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8407A - 주방시스템 모듈 - Google Patents

주방시스템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8407A
KR20190108407A KR1020180029889A KR20180029889A KR20190108407A KR 20190108407 A KR20190108407 A KR 20190108407A KR 1020180029889 A KR1020180029889 A KR 1020180029889A KR 20180029889 A KR20180029889 A KR 20180029889A KR 20190108407 A KR20190108407 A KR 201901084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ystem module
kitchen system
cold
storag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98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금화
Original Assignee
(주)다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다켐 filed Critical (주)다켐
Priority to KR10201800298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08407A/ko
Publication of KR201901084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84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32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comprising living accommodation for people, e.g. caravans, camping, or like vehicles
    • B60P3/36Auxiliary arrangements; Arrangements of living accommodation; 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08Rang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55/00Gas separation
    • Y10S55/36Kitchen ho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주방시스템 모듈의 일 실시예는, 상하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1수납부; 상기 제1수납부 하부에 배치되는 제2수납부; 일측은 상기 제1수납부와 결합하고 타측은 상기 제2수납부와 결합하며, 상기 제1수납부의 상하이동을 지지하는 이동부; 및 상기 제1수납부와 연통되는 배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수납부가 상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이동부가 배치되는 상기 제1수납부의 하면과 상기 제2수납부 상면 사이에 작업공간이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Description

주방시스템 모듈{Kitchen system module}
실시예는, 캠핑카 등의 이동수단에 배치되는 주방시스템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최근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 여가생활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고 있다. 특히, 이러한 여가생활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면서, 캠핑과 같은 아웃도어 활동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캠핑의 경우, 편의시설을 갖춘 캠핑카 등의 이동수단을 사용하게 되면, 사용자는 편리하고 안락한 캠핑을 즐길 수 있다.
캠핑카 등의 이동수단에는 음식의 조리, 취사 등의 작업을 하기 위해 주방시스템이 구비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주방시스템은 조리, 취사를 위한 재료와 기구를 놓는 준비대, 재료와 용기를 세척하는 개수대, 재료를 썰거나 혼합하는 등 가열조리 전에 재료를 가공하는 조리대, 준비된 재료를 가열조리하는 가열대, 조리가 끝난 음식을 두는 배선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공간이 필요한 주방시스템은 사용자가 조리, 취사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넉넉한 공간을 가지도록 만드는 것이 적절하다. 그러나, 이동수단에 배치되는 주방시스템은 그 구조상 협소한 공간에 마련되므로, 이러한 협소한 공간에 주방시스템이 구비됨과 동시에 사용자의 편의를 위한 충분한 공간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한편, 이동수단에 배치되는 주방시스템은 가열장치는, 가정 또는 식당에 구비되는 가열장치와는 달리, 에너지원을 용이하게 구할 수 없는 경우가 많으므로 에너지효율이 높게 구비되는 것이 적절하다.
따라서, 실시예는, 공간활용도 및 에너지효율이 향상된 주방시스템 모듈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주방시스템 모듈의 일 실시예는, 상하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1수납부; 상기 제1수납부 하부에 배치되는 제2수납부; 일측은 상기 제1수납부와 결합하고 타측은 상기 제2수납부와 결합하며, 상기 제1수납부의 상하이동을 지지하는 이동부; 및 상기 제1수납부와 연통되는 배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수납부가 상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이동부가 배치되는 상기 제1수납부의 하면과 상기 제2수납부 상면 사이에 작업공간이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이동부는, 봉형상으로 형성되고 복수로 구비되며, 각각 상기 제1수납부 및 상기 제2수납부의 모서리에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주방시스템 모듈의 일 실시예는, 상기 제1수납부는 온수기를 수납하고, 상기 배기부로부터 상기 온수기로 열전달되도록 상기 배기부는 상기 온수기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배기부는, 상기 온수기를 관통하여 배치되는 열전달튜브; 일단이 상기 열전달튜브와 연통되고, 길이가 가변하는 플렉시블배관(flexible pipe); 및 상기 플렉시블배관의 타측에 결합하고, 외부로 노출되는 배기구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수납부는, 수납되는 전자레인지; 제1수납장; 하단에 장착되는 조명장치; 상기 열전달튜브와 연통되며 가열된 기체가 유입되는 후드; 및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1수납부의 적어도 일부를 개폐하는 도어(door)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온수기는 전기가열부를 구비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2수납부는, 급수부; 상기 급수부 및 상기 온수기와 연결되는 냉온수전; 상기 냉온수전으로부터 물이 유입되고 배출구가 형성되는 싱크볼; 및 상기 배출구와 연통되는 배수통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2수납부는, 제2수납장; 수납되는 가스저장장치; 상단에 배치되는 가열장치;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수납부의 상단 면적을 연장하는 제1플레이트; 및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싱크볼 및 상기 가열장치를 개폐하는 제2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가열장치는, 인덕션히터 또는 가스레인지로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급수부는, 급수구와 청소구를 구비하는 급수통; 및 상기 급수통과 연결되고, 상기 냉온수전 및 상기 온수기로 급수를 펌핑하는 펌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온수기는 상기 냉온수전과 연결되고, 상기 온수기로부터 배출되는 온수는 상기 냉온수전으로 유입되어 상기 냉온수전에 유입되는 냉수와 혼합되는 것일 수 있다.
주방시스템 모듈은 매우 높은 공간활용도를 가질 수 있다.
실시예에서 플렉시블배관이 구비됨으로써, 제1수납부 또는 루프가 상하이동하는 경우에도 제1수납부와 배기부의 연통이 유지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배기부가 온수기를 관통하도록 구비됨으로써 배기부를 통과하는 조리, 취사 작업시 가열된 기체는 온수기에 유입되는 급수를 가열할 수 있으므로, 주방시스템 모듈은 열효율 및 에너지효율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의 주방시스템 모듈을 나타낸 측면 단면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의 주방시스템 모듈을 나타낸 정면 단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의 주방시스템 모듈을 나타낸 평면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제1수납부의 이동과 이에 따른 이동부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4의 측면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의 주방시스템 모듈에서 급수 및 배수를 설명하기 위한 계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실시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실시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또한,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고,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element의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는 두개의 element가 서로 직접(directly)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element가 상기 두 element사이에 배치되어(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element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이용되는 "상/상부/위" 및 "하/하부/아래" 등과 같은 관계적 용어들은, 그런 실체 또는 요소들 간의 어떠한 물리적 또는 논리적 관계 또는 순서를 반드시 요구하거나 내포하지는 않으면서, 어느 한 실체 또는 요소를 다른 실체 또는 요소와 구별하기 위해서 이용될 수도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의 주방시스템 모듈을 나타낸 측면 단면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의 주방시스템 모듈을 나타낸 정면 단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의 주방시스템 모듈을 나타낸 평면 단면도이다.
실시예의 주방시스템 모듈은 예를 들어 캠핑카 등의 이동수단에 설치되어 이동할 수 있다. 실시예의 주방시스템 모듈은 이동수단에 설치되므로 좁은 공간에 설치되고,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 적절하다.
실시예의 주방시스템 모듈은 제1수납부(100), 제2수납부(200), 이동부(300) 및 배기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수납부(100)는 상하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주방시스템 모듈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제1수납부(100)는 하강하여 도 4에 도시된 상태가 됨으로써 주방시스템 모듈이 설치되는 공간의 체적을 줄일 수 있다.
주방시스템 모듈을 사용하여 취사, 조리 등의 작업을 하는 경우, 이동부(300)의 작동에 의해 제1수납부(100)는 다시 상승하고, 제1수납부(100)와 제2수납부(200) 사이에 사용자가 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작업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루프(10)가 상승 또는 하강하는 팝업형태로 구비되는 이동수단에 주방시스템 모듈이 설치되면, 제1수납부(100)가 하강하고 루프(10)도 하강한 상태에서 이동수단은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이동수단이 정지한 상태에서 취사, 조리 등의 작업을 하는 경우, 루프(10)가 먼저 상승하고 제1수납부(100)가 상승하여 상기 작업공간이 형성되므로, 주방시스템 모듈은 매우 높은 공간활용도를 가질 수 있다.
제2수납부(200)는 상기 제1수납부(100) 하부에 배치되고, 제1수납부(100)와는 달리, 상하이동하지 않고 고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동부(300)는 일측은 상기 제1수납부(100)와 결합하고 타측은 상기 제2수납부(200)와 결합하며, 상기 제1수납부(100)의 상하이동을 지지할 수 있다. 제1수납부(100)의 이동은 사용자가 수동으로 힘을 가하여 이동시키거나, 다른 예로 전동기 등의 구동수단을 이용하여 이동부(300)를 이동시킴으로써 가능하다.
배기부(400)는 상기 제1수납부(100)와 연통되고, 취사, 조리시 발생하는 기체는 배기부(400)를 통해 외부로 배기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이동부(300)가 작동하여 상기 제1수납부(100)가 상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이동부(300)가 배치되는 상기 제1수납부(100)의 하면과 상기 제2수납부(200) 상면 사이에 작업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작업공간은 제1수납부(100)가 하강하고 이동부(300)가 눕게되면 사라지고, 주방시스템 모듈이 차지하는 공간은 현저히 줄어들 수 있다.
배기부(400)는 열전달튜브(410), 플렉시블배관(420)(flexible pipe) 및 배기구(430)를 포함할 수 있다. 열전달튜브(410)는 상기 온수기(110)를 관통하여 배치되고, 후드(150)를 통해 유입되는 가열된 기체는 열전달튜브(410)를 통과하고, 가열된 기체로부터 열전달튜브(410)를 통해 전달되는 열에 의해 온수기(110)에 유입되는 급수는 가열될 수 있다.
플렉시블배관(420)은 일단이 상기 열전달튜브(410)와 연통되고 타단이 배기구(430)와 연통되며, 길이가 가변할 수 있다. 배기구(430)는 상기 플렉시블배관(420)의 타측에 결합하고, 외부로 노출되어, 열전달튜브(410) 및 플렉시블배관(420)을 통과한 기체가 외부로 배기될 수 있다.
배기구(430)는 루프(10)에 고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고, 따라서 제1수납부(100)가 상하이동하거나 팝업형태의 루프(10)가 상하이동하는 경우, 배기구(430)에 결합하는 플렉시블배관(420)이 길이방향으로 연장 또는 신축되어 열전달튜브(410)와 배기구(430) 간 연통을 유지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플렉시블배관(420)이 구비됨으로써, 제1수납부(100) 또는 루프(10)가 상하이동하는 경우에도 제1수납부(100)와 배기부(400)의 연통이 유지될 수 있다.
제1수납부(100)는 온수기(110), 전자레인지(120), 제1수납장(130), 조명장치(140), 후드(150) 및 도어(160)(door)를 포함할 수 있다.
온수기(110)는 제1수납부(100)에 수납되어 배치되고, 취사, 조리시 발생하는 기체의 열에 의해 상기 온수기(110)가 급수를 가열할 수 있도록, 상기 온수기(110)는 배기부(400)가 관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배기부(400)가 온수기(110)를 관통하도록 구비됨으로써 배기부(400)를 통과하는 조리, 취사 작업시 가열된 기체는 온수기(110)에 유입되는 급수를 가열할 수 있으므로, 주방시스템 모듈은 열효율 및 에너지효율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온수기(110)는 별도의 전기가열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는 조리, 취사가 진행되기 전이거나 또는 식재료 등을 가열하지 않는 조리를 진행하는 경우 등, 가열된 기체를 얻을 수 없거나, 가열된 기체가 충분한 열을 함유하지 않는 경우 등에 대비하여 예비적, 보조적으로 급수를 가열할 열원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전자레인지(120)는 제1수납부(100)에 수납되어 외부전원에 의해 작동하며, 제1수납장(130)은 취사, 조리에 필요한 식재료, 기구 등이 수납될 수 있다.
조명장치(140)는 제1수납부(100) 하단에 장착되어, 사용자가 취사, 조리작업을 하는 경우 작업공간에 조명을 제공할 수 있다. 후드(150)는 상기 열전달튜브(410)와 연통되며, 취사, 조리시 발생하는 가열된 기체가 유입될 수 있다.
후드(150)는 조리, 취사 작업시 발생하는 기체를 외부로 배기하여, 취사공간에서 발생하는 수증기, 연기, 냄새 등을 없애기 위해 설치된다. 이때, 조리, 취사 작업시 발생하는 가열된 기체는 후드(150)를 통해 열전달튜브(410)를 통과함으로써, 내부에 상기 열전달튜브(410)가 통과하는 온수기(110)에 유입되는 급수를 가열할 수 있다.
도어(160)는 제1수납부(100)의 전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1수납부(100)의 적어도 일부를 개폐할 수 있다. 상기 도어(160)는 제1수납부(100)에 구비되는 전자레인지(120), 제1수납장(130), 온수기(110) 등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별도로 복수로 구비될 수도 있다.
제2수납부(200)는 외부전원에 의해 작동하는 전기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선이 배치되는 전선인입구(201)(도 6 참조)가 구비될 수 있고, 급수부(210), 냉온수전(220), 싱크볼(230), 배수통(240), 제2수납장(250), 가스저장장치(260), 가열장치(270), 제1플레이트(280) 및 제2플레이트(290)를 포함할 수 있다.
급수부(210)는 주방시스템 모듈에 조리, 취사 작업에 필요한 음용 가능한 급수를 공급하고, 급수통(211) 및 펌프(212)를 포함할 수 있다.
급수통(211)은 외부의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급수를 저장하고, 펌프(212)는 급수통(211)에 저장된 급수를 펌핑하여 냉온수전(220) 및 온수기(110)로 공급할 수 있다. 급수부(210)에 대해서는 도 7을 참조하여 하기에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냉온수전(220)은 상기 급수부(210)와 연결되어 급수부(210)로부터 냉수를 공급받고, 또한 상기 온수기(110)와 연결되어 상기 온수기(110)로부터 온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급수부(210)로부터 배출되는 냉수와 온수기(110)에서 가열되어 배출되는 온수는 냉온수전(220)에서 혼합되어, 사용자가 취급하기에 적절한 온도의 급수가 될 수 있다. 사용자가 냉온수전(220)에서 배출되는 급수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냉온수전(220)은 유입되는 온수와 냉수의 유량비율 및 각각의 유량을 조절하는 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냉온수전(220)으로부터 배출되는 급수는, 상기한 바와 같이, 수온 및 유량이 조절된 상태로 싱크볼(230)로 유입되고, 사용자는 싱크볼(230)에서 이러한 급수를 사용할 수 있다.
싱크볼(230)은 상기 냉온수전(220)으로부터 물이 유입되고 배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냉온수전(220)으로부터 배출되는 급수를 사용하여 싱크볼(230)에서 식재료를 씻거나 다듬는 등의 조리, 취사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배수통(240)은 싱크볼(230)의 하부에 설치되는 상기 배출구와 연통되고, 따라서 싱크볼(230)에서 상기 배출구로 배출되는 하수는 상기 배수통(240)에 모이게 된다.
실시예의 주방시스템 모듈은 캠핑카 등의 이동수단에 구비되므로, 별도의 배수통(240)을 구비하여 여기에 상기 하수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추후에 배수통(240)을 비움으로써, 상기 하수를 처리하게 된다.
제2수납장(250)은 제2수납부(200)의 적절한 위치에 적절한 공간을 가지도록 배치되고, 취사, 조리에 필요한 식재료, 기구 등이 수납될 수 있다.
가스저장장치(260)는 제2수납부(200)에 수납될 수 있고, 주방시스템 모듈에서 가스연소식 가열기구 예를 들어, 하기의 가스레인지에 사용되는 가스를 저장할 수 있다.
가열장치(270)는 제2수납부(200)의 상단에 배치되고, 사용자는 상기 작업공간에서 조리, 취사를 위해 물, 식재료 등을 가열하는 등의 작업에 상기 가열장치(270)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열장치(270)는, 예를 들어, 인덕션히터 또는 가스레인지로 구비될 수 있다. 가열장치(270)로 가스레인지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가열장치(270)는 상기 가스저장장치(260)로부터 가스를 공급받을 수 있다. 가열장치(270)로 인덕션히터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가열장치(270)는 외부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제1플레이트(280)는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수납부(200)의 상단 면적을 연장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제1플레이트(280)를 사용하는 경우 제2수납부(200)의 상단면과 대체로 평행하도록 제1플레이트(280)를 펼치고, 상기 제1플레이트(28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제2수납부(200)의 상단면과 대체로 수직하도록 제1플레이트(280)를 접을 수 있다.
즉, 주방시스템 모듈을 사용하여 조리, 취사를 하는 경우, 제1플레이트(280)를 펼쳐서 제2수납부(200)의 상단 면적을 연장하여 작업면적 및 작업공간을 확장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제1플레이트(280)은 예를 들어, 준비대, 조리대, 배선대 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조리, 취사를 하지 않는 경우, 제1플레이트(280)를 접어서 제2수납부(200)가 차지하는 공간을 줄임으로써, 주방시스템 모듈의 공간효율을 높일 수 있다.
제2플레이트(290)는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싱크볼(230) 및 상기 가열장치(270)를 개폐할 수 있다. 제2플레이트(290)는 싱크볼(230) 및 가열장치(270) 각각에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로 구비될 수도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싱크볼(230) 또는 가열장치(270)를 사용하는 경우 제2플레이트(290)를 제2수납부(200)의 상단면과 대체로 수직하도록 펼쳐서 싱크볼(230) 또는 가열장치(270)를 개방할 수 있다.
또한, 싱크볼(230) 또는 가열장치(27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제2플레이트(290)를 제2수납부(200)의 상단면과 대체로 평행하도록 접어서 싱크볼(230) 또는 가열장치(270)를 폐쇄할 수 있다. 제2플레이트(290)를 접는 경우, 제1플레이트(280) 상단에서 싱크볼(230) 또는 가열장치(270)를 사용하지 않는 다른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제1수납부(100)의 이동과 이에 따른 이동부(300)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4의 측면도이다. 이동부(300)는, 도 1,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봉형상으로 형성되고 복수로 구비되며, 각각 상기 제1수납부(100) 및 상기 제2수납부(200)의 모서리에 배치될 수 있다.
이동부(300)는 예를 들어, 실린더와 피스톤이 결합한 형태로 구비되어 길이방향으로 늘어나거나 줄어들 수 있고, 양단이 각각 제1수납부(100)의 하면과 제2수납부(200) 상면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도 4를 참조하면, 제1수납부(100)가 하강한 경우 이동부(300)는 길이방향이 대략 수평한 방향으로 누워 작업공간이 없어지고 주방시스템 모듈이 차지하는 체적을 줄일 수 있다.
반대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1수납부(100)가 상승한 경우 이동부(300)는 길이방향이 대략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작업공간이 형성되고, 사용자는 작업공간에서 취사, 조리 등의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한편, 플렉시블배관(420)은 길이방향으로 용이하게 연장 또는 신축되고, 이러한 연장 또는 신축되더라도 파손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적절하다.
도 7은 일 실시예의 주방시스템 모듈에서 급수 및 배수를 설명하기 위한 계통도이다. 먼저, 급수부(210)의 구조를 설명한다. 상기 급수부(210)는 급수통(211) 및 펌프(212)를 포함할 수 있다.
급수통(211)은 외부의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급수를 저장하고, 급수구(211a)와 청소구(211b)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급수구(211a)는 급수통(211)의 상부에 구비되며 외부급수원과 호스 등을 통해 연결되고, 급수구(211a)를 통해 급수통(211)은 음용 가능한 급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청소구(211b)는 급수통(211)의 하부에 구비되며, 급수통(211)의 내부를 청소하기위해 급수통(211)에 저장된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통로역할을 할 수 있다.
청소구(211b)에는 밸브가 구비될 수 있다. 급수통(211)에 급수를 저장하는 경우 밸브를 폐쇄한다. 급수통(211)의 청소시 밸브를 개방하여 급수통(211)에 남아있는 급수와 상기 급수에 함유된 이물질을 청소구(211b)를 통해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실시예의 주방시스템 모듈은 캠핑카 등의 이동수단에 구비되므로, 별도의 급수통(211)을 구비하여 여기에 급수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여기에 음용 가능한 급수를 일시적으로 저장하였다가 상기 급수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급수통(211)은 펌프(212)와 연결될 수 있다. 펌프(212)는 상기 급수통(211)과 연결되고, 상기 냉온수전(220) 및 상기 온수기(110)로 급수를 펌핑할 수 있다.
따라서, 급수통(211)으로부터 배출되는 급수는 펌프(212)를 통해 냉온수전(220) 및 온수기(110)로 유입될 수 있다. 펌프(212)로부터 펌핑되는 급수는 상온의 냉수인 상태로 일부는 냉온수전(220)으로 유입되고, 일부는 온수기(110)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온수기(110)는 상기 냉온수전(220)과 연결되고, 상기 온수기(110)로부터 배출되는 온수는 상기 냉온수전(220)으로 유입되어 상기 냉온수전(220)에 유입되는 냉수와 혼합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수기(110)의 입구측은 펌프(212)와 냉온수전(220) 사이의 연결배관과 연결되고, 출구측은 냉온수전(220)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온수기(110)로 유입되는 급수는 가열되어 온수기(110)로부터 배출되어 냉온수전(220)으로 유입될 수 있다.
냉온수전(220)에서는 펌프(212)로부터 펌핑되어 바로 유입되는 냉수와 온수기(110)로부터 가열되어 유입되는 온수를 적절히 혼합하여 사용자가 사용하기에 편리한 온도 및 유량의 급수를 배출할 수 있다.
사용자는 냉온수전(220)으로부터 싱크볼(230)로 유입되는 급수를 사용하여 싱크볼(230)에서 조리, 취사에 필요한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싱크볼(230)로부터 배출되는 하수는 상기 싱크볼(230)과 연결되는 배수통(240)으로 유입되어 저장될 수 있다.
물론, 배수통(240)에 저장된 하수는 적절한 시기에 적절한 방법으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의 주방시스템 모듈은 전기기구가 구비되므로, 상기 전기기구를 를 작동시키기 위한 외부전원이 필요하다. 이러한 외부전원으로 활용하기 용이한 장치로 예를 들어 차량배터리 등이 있다.
그러나, 차량배터리는 직류전원이므로, 주방시스템 모듈에서 교류전원을 사용하는 전기기구 경우, 차량배터리와 전기기구를 직접 연결하여 사용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실시예의 주방시스템 모듈의 경우, 예를 들어 후드(150), 펌프(212), 온수기(110), 조명장치(140) 등은 직류전력을 공급받아 작동하고, 전자레인지(120), 인덕션히터로 된 가열장치(270)는 교류전력을 공급받아 작동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의 주방시스템 모듈에는 직류전력을 교류전력으로 변환하거나, 그 반대로 변환하는 인버터(inverter)가 구비되는 것이 적절하다. 상기 인버터는 외부전원과 상기 전기기구 사이에 배치되어 예를 들어, 직류의 외부전원으로부터 오는 직류전력을 교류전력으로 변환하여 상기 전기기구에 공급하거나, 그 반대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실시예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몇 가지만을 기술하였지만,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실시가 가능하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의 기술적 내용들은 서로 양립할 수 없는 기술이 아닌 이상은 다양한 형태로 조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새로운 실시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100: 제1수납부
110: 온수기
120: 전자레인지
130: 제1수납장
140: 조명장치
150: 후드
160: 도어
200: 제2수납부
210: 급수부
220: 냉온수전
230: 싱크볼
240: 배수통
250: 제2수납장
260: 가스저장장치
270: 가열장치
280: 제1플레이트
290: 제2플레이트
300: 이동부
400: 배기부
410: 열전달튜브
420: 플렉시블배관
430: 배기구

Claims (11)

  1. 상하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1수납부;
    상기 제1수납부 하부에 배치되는 제2수납부;
    일측은 상기 제1수납부와 결합하고 타측은 상기 제2수납부와 결합하며, 상기 제1수납부의 상하이동을 지지하는 이동부; 및
    상기 제1수납부와 연통되는 배기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수납부가 상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이동부가 배치되는 상기 제1수납부의 하면과 상기 제2수납부 상면 사이에 작업공간이 형성되는 주방시스템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봉형상으로 형성되고 복수로 구비되며, 각각 상기 제1수납부 및 상기 제2수납부의 모서리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시스템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납부는 온수기를 수납하고,
    상기 배기부로부터 상기 온수기로 열전달되도록 상기 배기부는 상기 온수기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시스템 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부는,
    상기 온수기를 관통하여 배치되는 열전달튜브;
    일단이 상기 열전달튜브와 연통되고, 길이가 가변하는 플렉시블배관(flexible pipe); 및
    상기 플렉시블배관의 타측에 결합하고, 외부로 노출되는 배기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시스템 모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납부는,
    수납되는 전자레인지;
    제1수납장;
    하단에 장착되는 조명장치;
    상기 열전달튜브와 연통되며 가열된 기체가 유입되는 후드; 및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1수납부의 적어도 일부를 개폐하는 도어(door)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시스템 모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기는 전기가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시스템 모듈.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납부는,
    급수부;
    상기 급수부 및 상기 온수기와 연결되는 냉온수전;
    상기 냉온수전으로부터 물이 유입되고 배출구가 형성되는 싱크볼; 및
    상기 배출구와 연통되는 배수통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시스템 모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납부는,
    제2수납장;
    수납되는 가스저장장치;
    상단에 배치되는 가열장치;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수납부의 상단 면적을 연장하는 제1플레이트; 및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싱크볼 및 상기 가열장치를 개폐하는 제2플레이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시스템 모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장치는,
    인덕션히터 또는 가스레인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시스템 모듈.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부는,
    급수구와 청소구를 구비하는 급수통; 및
    상기 급수통과 연결되고, 상기 냉온수전 및 상기 온수기로 급수를 펌핑하는 펌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시스템 모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기는 상기 냉온수전과 연결되고, 상기 온수기로부터 배출되는 온수는 상기 냉온수전으로 유입되어 상기 냉온수전에 유입되는 냉수와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시스템 모듈.
KR1020180029889A 2018-03-14 2018-03-14 주방시스템 모듈 KR201901084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9889A KR20190108407A (ko) 2018-03-14 2018-03-14 주방시스템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9889A KR20190108407A (ko) 2018-03-14 2018-03-14 주방시스템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8407A true KR20190108407A (ko) 2019-09-24

Family

ID=68068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9889A KR20190108407A (ko) 2018-03-14 2018-03-14 주방시스템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0840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397005B (zh) 一种具有快速卸压功能的电压力锅
CN100478618C (zh) 高频烹调设备
CN105455623A (zh) 水槽蒸箱一体机
WO2012032460A1 (en) Multipurpose household appliance
CN108652545A (zh) 一种洗碗机、电饭煲及其组合
KR20190108407A (ko) 주방시스템 모듈
CN205306740U (zh) 水槽蒸箱一体机
CN209391665U (zh) 一种滑动式电饭煲结构
CN105433610A (zh) 一种折叠式橱柜
CN208339363U (zh) 炊具
CN109276053A (zh) 一种具备烘干功能的厨用设备
CN109247811A (zh) 一种能智能控制燃气供应的炒菜机
CN206687628U (zh) 一种烤箱
CN201492273U (zh) 多功能汤粥煲
CN204541732U (zh) 一种煮饭装置
CN211902996U (zh) 一种新型节能型炉灶
CN107374342A (zh) 煮面机及煮面设备
CN210631065U (zh) 一种家用蒸烤箱
CN215190852U (zh) 一种流动厨房装置
CN211093316U (zh) 一种带有零食售卖柜的炒饭机
CN2419485Y (zh) 多功能余热利用节能炉灶
CN109247810A (zh) 一种具备供暖功能的厨用设备
CN219699345U (zh) 一种智能餐桌
CN208837624U (zh) 电水壶
CN209341304U (zh) 一种可移动的集中式一体化烹饪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