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3599A - 스마트 밴드를 이용한 배뇨정보 작성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 밴드를 이용한 배뇨정보 작성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3599A
KR20190103599A KR1020180024208A KR20180024208A KR20190103599A KR 20190103599 A KR20190103599 A KR 20190103599A KR 1020180024208 A KR1020180024208 A KR 1020180024208A KR 20180024208 A KR20180024208 A KR 20180024208A KR 20190103599 A KR20190103599 A KR 201901035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rination
urine
data
smart band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42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승준
공현중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병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병원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병원
Priority to KR10201800242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03599A/ko
Publication of KR201901035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35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for measuring urological functions restricted to the evaluation of the urinary system
    • A61B5/207Sensing devices adapted to collect urine
    • A61B5/208Sensing devices adapted to collect urine adapted to determine urine quantity, e.g. flow, volu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2Monitoring a patient using a global network, e.g. telephone networks, intern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3Means for maintaining contact with the body
    • A61B5/6831Straps, bands or harn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19Inertial sensors, e.g. accelerometers, gyroscopes, tilt switch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밴드를 이용하여 배뇨일지 등 배뇨정보를 자동으로 작성하는 배뇨정보 작성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스마트 밴드에 있어서, 소변을 수집하는 수집부와 연결 또는 연결해제 가능한 일단과, 상기 스마트 밴드와 연결된 타단을 갖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타단과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의 일단과 연결된 상기 수집부의 소변량을 감지하는 무게센서; 및 상기 무게센서에서 감지된 정보에 기반한 배뇨 데이터를 유선 혹은 무선으로 송출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밴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스마트 밴드를 이용한 배뇨정보 작성 시스템{SYSTEM FOR CREATING UROFLOW INFORMATION}
본 발명은 스마트 밴드를 이용하여 배뇨일지 등의 배뇨정보를 자동으로 작성하는 배뇨정보 작성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광은 인체, 특히 복부 내부에 구비되는 주머니 모양의 장기를 말한다. 이러한 방광은 신장에서 흘러나오는 소변을 저장하였다가 일정량이 되면 요도를 통하여 외부로 소변을 배출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방광의 기능에 이상이 발생되면 빈뇨, 야간뇨, 절박뇨, 절박요실금 등의 소변 저장장애 증상이 생기거나 지연뇨, 약뇨, 단절뇨, 복압배뇨 등의 배출장애 증상이 발생하게 된다.
방광 기능의 장애가 발생된 환자는 의사에게 자신의 증상을 정확하게 말해야 하지만, 동일한 방광 기능 장애가 발생된 환자들이라도 개별 환자의 성별, 성격, 주변 환경, 운동량 등 여러 가지 요인에 따라 자신의 증상을 다르게 말하는 경우가 흔하다. 따라서, 의사는 방광 기능 장애를 진단하거나 치료하는 객관적 자료인 배뇨일지가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배뇨일지는 종이 양식으로 된 표에 환자가 배뇨시간과 배뇨량 등을 대략 3일간 기록함으로써 작성된다. 의사는 환자가 작성한 배뇨일지를 주간과 야간으로 구분하고, 각 시간대의 배뇨량을 분석하여 각종 지표들의 값을 계산하게 된다. 이러한 지표값은 3일간의 기록을 평균하여 낸 값인데, 총 배뇨횟수, 주간배뇨횟수, 야간배뇨횟수, 야간배뇨량 등이 있다.
그러나, 배뇨일지를 수동으로 작성하는 방법은 환자와 의사에게 불편함을 초래한다. 환자는 배뇨일지를 가지고 다니면서 소변을 볼 때마다 필기도구로 적어야 하고, 배뇨량을 측정하기 위해 항상 계량컵을 휴대하고 다녀야 한다. 또한, 이러한 불편함으로 인해 환자가 배뇨일지에 배뇨시간과 배뇨량을 정확하게 기록하지 않는 문제도 발생한다. 한편, 의사는 환자가 작성한 배뇨일지를 진료시간 내에 빠르게 분석해야 하지만, 환자의 수분 섭취량, 운동량 등으로 배뇨횟수, 배뇨량 등의 변화가 심하면 의사가 환자의 평균 배뇨횟수나 평균 배뇨량을 빠르게 알아내는 것이 곤란하다.
본 발명은, 환자가 소변을 보는 동안 자동으로 배뇨일지 등의 배뇨정보가 작성되고, 의사는 항목별로 구분된 배뇨정보를 신속하게 분석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발명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스마트 밴드에 있어서, 소변을 수집하는 수집부와 연결 또는 연결해제 가능한 일단과, 상기 스마트 밴드와 연결된 타단을 갖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타단과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의 일단과 연결된 상기 수집부의 소변량을 감지하는 무게센서; 및 상기 무게센서에서 감지된 정보에 기반한 배뇨 데이터를 유선 혹은 무선으로 송출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밴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스마트 밴드를 이용한 배뇨정보 작성 시스템에 있어서, 소변을 수집하는 수집부에 연결 또는 연결해제 가능한 일단과 상기 스마트 밴드에 연결된 타단을 갖는 연결부와, 상기 수집부의 소변량을 감지하는 센싱부()와, 상기 센싱부에 의해 감지된 소변량에 기반한 배뇨 데이터를 유선 혹은 무선으로 송출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밴드; 및 상기 송신부에서 송출된 배뇨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배뇨 데이터를 기반으로 배뇨정보를 작성하는 어플리케이션부를 포함하는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센싱부는 무게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무게센서는 상기 연결부의 타단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밴드를 이용한 배뇨정보 작성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무게센서와 연결된 연결부를 회전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사용자는 배뇨 데이터를 측정하지 않을 경우 연결부를 회전시켜 후크가 사용자의 신체나 외부 물체에 걸리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배뇨일지가 자동으로 작성됨으로써, 배뇨일지 작성 시 필기도구를 사용해야 하는 사용자의 불편함 및 수동으로 작성된 배뇨일지를 분석해야 하는 의사의 불편함이 최소화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요류검사정보가 자동으로 작성됨으로써, 사용자가 병원에 직접 내원하여 요류검사를 받아야 하는 불편함 및 이로 인해 소요되는 비용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다양한 센서를 사용함으로써 의사는 사용자의 절박뇨, 야간뇨, 빈뇨 등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밴드를 이용한 배뇨정보 작성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1의 스마트 밴드가 수집부와 연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스마트 밴드의 본체부에 연결된 연결부의 회전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밴드를 이용한 배뇨정보 작성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밴드를 이용한 배뇨정보 작성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1의 스마트 밴드가 수집부와 연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스마트 밴드 본체부에 연결된 연결부의 회전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밴드를 이용한 배뇨정보 작성 시스템(10)은 스마트 밴드(100) 및 단말기(200)를 포함한다.
스마트 밴드(100)는 사용자의 팔목에 착용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으로, 본체부(110) 및 밴드부(120a, 120b)를 포함한다.
본체부(110)는 스마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부품들을 그 내부에 포함되도록 구성된다. 밴드부(120a, 120b)는 본체부(110)의 양단과 연결되어, 본체부(110)를 손목과 같은 결속대상에 결속시킬 수 있다.
밴드부(120a, 120b)는 본체부(110)와 일체로 사출과 같은 공정을 통해 제공될 수도 있고, 별도의 구성품으로 제공되어 본체에 조립될 수도 있다. 밴드부(120a, 120b)는 플랙시블한 가죽이나 우레탄 소재를 이용하여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밴드부(120a, 120b)는 손목에 넣을 수 있는 개구를 가진 링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밴드부(120a, 120b)는 일반적인 고무 재질의 제1 밴드(120a) 및 제2 밴드(120b)를 포함하며, 양 단에는 서로 결속될 수 있도록 홀(122)과 상기 홀(122)이 끼워지는 스틱(124)을 포함하는 결속수단을 갖는다.
본체부(110)는 센싱부(112), 제1 메모리부(116), 제1 표시부(117) 및 제1 통신부(118)를 포함한다.
센싱부(112)는 스마트 밴드(100)를 착용한 사용자의 소변활동을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무게센서(112a), 관성센서(112b), 맥박센서(112c) 및 마이크(112d)를 포함한다.
사용자가 배출한 소변은 수집부(130)에 수집된다. 무게센서(112a)는 수집부(130)의 소변의 무게에 비례하는 무게 데이터를 감지한다. 순수한 소변량의 무게를 측정 위해 소변이 없는 수집부(130)의 무게가 0이 되도록 미리 세팅된다. 여기서, 소변량 데이터의 단위는 kg, g 등 무게에 사용되는 다양한 단위가 사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g을 사용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수집부(130)는 투명한 재질의 1회용 용기형상을 갖는다. 수집부(130)에는 연결공(132a, 132b)이 형성된다. 수집봉투의 외면에는 소변량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눈금(미도시)이 형성된다. 눈금은 액체의 양을 측정하기 위한 ml, l 등 다양한 단위가 사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ml를 사용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수집부(130)는 1회용 수집봉투 등 입체적 형상의 용기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무게센서(112a)와 수집부(130)를 연결하기 위해 연결부(114)가 제공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114)의 일단은 수집부(130)와 연결되고, 연결부(114)의 타단은 무게센서(112a)와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연결부(114)의 일단은 후크 형상을 가진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에서 연결부(114)의 일단은 집게 형상, 링 형상 등 수집부(130)와 연결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수집부(130)와 연결부(114)의 연결 형태를 보면, 수집부(130)에 형성된 연결공(132a, 132b)은 끈 등의 연결수단과 연결된다. 연결수단의 대략 중간 정도 지점을 연결부(114)의 일단에 연결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연결수단의 중간지점은 후크에 걸리게 된다.
연결부(114)의 타단은 무게센서(112a)와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연결부(114)는 회전을 통해, 수집부(130)와 연결되는 연결상태와, 수집부(130)와 연결이 해제되는 해제상태를 오갈 수 있다.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상태에서 연결부(114)의 일단은 본체부(110)의 정면 밖으로 돌출된다.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제상태에서 연결부(114)의 일단은 본체부(110)의 정면 밖으로 돌출되지 않는다. 해제상태에서 연결부(114)의 일단인 후크가 사용자의 신체나 외부 물체에 걸리는 경우가 적다.
관성 센서(112b)는 IMU(Inertial Measurement Unit) 센서라고도 하는데, 중력의 방향과 크기를 측정할 수 있는 가속도 센서와, 각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자이로 센서와, 기울어진 방향을 측정할 수 있는 지자기 센서를 포함한다. 이러한 관성 센서(112b)는 본체부(110)에 설치된다. 설치된 관성 센서(112b)는 스마트 밴드(100)의 움직임 패턴, 움직임 강도, 움직임 횟수 등의 움직임 데이터를 감지한다. 즉, 관성 센서(112b)는 스마트 밴드(100)를 착용한 사용자가 소변활동을 하기 직전의 움직임 데이터를 감지한다.
맥박 센서(112c)는 사용자의 손목 등에 접촉되도록 본체부(110)에 설치된다. 맥박 센서(112c)는 사용자의 맥박 데이터를 감지한다. 맥박 정보 중 심박변이도(Heart Rate Variability : HRV)는 하나의 심장 박동 주기로부터 다음 심장 주기 사이의 미세한 변화차이를 의미한다. 이러한 HRV는 스마트 밴드(100)의 사용자가 스트레스를 받는 상태와 평상시의 상태에 따라 서로 다른 값을 가진다. 여기서, 스트레스를 받는 상태는 사용자가 배뇨를 참는 급박한 상태이고, 평상시의 상태는 사용자가 배뇨를 참지 않을 정도로 급박하지 않은 상태를 의미한다.
맥박을 측정하는 방법은 피에조 소자 등을 이용하는 압전식, 자기 접합 터널 소자를 이용하는 자기식, 필름형 압박센서를 이용하는 압박신, 생체 전기 임피던스를 이용하는 임피던스식, 광 센서를 이용하는 광학식 등 다양하나, 본 발명에서 맥박 센서(112c)의 종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마이크(112d)는 본체부(110)에 설치된다. 마이크(112d)는 소변 소리 또는 사람의 음성 등 소리 데이터를 감지한다. 사용자는 마이크(112d)를 통해 소변 배출의 시작시점에 음성을 입력하고, 소변 배출의 종료시점에 음성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마이크(112d)를 통해 배뇨의 절박 여부를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소변 배출의 시작시점에 자신이 절박뇨라는 음성을 마이크에 입력할 수 있다.
상술한 무게 데이터, 움직임 데이터, 맥박 데이터 및 소리 데이터(이하, 배뇨 데이터라 한다)는 본체부(110)에 내장된 시계회로의 시간/날짜 데이터와 결합된다.
제1 메모리부(116)는 센싱부(112)에서 감지한 배뇨 데이터를 저장한다. 제1 메모리부(116)는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을 포함하나, 스마트 밴드(100)의 소형화를 고려한 저장 매체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표시부(117)는 센싱부(112)에서 감지한 배뇨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표시하기 위한 데이터 표시부(117a) 영역, 시간/날짜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시간 표시부(117b) 영역 및 사용자가 입력하는 입력 표시부(117c) 영역을 포함한다. 제1 표시부(117)는 터치 스크린 방식이 사용되고, 사용자는 입력 표시부(117c)영역을 터치함으로써 배뇨의 절박 여부를 스마트 밴드(100)에 입력한다. 이렇게 입력된 절박 여부 데이터는 상술한 배뇨 데이터와 결합된다.
제1 통신부(118)는 네트워크 통신을 통해 단말기(200) 또는 서버(미도시)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네트워크에는 유선 통신망 및/ 또는 무선 통신망이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마트 밴드(100)와 단말기(200) 또는 스마트 밴드(100)와 서버(미도시)의 상호 간 네트워크 통신은 유선 통신방식 또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 적외선 통신(IrDA), UWB(UltraWideBand), 지그비 등의 다양한 통신방식을 포함한다.
단말기(200)는 스마트 밴드(10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를 가공 처리하는데 필요한 기능을 수행하는 디바이스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단말기(200)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태블릿 PC(tablet P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200)는 제2 통신부(210), 제2 메모리부(220), 어플리케이션부(230) 및 제2 표시부(240)를 포함한다.
제2 통신부(210)는 네트워크 통신을 통해 스마트 밴드(100)의 제1 통신부(118)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네트워크 통신방식은 상술한 바와 같다.
제2 메모리부(220)는 단말기(2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단말기(2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 스마트 밴드(10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응용 프로그램은 유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미도시)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부(230)는 배뇨정보를 작성하기 위한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은 요류검사정보 작성 기능 및 배뇨일지정보 작성기능을 포함하여 수행한다.
요류검사(Uroflow metry)는 시간의 경과에 따른 소변량을 검사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요류검사를 그래프로 나타낸다면, 종축은 ml/sec, 횡축은 sec이다. 요류검사를 통해 알 수 있는 제1 배뇨정보는 소변의 배뇨시간, 요속, 최대 요속, 평균 요속, 최대 배뇨량, 평균 배뇨량, 최대 배뇨량까지 걸린 시간, 배뇨의 지속여부, 배뇨 패턴 등의 항목을 포함한다. 이러한 제1 배뇨정보는 사용자 별로 다양하게 나타난다. 예를 들어, A가 1회 배출한 배뇨정보는 최대 요속 40ml/sec, 하나의 종모양의 배뇨 패턴을 포함하나, B가 1회 배출한 배뇨정보는 최대 요속 10ml/sec, 여러 종모양의 배뇨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부(230)는 제2 메모리부(220)에 저장된 배뇨 데이터를 가공 및 처리하여 제1 배뇨정보의 각 항목별로 구분하여 작성한다. 물의 비중은 1이므로 배뇨 데이터에 포함된 소변의 무게 단위인 g은 소변의 부피단위인 ml와 같다. 따라서, 배뇨 데이터의 Xg을 Xml로 사용해도 무방하다. 제1 배뇨정보는 각 항목별로 그래프로 작성되거나 수치가 기재된 표로 작성된다.
배뇨일지는 환자가 스스로 필기도구를 사용해 배뇨시간, 배뇨량 등을 기재한 것으로, 이러한 배뇨일지는 대략 3일간 작성된다. 배뇨일지를 통해 알 수 있는 제2 배뇨정보는 배뇨날짜, 배뇨시간, 배뇨량, 배뇨횟수, 절박여부 등의 항목을 포함한다. 제2 배뇨정보는 각 항목별로 그래프로 작성되거나 수치가 기재된 표로 작성된다.
어플리케이션부(230)는 제2 메모리부(220)에 저장된 배뇨 데이터를 가공 및 처리하여 제2 배뇨정보의 각 항목별로 구분하여 작성한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부(230)는 사용자가 12월 1일 1시 1분에서 1시 2분 사이에 배뇨한 배뇨량과, 그 다음 배뇨 시간인 12월 1일 5시 10분에서 5시 11분 사이에 배뇨한 배뇨량을 작성한다. 여기서, 사용자의 배뇨량은 시간에 따른 소변량을 적분하여 구할 수 있다.
작성된 제1 배뇨정보(요속검사정보) 또는 제2 배뇨정보(배뇨일지정보)는 제2 메모리부(220)에 저장된다.
제2 표시부(240)는 어플리케이션부(230)에서 작성한 결과를 표시한다. 즉, 제2 표시부(240)는 어플리케이션부(230)에서 작성된 그래프 또는 표로 표시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밴드를 이용한 배뇨정보 작성 시스템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소변을 배출할 시점이 오면 스마트 밴드(100)를 착용한 사용자는 수집부(130)의 연결공(132a, 132b)에 연결된 끈을 연결부(114)의 후크에 건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수집부(130)에 소변을 보기 시작하면 연결부(114)에 연결된 무게센서(112a)는 소변량의 무게에 비례하는 무게 데이터를 감지한다. 이러한 데이터는 제1 메모리부(116)에 저장된다. 제1 표시부(117)는 무게센서(112a)에서 감지한 무게 데이터를 무게 단위 또는 부피 단위의 수치로 표시한다. 제1 통신부(118)는 제1 메모리부(116)에 저장된 무게 데이터를 단말기(200)로 송신한다.
다음으로, 단말기(200)의 제2 통신부(210)는 스마트 밴드(100)로부터 무게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2 메모리부(220)에 저장한다. 어플리케이션부(230)는 제2 메모리부(220)에 저장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제1 배뇨정보의 각 항목별로 구분하여 그래프 또는 표로 배뇨일지 정보를 작성한다. 또한, 어플리케이션부(230)는 제2 메모리부(220)에 저장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제2 배뇨정보의 각 항목별로 구분하여 그래프 또는 표로 요류검사 정보를 작성한다.
다음으로, 작성된 제1 또는 제2 배뇨정보는 제2 메모리부(220)에 저장된다. 이후, 제2 메모리부(220)에 저장된 제1 또는 제2 배뇨정보는 별도의 저장매체(미도시)에 저장되어 운반되거나, 제2 통신부(210)를 통해 외부의 서버(미도시) 등에 전송되는 형태로 의사에게 전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의사는 사용자의 절박뇨, 야간뇨, 빈뇨 등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절박뇨란 배뇨를 참지 못하고 즉시 배뇨해야 하는 상태를 의미하고, 야간뇨란 야간에 배뇨횟수가 자주 일어나는 상태를 의미하고, 빈뇨는 배뇨횟수가 비정상적으로 증가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밴드를 이용한 배뇨정보 작성 시스템의 절박뇨, 야간뇨, 빈뇨 등을 확인하는 동작을 설명한다.
첫 번째 확인과정으로, 상술한 과정에 의해 제2 배뇨정보가 작성되면, 제2 배뇨정보에는 사용자의 배뇨횟수가 포함된다. 배뇨일지를 전달받은 의사는 사용자의 평상시의 배뇨일지와 방광 기능에 문제가 있는 배뇨일지를 비교하여 배뇨횟수가 증가하였다면 절박뇨 또는 빈뇨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배뇨횟수가 야간에 증가하였다면 의사는 야간뇨로 판단할 수 있다.
두 번째 확인과정으로, 사용자는 소변 배출의 제1 시점에서 제1 표시부(117)의 입력 표시부(117c) 영역을 터치함으로써 배뇨의 절박 여부를 직접 입력한다. 그러면 배뇨일지에는 제1 시점에 절박뇨가 표시되고, 의사는 제1 시점을 절박뇨로 판단할 수 있다. 만일, 제1 시점이 야간이라면 의사는 야간뇨로 판단할 수 있다.
세 번째 확인과정으로, 관성 센서(112b)는 사용자의 소변 배출의 제2 시점에 움직임 데이터를 감지한다. 그러면 배뇨일지에는 제2 시점의 움직임 패턴 등이 표시되고, 의사는 움직임 패턴 등에 따라 제2 시점을 절박뇨로 판단할 수 있다. 만일 제2 시점이 야간이라면 의사는 야간뇨로 판단할 수 있다.
네 번째 확인과정으로, 맥박 센서(112c)는 사용자의 소변 배출의 제3 시점에 맥박 데이터를 감지한다. 그러면 배뇨일지에는 제3 시점의 HRV 등이 표시되고, 의사는 사용자의 평상시의 HRV와 비교하여 제3 시점을 절박뇨로 판단할 수 있다. 만일 제3 시점이 야간이라면 의사는 야간뇨로 판단할 수 있다.
다섯 번째 확인과정으로, 사용자는 소변 배출의 제4 시점에 마이크(112d)를 통해 절박 여부 음성을 입력함으로써 배뇨의 절박 여부를 직접 입력한다. 그러면 배뇨일지에는 제4 시점에 절박뇨가 표시되고, 의사는 제4 시점을 절박뇨로 판단할 수 있다. 만일 제4 시점이 야간이라면 의사는 야간뇨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관성센서(112b), 맥박센서(112c), 마이크(112d)는 스마트 밴드(100)의 밴드부(120)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스마트 밴드(100)에서 감지된 배뇨 데이터는 단말기(200)를 거치지 않고 외부 서버(미도시)에 직접 송신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수집부(130)에는 요검사 스트립(미도시) 및 색상센서(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소변에 포함된 성분의 농도에 따라 요검사 스트립(미도시)에 형성된 시약의 색상이 변화하게 되는데, 색상센서(미도시)는 이러한 색상 데이터를 감지한다. 색상 데이터는 통신을 통해 제1 메모리부(116)에 전송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실행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 : 스마트 밴드를 이용한 배뇨정보 작성 시스템
100 : 스마트 밴드 112 : 센싱부
112a : 무게센서 112b : 관성센서
112c : 맥박센서 112d : 마이크
114 : 연결부 116 : 제1 메모리부
117 : 제1 표시부 118 : 제1 통신부
120 : 밴드부 122 : 홀
124 : 스틱 130 : 수집부
132: 연결공 200 : 단말기 210 : 제2 통신부 220 : 제2 메모리부 230 : 어플리케이션부
240 : 제2 표시부

Claims (9)

  1. 스마트 밴드에 있어서,
    소변을 수집하는 수집부와 연결 또는 연결해제 가능한 일단과, 상기 스마트 밴드와 연결된 타단을 갖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타단과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의 일단과 연결된 상기 수집부의 소변량을 감지하는 무게센서; 및
    상기 무게센서에서 감지된 정보에 기반한 배뇨 데이터를 유선 혹은 무선으로 송출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밴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일단은 후크 형상을 갖고,
    상기 연결부의 타단은 상기 무게센서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밴드.
  3. 스마트 밴드를 이용한 배뇨정보 작성 시스템에 있어서,
    소변을 수집하는 수집부에 연결 또는 연결해제 가능한 일단과 상기 스마트 밴드에 연결된 타단을 갖는 연결부와, 상기 수집부의 소변량을 감지하는 센싱부와, 상기 센싱부에 의해 감지된 소변량에 기반한 배뇨 데이터를 유선 혹은 무선으로 송출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밴드; 및
    상기 송신부에서 송출된 배뇨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배뇨 데이터를 기반으로 배뇨정보를 작성하는 어플리케이션부를 포함하는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센싱부는 무게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무게센서는 상기 연결부의 타단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밴드를 이용한 배뇨정보 작성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배뇨 데이터는 상기 소변량의 시간에 따른 변화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배뇨정보는 배뇨시간, 요속, 평균요속, 최대요속, 최대배뇨량, 평균배뇨량, 최대배뇨량까지 걸린 시간, 배뇨의 지속여부, 배뇨패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제1 배뇨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밴드를 이용한 배뇨정보 작성 시스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배뇨 데이터는 상기 소변량의 시간에 따른 변화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배뇨정보는 배뇨시간, 배뇨량, 배뇨횟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제2 배뇨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밴드를 이용한 배뇨정보 작성 시스템.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상기 스마트 밴드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관성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배뇨 데이터는 상기 스마트 밴드의 움직임 시간 데이터 또는 움직임 강도 데이터 또는 움직임 횟수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밴드를 이용한 배뇨정보 작성 시스템.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소변 소리 또는 사람의 음성을 인식하는 마이크를 포함하고,
    상기 배뇨 데이터는 상기 마이크에서 인식된 소리로 구분되는 소변배출 시작 시점 데이터 또는 소변배출 종료시점 데이터 또는 배뇨의 절박여부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밴드를 이용한 배뇨정보 작성 시스템.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심박수 변화에 따른 스트레스 정도를 감지하는 맥박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배뇨 데이터는 상기 맥박센서의 감지에 따른 상기 스트레스의 강도 데이터 또는 스트레스의 횟수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밴드를 이용한 배뇨정보 작성 시스템.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밴드에는 터치 스크린 방식의 표시부가 형성되고,
    상기 표시부에는 사용자가 배뇨의 절박 여부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가 형성되며,
    상기 배뇨 데이터는 상기 입력부의 입력에 따라 배뇨의 절박여부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밴드를 이용한 배뇨정보 작성 시스템.
KR1020180024208A 2018-02-28 2018-02-28 스마트 밴드를 이용한 배뇨정보 작성 시스템 KR201901035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4208A KR20190103599A (ko) 2018-02-28 2018-02-28 스마트 밴드를 이용한 배뇨정보 작성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4208A KR20190103599A (ko) 2018-02-28 2018-02-28 스마트 밴드를 이용한 배뇨정보 작성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3599A true KR20190103599A (ko) 2019-09-05

Family

ID=67949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4208A KR20190103599A (ko) 2018-02-28 2018-02-28 스마트 밴드를 이용한 배뇨정보 작성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0359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3035A (ko) * 2019-12-10 2021-06-18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선 요속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22191623A1 (ko) * 2021-03-11 2022-09-15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소변 주머니의 움직임을 보정하는 소변량 측정 장치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3035A (ko) * 2019-12-10 2021-06-18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선 요속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22191623A1 (ko) * 2021-03-11 2022-09-15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소변 주머니의 움직임을 보정하는 소변량 측정 장치 및 방법
KR20220127550A (ko) * 2021-03-11 2022-09-20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소변 주머니의 움직임을 보정하는 소변량 측정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01800B2 (en) Indicators for wearable electronic devices
CN103529684B (zh) 用于自动测录健康数据的智能健康手表及智能健康系统
US20100240967A1 (en) Belt with health management function
US9685097B2 (en)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eating activities
CN102125427B (zh) 一种手机体检系统
US2006010053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bio signals
CN205667545U (zh) 一种可穿戴式生理信号监护内衣
WO2010083196A1 (en) Weight control device
CN105592781A (zh) 可穿戴式个人计算机和医疗设备
US20160014129A1 (en) User Control of Data De-Idenfication
CN105228512A (zh) 胎动监测器
CN101193588A (zh) 连续血压监测的系统
CA3066497A1 (en) Portable urination weight measurement device
CN106456008A (zh) 利用移动设备和配件进行心脏监测的方法和系统
CN104382602A (zh) 多参数智能生理检测手套
CN103263257A (zh) 一种远程生命体征测量系统
US1042639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urination of a subject
KR20190103599A (ko) 스마트 밴드를 이용한 배뇨정보 작성 시스템
WO2013050309A1 (en) Memory card usage with blood glucose devices
CN202122573U (zh) 一种手机体检装置
KR20020092420A (ko) 생체정보 처리시스템, 단말장치, 생체정보 처리장치,생체정보 처리방법 및 프로그램
KR102118158B1 (ko)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여성 배뇨 감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판단 방법
CN105816162A (zh) 一种监测心率和血压的智能手表
CN208769818U (zh) 托腹带、托腹裤和母婴健康监测系统
Vashist et al. Wearable technologies for personalized mobile healthcare monitoring and manag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