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3827A - 인테리어형 다기능 조명기구 - Google Patents

인테리어형 다기능 조명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3827A
KR20190103827A KR1020180024740A KR20180024740A KR20190103827A KR 20190103827 A KR20190103827 A KR 20190103827A KR 1020180024740 A KR1020180024740 A KR 1020180024740A KR 20180024740 A KR20180024740 A KR 20180024740A KR 20190103827 A KR20190103827 A KR 201901038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light
area
shield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4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복순
Original Assignee
곽복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복순 filed Critical 곽복순
Priority to KR10201800247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03827A/ko
Publication of KR201901038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38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2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decorative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발명은 종래에 비해 높은 디자인성을 가지는 평면 광원(flat
surfacesource) 및 조명 장치(lighting system)를 제공한다.
발광면을 가지는 면발광 패널과 면발광 패널의 발광면을 가리는
화장 부재를 구비해 발광면에는 점등시 , 빛을 방사하는 발광 영
역과 발광 영역을 둘러싸는 비발광의 액자 영역이 존재해, 화장
부재는 모양 형성부를 가지고, 모양 형성부는 정면시 했을 때에,
액자 영역의 전역을 가리는 액자 차폐부와 액자 차폐부로부터 발
광 영역을 복수의 영역에 분할하도록 늘어나는 발광 차폐부를 구
비하고 있는 구성으로 한다.

Description

인테리어형 다기능 조명기구{Multifunction luminaire for interior}
본 발명은 종래에 비해 높은 디자인성을 가지는 평면 광원 및 조명 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특히 얇은 구조를 가지면서도 다양한 발광 디자인을 갖도록 함에 따라 실내 공간소비가 최소화 되면서도 다양한 발광디자인을 통한 인테리어 효과를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기술이다.
종래부터 유기 EL패널은 조명 장치(lighting system)의 광원으로서 사용되고 있다. 유기 EL패널은 평면 광원(flat surfacesource)인 것과 동시에, 얇아서 가볍다고 하는 특징을 가지므로, 설치장소의 제약이 적다.
그 때문에, 근래에는 유기 EL패널을 천정에 설치하는 천장용 조명 장치(lighting system) 만이 아니고, 벽 등의 벽면에 설치하는 벽면용 조명 장치(lighting system)로서 용도가 검토되고 있다.
벽 등의 벽면에 사용되는 벽면용 조명 장치(lighting system)는 단지 조명으로서의 기능 만이 아니고, 인테리어의 일부로서 사용되기 위해, 높은 디자인성이 요구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 천정에 사용하는 천장용 조명 장치(lightingsystem)는 유기 EL패널의 발광 영역으로부터의 빛을 다른 부재에 의해서 차단하지 않고 설치하는 것으로, 면상빛의 광량이 최대한으로 되도록 하고 있었다.
그 때문에, 발광 영역의 형상이 그대로 면상빛의 조사 범위가 되고 있어 예를 들면, 광원이 4각형 모양의 유기 EL패널의 경우에는 그 발광 영역의 형상도 4각형 모양이 되어, 4각형 모양 면상빛이 조사되게 된다.
그 때문에, 종래 천장용 조명 장치(lighting system)를 그대로 벽면용 조명 장치(lighting system)에 채용하면, 점등시 재미가 없고, 단조로운 인상이 되어 버려, 한층 더 디자인성의 향상이 요구되고 있었다.
그래서, 본발명은 종래에 비해 높은 디자인성을 가지는 평면 광원(flat surfacesource)및 조명 장치(lighting system)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발명의 한 개의 양상은 발광면을 가지는 면발광 패널과 상기 면발광 패널의 발광면을 가리는 화장부재를 구비한 평면 광원(flat surfacesource)이고, 상기 발광면에는 점등시 , 빛을 방사하는 발광 영역과 상기 발광 영역을 둘러싸는 비발광의 액자 영역이 존재해, 상기 화장 부재는 모양형성부를 가지고, 상기 모양 형성부는 정면시 했을 때에, 상기 액자 영역의 전역을 가리는 액자 차폐부와 상기 액자 차폐부로부터 상기 발광 영역을 복수에 분할하도록 늘어나는 발광 차폐부를 구비하고 있는 평면 광원(flat surfacesource)이다.
본양상에 의하면, 면발광 패널은 발광 영역으로부터의 빛이 화장 부재의 모양 형성부에 의해서 차단되어 소망 모양의 빛이 조사되므로, 종래에 비해 디자인성이 높다.
본양상에 의하면, 정면시 했을 때에, 면발광 패널의 비발광의 액자 영역이 액자 차폐부에 의해서 숨겨지므로, 사용자측으로부터 면발광 패널의 비발광의 액자 영역이 시인되지 않는다. 그 때문에, 비발광의 액자 영역이 외관 형상에 영향을 주지 않고, 모양형성부에 의해서 소망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본양상에 의하면, 면발광 패널은 화장 부재의 발광 영역을 둘러싸는 액자 차폐부와 발광 영역을 분할하는 발광 차폐부에 의해서 기계적 강도가 보강되고 있으므로, 면발광 패널의 휘어진 상태등을 억제할 수 있다.
본양상에 의하면, 발광 차폐부가 어느 정도 면적을 가지므로, 기계적 강도를 충분히 확보하면서, 화장 부재/면발광 패널 사이 갇힌 축열에 수반해 패널 온도가 상승하는 것에 의한 불편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바람직한 양상은 상기 화장 부재는 상기 모양 형성부를 포함한 본체판부와 상기 본체판부의 단부로부터 꺽여진 측면판부를 가지고, 상기 면발광 패널은 면발광 타일과 상기 면발광 타일을 보호하는 프레임(frame) 부재를 가지고, 상기 프레임(frame) 부재는 수지제 이고, 탄성을 가지는 것이며, 상기 프레임(frame)부재의 일부는 상기 면발광 타일의 단면과 상기 측면판부에 의해서 끼고 있는 것이다.
본양상에 의하면, 탄성을 가지는 프레임(frame) 부재의 일부가 면발광 타일의 단면과 측면판부에 의해서 끼고 있으므로, 프레임(frame) 부재가 완충 부재로서 기능해, 면발광 타일의 열팽창에 의한 일그러짐을 흡수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얇은 글라스패널을 지지 기판으로 하는 면발광 타일 이고도 갈라지기 어렵고, 안전성이 높다.
바람직한 양상은 상기 면발광 패널은 소등시에 있어서, 상기 모양 형성부와 함께 한 개의 거울면을 형성하는 것이다.
본양상의 구성에 의하면, 소등시에 한 개의 거울로서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한 양상은 상기 모양 형성부는 폭이 동일한 발광 차폐부를 적어도 2가지고, 상기 2개의 발광 차폐부는 정면시 했을 때에, 상기 발광 영역을 3 개 이상에 분할하고 있는 것이다.
본양상에 의하면, 적어도 2개의 발광 차폐부에 의해서, 발광 영역을 3 개 이상에 분할하도록 보강하고 있으므로, 프레임(frame)로서의 기능을 보다 발휘할 수 있어 면발광 패널의 휘어진 상태 등을 보다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한 양상은 상기 모양 형성부는 판 모양 이고, 상기 발광영역으로부터의 빛을 투과 가능한 광투과구멍을 복수 구비하고 있는 것이다.
본양상에 의하면, 모양 형성부가 발광 영역으로부터의 빛을 투과 가능한 광투과구멍을 복수 구비하고 있으므로, 광투과구멍에 맞은 형상의 빛을 조사할 수 있다. 즉, 광투과구멍의 형상을 소망 모양으로 하는 것에 의해서 소망 모양을 떠오르게 할 수 있다.
바람직한 양상은 상기 발광 차폐부는 정면시 했을 때에, 세로 방향 성분 및 횡방향 성분을 가지고 늘어나는 가림 연신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다.
본양상에 의하면, 가림 연신부가 횡방향 성분과 세로 방향 성분을 가지고 늘어나고 있기 위해, 세로 방향 및 횡방향 휘어진 상태나 휘어 등에 대해서, 면발광 패널을 보강할 수 있다.
바람직한 양상은 상기 발광 영역의 총면적에 대한 상기 모양 형성부가 상기 발광 영역을 가리는 총면적을 차폐율로 했을 때에, 상기 발광 차폐부에 의해서 분할된 영역 안에는 차폐율이 다른 영역이 포함되어 있는 것이다.
본양상에 의하면, 발광 영역이 발광 차폐부에 의해서 분할된 영역 안에 차폐율이 다른 영역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점등시 평면광원(flat surfacesource)의 영역내에서 농담이 형성되어 다른 평면 광원(flat surfacesource)과 늘어놓았을 때에, 모양을 형성하기 쉽다.
본양상에 의하면, 인접하는 1의 평면 광원(flat surface source)과 다른 평면 광원(flat surfacesource)으로 차폐율이 다르므로, 1의 평면 광원(flat surfacesource)과 다른 평면광원(flat surfacesource)의 사이에 조사광에 농담이 형성된다.
그 때문에, 평면 광원(flat surfacesource)간의 농담을 사용하고, 모양이나 그림을 형성할 수 있어 보다 디자인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본양상에 의하면, 평면 광원(flat surfacesource)의 배면에 설치된 강자성부 또는 자력 발생부와 부착부재의 자력 발생부 또는 강자성부와의 사이의 인력에 의해서 평면 광원(flat surface source)이 부착부재에 고정되고 있으므로, 평면 광원(flat surface source)은 강자성부 및 자력 발생부에 의해서 발광면이 차단되는 일 없이, 부착부재에 설치할 수 있다.
본발명의 평면 광원(flat surfacesource) 및 조명 장치(lighting system)에 의하면, 종래에 비해 디자인성이 높다.
도 1은 제1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입체도
도 2 내지 도 17은 각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여러 실시 형태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조명 장치(lighting system) 1은 도1에 나타난 것처럼 벽, 천정, 마루 표면 등의 벽면인 피설치면 500에 장착되어 거주 공간 501측을 비추는 것이다. 조명 장치(lighting system) 1은 다른 복수의 조명 장치(lighting system)1으로 나란히 설치되어 한 개의 조명 시스템(lighting system)을 구성하는 것이다.
조명 장치(lighting system) 1은 도 2에 나타난 것처럼 1또는 복수 종류의 평면 광원(flat surfacesource) 2와 부착부재 3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모양 형성부 60(60 a, 60 b)의 형상이 다른 2 종류의 평면 광원(flat surfacesource) 2(2 a, 2 b)를 조합해(combination) 조명 장치(lighting system) 1을 구성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평면 광원(flat surfacesource) 2 a는 도 3에 나타난 것처럼 면발광 패널 10과 화장 부재 11을 구비하고 있다.
면발광 패널 10은 면상에 확대를 갖고, 면상빛을 방사 가능한 발광 패널이다. 구체적으로는 면발광 패널 10은 유기 EL패널이며, 확산광을 조사 가능해지고 있다. 면발광 패널 10은 도 6에 나타난 것처럼 한 방향의 주요면측에 발광면 12를 가지고, 다른 쪽의 주요면측에 급전부 13 a, 13 b를 구비하고 있다.
발광면 12에는 도 6(a) 에 나타난 것처럼 점등시 , 실제로 발광하는 발광 영역 30과 발광 영역 30을 둘러싸는 비발광의 액자영역 31이 존재한다.
발광 영역 30은 점등시 실제로 발광해, 빛을 조사하는 영역이다.
발광 영역 30은 정면시 했을 때에, 면발광 패널 10에 내장되는 양극층과 유기발광층을 포함한 유기 기능층과 음극층의 중첩 부분이고, 양극층과 유기 기능층과 음극층이 이 순서대로 적층한 유기 EL소자에 대응하는 부분이다. 즉, 발광 영역 30에서는 점등하는 경우에는 양극층과 음극층에 전압을 인가하는 것에 의해서 유기발광층이 발광해, 빛을 조사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있다.
또, 발광 영역 30은 소등시에 양극층 또는 음극층의 색이 반영되고 거울면이 되는 것이다.
본 실시 형태의 면발광 패널 10은 양극층으로서 투명 도전층인 투명 도전성(transparent conductivity) 산화물층(oxide layer)이 채용되고 있어 음극층으로서 금속 광택(metallic luster)
을 가지는 금속층 또는 금속 합금층이 채용되고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의 발광 영역 30은 소등시에 음극층의 색이 반영되고 거울면이 되는 것이다.
발광 영역 30은 정면시 했을 때에 4각형 모양을 하고 있어, 발광면 12의 중앙에 설치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발광 영역 30은 정방형상의 영역이다.
액자 영역 31은 면발광 패널 10의 인연에 따라서 늘어나 발광영역 30을 둘러싸도록 연속한 비발광 영역이다. 즉, 액자 영역31은 발광 영역 30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어, 사각 환상을 하고 있다.
면발광 패널 10은 도 7에 나타난 것처럼 면발광 타일 15와 프레임(frame) 부재 16과 보강판 17을 구비하고 있다.
면발광 타일 15는 4각형 모양의 판 모양 타일 이고, 박판 상태의 타일이다. 본 실시 형태의 면발광 타일 15는 얇은 유리 기판을 지지 기판으로 해, 그 위에 상기한 유기 EL소자가 적층된 유기 EL타일이다.
면발광 타일 15는 도 8에 나타난 것처럼 배면에 급전부 13 a, 13 b와 위치 조정(positioning)부 14 a, 14 b를 구비하고 있다.
급전부 13 a, 13 b는 유기 EL소자의 양극층 및 음극층의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된 단자 이고, 면발광 타일 15의 배면으로부터 돌출한 단자부이다.
위치 조정(positioning)부 14 a, 14 b는 보강판 17에 대한 면발광 타일 15의 위치를 조정하는 부위이며, 부착부재 3에 대한 평면 광원(flat surfacesource) 2 a의 위치를 조정하는 부위이기도 하다. 구체적으로는 위치 조정(positioning)부 14 a, 14 b는 면발광 타일 15의 배면으로부터 돌출한 돌출부이다.
프레임(frame) 부재 16은 면발광 타일 15의 단면을 보호하는 보호 프레임(frame)이며, 수지제의 탄성 부재(elastic member)이다. 프레임(frame) 부재 16은 정면시 했을 때에, 사각 환상의 프레임(frame)이며, 도 7, 도 8에 나타난 것처럼 발광 측복부 20 a~20 d와 단면측복부 21 a~21 d와 배면측복부 22를 구비하고 있다.
발광 측복부 20 a~20 d는 면발광 타일 15의 발광면 12측을 가리는 부위이며, 면발광 패널 10의 액자 영역 31에 속하는 부위이다.
단면측복부 21 a~21 d는 발광 측복부 20 a~20 d의 단부와 배면측복부 22의 단부를 접속하는 접속벽 부 이고, 면발광 타일 15의 단면을 가리는 부위이다.
배면측복부 22는 도 8에 나타난 것처럼 면발광 타일 15의 배면측을 가리는 부위이며, 복수의 변측 볼록부 25 a~25 y와 4개의 각측 계합부 26 a~26 d를 구비하고 있다.
변측 볼록부 25 a~25 y는 단면측복부 21 a~21 d로부터 꺽여진 부위이다.
변측 볼록부 25 a~25 y는 배면시 했을 때에, 단면측복부 21a~21 d로부터 중앙측에 향해 돌출한 돌출편이며, 보강판 17의 변측 오목부 41 a~41 y와 감합 가능인 감합부이다.
변측 볼록부 25 a~25 y는 면발광 패널 10의 각변에 따라서 간격을 비워서 배치되고 있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동일변에 속하는 변측 볼록부 25, 25가 등간격에 배치되고 있다.
각측 계합부 26 a~26 d는 배면측복부 22의 각 각부에 설치되어 보강판 17의 각측 계합부 42 a~42 d와 계합 가능한 계합부이다. 각측 계합부 26 a~26 d는 각각 직각 삼각형 모양을 하고 있다.
보강판 17은 면발광 패널 10의 배면측을 가리는 판상부위이며, 강자성체(ferromagnetic material)를 재료로 하는 강자성부이다. 구체적으로는 보강판 17은 강자성체(ferromagnetic material)인 철제의 판체이다.
보강판 17은 도 8에 나타난 것처럼 본체부 40과 변측 오목부 41a~41 y와 각측 계합부 42 a~42 d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부 40은 정면시 4각형 모양의 부위이며, 위치 조정(positioning)구멍 43 a, 43 b와 급전용 삽통구멍 45 a, 45 b를 구비하고 있다.
위치 조정(positioning)구멍 43 a, 43 b는 위치 조정(positioning)부 14 a, 14 b와 쌍을 이루어, 면발광 타일 15에 대한 보강판 17의 위치를 조정하는 부위이다. 구체적으로는 위치 조정(positioning)구멍 43 a, 43 b는 위치 조정(positionin
g)부 14 a, 14 b를 삽통 가능한 삽통구멍이며, 본체부 40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한 관통공이다.
급전용 삽통구멍 45 a, 45 b는 면발광 타일 15의 급전부 13 a, 13 b를 삽통 가능한 삽통구멍이며, 본체부 40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한 관통공이다.
변측 오목부 41 a~41 y는 도 8으로부터 읽어낼 수 있도록, 배면시 했을 때에, 본체부 40의 인연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늘어나는 노치 부분이며, 프레임(frame) 부재 16의 변측 볼록부 25 a~25 y와 감합 가능인 감합부이다.
변측 오목부 41 a~41 y는 면발광 패널 10의 각변에 따라서 간격을 비워서 배치되고 있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동일변에 속하는 변측 오목부 41, 41이 등간격에 배치되고 있다.
각측 계합부 42 a~42 d는 본체부 40의 각부에 설치되어 프레임(frame) 부재 16의 각측 계합부 26 a~26 d와 계합 가능한 계합부이다. 각측 계합부 42 a~42 d는 각각 직각 삼각형 모양을 하고 있다.
화장 부재 11은 정면시 했을 때에 경면 광택(specular gloss)을 가지는 부재이다. 본 실시 형태의 화장 부재 11은 적어도 정면측의 표면이 금속 또는 금속 합금으로 형성되고 있어 금속 광택(metallic luster)을 갖고 있다.
화장 부재 11은 도 3으로부터 읽어낼 수 있도록, 본체판부 51과 본체판부 51의 단부로부터 꺽여진 측면판부 52 a~52 d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판부 51은 면발광 패널 10의 발광면 12측을 가리는 장식판이며, 도 9와 같이, 특정의 모양을 구성하는 모양 형성부 60 a를 구비하고 있다.
모양 형성부 60 a는 도 9에 나타난 것처럼 정면시 했을 때에, 문살상 이고, 각마모양을 한 부위이다. 모양 형성부 60 a는 액자영역 31을 가리는 액자 차폐부 61과 발광 영역 30의 일부를 가리는 발광 차폐부 62를 구비하고 있다.
액자 차폐부 61은 정면시 했을 때에 액자 영역 31의 전역과 겹치는 부위이며, 면발광 패널 10측에서의 빛을 가림하는 부위이다.
즉, 액자 차폐부 61은 세로 방향 연신부 65, 66과 횡방향 연신부 67, 68으로 구성되어 있어 이들의 단부끼리가 접속되고 사각 환상에 연속하고 있다.
바꾸어 말하면, 액자 차폐부 61은 세로 방향 연신부 65, 66으로 횡방향 연신부 67, 68이 교차하는 액자 교차부 70~73을 구비하고 있다.
액자 교차부 70~73은 모양 형성부 60 a의 각부를 구성하는 각부 교차부이며, 네 귀퉁이에 각각 형성되고 있다.
발광 차폐부 62는 정면시 했을 때에, 면발광 패널 10의 발광 영역 30을 횡단하는 횡단 차폐부 75와 면발광 패널 10의 발광 영역 30을 종단 하는 종단 차폐부 76을 구비하고 있다.
횡단 차폐부 75는 도 9에 나타난 것처럼 면상 차폐부 80, 81과 접속 차폐부 82, 83과 중앙 교차부 89로 구성되어 있다.
면상 차폐부 80, 81은 세로 방향 연신부 65, 66의 중간부에 설치되어 세로 방향 연신부 65, 66으로부터 중앙 교차부 89측에 반원상에 퍼진 부위이다. 즉, 면상 차폐부 80, 81은 정면시 했을 때에, 종단이 곡선상이다. 본 실시 형태의 면상 차폐부 80, 81은 세로 방향 연신부 65, 66이 늘어나 방향의 중앙에 설치되고 있다.
접속 차폐부 82, 83은 면상 차폐부 80으로 중앙 교차부 89, 중앙 교차부 89로 면상 차폐부 80의 각각의 사이를 접속하는 부위이며, 횡방향 X에 직선 모양에 늘어나고 있다.
종단 차폐부 76은 도 9에 나타난 것처럼 면상 차폐부 85, 86과 접속 차폐부 87, 88과 중앙 교차부 89로 구성되어 있다.
면상 차폐부 85, 86은 횡방향 연신부 67, 68의 중간부에 설치되어 횡방향 연신부 67, 68으로부터 중앙 교차부 89측에 반원 상에 퍼진 부위이다. 본 실시 형태의 면상 차폐부 85, 86은 횡방향 연신부 67, 68의 중앙에 설치되고 있다.
접속 차폐부 87, 88은 면상 차폐부 85로 중앙 교차부 89, 중앙교차부 89로 면상 차폐부 86의 사이를 접속하는 부위이며, 세로방향 Y에 직선 모양에 늘어나고 있다.
중앙 교차부 89는 발광 차폐부 62의 중앙에 위치하는 부위 이고, 횡단 차폐부 75로 종단 차폐부 76이 교차하는 부위이다.
즉, 중앙 교차부 89는 접속 차폐부 82, 83, 87, 88이 집중한 부위이다.
발광 차폐부 62는 도 10(a)과 같이, 횡단 차폐부 75 및 종단 차폐부 76에 의해서 4개의 제1 영역 77 a~77 d에 분할되고 있다.
제1 영역 77 a~77 d는 함께 4각형 모양의 영역이며, 구체적으로는 정방형상을 하고 있다.
제1 영역 77 a, 77 b는 횡단 차폐부 75를 대칭축으로서 제1 영역 77 d, 77 c와 선대칭의 관계가 되고 있어 제1 영역 77 a, 77 d는 종단 차폐부 76을 대칭축으로서 제1 영역 77 b, 77 c와 선대칭의 관계가 되고 있다. 즉, 발광 차폐부 62는 정면시 했을 때에 중앙 교차부 89를 회전축으로서 4회 회전 대칭이 되고 있다.
제1 영역 77 a(77 b~77 d)에는 도 10(b)으로부터 읽어낼 수 있도록, 제2 접속 차폐부 90 a~90 d(가림 연신부)가 설치되고 있어 제1 영역 77 a~77 d는 제2 접속 차폐부 90 a(90 b~90d)에 의해서, 각각 2개의 제2 영역 91 a, 91 b에 분할되고 있다.
제2 접속 차폐부 90 a~90 d는 면상 차폐부 80, 81, 85, 86을 각각 접속하는 부위이며, 경사 방향에 직선 모양에 접속하는 부위이다. 즉, 제2 접속 차폐부 90 a~90 d는 정면시 했을 때에, 모두 횡방향 X성분과 세로 방향 Y성분을 갖고 있다.
제2 영역 91 a, 91 b는 함께 직각 삼각형 모양의 영역이며, 제2접속 차폐부 90 a(90 b~90 d)를 대칭축으로서 선대칭의 관계가 되고 있다.
제2 영역 91 a, 91 b에는 도 10(c) 에 나타난 것처럼 각 정점으로부터 중앙측에 향해 늘어난 제3 접속 차폐부 95 a~95 c(가림 연신부)가 설치되고 있다. 그리고, 제3 접속 차폐부 95 a~95 c는 한 개의 교차부 96으로 연결되어 있다.
제2 영역 91 a, 91 b는 각 각의 이등분 선상에 늘어난 제3 접속차폐부 95 a~95 c에 의해서, 각각 3개의 제3 영역 97 a, 97b, 97 c에 분할되고 있다.
제3 영역 97 a, 97 b, 97 c는 모두 삼각형 모양의 영역이다.
제3 영역 97 a, 97 b, 97 c에는 복수 종류의 광투과구멍 98 a,98 b, 98 c를 구비하고 있다.
광투과구멍 98 a, 98 b, 98 c는 면발광 패널 10의 발광 영역 30으로부터의 빛을 투과 가능한 구멍이며, 본체판부 51의 두께방향으로 관통한 관통공이며, 각각 삼각형 모양을 하고 있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의 평면 광원(flat surfacesource) 2의 각 부위의 위치 관계에 대해서 설명한다.
면발광 패널 10은 도 5에 나타난 것처럼 면발광 타일 15의 배면에 보강판 17이 가리고 있어 급전부 13 a, 13 b의 일부가 급전용 삽통구멍 45 a, 45 b를 삽통해 노출하고 있다.
면발광 타일 15는 정면측의 일부가 프레임(frame) 부재 16의 발광 측복부 20 a~20 d로 덮여 있어 단면이 프레임(frame) 부재 16의 단면측복부 21 a~21 d에 의해서 덮여 있다.
면발광 타일 15는 배면옆의 일부가 프레임(frame) 부재 16의 배면측복부 22에 의해서 덮여 있어 잔량부가 보강판 17에 의해서 덮여 있다.
프레임(frame) 부재 16은 도 4, 도 8으로부터 읽어낼 수 있도록, 변측 볼록부 25 a~25 y가 보강판 17의 변측 오목부 41 a~41 y에 삽입되고 감은(이라고) 내려 각측 계합부 26 a~26 d가 보강판 17의 각측 계합부 42 a~42 d와 계합하고 있다.
화장 부재 11은 도 3에 나타난 것처럼 본체판부 51의 모양 형성부 60 a가 면발광 패널 10의 정면측을 가리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모양 형성부 60 a는 도 5로부터 읽어낼 수 있도록, 액자 차폐부 61의 연신부 65~68이 프레임(frame) 부재 16의 발광 측복부 20 a~20 d를 가리고 있어 발광 차폐부 62가 면발광 타일 15의 점등시에서 발광 부위를 가리고 있다. 바꾸어 말하면, 모양형성부 60 a는 액자 차폐부 61이 면발광 패널 10의 액자 영역 31을 가리고 있어 발광 차폐부 62가 면발광 패널 10의 발광 영역 30을 가리고 있다.
화장 부재 11은 도 5로부터 읽어낼 수 있도록, 측면판부 52가 면발광 패널 10의 단면을 가리고 있다. 즉, 화장 부재 11의 측면판부 52 a~52 d와 면발광 타일 15와의 단면의 사이에는 프레임(frame) 부재 16의 단면측복부 21 a~21 d가 개재하고 있다.
바꾸어 말하면, 프레임(frame) 부재 16의 단면측복부 21 a~21 d는 화장 부재 11의 측면판부 52 a~52 d와 면발광 타일 15의 단면에 의해서 각각 끼고 있다.
계속해서, 평면 광원(flat surfacesource) 2 b에 대해서 설명한다.
평면 광원(flat surfacesource) 2 b는 모양 형성부 60의 형상 이외는 평면 광원(flat surfacesource) 2 a와 같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또, 모양 형성부 60 b에 있어서, 모양 형성부 60 a와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같은 부호를 부여해 설명을 생략한다.
평면 광원(flat surfacesource) 2 b의 모양 형성부 60 b는 도11(a) 에 나타난 것처럼 액자 영역 31을 가리는 액자 차폐부 61과 발광 영역 30의 일부를 가리는 발광 차폐부 119를 구비하고 있다.
모양 형성부 60 b의 발광 차폐부 119는 면발광 패널 10의 발광영역 30을 횡단하는 횡단 차폐부 75와 면발광 패널 10의 발광영역 30을 종단 하는 종단 차폐부 76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발광 차폐부 62는 도 11(b) 에 나타난 것처럼 횡단 차폐부 75 및 종단 차폐부 76에 의해서 4개의 제1 영역 130 a~130 d에 분할되고 있다.
제1 영역 130 a~130 d에는 제1 영역 77 a~77 d와는 달리, 제2 접속 차폐부 90 a~90 d 등이 설치되지 않았다. 즉, 모양형성부 60 b의 발광 차폐부 119는 모양 형성부 60 a의 발광 차폐부 62와는 달리, 횡단 차폐부 75 및 종단 차폐부 76만이 설치되고 있다.
또, 제1 영역 130 a~130 d에는 4각형 모양의 4개의 광투과구멍 121이 설치되고 있다.
여기서, 조명 장치(lighting system) 1을 구성하는 평면 광원(flat surfacesource) 2에는 상기와 같이 2 종류의 모양 형성부 60(60 a, 60 b)이 있다.
이 범위이면, 발광 차폐부 62가 어느 정도 면적을 가지므로, 기계적 강도를 충분히 확보하면서, 화장 부재 11/면발광 패널 10사이 갇힌 광기인 축열에 수반하고, 면발광 패널 10의 온도가 상승하는 것에 의한 불편을 방지할 수 있다.
덧붙여 여기서 말하는 「차폐율」이란, 발광 영역의 총면적에 대한 광차폐율을 말한다. 즉, 모양 형성부 60의 차폐율은 정면시 했을 때의 면발광 패널 10의 발광 영역 30의 총면적에 대한 모양 형성부 60이 면발광 패널 10의 발광 영역 30을 가리는 면적을 나타낸다.
또, 모양 형성부 60 b의 발광 차폐부 119의 차폐율은 모양 형성부 60 a의 발광 차폐부 62의 차폐율보다도 작다.
모양 형성부 60 a의 발광 차폐부 62의 차폐율과 모양 형성부 60
b의 발광 차폐부 119의 차폐율의 차이는 조명 장치(lighting sy
stem) 1을 구성할 때 농담을 보다 크게 표현하는 관점에서, 1
0%이상 70%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게, 20%이상 60%이하인 것
이 보다 바람직하다.
부착부재 3은 벽 등의 피설치면 500에 대해서 고정 가능인 부재
이며, 복수의 평면 광원(flat surfacesource) 2 a를 피설치면
500에 대해서 설치하는 부재이다.
부착부재 3은 도 12에 나타난 것처럼 고정 유닛 110 a~110 c
를 복수 구비하고 있다. 고정 유닛 110 a~110 c는 횡방향 X에
늘어나 세로 방향 Y에 줄선 띠모양의 부분이며, 본체벽부 100과
철조부 101, 102와 복수의 급전부 105 a, 105 b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벽부 100은 정면시 4각형 모양의 벽부이며, 횡방향 X에 늘
어난 나가이타상의 부위이다.
철조부 101, 102는 본체벽부 100으로부터 정면측에 돌출한 볼
록부 이고, 횡방향 X에 늘어나고 있다. 철조부 101, 102는 세
로 방향 Y에 폭을 가지고 있어 각각 자력 발생부가 내장되고 있
다.
자력 발생부는 자력을 발생해 평면 광원(flat surfacesource)
2의 보강판 17을 끌어당기는 부위이다.
자력 발생부는 영구자석(permanent magnet)으로 구성되어
있다.
철조부 101, 102는 세로 방향에 간격을 비워서 배치되고 있어
본체벽부 100과 함께 홈 106을 구성해 있다.
홈 106은 정면시 했을 때에, 철조부 101, 102에 끼워진 부분이
며, 철조부 101, 102에 대해서 움푹 팬 부위이다.
홈 106은 평면 광원(flat surfacesource) 2 a의 위치 조정
(positioning)부 14 a, 14 b를 삽입 가능한 유저구이며, 위치
조정(positioning)부 14 a, 14 b가 이동 방향 및 자세를 규제하
는 부위이다.
홈 106은 도 12에 나타난 것처럼 저부에 설치구멍 107을 구비
하고 있다.
설치구멍 107은 체결 요소 505를 삽입해 피설치면 500에 대해
서 설치하기 위한 구멍이다. 설치구멍 107은 홈 106의 저부를
구성하는 본체벽부 100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한 관통공이며, 횡
방향 X에 늘어난 긴 구멍이기도 하다.
여기서 말하는 「체결 요소」란, 나사, 못, 압정 등의 상위 개념
이며, 일시 체결 요소를 포함한 개념이다. 이하에 있어서도 동일하게 표현한다.
급전부 105 a, 105 b는 외부 전원(external power source)
또는 인접하는 다른 급전부 105 a, 105 b와 전기적으로 접속되
어 평면 광원(flat surfacesource) 2 a에 급전 하는 부위이다.
급전부 105 a, 105 b는 평면 광원(flat surfacesource) 2 a
의 급전부 13 a, 13 b와 접촉하는 것에 의해서, 평면 광원(flat
surfacesource) 2 a에 근접한 상태로 위치한다.
계속해서, 본 실시 형태의 조명 장치(lighting system) 1의 각
구성 부위의 위치 관계에 대해서 설명한다.
조명 장치(lighting system) 1은 도 13과 같이, 복수 종류의 평
면 광원(flat surfacesource) 2 a, 2 b가 혼재하고 있어, 부
착부재 3에 의해서 종횡에 격자모양에 나란히 설치되고 있다.
조명 장치(lighting system) 1은 부착부재 3에 의해서 평면 광
원(flat surfacesource) 2 a와 평면 광원(flat surfacesour
ce) 2 b가 종횡 교대로 늘어놓을 수 있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조명 장치(lighting system) 1은 각 평면 광원 2
가 부착부재 3의 자력 발생부에 의해서 보강판 17이 끌어 당겨
져, 각 단의 고정 유닛 110 a~110 c에 고정되고 있다. 즉, 조
명 장치(lighting system) 1은 1단째의 고정 유닛 110 a에 의
해서, 평면 광원(flat surfacesource) 2 a, 평면 광원(flat su
rface source) 2 b, 평면 광원(flat surfacesource) 2 a의
차례대로 횡방향 X에 나란히 설치되고 있어 2단째의 고정 유닛
110 b에 의해서, 평면 광원(flat surfacesource) 2 b, 평면
광원(flat surfacesource) 2 a, 평면 광원(flat surfacesour
ce) 2 b의 차례대로 횡방향 X에 나란히 설치되고 있어 3단째의
고정 유닛 110 c에 의해서, 평면 광원(flat surfacesource) 2
a, 평면 광원(flat surfacesource) 2 b, 평면 광원(flat surfa
ce source) 2 a의 차례대로 횡방향 X에 나란히 설치되고 있다.
부착부재 3은 설치구멍 107에 말이야 글자 등의 체결 요소 505
가 삽입되고, 피설치면 500에 대해서 고정되고 있다. 부착부재
3의 홈 106에는 면발광 패널 10의 배면의 일부를 구성하는 보강
판 17의 위치 조정(positioning)구멍 43 a, 43 b가 삽입되고
있다. 급전부 105는 급전용 삽통구멍 45를 통과해 면발광 타일
15의 급전부 13으로 접속되고 있다.
횡방향 X에 인접하는 평면 광원(flat surfacesource) 2 a와
평면 광원(flat surfacesource) 2 b에 주목하면, 평면 광원(fl
at surfacesource) 2 a의 세로 방향 연신부 65로 평면 광원(f
lat surfacesource) 2 b의 세로 방향 연신부 66은 도 13과 같
이, 횡방향 X과 겹쳐져 한 개의 띠모양에 연속한 띠모양 모양부
120을 형성하고 있다. 평면 광원(flat surfacesource) 2 a의
횡단 차폐부 75로 평면 광원(flat surfacesource) 2 b의 횡단
차폐부 75는 횡방향 X에 직선 모양에 줄서 있어 한 개의 선상에
늘어난 선상 모양부를 형성하고 있다. 평면 광원(flat surface
source) 2 a의 면상 차폐부 81은 평면 광원(flat surfacesour
ce) 2 b의 면상 차폐부 80과 세로 방향 연신부 65, 66을 통해,
대략 원형 모양의 원형 모양부 122를 형성하고 있다.
세로 방향 Y에 인접하는 평면 광원(flat surfacesource) 2 a
와 평면 광원(flat surfacesource) 2 b에 주목하면, 평면 광
원(flat surfacesource) 2 a의 횡방향 연신부 67으로 평면 광
원(flat surfacesource) 2 b의 횡방향 연신부 68은 도 13과
같이, 세로 방향 Y과 겹쳐져 한 개의 띠모양에 연속한 띠모양 모
양부 125를 형성하고 있다. 평면 광원(flat surfacesource) 2
a의 종단 차폐부 76으로 평면 광원(flat surfacesource) 2 b
의 종단 차폐부 76은 세로 방향 Y에 직선 모양에 줄서 있어 한
개의 선상에 늘어난 선상 모양부를 형성하고 있다. 평면 광원(fl
at surfacesource) 2 a의 면상 차폐부 85는 평면 광원(flat s
urface source) 2 b의 면상 차폐부 86과 횡방향 연신부 67, 6
8을 통해, 대략 원형 모양의 원형 모양부 127을 형성하고 있다.
원형 모양부 122, 127은 각각 종횡 등간격에 줄서 있어 전체적
으로 격자점상에 분포하고 있다.
계속해서, 본 실시 형태의 조명 장치(lighting system) 1을 점
등시 및 소등시 상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조명 장치(lighting system) 1을 점등시킨 상태에 대해
서 설명한다.
평면 광원(flat surfacesource) 2 a, 2 b는 도 14(a)와 같이,
모양 형성부 60에 의해서 발광 영역 30으로부터의 조사광의 일
부가 가림되어 모양 형성부 60의 형상에 따른 모양이 반영된다.
즉, 발광 영역 30으로부터의 빛이 각 빛 투과구멍 98 a~98 c를
투과해, 거주 공간 501측에 조사되어 각 빛 투과구멍 98 a~98
c가 형성된 부분만이 발광한다.
또, 조명 장치(lighting system) 1 전체를 보면, 상기와 같이
평면 광원(flat surfacesource) 2 a의 광투과구멍 98 a~98
c와 평면 광원(flat surfacesource) 2 b의 광투과구멍 121은
총개구면적(aperture area)이 다르므로, 차폐율이 달라, 면발
광 패널 10의 발광 영역 30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의 광투과율이
다르다. 즉, 평면 광원(flat surfacesource) 2 a는 평면 광원
(flat surfacesource) 2 b에 비해 차폐율이 높기 때문에, 평
면 광원(flat surfacesource) 2 b보다도 어두워진다. 그 때문
에, 도 15(a)와 같이, 평면 광원(flat surfacesource) 2 a와
평면 광원(flat surfacesource) 2 b의 사이에 특정 문양이 형성된
다.
즉, 조명 장치(lighting system) 1은 먼 곳으로부터 보고,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9개)의 평면 광원(flat surfacesour
ce) 2(2 a, 2 b)에 의해서, 한 개의 특정 모양을 형성하고 있
다.
계속해서, 조명 장치(lighting system) 1을 소등시킨 상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면발광 패널 10은 도 14(b)에 나타나도록 발광 영역 30에 있어서 음극층의 색이 반영되어 거울면이 되어, 화장 부재 11의 모양
형성부 60도 경면 광택(specular gloss)을 가지는 것이므로,
먼 곳으로부터 보고, 화장 부재 11의 모양 형성부 60과 함께 한
개의 거울면을 구성한다.
또, 조명 장치(lighting system) 1은 도 15(b)에 나타나도록
각 평면 광원 2 a, 2 b가 거울면을 각각 형성해, 먼 곳으로부터
보고, 조명 장치(lighting system) 1전체적으로 한 개의 대면
적의 거울면이 된다. 그 때문에, 거주 공간 501이 조명 장치(lig
hting system) 1에 비추어져 거주 공간 501을 크게 보이게 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평면 광원(flat surfacesource) 2 a, 2 b에 의
하면, 면발광 패널 10의 정면이 모양 형성부 60으로 덮여 있어
발광 영역 30으로부터의 빛을 부분적으로 차단하도록 발광 차폐
부 62가 형성되고 있으므로, 점등시 모양 형성부 60의 모양이
발광 영역 30으로부터의 빛으로 강조되어 디자인성이 뛰어난 평
면 광원(flat surfacesource)이 된다.
본 실시 형태의 평면 광원(flat surfacesource) 2 a, 2 b에 의
하면, 소등시에 면발광 패널 10의 발광 영역 30으로 화장 부재
11의 모양 형성부 60이 한 개의 거울면을 구성하기 위해(때문
에), 거울로서 기능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평면 광원(flat surfacesource) 2 a, 2 b에 의
하면, 화장 부재 11의 발광 차폐부 62의 일부 또는 전부가 액자
차폐부 61의 각 연신부 65~68을 연결하는 프레임(frame)로
해, 화장 부재 11이 면발광 패널 10의 보강부재로서 기능하기
위해(때문에), 기계적 강도가 보강되는 것과 동시에, 점등시에
서 휘어진 상태 등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평면 광원(flat surfacesource) 2 a, 2 b에 의
하면, 두께 방향에서 발광 영역 30 투영면상을 모양 형성부 60
의 발광 차폐부 62가 가리기 위해, 발광 영역 30이 발광 차폐부
62에 의해서 보호되고 있어 점등시의 발광부분이 파손하기 어렵
다.
본 실시 형태의 평면 광원(flat surfacesource) 2 a, 2 b에 의
하면, 면발광 타일 15의 주단면과 화장 부재 11의 측면판부 52
a~52 d와의 사이 탄성을 가지는 프레임(frame) 부재 16의 일
부가 끼고 있기 위해, 면발광 타일 15로 화장 부재 11과의 사이
의 열팽창 계수의 차이에 의한 일그러짐을 완화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조명 장치(lighting system) 1에 의하면, 평면
광원(flat surfacesource) 2 a, 2 b의 제1 영역 77 a~77 d,
130 a~130 d가 각각 4회 회전 대칭이 되고 있기 위해, 어느 방
향으로 부착부재 3에 설치해도 같은 빛을 조사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조명 장치(lighting system) 1에 의하면, 각 평
면 광원 2의 모양 형성부 60이 늘어서 한 개의 모양을 형성하기
위해(때문에), 점등시 대면적의 한 개의 모양을 표시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의 조명 장치(lighting system) 1에 의하면,
각 평면 광원 2의 모양 형성부 60에 삼각형 모양을 한 광투과구
멍 98 a, 98 b, 98 c가 다수 설치되고 있어 전체적으로 면상에
아로새겨지고 있기 위해, 스테인드 글라스(stained glass) 상
태의 모양을 표시할 수 있다.

Claims (1)

  1. 발광면을 가지는 면발광 패널과 상기 면발광 패널의 발광면을 가리는 화장부재를 구비한 평면 광원(flat surfacesource)이고,상기 발광면에는 점등시 , 빛을 방사하는 발광 영역과 상기 발광 영역을 둘러싸는 비발광의 액자 영역이 존재해, 상기 화장 부재는 모양형성부를 가지고, 상기 모양 형성부는 정면시 했을 때에, 상기 액자 영역의 전역을 가리는 액자 차폐부와 상기 액자 차폐부로부터 상기 발광 영역을 복수에 분할하도록 늘어나는 발광 차폐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형 다기능 조명기구.
KR1020180024740A 2018-02-28 2018-02-28 인테리어형 다기능 조명기구 KR201901038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4740A KR20190103827A (ko) 2018-02-28 2018-02-28 인테리어형 다기능 조명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4740A KR20190103827A (ko) 2018-02-28 2018-02-28 인테리어형 다기능 조명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3827A true KR20190103827A (ko) 2019-09-05

Family

ID=67949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4740A KR20190103827A (ko) 2018-02-28 2018-02-28 인테리어형 다기능 조명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0382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88327B2 (en) Lighting system
JP6243579B1 (ja) 平面光源及び照明装置
US20140293649A1 (en) Illumination device and automotive lamp
KR20190103827A (ko) 인테리어형 다기능 조명기구
KR101826066B1 (ko) 천장등용 이미지패널
JP2021089902A (ja) 照明器具
BR112016015843B1 (pt) Portal para a extensão sobre um aparelho de jogo ou entretenimento
US10302274B2 (en) Luminaire, modular surface covering arrangement and luminaire kit
JP2007016542A (ja) 目隠し用板状体
EP3359871B1 (en) Lighting device
CA2928253C (en) Optical lens and led light module for backlighting
JP2013098083A (ja) 照明器具
KR101262810B1 (ko) 박형 경량의 도광판 기반 엘이디 면조명기구
CN207094258U (zh) 侧发光式上下导光led平板灯
CN104613017A (zh) 换气扇
KR100778277B1 (ko) 휘도증진수단이 구비된 비상조명등
JP7066992B2 (ja) 面発光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室内構造体
JP7382000B2 (ja) 壁用室内照明パネル、壁用室内照明パネルを使用した壁および室
CN216789975U (zh) 一种导光灯
KR102605449B1 (ko) 히든 조명기구
CN216521156U (zh) 灯具
KR102205103B1 (ko) 야간용 옹벽장식블록
CN212961213U (zh) 一种灯具
CN214739617U (zh) 石膏线
JP2018055807A (ja) 照明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