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5556A - 2d 동영상을 시차를 이미 내포하는 콘텐츠로 형성케 함으로써 일반 화면을 통하여 입체안경 없이 한 눈을 실명한 사람도 한 쪽 눈만으로도 볼 수 있는 3d 입체 동영상으로 생성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2d 동영상을 시차를 이미 내포하는 콘텐츠로 형성케 함으로써 일반 화면을 통하여 입체안경 없이 한 눈을 실명한 사람도 한 쪽 눈만으로도 볼 수 있는 3d 입체 동영상으로 생성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5556A
KR20190105556A KR1020190110529A KR20190110529A KR20190105556A KR 20190105556 A KR20190105556 A KR 20190105556A KR 1020190110529 A KR1020190110529 A KR 1020190110529A KR 20190110529 A KR20190110529 A KR 20190110529A KR 20190105556 A KR20190105556 A KR 201901055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eye
stereoscopic
frame
paralla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05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도
Original Assignee
김성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도 filed Critical 김성도
Priority to KR10201901105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05556A/ko
Publication of KR201901055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55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02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56Image reproducers having separate monoscopic and stereoscopic modes
    • H04N13/359Switching between monoscopic and stereoscopic m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D 동영상을 입체안경 없이 일반적인 2D 모니터를 통하여 한 쪽 눈만으로도 맨눈으로 입체 동영상으로 볼 수 있도록 2D 동영상의 각 프레임의 영상을 세밀하게 각각 다른 각도에서 입사한 것과 같은 영상으로 시차를 순차적으로 부여하여 변환하여 줌으로써 한 쪽 눈만으로도 맨눈으로 2D 동영상을 일반 화면을 통해서 입체 동영상으로 볼 수 있도록 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2D 동영상의 각 후레임의 영상을 분석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분석한 2D 동영상의 각 후레임의 영상을 영상마다 세밀하게 시차(12)를 두어 이전 후레임의 영상(2)과 다음 후레임(3)의 영상간의 시차를 지닌 시각차이가 순차적인 잔상의 의하여 뇌에서 합성되어 입체 동영상으로 형성되는 순차적인 시차를 지닌 각 후레임의 영상(2,3,4,......28,29,30)으로, 변환하여, 각 프레임의 영상을 각 프레임마다 다른 다시각의 영상으로 변환된 영상들이 되게 함으로써,
일반적인 보통의 디스플레이에서 상기 시차를 지닌 후레임의 영상들(1,2,3,4,......28,29,30)이 순차적으로 이어져 보이면서 상기 각 후레임의 세밀한 시차를 지닌 영상들(1,2,3,4,......28,29,30)이 잔상에 의하여 뇌에서 합성되어 입체 동영상을 형성하는 변환단계와,
상기 변환단계에서 처리한 입체안경 없이 일반적인 디스플레이에서 한 쪽 눈만으로도 맨눈으로 볼 수 있는 입체 동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 눈으로 한 쪽 눈을 실명한 사람조차도 입체안경 없이 일반적인 기존의 모든 화면을 통하여 볼 수 있는 입체(3D) 동영상을 생성하는 방법이다.
즉, 상기한 구성의 입체 동영상을 생성하는 방법은, 2D 동영상의 각 후레임을 정해진 순차에 의해서 세밀한 시각차를 갖는 각 후레임의 영상으로 변환하는 단계; 및 변환단계에서 변환되어 순차적으로 시차를 내포하는 각각의 영상을 동영상의 프레임으로 구성하여 입체 동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2D 동영상을 시차를 이미 내포하는 콘텐츠로 형성케 함으로써 일반 화면을 통하여 입체안경 없이 한 눈을 실명한 사람도 한 쪽 눈만으로도 볼 수 있는 3D 입체 동영상으로 생성하는 방법 {The method, from 2D moving images, producing 3D moving images that can be watched by general screen with naked single eye without 3D glasses, with even though single eye that one eye have lost, by contents having difference view point light}
본 발명은 2D 동영상을, 카메라로 다양한 각도에서 영상을 촬영한 것처럼 2D 동영상의 각 프레임을 순차적 세미한 시차를 지닌 다시각 영상프레임으로 변환함으로써 이미 시차를 내포하는 콘텐츠를 구성하여 입체안경 없이 한쪽 눈만으로도 일반 스크린을 통해서 입체감을 인식하여 볼 수 있도록 2D 동영상으로부터 입체 동영상을 생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2D 동영상의 각 후레임의 영상을 이전 후레임의 영상 및 다음 후레임의 영상과 세밀하게 서로 다른 각도에서 영상을 촬영한 것과 같은 영상으로 변환해 줌으로써 콘텐츠 자체에 이미 시차를 내포하도록 구성하여 미세하게 순차적으로 시차를 지닌 다시각의 영상들이 잔상효과에 의하여 뇌에서 연속적 영상이 입체적으로 인식되어 입체 동영상을 한쪽 눈만으로도 기존의 화면을 통해서 볼 수 있게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3D 입체 동영상 기술은 시청자에게 생동감 있는 영상을 제공함으로써 지속적인 주목과 인기를 받고 있다. 갈수록 영화, 교육, 광고, 의료, 산업, 군사 등의 분야에서 3D 동영상 콘텐츠의 제작이 관심 있게 활발해지고 있으며 3D 입체동영상에 대한 수요 증가로 관련시장의 규모가 점점 확대되어 가고 있으며 차세대 4차 산업의 주역으로 기대를 얻고 있다.
이러한 3D 입체 동영상에 대한 기술은 좌안과 우안에 해당하는 2대의 영상카메라를 이용하여 피사체를 촬영하고, 좌측 영상과 우측 영상을 좌안 및 우안과 동기화하여 합성하는 과정을 거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렇게 2대의 영상카메라를 사용할 경우에, 비용과 시간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2개의 영상을 조합하여 입체 영상을 제작하는 과정이 매우 복잡하여 영상 제작에 많은 비용 및 수고가 요구된다. 또한 각 카메라의 렌즈마다 광학적 특성이 예민하여 두 대의 카메라의 차이점을 없애고, 일치시켜야 되는 어려움과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이 좌·우 방식의 입체 동영상을 촬영하기가 힘이 들다보니, 입체동영상을 보고자하는 시청자의 요구를 3D 동영상의 제작의 어려운 과정과 기술의 복잡함으로 인하여 따라가지 못하여 이를 대체하는 방안으로 나온 기술이 2D 동영상을 3D 동영상으로 변환하는 기술인데, 지금까지의 변환기술은 입체안경을 쓰고 입체 TV를 통하여 볼 수 있는 좌·우 방식의 입체 동영상 방식에 불과하였다. 이는 입체안경을 통하여 입체모니터에 의하여 볼 수 있는 기술 밖에는 다른 원리를 몰랐기 때문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특2001 - 0010660 호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입체안경을 써야 되는 불편함과 입체영상을 볼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사용하여 입체영상을 보아야만 하는 불편함을 해소하고, 입체안경 없이 맨눈으로 일반적인 기존의 보통의 모든 화면을 통하여 기존의 2D 동영상을 3D 동영상으로 볼 수 있도록 하고 한쪽눈을 실명한 사람도 한쪽 눈만으로도 입체동영상을 볼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입체 동영상 생성 기술은, 3D 동영상으로 변환하고자 하는 2D 동영상의 각 프레임을 분석하는 단계; 상기 2D 동영상의 각 프레임의 영상을 미세한 시차를 지닌 다시각의 순차적인 프레임으로 변환하여 상기 미세한 시차를 지닌 각 영상들이 순차적으로 맨눈에 입사하여 한 쪽 눈만으로 보아도 잔상효과에 의하여 이미 시차를 내포하는 콘텐츠의 구성이 뇌에서 합성되어 입체감을 인식하게 함으로써 입체 동영상을 볼 수 있게 입체 동영상을 형성하는 단계; 여러 방향의 다시각의 영상이 순차적으로 각 프레임을 형성하는 영상으로 세밀한 시차를 가지고 지속적으로 배열되므로써 이미 시차를 내포하는 프레임으로 구성된 다시각의 영상이 순차적으로 배열되도록 변환된 입체 콘테츠를 한 쪽 눈만으로도 입체안경 없이 기존의 일반적인 모든 화면을 통하여 볼 수 있도록 하는 입체 동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2D 동영상을, 2D모니터를 통하여 입체안경 없이 맨 눈으로 또는 한 쪽 눈만으로도 3D 입체 동영상으로 보는 원리는 2D 동영상의 각 프레임의 영상을 시차를 지닌 영상으로 순차적으로 변환 시켜 줌으로써, 즉 다양한 각도에서 입사한 것과 같은 시차의 영상을 각 후레임의 영상으로 변환하여 이미 시차를 내포하는 콘텐츠로 형성되도록 구성하여 줌으로써, 순차적으로 시차를 지닌 심도가 있는 입체 동영상으로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입체 동영상은 변환된 이전 프레임과 다음 프레임 간의 시차가 맨눈으로 볼 때 심지어 한쪽 눈만으로 볼 때에도 잔상에 의하여 상이 이어지도록 하는 콘텐츠 자체에 이미 시차를 내포하도록 구성하여 순차적 시차를 가지도록 형성 되었으므로 한쪽 눈만으로도 입체안경 없이 보통의 2D화면을 통하여서도 입체영상을 볼 수 있도록 하는 발명으로서 2D 동영상을 3D 동영상으로 생성해 내는 원리 및 기술이다.
그리고 상기한 입체 동영상을 생성하는 기술은, 정해진 순서에 의해서 하나씩 각 후레임마다 다른 시차를 지닌 영상으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각 후레임의 변환 영상을 동영상의 프레임으로 구성하여 이미 시차를 내포하는 콘텐츠로 형성되게 함으로써 입체안경 없이 한 쪽 눈만으로도 볼 수 있는 입체 동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각자의 프레임에 시차순서를 정하여 변환함으로써, 각 프레임의 영상이 다시각의 방향에서 입사한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각 다른 각도에서 입사된 것과 같은 영상을 각 영상프레임으로 구성하면 다양한 각도에서 얻은 영상콘텐츠로 변환되어 시차가 연속적으로 다르게 이어지는 콘텐츠 자체에 이미 시차를 내포하도록 구성하여 입체안경 없이 한 쪽 눈만으로도 느낄 수 있는 심도 있는 입체 동영상을 얻을 수 있다.
여러 각도에서 입사된 영상처럼 순차적인 시차로 배열된 다시각의 영상프레임을 구성함으로써, 복수의 다시각의 영상을 이미 각 프레임에 생성해 줌으로써 입체영상을 형성하는 빛이 각 프레임에 내포되도록 하는 효과에 의하여 한 쪽 눈만으로 보아도 입체감을 느끼는 심도가 있는 입체 동영상을 생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이미 시차를 내포하는 영상프레임 자체를 입체동영상의 콘테츠로 생성함으로 인하여 다양한 각도에서 입사된 것과 같은 효과에 의하여 한 쪽 눈만으로도 입체감을 느끼는 심도 있는 입체 동영상을 생성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원리에 의하여 생성되는 영상은, 여러 각도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순차적으로 배열한 것처럼 이미 시차를 내포하는 각 프레임을 형성해 줌으로써, 일반적인 화면을 통해서도 각자 시차가 다른 프레임을 지닌 동영상의 순차적인 콘텐츠 생성으로 인하여 입체안경 없이 한 쪽 눈을 실명한 사람도 한 쪽 눈의 맨눈으로 볼 수 있는 입체 동영상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여 입체안경 없이 일반적인 모니터를 통하여 누구나 기존의 방식대로 한 쪽 눈을 실명한 사람 조차도 2D 동영상을 3D 입체 동영상으로 볼 수 있어서 편리하고 경제적이다. 또한 그동안 3D 콘텐츠 제공에 있어서 시청자의 수요를 충족하지 못했던 문제점을, 기존의 방식대로 입체안경과 입체스크린 없이 2D 동영상을 볼 때와 같은 일반 방식으로 맨눈으로 한 쪽 눈만으로도 보통의 화면을 통하여 2D 동영상을 3D 입체 동영상으로 볼 수 있도록 해결해서, 입체 동영상의 시장의 확대를 통한 경제발전과 한족 눈을 실명한 사람도 볼 수 있는 편리한 입체 동영상의 시대를 가져올 것이다.
따라서 한 쪽 눈을 실명한 사람도 실제 현장에서 두 눈으로 보는 것과 같이 자연스럽고 편안하며 심도가 있는 3D 입체 동영상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2D 동영상의 프레임마다 세밀하게 순차적으로 시차를 주어 변환한 이미 각각의 시차를 내포하는 구성의 3D 동영상 각 프레임의 영상들의 시차를 나타내는 배열이다.
도 2는 2D 동영상을 입체안경 없이 한 쪽 눈만으로도 일반적인 모든 화면을 통하여 맨 눈으로 볼 수 있는 3D 동영상으로 생성하는 순서도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2D 동영상(13)을 입체안경 없이 맨눈으로 한 쪽 눈만으로도 일반적인 보통의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볼 수 있는 3D 동영상(15)으로 생성하는 기술로서, 2D 동영상(13)을 나안으로 입체안경 없이 한 쪽 눈만으로도 모든 화면을 통해 입체감 있게 볼 수 있는 3D 동영상(15)으로 생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2D 동영상(13)의 각 프레임은 다음 영상프레임과 세밀한 시차(12)를 지니도록 변환(14)되고, 순차적으로 이전 프레임의 영상(2)은 다시 다음 프레임의 영상(3)과 시차(12)가 생기도록 변환(14)되어 이와 같은 지속적인 변환작업(14)에 의하여 순차적으로 시차(12)를 가지도록 변환(14)된 각 프레임의 영상들 (2,3,4,5,6,......25,26,27,28,29,30)이 이미 시차를 내포한 콘텐츠로 형성케 됨으로써, 시차(12)가 있는 잔상에 의하여 뇌에서 합성되어, 이미 시차(12)를 지니고 변환(14)된 3D 동영상(15)의 영상프레임의 순차적인 배열(2,3,4,5,6,......25,26,27,28,29,30)에 의하여 형성된 3D 입체 동영상(15)을 맨눈으로 심지어 한쪽 눈만으로도 보통의 방식으로 일반 화면을 통하여 심도 있게 입체 동영상을 인식하게 된다.
심도 있는 순차적인 시차(12)에 의하여 상기 2D 동영상(13)을 실시간으로 3D 입체 동영상(15)으로 변환(14)하여 실시간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입체안경 없이 한 쪽 눈만으로 기존의 일반적인 모든 화면을 통하여 볼 수 있는 3D 입체 동영상을 상기 2D 동영상(13)으로부터 변환(14)하여 생성(15)한다.
또한,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 되는 상기 2D 동영상(13)을 3D 입체 동영상(15)으로 변환(14)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입체안경 없이 한쪽 눈만으로도 기존의 일반적인 모든 화면을 통하여 볼 수 있는 3D 입체 동영상을 상기 2D 동영상(13)으로부터 변환(14)하여 생성(15)한다.
그리고 저장되어 있는 상기 2D 동영상(13)을 실시간으로 입체 3D 동영상(15)으로 변환(14)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입체안경 없이 심지어 한 쪽 눈만으로도 기존의 일반적인 모든 화면을 통하여 볼 수 있는 3D 입체 동영상을 상기 2D 동영상(13)으로부터 변환(14)하여 생성(15)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되어 있는 상기 2D 동영상(13)을 이미 시차를 내포하는 입체 3D 동영상(15)으로 변환(14)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입체안경 없이 한 쪽 눈만으로도 기존의 일반적인 모든 화면을 통하여 볼 수 있는 3D 입체 동영상을 상기 2D 동영상(13)으로부터 변환(14)하여 생성(15)한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하였는데,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가 가능함은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정 실시예가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2D 동영상의 프레임
2,3,4,......28, 29, 30 : 순차적인 시차를 지니고 변환된 3D 영상의 각 프
레임
12 : 변환된 영상프레임과 변환 전 영상프레임간의 시차
100 : 2D 동영상에서 변환되어 이미 순차적으로 시차를 가진 3D 동영상의 각 프레임의 시차를 보여주는 배열 예시
200 : 2D 동영상에서 3D 동영상으로 변환하는 단계의 순서도

Claims (2)

  1. 2D 동영상을 입체안경 없이 한 쪽 눈만으로도 일반적인 화면을 통하여 볼 수 있는 3D 동영상으로 생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2D 동영상의 각 프레임의 영상을, 프레임마다 순차적인 시차(12)를 주어 이전 프레임의 영상(2)과 다음 프레임(3)의 영상간의 상호 연속되는 디스플레이로 입체 동영상을 형성하도록, 2D 동영상의 각 프레임들을 순차적인 시차를 지닌 각 프레임의 영상들(1,2,3,4,......28, 29, 30)로 변환하여 시차를 이미 내포한 콘텐츠로 구성하여 입체 동영상을 형성케 함으로써, 2D 동영상을 입체안경 없이 한 쪽 눈만으로도 일반적인 화면을 통하여 볼 수 있는 3D 동영상으로 생성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D 동영상의 각 프레임을 실시간으로 순차적 시차를 지닌 프레임으로 변환하여, 시차를 내포하는 콘텐츠로 형성케 함으로써 2D 동영상을 입체안경 없이 한 쪽 눈만으로도 일반적인 화면을 통하여 볼 수 있는 3D 동영상으로 생성하는 방법.
KR1020190110529A 2019-09-06 2019-09-06 2d 동영상을 시차를 이미 내포하는 콘텐츠로 형성케 함으로써 일반 화면을 통하여 입체안경 없이 한 눈을 실명한 사람도 한 쪽 눈만으로도 볼 수 있는 3d 입체 동영상으로 생성하는 방법 KR201901055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0529A KR20190105556A (ko) 2019-09-06 2019-09-06 2d 동영상을 시차를 이미 내포하는 콘텐츠로 형성케 함으로써 일반 화면을 통하여 입체안경 없이 한 눈을 실명한 사람도 한 쪽 눈만으로도 볼 수 있는 3d 입체 동영상으로 생성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0529A KR20190105556A (ko) 2019-09-06 2019-09-06 2d 동영상을 시차를 이미 내포하는 콘텐츠로 형성케 함으로써 일반 화면을 통하여 입체안경 없이 한 눈을 실명한 사람도 한 쪽 눈만으로도 볼 수 있는 3d 입체 동영상으로 생성하는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9405A Division KR20190007853A (ko) 2017-07-14 2017-07-14 2d 동영상을 일반 화면을 통하여 입체안경 없이 맨 눈으로 볼 수 있는 3d 입체 동영상으로 생성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5556A true KR20190105556A (ko) 2019-09-17

Family

ID=68070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0529A KR20190105556A (ko) 2019-09-06 2019-09-06 2d 동영상을 시차를 이미 내포하는 콘텐츠로 형성케 함으로써 일반 화면을 통하여 입체안경 없이 한 눈을 실명한 사람도 한 쪽 눈만으로도 볼 수 있는 3d 입체 동영상으로 생성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0555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0660A (ko) 1999-07-16 2001-02-15 최해용 입체 영상 변환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0660A (ko) 1999-07-16 2001-02-15 최해용 입체 영상 변환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46917B2 (en) Three dimensional display with multiplane image display elements
US7440004B2 (en) 3-D imaging arrangements
Ezra et al. New autostereoscopic display system
US9261710B2 (en) 2D quality enhancer in polarized 3D systems for 2D-3D co-existence
Wu et al. Backward compatible stereoscopic displays via temporal psychovisual modulation
US8717425B2 (en) System for stereoscopically viewing motion pictures
JP6207640B2 (ja) 2次元映像の立体映像化表示装置
KR100928523B1 (ko) 입체 프리젠테이션 시스템
US11595628B2 (en) Projection system and method for three-dimensional images
KR20190105556A (ko) 2d 동영상을 시차를 이미 내포하는 콘텐츠로 형성케 함으로써 일반 화면을 통하여 입체안경 없이 한 눈을 실명한 사람도 한 쪽 눈만으로도 볼 수 있는 3d 입체 동영상으로 생성하는 방법
CN104238133A (zh) 一种基于偏振3d的立体桌面显示系统
TWI572899B (zh) 擴充實境成像方法及其裝置
KR20190105555A (ko) 2차원 애니메이션 및 2차원 그래픽의 동영상을 시차를 이미 내포하는 콘텐츠로 형성케 함으로써 입체안경 없이 일반 화면을 통하여 한 눈을 실명한 사람도 한쪽 눈만으로도 볼 수 있는 3차원 애니메이션 및 3차원 그래픽의 동영상으로 생성하는 방법
Shih et al. 24.4: Distinguished student paper: floating 3D image for high resolution portable device using integral photography theory
US9612447B2 (en) Wide angle viewing device
KR100939080B1 (ko) 합성 영상 생성 방법 및 장치, 합성 영상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
CN111684517B (zh) 观看者调节的立体图像显示
KR20190007853A (ko) 2d 동영상을 일반 화면을 통하여 입체안경 없이 맨 눈으로 볼 수 있는 3d 입체 동영상으로 생성하는 방법
KR20170059879A (ko) 입체 영상 촬영 장치
WO2021035373A1 (zh) 分解2d视频4维空间的3d眼镜
Jacobs et al. 3-D movies using microprocessor-controlled optoelectronic spectacles
KR101276603B1 (ko) 3차원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Richter et al. New approaches for multi-view displays by circular display
Holliman Cosmic origins: experiences making a stereoscopic 3D movie
Knorr et al. Basic rules for good 3D and avoidance of visual discomfo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