Lc)이 구해지면, 이로부터 사시각 보정량(Δθs)을 계산할 수 있다. 가령, tan(Δθs)=Lc/L0 이다. 여기서 L0 안구의 절점(C)과 각막의 중심(A) 간의 거리이다. When the position change value Lc of the cornea is obtained, the angle of deviation correction Δθ s can be calculated therefrom. For example, tan (Δθ s ) = Lc / L 0 . Where L 0 is Ocular It is the distance between the node (C) and the center (A) of the cornea.

제어부(100)는 영상과 눈과의 거리를 고려하여 사시각 보정량(Δθs)으로부터 이동값을 계산한 후 영상출력부(10)를 제어하여 좌측 및 우측영상(11)(13) 중 사시안에 대응되는 어느 하나의 영상 위치를 이동값만큼 이동시킨다. 이때 영상의 이동방향이 사시안이 편위된 방향과 동일하면 사시각 보정량(Δθs)은 +값이고, 영상의 이동방향이 사시안이 편위된 방향과 반대이면 사시각 보정량(Δθs)은 -값이다. The controller 100 calculates a moving value from the angle correction amount Δθ s in consideration of the distance between the image and the eye, and then controls the image output unit 10 to display the left and right images 11 and 13 in the cyan. The corresponding image position is moved by a moving value. If the moving direction of the image is the same as the direction in which the deviation is biased, the angle of correction (Δθ s ) is a positive value. If the moving direction of the image is opposite the direction in which the deviation is shifted, the angle of deviation (Δθ s ) is negative. .

(b)사시안 각막 위치변화 비교(b) Comparison of Changes in the Location of Cerebral Corneal

사시안과 대응되는 쪽의 영상을 사시각 보정량(Δθs)만큼 이동시킨 후, 피검자의 좌안과 우안을 촬영한 3차 촬영이미지로부터 사시안의 각막 위치변화를 비교한다. After shifting the image corresponding to the cyanide by the angle of deviation correction (Δθ s ), the change of the corneal position of the cyanide is compared from the third captured image of the left and right eyes of the subject.

이를 위해 좌측 및 우측영상(11)(13)을 동시에 출력시키면서 좌측영상(11)을 바라보는 좌안을 좌안카메라(20)로 촬영하여 제 5좌안이미지를 얻고, 우측영상(13)을 바라보는 우안을 우안카메라(25)로 촬영하여 제 5우안이미지를 얻는다. To this end, while simultaneously outputting the left and right images 11 and 13, the left eye looking at the left image 11 is photographed with the left eye camera 20 to obtain a fifth left eye image, and the right eye looking at the right image 13. Is taken with the right eye camera 25 to obtain a fifth right eye image.

그리고 좌측 및 우측영상(11)(13)을 교대로 출력시키면서 좌측영상(11)의 출력시 좌측영상(11)을 바라보는 좌안을 좌안카메라(20)로 촬영하여 제 6좌안이미지를 얻고, 우측영상(13)의 출력시 우측영상(13)을 바라보는 우안을 우안카메라(25)로 촬영하여 제 6우안이미지를 얻는다. Then, while outputting the left and right images 11 and 13 alternately, the left eye looking at the left image 11 when the left image 11 is output is taken with the left eye camera 20 to obtain a sixth left eye image, and the right When the image 13 is output, the right eye looking at the right image 13 is photographed with the right eye camera 25 to obtain a sixth right eye image.

위와 같이 3차촬영이미지로 제 5좌안 및 우안이미지, 제 6좌안 및 우안이미지를 얻은 다음 3차촬영이미지에 나타난 각막의 위치를 비교하여 각막의 위치변화를 검출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fifth left eye image, the right eye image, the sixth left eye image, and the right eye image are obtained, and then the position of the cornea is detected by comparing the positions of the corneas shown in the third image.

산출된 사시각 보정량(Δθs)이 정확하다면 이동 후 영상의 위치는 사시안의 시축과 일치된다. 따라서 사시안의 각막 위치 변화가 없다. 그리고 산출된 사시각 보정량(Δθs)이 정확하지 않다면 이동 후 영상의 위치는 사시안의 시축과 일치되지 않는다. 따라서 사시안의 각막 위치 변화가 발생한다. If the calculated angle correction amount Δθ s is correct, the position of the image after the movement coincides with the visual axis of the cyanogen. Thus, there is no change in the location of the cornea. If the calculated angle correction amount Δθ s is not correct, the position of the image after the movement does not coincide with the visual axis of the cyan. Thus, a change in the location of the cornea of the cilia occurs.

사시안이 좌안일 경우 제 5좌안이미지와 제 6좌안이미지의 각막 위치를 비교하고, 사시안이 우안일 경우 제 5우안이미지와 제 6우안이미지의 각막 위치를 비교한다. If the right eye is left eye, the corneal position of the fifth left eye image and the sixth left eye image are compared. If the right eye is right eye, the corneal positions of the fifth and six right eye images are compared.

비교 결과 각막의 위치변화가 없으면 사시각 보정량(Δθs)이 정확함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산출단계에서 산출한 사시각(θs)에 사시각 보정량(Δθs)을 산입하여 보정된 사시각을 계산한다.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if there is no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cornea, it means that the angle correction amount Δθ s is accurate. Accordingly, the corrected perspective angle is calculated by adding the correction angle Δθ s to the perspective angle θ s calculated in the calculation step.

가령, 사시각 보정량(Δθs)이 +값일 경우 보정된 사시각은 θs + Δθs 이다. 그리고 사시각 보정량(Δθs)이 1값일 경우 보정된 사시각은 θs - Δθs 이다. For example, when the angle correction amount Δθ s is a positive value, the corrected angle of deviation is θ s + Δθ s to be. If the angle correction amount Δθ s is 1, the corrected angle of deviation is θ s- Δθ s .

이와 같이 보정된 사시각을 피검자의 최종 사시각으로 확진할 수 있다. The corrected perspective angle can be confirmed as the final perspective angle of the examinee.

그리고 각막의 위치변화가 있을 경우 위의 사시각 보정량(Δθs)이 정확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And if there is a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cornea, it means that the above-mentioned angle correction amount (Δθ s ) is not accurate.

이 경우 정확한 사시각을 다시 계산하기 위해 3차 촬영이미지로부터 사시각 보정량을 다시 산출하고, 이로부터 사시안에 대응되는 영상의 이동값을 계산하여 영상의 위치를 이동값만큼 이동시킨 다음 피검자의 좌안과 우안을 촬영한 후 각막의 위치변화를 비교한다. In this case, in order to recalculate the correct angle of deviation, the angle of deviation correction is calculated again from the third shot image, and the moving value of the image corresponding to the cyanogen is calculated to move the position of the image by the moving value. After taking the right eye, compare the changes in the position of the cornea.

각막의 위치변화가 발생하지 않을 때까지 위의 재검증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본 발명은 정확한 사시각을 측정할 수 있다. By repeating the above re-validation process until there is no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cornea, the present invention can measure the correct perspective angle.

이상, 본 발명은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one embodiment, which is mere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Therefore, the tru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1: 커버하우징 10: 영상출력부
11: 좌측영상 13: 우측영상
20: 좌안카메라 25: 우안카메라
30: 제 1이송부 39: 제 2이송부
40: 좌안광원부 45: 우안광원부
100: 제어부 110: 전원부
120: 메모리부 130: 조작부
140: 통신부
1: cover housing 10: image output unit
11: Left video 13: Right video
20: left eye camera 25: right eye camera
30: first transfer unit 39: second transfer unit
40: left eye light source 45: right eye light source
100: control unit 110: power supply unit
120: memory unit 130: operation unit
140: communication unit

Claims (21)

본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좌안이 볼 수 있는 좌측영상과 우안이 볼 수 있는 우측영상을 서로 분리하여 출력하는 영상출력부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영상출력부를 바라보는 좌안과 우안을 촬영하는 촬영부와;
상기 좌측영상 및 상기 우측영상의 위치를 조절하며, 상기 촬영부를 통해 획득한 촬영이미지로부터 사시안의 편위정도를 산출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시각 자동 측정장치.
A main body;
An image output unit installed in the main body and separately outputting a left image visible to the left eye and a right image viewed to the right eye;
A photographing unit installed in the main body to photograph the left and right eyes facing the image output unit;
And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adjust positions of the left image and the right image, and calculate a deviation degree of the cyan from the photographed image acquired through the photographing uni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좌안 및 우안에 불빛을 조사하는 광원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시각 자동 측정장치. The apparatus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light source unit installed at the main body to irradiate light to the left and right eye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커버하우징과, 상기 커버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커버하우징의 내부를 좌안과 대응되는 좌측공간부 및 우안과 대응되는 우측공간부로 분리하는 차단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시각 자동 측정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ain body is provided with a cover housing, the blocking member for separating the inside of the cover housing to the left spac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left eye and the right spac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right eye A four angle automatic measur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출력부는 상기 좌측공간부에 상기 좌측영상을 출력하고 상기 우측공간부에 상기 우측영상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시각 자동 측정장치. The apparatus of claim 3, wherein the image output unit outputs the left image to the left space and the right image to the right space.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출력부는 상기 좌측영상과 상기 우측영상을 좌우로 분리하여 출력하는 하나의 디스플레이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시각 자동 측정장치. The apparatus of claim 4, wherein the image output unit comprises a display configured to separate the left image and the right image from side to side and output the left and right images.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출력부는 상기 좌측영상을 출력하는 좌안 디스플레이와, 상기 우측영상을 출력하는 우안 디스플레이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시각 자동 측정장치. The apparatus of claim 4, wherein the image output unit comprises a left eye display for outputting the left image and a right eye display for outputting the right image.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곡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시각 자동 측정장치. 7. The automatic perspective measurement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5 or 6, wherein the display is formed in a curved surface.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부는 상기 좌측공간부에 설치되어 좌안을 촬영하는 좌안카메라와, 상기 우측공간부에 설치되어 우안을 촬영하는 우안카메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시각 자동 측정장치. The apparatus for automatically measuring a perspective angle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photographing unit includes a left eye camera installed in the left space and photographing the left eye, and a right eye camera installed in the right space and photographing the right eye.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좌안카메라 및 상기 우안카메라를 독립적으로 각각 이동시키기 위한 카메라이동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시각 자동 측정장치. The automatic perspective measurement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8, further comprising camera moving means for independently moving the left eye camera and the right eye camera, respectively.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의 전방을 촬영하여 제 1외부영상이미지를 획득하는 제 1외부카메라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커버하우징의 전방을 촬영하여 제 2외부영상이미지를 획득하는 제 2외부카메라를 더 구비하고,
상기 영상출력부를 통해 상기 제 1외부영상이미지는 상기 좌측영상으로 출력되고 상기 제 2외부영상이미지는 상기 우측영상으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시각 자동 측정장치.
The apparatus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first external camera installed in the main body to photograph the front of the main body to obtain a first external video image; and a second external video image installed in the main body to photograph the front of the cover housing. Further provided with a second external camera to obtain,
And the first external image image is output as the left image and the second external image image is output as the right image through the image output unit.
좌안이 볼 수 있는 좌측영상과 우안이 볼 수 있는 우측영상의 간격을 피검자의 양안 거리에 맞추어 조절하는 영상간격조절단계와;
상기 피검자의 좌안과 우안을 촬영한 1차 촬영이미지로부터 좌안 및 우안의 각막 위치변화를 비교하여 주시안과 사시안을 판별하는 판별단계와;
상기 판별단계에서 판별된 상기 사시안의 편위정도를 구하여 사시각을 산출하는 산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시각 자동 측정방법.
An image interval adjusting step of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left image seen by the left eye and the right image seen by the right eye according to the distance of both eyes of the subject;
A discriminating step of discriminating a principal eye and a blind eye by comparing the change of the cornea position of the left eye and the right eye from the primary photographed image of the left eye and the right eye of the subject;
And a calculation step of calculating a deviation angle by obtaining the deviation degree of the deviation angle determined in the determination step.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단계 후 상기 사시각의 정확 여부를 검증하는 검증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시각 자동 측정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further comprising a verification step of verifying whether the perspective angle is correct after the calculating step.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검증단계는 a)상기 사시각으로부터 계산된 이동 값만큼 상기 좌측 및 우측영상 중 상기 사시안에 대응되는 어느 하나의 영상 위치를 이동시키는 단계와, b)상기 피검자의 좌안과 우안을 촬영한 2차 촬영이미지로부터 상기 사시안에 해당하는 각막의 위치변화를 통해 이동된 영상이 사시안의 시축과 일치하는지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시각 자동 측정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verifying comprises: a) moving one imag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yan in the left and right images by a movement value calculated from the perspective angle; b) the left eye of the examinee; And comparing the image shifted from the second photographed image of the right eye through the change of the position of the cornea corresponding to the cyan to match the visual axis of the cyan.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검증단계에서 상기 사시안에 해당하는 각막의 위치변화가 있을 시 상기 사시각을 보정하여 재검증하는 재검증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시각 자동 측정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3, further comprising: a revalidation step of correcting and revalidating the perspective angle when the position of the cornea corresponding to the astigmatism is changed in the verification step.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재검증단계는 a)상기 2차 촬영이미지로부터 상기 사시안에 해당하는 각막의 위치변화를 분석하여 상기 사시각의 보정량을 구하는 단계와, b)상기 보정량으로부터 계산된 이동 값만큼 상기 좌측 및 우측영상 중 상기 사시안에 대응되는 어느 하나의 영상 위치를 이동시키는 단계와, c)상기 피검자의 좌안과 우안을 촬영한 3차 촬영이미지로부터 상기 사시안에 해당하는 각막의 위치변화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시각 자동 측정방법.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re-validation step comprises: a) obtaining a correction amount of the strabismus angle by analyzing a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cornea corresponding to the astigmatism from the secondary photographed image, and b) a moving value calculated from the correction amount. Shifting the position of any one image corresponding to the cyan in the left and right images, and c) comparing the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cornea corresponding to the cyan from a third photographed image of the left and right eyes of the subject. Automatic perspective measurement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tep.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3차 촬영이미지에서 상기 사시안에 해당하는 각막의 위치변화가 없을 시 상기 사시각에 상기 보정량을 산입하여 보정된 사시각을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시각 자동 측정방법.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corrected perspective angle is calculated by adding the correction amount to the perspective angle when there is no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cornea corresponding to the cyan in the third captured image.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단계는 a)상기 좌측 및 우측영상을 동시에 출력시키는 상태에서 상기 좌측영상을 바라보는 좌안을 촬영하여 제 1좌안이미지를 얻고, 상기 우측영상을 바라보는 우안을 촬영하여 제 1우안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와, b)상기 좌측 및 우측영상을 교대로 출력시키는 상태에서 상기 좌측영상의 출력시 상기 좌측영상을 바라보는 좌안을 촬영하여 제 2좌안이미지를 얻고, 상기 우측영상의 출력시 상기 우측영상을 바라보는 우안을 촬영하여 제 2우안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와, c)상기 제 1좌안이미지와 상기 제 2좌안이미지의 각막 위치변화를 비교하고, 상기 제 1우안이미지와 상기 제 2우안이미지의 각막 위치변화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시각 자동 측정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determining comprises: a) photographing the left eye looking at the left image while simultaneously outputting the left and right images, obtaining a first left eye image, and photographing the right eye looking at the right image Acquiring a first right eye image; and b) photographing a left eye facing the left image when the left image is output while the left and right images are alternately output to obtain a second left eye image. Photographing the right eye looking at the right image to output a second right eye image; and c) comparing a change in the corneal position of the first left eye image and the second left eye image, and comparing the first right eye image with the first right eye image. And comparing the change of the corneal position of the second right eye image.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단계는 상기 피검자의 전방을 촬영하여 획득한 제 1외부영상이미지를 상기 좌측영상으로 출력시키고, 상기 피검자의 전방을 촬영하여 획득한 제 2외부영상이미지를 상기 우측영상으로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시각 자동 측정방법. 18.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the determining comprises outputting the first external image image obtained by photographing the front of the subject as the left image, and the second external image image obtained by photographing the front of the subject. Automatic perspective measurement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put to.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단계는 상기 주시안 또는 상기 사시안으로부터 구한 카파각을 상기 사시안으로부터 구한 편위각과 비교하여 사시각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시각 자동 측정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calculating step calculates a perspective angle by comparing the kappa angle obtained from the principal cyan or the cyan to the deviation angle obtained from the cyan.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단계는 a)상기 주시안과 상기 사시안에 불빛을 비춘 상태에서 상기 주시안과 상기 사시안을 촬영하여 주시안 각막반사이미지와 사시안 각막반사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와, b)상기 주시안 각막반사이미지를 통해 상기 주시안의 각막에 발생된 반사점과 각막 중심의 거리를 측정하여 상기 주시안의 카파각을 산출하는 단계와, c)상기 사시안의 각막반사이미지를 통해 상기 사시안의 각막에 발생된 반사점과 각막 중심의 거리를 측정하여 상기 사시안의 편위각을 산출하는 단계와, d)상기 주시안의 카파각과 상기 사시안의 편위각을 비교하여 상기 사시안의 사시각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시각 자동 측정방법. 20. The method of claim 19, wherein the calculating step comprises the steps of: a) photographing the main cyan and the cyan in a state in which the main cyan and the cyan are lit; Calculating the kappa angle of the main cyan by measuring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er of the cornea and the reflection point generated on the cornea of the main cyan through the corneal corneal reflection image; Calculating the deviation angle of the cyanide by measuring the distance between the reflected reflection point and the cornea center, and d) calculating the deviation angle of the cyanogen by comparing the kappa angle of the principal cyan and the deviation angle of the cyanide. Automatic measurement of perspective angle.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단계는 a)상기 좌측 및 우측영상을 동시에 출력시키는 상태에서 상기 좌측영상을 바라보는 좌안을 촬영하여 제 1좌안이미지를 얻고, 상기 우측영상을 바라보는 우안을 촬영하여 제 1우안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와, b)상기 좌측 및 우측영상을 교대로 출력시키는 상태에서 상기 좌측영상의 출력시 우안을 촬영하여 제 2우안이미지를 얻고, 상기 우측영상의 출력시 좌안을 촬영하여 제 2좌안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와, c)상기 제 1좌안이미지와 상기 제 2좌안이미지의 각막 위치변화를 비교하고, 상기 제 1우안이미지와 상기 제 2우안이미지의 각막 위치변화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시각 자동 측정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determining comprises: a) photographing the left eye looking at the left image while simultaneously outputting the left and right images, obtaining a first left eye image, and photographing the right eye looking at the right image Acquiring a first right eye image; and b) photographing a right eye when the left image is output while the left and right images are alternately output to obtain a second right eye image, and taking a left eye when the right image is output. Acquiring a second left eye image, and c) comparing a change in corneal position of the first left eye image and the second left eye image, and comparing a change of corneal position of the first right eye image and the second right eye image. Automatic perspective measurement method comprising a step.
KR1020180030562A 2018-03-16 2018-03-16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measurement of deviation angle in strabismus KR10211233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0562A KR102112339B1 (en) 2018-03-16 2018-03-16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measurement of deviation angle in strabism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0562A KR102112339B1 (en) 2018-03-16 2018-03-16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measurement of deviation angle in strabism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8904A true KR20190108904A (en) 2019-09-25
KR102112339B1 KR102112339B1 (en) 2020-05-18

Family

ID=68068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0562A KR102112339B1 (en) 2018-03-16 2018-03-16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measurement of deviation angle in strabism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2339B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50055A1 (en) * 2020-01-23 2021-07-29 주식회사 씨엠랩 Binocular imaging apparatus
KR20210095759A (en) * 2020-01-23 2021-08-03 주식회사 씨엠랩 Binocular fundus camera
KR20210127073A (en) * 2020-04-13 2021-10-21 주식회사 씨엠랩 Binocular fundus camera
KR20220027784A (en) * 2020-08-27 2022-03-08 김성진 Methods of Prism Prescription Using The Difference in the Monocular Response Amplitude
KR20220048665A (en) * 2020-10-13 2022-04-20 고신대학교 산학협력단 A method of diagnosing strabismus through the analysis of eyeball image from cover and uncovered tes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8883A (en) 2021-06-17 2022-12-26 충남대학교병원 Method for Screening Strabismus and Device therefor
PL441099A1 (en) * 2022-05-05 2023-11-06 Pomorski Uniwersytet Medyczny W Szczecinie Device and method for automated measurements of strabismus angles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57332A (en) * 2011-09-07 2014-05-12 임프루브드 비전 시스템즈 (아이.브이.에스.) 리미티드 Method and system for treatment of visual impairment
WO2016072272A1 (en) * 2014-11-04 2016-05-12 株式会社クリュート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 Eyesight examination device, and head mounted-type display device
KR20170082394A (en) * 2016-01-06 2017-07-14 삼성전자주식회사 Head mounted type electronic device
KR101761635B1 (en) 2015-04-27 2017-08-04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strabismus deviation
US20170296421A1 (en) * 2016-04-15 2017-10-19 Dean TRAVERS Head-mounted apparatus and methods for treatment and enhancement of visual function
KR101812249B1 (en) 2016-08-10 2017-12-27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Automatic measurement machine of strabismus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57332A (en) * 2011-09-07 2014-05-12 임프루브드 비전 시스템즈 (아이.브이.에스.) 리미티드 Method and system for treatment of visual impairment
WO2016072272A1 (en) * 2014-11-04 2016-05-12 株式会社クリュート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 Eyesight examination device, and head mounted-type display device
KR101761635B1 (en) 2015-04-27 2017-08-04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strabismus deviation
KR20170082394A (en) * 2016-01-06 2017-07-14 삼성전자주식회사 Head mounted type electronic device
US20170296421A1 (en) * 2016-04-15 2017-10-19 Dean TRAVERS Head-mounted apparatus and methods for treatment and enhancement of visual function
KR101812249B1 (en) 2016-08-10 2017-12-27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Automatic measurement machine of strabismus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50055A1 (en) * 2020-01-23 2021-07-29 주식회사 씨엠랩 Binocular imaging apparatus
KR20210095759A (en) * 2020-01-23 2021-08-03 주식회사 씨엠랩 Binocular fundus camera
KR20210127073A (en) * 2020-04-13 2021-10-21 주식회사 씨엠랩 Binocular fundus camera
KR20220027784A (en) * 2020-08-27 2022-03-08 김성진 Methods of Prism Prescription Using The Difference in the Monocular Response Amplitude
KR20220048665A (en) * 2020-10-13 2022-04-20 고신대학교 산학협력단 A method of diagnosing strabismus through the analysis of eyeball image from cover and uncovered tes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2339B1 (en) 2020-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0890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measurement of deviation angle in strabismus
US7275823B2 (en) Optometric device
JP4462377B2 (en) Multifunctional ophthalmic examination device
US7831136B2 (en) Opthalmic photography apparatus
FI125445B (en) Blick Control Device
WO2012046763A1 (en) Ocular deviation measuring device
US9585552B2 (en) Device and method for measuring at least one objective ocular refraction characteristic of a patient for a plurality of visual ranges
JP201552428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objective eye refraction and at least one geometrical form parameter of a person
KR102029423B1 (en) apparatus for preventing and treating visual disturbance
JP2021164840A (en) Imaging apparatus
KR101942465B1 (en) Portable Retina Imaging Device of retina and method for imaging of retina using the same
JP2007216049A (en) Eye position measurement device
KR101930924B1 (en) Ocular photographic apparatus
WO2010064492A1 (en) Multifunction ophthalmic examination apparatus
JP4551107B2 (en) Optical system alignment apparatus and method, and three-dimensional observation state measurement apparatus and method using the same
JP2020507386A (en) Retin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retinal photographing method using the same
US20130038835A1 (en) Microscope for ophthalmologic surgery
JP2020127588A (en) Ophthalmologic apparatus
JPH0646996A (en) Optometric apparatus
JPH11313800A (en) Ophthalmological device
CN111417893B (en) Method and assembly for verifying the mounting of an ophthalmic lens in a frame
JPH11347016A (en) Imaging device
KR102480635B1 (en) Measuring apparatus of vision and measur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JP6140947B2 (en) Ophthalmic apparatus and ophthalmic imaging method
JP7099854B2 (en) Visual indicator presenta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