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6043A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6043A
KR20190106043A KR1020180026960A KR20180026960A KR20190106043A KR 20190106043 A KR20190106043 A KR 20190106043A KR 1020180026960 A KR1020180026960 A KR 1020180026960A KR 20180026960 A KR20180026960 A KR 20180026960A KR 20190106043 A KR20190106043 A KR 201901060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rared signal
occupant
air conditioner
module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69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7511B1 (ko
Inventor
이정원
경기영
최병진
강명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269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7511B1/ko
Publication of KR201901060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60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75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75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37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with humidification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8/00Prospecting or detecting by optical means
    • G01V8/10Detecting, e.g. by using light barriers
    • G01V8/20Detecting, e.g. by using light barriers using multiple transmitters or recei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2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users or occupants
    • F24F2120/10Occupancy
    • F24F2120/12Position of occupa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phys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본체의 전면부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 패널, 전면 패널에 설치되어, 재실자를 감지하고, 재실자의 접근 거리를 연산하는 비전모듈, 제1 적외선 신호를 출력하고, 제1 적외선 신호 중 재실자로부터 반사되는 제2 적외선 신호를 기초로, 소정 거리 내로 접근하는 재실자를 감지하는 상단 근접 센서와, 재실자가 소지한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송출되는 제3 적외선 신호를 감지하는 IR 센서를 구비하는 센서부 및 비전모듈에서 연산된 접근 거리 정보를 기초로, 제1 적외선 신호의 출력을 차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인접하는 상단 근접 센서 및 IR 센서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근접 센서 및 IR 센서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는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실내로 냉온의 공기를 토출하여, 실내 온도를 조절하고, 실내 공기를 정화하도록 함으로서 인간에게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설치된다.
이러한 공기조화기는 실외기 및 실내기가 냉매배관으로 연결되어, 실외기의 압축기로부터 압축된 냉매가 냉매배관을 통해 실내기의 열교환기로 공급되고, 실내기의 열교환기에서 열 교환된 냉매는 다시 냉매배관을 통해 실외기의 압축기로 유입된다. 그에 따라 실내기는 냉매를 이용한 열교환을 통해 냉온의 공기를 실내로 토출한다.
한편, 공기조화기는, 사용자 편의성을 위해, 원격 제어 장치(예를 들어, 리모컨)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IR 센서 및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기설정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근접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IR 센서 및 근접 센서는, 적외선 신호를 이용하여 공기조화기의 제어 신호 및 소정 거리 내의 재실자를 감지한다는 점에서 공통된다.
그러나, IR 센서 및 근접 센서가 인접하여 설치되는 경우, 동일 파장(약, 940nm)의 적외선 신호 간섭으로 인해, 그 정확성이 감소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인접하는 근접 센서 및 IR 센서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본체의 전면부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 패널, 전면 패널에 설치되어, 재실자를 감지하고, 재실자의 접근 거리를 연산하는 비전모듈, 제1 적외선 신호를 출력하고, 제1 적외선 신호 중 재실자로부터 반사되는 제2 적외선 신호를 기초로, 소정 거리 내로 접근하는 재실자를 감지하는 상단 근접 센서와, 재실자가 소지한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송출되는 제3 적외선 신호를 감지하는 IR 센서를 구비하는 센서부 및 비전모듈에서 연산된 접근 거리 정보를 기초로, 제1 적외선 신호의 출력을 차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재실자를 감지하고, 재실자의 접근 거리를 연산하는 비전모듈을 포함하고, 메인 제어부는, 비전모듈에서 연산된 접근 거리 정보를 기초로, 근접 센서의 적외선 신호 출력을 차단하므로, 동일 파장의 적외선 신호 간섭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공기조화기는, 접근 거리 정보를 기초로, 동일 파장의 적외선 신호 간섭을 제거하므로, 노이즈 제거로 인한 IR 센서의 정확성이 향상된다.
특히, 공기조화기는, 기설정된 접근 거리 미만에서 제어 신호를 감지한 경우, 근접 센서의 적외선 신호를 차단하므로, 근접 센서의 오작동을 방지하여 사용자 신뢰성을 제고할 수 있다.
또한, 공기조화기는, 적외선 신호의 간섭 제거를 통해, 근접 센서 및 IR 센서를 인접하게 배치할 수 있으므로, 센서 설계에 있어 자유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공기조화기는, 적외선 신호 간섭 회피를 위해, 기설정된 거리 내에서, 근접 센서의 적외선 신호 출력을 차단하므로, 그 구현이 용이하다.
또한, 공기조화기는, 기설정된 거리 내에서, 근접 센서의 적외선 신호 출력을 차단하므로, 그 소비 전력이 저감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외관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공기조화기의 서큘레어터 도어가 오픈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공기조화기의 전면 패널이 오픈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공기조화기의 가습용 물통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주요 구성들 간의 제어관계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내부 구성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주요 구성들 간의 제어 관계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주요 구성들 간의 제어 관계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9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에 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외관을 예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공기조화기의 서큘레이터(circulator) 도어가 오픈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공기조화기의 전면 패널이 오픈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1)는, 실내기의 본체(10)가 실내에 구비되고, 냉매배관(미도시)을 통해 실외기(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전면부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 패널(11) 및 전면 패널(11)에 배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여 개폐되는 서큘레이터 도어(13)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는, 베이스(16), 캐비닛(12), 전면 패널(11)을 포함할 수 있다. 전면 패널(11)은, 본체(10)의 전면부 외관을 형성하고, 캐비닛(12)은, 베이스(16)의 상측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전면 패널(11)에는, 서큘레이터 도어(13)가 설치될 수 있다.
실내기는, 공기 흡입구(미도시)와 공기 토출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고, 공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내부에서 공조한 후, 공기 토출구(미도시)를 통해 토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10)의 후면에 흡입구(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고, 본체(10)의 전면 상부에 토출구(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흡입구(미도시) 및 토출구(미도시)는 본체(10)의 다른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10) 하부의 측면 등에 토출구(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토출구(미도시)가 본체(10)의 전면 상부 및 본체(10) 하부의 측면 등에 다수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흡입구(미도시)는 본체(10)의 후면, 하부의 전면, 측면 중 하나 이상의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합입구에는, 흡입된 공기에 포함된 먼지 등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부(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체(10)에는, 필터부를 청소하는 청소모듈(400)이 배치될 수 있다.
토출구는, 서큘레어터 도어(13)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토출구의 내측, 즉 닫힌 상태의 서큘레이터 도어(13)의 후방에는, 서큘레이터 모듈(15)이 구비될 수 있다. 서큘레이터 모듈(15)은 흡입구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고 토출구를 통해 공기가 토출되도록 송풍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서큘레이터 모듈(15)은,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가, 동작시 서큘레이터 도어(13)의 열림에 따라 노출되는 토출구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또한, 서큘레이터 도어(13)가 열려 개방되는 토출구로 서큘레이터 모듈(15)이 전진 이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큘레이터 모듈(15)의 적어도 일부가, 서큘레이터 도어(13)가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개방되는 원형의 토출구를 통과하도록 전진 이동한 후에, 서큘레이터 모듈(15)의 서큘레이터 팬이 회전하며 동작할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본 명세서에서, 토출구는 공기 또는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유닛인 서큘레이터 모듈(15)의 적어도 일부가 통과하는 개구부를 의미할 수 있다.
서큘레이터 도어(13)는 토출구를 개폐할 수 있다. 서큘레이터 도어(13)는 메인(main) 토출구를 개폐하며, 열교환된 공기, 정화된 공기 등 공기조화기에서 처리된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서큘레이터 도어(13)는, 공기조화기(1) 동작 시 열려 서큘레이터 모듈(15)이 외부로 노출되어 토출구로 공기가 토출되도록 하고, 동작이 종료되면 닫혀 토출구를 폐쇄한다. 전면 패널(11)의 내측 또는 후면에는 토출구 개방 시, 서큘레이터 도어(13)가 수용되는 공간이 구비될 수 있다.
전면 패널(11)의 내측 일면에는 서큘레이터 도어(13)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수단(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면 패널(11)의 내측 일면에는 서큘레이터 도어 모터, 상기 서큘레이터 도어 모터의 회전에 따라 상기 서큘레이터 도어(13)를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기어 부재, 레일 부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서큘레이터 도어 모터로 가격이 저렴하고, 제어가 용이한 스텝(step) 모터가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서큘레이터 도어 모터는 서큘레이터 도어 스텝(step) 모터로 명명될 수 있다.
서큘레이터 도어(13)는 본체(10)의 내측에서, 상측 방향 또는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열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서큘레이터 도어(13)는 본체(10)의 전면 패널(11)의 상측에 배치되므로, 서큘레이터 도어(13)는,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열리도록 구성되는 것이 공간 이용 측면에서 더 바람직하다.
또는, 서큘레이터 도어(13)는 본체(10)의 내측으로 후진 이동 후, 상측 방향 또는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열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서큘레이터 도어(13)는, 본체(10)의 내측으로 후진 이동 후,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열리도록 구성되는 것이 공간 이용 측면에서 더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서큘레이터 도어(13)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여 열리고 닫히는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나, 서큘레이터 도어(13)가 내측 방향으로 후진 후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열릴 수 있고, 서큘레이터 도어(13)가 상측 방향으로 이동한 후 전면 방향으로 전진하여 닫힐 수 있다.
서큘레이터 도어(13)가 열리면, 서큘레이터 모듈(15)은 전면 패널(11)을 향하는 전방 방향으로 전진 이동하여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또한, 동작이 종료되면, 서큘레이터 모듈(15)은 본체(10)의 내측으로 후진 이동하고, 서큘레이터 도어(13)의 이동으로 토출구를 폐쇄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본체(10)의 내부에 송풍력을 보조하기 위한 송풍팬(미도시)이 더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공기조화기는, 본체(10)의 내부에 서큘레이터 모듈(15) 외에도 다수의 송풍팬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큘레이터 모듈(15)의 하측에는 복수의 송풍팬이 더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캐비닛(12)의 측면에는 보조 토출구(미도시)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보조 토출구에는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풍향조절수단이 배치될 수 있다.
기존의 공기조화기는 최대 풍량 설정시에도 원거리까지 공기를 토출하는 데에 한계가 있었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상단에 서큘레이터 모듈(15)을 구비함으로써, 원거리로 바람을 보내기에 더욱 용이하다.
또한, 서큘레이터 모듈(15)이 공기 토출 경로상 최종 단계에 위치함으로써, 열교환된 공기 및 정화된 공기를 직접 원거리까지 토출할 수 있다.
기존의 공기조화기는, 수직 베인이나 수평 베인을 이용하여 기류 제어를 수행하는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공기조화기가 원하는 곳에 바람을 보내기 위해서는 1차원적으로 움직이는 베인을 이용해야 한다.
기존의 공기조화기는, 1차원적인 베인을 이용하면 기류도 1차원적으로만 제어할 수 있다. 즉, 좌우 혹은 상하 방향으로만 제어되기 때문에 좌측 하단이나 우측 상단 등 2차원적인 기류제어가 불가능하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서큘레이터 도어(13)가 개방된 후, 토출유닛인 서큘레이터 모듈(15)이 2차원적으로 회전하게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큘레이터 모듈(15)은, 2중 조인트, 기어랙 구조를 이용한 2축 회전구조로 구성되는 회전부를 포함함으로써, 다양한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곳에 서큘레이터 모듈(15)이 회전하여 기류제어가 가능하다.
즉, 기존에는 베인을 이용하여 공기가 베인에 직접 부딪치게 하여 기류제어를 했으나, 본 발명에서는 서큘레이터 모듈(15) 전체가 회전하게 되어 다양한 방식으로 기류 제어가 가능하다.
또한, 서큘레이터 모듈(15) 전체가 회전한 후에, 사용자가 원하는 곳에 바람을 보내 집중 냉방을 하게 됨으로써, 사용자의 쾌적감, 만족도를 더욱 상승시킬 수 있다.
전면 패널(11)에는 디스플레이 모듈(292)이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292)은 동작상태 및 설정정보를 표시하고, 또한, 터치패드가 레이어드된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292)은,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사용자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전면 패널(11)에는 스위치, 버튼 또는 터치패드의 적어도 하나의 입력수단을 포함하는 조작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모듈(292) 내부에는, 소정 거리 내로 접근하는 물체 또는 인체를 감지하는 상단 근접 센서(18)와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송출되는 적외선 신호를 감지하는 IR 센서(19) 가 구비될 수 있다.
상단 근접 센서(18)는, 공기조화기(1)로 접근하는 재실자를 기계적 접촉 없이 검출할 수 있다. 상단 근접 센서(18)는, 교류 자계의 변화나 정자계의 변화를 이용하거나, 혹은 정전 용량의 변화율 등을 이용하여 근접 재실자를 검출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단 근접 센서(18)는, 적외선 신호를 이용하여, 공기조화기(1)로 접근하는 재실자를 감지할 수 있다.
상단 근접 센서(18)는, 제1 적외선 신호를 출력하고, 출력된 제1 적외선 신호 중 재실자로부터 반사된 제2 적외선 신호를 기초로, 소정 거리 내로 접근하는 재실자를 감지할 수 있다.
IR 센서(19)는, 원격 제어 장치(30)에서 단 방향(unidirectional)으로 출력되는 원격 제어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단 방향으로 출력되는 원격 제어 신호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즉, IR 센서(19)는, 재실자가 소지한 원격 제어 장치(30)로부터 송출되는 제3 적외선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IR 센서(19)는, 원격 제어 장치(30)의 적외선(infrared) 출력부(미도시)를 통해 출력되는 IR 펄스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IR 펄스를 디코딩하고, 대응하는 운전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원격 제어 신호에는, 공기조화기(1)의 운전 모드에 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전 모드는, 냉방 모드, 제습 모드, 가습 모드, 공기 청정 모드일 수 있다. 또한, 운전 모드는, 풍량 조절 모드, 풍향 조절 모드, 온도 조절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디스플레이 모듈(292)은, 하나 이상의 조명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단 근접 센서(18) 보다 상대적으로 하측에 배치되는 하단 근접 센서(17)는, 베이스(16)에 설치될 수 있다. 하단 근접 센서(17)는, 본체(10)에 사용자가 접근하는 것을 감지하여, 사용자의 접근에 대응하는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하단 근접 센서(17)는, 제4 적외선 신호를 출력하고, 제4 적외선 신호 중 재실자로부터 반사되는 제5적외선 신호를 기초로, 소정 거리 내로 접근하는 재실자를 감지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하단 근접 센서(17)로부터 사용자의 접근에 대응하는 근접 신호가 입력되면, 디스플레이 모듈(292)이 활성화되어 동작정보를 표시할 수 있고, 본체(10)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조명이 동작할 수 있다.
한편, 하단 근접 센서(17)는 전면 패널(11)의 하부 소정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전면 패널(11)의 상부에 적어도 하나의 영상촬영수단을 구비하는 비전모듈(210)이 설치될 수 있다.
비전모듈(210)은, 전면 패널(11)에 설치되어, 재실자를 감지하고, 재실자의 접근 거리를 연산할 수 있다.
영상촬영수단은, 렌즈와, 렌즈를 통해 입사되는 빛을 전기적인 영상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는, 금속산화물반도체(MOS), 전하결합소자(CCD)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영상촬영수단은, 카메라(810)일 수 있다.
전면 패널(11)에는 오디오 입력부(미도시), 오디오 출력부(미도시)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본체(10)는 내부에, 흡입된 공기를 냉매와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전면 패널(11)은 좌측 또는 우측으로 슬라이딩되어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전면 패널(11)은 슬라이딩 도어(sliding door)로도 명명될 수 있다.
전면 패널(11)은 캐비닛(12)에 형성된 슬라이딩 수단에 의해 장착되어 좌우 이동할 수 있다. 전면 패널(11)의 이동에 의해 본체의 내부패널(141)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캐비닛(12)에는 슬라이딩 도어 스텝(step) 모터, 상기 슬라이딩 도어 스텝 모터의 회전에 따라 전면 패널(11)을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기어 부재, 레일 부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내부패널(141)에는 서큘레이터 모듈(15)이 수용되고, 서큘레이터 모듈(15)을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수단(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서큘레이터 모듈(15)은, 서큘레이터 팬(미도시), 적어도 서큘레이터 팬(미도시)이 향하는 방향이 변경되도록 회전시킬 수 있는 서큘레이터 회전부(미도시), 적어도 서큘레이터 팬(미도시)을 이동시킬 수 있는 서큘레이터 이동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내부패널(141)에는 하부에 가습모듈의 가습용 물통(329)이 설치될 수 있다. 물통(329)은 전면 패널(11)이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열림에 따라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공기조화기의 가습용 물통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가습용 물통(329)은 슬라이딩 도어(11)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가습용 물통(329)의 소정 영역에는 물을 채울 수 있는 투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투입구가 개방되어 있거나, 투입구의 적어도 일부를 개폐할 수 있는 커버(cover)가 배치될 수 있다.
물통(329)은 하부에 이동축이 형성되어, 캐비닛(12)에 연결될 수 있다. 물통(329)의 상부는 하부의 이동축을 기준으로, 전면으로 돌출되도록 이동되어 투입구가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물통(329)은 상부가 내부패널(141)과 소정각을 이루도록 전면으로 틸팅(tilting)될 수 있다.
또한, 물통(329)은 본체(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본체(10)의 내부에는 물통의 장착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물통(329)은 하단 근접 센서(17)에 의해 사용자의 접근이 감지되면, 근접신호에 따라 자동으로 이동하여 투입구가 개방될 수 있다.
물통(329)은 손잡이(미도시)가 전면을 향해 당겨짐에 따라 이동하여 투입구가 개방될 수 있다.
물통(329)은 내측으로 눌림에 의해 고정부(미도시)가 해제됨에 따라 전면으로 이동하여 투입구가 개방될 수 있다.
또한, 물통(329)은 슬라이딩 도어(11)가 슬라이딩되어 열림에 따라, 자동으로 회전하여 투입구가 개방될 수 있다.
내부패널(141) 또는 물통(329)의 일부에는 물통의 수위를 표시하는 수위표시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물통(329)은 내부의 물의 양을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통(329)은 전면이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물통은 전면의 어느 일부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물통(329)은 전체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주요 구성들 간의 제어관계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는, 각종 데이터를 센싱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215),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256), 다른 전자기기와 무선 통신하는 통신부(270), 필터를 청소하는 청소모듈(400), 가습모듈(300), 공기조화기(1)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240) 및 상기 제어부(240)의 제어에 따라 본체(10) 내부에 구비되는 열교환기, 밸브, 풍향 조절 수단 등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동부(28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부(215)는, 실내외의 온도를 센싱하는 하나 이상의 온도 센서와 습도를 센싱하는 습도 센서, 공기질을 센싱하는 먼지 센서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온도 센서는, 흡입구에 설치되어 실내온도를 측정하고,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열교환 온도를 측정하며, 토출구의 어느 일측에 설치되어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고, 냉매배관에 설치되어 냉매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특히, 센서부(215)는, 하나 이상의 인체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부(215)는, 상단 근접 센서(18) 및 하단 근접 센서(17)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센서부(215)는, 원? 제어 장치(30)로부터 송출되는 적외선 신호를 감지하는 IR 센서(19)를 포함할 수 있다.
상단 근접 센서(18) 및 하단 근접 센서(17)는 소정 거리 내로 접근하는 사람 또는 물체를 감지할 수 있다.
상단 근접 센서(18)는, 전면 패널(11)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모듈(292) 내부에 설치될 수 있고, 하단 근접 센서(17)는, 본체(10)의 하부, 베이스(16)의 전면부 또는 전면 패널(11)에 설치될 수 있다.
상단 근접 센서(18) 및 하단 근접 센서(17)는, 적외선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적외선 신호 중 소정 거리 내의 물체 또는 사람으로부터 반사된 적외선 신호를 기초로, 소정 거리 내로 접근하는 물체 또는 사람을 감지할 수 있다.
상단 근접 센서(18) 및 하단 근접 센서(17)는, 소정 거리 내에 소정의 물체 또는 사람이 접근하는 경우, 접근 신호를 제어부(240)로 입력할 수 있다. 상단 근접 센서(18) 및 하단 근접 센서(17)는, 본체(10)에 사용자가 접근하는 것을 감지하여, 사용자의 접근에 대응하는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40)는, 센서부(215)에서 감지되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공기조화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비전모듈(210)은,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810)를 포함하여, 실내 환경을 촬영할 수 있다. 카메라(810)는 공기조화기 주변, 외부 환경 등을 촬영하는 것으로, 이러한 카메라는 촬영 효율을 위해 각 부위별로 여러 개가 설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810)는 적어도 하나의 광학렌즈와, 광학렌즈를 통과한 광에 의해 상이 맺히는 다수개의 광 다이오드(photodiode, 예를 들어, pixel)를 포함하여 구성된 이미지 센서(예를 들어, CMOS image sensor)와, 광 다이오드들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바탕으로 영상을 구성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DSP: Digital Signal 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디지털 신호 처리기는 정지영상은 물론이고, 정지영상으로 구성된 프레임들로 이루어진 동영상을 생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카메라(810)가 촬영하여 획득된 영상은 메모리(256)에 저장될 수 있다.
비전모듈(210)은, 비전모듈 제어부(242)를 포함할 수 있다. 비전모듈 제어부(242)는, 실내 영상 데이터를 기초로, 재실자의 오메가 형상을 검출하여, 재실자의 존재 및 접근 거리를 연산할 수 있다.
비전모듈(210)은 전면 패널(11)에 설치되고, 경우에 따라 캐비닛의 상측 패널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비전모듈(210)은, 미동작시, 본체(10) 내부에 수용되어 있다가, 승강 후 동작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292)은 사용자의 명령 입력에 대응하는 정보, 사용자의 명령 입력에 대응하는 처리 결과, 동작모드, 동작상태, 에러상태 등을 영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디스플레이 모듈(292)은, 터치패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디스플레이는 출력 장치 이외에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이 가능한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디스플레이 모듈(292)은 점등 여부, 점등색상, 점멸 여부에 따라 동작상태를 출력하는 조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공기조화기는 별도의 조작부(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조작부(230)는, 버튼, 스위치, 터치입력수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공기조화기로 사용자 명령 또는 소정의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모듈(292)은, 근접 센서(18, 19) 또는 비전모듈(210)에서 감지된 감지 정보를 기초로,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단 근접 센서(18) 및 하단 근접 센서(17)가, 소정 거리 내로 접근하는 재실자를 감지한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292)은, 터치스크린의 해상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반대로, 상단 근접 센서(18) 및 하단 근접 센서(17)가, 소정 거리 내로 접근하는 재실자를 감지하지 못한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292)은, 터치스크린의 해상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 비전모듈(210)이, 기설정된 접근 거리 미만의 재실자를 감지한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292)은, 터치스크린의 해상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반대로, 비전모듈(210)이, 소정 거리 이상의 재실자를 감지한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292)은, 터치스크린의 해상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메모리(256)는 공기조화기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정보들을 기록하는 것으로,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데이터, 동작모드에 대한 데이터, 센서부(215)로부터 감지되는 데이터, 통신부를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메모리(256)는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기록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기록 매체는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 processor)에 의해 읽힐 수 있는 데이터를 저장한 것으로,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메모리(256)에는 음성 인식을 위한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고, 제어부(240)는 오디오 입력부(220)를 통하여 수신되는 사용자의 음성 입력 신호를 처리하고 음성 인식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간단한 음성 인식은 공기조화기가 수행하고, 자연어 처리 등 고차원의 음성 인식은 음성 인식 서버 시스템에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설정된 호출어를 포함하는 웨이크 업(wake up) 음성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 공기조화기는 음성 명령어를 수신하기 위한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이 경우에, 공기조화기는 호출어 음성 입력 여부까지의 음성 인식 과정만 수행하고, 이후의 사용자 음성 입력에 대한 음성 인식은 음성 인식 서버 시스템을 통하여 수행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의 시스템 자원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복잡한 자연어 인식 및 처리는 음성 인식 서버 시스템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메모리(256)에는 사용자가 입력한 음성 명령의 음원 파일이 저장될 수 있고, 저장된 음원 파일은 통신부(270)을 통하여 음성 인식 서버 시스템으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된 음원 파일은 기설정된 시간 경과 또는 기설정된 동작 수행 후에 삭제될 수 있다.
통신부(270)는, 하나 이상의 통신 모듈을 구비하여, 다른 전자기기와, 소정 통신 방식에 따라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각종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여기서, 소정 통신 방식은, 와이파이(Wi-Fi) 통신 방식일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공기조화기가 구비하는 통신 모듈은 와이파이 통신 모듈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은 통신 방식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는, 공기조화기는 다른 종류의 통신 모듈을 구비하거나 복수의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조화기는 NFC 모듈, 지그비(zigbee) 통신 모듈,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와이파이(wi-fi) 통신 모듈 등을 통해 음성 인식 서버 시스템에 포함되는 서버 또는 외부의 소정 서버,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 등과 연결 가능하고, 원격 모니터링, 원격 제어 등 스마트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를 통하여 공기조화기에 관한 정보를 확인하거나 공기조화기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270)는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 장치와 통신하고, 액세스 포인트 장치를 통하여 무선 인터넷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다른 기기들과 통신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40)는 통신부(270)를 통해 공기조화기의 상태 정보, 사용자의 음성 명령 등을 음성 인식 서버 시스템 등으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통신부(270)를 통하여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240)는 수신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하도록 공기조화기를 제어할 수 있다.
구동부(280)는 실내팬들에 연결된 모터의 회전을 제어함으로써,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부(280)는, 서큘레이터 모듈(15)에 구비되는 서큘레이터 팬, 서큘레이터 팬 하단의 기타 송풍팬 등에 연결된 모터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구동부(280)는 열교환기가 공급되는 냉매를 증발 또는 응축시켜 주변의 공기를 열 교환하도록 그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구동부(280)는 제어부(240)의 제어명령에 대응하여, 본체(10) 내부에 구비되는 밸브, 풍향 조절 수단 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제어부(240)는 공기조화기 내 소정 유닛을 직접 제어할 수도 있다.
한편, 구동부(280)는, 모터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고, 모터를 구동하기 위해, 인버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구동부(280)는 서큘레이터 모듈(15)이 회전 동작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구동부(280)는 서큘레이터 모듈(15)이 이동할 수 있도록 서큘레이터 이동부(미도시)에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구동부(280)는 내부에 설치되는 밸브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구동부(280)는 전면 패널(11)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슬라이딩되어 이동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구동부(280)는 서큘레이터 구동부, 전면 패널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청소모듈(400)은 필터부에 설치되어, 필터부의 이물질을 청소할 수 있다. 청소모듈(400)은 청소로봇(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청소로봇은 필터부의 표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필터부의 이물질을 흡입할 수 있다. 또한, 청소로봇은 필터부를 청소하면서 살균램프를 이용하여 필터부를 살균할 수 있다. 청소모듈(400)은 청소로봇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습모듈(300)은, 물통(329)의 물을 공급받아, 수분을 제공하는 가습을 실시하고, 가습공기를 외부로 토출할 수 있다. 가습모듈(300)은 스팀을 발생시켜 공기를 가습하고, 가습된 공기가 공조된 공기와 함께 토출구를 통해 실내로 토출되도록 할 수 있다.
가습모듈(300)에는 진동을 이용한 진동식, 가열식, 물을 분사하는 분사방식을 사용될 수 있고, 그외 다양한 가습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제어부(240)는,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메모리(256)에 데이터를 저장하며, 통신부(270)를 통해 데이터가 송수신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디스플레이 모듈(292), 조작부(230) 등을 통해 입력에 따라 공기조화기가 동작하도록 제어하고 실외기와의 데이터 송수신하여 실외기로부터 공급되는 냉매에 의해 공조된 냉온의 공기가 실내로 토출되도록 구동부(28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설정되는 동작모드 또는 센서부(215)로부터 측정되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서큘레이터 모듈(15)이 공기를 외부로 토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40)는, 가습모듈(300)이 동작하여 가습된 공기가 토출되고, 필터가 청소되도록 청소모듈(400)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센서부(215) 또는 비전모듈(210)을 통해 재실자를 감지하며, 감지된 재실자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기류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각 모듈의 동작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인가되는 데이터에 따라 동작상태가 디스플레이 모듈(292)을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는, 전원부(299),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수신하는 오디오 입력부(220), 소정 정보를 오디오로 출력하는 오디오 출력부(291)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원부(299)는 공기조화기의 각 유닛들로 동작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전원부(299)는 연결되는 사용전원을 정류 및 평활하여, 각 유닛에서 요구되는 전압을 생성하여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전원부(299)는 돌입전류를 방지하고, 정전압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전원부(299)는 동작전원을 실외기(미도시)로 공급할 수 있다.
오디오 입력부(220)는, 외부의 오디오 신호, 사용자 음성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오디오 입력부(220)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MIC)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더 정확히 수신하기 위하여 오디오 입력부(220)는 복수의 마이크를 구비할 수 있다. 복수의 마이크는, 서로 다른 위치에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고, 외부의 오디오 신호를 획득하여 전기적인 신호로 처리할 수 있다.
오디오 입력부(220)는 아날로그 소리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처리부를 포함하거나 처리부에 연결되어 사용자 입력 음성 명령을 제어부(240) 또는 소정 서버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데이터화할 수 있다.
한편, 오디오 입력부(220)는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입력부(220)는 각 마이크에서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에서 노이즈를 제거하는 필터, 필터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증폭기 등 오디오 신호 처리를 위한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출력부(291)는, 제어부(240)의 제어에 따라 경고음, 동작모드, 동작상태, 에러상태 등의 알림 메시지, 사용자의 명령 입력에 대응하는 정보, 사용자의 명령 입력에 대응하는 처리 결과 등을 오디오로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오디오 출력부(291)는, 제어부(240)로부터의 전기 신호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스피커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내부 구성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어부(240)는, 하나 또는 복수의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 processor)로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240)는, 기능에 따라 메인 제어부(241), 비전모듈 제어부(242), 전원공급 제어부(243), 조명 제어부(244), 디스플레이 모듈 제어부(245), 가습모듈 제어부(246), 청소모듈 제어부(247)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각 제어부(241 내지 247)는 하나의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구성될 수 있고, 각 모듈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통해 비전모듈(210), 청소모듈(400), 가습모듈(300)을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메인 제어부(241)는 나머지 제어부(242 내지 247)로 제어명령을 인가하고, 각 제어부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처리할 수 있다. 메인 제어부(241)와 나머지 제어부(242 내지 247)는 버스(BUS) 형식으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각 모듈에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설치되어, 해당 모듈의 자체 동작을 더 빠르게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모듈(292)에는 디스플레이 모듈 제어부(245)가 구비되고, 가습모듈(300)에 가습모듈 제어부(246)가 구비되어 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제어부(240)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이다.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제어부(240) 및 공기조화기 내 유닛들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주요 구성들 간의 제어 관계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공기조화기(1)는, 비전모듈(210), 각종 데이터를 센싱하는 센서부(215),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수신하는 오디오 입력부(220), 조작부(230),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256), 다른 전자기기와 무선 통신하는 통신부(270), 공기조화기에 구현된 동작을 수행하는 구동부(280), 소정 정보를 영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292), 소정 정보를 오디오로 출력하는 오디오 출력부(291), 가습모듈(300), 청소모듈(400),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240), 및, 프로세서(26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의 공기조화기(1)의 내부 블록도는, 도 5와 유사하나, 프로세서(260)가 더 구비되며, 오디오 입력부(220), 오디오 출력부(291), 통신부(270), 및 프로세서(260)가 하나의 단일 모듈인 음성 인식 모듈(205) 내에 구비되는 것에 그 차이가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 음성 인식 모듈(205)은, 통신부(270)와 프로세서(260)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오디오 입력부(220)와 상기 오디오 출력부(291)는 별도의 일체형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260)는, 오디오 입력부(220), 오디오 출력부(291), 통신부(270)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와의 차이를 중심으로 기술한다.
프로세서(260)는 오디오 입력부(220)를 통하여 수신되는 사용자의 음성 입력 신호를 처리하고 음성 인식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설정된 호출어를 포함하는 웨이크 업(wake up) 음성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 프로세서(260)는 음성 명령어를 수신하기 위한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이 경우에, 프로세서(260)는 호출어 음성 입력 여부까지의 음성 인식 과정만 수행하고, 이후의 사용자 음성 입력에 대한 음성 인식은 음성 인식 서버 시스템을 통하여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260)는, 웨이크 업(wake up) 음성 신호의 인식 이후에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통신부(270)를 통하여, 음성 인식 서버 시스템에 송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60)는 통신부(270)를 통해 공기조화기의 상태 정보, 사용자의 음성 명령 등을 음성 인식 서버 시스템 등으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통신부(270)를 통하여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프로세서(260)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240)로 전송하고, 제어부(240)는 수신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하도록 공기조화기를 제어할 수 있다.
결국, 음성 인식 모듈(205)을 통해, 음성 데이터 획득, 서버 시스템과의 통신, 및 대응하는 사운드 출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음성 인식 모듈(205)은, 공기조화기 외에, 다양한 전자 기기에 부착될 수 있다. 또는 다른 전자 기기에 부착되는 것 없이, 별도의 장치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수신할 수 있고, 음성 인식 서버 시스템은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인식, 분석하여 공기조화기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 원격제어장치를 조작하지 않고서도 공기조화기를 제어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주요 구성들 간의 제어 관계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240)는, 하나 또는 복수의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 processor)로 구성될 수 있고, 기능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 제어부(245), 비전모듈 제어부(242), 가습모듈 제어부(246) 및 메인 제어부(241)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 제어부(245), 비전모듈 제어부(242), 가습모듈 제어부(246) 및 메인 제어부(241)는 하나의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구성되거나, 각 모듈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제어부(240), 특히, 비전모듈 제어부(242)는, 비전모듈(2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비전모듈(210)은, 카메라(810)에서 전면 패널(11) 상측에 배치되어 실내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810)를 포함할 수 있고, 제어부(240) 특히, 비전 모듈 제어부(242)는,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기초로, 재실자의 오메가 형상을 추출하여, 재실자의 존재 및 접근 거리를 연산할 수 있다.
제어부(240), 특히, 비전 모듈 제어부(242)는, 재실자 정보(Vs)를 메인 제어부(241)에 전송할 수 있다. 재실자 정보(Vs)는, 재실자 존재 정보 및 접근 거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40), 특히, 디스플레이 모듈 제어부(245)는, 디스플레이 모듈(292) 내의 터치스크린을 통해, 공기조화기(1)의 동작 상태 및 운전 설정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모듈(292) 내부에는, 상단 근접 센서(18)와 IR 센서(19)가 배치될 수 있다.
상단 근접 센서(18)는, 제1 적외선 신호를 출력하는 광출력부(18a)와, 제1 적외선 신호 중, 재실자로부터 반사되는 제2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는 광수신부(18b)를 구비할 수 있다.
제어부(240), 특히, 디스플레이 모듈 제어부(245)는, 광수신부(18b)에 결상된 제2 적외선 신호의 결상 위치를 기초로, 소정 거리 내로 접근하는 재실자를 감지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제어부(240), 특히, 디스플레이 모듈 제어부(245)는, 광수신부(18b)에 결상된 제2 적외선 신호의 레벨 및 위상을 기초로, 소정 거리 내로 접근하는 재실자를 감지할 수도 있다.
제어부(240), 특히, 디스플레이 모듈 제어부(245)는, 상단 근접 센서(18)가 감지한 제1 재실자 접근 정보(Ps1)를 메인 제어부(241)에 전송할 수 있다. 제1 재실자 접근 정보(Ps1)에는, 소정 거리 내로 접근하는 재실자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IR 센서(19)는, 재실자가 소지한 원격 제어 장치(30)로부터 송출되는 제3 적외선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제3 적외선 신호에는, 공기조화기(1)를 원격에서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240), 특히, 디스플레이 모듈 제어부(245)는, 제어 정보(Rc)를 메인 제어부(241)에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240), 특히, 메인 제어부(241)는, 제3 적외선 신호를 디코딩하고,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운전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240), 특히, 디스플레이 모듈 제어부(245)는, 운전 모드에 대응하는 동작 상태 및 운전 설정을 터치스크린을 통해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상단 근접 센서(18) 및 IR 센서(19)는, 적외선 신호를 이용하여, 공기조화기의 제어 신호 및 소정 거리 내의 재실자를 감지한다는 점에서 공통된다.
그러나, 상단 근접 센서(18) 및 IR 센서(19)가 인접하여 설치되는 경우, 동일 파장(약, 940nm)의 적외선 신호 간섭으로 인해, 그 감지 정확성이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어부(240), 특히, 메인 제어부(241)는, 비전모듈(210)에서 연산된 접근 거리 정보를 기초로, 제1 적외선 신호의 출력을 차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어부(240), 특히, 메인 제어부(241)는, 기설정된 접근 거리 미만에서, 재실자가 소지한 원격 제어 장치(30)로부터 송출되는 제3 적외선 신호를 감지한 경우, 상단 근접 센서(18)의 출력 차단 신호(Opb)를 디스플레이 모듈 제어부(245)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40), 특히, 디스플레이 모듈 제어부(245)는, 출력 차단 신호(Opb)를 기초로, 상단 근접 센서(18)의 제1 적외선 신호 출력을 차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1)는, 기설정된 접근 거리 미만에서, 원격 제어 장치(30)로부터 원격 제어 신호를 수신 받은 경우, 상단 근접 센서(18)의 출력을 차단하여, 적외선 신호의 간섭으로 인한 상단 근접 센서(18)의 오작동을 방지하고, 원격 제어 신호의 수신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1)는, 적외선 신호의 간섭 제거를 통해, 근접 센서 및 IR 센서를 인접하게 배치할 수 있으므로, 센서 설계에 있어 자유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제어부(240), 특히, 가습모듈 제어부(246)는, 가습모듈(3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가습모듈(300)은, 물통에 투입되는 물을 미세한 입자로 변환하여, 가습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할 수 있다
가습모듈(300) 내부에는, 상단 근접 센서(18) 보다 하측에 배치되는 하단 근접 센서(17)가 배치될 수 있다.
하단 근접 센서(17)는, 상단 근접 센서(18)와 같이, 제4 적외선 신호를 출력하는 광출력부(미도시)와 제4 적외선 신호 중 재실자로부터 반사되는 제5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는 광수신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제어부(240), 특히, 가습모듈 제어부(245)는, 광수신부(미도시)에 결상된 제5 적외선 신호의 결상 위치를 기초로, 소정 거리 내로 접근하는 재실자를 감지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제어부(240), 특히, 가습모듈 제어부(245)는, 광수신부(미도시)에 결상된 제5 적외선 신호의 레벨 및 위상을 기초로, 소정 거리 내로 접근하는 재실자를 감지할 수도 있다.
제어부(240), 특히, 가습모듈 제어부(245)는, 하단 근접 센서(17)가 감지한 제2 재실자 접근 정보(PS2)를 메인 제어부(241)에 전송할 수 있다. 제3 재실자 접근 정보(Ps2)에는, 소정 거리 내로 접근하는 재실자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1)는, 본체(10)의 전면부 외관을 형성하고,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여 개폐되는 슬라이딩 도어(11), 상기 슬라이딩 도어(11)가 좌우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딩 도어(11)에 동력을 제공하는 슬라이딩 도어 모터(850), 상기 슬라이딩 도어(11)에 배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여 개폐되는 서큘레이터 도어(13) 및 상기 서큘레이터 도어(13)에 동력을 제공하는 서큘레이터 도어 모터(8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1)는, 서큘레이터 도어(13)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 수단(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슬라이딩 도어(11) 내측 일면에는 서큘레이터 도어(13)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 수단(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서큘레이터 도어 모터(830)로는 스텝 모터가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서큘레이터 도어 모터(830)는 서큘레이터 도어 스텝 모터(830)로 명명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 도어(11) 내측 일면에는, 서큘레이터 도어 모터(830), 상기 서큘레이터 도어 모터(83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서큘레이터 도어(13)를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기어 부재, 레일 부재, 스토퍼(stopper) 부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서큘레이터 모듈(15)은, 제어부(240), 특히 메인 제어부(241)의 제어에 의해 동작할 수 있다. 메인 제어부(241)는, 상단 근접 센서(18) 및/또는 비전모듈(210)에서 감지되는 재실자 접근 거리에 따라 서큘레이터 모듈(15)을 스마트(smart)하게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실자가 원거리에서 감지되는 경우, 서큘레이터 모듈(15)이 상측을 향하도록 회전한 후에, 서큘레이터 팬이 구동되도록 제어함으로써, 냉방, 공기 청정시, 공기조화기(1)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더 멀리 보낼 수 있다.
제어부(240), 특히, 디스플레이 모듈 제어부(245)는, 제품 온(on) 명령에 기초하여, 서큘레이터 도어(13)가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열리도록 제어하고, 제품 오프(off) 명령에 기초하여, 서큘레이터 도어(13)가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닫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40), 특히, 메인 제어부(241)는, 상단 근접 센서(18)와 하단 근접 센서(17)에서 모두 재실자가 감지되는 경우, 슬랑이딩 도어(11)를 여는 슬라이딩 도어 온(on) 입력으로 인식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상단 근접 센서(18)와 하단 근접 센서(17)에서 동시에 재실자가 감지되거나, 상단 근접 센서(18)에서 재실자 감지 후, 일정 시간 이내에 하단 근접 센서(17)에서 재실자가 감지되는 경우, 슬라이딩 온(on) 입력으로 인식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1)는, 상기 슬라이딩 도어(11)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수단(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캐비닛(12)에는 슬라이딩 도어 모터(850), 상기 슬라이딩 도어 모터(850)의 회전에 따라 슬라이딩 도어(11)를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기어 부재, 레일 부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40), 특히, 메인 제어부(241)는, 슬라이딩 도어 모터(850)를 회전시켜, 슬라이딩 도어(11)를 열거나 닫을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에 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1)는, 본체(10)의 전면부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 패널(11), 전면 패널에 설치되어 재실자(910)를 감지하고, 재실자(910)의 접근 거리를 연산하는 비전모듈(210), 소정 거리 내로 접근하는 재실자(910)를 감지하는 상단 근접 센서(18), 재실자(910)가 소지한 원격 제어 장치(30)로부터 송출되는 원격 제어 신호를 감지하는 IR 센서(19)를 포함할 수 있다.
비전모듈(210)은, 전면 패널(11) 상측에 배치되어, 실내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81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40), 특히, 비전 모듈 제어부(242)는, 카메라(810)에 의해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기초로, 재실자(910)의 존재를 감지하고, 재실자(910)의 접근 거리를 연산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0에서, 카메라(810)는,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실내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제어부(240), 특히, 비전 모듈 제어부(242)는, 실내 영상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비전 모듈 제어부(242)는, 실내 영상 데이터의 특징점을 추출할 수 있다.
제어부(240), 특히, 비전 모듈 제어부(242)는,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영상 데이터를 기초로, 재실자 존재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이때, 비전 모듈 제어부(242)는, 재실자 존재 여부 감지를 위해, 기준 영상 데이터와 입력된 영상 데이터를 비교하거나,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시간순으로 비교하여, 누적되는 영상데이터로부터 변화되는 영상 데이터의 특징점을 추출함으로써 재실자를 감지할 수 있다.
이때, 특징점은, 재실자(910)의 얼굴 영역 및 머리와 어깨를 잇는 윤곽선 모양의 오메가(Ω) 형상(1010)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40), 특히, 비전 모듈 제어부(242)는, 입력된 영상 데이터에서, 오메가 형상(1010)을 추출할 수 없는 경우, 재실자(910) 부존재로 연산할 수 있다. 반대로, 제어부(240), 특히, 비전 모듈 제어부(242)는, 입력된 영상 데이터에서, 오메가 형상(1010)을 추출할 수 있는 경우, 재실자(910) 존재로 연산할 수 있다.
제어부(240), 특히, 비전 모듈 제어부(242)는, 재실자(910)가 존재하는 경우, 재실자(910)의 접근 거리를 연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1에서, 제어부(240), 특히, 비전 모듈 제어부(242)는, 오메가 형상의 기준 크기(1110)를 설정할 수 있다. 기준 크기(1110)는, 재실자(910)가 기설정된 접근 거리에 접근한 때, 영상 데이터에서 추출된 오메가 형상의 크기일 수 있다.
제어부(240), 특히, 비전 모듈 제어부(242)는, 입력된 영상 데이터에서 추출된 오메가 형상의 크기(1130)가 기설정된 오메가 형상의 기준 크기(1110) 보다 큰 경우, 재실자(910)의 접근 거리가 기설정된 접근 거리 미만이라고 연산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40), 특히, 비전 모듈 제어부(242)는, 입력된 영상 데이터에서, 재실자의 헤드 중심점을 추적하기 위해, 영상 데이터의 밀도분포(예를 들어, 특징점, 색상 등)를 기초로, 관심 영역 객체를 추적하는, Mean shift 알고리즘 또는, Mean shift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관심 영역 크기를 자동으로 트래킹하는 CAM shift(Continuously Adaptive Mean)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다.
근접 센서(17, 18)는, 소정 거리 내로 접근하는 재실자를 감지할 수 있다. 근접 센서(17, 18)는, 디스플레이 모듈(292) 내부에 배치되는 상단 근접 센서(18)와 상단 근접 센서 보다 상대적으로 하측에 배치되는 하단 근접 센서(17)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1)는, 실내에 수분을 공급하는 가습모듈(300)을 더 포함할 수 있고, 하단 근접 센서(17)는, 가습모듈(30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2에서, 상단 근접 센서(18)는, 제1 적외선 신호(931)를 실내로 출력하는 광출력부(18a)와, 제1 적외선 신호(931) 중, 재실자(910)로부터 반사되는 제2 적외선 신호(932)를 수신하는 광수신부(18b)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단 근접 센서(18)는, 광출력부(18a)에서 방출된 제1 적외선 신호(931)가 직진되도록 집속시키는 투광 렌즈(18c) 및 제2 적외선 신호(932)를 집속시키는 수광 렌즈(18d)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광출력부(18a)는, 제1 적외선 신호(931)를 방출하는, 발광소자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소자는,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IR-LED)일 수 있다.
광수신부(18b)는, 제2 적외선 신호(932)를 수신하는, 수광소자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광소자는, 제2 적외선 신호(932)가 결상되는 위치검출소자(Position Sensitive Detector: PSD)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240), 특히, 디스플레이 모듈 제어부(245)는, 광수신부(18b)에 결상된 제2 적외선 신호(932)의 결상 위치를 기초로, 소정 거리 내로 접근하는 재실자(910)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실자(910)가 A 위치에 있는 경우, 제2 적외선 신호(932)는, C 위치에 결상될 수 있다. 또한, 재실자(910)가 B 위치에 있는 경우, 제2 적외선 신호(932)는, C 위치 보다 우측인 D 위치에 결상될 수 있다.
광수신부(18b)는, 결상 위치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를 제어부(240)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 신호는, 결상 위치에 대응하는 전류 또는 전압일 수 있다.
제어부(240), 특히, 디스플레이 모듈 제어부(245)는, 전기 신호를 기초로, 소정 거리 내로 접근하는 재실자(910)를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40), 특히, 디스플레이 모듈 제어부(245)는, 입력된 전류 또는 전압 레벨이 기설정된 전류 또는 전압 레벨 보다 큰 경우, 재실자(910)가, 기설정된 접근 거리 미만에 접근하였다고 연산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240), 특히, 디스플레이 모듈 제어부(245)는, 광수신부(18b)에 결상된 제2 적외선 신호(932)의 레벨 및 위상을 기초로, 소정 거리 내로 접근하는 재실자를 감지할 수도 있다.
한편, 도 12에서는, 상단 근접 센서(18)만을 예시하나, 하단 근접 센서(19)도 동일한 구성을 구비할 수 있다. 즉, 하단 근접 센서(19)도, 제4 적외선 신호(971)를 실내로 출력하는 광출력부와, 제4 적외선 신호(971) 중, 재실자(910)로부터 반사되는 제5 적외선 신호(972)를 수신하는 광수신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광수신부는, 결상 위치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를 제어부(240)에 전송할 수 있고, 제어부(240), 특히, 디스플레이 모듈 제어부(245)는, 전기 신호를 기초로, 소정 거리 내로 접근하는 재실자(910)를 감지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하단 근접 센서(19)는, 상단 근접 센서(18)와 상이한 파장의 적외선 신호를 방출할 수도 있다.
원격 제어 장치(30)는, 제3 적외선 신호(950)를 송출할 수 있다. 제3 적외선 신호(950)에는, 공기조화기(1)의 운전 모드에 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전 모드는, 냉방 모드, 제습 모드, 가습 모드, 공기 청정 모드일 수 있다. 또한, 운전 모드는, 풍량 조절 모드, 풍향 조절 모드, 온도 조절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원격 제어 장치(30)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버튼, 스위치, 터치패드와 같은 입력 수단을 포함하며, 사용자의 운전 설정 명령, 동작 명령 등을 입력 받을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3에서, 제3 적외선 신호(950)는, 리드 코드(Lead code), 커스텀 코드(Custom code), 데이터 코드(Data code 1, Data code 2), 체크섬 코드(check sum code)로 구성될 수 있다.
제3 적외선 신호(950)의 각 코드는, 로우 상태와 하이 상태가 조합된 펄스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펄스 형태에 따라, '0' 또는, '1' 비트의 조합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40)는, 각 코드의 펄스 형태 중, 1 내지 1.2 ms 펄스 길이를 갖는 구간을 '0' 비트, 2 내지 2.4ms 펄스 길이를 갖는 구간을 '1' 비트라고 연산할 수 있다.
한편, 리드 코드(Lead code)는, 원격 제어 장치(30)에서 출력된 제어 신호의 시작을 알리는 코드일 수 있다. 커스텀 코드(Custom code)는, 공기조화기(1)를 구별하는 주소일 수 있다. 데이터 코드(Data code)는, 제어 신호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체크섬 코드(check sum code)는, 데이터 코드의 오류 검출을 위한 코드일 수 있다.
한편, 공기조화기(1)는, 제3 적외선 신호(950)를 수신 받을 수 있다. 제어부(240)는, 제3 적외선 신호(950)를 디코딩하고,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운전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40), 특히, 메인 제어부(241)는, 리드 코드(Lead code)를 수신 받은 경우, 활성화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40), 특히, 메인 제어부(241)는, 커스텀 코드(Custom code)를 디코딩하고, 메모리(256) 저장된 고유 코드와의 매칭 여부를 연산할 수 있다.
메인 제어부(241)는, 커스텀 코드(Custom code)가 고유 코드와 매칭되지 않는 경우, 데이터 코드(Data code)를 디코딩하지 않고 종료할 수 있다. 메인 제어부(241)는, 커스텀 코드(Custom code)가 고유 코드와 매칭되는 경우, 데이터 코드(Data code)를 디코딩할 수 잇다.
제어부(240), 특히, 메인 제어부(241)는, 데이터 코드(Data code)를 디코딩하고,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운전 모드를 수행하도록 공기조화기(1)의 각 구성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에서, 제3 적외선 신호(950)에는 제1 데이터 코드(Data code 1) 및 제2 데이터 코드(Data code 2)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제1 데이터 코드(Data code 1)는, 공기조화기(1)의 운전/냉방 제어 신호일 수 있다. 또한, 제2 데이터 코드(Data code 2)는, 공기조화기(1)의 18도/강풍 제어 신호일 수 있다.
메인 제어부(241)는, 제1 데이터 코드(Data code 1) 및 제2 데이터 코드(Data code 2)를 디코딩하여, 공기조화기(1)을 파워 온(on) 시키고, 18도 강풍으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40), 특히, 메인 제어부(241)는, 체크섬 코드(Check sum code)를 통해, 데이터 코드(Data code)의 오류 검출을 할 수 있다.
한편, 도 9에서, 상단 근접 센서(18) 및 IR 센서(19)는, 디스플레이 모듈(292) 내부에 인접하여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단 근접 센서(18)는, 제1 적외선 신호(931)를 출력하고, 제1 적외선 신호 중 재실자로부터 반사되는 제2 적외선 신호(932)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원격 제어 장치(30)는, 제3 적외선 신호(950)를 송출할 수 있다.
메인 제어부(241)는, 기설정된 접근 거리(R) 미만에서, 재실자가 소지한 원격 제어 장치(30)로부터 송출되는 제3 적외선 신호(950)를 감지한 경우, 상단 근접 센서(18)의 출력 차단 신호를 디스플레이 모듈 제어부(245)에 전송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메인 제어부(241)는, 제3 적외선 신호(950) 중, 리드 코드를 디코딩 한 후, 출력 차단 신호를 디스플레이 모듈 제어부(245)에 전송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 제어부(245)는, 출력 차단 신호를 기초로, 상단 근접 센서(18)의 제1 적외선 신호(931)의 출력을 차단할 수 있다.
한편, 기설정된 접근 거리(R)는, 상단 근접 센서(18)의 감지 거리(소정 거리)와 같거나 작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인접하는 상단 근접 센서(18)와 IR 센서(19) 사이의 적외선 신호 간섭을 제거하여 IR 센서(19)의 정확성을 향상시키고, 근접 센서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동작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어부(240), 특히, 비전 모듈 제어부(242)는, 카메라(810)에 의해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기초로, 재실자의 존재를 감지하고 재실자의 접근 거리를 연산할 수 있다(S1410).
구체적으로, 비전 모듈 제어부(242)는, 카메라(810)에 의해 촬영된 영상 데이터로부터 재실자의 얼굴영역 및 머리와 어깨를 잇는 윤곽선 모양의 오메가 형상을 추출하여, 재실자의 존재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오메가 형상의 크기를 기초로 재실자의 접근 거리를 연산할 수 있다.
비전 모듈 제어부(242)는, 재실자 존재 정보 및 접근 거리 정보를 포함하는 재실자 정보(Vs)를 메인 제어부(241)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단 근접 센서(18)는, 제1 적외선 신호를 실내로 출력하고, 제1 적외선 신호 중 재실자로부터 반사되는 제2 적외선 신호를 기초로, 소정 거리 내로 접근하는 재실자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IR 센서(19)는, 재실자가 소지한 원격 제어 장치(30)로부터 송출되는 제3 적외선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상단 근접 센서(18) 및 IR 센서(19)는, 디스플레이 모듈(292) 내부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단 근접 센서(18) 및 IR 센서(19)는, 동일 파장(약, 940nm)의 적외선 신호를 사용할 수 있고, 따라서 제2 적외선 신호 및 제3 적외선 신호의 간섭이 발생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40), 특히, 메인 제어부(241)는, 제3 적외선 신호를 수신 받은 시점에서, 재실자의 접근 거리를 연산할 수 있다(S1420).
제어부(240), 특히, 메인 제어부(241)는, 기설정된 접근 거리 이상에서 제3 적외선 신호를 수신 받은 경우, 제3 적외선 신호 중 데이터 코드(Data code)를 디코딩할 수 있다(S1480).
또한, 제어부(240), 특히, 메인 제어부(241)는, 데이터 코드(Data code)를 디코딩하고,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운전 모드를 수행하도록 공기조화기(1)의 각 구성을 제어할 수 있다(S1490).
예를 들어, 운전 모드는, 냉방 모드, 제습 모드, 가습 모드, 공기 청정 모드일 수 있다. 또한, 운전 모드는, 풍량 조절 모드, 풍향 조절 모드, 온도 조절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40), 특히, 메인 제어부(241)는, 기설정된 접근 거리 미만에서 제3 적외선 신호를 수신 받은 경우, 제3 적외선 신호 중 리드 코드(Lead code)에 의해 활성화되고, 상기 리드 코드(Lead code)를 디코딩할 수 있다(S1430).
예를 들어, 기설정된 접근 거리는, 1m일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기설정된 접근 거리는, 이에 한정 되지 않고, 근접 센서(17, 18)의 최대 감지 거리를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기설정된 접근 거리(R)는, 근접 센서(17, 18)의 최대 감지 거리(소정 거리)와 같거나 작을 수 있다.
제어부(240), 특히, 메인 제어부(241)는, 기설정된 접근 거리 미만에서, 재실자가 소지한 원격 제어 장치(30)로부터 제3 적외선 신호를 수신 받은 경우, 리드 코드(Lead code)를 디코딩하고, 상단 근접 센서(18)의 출력 차단 신호를 디스플레이 모듈 제어부(245)에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240), 특히, 디스플레이 모듈 제어부(245)는, 출력 차단 신호를 기초로, 제1 적외선 신호의 출력을 차단할 수 있다(S1440).
이에 따라,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1)는,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서, 제1 적외선 신호의 출력을 차단함으로써, 제2 적외선 신호와, 제3 적외선 신호의 신호 간섭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신호 간섭을 제거하여, IR 센서(19)의 수신 정확성을 향상시키고, 상단 근접 센서(18)의 오작동을 방지하여 사용자 신뢰성을 제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1)는, 신호 간섭을 제거하기 위한 방법으로써, 그 구현이 용이하고, 제1 적외선 신호의 출력을 차단함으로써, 소비 전력을 저감 시킬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1)는, 상단 근접 센서(18) 보다 하측에 배치되며, 제4 적외선 신호를 출력하고, 제4 적외선 신호 중, 재실자로부터 반사되는 제5 적외선 신호를 기초로 소정 거리 내로 접근하는 재실자를 감지하는 하단 근접 센서(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240)는,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서 제1 적외선 신호의 출력을 차단함으로써, 제2 적외선 신호와, 제5 적외선 신호의 신호 간섭도 제거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40), 특히, 메인 제어부(241)는, 제1 적외선 신호의 출력을 차단한 상태에서, 데이터 코드(Data code)를 디코딩할 수 있다(S1450).
또한, 제어부(240), 특히, 메인 제어부(241)는, 디코딩된 데이터 코드(Data code)를 기초로,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운전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S1460).
예를 들어, 데이터 코드(Data code)는, 제1 데이터 코드(Data code 1) 및 제2 데이터 코드(Data code 2)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제1 데이터 코드(Data code 1)는, 공기조화기(1)의 운전/냉방 제어 신호이고, 제2 데이터 코드(Data code 2)는, 공기조화기(1)의 18도/강풍 제어 신호일 수 있다. 메인 제어부(241)는, 제1 데이터 코드(Data code 1) 및 제2 데이터 코드(Data code 2)를 디코딩하여, 공기조화기(1)을 파워 온(on) 시키고, 18도 강풍으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40), 특히, 메인 제어부(241)는,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운전 모드 수행 후, 출력 재개 신호를 디스플레이 모듈 제어부(245)에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240), 특히, 디스플레이 모듈 제어부(245)는, 출력 재개 신호를 기초로, 제1 적외선 신호의 출력 재개할 수 있다(S1470).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마찬가지로,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7: 하단 근접 센서
18: 상단 근접 센서
19: IR 센서
210: 비전모듈
215: 센서부
240: 제어부
241: 메인 제어부
242: 비전모듈 제어부
245: 디스플레이 모듈 제어부
246: 가습모듈 제어부
292: 디스플레이 모듈

Claims (11)

  1. 본체의 전면부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 패널;
    상기 전면 패널에 설치되어, 재실자를 감지하고, 상기 재실자의 접근 거리를 연산하는 비전모듈;
    제1 적외선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1 적외선 신호 중 상기 재실자로부터 반사되는 제2 적외선 신호를 기초로, 소정 거리 내로 접근하는 상기 재실자를 감지하는 상단 근접 센서와, 상기 재실자가 소지한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송출되는 제3 적외선 신호를 감지하는 IR 센서를 구비하는 센서부; 및
    상기 비전모듈에서 연산된 접근 거리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적외선 신호의 출력을 차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전모듈에서 연산된 상기 접근 거리가, 기설정된 접근 거리 미만인 상태에서, 상기 제3 적외선 신호를 감지한 경우, 상기 제1 적외선 신호의 출력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적외선 신호는,
    상기 원격 제어 장치에서 출력된 제어 신호의 시작을 알리는 리드 코드, 상기 공기조화기를 구별하는 주소인 커스텀 코드, 상기 제어 신호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데이터 코드, 상기 데이터 코드의 오류 검출을 위한 체크섬 코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리드 코드의 디코딩 후, 상기 제1 적외선 신호의 출력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적외선 신호의 출력을 차단한 상태에서, 상기 데이터 코드를 디코딩하고, 상기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운전 모드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운전 모드 수행 후, 상기 제3 적외선 신호의 출력을 재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패널은,
    동작 상태 및 운전 설정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상단 근접 센서 및 상기 IR 센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내부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상단 근접 센서 보다 하측에 배치되며, 제4 적외선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4 적외선 신호 중 상기 재실자로부터 반사되는 제5 적외선 신호를 기초로, 상기 소정 거리 내로 접근하는 상기 재실자를 감지하는 하단 근접 센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8. 제7항에 있어서,
    실내에 수분을 공급하는 가습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단 근접 센서는,
    상기 가습모듈 내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전모듈은,
    상기 전면 패널 상측에 배치되어, 실내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 데이터로부터 상기 재실자의 얼굴 영역 및 머리와 어깨를 잇는 윤곽선 모양의 오메가 형상을 추출하여, 상기 재실자의 존재를 감지하고, 상기 오메가 형상의 크기를 기초로, 상기 재실자의 상기 접근 거리를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메가 형상의 크기가 기설정된 오메가 형상의 크기 보다 큰 경우, 상기 재실자의 상기 접근 거리가 기설정된 접근 거리 미만이라고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근접 센서는,
    상기 제1 적외선 신호를 실내로 출력하는 광출력부와, 상기 제2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는 광수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수신부에 결상된 상기 제2 적외선 신호의 결상 위치를 기초로, 소정 거리 내로 접근하는 상기 재실자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KR1020180026960A 2018-03-07 2018-03-07 공기조화기 KR1021275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6960A KR102127511B1 (ko) 2018-03-07 2018-03-07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6960A KR102127511B1 (ko) 2018-03-07 2018-03-07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6043A true KR20190106043A (ko) 2019-09-18
KR102127511B1 KR102127511B1 (ko) 2020-06-26

Family

ID=68071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6960A KR102127511B1 (ko) 2018-03-07 2018-03-07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75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4606B1 (ko) * 2023-03-31 2023-07-13 주식회사 에어콕 측정된 실내공기질을 기반으로 다수의 공기 관리 장치를 연동하여 자동 관리할 수 있는 스마트 실내공기질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47785A (ja) * 1992-04-15 1993-12-27 Smk Corp リモコンのデータ処理方法
KR20040097083A (ko) * 2004-10-25 2004-11-17 홍종운 밝기, 전류소모 및 리모콘 적외선 신호 인식 방식을겸비한 전력 공급 스케줄에 의한 제어방식을 가지는 전력절감장치
KR20090085368A (ko) * 2008-02-04 2009-08-0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20081900A (ko) * 2011-01-12 2012-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KR20130104605A (ko) * 2012-03-14 2013-09-2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47785A (ja) * 1992-04-15 1993-12-27 Smk Corp リモコンのデータ処理方法
KR20040097083A (ko) * 2004-10-25 2004-11-17 홍종운 밝기, 전류소모 및 리모콘 적외선 신호 인식 방식을겸비한 전력 공급 스케줄에 의한 제어방식을 가지는 전력절감장치
KR20090085368A (ko) * 2008-02-04 2009-08-0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20081900A (ko) * 2011-01-12 2012-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KR20130104605A (ko) * 2012-03-14 2013-09-2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4606B1 (ko) * 2023-03-31 2023-07-13 주식회사 에어콕 측정된 실내공기질을 기반으로 다수의 공기 관리 장치를 연동하여 자동 관리할 수 있는 스마트 실내공기질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7511B1 (ko) 2020-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19972B2 (en) Cleaning robot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US11047589B2 (en) Air blower and air blowing system
KR102612613B1 (ko) 공기 청정기
CN102538135A (zh) 空调机
JP6348763B2 (ja) 空気調和機
JPWO2015181950A1 (ja) 空気清浄機
US11846441B2 (en) Air conditioner
KR20210004677A (ko) 이동 로봇 및 그 제어방법
TWI428508B (zh) 風扇控制系統、方法及具有該系統的風扇
KR102127511B1 (ko) 공기조화기
KR102108357B1 (ko) 공기조화기
KR102087975B1 (ko) 공기조화기
KR102399914B1 (ko) 인공지능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171100B1 (ko) 공기조화기
KR102469013B1 (ko) 공기조화기
KR102335055B1 (ko) 공기조화기
KR20090087365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163624B1 (ko) 공기조화기
KR102146865B1 (ko) 공기조화기
KR102284508B1 (ko) 공기조화기
KR102094221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JP6692134B2 (ja) 空気調和機
KR20190026384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