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7269A - Lng 를 이용하는 선박용의 lng 기화 장치 및 기체 윤활 시스템, 그리고, lng 를 이용하는 선박의 운전 방법 - Google Patents

Lng 를 이용하는 선박용의 lng 기화 장치 및 기체 윤활 시스템, 그리고, lng 를 이용하는 선박의 운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7269A
KR20190107269A KR1020190020250A KR20190020250A KR20190107269A KR 20190107269 A KR20190107269 A KR 20190107269A KR 1020190020250 A KR1020190020250 A KR 1020190020250A KR 20190020250 A KR20190020250 A KR 20190020250A KR 20190107269 A KR20190107269 A KR 201901072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ng
gas
supply line
gas supply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0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53302B1 (ko
Inventor
?이치 이케스에
겐지 나카미치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1072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72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33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33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32Other means for varying the inherent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of hulls
    • B63B1/34Other means for varying the inherent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of hulls by reducing surface friction
    • B63B1/38Other means for varying the inherent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of hulls by reducing surface friction using air bubbles or air layers gas filled volu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5/1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 B63B25/16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heat-insul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1/38Apparatu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use on marine vessels, for handling power plant or unit liquids, e.g. lubricants, coolants, fuel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1/00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 F02M21/02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for gaseous fuels
    • F02M21/0203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for gaseous fue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gaseous fuel
    • F02M21/0215Mixtures of gaseous fuels; Natural gas; Biogas; Mine gas; Landfill g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1/00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 F02M21/02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for gaseous fuels
    • F02M21/06Apparatus for de-liquefying, e.g. by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5/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 F02M25/08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adding fuel vapours drawn from engine fuel reservo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9/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charging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rom vessels not under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32Other means for varying the inherent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of hulls
    • B63B1/34Other means for varying the inherent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of hulls by reducing surface friction
    • B63B1/38Other means for varying the inherent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of hulls by reducing surface friction using air bubbles or air layers gas filled volumes
    • B63B2001/387Other means for varying the inherent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of hulls by reducing surface friction using air bubbles or air layers gas filled volumes using means for producing a film of air or air bubbles over at least a significant portion of the hull surfa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7/00Transfer of fluids, i.e. method or means for transferring the fluid; Heat exchange with the fluid
    • F17C2227/03Heat exchange with the fluid
    • F17C2227/0302Heat exchange with the fluid by heating
    • F17C2227/0309Heat exchange with the fluid by heating using another fl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65/00Effects achieved by gas storage or gas handling
    • F17C2265/05Regas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65/00Effects achieved by gas storage or gas handling
    • F17C2265/06Fluid distribu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70/00Applications
    • F17C2270/01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 F17C2270/0102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on or in the water
    • F17C2270/0105Shi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30Use of alternative fuels, e.g. biofu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10Measures concerning design or construction of watercraft hu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50Measures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related to the propulsion system
    • Y02T70/5218Less carbon-intensive fuels, e.g. natural gas, biofu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과제) 선각에 형성된 취출구에 기체를 공급하기 위한 소비 에너지를 저감 가능한 LNG 를 이용하는 선박용의 LNG 기화 장치 및 기체 윤활 시스템, 그리고, LNG 를 이용하는 선박의 운전 방법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LNG 를 이용하는 선박용의 LNG 기화 장치는, 선각에 형성된 취출구에 기체를 공급하기 위한 기체 공급 라인 상에 형성되고, LNG 운반선의 LNG 탱크에 접속되는 LNG 라인을 흐르는 LNG 와, 기체 공급 라인을 흐르는 기체를 열교환하도록 구성된 열교환기를 구비한다.

Description

LNG 를 이용하는 선박용의 LNG 기화 장치 및 기체 윤활 시스템, 그리고, LNG 를 이용하는 선박의 운전 방법{LNG VAPORIZATION APPARATUS AND GAS LUBRICATION SYSTEM FOR SHIP USING LNG, AND OPERATION METHOD OF SHIP USING LNG}
본 개시는, LNG 를 이용하는 선박에 있어서 LNG 를 기화시키기 위한 LNG 기화 장치, 선박의 선각으로부터 기체를 취출 (吹出) 하는 기체 윤활 시스템, 그리고, LNG 를 이용하는 선박의 운전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엔진으로부터의 출력을 이용하여 항행하는 선박의 일종으로서, 저온 액체 연료인 LNG 를 운반하는 LNG 운반선이나 기화된 LNG 를 이용하는 LNG 연료선 등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LNG 운반선에서는, LNG 를 저장하는 탱크 내의 보일 오프 가스 (BOG) 가 엔진의 연료로서 이용된다. 특히 듀얼 퓨얼 엔진에서는, 엔진 출력을 상승시키는 경우에, 보일 오프 가스에 더하여, 탱크 내에 저장된 LNG 의 일부를 강제적으로 증발시켜 생성된 기화 가스를 병용함으로써, 엔진에 대한 연료 공급량이 증가된다.
그런데, 항행 중의 선체에 작용하는 마찰 저항을 저감시키는 기술로서, 선각에 형성된 취출구로부터 기체를 분출함으로써, 선체 외면을 기포로 덮는 기체 윤활 시스템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에는, 항행 중의 롤링에 의해 선체에 경사가 발생한 경우에도, 취출구로부터 취출되는 공기량을 균일하게 하는 것이 가능한 기체 윤활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또 특허문헌 2 에는, 선체에 대한 적재량에 의해 흘수가 변화한 경우에, 그 변화량에 따라 취출구로부터의 공기의 취출량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한 기체 윤활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2-166704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3-091376호
흘수가 큰 선박에 대해,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기체 윤활 시스템을 적용하는 경우, 기체가 취출되는 취출구에 있어서의 수압이 높아지기 때문에, 당해 수압에 저항하여 기체를 취출하기 위한 소비 에너지가 증가되어 버린다. 그 결과, 기체 윤활 시스템에 의한 마찰 저항의 저감에 의한 에너지 절약 효과를 충분히 향수하는 것이 어려워질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형태는 상기 서술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선각에 형성된 취출구에 기체를 공급하기 위한 소비 에너지를 저감 가능한 LNG 를 이용하는 선박용의 LNG 기화 장치 및 기체 윤활 시스템, 그리고, LNG 를 이용하는 선박의 운전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LNG 를 이용하는 선박용의 LNG 기화 장치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LNG 를 기화시키기 위한 LNG 를 이용하는 선박용의 LNG 기화 장치로서,
상기 선박의 선각에 형성된 취출구에 기체를 공급하기 위한 기체 공급 라인 상에 형성되고, 상기 선박의 LNG 탱크에 접속되는 LNG 라인을 흐르는 상기 LNG 와, 상기 기체 공급 라인을 흐르는 상기 기체를 열교환하도록 구성된 열교환기를 구비한다.
상기 (1) 의 구성에 의하면, 열교환기에 있어서 LNG 라인을 흐르는 LNG 가 기화될 때에, 기체 공급 라인을 흐르는 기체는 LNG 와 열교환됨으로써 냉각된다. 이와 같이 기체 공급 라인을 흐르는 기체의 온도가 저하됨으로써, 선박의 선각에 형성된 취출구에 기체를 공급하기 위한 소비 에너지가 저감된다.
(2) 몇 가지의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1) 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기체 공급 라인에 대해 병렬로 형성되는 LNG 강제 증발 라인을 구비하고,
상기 열교환기는,
상기 기체 공급 라인을 흐르는 상기 기체와, 상기 LNG 강제 증발 라인을 흐르는 열매체 사이에서, 상기 LNG 라인을 흐르는 상기 LNG 와 열교환되는 매체를 전환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2) 의 구성에 의하면, LNG 라인을 흐르는 LNG 와 강제 증발 라인을 흐르는 열매체를 열교환함으로써, 기체 공급 라인에서 취출구를 향한 기체의 흐름을 정지하는 경우에도, LNG 의 기화를 계속할 수 있다.
(3) 몇 가지의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2) 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LNG 강제 증발 라인에 형성되고, 상기 열매체를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 장치와,
상기 LNG 강제 증발 라인에 형성되고, 상기 열매체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를 구비한다.
상기 (3) 의 구성에 의하면, 강제 증발 라인에서는, 히터로 가열된 열매체가 순환 장치에 의해 순환한다. 이로써 LNG 라인을 흐르는 LNG 가 강제 증발 라인을 흐르는 열매체와 열교환될 때에는, 강제 증발 라인을 흐르는 열매체로부터 연속적으로 또한 안정적으로 열에너지를 공급함으로써, LNG 의 기화를 적확하게 실시할 수 있다.
(4)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LNG 를 이용하는 선박용의 기체 윤활 시스템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일 구성의 상기 LNG 기화 장치의 상기 열교환기의 내부를 통과하여 상기 취출구까지 연장되는 상기 기체 공급 라인과,
상기 기체 공급 라인 상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와 상기 취출구 사이에 형성되는 제 1 블로어를 구비한다.
상기 (4) 의 구성에 의하면, 열교환기의 내부를 통과하는 기체 공급 라인을 흐르는 기체는, LNG 라인을 흐르는 LNG 와 열교환됨으로써 냉각된다. 이로써, 기체 공급 라인 상에 있어서 열교환기와 취출구 사이 (즉 열교환기보다 하류측) 에 형성되는 제 1 블로어에 공급되는 기체 온도가 저하되기 때문에, 제 1 블로어에 있어서의 소비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5) 몇 가지의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4) 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보다 하류측에서 상기 기체 공급 라인으로부터 분기되고, 또한, 상기 취출구보다 저압측에 형성된 배출구에 연통되는 배출 라인을 구비한다.
상기 (5) 의 구성에 의하면, 기체 공급 라인을 흐르는 기체를 배출 라인을 통하여 배출구로부터 배출함으로써, 취출구로부터의 기체의 분출을 정지할 수 있다. 배출구는 취출구보다 저압측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취출구에 비해 기체를 취출하기 위해 요하는 소비 에너지가 적다. 그 때문에, 취출구로부터의 기체의 분출을 정지한 상황하에 있어서도, 소비 에너지를 억제할 수 있다.
(6) 몇 가지의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5) 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기체 공급 라인 중 상기 배출 라인과의 분기점보다 상류측에, 상기 기체 공급 라인과 병렬로 형성된 병렬 라인과,
상기 병렬 라인 상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블로어보다 소출력인 제 2 블로어를 구비한다.
상기 (6) 의 구성에 의하면, 배출 라인을 통한 기체의 배출은, 병렬 라인 상에 형성된 제 2 블로어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제 2 블로어는 제 1 블로어에 비해 소출력이기 때문에, 배출에 요하는 소비 에너지를 보다 낮게 억제할 수 있다.
(7) 몇 가지의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4) 내지 (6) 중 어느 일 구성에 있어서,
상기 기체 공급 라인과 병렬로 형성되고, 상기 열교환기를 바이패스하는 바이패스 라인을 구비한다.
상기 (7) 의 구성에 의하면, 기체 공급 라인을 흐르는 기체를 바이패스 라인에 유도함으로써, 기체가 열교환기를 통과할 때에 발생하는 압손을 회피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바이패스 라인에 의해 열교환기를 바이패스하도록 기체를 흐르게 함으로써, LNG 기화 장치에 있어서의 LNG 의 기화를 정지하면서 기체 윤활 시스템을 동작시킬 때에 있어서의 소비 에너지를 낮게 억제할 수 있다.
(8) 몇 가지의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4) 내지 (7) 중 어느 일 구성에 있어서,
상기 기체 공급 라인 중 상기 열교환기의 하류측으로부터 분기되고, 상기 LNG 운반선에 탑재된 엔진의 흡기 통로 또는 상기 엔진이 수용되는 엔진 룸의 적어도 일방에 연통되는 냉각 기체 공급 라인을 구비한다.
상기 (8) 의 구성에 의하면, 열교환기에 있어서 LNG 와 열교환됨으로써 냉각된 기체는, 냉각 기체 공급 라인을 통하여, 엔진의 흡기 통로 또는 엔진 룸의 적어도 일방에 공급된다. 이로써, 엔진의 흡기 냉각에 의한 엔진 동력의 삭감, 또는, 엔진 룸의 냉각용 동력의 삭감이 가능해진다.
(9) 몇 가지의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4) 내지 (8) 중 어느 일 구성에 있어서,
상기 기체 공급 라인은, 상기 LNG 운반선에 탑재된 엔진의 배기를 상기 기체로서 상기 취출구를 향하여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9) 의 구성에 의하면, 엔진의 배기가, 기체 공급 라인에 공급된다. 이로써, 열교환기에는 온도 및 압력이 높은 배기가 도입되기 때문에, LNG 의 기화를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음과 함께, 열교환기의 다운사이징이 가능해진다. 또 압력이 높은 배기를 기체 공급 라인에 도입함으로써, 취출구로부터의 기체 분출에 요하는 소비 에너지도 저감시킬 수 있다.
(10)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LNG 를 이용하는 선박의 운전 방법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LNG 운반선의 선각에 형성된 취출구를 향하여, 기체 공급 라인에 기체를 흐르게 하는 스텝과,
상기 기체 공급 라인을 흐르는 상기 기체와의 열교환에 의해, 상기 LNG 운반선의 LNG 탱크에 접속되는 LNG 라인을 흐르는 상기 LNG 를 기화시키는 스텝과,
적어도, 상기 LNG 의 기화에 의해 얻어지는 기화 가스를 연료로서 사용하여, 상기 LNG 운반선의 엔진을 가동하는 스텝을 구비한다.
상기 (10) 의 방법에 의하면, 선박의 선각에 형성된 취출구를 향하여, 기체 공급 라인에 기체를 흐르게 함으로써, 취출구로부터 분출되는 기체에 의해 선체 외면을 덮는 기포를 생성하여, 항행 중에 있어서의 선체의 마찰 저항을 저감시킬 수 있다. 한편, LNG 라인을 흐르는 LNG 는, 기체 공급 라인을 흐르는 기체와의 열교환에 의해 기화 가스가 되어, 엔진에 공급된다. 이 때, 기체 공급 라인을 흐르는 기체는 LNG 와 열교환됨으로써 냉각되어 온도가 저하되기 때문에, 선박의 선각에 형성된 취출구에 기체를 공급하기 위한 소비 에너지를 저감시킬 수 있다.
(11) 몇 가지의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10) 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취출구에 대한 상기 기체의 공급을 정지한 경우에, 상기 기체 공급 라인에 대해 병렬로 형성되는 LNG 강제 증발 라인을 흐르는 열매체와 상기 LNG 를 열교환함으로써, 상기 LNG 를 기화시키는 스텝을 구비한다.
상기 (11) 의 방법에 의하면, 취출구에 대한 기체의 공급을 정지한 경우에 있어서도, LNG 라인을 흐르는 LNG 와 강제 증발 라인을 흐르는 열매체를 열교환함으로써, LNG 의 기화를 계속할 수 있다.
(12) 몇 가지의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10) 또는 (11) 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취출구로부터의 상기 기체의 분출을 정지한 경우에, 상기 LNG 와 열교환된 상기 기체를, 상기 기체 공급 라인으로부터 분기된 배출 라인을 통하여, 상기 취출구보다 저압측에 형성된 배출구에 배출하는 스텝을 구비한다.
상기 (12) 의 방법에 의하면, 취출구로부터의 기체의 분출을 정지하는 경우에는, LNG 와 열교환된 기체는, 배출 라인을 통하여 배출구로부터 배출된다. 배출구는 취출구보다 저압측에 형성되기 때문에, 취출구에 비해 기체를 취출하기 위해 요하는 소비 에너지가 적어도 된다.
(13) 몇 가지의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10) 내지 (12) 중 어느 일 방법에 있어서,
상기 LNG 와 열교환된 상기 기체를, 상기 선박에 탑재된 엔진의 흡기 통로 또는 상기 엔진이 수용되는 엔진 룸의 적어도 일방에 공급하는 스텝을 구비한다.
상기 (13) 의 방법에 의하면, 열교환기에 있어서 LNG 와 열교환됨으로써 냉각된 기체는, 엔진의 흡기 통로 또는 엔진 룸의 적어도 일방에 공급된다. 이로써, 엔진의 흡기 냉각에 의한 엔진 동력의 삭감, 또는, 엔진 룸의 냉각용 동력의 삭감이 가능해진다.
(14) 몇 가지의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10) 내지 (13) 중 어느 일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선박의 엔진의 배기를 상기 기체로서 상기 기체 공급 라인에 흐르게 하는 스텝을 구비한다.
상기 (14) 의 방법에 의하면, 엔진의 배기가, 기체 공급 라인에 공급된다. 이로써, 열교환기에는 온도 및 압력이 높은 배기가 도입되기 때문에, LNG 의 기화를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음과 함께, 열교환기의 다운사이징이 가능해진다. 또 압력이 높은 배기를 기체 공급 라인에 도입함으로써, 취출구로부터의 기체 분출에 요하는 소비 에너지도 저감시킬 수 있다.
(15) 몇 가지의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10) 내지 (14) 중 어느 일 방법에 있어서,
상기 LNG 와 상기 기체의 열교환이 실시되는 열교환기보다 하류측에서 상기 기체 공급 라인에 형성된 제 1 블로어에 의해, 상기 LNG 와 열교환된 상기 기체를 상기 취출구로부터 분출하는 스텝을 구비한다.
상기 (15) 의 방법에 의하면, LNG 와 열교환됨으로써 냉각된 기체가, 열교환기보다 하류측에서 기체 공급 라인에 형성된 제 1 블로어에 의해, 취출구로부터 분출된다. 이로써, 제 1 블로어에 공급되는 기체 온도가 저하되기 때문에, 제 1 블로어에 있어서의 소비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16) 몇 가지의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10) 내지 (15) 중 어느 일 방법에 있어서,
상기 LNG 탱크로부터의 보일 오프 가스만을 연료로 하여 상기 엔진을 가동시키는 경우, 상기 LNG 와 상기 기체의 열교환을 실시하는 열교환기를 바이패스하여, 상기 취출구에 상기 기체를 공급하는 스텝을 구비한다.
상기 (16) 의 방법에 의하면, LNG 탱크로부터의 보일 오프 가스만을 연료로 하여 엔진을 가동시키는 경우, LNG 라인을 흐르는 LNG 의 기화는 정지된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기체 공급 라인을 흐르는 기체는 열교환기를 바이패스하여 취출구에 유도된다. 이로써, 기체 공급 라인을 흐르는 기체가 열교환기를 통과할 때에 발생하는 압손을 회피할 수 있기 때문에, 소비 에너지를 보다 낮게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형태에 의하면, 선각에 형성된 취출구에 기체를 공급하기 위한 소비 에너지를 저감 가능한 LNG 를 이용하는 선박용의 LNG 기화 장치 및 기체 윤활 시스템, 그리고, LNG 를 이용하는 선박의 운전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LNG 기화 장치를 구비하는 LNG 운반선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LNG 운반선의 운전 방법을 공정별로 나타내는 플로 차트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LNG 기화 장치를 구비하는 LNG 운반선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 는, 도 3 의 LNG 운반선의 운전 방법을 공정별로 나타내는 플로 차트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LNG 기화 장치를 구비하는 LNG 운반선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6 은, 도 5 의 LNG 운반선의 운전 방법을 공정별로 나타내는 플로 차트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관련된 LNG 기화 장치를 구비하는 LNG 운반선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8 은, 도 7 의 LNG 운반선의 운전 방법을 공정별로 나타내는 플로 차트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관련된 LNG 기화 장치를 구비하는 LNG 운반선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에 관련된 LNG 기화 장치를 구비하는 LNG 운반선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1 은, 참고 기술에 관련된 LNG 기화 장치를 구비하는 LNG 운반선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몇 가지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단, 실시형태로서 기재되어 있거나 또는 도면에 나타나 있는 구성 부품의 치수, 재질, 형상, 그 상대적 배치 등은, 본 발명의 범위를 이것으로 한정하는 취지가 아니라, 단순한 설명예에 불과하다.
예를 들어,「어느 방향으로」,「어느 방향을 따라」,「평행」,「직교」,「중심」,「동심」혹은「동축」등의 상대적 혹은 절대적인 배치를 나타내는 표현은, 엄밀히 그와 같은 배치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공차, 혹은, 동일한 기능이 얻어질 정도의 각도나 거리로써 상대적으로 변위되어 있는 상태도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또 예를 들어, 사각 형상이나 원통 형상 등의 형상을 나타내는 표현은, 기하학적으로 엄밀한 의미에서의 사각 형상이나 원통 형상 등의 형상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동일한 효과가 얻어지는 범위에서, 요철부나 모따기부 등을 포함하는 형상도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한편, 하나의 구성 요소를「갖추다」,「구유한다」,「구비한다」,「포함한다」, 또는,「갖는다」는 표현은, 다른 구성 요소의 존재를 제외하는 배타적인 표현은 아니다.
<참고 기술>
본원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하기 전에, 그 전제가 되는 참고 기술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 은, 참고 기술에 관련된 LNG 기화 장치 (10) 를 구비하는 LNG 를 이용하는 선박의 일례인 LNG 운반선 (1) 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LNG 를 이용하는 선박의 일례로서 LNG 운반선 (1) 에 대해 서술하지만,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형태는, 그 밖의 LNG 를 이용하는 선박, 예를 들어, LNG 연료선 등에도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LNG 운반선 (1) 은, 저온 액체 연료인 LNG 를 운반하기 위한 선박이다. LNG 운반선 (1) 은, 운반 대상인 LNG 를 저장 가능한 LNG 탱크 (2) 를 탑재하고 있고, LNG 탱크 (2) 에는 LNG 가 고압 액체 상태로 저류되어 있다. LNG 탱크 (2) 는 대략 구형상을 갖고 있고, 내부에 저류된 액체 상태의 LNG 의 액면 상은, LNG 가 증발되어 이루어지는 보일 오프 가스 (4) 로 채워져 있다.
LNG 운반선 (1) 은, 항행용 동력원으로서 LNG 의 기화 가스를 연료로 하는 엔진 (6) 을 탑재한다. 엔진 (6) 의 흡기측에는, LNG 탱크 (2) 의 상부에 접속된 보일 오프 가스 공급 라인 (8) 이 접속되어 있고, LNG 탱크 (2) 내의 보일 오프 가스가 엔진 (6) 에 연료로서 공급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엔진 (6) 은 듀얼 퓨얼 엔진이며, 엔진 출력을 상승시키는 경우에, 보일 오프 가스 공급 라인 (8) 을 통하여 공급되는 보일 오프 가스에 더하여, 필요에 따라 LNG 탱크 (2) 내에 저장된 LNG 의 일부를 강제적으로 증발시켜 생성된 기화 가스를 공급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LNG 탱크 (2) 의 하부에 접속된 LNG 라인 (12) 에 의해, LNG 탱크 (2) 내에 저장된 LNG 의 일부가 LNG 기화 장치 (10) 에 도입되고, 그 LNG 기화 장치 (10) 에 의해 생성된 LNG 의 기화 가스가, 기화 가스 공급 라인 (14) 을 통하여 엔진 (6) 의 흡기측에 공급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엔진 (6) 으로서 듀얼 퓨얼 엔진을 예시하여 서술하지만, 엔진 (6) 에는 기화된 LNG 를 연료로 하는 엔진 전반을 포함시킬 수 있다.
LNG 기화 장치 (10) 는, LNG 강제 증발 라인 (16) 을 흐르는 열매체와, LNG 라인 (12) 을 흐르는 LNG 를 열교환 가능하게 구성된 열교환기 (18) 를 구비한다. LNG 강제 증발 라인 (16) 상에는, 열매체를 폐회로 내에서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 장치인 펌프 (20) 와, 열매체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 (22) 가 설치되어 있다. LNG 기화 장치 (10) 에서는, 히터 (22) 에 의해 가열된 열매체가 펌프 (20) 에 의해 LNG 강제 증발 라인 (16) 을 순환함으로써, 열교환기 (18) 에 있어서 LNG 라인 (12) 을 흐르는 LNG 를 가열하여 기화 가스가 생성된다.
또한, 엔진 (6) 의 흡기측에는, 보일 오프 가스 공급 라인 (8) 을 통하여 공급되는 보일 오프 가스, 및, 기화 가스 공급 라인 (14) 으로부터 공급되는 기화 가스를 압축하기 위한 컴프레서 (24) 가 배치되어 있다.
또 LNG 운반선 (1) 에는, 항행 중의 선체에 작용하는 마찰 저항을 저감시키기 위한 기체 윤활 시스템 (26) 이 탑재되어 있다. 기체 윤활 시스템 (26) 은, LNG 운반선 (1) 의 선각 (도시 생략) 에 형성된 취출구 (28) 로부터 기체를 수중을 향하여 분출하는 것에 의해, 선체 외면을 기포로 덮음으로써 항행 중의 선체에 작용하는 마찰 저항을 저감시킨다.
또한, LNG 운반선 (1) 의 선각에 있어서의 취출구 (28) 의 위치는 임의여도 되지만, 취출구 (28) 는 예를 들어 선저에 형성된다.
기체 윤활 시스템 (26) 은, 취출구 (28) 에 기체를 공급하기 위한 기체 공급 라인 (30) 을 갖는다. 기체 공급 라인 (30) 은, 기체를 취입하기 위한 취입구 (32) 와, 선각에 형성된 취출구 (28) 를 연통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취입구 (32) 는 대기압에 있는 선내 또는 갑판에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취출구 (28) 로부터 분출 가능한 기체로서 대기 중의 공기가 취입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 기체 공급 라인 (30) 에는, 그 기체 공급 라인 (30) 에 취입된 기체를 이송하기 위한 송풍 장치로서 제 1 블로어 (34) 가 설치되어 있다. 제 1 블로어 (34) 는, 도시 생략된 전력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구동 가능한 송풍 장치이다. 제 1 블로어 (34) 가 구동되면, 취입구 (32) 로부터 기체 (대기 중으로부터의 공기) 가 취입되고, 그 기체는 기체 공급 라인 (30) 중을 취출구 (28) 를 향하여 흐른다.
이와 같이 참고 기술에 관련된 LNG 운반선 (1) 에서는, LNG 기화 장치 (10) 및 기체 윤활 시스템 (26) 은 서로 독립된 시스템 (다른 계통) 으로서 탑재되어 있다. 이와 같은 LNG 운반선 (1) 에서는, 기체 윤활 시스템 (26) 을 작동시킬 때에 제 1 블로어 (34) 에서 소비되는 에너지 (전력) 가 커지면, 기체 윤활 시스템 (26) 에 의한 마찰 저항의 저감에 의한 에너지 절약 효과를 충분히 향수하는 것이 어려워질 우려가 있다. 특히, LNG 운반선 (1) 과 같이 흘수가 큰 선박에서는, 기체가 취출되는 취출구 (28) 에 있어서의 수압이 높아지기 때문에, 당해 수압에 저항하여 기체를 취출하기 위한 소비 에너지가 증가되기 쉽다.
이와 같은 참고 기술에 있어서의 과제는, 이하에 설명하는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바람직하게 해소 가능하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각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서술한 참고 기술에 대응하는 구성에 대해 공통의 부호를 부여하는 것으로 하고, 특별한 설명이 없는 한에 있어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제 1 실시형태>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LNG 기화 장치 (10) 를 구비하는 LNG 운반선 (1) 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LNG 기화 장치 (10) 는, 기체 윤활 시스템 (26) 의 기체 공급 라인 (30) 을 흐르는 기체와, LNG 라인 (12) 을 흐르는 LNG 가 열교환 가능하게 구성된 열교환기 (36) 를 구비한다. 상기 서술한 참고 기술에서는, 기체 윤활 시스템 (26) 의 기체 공급 라인 (30) 과, LNG 기화 장치 (10) 의 LNG 라인 (12) 은, 서로 독립된 시스템 (다른 계통) 으로서 구성되어 있었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기체 윤활 시스템 (26) 의 기체 공급 라인 (30) 과 LNG 기화 장치 (10) 의 LNG 라인 (12) 이, 공통의 열교환기 (36) 에 장착됨으로써 일체적인 열교환 시스템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요컨대, 열교환기 (36) 는, 기체 윤활 시스템 (26) 의 기체 공급 라인 (30) 과 LNG 기화 장치 (10) 의 LNG 라인 (12) 을 포함한다. 다시 바꿔 말하면, 기체 공급 라인 (30) 은, LNG 기화 장치 (10) 의 열교환기 (36) 의 내부를 통과하여 취출구 (28) 까지 연장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LNG 기화 장치 (10) 와 기체 윤활 시스템 (26) 이 실질적으로 일체화시킨 시스템으로서 구축되어 있어, 참고 기술에서 LNG 를 기화시키기 위해 필요한 LNG 강제 증발 라인 (16), 펌프 (20) 및 히터 (22) 를 불요로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시스템 사이즈가 작아도 되어, 양호한 설계의 자유도가 얻어진다.
도 2 는, 도 1 의 LNG 운반선 (1) 의 운전 방법을 공정별로 나타내는 플로 차트이다.
LNG 운반선 (1) 에서는, 기체 윤활 시스템 (26) 의 작동 상태에 따라, 선각에 형성된 취출구 (28) 를 향하여 기체 공급 라인 (30) 에 기체가 흐르게 된다 (스텝 S10). 이와 같은 기체 공급 라인 (30) 에 있어서의 기체의 흐름은, 기체 공급 라인 (30) 에 형성된 제 1 블로어 (34) 를 작동시킴으로써 형성된다. 기체 공급 라인 (30) 을 흐르는 기체는, 필요에 따라 취출구 (28) 로부터 수중에 분출됨으로써, 선체 외면을 기포로 덮어, 항행 중의 선체에 작용하는 마찰 저항이 저감된다.
LNG 라인 (12) 에서는, 엔진 (6) 의 출력 상태에 따라, LNG 탱크 (2) 로부터 LNG 기화 장치 (10) 에 도입된 LNG 가, 열교환기 (36) 에 있어서, 기체 공급 라인 (30) 을 흐르는 기체와 열교환됨으로써 기화된다 (스텝 S11). 요컨대 열교환기 (36) 에서는, LNG 라인 (12) 을 흐르는 LNG 가 기체 공급 라인 (30) 을 흐르는 기체에 의해 가열됨으로써, 기화 가스의 생성이 실시된다.
스텝 S11 의 열교환에서는, 기체 공급 라인 (30) 을 흐르는 기체는, LNG 라인 (12) 을 흐르는 LNG 에 의해 냉각된다. 제 1 블로어 (34) 에는, 이와 같이 열교환기 (36) 에서 냉각된 기체가 이송되므로, 제 1 블로어 (34) 에 있어서의 소비 에너지가 저감된다.
열교환기 (36) 에서 생성된 기화 가스는, 엔진 (6) 의 출력 상태에 따라 기화 가스 공급 라인 (14) 을 통하여 엔진 (6) 에 이송된다. 엔진 (6) 에 이송된 기화 가스는, 보일 오프 가스 공급 라인 (8) 을 통하여 이송되는 보일 오프 가스와 함께, 엔진 (6) 의 흡기측에 연료로서 공급되고, 엔진 (6) 의 가동이 실시된다 (스텝 S12).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실시형태에 의하면, 열교환기 (36) 에 있어서 LNG 라인 (12) 을 흐르는 LNG 가 기화될 때에, 기체 공급 라인 (30) 을 흐르는 기체는 LNG 와 열교환됨으로써 냉각된다. 이와 같이 기체 공급 라인 (30) 을 흐르는 기체의 온도가 저하됨으로써, LNG 운반선 (1) 의 선각에 형성된 취출구 (28) 에 기체를 공급하기 위한 소비 에너지가 저감된다.
<제 2 실시형태>
도 3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LNG 기화 장치 (10) 를 구비하는 LNG 운반선 (1) 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서술한 제 1 실시형태에 비해, 기체 공급 라인 (30) 에 대해 병렬로 형성되는 LNG 강제 증발 라인 (16) 을 구비한다. LNG 강제 증발 라인 (16) 은, 참고 기술과 동일한 구성을 갖고 있고, LNG 강제 증발 라인 (16) 상에는, 열매체를 폐회로 내에서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 장치인 펌프 (20) 와, 열매체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 (22) 가 설치되어 있다.
강제 증발 라인 (16) 에서는, 히터 (22) 로 가열된 열매체가 펌프 (20) 에 의해 순환한다. 이로써 LNG 라인 (12) 을 흐르는 LNG 가 강제 증발 라인 (16) 을 흐르는 열매체와 열교환될 때에는, 강제 증발 라인 (16) 을 흐르는 열매체로부터 연속적으로 또한 안정적으로 열에너지를 공급함으로써, LNG 의 기화를 적확하게 실시 가능하게 되어 있다.
열교환기 (36) 는, 기체 공급 라인 (30) 을 흐르는 기체와, LNG 강제 증발 라인 (16) 을 흐르는 열매체 사이에서, LNG 라인 (12) 을 흐르는 LNG 와 열교환되는 매체를 전환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와 같은 전환 동작은, 예를 들어 도시 생략된 유로 전환 밸브를 수동적 또는 자동 제어적으로 조작함으로써 실시된다. 요컨대 본 실시형태에서는, LNG 라인 (12) 을 흐르는 LNG 를 기화시킬 때에, LNG 와의 열교환 대상으로서,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기체 공급 라인 (30) 을 흐르는 기체를 대신하여, LNG 강제 증발 라인 (16) 을 흐르는 열매체를 이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도 4 는, 도 3 의 LNG 운반선 (1) 의 운전 방법을 공정별로 나타내는 플로 차트이다.
LNG 운반선 (1) 의 상태에 따라, 취출구 (28) 에 대한 기체의 공급을 정지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스텝 S20). 취출구 (28) 에 대한 기체의 공급을 정지한다고 판단한 경우 (스텝 S20 : YES), 제 1 블로어 (34) 를 정지시킴으로써, 기체 공급 라인 (30) 에 있어서의 기체의 흐름을 정지시킨다 (스텝 S21). 이로써, 기체 윤활 시스템 (26) 은 정지 상태가 된다.
계속해서, 열교환기 (36) 에 있어서 LNG 라인 (12) 과의 열교환 대상을, 기체 공급 라인 (30) 에서 LNG 강제 증발 라인 (16) 으로 전환한다 (스텝 S22). 그리고, 열교환기 (36) 에 있어서 LNG 강제 증발 라인 (16) 을 흐르는 열매체와 LNG 라인 (12) 을 흐르는 LNG 를 열교환함으로써, LNG 를 기화시킨다 (스텝 S23).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취출구 (28) 에 대한 기체의 공급을 정지한 경우에 있어서도, LNG 라인 (12) 을 흐르는 LNG 는, 강제 증발 라인 (16) 을 흐르는 열매체와 열교환함으로써 기화시킬 수 있다. 강제 증발 라인 (16) 에서는 히터 (22) 로 가열된 열매체가 펌프 (20) 에 의해 순환하기 때문에, 강제 증발 라인 (16) 을 흐르는 열매체로부터 연속적으로 또한 안정적으로 열에너지를 공급함으로써, LNG 의 기화를 적확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취출구 (28) 에 대한 기체의 공급을 정지하지 않는다고 판단한 경우 (스텝 S20 : NO), LNG 라인 (12) 을 흐르는 LNG 는, 상기 서술한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기체 공급 라인 (30) 을 흐르는 기체와 열교환됨으로써 기화된다.
<제 3 실시형태>
도 5 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LNG 기화 장치 (10) 를 구비하는 LNG 운반선 (1) 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열교환기 (36) 보다 하류측에서 기체 공급 라인 (30) 으로부터 분기된 배출 라인 (38) 을 구비한다. 배출 라인 (38) 은, 취출구 (28) 보다 저압측에 형성된 배출구 (40) 에 연통되어 있고, 도시 생략된 전환 밸브에 의해 기체 공급 라인 (30) 에 대해 접속 상태를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배출구 (40) 는, 취출구 (28) 보다 저압인 공간에 기체를 분출 가능한 구멍부이며, 예를 들어, 취출구 (28) 보다 상방측의 선체 외면이나 갑판 상에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취출구 (28) 와의 위치 관계에 상관없이, 선내에서 대기에 채워진 공간 (선실 등) 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 배출구 (40) 에 있어서의 압력은, 취출구 (28) 에 있어서의 수압보다 저압이면 되는데, 예를 들어 대기압이어도 된다.
취출구 (28) 로부터의 기체의 분출이 정지되는 경우 (LNG 기화 장치 (10) 의 동작 상태는 불문한다) 에는, 기체 공급 라인 (30) 내의 기체는, 이와 같은 배출 라인 (38) 을 통하여 배출구 (40) 로부터 배출할 수 있다. 배출구 (40) 는 취출구 (28) 보다 저압측에 형성되기 때문에, 취출구 (28) 에 비해 기체를 취출하기 위해 요하는 소비 에너지가 적어도 된다.
또 기체 공급 라인 (30) 중 배출 라인 (38) 과의 분기점 (44) 보다 상류측에는, 기체 공급 라인 (30) 과 병렬로 형성된 병렬 라인 (46) 이 형성된다. 병렬 라인 (46) 상에는, 제 1 블로어 (34) 보다 소출력인 제 2 블로어 (48) 가 설치된다. 병렬 라인 (46) 은 도시 생략된 유로 전환 밸브에 의해 기체 공급 라인 (30) 에 대해 접속 상태를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기체 공급 라인 (30) 내의 기체를 배출구 (40) 로부터 배출하는 경우에는, 기체 공급 라인 (30) 에 대해 병렬 라인 (46) 이 연통되도록 유로 전환 밸브를 제어함과 함께, 병렬 라인 (46) 상의 제 2 블로어 (48) 가 작동되어도 된다. 이로써, 제 1 블로어 (34) 보다 소출력인 제 2 블로어 (48) 의 작동에 의해 기체의 배출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배출에 요하는 소비 에너지를 보다 낮게 억제할 수 있다.
도 6 은, 도 5 의 LNG 운반선 (1) 의 운전 방법을 공정별로 나타내는 플로 차트이다.
먼저 LNG 운반선 (1) 의 상태에 따라, 취출구 (28) 로부터의 기체의 분출을 정지하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스텝 S30). 취출구 (28) 로부터의 기체의 분출을 정지한다고 판단한 경우 (스텝 S30 : YES), 도시 생략된 유로 전환 밸브를 전환 제어 함으로써, 기체 공급 라인 (30) 에 대해 배출 라인 (38) 을 연통시킨다 (스텝 S31).
그 후, 도시 생략된 유로 전환 밸브를 전환 제어함으로써, 기체 공급 라인 (30) 에 대해 병렬 라인 (46) 을 연통시킨다 (스텝 S32). 그리고 제 1 블로어 (34) 를 정지시킴과 함께 (스텝 S33), 병렬 라인 (46) 상의 제 2 블로어 (48) 를 작동시킨다 (스텝 S34). 이로써, 기체 공급 라인 (30) 내의 기체는, 취출구 (28) 로부터 분출되지 않고, 배출 라인 (38) 을 통하여 배출된다. 제 2 블로어 (48) 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제 1 블로어 (34) 에 비해 소출력이기 때문에, 이와 같은 제 2 블로어 (48) 를 사용한 배출은, 소비 에너지가 적어도 된다.
<제 4 실시형태>
도 7 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관련된 LNG 기화 장치 (10) 를 구비하는 LNG 운반선 (1) 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기체 공급 라인 (30) 과 병렬로 형성되고, 열교환기 (36) 를 바이패스하는 바이패스 라인 (50) 이 구비된다. 바이패스 라인 (50) 은, 기체 공급 라인 (30) 중 열교환기 (36) 의 상류측 및 하류측을 접속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그 양단의 적어도 일방에, 유로를 전환하기 위한 유로 전환 밸브가 형성되어 있다. 유로 전환 밸브는 도시 생략된 컨트롤러로부터의 제어 신호 또는 수동에 의해 조작됨으로써, 기체 공급 라인 (30) 을 흐르는 기체가, 열교환기 (36) 를 바이패스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도 8 은, 도 7 의 LNG 운반선 (1) 의 운전 방법을 공정별로 나타내는 플로 차트이다.
먼저 LNG 운반선 (1) 의 상태에 따라, LNG 기화 장치 (10) 에 있어서의 LNG 의 기화를 정지하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스텝 S40). LNG 기화 장치 (10) 에 있어서의 LNG 의 기화를 정지한다고 판단한 경우 (스텝 S40 : YES), 도시 생략된 유로 전환 밸브를 전환 제어함으로써, 기체 공급 라인 (30) 을 흐르는 기체가 바이패스 라인 (50) 에 유도되도록 유로가 전환된다 (스텝 S41). 이로써, 기체 공급 라인 (30) 을 흐르는 기체는, 열교환기 (36) 를 통과하지 않고, 바이패스 라인 (50) 을 통하여 취출구 (28) 에 유도된다. 그 결과, 기체 공급 라인 (30) 을 흐르는 기체가 열교환기 (36) 를 통과할 때에 발생하는 압손을 회피할 수 있기 때문에, 소비 에너지가 저감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LNG 기화 장치 (10) 에 있어서의 LNG 의 기화를 정지한 상태에 있어서도, 소비 에너지를 억제하면서, 기체 윤활 시스템 (26) 의 작동을 계속할 수 있다.
<제 5 실시형태>
도 9 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관련된 LNG 기화 장치 (10) 를 구비하는 LNG 운반선 (1) 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기체 공급 라인 (30) 중 열교환기 (36) 의 하류측으로부터 분기되고, LNG 운반선 (1) 에 탑재된 엔진 (6) 의 흡기 통로 또는 엔진 (6) 이 수용되는 엔진 룸 (52) 의 적어도 일방에 연통되는 냉각 기체 공급 라인 (54) 이 구비된다. 그 때문에, 열교환기 (36) 에 있어서 LNG 와 열교환됨으로써 냉각된 기체는, 냉각 기체 공급 라인 (54) 을 통하여, 엔진 (6) 의 흡기 통로 또는 엔진 룸 (52) 의 적어도 일방에 공급된다. 이로써, 엔진 (6) 의 흡기 냉각에 의한 엔진 동력의 삭감, 또는, 엔진 룸 (52) 의 냉각용 동력의 삭감이 가능해진다.
<제 6 실시형태>
도 10 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에 관련된 LNG 기화 장치 (10) 를 구비하는 LNG 운반선 (1) 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기체 공급 라인 (30) 은, LNG 운반선 (1) 에 탑재된 엔진 (6) 의 배기를 기체로서 취출구 (28) 를 향하여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요컨대, 엔진 (6) 의 배기 통로는, 배기 공급 라인 (56) 을 통하여, 기체 공급 라인 (30) 의 취입구 (32) 에 접속됨으로써, 엔진 (6) 의 배기가 기체 공급 라인 (30) 에 공급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로써, 열교환기 (36) 에는 온도 및 압력이 높은 배기가 도입되기 때문에, 열교환기 (36) 에서는 LNG 의 기화를, 보다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고, 또 열교환기 (36) 의 다운사이징이 가능해진다. 또 압력이 높은 배기가 기체 공급 라인 (30) 에 도입되므로, 취출구 (28) 로부터의 기체 분출에 요하는 소비 에너지도 저감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형태에 의하면, 선각에 형성된 취출구 (28) 에 기체를 공급하기 위한 소비 에너지를 저감 가능한 LNG 운반선 (1) 용의 LNG 기화 장치 (10) 및 기체 윤활 시스템 (26), 그리고, LNG 운반선 (1) 의 운전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술한 LNG 운반선 (1) 에 관한 각종 동작은 수동에 의해 실시되어도 되고, 도시 생략된 컨트롤러에 의해 자동 제어적으로 실시되어도 된다. 후자의 경우, 컨트롤러는 예를 들어 컴퓨터와 같은 전자 연산 장치에 의해 구성되고, 제어 내용에 관한 프로그램이 인스톨됨으로써, 각종 제어가 실시 가능하다. 또, 이와 같은 프로그램은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어도 되고, 당해 기록 매체를 전자 연산 장치로 판독함으로써 상기 컨트롤러를 구성해도 된다.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형태는, LNG 를 이용하는 선박에 있어서 LNG 를 기화시키기 위한 LNG 기화 장치, LNG 를 이용하는 선박의 선각으로부터 기체를 취출하는 기체 윤활 시스템, 그리고, LNG 운반선의 운전 방법에 이용 가능하다.
1 : LNG 운반선
2 : LNG 탱크
4 : 보일 오프 가스
6 : 엔진
8 : 보일 오프 가스 공급 라인
10 : LNG 기화 장치
12 : LNG 라인
14 : 기화 가스 공급 라인
16 : 강제 증발 라인
18, 36 : 열교환기
20 : 펌프
22 : 히터
24 : 컴프레서
26 : 기체 윤활 시스템
28 : 취출구
30 : 기체 공급 라인
32 : 취입구
34 : 제 1 블로어
38 : 배출 라인
40 : 배출구
44 : 분기점
46 : 병렬 라인
48 : 제 2 블로어
50 : 바이패스 라인
52 : 엔진 룸
54 : 냉각 기체 공급 라인
56 : 배기 공급 라인

Claims (16)

  1. LNG 를 기화시키기 위한 LNG 를 이용하는 선박용의 LNG 기화 장치로서,
    상기 선박의 선각에 형성된 취출구에 기체를 공급하기 위한 기체 공급 라인 상에 형성되고, 상기 LNG 운반선의 LNG 탱크에 접속되는 LNG 라인을 흐르는 상기 LNG 와, 상기 기체 공급 라인을 흐르는 상기 기체를 열교환하도록 구성된 열교환기를 구비하는, LNG 를 이용하는 선박용의 LNG 기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 공급 라인에 대해 병렬로 형성되는 LNG 강제 증발 라인을 구비하고,
    상기 열교환기는,
    상기 기체 공급 라인을 흐르는 상기 기체와, 상기 LNG 강제 증발 라인을 흐르는 열매체 사이에서, 상기 LNG 라인을 흐르는 상기 LNG 와 열교환되는 매체를 전환 가능하게 구성된, LNG 를 이용하는 선박용의 LNG 기화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LNG 강제 증발 라인에 형성되고, 상기 열매체를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 장치와,
    상기 LNG 강제 증발 라인에 형성되고, 상기 열매체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를 구비하는, LNG 를 이용하는 선박용의 LNG 기화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의 상기 LNG 기화 장치의 상기 열교환기의 내부를 통과하여 상기 취출구까지 연장되는 상기 기체 공급 라인과,
    상기 기체 공급 라인 상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와 상기 취출구 사이에 형성되는 제 1 블로어를 구비하는, LNG 를 이용하는 선박용의 기체 윤활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보다 하류측에서 상기 기체 공급 라인으로부터 분기되고, 또한, 상기 취출구보다 저압측에 형성된 배출구에 연통되는 배출 라인을 구비하는, LNG 를 이용하는 선박용의 기체 윤활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 공급 라인 중 상기 배출 라인과의 분기점보다 상류측에, 상기 기체 공급 라인과 병렬로 형성된 병렬 라인과,
    상기 병렬 라인 상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블로어보다 소출력인 제 2 블로어를 구비하는, LNG 를 이용하는 선박용의 기체 윤활 시스템.
  7. 제 4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 공급 라인과 병렬로 형성되고, 상기 열교환기를 바이패스하는 바이패스 라인을 구비하는, LNG 운반선용의 기체 윤활 시스템.
  8. 제 4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 공급 라인 중 상기 열교환기의 하류측으로부터 분기되고, 상기 선박에 탑재된 엔진의 흡기 통로 또는 상기 엔진이 수용되는 엔진 룸의 적어도 일방에 연통되는 냉각 기체 공급 라인을 구비하는, LNG 를 이용하는 선박용의 기체 윤활 시스템.
  9. 제 4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 공급 라인은, 상기 선박에 탑재된 엔진의 배기를 상기 기체로서 상기 취출구를 향하여 공급하도록 구성된, LNG 를 이용하는 선박용의 기체 윤활 시스템.
  10. LNG 를 이용하는 선박의 선각에 형성된 취출구를 향하여, 기체 공급 라인에 기체를 흐르게 하는 스텝과,
    상기 기체 공급 라인을 흐르는 상기 기체와의 열교환에 의해, 상기 LNG 운반선의 LNG 탱크에 접속되는 LNG 라인을 흐르는 상기 LNG 를 기화시키는 스텝과,
    적어도, 상기 LNG 의 기화에 의해 얻어지는 기화 가스를 연료로서 사용하여, 상기 선박의 엔진을 가동하는 스텝을 구비하는, LNG 를 이용하는 선박의 운전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취출구에 대한 상기 기체의 공급을 정지한 경우에, 상기 기체 공급 라인에 대해 병렬로 형성되는 LNG 강제 증발 라인을 흐르는 열매체와 상기 LNG 를 열교환함으로써, 상기 LNG 를 기화시키는 스텝을 구비하는, LNG 를 이용하는 선박의 운전 방법.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취출구로부터의 상기 기체의 분출을 정지한 경우에, 상기 LNG 와 열교환된 상기 기체를, 상기 기체 공급 라인으로부터 분기된 배출 라인을 통하여, 상기 취출구보다 저압측에 형성된 배출구에 배출하는 스텝을 구비하는, LNG 를 이용하는 선박의 운전 방법.
  13. 제 10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LNG 와 열교환된 상기 기체를, 상기 LNG 운반선에 탑재된 엔진의 흡기 통로 또는 상기 엔진이 수용되는 엔진 룸의 적어도 일방에 공급하는 스텝을 구비하는, LNG 를 이용하는 선박의 운전 방법.
  14. 제 10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LNG 운반선의 엔진의 배기를 상기 기체로서 상기 기체 공급 라인에 흐르게 하는 스텝을 구비하는, LNG 를 이용하는 선박의 운전 방법.
  15. 제 10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LNG 와 상기 기체의 열교환이 실시되는 열교환기보다 하류측에서 상기 기체 공급 라인에 형성된 제 1 블로어에 의해, 상기 LNG 와 열교환된 상기 기체를 상기 취출구로부터 분출하는 스텝을 구비하는, LNG 를 이용하는 선박의 운전 방법.
  16. 제 10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LNG 탱크로부터의 보일 오프 가스만을 연료로 하여 상기 엔진을 가동시키는 경우, 상기 LNG 와 상기 기체의 열교환을 실시하는 열교환기를 바이패스하여, 상기 취출구에 상기 기체를 공급하는 스텝을 구비하는, LNG 를 이용하는 선박의 운전 방법.
KR1020190020250A 2018-03-09 2019-02-21 Lng 를 이용하는 선박용의 lng 기화 장치 및 기체 윤활 시스템, 그리고, lng 를 이용하는 선박의 운전 방법 KR1021533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042698 2018-03-09
JP2018042698A JP6698725B2 (ja) 2018-03-09 2018-03-09 Lngを利用する船舶用の気体潤滑システム、及び、lngを利用する船舶の運転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7269A true KR20190107269A (ko) 2019-09-19
KR102153302B1 KR102153302B1 (ko) 2020-09-09

Family

ID=67995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0250A KR102153302B1 (ko) 2018-03-09 2019-02-21 Lng 를 이용하는 선박용의 lng 기화 장치 및 기체 윤활 시스템, 그리고, lng 를 이용하는 선박의 운전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6698725B2 (ko)
KR (1) KR10215330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8853B1 (ko) * 2009-12-28 2011-11-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Lng 선박용 재기화 장치
KR20120075333A (ko) * 2010-12-28 2012-07-0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생활폐기물 자동이송 처리설비의 터보블로어 이송기류 냉각 장치 및 급난방 시스템
JP2012166704A (ja) 2011-02-15 2012-09-06 National Maritime Research Institute 船舶の摩擦抵抗低減用気泡吹出装置
JP2013091376A (ja) 2011-10-25 2013-05-16 National Maritime Research Institute 空気潤滑式船舶の空気供給装置
KR20140083944A (ko) * 2014-05-28 2014-07-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공기윤활시스템
KR20150017152A (ko) * 2013-08-06 2015-02-16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공기 윤활 장치가 탑재된 엘엔지 운반선의 압축 공기 생산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8853B1 (ko) * 2009-12-28 2011-11-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Lng 선박용 재기화 장치
KR20120075333A (ko) * 2010-12-28 2012-07-0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생활폐기물 자동이송 처리설비의 터보블로어 이송기류 냉각 장치 및 급난방 시스템
JP2012166704A (ja) 2011-02-15 2012-09-06 National Maritime Research Institute 船舶の摩擦抵抗低減用気泡吹出装置
JP2013091376A (ja) 2011-10-25 2013-05-16 National Maritime Research Institute 空気潤滑式船舶の空気供給装置
KR20150017152A (ko) * 2013-08-06 2015-02-16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공기 윤활 장치가 탑재된 엘엔지 운반선의 압축 공기 생산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83944A (ko) * 2014-05-28 2014-07-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공기윤활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698725B2 (ja) 2020-05-27
JP2019156023A (ja) 2019-09-19
KR102153302B1 (ko) 2020-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43136B2 (en) Arrangement for and method of providing cooling energy to a cooling medium circuit of a marine vessel
JP4073445B2 (ja) 液化天然ガス運搬船の蒸発ガス供給システム
KR101434431B1 (ko) 천연가스 연료공급 시스템 및 천연가스 연료공급 시스템이 탑재된 선박
WO2012043259A1 (ja) 舶用燃料供給システム
US9945518B2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transferring heat in a gaseous fuel system
KR20130070767A (ko) 선박의 열전달시스템
KR101408357B1 (ko) Lng를 이용한 액화가스 재액화장치 및 이를 가지는 액화가스운반선
KR20220132647A (ko) 부체
KR102338967B1 (ko) 부체
KR101324612B1 (ko) 천연가스 연료공급 시스템
JP2003227608A (ja) 液化天然ガスの処理装置および液化天然ガスの運搬船
KR20190107269A (ko) Lng 를 이용하는 선박용의 lng 기화 장치 및 기체 윤활 시스템, 그리고, lng 를 이용하는 선박의 운전 방법
JP2022036417A (ja) タンクシステム、船舶
KR101324613B1 (ko) 천연가스 연료공급 시스템
KR101324614B1 (ko) 천연가스 연료공급 시스템
JPH06123569A (ja) Lng船のlng強制蒸発装置
KR101751858B1 (ko) 선박용 증발가스 처리 방법
KR20190076408A (ko) 연료 탱크 및 상기 연료 탱크를 구비한 선박
JP7426219B2 (ja) 造水システム
JP2020186732A (ja) 液化天然ガス気化システム、および液化天然ガス気化システムの温度制御方法
WO2023008196A1 (ja) 冷熱回収システムおよび冷熱回収システムの起動方法
KR102283344B1 (ko) 액화가스 재기화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선박
JP2023044396A (ja) 動力回収システム
JP2021516749A (ja) ガス供給アセンブリ
KR101129548B1 (ko) 냉각 시스템 및 냉각 시스템을 포함하는 선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