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5966A - 분배공급물 분배장치 - Google Patents

분배공급물 분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5966A
KR20190105966A KR1020180026788A KR20180026788A KR20190105966A KR 20190105966 A KR20190105966 A KR 20190105966A KR 1020180026788 A KR1020180026788 A KR 1020180026788A KR 20180026788 A KR20180026788 A KR 20180026788A KR 20190105966 A KR20190105966 A KR 201901059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losing
moving
feed
distrib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67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52546B1 (ko
Inventor
이익재
Original Assignee
이익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익재 filed Critical 이익재
Priority to KR10201800267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2546B1/ko
Publication of KR201901059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59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25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25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00Packaging fluent solid material, e.g. powders, granular or loose fibrous material,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1/04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00Packaging fluent solid material, e.g. powders, granular or loose fibrous material,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1/30Devices or methods for controlling or determining the quantity or quality or the material fed or filled
    • B65B1/36Devices or methods for controlling or determining the quantity or quality or the material fed or filled by volumetric devices or meth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5/00Details peculiar to packaging machin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s of such details
    • B65B65/02Driving g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Abstract

분배공급물 분배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분배공급물 분배장치는: 분배공급물을 저장하고, 바닥에 다수개의 연통홀이 형성되는 저장케이스와, 저장케이스의 하부에 구비되고, 연통홀을 통해 분배공급물이 유입되는 이동공간부가 다수개 형성되는 보관이동부와, 연통홀을 통해 이동공간부에 수용된 분배공급물이 저장케이스의 바닥에서 노출되지 않도록 긁어주는 스크래퍼부와, 이동공간부에 수용된 분배공급물을 1회 또는 다수회 공급하도록 이동공간부에 1단 또는 상하로 다단 배치된 상태에서 작동하여 보관이동부의 하부에 구비된 포장용기에 공급하는 개폐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분배공급물 분배장치{DISTRIBUTION SUPPLY DISTRIBUTION DEVICE}
본 발명은 분배공급물 분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시리얼, 가루, 분말 등을 포함하는 분배공급물을 저장케이스에 진동을 가해 골고루 분포시키고, 스크래퍼부의 전후 이동을 통해 보관케이스의 연통홀을 거쳐 정량 공급하며, 상하측으로 1단 또는 다단으로 배치되는 개폐작동부의 1회 또는 다단 순차 개폐를 거쳐 분배공급물을 포장용기에 신속하게 공급함으로써, 분배공급물을 졍랑 공급할 뿐만아니라, 분배공급물의 공급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분배공급물 분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리얼, 가루, 분말 등의 분배공급물은 설정 크기를 갖도록 선 공정에서 미리 가공하여 형성되는 것으로서, 가공된 분배공급물을 측정하여 분배하고, 포장용기에 각각 저장 및 포장하여 소비자에세 공급하도록 한다.
분배공급물을 중 가루, 분말은 크기가 매우 작게 형성되어 정량으로 분배하고 공급하는 과정에 어려움이 없을 수 있다.
그런데, 분배공급물 중 시리얼은 가루, 분말과 달리 각 시리얼 입자 간에 크기가 달라 분배구조에 정확하게 공급량을 측정하여 투입하고, 분배하는 과정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는 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있다.
관련 배경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6-0094461호(2016.08.10, 발명의 명칭: 분말약 분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분말약 분배 포장장치)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시리얼, 가루, 분말 등을 포함하는 분배공급물을 보관케이스에 진동을 가해 골고루 분포시키고, 스크래퍼부의 전후 이동을 통해 보관케이스의 연통홀을 거쳐 정량 공급하며, 상하측으로 1단 또는 다단으로 배치되는 배출작동부의 1회 또는 다단 순차 개폐를 거쳐 분배공급물을 포장용기에 신속하게 공급함으로써, 분배공급물을 졍랑 공급할 뿐만아니라, 분배공급물의 공급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분배공급물 분배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분배공급물 분배장치는, 분배공급물을 저장하고, 바닥에 다수개의 연통홀이 형성되는 저장케이스; 상기 저장케이스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연통홀을 통해 분배공급물이 유입되는 이동공간부가 다수개 형성되는 보관이동부; 상기 연통홀을 통해 상기 이동공간부에 수용된 분배공급물이 상기 저장케이스의 바닥에서 노출되지 않도록 긁어주는 스크래퍼부; 및 상기 이동공간부에 수용된 분배공급물을 1회 또는 다수회 공급하도록 상기 이동공간부에 1단 또는 상하로 다단 배치된 상태에서 작동하여 상기 보관이동부의 하부에 구비된 포장용기에 공급하는 개폐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관이동부의 이동공간부는 체적조절부에 의해 체적의 변경에 따라 분배공급물의 공급량이 조절되고, 상기 체적조절부는, 각각의 상기 이동공간부에 설치되는 조절블럭; 상기 조절블럭을 상호 너비방향으로 연결하는 지지축; 및 상기 지지축을 양측에 구비되고, 상기 지지축을 통해 상기 조절블럭의 길이방향 이동을 조절하여 길이변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크래퍼부는, 상기 저장케이스의 양측에 구비되는 작동실린더; 상기 작동실린더의 축에 고정되고, 너비방향으로 연결되는 연결판; 및 상기 연결판에 설치되어 상기 저장케이스의 바닥을 긁어주는 스크래퍼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개폐작동부가 상하측 다단으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보관이동부의 하측에 구비되되, 상기 개폐작동부의 다단 설치 개수만큼 다수개 중 일부의 상기 이동공간부를 모아주어 순차적으로 이동되는 포장용기로 각각 유입시키는 취합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개폐작동부는, 상기 연통홀을 통해 이동공간부에 유입된 분배공급물을 정량씩 보관하도록 개폐작동부를 통해 이동공간부를 차단하고, 일시 보관된 분배공급물을 취합배출부를 거쳐 포장용기로 공급하도록 개방되는 제1개폐부재; 및 상기 제1개폐부재의 하부에 구비되되, 상기 취합배출부에 연결되는 상기 이동공간부 중 어느 일부에만 설치되어 상기 제1개폐부재의 개방시 차단되고, 상기 제1개패부재의 차단시 개방되어 분배공급물을 후속 포장용기에 공급하는 제2개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EH한, 상기 제1개폐부재는, 상기 이동공간부에 설치되어 개폐되는 다수개의 제1개폐판; 상기 제1개폐판 각각을 너비방향으로 배열시킨 상태에서 회동하도록 연결하는 제1연결축; 상기 제1연결축에 단부에 직각으로 연결 셜치되는 제1레버부재; 및 상기 제1레머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제1개폐판을 회전시키는 제1개폐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2개폐부재는, 상기 이동공간부에 설치되어 개폐되는 디수개의 제2개폐판; 상기 제2개폐판 각각을 너비방향으로 배열시킨 상태에서 회동하도록 연결하는 제2연결축; 및 상기 제2연결축에 단부에 직각으로 연결 설치되는 제2레버부재; 및 상기 제2레머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제2개폐판을 회전시키는 제2개폐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분배공급물 분배장치는, 시리얼, 가루, 분말 등을 포함하는 분배공급물을 보관케이스에 진동을 가해 골고루 분포시키고, 스크래퍼부의 전후 이동을 통해 보관케이스의 연통홀을 거쳐 정량 공급하며, 상하측으로 1단 또는 다단으로 배치되는 개폐작동부의 1회 또는 다단 순차 개폐를 거쳐 분배공급물을 포장용기에 신속하게 공급함으로써, 분배공급물을 졍랑 공급할 뿐만아니라, 분배공급물의 공급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배공급물 분배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배공급물 분배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배공급물 분배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배공급물 분배장치의 보관이동부에서 체적조절부의 상세 평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배공급물 분배장치의 측면도에서 요부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배공급물 분배장치에서 스크래퍼부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배공급물 분배장치에서 연통홀을 통해 공급된 분배공급물이 개폐작동부의 작동으로 이송되는 상태를 보인 도면들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배공급물 분배장치에서 제1,제2개폐부재사 순차적으로 개폐되는 과정을 보인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배공급물 분배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배공급물 분배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배공급물 분배장치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배공급물 분배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배공급물 분배장치의 보관이동부에서 체적조절부의 상세 평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배공급물 분배장치의 측면도에서 요부 확대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배공급물 분배장치에서 스크래퍼부의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배공급물 분배장치에서 연통홀을 통해 공급된 분배공급물이 개폐작동부의 작동으로 이송되는 상태를 보인 도면들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배공급물 분배장치에서 제1,제2개폐부재사 순차적으로 개폐되는 과정을 보인 도면들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배공급물 분배장치는, 분배공급물을 저장하고, 바닥에 다수개의 연통홀(110)이 형성되는 저장케이스(100)와, 저장케이스(100)의 하부에 구비되고, 연통홀(110)을 통해 분배공급물이 유입되는 이동공간부(210)가 다수개 형성되는 보관이동부(200)와, 연통홀(210)을 통해 이동공간부(210)에 수용된 분배공급물이 저장케이스(100)의 바닥에서 노출되지 않도록 긁어주는 스크래퍼부(300)와, 이동공간부(210)에 수용된 분배공급물을 1회 또는 다수회 공급하도록 이동공간부(210)에 1단 또는 상하로 다단 배치된 상태에서 작동하여 보관이동부(200)의 하부에 구비된 포장용기(30)에 공급하는 개폐작동부(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저장케이스(100)의 하부에는 분배공급물을 골고루 분포시키기 위한 진동부재(140)가 구비될 수 있다.
저장케이스(100)의 상측에는 공급호퍼(120)가 구비될 수 있다.
공급호퍼(120)의 출구는 높이조절부(130)에 의해 공급량이 조절될 수 있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높이조절부(130)는 공급호퍼(120)의 일측에 설치되는 승강판(132)과, 승강판(132)에 형성되는 장공(134)과, 장공(134)을 통해 공급호퍼(120)에 체결되거나 풀려짐에 따라 승강판(132)을 공급호퍼(120)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하여 승강판(132)의 높이를 조절하는 체결부재(136)를 포함할 수 있다.
승강판(132)의 공급호퍼(120)의 일면(도면상 좌측면)에 접촉되어 구비된다.
장공(134)로 상하로 설정 길이를 갖도록 한 쌍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재(136)는 나사 또는 볼트일 수 있다.
보관이동부(200)는 양측을 고정하는 하중지지부재(10)에 의해 지지되어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포장용기(30)는 컨베이어(20)에 의해 너비빙향으로 다수개 배치되어 길이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보관이동부(200)의 이동공간부(210)는 체적조절부(220)에 의해 체적의 변경에 따라 분배공급물의 공급량이 조절될 수 있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체적조절부(220)는, 각각의 상기 이동공간부(210)에 설치되는 조절블럭(230)와, 조절블럭(230)을 상호 너비방향으로 연결하는 지지축(240)와, 지지축(240)을 양측에 구비되고, 지지축(240)을 통해 조절블럭(230)의 길이방향 이동을 조절하여 길이변경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길이변경부(250)는, 지지축(240)의 양측에 직각방향으로 구비되는 이동축(252)과, 이동축(252)이 삽입 설치되어 이동축(252)을 길이방향으로 안내하는 안내블럭(254)과, 안내블럭(254)에 체결되어 이동축(232)을 가압하여 위치 고정하는 위치고정부재(256)를 포함한다.
조절블록(130)은 이동공간부(210)의 일측에서 길이변경부(250)를 통해 전진 및 후진이동하여 이동공간부(210)의 체적을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절블록(130)은 개폐작동부(400)의 제1개폐부재(410)가 이동공간부(210)를 차단한 상태에 있게 되므로 이동공간부(210)에서 체적을 결정하므로 포장용기(30)에 공급되는 분배공급물의 공급량을 정해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위치고정부재(256)는 나사 또는 볼트를 포함한다.
도 3,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스크래퍼부(300)는, 상기 저장케이스(100)의 양측에 구비되는 작동실린더(310)와, 작동실린더(310)의 축에 고정되고, 너비방향으로 연결되는 연결판(320)과, 연결판(320)에 설치되어 저장케이스(100)의 바닥을 긁어주는 스크래퍼부재(330)를 포함할 수 있다.
작동실린더(310)는 공압 또는 유압실린더를 적용할 수 있다.
연결판(320)은 스크래퍼부재(330)의 후면에 배치되는 메인연결판과, 스크래퍼부재(330)의 전면에 배치되어 메인연결판과 결합되는 보조연결판을 포함할 수 있다.
보조연결판은 메인연결판에 비해 높이가 낮게 형성될 수 있다.
메인연결판과 보조연갈판 모두는 ㄱ자 형상으로 굴곡 형성될 수 있다.
보조연결판은 스크래퍼부재(330)의 상단부에 대응하는 높이를 가지며, 메인결판의 상측 굴곡부위는 보조연갈판의 상측 굴곡부위를 커버하도록 전측으로 더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스크래퍼부재(330)는 고무재질 또는 연성합성수지재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경우에 따라 금속판체 등을 적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배공급물 분배장치는, 개폐작동부(400)가 상하측 다단으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보관이동부(200)의 하측에 구비되되, 상기 개폐작동부(400)의 다단 설치 개수만큼 다수개 중 일부의 상기 이동공간부(210)를 모아주어 순차적으로 이동되는 포장용기(30)로 각각 유입시키는 취합배출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취합배출부(500)는 깔대기 형태로 형성된다.
취합배출부(500)는 2개 이상의 이동공간부(210)를 모아주어 하측으로 갈수록 점차 협소해지는 취합부와, 취합부에서 하측으로 직선형상의 관로로 형성되는 배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개폐작동부(400)가 이동공간부(210)에 상하 2단으로 배치되면, 2개의 이동공간부(210)는 1개의 취합배출부(500)에 일체로 연결되고, 개폐작동부(400)가 이동공간부(210)에 상하 3단으로 배치되면, 3개의 이동공간부(210)는 1개의 취합배출부(500)에 일체로 연결되며, 개폐작동부(400)가 이동공간부(210)에 상하 N단으로 배치되면, N개의 이동공간부(210)는 1개의 취합배출부(500)에 일체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도 3 및 도 8을 참조하면, 개폐작동부(400)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1개씩 줄면서 보관이동부(200)에 설치되고, 취합배출부(500)에 일체로 연결된다.
이로써, 이동공간부(210)가 2개씩 1개의 취합배출부(500)에 연결되는 경우에는 스크래퍼부(300)의 잔후진 1회동작에 대해 포장용기(30)가 컨베이어(20)를 따라 2회 이동시켜 각 포장용기(30)에 분배공급물을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동공간부(210)가 3개씩 1개의 취합배출부(500)에 연결되는 경우에는 스크래퍼부(300)의 잔후진 1회동작에 대해 포장용기(30)가 컨베이어(20)를 따라 3회 이동시켜 각 포장용기(30)에 분배공급물을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스크래퍼부(300)의 전후진 동작이 늦더라도, 포장용기(30)의 이송속도는 2배, 3배 ... N배로 증속하는 것이 가능하여 분배공급물 공급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개폐작동부(400)는, 연통홀(110)을 통해 이동공간부(210)에 유입된 분배공급물을 정량씩 보관하도록 개폐작동부(400)를 통해 이동공간부(210)를 차단하고, 일시 보관된 분배공급물을 취합배출부(500)를 거쳐 포장용기(30)로 공급하도록 개방되는 제1개폐부재(410)와, 제1개폐부재(410)의 하부에 구비되되, 취합배출부(500)에 연결되는 이동공간부(210) 중 어느 일부에만 설치되어 제1개폐부재(410)의 개방시 차단되고, 제1개패부재(410)의 차단시 개방되어 분배공급물을 후속 포장용기(30)에 공급하는 제2개폐부재(4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개폐부재(410)는, 이동공간부(210)에 설치되어 개폐되는 다수개의 제1개폐판(412)과, 제1개폐판(412) 각각을 너비방향으로 배열시킨 상태에서 회동하도록 연결하는 제1연결축(414)과, 제1연결축(414)에 단부에 직각으로 연결 셜치되는 제1레버부재(416)와, 제1레머부재(416)에 연결되어 제1개폐판(412)을 회전시키는 제1개폐실린더(418);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개폐부재(420)는, 이동공간부(210)에 설치되어 개폐되는 디수개의 제2개폐판(422)와, 제2개폐판(422) 각각을 너비방향으로 배열시킨 상태에서 회동하도록 연결하는 제2연결축(424)와, 제2연결축(424)에 단부에 직각으로 연결 설치되는 제2레버부재(426)와, 제2레머부재(426)에 연결되어 상기 제2개폐판(422)을 회전시키는 제2개폐실린더(428)를 포함할 수 있다.
제2개폐판(422)은 제1개폐판(412)의 개수에 비해 하나씩 줄은 상태로 제1개폐판(412)의 하부에 배치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배공급물 분배장치의 작용 및 효과를 살펴보도록 한다.
도 7의 첫 번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호퍼(120)에서 저장된 분배공급물은 공급호퍼(120)의 출구를 통해 배출되어 저장케이스(120)에 저장된다. 공급호퍼(120)의 출구측에는 높이조절부(130)의 승강판(132)이 체결부재(136)의 풀림으로 승강판(132)을 장공(134)에서 상하측으로 이동하고 조여준 후, 공급호퍼(120)의 출구의 높이를 결정하여 저장케이스(100)에 저장되는 분배공급물의 높이를 정하도록 한다.
저장케이스(100)의 저면에는 진동부재(140)가 설치되어 저장케이스(100)에 진동을 가함으로써, 공급호퍼(120)에서 저장케이스(100) 측으로의 분배공금물의 배출을 촉진하고, 저장케이스(100)에 수용된 분배공급물의 높이 분포를 균일하게 유지하도록 한다.
이때, 스크래퍼부(300)의 작동실린더(310)는 신장 상태에 있으므로 저장케이스(100)의 연통홀(110)을 통해 분배공급물이 하강하여 이동공간부(210)에 일시 보관되며, 제1개폐부재(410)의 제1개폐판(412)은 이동공간부(210)를 차단시킨 상태에 있게 된다.
연이어, 도 7의 두 번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래퍼부(300)의 작동실린더(310)를 후진이동하여 저장케이스(100)의 바닥을 긁어줌에 따라 이동공간부(210)에 보관된 분배공급물은 정량을 유지한다.
그 다음, 도 7의 세 번째 도면과 도 8의 첫 번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작동부(400)의 제1개폐실린더(418)를 후진이동하게 되면, 제1레버부재(416)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1연결축(414)을 회전시켜 일체로 연결된 다수개의 제1개폐판(412, 본 도면에서 6개)을 회전시킵으로써, 분배공급물은 다수개의 이동공간부(210, 본 도면에서 6개)를 통해 낙하된다,
이때, 도 8의 첫 번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공간부(210) 중 일부(본 도면에서 3개)는 개방된 상태이므로 취합배출부(500)를 통해 다수개의 포장용기(30, 본 도면에서 3개)에 각각 공급되고, 이동공간부(210) 중 나머지 일부(본 도면에서 3개)는 개폐작동부(400)의 제2개폐부재(420) 차단에 의해 배출되지 않고 이동공간부(210)에 잔류하는 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도 8의 두 번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20)를 통해 뒤에 있던 포장용기(30)가 후속 이송된 후, 개폐작동부(400)의 제2개폐실린더(428)를 후진이동하게 되면, 제2레버부재(426)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제2연결축(424)을 회전시켜 일체로 연결된 다수개의 제2개폐판(422, 본 도면에서 3개)을 회전시킴으로써, 분배공급물은 다수개의 이동공간부(210, 본 도면에서 3개)를 통해 낙하되어 취합배출부(500)를 통해 후속 이송된 3개의 포장용기(30)에 각각 공급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배공급물 분배장치는, 시리얼, 가루, 분말 등을 포함하는 분배공급물을 보관케이스에 진동을 가해 골고루 분포시키고, 스크래퍼부의 전후 이동을 통해 보관케이스의 연통홀을 거쳐 정량 공급하며, 상하측으로 1단 또는 다단으로 배치되는 개폐작동부의 1회 또는 다단 순차 개폐를 거쳐 분배공급물을 포장용기에 신속하게 공급함으로써, 분배공급물을 졍랑 공급할 뿐만아니라, 분배공급물의 공급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하중지지부재 20 : 컨베이어
30 : 포장용기 100 : 저장케이스
110 : 연통홀 120 : 공급호퍼
130 : 높이조절부 132 : 승강판
134 : 장공 136 : 체결부재
140 : 진동부재 200 : 보관이동부
210 : 이동공간부 220 : 체적조절부
230 : 조절블록 240 : 지지축
250 : 길이변경부 252 : 이동축
254 : 안내블럭 256 : 위치고정부재
300 : 스크래퍼부 310 : 작동실린더
320 : 연결판 330 : 스크래퍼부재
400 : 개폐작동부 410 : 제1개폐부재
412 : 제1개폐판 414 : 제1연결축
416 : 제1레버부재 428 : 제1개폐실린더
420 : 제2개폐부재 422 : 제2개폐판
424 : 제2연결축 426 : 제2레버부재
428 : 제2개폐실린더

Claims (6)

  1. 분배공급물을 저장하고, 바닥에 다수개의 연통홀(110)이 형성되는 저장케이스(100);
    상기 저장케이스(100)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연통홀(110)을 통해 분배공급물이 유입되는 이동공간부(210)가 다수개 형성되는 보관이동부(200);
    상기 연통홀(210)을 통해 상기 이동공간부(210)에 수용된 분배공급물이 상기 저장케이스(100)의 바닥에서 노출되지 않도록 긁어주는 스크래퍼부(300); 및
    상기 이동공간부(210)에 수용된 분배공급물을 1회 또는 다수회 공급하도록 상기 이동공간부(210)에 1단 또는 상하로 다단 배치된 상태에서 작동하여 상기 보관이동부(200)의 하부에 구비된 포장용기(30)에 공급하는 개폐작동부(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공급물 분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이동부(200)의 이동공간부(210)는 체적조절부(220)에 의해 체적의 변경에 따라 분배공급물의 공급량이 조절되고,
    상기 체적조절부(220)는,
    각각의 상기 이동공간부(210)에 설치되는 조절블럭(230);
    상기 조절블럭(230)을 상호 너비방향으로 연결하는 지지축(240); 및
    상기 지지축(240)을 양측에 구비되고, 상기 지지축(240)을 통해 상기 조절블럭(230)의 길이방향 이동을 조절하여 길이변경부(2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공급물 분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래퍼부(300)는,
    상기 저장케이스(100)의 양측에 구비되는 작동실린더(310);
    상기 작동실린더(310)의 축에 고정되고, 너비방향으로 연결되는 연결판(320); 및
    상기 연결판(320)에 설치되어 상기 저장케이스(100)의 바닥을 긁어주는 스크래퍼부재(3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공급물 분배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작동부(400)가 상하측 다단으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보관이동부(200)의 하측에 구비되되, 상기 개폐작동부(400)의 다단 설치 개수만큼 다수개 중 일부의 상기 이동공간부(210)를 모아주어 순차적으로 이동되는 포장용기(30)로 각각 유입시키는 취합배출부(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공급물 분배장치.
  5.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작동부(400)는,
    상기 연통홀(110)을 통해 이동공간부(210)에 유입된 분배공급물을 정량씩 보관하도록 개폐작동부(400)를 통해 이동공간부(210)를 차단하고, 일시 보관된 분배공급물을 취합배출부(500)를 거쳐 포장용기(30)로 공급하도록 개방되는 제1개폐부재(410); 및
    상기 제1개폐부재(410)의 하부에 구비되되, 상기 취합배출부(500)에 연결되는 상기 이동공간부(210) 중 어느 일부에만 설치되어 상기 제1개폐부재(410)의 개방시 차단되고, 상기 제1개패부재(410)의 차단시 개방되어 분배공급물을 후속 포장용기(30)에 공급하는 제2개폐부재(4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공급물 분배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개폐부재(410)는,
    상기 이동공간부(210)에 설치되어 개폐되는 다수개의 제1개폐판(412);
    상기 제1개폐판(412) 각각을 너비방향으로 배열시킨 상태에서 회동하도록 연결하는 제1연결축(414);
    상기 제1연결축(414)에 단부에 직각으로 연결되는 제1레버부재(416); 및
    상기 제1레머부재(416)에 연결되어 상기 제1개폐판(412)을 회전시키는 제1개폐실린더(418);를 포함하고,
    상기 제2개폐부재(420)는,
    상기 이동공간부(210)에 설치되어 개폐되는 디수개의 제2개폐판(422);
    상기 제2개폐판(422) 각각을 너비방향으로 배열시킨 상태에서 회동하도록 연결하는 제2연결축(424);
    상기 제2연결축(424)에 단부에 직각으로 연결되는 제2레버부재(426); 및
    상기 제2레머부재(426)에 연결되어 상기 제2개폐판(422)을 회전시키는 제2개폐실린더(42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공급물 분배장치.
KR1020180026788A 2018-03-07 2018-03-07 분배공급물 분배장치 KR1020525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6788A KR102052546B1 (ko) 2018-03-07 2018-03-07 분배공급물 분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6788A KR102052546B1 (ko) 2018-03-07 2018-03-07 분배공급물 분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5966A true KR20190105966A (ko) 2019-09-18
KR102052546B1 KR102052546B1 (ko) 2019-12-05

Family

ID=68071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6788A KR102052546B1 (ko) 2018-03-07 2018-03-07 분배공급물 분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254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8088B1 (ko) * 2020-09-04 2022-08-29 이종석 식품재료의 정량 공급 장치
KR102606434B1 (ko) * 2021-12-30 2023-11-24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세미 정량 공급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즉석밥 제조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83401A (ja) * 1992-12-18 1994-07-05 Hitachi Kiden Kogyo Ltd 脱水スクリーン渣の袋充填装置
JPH09165001A (ja) * 1995-12-12 1997-06-24 Kao Corp 粉粒体の充填制御方法及び充填制御装置
JPH11198901A (ja) * 1998-01-14 1999-07-27 Hitachi Zosen Corp 粉粒体の充填機
JP2004239806A (ja) * 2003-02-07 2004-08-26 Toko Inc 粉末計量装置とその計量方法
JP2008145167A (ja) * 2006-12-07 2008-06-26 Katsuzo Kawanishi 計量包装システム
KR20160094461A (ko) * 2015-01-30 2016-08-10 하수선 분말약 분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분말약 분배 포장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83401A (ja) * 1992-12-18 1994-07-05 Hitachi Kiden Kogyo Ltd 脱水スクリーン渣の袋充填装置
JPH09165001A (ja) * 1995-12-12 1997-06-24 Kao Corp 粉粒体の充填制御方法及び充填制御装置
JPH11198901A (ja) * 1998-01-14 1999-07-27 Hitachi Zosen Corp 粉粒体の充填機
JP2004239806A (ja) * 2003-02-07 2004-08-26 Toko Inc 粉末計量装置とその計量方法
JP2008145167A (ja) * 2006-12-07 2008-06-26 Katsuzo Kawanishi 計量包装システム
KR20160094461A (ko) * 2015-01-30 2016-08-10 하수선 분말약 분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분말약 분배 포장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2546B1 (ko) 2019-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46842B2 (en) Blender
US7174846B2 (en) Method and device for preparing a layer of coating material, and coating device
KR102052546B1 (ko) 분배공급물 분배장치
US7665636B2 (en) Device for feeding fluids
RU2328419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наполнения пакетов пищевыми продуктами (варианты) и способ наполнения пакетов (варианты)
US6057514A (en) Removable hopper with material shut-off
KR200445676Y1 (ko) 재료 포장 장치
ITMO20130191A1 (it) Apparato di dosaggio
KR100845330B1 (ko) 떡고물 도포장치
RU2450960C2 (ru) Дозировочная машина для тестообразных продуктов с управляемой дозировкой
JP2007168979A (ja) 定量物品搬送装置
US2741401A (en) Feeder construction
EP2175733B1 (en) Crumb breading distribution system
RU2349070C1 (ru) Смеситель-разбрасыватель минеральных удобрений
RU2621260C2 (ru) Весовой дозатор для сыпучих продуктов
US20080230557A1 (en) Bulk feeding system and method
US3252631A (en) Feed dispensing and measuring apparatus
SU1750966A1 (ru) Устройство объемного дозировани порошков
US4867353A (en) Volumetric metering device
KR102664974B1 (ko) 식료품 자동 분배장치
SU1712162A1 (ru) Установка дл приготовлени бетонной смеси
KR200299019Y1 (ko) 포장기의 내용물 정량 공급장치
IE80809B1 (en) Apparatus for dispensing material especially granular material
KR200398281Y1 (ko) 분말 자동이송장치
IE921501A1 (en) Apparatus for dispensing material, especially granular materi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