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8464A - 필름 안테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필름 안테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8464A
KR20190108464A KR1020180113445A KR20180113445A KR20190108464A KR 20190108464 A KR20190108464 A KR 20190108464A KR 1020180113445 A KR1020180113445 A KR 1020180113445A KR 20180113445 A KR20180113445 A KR 20180113445A KR 20190108464 A KR20190108464 A KR 201901084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antenna
signal pad
pad
length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34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18054B1 (ko
Inventor
류한섭
오윤석
허윤호
홍원빈
Original Assignee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19/002929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9177382A1/ko
Priority to CN201980018839.9A priority patent/CN111869007B/zh
Priority to JP2020572363A priority patent/JP2021516931A/ja
Publication of KR201901084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8464A/ko
Priority to US17/019,527 priority patent/US11710889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80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80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0407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5/00Coupling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5/08Coupling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for linking dissimilar lines or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29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used in bluetooth or WI-FI devices of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WLA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8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med by a conductive layer on an insulating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48Earthing means; Earth screens; Counterpoi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52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tennas; 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 antenna and another structure
    • H01Q1/526Electromagnetic shie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 Waveguide Aerials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필름 안테나는 유전층, 유전층의 상면 상에 배치되는 방사 패턴, 방사 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신호 패드 및 신호 패드와 이격되어 배치되며 신호 패드의 길이보다 큰 이격 스페이스를 갖도록 리세스된 그라운드 패드를 포함한다. 그라운드 패드를 통해 노이즈 제거 효율 및 방사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필름 안테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FILM ANTENNA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필름 안테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전극 패턴을 포함하는 필름 안테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와이 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등과 같은 무선 통신 기술이 디스플레이 장치와 결합되어, 예를 들면 스마트폰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 경우, 안테나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결합되어 통신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최근 이동통신 기술이 진화하면서, 초고주파 대역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안테나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결합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최근 5G의 고주파 대역의 통신의 경우 파장이 보다 짧아짐에 따라, 신호 송수신이 차단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며, 또한 송수신이 가능한 주파수 대역이 좁아 신호 손실, 신호 차단에 취약할 수 있다. 따라서, 원하는 지향성, 게인 및 신호 효율을 갖는 고주파 안테나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안테나가 탑재되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보다 얇아지고 경량화됨에 따라, 상기 안테나가 차지하는 공간 역시 감소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박형 디스플레이에 패치 형태로 삽입될 수 있는 필름 안테나가 개발되고 있다. 상기 필름 안테나의 경우 동일 층 또는 동일 레벨에 방사 패턴, 그라운드 패드, 전송 선로 등과 같은 도전성 구조들이 배치될 수 있다. 제한된 면적 안에서 상기 도전성 구조들이 인접하게 배치됨에 따라 상호 노이즈 저감, 신호 손실 억제 등을 위한 안테나 설계가 필요하다.
예를 들면, 한국공개특허 제2013-0095451호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일체화된 안테나를 개시하고 있으나, 상술한 문제점들에 대한 대안은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3-0095451호
본 발명의 일 과제는 향상된 신호 효율성 및 신뢰성을 갖는 필름 안테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과제는 향상된 신호 효율성 및 신뢰성을 갖는 필름 안테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1. 유전층; 상기 유전층의 상면 상에 배치되는 방사 패턴; 상기 방사 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신호 패드; 및 상기 신호 패드와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신호 패드의 길이보다 큰 길이를 갖는 이격 스페이스를 형성하는 그라운드 패드를 포함하는, 필름 안테나.
2. 위 1에 있어서, 상기 그라운드 패드는,
상기 필름 안테나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며 상기 필름 안테나의 너비 방향으로 마주보는 한 쌍의 돌출 바들; 및
상기 너비 방향으로 연장하며 상기 돌출 바들을 연결시키는 연결 바를 포함하는, 필름 안테나.
3. 위 2에 있어서, 상기 연결 바는 상기 돌출 바들의 일단부들과 연결되어 리세스를 정의하며,
상기 신호 패드는 상기 리세스의 입구에 배치되는, 필름 안테나.
4. 위 3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 중 상기 신호 패드가 배치된 상기 입구를 제외한 영역에 의해 상기 이격 스페이스가 정의되는, 필름 안테나.
5. 위 4에 있어서, 상기 이격 스페이스의 너비는 상기 돌출 바들 사이의 거리와 동일한, 필름 안테나.
6. 위 3에 있어서, 상기 방사 패턴 및 상기 신호 패드를 연결시키는 전송 선로를 더 포함하는, 필름 안테나.
7. 위 6에 있어서, 상기 신호 패드만이 상기 리세스의 입구에 삽입되며, 상기 전송 선로는 상기 리세스의 외부에 배치되는, 필름 안테나.
8. 위 6에 있어서, 상기 방사 패턴, 상기 전송 선로, 상기 신호 패드 및 상기 그라운드 패드는 상기 유전층의 상면 상에서 동일 레벨에 배치되는, 필름 안테나.
9. 위 8에 있어서, 상기 유전층의 저면 상에 배치되는 하부 그라운드 층을 더 포함하는, 필름 안테나.
10. 위 1에 있어서, 상기 그라운드 패드는 상기 신호 패드를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어 연장하는 한 쌍의 바 패턴들을 포함하는, 필름 안테나.
11. 위 10에 있어서, 상기 이격 스페이스의 길이는 상기 바 패턴의 길이에서 상기 신호 패드의 길이를 차감한 값을 갖는, 필름 안테나.
12. 위 1에 있어서, 상기 이격 스페이스의 길이는 상기 신호 패드의 길이의 2 내지 300배인, 필름 안테나.
13. 위 12에 있어서, 상기 신호 패드의 길이는 50 내지 700㎛이며, 상기 이격 스페이스의 길이는 200㎛ 내지 3mm인, 필름 안테나.
14. 위 1에 있어서, 상기 방사 패턴은 메쉬 구조를 포함하는 필름 안테나.
15. 위 14에 있어서, 상기 방사 패턴 주변에 배열되며 상기 방사 패턴의 메쉬 구조와 동일한 형태의 메쉬 구조를 포함하는 더미 패턴을 더 포함하는, 필름 안테나.
16. 위 1 내지 15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필름 안테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는 필름 안테나는 방사 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신호 패드, 및 상기 신호 패드와 이격된 그라운드 패드를 포함한다. 상기 그라운드 패드는 상기 신호 패드가 삽입되는 리세스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그라운드 패드를 통한 상기 신호 패드 주변의 노이즈를 효과적으로 차폐시킬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그라운드 패드는 상기 신호 패드의 길이보다 큰 이격 스페이스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이격 스페이스에 의해 그라운드 패드와 상기 신호 패드 사이의 이격 공간이 확보되어, 상기 그라운드 패드의 자체 방사로 인한 신호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필름 안테나는 3G 이상, 예를 들면 5G 고주파 대역의 송수신이 가능한 이동 통신 기기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되어 방사 특성 및 투과도와 같은 광학 특성을 함께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각각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필름 안테나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3은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안테나 패턴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4는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필름 안테나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5는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필름 안테나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각각 비교예에 따른 안테나 패턴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평면도들이다.
도 8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9는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안테나 패턴의 신호 성능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방사패턴, 신호 패드 및 그라운드 패드를 포함하며, 상기 그라운드 패드가 상기 신호 패드가 삽입되는 홈을 포함하는 필름 안테나를 제공한다.
상기 필름 안테나는 예를 들면, 투명 필름 형태로 제작되는 마이크로스트립 패치 안테나(microstrip patch antenna)일 수 있다. 상기 필름 안테나는 예를 들면, 3G 내지 5G 이동통신을 위한 통신 기기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기 필름 안테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한 발명의 내용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 및 도 2는 각각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필름 안테나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서 유전층(100)의 상면에 평행하며, 서로 교차하는 두 방향을 제1 방향 및 제2 방향으로 정의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방향 및 제2 방향은 서로 수직하게 교차할 수 있다. 유전층(100)의 상면에 대해 수직한 방향은 제3 방향으로 정의된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방향은 상기 필름 안테나의 길이 방향,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필름 안테나의 너비 방향, 상기 제3 방향은 상기 필름 안테나의 두께 방향에 해당될 수 있다. 상기 방향의 정의는 나머지 도면들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필름 안테나는 유전층(100), 유전층(100) 상에 배치된 제1 전극층(1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름 안테나는 유전층(100) 아래에 배치된 제2 전극층(90)이 더 포함할 수 있다.
유전층(100)은 예를 들면, 접힐 수 있는 유연성을 갖는 투명 수지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전층(100)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이소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디아세틸셀룰로오스,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계 수지; 폴리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 등의 스티렌계 수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시클로계 또는 노보넨 구조를 갖는 폴리올레핀,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염화비닐계 수지; 나일론, 방향족 폴리아미드 등의 아미드계 수지; 이미드계 수지; 폴리에테르술폰계 수지; 술폰계 수지;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계 수지; 황화 폴리페닐렌계 수지; 비닐알코올계 수지; 염화비닐리덴계 수지; 비닐부티랄계 수지; 알릴레이트계 수지; 폴리옥시메틸렌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등의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혹은 2 이상이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메타)아크릴계, 우레탄계, 아크릴우레탄계, 에폭시계, 실리콘계 등의 열경화성 수지 또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로 된 투명 필름이 유전층(100)으로 활용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광학 투명 점착제(Optically clear Adhesive: OCA), 광학 투명 수지(Optically Clear Resin: OCR) 등과 같은 점접착 필름이 유전층(100)에 포함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유전층(100)은 실리콘 산화물, 실리콘 질화물, 실리콘 산질화물 등과 같은 무기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
유전층(100)에 의해 제1 전극층(110) 및 제2 전극층(90) 사이에서 정전용량(capacitance) 또는 인덕턴스(inductance)가 형성되어, 상기 필름 안테나가 구동 혹은 센싱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이 조절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유전층(100)의 유전율은 약 1.5 내지 12 범위로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유전율이 약 12를 초과하는 경우, 구동 주파수가 지나치게 감소하여, 원하는 고주파 대역에서의 구동이 구현되지 않을 수 있다.
제1 전극층(110)은 유전층(100)의 상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전극층(110)은 상기 필름 안테나의 안테나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전극층(110)은 방사 패턴(120) 및 그라운드 패드(1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극층(110)은 방사 패턴(120)으로부터 분기되는 전송 선로(125) 및 전송 선로(125) 말단에 배치된 신호 패드(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방사 패턴(120), 전송 선로(125), 신호 패드(130) 및 그라운드 패드(140)는 모두 유전층(100)의 상기 상면 상에서 동일 평면 또는 동일 레벨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사 패턴(120)의 중앙부로부터 전송 선로(125)가 분기되어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전송 선로(125)의 방사 패턴(120)과 멀어지는 말단에 신호 패드(130)가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방사 패턴(120), 전송 선로(125) 및 신호 패드(130)는 실질적으로 일체로 연결되어 단일 부재로서 제공될 수 있다.
그라운드 패드(140)는 신호 패드(130)와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라운드 패드(140)는 서로 마주보는 돌출 바(bar)들(144) 및 연결 바(bar)(142)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한 쌍의 돌출 바들(144)이 하나의 연결 바(142)에 의해 연결되어, 그라운드 패드(140)가 정의될 수 있다. 돌출 바(144)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하며, 한 쌍의 돌출 바들(144)이 상기 제2 방향으로 마주볼 수 있다. 연결 바(142)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하며, 상기 한 쌍의 돌출 바들(144)을 서로 물리적,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연결 바(142)는 돌출 바들(144)의 동일 방향의 일단부들과 연결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라운드 패드(140)는 평면 방향에서 홈이 형성된 형상(예를 들면, 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그라운드 패드(140)는 돌출 바(bar)들(144) 및 연결 바(bar)(142)에 의해 정의되는 리세스(recess)(150)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리세스(150)의 입구 부분에 신호 패드(130)가 삽입될 수 있다. 신호 패드(130)는 상기 제1 방향으로 그라운드 패드(140)의 연결 바(142)와 마주볼 수 있다. 신호 패드(130)는 그라운드 패드(140)와 물리적 또는 전기적으로 이격되어 리세스(150)의 상기 입구 부분을 부분적으로 막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신호 패드(130)만 리세스(150) 내부로 진입하며, 전송 선로(125)는 리세스(150) 내부로 연장하지 않고, 리세스(150)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그라운드 패드(140)가 리세스된 구조를 가지므로 신호 패드(130) 주변이 그라운드 패드(140)에 의해 효과적으로 둘러싸일 수 있다. 따라서, 신호 패드(130) 주변에서의 송수신 노이즈 또는 상기 필름 안테나가 탑재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발생하는 전기적 노이즈가 보다 효과적으로 차폐될 수 있다.
또한, 리세스(150)의 상기 입구를 부분적으로 신호 패드(130)가 캡핑하는 구조로 그라운드 패드(140) 및 신호 패드(130)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서로 마주보는 신호 패드(130) 및 연결 바(142) 사이에는 이격 스페이스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격 스페이스에 의해 그라운드 패드(140)의 길이가 증가할 수 있으며, 한편 상기 이격 스페이스에 의해 그라운드 패드(140)의 지나친 부피 혹은 면적 증가가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그라운드 패드(140)의 적절한 면적이 확보되어 저항을 감소시키면서, 그라운드 패드(140)에 의해 방사 패턴(120)의 방사 특성이 저해 또는 간섭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전층(100)의 저면 상에는 제2 전극층(90)이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2 전극층(90)은 상기 필름 안테나의 하부 그라운드 층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전극층(90)은 방사 패턴(120)과 중첩되어 수직 편파를 형성하기 위한 그라운드 전극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2 전극층(90)과 그라운드 패드(140)를 연결시키는 연결 부재(콘택, 비아(via), 연성 회로 기판(FPCB) 등)가 제공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2 전극층(90)은 상기 필름 안테나의 별도 구성으로 포함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필름 안테나가 탑재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도전성 부재가 그라운드 층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도전성 부재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패널에 포함된 박막 트랜지스터(TFT)의 게이트 전극, 스캔 라인 또는 데이터 라인과 같은 각종 배선, 또는 화소 전극, 공통 전극과 같은 각종 전극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극층(110) 및 제2 전극층(90)은 제1 전극층(110)은 은(Ag), 금(Au), 구리(Cu), 알루미늄(Al), 백금(Pt), 팔라듐(Pd), 크롬(Cr), 티타늄(Ti), 텅스텐(W), 니오븀(Nb), 탄탈륨(Ta), 바나듐(V), 철(Fe), 망간(Mn), 코발트(Co), 니켈(Ni), 아연(Zn), 주석(Sn) 또는 이들의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혹은 2 이상이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저저항 구현을 위해 은(Ag) 또는 은 합금이(예를 들면 은-팔라듐-구리(APC) 합금)이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1 전극층(110) 및 제2 전극층(90)은 인듐주석 산화물(ITO), 인듐아연 산화물(IZO), 인듐아연주석 산화물(ITZO), 아연 산화물(ZnOx)과 같은 투명 도전성 산화물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1 전극층(110) 및 제2 전극층(90)은 동일한 도전 물질(예를 들면, 금속 및/또는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1 전극층(110) 및 제2 전극층(90)은 서로 다른 도전 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제1 전극층(110)은 상술한 금속 또는 합금을 포함하며, 제2 전극층(90)은 상술한 투명 도전성 산화물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3은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안테나 패턴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3에서는 유전층 및 방사 패턴의 도시는 생략되었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1을 참조로 설명한 바와 같이, 그라운드 패드(140)는 상기 제2 방향으로 마주보는 돌출 바들(144) 및 제1 방향으로 연장하는 연결 바(142)에 의해 정의되는 리세스(150)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 패드(130)는 리세스(150)의 입구에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신호 패드(130)가 위치하는 상기 입구의 영역을 제외한 리세스(150)의 영역에 의해 이격 스페이스(155)(예를 들면, 도 3의 점선 사각형으로 표시된 영역)가 정의될 수 있다.
그라운드 패드(140)의 길이(D4)는 연결 바(142) 및 돌출 바(144) 사이의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최장 거리로 정의될 수 있다. 그라운드 패드(140)의 길이(D4)는 실질적으로 연결 바(142)의 길이(D1), 이격 스페이스(155)의 길이(D2) 및 신호 패드(130)의 길이(D3)의 합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연결 바(142)의 길이(D1)는 약 200㎛ 내지 3mm 범위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이격 스페이스(155)의 길이(D2)는 신호 패드(130)의 길이(D3) 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그라운드 패드(140)에 의한 자체 방사에 기인한 방사 패턴(120)의 급전, 신호 송수신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신호 패드(130)의 길이(D3)는 약 50 내지 700㎛ 범위일 수 있다. 이격 스페이스(155)의 길이(D2)는 약 200 내지 3mm이며, 바람직하게는 약 800㎛ 내지 3mm 범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이격 스페이스(155)의 길이(D2)는 신호 패드(130)의 길이 대비 약 1.1 내지 60배, 바람직하게는 2 내지 60배일 수 있다. 이 경우, 그라운드 패드(140)의 자체 방사를 방지하면서 신호 패드(130) 주변의 노이즈를 효과적으로 차폐 혹은 제거할 수 있다.
신호 패드(130)와의 단락을 방지하기 위해 그라운드 패드(140)의 돌출 바들(144) 사이의 거리(W1)는 신호 패드(130)의 너비(W2) 보다 클 수 있다. 돌출 바들(144) 사이의 거리(W1)는 이격 스페이스(155)의 너비(예를 들면, 제2 방향으로의 너비)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신호 패드(130)의 너비(W2)는 약 10 내지 500㎛일 수 있다. 돌출 바들(144) 사이의 거리(W1)는 약 20 내지 1500 ㎛일 수 있다.
돌출 바(144)는 그라운드 패드(140)의 저항 감소 및 노이즈 제거 효율을 위해 충분한 너비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돌출 바(144)의 너비(W3)(예를 들면, 제2 방향으로의 너비)는 약 5 내지 20mm 범위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그라운드 패드(140)의 길이 및 돌출 바(144)의 너비를 충분히 증가시켜 저항 감소를 통한 노이즈 제거 효과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리세스된 형상을 갖는 그라운드 패드(140) 설계를 통해 신호 패드(130) 주변을 차폐하면서 이격 스페이스(155)를 형성하여, 그라운드 패드(140)에 의한 방사 특성 간섭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노이즈 제거 특성 및 방사 신뢰성이 함께 향상된 필름 안테나가 구현될 수 있다.
도 4는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필름 안테나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전극층(110)(도 2 참조)은 메쉬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방사 패턴(120), 전송 선로(125), 신호 패드(130) 및 그라운드 패드(140)를 포함하는 안테나 패턴은 상기 메쉬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필름 안테나의 투과율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안테나 패턴 주변에는 더미 패턴(170)이 유전층(1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더미 패턴(170)은 상기 안테나 패턴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태의 메쉬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더미 패턴(170)으로 상기 안테나 패턴 주변의 전극 배열을 균일화하여 상기 메쉬 구조 또는 이에 포함된 전극 라인이 상기 필름 안테나가 적용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용자에게 시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쉬 금속 층이 유전층(100) 상에 형성되고, 상기 메쉬 금속 층이 상기 안테나 패턴의 테두리를 따라 절단되어 분리 영역(160)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더미 패턴(170)을 상기 안테나 패턴으로부터 전기적, 물리적으로 이격시킬 수 있다.
도 5는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필름 안테나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로 설명한 바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및/또는 구조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도 5를 참조하면, 한쌍의 그라운드 패드들(140a)이 신호 패드(130)를 사이에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그라운드 패드(140)에서 연결 바(142)가 생략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그라운드 패드(140a)는 신호 패드(130)를 사이에 두고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연장하는 바 패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격 스페이스(155)는 개방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이격 스페이스(155)의 길이는 그라운드 패드(140a)의 말단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으로 신호 패드(130)의 말단에 대응되는 위치까지의 수직 거리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이격 스페이스(155)의 길이는 그라운드 패드(140a)의 길이에서 신호 패드(130)의 길이를 차감한 값으로 실질적으로 정의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각각 비교예에 따른 안테나 패턴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평면도들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비교예에 있어서 유전층(200) 상에 신호 패드(230), 전송 선로(225) 및 방사 패턴(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다. 전송 선로(225)의 말단에 연결된 신호 패드(230)의 상기 제2 방향으로 양 측부에 인접하도록 한 쌍의 그라운드 패드들(240)이 배치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비교예에서는, 서로 독립된 섬(island) 패턴 형상의 한 쌍의 그라운드 패드들(240)이 신호 패드(230)를 사이에 두고 배치된다. 이 경우, 리세스된 형상의 그라운드 패드를 갖는 실시예들에 비해 충분한 노이즈 차폐 효과가 구현되기 어렵다.
도 7을 참조하면, 유전층(300) 상에 신호 패드(330), 전송 선로(325), 방사 패턴(미도시) 및 그라운드 패드(340)가 배치될 수 있다. 그라운드 패드(340)는 신호 패드(330)가 삽입되는 리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비교에서는, 신호 패드(330)가 그라운드 패드(340)의 연결 바(342)에 지나치게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신호 패드(330)의 길이(L2)가 신호 패드(330) 및 연결 바(342) 사이의 거리(L1) 보다 작을 수 있다.
도 7의 비교예의 경우, 충분한 이격 스페이스가 확보되지 않음에 따라 그라운드 패드(340)의 자체 방사에 따른 신호 패드(330) 및 방사 패턴에서의 급전, 방사 특성이 간섭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필름 안테나의 전체적인 게인(gain) 및 신호 효율이 감소될 수 있다.
그러나, 도 1 내지 5를 참조로 설명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이격 스페이스가 충분히 확보된 상태에서(예를 들면, 이격 스페이스의 길이가 신호 패드의 길이보다 더 크도록), 그라운드 패드의 길이 혹은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방사 패턴 및 신호 패드에서의 신뢰성을 저해하지 않으면서 노이즈 제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8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예를 들면, 도 8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윈도우를 포함하는 외부 형상을 도시하고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400)는 표시 영역(410) 및 주변 영역(420)을 포함할 수 있다. 주변 영역(420)은 예를 들면, 표시 영역(410)의 양 측부 및/또는 양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술한 필름 안테나는 디스플레이 장치(400)의 주변 영역(420)에 패치 형태로 삽입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필름 안테나의 방사 패턴(120) 및 제2 전극층(90)은 표시 영역(410)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주변 영역(420)은 예를 들면, 화상 표시 장치의 차광부 또는 베젤부에 해당될 수 있다. 주변 영역(420) 내에는 상기 필름 안테나의 구동 특성 및 방사 특성을 조절하고, 급전 신호 공급을 위한 집적 회로(IC) 칩이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IC 칩은 상기 필름 안테나의 신호 패드(130)를 통해 급전 신호를 공급할 수 있다. 이 경우, 신호 패드(130)를 주변 영역(420)에 인접하도록 배치함으로써, 신호 송수긴 경로를 단축시켜 신호 손실을 억제할 수 있다.
도 9는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안테나 패턴의 신호 성능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구체적으로, 실시예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디자인의 안테나 패턴을 사용하여 신호 성능이 측정되었다. 비교예 1은 도 6에 도시된 디자인의 안테나 패턴을 사용하여 신호 성능이 측정되었다. 비교예 2는 도 7에 도시된 디자인의 안테나 패턴을 사용하여 신호 성능이 측정되었다.
실시예 1
COP 유전층 상에 구리를 포함하는 안테나 패턴을 형성하였으며, 실시예 1에서 안테나 패턴 사이즈는 아래와 같다(도 3 참조).
신호 패드(130) 길이(D3): 0.7mm
신호 패드(130) 너비(W2): 10㎛ / 50㎛ / 100㎛ / 200㎛
전송 선로(125) 길이: 2mm
그라운드 패드의 패턴 너비(W1): 1.1mm
그라운드 패드의 패턴 너비(W3): 10mm
이격 스페이스 길이(D2): 980㎛
비교예 1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유전층 상에 구리를 포함하는 안테나 패턴을 형성하였다(도 5 참조).
실시예 1에서와 구체적으로 동일한 사이즈의 신호 패드(230)의 제2 방향으로의 양 측부에 100㎛*50㎛의 그라운드 패드가 배치되었다.
비교예 2
이격 스페이스의 길이가 20㎛ 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안테나 패턴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되었다.
도 8을 참조하면, 신호 패드의 너비를 증가시키면서(10㎛ / 50㎛ / 100㎛ / 200㎛) 안테나 패턴의 신호 성능(dB)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Network Analyzer에 포함된 제1 Port 와 제2 Port를 각각 연결하고 선로 손실을 S-Parameter를 이용하여 S21 값으로 측정하였다.
예를 들면, 100%의 입력으로 출력이 50% 이상을 확보하기 위한 S21은 아래 수식에 의해 약 -3dB 설정될 수 있다.
[수식] S21(dB) = 10 * Log (출력세기/입력세기)
비교예 1 대비 리세스된 그라운드 패드가 채용된 비교예 2에서 신호 성능이 소폭 증가하였으며, 실시예 1과 같이 이격 스페이스의 길이가 증가함에 따라 현저히 신호 성능이 증가하였다.
90: 제2 전극 층 100: 유전층
110: 제1 전극층 120: 방사 패턴
125: 전송 선로 130: 신호 패드
140: 그라운드 패드 142: 연결 바
144: 돌출 바 150: 리세스
155: 이격 스페이스

Claims (16)

  1. 유전층;
    상기 유전층의 상면 상에 배치되는 방사 패턴;
    상기 방사 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신호 패드; 및
    상기 신호 패드와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신호 패드의 길이보다 큰 길이를 갖는 이격 스페이스를 형성하는 그라운드 패드를 포함하는, 필름 안테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그라운드 패드는,
    상기 필름 안테나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며 상기 필름 안테나의 너비 방향으로 마주보는 한 쌍의 돌출 바들; 및
    상기 너비 방향으로 연장하며 상기 돌출 바들을 연결시키는 연결 바를 포함하는, 필름 안테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연결 바는 상기 돌출 바들의 일단부들과 연결되어 리세스를 정의하며,
    상기 신호 패드는 상기 리세스의 입구에 배치되는, 필름 안테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 중 상기 신호 패드가 배치된 상기 입구를 제외한 영역에 의해 상기 이격 스페이스가 정의되는, 필름 안테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이격 스페이스의 너비는 상기 돌출 바들 사이의 거리와 동일한, 필름 안테나.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방사 패턴 및 상기 신호 패드를 연결시키는 전송 선로를 더 포함하는, 필름 안테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신호 패드만이 상기 리세스의 입구에 삽입되며, 상기 전송 선로는 상기 리세스의 외부에 배치되는, 필름 안테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방사 패턴, 상기 전송 선로, 상기 신호 패드 및 상기 그라운드 패드는 상기 유전층의 상면 상에서 동일 레벨에 배치되는, 필름 안테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유전층의 저면 상에 배치되는 하부 그라운드 층을 더 포함하는, 필름 안테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그라운드 패드는 상기 신호 패드를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어 연장하는 한 쌍의 바 패턴들을 포함하는, 필름 안테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이격 스페이스의 길이는 상기 바 패턴의 길이에서 상기 신호 패드의 길이를 차감한 값을 갖는, 필름 안테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격 스페이스의 길이는 상기 신호 패드의 길이의 2 내지 300배인, 필름 안테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신호 패드의 길이는 50 내지 700㎛이며, 상기 이격 스페이스의 길이는 200㎛ 내지 3mm인, 필름 안테나.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사 패턴은 메쉬 구조를 포함하는 필름 안테나.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방사 패턴 주변에 배열되며 상기 방사 패턴의 메쉬 구조와 동일한 형태의 메쉬 구조를 포함하는 더미 패턴을 더 포함하는, 필름 안테나.
  16. 청구항 1 내지 15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필름 안테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80113445A 2018-03-14 2018-09-21 필름 안테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180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9/002929 WO2019177382A1 (ko) 2018-03-14 2019-03-14 안테나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N201980018839.9A CN111869007B (zh) 2018-03-14 2019-03-14 天线元件及包含其的显示装置
JP2020572363A JP2021516931A (ja) 2018-03-14 2019-03-14 アンテナ素子及びそれを含むディスプレイ装置
US17/019,527 US11710889B2 (en) 2018-03-14 2020-09-14 Antenna devic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029804 2018-03-14
KR1020180029804 2018-03-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8464A true KR20190108464A (ko) 2019-09-24
KR102518054B1 KR102518054B1 (ko) 2023-04-05

Family

ID=68068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3445A KR102518054B1 (ko) 2018-03-14 2018-09-21 필름 안테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710889B2 (ko)
JP (1) JP2021516931A (ko)
KR (1) KR102518054B1 (ko)
CN (1) CN111869007B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85688A1 (ko) * 2019-11-01 2021-05-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내장 안테나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CN112838359A (zh) * 2019-11-25 2021-05-25 东友精细化工有限公司 天线装置和显示装置
CN112993543A (zh) * 2019-12-13 2021-06-18 东友精细化工有限公司 天线装置和包括天线装置的显示装置
WO2021177717A1 (ko) * 2020-03-05 2021-09-10 동우화인켐 주식회사 안테나 패키지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KR20220091839A (ko) * 2020-12-24 2022-07-01 주식회사 애니알에프 밀리미터 웨이브 대역 이중 편파 위상 배열 안테나
KR20230077782A (ko) * 2021-11-25 2023-06-02 주식회사 유니크 위치 추적 장치
KR20230083139A (ko) * 2021-12-02 2023-06-09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안테나 구조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2821B1 (ko) * 2018-01-18 2019-07-31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필름 안테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33687B1 (ko) * 2019-04-19 2021-03-29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안테나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EP3984095A4 (en) * 2019-06-12 2023-06-2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TRANSPARENT ANTENNA STACK AND ARRANGEMENT
KR102576434B1 (ko) * 2019-08-22 2023-09-08 엘지전자 주식회사 투명 안테나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US11791535B2 (en) * 2020-09-28 2023-10-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Non-galvanic interconnect for planar RF devices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89578A (ja) * 2003-03-24 2004-10-14 Honda Tsushin Kogyo Co Ltd モバイルアンテナ
KR20080050267A (ko) * 2006-12-01 2008-06-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초광대역 안테나
KR20110071368A (ko) * 2009-12-21 2011-06-29 (주)파트론 광대역 패치 안테나를 이용한 다이버시티 안테나
KR20130095451A (ko) 2012-02-20 2013-08-28 주식회사 윈터치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백라이트 유닛에 일체화된 안테나 패턴을 갖는 터치 스크린 장치
JP2017175540A (ja) * 2016-03-25 2017-09-2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アンテナ
CN107453047A (zh) * 2016-05-06 2017-12-08 通用汽车环球科技运作有限责任公司 具有分段表面处理的双频带柔性天线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97072A (ja) * 2005-01-12 2006-07-27 Nagano Japan Radio Co フレキシブルアンテナ
JP4633605B2 (ja) * 2005-01-31 2011-02-16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アンテナ装置及び電子装置、並びに、電子カメラ、電子カメラの発光装置、並びに、周辺装置
KR100957645B1 (ko) 2007-07-19 2010-05-12 경성대학교 산학협력단 비방사마이크로스트립선로를 이용한 고효율 광대역카세그레인 안테나 및 급전피더구조
WO2009111839A1 (en) * 2008-03-14 2009-09-17 National Ict Australia Limited Integration of microstrip antenna with cmos transceiver
US20100134376A1 (en) * 2008-12-01 2010-06-03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Wideband rf 3d transitions
EP2320520B1 (en) * 2009-11-05 2015-12-16 Lg Electronics Inc. Portable terminal
KR101667714B1 (ko) 2010-03-11 2016-10-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JP2011160294A (ja) * 2010-02-02 2011-08-18 Sony Chemical & Information Device Corp アンテナ装置、及び、通信装置
CN110676574B (zh) * 2014-02-12 2021-01-29 华为终端有限公司 一种天线及移动终端
KR20160027446A (ko) * 2014-08-29 2016-03-10 (주) 네톰 Rfid 라벨 프린터용 루프 안테나 및 그 설치방법
KR20160080444A (ko) * 2014-12-29 2016-07-08 삼성전자주식회사 안테나 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
JP6505582B2 (ja) 2015-11-12 2019-04-24 株式会社フジクラ 共振器アンテナ装置
US10403954B2 (en) * 2017-12-30 2019-09-03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Printed circuit board with substrate-integrated waveguide transition
US11322840B2 (en) * 2020-09-18 2022-05-03 Apple Inc. Wireless devices having antennas for covering multiple frequency bands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89578A (ja) * 2003-03-24 2004-10-14 Honda Tsushin Kogyo Co Ltd モバイルアンテナ
KR20080050267A (ko) * 2006-12-01 2008-06-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초광대역 안테나
KR20110071368A (ko) * 2009-12-21 2011-06-29 (주)파트론 광대역 패치 안테나를 이용한 다이버시티 안테나
KR20130095451A (ko) 2012-02-20 2013-08-28 주식회사 윈터치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백라이트 유닛에 일체화된 안테나 패턴을 갖는 터치 스크린 장치
JP2017175540A (ja) * 2016-03-25 2017-09-2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アンテナ
CN107453047A (zh) * 2016-05-06 2017-12-08 通用汽车环球科技运作有限责任公司 具有分段表面处理的双频带柔性天线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85688A1 (ko) * 2019-11-01 2021-05-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내장 안테나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CN112838359A (zh) * 2019-11-25 2021-05-25 东友精细化工有限公司 天线装置和显示装置
CN112993543A (zh) * 2019-12-13 2021-06-18 东友精细化工有限公司 天线装置和包括天线装置的显示装置
WO2021177717A1 (ko) * 2020-03-05 2021-09-10 동우화인켐 주식회사 안테나 패키지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KR20220091839A (ko) * 2020-12-24 2022-07-01 주식회사 애니알에프 밀리미터 웨이브 대역 이중 편파 위상 배열 안테나
KR20230077782A (ko) * 2021-11-25 2023-06-02 주식회사 유니크 위치 추적 장치
KR20230083139A (ko) * 2021-12-02 2023-06-09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안테나 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869007A (zh) 2020-10-30
US20200411959A1 (en) 2020-12-31
US11710889B2 (en) 2023-07-25
CN111869007B (zh) 2023-10-27
KR102518054B1 (ko) 2023-04-05
JP2021516931A (ja) 2021-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18054B1 (ko) 필름 안테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194290B1 (ko) 안테나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158193B1 (ko) 필름 안테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N111615774A (zh) 薄膜天线和包括该薄膜天线的显示装置
KR20200005010A (ko) 안테나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27550B1 (ko) 필름 안테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US11424529B2 (en) Antenna structur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176860B1 (ko) 안테나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US11955704B2 (en) Antenna devic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200114669A (ko) 안테나 구조체
KR102396443B1 (ko) 안테나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KR102233690B1 (ko) 안테나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20099301A (ko) 안테나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14145B1 (ko) 안테나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10033190A (ko) 안테나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94269B1 (ko) 안테나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94259B1 (ko) 안테나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41964B1 (ko) 안테나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10064531A (ko) 안테나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10097342A (ko) 안테나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US20230006363A1 (en) Antenna structure and imag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210111621A (ko) 안테나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10109807A (ko) 안테나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10127390A (ko) 안테나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20099840A (ko) 안테나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