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2901A - 착용 및 탈거가 쉬운 보청기 - Google Patents

착용 및 탈거가 쉬운 보청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2901A
KR20190102901A KR1020180023973A KR20180023973A KR20190102901A KR 20190102901 A KR20190102901 A KR 20190102901A KR 1020180023973 A KR1020180023973 A KR 1020180023973A KR 20180023973 A KR20180023973 A KR 20180023973A KR 20190102901 A KR20190102901 A KR 201901029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ring aid
holder
magnet
ear
he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3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38339B1 (ko
Inventor
이상민
권장우
조우형
Original Assignee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239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8339B1/ko
Publication of KR201901029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29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83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83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02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adapted to be supported entirely by ea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65Housing parts, e.g. shells, tips or moulds, or their manufa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eurosurgery (AREA)
  • Otolaryng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석, 나사산 및 토글 장치를 이용하여 착용자 스스로 착용과 탈거를 쉽게 할 수 있으며, 보청기의 삽입 깊이와 보청기의 적정 삽입을 감지함으로써 보청기의 적정 삽입 및 정확한 깊이의 삽입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착용 및 탈거가 쉬운 보청기를 제안한다. 상기 착용 및 탈거가 쉬운 보청기는, 보청기 본체 및 보청기 홀더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착용 및 탈거가 쉬운 보청기 {A hearing aid with easy wearing and easy removing}
본 발명은 보청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석, 나사산 및 토글 장치를 이용하여 착용자 스스로 착용과 탈거를 쉽게 할 수 있으며, 보청기의 삽입 깊이와 보청기의 적정 삽입을 감지함으로써 보청기의 적정 삽입 및 정확한 깊이의 삽입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보청기에 관한 것이다.
보청기는 청력 검사상 난청으로 진단된 환자의 귀에 장착하여 소리를 증폭하여 주를 기구로 소리를 외부의 소리를 수신하는 마이크로폰, 마이크로폰으로 수신한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 증폭된 소리를 귀로 전달하는 스피커로 구성되며, 난청인 각각의 주파수별 청력에 맞추어 동작하도록 셋팅된 상태로 착용한다.
보청기를 사용하려면, 먼저 병원(이비인후과)에서 정확한 청력검사를 시행한 후에 착용해야 하는데, 각각의 주파수마다 들을 수 있는 가장 작은 소리의 크기와 가장 편안하게 들을 수 있는 소리의 크기, 불쾌감을 느끼는 소리의 크기를 측정하여 증폭할 범위를 결정한 후 이를 조절해서 착용하여야 하는 등 상당한 과정을 거쳐야 한다.
보청기 착용자의 외이도의 형태는 다양하기 때문에 보청기의 외형은 착용자의 외이도의 형태에 맞춰 만들어져야 하므로, 병원에서는 착용자의 외이도의 본을 뜨는 과정을 수행한 후, 외이도 본에 맞춰 보청기를 제작한다.
도 1은 보청기의 구별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몸에 부착하는 포켓형(미도시), 귀 뒤로 거는 귀걸이형(도 1a), 외이도와 이갑개(외이도에서 외이도 입구까지의 조개모양의 공간)를 채우는 이갑개형, 이외도 입구를 일부 채우는 외이도형(도 1b) 및 외이도 내로 완전히 넣어 타인의 눈에 잘 띄지 않도록 하는 고막형(도 1c)으로 구분할 수 있다.
전자기술 및 가공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소재 및 부품과 기구의 크기가 작아지고 있으며, 그에 따라 보청기 분야에서도 다양한 삽입형태의 보청기가 개발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초소형 보청기는 일반 고막형 보청기보다도 더 깊숙하게 삽입되는 형태로 외부에서는 보청기의 착용 여부를 거의 파악할 수 없도록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초소형 보청기는 타인의 도움 없이 착용자 스스로 귓속에 삽입할 때 정확한 위치의 선정과 삽입 깊이의 적절한 판단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삽입을 잘못하여 보청기를 정확하게 삽입을 하지 못한 때에는 보청기의 탈거가 어려울 수 있으며, 적정깊이 이상으로 삽입하는 때에는 고막이나 외이도에 손상을 초래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보청기의 탈거를 쉽게 하기 위해 보청기에 돌출된 끈(손잡이)이 설치되어 있는데 돌출된 끈은 착용자의 귀 밖으로 노출되게 되어, 주위의 사람들이 보청기의 착용을 인식할 수 있어 착용의 거부감을 증가시킨다는 단점도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2-0088878호(2012년08월08일)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자석, 나사산 및 토글 장치를 이용하여 착용자 스스로 착용과 탈거를 쉽게 할 수 있으며, 보청기의 삽입 깊이와 보청기의 적정 삽입을 감지함으로써 보청기의 적정 삽입 및 정확한 깊이의 삽입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착용 및 탈거가 쉬운 보청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착용 및 탈거가 쉬운 보청기는, 보청기 본체 및 보청기 홀더를 포함한다. 상기 보청기 홀더는 직경이 귀의 외부에서 귀의 내부 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원통 형태로 사용자의 외이도의 내면에 장착되며, 내면 중간에 적정삽입 감지센서가 설치된다. 상기 보청기 본체는 자석, 토글 수단 및 나사산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보청기 홀더에 삽입되며 내부에 적정삽입 대응감지센서가 설치된다. 상기 보청기 본체는 직경이 귀의 외부에서 귀의 내부 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를 가지고, 상기 적정삽입 대응감지센서가 상기 적정삽입 감지센서에 응답하여 활성화될 때 스피커를 통해 제2음향을 착용자의 귀에 송신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청기는 자석, 나사산 및 토글 장치를 이용하여 착용자 스스로 착용과 탈거를 쉽게 할 수 있으며, 보청기의 삽입 깊이와 보청기의 적정 삽입을 감지함으로써 보청기의 적정 삽입 및 정확한 깊이의 삽입을 확인할 수 있어 착용자 혼자서도 쉽게 그리고 정확하게 착용 및 탈거를 할 수 있으며, 보청기의 탈거를 위해 종래에 사용하던 외부로 돌출된 끈(손잡이)을 사용하지 않게 됨에 따라 착용자의 주변인이 보청기의 착용여부를 확인할 수 없다는 장점이 있다.
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보청기의 구별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착용 및 탈거가 쉬운 보청기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3은 자석을 이용한 방식의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4는 토글 수단을 이용한 방식의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5는 나사산을 이용한 방식의 실시 예를 나타낸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예를 설명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착용 및 탈거가 쉬운 보청기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착용 및 탈거(분리)가 쉬운 보청기(200)는 보청기 본체(210) 및 보청기 홀더(230)를 포함한다.
보청기 본체(210)는 마이크로폰(211), 증폭기(212), 스피커(213), 음량조절부(214), 적정삽입 대응감지센서(215) 및 건전지(216)를 포함하며 제1자석(217), 보청기 분리보조수단(218), 토글 대응턱(219), 본체 회전용 홈(220) 및 제1 나사산(221) 중 적어도 하나를 보조적으로 포함한다.
보청기 홀더(230)는 적정삽입 감지센서(232)를 포함하며, 위치감지센서(231), 제2자석(233) 및 제2나사산(234) 중 적어도 하나를 보조적으로 포함한다.
먼저, 보청기 본체(210)의 기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마이크로폰(211)은 착용자의 귀의 외부에서 귀로 입력되는 소리를 수신한다. 증폭기(212)는 마이크로폰(211)에서 수신한 소리를 증폭한다. 스피커(213)는 한편으로는 증폭기(212)에서 증폭한 소리를 착용자의 귀로 전달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보청기 본체(210)의 삽입깊이에 따라 활성화되는 위치감지센서(221)의 감지결과를 감지하여 제1음향을 착용자의 귀에 송신하거나, 보청기 본체(210)를 구성하는 적정삽입 대응감지센서(215)가 보청기 홀더(230)를 구성하는 적정삽입 감지센서(222)에 응답하여 활성화될 때 제2음향을 착용자의 귀에 송신한다. 음량조절부(214)는 증폭기(212)의 증폭도 또는 스피커(213)의 볼륨을 조절한다. 적정삽입 대응감지센서(215)는 보청기 홀더(220)의 적정삽입 감지센서(222)가 미리 설정한 거리에 있을 경우 활성화된다. 건전지(216)는 마이크로폰(211), 증폭기(212), 스피커(213), 음량조절부(214) 및 적정삽입 대응감지센서(215)에 필요한 전기에너지를 공급한다.
보청기 본체(210)를 부가적으로 구성하는 제1자석(217), 보청기 분리보조수단(218), 토글 대응턱(219), 본체 회전용 홈(220) 및 제1 나사산(221)은 후술하는 실시 예와 함께 설명할 것이다.
이어 보청기 홀더(23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적정삽입 감지센서(232)는 착용자가 보청기 본체(210)를 보청기 홀더(230)에 삽입할 때 삽입되는 보청기 본체(210)의 앞뒤 방향이 뒤바뀌었거나 정확한 각도로 삽입하지 않은 경우를 위한 것으로, 정확하게 착용한 때에만 활성화되도록 하였다. 즉, 착용자가 보청기 본체(210)를 정확한 각도로 착용하게 되면 적정삽입 감지센서(232)와 보청기 본체(210)에 설치된 적정삽입 대응감지센서(215)가 일정한 거리로 접근하게 되며, 이때에만 활성화되어 결국 제2음향을 착용자의 귀에 전달하게 된다. 실시 예에 따라서는 보청기 본체(210)를 일단 보청기 홀더(230)에 삽입한 후 보청기 본체(210)를 일정각도 회전시키면서 적정한 각도를 유지하도록 하는데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위치감지센서(231)는 보청기 홀더(230)에 삽입되어 귓속으로 진행하는 보청기 본체(210)의 진행방향의 가장 앞쪽을 감지하는 센서로, 예를 들면, 보청기 본체(210)의 진행방향의 가장 앞쪽이 위치감지센서(231)에 도달하였을 때 활성화되어 결국 제1음향을 착용자의 귀에 방출하도록 함으로써 착용자가 보청기 본체(210)의 삽입을 멈추도록 하는 것으로, 후술하겠지만 실시 예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위치감지센서(231)는 보청기 본체(210)가 예를 들면 고막에 도달할 수 있는 최대지점을 넘지 않도록 할 수 있어, 타인의 도움 없이 착용자 스스로 보청기 본체(210)를 보청기 홀더(230)에 삽입할 때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보청기 홀더(230)를 구성하는 제2자석(233), 토글 수단(234) 및 제2나사산(235)에 대해서는 실시 예와 함께 설명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상기의 구성을 가진 보청기 본체(210) 및 보청기 홀더(230)의 외형 및 동작을 설명한다.
보청기 홀더(230)는 직경이 귀의 외부에서 귀의 내부 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원통 형태로 사용자의 외이도의 내면에 장착되며, 내면 중간에 적정삽입 감지센서(222)가 설치된다. 보청기 홀더(230)를 미리 외이도에 미리 장착해 놓음으로써, 후에 보청기 본체(210)를 사용할 때의 착용은 물론 보청기 본체(210)를 사용하지 않을 때의 탈거를 쉽게 할 수 있다. 사람마다 외이도가 제각각이므로 실제의 보청기 홀더(230)는 착용자에 따라 별도의 과정을 거쳐 만들어져야 할 것이지만, 이 부분은 본 발명의 핵심아이디어와는 상관이 없으므로 여기서는 자세하게 설명하지 않는다.
보청기 본체(210)는 직경이 귀의 외부에서 귀의 내부 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로 보청기 홀더(230)의 내면에 장착되며, 보청기 본체(210)의 삽입깊이에 따라 활성화되는 위치감지센서(221)의 감지결과를 감지하여 내장한 스피커(213)를 통해 제1음향을 착용자의 귀에 송신하고, 적정삽입 대응감지센서(215)가 보청기 홀더(220)를 구성하는 적정삽입 감지센서(222)에 응답하여 활성화될 때 스피커(213)를 통해 제2음향을 착용자의 귀에 송신한다.
제1음향과 제2음향은 동일하게 하는 실시 예도 가능하지만, 서로 다르게 하여 착용자가 이를 구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착용자는 보청기 본체(210)를 제1음향이 들릴 때까지만 보청기 홀더(230)에 삽입하면 되므로 너무 깊이 삽입하여 고막을 상하게 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보청기 본체(210)가 보청기 홀더(230)에 정확한 방향이나 각도로 삽입되었는가를 제2음향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상황에서 활성화되는 제1음향과 제2음향은 보청기 본체(210)를 착용자가 타인이 도움없이 보청기 홀더(230)에 정확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보조할 수 있다.
보청기 본체(210)가 보청기 홀더(230)에 삽입 장착 및 탈거(분리)하는 방식은 다양하다.
도 3은 자석을 이용한 방식의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3a는 적정삽입 대응감지센서(215) 이외에 제1자석(217) 및 보청기 분리보조수단(218)이 추가로 설치되어 있는 보청기 본체(210)와 적정삽입 감지센서(232) 이외에 위치감지센서(231)와 제2자석(233)이 추가로 설치되어 있는 보청기 홀더(230)가 분리되어 있는 상태와 결합한 상태를 각각 나타내고, 도 3b는 제1 보청기 분리수단(300)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청기 본체(210)가 보청기 홀더(230)에 삽입하면 위치감지센서(231)에서 보청기 본체(210)의 삽입 깊이를 착용자에게 통보하도록 하여 보청기 본체(210)가 보청기 홀더(230)의 내부로 삽입되는 최적의 깊이를 착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적정삽입 대응감지센서(215)와 적정삽입 감지센서(232) 를 이용하여 보청기 본체(210)가 보청기 홀더(230)에 적절하게 삽입되었는가를 확인할 수 있으며, 보청기 홀더(230)에 삽입된 보청기 본체(210)는 2개의 자석(217, 233)의 자력으로 고정되도록 한다.
보청기 홀더(230)에 삽입 고정되어 있는 보청기 본체(210)를 보청기 홀더(230)로부터 분리하기 위해서는, 제1 보청기 분리수단(300)의 후크(301)를 보청기 본체(210)에 형성된 보청기 분리보조수단(218)에 삽입하여 귀의 외부로 잡아당기면 될 것이다.
도 4는 토글 수단을 이용한 방식의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4a는 적정삽입 대응감지센서(215) 이외에 제1자석(217) 및 토글 대응턱(219)이 추가로 설치되어 있는 보청기 본체(210)와 적정삽입 감지센서(232) 이외에 제2자석(233) 및 토글 수단(234)이 추가로 설치되어 있는 보청기 홀더(230)가 분리되어 있는 상태와 이들이 결합한 상태를 각각 나타내고, 도 4b는 토글 수단(234)의 동작 특성을 각각 나타낸다.
토글 수단(234)은 일정한 크기의 힘을 인가하면 길이가 축소되었다가, 다시 일정한 크기의 힘을 인가하면 축소되었던 길이가 원래의 길이로 복원하는 것으로 산업분야에서 다양하게 활용하고 있으므로, 여기서는 자세하게 설명하지 않는다. 다만 축소되었다가 복원될 때의 힘이 상당하기 때문에, 토글 수단(234)이 복원될 때 자력에 의해 보청기 홀더(230)에 고정된 보청기 본체(210)를 보청기 홀더(230)로부터 분리할 수 있을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실시 예는, 도 3의 실시 예에서 위치감지센서(231)가 없는 대신, 토글 수단(234)이 위치감지센서(231)의 기능을 대신할 수 있도록 하였다. 물론 실시 예에 따라서는 위치감지센서(231)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를 참조하면, 착용자는 보청기 본체(210)를 구성하는 토글 대응턱(219)이 토글 수단(234)에 접촉할 때까지 보청기 본체(210)를 보청기 홀더(230)에 삽입한 후, 일정한 크기의 힘을 추가로 인가하여 토글 수단(234)이 길이를 축소하도록 한다. 이때 토글 수단(234)의 축소된 거리만큼 보청기 홀더(230)의 내부로 추가 삽입된 보청기 본체(210)의 제1자석(217)이 보청기 홀더(230)를 구성하는 제2자석(233)의 힘에 의해 보청기 본체(210)가 보청기 홀더(230)의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서는 토글 수단(234) 자체에 고정 및 고정해제 수단을 설치함으로써 2개의 자석(217, 233)을 사용하지 않을 수도 있을 것이다.
토글 수단(234)의 물리적 특징을 이용하여 보청기 홀더(230)의 내부에 고정된 보청기 본체(210)를 보청기 홀더(230)로부터 분리하고자 할 때에는 단순히 보청기 본체(210)에 일정한 힘을 가하면 된다. 이때 보청기 홀더(230)를 구성하는 토글 수단(234)의 길이가 복원되며, 토글 수단(234)의 복원력이 2개의 자석(217, 233)의 자력을 극복하고 보청기 본체(210)를 보청기 홀더(230)로부터 분리하여 귀의 외부로 일정한 거리 밀어내게 된다. 보청기 홀더(230)로부터 일정거리 분리된 보청기 본체(210)에 형성된 보청기 분리보조수단(218)에 제1 보청기 분리수단(300)의 후크(301)를 삽입하여 귀의 외부로 잡아당기면 보청기 본체(210)를 귀에서 완전히 분리시킬 수 있을 것이다.
도 5는 나사산을 이용한 방식의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5a는 외면에 적정삽입 대응감지센서(215) 이외에 본체 회전용 홈(220)이 추가로 설치된 보청기 본체(210)와 적정삽입 감지센서(222) 이외에 위치감지센서(231)가 추가로 설치된 보청기 홀더(230)가 분리되어 있는 상태와 이들이 결합한 상태를 나타내고, 도 4b는 보청기 본체(210)의 헤드에 형성된 본체 회전용 홈(220) 및 보청기 본체(210)의 외면에 형성된 제1나사산(221)을 나타내고, 도 4c는 보청기 홀더(230)의 내부에 형성된 제2나사산(235)을 각각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보청기 본체(210)는 보청기 본체(210)의 외면에 형성된 제1나사산(221)과 보청기 홀더(230)의 내면에 형성된 제2나사산(235)을 통해 보청기 홀더(230)에 장착 또는 분리되는데, 이때 보청기 본체(210)를 보청기 홀더(230)에 삽입하거나 분리하는 수단으로 제2 보청기 분리수단(500)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 회전용 홈(220)이 1 자형이거나 십자형의 홈일 때 제2 보청기 분리수단(500)은 1 자형 드라이버 또는 십자형 드라이버를 사용하면 될 것이다.
제2 보청기 분리수단(500)으로 보청기 본체(210)를 보청기 홀더(230)로부터 일정한 거리 분리할 수는 있지만, 보청기 본체(210)를 귀에서 완전히 분리하는 것은 도 3에 도시한 제1 보청기 분리수단(300)의 후크(301)를 보청기 본체(210)에 형성된 보청기 분리보조수단(218)에 삽입하여 귀의 외부로 잡아당기면 될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210: 보청기 본체
211: 마이크로폰 212: 증폭기
213: 스피커 214: 음량조절부
215: 적정삽입대응감지센서 216: 건전지
217: 제1자석 218: 보청기분리보조수단
219: 토글대응턱 220: 본체회전용 홈
221: 제1나사산
220: 보청기 홀더
221: 위치감지센서 222: 적정삽입감지센서
223: 제2자석 224: 토글수단
225: 제2나사산
300: 제1 보청기 분리수단
500: 제2 보청기 분리수단

Claims (4)

  1. 직경이 귀의 외부에서 귀의 내부 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원통 형태로 사용자의 외이도의 내면에 장착되며, 내면 중간에 적정삽입 감지센서가 설치된 보청기 홀더; 및
    자석, 토글 수단 및 나사산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보청기 홀더에 삽입되며 내부에 적정삽입 대응감지센서가 설치된 보청기 본체; 를 포함하며,
    상기 보청기 본체는 직경이 귀의 외부에서 귀의 내부 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를 가지고, 상기 적정삽입 대응감지센서가 상기 적정삽입 감지센서에 응답하여 활성화될 때 내장한 스피커를 통해 제2음향을 착용자의 귀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 및 탈거가 쉬운 보청기.
  2. 제1항에서, 상기 보청기 본체가 자석을 이용하여 상기 보청기 홀더에 장착하는 경우,
    상기 보청기 본체에는 제1자석, 상기 보청기 홀더에는 위치감지센서 및 제2자석이 각각 더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자석 및 상기 제2자석은 상기 보청기 본체가 상기 보청기 홀더에 장착되었을 때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제1자석 및 상기 제2자석의 자력(인력)으로 상기 보청기 본체가 상기 보청기 홀더의 내부에 고정되며,
    상기 보청기 본체의 상기 스피커는 상기 보청기 본체의 삽입깊이에 따라 활성화되는 상기 위치 감지센서의 감지결과를 감지하여 제1음향을 착용자의 귀에 송신하고,
    상기 보청기 본체의 일 면 중 착용자의 귀의 외부에 위치하는 면에는 제1 보청기 분리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보청기 본체가 상기 보청기 홀더로부터 이탈할 수 있도록 하는 보청기 분리보조수단이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 및 탈거가 쉬운 보청기.
  3. 제1항에서, 상기 보청기 본체가 토글 수단 및 자석을 이용하여 상기 보청기 홀더에 장착하는 경우,
    상기 보청기 본체에는 토글 대응턱 및 제1자석, 상기 보청기 홀더의 내면에 토글 수단 및 제2자석이 각각 더 설치되고, 상기 토글 대응턱은 상기 토글 수단에 의해 상기 보청기 본체가 상기 보청기 홀더의 내부로 삽입되는 깊이가 제한되도록 하고, 상기 제1자석 및 상기 제2자석은 상기 보청기 본체가 상기 보청기 홀더에 장착되었을 때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제1자석 및 상기 제2자석의 자력(인력)으로 상기 보청기 본체가 상기 보청기 홀더의 내부에 고정되며,
    상기 토글 수단은 일정한 크기의 힘을 인가하면 길이가 축소되었다가, 다시 일정한 크기의 힘을 인가하면 축소되었던 길이가 원래의 길이로 복원하며,
    상기 보청기 본체의 일 면 중 착용자의 귀의 외부에 위치하는 면에는 제1 보청기 분리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보청기 본체가 상기 보청기 홀더로부터 이탈할 수 있도록 하는 보청기 분리보조수단이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 및 탈거가 쉬운 보청기.
  4. 제1항에서, 상기 보청기 본체가 나사산을 이용하여 상기 보청기 홀더에 장착하는 경우,
    상기 보청기 본체에는 제1나사산, 상기 보청기 홀더는 위치감지센서 및 제2나사산이 각각 더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나사산은 상기 보청기 본체의 외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2나사산은 상기 보청기 홀더의 내면에 설치되고,
    상기 보청기 본체의 일 면 중 착용자의 귀의 외부에 위치하는 면에는 제2 보청기 분리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보청기 본체를 회전시킬 수 있는 본체 회전용 홈 및 제1 보청기 분리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보청기 본체가 상기 보청기 홀더로부터 이탈할 수 있도록 하는 보청기 분리보조수단이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 및 탈거가 쉬운 보청기.
KR1020180023973A 2018-02-27 2018-02-27 착용 및 탈거가 쉬운 보청기 KR1020383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3973A KR102038339B1 (ko) 2018-02-27 2018-02-27 착용 및 탈거가 쉬운 보청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3973A KR102038339B1 (ko) 2018-02-27 2018-02-27 착용 및 탈거가 쉬운 보청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2901A true KR20190102901A (ko) 2019-09-04
KR102038339B1 KR102038339B1 (ko) 2019-10-30

Family

ID=67950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3973A KR102038339B1 (ko) 2018-02-27 2018-02-27 착용 및 탈거가 쉬운 보청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833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3611A (ko) * 2007-04-17 2008-10-22 에이디반도체(주) 정전용량센서를 이용하는 자동제어 보청기
KR20120088878A (ko) 2009-12-21 2012-08-08 비덱스 에이/에스 보청기용 이어플러그 및 보청기
KR101748168B1 (ko) * 2016-05-11 2017-06-16 박관식 쉘 및 실리콘 슬리브 팁이 상호 탈부착 용이한 듀얼 마이크형 보청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3611A (ko) * 2007-04-17 2008-10-22 에이디반도체(주) 정전용량센서를 이용하는 자동제어 보청기
KR20120088878A (ko) 2009-12-21 2012-08-08 비덱스 에이/에스 보청기용 이어플러그 및 보청기
KR101748168B1 (ko) * 2016-05-11 2017-06-16 박관식 쉘 및 실리콘 슬리브 팁이 상호 탈부착 용이한 듀얼 마이크형 보청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8339B1 (ko) 2019-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29974B2 (ja) 補聴器用交換可能音響システムおよび補聴器
US20090082801A1 (en) Tool for inserting a receiver of a hearing apparatus into an auditory canal
CN111903142B (zh) 具有磁场传感器的音频设备
US11722829B2 (en) Hybrid shell for hearing aid
JP5823056B2 (ja) 耳垢ガード用ブッシングを備える補聴器
US20140205120A1 (en) Hearing instrument housing having a plug-in connection, plug and hearing instrument
US20080199031A1 (en) Hearing apparatus with a magnetically attached battery holding device
CY1111870T1 (el) Οπισθοωτιαια/πληρως ενδοκαναλικη ακουστικη συσκευη και δομοστοιχειωτο συστημα συνδεσμου αυτης
US20110286616A1 (en) Hearing device with a passive unit seated deep in the auditory canal
US10623871B2 (en) Hearing assistance system with automatic side detection
JP6378628B2 (ja) 能動的閉塞感解消イヤモールド
EP2028877B1 (en) Hearing aid with anti-feedback system
US8121328B2 (en) Hearing device with a connecting piece fastened to the housing frame
US11812246B2 (en) Pairing system and method for ear-worn devices
US8116496B2 (en) Earpiece for a hearing device with bayonet fitting
US20090095307A1 (en) Earplug with engagement means
KR102038339B1 (ko) 착용 및 탈거가 쉬운 보청기
US20110188692A1 (en) Hearing system with positioning device and corresponding positioning method
US20080304674A1 (en) Hearing device test adapter
US8416975B2 (en) Hearing aid housing
US8355519B2 (en) Tool for fitting and removing a receiver of a hearing aid
DK2309779T3 (en) Hearing aid and earpiece
WO2017207044A1 (en) Hearing assistance system with automatic side detection
CN101998219A (zh) 带有识别装置的助听器
US10231068B2 (en) Hearing device for being worn at least partly within an ear canal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such a hear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