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7381A - 가발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가발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7381A
KR20190107381A KR1020180028571A KR20180028571A KR20190107381A KR 20190107381 A KR20190107381 A KR 20190107381A KR 1020180028571 A KR1020180028571 A KR 1020180028571A KR 20180028571 A KR20180028571 A KR 20180028571A KR 20190107381 A KR20190107381 A KR 201901073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base sheet
wig
adhesive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85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24131B1 (ko
Inventor
제희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소피안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소피안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소피안코리아
Priority to KR10201800285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4131B1/ko
Publication of KR201901073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73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41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41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3/00Wigs
    • A41G3/0075Methods and machines for making wig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3/00Wigs
    • A41G3/0041Bases for wigs
    • A41G3/005Bases for wigs made of a net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발의 제조방법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매듭이 보이지 않고 모발의 방향을 자연스럽게 조절할 수 있어 실제 모발과 같은 느낌을 부여함과 아울러 스타일 변경이 가능하며, 제작 공정을 기계화하여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하고 비용을 절감하도록 하는 가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가발의 제조방법 {MANUFACTURING METHOD OF WIG}
본 발명은 가발의 제조방법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매듭이 보이지 않고 모발의 방향을 자연스럽게 조절할 수 있어 실제 모발과 같은 느낌을 부여함과 아울러 스타일 변경이 가능하며, 제작 공정을 기계화하여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하고 비용을 절감하도록 하는 가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발은 가발 캡의 베이스가 되는 인조피부나 레이스에 인모나 인조모로 V자 형태 또는 매듭을 형성하는 너팅(knotting) 방식을 통해 주로 만들어진다.
이러한 너팅 방식은 한 올씩 수작업으로 행해지기 때문에 올이 잘 풀리지 않고 자연스러운 연출이 가능하기는 하나, 모발의 방향(가르마) 조절이 어려운데다가 매듭이 노출되어 가발 표시가 나며, 또한 작업에 시간이 오래 걸리고 가격이 상승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작업 시간을 줄이기 위해 두올 이상씩 너팅을 할 경우에는 매듭이 더욱 커지기 때문에 외관이 저하될 우려가 있었다.
이로 인해 매듭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실제 머리카락 같은 느낌이 나도록 매듭 부위의 상부나 하부에 네트를 적층하는 작업이 행해지나, 이러한 작업은 시간이 많이 걸리고 비용도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여전히 남아 있었다.
또한 이와 같은 종래의 너팅 방식으로 가르마 형태를 만들기는 쉬우나 가르마 방향을 자연스럽게 바꾸기에는 제한이 있었다.
이에 따라 가발의 외관을 양호하게 하고 모발의 방향을 자연스럽게 조절하는 여러 가지 방법이 개발되고 있는 있는바,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가발 캡의 품질 개선을 지속하면서 작업성 및 생산성을 더욱 향상하도록 하는 방법을 연구하기에 이르렀다.
한국 특허등록 제1242682호 "가발용 캡 성형장치 및 캡 성형방법" (2013.03.06) 한국 특허등록 제1516868호 "이중 삽입 구조의 모발이 적용된 가발 및 제작방법" (2015.04.24) 한국 실용신안공개 제2010-79호 "기계에 의한 식모 방식에 의해 제조된 모노필라멘트 네트부착 가발" (2010.01.0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매듭이 노출되지 않아 외관이 양호하고 모발의 방향 조절이 가능하여 실제 머리카락과 같은 느낌이 나도록 함과 아울러 기계화 작업에 의해 비용 및 시간을 절감하고 생산성을 더욱 향상하도록 하는 가발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발의 제조방법은, ⒜ 수지 시트 상면에 액상 수용성 접착제에 의해 네트를 가고정하여 모발 식모를 위한 베이스 시트를 제작하는 단계; ⒝ 다수가 일렬 배치된 바늘이 구비된 식모 기계를 이용하여 베이스 시트에 모발을 일자 형태로 식모하는 단계; ⒞ 베이스 시트의 표면에 돌출된 모발의 단부를 절단하는 단계; ⒟ 베이스 시트 표면의 절단 부위에 고정용 접착제를 도포하여 모발을 본딩하는 단계; 및 ⒠ 수지 시트와 네트를 가고정하는 액상 수용성 접착제를 제거하고 이들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발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베이스 시트를 제작하는 방법을 개선함으로써 외부에서 매듭이 보이지 않고 실제 발모 상태와 유사한 형상을 나타낼 뿐 아니라 모발에 풍성한 볼륨감을 부여하며, 모발의 방향 조절이 가능하여 스타일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 것이다.
또한 베이스 시트에 대한 모발의 부착력을 높여 품질을 향상하고 제품 수명을 증대할 수 있으며, 식모 작업의 기계화를 통해 작업성 및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데다가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발의 제조공정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에 있어서 본 발명의 구성을 이루는 각각의 고분자 수지는 약어로 기재하기로 한다. 예컨대, 폴리우레탄(Polyurethane)은 PU 등과 같이 기재한다.
아울러, 하기 설명에서 베이스 시트의 하부(표면)이라 함은 사용자의 두피가 접하는 면이고, 베이스 시트의 상부(내면)는 겉으로 드러난 모발 형성 부위를 가리킨다.
본 발명에 따른 가발의 제조방법은, 베이스 시트 제작 단계; 식모 단계; 절단 단계; 본딩 단계; 및 PVA 접착제 제거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와 같은 구성으로 된 가발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베이스 시트 제작
모발 식모를 위한 베이스 시트를 제작하는 단계이다.
우선, 기재층인 열가소성 수지 또는 열경화성 수지 시트의 상면에 네트(NET)를 부착하여 가발 캡을 만드는 베이스 시트를 제작한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시트로는 폴리우레탄(Polyurethane, PU),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hermoplastic Polyurethane, TPU) 등이 사용되고, 열경화성 수지 시트로는 실리콘 등이 사용된다.
이때, 수지 시트와 네트를 가고정하는 접착제로는 액상 수용성 접착제, 바람직하게는 폴리비닐 알코올(Polyvinyl Alcohol, PVA) 접착제가 사용되는바, 즉 PVA 입자를 액화하고 이를 수지 시트 상부에 적층된 네트의 상부에 도포하며, 상기 접착제가 네트에 스며들면서 수지 시트와 네트를 부착한다.
또한 네트가 부착된 상기 수지 시트의 하면(상기 네트가 부착된 반대 측면)에도 네트가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네트는 피부 접촉감을 좋게 하고 외관을 향상하는 역할을 하며, 이러한 네트는 기능성 소재를 사용하여 두피에 접촉 시 냉감을 주도록 하거나 항균 기능을 부여할 수도 있다.
[2] 식모
베이스 시트에 모발을 식모하는 단계이다.
후크가 형성되고 다수의 바늘이 구비된 식모 기계를 이용하여 상기 [1] 과정에서 얻어진 베이스 시트에 일자 형태로 식모 작업을 행한다.
즉, 모발이 베이스 시트 하부(표면)에 위치한 상태에서 바늘이 베이스 시트를 관통하고 후크에 모발이 걸린 상태로 베이스 시트 상부(내면)로 끌어올려지면서 수직으로 일자 형태로 식모가 이루어진다. 또는 후크에 모발이 걸린 상태에서 바늘이 베이스 시트를 관통하여 모발이 베이스 시트 하부로 끌어내려지면서 식모가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바늘은 다수가 일렬로 배치되거나 또는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고, 가로 또는 세로방향으로 반복적으로 작동되면서 식모 작업을 행하게 되며, 이때 지그재그 형태로 된 식모 기계를 이용하게 되면 좀 더 자연스러운 발모 상태를 나타낼 수 있음과 아울러 모발의 간격을 더욱 좁힐 수 있게 된다.
또한 바늘의 간격 조절을 통해 모발의 식모 간격을 조절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기계 작업에 의해 식모가 신속하게 이루어지는데다가 베이스 시트의 상부(내면)에는 매듭 없이 모발이 일자 형태로 식모된다.
[3] 절단
베이스 시트의 표면을 정리하는 단계이다.
상기 [2] 과정을 통해 베이스 시트에 식모 작업이 완료되면 베이스 시트 하부(표면) 밖으로 돌출된 각 모발의 단부를 절단하여 상기 표면이 매끄러워지도록 한다. 이에 따라 후공정을 거쳐 완성된 가발을 착용 시 사용자가 두피에 이질감을 느끼지 않고 부드러운 착용감을 갖도록 한다.
이때, 모발의 단부 일부를 베이스 시트 표면 외부로 돌출되도록 절단할 수도 있으며, 이는 후공정에서 모발의 접착력을 더욱 견고하게 하기 위해서이다.
[4] 본딩
베이스 시트에 모발을 견고하게 고정하는 단계이다.
상기 [3] 과정에서 행해진 베이스 시트 하부의 절단 부위면에 고정용 접착제를 도포하여 베이스 시트에 부착된 모발을 견고하게 고정 결합한다.
이때, 상기 고정용 접착제는 베이스 시트의 소재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되는바, 예컨대, 베이스 시트가 PU 또는 TPU인 경우에는 PU 접착제가 사용되는데, 이는 베이스 시트가 PU인 경우 접착제로서 실리콘을 사용하게 되면 건조 과정에서 물이 나올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베이스 시트가 실리콘인 경우에는 실리콘 접착제가 사용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고정용 접착제가 네트 측으로 스며들어 경화되면서 네트 부분이 모발의 뿌리를 잡아주는 역할을 하며, 베이스 시트에 부착된 모발이 견고하게 고정됨에 따라 후공정을 거쳐 완성된 가발을 착용 후 손가락으로 모발을 쓸어 넘기거나 빗으로 빗질을 할 때 모발이 베이스 시트로부터 이탈하지 않아 안정적인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3] 과정에서 모발의 단부 일부(돌출부)를 남겨두고 절단한 경우 상기 돌출부를 헤라와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베이스 시트 하부(표면) 측으로 밀어서 부착함으로써 베이스 시트에 대한 모발의 접착력을 높일 수 있게 된다.
[5] PVA 접착제 제거
베이스 시트 내부의 접착제를 제거하는 단계이다.
상기 [1] 과정에서 베이스 시트를 구성하는 수지 시트와 네트를 가고정하는 PVA 접착제를 제거한다.
즉, [4] 과정에서 얻어진 모발이 결합된 베이스 시트를 물에 침지하여 수지 시트와 네트를 가고정하는 PVA 접착제를 녹여 제거한다. 이는 PVA 접착제가 포함된 상태의 가발 캡을 사용 시 딱딱하고 뻣뻣한 질감이 나타나며 자연스러운 굴곡이 만들어지지 않을 뿐 아니라 머리 형상에 맞추기도 어렵기 때문이다.
또한 가발을 착용한 상태에서 두발을 세척 시 샴푸나 린스에 녹기 때문에 이를 사전에 제거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베이스 시트와 네트에 도포된 PVA 접착제를 신속하면서도 완전하게 제거하기 위해서는 상기 베이스 시트를 침지하는 물의 온도는 35~40℃로 설정함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베이스 시트의 상부에 식모된 모발과 모발 사이 즉, 사용자가 가발을 착용 시 겉으로 드러나는 부위에 얼룩이 발생할 염려 없이 깨끗한 상태를 가질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PVA 접착제가 제거된 후에는 베이스 시트 내부 즉, 수지 시트와 네트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면서 모발의 뿌리를 세워주는 효과가 있어 풍성한 볼륨감을 줄 수 있게 된다.
상기 일련의 과정을 통해 제조된 가발은 모장, 컬링, 염색 등의 정모 작업을 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가발은 사용자의 발모 상태 등의 조건에 따라 부분 가발로 두피에 바로 부착하여 사용되거나 또는 전체 가발의 일부로서 네트의 일부에 부착하여 사용되기도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다른 가발을 부분 가발로 사용 시 주로 가르마 부분에 적용되는바 즉, 가르마를 기준으로 머리의 좌측이나 우측 부위에 착용하고, 이외에도 탑 부분에 적용할 수도 있으며, 어느 부분에 착용하더라도 가르마의 방향을 쉽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자유롭게 스타일을 변경할 수 있게 된다.

Claims (6)

  1. ⒜ 수지 시트 상면에 액상 수용성 접착제에 의해 네트를 가고정하여 모발 식모를 위한 베이스 시트를 제작하는 단계;
    ⒝ 다수의 바늘이 구비된 식모 기계를 이용하여 베이스 시트에 모발을 수직방향으로 일자 형태가 되도록 식모하는 단계;
    ⒞ 베이스 시트의 표면에 돌출된 모발의 단부를 절단하는 단계;
    ⒟ 베이스 시트 표면의 절단 부위에 고정용 접착제를 도포하여 모발을 본딩하는 단계; 및
    ⒠ 수지 시트와 네트를 가고정하는 액상 수용성 접착제를 제거하고 이들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발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 단계에서, 수지 시트는 폴리우레탄 또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중에서 선택되는 열가소성 수지이거나 또는 실리콘 수지를 포함하는 열경화성 수지가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발의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 단계에서, 수지 시트의 하면에 네트가 추가로 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발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 단계에서, 고정용 접착제는 수지 시트가 폴리우레탄 또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일 경우에는 폴리우레탄 접착제가 사용되고, 실리콘 수지일 경우에는 실리콘 접착제가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발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 단계에서, 베이스 시트를 온도 35~40℃의 물에 침지하여 액상 수용성 접착제를 녹여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발의 제조방법.
  6.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 단계 및 ⒠ 단계에서, 액상 수용성 접착제는 폴리비닐 알코올 접착제가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발의 제조방법.
KR1020180028571A 2018-03-12 2018-03-12 가발의 제조방법 KR1020241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8571A KR102024131B1 (ko) 2018-03-12 2018-03-12 가발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8571A KR102024131B1 (ko) 2018-03-12 2018-03-12 가발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7381A true KR20190107381A (ko) 2019-09-20
KR102024131B1 KR102024131B1 (ko) 2019-09-23

Family

ID=68067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8571A KR102024131B1 (ko) 2018-03-12 2018-03-12 가발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41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4184B1 (ko) * 2019-10-18 2020-03-03 홍종선 가발의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23646A (ja) * 1998-05-07 1999-11-26 Art Nature:Kk 分け目自在かつら
KR20100000079U (ko) 2008-06-25 2010-01-06 상영무역주식회사 기계에 의한 식모 방식에 의해 제조된 모노필라멘트 네트부착 가발
KR101242682B1 (ko) 2010-07-16 2013-03-12 김관진 가발용 캡 성형장치 및 캡 성형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23646A (ja) * 1998-05-07 1999-11-26 Art Nature:Kk 分け目自在かつら
KR20100000079U (ko) 2008-06-25 2010-01-06 상영무역주식회사 기계에 의한 식모 방식에 의해 제조된 모노필라멘트 네트부착 가발
KR101242682B1 (ko) 2010-07-16 2013-03-12 김관진 가발용 캡 성형장치 및 캡 성형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4184B1 (ko) * 2019-10-18 2020-03-03 홍종선 가발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4131B1 (ko) 2019-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83551B2 (ja) かつら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6132072A (ja) スキン網を用いた毛の手編方法及びこれにより製造された鬘
KR100598708B1 (ko) 착용자의 자모 활용형 가발 및 그 제조방법
JP4883554B2 (ja) 増毛具及びその製造方法
US2907334A (en) Hairpiece and method of making
US3868959A (en) Hair supporting element for a weftless or regular wig
KR940008157B1 (ko) 캡이 없는 외줄 웨프트 가발과 그 제조방법
KR102024131B1 (ko) 가발의 제조방법
CN104264393B (zh) 浮雕绣品的制作工艺
KR20100000079U (ko) 기계에 의한 식모 방식에 의해 제조된 모노필라멘트 네트부착 가발
CN105946071A (zh) 一种竹编提篮的制作方法
JP4883584B2 (ja) 自毛活用型かつら
JP2005325508A (ja) 自毛活用型かつら
JP6374667B2 (ja) かつら、かつらの製造方法及び毛髪セット
JP4753400B2 (ja) 自毛活用型かつら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00120024A (ko) 가발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가발
KR101852873B1 (ko) 가발과 그 매듭방법 및 가발의 제작방법
JP2009084772A (ja) かつら
KR101410091B1 (ko) 가발의 모발 식모방법
KR20070047006A (ko) 가발의 제조방법 및 그 가발
KR100538428B1 (ko) 천연 또는 인조 모피를 이용한 인형용 가발의 제조방법
US1635099A (en) Wig
KR101273758B1 (ko) 원단 재질의 쌍거풀 겸용 인조 속눈썹 및 그 제조방법
JP4756689B2 (ja) 毛髪植設方法及びかつら
KR20080022323A (ko) 증모용 가발의 부착방법 및 증모용 가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