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6909A - 인공지능 이동 로봇과 그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인공지능 이동 로봇과 그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6909A
KR20190106909A KR1020190106849A KR20190106849A KR20190106909A KR 20190106909 A KR20190106909 A KR 20190106909A KR 1020190106849 A KR1020190106849 A KR 1020190106849A KR 20190106849 A KR20190106849 A KR 20190106849A KR 20190106909 A KR20190106909 A KR 201901069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
user
robot
article
support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68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희
주정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901069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69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2Platforms; Open load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79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the tasks execu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60/00Drive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autonomous road vehicles
    • B60W60/001Planning or execution of driving tasks
    • B60W60/0025Planning or execution of driving task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operations
    • B60W60/00256Delivery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J11/0005Manipulators having means for high-level communication with users, e.g. speech generator, face recogni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J11/008Manipulators for service tas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3/00Controls for manipulators
    • B25J13/003Controls for manipulators by means of an audio-responsive inp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0009Constructional details, e.g. manipulator supports, b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02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 system, structure, architecture
    • B25J9/161Hardware, e.g. neural networks, fuzzy logic, interfaces, process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15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special kind of manipulator, e.g. planar, scara, gantry, cantilever, space, closed chain, passive/active joints and tendon driven manipulators
    • B25J9/162Mobile manipulator, movable base with manipulator arm mounted on 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94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use of sensors other than normal servo-feedback from position, speed or acceleration sensors, perception control, multi-sensor controlled systems, sensor fusion
    • B25J9/1697Vision controlled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8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comprising adjustable mea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05D1/023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optical position detecting means
    • G05D1/0246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optical position detecting means using a video camera in combination with image processing mea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12Target-seeking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42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60W2420/40Photo, light or radio wave sensitive means, e.g. infrared sensors
    • B60W2420/403Image sensing, e.g. optical came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21Voic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2Procedures used during a speech recognition process, e.g. man-machine dialogu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901/00Robots
    • Y10S901/01Mobile robo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관을 형성하는 바디; 상기 바디를 이동시키는 구동부; 주행 영역의 영상을 촬영하여 영상 정보를 생성하는 영상 획득부; 운반될 물품을 지지하는 지지면; 및 운반될 물품의 크기를 판단하고, 상기 운반될 물품의 크기에 따라 상기 지지면 위의 슬라이드 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슬라이드 모듈의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드를 돌출하여 경사면을 형성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로봇을 제공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운반할 짐을 들어올리지 않고 수납 공간에 실장할 수 있는 포터 로봇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인공지능 이동 로봇과 그의 제어 방법{AI MOVING ROBOT AND THE CONTROL MOTHOD THEREOF}
본 발명은 짐을 운반할 수 있는 인공지능 이동 로봇의 주행에 있어서, 짐의 크기에 맞추어 짐을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는 이동 로봇 및 이동 로봇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로봇은 산업용으로 개발되어 공장 자동화의 일 부분을 담당하여 왔다. 최근에는 로봇을 응용한 분야가 더욱 확대되어, 의료용 로봇, 우주 항공 로봇 등이 개발되고, 일반 가정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가정용 로봇도 만들어지고 있다. 이러한 로봇 중에서 자력으로 주행이 가능한 것을 이동 로봇이라고 한다.
로봇 이용의 증가에 따라, 단순 기능의 반복 수행을 넘어서 다양한 정보, 재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로봇에 대한 요구가 많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가정, 식당, 매장, 공공 장소 등에 배치되어 사람에게 편의를 제공하는 다양한 로봇이 개발되고 있다.
또한, 자력으로 주행이 가능한 이동 로봇을 이용한 서비스들에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어, 선행 문헌(한국 공개특허공보 10-2008-0090150호, 공개일자 2008년 10월 08일)은 서비스 지역을 이동하면서 현재위치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 로봇과 서비스 로봇을 이용하는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로봇을 이용하는 서비스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 공개되어 있는 포터 로봇의 경우 주행부 위에 배치되어 있는 수납 공간으로 짐을 들어 올려 이동하여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특히, 노약자나 여성의 경우, 포터 로봇이 활용될 수 있는 공항 또는 호텔 등의 큰 짐(캐리어)을 보유하고 있을 때, 해당 포터 로봇의 수납 공간으로 짐을 들어올릴 수 없어 이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한국 공개특허공보 10-2008-0090150호 (공개일자 2008년 10월 08일)
본 발명의 제1 과제는 포터 로봇에 있어서, 사용자가 운반할 짐을 들어올리지 않고 수납 공간에 실장할 수 있는 포터 로봇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2 과제는 운반할 짐의 크기에 따라 슬라이드의 길이를 조절하여 경사를 줌으로써 짐의 크기에 관계 없이 수납 공간에 짐을 실장할 수 있는 포터 로봇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이동 로봇이 소정 서비스 요청을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이동 로봇이 운반될 물품의 크기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운반될 물품의 크기에 따라 지지면 위의 슬라이드 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슬라이드 모듈의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드를 돌출하고 경사면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로봇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이동 로봇은, 상기 지지면은 상기 운반될 물품이 수용되는 평면으로 정의되며, 상기 슬라이드 모듈은 상기 지지면 위에 배치되어 상기 지지면과 수평한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이동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사면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슬라이드 모듈은 상기 지지면 위에 배치되어 상기 지지면과 수평한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드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경사면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슬라이드 모듈의 모터를 제어하여 돌출되어 있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드를 기울임으로써 상기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운반될 물품의 크기가 소정 크기 이상인 경우, 제1 슬라이드를 돌출시킨 후, 상기 제1 슬라이드 위에 배치되어 있는 제2 슬라이드를 상기 제1 슬라이드로부터 돌출시켜 상기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슬라이드의 길이와 상기 제2 슬라이드가 돌출되는 길이의 합이 상기 운반될 물품의 폭보다 큰 것을 충족하도록 상기 제2 슬라이드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운반될 물품의 크기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 획득부로부터 영상을 획득하고, 사물 학습을 수행하여 상기 운반될 물품의 크기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는, 물품의 운반 여부를 문의하는 단계, 상기 문의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사용자의 응답으로부터 사용자의 요청이 있는지 해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로봇은 근거리에서 상기 사용자를 탐색하고, 탐색된 사용자를 추종하여 상기 사용자의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외관을 형성하는 바디; 상기 바디를 이동시키는 구동부; 주행 영역의 영상을 촬영하여 영상 정보를 생성하는 영상 획득부; 운반될 물품을 지지하는 지지면; 및 운반될 물품의 크기를 판단하고, 상기 운반될 물품의 크기에 따라 상기 지지면 위의 슬라이드 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슬라이드 모듈의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드를 돌출하여 경사면을 형성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로봇을 제공한다.
상기 이동 로봇은, 상기 슬라이드 모듈은 상기 지지면 위에 배치되어 상기 지지면과 수평한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이동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 모듈은 상기 지지면 위에 배치되어 상기 지지면과 수평한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드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 모듈의 모터를 제어하여 돌출되어 있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드를 기울임으로써 상기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운반될 물품의 크기가 소정 크기 이상인 경우, 제1 슬라이드를 돌출시킨 후, 상기 제1 슬라이드 위에 배치되어 있는 제2 슬라이드를 상기 제1 슬라이드로부터 돌출시켜 상기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슬라이드의 길이와 상기 제2 슬라이드가 돌출되는 길이의 합이 상기 운반될 물품의 폭보다 큰 것을 충족하도록 상기 제2 슬라이드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 획득부로부터 영상을 획득하고, 사물 학습을 수행하여 상기 운반될 물품의 크기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물품의 운반 여부를 문의하고, 상기 문의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응답으로부터 사용자의 요청이 있는지 해석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로봇은 근거리에서 상기 사용자를 탐색하고, 탐색된 사용자를 추종하여 상기 사용자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로봇은 운반 완료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고, 시작점으로 복귀를 진행할 수 있다.
상기 해결 수단을 통해, 본 발명은 사용자가 운반할 짐을 들어올리지 않고 수납 공간에 실장할 수 있는 포터 로봇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운반할 짐의 크기에 따라 슬라이드의 길이를 조절하여 경사를 줌으로써 짐의 크기에 관계 없이 수납 공간에 짐을 실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로봇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이동 로봇을 제1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이동 로봇을 제2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이동 로봇의 제어 관계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1의 이동 로봇의 실장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실장 방법에 따른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5의 이동 로봇의 실장 방법의 구체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도 7의 순서도에 따른 이동 로봇의 상태도이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전(F)/후(R)/좌(Le)/우(Ri)/상(U)/하(D)” 등의 방향을 지칭하는 표현은 도면에 표시된 바에 따라 정의하나, 이는 어디까지나 본 발명이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도록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기준을 어디에 두느냐에 따라 각 방향들을 다르게 정의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구성요소 앞에 ‘제1, 제2’ 등의 표현이 붙는 용어 사용은, 지칭하는 구성요소의 혼동을 피하기 위한 것일 뿐, 구성요소 들 사이의 순서, 중요도 또는 주종관계 등과는 무관하다. 예를 들면, 제1 구성요소 없이 제2 구성요소 만을 포함하는 발명도 구현 가능하다.
도면에서 각 구성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와 면적은 실제크기나 면적을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조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언급하는 각도와 방향은 도면에 기재된 것을 기준으로 한다. 명세서에서 구조에 대한 설명에서, 각도에 대한 기준점과 위치관계를 명확히 언급하지 않은 경우, 관련 도면을 참조하도록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이동 로봇 중 포터 로봇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로봇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이동 로봇을 제1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이동 로봇을 제2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이동 로봇의 제어 관계를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5는 도 1의 이동 로봇의 실장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로봇(100)을 구비하여 식당, 집, 호텔, 마트, 의류매장, 물류, 병원 등 다양한 장소에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봇 시스템은 가정 등에서 사용자와 인터랙션(interaction)하며,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소정 물품을 운반할 수 있는 포터 로봇(100)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시스템은, 복수의 포터 로봇(100) 및 복수의 포터 로봇(100)을 관리하고 제어할 수 있는 서버(2)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2)는 원격에서 복수의 로봇(100)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제어할 수 있고, 로봇 시스템은 복수의 로봇(100)을 이용하여 더 효과적인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다.
복수의 로봇(100) 및 서버(2)는 하나 이상의 통신 규격을 지원하는 통신 수단(미도시)을 구비하여, 상호 통신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로봇(100) 및 서버(2)는 PC, 이동 단말기, 외부의 다른 서버와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로봇(100) 및 서버(2)는 IEEE 802.11 WLAN, IEEE 802.15 WPAN, UWB, Wi-Fi, Zigbee, Z-wave, Blue-Tooth 등과 같은 무선 통신 기술로 무선 통신하게 구현될 수 있다. 로봇(100)은 통신하고자 하는 다른 장치 또는 서버(2)의 통신 방식이 무엇인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특히, 복수의 로봇(100)은 5G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로봇(100) 및/또는 서버(2)와 무선통신을 구현할 수 있다. 로봇(100)이 5G 네트워크를 통해 무선 통신하는 경우, 실시간 응답 및 실시간 제어가 가능하다.
또한, 복수의 로봇(100) 및 서버(2)는 MQTT(Message Queueing Telemetry Transport) 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고,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로봇(100) 및 서버(2)는 HTTP 또는 MQTT 방식으로 PC, 이동 단말기, 외부의 다른 서버와 통신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복수의 로봇(100) 및 서버(2)는 2이상의 통신 규격을 지원하고, 통신 데이터의 종류, 통신에 참여하는 기기의 종류에 따라 최적의 통신 규격을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는 PC(3a), 이동 단말기(3b) 등을 통하여 로봇 시스템 내의 로봇들(100)에 관한 정보를 확인하거나 제어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자'는 적어도 하나의 로봇을 통한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람으로, 로봇을 구매 또는 대여하여 가정 등에서 사용하는 개인 고객 및 로봇을 이용하여 직원 또는 고객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의 관리자, 직원들과 이러한 기업이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하는 고객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개인 고객(Business to Consumer : B2C)과 기업 고객(Business to Business : B2B)을 포함할 수 있다.
서버(2)는 클라우드(cloud) 서버로 구현되어, 사용자는 PC(3a), 이동 단말기(3b) 등 다양한 기기로 통신 연결된 서버(2)에 저장된 데이터와 서버(2)가 제공하는 기능,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로봇(100)에 클라우드 서버(2)가 연동되어 로봇(100)을 모니터링, 제어하고 다양한 솔루션과 콘텐츠를 원격으로 제공할 수 있다.
서버(2)는, 로봇들(100), 기타 기기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상기 서버(2)는 로봇들(100)의 제조사 또는 제조사가 서비스를 위탁한 회사가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상기 서버(2)는 로봇들(100)을 관리하고 제어하는 관제 서버일 수 있다.
상기 서버(2)는 로봇들(100)을 일괄적으로 동일하게 제어하거나, 개별 로봇 별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서버(2)는 로봇들(100) 중 적어도 일부 로봇에 대해서 그룹으로 설정한 후에 그룹별로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서버(2)는, 복수의 서버로 정보, 기능이 분산되어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의 통합 서버로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로봇(100) 및 서버(2)는 하나 이상의 통신 규격을 지원하는 통신 수단(미도시)을 구비하여, 상호 통신할 수 있다.
로봇(100)은 서버(2)로 공간(space), 사물(Object), 사용(Usage) 관련 데이터(Data)를 서버(2)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는 공간(space), 사물(Object) 관련 데이터는 로봇(100)이 인식한 공간(space)과 사물(Object)의 인식 관련 데이터이거나, 영상획득부가 획득한 공간(space)과 사물(Object)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로봇(100) 및 서버(2)는 사용자, 음성, 공간의 속성, 장애물 등 사물의 속성 중 적어도 하나를 인식하도록 학습된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형태의 인공신경망(Artificial Neural Networks: ANN)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로봇(100) 및 서버(2)는 딥러닝(Deep Learning)으로 학습된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RNN(Recurrent Neural Network), DBN(Deep Belief Network) 등 심층신경망(Deep Neural Network: DNN)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봇(100)의 제어부(140)에는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등 심층신경망 구조(DNN)가 탑재될 수 있다.
서버(2)는 로봇(100)으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데이터 등에 기초하여, 심층신경망(DNN)을 학습시킨 후, 업데이트된 심층신경망(DNN) 구조 데이터를 로봇(1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로봇(100)이 구비하는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의 심층신경망(DNN) 구조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또한, 사용(Usage) 관련 데이터(Data)는 소정 제품, 예를 들어, 로봇(100)의 사용에 따라 획득되는 데이터로, 사용 이력 데이터, 센서부(110)에서 획득된 감지 신호 등이 해당될 수 있다.
학습된 심층신경망 구조(DNN)는 인식용 입력 데이터를 입력받고, 입력 데이터에 포함된 사람, 사물, 공간의 속성을 인식하여, 그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학습된 심층신경망 구조(DNN)는 인식용 입력 데이터를 입력받고, 로봇(100)의 사용(Usage) 관련 데이터(Data)를 분석하고 학습하여 사용 패턴, 사용 환경 등을 인식할 수 있다.
한편, 공간(space), 사물(Object), 사용(Usage) 관련 데이터(Data)는 통신부(190)를 통하여 서버(2)로 전송될 수 있다.
서버(2)는 수신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심층신경망(DNN)을 학습시킨 후, 업데이트된 심층신경망(DNN) 구조 데이터를 이동 로봇(100)으로 전송하여 업데이트하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로봇(100)이 점점 스마트하게 되며, 사용할수록 진화되는 사용자 경험(UX)을 제공할 수 있다.
로봇(100) 및 서버(2)는 외부 정보(external information)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2)가 다른 연계 서비스 서버(도시하지 않음)로부터 획득한 외부 정보를 종합적으로 사용하여 우수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로봇(100)이 능동적으로 먼저 정보를 제공하거나 기능, 서비스를 추천하는 음성을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더욱 다양하고 적극적인 제어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는 사용자의 짐, 일 예로 캐리어를 운반할 수 있는 포터 로봇(100)을 예시한다.
도면들을 참조하면, 포터 로봇(100)은 자율 주행, 추종 주행으로 이동할 수 있고, 실장할 물품, 짐을 수용할 수 있는 지지면(tray)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호텔에서의 포터 물품은 호텔에 투숙할 투숙객의 캐리어와 같이 부피가 큰 짐 등이 해당될 수 있다. 또한, 공항에서의 포터 물품은 여행에 필요한 물품이 포함되어 있는 여행 캐리어 등과 같은 부피가 큰 짐일 수 있다.
한편, 포터 로봇(100)은 소정 장소에서 자율 주행하면서 사용자가 지정한 목표위치까지 배송할 짐을 배송하고, 목표 위치에서 해당 짐을 내려 넣을 수 있다.
포터 로봇(100)에는 사용 환경 및 용도에 따라 최적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모듈러 디자인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본 플랫폼은 바퀴, 모터 등을 구비하여 주행을 담당하는 주행 모듈(160), 디스플레이, 마이크, 스피커 등을 구비하여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을 담당하는 UI 모듈(180) 및 포터할 물품을 보관하는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모듈(200)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면들을 참조하면, 주행 모듈(160)은 하나 이상의 절개부(OP1, OP2, OP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절개부(OP1, OP2, OP3)는 내부의 전방 라이더(미도시)가 동작 가능하도록 상기 주행 모듈(160)에서 절개되는 부분으로, 상기 주행 모듈(160)의 외주면의 전방에서 측방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방 라이더는 상기 주행 모듈(160)의 내부에서 상기 절개부(OP1)와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전방 라이더는 상기 절개부(OP1)를 통하여 레이저를 방출할 수 있다.
내부의 후방 라이더(미도시)가 동작 가능하도록 상기 주행 모듈(160)에서 절개되는 부분인 다른 절개부(OP2)가 상기 주행 모듈(160)의 외주면의 후방에서 측방에 걸쳐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내부의 후방 라이더가 동작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후방 라이더는 상기 주행 모듈(160)의 내부에서 상기 다른 절개부(OP2)와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후방 라이더는 상기 다른 절개부(OP3)를 통하여 레이저를 방출할 수 있다.
또한, 주행구역 내 바닥에 낭떠러지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는 절벽 감지 센서 등 내부의 센서가 동작 가능하도록 상기 주행 모듈(160)에서 절개되는 또 다른 절개부(OP3)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주행 모듈(160)의 외면에도 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주행 모듈(160)의 외면에는 장애물을 감지하기 위한 초음파 센서 등 장애물 감지 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초음파 센서는 초음파 신호를 이용하여 장애물과 포터 로봇들(100)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일 수 있다. 상기 초음파 센서는 상기 포터 로봇(100)과 근접한 장애물을 감지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UI 모듈(180)의 적어도 일부는 회전 가능하게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UI 모듈(180)은 좌우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는 헤드부(180a)와 상기 헤드부(180a)를 지지하는 바디부(180b)를 포함할 수 있다. 헤드부(180a)와 상기 헤드부(180a)를 지지하는 바디부(180b) 사이에 헤드부(180a)를 지지하는 목부(18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헤드부(180a)는 포터 로봇(100)의 동작 모드, 현재 상태 등에 기초하여 회전할 수 있다.
UI 모듈(180)은 영상획득부(120)의 카메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는 상기 헤드부(180a)에 배치되어 상기 헤드부(180a)가 향하는 방향의 소정 범위의 영상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터 로봇(100)이 사용자를 탐색할 때, 상기 헤드부(180a)는 상기 카메라가 식별되는 사용자를 향하도록 회전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UI 모듈(180)은 2개의 디스플레이(182a, 182b)를 포함할 수 있고, 2개의 디스플레이(182a, 182b) 중 적어도 하나는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입력 수단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포터 로봇(100)의 서비스 모듈(10)은 적어도 하나의 지지면(400)을 포함한다.
서비스 모듈(200)은 상하 방향(z축 방향)으로 주행 모듈(160) 위에 배치되며, 적어도 하나의 지지면(400)을 가질 수 있다.
각각의 지지면(400)은 포터 물품을 수용/지지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하여 포터 물품을 안정적으로 운반할 수 있다.
지지면(400)은 바닥면에 수평한 방향(xy 평면)으로 소정의 면적을 가지는 판상형의 트레이로서, 운반할 물품을 지지면(400) 위에 배치하고, 배치가 완료되면 포터 위치까지 이동하여 운반을 진행할 수 있다.
이때, 지지면(400)은 운반할 물품을 주행 모듈(160) 위의 지지면(400)까지 들어올리기 위한 슬라이드 모듈(250)을 포함한다. 이러한 슬라이드 모듈(250)은 지면에 수평한 평면(xy 평면) 위에서 전후로 이동하여 지지면(400)으로부터 외부로 돌출하도록 동작하며 제1 슬라이드(260)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1 슬라이드(260) 위에, 정지 상태에서 제1 슬라이드(260) 위에 놓이고,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제1 슬라이드(260)로부터 외부로 돌출하도록 슬라이드 동작하는 제2 슬라이드(270)를 더 포함한다. 제2 슬라이드(270)의 끝 단, 즉 타 단부에는 양 가장자리 영역에 상기 포터 로봇(100)의 주행 모듈(160)을 따라 회전하는 휠(바퀴)(29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슬라이드(270)의 폭(W1)은 제1 슬라이드(260)의 폭(W2) 보다 더 작을 수 있다.
제1 슬라이드(260)의 하부에 x축 방향으로 배치되어 모터의 동력에 의해 제1 슬라이드(260)를 x축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는 렉기어 및 상기 모터의 동력으로 회전하는 피니언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슬라이드(270)의 하부에 x축 방향으로 배치되어 모터의 동력에 의해 제2 슬라이드(270)를 x축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는 렉기어 및 상기 모터의 동력으로 회전하는 피니언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 모듈(250)은 지지면(400)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슬라이드(260) 및 제2 슬라이드(270)의 동작을 제어하는 모터부(280)를 포함한다.
모터부(280)는 상기 제1 슬라이드(260)의 하부에 배치되는 피니언 기어를 회전하는 제1 모터(281a, 282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모터(281a, 282a)는 2개의 모터(281a, 282a)가 상기 제1 슬라이드(260)의 일 단부의 양쪽 가장자리 영역에 각각 배치되어 있을 수 있으며, 제1 슬라이드(260) 하면의 피니언 기어를 동시에 회전시켜 제1 슬라이드(260)를 xy평면에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슬라이드시킬 수 있다.
한편, 모터부(280)는 제1 슬라이드(260)의 타 단부의 양쪽 가장자리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제2 모터(281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모터(281c)는 제1 슬라이드(260)의 타 단부의 양쪽 가장자리 영역에 2개의 모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슬라이드(270)를 x축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키도록 피니언 기어를 회전시킨다.
한편, 모터부(280)는 제1 슬라이드(260)의 일 단부의 양쪽 가장자리 영역에 배치되어 있으며, 슬라이드 모듈(250)을 지지면(400)으로부터 하방으로 기울여 경사를 인가함으로써 슬라이드 모듈(250)이 경사면을 형성하도록 하는 제3 모터(281b)를 더 포함한다.
제3 모터(281b)는 제1 슬라이드(260)의 일 단부의 양쪽 가장자리 영역에 배치되며, 제1 슬라이드(260)의 일 단부에 배치되는 힌지(283)를 회전하여 지지면(400)으로부터 제1 슬라이드(260)가 하방으로 기울어지도록 경사를 인가한다.
이와 같은 경사면은 슬라이드 모듈(250)의 끝 단, 즉 제1 슬라이드(260) 또는 제2 슬라이드(270)의 타 단부가 지면에 도달할 때까지 기울여져 지면과 지지면(400) 사이에 형성되는 경사면이며, 슬라이드 모듈(250)의 끝 단이 지면에 도달하면 제3 모터가 정지하고 힌지(283)가 고정된다.
이와 같이, 포터 로봇(100)은 제어부(140)의 제어 신호에 따라 모터부(280)를 제어함으로써 슬라이드 모듈(250)의 길이를 제어하고 슬라이드 모듈(250)의 경사를 제어하여 지지면(400) 위로 이송할 짐, 캐리어를 경사를 따라 운반가능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포터 로봇(100)의 제어를 위한 내부 블록도를 설명한다.
도 4는 도 1의 이동 로봇의 제어 관계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터 로봇(100)은, 포터 로봇(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40),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130), 서버(2) 등 다른 기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포터 로봇(100) 내 저장부(130), 통신부(190), 구동부(160), 센서부(110), 출력부(180) 등을 제어하여, 포터 로봇(10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할 수 있다.
저장부(130)는 포터 로봇(100)의 제어에 필요한 각종 정보들을 기록하는 것으로,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기록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기록 매체는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 processor)에 의해 읽힐 수 있는 데이터를 저장한 것으로,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90)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모듈을 포함하여 포터 로봇(100)이 인터넷, 또는 소정의 네트워크에 연결되도록 할 수 있고 다른 기기와 통신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90)는 서버(2)에 구비되는 통신 모듈과 연결하여 포터 로봇(100)과 서버(2)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터 로봇(100)은 마이크를 통하여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수신하는 음성 입력부(1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음성 입력부(125)는, 아날로그 소리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처리부를 포함하거나 처리부에 연결되어, 사용자 입력 음성 신호를 제어부(140) 또는 서버(2)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데이터화할 수 있다.
한편, 저장부(130)에는 음성 인식을 위한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고, 상기 제어부(140)는 음성 입력부(125)를 통하여 수신되는 사용자의 음성 입력 신호를 처리하고 음성 인식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40)는 음성 인식 결과에 기초하여 로봇(100)이 소정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포터 로봇(100)은 출력부(180)를 포함하여, 소정 정보를 영상으로 표시하거나 음향으로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180)는 사용자의 명령 입력에 대응하는 정보, 사용자의 명령 입력에 대응하는 처리 결과, 동작모드, 동작상태, 에러상태 등을 영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182)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포터 로봇(100)은 복수개의 디스플레이(182)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 디스플레이(182) 중 적어도 일부는 터치패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디스플레이(182)는 출력 장치 이외에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이 가능한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출력부(180)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음향 출력부(18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81)는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경고음, 동작모드, 동작상태, 에러상태 등의 알림 메시지, 사용자의 명령 입력에 대응하는 정보, 사용자의 명령 입력에 대응하는 처리 결과 등을 음향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81)는, 제어부(140)로부터의 전기 신호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스피커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포터 로봇(100)은 소정 범위를 촬영할 수 있는 영상획득부(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영상획득부(120)는 포터 로봇(100) 주변, 외부 환경 등을 촬영하는 것으로, 카메라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카메라는 촬영 효율을 위해 각 부위별로 여러 개가 설치될 수도 있다.
영상획득부(120)는, 사용자 인식용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상기 영상획득부(120)가 촬영하여 획득된 영상에 기초하여 외부 상황을 판단하거나, 사용자(안내 대상)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로봇(100)이 포터 로봇인 경우에,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영상획득부(120)가 촬영하여 획득하는 영상에 기초하여 로봇(100)이 주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영상획득부(120)가 촬영하여 획득된 영상은 저장부(130)에 저장될 수 있다.
포터 로봇(100)은 이동을 위한 구동부(160, 도 2 및 도 3에서 주행 모듈)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구동부(160)는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본체를 이동시킬 수 있다.
구동부(160)는 로봇(100)은 본체를 이동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 바퀴(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160)는 구동 바퀴에 연결되어 구동 바퀴를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 바퀴는 본체의 좌, 우 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으며, 이하, 각각 좌륜과 우륜이라고 한다.
좌륜과 우륜은 하나의 구동 모터에 의해 구동될 수도 있으나, 필요에 따라 좌륜을 구동시키는 좌륜 구동 모터와 우륜을 구동시키는 우륜 구동 모터가 각각 구비될 수도 있다. 좌륜과 우륜의 회전 속도에 차이를 두어 좌측 또는 우측으로 본체의 주행방향을 전환할 수 있다.
한편, 포터 로봇(100)은 포터 로봇(100)의 동작, 상태와 관련된 각종 데이터를 센싱하는 센서들을 포함하는 센서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110)는 로봇(100)의 동작을 감지하고 동작 정보를 출력하는 동작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작 감지 센서로는, 자이로 센서(Gyro Sensor), 휠 센서(Wheel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110)는 장애물을 감지하는 장애물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장애물 감지 센서는, 적외선 센서, 초음파 센서, RF 센서, 지자기 센서, PSD(Position Sensitive Device) 센서, 주행구역 내 바닥에 낭떠러지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는 절벽 감지 센서, 라이다(light detection and ranging: Lidar) 등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장애물 감지 센서는 이동 로봇의 주행(이동) 방향에 존재하는 물체, 특히 장애물을 감지하여 장애물 정보를 제어부(140)에 전달한다. 이때, 제어부(140)는, 감지된 장애물의 위치에 따라 포터 로봇(100)의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40)는 통신부(190)를 통해 포터 로봇(100)의 동작상태 또는 사용자 입력 등을 서버(2) 등으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140)는 사용자로부터 제공된 목표 위치에 근접할 때, 해당 위치에서 영상획득부(120)로부터 주변 영상을 수득하고, 상기 영상 데이터에 따라 사용자의 유무를 판독한다.
이때, 사용자가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의 짐, 즉 운반 대상 물품의 크기를 읽어 들여 물품의 크기에 따라 슬라이드 모듈(250)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40)는 이와 같은 영상 데이터로부터의 사용자 판단 및 물품 크기 판단을 위하여 사물 인식 알고리즘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10을 참고하여, 포터 로봇(100)의 포터 제어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도 1의 이동 로봇의 실장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실장 방법에 따른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고하면, 먼저, 포터 로봇 시스템의 포터 로봇(100)은 카메라를 통해 수득한 영상 데이터로부터 사용자 인지를 진행한다(S10).
즉, 포터 로봇(100)의 제어부(140)는 사용자 탐색을 진행하며, 이러한 사용자 탐색은 영상 획득부(120)를 통해 근거리의 환경을 연속적으로 촬영하면서 사물 인식을 수행함으로써 진행될 수 있다.
제어부(140)는 획득된 영상 중 일부를 학습 엔진에 입력하면, 학습 엔진은 입력된 영상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사물 또는 생명체를 인식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사물로 인식된 것 중에 특징점을 분석하여 사용자 즉, 생명체 중 사람의 형상을 인식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목표 위치의 근거리에서 사람이 있는 것으로 인식되면, 해당 사람을 향해 헤드부(180a)를 추종하면서 매칭을 진행한다. 제어부(140)는 해당 사람을 사용자라고 가정하고, 사용자의 움직임을 영상획득부(120) 및 센서부(110)를 통해 취득한다(S11).
포터 로봇(100)은 사용자를 인지한 것을 확인하는 음성 데이터를 발화할 수 있으며, 일 예로 ‘짐 운반이 필요하시면 “헤이 클로이”라고 불러주세요’ 라고 발화할 수 있다(1610).
사용자가 이에 따라 ‘헤이 클로이’라고 응답하면(1620), 포터 로봇(100)은 그에 대한 적절한 응답을 진행하고, 일 예로 ‘반가워요. 짐을 올려드릴까요’ 라고 다시 물어볼 수 있다(1630). 한편, 포터 로봇(100)의 제어부(140)는 영상 획득부(120)로부터 사용자 주변에 위치하는 사용자의 짐, 캐리어를 검출하고 상기 캐리어의 크기를 인식할 수 있다(S12).
이와 같이, 캐리어의 존재 여부를 검출하고(S13) 캐리어의 크기를 인식하는 것은 사용자 인식과 것과 같이 학습 엔진에 입력하여 추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캐리어가 검출되지 않으면, 다른 사용자를 검출하기 위하여 이동을 진행할 수 있다.
한편, 캐리어가 검출되면, 상기 캐리어의 크기를 판단한다(S14).
상기 캐리어가 소형 크기의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에는 그에 해당하는 발화를 진행하고 운반할 위치 정보에 대한 문의를 진행한다.
이때, 발화는 ‘짐을 지지면에 올려주세요’ 등으로 진행할 수 있다.
한편, 판독한 캐리어의 크기가 소형 크기의 임계값보다 큰 경우, 포터 로봇(100)은 사용자에게 ‘짐을 올려드릴까요?’ 에 해당하는 발화를 진행할 수 있다(1630)(S15).
포터 로봇(100)의 발화에 대하여 사용자로부터의 응답을 음성 입력부(125)로부터 획득하면, 이에 대한 음성 데이터를 분석한다(S16).
제어부(140)의 분석을 통해 사용자의 응답에 대하여 인식된 단어가 승락인 경우(S17), 검출된 캐리어의 크기에 맞추어 단계별 슬라이드 모듈(250)을 구동할 수 있다.
즉 모터부(280)의 복수의 모터를 제어하여 제1 슬라이드(260) 및 제2 슬라이드(270)를 전방으로 이동시키고, 제3 모터(281b)를 구동하여 제1 슬라이드(260)를 회전시켜 경사를 줌으로써 슬라이드 모듈(250)을 지면까지 연장시킨다(S18).
슬라이드 모듈(250)이 지면에 닿으면, 제어부(140)는 ‘슬라이드에 짐을 놔주세요’ 등의 발화를 진행하고(1650), 운반할 목적지를 묻는 발화를 진행할 수 있다(1660).
이러한 발화는 ‘어디로 운반해 드릴까요’ 등의 발화일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음성 사용자의 응답을 획득하면 사용자의 응답으로부터 목적지 정보를 취득하고 그에 따라 이동을 진행한다(1670).
이때, 제어부(140)는 사용자에게 이동 시작의 발화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는 ‘저를 따라오세요’ 등의 발화일 수 있다(1680).
이러한 포터 로봇(100)은 캐리어의 크기에 따라 슬라이드 모듈(250)의 복수의 모터를 구동하여 캐리어의 크기에 맞추어 슬라이드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 내지 도 10을 참고하여 슬라이드 모듈(250)의 제어를 설명한다.
제어부(140)가 영상 획득부(120)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캐리어의 크기를 검출할 수 있다(S100).
제어부(140)는 영상 획득부(120)로부터의 2차원 영상을 연속적으로 수신하고, 해당 영상을 모델링(Global Geometry Network)을 통해 캐리어의 외골격을 3차원 이미지로 추출하여 캐리어의 크기를 판단한다.
이때, 파악된 캐리어의 크기는 소형 크기를 정의하는 임계값과 비교한다(S101).
즉, 캐리어의 크기가 임계값보다 크지 않은 경우, 도 8과 같이 제1 모터(281a)를 구동하여 제1 슬라이드(260)를 전방으로 밀어냄으로써 제1 슬라이드(260)가 지지면(400)으로부터 돌출되도록 구동한다(S102).
다음으로, 제3 모터(281b)를 구동하여 제1 슬라이드(260)의 타 단이 지면에 닿을 때까지 경사를 준다(S103).
제1 슬라이드(260)의 타 단이 지면에 닿으면(S104), 슬라이드 모듈(250)에 경사를 인가하는 제3 모터(281b)의 구동을 정지하고(S105) 도 10과 같이 제1 슬라이드(260)가 지면과 지지면(400)을 연결하는 경사면을 이룰 수 있다.
한편, 판단한 캐리어의 크기가 소형 크기를 정의하는 임계값보다 큰 경우, 도 8과 같이 제1 슬라이드(260)를 지지면(400)으로부터 전방으로 밀어내어 돌출시킨다(S106). 또한, 제어부(140)는 도 9와 같이, 제2 모터(281c)를 구동하여 캐리어의 크기, 즉 캐리어의 폭에 맞추어 제2 슬라이드(270)를 제1 슬라이드(260)로부터 전방으로 돌출시켜 제2 길이(L2)만큼 돌출시킨다(S107).
제2 길이(L2)는 캐리어의 폭이 경사면의 폭보다 작을 때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이때, 경사면의 폭은 제1 슬라이드(260)의 길이인 제1 길이(L1)와 제2 슬라이드(270)의 돌출 길이인 제2 길이(L2)의 합과 같다.
도 9와 같이 제2 슬라이드(270)가 제2 길이(L2)만큼 돌출을 완료하면 제3 모터(281b)를 구동하여 제1 슬라이드(260)에 경사를 인가한다(S103).
제2 슬라이드(270)의 타 단이 지면에 닿으면(S104) 경사를 이루는 제2 모터(281c)의 구동을 정지하고 경사면의 형성을 완료한다(S105).
이와 같이, 캐리어의 크기에 따라 경사면의 크기를 제어하고, 제어된 경사면의 길이가 캐리어의 폭보다 클 때까지 경사면을 형성한다.
따라서, 캐리어의 크기가 큰 경우, 사용자가 경사면을 이용하여 경사면 위로 캐리어를 끌어 손쉽게 지지면(400)까지 캐리어를 이동시킬 수 있다.
포터 로봇(100)은 캐리어가 지지면(400)에 수용되면, 수신된 목표지까지 캐리어를 운반하여 사용자에게 안전하고 용이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포터 로봇(100)의 운반이 종료되면, 복귀 신호를 서버(2)에 전송하고, 복귀 정보를 수신한 서버(2)는, 복귀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를 업데이트하고,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로봇(100) 시스템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봇(100)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0: 포터 로봇 2: 서버
110: 센서부 120: 영상획득부
160: 구동부 140: 제어부
190: 통신부 250: 슬라이드 모듈

Claims (19)

  1. 이동 로봇이 소정 서비스 요청을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이동 로봇이 운반될 물품의 크기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운반될 물품의 크기에 따라 지지면 위의 슬라이드 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슬라이드 모듈의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드를 돌출하고 경사면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동 로봇의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로봇은,
    상기 지지면은 상기 운반될 물품이 수용되는 평면으로 정의되며,
    상기 슬라이드 모듈은 상기 지지면 위에 배치되어 상기 지지면과 수평한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이동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로봇의 제어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슬라이드 모듈은 상기 지지면 위에 배치되어 상기 지지면과 수평한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드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로봇의 제어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슬라이드 모듈의 모터를 제어하여 돌출되어 있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드를 기울임으로써 상기 경사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로봇의 제어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운반될 물품의 크기가 소정 크기 이상인 경우,
    제1 슬라이드를 돌출시킨 후, 상기 제1 슬라이드 위에 배치되어 있는 제2 슬라이드를 상기 제1 슬라이드로부터 돌출시켜 상기 경사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로봇의 제어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라이드의 길이와 상기 제2 슬라이드가 돌출되는 길이의 합이 상기 운반될 물품의 폭보다 큰 것을 충족하도록 상기 제2 슬라이드의 이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로봇의 제어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반될 물품의 크기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 획득부로부터 영상을 획득하고, 사물 학습을 수행하여 상기 운반될 물품의 크기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로봇의 제어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는,
    물품의 운반 여부를 문의하는 단계,
    상기 문의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사용자의 응답으로부터 사용자의 요청이 있는지 해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로봇의 제어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로봇은 근거리에서 상기 사용자를 탐색하고, 탐색된 사용자를 추종하여 상기 사용자의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로봇의 제어 방법.
  10. 외관을 형성하는 바디;
    상기 바디를 이동시키는 구동부;
    주행 영역의 영상을 촬영하여 영상 정보를 생성하는 영상 획득부;
    운반될 물품을 지지하는 지지면; 및
    운반될 물품의 크기를 판단하고, 상기 운반될 물품의 크기에 따라 상기 지지면 위의 슬라이드 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슬라이드 모듈의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드를 돌출하여 경사면을 형성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이동 로봇.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로봇은,
    상기 슬라이드 모듈은 상기 지지면 위에 배치되어 상기 지지면과 수평한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이동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로봇.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모듈은 상기 지지면 위에 배치되어 상기 지지면과 수평한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드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로봇.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모듈의 모터를 제어하여 돌출되어 있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드를 기울임으로써 상기 경사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로봇.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운반될 물품의 크기가 소정 크기 이상인 경우,
    제1 슬라이드를 돌출시킨 후, 상기 제1 슬라이드 위에 배치되어 있는 제2 슬라이드를 상기 제1 슬라이드로부터 돌출시켜 상기 경사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로봇.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라이드의 길이와 상기 제2 슬라이드가 돌출되는 길이의 합이 상기 운반될 물품의 폭보다 큰 것을 충족하도록 상기 제2 슬라이드의 이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로봇.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 획득부로부터 영상을 획득하고, 사물 학습을 수행하여 상기 운반될 물품의 크기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로봇.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물품의 운반 여부를 문의하고, 상기 문의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응답으로부터 사용자의 요청이 있는지 해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로봇.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로봇은 근거리에서 상기 사용자를 탐색하고, 탐색된 사용자를 추종하여 상기 사용자의 영상을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로봇.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로봇은 운반 완료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고, 시작점으로 복귀를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로봇.
KR1020190106849A 2019-06-17 2019-08-29 인공지능 이동 로봇과 그의 제어 방법 KR2019010690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9/007268 WO2020256163A1 (ko) 2019-06-17 2019-06-17 인공지능 이동 로봇과 그의 제어 방법
KRPCT/KR2019/007268 2019-06-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6909A true KR20190106909A (ko) 2019-09-18

Family

ID=68070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6849A KR20190106909A (ko) 2019-06-17 2019-08-29 인공지능 이동 로봇과 그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10323581A1 (ko)
KR (1) KR20190106909A (ko)
WO (1) WO2020256163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68687A (zh) * 2020-03-11 2020-05-19 中国铁道科学研究院集团有限公司电子计算技术研究所 一种服务机器人控制方法及服务机器人
WO2023074957A1 (ko) * 2021-10-29 2023-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배송 로봇
WO2023234447A1 (ko) * 2022-06-03 2023-1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운송 로봇
WO2024014900A1 (ko) * 2022-07-14 2024-01-18 삼성전자 주식회사 물품을 목표 테이블까지 전달하기 위한 로봇 장치 및 로봇 장치의 동작 방법
WO2024034710A1 (ko) * 2022-08-11 2024-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운송 로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0904B1 (ko) * 2018-06-14 2023-07-27 엘지전자 주식회사 포터 모듈이 구비된 모듈형 이동 로봇
WO2020256159A1 (ko) * 2019-06-17 2020-1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로봇과 그의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23977A (ja) * 1997-10-23 1999-05-11 Mitsubishi Motors Corp 車両乗降装置
CN102256830B (zh) * 2008-12-18 2013-10-16 爱信轻金属株式会社 车辆用坡面装置
US8996167B2 (en) * 2012-06-21 2015-03-31 Rethink Robotics, Inc. User interfaces for robot training
KR20140077655A (ko) * 2012-12-14 2014-06-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수화물 운반 로봇
US9720414B1 (en) * 2013-07-29 2017-08-01 Vecna Technologies, Inc. Autonomous vehicle providing services at a transportation terminal
CN107102540A (zh) * 2016-02-23 2017-08-29 芋头科技(杭州)有限公司 一种唤醒智能机器人的方法及智能机器人
JP2019523714A (ja) * 2016-04-26 2019-08-29 タキオン ロボティクス コーポレーション 多重相互作用人格ロボット
US11645444B2 (en) * 2016-05-10 2023-05-09 Trustees Of Tufts College Systems and methods enabling online one-shot learning and generalization by intelligent systems of task-relevant features and transfer to a cohort of intelligent systems
US9827677B1 (en) * 2016-05-16 2017-11-28 X Development Llc Robotic device with coordinated sweeping tool and shovel tool
KR20180080499A (ko) * 2017-01-04 2018-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항용 로봇 및 그의 동작 방법
EP3674163B1 (en) * 2017-09-11 2022-11-02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Article carrying robot
KR102023622B1 (ko) * 2017-10-11 2019-09-20 네이버랩스 주식회사 이동 로봇
CN109753264A (zh) * 2017-11-08 2019-05-14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一种任务处理方法和设备
JP6521046B1 (ja) * 2017-12-26 2019-05-2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動車両
US11331790B2 (en) * 2018-03-14 2022-05-17 Fedex Corporate Services, Inc. Methods of performing a dispatched medical logistics operation related to a diagnosis kit for treating a patient and using a modular autonomous bot apparatus assembly and a dispatch server
US10890911B2 (en) * 2018-07-20 2021-01-12 Autox, Inc. System and method for autonomously delivering commodity to the recipient's preferred environment
US10821038B2 (en) * 2018-10-26 2020-11-03 Freedom Motors, Inc. Ramp system for a motorized vehicle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68687A (zh) * 2020-03-11 2020-05-19 中国铁道科学研究院集团有限公司电子计算技术研究所 一种服务机器人控制方法及服务机器人
CN111168687B (zh) * 2020-03-11 2021-09-14 中国铁道科学研究院集团有限公司电子计算技术研究所 一种服务机器人控制方法及服务机器人
WO2023074957A1 (ko) * 2021-10-29 2023-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배송 로봇
WO2023234447A1 (ko) * 2022-06-03 2023-1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운송 로봇
WO2024014900A1 (ko) * 2022-07-14 2024-01-18 삼성전자 주식회사 물품을 목표 테이블까지 전달하기 위한 로봇 장치 및 로봇 장치의 동작 방법
WO2024034710A1 (ko) * 2022-08-11 2024-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운송 로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323581A1 (en) 2021-10-21
WO2020256163A1 (ko) 2020-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06909A (ko) 인공지능 이동 로봇과 그의 제어 방법
KR20190106910A (ko) 이동 로봇과 그의 제어 방법
US9757002B2 (en) Shopping facility assistance systems, devices and methods that employ voice input
US11557387B2 (en) Artificial intelligence robot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20200218254A1 (en) Control method of robot
US20210362335A1 (en) Robot and method for manage item using same
JP2018190379A (ja) 移動する目標の間のロボット配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06682418B (zh) 一种基于机器人的智能存取系统及其存取方法
KR20210099217A (ko) 로봇 시스템의 제어 방법
US11663936B2 (en) Robot
US11945651B2 (en) Method of controlling robot system
US11675072B2 (en) Mobile robot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20170278051A1 (en) Ultrasonic bracelet and receiver for detecting position in 2d plane
US20210064019A1 (en) Robot
US20210072750A1 (en) Robot
KR20210099218A (ko) 서버 및 이를 포함하는 로봇 시스템
US11372418B2 (en) Robot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2647132B1 (ko) 로봇 시스템의 제어 방법
US11635759B2 (en) Method of moving robot in administrator mode and robot of implementing method
US11613000B2 (en) Robot
US20210078180A1 (en) Robot system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Mishra et al. IoT impact and challenges on robotic waiters in automation of restaurants and hotels
EP4060448A1 (en) Methods of controlling a mobile robot device to follow or guide a person
WO202124696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door guiding
KR20210057394A (ko) 로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