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3066A - 왕복 이송 제본장치 - Google Patents

왕복 이송 제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3066A
KR20190103066A KR1020190032439A KR20190032439A KR20190103066A KR 20190103066 A KR20190103066 A KR 20190103066A KR 1020190032439 A KR1020190032439 A KR 1020190032439A KR 20190032439 A KR20190032439 A KR 20190032439A KR 20190103066 A KR20190103066 A KR 201901030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fixed
adhesive
reciprocating
c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24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65688B1 (ko
Inventor
이금석
최성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알
이금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알, 이금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알
Priority to KR10201900324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5688B1/ko
Publication of KR20190103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30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56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56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CBOOKBINDING
    • B42C19/00Multi-step processes for making boo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CBOOKBINDING
    • B42C9/00Applying glue or adhesive peculiar to bookbi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7/00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 B65H37/04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for securing together articles or webs, e.g. by adhesive, stitching or stap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08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grippers, e.g. suction grippers
    • B65H5/085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grippers, e.g. suction grippers by combinations of endless conveyors and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40Toothed gearings
    • B65H2403/41Rack-and-pinion, cogwheel in cog railw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lding Of Thin Sheet-Like Materials, Special Discharging Devices, And Oth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왕복 이송 제본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왕복 이송 제본장치에 있어서, 몸체; 상기 몸체 일측에 형성되어 내지를 협지하는 클램프부; 상기 클램프부를 좌우 왕복 이송시키는 이송부; 상기 클램프부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내지 하면을 평탄하게 정렬시키고 상기 내지의 하면, 정면 및 후면을 가압하여 상기 내지에 표지를 접합시키는 접합부; 상기 접합부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내지 하면에 접착액을 도포하는 접착액부 및 상기 접착액부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내지 하면에 스크래치를 내는 스크래처를 포함하되, 상기 클램프부가 왕복 이송되는 것으로 제본 작업이 완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 이송 제본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Description

왕복 이송 제본장치{Reciprocating transfer book binding device}
본 발명은 왕복 이송 제본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제본 시 내지 하면에 스크래치를 두번 내는 것으로 하면의 접착액 도포면적을 넓혀 표지와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고 스크래치 시 분진 및 소음이 발생하지 않으며, 모터로만 모든 구성의 구동이 가능한 왕복 이송 제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출판사를 비롯한 인쇄소 및 제본소, 복사전문점, 학교, 각 기업체의 복사실, 관공서, 은행 등 제본량이 많은 곳에서 복사 및 인쇄물을 제본하기 위하여 제본장치를 사용하고 있다.
제본장치는 일명 무선철기라하여 책과 노트 및 주간지등의 책자를 제본하는 책 제본기로서 동력원으로 회전하는 무한체인과 여기에 고정된 바이스가 회전되면서 작업자로부터 내지묶음을 공급받아 이송하게 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종래의 제본장치는 하나의 본체에 내용물(인쇄물)을 협지하여 이송시키는 클램프장치와, 협착된 내용물의 하단부에 다수의 긁힘자국을 내어서 접착액이 깊숙히 도포되게 하는 스크래치장치와, 이송되는 내용물의 하단부에 접착액을 칠해주는 접착액 도포장치와, 이송된 내용물에 표지를 접착함과 동시에 압착하여 제본을 완성시키는 사이징장치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들 장치는 일련의 연속 자동으로 작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본장치는 표지를 책자에 접착하기 위하여 사이징장치의 한 쌍의 가압판을 당겨서 표지가 책자의 양측면에 부착되도록 가압하기 위하여 한 쌍의 공압실린더를 가압판의 양측 끝단에 각각 설치하여 사용하는데, 공압실린더에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양이 다를 경우 가압판의 양 끝단이 동일하게 움직이지 못하고 서로 다른 거리로 이동하게 되어 표지가 책자의 양 측면에 완전히 접착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스크래치장치로 다수의 긁힘자국을 내는 작업 시 분진, 파편 등 찌꺼기가 많이 발생하고, 소음 발생에 대한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에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분진, 파편 등의 찌꺼기를 집진장치를 통해 흡입하였으나, 왕복 이송 제본장치의 구조가 복잡해짐과 동시에 부피가 상당히 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제본 시 내지 하면에 스크래치를 두번 내는 것으로 하면의 접착액 도포면적을 넓혀 표지와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고 스크래치 시 분진 및 소음이 발생하지 않으며, 모터로만 모든 구성의 구동이 가능한 왕복 이송 제본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왕복 이송 제본장치는 왕복 이송 제본장치에 있어서, 몸체; 상기 몸체 일측에 형성되어 내지를 협지하는 클램프부; 상기 클램프부를 좌우 왕복 이송시키는 이송부; 상기 클램프부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내지 하면을 평탄하게 정렬시키고 상기 내지의 하면, 정면 및 후면을 가압하여 상기 내지에 표지를 접합시키는 접합부; 상기 접합부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내지 하면에 접착액을 도포하는 접착액부 및 상기 접착액부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내지 하면에 스크래치를 내는 스크래처를 포함하되, 상기 클램프부가 왕복 이송되는 것으로 제본 작업이 완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 이송 제본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클램프부는 상기 내지를 받쳐주는 제1 고정판; 상기 제1 고정판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내지를 가압하여 고정하는 제2 고정판; 일단이 상기 제2 고정판의 양측에 수직으로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제1 고정판의 양측에 관통되며, 고정 래크가 형성된 고정로드; 상기 고정로드의 고정 래크에 맞물려 회전에 의해 상기 고정로드를 전후측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이송부에 연결되는 고정모터부 및 상기 제1 고정판의 후측에 상기 클램프부의 이송방향과 평행하게 고정되고 거치휠에 거치되어 상기 클램프부의 처짐을 방지하는 처짐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모터부는 상기 고정 래크에 맞물리는 고정 피니언; 상기 고정 피니언이 양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1 고정판의 후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고정 회전축; 상기 고정 회전축에 설치되는 제1 고정기어; 상기 제1 고정기어와 연결되는 제2 고정기어; 상기 제2 고정기어를 회전시키는 고정 모터 및 상기 제1 고정판에 고정되어 상기 고정 회전축이 관통되고, 상기 고정 모터가 설치되며 상기 이송부가 연결되는 고정 연결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고정판은 상기 제1 고정판의 후면 양단에 수직으로 형성되어, 상기 처짐바가 후면에 고정되고, 상기 고정 회전축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고정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램프부는 타단이 상기 제1 고정판의 정면 일측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제1 밀림방지바 및 상기 제1 밀림방지바의 하측에 평행되게 설치되며, 일단이 상기 제2 고정판의 일측에 관통되고 타단이 제1 고정판의 정면 일측에 고정되는 제2 밀림방지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부는 상기 몸체의 하면 일측에 설치되는 이송 모터; 상기 이송 모터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제1 이송기어; 상기 제1 이송기어 상측에 설치되는 제2 이송기어; 상기 제2 이송기어와 수평으로 상기 몸체의 타측에 설치되는 제3 이송기어; 상기 제1 이송기어 타측에 설치되는 제4 이송기어 및 상기 제1 내지 제4 이송기어에 연결되어 회전하며 상기 클램프부가 연결되는 이송체인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 이송기어는 상기 이송체인을 하측에서 받쳐 회전시키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합부는 하나의 구동 모터에 의해 상하 및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내지의 하면, 정면 및 후면을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합부는 상기 몸체의 하면 일측에 설치되는 구동 모터; 상기 구동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 피니언; 상기 구동 피니언과 맞물리는 구동 래크가 형성되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는 하판부; 상기 하판부의 상측에 형성되어 상기 하판부의 이동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내지의 정면 및 후면을 가압하는 중판부 및 상기 중판부의 상측에 형성되고 상기 하판부의 이동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내지의 하면을 가압하는 상판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판부는 상기 구동 래크가 하면 일측에 형성된 하판; 상기 하판의 하측에 전후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된 하판 가이드; 상기 하판의 하면에 형성되어 상기 하판 가이드를 따라 이동하는 하판 가이드홀더; 상기 하판의 상면 중심에서 정면측에 형성되어 상기 상판부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상판 레일; 상기 하판의 상면에서 상기 상판 레일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하판이 후측 방향으로 이동될 시 캠을 밀어 회동시키는 캠밀대판; 상기 하판에서 상기 캠밀대판 외측에 형성되는 하판 가이드홀; 상기 몸체의 하면에 설치되어 상기 하판 가이드홀에 관통되는 하판 가이드대; 상기 하판의 상면에서 상기 하판 가이드홀의 외측에 형성되어 상기 중판부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중판 레일 및 상기 하판의 상면 양측에서 정면측에 형성되어 상기 하판이 후측 방향으로 이동될 시 상기 중판부에 걸려 상기 중판부를 후측 방향으로 당겨주는 걸림훅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판 레일은 다단으로 형성되되, 후면에서 정면으로 높이가 낮아지게 형성된 제1 상판 레일 및 상기 제1 상판 레일의 정면에 연결되되, 상기 제1 상판 레일의 가장 낮은 단보다 높이가 높게 형성되는 제2 상판 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판 레일은 상기 하판의 정면측에 형성되며, 후면측에 형성된 제1 하단, 정면측에 형성된 제1 상단 및 상기 제1 하단 및 제1 상단 사이에 형성된 제1 꺼짐홈을 포함하는 제1 중판 레일 및 상기 하판의 후면측에 형성되며, 후면측에 형성된 제2 하단, 정면측에 형성된 제2 상단 및 상기 제2 하단 및 제2 상단 사이에 형성된 제2 꺼짐홈을 포함하는 제2 중판 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판부는 상기 하판부의 이동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중판; 상기 중판의 중심에 형성된 상판 관통홀; 상기 중판의 하면에서 상기 상판 관통홀의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중판 레일에 이동되는 중판 휠부; 상기 중판 휠부 외측에 형성되는 접착판 가이드; 상기 접착판 가이드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내지의 정면 및 후면을 가압하는 정후면 접착판; 상기 중판에서 상기 중판 휠부 내측에 형성되는 중판 가이드홀 및 상기 몸체의 하면에 설치되어 상기 중판 가이드홀에 관통되는 중판 가이드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후면 접착판은 상기 접착판 가이드에 연결되는 상기 제1 접착판 가이드홀더를 포함하며, 상기 내지의 후면을 가압하는 제1 정후면 접착판; 상기 접착판 가이드에 연결되어 상기 접착판 가이드를 따라 이동되는 제2 접착판 가이드홀더를 포함하며, 상기 내지의 정면을 가압하는 제2 정후면 접착판; 상기 제2 접착판 가이드홀더 하면에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걸림훅에 걸려 후측방향으로 당겨지는 걸림돌기 및 일단 상기 제1 접착판 가이드홀더의 정면에 수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 접착판 가이드홀더를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2 정후면 접착판에 탄성력을 주는 접착판 스프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판부는 상기 제1 정후면 접착판의 하면 중심에 설치되는 보조 접착판; 상기 보조 접착판의 하면 양측에 고정되는 받침 부싱 및 상기 중판에서 상기 중판 가이드홀 후측에 2개가 형성되어 상기 하판부가 후측 방향으로 이동될 시 상기 캠밀대판에 의해 밀려 회동되어 상기 받침 부싱을 가압하는 캠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판부는 상기 하판부의 이동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내지의 하면을 가압하는 상판; 상기 상판의 하면에 설치되고 상기 상판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상판 레일에 이동되는 상판 휠부 및 상기 상판의 양측에 설치되고 상기 중판을 관통하여 상기 중판에 탄성력을 주는 상판 스프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합부는 상기 제2 상판 레일의 높이를 조절하는 상판레일조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판레일조절부는, 상기 제2 상판 레일이 거치되는 조절기어; 상기 조절기어가 설치된 조절회전축 및 상기 조절회전축을 회전시킬 수 있는 조절손잡이를 포함하되, 상기 조절기어는 다수개 기어 이의 이끝반지름이 모두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착액부는 상면이 개구되고 상기 접착액을 수용하는 접착액실; 상기 접착액실 상면에 상기 클램프부의 이송방향과 수직으로 설치된 접착액롤러; 상기 접착액롤러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접착액롤러를 가열시키는 히팅장치 및 상기 접착액롤러를 회전시키는 접착액모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액모터부는 상기 접착액롤러 정면에 각각 설치된 제1 및 제2 회전기어; 제1 및 제2 회전기어 사이에 설치되어 제1 및 제2 회전기어와 맞물리는 제3 회전기어; 상기 제3 회전기어에 연결되는 제4 회전기어; 상기 제4 회전기어와 연결되는 제5 회전기어 및 상기 제5 회전기어에 연결되어 회전시키는 접착액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히팅장치는 할로겐램프히터로 구비되어, 상기 접착액롤러를 간접 가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크래처는 결합재; 상기 결합재의 단턱에 서로 교대로 다수개를 삽입하여 장착하는 제1 내지 제3 톱니링 및 상기 제1 내지 제3 톱니링을 고정하는 고정캡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내지 제3 톱니링은 톱니의 위치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왕복 이송 제본장치는 상기 접착액부 및 스크래처 후측에 설치되는 격벽부 및 상기 격벽부 정면 상측에 상기 클램프부의 이송방향으로 일정각격 이격되어 다수개가 형성되고, 상기 처짐바를 지지하는 거치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왕복 이송 제본장치는 상기 몸체의 일측면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클램프부가 왕복 이송될 시 충격을 흡수하는 클램프부댐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왕복 이송 제본장치는 미작업시 상기 클램프부를 받쳐주는 거치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왕복 이송 제본장치는 제본 시 내지 하면에 스크래치를 두번 내는 것으로 하면의 접착액 도포면적을 넓혀 표지와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고 스크래치 시 분진, 파편 등이 발생하지 않아 분진 등을 흡입하는 집진장치가 필요하지 않고, 이에 따라 기존의 장치보다 구조가 간단하게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스크래치 시 소음이 발생하지 않아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모터로만 모든 구성의 구동이 가능하여 별도의 실린더 등이 필요하지 않다.
또한, 제본 작업이 시작된 지점에서 완료되어 작업 길이를 단축시킬 수 있어 왕복 이송 제본장치의 구조가 더 간단하게 제작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왕복 이송 제본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왕복 이송 제본장치를 도시한 후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왕복 이송 제본장치를 일부 절개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왕복 이송 제본장치를 일부 절개하여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왕복 이송 제본장치를 도시한 투영배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왕복 이송 제본장치의 클램프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왕복 이송 제본장치의 클램프부를 도시한 후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왕복 이송 제본장치의 클램프부를 도시한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왕복 이송 제본장치의 이송부를 도시한 투영배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왕복 이송 제본장치의 접합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왕복 이송 제본장치의 접합부를 도시한 저후면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왕복 이송 제본장치의 접합부를 도시한 정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왕복 이송 제본장치의 접합부를 도시한 후면도.
도 14는 도 9의 접합부의 하판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15는 도 9의 접합부의 하판부를 도시한 저면사시도.
도 16은 도 9의 접합부의 하판부를 도시한 평면도.
도 17의 (a) 및 (b)는 도 14의 하판부의 상판 레일, 중판 레일을 도시한 측면도.
도 18의 (a) 및 (b)는 도 9의 접합부의 상판높이조절부를 도시한 측면도 및 작동 예시도.
도 19의 (a) 및 (b)는 도 9의 접합부의 중판부를 도시한 사시도 및 저면사시도.
도 20은 도 19의 중판부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1은 도 19의 중판부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저면사시도.
도 22의 (a) 및 (b)는 도 17의 중판부의 정후면 접착판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23의 (a) 및 (b)는 도 9의 접합부의 상판부를 도시한 사시도 및 저면사시도.
도 24의 (a), (b) 및 (c)는 하판부 및 중판부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25의 (a), (b) 및 (c)는 하판부 및 상판부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왕복 이송 제본장치의 접착액부를 도시한 투영사시도.
도 27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왕복 이송 제본장치의 스크래처를 도시한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갖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 1 내지 도 2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왕복 이송 제본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왕복 이송 제본장치를 도시한 후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왕복 이송 제본장치를 일부 절개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왕복 이송 제본장치를 일부 절개하여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왕복 이송 제본장치를 도시한 투영배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왕복 이송 제본장치는 제본 시 내지 하면에 스크래치를 형성하여 하면의 접착액 도포면적을 넓혀 표지와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고 스크래치 시 분진 및 소음이 발생하지 않으며, 모터로만 모든 구성의 구동이 가능한 왕복 이송 제본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때 본 발명의 모터의 구성은 모터가 가장 바람직하나, 그 외의 동력장치로도 적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왕복 이송 제본장치는 몸체(1), 클램프부(2), 이송부(3), 접합부(4), 접착액부(5) 및 스크래처(6)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왕복 이송 제본장치는 클램프부(2)에 내지가 협지되면 좌우 왕복 이송되는 것으로 제본 작업이 완료될 수 있다. 즉, 클램프부(2)가 이송부(3)에 의해 이송되고 원래 위치로 되돌아오면 한번의 제본 작업이 완료되는 것이다.
몸체(1)는 왕복 이송 제본장치의 구성이 설치될 수 있고, 왕복 이송 제본장치의 구성들을 커버할 수 있다.
또한, 몸체(1)는 지지프레임(10)을 포함하여 지지프레임(10)의 상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굽히지 않고 서서 왕복 이송 제본장치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왕복 이송 제본장치는 격벽부(11), 거치휠(12), 제2 보조롤러(13), 클램프부댐퍼(미도시) 및 거치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격벽부(11)는 접착액부(5) 및 스크래처(6) 후측에 설치될 수 있다. 즉, 몸체(1)의 하면에 수직되게 형성되고, 클램프부(2)의 이송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거치휠(12)은 격벽부(11) 정면 상측에 클램프부(2)의 이송 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거치휠(12)은 처짐바(24)가 상측에 거치되어 처짐바(24)를 지지하여 클램프부(2)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거치휠(12)은 클램프부(2)의 좌우 왕복 이송이 용이하도록 회전되어 보조적으로 도와줄 수 있다.
제2 보조롤러(13)는 몸체(1)의 상면에 형성되어 클램프부(2)의 제1 정후면 접착판(4340)의 상면과 접하여 회전되는 것으로, 클램프부(2)의 좌우 왕복 이송이 용이하도록 보조적으로 도와줄 수 있다.
클램프부댐퍼(미도시)는 몸체(1)의 일측면 내부에 설치되어 클램프부(2)가 왕복 이송될 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이송부(3)에 의해 클램프부(2)가 이송되고 원위치로 돌아올 때 속도가 감소되면서 정지할 수 있고 충격이 감소되도록 완화 장치 역할을 할 수 있다.
거치대(미도시)는 몸체(1)의 상면에 연결되어 왕복 이송 제본장치를 사용하지 않는 미작업시 클램프부(2)를 받쳐줄 수 있다. 클램프부(2)가 이송부(3)의 이송체인(35)에 고정되고 거치휠(12)에 거치되어 위치가 고정될 수 있으나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클램프부(2)를 받쳐주어 클램프부(2)에 한쪽으로 가해질 수 있는 부하를 완화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왕복 이송 제본장치의 클램프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왕복 이송 제본장치의 클램프부를 도시한 후면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왕복 이송 제본장치의 클램프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클램프부(2)는 몸체(1) 일측에 형성되어 내지를 협지할 수 있고, 제본 작업 시 이송부(3)에 의해 좌우 왕복 이송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클램프부(2)는 제1 고정판(20), 제2 고정판(21), 고정로드(22), 고정모터부(23), 처짐바(24) 및 밀림방지바(2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고정판(20)은 내지가 정면측으로 정렬되어 내지의 하면을 받쳐줄 수 있다.
제1 고정판(20)은 직사각형의 판으로 몸체(1)의 하면에 대해 수직으로, 이송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고정판(20)은 고정대(20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대(200)는 제1 고정판(20)의 후면 양단에 수직으로 형성되어 처짐바(24) 및 고정모터부(23)의 고정 회전축(231)이 설치될 수 있다.
즉, 고정대(200)를 포함하는 제1 고정판(20)은 상측에서 바라볼 때 'ㄷ'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고정판(21)은 제1 고정판(20)의 정면측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평행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고정판(21)은 제1 고정판(20) 방향으로 이동되어 내지를 가압하여 고정할 수 있다.
즉, 제2 고정판(21)이 후측 방향으로 내지의 두께에 따라 이동되어 가압함에 따라, 제1 고정판(20)과 제2 고정판(21)이 내지의 정면 및 후면에 밀착 고정되어 협지할 수 있는 것이다.
고정로드(22)는 고정모터부(23)에 의해 전후측 방향으로 이동되어 제2 고정판(21)을 이동시키는 것으로, 제1 및 제2 고정판(20,21)의 양측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고정로드(22)는 원형 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더욱 구체적으로, 고정로드(22)는 일단이 제2 고정판(21)에 수직으로 고정되고, 타단이 제1 고정판(20)에 관통될 수 있고, 고정 래크(22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래크(220)는 고정로드(22)의 상측에 고정로드(22)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 래크(220)는 고정모터부(23)의 고정 피니언(230)에 맞물려 고정 피니언(230)의 회전에 따라 전후측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고정모터부(23)는 고정 래크(220)에 맞물려 회전에 의해 고정로드(22)를 전후측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이송부(3)에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고정모터부(23)는 고정 피니언(230), 고정 회전축(231), 제1 고정기어(232), 제2 고정기어(233), 고정 모터(234) 및 고정 연결판(235)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 피니언(230)은 고정 래크(220)에 맞물려 회전에 의해 고정로드(22)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고정 피니언(230)은 고정로드(22)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고정 회전축(231)은 고정 피니언(230)이 양측에 설치되고 제1 고정판(20)의 후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고정 래크(220)의 방향에 의해 제1 고정판(20)과 평행되게 설치될 수 있다.
즉, 고정 회전축(231)은 제1 고정판(20)의 고정대(200)에 양단이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 회전축(231)은 고정 피니언(230) 및 제1 고정기어(232)가 설치되어 제1 고정기어(232)의 회전을 따라 회전되고 회전력을 고정 피니언(230)에 전달하여 고정 피니언(230)이 회전되게 할 수 있다.
제1 고정기어(232)는 고정 회전축(231)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고정기어(232)는 고정 피니언(230)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제2 고정기어(233)는 제1 고정기어(232)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고정기어(233)는 제1 고정기어(232)와 체인에 의해 연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직접 맞물리거나 밸트에 의해 연결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제2 고정기어(233)는 고정 모터(234)에 의해 회전되어 제1 고정기어(232)로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고정 모터(234)는 제2 고정기어(233)를 회전시킬 수 있다.
고정 연결판(235)은 제1 고정판(20)에 고정되고, 고정 회전축(231)이 관통되며 고정 모터(234)가 설치되고 이송부(3)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고정 연결판(235)은 제1 고정판(20)의 후면에 수직으로 고정될 수 있고, 고정 회전축(231)에 영향이 가지 않도록 고정 회전축(231)이 관통되며, 고정 모터(234)가 설치되어 고정 모터(234)를 고정시켜줄 수 있다.
또한, 고정 연결판(235)은 후측에 이송부(3)가 연결되어, 이송부(3)에 의해 클램프부(2)가 이송되도록 할 수 있고, 이송부(3)에 의해 클램프부(2)가 받쳐지도록 하여 클램프부(2)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다.
처침바(24)는 제1 고정판(20)의 후측에 클램프부(2)의 이송방향과 평행하게 고정되고 거치휠(12)에 거치되어 클램프부(2)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처짐바(24)는 제1 고정판(20)의 고정대(200)의 후면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처짐바(24)는 직사각형 바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1 고정판(20)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클램프부(2)의 타측에 설치되어 있는 거치휠(12)에 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클램프부(2)는 일측이 이송부(3)에 의해 고정되고, 타측이 처짐바(24)에 의해 거치휠(12)에 거치되어 접합부(4)에 상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
밀림방지바(25)는 제1 및 제2 고정판(20,21) 일측에 형성되어 클램프부(2)가 내지를 협지하고 이송부(3)에 의해 이송될 때 내지가 일측방향으로 밀려나지 않도록 내지의 측면을 받쳐줄 수 있다.
또한, 밀림방지바(25)는 제1 밀림방지바(250) 및 제2 밀림방지바(25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밀림방지바(250)는 타단이 제1 고정판의 정면 일측에 수직으로 고정되고, 일단이 제2 고정판(21)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제2 밀림방지바(251)는 제1 밀림방지바(250)의 하측에 평행되게 설치되며, 일단이 제2 고정판(21)의 일측에 관통되고 타단이 제1 고정판(20)의 정면 일측에 고정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본 작업으로 클램프부(2)가 이송될 시 내지의 측면을 밀림방지바(25)가 받쳐줄 수 있고, 밀림방지바(25)가 제2 고정판(21) 상측에 위치하거나 관통되므로 내지를 협지하기 위한 제2 고정판(21)의 이동은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클램프부(2)는 제1 보조롤러(2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보조롤러(26)는 고정대(200)의 내측면에 평행하게 설치되되 고정로드(22)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보조롤러(26)는 고정로드(22)를 하측에서 받쳐주어 고정로드(22)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보조적으로 도와줄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왕복 이송 제본장치의 이송부를 도시한 투영배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이송부(3)는 클램프부(2)를 좌우 왕복 이송시키는 구성으로, 이송 모터(30), 제1 내지 제4 이송기어(31 내지 34), 이송체인(35)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이송부(3)는 클램프부(2)의 후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몸체(1)의 후면측에 설치될 수 있다.
이송 모터(30)는 몸체(1)의 하면 일측에 설치되어 제1 이송기어(31)에 회전력을 줄 수 있고, 클램프부(2)를 좌우 왕복 이송시키기 위하여 양방향 모터로 구비된다.
제1 이송기어(31)는 이송 모터(30)에 연결되어 회전할 수 있다.
제2 이송기어(32)는 제1 이송기어(31) 상측 일측에 설치되며, 제1 이송기어(31)와 평행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3 이송기어(33)는 제2 이송기어(32)와 수평으로 몸체(1)의 타측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제2 이송기어(32)와 제3 이송기어(33)가 몸체(1)에 동일한 높이에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이는 클램프부(2)가 수평상태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제4 이송기어(34)는 제1 이송기어(31) 타측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4 이송기어(34)는 이송체인(35)을 하측에서 받쳐주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이송체인(35)은 제1 내지 제4 이송기어(31 내지 34)에 연결되어 회전하며, 클램프부(2)가 연결되어 회전에 의해 클램프부(2)를 이송시킬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왕복 이송 제본장치의 접합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왕복 이송 제본장치의 접합부를 도시한 저후면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왕복 이송 제본장치의 접합부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왕복 이송 제본장치의 접합부를 도시한 후면도이고, 도 14는 도 9의 접합부의 하판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9의 접합부의 하판부를 도시한 저면사시도이고, 도 16은 도 9의 접합부의 하판부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7의 (a) 및 (b)는 도 14의 하판부의 상판 레일, 중판 레일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18의 (a) 및 (b)는 도 9의 접합부의 상판높이조절부를 도시한 측면도 및 작동 예시도이고, 도 19의 (a) 및 (b)는 도 9의 접합부의 중판부를 도시한 사시도 및 저면사시도이고, 도 20은 도 19의 중판부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1은 도 19의 중판부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저면사시도이고, 도 22의 (a) 및 (b)는 도 17의 중판부의 정후면 접착판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23의 (a) 및 (b)는 도 9의 접합부의 상판부를 도시한 사시도 및 저면사시도이고, 도 24의 (a), (b) 및 (c)는 하판부 및 중판부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며, 도 25의 (a), (b) 및 (c)는 하판부 및 상판부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접합부(4)는 클램프부(2) 하측에 형성되어 내지 하면을 평탄하게 정렬시키고 내지의 하면, 정면 및 후면을 가압하여 내지에 표지를 접합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접합부(4)는 하나의 구동 모터(40)에 의해 접합부(4)의 구성이 각각 상하 방향 또는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어 내지의 하면, 정면 및 후면을 가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접합부(4)는 구동 모터(40), 구동 피니언(41), 하판부(42), 중판부(43) 및 상판부(44)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 모터(40)는 몸체(1)의 하면 일측에 설치되어 구동 피니언(41)을 회전시킬 수 있다.
구동 피니언(41)은 구동 모터(40)에 의해 회전하고, 하판부(42)의 구동 래크(4200)에 맞물려 하판부(42)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하판부(42)는 구동 래크(4200)가 형성되어 구동 피니언(41)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14 내지 16을 참조하면, 하판부(42)는 하판(420), 하판 가이드(421), 하판 가이드홀더(422), 상판 레일(423), 캠밀대판(424), 하판 가이드홀(425), 하판 가이드대(426), 중판 레일(427) 및 걸림훅(428)을 포함할 수 있다.
하판(420)은 구동 래크(4200)가 하면 일측에 형성되어 구동 피니언(41)에 의해 전후측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하판(420)은 사각형 형상의 판으로 형성될 수 있고, 하면 일측에 구동 래크(4200)가 전후측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하판 가이드(421)는 하판(420)의 하측에 전후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하판 가이드(421)는 몸체(1)의 하면에 고정되어 하판(420)이 구동 피니언(41)에 의해 전후측 방향으로 이동될 때 흔들림 없이 이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 역할을 한다.
또한, 양측 균형을 위해 하판(420)의 하측에서 양측으로 2개가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러한 하판 가이드(421)는 원형 바 형상의 하판 가이드축 및 하판 가이드축의 양단을 고정시키고 몸체(1)의 하면에 고정되는 하판 가이드판을 포함할 수 있다.
하판 가이드홀더(422)는 하판(420)의 하면에 형성되어 하판 가이드(421)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하판 가이드홀더(422)는 사각형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고 중심에 하판 가이드(421)의 하판 가이드축이 삽입되어 하판 가이드축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또한, 하판(420) 하면의 양측에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판 레일(423)은 하판(420)의 상면 중심에서 정면측에 형성되어 상판부(44)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판 레일(423)은 하판(420)의 전후측 방향으로 이동에 따라, 전후측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판 레일(423)은 상면에 단차 또는 높이차가 형성되어 하판부(42)가 전후측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판부(44)가 상판 레일(423)에서의 위치가 이동되면서 상판부(44)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도 17의 (a)를 참조하면, 상판 레일(423)은 제1 상판 레일(4230) 및 제2 상판 레일(423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상판 레일(4230)은 상판 레일(423)에서 후측에 위치하는 것으로, 다단으로 형성되되, 후면에서 정면으로 높이가 낮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상판 레일(4231)은 상판 레일(423)에서 전측에 위치하는 것으로, 제1 상판 레일(4230)의 정면에 연결되되, 제1 상판 레일(4230)의 가장 낮은 단보다 높이가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제1 상판 레일(4230)의 전단 높이보다 제2 상판 레일(4231)의 높이가 높은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판(420)이 후측 방향으로 이동되면 제1 상판 레일(4230)의 후면측에서 정면측으로 상판부(44)가 이동되어 상판부(44)가 하측 방향으로 이동되고, 제2 상판 레일(4231)로 넘어가면서 상판부(44)가 상측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하판(420)이 전측 방향으로 이동되면 제2 상판 레일(4231)의 정면측에서 후면측으로 상판부(44)가 이동되고 제1 상판 레일(4230)로 넘어가면서 상판부(44)가 하측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제1 상판 레일(4230)의 정면측에서 후면측으로 상판부(44)가 이동되어 상판부(44)가 상측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이다.
캠밀대판(424)은 하판(420)의 상면에서 상판 레일(423) 양측에 형성될 수 있고, 더욱 자세하게는 상판 레일(423)보다 하판(420)에서 좀더 후측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캠밀대판(424)은 사각형 판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판(420)에 수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캠밀대판(424)의 형상은 한정되지 않는다.
이러한 캠밀대판(424)은 하판(420)이 후측 방향으로 이동되면 캠(439)을 밀어 회동시킬 수 있다. 상기 캠(439)에 대한 설명은 중판부(43)를 설명하면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하판 가이드홀(425)은 하판(420)에서 캠밀대판(424) 외측에 형성되어 하판(420)이 전후측 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하판 가이드대(426)에 의해 위치가 고정되어 하판(420)이 흔들림없이 이동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하판 가이드홀(425)은 전후 방향으로 길이가 길게 형성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하판 가이드대(426)는 몸체(1)의 하면에 설치되어 하판 가이드홀(425)에 관통될 수 있다.
또한, 하판 가이드대(426)는 후면이 경사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러한 하판 가이드홀(425) 및 하판 가이드대(426)를 통해 하판(420)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은 가능하게 하며, 이동 시의 흔들림은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중판 레일(427)은 하판(420)의 상면에서 하판 가이드홀(425)의 외측에 형성되어 중판부(43)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중판 레일(427)은 하판(420)의 전후측 방향으로 이동에 따라, 전후측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중판 레일(427)은 상면에 단차 또는 높이차가 형성되어, 하판부(42)가 전후측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중판부(43)가 중판 레일(427)에서의 위치가 이동되면서 중판부(43)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중판 레일(427)은 제1 중판 레일(4270) 및 제2 중판 레일(427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중판 레일(4270)은 하판(420)의 정면측에 형성될 수 있고, 중판 가이드홀(435)에 근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7의 (b)를 참조하면 제1 중판 레일(4270)은 후면측에 형성된 제1 하단(4270a), 정면측에 형성된 제1 상단(4270b) 및 제1 하단(4270a) 및 제1 상단(4270b) 사이에 형성된 제1 꺼짐홈(4270c)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꺼짐홈(4270c), 제1 하단(4270a) 및 제1 상단(4270b) 순으로 높이가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중판 레일(4271)은 하판(420)의 후면측에 형성될 수 있고, 제1 중판 레일(4270)의 외측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중판 레일(4271)은 제1 중판 레일(4270)과 마찬가지로 후면측에 형성된 제2 하단(4271a), 정면측에 형성된 제2 상단(4271b) 및 제2 하단(4271a) 및 제2 상단(4271b) 사이에 형성된 제2 꺼짐홈(4271c)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및 제2 중판 레일(4270,4271)은 위치적으로 표시하기 위해 나눠 설명했을 뿐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이다.
여기서, 제1 꺼짐홈(4270c), 제2 하단(4271a) 및 제2 상단(4271b) 순으로 높이가 높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상단(4270b) 및 제2 상단(4271b)의 높이는 상판 레일(423)의 제2 상판 레일(4231)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판부(44)보다 중판부(43)가 상측 방향으로 더 이동되게 하여 중판부(43)의 제1 정후면 접착판(4340)과 제2 정후면 접착판(4341)이 상판(440)보다 높게 위치하게 되고 내지의 정후면이 가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판(420)이 후측 방향으로 이동되면 제1 하단(4270a) 및 제2 하단(4271a)에서 제1 꺼짐홈(4270c) 및 제2 꺼짐홈(4271c)으로 중판부(43)가 이동되어 중판부(43)가 하측 방향으로 이동되고, 제1 상단(4270b) 및 제2 상단(4271b)으로 중판부(43)가 이동되면서 중판부(43)가 상측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하판(420)이 전측 방향으로 이동되면 제1 상단(4270b) 및 제2 상단(4271b)에서 제1 꺼짐홈(4270c) 및 제2 꺼짐홈(4271c)으로 이동되어 중판부(43)가 하측 방향으로 이동되고, 제1 하단(4270a) 및 제2 하단(4271a)으로 중판부(43)가 이동되면서 중판부(43)가 상측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이다.
걸림훅(428)은 하판(420)의 상면 양측에서 정면측에 형성되고, 'ㄴ'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걸림훅(428)의 형상은 한정하지 않는다.
이러한 걸림훅(428)은 하판(420)이 후측 방향으로 이동될 시 중판부(43)에 걸려 중판부(43)의 제1 정후면 접착판(4340)을 후측 방향으로 당겨줄 수 있다. 이에 대하여 중판부(43)의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접합부(4)는 이러한 하판부(42)에서 제2 상판 레일(4231)의 높이를 조절하는 상판레일조절부(4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상판레일조절부(45)는 조절기어(450), 조절회전축(451), 조절손잡이(452) 및 조절고정체를 포함할 수 있다.
조절기어(450)는 제2 상판 레일(4231)이 거치되고, 제2 상판 레일(4231)이 거치되는 기어 이를 조절하여 제2 상판 레일(4231)의 높이를 조절시킬 수 있다.
즉, 조절기어(450)는 다수개의 기어 이가 형성되어 있고, 다수개의 기어 이의 이끝반지름이 모두 다르게 형성되어 제2 상판 레일(4231)의 높이를 조절시킬 수 있는 것이다.
조절회전축(451)은 조절기어(450)가 설치되어 조절손잡이(452)를 돌리면 회전되어 조절기어(45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조절손잡이(452)는 조절회전축(451)에 연결되어 조절회전축(451)을 회전시킬 수 있어 사용자가 조절손잡이(452)를 회전시키는 것으로, 제2 상판 레일(4231)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상판 레일(4231)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은 상판부(44)가 내지의 하면을 압착시키는데 이동되는 간격을 조절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미세하게 내지의 하면을 압착시키는데 이동되는 간격을 조절하여 표지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중판부(43)는 하판부(42)의 상측에 형성되어 하판부(42)의 이동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고, 내지의 정면 및 후면을 가압할 수 있다.
도 19 및 21을 참조하면, 중판부(43)는 중판(430), 상판 관통홀(431), 중판 휠부(432), 접착판 가이드(433), 정후면 접착판(434), 중판 가이드홀(435) 및 중판 가이드대(436)를 포함할 수 있다.
중판(430)은 하판부(42)의 이동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중판(430)은 사각형 형상의 판으로 형성될 수 있고, 중판 휠부(432)로 하판부(42)의 상측에 설치되어 하판부(42)의 전후 방향의 이동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판 관통홀(431)은 중판(430)의 중심에 형성되어 상판부(44)가 하판부(42)와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중판 휠부(432)는 상판 관통홀(431)의 양측에 형성되어 중판 레일(427)에 위치하고 이동될 수 있다.
즉, 하판부(42)의 중판 레일(427)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면 중판 레일(427)에서 중판 휠부(432)의 위치가 이동되어 중판 레일(427)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어 중판부(43) 전체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중판 휠부(432)는 중판 휠대, 제1 중판 휠 및 제2 중판 휠을 포함할 수 있다.
중판 휠대는 중판(430)의 하면에 수직으로 형성되고, 전후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중판 레일(427)의 제1 중판 레일(4270) 및 제2 중판 레일(4271) 사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중판 휠은 중판 휠대의 측면 전측에 형성되어 제1 중판 레일(4270)에 이동될 수 있다.
제2 중판 휠은 중판 휠대의 측면 후측에 형성되어 제2 중판 레일(4271)에 이동될 수 있다.
접착판 가이드(433)는 중판 휠부(432) 외측에 형성되고 전후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정후면 접착판(434)의 이동 가이드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접착판 가이드(433)는 원형 바 형상의 접착판 가이드축 및 접착판 가이드홀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정후면 접착판(434)이 접착판 가이드축에 설치되어 이동될 수 있다.
정후면 접착판(434)은 접착판 가이드(433)를 따라 이동하여 내지의 정면 및 후면을 가압하여 내지와 표지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정후면 접착판(434)은 제1 정후면 접착판(4340), 제2 정후면 접착판(4341), 걸림돌기(4342) 및 접착판 스프링부(434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정후면 접착판(4340)은 내지의 후면을 가압하는 것으로, 중판(430)의 후측에 위치하며 직사각형의 판으로 중판(430)에 평행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정후면 접착판(4340)은 제1 접착판 가이드홀더(4340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접착판 가이드홀더(4340a)는 제1 정후면 접착판(4340)의 후면 양측에 형성되어 접착판 가이드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제1 접착판 가이드홀더(4340a)에 접착판 가이드축이 삽입되어 접착판 가이드홀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제2 정후면 접착판(4341)은 내지의 정면을 가압하는 것으로, 중판(430)의 전측에 위치하며 직사각형의 판으로 중판(430)에 평행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정후면 접착판(4341)은 제2 접착판 가이드홀더(4341a)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접착판 가이드홀더(4341a)는 제2 정후면 접착판(4341)의 후면 양측에 형성되어 접착판 가이드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정후면 접착판(4341)은 실질적으로 이동하는 부분으로 내지의 두께에 따라 후측 방향으로 이동되어 제1 정후면 접착판(4340)과 같이 내지의 정면 및 후면을 가압시킬 수 있다.
걸림돌기(4342)는 제2 접착판 가이드홀더(4341a) 하면에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걸림훅(428)에 걸려 후측 방향으로 당겨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정후면 접착판(4341)이 후측 방향으로 이동되어 내지의 정면을 가압할 수 있다.
접착판 스프링부(4343)는 제1 정후면 접착판(4340) 및 제2 정후면 접착판(4341) 사이에 연결되는 구성으로, 제2 정후면 접착판(4341)이 걸림훅(428)에 의해 후측 방향으로 이동된 후 원 위치로 되돌아오도록 제2 정후면 접착판(4341)에 탄성력을 줄 수 있다.
이때, 접착판 스프링부(4343)는 일단이 제1 접착판 가이드홀더(4340a)의 정면에 수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제2 접착판 가이드홀더(4341a)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접착판 스프링부(4343)는 접착판 스프링바 및 접착판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접착판 스프링바는 원형 바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단이 제1 접착판 가이드홀더(4340a)의 정면에 수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제2 접착판 가이드홀더(4341a)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접착판 스프링이 접착판 스프링바에 끼워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접착판 스프링이 제2 정후면 접착판(4341)의 하측 이동에 의해 압축되었다가 제2 정후면 접착판(4341)에 하측으로 당겨지는 힘이 제거되면, 접착판 스프링이 탄성에 의해 복원되면서 제2 정후면 접착판(4341)을 원위치로 되돌아가도록 밀어줄 수 있다.
중판 가이드홀(435)은 중판(430)에서 중판 휠부(432) 내측에 형성되어 중판(430)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중판 가이드대(436)에 의해 위치가 고정되어 중판(430)이 흔들림없이 직선상으로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중판 가이드대(436)는 몸체(1)의 하면에 설치되어 중판 가이드홀(435)에 관통될 수 있다. 또한, 중판 가이드대(436)는 하판(420)의 하판 가이드홀(425)에 관통되어 중판 가이드홀(435)에 관통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중판 가이드대(436)는 원형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러한 중판 가이드홀(435) 및 중판 가이드대(436)를 통해 중판(430)은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면서 흔들림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중판부(43)는 내지의 정면 및 후면의 가압력을 높이기 위하여, 보조 접착판(437), 받침 부싱(438) 및 캠(439)을 포함할 수 있다.
보조 접착판(437)은 제1 정후면 접착판(4340)의 하면 중심에 설치되어 받침 부싱(438)이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보조 접착판(437)은 직사각형 판의 형상으로 너비는 제1 정후면 접착판(4340)의 너비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받침 부싱(438)은 보조 접착판(437)의 하면 양측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받침 부싱(438)은 캠(439)에 의해 가압되어 제1 정후면 접착판(4340)이 소정의 간격만큼 전측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캠(439)은 중판(430)에서 중판 가이드홀(435) 후측에 2개가 형성되어 하판부(42)가 후측 방향으로 이동될 시 캠밀대판(424)에 의해 밀려 회동되어 받침 부싱(438)을 가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캠(439)은 캠 구동부(4390), 캠 샤프트(4391) 및 캠 가압부(3492)를 포함할 수 있다.
캠 구동부(4390)는 중판(430)의 하측에 위치하여 캠밀대판(424)에 의해 밀려 후측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캠 샤프트(4391)는 중판(430)에 관통되게 설치되어 캠 구동부(4390)와 캠 가압부(3492)를 연결시킬 수 있다.
캠 가압부(3492)는 중판(430)의 상측에 위치하여 캠 구동부(4390)가 회동시 전측 방향으로 회동되어 받침 부싱(438)을 가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중판부(43)에서 정후면 접착판(434)의 내지의 정면 및 후면을 가압하기 위한 작동을 도 2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a) 상태에서 하판부(42)가 후측 방향으로 이동되면, (b)와 같이 걸림훅(428)에 걸림돌기(4342)가 걸려 걸림돌기(4342)를 하측 방향으로 당겨줌으로써 제1 정후면 접착판(4340)이 후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캠밀대판(424)이 캠 구동부(4390)를 후측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밀게 되고, 캠 샤프트(4391)에 의해 연결된 캠 가압부(3492)가 전측 방향으로 회동됨으로써 받침 부싱(438)을 가압하여 제2 정후면 접착판(4341)이 소정의 간격만큼 전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될 수 있는 것이다.
상판부(44)는 중판부(43)의 상측에 형성되고 하판부(42)의 이동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어 내지의 하면을 가압할 수 있다.
도 23을 참조하면, 상판부(44)는 상판(440), 상판 휠부(441) 및 상판 스프링부(4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판(440)은 하판부(42)의 이동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여 내지의 하면을 가압할 수 있다.
이러한 상판(440)은 직사각형 판으로 형성될 수 있고 중판부(43)의 제1 정후면 접착판(4340) 및 제2 정후면 접착판(4341)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판 휠부(441)는 상판(440)의 하면에 설치되고 상판 관통홀(431)을 관통하여 상판 레일(423)에 이동될 수 있고, 상판(440)이 중판(430) 상측에 위치하도록 상판(440)을 지지할 수 있다.
즉, 상판부(44)의 상판 레일(423)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면 상판 레일(423)에서 상판 휠부(441)의 위치가 이동되어 상판 레일(423)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판부(44)의 전체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상판 휠부(441)는 상판 휠축, 상판 휠을 포함할 수 있다.
상판 휠축은 상판(440)의 하면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상하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판 휠은 상판 휠축의 양측에 형성되어 상판 레일에 이동될 수 있다.
상판 스프링부(442)는 상판(440)의 양측에 설치되고 중판(430)을 관통하여 중판(430)에 탄성력을 줄 수 있다. 즉, 상판 스프링부(442)는 중판(430)이 상판(440)보다 상측 방향으로 더 이동됨에 따라 중판(430)에 탄성력을 주어 완충작용을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판 스프링부(442)는 상판(440)의 양측에 2개씩 설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균형을 맞추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상판 스프링부(442)는 상판 스프링축 및 상판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판 스프링축은 상판(440)에 상단이 연결되고 하단이 중판(430)에 관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판 스프링축은 하단에 상판 스프링을 받칠 수 있도록 스프링돌기가 외주면을 따라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판 스프링은 상판 스프링축에 끼워지고 중판(430) 및 스프링돌기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상판 스프링이 상판부(44)보다 중판부(43)가 상측 방향으로 더 이동됨에 따라 늘어났다가 상판부(44) 및 하판부(42)가 모두 하측 방향으로 이동될 때 복원되면서 중판부(43)를 받쳐줘 중판부(43)에 완충작용을 줄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접합부(4)의 작동을 도 24 및 도 2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성 및 이해가 쉽도록 하판부(42)와 이에 따른 중판부(43)의 작동 및 하판부(42)와 이에 따른 상판부(44)의 작동을 나누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4를 참조하면, 접합부(4)가 작동되기 전에는 중판부(43)의 중판 휠부(432)의 제1 중판 휠 및 제2 중판 휠이 각각 제1 중판 레일(4270)의 제1 하단(4270a) 및 제2 중판 레일(4271)의 제2 하단(4271a)에 위치하게 된다.
그 다음, 클램프부(2)에 내지가 협지되고 이송부(3)에 이송되기 전에 하판부(42)가 후측 방향으로 일부 이동하여 제1 중판 휠 및 제2 중판 휠이 각각 제1 중판 레일(4270)의 제1 꺼짐홈(4270c) 및 제2 중판 레일(4271)의 제2 꺼짐홈(4271c)에 위치하게 되어 중판부(43)가 하측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에 의해 클램프부(2)의 좌우 왕복 이송이 걸림없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그 다음, 클램프부(2)가 좌우 왕복 이송되어 원위치에 되돌아오면 하판부(42)가 후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1 중판 휠 및 제2 중판 휠이 각각 제1 중판 레일(4270)의 제1 상단(4270b) 및 제2 중판 레일(4271)의 제2 상단(4271b)에 위치하게 되어 중판부(43)가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고, 하판부(42)의 걸림훅(428)에 걸림돌기(4342)가 걸리고 캠밀대판(424)이 캠(439)을 밀어주게 되어 정후면 접착판(434)이 내지의 정면 및 후면을 가압한다.
그 다음 하판부(42)가 전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중판부(43)는 원상태로 복원된다.
도 25를 참조하면, 접합부(4)가 작동되기 전에는 상판부(44)의 상판 휠부(441)의 상판 휠이 제1 상판 레일(4230)의 후측에 위치하게 된다.
그 다음, 클램프부(2)에 내지가 협지되고 이송부(3)에 이송되기 전에 하판부(42)가 후측 방향으로 일부 이동하여 상판 휠이 제1 상판 레일(4230)의 전측에 위치하게 되어 상판부(44)가 하측 방향으로 이동된다.
그 다음, 클램프부(2)가 좌우 왕복 이송되어 원위치에 되돌아오면 하판부(42)가 후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판 휠이 제2 상판 레일(4231)로 넘어가면서 상판부(44)가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내지의 하면을 가압한다.
그 다음 하판부(42)가 전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판부(44)는 원상태로 복원되면서 왕복 이송 제본장치의 제본 작업이 완료가 될 수 있다.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왕복 이송 제본장치의 접착액부를 도시한 투영사시도이다.
도 26을 참조하면, 접착액부(5)는 접합부(4) 타측에 형성되어 내지 하면에 접착액을 도포할 수 있고, 접착액실(50), 접착액롤러(51,52), 히팅장치(미도시) 및 접착액모터부(53)를 포함할 수 있다.
접착액실(50)은 상면이 개구되고 접착액을 수용할 수 있는 하나의 실로 형성될 수 있다.
접착액롤러(51,52)는 접착액실(50) 상면에 클램프부(2)의 이송방향과 수직으로 설치되고, 접착액실(50)의 접착액에 일부 잠긴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접착액롤러(51,52)는 회전하여 내지의 하면에 접착액을 도포할 수 있다.
또한, 접착액롤러(51,52)는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가 설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하나 또는 그 이상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히팅장치(미도시)는 접착액롤러(51,52) 내부에 설치되어 접착액 롤러(51,52)를 가열시킬 수 있다.
이러한 히팅장치(미도시)는 접착액롤러(51,52)에 묻어있는 접착액이 굳지 않고 빠르게 흘러내리도록 하는 것으로, 접착액의 점도로 인하여 접착액롤러(51,52)에 묻어있는 접착액이 흘러내리지 않게 되면 접착액롤러(51,52)에 접착액이 두껍게 도포된 상태에서 내지가 접착액롤러(51,52)를 지나게되면 내지에 접착액이 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내지에 접착액이 묻은 상태에서 스크래처(6)로 이동하게 되면 스크래처(6)에도 접착액이 묻게되고, 이에 따라 스크래처(6)의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히팅장치(미도시)는 접착액이 빠르게 흘러내리도록 하여 스크래처(6)의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또한, 히팅장치(미도시)는 할로겐램프히터로 구비되어, 접착액롤러(51,52)를 간접 가열시킬 수 있다.
즉, 할로겐램프히터로 구비된 히팅장치(미도시)가 접착액롤러(51,52)에 공간을 갖도록 설치되어 히팅장치(미도시)로 가열된 공간의 공기로 접착액롤러(51,52)를 간접 가열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접착액이 접착액롤러(51,52)에 달라붙지 않고 내지의 하면에 두껍지 않게 잘 도포될 수 있으며, 접착액이 타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접착액모터부(53)는 접착액롤러(51,52)를 회전시킬 수 있는데, 클램프부(2)가 타측에서 일측으로 이송될 경우(좌측에서 우측으로 이송될 경우)에만 접착액롤러(51,52)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왕복 이송 제본장치는 내지를 협지한 클램프부(2)가 좌우 왕복이송하는 것으로 제본 작업이 완료될 수 있는데, 접착액부(5)를 지난 내지가 스크래처(6)로 하면에 스크레치가 용이하게 형성되기 위해서이다.
즉, 내지의 하면에 접착액이 전체에 도포되면 스크래치의 형성에 문제가 될 수 있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접착액이 도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일측에서 타측으로 클램프부(2)를 이송시킬 때에는 접착액롤러(51,52)를 회전시키지 않는다.
접착액모터부(53)는 접착액롤러(51,52)에 연결되어 회전시키는 회전기어, 회전기어를 회전시키는 접착액모터(535)를 포함할 수 있고,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액롤러(51,52)가 2개가 설치될 경우 회전기어는 제1 내지 제5 회전기어(530 내지 53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회전기어(531) 및 제2 회전기어(531)는 접착액롤러(51, 52) 정면에 설치될 수 있다.
제3 회전기어(532)는 제1 및 제2 회전기어(530,531) 사이에 설치되어 제1 및 제2 회전기어(530,531)와 맞물릴 수 있다.
제4 회전기어(533)는 제3 회전기어(532)에 연결될 수 있는데, 축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5 회전기어(534)는 제4 회전기어(533)와 연결될 수 있는데, 회전체인에 의해 연결될 수 있고, 접착액모터(535)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회전기어 개수 및 위치의 구성은 접착액롤러(51,52)의 개수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접착액모터(535)는 제5 회전기어(534)에 연결되어 제5 회전기어(534)를 회전시킬 수 있다.
도 27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왕복 이송 제본장치의 스크래처를 도시한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이다.
도 27을 참조하면, 스크래처(6)는 접착액부(5) 타측에 형성되어 내지 하면에 스크래치를 낼 수 있다.
이때 스크래처(6)는 회전되지 않고 몸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만되어 있고, 스크래처(6)의 상측으로 클램프부(2)가 이송됨에 따라 내지의 하면에 스크래치를 낼 수 있다. 또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스크레처(6)는 모터가 구비되어 회전될 수도 있다.
이러한 스크래처(6)는 분진 등을 발생시키지 않고, 이에 따라 집진 장치가 별도로 필요하지 않게 하여 소음 발생도 없다.
여기서 스크래처(6)는 본 발명의 출원인의 선 등록된 기술인 한국등록특허 제10-1801215호(스크래처)로, 결합재(60), 제1 내지 제3 톱니링(61 내지 63) 및 고정캡(64)을 포함하고, 제1 내지 제3 톱니링(61 내지 63)은 톱니의 위치가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스크래처(6)는 제1 및 제2 톱니링(61,62)만 구비할 수도 있으나, 스크래처(6)의 스크래치 성능을 고려하면 제1 내지 제3 톱니링(61 내지 63)을 구비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왕복 이송 제본장치는 제본 시 내지 하면에 스크래치를 두번 내는 것으로 하면의 접착액 도포면적을 넓혀 표지와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고 스크래치 시 분진, 파편 등이 발생하지 않아 분진 등을 흡입하는 집진장치가 필요하지 않고, 이에 따라 기존의 장치보다 구조가 간단하게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스크래치 시 소음이 발생하지 않아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모터로만 모든 구성의 구동이 가능하여 별도의 실린더 등이 필요하지 않다.
또한, 제본 작업이 시작된 지점에서 완료되어 작업 길이를 단축시킬 수 있어 왕복 이송 제본장치의 구조가 더 간단하게 제작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몸체
10: 지지프레임
11: 격벽부
12: 거치휠
13: 제2 보조롤러
2: 클램프부
20: 제1 고정판
200: 고정대
21: 제2 고정판
22: 고정로드
220: 고정 래크
23: 고정모터부
230: 고정 피니언
231: 고정 회전축
232: 제1 고정기어
233: 제2 고정기어
234: 고정 모터
235: 고정 연결판
24: 처짐바
25: 밀림방지바
250: 제1 밀림방지바
251: 제2 밀림방지바
26: 제1 보조롤러
3: 이송부
30: 이송모터
31 내지 34: 제1 내지 제4 이송기어
35: 이송체인
4: 접합부
40: 구동 모터
41: 구동 피니언
42: 하판부
420: 하판
421: 하판 가이드
422: 하판 가이드홀더
423: 상판 레일
4230: 제1 상판 레일
4231: 제2 상판 레일
424: 캠밀대판
425: 하판 가이드홀
426: 하판 가이드대
427: 중판 레일
4270: 제1 중판 레일
4270a 내지 c: 제1 하단, 꺼짐홈 및 상단
4271: 제2 중판 레일
4271a 내지 c: 제2 하단, 꺼짐홈 및 상단
428: 걸림훅
43: 중판부
430: 중판
431: 상판 관통홀
432: 중판 휠부
433: 접착판 가이드
434: 정후면 접착판
4340: 제1 정후면 접착판
4340a: 제1 접착판 가이드홀더
4341: 제2 정후면 접착판
4341a: 제2 접착판 가이드홀더
4342: 걸림돌기
4343: 접착판 스프링부
435: 중판 가이드홀
436: 중판 가이드대
437: 보조 접착판
438: 받침 부싱
439: 캠
4390: 캠 구동부
4391: 캠 샤프트
4392: 캠 가압부
44: 상판부
440: 상판
441: 상판 휠부
442: 상판 스프링부
45: 상판레일조절부
450: 조절기어
451: 조절회전축
452: 조절손잡이
5: 접착액부
50: 접착액실
51 및 52: 접착액롤러
53: 접착액모터부
530 내지 534: 제1 내지 제5 회전기어
535: 접착액모터
6: 스크래처
60: 결합재
61 내지 63: 제1 내지 제3 톱니링
64: 고정캡

Claims (4)

  1. 왕복 이송 제본장치에 있어서,
    몸체;
    상기 몸체 일측에 형성되어 내지를 협지하는 클램프부;
    상기 클램프부를 좌우 왕복 이송시키는 이송부;
    상기 클램프부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내지 하면을 평탄하게 정렬시키고 상기 내지의 하면, 정면 및 후면을 가압하여 상기 내지에 표지를 접합시키는 접합부;
    상기 접합부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내지 하면에 접착액을 도포하는 접착액부 및
    상기 접착액부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내지 하면에 스크래치를 내는 스크래처를 포함하되,
    상기 클램프부가 왕복 이송되는 것으로 제본 작업이 완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 이송 제본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부는,
    상기 내지를 받쳐주는 제1 고정판;
    상기 제1 고정판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내지를 가압하여 고정하는 제2 고정판;
    일단이 상기 제2 고정판의 양측에 수직으로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제1 고정판의 양측에 관통되며, 고정 래크가 형성된 고정로드;
    상기 고정로드의 고정 래크에 맞물려 회전에 의해 상기 고정로드를 전후측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이송부에 연결되는 고정모터부 및
    상기 제1 고정판의 후측에 상기 클램프부의 이송방향과 평행하게 고정되고 거치휠에 거치되어 상기 클램프부의 처짐을 방지하는 처짐바를 포함하는 왕복 이송 제본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모터부는,
    상기 고정 래크에 맞물리는 고정 피니언;
    상기 고정 피니언이 양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1 고정판의 후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고정 회전축;
    상기 고정 회전축에 설치되는 제1 고정기어;
    상기 제1 고정기어와 연결되는 제2 고정기어;
    상기 제2 고정기어를 회전시키는 고정 모터 및
    상기 제1 고정판에 고정되어 상기 고정 회전축이 관통되고, 상기 고정 모터가 설치되며 상기 이송부가 연결되는 고정 연결판을 포함하는 왕복 이송 제본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왕복 이송 제본장치는,
    상기 접착액부 및 스크래처 후측에 설치되는 격벽부 및
    상기 격벽부 정면 상측에 상기 클램프부의 이송방향으로 일정각격 이격되어 다수개가 형성되고, 상기 처짐바를 지지하는 거치휠을 더 포함하는 왕복 이송 제본장치.
KR1020190032439A 2019-03-21 2019-03-21 왕복 이송 제본장치 KR1020656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2439A KR102065688B1 (ko) 2019-03-21 2019-03-21 왕복 이송 제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2439A KR102065688B1 (ko) 2019-03-21 2019-03-21 왕복 이송 제본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3924A Division KR102006271B1 (ko) 2018-02-27 2018-02-27 왕복 이송 제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3066A true KR20190103066A (ko) 2019-09-04
KR102065688B1 KR102065688B1 (ko) 2020-01-13

Family

ID=67950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2439A KR102065688B1 (ko) 2019-03-21 2019-03-21 왕복 이송 제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568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3151B1 (ko) * 2020-04-08 2020-05-20 주식회사 찬진 자동제본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6706B1 (ko) * 2019-04-30 2020-12-04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제본용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내구성이 향상 및 소음이 개선된 모터 제어를 활용한 지능형 무선 제본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2513Y1 (ko) * 1989-12-07 1992-04-25 정경출 제본기의 바이스 이동장치
KR20130062031A (ko) * 2011-12-02 2013-06-12 손해원 제본기
JP2017047556A (ja) * 2015-08-31 2017-03-09 ホリゾン・インターナショナル株式会社 製本装置
KR101801215B1 (ko) * 2017-09-04 2017-11-24 주식회사 엠알 스크래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2513Y1 (ko) * 1989-12-07 1992-04-25 정경출 제본기의 바이스 이동장치
KR20130062031A (ko) * 2011-12-02 2013-06-12 손해원 제본기
JP2017047556A (ja) * 2015-08-31 2017-03-09 ホリゾン・インターナショナル株式会社 製本装置
KR101801215B1 (ko) * 2017-09-04 2017-11-24 주식회사 엠알 스크래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3151B1 (ko) * 2020-04-08 2020-05-20 주식회사 찬진 자동제본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5688B1 (ko) 2020-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5688B1 (ko) 왕복 이송 제본장치
CN210062179U (zh) 一种纸箱加工用折边装置
CN107160891B (zh) 一种自动配页包背一体机
CN109292428B (zh) 一种票据装订包背生产线
CN108928153B (zh) 粘合装订机
KR20120026567A (ko) 커버 또는 플라이리프 및 책등의 자동적인 적용을 위한 다용도 기계
KR102006271B1 (ko) 왕복 이송 제본장치
JP5877704B2 (ja) 表紙を付ける装置
CN109130572B (zh) 一种票据自动装订机
KR102348208B1 (ko) 시트 접이용 장치
CN110171705A (zh) 磁钢粘贴装置及其转轴进料机构
JP5295838B2 (ja) 製本装置及び製本方法
US4143686A (en) Coil binding machine
CN212073413U (zh) 一种骑马订书机用的多功能传送装置
CN205853671U (zh) 一种用于档案装订机的工作台板
CN214774962U (zh) 一种双头骑马订书机
CN211542990U (zh) 一种粘页机的收书机构
KR101685622B1 (ko) 샘플 책자 제본 장치
CN211542994U (zh) 一种印刷品高效成型输送装置
CN112220164B (zh) 一种鞋面料组合折边粘贴装置
CN220578555U (zh) 配页机收料输送线
CN219489030U (zh) 一种翻转折页机的传送定位机构
KR200232891Y1 (ko) 제본기의 클램프 구동장치
CN213891900U (zh) 一种半自动骑马订书机的出料辅助调节装置
CN208247587U (zh) 纸箱粘箱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