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7005A - 물을 재활용하기 위한 방법 및 물 재활용 장치 - Google Patents

물을 재활용하기 위한 방법 및 물 재활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7005A
KR20190107005A KR1020197018065A KR20197018065A KR20190107005A KR 20190107005 A KR20190107005 A KR 20190107005A KR 1020197018065 A KR1020197018065 A KR 1020197018065A KR 20197018065 A KR20197018065 A KR 20197018065A KR 20190107005 A KR20190107005 A KR 201901070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ath
external
treated
d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8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카엘 리델
리차드 보덴
Original Assignee
오비탈 시스템즈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비탈 시스템즈 에이비 filed Critical 오비탈 시스템즈 에이비
Publication of KR201901070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70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00Methods or layout of installations for water supply
    • E03B1/04Methods or layout of installations for water supply for domestic or like local supply
    • E03B1/041Greywater supply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00Methods or layout of installations for water supply
    • E03B1/04Methods or layout of installations for water supply for domestic or like local supp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6Accessories or devices or components used for biocidal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02F1/3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ligh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02F1/3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light
    • C02F1/325Irradiation devices or lamp constru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1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for combinations of baths, showers, sinks, wash-basins, closets, urinal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1Apparatus for generating biocidal substances, e.g. vaporisers, UV lamp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2Grey water, e.g. from clothes washers, showers or dishwash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5Val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4Disinf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00Methods or layout of installations for water supply
    • E03B1/04Methods or layout of installations for water supply for domestic or like local supply
    • E03B1/041Greywater supply systems
    • E03B2001/045Greywater supply systems using household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08Water installations especially for showe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2201/00Details, device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3C2201/40Arrangement of water treatment devices in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46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using grey water
    • Y02A20/148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using grey water using household water from wash basins or show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30Relating to industrial water supply, e.g. used for cool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oxic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Heat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 컨셉은 물 재활용 장치에서 물을 재활용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방법은 배수구를 통해 사용된 물을 수용하는 단계; 사용된 물의 수질 측정치를 결정하는 단계; 사용된 물의 상기 수질 측정치가 제1 수질 기준치보다 높으면, 밸브 장치로 사용된 물을 공급하는 단계; 밸브 장치에서, 외부 물, 사용된 물 또는 외부 물과 사용된 물의 조합을 제공함으로써 처리될 물을 형성하는 단계; 물 처리 장치를 이용해 처리될 물을 처리함으로써 처리된 물을 생성하는 단계; 및 출구로 상기 처리된 물을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 컨셉은 물 재활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물을 재활용하기 위한 방법 및 물 재활용 장치
개시된 장치, 시스템 및 방법은 전체적으로 물 재활용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물 재활용 적용 시 개선된 위생 조건을 위한 컨셉이 개시된다.
세계의 많은 지역에서, 깨끗한 물이 부족해지고 있다. 따라서, 물의 정화와 재활용을 위한 시스템이 다양한 분야에 걸쳐 적용되고 있다. 종래 물 재활용 장치는 효과적일 수 있으나, 흔히 비싸고, 빈번한 유지 관리 및 기존 배관에 대해 중대한 변경을 요구한다.
물 재활용 장치의 예가 예컨대 SE469413으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다만, 여전히 오염물의 제거의 신뢰성, 비용 및 설치의 용이성의 측면에서 개선된 물 재활용 장치에 대한 요구가 있다.
본 발명 컨셉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전술한 결함 및 단일 또는 조합된 단점 중 하나 이상을 경감, 완화 또는 제거하는 것이다.
본 발명 컨셉의 제1 양상에 따르면, 이러한 및 그밖에 목적은 물 재활용 장치에서 물을 재활용하기 위한 방법에 의해 완전히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루어지는데, 본 방법은 배수구를 통해 사용된 물을 수용하는 단계; 상기 사용된 물의 수질 측정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사용된 물의 상기 수질 측정치가 제1 수질 기준치보다 높으면, 밸브 장치로 상기 사용된 물을 공급하는 단계; 상기 밸브 장치에서, 외부 물, 상기 사용된 물 또는 상기 외부 물과 상기 사용된 물의 조합을 제공함으로써 처리될 물을 형성하는 단계; 물 처리 장치를 이용해 상기 처리될 물을 처리함으로써 처리된 물을 생성하는 단계; 및 출구로 상기 처리된 물을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외부 물, 상기 사용된 물 또는 상기 외부 물과 상기 사용된 물의 조합을 제공함으로써 처리될 물을 형성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수질 측정치가 상기 제1 수질 기준치보다 낮으면 상기 처리될 물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외부 물만 제공하는 하위 단계; 또는 상기 수질 측정치가 상기 제1 수질 기준치보다 높으면 상기 처리될 물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사용된 물만 제공하는 하위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물, 상기 사용된 물 또는 상기 외부 물과 상기 사용된 물의 조합을 제공함으로써 처리될 물을 형성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수질 측정치가 상기 제1 수질 기준치와 상기 제2 수질 기준치보다 낮으면 상기 처리될 물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외부 물만 제공하는 하위 단계; 상기 수질 측정치가 상기 제1 수질 기준치보다 높고 상기 제2 수질 기준치보다 낮으면 상기 처리될 물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외부 물과 상기 사용된 물의 상기 조합을 제공하는 하위 단계; 또는 상기 수질 측정치가 상기 제1 수질 기준치와 상기 제2 수질 기준치보다 높으면 상기 처리될 물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사용된 물만 제공하는 하위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물 처리 장치를 이용해 상기 처리될 물을 처리함으로써 처리된 물을 생성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처리될 물을 여과하는 하위 단계; 및 UV 광을 이용해 상기 처리될 물에서 미생물의 유해한 효과를 감소하는 하위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 컨셉의 제2 양상에 따르면, 이러한 및 그밖에 목적은 처리된 물을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출구; 상기 출구로부터 출력되는 사용된 물을 수집하기 위한 배수구; 상기 배수구와 유체 연통하는 복귀 경로; 상기 출구 및 상기 복귀 경로와 유체 연통하는 처리 경로; 상기 처리 경로와 유체 연통하되, 외부 물 출구에 연결되는 외부 물 경로; 상기 복귀 경로로부터의 상기 사용된 물 및/또는 상기 외부 물 경로로부터의 외부 물을 입력으로서 수용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복귀 경로와 상기 처리 경로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처리 경로로 상기 입력을 보내도록 구성되고, 상기 복귀 경로로부터의 상기 물과 상기 외부 물을 혼합하도록 구성되는 밸브 장치; 상기 물 재활용 장치에 유동을 제공하기 위한 순환 펌프; 및 상기 밸브 장치의 하류에 배치되는 물 처리 장치에 의해 완전히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루어진다.
물 재활용 장치는 상기 물 처리 장치의 하류에 배치 및/또는 그와 조합되는 가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가열 장치는 단일 피스의 장비로 UV 광 처리 장치와 조합될 수 있다.
물 처리 장치는 필터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물 재활용 장치는 상기 물 재활용 장치로부터 물을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밸브 폐기 경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밸브 장치는 상기 복귀 경로로부터 상기 밸브 폐기 경로로 상기 물을 보내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밸브 장치는 적어도 제1 및 제2 밸브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밸브 장치는 상기 복귀 경로로부터 상기 사용된 물을 입력으로서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제1 밸브 장치는 상기 복귀 경로로부터 상기 처리 경로로 상기 사용된 물을 보내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밸브 장치는 상기 외부 물 경로로부터 상기 외부 물을 입력으로서 수용할 수 있고, 상기 제2 밸브 장치는 상기 처리 경로로 상기 외부 물을 보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밸브 장치는 상기 복귀 경로로부터 상기 밸브 폐기 경로로 상기 사용된 물을 보내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배수구는 상기 물 재활용 장치로부터 사용된 물을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배수구 폐기 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물 재활용 장치는 물 재활용 장치의 물의 수질 파라미터를 측정하도록 구성되는 센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 장치는 전기 전도도 센서와 UV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UV 센서는 상기 가열 장치에 배열될 수 있다.
본 발명 컨셉의 제3 양상에 따르면, 이러한 및 그밖에 목적은 본 발명 컨셉의 제2 양상에 따른 물 재활용 장치를 포함하는 물 재순환 샤워기에 의해 완전히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 컨셉의 그밖에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아래 상세한 설명, 첨부된 청구범위 및 도면에서 나타날 것이다.
일반적으로,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는 달리 명확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 기술 분야에서 보통의 의미에 따라 해석되어야 한다. "한/하나/그 [요소, 장치, 성분, 수단, 단계 등]"에 대한 모든 언급은 달리 명확하게 서술되지 않는 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요소, 장치, 성분, 수단, 단계 등의 예를 지칭하는 것으로 공연히 해석된다. 개시된 방법의 단계는 명확하게 서술되지 않는 한, 개시된 순서로 정확하게 수행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 컨셉의 상기 및 추가적인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 본 발명 컨셉의 서로 다른 실시예의 도시적이지만 제한적이지 않은 상세한 설명을 통해 더 잘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샤워기에서 물을 재활용하기 위한 종래 재순환 루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물 재활용 장치의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은 물 재활용 장치의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 내지 6은 물 재활용 장치에서 유동 방향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7은 물 재활용 장치에서 물을 재활용하기 위한 방법의 플로 차트 다이어그램이다.
도 8은 샤워기에서 물을 재활용하기 위한 종래 재순환 루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9는 물 재활용 장치의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0은 물 재활용 장치의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1 내지 13은 물 재활용 장치에서 유동 방향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4는 물 재활용 장치를 배출시키기 위한 방법의 플로 차트 다이어그램이다.
본 발명은 물 재활용 장치 및 이와 관련된 방법을 개시한다. 먼저, 몇몇 용어가 아래 설명의 명확성을 제공하기 위해 정의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물 재활용 장치에서 위생 조건은 재활용하기에 적절하지 않은 사용된 물이 물 재활용 장치에서 외부 물을 오염하지 않도록 허용함으로써 개선될 수 있다고 발명자들에게 인식되어 왔다. 나아가, 물 재활용 장치에서 위생 조건은 외부 물 공급원으로부터의 물이 물 처리 장치를 지나가도록 허용함으로써 개선될 수 있다고 인식되어 왔다.
본 설명 전반에서, "외부 물"이 언급된다. 외부 물은 예컨대 수돗물 등일 수 있다. "외부 물"이라는 용어는 외부 물 공급원으로부터 물 재활용 장치로 들어가는 물에 대해 사용될 수 있다. 외부 물의 수질은 적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나아가, 외부 물의 수질은 국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설명 전반에서, "처리된 물"과 "사용된 물"이 언급된다. 처리된 물은 물 처리 장치 및/또는 가열 장치를 지나간 물일 수 있다. 물 재활용 장치의 출구를 나가는 처리된 물은 사용된 물로 언급될 수 있다.
본 설명 전반에서, 서로 다른 경로가 언급된다. 이러한 경로는 예컨대 물을 전송하기 위한 파이프일 수 있다.
본 설명 전반에서, 특정 구성의 "하류" 및/또는 "상류"에 배열되는 구성이 언급된다. "하류"와 "상류"라는 용어가 지칭하는 유동 방향은 배수구로부터 출구로의 유동 방향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시 말해, "하류"와 "상류"라는 용어에서 언급되는 "흐름"은 배수구로부터 출구로 유동하는 흐름이다.
본 설명 전반에서, 물 재활용 장치의 "세척"이 언급된다. 이러한 문맥에서, 세척은 물 재활용 장치의 플러싱 및/또는 세척제를 이용한 물 재활용 장치의 플러싱과 세척을 지칭할 수 있다.
물 재활용 장치는 물 재순환 장치를 지칭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샤워기에서 물을 재활용하기 위한 종래 재순환 루프(100)가 나타나 있다. 재순환 루프(100)는 노즐(102)로부터 방출된 물을 수집하기 위한 배수구(104)를 포함한다. 배수구(104)에 의해 수집된 물은 폐기 물 파이프(108)로 또는 노즐(102)을 향해 물을 보내도록 구성된 밸브(106)로 보내진다. 펌프(110)는 밸브(107)를 향하는 유동을 제공하는데, 이는 음용수 공급원(112)으로부터의 음용수와 수집된 물을 입력으로서 수용한다. 수집된 물은 음용수와 혼합되어, 노즐(102)을 통해 방출될 수 있다. 일부 경우, 음용수는 음용이 아닌 물로 교체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물 재활용 장치(200)가 나타나 있다. 물 재활용 장치(200)는 물을 출력하도록 구성된 출구(238)를 포함한다. 출구(238)는 샤워헤드, 노즐 등일 수 있다. 물 재활용 장치는 출구에 의해 출력된 물을 수집하기 위한 배수구(216) 및 배수구(216)와 유체 연통하는 복귀/배출 경로(R/E path)(220)를 더 포함하는데, R/E 경로(220)는 배수구(216)에 의해 수집된 물을 수용하기 위한 입구(218)를 포함한다. 배수구(216)에 의해 수집된 물은 이하 사용된 물이라 한다. R/E 경로는 복귀 경로(222)와 유체 연통한다. 복귀 경로(222)는 처리 경로(230)와 유체 연통한다. 처리 경로는 출구(238)와 유체 연통한다. 외부 물은 처리 경로(230)와 유체 연통하는 외부 물 경로(224)를 통해 물 재활용 장치로 들어갈 수 있는데, 외부 물 경로(224)는 외부 물 공급원에 연결된다. 처리 경로(230)의 물은 이하 처리될 물이라 한다. 밸브 장치(226)는 복귀 경로(222)와 처리 경로(2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밸브 장치(226)는 복귀 경로로부터의 물, 예컨대 사용된 물 및/또는 외부 물 경로로부터의 외부 물을 입력으로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밸브 장치(226)는 처리 경로(230)로 입력을 보내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밸브 장치(226)는 복귀 경로로부터의 물, 예컨대 사용된 물과 외부 물을 혼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밸브 장치는 밸브 폐기 경로(240)를 포함할 수 있다. 밸브 폐기 경로는 물 재활용 장치(200)로부터 물을 폐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순환 펌프(228)는 밸브 장치(226)의 하류에 배치될 수 있다. 순환 펌프(228)는 상기 물 재활용 장치(200)에 물의 유동 중 적어도 일부를 제공할 수 있다. 물 처리 장치(232)는 밸브 장치(226)의 하류에 배치될 수 있다. 물 처리 장치(232)는 필터 장치 및/또는 UV 광 처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물 처리 장치(232)는 나노필터, 마이크로필터 또는 나노필터 및 마이크로필터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물 처리 장치(232)는 적어도 하나의 입자 필터 및 적어도 하나의 미생물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물 처리 장치(232)는 물 처리 장치(232)를 지나가는 물에서 미생물의 유해한 효과를 감소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활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활성 물질은 예컨대 필터의 필터 매체 내에 수용 및/또는 물 처리 장치(232) 내부의 물로 방출될 수 있다. 물 처리 장치(232)에 의해 처리된 물은 이하 처리된 물이라 한다.
가열 장치(236)는 물 처리 장치(232)의 하류에 배치될 수 있다. 먼저 물 재활용 장치(200)의 물에서 미생물의 유해한 효과를 감소한 후 물 재활용 장치(200)의 물을 가열함으로써, 미생물 증식의 위험성이 예컨대 사용된 물과 외부 물의 조합인 물이 먼저 가열되어 처리되는 경우, 즉 여과되어 UV 광 처리되는 경우에 비해 감소한다. 이는 가열 장치가 예컨대 미생물 증식이 좋은 온도로 물을 가열할 수 있기 때문이다. 가열 장치(236)는 가열 장치(236)를 지나가는 물을 가열할 수 있다. 가열 장치(236)는 UV 광 처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가열 장치(236)는 물 처리 장치(232)와 조합될 수 있다. 가열 장치(236)는 UV 광이 가열 장치(236) 내에 수용된 물을 관통하여 지나간 이후에 UV 광 처리 장치로부터 방출된 UV 광을 감지하도록 구성된 UV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가열 장치(236)는 물을 가열하고 UV 광 처리하기 위한 단일 피스의 장비를 포함할 수 있다. 가열 장치(236)는 물의 처리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V 장치는 가열 장치(236)를 지나가는 물에 있는 미생물의 유해한 효과를 감소하는 것을 보조할 수 있다. 따라서, 가열 장치(236)를 지나간 물은 이하 처리된 물이라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물 재활용 장치(200)는 처리 경로(230)와 유체 연통하는 배출 경로(234)를 포함할 수 있다. 배출 경로(234)의 입구는 순환 펌프의 하류에 배치될 수 있다. 배출 경로(234)의 입구는 물 처리 장치(232)의 상류에 배치될 수 있다. 배출 경로(234)는 처리 경로로부터 배출 경로로의 유동을 조절하도록 구성된 배출 밸브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배출 경로(234)는 R/E 경로(220)와 유체 연통할 수 있다. R/E 경로(220)는 배출 경로(234)로부터 수용된 물을 R/E 경로(220)를 통해 배수구로 보내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물 재활용 장치(200)는 가열 장치(236)에서 물을 가열한 후 배출 경로를 통해 R/E 경로(220)로 가열된 물을 배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R/E 경로(220)는 제1 상태에 있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R/E 경로의 물이 배수구(216)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유동하도록 허용된다. R/E 경로(220)의 제1 상태는 물이 배출 경로(234)를 관통하여 유동하지 않도록 허용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R/E 경로(220)는 제2 상태에 있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R/E 경로의 물이 배수구(216)를 향하는 방향으로 유동하도록 허용된다. R/E 경로(220)의 제2 상태는 밸브 장치(226)가 입력으로서 외부 물 경로(224)를 통해 외부 물만 수용하도록 설정되게 함으로써, 순환 펌프(228)가 작동되게 함으로써, 그리고 물이 배출 경로(234)를 관통하여 유동하도록 허용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R/E 경로(220)의 제2 상태를 이루는 다른 예는 입력으로서 외부 물 경로(224)를 관통하여 외부 물을 수용하지 않고 순환 펌프(228)가 정지되게 함으로써, 그리고 물이 배출 경로(234)를 관통하여 유동하도록 허용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아래, 본 설명에 따른 장치의 다양한 이점이 개시된다. 사용된 물, 외부 물 및 처리된 물이 언급될 것이다. 다만, 이러한 타입의 물은 상호 교체 가능할 수 있으며, 외부의, 사용된 그리고 처리된 물의 임의의 조합이 본 설명의 범위 내에서 가능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설명에 따른 장치의 장점은 배수구(216)에 의해 수집되는 사용된 물의 수질 측정치가 배수구(216)에서 구해질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된 물을 재활용하여, 입구(218)를 통해 물 처리 장치(232)로 물을 보낼지, 아니면 사용된 물이 배수구 폐기 경로(242)를 통해 폐기되어야 할지가 결정될 수 있다. 물이 재활용하기에 부적절한 것으로 간주되면, 예를 들어 사용된 물의 수질 측정치가 제1 수질 기준치보다 낮으면, 사용된 물은 배수구 폐기 경로(242)로 보내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된 물은 외부 물이 외부 물 경로(224)를 통해 입력되는 밸브 장치(226)로 유도하는 복귀 경로(222)로 들어가지 않는다. 그 결과, 제1 수질 기준치보다 낮은 수질 측정치를 갖는 사용된 물이 외부 물을 오염할 위험성이 감소한다.
본 설명에 따른 장치의 다른 이점은 외부 물 경로(224)를 통해 밸브 장치(226)로 입력된 외부 물이 출구(238)에 의해 출력되기 이전에 물 처리 장치(232)에서 처리될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오염물을 포함하는 물이 출구(238)에 의해 출력되도록 허용할 위험성이 감소한다.
본 설명에 따른 장치의 또 다른 이점은 배출 경로(234)의 상류인 처리 경로(230)의 일부의 물 및/또는 물 처리 장치(232)의 물 및/또는 가열 장치(236)의 물과 같이, 처리 경로(230)의 적어도 일부의 물이 배출 경로(234)를 통해, 복귀 경로(222)를 통해 그리고 R/E 경로(220)를 통해 배수구(216)로 배수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에 의해, 물은 물 처리 장치(232) 내부에 머무르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물 재활용 장치(220)가 비워질 수 있다. 한 예에서 물은 가열 장치(236)에 의해 가열된 후 물 처리 장치(232)를 관통하여, 배출 경로(234)와 R/E 경로(220)를 통해 배수구(216)로 배수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원하는 효과에 이를 때까지 다수 반복될 수 있다. 이러한 원하는 효과는 예컨대 물 처리 장치(232)에서 오염물의 감소일 수 있다. 이러한 문맥에서, 오염물은 물 재활용 장치의 기능이나 사람에게 유해한 종류의 물질을 의미하는 것으로 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물 재활용 장치로부터 물을 배수하는 과정은 자동으로 및/또는 특정 간격으로 수행되도록 계획될 수 있다. 이에 물 처리 장치(232), 배출 경로(234), R/E 경로(220) 및 배수구(216)는 가열된 물로 플러싱될 수 있다. 일부 경우 가열된 물은 가열되지 않은 물에 비해 더 효과적인 플러싱 및/또는 세척을 제공할 수 있다. 물 재활용 장치(200)는 물 재활용 장치(200)의 배출이 중력을 이용해 수행될 수 있도록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 재활용 장치(200)는 물 재활용 장치(200)의 다른 경로에 워터 트랩이 형성되지 않도록 배열될 수 있다. 나아가, 물 재활용 장치(200)는 가열 장치(236)가 중력에 대하여 물 처리 장치(232) 위에 배열되게 설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유사하게, 배출 경로(234)는 중력에 대하여 R/E 경로(220) 위에 배열될 수 있다. 한 예에서, 순환 펌프(228) 및/또는 물 재활용 장치(200)에 배열된 다른 펌프는 물 재활용 장치(200)가 비워질 수 있도록 물의 유동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설명에 따른 장치의 또 다른 이점은 외부 물이 밸브 장치(226)로 들어가, 처리 경로(230)를 통해 배출 경로(234)의 입구로 유동하여, 복귀 경로(222)와 R/E 경로(220)를 통해 배수구(216)로 보내질 수 있다는 것이다. 이에 물 재활용 장치(200)는 외부 물로 플러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수구(216)가 외부 물에 의해 플러싱될 수 있다. 배수구(216)는 예컨대 사용된 물과 같이, 출구(238)로부터 수집된 물을 여과하기 위한 프리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프리필터는 메시 필터일 수 있다. 이 경우 또 다른 이점은 프리필터가 외부 물에 의해 플러싱될 수 있다는 것이다. 물 재활용 장치(200)는 센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 장치는 배수구(216)에 배열될 수 있다. 센서 장치는 물 재활용 장치의 물 및/또는 배수구(216)에 의해 수집된 물의 다양한 수질 파라미터를 측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센서 장치는 물 재활용 장치의 물의 수질 측정치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센서 장치는 전기 전도도 센서와 UV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전기 전도도 센서는 배수구(216)에 배열될 수 있다. UV 센서는 가열 장치(236)에 배열될 수 있다. 이 경우 또 다른 이점은 물 재활용 장치가 비워질 때 외부 물이 센서 장치를 지나갈 수 있어, 외부 물이 수질 파라미터의 개수에 대한 참조값을 설정하기 위해 센서 장치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설명에 따른 장치의 또 다른 이점은 처리 경로(230), 배출 경로(234) 및 복귀 경로(222) 중 적어도 일부의 물이 처리 경로(230), 배출 경로(234) 및 복귀 경로(222)에서 순환할 수 있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 처리 경로(230), 배출 경로(234) 및 복귀 경로(222) 중 적어도 일부가 루프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물은 예컨대 사용된 물, 외부 물, 처리된 물 또는 사용된, 외부 및 처리된 물의 임의의 조합일 수 있다. 이에 순환 펌프(228)가 플러싱될 수 있다.
본 설명에 따른 장치의 또 다른 이점은 내부 세척과 소독이 배수구(216)에 화학물을 첨가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후 소독 사이클이 개시될 수 있다는 것이다. 소독 사이클은 배수구(216)로부터 물 처리 장치(232), 순환 펌프(228), 밸브 장치(226) 및 가열 장치(236) 또는 R/E 경로(220), 복귀 경로(222), 배출 경로(234) 및 처리 경로(230)로 화학물을 포함하는 물을 끌어당길 수 있다. 소독 사이클은 스마트폰과 같이, 스마트 장치에서 애플리케이션으로 발동될 수 있다.
배수구(216)는 배수구 폐기 경로(242)를 포함할 수 있다. 배수구 폐기 경로(242)는 물 처리 장치(232)에 의해 처리되지 않도록 의도되어 재활용되지 않도록 의도되는 사용된 물이 배수구 폐기 경로(242)에 도달하기 위해 R/E 경로(220)의 입구로 들어갈 필요가 없도록, R/E 경로(220)의 입구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에 오염된 물은 R/E 경로(220)의 입구의 하류에 배열되는 임의의 요소를 오염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2와 함께 설명된 물 재활용 장치(200)와 유사한 물 재활용 장치(300)가 도시되어 있다. 물 재활용 장치(300)는 도 2와 함께 앞서 설명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물 재활용 장치(300)는 제1 및 제2 밸브 장치(326, 327)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밸브 장치(326)는 복귀 경로(322)로부터 사용된 물을 입력으로서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밸브 장치는 복귀 경로(322)로부터 처리 경로(330)로 사용된 물을 보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밸브 장치(327)는 외부 물 경로(324)로부터 외부 물을 입력으로서 수용할 수 있다. 제2 밸브 장치(327)는 처리 경로(330)로 외부 물을 보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밸브 장치(327)는 처리 경로(330)로 제1 밸브 장치(326)로부터 수용되는 사용된 물을 보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밸브 장치(326)는 복귀 경로(322)로부터 밸브 폐기 경로(340)로 사용된 물을 보내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 내지 6을 참조하면, 물 재활용 장치에서 유동 방향이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물 재활용 장치로부터 물을 출력할 때, 사용된 물은 배수구에 의해 수집되어 R/E 경로의 입구를 통해 R/E 경로로 들어갈 수 있다. 사용된 물은 복귀 경로와 밸브 장치로 보내질 수 있다. 사용된 물, 그리고 사용된 물만 물 처리 장치로 보내져 물 재활용 장치의 출구에 의해 출력될 수 있다. 이는 예컨대 사용된 물의 수질 측정치가 제1 수질 기준치와 제2 기준치보다 높은 경우에 해당한다. 밸브 장치에서, 외부 물은 물 재활용 장치로 들어갈 수 있다. 이는 예컨대 사용된 물의 수질 측정치가 제1 수질 기준치보다 높고 제2 수질 기준치보다 낮은 경우에 해당한다. 다시 말해, 사용된 물과 외부 물의 조합이 사용된다. 사용된 물만, 외부 물만 또는 그 둘의 조합을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외부 물, 그리고 외부 물만 예컨대 사용된 물의 수질 측정치가 제1 수질 기준치보다 낮을 경우 사용될 수 있다. 처리될 물은 순환 펌프를 통해 처리 경로로 들어가 물 처리 장치로 보내질 수 있다. 처리된 물은 가열 장치로 들어간 후 출구로부터 출력될 수 있다.
배출 경로(미도시)로 사용된 물을 보낼 수도 있다. 이 경우, 처리 경로의 사용된 물은 먼저 배출 경로, R/E 경로 및 배수구를 통해, 사용된 물이 배출 경로의 입구를 이미 지나갔을 경우에는 선택적으로 출구를 통해, 처리 경로를 나가도록 허용된다. 외부 물은 밸브 장치로 들어간 후 처리 경로로 들어가 물 처리 장치를 통해 출구로부터 출력될 수 있다. 이에 어떠한 이유로 재활용하기에 부적절한 것으로 간주되는 사용된 물, 예컨대 사용된 물의 수질 측정치가 제1 수질 기준치보다 낮을 경우, 그 사용된 물을 배출할 수 있다.
또 다르게는 사용된 물이 배수구로 들어간 후 배수구 폐기 파이프로 들어갈 수도 있다. 이는 예컨대 사용된 물이 어떠한 이유로 재활용하기에 부적절한 것으로 간주될 경우, 예컨대 사용된 물의 수질 측정치가 제1 수질 기준치와 제2 수질 기준치보다 낮은 경우에 해당한다. 이 경우 사용된 물은 R/E 경로의 입구로 들어가지 않는다. 그 대신, 외부 물이 밸브 장치로 들어간 후 처리 경로로 들어가 물 처리 장치를 통해 출구로부터 출력될 수 있다.
또 다르게는 물로 물 재활용 장치를 채울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외부 물은 물 재활용 장치로 도입될 수 있다. 이는 밸브 장치가 입력으로서 외부 물을 수용하고, 배출 밸브 장치가 배출 경로로의 물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설정함으로써, 그리고 순환 펌프가 물 재활용 장치에 물의 유동을 제공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외부 물은 외부 물이 가열 장치로 도입되는 높이로 물 재활용 장치를 채우도록 허용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배출 밸브 장치는 물 재활용 장치가 비워질 수 있게, 배출 경로로 물의 유동을 허용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순환 펌프는 이 경우 정지될 수 있다. 따라서 물이 처리 경로로부터 가열 장치, 물 처리 장치, 배출 경로 및 R/E 경로를 통해 배수구로 배수된 후 배수구 폐기 파이프로 배수될 수 있다. 물 재활용 장치를 배출할 때, 공기가 물 재활용 장치 내부의 압력을 이퀄라이징하기 위해 출구를 통해 끌어당겨질 수 있다. 출구를 통해 끌어당겨진 공기는 물 처리 장치를 건조하게 유지하여, 물 처리 장치에서 미생물의 증식의 가능성을 감소하는 것을 보조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된 물 및/또는 외부 물은 처리 경로, 배출 경로 및 복귀 경로를 관통하여 순환될 수 있다. 이는 먼저 물 재활용 장치로 사용된 및/또는 외부 물을 제공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이후, 밸브 장치는 복귀 경로로부터 수용된 물만 수용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배출 밸브 장치는 배출 경로로의 물의 유동을 허용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순환 펌프는 처리 경로, 배출 경로 및 복귀 경로를 관통하여 순환하는 물의 유동을 제공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물 재활용 장치에서 물을 재활용하기 위한 방법이 플로 차트 다이어그램으로 도시되어 있다. 본 방법은 배수구를 통해 사용된 물을 수용하는 단계(742); 사용된 물의 수질 측정치를 결정하는 단계(744); 사용된 물의 수질 측정치가 제1 수질 기준치보나 높으면, 밸브 장치로 사용된 물을 공급하는 단계(746); 상기 밸브 장치에서, 외부 물, 사용된 물 또는 외부 물과 사용된 물의 조합을 제공함으로써 처리될 물을 형성하는 단계(748); 물 처리 장치를 이용해 처리될 물을 처리함으로써 처리된 물을 생성하는 단계(750); 및 출구로 처리된 물을 공급하는 단계(752)를 포함한다.
물 재활용 장치에서 물을 재활용하기 위한 방법이 아래 개시된다. 물 재활용 장치는 처리된 물을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출구; 상기 출구로부터 출력되는 사용된 물을 수집하기 위한 배수구; 상기 배수구와 유체 연통하는 복귀 경로; 상기 출구 및 상기 복귀 경로와 유체 연통하는 처리 경로; 상기 처리 경로와 유체 연통하되, 외부 물 출구에 연결되는 외부 물 경로; 상기 복귀 경로로부터의 상기 사용된 물 및/또는 상기 외부 물 경로로부터의 외부 물을 입력으로서 수용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복귀 경로와 상기 처리 경로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처리 경로로 상기 입력을 보내도록 구성되고, 상기 복귀 경로로부터의 상기 물과 상기 외부 물을 혼합하도록 구성되는 밸브 장치; 상기 물 재활용 장치에 유동을 제공하기 위한 순환 펌프; 및 상기 밸브 장치의 하류에 배치되는 물 처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방법은 배수구를 통해 사용된 물을 수용하는 단계; 사용된 물의 수질 측정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사용된 물의 수질 측정치가 제1 수질 기준치보다 높으면, 밸브 장치로 사용된 물을 공급하는 단계; 밸브 장치에서, 외부 물, 사용된 물 또는 외부 물과 사용된 물의 조합을 제공함으로써 처리될 물을 형성하는 단계; 물 처리 장치를 이용해 처리될 물을 처리함으로써 처리된 물을 생성하는 단계; 및 출구로 처리된 물을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물, 사용된 물 또는 외부 물과 사용된 물의 조합을 제공함으로써 처리될 물을 형성하는 단계는 수질 측정치가 제1 수질 기준치와 제2 수질 기준치보다 낮으면 처리될 물을 형성하기 위해 외부 물만 제공하는 하위 단계; 수질 측정치가 제1 수질 기준치보다 높고 제2 수질 기준치보다 낮으면 처리될 물을 형성하기 위해 외부 물과 사용된 물의 조합을 제공하는 하위 단계; 또는 수질 측정치가 제1 수질 기준치와 제2 수질 기준치보다 높으면 처리될 물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된 물만 제공하는 하위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물 처리 장치를 이용해 처리될 물을 처리함으로써 처리된 물을 생성하는 단계는 처리될 물을 여과하는 하위 단계; 및 UV 광을 이용해 처리될 물에서 미생물의 유해한 효과를 감소하는 하위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질 측정치는 예컨대 사용된 물에서 전기 전도도의 측정치일 수 있다. 수질 측정치는 물 재활용 장치의 배수구의 사용된 물에서 감지될 수 있다.
본 발명 컨셉은 주로 몇몇 실시예와 관련하여 앞서 설명되었다. 다만,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바와 같이, 앞서 설명된 것과 다른 실시예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 컨셉의 범위 내에서 동등하게 가능하다.
아래 단락에서 이루어지는 설명은 앞서 개시된 발명 컨셉의 관련 양상에 관한 것이다. 아래 설명되는 장치, 시스템 및 방법은 전체적으로 물 재활용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물 재활용 적용 시 개선된 위생 조건을 위한 컨셉이 개시된다.
세계의 많은 지역에서, 깨끗한 물이 부족해지고 있다. 따라서, 물의 정화와 재활용을 위한 시스템이 다양한 분야에 걸쳐 적용되고 있다. 종래 물 재활용 장치는 효과적일 수 있으나, 흔히 비싸고, 빈번한 유지 관리 및 기존 배관에 대해 중대한 변경을 요구한다.
물 재활용 장치의 예가 예컨대 SE469413으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다만, 여전히 오염물의 제거의 신뢰성, 비용 및 설치의 용이성의 측면에서 개선된 물 재활용 장치에 대한 요구가 있다.
본 발명 컨셉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전술한 결함 및 단일 또는 조합된 단점 중 하나 이상을 경감, 완화 또는 제거하는 것이다.
본 발명 컨셉의 제4 양상에 따르면, 이러한 및 그밖에 목적은 처리된 물을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출구; 출구로부터 출력되는 사용된 물을 수집하기 위한 배수구; 배수구와 유체 연통하며, 배수구에 의해 수집된 물을 수용하기 위한 입구를 포함하는 복귀/배출 경로; 복귀/배출 경로와 유체 연통하는 복귀 경로; 출구 및 복귀 경로와 유체 연통하는 처리 경로; 처리 경로와 유체 연통하되, 외부 물 출구에 연결되는 외부 물 경로; 복귀 경로로부터의 사용된 물 및/또는 외부 물 경로로부터의 외부 물을 입력으로서 수용하도록 구성되되, 복귀 경로와 처리 경로 사이에 배치되며, 처리 경로로 입력을 보내도록 구성되고, 복귀 경로로부터의 사용된 물과 외부 물을 혼합하도록 구성되는 밸브 장치; 물 재활용 장치에 유동을 제공하기 위한 순환 펌프; 및 밸브 장치의 하류에 배치되는 물 처리 장치를 포함하는 물 재활용 장치에 의해 완전히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루어진다.
물 재활용 장치는 물 처리 장치의 하류에 배치되는 가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물 재활용 장치는 처리 경로와 유체 연통하며, 밸브 장치의 하류와 물 처리 장치의 상류에 배치되는 배출 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배출 경로는 처리 경로로부터 배출 경로로 물의 유동을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배출 밸브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배출 경로는 복귀/배출 경로와 유체 연통할 수 있다.
물 재활용 장치는 가열 장치에서 물을 가열한 후 배출 경로를 통해 복귀/배출 경로로 가열된 물을 배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물 재활용 장치는 복귀 경로, 배출 경로 및 처리 경로 중 적어도 일부에서 물을 순환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복귀/배출 경로는 복귀/배출 경로의 입구를 통해 배수구로 배출 경로로부터 수용된 물을 보내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배수구는 물 재활용 장치로부터 물을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배수구 폐기 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복귀/배출 경로는 제1 상태와 제2 상태에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제1 상태에서 복귀/배출 경로의 물은 배수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유동하도록 허용되고, 제2 상태에서 복귀/배출 경로의 물은 배수구를 향해 유동하도록 허용된다.
물 재활용 장치는 물 재활용 장치의 물의 수질 파라미터를 측정하도록 구성되는 센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 장치는 전기 전도도 및 UV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 컨셉의 제5 양상에 따르면, 이러한 및 그밖에 목적은 본 발명 컨셉의 제1 양상에 따른 물 재활용 장치를 포함하는 물 재순환 샤워기에 의해 완전히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 컨셉의 제6 양상에 따르면, 이러한 및 그밖에 목적은 물 재활용 장치를 배출시키기 위한 방법에 의해 완전히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루어지는데, 물 재활용 장치는 처리된 물을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출구; 출구로부터 출력되는 사용된 물을 수집하기 위한 배수구; 배수구와 유체 연통하며, 배수구에 의해 수집된 물을 수용하기 위한 입구를 포함하는 복귀/배출 경로; 복귀/배출 경로와 유체 연통하는 복귀 경로; 출구 및 복귀 경로와 유체 연통하는 처리 경로; 처리 경로와 유체 연통하되, 외부 물 출구에 연결되는 외부 물 경로; 복귀 경로로부터의 사용된 물 및/또는 외부 물 경로로부터의 외부 물을 입력으로서 수용하도록 구성되되, 복귀 경로와 처리 경로 사이에 배치되며, 처리 경로로 입력을 보내도록 구성되고, 복귀 경로로부터의 사용된 물과 외부 물을 혼합하도록 구성되는 밸브 장치; 물 재활용 장치에 유동을 제공하기 위한 순환 펌프;
밸브 장치의 하류에 배치되는 물 처리 장치; 및 처리 경로와 유체 연통하며, 순환 펌프의 하류와 물 처리 장치의 상류에 배치되는 배출 경로를 포함하고, 본 방법은 배출 경로 및/또는 복귀/배출 경로를 통해 배수구로 물 재활용 장치의 물을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배출 경로 및/또는 복귀/배출 경로를 통해 배수구로 물 재활용 장치의 물을 공급하는 단계는 중력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 컨셉의 제7 양상에 따르면, 이러한 및 그밖에 목적은 물 재활용 장치를 세척하기 위한 방법에 의해 완전히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루어지는데, 물 재활용 장치는 처리된 물을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출구; 출구로부터 출력되는 사용된 물을 수집하기 위한 배수구; 배수구와 유체 연통하며, 배수구에 의해 수집된 물을 수용하기 위한 입구를 포함하는 복귀/배출 경로; 복귀/배출 경로와 유체 연통하는 복귀 경로; 출구 및 복귀 경로와 유체 연통하는 처리 경로; 처리 경로와 유체 연통하되, 외부 물 출구에 연결되는 외부 물 경로; 복귀 경로로부터의 사용된 물 및/또는 외부 물 경로로부터의 외부 물을 입력으로서 수용하도록 구성되되, 복귀 경로와 처리 경로 사이에 배치되며, 처리 경로로 입력을 보내도록 구성되고, 복귀 경로로부터의 사용된 물과 외부 물을 혼합하도록 구성되는 밸브 장치; 물 재활용 장치에 유동을 제공하기 위한 순환 펌프;
밸브 장치의 하류에 배치되는 물 처리 장치; 및 처리 경로와 유체 연통하며, 순환 펌프의 하류와 물 처리 장치의 상류에 배치되는 배출 경로를 포함하고, 본 방법은 사용된 물, 외부 물 또는 사용된 물과 외부 물의 조합을 물 재활용 장치에 제공하는 단계; 및 본 발명 컨셉의 제2 양상에 따라 물 재활용 장치를 배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사용된 물, 외부 물 또는 사용된 물과 외부 물의 조합을 물 재활용 장치에 제공하는 단계는 사용된 물, 외부 물 또는 사용된 물과 외부 물의 조합으로 물 처리 장치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채우는 하위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된 물, 외부 물 또는 사용된 물과 외부 물의 조합을 물 재활용 장치에 제공하는 단계는 배출 경로, 복귀 경로 및 처리 경로 중 적어도 일부에서 사용된 물, 외부 물 또는 사용된 물과 외부 물의 조합을 순환시키는 하위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물 재활용 장치는 물 처리 장치의 하류에 배치 및/또는 물 처리 장치와 조합되는 가열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된 물, 외부 물 또는 사용된 물과 외부 물의 조합을 물 재활용 장치에 제공하는 단계는 가열 장치에서 사용된 물, 외부 물 또는 사용된 물과 외부 물의 조합을 가열하는 하위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 컨셉의 그밖에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아래 상세한 설명, 첨부된 청구범위 및 도면에서 나타날 것이다.
일반적으로,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는 달리 명확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 기술 분야에서 보통의 의미에 따라 해석되어야 한다. "한/하나/그 [요소, 장치, 성분, 수단, 단계 등]"에 대한 모든 언급은 달리 명확하게 서술되지 않는 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요소, 장치, 성분, 수단, 단계 등의 예를 지칭하는 것으로 공연히 해석된다. 개시된 방법의 단계는 명확하게 서술되지 않는 한, 개시된 순서로 정확하게 수행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 컨셉의 상기 및 추가적인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 본 발명 컨셉의 서로 다른 실시예의 도시적이지만 제한적이지 않은 상세한 설명을 통해 더 잘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은 물 재활용 장치 및 이와 관련된 방법을 개시한다. 먼저, 몇몇 용어가 아래 설명의 명확성을 제공하기 위해 정의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물 재활용 장치에서 위생 조건은 재활용하기에 적절하지 않은 사용된 물이 물 재활용 장치에서 외부 물을 오염하지 않도록 허용함으로써 개선될 수 있다고 발명자들에게 인식되어 왔다. 나아가, 물 재활용 장치에서 위생 조건은 외부 물 공급원으로부터의 물이 물 처리 장치를 지나가도록 허용함으로써 개선될 수 있다고 인식되어 왔다.
본 설명 전반에서, "외부 물"이 언급된다. 외부 물은 예컨대 수돗물 등일 수 있다. "외부 물"이라는 용어는 외부 물 공급원으로부터 물 재활용 장치로 들어가는 물에 대해 사용될 수 있다. 외부 물의 수질은 적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나아가, 외부 물의 수질은 국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설명 전반에서, "처리된 물"과 "사용된 물"이 언급된다. 처리된 물은 물 처리 장치 및/또는 가열 장치를 지나간 물일 수 있다. 물 재활용 장치의 출구를 나가는 처리된 물은 사용된 물로 언급될 수 있다.
본 설명 전반에서, 서로 다른 경로가 언급된다. 이러한 경로는 예컨대 물을 전송하기 위한 파이프일 수 있다.
본 설명 전반에서, 특정 구성의 "하류" 및/또는 "상류"에 배열되는 구성이 언급된다. "하류"와 "상류"라는 용어가 지칭하는 유동 방향은 배수구로부터 출구로의 유동 방향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시 말해, "하류"와 "상류"라는 용어에서 언급되는 "흐름"은 배수구로부터 출구로 유동하는 흐름이다.
본 설명 전반에서, 물 재활용 장치의 "세척"이 언급된다. 이러한 문맥에서, 세척은 물 재활용 장치의 플러싱 및/또는 세척제를 이용한 물 재활용 장치의 플러싱과 세척을 지칭할 수 있다.
본 설명 전반에서, "수질 파라미터"는 "수질 측정치"와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물 재활용 장치는 물 재순환 장치로 지칭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샤워기에서 물을 재활용하기 위한 종래 재순환 루프(1100)가 나타나 있다. 재순환 루프(1100)는 노즐(1102)로부터 방출된 물을 수집하기 위한 배수구(1104)를 포함한다. 배수구(1104)에 의해 수집된 물은 폐기 물 파이프(1108)로 또는 노즐(1102)을 향해 물을 보내도록 구성된 밸브(1106)로 보내진다. 펌프(1110)는 밸브(1107)를 향하는 유동을 제공하는데, 이는 음용수 공급원(1112)으로부터의 음용수와 수집된 물을 입력으로서 수용한다. 수집된 물은 음용수와 혼합되어, 노즐(1102)을 통해 방출될 수 있다. 일부 경우, 음용수는 음용이 아닌 물로 교체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물 재활용 장치(1200)가 나타나 있다. 물 재활용 장치(1200)는 물을 출력하도록 구성된 출구(1238)를 포함한다. 출구(1238)는 샤워헤드, 노즐 등일 수 있다. 물 재활용 장치는 출구에 의해 출력된 물을 수집하기 위한 배수구(1216) 및 배수구(1216)와 유체 연통하는 복귀/배출 경로(R/E path)(1220)를 더 포함하는데, R/E 경로(1220)는 배수구(1216)에 의해 수집된 물을 수용하기 위한 입구(1218)를 포함한다. 배수구(1216)에 의해 수집된 물은 이하 사용된 물이라 한다. R/E 경로는 복귀 경로(1222)와 유체 연통한다. 복귀 경로(1222)는 처리 경로(1230)와 유체 연통한다. 처리 경로는 출구(1238)와 유체 연통한다. 외부 물은 처리 경로(1230)와 유체 연통하는 외부 물 경로(1224)를 통해 물 재활용 장치로 들어갈 수 있는데, 외부 물 경로(1224)는 외부 물 공급원에 연결된다. 처리 경로(1230)의 물은 이하 처리될 물이라 한다. 밸브 장치(1226)는 복귀 경로(1222)와 처리 경로(12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밸브 장치(1226)는 복귀 경로로부터의 물, 예컨대 사용된 물 및/또는 외부 물 경로로부터의 외부 물을 입력으로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밸브 장치(1226)는 처리 경로(1230)로 입력을 보내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밸브 장치(1226)는 복귀 경로로부터의 물, 예컨대 사용된 물과 외부 물을 혼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밸브 장치는 밸브 폐기 경로(1240)를 포함할 수 있다. 밸브 폐기 경로는 물 재활용 장치(1200)로부터 물을 폐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순환 펌프(1228)는 밸브 장치(1226)의 하류에 배치될 수 있다. 순환 펌프(1228)는 상기 물 재활용 장치(1200)에 물의 유동 중 적어도 일부를 제공할 수 있다. 물 처리 장치(1232)는 밸브 장치(1226)의 하류에 배치될 수 있다. 물 처리 장치(1232)는 필터 장치 및/또는 UV 광 처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물 처리 장치(1232)는 나노필터, 마이크로필터 또는 나노필터 및 마이크로필터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물 처리 장치(1232)는 적어도 하나의 입자 필터 및 적어도 하나의 미생물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물 처리 장치(1232)는 물 처리 장치(1232)를 지나가는 물에서 미생물의 유해한 효과를 감소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활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활성 물질은 예컨대 필터의 필터 매체 내에 수용 및/또는 물 처리 장치(1232) 내부의 물로 방출될 수 있다. 물 처리 장치(1232)에 의해 처리된 물은 이하 처리된 물이라 한다.
가열 장치(1236)는 물 처리 장치(1232)의 하류에 배치될 수 있다. 먼저 물 재활용 장치(1200)의 물에서 미생물의 유해한 효과를 감소한 후 물 재활용 장치(1200)의 물을 가열함으로써, 미생물 증식의 위험성이 예컨대 사용된 물과 외부 물의 조합인 물이 먼저 가열되어 처리되는 경우, 즉 여과되어 UV 광 처리되는 경우에 비해 감소한다. 이는 가열 장치가 예컨대 미생물 증식이 좋은 온도로 물을 가열할 수 있기 때문이다. 가열 장치(1236)는 가열 장치(1236)를 지나가는 물을 가열할 수 있다. 가열 장치(1236)는 UV 광 처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가열 장치(1236)는 물 처리 장치(1232)와 조합될 수 있다. 가열 장치(1236)는 UV 광이 가열 장치(1236) 내에 수용된 물을 관통하여 지나간 이후에 UV 광 처리 장치로부터 방출된 UV 광을 감지하도록 구성된 UV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가열 장치(1236)는 물을 가열하고 UV 광 처리하기 위한 단일 피스의 장비를 포함할 수 있다. 가열 장치(1236)는 물의 처리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V 장치는 가열 장치(1236)를 지나가는 물에 있는 미생물의 유해한 효과를 감소하는 것을 보조할 수 있다. 따라서, 가열 장치(1236)를 지나간 물은 이하 처리된 물이라 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물 재활용 장치(1200)는 처리 경로(1230)와 유체 연통하는 배출 경로(1234)를 포함할 수 있다. 배출 경로(1234)의 입구는 순환 펌프의 하류에 배치될 수 있다. 배출 경로(1234)의 입구는 물 처리 장치(1232)의 상류에 배치될 수 있다. 배출 경로(1234)는 처리 경로로부터 배출 경로로의 유동을 조절하도록 구성된 배출 밸브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배출 경로(1234)는 R/E 경로(1220)와 유체 연통할 수 있다. R/E 경로(1220)는 배출 경로(1234)로부터 수용된 물을 R/E 경로(1220)를 통해 배수구로 보내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물 재활용 장치(1200)는 가열 장치(1236)에서 물을 가열한 후 배출 경로를 통해 R/E 경로(1220)로 가열된 물을 배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R/E 경로(1220)는 제1 상태에 있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R/E 경로의 물이 배수구(1216)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유동하도록 허용된다. R/E 경로(1220)의 제1 상태는 물이 배출 경로(1234)를 관통하여 유동하지 않도록 허용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R/E 경로(1220)는 제2 상태에 있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R/E 경로의 물이 배수구(1216)를 향하는 방향으로 유동하도록 허용된다. R/E 경로(1220)의 제2 상태는 밸브 장치(1226)가 입력으로서 외부 물 경로(1224)를 통해 외부 물만 수용하도록 설정되게 함으로써, 순환 펌프(1228)가 작동되게 함으로써, 그리고 물이 배출 경로(1234)를 관통하여 유동하도록 허용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R/E 경로(1220)의 제2 상태를 이루는 다른 예는 입력으로서 외부 물 경로(1224)를 관통하여 외부 물을 수용하지 않고 순환 펌프(1228)가 정지되게 함으로써, 그리고 물이 배출 경로(1234)를 관통하여 유동하도록 허용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아래, 본 설명에 따른 장치의 다양한 이점이 개시된다. 사용된 물, 외부 물 및 처리된 물이 언급될 것이다. 다만, 이러한 타입의 물은 상호 교체 가능할 수 있으며, 외부의, 사용된 그리고 처리된 물의 임의의 조합이 본 설명의 범위 내에서 가능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설명에 따른 장치의 장점은 배수구(1216)에 의해 수집되는 사용된 물의 수질 측정치가 배수구(1216)에서 구해질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된 물을 재활용하여, 입구(1218)를 통해 물 처리 장치(1232)로 물을 보낼지, 아니면 사용된 물이 배수구 폐기 경로(1242)를 통해 폐기되어야 할지가 결정될 수 있다. 물이 재활용하기에 부적절한 것으로 간주되면, 예를 들어 사용된 물의 수질 측정치가 제1 수질 기준치보다 낮으면, 사용된 물은 배수구 폐기 경로(1242)로 보내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된 물은 외부 물이 외부 물 경로(1224)를 통해 입력되는 밸브 장치(1226)로 유도하는 복귀 경로(1222)로 들어가지 않는다. 그 결과, 제1 수질 기준치보다 낮은 수질 측정치를 갖는 사용된 물이 외부 물을 오염할 위험성이 감소한다. 수질 측정치는 예컨대 사용된 물에서 전기 전도도의 측정치일 수 있다. 수질 측정치는 물 재활용 장치의 배수구의 사용된 물에서 감지될 수 있다.
본 설명에 따른 장치의 다른 이점은 외부 물 경로(1224)를 통해 밸브 장치(1226)로 입력된 외부 물이 출구(1238)에 의해 출력되기 이전에 물 처리 장치(1232)에서 처리될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오염물을 포함하는 물이 출구(1238)에 의해 출력되도록 허용할 위험성이 감소한다.
본 설명에 따른 장치의 또 다른 이점은 배출 경로(1234)의 상류인 처리 경로(1230)의 일부의 물 및/또는 물 처리 장치(1232)의 물 및/또는 가열 장치(1236)의 물과 같이, 처리 경로(1230)의 적어도 일부의 물이 배출 경로(1234)를 통해, 복귀 경로(1222)를 통해 그리고 R/E 경로(1220)를 통해 배수구(1216)로 배수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에 의해, 물은 물 처리 장치(1232) 내부에 머무르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물 재활용 장치(1220)가 비워질 수 있다. 한 예에서 물은 가열 장치(1236)에 의해 가열된 후 물 처리 장치(1232)를 관통하여, 배출 경로(1234)와 R/E 경로(1220)를 통해 배수구(1216)로 배수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원하는 효과에 이를 때까지 다수 반복될 수 있다. 이러한 원하는 효과는 예컨대 물 처리 장치(1232)에서 오염물의 감소일 수 있다. 이러한 문맥에서, 오염물은 물 재활용 장치의 기능이나 사람에게 유해한 종류의 물질을 의미하는 것으로 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물 재활용 장치로부터 물을 배수하는 과정은 자동으로 및/또는 특정 간격으로 수행되도록 계획될 수 있다. 이에 물 처리 장치(1232), 배출 경로(1234), R/E 경로(1220) 및 배수구(1216)는 가열된 물로 플러싱될 수 있다. 일부 경우 가열된 물은 가열되지 않은 물에 비해 더 효과적인 플러싱 및/또는 세척을 제공할 수 있다. 물 재활용 장치(1200)는 물 재활용 장치(1200)의 배출이 중력을 이용해 수행될 수 있도록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 재활용 장치(1200)는 물 재활용 장치(1200)의 다른 경로에 워터 트랩이 형성되지 않도록 배열될 수 있다. 나아가, 물 재활용 장치(1200)는 가열 장치(1236)가 중력에 대하여 물 처리 장치(1232) 위에 배열되게 설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유사하게, 배출 경로(1234)는 중력에 대하여 R/E 경로(1220) 위에 배열될 수 있다. 한 예에서, 순환 펌프(1228) 및/또는 물 재활용 장치(1200)에 배열된 다른 펌프는 물 재활용 장치(1200)가 비워질 수 있도록 물의 유동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설명에 따른 장치의 또 다른 이점은 외부 물이 밸브 장치(1226)로 들어가, 처리 경로(1230)를 통해 배출 경로(1234)의 입구로 유동하여, 복귀 경로(1222)와 R/E 경로(1220)를 통해 배수구(1216)로 보내질 수 있다는 것이다. 이에 물 재활용 장치(1200)는 외부 물로 플러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수구(1216)가 외부 물에 의해 플러싱될 수 있다. 배수구(1216)는 예컨대 사용된 물과 같이, 출구(1238)로부터 수집된 물을 여과하기 위한 프리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프리필터는 메시 필터일 수 있다. 이 경우 또 다른 이점은 프리필터가 외부 물에 의해 플러싱될 수 있다는 것이다. 물 재활용 장치(1200)는 센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 장치는 배수구(1216)에 배열될 수 있다. 센서 장치는 물 재활용 장치의 물 및/또는 배수구(1216)에 의해 수집된 물의 다양한 수질 파라미터를 측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센서 장치는 물 재활용 장치의 물의 수질 측정치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센서 장치는 전기 전도도 센서와 UV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전기 전도도 센서는 배수구(1216)에 배열될 수 있다. UV 센서는 가열 장치(1236)에 배열될 수 있다. 이 경우 또 다른 이점은 물 재활용 장치가 비워질 때 외부 물이 센서 장치를 지나갈 수 있어, 외부 물이 수질 파라미터의 개수에 대한 참조값을 설정하기 위해 센서 장치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설명에 따른 장치의 또 다른 이점은 처리 경로(1230), 배출 경로(1234) 및 복귀 경로(1222) 중 적어도 일부의 물이 처리 경로(1230), 배출 경로(1234) 및 복귀 경로(1222)에서 순환할 수 있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 처리 경로(1230), 배출 경로(1234) 및 복귀 경로(1222) 중 적어도 일부가 루프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물은 예컨대 사용된 물, 외부 물, 처리된 물 또는 사용된, 외부 및 처리된 물의 임의의 조합일 수 있다. 이에 순환 펌프(1228)가 플러싱될 수 있다.
본 설명에 따른 장치의 또 다른 이점은 내부 세척과 소독이 배수구(1216)에 화학물을 첨가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후 소독 사이클이 개시될 수 있다는 것이다. 소독 사이클은 배수구(1216)로부터 물 처리 장치(1232), 순환 펌프(1228), 밸브 장치(1226) 및 가열 장치(1236) 또는 R/E 경로(1220), 복귀 경로(1222), 배출 경로(1234) 및 처리 경로(1230)로 화학물을 포함하는 물을 끌어당길 수 있다. 소독 사이클은 스마트폰과 같이, 스마트 장치에서 애플리케이션으로 발동될 수 있다.
배수구(1216)는 배수구 폐기 경로(1242)를 포함할 수 있다. 배수구 폐기 경로(1242)는 물 처리 장치(1232)에 의해 처리되지 않도록 의도되어 재활용되지 않도록 의도되는 사용된 물이 배수구 폐기 경로(1242)에 도달하기 위해 R/E 경로(1220)의 입구로 들어갈 필요가 없도록, R/E 경로(1220)의 입구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에 오염된 물은 R/E 경로(1220)의 입구의 하류에 배열되는 임의의 요소를 오염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도 9와 함께 설명된 물 재활용 장치(1200)와 유사한 물 재활용 장치(1300)가 도시되어 있다. 물 재활용 장치(1300)는 도 9와 함께 앞서 설명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물 재활용 장치(1300)는 제1 및 제2 밸브 장치(1326, 327)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밸브 장치(1326)는 복귀 경로(1322)로부터 사용된 물을 입력으로서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밸브 장치는 복귀 경로(1322)로부터 처리 경로(1330)로 사용된 물을 보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밸브 장치(1327)는 외부 물 경로(1324)로부터 외부 물을 입력으로서 수용할 수 있다. 제2 밸브 장치(1327)는 처리 경로(1330)로 외부 물을 보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밸브 장치(1327)는 처리 경로(1330)로 제1 밸브 장치(1326)로부터 수용되는 사용된 물을 보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밸브 장치(1326)는 복귀 경로(1322)로부터 밸브 폐기 경로(1340)로 사용된 물을 보내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1 내지 13을 참조하면, 물 재활용 장치에서 유동 방향이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11을 참조하면, 물 재활용 장치로부터 물을 출력할 때, 사용된 물은 배수구에 의해 수집되어 R/E 경로의 입구를 통해 R/E 경로로 들어갈 수 있다. 사용된 물은 복귀 경로와 밸브 장치로 보내질 수 있다. 사용된 물, 그리고 사용된 물만 물 처리 장치로 보내져 물 재활용 장치의 출구에 의해 출력될 수 있다. 이는 예컨대 사용된 물의 수질 측정치가 제1 수질 기준치와 제2 기준치보다 높은 경우에 해당한다. 밸브 장치에서, 외부 물은 물 재활용 장치로 들어갈 수 있다. 이는 예컨대 사용된 물의 수질 측정치가 제1 수질 기준치보다 높고 제2 수질 기준치보다 낮은 경우에 해당한다. 다시 말해, 사용된 물과 외부 물의 조합이 사용된다. 사용된 물만, 외부 물만 또는 그 둘의 조합을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외부 물, 그리고 외부 물만 예컨대 사용된 물의 수질 측정치가 제1 수질 기준치보다 낮을 경우 사용될 수 있다. 처리될 물은 순환 펌프를 통해 처리 경로로 들어가 물 처리 장치로 보내질 수 있다. 처리된 물은 가열 장치로 들어간 후 출구로부터 출력될 수 있다.
배출 경로(미도시)로 사용된 물을 보낼 수도 있다. 이 경우, 처리 경로의 사용된 물은 먼저 배출 경로, R/E 경로 및 배수구를 통해, 사용된 물이 배출 경로의 입구를 이미 지나갔을 경우에는 선택적으로 출구를 통해, 처리 경로를 나가도록 허용된다. 외부 물은 밸브 장치로 들어간 후 처리 경로로 들어가 물 처리 장치를 통해 출구로부터 출력될 수 있다. 이에 어떠한 이유로 재활용하기에 부적절한 것으로 간주되는 사용된 물, 예컨대 사용된 물의 수질 측정치가 제1 수질 기준치보다 낮을 경우, 그 사용된 물을 배출할 수 있다.
또 다르게는 사용된 물이 배수구로 들어간 후 배수구 폐기 파이프로 들어갈 수도 있다. 이는 예컨대 사용된 물이 어떠한 이유로 재활용하기에 부적절한 것으로 간주될 경우, 예컨대 사용된 물의 수질 측정치가 제1 수질 기준치와 제2 수질 기준치보다 낮은 경우에 해당한다. 이 경우 사용된 물은 R/E 경로의 입구로 들어가지 않는다. 그 대신, 외부 물이 밸브 장치로 들어간 후 처리 경로로 들어가 물 처리 장치를 통해 출구로부터 출력될 수 있다.
또 다르게는 물로 물 재활용 장치를 채울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외부 물은 물 재활용 장치로 도입될 수 있다. 이는 밸브 장치가 입력으로서 외부 물을 수용하고, 배출 밸브 장치가 배출 경로로의 물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설정함으로써, 그리고 순환 펌프가 물 재활용 장치에 물의 유동을 제공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외부 물은 외부 물이 가열 장치로 도입되는 높이로 물 재활용 장치를 채우도록 허용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배출 밸브 장치는 물 재활용 장치가 비워질 수 있게, 배출 경로로 물의 유동을 허용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순환 펌프는 이 경우 정지될 수 있다. 따라서 물이 처리 경로로부터 가열 장치, 물 처리 장치, 배출 경로 및 R/E 경로를 통해 배수구로 배수된 후 배수구 폐기 파이프로 배수될 수 있다. 물 재활용 장치를 배출할 때, 공기가 물 재활용 장치 내부의 압력을 이퀄라이징하기 위해 출구를 통해 끌어당겨질 수 있다. 출구를 통해 끌어당겨진 공기는 물 처리 장치를 건조하게 유지하여, 물 처리 장치에서 미생물의 증식의 가능성을 감소하는 것을 보조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사용된 물 및/또는 외부 물은 처리 경로, 배출 경로 및 복귀 경로를 관통하여 순환될 수 있다. 이는 먼저 물 재활용 장치로 사용된 및/또는 외부 물을 제공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이후, 밸브 장치는 복귀 경로로부터 수용된 물만 수용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배출 밸브 장치는 배출 경로로의 물의 유동을 허용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순환 펌프는 처리 경로, 배출 경로 및 복귀 경로를 관통하여 순환하는 물의 유동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물 재활용 장치를 배출시키기 위한 방법이 플로 차트 다이어그램으로 도시되어 있다. 본 방법은 배출 경로 및/또는 복귀/배출 경로를 통해 배수구로 물 재활용 장치의 물을 공급하는 단계(1742)를 포함한다.
물 재활용 장치를 배출시키기 위한 방법이 아래 개시된다. 물 재활용 장치는 처리된 물을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출구; 출구로부터 출력되는 사용된 물을 수집하기 위한 배수구; 배수구와 유체 연통하며, 배수구에 의해 수집된 물을 수용하기 위한 입구를 포함하는 복귀/배출 경로; 복귀/배출 경로와 유체 연통하는 복귀 경로; 출구 및 복귀 경로와 유체 연통하는 처리 경로; 처리 경로와 유체 연통하되, 외부 물 출구에 연결되는 외부 물 경로; 복귀 경로로부터의 사용된 물 및/또는 외부 물 경로로부터의 외부 물을 입력으로서 수용하도록 구성되되, 복귀 경로와 처리 경로 사이에 배치되며, 처리 경로로 입력을 보내도록 구성되고, 복귀 경로로부터의 사용된 물과 외부 물을 혼합하도록 구성되는 밸브 장치; 물 재활용 장치에 유동을 제공하기 위한 순환 펌프; 밸브 장치의 하류에 배치되는 물 처리 장치; 및 처리 경로와 유체 연통하며, 순환 펌프의 하류와 물 처리 장치의 상류에 배치되는 배출 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방법은 배출 경로 및/또는 복귀/배출 경로를 통해 배수구로 물 재활용 장치의 물을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배출 경로 및/또는 복귀/배출 경로를 통해 배수구로 물 재활용 장치의 물을 공급하는 단계는 중력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물 재활용 장치를 세척하기 위한 방법이 아래 개시된다. 물 재활용 장치는 처리된 물을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출구; 출구로부터 출력되는 사용된 물을 수집하기 위한 배수구; 배수구와 유체 연통하며, 배수구에 의해 수집된 물을 수용하기 위한 입구를 포함하는 복귀/배출 경로; 복귀/배출 경로와 유체 연통하는 복귀 경로; 출구 및 복귀 경로와 유체 연통하는 처리 경로; 처리 경로와 유체 연통하되, 외부 물 출구에 연결되는 외부 물 경로; 복귀 경로로부터의 사용된 물 및/또는 외부 물 경로로부터의 외부 물을 입력으로서 수용하도록 구성되되, 복귀 경로와 처리 경로 사이에 배치되며, 처리 경로로 입력을 보내도록 구성되고, 복귀 경로로부터의 사용된 물과 외부 물을 혼합하도록 구성되는 밸브 장치; 물 재활용 장치에 유동을 제공하기 위한 순환 펌프; 밸브 장치의 하류에 배치되는 물 처리 장치; 및 처리 경로와 유체 연통하며, 순환 펌프의 하류와 물 처리 장치의 상류에 배치되는 배출 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방법은 사용된 물, 외부 물 또는 사용된 물과 외부 물의 조합을 물 재활용 장치에 제공하는 단계; 및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은 물 재활용 장치를 배출시키기 위한 방법에 따라 물 재활용 장치를 배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된 물, 외부 물 또는 사용된 물과 외부 물의 조합을 물 재활용 장치에 제공하는 단계는 사용된 물, 외부 물 또는 사용된 물과 외부 물의 조합으로 물 처리 장치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채우는 하위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된 물, 외부 물 또는 사용된 물과 외부 물의 조합을 물 재활용 장치에 제공하는 단계는 배출 경로, 복귀 경로 및 처리 경로의 적어도 일부에서 사용된 물, 외부 물 또는 사용된 물과 외부 물의 조합을 순환시키는 하위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물 재활용 장치는 물 처리 장치의 하류에 배치 및/또는 물 처리 장치와 조합되는 가열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된 물, 외부 물 또는 사용된 물과 외부 물의 조합을 물 재활용 장치에 제공하는 단계는 가열 장치에서 사용된 물, 외부 물 또는 사용된 물과 외부 물의 조합을 가열하는 하위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 컨셉은 주로 몇몇 실시예와 관련하여 앞서 설명되었다. 다만,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바와 같이, 앞서 설명된 것과 다른 실시예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 컨셉의 범위 내에서 동등하게 가능하다.
1. 처리된 물을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출구;
상기 출구로부터 출력되는 사용된 물을 수집하기 위한 배수구;
상기 배수구와 유체 연통하며, 상기 배수구에 의해 수집된 물을 수용하기 위한 입구를 포함하는 복귀/배출 경로;
상기 복귀/배출 경로와 유체 연통하는 복귀 경로;
상기 출구 및 상기 복귀 경로와 유체 연통하는 처리 경로;
상기 처리 경로와 유체 연통하되, 외부 물 출구에 연결되는 외부 물 경로;
상기 복귀 경로로부터의 사용된 물 및/또는 상기 외부 물 경로로부터의 외부 물을 입력으로서 수용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복귀 경로와 상기 처리 경로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처리 경로로 상기 입력을 보내도록 구성되고, 상기 복귀 경로로부터의 상기 사용된 물과 상기 외부 물을 혼합하도록 구성되는 밸브 장치;
상기 물 재활용 장치에 유동을 제공하기 위한 순환 펌프; 및
상기 밸브 장치의 하류에 배치되는 물 처리 장치를 포함하는 물 재활용 장치.
2. 제1절에 있어서, 상기 물 처리 장치의 하류에 배치되는 가열 장치를 더 포함하는 물 재활용 장치.
3. 제1절 또는 제2절에 있어서, 상기 처리 경로와 유체 연통하며, 상기 밸브 장치의 하류와 상기 물 처리 장치의 상류에 배치되는 배출 경로를 더 포함하는 물 재활용 장치.
4. 제3절에 있어서, 상기 물 재활용 장치는 상기 복귀 경로, 상기 배출 경로 및 상기 처리 경로 중 적어도 일부에서 물을 순환시키도록 구성되는 물 재활용 장치.
5. 제1절 내지 제4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복귀/배출 경로는 제1 상태와 제2 상태에 있도록 구성되며, 제1 상태에서 상기 복귀/배출 경로의 물은 상기 배수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유동하도록 허용되고, 제2 상태에서 상기 복귀/배출 경로의 물은 상기 배수구를 향해 유동하도록 허용되는 물 재활용 장치.
6. 제1절 내지 제5절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물 재활용 장치를 포함하는 물 재순환 샤워기.
7. 물 재활용 장치를 배출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물 재활용 장치는
처리된 물을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출구;
상기 출구로부터 출력되는 사용된 물을 수집하기 위한 배수구;
상기 배수구와 유체 연통하며, 상기 배수구에 의해 수집된 물을 수용하기 위한 입구를 포함하는 복귀/배출 경로;
상기 복귀/배출 경로와 유체 연통하는 복귀 경로;
상기 출구 및 상기 복귀 경로와 유체 연통하는 처리 경로;
상기 처리 경로와 유체 연통하되, 외부 물 출구에 연결되는 외부 물 경로;
상기 복귀 경로로부터의 사용된 물 및/또는 상기 외부 물 경로로부터의 외부 물을 입력으로서 수용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복귀 경로와 상기 처리 경로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처리 경로로 상기 입력을 보내도록 구성되고, 상기 복귀 경로로부터의 상기 사용된 물과 상기 외부 물을 혼합하도록 구성되는 밸브 장치;
상기 물 재활용 장치에 유동을 제공하기 위한 순환 펌프;
상기 밸브 장치의 하류에 배치되는 물 처리 장치; 및
상기 처리 경로와 유체 연통하며, 상기 순환 펌프의 하류와 상기 물 처리 장치의 상류에 배치되는 배출 경로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배출 경로 및/또는 상기 복귀/배출 경로를 통해 상기 배수구로 상기 물 재활용 장치의 물을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8. 제7절에 있어서, 상기 배출 경로 및/또는 상기 복귀/배출 경로를 통해 상기 배수구로 상기 물 재활용 장치의 물을 공급하는 단계는 중력에 의해 이루어지는 방법.
9. 물 재활용 장치를 세척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물 재활용 장치는
처리된 물을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출구;
상기 출구로부터 출력되는 사용된 상기 물을 수집하기 위한 배수구;
상기 배수구와 유체 연통하며, 상기 배수구에 의해 수집된 물을 수용하기 위한 입구를 포함하는 복귀/배출 경로;
상기 복귀/배출 경로와 유체 연통하는 복귀 경로;
상기 출구 및 상기 복귀 경로와 유체 연통하는 처리 경로;
상기 처리 경로와 유체 연통하되, 외부 물 출구에 연결되는 외부 물 경로;
상기 복귀 경로로부터의 사용된 물 및/또는 상기 외부 물 경로로부터의 외부 물을 입력으로서 수용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복귀 경로와 상기 처리 경로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처리 경로로 상기 입력을 보내도록 구성되고, 상기 복귀 경로로부터의 상기 사용된 물과 상기 외부 물을 혼합하도록 구성되는 밸브 장치;
상기 물 재활용 장치에 유동을 제공하기 위한 순환 펌프;
상기 밸브 장치의 하류에 배치되는 물 처리 장치; 및
상기 처리 경로와 유체 연통하며, 상기 순환 펌프의 하류와 상기 물 처리 장치의 상류에 배치되는 배출 경로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사용된 물, 상기 외부 물 또는 상기 사용된 물과 상기 외부 물의 조합을 상기 물 재활용 장치에 제공하는 단계; 및
제7절 또는 제8절에 따라 상기 물 재활용 장치를 배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0. 제9절에 있어서, 상기 사용된 물, 상기 외부 물 또는 상기 사용된 물과 상기 외부 물의 조합을 상기 물 재활용 장치에 제공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사용된 물, 상기 외부 물 또는 상기 사용된 물과 상기 외부 물의 조합으로 상기 물 처리 장치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채우는 하위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1. 제9절 또는 제10절에 있어서, 상기 사용된 물, 상기 외부 물 또는 상기 사용된 물과 상기 외부 물의 조합을 상기 물 재활용 장치에 제공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배출 경로, 상기 복귀 경로 및 상기 처리 경로 중 적어도 일부에서 상기 사용된 물, 상기 외부 물 또는 상기 사용된 물과 상기 외부 물의 조합을 순환시키는 하위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2. 제9절 내지 제11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물 재활용 장치는 상기 물 처리 장치의 하류에 배치 및/또는 상기 물 처리 장치와 조합되는 가열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사용된 물, 상기 외부 물 또는 상기 사용된 물과 상기 외부 물의 조합을 상기 물 재활용 장치에 제공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가열 장치에서 상기 사용된 물, 상기 외부 물 또는 상기 사용된 물과 상기 외부 물의 조합을 가열하는 하위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00 재순환 루프
102 노즐
104 배수구
106 밸브
107 밸브
108 폐기 물 파이프
110 펌프
112 음용수 공급원
200 물 재활용 장치
216 배수구
218 입구
220 복귀/배출 경로
222 복귀 경로
224 외부 물 경로
226 밸브 장치
228 순환 펌프
230 처리 경로
232 물 처리 장치
234 배출 경로
236 가열 장치
238 출구
240 밸브 폐기 경로
242 배수구 폐기 경로
300 물 재활용 장치
322 복귀 경로
324 외부 물 경로
326 제1 밸브 장치
327 제2 밸브 장치
330 처리 경로
340 밸브 폐기 경로
742 사용된 물을 수용하는 단계
744 수질 측정치를 결정하는 단계
746 밸브 장치로 사용된 물을 공급하는 단계
748 처리될 물을 형성하는 단계
750 처리된 물을 생성하는 단계
752 출구로 처리된 물을 공급하는 단계
1100 재순환 루프
1102 노즐
1104 배수구
1106 밸브
1107 밸브
1108 폐기 물 파이프
1110 펌프
1112 음용수 공급원
1200 물 재활용 장치
1216 배수구
1218 입구
1220 복귀/배출 경로
1222 복귀 경로
1224 외부 물 경로
1226 밸브 장치
1228 순환 펌프
1230 처리 경로
1232 물 처리 장치
1234 배출 경로
1236 가열 장치
1238 출구
1240 밸브 폐기 경로
1242 배수구 폐기 경로
1300 물 재활용 장치
1322 복귀 경로
1324 외부 물 경로
1326 제1 밸브 장치
1327 제2 밸브 장치
1330 처리 경로
1340 밸브 폐기 경로
1742 배출 경로 및/또는 복귀/배출 경로를 통해 배수구로 물을 공급하는 단계

Claims (11)

  1. 물 재활용 장치에서 물을 재활용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배수구를 통해 사용된 물을 수용하는 단계;
    상기 사용된 물의 수질 측정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사용된 물의 상기 수질 측정치가 제1 수질 기준치보다 높으면, 밸브 장치로 상기 사용된 물을 공급하는 단계;
    상기 밸브 장치에서, 외부 물, 상기 사용된 물 또는 상기 외부 물과 상기 사용된 물의 조합을 제공함으로써 처리될 물을 형성하는 단계;
    물 처리 장치를 이용해 상기 처리될 물을 처리함으로써 처리된 물을 생성하는 단계; 및
    출구로 상기 처리된 물을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외부 물, 상기 사용된 물 또는 상기 외부 물과 상기 사용된 물의 조합을 제공함으로써 처리될 물을 형성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수질 측정치가 상기 제1 수질 기준치보다 낮으면 상기 처리될 물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외부 물만 제공하는 하위 단계; 또는
    상기 수질 측정치가 상기 제1 수질 기준치보다 높으면 상기 처리될 물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사용된 물만 제공하는 하위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외부 물, 상기 사용된 물 또는 상기 외부 물과 상기 사용된 물의 조합을 제공함으로써 처리될 물을 형성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수질 측정치가 상기 제1 수질 기준치와 상기 제2 수질 기준치보다 낮으면 상기 처리될 물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외부 물만 제공하는 하위 단계;
    상기 수질 측정치가 상기 제1 수질 기준치보다 높고 상기 제2 수질 기준치보다 낮으면 상기 처리될 물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외부 물과 상기 사용된 물의 상기 조합을 제공하는 하위 단계; 또는
    상기 수질 측정치가 상기 제1 수질 기준치와 상기 제2 수질 기준치보다 높으면 상기 처리될 물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사용된 물만 제공하는 하위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물 처리 장치를 이용해 상기 처리될 물을 처리함으로써 처리된 물을 생성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처리될 물을 여과하는 하위 단계; 및
    UV 광을 이용해 상기 처리될 물에서 미생물의 유해한 효과를 감소하는 하위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5. 처리된 물을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출구;
    상기 출구로부터 출력되는 사용된 물을 수집하기 위한 배수구;
    상기 배수구와 유체 연통하는 복귀 경로;
    상기 출구 및 상기 복귀 경로와 유체 연통하는 처리 경로;
    상기 처리 경로와 유체 연통하되, 외부 물 출구에 연결되는 외부 물 경로;
    상기 복귀 경로로부터의 상기 사용된 물 및/또는 상기 외부 물 경로로부터의 외부 물을 입력으로서 수용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복귀 경로와 상기 처리 경로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처리 경로로 상기 입력을 보내도록 구성되고, 상기 복귀 경로로부터의 상기 물과 상기 외부 물을 혼합하도록 구성되는 밸브 장치;
    상기 물 재활용 장치에 유동을 제공하기 위한 순환 펌프; 및
    상기 밸브 장치의 하류에 배치되는 물 처리 장치를 포함하는 물 재활용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물 처리 장치의 하류에 배치 및/또는 그와 조합되며, 단일 피스의 장비로 UV 광 처리 장치와 조합되는 가열 장치를 더 포함하는 물 재활용 장치.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물 처리 장치는 필터 장치를 포함하는 물 재활용 장치.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물 재활용 장치로부터 물을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밸브 폐기 경로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밸브 장치는 상기 복귀 경로로부터 상기 밸브 폐기 경로로 상기 물을 보내도록 더 구성되는 물 재활용 장치.
  9.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밸브 장치는 적어도 제1 및 제2 밸브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밸브 장치는 상기 복귀 경로로부터 상기 사용된 물을 입력으로서 수용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제1 밸브 장치는 상기 복귀 경로로부터 상기 처리 경로로 상기 사용된 물을 보내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밸브 장치는 상기 외부 물 경로로부터 상기 외부 물을 입력으로서 수용하되, 상기 제2 밸브 장치는 상기 처리 경로로 상기 외부 물을 보내도록 구성되는 물 재활용 장치.
  10. 제5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는 상기 물 재활용 장치로부터 사용된 물을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배수구 폐기 경로를 포함하는 물 재활용 장치.
  11. 제5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물 재활용 장치를 포함하는 물 재순환 샤워기.
KR1020197018065A 2016-11-25 2017-11-22 물을 재활용하기 위한 방법 및 물 재활용 장치 KR2019010700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1651553-8 2016-11-25
SE1651550 2016-11-25
SE1651553 2016-11-25
SE1651550-4 2016-11-25
PCT/SE2017/051159 WO2018097790A1 (en) 2016-11-25 2017-11-22 A method for recycling water and a water recycling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7005A true KR20190107005A (ko) 2019-09-18

Family

ID=62195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8065A KR20190107005A (ko) 2016-11-25 2017-11-22 물을 재활용하기 위한 방법 및 물 재활용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3) US10947705B2 (ko)
EP (2) EP3545140B1 (ko)
JP (1) JP2020507446A (ko)
KR (1) KR20190107005A (ko)
CN (1) CN109983184A (ko)
AU (1) AU2017363416A1 (ko)
CA (1) CA3040839A1 (ko)
DK (1) DK3545140T3 (ko)
WO (1) WO2018097790A1 (ko)
ZA (1) ZA20190376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83186A (zh) * 2016-11-25 2019-07-05 轨道系统公司 用于水再循环装置的排水管
KR20190107005A (ko) * 2016-11-25 2019-09-18 오비탈 시스템즈 에이비 물을 재활용하기 위한 방법 및 물 재활용 장치
CN110520577A (zh) * 2017-04-27 2019-11-29 轨道系统公司 水再循环设备和用于调节水再循环设备中的水温的方法
US11351935B2 (en) * 2017-05-04 2022-06-07 Thetford Bv Wastewater management system for vehicles and related methods
CN113167061A (zh) * 2018-11-28 2021-07-23 轨道系统公司 旨在再循环水或排放不适合再循环的水的水再循环系统
EP3887607A4 (en) * 2018-11-28 2022-08-10 Orbital Systems AB WATER DISTRIBUTION UNIT FOR WATER RECIRCULATION SYSTEMS
KR102205604B1 (ko) * 2019-10-08 2021-01-20 나영기 스마트 수전장치
EP4103787A4 (en) * 2020-02-14 2024-03-27 Orbital Systems Ab WATER DISTRIBUTION SYSTEM WITH HYGIENIZATION FACILITY
US20220298046A1 (en) * 2021-03-22 2022-09-22 Ruth Weaver Bath Water Recycling System
FR3136460A1 (fr) 2022-06-14 2023-12-15 Eng'in Eco Concept Dispositif de recyclage d’eau adapté pour une douche de plage solaire et autonome
FR3140385A1 (fr) * 2022-09-30 2024-04-05 Ilya Douche cyclique avec deux circuits indépendants chauffés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06963A (en) 1990-05-30 1993-05-04 Wiens Donald E Apparatus and method for a water-saving shower bath
SE469413B (sv) * 1991-11-22 1993-07-05 Electrolux Ab Energi- och vattenbesparande dusch
US6770192B2 (en) * 2001-10-18 2004-08-03 New Venture Gear, Inc. Water system for bacteria control
AU2003902382A0 (en) * 2003-05-16 2003-06-05 Baker, Chester Water recycle system
NL1033373C2 (nl) * 2007-02-12 2008-08-13 Ecoplay Int Bv Werkwijze en besturingssysteem voor het verwerken van grijswater.
EP2297407B1 (en) * 2008-06-05 2018-10-10 Orbital Systems AB Recycling shower system and related method
GB2466507B (en) 2008-12-24 2012-03-28 Dlp Ltd Pumped shower draining device
CN101579198B (zh) * 2009-02-23 2011-06-29 陈雨彤 节水淋浴循环装置
AU2011200412A1 (en) * 2010-05-28 2011-12-15 Douglas Patrick Cummings System and method for showering with fixed parameter water usage
US20140033422A1 (en) * 2010-11-12 2014-02-06 Nicholas Christy Recirculating Shower System
CN102213486B (zh) 2011-04-11 2015-09-02 陈建平 一种流水洗涤排水的废热利用方法及设备
US20130025686A1 (en) * 2011-07-25 2013-01-31 Kevin Michael Nort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llecting and Distributing Household Greywater to Landscape Irrigation
PL2793667T3 (pl) * 2011-12-23 2016-09-30 Urządzenie do oczyszczania i odzyskiwania wody prysznicowej
US20140304908A1 (en) * 2012-07-14 2014-10-16 Charles Henry Newman Shower Recycle Reheat Retrofit System
ES2592553T3 (es) * 2013-06-27 2016-11-30 Betgem Holding B.V. Ducha de confort
CN105829617A (zh) * 2013-12-20 2016-08-03 澳必托系统公司 水混合装置
CA2930236A1 (en) * 2013-12-20 2015-06-25 Orbital Systems Ab Regulation method for water hybrid devices involving purification, circulation and/or separation
CN203768169U (zh) * 2014-04-01 2014-08-13 刘知迪 一种淋浴水再循环淋浴系统
US20180290078A1 (en) * 2015-05-06 2018-10-11 Conopco, Inc., D/B/A Unilever Continuous recycling of wash water with flocculation device and process
CN105862992A (zh) 2016-04-26 2016-08-17 刘洋豪 回收热能废水和循环使用净化水的节能节水加热机
KR20190107005A (ko) * 2016-11-25 2019-09-18 오비탈 시스템즈 에이비 물을 재활용하기 위한 방법 및 물 재활용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947705B2 (en) 2021-03-16
DK3545140T3 (da) 2023-02-20
EP3545140B1 (en) 2022-11-30
CA3040839A1 (en) 2018-05-31
US20210189699A1 (en) 2021-06-24
EP3545140A1 (en) 2019-10-02
EP3835498A1 (en) 2021-06-16
WO2018097790A1 (en) 2018-05-31
US11821179B2 (en) 2023-11-21
EP3545140A4 (en) 2020-07-22
US20190301145A1 (en) 2019-10-03
AU2017363416A1 (en) 2019-07-04
ZA201903760B (en) 2020-12-23
JP2020507446A (ja) 2020-03-12
US20240035259A1 (en) 2024-02-01
CN109983184A (zh) 2019-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07005A (ko) 물을 재활용하기 위한 방법 및 물 재활용 장치
CN104862926B (zh) 洗衣机以及用于洗衣机的控制方法
KR20150131968A (ko) 기판 액 처리 장치, 기판 액 처리 장치의 세정 방법 및 기억 매체
EA012552B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жидкости
AU2016214039A1 (en) Method for managing air streams from mechanical dehydration of sludge, and corresponding device
US11452951B2 (en) Disposable filter unit for a system allowing for purification and recycling of water or separation of water
US20170036928A1 (en) Methods of Inhibiting Fouling in Liquid Systems
KR101572704B1 (ko) 수처리 장치 급수 배관의 세정 방법
WO2018231131A1 (en) A method for disinfection and cleaning of at least one part of a device intended for recycling of water
KR101592880B1 (ko) 열교환기 화학세정 장치 및 그 방법
TWI656100B (zh) Hydrogen peroxide-containing drainage treatment device and treatment method
SE541251C2 (en) Method for hygenisation of a device intended for recycling of water
US20060054566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deionized water consumption
JP2007319801A (ja) 循環浄水装置の洗浄方法及び循環浄水装置
JP6205050B2 (ja) 汚染された排水を処理する設備および方法
US20220220711A1 (en) Water reclamation system for household use having a removable sanitizing module
KR20060015891A (ko) 반도체 제조설비의 화학약품 배출장치
KR101926444B1 (ko) 히팅과 고주파를 이용한 선박평형수 처리장치 및 그 방법
CN106430758A (zh) 一种洗瓶水循环净化装置及循环净化方法
JP3596783B2 (ja) 硬度漏れ防止軟水器システム
KR102540181B1 (ko) 냉온 정수기 및 이의 제어방법
US2015026676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difying Waste Fluids
JP2011160883A (ja) 実験動物の飼育施設から排出される汚水の加熱滅菌装置
JP2007253023A (ja) 濾過システムおよびその運転方法
WO2006119484A1 (en) Graywater treatment system and meth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