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1086A - 영작회화 학습교재 - Google Patents

영작회화 학습교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1086A
KR20190021086A KR1020170106222A KR20170106222A KR20190021086A KR 20190021086 A KR20190021086 A KR 20190021086A KR 1020170106222 A KR1020170106222 A KR 1020170106222A KR 20170106222 A KR20170106222 A KR 20170106222A KR 20190021086 A KR20190021086 A KR 201900210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b
sentence
english
learning
convers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62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수
유병림
Original Assignee
김정수
유병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수, 유병림 filed Critical 김정수
Priority to KR10201701062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21086A/ko
Publication of KR201900210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10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3/0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teaching applian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G09B3/02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teaching applian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type wherein the student is expected to construc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ich is presented or wherein the machine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presented by a stud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작회화 학습교재에 관한 것으로 특히, do동사의 독립된 기능을 가르치고 일반동사와 be동사와 do동사의 결합표현법을 명확히 구분하여 영어의 기초와 회화에 필수적인 영작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창안된 영작회화 학습교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be동사와 일반 동사가 어울려 구성하는 Be동사 학습단계(10)로서, 제1문형: 현재진행형, 제2문형: 과거진행형, 제3문형: 미래형, 제4문형: 과거계획형의 4개 문형과, do동사와 일반 동사가 어울려 구성하는 Do동사 학습단계(20)로서, 제5문형: 현재형, 제6문형: 과거형의 2개 문형으로 이루어진 총 6개의 문형으로 영작 연습과정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작회화 학습교재이다.
제5문형 및 제6문형의 문장은 동사 앞에 do나 does, did가 배치된 것을 기본형으로 한다. 각 단계의 영작 연습과정은 부정문 만들기 문제, 의문문 만들기 문제, 부정의문문 만들기 문제, 의문사를 가진 의문문 만들기 문제 등의 문형 바꾸기로 구성되며, 각 단계의 영작 연습과정의 세부과정에는 채워 넣기 및/또는 해석하기, 바꿔 쓰기, 영작하기 등의 연습문제들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영작회화 학습교재는 가장 기본이 되면서도 가장 혼동을 겪는 be동사와 do동사가 다른 일반 동사와 어울려 표현하는 의미를 정확히 구별하고 이해한 후 철저히 숙달함으로써 영어의 기본 구조를 내면화하고, 어느 상황에서도 자신이 하고 싶은 말을 동시통역하듯이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영작회화 학습교재{Textbook for English Conversation through Composition}
본 발명은 영작회화 학습교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일반 동사를 사용함에 있어서 be동사와 독립된 do동사의 기능과 차이점을 명확히 구분하여 영어의 기초와 회화에 필수적인 영작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창안된 영작회화 학습교재에 관한 것이다.
우리는 반세기가 넘도록 영어교육에 많은 시간과 노력을 기울여왔다. 수많은 영어교과서와 문법책, 학습법이 저술되고 개발되었고 수많은 사람들이 해외어학연수를 다녀왔으며 모든 시험마다 영어가 매우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대부분 영어로 말해야 하는 상황을 두려워하고 있는 실정이다.
과거의 영어 학습은 주로 독해를 위한 것이었다. 따라서 문법은 정확히 영문을 해석하는데 필요한 것이었으므로 영작이나 회화와는 거리가 멀었다.
영어로 글을 쓰거나 말을 한다는 것은 단어와 숙어를 문법에 맞게 배열하여 문장을 만드는 일이다. 영작은 쓰기와 말하기의 핵심이므로 영작능력을 갖추지 못하면 글을 쓰지 못하며, 순간적으로 영작하는 능력을 갖추지 못하면 회화가 불가능하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그간 많은 노력으로 충분한 단어와 문법지식을 보유하고 있다. 하지만 문법은 주로 영어로 된 책이나 신문을 읽고 정확히 해독하는 데만 치중되어 왔다. 품사별 학습이나 5형식 학습의 문법에 묶여서 잘못된 문장을 식별할 수는 있으나 올바른 문장을 지어내지는 못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황을 극복하기 위하여 현재까지 개발된 영어회화 학습법 내지 학습교재는 크게 3가지로 나눌 수 있다.
도6에 예시한 상황별(situation) 학습법은 아무런 문법 지식이 없이도 바로 사용할 수 있는 유용한 표현을 익힐 수 있다. 하지만 자신이 처한 상황이 무수히 다양하여 대부분 교재에 제시된 상황과 부합하기가 어렵고 문장을 영작하기보다 암기해야 한다. 따라서 자신이 익히 알고 있는 표현만 사용할 뿐 하고 싶은 표현은 하지 못하므로 마치 어색한 상황극의 주인공이 된 느낌이 되고, 갈수록 암기해야할 양이 많아져서 중도에 포기하게 된다.
도7의 패턴(pattern) 학습법은 정형화된 중요 패턴 30개 내지 120개 정도를 선정하고 이에 부합하는 다양한 표현을 익히는 방식이다. 패턴 학습법은 상황별 학습법이 산만한 것과 달리 핵심이 되는 동일한 패턴의 문장들을 집중적으로 익힐 수 있다. 이러한 학습교재는 암기 효율은 높으나 상황에 맞는 표현을 하는 능력이 감소하여 자신이 익힌 패턴 내에서만 회화를 하게 되므로 역시 자기가 원하는 말을 표현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도8의 동사중심 영어회화 교재는 회화작문의 핵심인 동사에 주목하여 하나의 동사가 만들어내는 다양한 문장을 집중적으로 익히므로 초기에는 학습효과가 매우 높다. 그렇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중도 포기가 늘어난다. 그 까닭은 수많은 동사가 독립적으로 또는 be동사나 조동사, have동사와 결합하여 무수히 많은 문장을 생성하므로 갈수록 가속도가 붙지 않고 중과부적의 심정이 된다는 것이다. 그리하여 동사중심의 학습자들은 어쩔 수 없이 패턴학습으로 회귀하고 만다.
한편, 최근에는 동사를 중심으로 한 영작회화 학습프로그램이 나와 있다. 내용을 살펴보면 동사를 be동사와 일반 동사로 구분하고 있는데 be동사는 '이다, 있다'는 의미로 사용되는 경우로 한정하고 be동사가 다른 동사와 어울려 만들어내는 문형 즉, 'be 동사원형+ing' 나 'be going to + 원형동사'등은 일반 동사의 숙어(idiom)로 취급하고 있다. 그리고 문법을 6가지 법칙으로 학습하여 다양한 문형을 익히고 30가지 패턴학습으로 영어회화를 학습하는 방식이다. 하지만 이러한 학습프로그램도 위에서 언급한 패턴학습법과 동사중심 영어회화교재를 절충한 형태로서 be동사와 do동사가 명확히 구분되지 않는 단점이 그대로 남아 있다.
본 발명자는 한국인이 영어에 쉽게 말문이 열리지 않는 이유를 탐구한 결과 놀랍게도 아주 사소한데 그 원인이 있음을 발견하였다.
첫째; do동사 용법의 모호성이다.
모든 영어의 문장에서 일반 동사와 결합하여 사용될 수 있는 동사는 반드시 be동사, do동사, 조동사, have동사의 4가지 중 하나를 포함한다. 다만 be동사와 do동사는 조동사, have동사와 달리 일반 동사로도 사용될 수 있다.
조동사는 반드시 일반 동사와 결합하여 사용되는 것이 원칙이다. 기존의 영문법체계에서는 do동사를 조동사에 포함시켜서 일반 동사의 평서문, 의문문, 부정문을 만들 때 사용한다고 설명하고 있다. 하지만 do는 일반 동사로 사용되기도 하므로 품사의 관점에서 모호한 상태에 있다. 또한 일반 동사와 함께 사용되는 do는 평서문에서는 생략이 되고 강조하는 문장에서는 그대로 사용된다. 따라서 이렇게 여러 가지 용법을 가진 do의 역할을 분명히 이해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be동사처럼 do도 조동사가 아니라 하나의 독립된 동사로 분류해서 학습하도록 해야 설득력을 갖게 된다.
둘째; be동사와 do동사가 적용되는 문장의 구분 및 숙달부족이다.
영어문장을 영작할 때 우리말의 동사적 표현은 일반 동사와 be동사를 결합하여 사용하는 표현법 4가지 그리고 일반 동사와 do동사를 결합하여 사용하는 표현법 2가지 중 어느 한 가지로 표현되는 것이 가장 기본 형태이다. 그러나 do동사를 조동사에 포함시켜 학습하는 체계에서는 이 6가지 문형 중 어느 것을 적용하여 영작할지가 분명하지 아니하므로 이 6가지 문형을 가지고 표현할 수 있는 기본회화를 즉각적으로 판별하여 영작하기가 어려운 것은 당연하다.
일반 동사와 be동사 또는 do동사가 어우러져 표현되는 6가지 문형 가운데서 하나를 즉각 선택하여 영작하는 훈련을 충분히 한 후 그 다음에 일반 동사의 사용법인 to부정사, 동명사, 사역동사, 지각동사 등과 간접의문문, 접속사 등으로 확장해가면 보다 긴 문장을 영작할 수 있는 능력이 생긴다. 그러므로 be동사와 do동사가 적용되는 기본문장에 대한 충분하고 반복적인 숙달이 필수적이다.
본 발명은 가장 기본이 되는 동시에 가장 혼란을 겪고 있는 일반 동사에 be동사와 일반 동사가 어우러진 문장과 do동사와 일반 동사가 어우러진 문장을 함께 집중적으로 연습하여 be동사와 do동사의 사용법을 명확히 구분되게 하는 것을 핵심 과제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be동사와 일반 동사가 어울려 구성하는 Be동사 학습단계(10)로서, 제1문형: 현재진행형, 제2문형: 과거진행형, 제3문형: 미래형, 제4문형: 과거계획형의 4개 문형, 그리고 do동사와 일반 동사가 어울려 구성하는 do동사 학습단계(20)로서, 제5문형: 현재형, 제6문형: 과거형의 2개 문형으로 이루어진 총 6개의 문형으로 영작 연습과정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작회화 학습교재이다.
제5문형 및 제6문형의 문장은 일반 동사 앞에 do나 does, did가 배치된 평서문을 기본형으로 한다.
각 단계의 영작 연습과정은 부정문 만들기 문제(21), 의문문 만들기 문제(22), 부정의문문 만들기 문제(23), 의문사의문문 만들기 문제(24) 등의 문형 바꾸기 문제로 구성된다.
각 단계의 영작 연습과정의 세부과정에는 채워 넣기 문제(30) 및/또는 해석하기 문제(31), 바꿔 쓰기 문제(32), 영작하기 문제(33) 등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영작회화 학습교재는 가장 기본이 되면서도 가장 혼동을 겪는 어려움 즉, be동사와 do동사가 일반 동사와 어울려 표현하는 의미를 정확히 구별하고 적용하는 능력을 숙달함으로써 영어문장의 기본 구조를 내면화하고, 어느 상황에서도 자신이 하고 싶은 말을 동시통역하듯이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문법을 배운 후 독해를 하는 종래의 학습방법과 달리 영작을 하면서 영작에 필요한 문법을 그때그때 배우고 즉시 적용함으로써 문법을 회화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개략적 구성도
도2는 본 발명의 be동사에 관한 설명도
도3은 본 발명의 do동사에 관한 설명도
도4는 본 발명의 문형 바꾸기 연습문제의 예시도
도5는 본 발명의 영작 연습문제의 예시도
도6은 종래의 상황별 영어회화 교재의 예시도
도7은 종래의 패턴 영어회화 교재의 예시도
도8은 종래 동사 중심 영어회화 교재의 예시도
도9는 본 발명의 기본 문형만으로 작성해본 일기의 예시도이다.
영어에서 문장의 성격을 결정하는 요소가 동사이다. 그중 가장 중요하고 많이 쓰이면서 혼동하기 쉬운 be와 do가 일반 동사와 결합하여 형성하는 6가지 문형이 본 발명의 핵심이다.
도2 제2항에서 보는 바와 같이 be동사가 홀로 쓰일 때의 본래 의미는 '이다, 있다'이다. 이러한 의미로 쓰이는 문장은 매우 단순하므로 이해하기 쉽다. 그리고 도3 제2항에서 보는 바와 같이 do동사가 홀로 쓰일 때의 본래 의미는 '하다'이다. 이러한 의미로 쓰이는 문장도 매우 단순하므로 이해하기 쉽다.
문제는 be동사와 do동사가 일반 동사와 어울려 사용되었을 경우이다. 구별이 숙달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영어의 be동사와 do동사 중 어느 것을 적용할지 망설이게 된다. 그래서 본 발명은 도1에 예시한 바와 같이 be동사와 do동사가 일반 동사와 어울려 만들어내는 문장의 유형 6가지를 제시한다.
6가지 문형 중 현재진행형은 현재 하고 있는 행동을 표현하는 것이고 과거진행형은 이미 해버린 행동을 표현하는 것이며, 미래형은 앞으로 하고자 하는 행동을 표현하는 것이고 과거 계획형은 과거에 계획했으나 하지 못한 상황을 표현하는 것이다.
우선 be동사와 일반 동사로 자기의 생각을 표현할 때 먼저 Be동사 학습단계(10)의 제1문형과 제2문형을 즉각적으로 구별하여 영작할 수 있도록 충분히 연습한다. 2가지 문형의 연습문제를 3초안에 구별하여 영작할 수 있을 때 다음 단계인 제3문형과 제4문형의 연습문제를 3초안에 구별하여 영작할 수 있도록 연습한다.
이러한 훈련은 교재로 혼자 연습할 수도 있고 교사가 질문하고 학생이 대답하는 식으로 학습을 진행할 수 있다. 혼자 교재로 연습하는 경우라도 눈으로 책을 보는 것보다 우리말로 된 문장들을 녹음한 후 3초안에 영작할 수 있도록 연습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 다음으로 4가지 문형 중에서 어느 것을 선택하여 3초 안에 구별하여 영작할 수 있도록 충분히 연습한다. 4가지 문형의 연습문제를 구별하여 3초 안에 영작할 수 있게 되면 Do동사 학습단계(20)인 제5문형과 제6문형의 연습으로 들어간다.
Do동사 학습단계(20)의 2가지 문형을 3초 안에 구별하여 영작할 수 있으면 기본문형에 대한 연습은 끝난 셈이다. 다만 확실한 마무리를 위하여 6개 문형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3초 안에 영작을 하도록 훈련하면 영어의 기본 틀이 갖춰져서 글쓰기 영작은 물론 회화영작도 가능해진다.
이러한 일련의 연습과정이 끝나면 성격상 Be동사 학습단계(10)에 속하는 제7문형: 미래진행형과 제8문형: 과거계획진행형을 부가적으로 연습하여 영어의 본틀을 최종적으로 점검하고 완성시킨다.
제7문형의 문장을 예로 든다면 "I am going to be studying. (나는 공부하고 있을 것이다)이고 제8문형의 문장을 예로 든다면 I was going to be studying. (나는 공부하고 있으려고 했다)"이다.
성격상 Be동사 학습단계(10)에 속하는 제7문형: 미래진행형과 제8문형: 과거계획진행형을 Do동사 학습과정(20) 이후에 투입하는 것은 이러한 문형들은 비교적 사용빈도가 적어서 do동사 학습과정을 마친 후 투입하는 것이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각 단계의 영작 연습과정은 도4에 예시한 바와 같이 평서문에서 부정문 만들기, 의문문 만들기, 부정의문문 만들기, 의문사를 가진 의문문 만들기 등의 문형 바꾸기 과정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하나의 평서문을 자유자재로 변형할 수 있는 능력이 길러진다. 연습은 통상 7회 이상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 단계의 영작 연습과정은 도5에 예시한 바와 같이 채워 넣기(30) 및/또는 해석하기(31), 바꿔 쓰기(32), 영작하기(33) 등의 연습문제들로 구성되어 있다. 이것은 난이도와 발전단계에 적합하도록 훈련단계를 세분한 것이므로 학습자가 연습에 수월하게 적응할 수 있도록 하는 배려이다. 연습은 통상 7회 이상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영어의 기본 틀이 완성된 후에는 조동사와 have동사, to부정사, 동명사, 접속사 등을 차례로 익히게 되는데 이러한 후속과정들은 기본 틀이 완성된 후이므로 즉석에서 자기의 생각과 느낌을 영작하여 표현할 수 있다.
이러한 훈련과정을 통하여 be동사와 do동사의 용법을 확실히 구별하게 되므로 학습자는 'I am studying English.'와 'I do study English.'를 자유자재로 바꾸고 구별하여 구사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게 된다.
기억해야 할 것은 be동사와 다른 동사가 어울려 만드는 문장과 조동사 및 Have동사와 다른 동사가 어울려 만드는 문장을 제외하면 모든 문장은 do동사와 다른 동사가 어울려 만드는 문장이라는 것이다. 그러므로 도3에 예시했듯이 평서문에서는 do동사 바로 뒤에 다른 동사가 오는 경우에만 예외적으로 do동사를 생략할 수 있다고 이해하면 된다.
이와 같이 do를 조동사로 보지 않고 독립된 동사로 파악함으로써 do가 일반 동사의 역할과 더불어 평서문과 강조문, 의문문, 부정문을 만드는 역할을 하는 경우를 연습하게 되므로 do동사로 인한 혼란이 깨끗이 정리될 수 있다.
끝으로 본 발명의 6가지 문형만 익혀도 충분히 일기를 작문할 수 있는데 그 예시가 도8이다.
10: Be동사 학습단계 20: Do동사 학습단계
21: 부정문 만들기 문제 22: 의문문 만들기 문제
23: 부정의문문 만들기 문제 24: 의문사의문문 만들기 문제
30: 채워넣기 문제 31: 해석하기 문제
32: 바꿔쓰기 문제 33: 영작하기 문제

Claims (4)

  1. be동사와 일반 동사가 어울려 구성하는 be동사 학습단계(10)로서,
    제1문형: 현재진행형,
    제2문형: 과거진행형,
    제3문형: 미래형,
    제4문형: 과거계획형, 그리고
    do동사와 다른 동사가 어울려 구성하는 do동사 학습단계(20)로서,
    제5문형: 현재형,
    제6문형: 과거형
    등의 2개 문형으로 이루어진 총 6개의 문형으로 영작 연습과정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작회화 학습교재.
  2. 제1항에 있어서, 제5문형 및 제6문형의 문장은 일반 동사 앞에 do나 does, did가 배치된 것을 기본형으로 하는 영작회화 학습교재.
  3. 제1항에 있어서, 영작회화 학습교재. 각 단계의 영작 연습과정은 부정문 만들기 문제(21), 의문문 만들기 문제(22), 부정의문문 만들기 문제(23), 의문사의문문 만들기 문제(24) 등의 문형 바꾸기 문제로 구성된 영작회화 학습교재.
  4. 제1항에 있어서, 각 단계의 영작 연습과정의 세부과정에는 채워 넣기 문제(30) 및/또는 해석하기 문제(31), 바꿔 쓰기 문제(32), 영작하기 문제(33) 등으로 구성된 영작회화 학습교재.
KR1020170106222A 2017-08-22 2017-08-22 영작회화 학습교재 KR201900210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6222A KR20190021086A (ko) 2017-08-22 2017-08-22 영작회화 학습교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6222A KR20190021086A (ko) 2017-08-22 2017-08-22 영작회화 학습교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1086A true KR20190021086A (ko) 2019-03-05

Family

ID=65760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6222A KR20190021086A (ko) 2017-08-22 2017-08-22 영작회화 학습교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2108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09651A1 (ko) * 2019-04-10 2020-10-15 박광준 영어 학습 제공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09651A1 (ko) * 2019-04-10 2020-10-15 박광준 영어 학습 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damson English with Chinese characteristics: China's new curriculum
Diana Communicative language teaching and its misconceptions about the practice in English language teaching (ELT)
Spicer-Ecalante et al. Cultural Mismatch in Pedagogy Workshops: Training Non-Native Teachers Communicative Language Teaching
Jabborova PROBLEMS TO LEARN LANGUAGES
Alshumaimeri English language teaching in Saudi Arabia: An introduction
Mirzayunusova Methods of Teaching Dialogic Speech to Students in Uzbek Schools
Hao EFL teaching methods
Anh The Current State of the Art in the Teaching of Grammar At Vietnamese High Schools.
Tchudi et al. Taking the grrr out of grammar
KR20190021086A (ko) 영작회화 학습교재
Fathi A theory of teaching english language in higher education to improve English language social and communicative contexts
Pfeiffer et al. Improving academic writing through expressive writing
Gardner Counting words: Successful sentences for beginning ESL adult learners using the product approach
KR20190107451A (ko) 게임 앱을 통한 기초영작 훈련교재
Syafii BACK and DRAW activities for improving writing skills
Fahmida Bangladeshi tertiary level students' common errors in academic writing
Jia Chinese immersion language education
Al-Khatib et al. Difficulties that Arab students face in learning English research project
Radić-Bojanić The Communicative Approach in Foreign Language Teaching
Mahardika et al. Grammatical Errors in English Descriptive Essay: Indonesian Case
Mohammed The effectiveness of smart board activities in developing international primary stage pupils’ EFL grammar and motivation
Zeng et al. METHODS AND PRINCIPLES OF MODERN CHINESE LEARNING
Tungkaburana Demystifying English Simple Past Tense: A Thai Teachers’ Guide to Teaching English Simple Past Tense to Thai Adult Learners
Thonginkam Failure of the English language education in Thailand
NHUE Teaching grammar for EFL learners in Vietnam universit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