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8013A - 태양광 패널을 구비한 사용자 배터리 인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출석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태양광 패널을 구비한 사용자 배터리 인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출석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8013A
KR20190108013A KR1020180029441A KR20180029441A KR20190108013A KR 20190108013 A KR20190108013 A KR 20190108013A KR 1020180029441 A KR1020180029441 A KR 1020180029441A KR 20180029441 A KR20180029441 A KR 20180029441A KR 20190108013 A KR20190108013 A KR 201901080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battery
attendance
identification code
management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94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성은
Original Assignee
장성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성은 filed Critical 장성은
Priority to KR10201800294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08013A/ko
Publication of KR201901080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80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02J7/35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with light sensitive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6Power conversion systems, e.g. maximum power point track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50Energy storage in industry with an added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arketing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태양광 패널을 구비한 사용자 배터리 인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출석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태양광 패널, 상기 태양광 패널로부터 생산된 전기에너지를 사용자 배터리에 공급하기 위한 복수의 접속수단 및 상기 접속수단에 접속된 사용자 배터리의 식별코드를 인식하는 인식부를 포함하여, 상기 인식부를 통해 인식된 사용자 배터리 식별코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출석을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프로그램 제공자는 현금 재원의 한계를 극복하고, 사용자는 실생활에 사용할 수 있는 전기에너지를 무료로 충전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출석을 저렴하고 편리하게 관리하고, 동시에 사용자의 출석을 독려 또는 권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태양광 패널을 구비한 사용자 배터리 인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출석 관리 시스템{USER BATTERY RECOGNITION DEVICE INCLUDING SOLAR PANEL AND ATTENDANCE MANAGEMENT SYSTEM USING IT}
본 발명은 태양광 패널을 구비한 사용자 배터리 인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출석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자신의 배터리를 접속하면 상기 사용자 배터리를 인식하고 사용자 배터리를 무료로 충전시켜 줌으로써 이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출석을 관리 및 독려하기 위한 것이다.
정부나 사회적 기업 또는 재단에서 공익적인 행사나 교육 프로그램을 많이 운영하고 있지만, 대부분 무료로 운영됨에도 불구하고 사용자(프로그램 수혜자)가 출석을 잘 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또한, 빈곤국가나 빈곤지역의 경우는 생계를 유지하기도 힘든 상황이라 어린이들이 학교에 나가지 않아 문맹률이 높아지고 다시 빈곤으로 이어지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인센티브 프로그램을 동원하여 사용자의 출석을 독려하고 있다. 예를 들어, 빈곤국가의 경우 국제 공익기구들이 운영하는 CCT(conditional cash transfer; 조건부 현금 급여/지원) 프로그램이 있다. CCT는 어린이들이 학교에 출석을 하면 현금을 지원하는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공익재단들은 재원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가 많아서 현금 지원에는 한계가 있을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인센티브 프로그램은 일일이 수기로 출석 여부를 관리하는 경우가 많아서 출석 관리에 어려움이 있다. 출석을 관리하는 기술로서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6-0137768호가 공지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기술은 사용자 단말을 사용하여 사용자의 출결을 자동으로 관리하고 있지만, 빈곤국가의 아이들의 경우는 사용자 단말을 소유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술한 출석 독려의 필요, 현금 지원의 한계, 사용자 단말 소유의 어려움 등을 해결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KR 10-2016-0137768 A.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공익 프로그램의 한계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동시에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태양광 패널을 구비한 사용자 배터리 인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출석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태양광 패널, 상기 태양광 패널로부터 생산된 전기에너지를 사용자 배터리에 공급하기 위한 복수의 접속수단, 및 상기 접속수단에 접속된 사용자 배터리의 식별코드를 인식하는 인식부를 포함하여, 상기 인식부를 통해 인식된 사용자 배터리 식별코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출석을 관리하기 위한 출석 관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출석 관리 시스템은 상기 인식된 사용자 배터리의 식별코드로부터 해당 사용자의 ID를 인식할 수 있도록, 사용자 배터리의 식별코드와 사용자의 ID를 매칭하여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석 관리 시스템은 상기 인식된 사용자 ID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출석을 관리하는 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리부는, 상기 사용자 배터리가 상기 접속수단에 접속된 시각 및 상기 접속수단으로부터 탈착된 접속해지 시각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출석을 관리할 수 있다.
상기 출석 관리 시스템은, 상기 인식부를 통해 인식된 사용자 배터리 식별코드 또는 이로부터 추출된 사용자 접속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접속정보는, 배터리 식별코드와 매칭되는 사용자 ID, 사용자 배터리 접속 시각, 사용자 배터리 접속해지 시각, 사용자 배터리 접속 이력 정보, 사용자 출석 이력 정보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출석 관리 시스템은 상기 생산된 전기에너지를 저장하는 축전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태양광 패널 및 상기 태양광 패널로부터 생산된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는 접속수단을 포함하는 시스템의 출석 관리 방법으로서, 상기 사용자 배터리가 상기 접속수단에 접속되는 단계, 상기 접속된 사용자 배터리의 사용자의 ID를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인식된 ID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출석을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상기 사용자 배터리가 상기 접속수단으로부터 탈착되면, 상기 사용자의 ID의 접속해지를 인식하여 상기 사용자의 출석 상황을 업데이트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석을 관리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ID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사용자의 출석 상황 및 이력을 저장 또는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태양광 패널을 구비한 사용자 배터리 인식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장치에 접속된 사용자 배터리를 인식하고, 이를 통해 배터리 사용자에 대한 출석 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프로그램 제공자는 현금 재원의 한계를 극복하고, 사용자는 실생활에 사용할 수 있는 전기에너지를 무료로 충전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출석을 저렴하고 편리하게 관리하고, 동시에 사용자의 출석을 독려 또는 권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출석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석 관리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출석 관리 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도시되고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도시와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도록 생략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을 가장 적절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만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또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유/무선으로 통신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설명의 간략함을 위해, 본 명세서에서는 예시를 들어 순서도 또는 플로우 차트의 형태로 하나 이상의 방법이 일련의 단계로서 도시되고 기술되어 있지만, 본 발명이 단계들의 순서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데 그 이유는 본 발명에 따라 본 명세서에 도시되고 기술되어 있는 것과 다른 순서로 또는 다른 단계들과 동시에 행해질 수 있기 때문이라는 것을 잘 알 것이다. 또한, 예시된 모든 단계들이 본 발명에 따라 방법을 구현해야만 하는 것은 아닐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대응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명칭 및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참조하는 도면에서 구성요소의 크기나 선의 두께 등은 이해의 편의상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배경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출석 독려의 필요, 현금 지원의 한계, 사용자 단말 소유의 어려움을 동시에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사용자 배터리를 사용하는 이유는, 빈곤국가에서는 전기가 공급되지 않는 지역이 많아서 배터리를 생활에 많이 사용한다는 점에 착안한 것이다.
우선, 태양광 패널을 사용하면 인센티브 재원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게 배터리를 무료로 충전해줌으로써 현금과 유사한 인센티브 효과를 낼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가져온 배터리를 충전장치에 접속하는 것으로 출석 관리를 함으로써 일일이 사람이 수기로 출석을 관리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석 관리 시스템(1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출석 관리 시스템(10)은 태양광 패널(3) 및 사용자 배터리(50)를 접속하기 위한 접속장치(1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접속장치(18)는 복수의 접속수단(5)을 포함한다.
태양광 패널(3)은 태양광으로부터 전기에너지를 생산하기 위한 구성으로, 생산된 전기에너지는 소정의 축전지(미도시)에 저장될 수 있다. 이때 축전지는 접속장치(18) 내부에 구비되어, 각 접속수단(5)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다.
접속수단(5)은 태양광 패널(3)로부터 생산된 또는 축전지에 저장되어 있는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는 수단으로서, 사용자 배터리(50)가 접속되면 사용자 배터리(50)를 충전할 수 있다. 접속수단(5)은 다수의 사용자에 대한 출석 관리를 할 수 있도록 복수 개가 구비된다.
접속수단(5)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USB 단자를 사용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다양한 형상과 규격의 잭 타입, 접점 타입, 또는 소켓 타입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는 한가지 종류의 접속수단이 복수개 도시되어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종류의 접속수단이 함께 제공될 수도 있다.
사용자 배터리(50)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배터리로서, 도면에는 휴대기기용 보조배터리가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상, 크기 및 규격의 배터리 또는 보조배터리일 수 있다.
사용자 배터리(50)는 충전 플러그(52)를 접속수단(5)에 접속 또는 삽입함으로써 충전될 수 있으나,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플러그가 없는 접점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접속 수단(5)에 접속될 수 있다.
또한, 접속 장치(18)에는 사용자 배터리(50)가 접속수단(5)에 접속되면 점등되고 탈착되면 소등되는 표시등(7)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10)은 사용자 배터리(50)가 접속수단(5)에 접속되면, 사용자 배터리의 식별코드를 인식하는 인식부(12)를 포함하고, 이외에도 통신부(14)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하여는 도 4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 배터리(50)에는 배터리 고유의 식별코드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이 식별코드는 배터리(50) 내부의 소정의 레지스터, ROM, 또는 메모리 등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배터리(50)가 접속수단(5)에 접속되면 인식부(12)가 이 식별코드를 인식할 수 있다. 각 배터리(50)의 식별코드는 해당 배터리(50)를 소유하고 있는 사용자 ID와 매칭(matching)되어 미리 등록 또는 저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따라서 배터리 식별코드를 인식함으로써 사용자가 누구인지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출석 관리 시스템(10)은 소정의 관리부(미도시)를 구비하여, 인식된 사용자 ID로부터 사용자의 출석을 관리할 수 있다. 관리부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으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출석 관리 시스템(10)은 배터리 식별코드, 또는 배터리 식별코드 및 이에 매칭되는 사용자의 ID를 미리 등록하여 저장하는 저장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내의 ROM일 수 있으나,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플로피 디스켓, 하드 디스크, 메모리 등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저장부에는 사용자의 출석 상황이나 이력 등 사용자 출석 정보가 더 저장될 수 있다.
또한, 관리부(미도시)는 출석 관리를 위해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배터리(50)가 접속수단(5)에 접속되는 시각을 파악하여 사용자의 출석 시각을 체크할 수도 있고, 사용자 배터리(50)가 접속수단(5)으로부터 탈착되어 접속해지가 되는 시각을 파악하여 사용자가 출석하여 머물렀던 시간을 추출하고 저장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출석 관리 시스템(20, 3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도 1의 실시예와 다른 점은 접속수단(5)이 구비된 접속장치(18)와 태양광 패널(3)이 분리되어 소정의 연결선으로 연결되어 있다는 점이다.
태양광 패널(3)은 태양광이 잘 직사되는 건물의 지붕이나 창문 등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이러한 경우에는 접속수단(5)이 구비되는 접속장치(18)가 분리되어 소정의 연결선으로 연결되는 것이 좋다.
도 2(b)를 참조하면, 축전지(9)가 접속장치(18)와 별도로 구비되어 태양광 패널(3)과 접속장치(18)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은 태양광 패널(3)에서 생산되는 전기에너지의 양이 많아서 축전지의 용량이 클 때 바람직하다.
또한, 도면에는 복수개의 접속수단(5)이 하나의 접속장치(18)에 모두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사용자가 개별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나의 접속수단(5)이 구비된 접속장치(18)가 복수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책상에서 배터리(50)를 충전할 수 있도록 각 책상마다 하나의 접속 장치(18)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출석 관리 시스템(20, 30)은 사용자 배터리(50)가 접속수단(5)에 접속되면, 배터리 식별코드를 인식하는 인식부(12)를 포함하고, 이외에도 통신부(14)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하여는 도 4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출석 관리 시스템은 별도 장소에 구비된 서버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는데, 이를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태양광 패널(3)과 접속수단(5)을 포함하는 사용자 배터리 인식장치(60)가 별도의 장소에 구비되는 서버(70)와 유/무선의 네트워크로 통신할 수 있도록 구성된 출석 관리 시스템(40)의 개념을 도시한 것이다.
사용자 배터리(50)가 접속수단(5)에 접속되어 배터리 식별코드가 인식되면, 이러한 배터리 식별코드와 매칭되어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ID를 유/무선의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외부 서버(70)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되는 유/무선 네트워크는 유선의 랜(LAN)일 수도 있고, 블루투스나 와이파이 등의 무선 통신 네트워크일 수도 있고, CDMA나 LTE 등의 이동통신망일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서버(70)는 사용자 ID를 수신하여 사용자의 출석을 관리할 수 있다. 서버(70)는 사용자의 ID를 미리 등록하여 저장하고, 사용자의 출석 상황 및 이력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배터리 인식장치(60)는 배터리 식별코드만을 인식하여 서버(7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서버(70)에는 각 배터리 식별코드와 해당 배터리 사용자의 ID의 매칭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또한, 서버(70)는 출석 관리를 위해 다양한 기능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배터리(50)가 접속수단(5)에 접속되는 시각을 파악하여 사용자의 출석 시각을 체크할 수도 있고, 사용자 배터리(50)가 접속수단(5)으로부터 탈착되어 접속해지가 되는 시각을 파악하여, 사용자가 출석하여 머물렀던 시간을 추출하고 저장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 배터리 인식장치(60)는 배터리가 접속 및 탈착되는 시각 정보를 서버(70)에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 배터리 인식장치(60)가 일정 기간 동안의 배터리 접속 이력 정보나 해당 배터리 사용자의 출석 이력 정보를 저장해 두었다가, 한꺼번에 서버(7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서버(70)는 공익 단체가 운영하는 CCT 프로그램의 네트워크 서버에 연결되어 연동될 수도 있다. CCT 프로그램에 연동하여, 학생들의 학교 출석 상황을 관리하고 독려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학생들의 배터리(50) 무료 충전과 더불어 현금지급(CCT)을 병행하여 출석 독려를 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출석 관리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4의 블록도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출석 관리 시스템(10, 20, 30, 40) 중 어느 하나의 블록도일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출석 관리 시스템은 태양광 패널(3), 접속수단(5) 및 인식부(12)를 포함하며, 선택적으로 표시등(7), 축전지(9), 통신부(14), 저장부(16) 등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인식부(12)는 사용자 배터리(50)가 접속 수단(5)에 접속되면, 사용자 배터리(50) 고유의 식별코드를 인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인식된 식별코드는, 이 식별코드와 매칭되어 미리 등록 또는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의 ID를 인식함으로써 사용자가 누구인지를 파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저장부(16)는 사용자의 ID를 배터리 식별코드와 매칭하여 저장하는 구성으로, 사용자의 출석 상황 및 이력 등 다른 정보들을 더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6)는 사용자 배터리 인식장치(60) 및/또는 서버(70)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출석 관리 시스템은 사용자 배터리 인식장치(60)와 서버(70)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14)를 더 포함함으로써, 저장부(16) 및 관리부(미도시)의 기능의 적어도 일부가 서버(70)에서 운영되도록 할 수도 있다.
통신부(14)는 인식부(12)에서 인식된 배터리 식별코드, 이와 매칭되는 사용자 ID, 배터리 접속 및 접속해지 시각 정보, 사용자 배터리 접속 이력 정보, 사용자 출석 이력 정보 등을 유/무선의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7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출석 관리 방법(S100)에 대한 구체적인 일례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 배터리(50)가 접속수단(5)에 접속되면(S110), 인식부(12)는 사용자 배터리(50) 고유의 식별코드로부터 미리 매칭되어 저장되어 있던 사용자의 ID를 인식할 수 있다(S120).
S130 단계에서는, 인식된 사용자 ID로부터 저장부(16)에 미리 등록되어 있는 사용자 리스트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출석을 체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배터리(50)가 접속수단(5)에 접속되는 시각을 파악하여 사용자의 출석 시각을 체크하고 저장할 수도 있다(S140).
사용자 배터리(50)가 접속수단(5)으로부터 탈착되면(S150), 사용자가 교실 등에서 퇴장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S160).
또한, 배터리(50)의 접속해지가 되는 시각을 파악하여 저장할 수도 있고(S170), 사용자가 출석하여 머물렀던 시간을 계산하여 추출하고 저장할 수도 있다(S180).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출석 관리 방법(S200)에 대한 구체적인 일례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사용자 배터리(50)가 접속수단(5)에 접속되면(S210), 인식부(12)는 사용자 배터리(50) 고유의 식별코드로부터 미리 매칭되어 저장되어 있던 사용자의 ID를 인식할 수 있다(S220).
S230 단계에서는, 인식된 사용자 ID를 서버(70)로 전송할 수 있다(S230).
서버(70)는 사용자 ID를 수신하여 미리 등록되어 있는 사용자 리스트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출석을 체크하고 출석 상황을 갱신할 수 있다(S240). 또한, 사용자 ID를 수신하는 시각으로부터 사용자 배터리(50)가 접속수단(5)에 접속되는 시각을 파악하여 사용자의 출석 시각을 체크하고 저장할 수도 있다.
사용자 배터리(50)가 접속수단(5)으로부터 탈착되면(S250), 사용자가 교실 등에서 퇴장한 것으로 인식할 수 있고, 사용자의 ID를 다시 한번 서버(70)로 전송할 수 있다(S260).
서버(70)가 사용자의 ID를 수신하고, 수신한 ID가 현재 출석 상태인 ID라면, 사용자가 퇴장한 것으로 인식하여 사용자의 퇴장 시각을 저장하고 사용자의 출석 상황을 다시 갱신할 수 있다(S270). 또한, 사용자가 출석하여 머물렀던 시간을 계산하여 추출하고 저장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태양광 패널과 사용자 배터리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인식하고 출석 관리를 하도록 함으로써, 제공자는 현금 재원의 한계를 극복하고, 사용자는 실생활에 사용할 수 있는 전기에너지를 무료로 충전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출석을 저렴하고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고, 동시에 사용자의 출석을 독려 또는 권장할 수 있는 장치 및 시스템의 구현이 가능하다.
또한, 외부 서버(70)에서 출석을 관리하게 함으로써 CCT 등의 프로그램과 연동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설명된 태양광 패널과 사용자 배터리를 이용한 출석 관리 방법의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들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현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도 있다. 언급된 기록 매체는 ROM, 자기 디스크 혹은 콤팩트 디스크, 광 디스크 등 일 수 있으나, 이에 반드시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3: 태양광 패널
5: 접속수단
7: 표시등
9: 축전지
12: 인식부
14: 통신부
16: 저장부
18: 접속장치
50: 사용자 배터리
52: 충전 플러그
70: 서버

Claims (9)

  1. 태양광 패널;
    상기 태양광 패널로부터 생산된 전기에너지를 사용자 배터리에 공급하기 위한 복수의 접속수단; 및
    상기 접속수단에 접속된 사용자 배터리의 식별코드를 인식하는 인식부;
    를 포함하여,
    상기 인식부를 통해 인식된 사용자 배터리 식별코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출석을 관리하기 위한 출석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된 사용자 배터리의 식별코드로부터 해당 사용자의 ID를 인식할 수 있도록, 사용자 배터리의 식별코드와 사용자의 ID를 매칭하여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석 관리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된 사용자 ID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출석을 관리하는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석 관리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부는,
    상기 사용자 배터리가 상기 접속수단에 접속된 시각 및 상기 접속수단으로부터 탈착된 접속해지 시각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출석을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석 관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부를 통해 인식된 사용자 배터리 식별코드 또는 이로부터 추출된 사용자 접속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접속정보는,
    배터리 식별코드와 매칭되는 사용자 ID, 사용자 배터리 접속 시각, 사용자 배터리 접속해지 시각, 사용자 배터리 접속 이력 정보, 사용자 출석 이력 정보 중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석 관리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산된 전기에너지를 저장하는 축전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석 관리 시스템.
  7. 태양광 패널 및 상기 태양광 패널로부터 생산된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는 접속수단을 포함하는 시스템의 출석 관리 방법으로서,
    상기 사용자 배터리가 상기 접속수단에 접속되는 단계;
    상기 접속된 사용자 배터리의 사용자의 ID를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인식된 ID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출석을 관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배터리가 상기 접속수단으로부터 탈착되면, 상기 사용자의 ID의 접속해지를 인식하여 상기 사용자의 출석 상황을 업데이트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출석을 관리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ID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사용자의 출석 상황 및 이력을 저장 또는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80029441A 2018-03-13 2018-03-13 태양광 패널을 구비한 사용자 배터리 인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출석 관리 시스템 KR201901080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9441A KR20190108013A (ko) 2018-03-13 2018-03-13 태양광 패널을 구비한 사용자 배터리 인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출석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9441A KR20190108013A (ko) 2018-03-13 2018-03-13 태양광 패널을 구비한 사용자 배터리 인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출석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8013A true KR20190108013A (ko) 2019-09-23

Family

ID=68069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9441A KR20190108013A (ko) 2018-03-13 2018-03-13 태양광 패널을 구비한 사용자 배터리 인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출석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0801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9021B1 (ko) * 2020-04-07 2021-10-06 김경민 수업 진행 과정을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ui를 제공하는 강의 제공 시스템의 제어 방법
WO2022114323A1 (ko) * 2020-11-30 2022-06-02 (주)헬로팩토리 키패드 장치를 이용한 강의 제공 시스템의 제어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7768A (ko) 2015-05-21 2016-12-01 주식회사 인큐테크 출결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7768A (ko) 2015-05-21 2016-12-01 주식회사 인큐테크 출결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9021B1 (ko) * 2020-04-07 2021-10-06 김경민 수업 진행 과정을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ui를 제공하는 강의 제공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2309020B1 (ko) * 2020-04-07 2021-10-06 김경민 키패드 장치를 이용한 강의 제공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20210124929A (ko) * 2020-04-07 2021-10-15 김경민 제한 시간 내에 정답 정보를 입력받는 키패드 장치를 이용한 강의 제공 시스템의 제어 방법
WO2022114323A1 (ko) * 2020-11-30 2022-06-02 (주)헬로팩토리 키패드 장치를 이용한 강의 제공 시스템의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636808A (zh) 一种充电桩共享系统
CN105513151A (zh) 一种课堂考勤方法及系统
CN203588387U (zh) 一种新型移动智能pos 机
CN104182919A (zh) 一种智慧人居信息化服务平台
WO2017025020A1 (zh) 电动汽车智能充电系统和方法
KR20190108013A (ko) 태양광 패널을 구비한 사용자 배터리 인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출석 관리 시스템
CN106125709A (zh) 一种智能插座及其智能家居系统
CN104742545A (zh) 一种印章监控系统
CN109637029A (zh) 一种小区物业工具租借系统
CN104410947A (zh) 一种基于无线的智能终端点名调度方法
CN105844868A (zh) 一种可通过蓝牙搜寻的防丢失u盘
CN204288311U (zh) 基于gsm的学生签到智能系统
CN104635904A (zh) 手持式电子装置及手持式电子装置的省电方法
CN204719801U (zh) 一种出租屋管理系统
CN204375019U (zh) 一种基于智能手机的便携式考勤机
US20200125052A1 (en) Power supply apparatus and system,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US20140159858A1 (en) Wireless Time and Attendance System
CN205302402U (zh) 一种企业考勤管理系统
CN205992268U (zh) 将太阳能光伏板与公车站结合设计的电池自动贩卖系统
CN211223100U (zh) 电动车充电系统
CN209402547U (zh) 电子工牌及其控制系统
CN203433571U (zh) 实验室的管理系统
CN203014432U (zh) 一种多功能充电装置
CN205788689U (zh) 一种可通过蓝牙搜寻的防丢失u盘
CN205453679U (zh) 一种电子卡及通讯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