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8082A - 냉간단조 프레스 장비의 클러치/브레이크를 위한 마찰판 - Google Patents

냉간단조 프레스 장비의 클러치/브레이크를 위한 마찰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8082A
KR20190108082A KR1020190074932A KR20190074932A KR20190108082A KR 20190108082 A KR20190108082 A KR 20190108082A KR 1020190074932 A KR1020190074932 A KR 1020190074932A KR 20190074932 A KR20190074932 A KR 20190074932A KR 20190108082 A KR20190108082 A KR 201901080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iction
friction member
clutch
sintering
br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49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7360B1 (ko
Inventor
조주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앤에이취프레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앤에이취프레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앤에이취프레스
Priority to KR10201900749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7360B1/ko
Publication of KR201901080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80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73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73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9/00Friction linings; Attachment thereof; Selection of coacting friction substances or surfaces
    • F16D69/02Composition of linings ; Methods of manufacturing
    • F16D69/027Compositions based on metals or inorganic ox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13/00Details of machines for forging, pressing, or hammering
    • B21J13/08Accessories for handling work or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냉간단조 프레스 장비의 클러치/브레이크를 위한 마찰판 및 이의 제조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간단조 프레스 장비의 클러치/브레이크를 위한 마찰판은 테두리 부분을 따라 복수의 치차가 구비되고, 링 형상으로 형성된 모재; 상기 모재의 양면에 미리 정해진 마찰계수를 갖는 혼합분말이 소결되어 형성된 마찰 부재; 및 상기 마찰 부재 상에 형성되고, 원주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오일홈;을 포함하고, 상기 마찰 부재는 미리 정해진 패턴에 따라 형성된 복수의 서브 마찰 부재와 복수의 미소결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서브 마찰 부재와 상기 복수의 미소결 영역은 교번하여 배치되며, 상기 오일홈은 상기 마찰 부재의 폭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마찰 부재의 내측으로 연결되어 상기 마찰 부재의 중심으로부터 방사상 방향으로 형성된 제1 오일홈과, 상기 마찰 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오일홈과 연결된 제2 오일홈이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냉간단조 프레스 장비의 클러치/브레이크를 위한 마찰판{FRICTION PLATE FOR BRAKE/CLUTCH OF COLD FORGING PRESS APPARATUS}
본 발명은 냉간단조 프레스 장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냉간단조 프레스 장비의 클러치/브레이크를 위한 마찰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단조 산업은 자동차, 기계 공업, 철도 차량, 건설중장비, 항공 및 방위 산업, 조선, 수공구 제품에 이르기까지 거의 모든 산업의 핵심 부품으로 구성되는 소형재를 생산하는 기반 산업을 일컫는다.
단조는 금속재료에 압축하중을 가하여 성형하는 가공법으로 가장 오래된 금속 가공 공정의 하나이다. 대부분의 단조는 금형세트, 단조용 프레스나 기계 해머와 관련 설비를 사용하여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항공기의 착륙용 기어나 제트엔진의 부품 그리고 자동차용 부품 중에서도 각종의 스핀들, 캡, 특수기어, 크랭크축 등의 샤프트류와, 커넥팅 로드 등의 로드류 등에 신뢰성 있게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단조 산업은 단위 생산성의 증대, 에너지 절감, 투입 소재 감소, 인력 절감 등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으며, 이를 위해 단조 프레스 장비를 적용하는 추세이다.
등록특허공보 제10-0852998호, 공고일자 2008년08월19일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모재의 양면에 미리 정해진 마찰 계수를 갖는 분말을 도포하여 소결시켜 마찰 부재를 형성하고, 형성된 마찰 부재의 표면에 복수의 오일 홈을 형성하도록 한, 냉간단조 프레스 장비의 클러치/브레이크를 위한 마찰판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목적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한 관점에 따른 냉간단조 프레스 장비의 클러치/브레이크를 위한 마찰판은 테두리 부분을 따라 복수의 치차가 구비되고, 링 형상으로 형성된 모재; 상기 모재의 양면에 미리 정해진 마찰계수를 갖는 혼합분말이 소결되어 형성된 마찰 부재; 및 상기 마찰 부재 상에 형성되고, 원주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오일홈;을 포함하고, 상기 마찰 부재는 미리 정해진 패턴에 따라 형성된 복수의 서브 마찰 부재와 복수의 미소결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서브 마찰 부재와 상기 복수의 미소결 영역은 교번하여 배치되며, 상기 오일홈은 상기 마찰 부재의 폭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마찰 부재의 내측으로 연결되어 상기 마찰 부재의 중심으로부터 방사상 방향으로 형성된 제1 오일홈과, 상기 마찰 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오일홈과 연결된 제2 오일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리 정해진 마찰계수는 0.110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찰 부재는 미리 정해진 패턴에 따라 형성된 복수의 서브 마찰 부재와 복수의 미소결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서브 마찰 부재와 상기 복수의 미소결 영역은 교번하여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미소결 영역은 마찰력에 의한 상기 복수의 서브 마찰 부재의 밀림을 방지하도록 소정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서브 마찰 부재 각각은 외측 테두리와 내측 테두리가 원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오일 홈은 상기 혼합분말의 소결이 완료된 후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혼합 분말의 소결 시 상기 혼합 분말이 도포된 모재를 소결 지그에 배치시키고, 소결로를 이용하여 상기 도포된 혼합 분말을 소결시킬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모재의 양면에 미리 정해진 마찰 계수를 갖는 혼합 분말을 도포 후 소결시켜 마찰 부재를 형성하고, 형성된 마찰 부재의 표면에 복수의 오일 홈을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마찰판의 마찰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마찰력이 향상된 마찰판을 냉간단조 프레스 장비의 클러치/브레이크에 적용하기 때문에, 냉간단조 프레스 장비를 안정적으로 운영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 효과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간단조 프레스 장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러치/브레이크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찰판의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찰판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d는 마찰판의 제조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냉간단조 프레스 장비의 클러치/브레이크를 위한 마찰판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모재의 양면에 미리 정해진 마찰 계수를 갖는 분말을 도포하여 소결시켜 마찰 부재를 형성하고, 형성된 마찰 부재의 표면에 복수의 오일 홈을 형성하도록 한, 새로운 마찰판 구조를 제안한다.
도 1a 내지 도 1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간단조 프레스 장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a 내지 도 1d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간단조 프레스 장비는 베드(bed)(100), 프레임(frame)(200), 크랭크 축(crankshaft)(300), 커넥팅 로드(connecting load)(400), 슬라이드(slide)(500), 플라이휠(flywheel)(600), 클러치(clutch)(700), 브레이크(brake)(8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는 크랭크 축(300)에 연결되어, 크랭크 축(300)을 회전시키기 위한 플라이휠(600), 클러치(700), 브레이크(800)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프레임(200)은 주축대가 되는 베드(100)와 결합되어 전체적인 틀을 형성할 수 있다. 크랭크 축(300)은 프레임(200)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크랭크 축(300)은 굽힘 및 비틀림 하중을 받는 조건에서 작동되기 때문에 높은 강도가 요구된다.
커넥팅 로드(400)는 크랭크 축(300)에 연결되어 편심 회전 운동을 수행하여 크랭크 축(300)의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경시킬 수 있다. 슬라이드(500)는 커넥팅 로드(400)의 하단에 결합되어 커넥팅 로드(400)의 편심 회전 운동에 따라 상하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플라이휠(600)은 크랭크 축(300)의 일측에 결합될 수 있다. 클러치(700)는 플라이휠(600)의 일측에 설치되어 플라이휠(600)과 크랭크 축(300) 사이에서 크랭크 축(300)의 회전 운동을 연결하거나 끊어줄 수 있다. 브레이크(800)는 플라이휠(600)의 일측에 설치되어 크랭크 축(300)의 회전을 정지시킬 수 있다.
도 1b 내지 도 1c를 참조하면, 크랭크 축과 플라이휠(600) 사이에 설치된 클러치(700)와 브레이크(800)의 구성을 보여주고 있다. 클러치(700)는 크랭크 축에 접촉되는 클러치 허브(710), 마찰부(720), 클러치 링기어(730)를 포함하고, 브레이크(800)는 크랭크 축에 접촉되는 브레이크 허브(810), 마찰부(820), 브레이크 링기어(8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마찰부(720, 820) 각각은 복수의 마찰판(721, 821)과 복수의 내경판(722, 822)이 교대로 배치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클러치에 6개의 마찰판이 사용되는 경우 6개의 마찰판 사이에 5개의 내경판이 배치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러치/브레이크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모터(10)에 의해 발생된 동력이 플라이휠(600)을 회전시키면, 플라이휠(600)은 모터가 작동되는 동안 회전하며 동력의 연결을 단속해주는 클러치(700)와 브레이크(800)에 의해 내장된 마찰부를 압축 공기에 의해 작동시켜 플라이휠(600)의 동력이 단속되어 크랭크 축(300)을 구동시킨다. 구체적으로, 압축 공기가 공급되는 경우 클러치의 마찰판은 연결되고, 브레이크의 마찰판은 끊어지기 때문에 클러치를 통해 플라이휠의 동력이 크랭크 축에 전달되어 크랭크 축이 회전할 수 있다. 반면, 압축 공기의 공급이 차단되는 경우 클러치의 마찰판은 끊어지고 브레이크의 마찰판은 연결되어 클러치를 통한 플라이휠의 동력이 차단되어 크랭크 축에 전달되지 않아 크랭크 축의 회전이 멈춘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찰판의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찰판(721)은 테두리를 따라 치차(721b)가 구비되고, 링 형태로 형성된 모재(721a), 모재의 양면에 미리 정해진 마찰계수를 갖는 혼합 분말이 소결되어 형성된 마찰 부재(721c), 마찰 부재(721c) 상에 형성되고, 모재의 테두리를 따라 평행하게 형성된 복수의 오일홈(721d)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마찰 부재(721c)는 복수의 서브 마찰 부재(721c1, 721c2, 721c3, 721c4, 721c5)와 복수의 미소결 영역(721e1, 721e2, 721e3, 721e4, 721e5)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서브 마찰 부재(721c1, 721c2, 721c3, 721c4, 721c5)와 복수의 미소결 영역(721e1, 721e2, 721e3, 721e4, 721e5)은 교번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렇게 복수의 서브 마찰 부재 사이의 미소결 영역에는 복수의 오일홈이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미소결 영역을 형성하는 이유는 서브 마찰 부재가 마찰력에 의해 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이유로, 복수의 미소결 영역(721e1, 721e2, 721e3, 721e4, 721e5)은 복수의 서브 마찰 부재(721c1, 721c2, 721c3, 721c4, 721c5)들 간의 이웃하는 것끼리 서로 완전 분리되도록 미소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서브 마찰 부재(721c1, 721c2, 721c3, 721c4, 721c5) 사이의 미소결 영역(721e1, 721e2, 721e3, 721e4, 721e5)은 마찰 부재(721c)의 중심(P)으로부터 방사상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c를 참조하면, 마찰 부재(721c)에는 마찰 부재의 폭 방향으로 형성된 제1 오일홈(721d11)과 마찰 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제2 오일홈(721d12)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오일홈(721d11)은 마찰 부재의 내측에 형성되고, 마찰 부재(721c)의 중심(P)으로부터 방사상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오일홈(721d11)의 일단은 마찰 부재의 내측과 연결되나, 타단은 마찰 부재(721c)을 관통하지 않고 마찰 부재(721c)의 소결 영역 내에 위치할 수 있고, 제2 오일홈(721d12)은 제1 오일홈(721d11)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서로 연결되는 형상을 갖을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찰판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a 내지 도 5d는 마찰판의 제조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찰판의 제조 방법은 1차 검사 단계(S10), 치차 가공 단계(S11), 1차 열처리 단계(S12), 2차 검사 단계(S13), 두께 가공단계(S14), 연삭 단계(S15), 샌딩 단계(S16), 1차 소결 단계(S17), 2차 소결 단계(S18), 2차 열처리 단계(S19), 오일홈 가공 단계(S20), 교정 단계(S21), 버(burr) 제거 단계(S22), 3차 검사 단계(S23), 방청 처리 단계(S24)를 포함할 수 있다.
1)1차 검사 단계(S10)에서는, 모재의 외관, 크기(두께), 재질 등을 검사할 수 있다.
2)치차 가공 단계(S11)에서는, 레이저 절단기를 이용하여 모재의 테두리를 따라 치차(gear)를 가공할 수 있다. 이 단계에서는 치차, 모듀율, 치수, 압력각, P.C.D, 걸치기 잇수, 걸치기 두께, 직각도, 평탄도를 확인한다.
도 5a를 참조하면, 모재(721a)는 링 형상으로 가공되고, 그 테두리 부분에 치차(721b)가 형성되도록 가공된다.
3)1차 열처리 단계(S12)에서는, 열 처리기를 이용하여 가공된 모재를 조질 처리(Quenching and Tempering)할 수 있다. 이 단계에서는 평탄도, 경도를 확인한다.
4)2차 검사 단계(S13)에서는, 열 처리된 모재의 치차, 수량, 치차 개수, 경도를 검사할 수 있다.
5)두께 가공단계(S14)에서는, 범용 선반을 이용하여 모재의 두께를 가공할 수 있다. 이 단계에서는 두께, 평탄도, 치차 내외 면취를 확인한다. 본 발명에서는 두께 가공단계가 반드시 필요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생략이 가능하다.
예컨대, 모재의 두께를 황삭 연마(roughgrinding)하여 1차 가공하고(a), 이렇게 1차 가공된 모재의 두께를 사상 연마하여 2차 가공한다(b).
6)연삭 단계(S15)에서는, 연마기를 이용하여 모재의 표면을 매끄럽게 가공할 수 있다. 여기서, 연마기는 예컨대, 로타리 연마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단계에서는 평탄도, 평행도, 두께, 조도를 확인한다.
7)샌딩 단계(S16)에서는, 모재의 외관이 매끄러운지를 검사할 수 있다.
8)1차 소결 단계(S17)에서는, 모재의 전면에 미리 정해진 마찰계수를 갖는 혼합분말을 도포한 후 소결로를 이용하여 소결시켜 마찰 부재를 형성할 수 있다. 이 단계에서는 파우더 또는 분말 두께, 오일홈 일치, 평탄도를 확인한다.
도 5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는 마찰 부재를 미리 정해진 패턴으로 형성하기 위한 패턴 부재를 이용한다. 즉, 모재의 전면에 패턴 부재를 배치시키고, 패턴 부재 위에 미리 정해진 마찰계수를 갖는 혼합분말을 도포하고 패턴 부재를 제거한다.
예컨대, 미리 정해진 마찰계수는 0.11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혼합 분말은 49.6wt%의 황동, 33.5wt%의 청동, 16.1wt%의 인청동, 0.5wt%의 Al, 0.3wt%의 BaSO4의 혼합물질일 수 있다. 또는 혼합 분말에 포함되는 황동, 청동, 인청동, Al, BaSO4의 혼합 비율이 100:67.5:32.5:1:0.6일 수 있다. 물론 여기서는 황동, 청동, 인청동, Al, BaSO4의 조합으로 혼합된 혼합 분말을 이용하는 경우를 일 예로 설명하고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미리 정해진 마찰계수를 만족하는 다양한 조합의 혼합 분말을 사용할 수도 있다.
도 5c를 참조하면, 이렇게 혼합 분말이 도포된 모재를 소결 지그에 배치한 후 소결로를 이용하여 소결시켜 모재 위에 마찰 부재를 미리 정해진 패턴으로 형성한다.
도 5d를 참조하면, 소결 지그는 모재의 형상과 동일한 링 형상의 홈을 갖고 그 홈에 소결 시키고자 하는 혼합 분말이 도포된 모재를 배치시킨다. 여기서, 소결 지그는 예컨대, 세라믹 지그일 수 있다.
9)2차 소결 단계(S18)에서는, 모재의 후면에 미리 정해진 마찰계수를 갖는 혼합분말을 도포한 후 소결로를 이용하여 소결시켜 마찰 부재를 형성할 수 있다. 이 단계에서는 파우더 또는 분말 두께, 오일홈 일치, 평탄도를 확인한다.
10)2차 열처리 단계(S19)에서는, 마찰 부재가 형성된 모재를 열처리할 수 있다. 이 단계에서는 파우더 또는 분말 두께, 오일홈 일치, 평탄도를 확인한다.
11)오일홈 가공 단계(S20)에서는, 프레스를 이용하여 모재에 형성된 마찰 부재에 모재의 가장 자리부분을 따라 평행하게 형성된 복수의 오일홈을 가공함으로써, 마찰판을 형성할 수 있다. 이 단계에서는 두께, 평탄도, 오일홈의 깊이를 확인한다.
12)교정 단계(S21)에서는, 유압 프레스를 이용하여 마찰판의 평탄도를 교정할 수 있다.
13)버 제거 단계(S22)에서는, 평탄도가 교정된 마찰판의 버를 제거할 수 있다.
14)3차 검사 단계(S23)에서는, 버가 제거된 마찰판의 상태 즉, 두께, 평탄도, 직각도, 경도, 외관을 검사할 수 있다.
15)방청 처리 단계(S24)에서는, 3차 검사가 완료된 마찰판의 양면을 방청 처리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베드
200: 프레임
300: 크랭크 축
400: 커넥팅 로드
500: 슬라이드
600: 플라이휠
700: 클러치
800: 브레이크

Claims (6)

  1. 테두리 부분을 따라 복수의 치차가 구비되고, 링 형상으로 형성된 모재;
    상기 모재의 양면에 미리 정해진 마찰계수를 갖는 혼합분말이 소결되어 형성된 마찰 부재; 및
    상기 마찰 부재 상에 형성되고, 원주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오일홈;을 포함하고,
    상기 마찰 부재는 미리 정해진 패턴에 따라 형성된 복수의 서브 마찰 부재와 복수의 미소결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서브 마찰 부재와 상기 복수의 미소결 영역은 교번하여 배치되며,
    상기 오일홈은 상기 마찰 부재의 폭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마찰 부재의 내측으로 연결되어 상기 마찰 부재의 중심으로부터 방사상 방향으로 형성된 제1 오일홈과, 상기 마찰 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오일홈과 연결된 제2 오일홈이 형성되는, 냉간단조 프레스 장비의 클러치/브레이크를 위한 마찰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마찰계수는 0.110 이상인, 냉간단조 프레스 장비의 클러치/브레이크를 위한 마찰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미소결 영역은 마찰력에 의한 상기 복수의 서브 마찰 부재의 밀림을 방지하도록 상기 복수의 서브 마찰 부재를 일정 영역 마다 분리시킨 형상으로 형성되는, 냉간단조 프레스 장비의 클러치/브레이크를 위한 마찰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서브 마찰 부재 각각은 외측 테두리와 내측 테두리가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냉간단조 프레스 장비의 클러치/브레이크를 위한 마찰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오일 홈은 상기 혼합분말의 소결이 완료된 후 형성되는, 냉간단조 프레스 장비의 클러치/브레이크를 위한 마찰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분말의 소결 시 상기 혼합 분말이 도포된 모재를 소결 지그에 배치시키고, 소결로를 이용하여 상기 도포된 혼합 분말을 소결시키는, 냉간단조 프레스 장비의 클러치/브레이크를 위한 마찰판.
KR1020190074932A 2019-06-24 2019-06-24 냉간단조 프레스 장비의 클러치 또는 브레이크를 위한 마찰판 KR1021273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4932A KR102127360B1 (ko) 2019-06-24 2019-06-24 냉간단조 프레스 장비의 클러치 또는 브레이크를 위한 마찰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4932A KR102127360B1 (ko) 2019-06-24 2019-06-24 냉간단조 프레스 장비의 클러치 또는 브레이크를 위한 마찰판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9008A Division KR102042016B1 (ko) 2018-03-13 2018-03-13 냉간단조 프레스 장비의 클러치/브레이크를 위한 마찰판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8082A true KR20190108082A (ko) 2019-09-23
KR102127360B1 KR102127360B1 (ko) 2020-06-29

Family

ID=68069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4932A KR102127360B1 (ko) 2019-06-24 2019-06-24 냉간단조 프레스 장비의 클러치 또는 브레이크를 위한 마찰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736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8855B1 (ko) * 2020-08-11 2022-01-11 주식회사 제이앤에이취프레스 유성기어 동력전달 감속장치를 포함하는 단조 프레스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94331A (en) * 1988-03-18 1992-03-10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Wet-type multiplate clutch
JPH0893816A (ja) * 1994-09-26 1996-04-12 Sumitomo Electric Ind Ltd 湿式摩擦係合板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301872B1 (ko) * 1992-01-09 2001-11-22 보그-워너 오토모티브 트랜스미션 앤드 엔진 콤포넌츠 코포레이션 습식클러치판용페이싱물질및그제조및적용방법
KR100852998B1 (ko) 2007-05-18 2008-08-19 주식회사 화일프레스 프레스 기계의 편심축 결합구조
KR20160144425A (ko) * 2014-05-22 2016-12-16 쟈트코 가부시키가이샤 클러치에 있어서의 냉각 구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94331A (en) * 1988-03-18 1992-03-10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Wet-type multiplate clutch
KR100301872B1 (ko) * 1992-01-09 2001-11-22 보그-워너 오토모티브 트랜스미션 앤드 엔진 콤포넌츠 코포레이션 습식클러치판용페이싱물질및그제조및적용방법
JPH0893816A (ja) * 1994-09-26 1996-04-12 Sumitomo Electric Ind Ltd 湿式摩擦係合板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852998B1 (ko) 2007-05-18 2008-08-19 주식회사 화일프레스 프레스 기계의 편심축 결합구조
KR20160144425A (ko) * 2014-05-22 2016-12-16 쟈트코 가부시키가이샤 클러치에 있어서의 냉각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7360B1 (ko) 2020-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1068041A1 (ja) 加工方法および軸受
CN103143667B (zh) 成型地制造齿轮的方法和可按该方法制造的齿轮
US20140325840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cylinder line for engine
JPS61116116A (ja) クランクシヤフト
US20030070297A1 (en) Method for fabricating external-tooth gears
JP2007170675A (ja) クロスヘッド型の大型2行程内燃機関のためのクランク軸
JP2001522727A (ja) クランク軸の加工方法
KR102127360B1 (ko) 냉간단조 프레스 장비의 클러치 또는 브레이크를 위한 마찰판
KR102042016B1 (ko) 냉간단조 프레스 장비의 클러치/브레이크를 위한 마찰판 및 이의 제조 방법
US11592096B2 (en) Light-weight gea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manufacturing method of gear train, and robot
JP2000198025A (ja) 精密機械工程および精密機械
EP2937573A1 (en) Hydraulic actuator device
JP4797560B2 (ja) ボールねじ装置
JP2015512790A (ja) 軸、特にクランク軸の強度を高めるための方法及び工具
JP3751792B2 (ja) ギア部品の成形方法
CN101827667A (zh) 用于精密内部几何形状的芯棒锻造法
EP3950212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hypoid gear
US20210101244A1 (en) Narrow shoe journal microfinishing apparatus and method
CN107598480A (zh) 加工工具、尤其滚轧工具以及用于加工气缸运动面的方法
CN102825255A (zh) 粉末冶金行星齿轮传动轴的制造方法
US6910564B2 (en) Toothed electromagnetic clutch brake
DE102016000389A1 (de) Angetriebene Schlagverdichtungssystem
KR20200019679A (ko) 크랭크 샤프트의 전이 반경의 충격 처리 방법 및 디바이스
WO2013080751A1 (ja) トリポード型等速自在継手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449270B1 (ko) 헬리컬 기어 후가공 공정을 포함하는 헬리컬 기어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