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2991A - 스캐닝 폭이 가변되는 스캐닝 펜 - Google Patents

스캐닝 폭이 가변되는 스캐닝 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2991A
KR20190102991A KR1020190010010A KR20190010010A KR20190102991A KR 20190102991 A KR20190102991 A KR 20190102991A KR 1020190010010 A KR1020190010010 A KR 1020190010010A KR 20190010010 A KR20190010010 A KR 20190010010A KR 20190102991 A KR20190102991 A KR 201901029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anning
housing
scanning width
width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00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54919B1 (ko
Inventor
한성호
박용
Original Assignee
한성호
박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성호, 박용 filed Critical 한성호
Publication of KR201901029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29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49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49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06V30/14Image acquisition
    • G06V30/142Image acquisition using hand-held instruments;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instruments
    • G06K9/228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54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by scanning of the records by radiation in the optical part of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06V30/19Recognition using electronic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10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flat picture-bearing surfaces
    • H04N1/107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flat picture-bearing surfaces with manual scanning
    • G06K2209/01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Toxi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 Image Input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스캐닝 폭이 가변되는 스캐닝 펜은 상기 스캐닝 펜의 외관을 구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객체로부터 상기 객체 이미지를 획득하는 스캐닝부; 상기 하우징의 일측 끝단에서 외부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객체 이미지의 획득을 위한 스캐닝 폭을 형성하는 스캐닝폭 형성부; 및 상기 하우징의 측부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스캐닝폭 형성부의 상기 스캐닝 폭을 조절하는 스캐닝폭 조절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캐닝 폭이 가변되는 스캐닝 펜{SCANNING PEN WITH VARIABLE SCANNING WIDTH}
본 발명은 스캐너에 관한 것이며, 더 자세하게는 문서 또는 책의 일부를 행단위로 스캔할 수 있는 펜 형태를 갖는 스캐닝 펜에 관한 것이다.
지면에 인쇄된 문자 또는 도형의 이미지를 캡처하는 스캐너는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어 있다. 가장 보편적인 형태는 탁자 위에 올려놓고 사용하는 거치형이며, 촬상면을 따라 이동하는 라인 수광소자를 이용하여 스캔 대상 객체의 지면을 스캔한다. 요즘에는, 디지털 펜 또는 펜 마우스 등의 펜형 스캐너가 개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기존의 펜형 스캐너에서 문서를 스캐닝할 경우에는 펜형 스캐너의 앞 부분에 버튼(button)이 있어서 스캔닝을 하기 위해서 펜형 스캐너를 당해 객체의 지면에 누르게 되면 그 버튼이 함께 눌려서 스캐닝의 시작이 되고 펜형 스캐너를 객체의 지면에서 떨어뜨리면 그 버튼이 풀려서 스캐닝이 종료가 된다.
그런데, 종래의 펜형 스캐너는 스캐닝 폭이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스캐닝 대상이 되는 객체의 폭이 해당 펜형 스캐너의 스캐닝 폭보다 넓거나 좁은 경우에는 객체에 대한 스캐닝 동작이 제대로 수행될 수 없거나, 여러번의 스캐닝 동작을 수행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스캐닝 대상이 되는 객체의 스캐닝 폭에 관계 없이 해당 객체에 대해 선명한 스캐닝 이미지를 얻을 수 있는 스캐닝 폭이 가겹되는 스캐닝 펜을 제공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캐닝 폭이 가변되는 스캐닝 펜은 상기 스캐닝 펜의 외관을 구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객체로부터 상기 객체 이미지를 획득하는 스캐닝부; 상기 하우징의 일측 끝단에서 외부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객체 이미지의 획득을 위한 스캐닝 폭을 형성하는 스캐닝폭 형성부; 및 상기 하우징의 측부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스캐닝폭 형성부의 상기 스캐닝 폭을 조절하는 스캐닝폭 조절부를 포함한다.
상기 스캐닝부는, 상기 객체를 촬영하는 카메라모듈; 상기 카메라모듈에서 촬영된 상기 객체에 대응하는 상기 객체 이미지의 획득을 위한 이미지 프로세싱 동작을 수행하는 이미지 처리모듈; 상기 카메라모듈의 상기 객체의 촬영을 위한 광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원모듈; 상기 획득된 객체 이미지를 표시하는 표시모듈; 상기 스캐닝부의 구성 모듈들 각각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모듈; 상기 전원 공급모듈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전원에 대해 상기 객체 이미지의 획득을 위한 전원 인가를 스위칭하는 전원 스위칭모듈; 상기 이미지 처리모듈의 스캐닝 개시 동작을 스위칭하는 제1 스캐닝 스위칭모듈; 및 상기 이미지 처리모듈의 멀티 스캐닝 동작을 스위칭하는 제2 스캐닝스 위칭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은, 삼각 기둥 및 사각 기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캐닝폭 형성부는, 제1 돌출 구조체, 상기 제1 돌출 구조체에 대향하여 위치하는 제2 돌출 구조체 및 상기 제1 돌출 구조체와 상기 제2 돌출 구조체의 하측에 수직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돌출 구조체와 상기 제2 돌출 구조체를 일정 거리만큼 유지시키는 판형 구조체, 상기 판형 구조체에 지지되어 상기 스캐닝폭 형성부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에 따른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스프링을 포함하는 고정 부재; 및 상기 제2 돌출 구조체에 인접하고 있으며, 상기 스캐닝폭 조절부의 조작에 의해 상기 하우징의 폭방향을 기준으로 왕복 이동하는 이동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부재의 상기 제1 돌출 구조체와 상기 이동 부재의 거리가 상기 객체에 대한 스캐닝 폭으로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돌출 구조체는, 상기 이동 부재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돌출 구조체와 대향하는 면에 오목한 삽입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 부재는, 제1 판 형상을 구비하는 제1 몸체; 상기 제1 몸체의 상면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제2 판 형상을 구비하는 제2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몸체의 하면에 상기 스캐닝폭 조절부와 맞물리는 제1 기어 패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몸체는, 상기 제2 판 형상 중 상기 제2 돌출 구조체와 대향하는 면에 상기 제2 돌출 구조체에 형성된 상기 삽입 홈에 안착될 수 있는 삽입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캐닝폭 조절부는, 일측이 상기 스캐닝 폭의 조작을 위한 노브를 포함하고, 타측이 상기 이동 구조체의 상기 제1 기어패턴과 맞물리는 제2 기어패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캐닝폭 조절부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 운동에 따라 상기 이동 구조체를 좌우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캐닝폭 조절부의 스캐닝 폭 조절에 따라, 조절된 스캐닝 폭에 대응하여 스캐닝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객체의 스캐닝 폭에 상관 없이 해당 객체에 대해 스캐닝 작업을 한번에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객체의 스캐닝 폭 크기에 의해 여러번의 스캐닝 작업을 반복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고, 스캐닝 폭의 제한으로 인해 스캐닝 작업이 불가능한 객체에 대해서도 스캐닝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스캐닝 폭이 가변되는 스캐닝 펜의 외관을 나타내는 일 실시예의 참조도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도 1a에 도시된 삼각 기둥 형태의 스캐닝 펜에 대응하는 하우징을 다양한 각도에서 표현한 참조도들이다.
도 3a 본 발명에 따른 스캐닝부를 상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스캐닝부를 하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a에 도시된 스캐닝 펜을 구성하는 스캐닝폭 형성부 및 스캐닝폭 조절부가 하우징 내에 실장된 상태를 예시하는 참조도이다.
도 5a 내지 도 5e는 도 4에 도시된 스캐닝폭 형성부를 설명하기 위한 세부 구조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도 4에 도시된 스캐닝폭 조절부를 설명하기 위한 세부 구조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아래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며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부재, 영역 및/또는 부위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지만, 이들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위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됨은 자명하다. 이들 용어는 특정 순서나 상하, 또는 우열을 의미하지 않으며, 하나의 부재, 영역 또는 부위를 다른 부재, 영역 또는 부위와 구별하기 위하여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 상술할 제1 부재, 영역 또는 부위는 본 발명의 가르침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도 제2 부재, 영역 또는 부위를 지칭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들에 있어서, 예를 들면, 제조 기술 및/또는 공차에 따라, 도시된 형상의 변형들이 예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 도시된 영역의 특정 형상에 제한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예를 들면 제조상 초래되는 형상의 변화를 포함하여야 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스캐닝 폭이 가변되는 스캐닝 펜의 외관을 나타내는 일 실시예의 참조도이다. 도 1a는 삼각 기둥 형태의 스캐닝 펜(10A)을 예시하고, 도 1b는 직사각 기둥 형태의 스캐닝 펜(10B)을 예시한다. 이러한, 스캐닝 펜(10A, 10B)은 하우징, 스캐닝부, 스캐닝폭 형성부, 및 스캐닝폭 조절부를 포함한다.
하우징은 스캐닝 펜의 외관을 구성한다. 하우징은 펜 형태이고, 예를 들어, 삼각 기둥, 사각 기둥 형태인 것을 포함한다. 다만, 하우징의 형상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다양한 실시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c는 도 1a에 도시된 삼각 기둥 형태의 스캐닝 펜(10A)에 대응하는 하우징(100)을 다양한 각도에서 표현한 참조도들이다. 도 2a는 전방에서 바라본 하우징의 구조를 예시하고, 도 2b는 하우징(100)의 구성요소 중 덮개 구조체가 돌출된 상태를 예시하고, 도 2c는 후방에서 바라본 하우징(100)의 구조를 예시하고 있다.
도 2a를 참조하면, 하우징(100)은 삼각 기둥의 전방 끝단에 스캐닝폭 형성부가 돌출되어 배치될 수 있도록 전방 끝단의 일측이 개방된 제1 개구(100-1)를 포함한다.
또한, 도 2b를 참조하면, 하우징(100)은 세부적인 구성요소로서, 전방 끝단에 스캐닝폭 형성부를 보호하기 위한 슬라이드 커버(100-2)를 포함할 수 있다. 스라이드 커버(100-2)는 하우징(100)의 길이방향으로 전후 왕복운동할 수 있는 삼각통 형태를 포함하며, 이러한 슬라이드 커버(100-2)는 하우징(100)의 전방 끝단의 외주면에 형성된 가이드 홈(미도시)을 따라 이동하여 전후 왕복 운동을 할 수 있는 구조이다.
또한, 도 2c를 참조하면, 하우징(100)은 삼각 기둥의 후방 끝단에 전원 스위칭모듈이 배치될 수 있도록 후방 끝단의 일측이 개방된 개구(100-3)를 가지며, 아울러, 전원 공급 또는 배터리 충전을 위한 접속단자의 삽입구(100-4)가 형성되어 있다.
스캐닝부는 하우징(100)의 내부에 구비되어 스캐닝 대상이 되는 객체(예를 들어, 문자, 그림 등)로부터 객체 이미지를 획득한다.
도 3a 본 발명에 따른 스캐닝부(200)를 상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스캐닝부(200)를 하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스캐닝부(200)는 객체 이미지의 획득을 위한 주요 구성요소로서, 카메라모듈(202), 광원모듈(204-1, 204-2), 전원 공급모듈(206), 전원 스위칭모듈(208), 표시모듈(210), 제1 스캐닝 스위칭모듈(212), 제2 스캐닝 스위칭모듈(214), 이미지 처리모듈(216)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202)은 스캐닝 대상이 되는 객체를 촬영하는 기기이다. 이러한, 카메라 모듈(202)은 고정된 것일 수도 있고, 스캐닝폭 조절부(400)와 연동하여 스캐닝 펜의 길이방향으로 왕복운동을 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광원모듈(204-1, 204-2)은 카메라모듈(202)의 객체의 촬영을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을 제공하는 광원을 포함한다. 광원모듈은 하나일 수도 있지만, 2개 이상일 수도 있으며, 광원으로서 LED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광원모듈(204-1, 204-2)은 카메라 모듈(202)의 주변에 병렬로 배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카메라모듈(202)을 중심으로 양쪽 측면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전원 공급모듈(206)은 스캐닝부(200)를 구성하는 각 구성 모듈의 동작을 위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서, 전원은 상용전원 또는 배터리 충전전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원 공급모듈(206)은 배터리(206-1) 및 전원 공급단자(206-2)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 스위칭모듈(208)은 하우징(100)의 일측 끝단에 구비되어 스캐닝부(200)의 동작을 위한 전원 인가를 스위칭한다. 전원 스위칭모듈(208)은 전원버튼일 수 있으며, 전원버튼을 누르면 스캐닝 펜의 전원이 온된다. 전원 스위칭모듈(208)이 온되면, 이미지 처리모듈(216)은 카메라모듈(202)로부터 촬영된 객체에 대해 스캐닝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표시모듈(210)은 이미지 처리모듈(216)에 의해 획득된 객체 이미지를 표시한다. 여기서 표시모듈(210)은 LED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캐닝 스위칭모듈(212)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스캐닝 개시 명령에 따라 객체의 스캐닝을 개시하기 위한 온(on) 스위칭 동작을 수행한다. 제1 스캐닝 스위칭모듈(212)은 온 스위칭된 스캐닝 개시 명령을 이미지 처리모듈(216)로 전달한다. 스캐닝 개시 명령이 온 스위칭되는 상황에서 후술할 멀티 스캐닝 명령이 제2 스캐닝 스위칭모듈(214)을 통해 입력되지 않는 경우에, 이러한 스캐닝 개시 명령은 객체에 대한 싱글 스캐닝 명령이라 할 수 있다. 싱글 스캐닝 명령은 한번의 스캐닝 동작(예를 들어, 스캐닝 개시 명령이 한번 온 스위칭된 후에 스캐닝 개시 명령이 오프(off) 스위칭된 경우)에 따라 생성된 스캐닝 데이터를 하나의 메모리 영역에 저장하도록 하는 스캐닝 명령일 수 있다. 이에 비해, 후술할 멀티 스캐닝 명령은 2회 이상의 스캐닝 동작들에 대응하는 스캐닝 데이터들을 단일 그룹으로 하여 하나의 메모리 영역에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스캐닝 명령일 수 있다.
제1 스캐닝 스위칭모듈(212)은 후술할 스캐닝폭 형성부의 스캐닝 펜에 대한 길이방향으로의 왕복운동에 따른 접촉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작동하는 압력 감지식 센서일 수 있다. 압력 감지식 센서가 온되면 스캐닝 개시 명령으로 인식되고, 압력 감지식 센서가 오프되면 스캐닝 종료 명령으로 인식될 수 있다.
제2 스캐닝 스위칭모듈(214)은 스캐닝 펜(10A, 10B)의 하우징(100) 측면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객체에 대한 멀티 스캐닝 명령을 입력받는다. 제2 스캐닝 스위칭모듈(214)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멀티 스캐닝 명령에 따라 객체의 멀티 스캐닝을 위한 온 스위칭 동작을 수행한다. 제2 스캐닝 스위칭모듈(214)은 온 스위칭된 멀티 스캐닝 명령을 이미지 처리모듈(216)로 전달한다.
멀티 스캐닝 명령은 2회 이상의 스캐닝 동작들에 따른 스캐닝 데이터들을 단일 그룹으로 하여 하나의 메모리 영역에 저장할 수 있도록 하며, 2회 이상의 스캐닝 동작들에 대해 한번의 스티칭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명령이다. 이러한 멀티 스캐닝 명령은 제2 스캐닝 스위칭모듈(214)를 통한 스캐닝 명령의 입력에 의해 이루어지며, 실제 멀티 스캐닝 동작은 제2 스캐닝 스위칭모듈(214)을 통한 멀티 스캐닝 명령과 아울러 제1 스캐닝 스위칭모듈(212)의 스캐닝 개시 명령의 입력이 있어야 멀티 스캐닝 동작이 이루어진다.
제2 스캐닝 스위칭모듈(214)은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하우징(100)의 폭방향으로 왕복 운동이 이루어지는 멀티 스캐닝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스캐닝 스위칭모듈(214)은 사용자의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하우징(100)의 측면부에서 외부로 돌출된다. 또한, 제2 스캐닝 스위칭모듈(214)은 사용자의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는 왕복 이동에 의해 하우징(100)의 내부로 삽입된다. 제2 스캐닝 스위칭모듈(214)이 온 스위칭되면, 이미지 처리모듈(216)은 제2 스캐닝 스위칭모듈(214)의 온 스위칭에 대해 멀티 스캐닝 명령으로 인식한다.
사용자의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제2 스캐닝 스위칭모듈(214)이 하우징(100)의 측면부에서 외부로 돌출되도록 하고, 사용자의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는 제2 스캐닝 스위칭모듈(214)이 하우징(100)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하기 위해, 제2 스캐닝 스위칭모듈(214)은 탄성 부재(예를 들어, 스프링)를 포함하거나 탄성력을 갖는 구조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처리모듈(216)은 카메라모듈(202)에서 촬영된 상기 객체에 대응하는 상기 객체 이미지의 획득을 위한 이미지 프로세싱 동작을 수행한다. 이미지 처리모듈(216)은 하우징(10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제1 스캐닝 스위칭모듈(212) 및 제2 스캐닝 스위칭모듈(214)과 신호선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미지 처리모듈(216)은 객체에 대한 이미지를 스캔할 수 있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 센서는 CCD(charge-coupled device)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이미지 센서는 객체에 대한 이미지를 한 번에 스캐닝할 수 있는 범위에 따라 라인 이미지 센서 또는 와이드 이미지 센서로 구분될 수도 있다. 라인 이미지 센서는 다수의 수광 소자가 일정 길이를 갖는 직선형으로 배열된 것을 의미하고, 와이드 이미지 센서는 다수의 수광소자가 일정한 폭과 길이를 갖는 직사각형을 이루어 배열된 것을 의미한다.
이미지 처리모듈(216)은 제1 스캐닝 스위칭모듈(212)을 통해 입력된 스캐닝 개시 명령 및/또는 제2 스캐닝 스위칭모듈(214)을 통해 입력된 멀티 스캐닝 명령에 따라, 싱글 스캐닝 동작 또는 멀티 스캐닝 동작을 수행하며, 스캐닝된 이미지에 대한 이미지 프로세싱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이미지 프로세싱의 일 예로서 이미지 스티칭 또는 스티칭된 이미지에 대해 OCR(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방식으로 문자를 추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스캐닝폭 형성부는 하우징(100)의 일측 끝단에서 외부로 돌출되어 있으며, 객체 이미지의 획득을 위한 스캐닝 폭을 형성한다.
도 4는 도 1a에 도시된 스캐닝 펜(10A)을 구성하는 스캐닝폭 형성부(300) 및 스캐닝폭 조절부(400)가 하우징(100) 내에 실장된 상태를 예시하는 참조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스캐닝폭 형성부(300)는 카메라 모듈(202), 광원모듈(204-1, 204-2) 등을 포함하는 스캐닝부(200)의 전면에 배치되어 있으며, 스캐닝폭 조절부(400)는 스캐닝폭 형성부(300)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스캐닝폭 형성부(300) 및 스캐닝폭 조절부(400)는 하우징(100)의 형상이 삼각 기둥인 것에 탑재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지만, 스캐닝폭 형성부(300)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 1b에 도시된 사각 기둥의 하우징(100)을 갖는 스캐닝 펜(10B)에 구비되는 것일 수도 있다. 이러한, 스캐닝폭 형성부(300)는 하우징(100)을 구성하는 삼각 기둥 내부의 일측 단면에 접하는 지점에 배치된 것일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e는 도 4에 도시된 스캐닝폭 형성부(300)를 설명하기 위한 세부 구조도이다. 도 5a는 스캐닝폭 형성부(300)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5b는 스캐닝폭 형성부(300)를 구성하는 고정 부재(302)의 전면 사시도이고, 도 5c는 고정 부재(302)의 후면 사시도이고, 도 5d는 스캐닝폭 형성부(300)를 구성하는 이동 부재(304)의 상면 사시도이고, 도 5e는 이동 부재(304)의 하면 사시도이다.
고정 부재(302)는 스캐닝 펜(10A)의 자체 하중 또는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하우징(100)의 길이방향으로 상하 이동이 가능한 스캐닝 개시버튼으로 동작할 수 있다. 즉, 고정 부재(302)는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하우징(100)의 일측 끝단에서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고정 부재(302)는 스캐닝 펜(100)의 자체 하중 또는 사용자의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는 왕복 이동에 의해 하우징(100)의 내부로 이동한다. 고정 부재(302)가 길이방향으로 하우징(100)의 내부로 이동하면, 제1 스캐닝 스위칭모듈(212)이 온 스위칭되어 스캐닝 개시 명령으로 인식한다.
도 5b 및 도 5c를 참조하면, 고정부재(302)는 제1 돌출 구조체(302-1), 제2 돌출 구조체(302-2), 판형 구조체(302-3) 및 탄성 스프링(302-4)을 포함한다.
제1 돌출 구조체(302-1)와 제2 돌출 구조체(302-2)는 서로 대향하여 위치하며, 제1 돌출 구조체(302-1)와 제2 돌출 구조체(302-2)는 각각 하우징(100)의 일측 끝단에 위치하여 하우징(100)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는 스틱 형태일 수 있다.
서로 대향하여 위치하는 제1 돌출 구조체(302-1)와 제2 돌출 구조체(302-2)의 이격 거리는 객체의 스캐닝을 위한 기본적인 스캐닝 폭을 형성한다.
이때, 제2 돌출 구조체(302-2)는 이동 부재(304)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돌출 구조체(302-1)와 대향하는 면에 오목한 삽입 홈(302-21)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삽입 홈(302-21)은 하우징(100)의 폭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이동 부재(304)가 제1 돌출 구조체(302-1)와 가장 멀어지는 위치로서 최대의 스캐닝 폭을 확보하기 위해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삽입 홈(302-21)의 내측면은 이동 부재(304)의 삽입 부분의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것일 수 있다.
판형 구조체(302-3)는 제1 돌출 구조체(302-1)와 상기 제2 돌출 구조체(302-2)의 하측에 위치하며, 제1 돌출 구조체(302-1)와 상기 제2 돌출 구조체(302-2)에 수직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판형 구조체(302-3)의 내측면에서는 탄성 스프링(302-4)를 지지하기 위한 삽입 돌기(302-31)가 형성되어 있다.
탄성 스프링(302-4)은 판형 구조체(302-3)에 지지되어 스캐닝폭 형성부(30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에 따른 탄성력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탄성 스프링(302-4)의 일측은 판형 구조체(302-3)의 삽입 돌기(302-31) 내에 삽입되어 있고, 타측은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하우징(100) 내부의 일측면과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있고,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예를 들어, 스캐닝 동작을 위해 제1 돌출 구조체(302-1)와 제2 돌출 구조체(302-2)가 스캐닝 객체에 접촉하는 경우)에는 하우징(100) 내부 일측면에 접하여 스프링 응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동부재(304)는 제2 돌출 구조체(302-2)에 인접하고 있으며, 스캐닝폭 조절부(400)의 조작에 의해 하우징(100)의 폭방향을 기준으로 왕복 이동한다.
도 5d 및 도 5e를 참조하면, 이동부재(304)는 제1 몸체(304-1) 및 제2 몸체(304-2)를 포함한다.
제1 몸체(304-1)는 제1 판 형상을 포함한다. 이때, 제1 판 형상을 갖는 제1 몸체(304-1)은 하면에 스캐닝폭 조절부(400)와 맞물리는 제1 기어 패턴(304-11)이 형성되어 있다. 제1 기어 패턴(304-11)은 제1 몸체(304-1)가 하우징(100)의 폭 방향을 왕복 이동할 수 있도록 폭 방향을 따라 홈이 나열된 판상의 기어패턴일 수 있다. 이때, 제1 기어 패턴(304-11)의 피치는 스캐닝폭 조절부(400)에 형성된 기어 패턴의 피치와 대응하는 것일 수 있다.
제2 몸체(304-2)는 제1 몸체(304-1)의 상면의 일측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제2 판 형상을 포함하고 있다. 제2 판 형상을 갖는 제2 몸체(304-2)는 고정 부재(302)의 제1 돌출 구조체(302-1)과 제2 돌출 구조체(302-2) 사이에서 스캐닝 폭을 형성하기 위한 이동 구조체(304-21)를 포함하고 있다. 이동 구조체(304-21)는 제2 몸체(304-2)의 일부분이 하우징(100)의 길이 방향으로 돌출된 것이며, 이동 구조체(304-21)의 끝단은 제1 돌출 구조체(302-1)와 제2 돌출 구조체(302-2)의 끝단과 일치할 수 있다. 또한, 이동 구조체(304-21)의 일측에는 제2 돌출 구조체(302-2)에 형성된 삽입 홈(302-21) 내에 안착될 수 있는 삽입 돌기(304-22)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이동 구조체(304-21)와 제1 돌출 구조체(302-1)의 거리가 스캐닝 폭을 형성하게 된다.
스캐닝폭 조절부(400)는 상기 하우징(100)의 측부에 구비되어 있으며, 스캐닝폭 형성부(300)의 스캐닝 폭을 조절한다.
도 6a 및 도 6b는 도 4에 도시된 스캐닝폭 조절부(400)를 설명하기 위한 세부 구조도이다. 도 6a는 스캐닝폭 조절부(400)의 상면 사시도이고, 도 6b는 스캐닝폭 조절부(400)의 하면 사시도이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스캐닝폭 조절부(400)는 노브(402) 및 제2 기어패턴(404)를 포함할 수 있다.
노브(402)는 스캐닝폭 형성부(300)의 왕복 운동을 위한 폭 조절용 손잡이이다. 노브(402)는 하우징(100)의 형상이 삼각 기둥인 경우에는 일측이 삼각 기둥의 형상을 갖는 것일 수 있다. 노브(402)는 중앙에 형성된 중심축(402-1)을 기준으로 일정한 호(arc) 길이만큼 회전하는 형태일 수 있다.
다만, 노브(402)의 구조는 예시적인 것이며, 다양한 형태가 적용될 수 있다.
제2 기어패턴(404)은 사용자의 조작을 위한 손잡이로 기능하는 노브(402)의 타측에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2 기어패턴(404)은 스캐닝폭 형성부(300)의 제1 몸체(304-1)의 하면에 형성된 제1 기어패턴(304-11)과 맞물리는 구조이다.
제2 기어 패턴(404)은 하우징(100)의 폭 방향을 따라 홈이 나열된 기어패턴이다. 이때, 제2 기어 패턴(404)은 제1 기어 패턴(304-11)의 판상 기어패턴이 아니라, 호(A)를 이루는 형태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이때, 제2 기어 패턴(404)의 피치는 스캐닝폭 형성부(300)에 형성된 제1 기어 패턴(304-11)의 피치와 대응하는 것일 수 있다.
제2 기어 패턴(404)은 노브(402)의 조작에 의해 일정 호 길이만큼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기어 패턴(404)과 맞물린 제1 기어 패턴(304-11)을 갖는 스캐닝폭 형성부(300)의 이동 구조체(304-21)이 하우징(100)의 폭 방향으로 왕복 운동을 수행하게 되며, 제1 돌출 구조체(302-1)와 이동 구조체(304-21) 사이에 스캐닝 폭이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소프트웨어적인 프로그램으로 구현하여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소정 기록매체에 기록해 둠으로써 다양한 전자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다양한 전자장치는 PC, 노트북, 휴대용 단말 등일 수 있다. 예컨대, 기록매체는 각 저장장치의 내장형으로 하드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RAM, ROM 등이거나, 외장형으로 CD-R, CD-RW와 같은 광디스크, 콤팩트 플래시 카드, 스마트 미디어, 메모리 스틱, 멀티미디어 카드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Claims (9)

  1. 스캐닝 대상이 되는 객체에 대한 객체 이미지를 획득하는 스캐닝 펜에 있어서,
    상기 스캐닝 펜의 외관을 구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객체로부터 상기 객체 이미지를 획득하는 스캐닝부;
    상기 하우징의 일측 끝단에서 외부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객체 이미지의 획득을 위한 스캐닝 폭을 형성하는 스캐닝폭 형성부; 및
    상기 하우징의 측부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스캐닝폭 형성부의 상기 스캐닝 폭을 조절하는 스캐닝폭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캐닝 폭이 가변되는 스캐닝 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캐닝부는,
    상기 객체를 촬영하는 카메라모듈;
    상기 카메라모듈에서 촬영된 상기 객체에 대응하는 상기 객체 이미지의 획득을 위한 이미지 프로세싱 동작을 수행하는 이미지 처리모듈;
    상기 카메라모듈의 상기 객체의 촬영을 위한 광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원모듈;
    상기 획득된 객체 이미지를 표시하는 표시모듈;
    상기 스캐닝부의 구성 모듈들 각각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모듈;
    상기 전원 공급모듈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전원에 대해 상기 객체 이미지의 획득을 위한 전원 인가를 스위칭하는 전원 스위칭모듈;
    상기 이미지 처리모듈의 스캐닝 개시 동작을 스위칭하는 제1 스캐닝 스위칭모듈; 및
    상기 이미지 처리모듈의 멀티 스캐닝 동작을 스위칭하는 제2 스캐닝스 위칭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캐닝 폭이 가변되는 스캐닝 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삼각 기둥 및 사각 기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캐닝 폭이 가변되는 스캐닝 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스캐닝폭 형성부는,
    제1 돌출 구조체, 상기 제1 돌출 구조체에 대향하여 위치하는 제2 돌출 구조체 및 상기 제1 돌출 구조체와 상기 제2 돌출 구조체의 하측에 수직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돌출 구조체와 상기 제2 돌출 구조체를 일정 거리만큼 유지시키는 판형 구조체, 상기 판형 구조체에 지지되어 상기 스캐닝폭 형성부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에 따른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스프링을 포함하는 고정 부재;
    상기 제2 돌출 구조체에 인접하고 있으며, 상기 스캐닝폭 조절부의 조작에 의해 상기 하우징의 폭방향을 기준으로 왕복 이동하는 이동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부재의 상기 제1 돌출 구조체와 상기 이동 부재의 거리가 상기 객체에 대한 스캐닝 폭으로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캐닝 폭이 가변되는 스캐닝 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2 돌출 구조체는,
    상기 이동 부재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돌출 구조체와 대향하는 면에 오목한 삽입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캐닝 폭이 가변되는 스캐닝 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이동 부재는,
    제1 판 형상을 구비하는 제1 몸체;
    상기 제1 몸체의 상면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제2 판 형상을 구비하는 제2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몸체의 하면에 상기 스캐닝폭 조절부와 맞물리는 제1 기어 패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캐닝 폭이 가변되는 스캐닝 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2 몸체는,
    상기 제2 판 형상 중 상기 제2 돌출 구조체와 대향하는 면에 상기 제2 돌출 구조체에 형성된 상기 삽입 홈에 안착될 수 있는 삽입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캐닝 폭이 가변되는 스캐닝 펜.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스캐닝폭 조절부는,
    일측이 상기 스캐닝 폭의 조작을 위한 노브를 포함하고, 타측이 상기 이동 구조체의 상기 제1 기어패턴과 맞물리는 제2 기어패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캐닝 폭이 가변되는 스캐닝 펜.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스캐닝폭 조절부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 운동에 따라 상기 이동 구조체를 좌우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캐닝 폭이 가변되는 스캐닝 펜.
KR1020190010010A 2018-02-26 2019-01-25 스캐닝 폭이 가변되는 스캐닝 펜 KR1021549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3129 2018-02-26
KR20180023129 2018-02-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2991A true KR20190102991A (ko) 2019-09-04
KR102154919B1 KR102154919B1 (ko) 2020-09-10

Family

ID=67950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0010A KR102154919B1 (ko) 2018-02-26 2019-01-25 스캐닝 폭이 가변되는 스캐닝 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491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83768A (zh) * 2020-07-07 2020-10-16 科大讯飞股份有限公司 一种扫描笔
CN113673504A (zh) * 2021-08-23 2021-11-19 读书郎教育科技有限公司 一种可实现全局识别扫描的扫描笔及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98589A (ja) * 2000-04-14 2001-10-26 Hiroshi Fujita パソコン等の情報端末機器の入力装置
KR101780029B1 (ko) * 2017-05-26 2017-09-19 한성호 스캐닝 펜 및 이를 이용한 스캐닝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98589A (ja) * 2000-04-14 2001-10-26 Hiroshi Fujita パソコン等の情報端末機器の入力装置
KR101780029B1 (ko) * 2017-05-26 2017-09-19 한성호 스캐닝 펜 및 이를 이용한 스캐닝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83768A (zh) * 2020-07-07 2020-10-16 科大讯飞股份有限公司 一种扫描笔
CN111783768B (zh) * 2020-07-07 2023-12-01 科大讯飞股份有限公司 一种扫描笔
CN113673504A (zh) * 2021-08-23 2021-11-19 读书郎教育科技有限公司 一种可实现全局识别扫描的扫描笔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4919B1 (ko) 2020-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25580B2 (en) Image-capturing device and image-capturing method
US10484602B2 (en) Camera arrangements for wide-angle imaging
US10477091B2 (en) Imaging unit and installation device to attach to another device
KR102106296B1 (ko) 카메라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US7195164B2 (en) Optical code reading device having more than one imaging engine
US20110234497A1 (en) Computer peripheral for scanning
KR102154919B1 (ko) 스캐닝 폭이 가변되는 스캐닝 펜
EP2840773A2 (en) Imaging device
US20100219056A1 (en) Button assembly and digital camera having the same
JP2005100084A (ja) 画像処理装置及び方法
US20150256730A1 (en) Image-capturing device configured for a handheld electronic device
US11409336B2 (en) Camera lenses at computer devices
KR20210071253A (ko) 카메라 이동 제어 방법 및 장치
CN217640262U (zh) 一种具有投影功能的词典笔
CN106537245A (zh) 图像捕获设备
US20150373239A1 (en) Image sensor module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KR100619331B1 (ko) 근접촬영 기능을 갖는 디지털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한휴대단말기
CN110419210B (zh) 摄像装置、摄像方法及记录介质
CN111416973A (zh) 三维感测装置
US20070262960A1 (en) Mouse With Camera For Separation and Attachment
JP3932872B2 (ja) 電子機器
CN210807351U (zh) 移动终端
JP2003101822A (ja) 画像入力装置
CN217640264U (zh) 一种具有投影功能的扫描笔
KR100673954B1 (ko) 디지털 카메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