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6035A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6035A
KR20190106035A KR1020180026941A KR20180026941A KR20190106035A KR 20190106035 A KR20190106035 A KR 20190106035A KR 1020180026941 A KR1020180026941 A KR 1020180026941A KR 20180026941 A KR20180026941 A KR 20180026941A KR 20190106035 A KR20190106035 A KR 201901060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lator
user
module
air conditioner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69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7975B1 (ko
Inventor
이정원
김성학
강명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269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7975B1/ko
Publication of KR201901060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60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79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79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9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the supplied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2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users or occupants
    • F24F2120/10Occupancy
    • F24F2120/12Position of occupa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전면부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패널, 전면패널에 배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여 개폐되는 서큘레이터 도어, 전면패널에 배치되고, 사용자의 접근 여부를 감지하는 근접센서, 및, 제품 오프(off) 명령이 수신되고, 근접센서에서 제1 기준 거리 이내에 사용자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서큘레이터 도어가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닫히도록 제어하는 제1 제어부를 포함함으로써,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류를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는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실내로 냉온의 공기를 토출하여, 실내 온도를 조절하고, 실내 공기를 정화하도록 함으로서 인간에게 더욱 쾌적한 실내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열교환기로 구성되어 실내에 설치되는 실내기와, 압축기 및 열교환기 등으로 구성되어 실내기로 냉매를 공급하는 실외기를 포함한다.
공기조화기는 열교환기로 구성된 실내기와, 압축기 및 열교환기 등으로 구성된 실외기로 분리되어 제어되며, 압축기 또는 열교환기로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함으로써 동작된다. 또한, 공기조화기는 실외기에 적어도 하나의 실내기가 연결될 수 있으며, 요청되는 운전 상태에 따라, 실내기로 냉매를 공급하여, 냉방 또는 난방모드로 운전된다.
이러한 공기조화기는, 통상적으로 실내로 토출되는 풍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토출구에 풍향조절수단이 구비되는 데, 리모컨 등에 구비된 풍향 설정 버튼을 조작함에 따라 풍향을 변경할 수 있다.
기존의 수직 베인, 수평 베인 등 풍향조절수단을 이용하면, 1차원적으로 움직이는 베인으로 인하여, 기류도 자유롭게 제어하기 어렵다. 따라서, 더 효율적으로 기류를 제어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또한, 공기조화기가 도어(door) 등 하나 이상의 개폐 구조물을 포함하는 경우에,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개폐 구조물에 끼이는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공기조화기가 효율적으로 동작하면서도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류를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음성 인식 기능, 가습 기능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미동작시 내부에 모듈들을 청결하고 안전하게 수납, 관리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전면부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패널, 전면패널에 배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여 개폐되는 서큘레이터 도어, 전면패널에 배치되고, 사용자의 접근 여부를 감지하는 근접센서, 및, 제품 오프(off) 명령이 수신되고, 근접센서에서 제1 기준 거리 이내에 사용자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서큘레이터 도어가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닫히도록 제어하는 제1 제어부를 포함함으로써,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제품 오프 명령에 기초하여, 후진 이동하고, 제품 온(on) 명령에 기초하여 전진 이동하는 서큘레이터 모듈을 포함함으로써, 서큘레이터 모듈을 청결하고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고 다양한 기류 제어가 가능하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감지되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에 따라 동작함으로써,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기류를 다양하고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음성 인식 기능, 가습 기능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미동작시 내부에 모듈들을 청결하고 안전하게 수납,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감지되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에 따라 동작함으로써,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다.
한편, 그 외의 다양한 효과는 후술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외관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공기조화기의 서큘레이터 도어가 오픈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공기조화기의 전면패널이 오픈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공기조화기의 가습용 물통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주요 구성들 간의 제어관계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내부 구성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주요 구성들 간의 제어관계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주요 구성들 간의 제어관계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이 예시된 순서도이다.
도 10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에 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이 예시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면에서는 본 발명을 명확하고 간략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참조부호를 사용한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외관을 예시한 도면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1의 공기조화기의 서큘레이터(Circulator) 도어가 오픈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공기조화기의 전면패널이 오픈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공기조화기는, 열교환기로 구성되어 실내에 설치되는 실내기와, 압축기 및 열교환기 등으로 구성되어 실내기로 냉매를 공급하는 실외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실내기의 본체(10)가, 실내에 구비되고, 냉매배관(미도시)을 통해 실외기(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는, 전면부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패널(11), 및, 전면패널(11)에 배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여 개폐되는 서큘레이터 도어(13)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는 베이스(16), 캐비닛(12), 전면패널(11)을 포함할 수 있다. 전면패널(11)은 본체(10)의 전면부 외관을 형성하고, 캐비닛(12)은 베이스(16)의 상측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전면패널(11)에는 서큘레이터 도어(13)가 설치될 수 있다.
실내기는, 공기 흡입구(미도시)와 공기 토출구(미도시)를 포함하고, 공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내부에서 공조한 후 공기 토출구를 통해 토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10)의 후면에 흡입구(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고, 본체(10)의 전면 상부에 토출구(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흡입구 및 토출구는 본체(10)의 다른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10) 하부의 측면 등에 토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토출구가 본체(10)의 전면 상부, 및 본체(10) 하부의 측면 등에 다수 형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흡입구는 본체(10)의 후면, 하부의 전면, 측면 중 하나 이상의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흡입구에는 흡입된 공기에 포함된 먼지 등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부(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체(10)에는 필터부를 청소하는 청소모듈(400)이 배치될 수 있다.
토출구는 서큘레이터 도어(13)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토출구의 내측, 즉 닫힌 상태의 서큘레이터 도어(13)의 후방에는 서큘레이터 모듈(15)이 구비될 수 있다. 서큘레이터 모듈(15)은 흡입구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고 토출구를 통해 공기가 토출되도록 송풍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서큘레이터 모듈(15)은,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가, 동작시 서큘레이터 도어(13)의 열림에 따라 노출되는 토출구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또한, 서큘레이터 도어(13)가 열려 개방되는 토출구로 서큘레이터 모듈(15)이 전진 이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큘레이터 모듈(15)의 적어도 일부가, 서큘레이터 도어(13)가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개방되는 원형의 토출구를 통과하도록 전진 이동한 후에, 서큘레이터 모듈(15)의 서큘레이터 팬이 회전하며 동작할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본 명세서에서, 토출구는 공기 또는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유닛인 서큘레이터 모듈(15)의 적어도 일부가 통과하는 개구부를 의미할 수 있다.
서큘레이터 도어(13)는 토출구를 개폐할 수 있다. 서큘레이터 도어(13)는 메인(main) 토출구를 개폐하며, 열교환된 공기, 정화된 공기 등 공기조화기에서 처리된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서큘레이터 도어(13)는 본체 동작 시 열려 서큘레이터 모듈(15)이 외부로 노출되어 토출구로 공기가 토출되도록 하고, 동작이 종료되면 닫혀 토출구를 폐쇄한다. 전면패널(11)의 내측 또는 후면에는 토출구 개방 시, 서큘레이터 도어(13)가 수용되는 공간이 구비될 수 있다.
전면패널(11)의 내측 일면에는 서큘레이터 도어(13)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수단(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면패널(11)의 내측 일면에는 서큘레이터 도어 모터, 상기 서큘레이터 도어 모터의 회전에 따라 상기 서큘레이터 도어(13)를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기어 부재, 레일 부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서큘레이터 도어 모터로 가격이 저렴하고, 제어가 용이한 스텝(step) 모터가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서큘레이터 도어 모터는 서큘레이터 도어 스텝(step) 모터로 명명될 수 있다.
서큘레이터 도어(13)는 본체(10)의 내측에서, 상측 방향 또는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열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서큘레이터 도어(13)는 본체(10)의 전면패널(11)의 상측에 배치되므로, 서큘레이터 도어(13)는,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열리도록 구성되는 것이 공간 이용 측면에서 더 바람직하다.
또는, 서큘레이터 도어(13)는 본체(10)의 내측으로 후진 이동 후, 상측 방향 또는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열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서큘레이터 도어(13)는, 본체(10)의 내측으로 후진 이동 후,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열리도록 구성되는 것이 공간 이용 측면에서 더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서큘레이터 도어(13)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여 열리고 닫히는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나, 서큘레이터 도어(13)가 내측 방향으로 후진 후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열릴 수 있고, 서큘레이터 도어(13)가 상측 방향으로 이동한 후 전면 방향으로 전진하여 닫힐 수 있다.
서큘레이터 도어(13)가 열리면, 서큘레이터 모듈(15)은 전면패널(11)을 향하는 전방 방향으로 전진 이동하여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또한, 동작이 종료되면, 서큘레이터 모듈(15)은 본체(10)의 내측으로 후진 이동하고, 서큘레이터 도어(13)의 이동으로 토출구를 폐쇄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본체(10)의 내부에 송풍력을 보조하기 위한 송풍팬(미도시)이 더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공기조화기는, 본체(10)의 내부에 서큘레이터 모듈(15) 외에도 다수의 송풍팬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큘레이터 모듈(15)의 아래쪽에는 복수의 송풍팬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캐비넷(12)의 측면에는 보조 토출구(미도시)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보조 토출구에는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풍향조절수단이 배치될 수 있다.
기존의 공기조화기는 최대 풍량 설정시에도 원거리까지 공기를 토출하는 데에 한계가 있었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상단에 서큘레이터 모듈(15)을 구비함으로써, 원거리로 바람을 보내기에 더욱 용이하다.
또한, 서큘레이터 모듈(15)이 공기 토출 경로상 최종 단계에 위치함으로써, 열교환된 공기 및 정화된 공기를 직접 원거리까지 토출할 수 있다.
기존의 공기조화기는, 수직 베인이나 수평 베인을 이용하여 기류 제어를 수행하는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공기조화기가 원하는 곳에 바람을 보내기 위해서는 1차원적으로 움직이는 베인을 이용해야 한다.
기존의 공기조화기는, 1차원적인 베인을 이용하면 기류도 1차원적으로만 제어할 수 있다. 즉, 좌우 혹은 상하 방향으로만 제어되기 때문에 좌측 하단이나 우측 상단 등 2차원적인 기류제어가 불가능하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서큘레이터 도어(13)가 개방된 후, 토출유닛인 서큘레이터 모듈(15)이 2차원적으로 회전하게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큘레이터 모듈(15)은, 2중 조인트, 기어랙 구조를 이용한 2축 회전구조로 구성되는 회전부를 포함함으로써, 다양한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곳에 서큘레이터 모듈(15)이 회전하여 기류제어가 가능하다.
즉, 기존에는 베인을 이용하여 공기가 베인에 직접 부딪치게 하여 기류제어를 했으나, 본 발명에서는 서큘레이터 모듈(15) 전체가 회전하게 되어 다양한 방식으로 기류 제어가 가능하다.
또한, 서큘레이터 모듈(15) 전체가 회전한 후에, 사용자가 원하는 곳에 바람을 보내 집중 냉방을 하게 됨으로써, 사용자의 쾌적감, 만족도를 더욱 상승시킬 수 있다.
전면패널(11)에는 디스플레이 모듈(292)이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292)은 동작상태 및 설정정보를 표시하고, 또한,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전면패널(11)에는 스위치, 버튼 또는 터치패드의 적어도 하나의 입력수단을 포함하는 조작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모듈의 어느 일측에는 근접센서(미도시)와 리모컨 수신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디스플레이 모듈(292)은 하나 이상의 조명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16)에는 근접센서(17)가 설치될 수 있다. 근접센서(17)는 본체(10)에 사용자가 접근하는 것을 감지하여, 사용자의 접근에 대응하는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근접센서(17)로부터 사용자의 접근에 대응하는 근접신호가 입력되면, 디스플레이 모듈(292)이 활성화되어 동작정보를 표시할 수 있고, 본체(10)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조명이 동작할 수 있다.
한편, 근접센서(17)는 전면패널(11)의 하부 소정 영역에 배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상기 근접센서(17) 외에 별도로 인체를 감지하는 근접센서(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대적으로 하측에 배치되는 근접센서(17)는 하단 근접센서로 명명되고, 상대적으로 상측에 배치되는 근접센서는 상단 근접센서로 명명될 수 있다.
한편, 전면패널(11)의 상부에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포함하는 비전모듈(210)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전면패널(11)에는 오디오 입력부(미도시), 오디오 출력부(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본체(10)는 내부에, 흡입된 공기를 냉매와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전면패널(11)은 좌측 또는 우측으로 슬라이딩되어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전면패널(11)은 슬라이딩 도어(sliding door)로도 명명될 수 있다.
전면패널(11)은 캐비닛(12)에 형성된 슬라이딩 수단에 의해 장착되어 좌우 이동할 수 있다. 전면패널(11)의 이동에 의해 본체의 내부패널(141)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캐비닛(12)에는 슬라이딩 도어 스텝(step) 모터, 상기 슬라이딩 도어 스텝 모터의 회전에 따라 전면패널(11)을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기어 부재, 레일 부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내부패널(141)에는 서큘레이터 모듈(15)이 수용되고, 서큘레이터 모듈(15)을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수단(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서큘레이터 모듈(15)은, 서큘레이터 팬(미도시), 적어도 서큘레이터 팬(미도시)이 향하는 방향이 변경되도록 회전시킬 수 있는 서큘레이터 회전부(미도시), 적어도 서큘레이터 팬(미도시)을 이동시킬 수 있는 서큘레이터 이동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내부패널(141)에는 하부에 가습모듈의 가습용 물통(329)이 설치될 수 있다. 물통(329)은 전면패널(11)이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열림에 따라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공기조화기의 가습용 물통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가습용 물통(329)은 전면패널(11)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가습용 물통(329)의 소정 영역에는 물을 채울 수 있는 투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투입구가 개방되어 있거나, 투입구의 적어도 일부를 개폐할 수 있는 커버(cover)가 배치될 수 있다.
물통(329)은 하부에 이동축이 형성되어, 캐비넷(12)에 연결될 수 있다. 물통(329)의 상부는 하부의 이동축을 기준으로, 전면으로 돌출되도록 이동되어 투입구가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물통(329)은 상부가 내부패널(141)과 소정각(θ)을 이루도록 전면으로 틸팅(tilting)될 수 있다.
또한, 물통(329)은 본체(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본체(10)의 내부에는 물통의 장착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물통(329)은 근접센서(17)에 의해 사용자의 접근이 감지되면, 근접신호에 따라 자동으로 이동하여 투입구가 개방될 수 있다.
물통(329)은 손잡이(미도시)가 전면을 향해 당겨짐에 따라 이동하여 투입구가 개방될 수 있다.
물통(329)은 내측으로 눌림에 의해 고정부(미도시)가 해제됨에 따라 전면으로 이동하여 투입구가 개방될 수 있다.
또한, 물통(329)은 전면패널(11)이 슬라이딩되어 열림에 따라, 자동으로 회전하여 투입구가 개방될 수 있다.
내부패널(141) 또는 물통(329)의 일부에는 물통의 수위를 표시하는 수위표시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물통(329)은 내부의 물의 양을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통(329)은 전면이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물통은 전면의 어느 일부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물통(329)은 전체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주요 구성들 간의 제어관계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각종 데이터를 센싱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215),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256), 다른 전자기기와 무선 통신하는 통신부(270), 청소모듈(400), 가습모듈(300),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240), 및, 상기 제어부(240)의 제어에 따라 본체(10) 내부에 구비되는 열교환기, 밸브, 풍향 조절 수단 등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동부(28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부(215)는, 실내외의 온도를 센싱하는 하나 이상의 온도 센서와 습도를 센싱하는 습도 센서, 공기질을 센싱하는 먼지 센서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온도 센서는 흡입구에 설치되어 실내온도를 측정하고,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열교환온도를 측정하며, 토출구의 어느 일측에 설치되어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고, 냉매배관에 설치되어 냉매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센서부(215)는, 하나 이상의 인체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부(215)는, 근접센서(17)를 포함할 수 있다.
근접센서(17)는 소정 거리 내로 접근하는 사람 또는 물체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근접센서(17)는 사용자의 존재 여부 및 상기 사용자와의 거리를 감지할 수 있다.
근접센서(17)는 본체(10)의 하부, 베이스(16)의 전면부 또는 전면패널(11)에 설치될 수 있고, 또한, 디스플레이 모듈(292)에 인접하여 설치될 수 있다.
근접센서(17)는 소정거리 내에 소정의 물체 또는 사람이 접근하는 경우 접근신호를 제어부(240)로 입력할 수 있다. 근접센서(17)는 본체(10)에 사용자가 접근하는 것을 감지하여, 사용자의 접근에 대응하는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센서부(215)는, 공기조화기에 포함되는 유닛들의 위치를 감지하는 하나 이상의 위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40)는, 센서부(215)에서 감지되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공기조화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메모리(256)는 공기조화기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정보들을 기록하는 것으로,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데이터, 동작모드에 대한 데이터, 센서부(215)로부터 감지되는 데이터, 통신부를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메모리(256)는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기록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기록 매체는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 processor)에 의해 읽힐 수 있는 데이터를 저장한 것으로,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메모리(256)에는 음성 인식을 위한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고, 제어부(240)는 오디오 입력부(220)를 통하여 수신되는 사용자의 음성 입력 신호를 처리하고 음성 인식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간단한 음성 인식은 공기조화기가 수행하고, 자연어 처리 등 고차원의 음성 인식은 음성 인식 서버 시스템에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설정된 호출어를 포함하는 웨이크 업(wake up) 음성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 공기조화기는 음성 명령어를 수신하기 위한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이 경우에, 공기조화기는 호출어 음성 입력 여부까지의 음성 인식 과정만 수행하고, 이후의 사용자 음성 입력에 대한 음성 인식은 음성 인식 서버 시스템을 통하여 수행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의 시스템 자원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복잡한 자연어 인식 및 처리는 음성 인식 서버 시스템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메모리(256)에는 사용자가 입력한 음성 명령의 음원 파일이 저장될 수 있고, 저장된 음원 파일은 통신부(270)을 통하여 음성 인식 서버 시스템으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된 음원 파일은 기설정된 시간 경과 또는 기설정된 동작 수행 후에 삭제될 수 있다.
통신부(270)는, 하나 이상의 통신 모듈을 구비하여, 다른 전자기기와, 소정 통신 방식에 따라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각종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여기서, 소정 통신 방식은, 와이파이(Wi-Fi) 통신 방식일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공기조화기가 구비하는 통신 모듈은 와이파이 통신 모듈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은 통신 방식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는, 공기조화기는 다른 종류의 통신 모듈을 구비하거나 복수의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조화기는 NFC 모듈, 지그비(zigbee) 통신 모듈,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와이파이(wi-fi) 통신 모듈 등을 통해 음성 인식 서버 시스템에 포함되는 서버 또는 외부의 소정 서버,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 등과 연결 가능하고, 원격 모니터링, 원격 제어 등 스마트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를 통하여 공기조화기에 관한 정보를 확인하거나 공기조화기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270)는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 장치와 통신하고, 액세스 포인트 장치를 통하여 무선 인터넷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다른 기기들과 통신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40)는 통신부(270)를 통해 공기조화기의 상태 정보, 사용자의 음성 명령 등을 음성 인식 서버 시스템 등으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통신부(270)를 통하여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240)는 수신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하도록 공기조화기를 제어할 수 있다.
구동부(280)는 실내팬들에 연결된 모터의 회전을 제어함으로써,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부(280)는, 서큘레이터 모듈(15)에 구비되는 서큘레이터 팬, 서큘레이터 팬 하단의 기타 송풍팬 등에 연결된 모터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구동부(280)는 열교환기가 공급되는 냉매를 증발 또는 응축시켜 주변의 공기를 열 교환하도록 그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구동부(280)는 제어부(240)의 제어명령에 대응하여, 본체(10) 내부에 구비되는 밸브, 풍향 조절 수단 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제어부(240)는 공기조화기 내 소정 유닛을 직접 제어할 수도 있다.
한편, 구동부(280)는, 모터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고, 모터를 구동하기 위해, 인버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구동부(280)는 서큘레이터 모듈(15)이 회전 동작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구동부(280)는 서큘레이터 모듈(15)이 이동할 수 있도록 서큘레이터 이동부(미도시)에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구동부(280)는 내부에 설치되는 밸브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구동부(280)는 전면패널(11)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슬라이딩되어 이동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구동부(280)는 서큘레이터 구동부, 전면패널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청소모듈(400)은 필터부에 설치되어, 필터부의 이물질을 청소할 수 있다. 청소모듈(400)은 청소로봇(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청소로봇은 필터부의 표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필터부의 이물질을 흡입할 수 있다. 또한, 청소로봇은 필터부를 청소하면서 살균램프를 이용하여 필터부를 살균할 수 있다. 청소모듈(400)은 청소로봇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습모듈(300)은, 물통(329)의 물을 공급받아, 수분을 제공하는 가습을 실시하고, 가습공기를 외부로 토출할 수 있다. 가습모듈(300)은 스팀을 발생시켜 공기를 가습하고, 가습된 공기가 공조된 공기와 함께 토출구를 통해 실내로 토출되도록 할 수 있다.
가습모듈(300)에는 진동을 이용한 진동식, 가열식, 물을 분사하는 분사방식을 사용될 수 있고, 그외 다양한 가습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제어부(240)는,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메모리(256)에 데이터를 저장하며, 통신부(270)를 통해 데이터가 송수신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디스플레이 모듈(292), 조작부(230) 등을 통해 입력에 따라 공기조화기가 동작하도록 제어하고 실외기와의 데이터 송수신하여 실외기로부터 공급되는 냉매에 의해 공조된 냉온의 공기가 실내로 토출되도록 구동부(28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설정되는 동작모드 또는 센서부(215)로부터 측정되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서큘레이터 모듈(15)이 공기를 외부로 토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40)는, 가습모듈(300)이 동작하여 가습된 공기가 토출되고, 필터가 청소되도록 청소모듈(400)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센서부(215) 또는 비전모듈(210)을 통해 재실자를 감지하며, 감지된 재실자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기류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각 모듈의 동작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인가되는 데이터에 따라 동작상태가 디스플레이 모듈(292)을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전원부(299), 비전모듈(210),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수신하는 오디오 입력부(220), 소정 정보를 영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292), 소정 정보를 오디오로 출력하는 오디오 출력부(291)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원부(299)는 공기조화기의 각 유닛들로 동작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전원부(299)는 연결되는 사용전원을 정류 및 평활하여, 각 유닛에서 요구되는 전압을 생성하여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전원부(299)는 돌입전류를 방지하고, 정전압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전원부(299)는 동작전원을 실외기(미도시)로 공급할 수 있다.
오디오 입력부(220)는, 외부의 오디오 신호, 사용자 음성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오디오 입력부(220)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MIC)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더 정확히 수신하기 위하여 오디오 입력부(220)는 복수의 마이크를 구비할 수 있다. 복수의 마이크는, 서로 다른 위치에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고, 외부의 오디오 신호를 획득하여 전기적인 신호로 처리할 수 있다.
오디오 입력부(220)는 아날로그 소리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처리부를 포함하거나 처리부에 연결되어 사용자 입력 음성 명령을 제어부(240) 또는 소정 서버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데이터화할 수 있다.
한편, 오디오 입력부(220)는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입력부(220)는 각 마이크에서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에서 노이즈를 제거하는 필터, 필터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증폭기 등 오디오 신호 처리를 위한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292)은 사용자의 명령 입력에 대응하는 정보, 사용자의 명령 입력에 대응하는 처리 결과, 동작모드, 동작상태, 에러상태 등을 영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디스플레이 모듈(292)은, 터치패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디스플레이(292)는 출력 장치 이외에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이 가능한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디스플레이 모듈(292)은 점등 여부, 점등색상, 점멸 여부에 따라 동작상태를 출력하는 조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공기조화기는 별도의 조작부(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조작부(230)는, 버튼, 스위치, 터치입력수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공기조화기로 사용자 명령 또는 소정의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출력부(291)는, 제어부(240)의 제어에 따라 경고음, 동작모드, 동작상태, 에러상태 등의 알림 메시지, 사용자의 명령 입력에 대응하는 정보, 사용자의 명령 입력에 대응하는 처리 결과 등을 오디오로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오디오 출력부(291)는, 제어부(240)로부터의 전기 신호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스피커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비전모듈(210)은,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포함하여, 실내 환경을 촬영할 수 있다. 카메라는 공기조화기 주변, 외부 환경 등을 촬영하는 것으로, 이러한 카메라는 촬영 효율을 위해 각 부위별로 여러 개가 설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는 적어도 하나의 광학렌즈와, 광학렌즈를 통과한 광에 의해 상이 맺히는 다수개의 광 다이오드(photodiode, 예를 들어, pixel)를 포함하여 구성된 이미지 센서(예를 들어, CMOS image sensor)와, 광 다이오드들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바탕으로 영상을 구성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DSP: Digital Signal 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디지털 신호 처리기는 정지영상은 물론이고, 정지영상으로 구성된 프레임들로 이루어진 동영상을 생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카메라가 촬영하여 획득된 영상은 메모리(256)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비전모듈(210)에서 획득되는 영상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비전모듈(210)은 전면패널(11)에 설치되고, 경우에 따라 캐비닛의 상측 패널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비전모듈(210)은, 미동작시, 본체(10) 내부에 수용되어 있다가, 승강 후 동작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내부 구성을 예시한 도면이다.
제어부(240)는 하나 또는 복수의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 Processor)로 구성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어부(240)는 기능에 따라 메인 제어부(241), 비전모듈 제어부(242), 전원공급 제어부(243), 조명 제어부(244), 디스플레이 모듈 제어부(245), 가습모듈 제어부(246), 청소모듈 제어부(247)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각 제어부(241 내지 247)는 하나의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구성될 수 있고, 각 모듈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통해 비전모듈(210), 청소모듈(400), 가습모듈(300)을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메인 제어부(241)는 나머지 제어부(242 내지 247)로 제어명령을 인가하고, 각 제어부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처리할 수 있다. 메인 제어부(241)와 나머지 제어부(242 내지 247)는 버스(BUS) 형식으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각 모듈에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설치되어, 해당 모듈의 자체 동작을 더 빠르게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모듈(292)에는 디스플레이 모듈 제어부(245)이 구비되고, 가습모듈(300)에 가습모듈 제어부(246)가 구비되어 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제어부(240)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이다.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제어부(240) 및 공기조화기 내 유닛들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주요 구성들 간의 제어관계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공기조화기는, 비전모듈(210), 각종 데이터를 센싱하는 센서부(215),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수신하는 오디오 입력부(220), 조작부(230),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256), 다른 전자기기와 무선 통신하는 통신부(270), 공기조화기에 구현된 동작을 수행하는 구동부(280), 소정 정보를 영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292), 소정 정보를 오디오로 출력하는 오디오 출력부(291), 가습모듈(300), 청소모듈(400),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240), 및, 프로세서(26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의 공기조화기의 내부 블록도는, 도 5와 유사하나, 프로세서(260)가 더 구비되며, 오디오 입력부(220), 오디오 출력부(291), 통신부(270), 및 프로세서(260)가 하나의 단일 모듈인 음성 인식 모듈(205) 내에 구비되는 것에 그 차이가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 음성 인식 모듈(205)은, 통신부(270)와 프로세서(260)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오디오 입력부(220)와 상기 오디오 출력부(291)는 별도의 일체형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260)는, 오디오 입력부(220), 오디오 출력부(291), 통신부(270)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와의 차이를 중심으로 기술한다.
프로세서(260)는 오디오 입력부(220)를 통하여 수신되는 사용자의 음성 입력 신호를 처리하고 음성 인식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설정된 호출어를 포함하는 웨이크 업(wake up) 음성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 프로세서(260)는 음성 명령어를 수신하기 위한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이 경우에, 프로세서(260)는 호출어 음성 입력 여부까지의 음성 인식 과정만 수행하고, 이후의 사용자 음성 입력에 대한 음성 인식은 음성 인식 서버 시스템을 통하여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260)는, 웨이크 업(wake up) 음성 신호의 인식 이후에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통신부(270)를 통하여, 음성 인식 서버 시스템에 송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60)는 통신부(270)를 통해 공기조화기의 상태 정보, 사용자의 음성 명령 등을 음성 인식 서버 시스템 등으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통신부(270)를 통하여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프로세서(260)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240)로 전송하고, 제어부(240)는 수신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하도록 공기조화기를 제어할 수 있다.
결국, 음성 인식 모듈(205)을 통해, 음성 데이터 획득, 서버 시스템과의 통신, 및 대응하는 사운드 출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음성 인식 모듈(205)은, 공기조화기 외에, 다양한 전자 기기에 부착될 수 있다. 또는 다른 전자 기기에 부착되는 것 없이, 별도의 장치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수신할 수 있고, 음성 인식 서버 시스템은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인식, 분석하여 공기조화기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 원격제어장치를 조작하지 않고서도 공기조화기를 제어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주요 구성들 간의 제어관계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전면부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패널(11), 상기 전면패널(11)에 배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여 개폐되는 서큘레이터 도어(13), 및, 제품 오프(off)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서큘레이터 도어(13)가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닫히도록 제어하는 제어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품 오프(off) 명령은, 공기조화기의 전원을 끄는 파워 오프(power off) 입력일 수 있다. 또는, 제품 오프(off) 명령은, 서큘레이터 모듈(15)이 동작하지 않고, 서큘레이터 도어(13)가 닫혀 있는 특정 모드에 대응하는 명령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품 온(on) 명령은, 공기조화기의 전원을 인가하는 파워 온(power on) 입력일 수 있다. 또는, 제품 온(on) 명령은, 서큘레이터 도어(13)가 열리고 서큘레이터 모듈(15)이 동작하는 특정 모드에 대응하는 명령일 수 있다.
서큘레이터 도어(13)가 닫히는 과정 중에, 사용자의 손이 토출구와 닫히고 있는 서큘레이터 도어(13) 사이에 끼이는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상기 전면패널(11)에 배치되고, 사용자의 접근 여부를 감지하는 근접센서(10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근접센서(1010)에는 광센서, PIR 센서, 도플러 센서 등 인체 감지 가능한 센서가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제어부(240)는, 근접센서(1010)에서 감지되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서큘레이터 도어(13)의 개폐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근접센서(1010)는 소정 범위 내의 사용자의 존재 여부 및 상기 사용자와의 거리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40)는, 공기조화기와 사용자와의 거리 정보에 기초하여 공기조화기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손 끼임 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근접센서(1010)는 도 1 등에서 예시된 하단 근접센서(17)보다는 상대적으로 상측에 배치되는 상단 근접센서(1010)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단 근접센서(1010)는 디스플레이 모듈(292)에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292)은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종 입력 과정 또는 기타 많은 경우에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모듈(292)의 전면에 위치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상단 근접센서(1010)가 디스플레이 모듈(292)에 배치됨으로써, 사용자가 제품 오프 명령 등을 입력하고 후퇴하지 않는 경우 등을 가장 정확하고 빠르게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단 근접센서(1010)를 위한 회로 소자 등이 디스플레이 모듈(292)에 구비되는 보드(board)에 실장 가능하므로, 회로, 연결선을 더 간략하게 구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제어부(240)는, 상단 근접센서(1010)와 서큘레이터 도어(13)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1 제어부(245)와 서큘레이터 모듈(15)을 제어하는 제2 제어부(241)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제1 제어부(245)는 디스플레이 모듈(292)을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제어부(245)일 수 있다.
또한, 제2 제어부(241)는 메인 제어부(241)일 수 있다. 메인 제어부(241)는, 서큘레이터 모듈(15)의 팬 구동, 이동, 회전을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구동부(280)가 메인 제어부(241)의 제어에 따라 서큘레이터 모듈(15)의 팬 구동, 이동, 회전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서큘레이터 모듈(15)은, 서큘레이터 팬(810), 적어도 서큘레이터 팬(810)이 향하는 방향이 변경되도록 회전시킬 수 있는 서큘레이터 회전부(820), 적어도 서큘레이터 팬(810)을 이동시킬 수 있는 서큘레이터 이동부(830)를 포함할 수 있다.
서큘레이터 회전부(820)는, 2중 조인트, 기어랙 구조를 이용한 2축 회전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큘레이터 모듈(15) 전체 또는 적어도 서큘레이터 팬(810)이 향하는 방향을 다양한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서큘레이터 이동부(830)는, 서큘레이터 모듈(15)이 전진 또는 후진하기 위한 모터와 기구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큘레이터 이동부(830)는, 스텝(step) 모터, 상기 스텝 모터의 회전에 따라 서큘레이터 모듈(15)을 이동시키는 기어 부재, 레일 부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스텝(Step) 모터를 이용하여 기구 구조물을 이동할 수 있다. 스텝 모터는, 펄스 수에 비례하여 회전하고, 입력 주파수에 비례하여 회전 속도가 변화한다. 따라서, 기구 구조물의 이동량은 펄스 수에 비례하기 때문에, 제어가 간편하고, 가격이 저렴한 장점이 있다.
메인 제어부(241)는 상단 근접센서(1010) 및/또는 비전모듈(210)에서 감지되는 사용자 위치에 따라 서큘레이터 모듈(15)을 스마트(smart)하게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원거리에서 감지되면, 서큘레이터 모듈(15)이 상측을 향하도록 회전한 후에, 서큘레이터 팬(810)이 구동되도록 제어함으로써, 냉방, 공기 청정 시 공기를 더 멀리 사용자에 가깝게 보낼 수 있다.
서큘레이터 모듈(15)은, 제품 오프 명령에 기초하여, 후진 이동하고, 제품 온(on) 명령에 기초하여 전진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서큘레이터 모듈(15)은, 메인 제어부(241)의 제어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제어부(241)는, 직접풍 명령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상단 근접센서(1010)에서 감지되는 상기 사용자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서큘레이터 모듈(15)을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메인 제어부(241)는, 직접풍 명령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서큘레이터 모듈(15)의 풍량을 최대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메인 제어부(241)는, 상기 직접풍 명령 입력이 수신되고, 상기 상단 근접센서(1010)가 제2 거리 이내에서, 상기 사용자를 감지하는 경우에, 상기 제2 거리 이내에서 감지된 사용자를 향하도록 상기 서큘레이터 모듈(15)을 회전시키고, 풍량을 최대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근거리에서 감지되면, 서큘레이터 모듈(15)이 사용자를 향하도록 회전한 후에, 서큘레이터 팬(810)이 구동되도록 제어함으로써, 냉방, 공기 청정 시 공기를 사용자에게 직접 보낼 수 있고, 사용자는 더 빨리 쾌적감을 느낄 수 있다.
사용자가 공기조화기에 접근하면 사용자가 지금 더운 것이라는 의도를 판별할 수 있다. 따라서, 서큘레이터 팬(810)의 속도를 빠르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거리 이내에서, 상기 사용자가 감지되지 않으면, 메인 제어부(241)는, 상기 서큘레이터 모듈(15)이 바라보는 방향과 풍량을 변경 전 설정으로 복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더 이상 감지되지 않으면, 설정을 원상 복귀할 수 있다.
또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를 포함하는 비전모듈(210)을 통하여,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상기 직접풍 명령 입력이 수신되고, 상기 비전모듈(210)이 제2 거리 이내에서, 상기 사용자를 감지하는 경우에, 메인 제어부(241)는, 상기 제2 거리 이내에서 감지된 사용자를 향하도록 상기 서큘레이터 모듈(15)을 회전시키고, 풍량을 최대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거리 이내에서, 상기 사용자가 감지되지 않으면, 메인 제어부(241)는, 상기 서큘레이터 모듈(15)이 바라보는 방향과 풍량을 변경 전 설정으로 복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상기 서큘레이터 도어(13)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수단(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전면패널(11)의 내측 일면에는 서큘레이터 도어(13)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수단(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면패널(11)의 내측 일면에는 서큘레이터 도어 스텝(step) 모터(1210), 상기 서큘레이터 도어 스텝 모터(121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서큘레이터 도어(13)를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기어 부재, 레일 부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40)는 상기 서큘레이터 도어 스텝 모터(1210)를 회전시켜, 상기 서큘레이터 도어(13)를 열거나 닫을 수 있다.
제어부(240)는, 제품 온(on)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서큘레이터 도어(13)가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열리도록 제어하고, 제품 오프(off)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서큘레이터 도어(13)가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닫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상기 상단 근접센서(1010)에서 감지되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서큘레이터 도어 스텝 모터(121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모듈 제어부(245)는, 상기 서큘레이터 도어 스텝 모터(1210)의 회전 속도 및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 제어부(245)는, 제품 온(on)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서큘레이터 도어(13)가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열리도록 제어하고, 제품 오프(off)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서큘레이터 도어(13)가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닫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모듈 제어부(245)는, 상기 상단 근접센서(1010)에서 감지되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서큘레이터 도어 스텝 모터(1210)를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 제어부(245)는, 제품 오프(off) 명령이 수신되고, 상기 상단 근접센서(1010)에서 제1 기준 거리 이내에 상기 사용자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서큘레이터 도어(13)가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닫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제1 기준 거리 이내에 존재하지 않으면 손끼임 사고가 발생하기 어렵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모듈 제어부(245)는, 상기 서큘레이터 도어 스텝 모터(1210)를 구동하여, 상기 서큘레이터 도어(13)가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닫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 기준 거리는, 서큘레이터 도어(13)의 닫힘(Close) 동작시 때 발생할 수 있는 사용자의 손끼임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안전 거리이다.
상기 제1 기준 거리는, 상기 상단 근접센서(1010) 및 상기 서큘레이터 도어(13)의 위치, 공기조화기 이용 지역 인구의 평균적인 팔 길이 등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기준 거리는, 사용자가 토출구에 손을 넣을 수 있는 거리인 50cm 또는 소정 마진(margin)을 포함하여 1m로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서큘레이터 도어(13)가 열린 후, 서큘레이터 모듈(15)이 전진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음성 입력 또는 디스플레이 모듈(292)을 통한 터치 입력으로 사용자의 제품 오프(off) 명령이 수신되면, 서큘레이터 모듈(15)이 후진하여 본체(10)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음성 입력 또는 디스플레이 모듈(292)을 통한 터치 입력으로 사용자의 제품 오프(off) 명령이 수신되면, 상단 근접센서(1010)를 통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제1 기준 거리 내에서 사용자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면, 제어부(240)는, 서큘레이터 도어(13)의 닫힘 동작을 진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모듈 제어부(245)는, 제1 기준 거리 내에서 사용자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면, 제어부(240)는, 서큘레이터 도어(13)의 닫힘 동작을 진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모듈 제어부(245)는, 서큘레이터 도어(13)의 닫힘 동작을 진행중에 제1 기준 거리 내에서 사용자가 접근하는 지 모니터링할 수 있다.
상단 근접센서(1010)가 제1 기준 거리 내에서 사용자가 감지되는 경우에, 주의 멘트 알림과 함께, 서큘레이터 도어(13)의 닫힘 동작을 정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디오 출력부(291)는, 상기 서큘레이터 도어(13)의 이동 전과 이동 중에, 소정 경고 정보를 음향으로 출력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가 안전거리인 제1 기준 거리 이내에서 감지되면, 오디오 출력부(291)는, 서큘레이터 도어(13)의 닫힘 동작 및 사용자의 후퇴를 안내하는 경고 메시지를 음성으로 안내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모듈 제어부(245)의 제어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292)이 상기 서큘레이터 도어(13)의 이동 전과 이동 중에, 소정 경고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특히, 상단 근접센서(1010)가 제1 기준 거리 이내에서 사용자를 감지하면, 디스플레이 모듈 제어부(245)는, 디스플레이 모듈(292)이 경고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상단 근접센서(1010)가 상기 서큘레이터 도어(13)의 상측 방향 이동 중에 제2 기준 거리 이내에서 상기 사용자를 감지하는 경우에, 제어부(240)는, 상기 서큘레이터 도어(13)의 이동이 정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상단 근접센서(1010)의 상기 제2 기준 거리 이내에서의 사용자 감지가 종료되면, 제어부(240)는, 상기 서큘레이터 도어(13)의 이동을 재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 제어부(245)는, 상기 상단 근접센서(1010)가 상기 서큘레이터 도어(13)의 상측 방향 이동 중에 제2 기준 거리 이내에서 상기 사용자를 감지하는 경우에, 상기 서큘레이터 도어(13)의 이동이 정지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상단 근접센서(1010)의 상기 제2 기준 거리 이내에서의 사용자 감지가 종료되면, 상기 서큘레이터 도어(13)의 이동을 재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기준거리는 상기 제1 기준 거리와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2이상의 단계적인 기준 거리가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제1 기준 거리와 상기 제2 기준 거리는 상이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상기 서큘레이터 도어(13)의 닫힘 최종 위치(완전히 닫혔을 때의 위치)로부터 제1 거리 이격된 제1 위치에 상기 서큘레이터 도어(13)가 도달하면, 상기 서큘레이터 도어(13)가 상기 제1 위치에서 소정 시간 멈춤 대기 후에 상기 닫힘 최종 위치까지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 제어부(245)는, 상기 서큘레이터 도어(13)의 닫힘 최종 위치로부터 제1 거리 이격된 제1 위치에 상기 서큘레이터 도어(13)가 도달하면, 상기 서큘레이터 도어(13)가 상기 제1 위치에서 소정 시간 멈춤 대기 후에 상기 닫힘 최종 위치까지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모듈 제어부(245)는, 상기 서큘레이터 도어(13)의 완전 닫힘 전 3cm 정도의 위치에서, 1초간 잠깐 멈춘 후, 완전히 닫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중으로 손끼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 위치에 기초하여, 서큘레이터 모듈(15)의 구동, 이동, 회전을 제어함으로써, 사용자의 위치에 최적화된 기류 제어가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 위치에 기초하여, 서큘레이터 도어(13)의 닫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이 예시된 순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공기조화기는, 제품 오프(off) 동작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S910).
사용자는 음성 입력 또는 디스플레이 모듈(292)을 통한 터치 입력 또는 리모컨 조작 등의 방법으로 제품 오프(off) 동작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상단 근접센서(1010) 및/또는 비전모듈(210)은, 사용자의 소정 거리 이내 근접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240)는, 상단 근접센서(1010) 및/또는 비전모듈(210)를 통하여, 사용자의 소정 거리 이내 근접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920).
기준 거리 이내로 접근한 사용자가 감지되지 않으면(S930), 제어부(240)는, 서큘레이터 도어(13)의 닫힘 동작을 진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940).
상단 근접센서(1010) 및/또는 비전모듈(210)이 기준 거리 이내로 접근한 사용자를 감지하면(S930), 제어부(240)는, 오디오 출력부(291) 및/또는 디스플레이 모듈(292)이 소정 경고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950).
즉, 기준 거리 이내에 1명 이상의 사용자가 존재하면, 소정 경고를 출력하고, 서큘레이터 도어(13)의 닫힘 동작을 시작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서큘레이터 도어(13)의 닫힘 동작이 진행 중일 때, 상단 근접센서(1010) 및/또는 비전모듈(210)이 기준 거리 이내로 접근한 사용자를 감지하면(S930), 제어부(240)는, 서큘레이터 도어(13)의 닫힘 동작을 정지시키고, 오디오 출력부(291) 및/또는 디스플레이 모듈(292)이 소정 경고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950).
또한, 제어부(240)는, 상기 서큘레이터 도어(13)의 닫힘 최종 위치(완전히 닫혔을 때의 위치)로부터 제1 거리 이격된 제1 위치에 상기 서큘레이터 도어(13)가 도달하면, 상기 서큘레이터 도어(13)가 상기 제1 위치에서 소정 시간 멈춤 대기 후에 상기 닫힘 최종 위치까지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중으로 손끼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에 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서큘레이터 도어(13)가 닫힘 최종 위치(완전히 닫혔을 때의 위치)까지 클로즈(close)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서큘레이터 도어(13)가 열림 최종 위치(완전히 열렸을 때의 위치)까지 오픈(open)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며, 도 12는 서큘레이터 도어(13)가 오픈된 상태에서 전면패널(11)을 내측면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3은 상단 근접센서(1010)가 기준 거리(R) 이내의 사용자(1300)를 감지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상단 근접센서(1010) 및/또는 비전모듈(210)이 사용자의 근접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비전모듈(210)은 공기조화기 동작 중에만 상승하여 동작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제품 오프(off) 동작 명령에 따라, 비전모듈(210)도 하강하여 본체(10)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손끼임 방지 등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인체 감지는 상단 근접센서(1010)에서 수행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상단 근접센서(1010)는 디스플레이 모듈(292)에 배치될 수 있다. 상단 근접센서(1010)가 디스플레이 모듈(292)에 배치됨으로써, 사용자가 제품 오프 명령 등을 입력하고 후퇴하지 않는 경우 등을 정확하고 빠르게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단 근접센서(1010)를 위한 회로 소자 등이 디스플레이 모듈(292)에 구비되는 보드(board)에 실장 가능하므로, 회로, 연결선을 더 간략하게 구성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서큘레이터 도어(13)는 토출구(1200)를 개폐할 수 있고, 열교환된 공기, 정화된 공기 등 공기조화기에서 처리된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서큘레이터 도어(13)는, 본체 동작 시 열려, 서큘레이터 모듈(15)이 외부로 노출되어 토출구(1200)로 공기가 토출되거나, 서큘레이터 모듈(15)이 토출구(1200)를 통하여 전진 이동하도록 하고, 동작이 종료되면 닫혀 토출구(1200)를 폐쇄할 수 있다. 전면패널(11)의 내측 또는 후면에는 토출구(1200) 개방 시, 서큘레이터 도어(13)가 수용되는 공간이 구비될 수 있다.
전면패널(11)의 내측 일면에는 서큘레이터 도어(13)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수단(1210, 1220)이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면패널(11)의 내측 일면에는 서큘레이터 도어 스텝 모터(1210), 상기 서큘레이터 도어 스텝 모터(121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서큘레이터 도어(13)를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기어 부재, 레일 부재(122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서큘레이터 도어(13)는 본체(10)의 내측에서, 상측 방향 또는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열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서큘레이터 도어(13)는 본체(10)의 전면패널(11)의 상측에 배치되므로, 서큘레이터 도어(13)는,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열리도록 구성되는 것이 공간 이용 측면에서 더 바람직하다.
또는, 서큘레이터 도어(13)는 본체(10)의 내측으로 후진 이동 후, 상측 방향 또는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열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서큘레이터 도어(13)는, 본체(10)의 내측으로 후진 이동 후,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열리도록 구성되는 것이 공간 이용 측면에서 더 바람직하다.
서큘레이터 도어(13)가 열리면, 서큘레이터 모듈(15)은 전면패널(11)을 향하는 전방 방향으로 전진 이동하여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서큘레이터 모듈(15)의 적어도 일부는 토출구(1200)를 통과하여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또한, 동작이 종료되면, 서큘레이터 모듈(15)은, 본체(10)의 내측 방향으로 후진 이동하고, 서큘레이터 도어(13)의 이동으로 토출구를 폐쇄할 수 있다.
서큘레이터 도어(13)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수단(1210, 1220)의 일예는, 서큘레이터 도어 모터(1210), 상기 서큘레이터 도어 모터(1210)로부터 회전력을 공급받는 피니언, 한 쌍의 피니언이 양 단부에 배치되는 샤프트(shaft), 가이드 레일(122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큘레이터 도어 모터(1210)로 스텝 모터가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서큘레이터 도어 모터(1210)는 서큘레이터 도어 스텝 모터(1210)일 수 있다.
서큘레이터 도어 스텝 모터(1210)의 회전 각도는 입력 펄스의 개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입력 펄스 360개에 한 바퀴를 회전하는 스텝 모터인 경우, 펄스 1개가 입력될 때마다 1도 정도 회전할 수 있다.
스텝 모터는, 가격이 저렴하고, 정확한 각도(위치) 제어에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스텝 모터의 구동 방식은, 전류의 방향을 기준으로, 유니폴라(unipolar) 구동과 바이폴라(bipolor) 구동으로 분류될 수 있다. 또한, 스텝 모터의 구동 방식은 여자 전류의 제어 방법을 기준으로 정전압 구동, 전압변환 구동, 정전류 구동으로 분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스텝 모터의 구동 방식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서큘레이터 도어(13)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수단도 상술한 예와 다른 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서큘레이터 도어 스텝 모터(1210)는 샤프트의 양측 단부 또는 일측 단부에에 배치되어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서큘레이터 도어 스텝 모터(1210)가 회전하면, 서큘레이터 도어(13)는 상기 가이드 레일(122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제품 오프(off) 동작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240)는 상단 근접센서(1010)의 센싱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손을 뻗어서 서큘레이터 도어(13) 및/ 또는 토출구(1200)에 닿을 수 있는 거리 범위에 대해 인체 접근 유무를 판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50cm가 기준 거리로 설정되면, 제어부(240)는 50cm 이내 사용자의 접근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만약, 50cm 이내에 사용자가 있다면, 제어부(240)는, 슬라이딩 스텝 모터(1210)의 동작을 시작하지 않거나, 동작 중인 슬라이딩 스텝 모터(1210)를 정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40)는, 오디오 출력부(291)를 통하여 음성 주의 멘트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40)는, 디스플레이 모듈(292)를 통하여 경고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후, 기준 거리 이내에서 사용자가 감지되지 않으면, 제어부(240)는, 서큘레이터 도어(13)가 이동하여 닫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4는, 상기 서큘레이터 도어(13)가 닫힘 과정 중에 잠시 멈추는 실시예를 예시한다.
도 14를 참조하면, 제어부(240)는, 상기 서큘레이터 도어(13)의 닫힘 최종 위치(완전히 닫혔을 때의 위치)로부터 제1 거리 이격된 제1 위치에 상기 서큘레이터 도어(13)가 도달하면, 상기 서큘레이터 도어(13)가 상기 제1 위치에서 소정 시간 이중으로 손끼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이 예시된 순서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공기조화기는, 제품 온(on) 동작 명령을 수신하여 그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S1510).
사용자는 음성 입력 또는 디스플레이 모듈(292)을 통한 터치 입력 또는 리모컨 조작 등의 방법으로 제품 온(on) 동작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40)는, 서큘레이터 도어(13)가 열리면, 상기 제품 온 동작 명령에 대응하여, 서큘레이터 모듈(15)이 전면패널(11)을 향하는 전방 방향으로 전진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40)는, 공기조화기가 소정 운전 모드 등에 따라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직접풍 기능 제어 동작을 명령하는 사용자의 입력이 수신되면, 제어부(240)는, 직접풍 모드로 동작하도록 공기조화기를 제어할 수 있다(S1520).
상단 근접센서(1010) 및/또는 비전모듈(210)을 통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240)는, 상단 근접센서(1010) 및/또는 비전모듈(210)를 통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S1530).
제어부(240)는 상단 근접센서(1010) 및/또는 비전모듈(210)가 감지하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기류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40)는 직접풍 명령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상단 근접센서(1010)에서 감지되는 상기 사용자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서큘레이터 모듈(15)을 회전시킬 수 있다(S1540).
또한, 제어부(240)는, 직접풍 명령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서큘레이터 모듈(15)의 풍량을 최대값 또는 직접풍에 설정된 강풍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40)는, 직접풍 명령 입력이 수신되고, 상기 상단 근접센서(1010)가 소정 거리 이내에서, 상사용자를 감지하는 경우에, 사용자를 향하도록 상기 서큘레이터 모듈(15)을 회전시키고, 풍량을 최대값 또는 직접풍에 설정된 강풍으로 설정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근거리에서 감지되면, 서큘레이터 모듈(15)이 사용자를 향하도록 회전한 후에, 서큘레이터 팬(810)이 구동되도록 제어함으로써, 냉방, 공기 청정 시 공기를 사용자에게 직접 보낼 수 있고, 사용자는 더 빨리 쾌적감을 느낄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원거리에서 감지되면, 제어부(240)는, 서큘레이터 모듈(15)이 상측을 향하도록 회전한 후에, 서큘레이터 팬(810)이 구동되도록 제어함으로써, 냉방, 공기 청정 시 공기를 더 멀리 사용자에 가깝게 보낼 수 있다.
한편, 소정 거리 이내에서, 상기 사용자가 감지되지 않으면, 제어부(240)는, 상기 서큘레이터 모듈(15)이 바라보는 방향과 풍량을 변경 전 설정으로 복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1560). 즉, 사용자가 더 이상 감지되지 않으면, 설정을 원상 복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접풍 모드는, 사용자의 근접 여부 및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접풍 모드는, 사용자가 더워서 공기조화기에 더 가까이 접근하는 경우에, 풍량을 더 강화하고, 풍향을 사용자에게 직접풍으로 제공하는 스마트 제어 모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기류를 다양하고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음성 인식 기능, 가습 기능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미동작시 내부에 모듈들을 청결하고 안전하게 수납,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감지되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에 따라 동작함으로써,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은,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 공기조화기
11: 전면패널(슬라이딩 도어)
13: 서큘레이터 도어
15: 서큘레이터 모듈
240: 제어부
300: 가습모듈
400: 청소모듈

Claims (15)

  1. 전면부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패널;
    상기 전면패널에 배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여 개폐되는 서큘레이터 도어;
    상기 전면패널에 배치되고, 사용자의 접근 여부를 감지하는 근접센서; 및,
    제품 오프(off) 명령이 수신되고, 상기 근접센서에서 제1 기준 거리 이내에 상기 사용자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서큘레이터 도어가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닫히도록 제어하는 제1 제어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서큘레이터 도어의 닫힘 최종 위치로부터 제1 거리 이격된 제1 위치에 상기 서큘레이터 도어가 도달하면, 상기 서큘레이터 도어가 상기 제1 위치에서 소정 시간 멈춤 대기 후에 상기 닫힘 최종 위치까지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근접센서가 상기 서큘레이터 도어의 상측 방향 이동 중에 제2 기준 거리 이내에서 상기 사용자를 감지하는 경우에,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서큘레이터 도어의 이동이 정지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근접센서의 상기 제2 기준 거리 이내에서의 사용자 감지가 종료되면,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서큘레이터 도어의 이동을 재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서큘레이터 도어의 이동 전과 이동 중에, 소정 경고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근접센서에서 제1 기준 거리 이내에 상기 사용자가 감지되는 경우에,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상기 소정 경고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큘레이터 도어의 이동 전과 이동 중에, 소정 경고 정보를 음향으로 출력하는 오디오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부는, 제품 온(on)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서큘레이터 도어가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열리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 오프 명령에 기초하여 후진 이동하고, 제품 온(on) 명령에 기초하여 전진 이동하는 서큘레이터 모듈;을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서큘레이터 모듈을 제어하는 제2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부는,
    직접풍 명령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근접센서에서 감지되는 상기 사용자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서큘레이터 모듈을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직접풍 명령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서큘레이터 모듈의 풍량을 최대값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직접풍 명령 입력이 수신되고, 상기 근접센서가 제2 거리 이내에서, 상기 사용자를 감지하는 경우에,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제2 거리 이내에서 감지된 사용자를 향하도록 상기 서큘레이터 모듈을 회전시키고, 풍량을 최대값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거리 이내에서, 상기 사용자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서큘레이터 모듈이 바라보는 방향과 풍량을 변경 전 설정으로 복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를 포함하는 비전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직접풍 명령 입력이 수신되고, 상기 비전모듈이 제2 거리 이내에서, 상기 사용자를 감지하는 경우에,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제2 거리 이내에서 감지된 사용자를 향하도록 상기 서큘레이터 모듈을 회전시키고, 풍량을 최대값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거리 이내에서, 상기 사용자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서큘레이터 모듈이 바라보는 방향과 풍량을 변경 전 설정으로 복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KR1020180026941A 2018-03-07 2018-03-07 공기조화기 KR1020879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6941A KR102087975B1 (ko) 2018-03-07 2018-03-07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6941A KR102087975B1 (ko) 2018-03-07 2018-03-07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6035A true KR20190106035A (ko) 2019-09-18
KR102087975B1 KR102087975B1 (ko) 2020-04-23

Family

ID=68071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6941A KR102087975B1 (ko) 2018-03-07 2018-03-07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79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7255B1 (ko) * 2020-06-11 2020-12-31 이재숙 외부 전용 에어 써큘레이터 및 난방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7821A (ko) * 1999-10-20 2001-05-15 전주범 공기조화기의 흡토출구 개폐장치 및 그 개폐방법
KR20120064492A (ko) * 2010-12-09 2012-06-1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KR20150039472A (ko) * 2013-10-02 2015-04-1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7821A (ko) * 1999-10-20 2001-05-15 전주범 공기조화기의 흡토출구 개폐장치 및 그 개폐방법
KR20120064492A (ko) * 2010-12-09 2012-06-1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KR101727915B1 (ko) * 2010-12-09 2017-05-02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KR20150039472A (ko) * 2013-10-02 2015-04-1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7255B1 (ko) * 2020-06-11 2020-12-31 이재숙 외부 전용 에어 써큘레이터 및 난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7975B1 (ko) 2020-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4992717B (zh) 空调设备
KR20210005978A (ko) 공기조화기
JP6101156B2 (ja) 送風装置
KR102586985B1 (ko) 공기조화기
US11846441B2 (en) Air conditioner
KR102087975B1 (ko) 공기조화기
KR102108357B1 (ko) 공기조화기
KR102335055B1 (ko) 공기조화기
KR102469013B1 (ko) 공기조화기
KR102399914B1 (ko) 인공지능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163624B1 (ko) 공기조화기
KR102171100B1 (ko) 공기조화기
KR102127511B1 (ko) 공기조화기
KR102146865B1 (ko) 공기조화기
KR102284508B1 (ko) 공기조화기
JP2017116255A (ja) 送風装置
KR102310322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