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5643A - Potable water generator - Google Patents

Potable water gener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5643A
KR20190105643A KR1020197024419A KR20197024419A KR20190105643A KR 20190105643 A KR20190105643 A KR 20190105643A KR 1020197024419 A KR1020197024419 A KR 1020197024419A KR 20197024419 A KR20197024419 A KR 20197024419A KR 20190105643 A KR20190105643 A KR 201901056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zone
water
generated
generating means
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441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마모루 이케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하마마츠 베지터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하마마츠 베지터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하마마츠 베지터블
Publication of KR201901056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564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r application of a germicide or by oligodynamic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ozon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28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humid ai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78Details relating to ozone treatment devices
    • C02F2201/782Ozone genera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78Details relating to ozone treatment devices
    • C02F2201/784Diffusers or nozzles for ozon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eatment Of Water By Oxidation Or Reduction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수용 수단 안에 수용된 생성수가 효율적으로 확실하게 살균소독될 수 있고, 이로써 보다 위생적인 음료수를 얻는 것이 가능할 수 있는 음료수 생성 장치가 제공되어 있다. 공기를 냉각해서 그 공기 중의 수분을 응축시킴으로써 생성수를 얻기 위한 물 생성 수단(3), 물 생성 수단(3)에 의해 얻어진 소정량의 생성수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 수단(4), 수용 수단(4) 안에 수용된 생성수가 외부에 방출됨으로써 분배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방출 채널(5), 및 방출 채널(5)을 통해 방출되는 생성수를 정화해서 음료수를 생성하기 위한 정화 수단(7)을 포함하고 있는 음료수 생성 장치에 있어서, 오존을 생성할 수 있는 오존 생성 수단(9)이 제공되어 있고, 오존 생성 수단(9)에 의해 생성된 오존은 수용 수단(4) 안에 수용된 생성수 속으로 분출가능하다.There is provided a beverage production apparatus in which the generated water contained in the receiving means can be sterilized efficiently and reliably,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obtain a more hygienic beverage. Water generating means 3 for acquiring the generated water by cooling the air and condensing the moisture in the air, accommodating means 4 capable of accommodat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the generated water obtained by the water generating means 3, and accommodating means. (4) a discharge channel (5) configured to be distributable by discharging the generated water contained in (4), and purifying means (7) for purifying the produced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channel (5) to produce a beverage. In the beverage production apparatus, an ozone generating means (9) capable of generating ozone is provided, and ozone generated by the ozone generating means (9) can be ejected into the generated water contained in the accommodating means (4). Do.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1

Description

음료수 생성 장치Potable water generator

본 발명은, 공기를 냉각해서 그 공기 중의 수분을 응축시킴으로써 장치 안에서 생성수를 얻는 동시에, 그 생성수를 정화해서 음료수를 생성하기 위한 음료수 생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verage production apparatus for cooling the air to condense water in the air to obtain generated water in the apparatus, and to purify the generated water to produce a beverage.

공기를 냉각해서 그 공기 중의 수분을 응축시킴으로써 생성수를 얻는 동시에, 그 생성수를 정화해서 음료수를 생성하는 음료수 생성 장치가 현재까지도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음료수 생성 장치에 따르면, 외부 공기가 안으로 들어오게 되어서, 물 생성 수단에 의해 물이 생성된다(생성수). 이후, 그 생성수는 필터와 같은 정화 수단에 의해 정화되고, 이로써 음료수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그래서, 음료수를 수용하는 탱크 또는 이와 유사한 것을 교체할 필요가 없이, 음료수는 다양한 장소에서 용이하게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선행 기술이 공지된 발명들에 관한 것이 아니므로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야 하는 선행 기술 문헌 정보가 없다는 점에 주목한다. Drinking water production apparatuses which obtain the generated water by cooling the air and condensing the moisture in the air, and purifying the generated water to produce the beverage have been proposed until now. According to such a beverage producing device, outside air enters in, so that water is produced by the water producing means (generated water). The product water is then purified by purification means such as a filter, whereby it may be possible to produce a beverage. Thus, the beverage can be easily provided in various places without the need to replace a tank or the like containing the beverage. Note that this prior art does not relate to known inventions and therefore there is no prior art document information which should be described herein.

그러나, 상술되어 있는 종래 기술에 있어서, 음료수 생성 장치는 물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소정량의 물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 수단을 포함한다. 추가로, 수용 수단 안의 생성수가 필요한 경우 적당한 만큼 방출되는 동안 생성수를 정화해서 음료수가 생성되는 것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장치가 장시간에 걸쳐 사용되지 않는 경우라면, 세균 또는 이와 유사한 것이 수용 수단 안에 수용되어 있는 생성수 안에 발생해서 번식할 수 있다. However, in the above-mentioned prior art, the beverage production apparatus includes accommodation means capable of receiv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water generated by the water generation means. In addition, it is essential that the produced water is purified by purifying the produced water while being discharged as appropriate if necessary in the receiving means. Therefore, if the device is not used for a long time, bacteria or the like can be generated and propagated in the generated water contained in the receiving means.

본 발명은 상술되어 있는 상황들의 관점에서 행해진 것으로서, 수용 수단 안에 수용되는 생성수가 효율적으로 확실하게 살균소독될 수 있는 음료수 생성 장치를 제공하고, 이로써 보다 위생적인 음료수를 얻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situations, and provides a beverage production apparatus capable of sterilizing and disinfecting the produced water contained in the receiving means efficiently, whereby it may be possible to obtain a more hygienic beverage.

청구항 1에 따르는 발명에 있어서, 음료수 생성 장치는 공기를 냉각해서 그 공기 중의 수분을 응축시킴으로써 생성수를 얻기 위한 물 생성 수단, 상기 물 생성 수단에 의해 얻어진 소정량의 생성수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 수단, 상기 수용 수단 안에 수용된 생성수가 외부로 방출됨으로써 분배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방출 채널, 및 상기 방출 채널을 통해 방출되는 생성수를 정화해서 음료수를 생성하기 위한 정화 수단을 포함한다. 음료수 생성 장치는, 오존을 생성할 수 있는 오존 생성 수단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오존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오존이 상기 수용 수단 안에 수용된 생성수 속으로 분출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1, the beverage producing apparatus includes water generating means for obtaining generated water by cooling the air and condensing moisture in the air, and accommodat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generated water obtained by the water generating means. Means, a discharge channel configured to be distributable by discharging the generated water contained in the receiving means to the outside, and purifying means for purifying the generated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channel to produce a beverage. The beverage production apparatus includes ozone generating means capable of generating ozone, and is characterized in that ozone generated by the ozone generating means is ejectable into the generated water contained in the receiving means.

청구항 2에 따르는 발명에 있어서, 청구항 1에 따르는 음료수 생성 장치는 상기 오존 생성 수단을 상기 수용 수단에 접속하는 도입 채널, 상기 오존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오존을 상기 도입 채널을 통해서 상기 수용 수단 속으로 보낼 수 있는 오존 펌프, 및 상기 도입 채널에 부착되어 있되 상기 도입 채널로부터 상기 수용 수단 속으로 오존이 유동하는 것을 허용하면서 상기 수용 수단으로부터 상기 도입 채널 속으로의 생성수의 유동을 차단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체크 밸브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2, the beverage production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comprises an introduction channel for connecting said ozone generating means to said accommodating means, and ozone generated by said ozone generating means into said accommodating means through said inlet channel. An ozone pump capable of sending, and attached to the introduction channel, configured to block the flow of generated water from the accommodation means into the introduction channel while allowing ozone to flow from the introduction channel into the accommodation means. And a check valve.

청구항 3에 따르는 발명에 있어서, 청구항 1에 따르는 음료수 생성 장치는, 상기 수용 수단이 소정의 부위를 다른 부위에 접속해서 수용된 생성수가 순환하는 것을 허용하는 순환 채널을 포함한다는 점, 및 상기 오존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오존이 상기 순환 채널을 통해 순환하는 생성수 속으로 분출가능하다는 점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3, the beverage production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comprises a circulation channel in which the receiving means connects a predetermined site to another site to allow the received product water to circulate, and the ozone generating means. The ozone generated by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ossible to eject into the product water circulating through the circulation channel.

청구항 4에 따르는 발명에 있어서,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음료수 생성 장치는, 상기 수용 수단 안에 수용된 생성수의 수위(liquid level)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 수단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되는 수위가 소정의 수위 아래로 감소하는 조건 하에서, 상기 오존 생성 수단에 의한 오존의 생성 및 상기 수용 수단 안에 수용된 생성수 속으로의 오존의 분출이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4, the beverage produ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includes detection means for detecting a liquid level of generated water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means.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water level detected by the means decreases below a predetermined level, the ozone generation by the ozone generating means and the ejection of ozone into the generated water contained in the receiving means are stopped.

청구항 1에 따르는 발명은 오존을 생성할 수 있는 오존 생성 수단을 제공한다. 상기 오존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오존은 수용 수단 안에 수용된 생성수 속으로 분출가능하다. 따라서, 수용 수단 안에 수용된 생성수는 오존의 살균소독 효과에 의해 효율적으로 확실하게 살균소독될 수 있고, 이로써 보다 위생적인 음료수를 얻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1 provides an ozone generating means capable of generating ozone. Ozone generated by the ozone generating means can be ejected into the generated water contained in the receiving means. Therefore, the generated water contained in the receiving means can be sterilized efficiently and surely by the sterilization effect of ozone,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obtain a more hygienic beverage.

청구항 2에 따르는 발명은, 상기 오존 생성 수단을 상기 수용 수단에 접속하는 도입 채널, 오존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오존을 도입 채널을 통해서 수용 수단 속으로 보낼 수 있는 오존 펌프, 및 도입 채널에 부착되어 있되 도입 채널로부터 수용 수단 속으로 오존이 유동하는 것을 허용하면서 수용 수단으로부터 도입 채널 속으로의 생성수의 유동을 차단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체크 밸브를 제공한다. 따라서, 오존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오존은 수용 수단 안에 수용된 생성수 속으로 확실하게 분출될 수 있고, 수용 수단 안에 수용된 생성수는 오존 생성 수단에 도달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2 further comprises an inlet channel for connecting said ozone generating means to said accommodating means, an ozone pump capable of sending ozone generated by the ozone generating means through the inlet channel into the accommodating means, and an inlet channel. Providing a check valve configured to block the flow of product water from the receiving means into the introduction channel while allowing ozone to flow from the introduction channel into the receiving means. Thus, ozone generated by the ozone generating means can be surely blown into the generated water contained in the receiving means, and the generated water contained in the containing means can be prevented from reaching the ozone generating means.

청구항 3에 따르는 발명에 있어서, 수용 수단은 소정의 부위를 다른 부위에 접속해서 수용된 생성수가 순환하는 것을 허용하는 순환 채널을 포함한다. 추가로, 오존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오존은 순환 채널을 통해 순환하는 생성수 속으로 분출가능하다. 따라서, 수용 수단 안의 생성수는 순환되면서 교반되는 동안 오존에 의해 살균소독될 수 있고, 이로써 보다 위생적인 음료수를 얻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In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3, the accommodating means comprises a circulation channel which connects a predetermined site to another site to allow the received water to circulate. In addition, ozone produced by the ozone generating means is ejectable into the product water circulating through the circulation channel. Therefore, the generated water in the receiving means can be sterilized by ozone while being stirred while being circulated,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obtain a more hygienic beverage.

청구항 4에 따르는 발명은 수용 수단 안에 수용된 생성수의 수위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 수단을 제공한다.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수위가 소정의 수위 아래로 감소하는 조건 하에서, 오존 생성 수단에 의한 오존의 생성 및 수용 수단 안에 수용된 생성수 속으로의 오존의 분출은 정지된다. 따라서, 오존의 불필요한 사용이 방지될 수 있다.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4 provides a detection means for detecting the level of generated water contained in the accommodation means.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water level detected by the detection means decreases below the predetermined water level, the ozone generation by the ozone generating means and the ejection of ozone into the generated water contained in the receiving means are stopped. Thus, unnecessary use of ozone can be preven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음료수 생성 장치가 도시되어 있는 전체적인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는 음료수 생성 장치의 수용 수단 및 오존이 분출되는 방식이 도시되어 있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3은 음료수 생성 장치의 수용 수단 및 오존이 분출되는 다른 방식이 도시되어 있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음료수 생성 장치가 도시되어 있는 전체적인 개략적인 도면이다.
1 is a schematic overall view showing a beverage produ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receiving means of the beverage production apparatus and the manner in which ozone is ejected.
FIG. 3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receiving means of the beverage production apparatus and another way in which ozone is ejected.
4 is a schematic overall view showing a beverage produ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아래에 설명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 따르는 음료수 생성 장치는, 공기를 냉각해서 그 공기 중의 수분을 응축시킴으로써 장치 안에서 생성수를 얻는 동시에, 그 생성수를 정화해서 음료수를 생성하도록 의도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음료수 생성 장치는 장치 본체(1), 물 생성 수단(3), 수용 수단(4), 방출 채널(5), 정화 수단(7), 오존 생성 수단(9), 도입 채널(11), 오존 펌프(10), 및 체크 밸브(12)를 주로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is described below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beverage produ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intended to obtain the generated water in the apparatus by cooling the air and condensing the moisture in the air, while purifying the generated water to produce the beverage. As shown in FIG. 1, the beverage production apparatus comprises an apparatus body 1, a water generating means 3, a receiving means 4, a discharge channel 5, a purifying means 7, an ozone generating means 9. , An introduction channel 11, an ozone pump 10, and a check valve 12.

장치 본체(1)는 음료수 생성 장치의 하우징을 구성한다. (물 생성 수단(3), 정화 수단(7) 및 오존 생성 수단(9)과 같은) 다양한 수단 및 (오존 펌프(10) 및 방출 채널(5)과 같은) 부품들과 파이프들이 장치 본체(1) 내부에 배열되어 있다. 외부 공기를 장치 속으로 강제로 도입하기 위한 팬(2)은 장치 본체(1)의 소정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팬(2)은 외부 공기가 물 생성 수단(3)에 공급되면서 냉각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팬(2)에 의해 도입된 외부 공기(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을 포착해서 제거할 수 있는 필터 또는 이와 유사한 것을 배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점에 주목한다.The device body 1 constitutes a housing of the beverage production device. Various means (such as water generating means 3, purifying means 7 and ozone generating means 9) and parts and pipes (such as ozone pump 10 and discharge channel 5) ) Is arranged inside. A fan 2 for forcibly introducing outside air into the device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device body 1. The fan 2 is configured to be cooled while external air is supplied to the water generating means 3. Note that it is desirable to arrange a filter or the like that can capture and remove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outside air (air) introduced by the fan 2.

물 생성 수단(3)은 장치 본체(1) 안에 있는 공기 중의 수분을 응축시킴으로써 생성수를 얻을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예시들은 금속 부품의 배면에 형성되어 있는 핀(3a)들을 가지는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즉, 팬(2)은 공기를 물 생성 수단(3) 속으로 도입하고, 그 공기는 팬(2)으로부터의 송풍 및 핀(3a)들의 냉각 작용에 의해 냉각된다. 따라서, 생성수는 공기 중에 포함된 수분을 응축시킴으로써 효율적으로 얻어질 수 있다. 공기를 냉각해서 그 공기 중의 수분을 응축시킴으로써 생성수가 얻어지는 한, 다른 타입들의 물 생성 수단(3)도 사용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한다. The water generating means 3 can obtain the generated water by condensing moisture in the air in the apparatus main body 1. Examples that can be used include a device having pins 3a formed on the back side of a metal part. That is, the fan 2 introduces air into the water generating means 3, which air is cooled by the blowing from the fan 2 and the cooling action of the fins 3a. Therefore, the generated water can be efficiently obtained by condensing the moisture contained in the air. Note that other types of water generating means 3 can also be used, as long as product water is obtained by cooling the air to condense the moisture in the air.

물 생성 수단(3)에 의해 생성된 생성수는 물 생성 수단(3) 아래에 배열되어 있는 수용 수단(4)으로 공급된다. 수용 수단(4)은 물 생성 수단(3)에 의해 얻어진 소정량의 생성수를 수용할 수 있는 탱크 또는 이와 유사한 것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수용된 생성수의 수위를 검출할 수 있는 검출 수단(13)은 수용 수단(4)에 부착되어 있다. 검출 수단(13)의 예시들은 부유물의 부력을 이용하는 기계적 디바이스, (광이나 음파를 생성수에 조사하여 생성수를 통과하거나 그 위에 반사되는 광 또는 음파를 검출함으로써 수위를 검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센서와 같은) 센서를 이용하는 디바이스, 및 임의의 다른 타입들의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The generated water produced by the water generating means 3 is supplied to the receiving means 4 arranged below the water generating means 3. The accommodating means 4 consists of a tank or the like capable of accommodat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generated water obtained by the water generating means 3. In this embodiment, a detection means 13 capable of detecting the water level of the received generated water is attached to the accommodation means 4. Examples of the detection means 13 are mechanical devices that utilize buoyancy of a float, (sensors configured to detect water levels by irradiating light or sound waves to generated water and detecting light or sound waves passing through or reflected on the generated water). Devices) using sensors, and any other types of devices.

나아가, 파이프, 튜브 또는 이와 유사한 것으로 이루어진 방출 채널(5)은 수용 수단(4)의 바닥에 접속되어 있다. 방출 채널(5)은 수용 수단(4) 안에 수용된 생성수가 외부로 방출됨으로써 분배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음료수는 원위 단부에서 토출구(5a)로부터 토출될 수 있고, 방출 펌프(6), 정화 수단(7) 및 전자기 밸브(8)는 채널을 따라 중간지점에 배열되어 있다. 그런데, 보통, 방출 펌프(6)는 정지 상태에 있고, 전자기 밸브(8)는 폐쇄 상태(방출 채널(5)이 폐쇄된 상태)에 있다.Furthermore, the discharge channel 5 consisting of a pipe, tube or the like is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receiving means 4. The discharge channel 5 is configured to be distributable by discharging the generated water contained in the receiving means 4 to the outside. Drinking water can be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5a at the distal end, and the discharge pump 6, the purifying means 7 and the electromagnetic valve 8 are arranged at an intermediate point along the channel. By the way, usually, the discharge pump 6 is in the stopped state, and the electromagnetic valve 8 is in the closed state (the discharge channel 5 is closed).

나아가, 예컨대 장치 본체(1)의 정면, 측면 또는 이와 유사한 것에 부착되어 있는 조작 버튼이나 레버로 이루어진 조작 수단(14)이 조작되는 경우, 방출 펌프(6)는 전자기 밸브(8)가 개방 상태(방출 채널(5)이 개방되어 있는 상태)로 되는 동안 구동된다. 따라서, 수용 수단(4) 안에 수용된 생성수는 방출 채널(5)을 통해서 유동하고, 토출구(5a)로부터 토출된다. 방출 펌프(6)가 제공될 필요가 없어서 전자기 밸브(8)가 개방 상태로 되는 경우 음료수가 자중에 의해 토출구(5a)로부터 토출될 수 있다는 점, 또는 전자기 밸브(8)가 제공될 필요가 없어서 구동하지 않는 상태에서 채널을 폐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동되는 경우 생성수를 유동시킬 수 있는 방출 펌프(6)가 사용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한다. Furthermore, for example, when the operating means 14 consisting of operation buttons or levers attached to the front, side, or the like of the apparatus main body 1 is operated, the discharge pump 6 may be operated in an open state (the electromagnetic valve 8 is opened ( Drive channel 5 in an open state). Therefore, the generated water contained in the accommodating means 4 flows through the discharge channel 5 and is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5a. When the electromagnetic valve 8 is opened because the discharge pump 6 does not need to be provided, the beverage can be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5a by its own weight, or the electromagnetic valve 8 does not need to be provided. Note that a discharge pump 6 can be used which can not only close the channel in the non-driven state but also flow the product water when driven.

정화 수단(7)은 방출 채널(5)을 통해 방출되는 생성수를 정화해서 음료수를 생성하도록 의도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활성탄 필터나 RO 막과 같은 복수의 정화 수단이 접속되어 있다. 그래서, 수용 수단(4) 안에 수용된 생성수는 정화 수단(7)을 통과하고, 생성수가 방출 채널(5)을 통해 유동하는 과정에서 음료수로 정화된다. 음료수는 토출구(5a)로부터 토출된다. 오존 생성 수단(9)으로부터 생성수 속으로 분출된 오존을 중화(예컨대 오존을 다시 산소로 분해하는 작용)시킬 수 있는 디바이스가 정화 수단(7)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한다. The purifying means 7 is intended to purify the produced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channel 5 to produce a beverage. In this embodiment, a plurality of purifying means such as an activated carbon filter and a RO membrane are connected. Thus, the product water contained in the receiving means 4 passes through the purifying means 7 and is purified by the drinking water in the course of the product water flowing through the discharge channel 5. Drinking water is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5a. Note that a device capable of neutralizing the ozone ejected from the ozone generating means 9 into the product water (for example, the action of decomposing ozone back to oxygen) can be used as the purifying means 7.

오존 생성 수단(9)은 장치 본체(1) 안에서 오존(O3)을 생성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예시들은 유전체 장벽 방전 시스템(dielectric barrier discharge system)이나 코로나 방전 시스템(corona discharge system) 또는 몇가지 방전 시스템들이 조합되어 있는 조합식 방전 시스템(combined discharge system)으로 된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서로 대향하는 2개의 전극들 사이에 유전체를 두고 전극들 사이에 수천 사이클의 높은 AC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전기 방전(유전체 장벽 방전)이 유발될 뿐만 아니라 전극들 사이의 갭 안에서 공기(또는 고농도 산소)가 유동하게 되어 있는 디바이스가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일부 산소 분자들은 전기 방전에 의해 생성된 가속 전자의 작용에 의해 2개의 산소 원자로 해리되고, 그 해리된 산소 원자들은 다른 산소 분자들과 반응해서 오존을 생성한다. The ozone generating means 9 can generate ozone O 3 in the apparatus body 1. Examples that may be used include devices in dielectric barrier discharge systems, corona discharge systems or combined discharge systems in which several discharge systems are combined. Specifically, by placing a dielectric between two opposite electrodes and applying thousands of cycles of high AC voltage between the electrodes, not only electric discharge (dielectric barrier discharge) is induced, but also air (or high concentration) in the gaps between the electrodes. There is a device in which oxygen) is allowed to flow. In this case, some oxygen molecules dissociate into two oxygen atoms by the action of accelerating electrons generated by electrical discharge, and the dissociated oxygen atoms react with other oxygen molecules to produce ozone.

오존 생성 수단(9)이 방전 시스템과 상이한 시스템을 가질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한다. 예시들은 자외선 램프를 사용하는 광화학적 방법에 의해 오존을 생성할 수 있는 디바이스, 전기분해를 이용하는 전기분해 방법에 의해 오존을 생성할 수 있는 디바이스, 및 활성탄을 사용하는 흡착 분해를 수반하는 활성탄 흡착 분해 방법에 의해 오존을 생성할 수 있는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이러한 오존 생성 수단(9)에 의해 생성된 오존은 (세균이나 진균과 같은) 미생물이나 악취물질에 작용하고, 이로써 살균소독 및 탈취뿐만 아니라 색소류의 탈색도 달성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Note that the ozone generating means 9 may have a system different from the discharge system. Examples include activated carbon adsorption decomposition involving adsorption decomposition using activated carbon, devices capable of producing ozone by photochemical methods using ultraviolet lamps, devices capable of generating ozone by electrolysis methods using electrolysis, and activated carbon using activated carbon. A device capable of producing ozone by the method. The ozone produced by such ozone generating means 9 acts on microorganisms (such as bacteria and fungi) or odorous substances,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achieve disinfection and deodorization as well as discoloration of pigments.

도입 채널(11)은 오존 생성 수단(9)을 수용 수단(4)에 접속하는 파이프 또는 튜브와 같은 채널로 이루어져 있고, 오존 생성 수단(9)에 의해 생성된 오존이 수용 수단(4)에 공급되어 수용 수단(4) 안에 수용된 생성수 속으로 분출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도입 채널(11)은, 그 원위 단부에 있는 토출구(11a)가 수용 수단(4)의 바닥의 근처에 위치되도록 배열되어 있되 오존 생성 수단(9)에 의해 생성된 오존이 토출구(11a)로부터 토출되어 수용 수단(4) 안에 수용된 생성수 속으로 분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introduction channel 11 consists of a channel such as a pipe or a tube connecting the ozone generating means 9 to the receiving means 4, and ozone generated by the ozone generating means 9 is supplied to the receiving means 4. And jetted into the generated water contained in the receiving means (4). In other words, as shown in FIG. 2, the introduction channel 11 is arranged such that the discharge port 11a at its distal end is positioned near the bottom of the receiving means 4, but to the ozone generating means 9. The ozone generated by the discharge is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11a and discharged into the generated water contained in the accommodating means 4.

그래서, 토출구(11a)로부터 분출된 오존은 기포의 형태로 생성수 안에서 위쪽을 향하여 유동하고, 생성수는 이 과정에서 살균소독될 수 있다. 도 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복수의 토출구(1lb)가 그 원위 단부에 형성되어 오존이 각각의 토출구(1lb)로부터 분출되도록 도입 채널(11)이 구성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살균소독 효과는 더욱 향상될 수 있는데, 이는 오존이 수용 수단(4)의 실질적으로 전체적인 영역에 걸쳐 공급되고 분출될 수 있기 때문이다. Thus, ozone ejected from the discharge port 11a flows upward in the product water in the form of bubbles, and the product water can be sterilized in this process. Note that the introduction channel 11 can be configured such that a plurality of outlets 1 lb are formed at its distal end as shown in FIG. 3 so that ozone is ejected from each outlet 1 lb. In this case, the bactericidal effect can be further improved because ozone can be supplied and ejected over substantially the entire area of the receiving means 4.

나아가, 오존 펌프(10)와 체크 밸브(12)는 도입 채널(11)에 부착되어 있다. 오존 펌프(10)는, 구동되는 경우 오존 생성 수단(9)에 의해 생성된 오존을 도입 채널(11)을 통해서 수용 수단(4) 속으로 보낼 수 있는 펌프로 이루어져 있다. 체크 밸브(12)는, 도입 채널(11)로부터 수용 수단(4) 속으로 오존이 유동하는 것을 허용하면서 수용 수단(4)으로부터 도입 채널(11) 속으로의 생성수의 유동을 차단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밸브로 이루어져 있다. Furthermore, ozone pump 10 and check valve 12 are attached to introduction channel 11. The ozone pump 10 consists of a pump which, when driven, can send ozone produced by the ozone generating means 9 through the introduction channel 11 into the receiving means 4. The check valve 12 is configured to block the flow of generated water from the receiving means 4 into the introduction channel 11 while allowing ozone to flow from the introduction channel 11 into the receiving means 4. Consists of a valve.

여기에서, 이 실시예에 있어서, 검출 수단(13)에 의해 검출된 수위가 소정의 수위를 유지하는 정상 상태에서, 오존 생성 수단(9)에 의해 생성된 오존은 수용 수단(4) 안에 수용된 생성수 속으로 분출된다. 검출 수단(13)에 의해 검출된 수위가 소정의 수위보다 아래로 감소하는 조건 하에서, 오존 생성 수단(9)에 의한 오존의 생성 및 수용 수단(4) 안에 수용된 생성수 속으로의 오존의 분출은 자동적으로 정지된다(즉, 오존 펌프(10)는 정지된다).Here, in this embodiment, in the steady state in which the water level detected by the detecting means 13 maintains a predetermined water level, ozone generated by the ozone generating means 9 is generated in the receiving means 4. Erupted into water.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water level detected by the detecting means 13 decreases below the predetermined water level, the ozone generating means 9 generates and releases ozone into the generated water contained in the receiving means 4. It is automatically stopped (ie, the ozone pump 10 is stopped).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음료수 생성 장치가 기술되어 있다. 상술되어 있는 실시예와 유사하게, 이 실시예에 따르는 음료수 생성 장치는, 공기를 냉각해서 그 공기 중의 수분을 응축시킴으로써 장치 안에서 생성수를 얻는 동시에, 그 생성수를 정화해서 음료수를 생성하도록 의도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음료수 생성 장치는 장치 본체(1), 물 생성 수단(3), 수용 수단(4), 방출 채널(5), 정화 수단(7), 오존 생성 수단(9), 도입 채널(11), 오존 펌프(10), 및 체크 밸브(12)를 주로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술되어 있는 실시예의 구성 요소들과 유사한 구성 요소들이 동일한 참조 부호로 표현되어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는 점에 주목한다. Next, a beverage produ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Similar to 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beverage produ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intended to obtain the generated water in the apparatus by cooling the air and condensing the moisture in the air, while purifying the generated water to produce the beverage. have. As shown in FIG. 4, the beverage production apparatus comprises an apparatus body 1, a water generating means 3, a receiving means 4, a discharge channel 5, a purifying means 7, an ozone generating means 9. , An introduction channel 11, an ozone pump 10, and a check valve 12. Note that components similar to thos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이 실시예에 따르는 수용 수단(4)은 물 생성 수단(3)에 의해 얻어진 소정량의 생성수를 수용할 수 있는 탱크 또는 이와 유사한 것으로 이루어져 있다. 수용 수단(4)은 소정의 부위를 다른 부위에 접속해서 수용된 생성수가 순환하는 것을 허용하는 순환 채널(15)을 포함한다. 이러한 순환 채널(15)은 수용 수단(4)에 접속된 파이프 또는 튜브와 같은 채널로 이루어져 있고, 순환 펌프(16)는 순환 채널(15)에 부착되어 있다. 나아가, 순환 펌프(16)를 구동시킴으로써, 수용 수단(4) 안의 생성수는 소정의 부위로부터 다른 부위까지 유동하게 되어 있다. 그래서, 생성수는 수용 수단(4) 안에서 순환될 수 있다.The accommodating means 4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consists of a tank or the like capable of accommodat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generated water obtained by the water generating means 3. The accommodating means 4 comprise a circulation channel 15 which connects a given part to another part to allow the received product water to circulate. This circulation channel 15 consists of a channel such as a pipe or tube connected to the receiving means 4, and the circulation pump 16 is attached to the circulation channel 15. Furthermore, by driving the circulation pump 16, the generated water in the accommodating means 4 flows from a predetermined part to another part. Thus, the generated water can be circulated in the receiving means 4.

도입 채널(11)은 순환 채널(15)에 접속되어 있다. 오존 생성 수단(9)에 의해 오존을 발생시키면서 오존 펌프(10)를 구동시킴으로써, 오존 생성 수단(9)에 의해 생성된 오존은 순환 채널(15)을 통해 순환하는 생성수 속으로 분출될 수 있다. 따라서, 오존은 생성수가 순환 채널(15)을 통해 유동하는 과정에서 수용 수단(4) 안에 수용된 생성수 속으로 분출된다. 그러므로, 전체 생성수는 살균소독된다.The introduction channel 11 is connected to the circulation channel 15. By driving the ozone pump 10 while generating ozone by the ozone generating means 9, the ozone generated by the ozone generating means 9 can be ejected into the circulating product water through the circulation channel 15. . Thus, ozone is ejected into the product water contained in the receiving means 4 in the course of the product water flowing through the circulation channel 15. Therefore, the total generated water is disinfected.

상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은 오존을 생성할 수 있는 오존 생성 수단(9)을 제공한다. 오존 생성 수단(9)에 의해 생성된 오존은 수용 수단(4) 안에 수용된 생성수 속으로 분출가능하다. 따라서, 수용 수단(4) 안에 수용된 생성수는 오존의 살균소독 효과에 의해 효율적으로 확실하게 살균소독될 수 있고, 이로써 보다 위생적인 음료수를 얻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특히, 오존 생성 수단(9)에 의해 생성된 오존은 기포의 형태로 수용 수단(4) 안의 생성수 안에서 위쪽을 향하여 유동하고, 장치 본체(1) 내부에서 확산된다. 따라서, 장치 본체(1) 내부의 다른 수단(예컨대 물 생성 수단(3))은 마찬가지로, 예컨대 살균소독될 수 있다.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provide an ozone generating means 9 capable of producing ozone. Ozone generated by the ozone generating means 9 can be ejected into the generated water contained in the receiving means 4. Therefore, the generated water contained in the accommodating means 4 can be sterilized efficiently and surely by the sterilization effect of ozone,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obtain a more hygienic beverage. In particular, ozone generated by the ozone generating means 9 flows upward in the product water in the accommodating means 4 in the form of bubbles, and diffuses inside the apparatus main body 1. Thus, other means (eg water generating means 3) inside the apparatus body 1 can likewise be sterilized, for example.

나아가, 실시예들은 오존 생성 수단(9)을 수용 수단(4)에 접속하는 도입 채널(11), 오존 생성 수단(9)에 의해 생성된 오존을 도입 채널(11)을 통해서 수용 수단(4) 속으로 보낼 수 있는 오존 펌프(10), 도입 채널(11)에 부착되어 있되 도입 채널(11)로부터 수용 수단(4) 속으로 오존이 유동하는 것을 허용하면서 수용 수단(4)으로부터 도입 채널(11) 속으로의 생성수의 유동을 차단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체크 밸브(12)를 제공한다. 따라서, 오존 생성 수단(9)에 의해 생성된 오존은 수용 수단(4) 안에 수용된 생성수 속으로 확실하게 분출될 수 있고, 수용 수단(4) 안에 수용된 생성수는 오존 생성 수단(9)에 도달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Furthermore, embodiments provide an introduction channel 11 which connects the ozone generating means 9 to the receiving means 4, and the ozone generated by the ozone generating means 9 through the introduction channel 11. An ozone pump 10 which can be sent into the inlet, which is attached to the inlet channel 11, allows the flow of ozone from the inlet channel 11 into the receiving means 4 while allowing the ozone to flow from the inlet channel 4 And a check valve 12 configured to block the flow of product water into the c). Thus, ozone generated by the ozone generating means 9 can be reliably jetted into the generated water contained in the accommodating means 4, and the generated water contained in the accommodating means 4 reaches the ozone generating means 9. Can be prevented.

나아가,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수용 수단(4)은 소정의 부위를 다른 부위에 접속해서 수용된 생성수가 순환하는 것을 허용하는 순환 채널(15)을 포함한다. 추가로, 오존 생성 수단(9)에 의해 생성된 오존은 순환 채널(15)을 통해 순환하는 생성수 속으로 분출가능하다. 따라서, 수용 수단(4) 안의 생성수는 순환되면서 교반되는 동안 오존에 의해 살균소독될 수 있고, 이로써 보다 위생적인 음료수를 얻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Furthermo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accommodating means 4 comprise a circulation channel 15 which connects a given part to another part to allow the received water to circulate. In addition, ozone produced by the ozone generating means 9 is ejectable into the product water circulating through the circulation channel 15. Therefore, the generated water in the receiving means 4 can be sterilized by ozone while being stirred while being circulated,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obtain a more sanitary drink.

더욱 나아가, 수용 수단(4) 안에 수용된 생성수의 수위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 수단(13)이 제공되어 있다. 검출 수단(13)에 의해 검출된 수위가 소정의 수위보다 아래로 감소하는 조건 하에서, 오존 생성 수단(9)에 의한 오존의 생성 및 수용 수단(4) 안에 수용된 생성수 속으로의 오존의 분출은 정지된다. 따라서, 오존의 불필요한 사용은 방지될 수 있다. 그래서, 장치의 운영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Furthermore, a detection means 13 for detecting the water level of the generated water contained in the accommodation means 4 is provided.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water level detected by the detecting means 13 decreases below the predetermined water level, the ozone generating means 9 generates and releases ozone into the generated water contained in the receiving means 4. Is stopped. Thus, unnecessary use of ozone can be prevented. Thus, the operating cost of the device can be reduced.

실시예들이 상술되어 있지만, 본 발명이 이러한 것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방출 채널(5)이나 도입 채널(11)이 수용 수단(4)의 다른 부위에 접속되어 있거나, 순환 채널(15)이 다른 부위에 접속되어 순환을 달성하는 장치가 채택될 수도 있다. 나아가, 실시예들에서, 수용 수단(4) 및 오존 생성 수단(9)이 장치 본체(1) 내부에 배열되어 있지만, 수용 수단(4)과 오존 생성 수단(9)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자 모두는 장치 본체(1)의 위쪽이나 그 측면에 배열될 수도 있다. Although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For example, an arrangement may be employed in which the discharge channel 5 or the introduction channel 11 is connected to another part of the receiving means 4 or the circulation channel 15 is connected to another part to achieve circulation. Furthermore, in the embodiments, the receiving means 4 and the ozone generating means 9 are arranged inside the apparatus body 1, but either or both of the receiving means 4 and the ozone generating means 9 It may be arranged above or on the side of the device body 1.

산업상 이용가능성Industrial availability

예를 들어, 음료수 생성 장치가 오존을 생성할 수 있는 오존 생성 수단을 포함하되 오존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오존이 수용 수단 안에 수용된 생성수 속으로 분출가능하는 한, 상이한 외형을 가지거나 이에 부가된 다른 기능들을 가지는 음료수 생성 장치 역시 적용가능하다. For example, the beverage producing apparatus includes ozone generating means capable of generating ozone, but has a different appearance or is added thereto so long as ozone generated by the ozone generating means is capable of ejecting into the product water contained in the receiving means. Drinking water generating devices having other functions are also applicable.

1 장치 본체
2 팬
3 물 생성 수단
3a 핀
4 수용 수단
5 방출 채널
5a 토출구
6 방출 펌프
7 정화 수단
8 전자기 밸브
9 오존 생성 수단
10 오존 펌프
11 도입 채널
11a, 1lb 분출구 (토출구)
12 체크 밸브
13 검출 수단
14 조작 수단
15 순환 채널
16 순환 펌프
1 device body
2 fans
3 water generating means
3a pin
4 accommodation means
5 emission channels
5a discharge port
6 discharge pump
7 purification means
8 electromagnetic valve
9 ozone generating means
10 ozone pump
11 introduction channels
11a, 1lb spout (outlet)
12 check valve
13 detection means
14 operation means
15 circulation channels
16 circulation pump

Claims (4)

공기를 냉각해서 그 공기 중의 수분을 응축시킴으로써 생성수를 얻기 위한 물 생성 수단;
상기 물 생성 수단에 의해 얻어진 소정량의 생성수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 수단;
상기 수용 수단 안에 수용된 생성수가 외부에 방출됨으로써 분배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방출 채널; 및
상기 방출 채널을 통해 방출되는 생성수를 정화해서 음료수를 생성하기 위한 정화 수단;
을 구비하는 음료수 생성 장치에 있어서,
오존을 생성할 수 있는 오존 생성 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오존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오존이 상기 수용 수단 안에 수용된 생성수 속으로 분출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 생성 장치.
Water generating means for cooling the air to condense the moisture in the air to obtain the produced water;
Accommodating means capable of accommodat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generated water obtained by said water generating means;
A discharge channel configured to be distributable by discharge of generated water contained in the receiving means to the outside; And
Purifying means for purifying the produced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channel to produce a beverage;
In the beverage production apparatus having a,
And ozone generating means capable of generating ozone, wherein ozone generated by said ozone generating means is capable of ejecting into the generated water contained in said accommodating mean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존 생성 수단을 상기 수용 수단에 접속하는 도입 채널;
상기 오존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오존을 상기 도입 채널을 통해서 상기 수용 수단 속으로 보낼 수 있는 오존 펌프; 및
상기 도입 채널에 부착되어, 상기 도입 채널로부터 상기 수용 수단 속으로 오존이 유동하는 것을 허용하면서 상기 수용 수단으로부터 상기 도입 채널 속으로의 생성수의 유동을 차단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체크 밸브;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 생성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 introduction channel connecting said ozone generating means to said receiving means;
An ozone pump capable of sending ozone generated by said ozone generating means into said receiving means through said introduction channel; And
A check valve attached to the introduction channel, the check valve configured to block flow of generated water from the accommodation means into the introduction channel while allowing ozone to flow from the introduction channel into the accommodation means;
Beverage production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수단은 소정의 부위를 다른 부위에 접속해서 수용된 생성수가 순환하는 것을 허용하는 순환 채널를 구비하고, 상기 오존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오존은 상기 순환 채널을 통해 순환하는 생성수 속으로 분출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 생성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accommodating means has a circulating channel for connecting the predetermined part to another part to allow the generated water to circulate, and the ozone generated by the ozone generating means is capable of being ejected into the circulating water circulating through the circulating channel. Drinking water genera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수단 안에 수용된 생성수의 수위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 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수위가 소정의 수위보다 아래로 감소하는 조건 하에서, 상기 오존 생성 수단에 의한 오존의 생성 및 상기 수용 수단 안에 수용된 생성수 속으로의 오존의 분출이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 생성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Detecting means for detecting the water level of the generated water accommodated in said accommodating means, and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water level detected by said detecting means decreases below a predetermined water level, generation of ozone by said ozone generating means and And a spray of ozone into the product water accommodated in said receiving means is stopped.
KR1020197024419A 2017-01-27 2018-01-25 Potable water generator KR20190105643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012619 2017-01-27
JP2017012619A JP6783676B2 (en) 2017-01-27 2017-01-27 Drinking water generator
PCT/JP2018/002348 WO2018139551A1 (en) 2017-01-27 2018-01-25 Drinking water genera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5643A true KR20190105643A (en) 2019-09-17

Family

ID=62979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4419A KR20190105643A (en) 2017-01-27 2018-01-25 Potable water generator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783676B2 (en)
KR (1) KR20190105643A (en)
CN (1) CN110312837A (en)
PH (1) PH12019501739A1 (en)
WO (1) WO2018139551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76908B2 (en) 2018-06-22 2021-12-08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Resin coated cord and pneumatic tire
CN110820851A (en) * 2020-01-06 2020-02-21 深圳澳蓝智康爱特科技发展有限公司 Intelligent air to water machine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27602A (en) * 1987-07-22 1989-01-3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Water supply equipment
US5259203A (en) * 1992-05-14 1993-11-09 Engel Daniel R Apparatus and method for extracting potable water from atmosphere
JPH07241538A (en) * 1994-02-28 1995-09-19 Shoji Toyoda Method and apparatus for cleaning inside of water-supply pipeline
CN2401542Y (en) * 1999-11-05 2000-10-18 张存信 Water quality treatment apparatus for water channel
JP2005023711A (en) * 2003-06-30 2005-01-27 Masanobu Matsuzaki Fresh water generation by water vapor condensation in air
CN101084405A (en) * 2004-09-03 2007-12-05 圣母峰水公司 Water producing method and apparatus
US7886557B2 (en) * 2004-09-03 2011-02-15 Everest Water, Ltd. Water producing method and apparatus with additive control system
BRPI0711027A2 (en) * 2006-05-15 2011-05-31 Island Sky Corp adiabatic multipurpose apparatus and methods for the production of drinking water
CN2917629Y (en) * 2006-06-22 2007-07-04 杭州阳光卫厨电器有限公司 Health-care nursing washing machine
CN201240921Y (en) * 2008-06-10 2009-05-20 李文庆 Ozone water circulating device
CN103609920A (en) * 2013-11-23 2014-03-05 王仁军 Ozone disinfector
CN104671390A (en) * 2015-01-19 2015-06-03 安徽舜禹水务实业有限公司 External water tank disinfecting instrument
CN204570804U (en) * 2015-03-16 2015-08-19 杭州弘泰电器有限公司 Air water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783676B2 (en) 2020-11-11
WO2018139551A1 (en) 2018-08-02
PH12019501739A1 (en) 2020-06-01
JP2018119352A (en) 2018-08-02
CN110312837A (en) 2019-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93661B2 (en) Plasma generator, cleaning and purification apparatus using the plasma generator, and electrical equipment
KR20120052910A (en) Fluid treatment apparatus
JP2012043769A (en) Plasma generating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radical, washing and cleaning device using the same, and compact electrical appliance
CN1213771C (en) Apparatus for generating ultraviolet radiation and ozone by using microwave
KR20190105643A (en) Potable water generator
KR101800379B1 (en) A water combined air plasma processing device
KR20070038074A (en) The water treatment system for a sterilization and a purification
KR20140130468A (en) Water server
WO2013011761A1 (en) Cleaning apparatus
KR100786625B1 (en) A sterilizing and purifying apparatus for vessel
JP6459127B2 (en) Water treatment equipment
KR100552978B1 (en) Manufacturing equipment for sterilized water with Uzone applied reactor in ozone-contact
KR101289909B1 (en) A water-cleaning and sterilizing device for live fish aquarium
KR101020112B1 (en) Apparatus for removing the dissolved oxygen and sterilizing
US6602409B1 (en) Apparatus for supplying deozonized ozone sterilized water
KR102304882B1 (en) Air purifying system
JP2022113450A (en) air purifier
KR100207095B1 (en) Water purification system using ozone and ultra-violet light
KR102081880B1 (en) Reactor for circulating advanced oxidation treatment
KR101595372B1 (en) A water cleaning and sterilizing device for aquarium
JP2014004499A (en) Ozone-containing liquid generator and washing device with the same
CN214457379U (en) Environment-friendly medical wastewater treatment device
JP200621836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ing water
JP6584994B2 (en) Sterilization method and sterilization apparatus
KR20170009419A (en) Vessle ballast water treatment apparatus for handling harmful water creature and pathogenic bacteri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