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7451A - 게임 앱을 통한 기초영작 훈련교재 - Google Patents

게임 앱을 통한 기초영작 훈련교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7451A
KR20190107451A KR1020180028721A KR20180028721A KR20190107451A KR 20190107451 A KR20190107451 A KR 20190107451A KR 1020180028721 A KR1020180028721 A KR 1020180028721A KR 20180028721 A KR20180028721 A KR 20180028721A KR 20190107451 A KR20190107451 A KR 201901074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tence
english
training
learning
ver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87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수
Original Assignee
김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수 filed Critical 김정수
Priority to KR10201800287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07451A/ko
Publication of KR201901074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74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2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visual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e.g. using film stri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게임 앱을 통한 기초영작 훈련교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영어회화에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즉석영작능력을 기르기 위하여 영문법을 새로운 체계로 배열한 게임 앱을 통한 기초영작 훈련교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영작을 위한 학습문형을 동사중심으로 배열한 체계로서 선행과정(10)과 후속과정(20)으로 구성하되 선행과정(10)은; 명사와 대명사, 복수와 복수, 정관사와 부정관사를 학습하는 예비단계, be동사 현재문형을 훈련하는 1단계, be동사 과거문형을 훈련하는 2단계, 일반동사의 명령문과 평서문을 훈련하는 3단계, 일반동사의 현재진행형, 미래형, 과거형, 과거진행형, 과거계획형을 훈련하는 4단계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후속과정(20)은 부정사 및 동명사 문형을 학습하는 5단계, 조동사 문형을 학습하는 6단계, 가주어와 진주어 문형을 학습하는 7단계, 접속사 및 관계대명사 문형을 훈련하는 8단계, have가 포함된 문형을 훈련하는 9단계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교과서나 문법서의 학습체계를 해체하고 한국인의 언어인지능력에 부합하는 문법체계와 훈련과정을 통하여 영작의 순발력과 유창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게임 앱을 통한 기초영작 훈련교재{Textbook for Training Basic English Composition through Game Ap.}
본 발명은 게임 앱을 통한 기초영작 훈련교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영어회화에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즉석영작능력을 기르기 위하여 영문법을 새로운 체계로 배열한 게임 앱을 통한 기초영작 훈련교재에 관한 것이다.
우리의 영어교육은 영문법에 많은 비중을 두어왔다. 국내에 소개된 영문법 교재는 영미국가의 문법교재를 국어로 번역한 것들로서 우리가 잘 알 듯이 명사, 대명사, 관사, 동사, 동사의 시제, 부정사, 동명사, 분사, 조동사, 태, 법, 형용사, 비교급, 부사, 일치와 화법, 전치사, 접속사 등의 순서로 문법체계를 이루고 있다.
문법학습과 달리 영작훈련을 하는 경우에는 어김없이 문형의 기초로 알려진 문장의 5형식을 앞세우고 1형식의 완전자동사로부터 시작하여 5형식의 불완전타동사까지의 문형들을 차례로 훈련하고 있다.
이러한 문법체계와 영작훈련은 이미 영어로 자유로이 말하고 쓸 수 있는 원어민 학생들에게는 정확한 말과 글을 학습시키는데 적합하나 외국어로서의 영어를 습득해야 하는 우리에게는 영문법이 말하기와 쓰기에는 응용되기 어렵다. 그 결과 우리는 학교에서 10년 넘게 영어를 배우고서도 영어로 말하기를 어려워하고 심각한 영어공포증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영문법을 알지 못하면 영어로 의사 표현을 할 수 없다 그러나 문법만 알아서는 역시 영어로 말하기가 어렵다. 말하기나 듣기 훈련이 영어 공부의 주가 되어야 한다. 한국인이 취약한 영문법은 관사와 시제라고 하나 그보다는 오히려 영어의 유창성(fluency)이 문제라는 것이 ‘Grammar in Use’의 저자 레이먼드 머피의 지적이다.
쌍방이 영어로 대화를 나누는 영어회화는 능동적인 발화(發話)와 수동적인 수화(受話)로 이루어진다. 영어로 대화를 나눌 때 상대방의 말을 수화했으면 이에 호응하여 발화해야 하는데, 여기에는 문법에 맞는 문형을 구사해야 하므로 문법을 온전히 체득하는 것이 중요하다.
문법을 충분히 학습했음에도 불구하고 문법이 영작능력의 향상에 기여하기 어려운 것은 독해위주로 학습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독해위주가 아닌 영작위주로 학습하여 영작능력을 갖추었다 해도 상황에 따라 순발력 있게 응대해야하는 회화에서는 별로 도움이 되지 못한다.
영어 말하기의 유창성을 높이려면 우리의 언어구조와 잘 부합할 수 있는 영문법 체계로서 독해를 위한 문법이 아니라 영작을 위한 문법을 익혀야 하고 동형의 문형을 충분히 반복 훈련하여 머리에 기억되는 영어가 아니라 입의 근육에 기억되는 영어가 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자의 선출원 발명 10-2017-0106222호에서 새로운 문법체계를 제안한 바 있다. 본 발명자의 선출원 발명은 모든 문장이 be, do, 조동사 혹은 have 중의 하나와 다른 동사가 결합한 형태로 이루어진다는 전제아래 be 현재진행 문형, be 과거진행 문형, be 미래 문형, be 과거계획 문형, do 현재 문형, do 과거 문형을 차례로 학습하고, 이어서 부정사, 동명사, 사역동사, 지각동사, 조동사, have, 접속사의 문형을 순차적으로 학습하는 체계를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자는 선출원에서 제안한 문법체계를 게임 앱에 적용하는 과정에서 문법의 전개 순서가 적절치 아니하여 학습자에게 쉽게 전이되지 않는 것을 관찰하고 이를 해소한 영문법 체계를 모색한다.
영작에는 영문법의 학습이 필수적이지만 영작의 순발력과 유창성을 향상하는데는 기존의 영문법 체계로는 목적을 이루기가 거의 불가능하며 새로운 문법체계가 요구된다.
영작에는 영문법의 학습체계가 가장 중요하다. 그것은 영어가 자연스럽게 이해되어 우리의 언어체계와 쉽게 접목되는 영문법 학습체계를 말한다. 이러한 학습체계를 갖추면 다양한 상황에 적용될 수 있는 문형을 반복함으로써 영작의 순발력이 높아져 유창한 회화가 가능해진다.
본 발명은 영어 초심자나 영어를 다시 시작하려는 학습자를 위하여 종래의 교과서 방식의 학습이나 문법서 방식의 학습법을 탈피하고 새로운 체계로 회화의 전제가 되는 영작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단계별 학습체계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많은 교육실험을 통하여 한국인의 언어인식에 가장 적합한 학습모델을 도출한 것이다. 본 발명은 순발력 있는 영작능력을 기르기 위한 영문법 체계로서 정체된 영문법 지식을 새롭게 활성화시켜 유창성이 최고조로 발휘되게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가장 간단하면서도 사용빈도가 높은 문형으로 시작하여 차츰 다양하고 긴 문형으로 발전해나가도록 문법체계를 새롭게 편성하고자 한다. 그리고 학습한 문형을 다양하게 변형하여 충분히 반복훈련 함으로써 순발력과 유창성의 기초체력을 다지게 한다.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영작을 위한 학습문형을 동사중심으로 배열한 체계로서 선행과정(10)과 후속과정(20)으로 구성하되 선행과정(10)은;
명사와 대명사, 복수와 복수, 정관사와 부정관사를 학습하는 예비단계, be동사 현재문형을 훈련하는 1단계, be동사 과거문형을 훈련하는 2단계, 일반동사의 명령문과 평서문을 훈련하는 3단계, 일반동사의 현재진행형, 미래형, 과거형, 과거진행형, 과거계획형을 훈련하는 4단계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후속과정(20)은 부정사 및 동명사 문형을 학습하는 5단계, 조동사 문형을 학습하는 6단계, 가주어와 진주어 문형을 학습하는 7단계, 접속사 및 관계대명사 문형을 훈련하는 8단계, have가 포함된 문형을 훈련하는 9단계로 이루어진다.
각 단계는 제시어(1)와 영작문제(2), 영작답안(3)으로 구분하여 평서문, 의문문, 부정문, 부정의문문, 의문사의문문까지 순차적으로 변환하도록 구성하되 각각 동일유형의 문장이 20개 이상 배치된다.
본 발명은 교과서나 문법서의 학습체계를 해체하고 한국인의 언어인지능력에 부합하는 문법체계와 훈련과정을 통하여 영작의 순발력과 유창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도1는 본 발명의 각 단계의 예시도로서
(a)는 본 발명의 선행과정(10) 각 단계의 예시도
(b) 본 발명의 후속과정(20) 각 단계의 예시도
도2는 각 단계 문형의 5가지 변형문제 예시도
도3은 각 단계의 유창성 향상을 위한 연습문제의 실시예도로서,
(a)는 1단계 be동사 현재문형 연습문제의 실시예도
(b)는 2단계 be동사 과거부정문 연습문제의 실시예도
(c)는 3단계 일반동사 명령문 연습문제의 실시예도
(d)는 4단계 일반동사 미래평서문 연습문제의 실시예도이다.
본 발명은 영어의 초심자 또는 영어를 다시 시작하려는 학습자가 가장 간단한 문형으로부터 시작하여 점진적 문법적 단계를 거쳐 복잡한 문형까지 즉석에서 영작할 수 있는 영작능력 및 유창성을 훈련하기 위한 것으로, 게임 앱을 통하여 어디서라도 쉽게 접근하여 학습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본 발명은 선행과정(10)과 후속과정(20)으로 구성되어 있고 선행과정(10)은 예비단계와 1단계 내지 4단계로 나뉘어져 있다. 선행과정(10)은 본 발명의 핵심을 이루는 중요한 과정이며 후속과정(20)은 영어의 기본 골격이 완성된 후 보다 다양한 문장을 영작할 수 있는 발전과정이다.
먼저 선행과정(10)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예비단계는 명사와 대명사, 복수와 단수, 정관사와 부정관사 등 영어의 가장 기본이 되는 명사와 관련된 문법을 익힌다.
명사는 가장 원시적이고 기본적인 문장의 요소이다. 문장에서는 명사는 주어와 목적어, 보어의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점에서 영어의 2대 구성요소는 명사와 동사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것이 본 발명의 예비단계에서 명사를 다루는 이유이다.
예비단계로부터 시작되는 모든 단계는 도1(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어로 된 제시어(1)가 주어지고 다음 한글로 된 영작문제(2)가 주어진다. 그리고 학습자가 영작문제(2)를 영작한 후 확인 신호를 보내면 영작답안(3)이 화면에 나타나는 방식으로 학습이 이루어진다.
또한 예비단계로부터 시작되는 모든 단계는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서문, 의문문, 부정문, 부정의문문, 의문사 의문문으로 각각 20개 이상의 동일문형의 문장으로 영작을 훈련한다. 이러한 영작을 위한 훈련내용은 도3(a) 내지 (d)에 예시되어 있다.
도3(a) 내지 (d)에 예시된 훈련내용은 문법적으로 동일한 문형이지만 주어와 동사와 목적어 등을 다양하게 바꾸어서 어느 상황에서도 즉석에서 영작하여 발화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이러한 반복 및 응용훈련을 통하여 학습자는 문법지식이 머릿속에 머물지 않고 입에 기억되어 유창하게 말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게 된다.
1단계에서는 be동사 현재 문형을 익힌다. 동사는 크게 be동사와 일반동사로 구분되고 있는데 이것은 be동사의 비중과 특성이 얼마나 큰 것인지를 말해준다.
be동사는 일상생활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동사일 뿐만 아니라 인칭에 따라 그리고 주어의 단수, 복수에 따라 변화하므로 초심자들이 어려워한다.
더구나 be동사는 ‘I am a student’와 같이 자격을 나타내기도 하고, ‘You are here’와 같이 존재를 나타내기도 하며 ‘She is happy’와 같이 상태를 나타내기도 한다. 그러므로 예비단계를 마치면 1단계로 be동사 관련 문형을 익혀야 한다.
또한 1단계에는 ‘This is for lunch. What kind of books are those? What time is it?’과 같은 표현도 체계상 포함된다. 도3(a)는 1단계 be동사 현재문형 연습문제의 실시예도이다.
2단계에서는 be동사 과거 문형을 익힌다. 대화에서는 현재 문형 못지않게 과거문형이 사용되므로 과거문형을 익히는 것은 시급하다. 아울러 be동사가 ‘He was at home’과 같이 ‘존재’를 나타내는 경우를 표현할 수 있는 ‘in, at, beside, behind, on, under, over’ 등과 같은 장소에 관한 전치사도 함께 훈련하여 다양한 영작을 체험한다. 도3(b)는 2단계 be동사 과거부정문 연습문제의 실시예도이다.
3단계에서는 일반동사 문형을 익힌다. 사실 be동사 문형을 제외하면 모든 문장은 일반동사 문형이라고 할 수 있다. 일반동사 문형에서는 명령문과 평서문을 익힌다. 평서문에 일반동사는 ‘I do live here’와 같이 동사 앞에 do가 있다고 상정하고 단지 평서문에서는 do가 생략된다고 이해시킨다.
여기서도 일반동사에 따르는 전치사를 함께 익힌다. 도3(c)는 3단계 일반동사 명령문 연습문제의 실시예도이다.
4단계에서는 일반동사 문형 중 현재진행형, 미래형, 과거형, 과거진행형, 과거계획형의 문형을 익힌다. 여기서 be동사와 일반동사가 어울려 다양한 문형을 표현하게 되는 것을 체험할 수 있다. 도3(d)는 4단계 일반동사 미래평서문 연습문제의 실시예도이다.
물론 4단계도 앞의 모든 단계와 마찬가지로 현재진행형, 미래형, 과거형, 과거진행형, 과거계획형의 문형을 제시어(1)와 영작문제(2), 영작답안(3)의 형식에 따라 평서문, 의문문, 부정문, 부정의문문, 의문사 의문문을 동일문형의 문장 20개 이상으로 훈련한다.
이상과 같은 문법순서는 영문법과 영작훈련을 접목하는데 매우 긴요하다. 이러한 순서를 어기고 종래의 순서로 훈련한다면 국어와 영어의 구조가 서로 충돌하여 학습에 진전이 무척 더디고 학습에 대한 성취감이 급격히 하락한다.
선행과정(10)에서 영어의 기초체력을 다지고 나서 후속과정(20)에 진입한다. 제5단계에서는 부정사 및 동명사 문형을 익힌다. 부정사는 ‘to+동사원형’을 기본으로 하며 동사와 같은 의미지만 문장에서의 역할은 명사적 용법과 형용사적 용법, 부사적 용법으로 사용되므로 매우 중요한 문법적 기능을 갖는다.
부정사처럼 동사와 같은 의미지만 문장에서의 역할은 명사로 사용되는 동명사도 여기서 간과할 수 없는 역할을 한다. 그래서 부정사와 동명사를 함께 익히고 여기에 원형부정사 문형, 목적어로 동명사를 취하는 동사, 목적어로 부정사를 취하는 동사도 익히고 훈련한다.
6단계에서는 조동사 문형을 익힌다. 영화에서 조연이 없으면 주연이 제 역할을 다하지 못하듯 조동사를 익히지 않으면 be동사나 일반동사의 문형만으로는 다양한 생각과 느낌을 표현할 수 없다. 그래서 5단계의 부정사와 동명사를 익힌 후 필수적으로 조동사를 익히는 과정이 필요하게 된다.
7단계에서는 가주어와 진주어 문형을 익힌다. 이 문형은 주어가 길어졌을 때 간략히 정리하는 문형으로 흔히 ‘it~that문형’이라고도 말한다. 이 문형은 사용빈도가 매우 높고 유용하므로 6단계로 익히는 것이 가장 적절하다.
8단계에서는 접속사 및 관계대명사 문형을 익힌다. 이것은 중문과 복문의 문형으로 두 개의 문장을 하나로 엮어내는 기법이다. 보다 상세하고 다양하며 긴 내용을 유창하고 짜임새 있게 이야기하려면 중분과 복문의 영작훈련이 필수적이다. 여기에 관계부사나 결과를 나타내는 부사절 문형도 함께 익힌다.
9단계에서는 have가 포함된 문형을 익힌다. have동사는 특히 현재완료, 과거완료 등의 시제를 만드는데 필수적인 조동사이므로 일반 조동사와 분리하여 따로 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물론 9단계에서는 8단계까지의 문형이 포함되므로 자신이 하고 싶은 말을 유창하게 즉석에서 영작하여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게 된다.
10: 선행과정 20: 후속과정
1: 제시어 2: 영작문제 3: 영작답안

Claims (3)

  1. 영작을 위한 학습문형을 동사중심으로 배열한 체계로서 선행과정(10)과 후속과정(20)으로 구성하되 선행과정(10)은; 명사와 대명사, 복수와 복수, 정관사와 부정관사를 학습하는 예비단계, be동사 현재문형을 훈련하는 1단계, be동사 과거문형을 훈련하는 2단계, 일반동사의 명령문과 평서문을 훈련하는 3단계, 일반동사의 현재진행형, 미래형, 과거형, 과거진행형, 과거계획형을 훈련하는 4단계로 이루어진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앱을 통한 기초영작 훈련교재.
  2. 제1항에 있어서, 후속과정(20)은 부정사 및 동명사 문형을 학습하는 5단계, 조동사 문형을 학습하는 6단계, 가주어와 진주어 문형을 학습하는 7단계, 접속사 및 관계대명사 문형을 훈련하는 8단계, have가 포함된 문형을 훈련하는 9단계로 이루어진 게임 앱을 통한 기초영작 훈련교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각 단계는 제시어(1)와 영작문제(2), 영작답안(3)으로 구분하여 평서문, 의문문, 부정문, 부정의문문, 의문사의문문까지 순차적으로 변환하도록 구성하되 각각 동일유형의 문장이 20개 이상 배치된 게임 앱을 통한 기초영작 훈련교재.
KR1020180028721A 2018-03-12 2018-03-12 게임 앱을 통한 기초영작 훈련교재 KR201901074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8721A KR20190107451A (ko) 2018-03-12 2018-03-12 게임 앱을 통한 기초영작 훈련교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8721A KR20190107451A (ko) 2018-03-12 2018-03-12 게임 앱을 통한 기초영작 훈련교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7451A true KR20190107451A (ko) 2019-09-20

Family

ID=68067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8721A KR20190107451A (ko) 2018-03-12 2018-03-12 게임 앱을 통한 기초영작 훈련교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0745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0535B1 (ko) * 2019-12-19 2021-01-29 김종창 영어 학습 게임 진행 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0535B1 (ko) * 2019-12-19 2021-01-29 김종창 영어 학습 게임 진행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ivers Teaching foreign language skills
Salimova et al. Difficulties in the teaching of Russian as a foreign language: the perspectives of an ethnically Tatar specialist in Russian philology and an American student
Moghaddam et al. Teaching Pronunciation: The Lost Ring of the Chain.
Abdukahharovna PRIORITIES OF TEACHING THE RUSSIAN LANGUAGE IN SECONDARY SCHOOLS IN UZBEKISTAN
Musayeva Methodology of teaching the Russian language in Uzbek groups
Hao EFL teaching methods
Andayani Code-switching, a communication strategy in learning English
KR20190107451A (ko) 게임 앱을 통한 기초영작 훈련교재
Chiyembekezo et al. Teaching english speaking skills to L2 students using role-play method: What do teachers in Malawi say
Tulasi et al. A review of linguistic and communicative competence: an ESP approach
Słowik Listening in older second language learners: the teachers’ perspective
Obi et al. The Linguistic Dilemma for an Effective English Language Teaching Methods
Radić-Bojanić The Communicative Approach in Foreign Language Teaching
Yamagata et al. Image-based Basic Verb Learning through Learner-centred and Teacher-centred Approaches—A Case Study on Japanese EFL Junior High School Students
Wageeh Megria Promoting EFL fluency and Accuracy Skills of Secondary School Students Using Genre-Based Approach
Schaefer et al. The Art of Imitation: How to Use Outlines to Teach Rhetorical Prosody and Structure.
Neubauer L2 Chinese reading comprehension among beginning-level, K-12 learners: A literature review
KR20190021086A (ko) 영작회화 학습교재
Katz et al. TAs and grammar teaching: Beliefs, knowledge, and education
Markus et al. Language Policy Implementation in Latvian Pre-School: Latvian Language Skills of Minority Children
Guslyakova et al. TYPICAL SPEECH ERRORS MADE BY UNIVERSITY STUDENTS IN THE COURSE OF L2 ACQUISITION
Almeida et al. Language analysis-A case study
Wang Quality Input as a Key Factor i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Mokhira Activities for Developing Discourse Competence of B2 Level Students
Zeng et al.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EFL Learner Attitude Scale for Phonetic Symbol Learning in A Chinese University Contex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