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2826A - 도어 개폐용 플로어 힌지장치 - Google Patents

도어 개폐용 플로어 힌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2826A
KR20190102826A KR1020180023788A KR20180023788A KR20190102826A KR 20190102826 A KR20190102826 A KR 20190102826A KR 1020180023788 A KR1020180023788 A KR 1020180023788A KR 20180023788 A KR20180023788 A KR 20180023788A KR 20190102826 A KR20190102826 A KR 201901028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losing
opening
hinge device
upp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37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30099B1 (ko
Inventor
정영호
Original Assignee
정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영호 filed Critical 정영호
Priority to KR10201800237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0099B1/ko
Publication of KR201901028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28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00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00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1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to allow easy separation or connection of the parts at the hinge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8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 E05D7/081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the pivot axis of the wing being situated near one edge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bottom, e.g. trunn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04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liquid piston brakes
    • E05F3/1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liquid piston brakes with a spring, other than a torsion spring, and a piston, the axes of which are the same or lie in the same dir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7/00Accessories for wing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E05F7/04Arrangement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ratt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40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 E05Y2600/45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in or on the fixed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의 출입구에 설치된 여닫이 도어의 개폐를 위한 도어 개폐용 플로어 힌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벽체에 직립 설치된 좌우측 프레임의 상단에 설치되는 상부 프레임에 내장되어 도어의 상단에 연결됨으로써, 시공과 분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도어 개폐용 플로어 힌지장치{Floor hinge apparatus for door}
본 발명은 도어 개폐용 플로어 힌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시공을 용이하게 하고 시공비를 절감할 수 있는 도어 개폐용 플로어 힌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출입이 잦은 여닫이 도어의 구조를 갖는 건물의 경우, 출입자가 여닫이 도어를 통과한 다음 도어가 열려 있는 경우, 실내 냉난방 효과가 떨어져 에너지 손실이 상당히 발생되고, 건물 내부로 유입되는 실외 매연이나 먼지 등에 의해 실내 환경을 열악하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어,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편 중의 하나로 자동 닫힘 기능이 있는 플로어 힌지장치를 도어에 적용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종래의 플로어 힌지장치는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콘크리트 바닥면(C)을 일정깊이로 굴착한 후 그 굴착지점에 매설하고, 바닥면 상측으로 돌출된 힌지축(H)을 도어(D)의 하단에 연결하는 방식으로 시공되는데, 이때 힌지축(H)은 양측면이 테이퍼진 형상으로 되어 있어서 도어(D)의 하단에 형성된 삽입홈에 힌지축(H)을 끼우면 도어(D)의 자중(自重)에 의해 힌지축(H)과 도어(D)의 삽입홈 사이에 빈틈이 없이 도어(D)가 견고하게 연결됨으로써 힌지축(H)에서 도어(D)가 흔들거리거나 덜컥거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장점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시공 방식은 시공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바닥면 굴착 비용이 추가로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시공을 용이하게 하고 바닥면을 굴착하지 않기 위해서는, 플로어 힌지장치를 도어 위쪽에 설치하고 아래쪽으로 돌출되는 힌지축을 도어의 상단에 연결하는 것이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되지만, 힌지축을 도어의 상단에 연결하는 경우에는 힌지축에 도어의 자중(自重)이 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힌지축과 도어를 견고하게 연결할 수가 없어서 힌지축에서 도어가 흔들거리거나 덜컥거리는 것을 방지할 수 없고, 이러한 이유 때문에 플로어 힌지장치를 도어 위쪽에 설치하는 방안은 아직까지 시도되지 못하고 있다.
KR 10-0929213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벽체 상부쪽에 설치되는 상부 프레임 내부에 설치함으로써 시공 및 분해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시공을 위한 바닥면 굴착을 생략하여 시공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도어 개폐용 플로어 힌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도어와 힌지축 간의 견고한 결합을 구현하여 힌지축 상에서 도어가 흔들거리거나 덜컥거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도어 개폐용 플로어 힌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벽체에 설치된 프레임에 도어의 설치와 도어의 해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도어 개폐용 플로어 힌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도어가 제대로 닫히지 않고 비스듬하게 닫혀 프레임과 도어 사이에 틈이 넓게 발생되는 경우 도어를 제대로 닫히게 하여 넓은 틈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도어 개폐용 플로어 힌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유압을 조절하여 도어가 개폐되는 속도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는 도어 개폐용 플로어 힌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도어의 하중이 작용하더라도 그 하중을 적절하게 분산하여 담당함으로써 안정적인 설치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도어 개폐용 플로어 힌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도어 개폐용 플로어 힌지장치는 건물의 출입구에 설치된 여닫이 도어의 개폐를 위한 것으로서, 벽체에 직립 설치된 좌우측 프레임의 상단에 설치되는 상부 프레임에 내장되어 힌지축이 도어의 상단에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도어 개폐용 플로어 힌지장치는 상기 도어의 상단에 설치되는 고정대와, 상기 힌지축에 설치되고 상기 고정대의 내부에 밀착되게 수용되어 도어 개폐시 회동하는 고정대와 함께 회동되는 연결바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바의 측면과 고정대의 측면에는 체결볼트가 설치되어 연결바와 고정대가 결합된다.
또한, 상기 도어 개폐용 플로어 힌지장치는 상기 상부 프레임에 내장되고, 내부에 유압유가 채워지는 바디와; 상기 바디 내부에 좌우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하단 부분에 상기 연결바가 설치되고, 도어 개방시에 도어와 함께 회전함으로써 피스톤을 가압하여 우측으로 이동시키는 캠이 구비된 힌지축;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힌지축의 외주면에는 조인트링이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조인트링을 지지하는 지지판이 설치되며, 상기 지지판은 상기 상부 프레임의 밑면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피스톤은 상기 힌지축에 의해 관통되고 상기 캠이 삽입되는 캠 삽입홈이 형성됨과 아울러 캠에 의해 가압되는 가압면이 구비된 헤드와; 상기 헤드의 좌측면에 연결되고, 외측면이 상기 바디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위치고정링이 관통 설치되는 로드와; 상기 로드 주위를 둘러싸고, 일측 끝단이 상기 바디의 내측면에 형성된 단턱에 의해 지지됨과 아울러 타측 끝단이 상기 위치고정링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도어의 개방시에 압축되는 스프링;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도어의 개폐시에 유동하는 유압유의 양을 조절하여 도어의 개폐속도를 조절하는 유압조절부가 더 구비되되; 상기 유압조절부는 상기 로드에 상하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세로유로와; 상기 세로유로에 연통되는 좌우방향의 가로유로와; 상기 가로유로에 연통되는 설치홀과; 상기 설치홀에 설치되어 상기 가로유로를 개폐하는 체크볼과; 상기 위치고정링에 의해 구획되는 바디의 내부공간 양측을 연결하는 유압유로와; 상기 유압유로를 개폐함과 아울러 개폐정도를 조절하는 유압조절밸브;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로드에는 체크볼이 설치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돌기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헤드의 가압면은 상기 캠 쪽을 향하여 그 높이가 점점 높아지다가 점점 낮아진다.
또한, 상기 바디의 일측에는 회동부가 구비되어 상기 회동부를 중심으로 바디가 상기 상부 프레임에서 회동하고, 상기 바디의 타측에는 바디 고정부가 구비되어 일정각도 회동된 바디를 상기 상부 프레임에 고정시킨다.
또한, 상기 회동부는 상기 상부 프레임의 상면에 체결되는 결합패널과; 상기 바디의 상면에 상기 결합패널보다 그 폭이 크게 형성되어 결합패널이 삽입되는 삽입홈과; 상기 삽입홈의 중앙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결합패널을 관통하는 원형판;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바디 고정부는 상기 바디의 상면에서 일체로 돌출 형성된 리브의 저면에 밀착되는 하부 압착판과; 상기 상부 프레임의 상면에 밀착되는 상부 압착판과; 상기 하부 압착판과 상부 압착판을 관통하고 상부 압착판과 나선결합되어 상기 바디와 상부 프레임의 상면을 압착시키는 결합볼트;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도어 개폐용 플로어 힌지장치는 도어를 설치하기 위해 기본적으로 설치되는 상부 프레임 내부에 플로어 힌지장치를 설치한 후 도어에 연결만 하면 설치가 완료되므로 시공과 분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도어의 상단에 설치된 고정대를 힌지축의 연결바에 끼운 다음 도어를 밀어서 세우면 벽체에 설치된 프레임에 도어가 장착되므로 도어의 설치와 해체가 아주 용이하다.
또한, 힌지축에 연결된 연결바가 도어 상단에 설치된 고정대에 빈틈없이 수용되므로 도어가 힌지축 상에서 흔들거리거나 덜컥거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플로어 힌지장치를 매설하기 위하여 지면을 굴착하지 않아도 되므로 시공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지면 굴착비용이 생략되므로 시공 비용이 절감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도어가 제대로 닫히지 않고 경사지게 닫혔을 때 바디를 일정각도 회동시킨 다음 바디 고정부로 바디를 상부 프레임에 고정시키면 그 이후부터는 도어가 경사지지 않고 제대로 닫히게 되므로 도어와 프레임 사이에 빈 틈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위치고정링에 의해 구획되는 바디의 내부공간 양측을 연결하는 유압유로의 개폐정도를 유압조절밸브로 조절하여 바디의 내부공간 양측을 유동하는 유압유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도어의 개폐속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회동부의 결합패널이 상부 프레임의 상면 일측에 견고하게 결합되고, 힌지축에 설치되는 지지판이 상부 프레임의 밑면에 견고하게 결합되며, 바디 고정부의 상부 압착판이 상부 프레임의 상면 타측에 견고하게 결합되어, 도어 개폐용 플로어 힌지장치가 상부 프레임의 3곳에 견고하게 지지되기 때문에 도어의 하중이 힌지장치에 가해지더라도 안정적인 설치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플로어 힌지장치의 설치 모습을 간단히 보인 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 개폐용 플로어 힌지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도어 개폐용 플로어 힌지장치가 설치된 모습을 보인 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 개폐용 플로어 힌지장치가 설치된 상부프레임에 도어를 설치하는 모습을 보인 도.
도 5는 도 3에 표시된 A영역을 자세히 보인 도.
도 6은 도 4에 표시된 B영역을 자세히 보인 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도어 개폐용 플로어 힌지장치와 도어의 결합구조를 보인 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도어 개폐용 플로어 힌지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9는 도어가 닫혔을 때(위)와 열렸을 때(아래) 본 발명에 의한 도어 개폐용 플로어 힌지장치의 모습을 보인 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도어 개폐용 플로어 힌지장치의 로드 끝단 모습을 보인 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도어 개폐용 플로어 힌지장치의 유압조절부 모습을 보인 도.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 개폐용 플로어 힌지장치가 설치된 도어가 비스듬히 닫혔을 때와 제대로 닫혔을 때의 모습을 보인 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도어 개폐용 플로어 힌지장치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플로어 힌지장치의 설치 모습을 간단히 보인 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 개폐용 플로어 힌지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도어 개폐용 플로어 힌지장치가 설치된 모습을 보인 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 개폐용 플로어 힌지장치가 설치된 상부프레임에 도어를 설치하는 모습을 보인 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3에 표시된 A영역을 자세히 보인 도이며, 도 6은 도 4에 표시된 B영역을 자세히 보인 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도어 개폐용 플로어 힌지장치와 도어의 결합구조를 보인 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도어 개폐용 플로어 힌지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또한, 도 9는 도어가 닫혔을 때(위)와 열렸을 때(아래) 본 발명에 의한 도어 개폐용 플로어 힌지장치의 모습을 보인 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도어 개폐용 플로어 힌지장치의 로드 끝단 모습을 보인 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도어 개폐용 플로어 힌지장치의 유압조절부 모습을 보인 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 개폐용 플로어 힌지장치가 설치된 도어가 비스듬히 닫혔을 때와 제대로 닫혔을 때의 모습을 보인 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도어 개폐용 플로어 힌지장치는 건물의 출입구에 설치된 여닫이 도어의 개폐를 위한 것이다.
건물의 벽체에는 출입구를 만들기 위하여 좌측 프레임(F1)과 우측 프레임(F2)을 좌우로 이격되게 설치하고, 이 좌측 프레임(F1)과 우측 프레임(F2)의 상단에 상부 프레임(F3)을 설치하는데, 본 발명에 의한 도어 개폐용 플로어 힌지장치는 이렇게 좌우측 프레임(F1,F2)의 상단에 설치된 상부 프레임(F3)에 내장을 하고, 하측으로 힌지축(30)을 돌출시켜 하측에 배치되는 도어(D)의 상단에 연결한다. 이때, 상부 프레임(F3)의 밑면을 착탈 가능하게 구성하면 도어 개폐용 플로어 힌지장치를 더욱 용이하게 설치하고 분해할 수 있다.
부연하면, 본 발명에 의한 도어 개폐용 플로어 힌지장치는 도어(D)의 상단에 설치 고정되는 고정대(34)와, 힌지축(30)의 하단에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로 상기 고정대(34) 내부에 밀착되게 수용되어 도어(D) 개폐시 회동하는 고정대(34)와 함께 회동되는 연결바(33)를 포함하는데, 도어(D)와 본 발명에 의한 도어 개폐용 플로어 힌지장치의 결합관계는 아래의 해당 부분에서 좀 더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도어 개폐용 플로어 힌지장치는 상부 프레임(F3) 내부에 내장되고 내부에 유압유가 채워지는 바디(10)와, 상기 바디(10) 내부에 좌우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피스톤(20)과, 상기 피스톤(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하단 부분이 도어(D)의 상단에 연결되는 힌지축(30)과, 상기 도어(D)의 개폐시에 유동하는 유압유의 양을 조절하여 도어(D)의 개폐속도를 조절하는 유압조절부(40)와, 상기 바디(10)의 상면 에 설치된 바디 고정부(50)와, 상기 바디(10)의 양단에 설치된 마감캡(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바디(10)는 길이방향, 즉 좌우 방향으로 길게 관통로(11)가 형성되고, 우측에 상기 관통로(11)와 연통되는 힌지축 삽입홈(12)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며, 상면에는 리브(13)가 형성됨과 아울러 회동부(14)가 형성된다.
상기 관통로(11)는 내부에 유압유가 채워짐과 아울러 피스톤(20)이 좌우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관통로(11)를 형성시키는 바디(10)의 내측면 일측에는 후술할 스프링(23)을 지지하는 단턱(11a)이 형성된다.
상기 힌지축 삽입홈(12)은 바디(10)의 하측에서 시작하여 상측방향으로 형성된 구멍으로서, 관통로(11)와 연통되기 때문에 여기에도 유압유가 채워진다. 이러한 힌지축 삽입홈(12)에는 힌지축(30)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리브(13)는 바디(10)의 상면에서 바깥쪽을 향해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서, 이 리브(13)에 바디 고정부(50)가 설치된다.
상기 회동부(14)는 바디(10)의 상면 일측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회동부(14)를 중심으로 바디(10)가 상부 프레임(F3)에서 회동하게 된다.
이러한 회동부(14)는 결합패널(14a)과, 상기 결합패널(14a)을 수용하는 삽입홈(14b)과, 상기 결합패널(14a)을 관통하는 원형판(14c)으로 구성된다.
상기 결합패널(14a)은 삽입홈(14b) 내에 설치되고 바디(10)의 양쪽으로 돌출되는 양 측단 부분이 상부 프레임(F3)의 상면과 볼팅에 의해 견고하게 체결되는 것으로서, 중앙에는 원형의 구멍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홈(14b)은 바디(10)의 상면 일측에 움푹하게 형성된 부분으로서, 바디(10)의 상면에 결합패널(14a)보다 그 폭이 크게 형성되어 결합패널(14a)이 삽입된다. 즉 결합패널(14a)을 삽입홈(14b) 내에 삽입하였을 때 결합패널(14a)의 가장자리와 삽입홈(14b)을 형성시키는 바디(10)의 벽면 사이에는 일정거리 이격된 틈이 발생된다. 이 이격된 틈 내에서 바디(10)가 원형판(14c)을 중심으로 회동을 하게 된다.
상기 원형판(14c)은 삽입홈(14b)의 중앙에 돌출 형성되어 결합패널(14a)의 중앙에 형성된 원형의 구멍을 관통한다. 다시 말하면, 바디(10)의 상면을 일정깊이로 움푹하게 형성시켜 삽입홈(14b)을 형성시키되 가운데 부분은 움푹하게 하지 않음으로써 원형판(14c)을 돌출 형성시킨다.
상기 피스톤(20)은 헤드(21)와, 상기 헤드(21)에 연결되는 로드(22)와, 상기 로드(22) 주위를 둘러싸는 스프링(23)으로 구성된다.
상기 헤드(21)는 힌지축(30)에 의해 관통되는 부분으로서, 후술할 힌지축(30)의 캠(31)이 삽입되는 캠 삽입홈(21a)이 형성되고, 캠(31)에 의해 가압되는 가압면(21b)이 구비된다.
상기 캠 삽입홈(21a)은 헤드(21)의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움푹하게 형성되는 부분으로서, 이 캠 삽입홈(21a) 내에서 캠(31)이 회전을 하면서 헤드(21)를 우측으로 가압하여 밀어내거나 또는 좌측으로 일정거리 이동한 헤드(21)가 더 이상 좌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막는다.
상기 가압면(21b)은 캠(31)에 의해 직접적으로 가압되는 면으로서, 캠(31) 쪽을 향하여 그 높이가 점점 높아지다가 점점 낮아지는 형태를 취한다.
상기 로드(22)는 일측 끝부분이 헤드(21)의 좌측면에 연결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헤드(21)와는 별개로 제작된 로드(22)의 일측 끝부분이 헤드(21)의 좌측면에 접촉되고, 이 상태에서 캠 삽입홈(21a)을 통해 고정볼트(22a)가 로드(22)의 일측 끝부분에 나선결합되어 헤드(21)에 로드(22)가 설치된다. 이렇게 헤드(21)와 로드(22)를 별개의 독립부재로 제작한 다음 고정볼트(22a)로 연결하는 이유는 바디(10)의 관통로(11) 규격이 정확한 치수로 제작되지 못하고 일정한 공차가 발생되었을 때 로드(22)가 헤드(21)에서 정확하게 수평을 이루지 않고 약간 기울어진 상태로 결합되는 것이 필요한 상황이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헤드(21)와 로드(22)를 처음부터 일체로 제작하지 않고 별개의 독립부재로 제작하는 것이다.
이러한 로드(22)의 타측 끝부분에는 위치고정링(22b)이 관통 설치된다.
로드(22)의 외경은 바디(10)의 관통로(11)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기 때문에 로드(22)의 타측 끝단을 잡아줘야만 관통로(11) 중앙에 로드(22)의 설치위치가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이러한 필요에 의해 위치고정링(22b)을 설치하는데, 상기 위치고정링(22b)은 외측면이 상기 바디(10)의 내측면에 밀착된다.
그리고, 로드(22)의 타측 끝단 외주면에는 환형돌기(22c)가 돌출 형성되는데, 이 환형돌기(22c)에 위치고정링(22b)이 걸림된다. 따라서, 바디(10) 내부에서 로드(22)가 우측으로 이동할 때는 환형돌기(22c)가 위치고정링(22b)을 우측으로 밀어서 이동시키고, 스프링(23)이 신장되는 경우에는 위치고정링(22b)이 환형돌기(22c)를 밀어냄으로써 로드(22)를 좌측으로 밀어낸다.
상기 스프링(23)은 일측 끝단이 바디(10)의 내측면에 형성된 단턱(11a)에 의해 지지되고, 타측 끝단이 위치고정링(22b)에 의해 지지된다. 이러한 스프링(23)은 도어(D)의 개방시에 압축되고 도어(D)의 폐쇄시에 복원되어 길이가 신장된다. 부연하면, 헤드(21)의 좌측면에 지지링(23a)을 설치하고, 이 지지링(23a)에 스프링(23)의 일측 끝단을 접촉시켜 지지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힌지축(30)은 피스톤(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하단 부분이 도어(D)의 상단에 연결되고, 도어(D)의 개방시에 도어(D)와 함께 회전함으로써 피스톤(20)을 가압하여 피스톤(20)을 우측으로 이동시키는 캠(31)이 구비된다.
그리고, 힌지축(30)의 상단과 힌지축 삽입홈(12)에 위치되는 부분에는 힌지축(30)이 원활히 회전하도록 베어링(32)이 설치되고, 힌지축(30)의 하단에는 도어(D)와 연결하기 위한 연결바(33)가 용접이나 볼팅 등에 의한 방법으로 견고하게 설치된다. 특히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용접에 의해 힌지축(30)과 연결바(33)를 연결하는 경우에는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그 연결상태가 안정성을 유지하여 도어(D)를 안정적으로 여닫는데 도움을 준다. 이러한 연결바(33)는 도어(D)의 상단에 견고하게 결합되어 도어(D)가 회전을 하면 연결바(33)가 함께 회전을 하게 되고, 결국 힌지축(30)이 함께 회전을 하게 된다.
좀 더 부연하면, 힌지축(30)은 힌지축 삽입홈(12)을 통하여 바디(10)의 아래쪽에서 바디(10) 내부로 삽입한 후 피스톤(20)의 헤드(21)에 형성된 캠 삽입홈(21a)으로 밀어 넣는다. 이 상태에서 도어(D)를 개방시키기 위해 회동시키면 힌지축(30)도 함께 회전을 하면서 캠(31)이 피스톤(20) 헤드(21)의 가압면(21b)을 밀어서 피스톤(20)을 우측으로 이동시킨다.
여기서, 힌지축(30)과 도어(D)의 연결 모습에 대해 좀 더 설명하면, 도어(D)의 상단에는 연결바(33)를 수용하여 연결바(33)를 회동시키는 고정대(34)가 설치된다. 연결바(33)는 사각형과 같은 각진 외형을 갖는데, 고정대(34) 안쪽에는 연결바(33)의 외형과 동일한 형태와 사이즈를 갖는 구멍이 형성되고 이 구멍에 연결바(33)가 삽입된다. 이 상태에서 체결볼트(35)로 연결바(33)의 측면과 고정대(34)의 측면을 관통 설치하면 연결바(33)와 고정대(34)가 일체로 결합되어 한 몸이 된다. 따라서 도어(D)를 회동시키면 고정대(34)와 연결바(33) 및 힌지축(30)이 함께 회전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힌지축(30)과 도어(D)가 연결되기 때문에, 본 발명에 의한 도어 개폐용 플로어 힌지장치를 상부 프레임(F3)에 설치한 상태에서 도어(D)의 상측을 앞쪽으로 비스듬히 기울이면서 위로 살짝 올려 고정대(34)를 힌지축(30)의 연결바(33)에 끼우면 도어(D)의 상측 부분과 힌지축(30)이 서로 연결된다.
그리고, 힌지축(30)의 외주면에는 조인트링(36)과 지지판(37)이 설치된다.
상기 조인트링(36)은 힌지축(30) 외주면에 설치되고, 그 단면은 외주면 중간 부분이 바깥쪽으로 돌출된 형태를 갖는다.
상기 지지판(37)은 조인트링(36)의 돌출된 외주면 중간부분을 아래에서 지지함으로써 조인트링(36)을 지지한다. 이러한 지지판(37)은 양단이 상부 프레임(F3)의 밑면에 결합되어 도어(D)에 연결된 힌지축(30)에 가해지는 하중을 일부 분산하면서 힌지축(30)이 제자리에서 회전되도록 하는데 도움을 준다.
한편, 힌지축(30)과 힌지축 삽입홈(12)의 기밀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힌지축(30)이나 베어링(32) 외측면에 다수의 오링을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유압조절부(40)는 로드(22)에 형성되는 상하방향의 세로유로(41)와, 상기 세로유로(41)에 연통되는 좌우방향의 가로유로(42)와, 상기 가로유로(42)에 연통되는 설치홀(43)과, 상기 설치홀(43)에 설치되는 체크볼(44)과, 상기 바디(10)에 형성되는 유압유로(45)와, 상기 유압유로(45)를 개폐함과 아울러 개폐정도를 조절하는 유압조절밸브(46)로 구성된다.
상기 세로유로(41)는 로드(22)의 타측 끝부분을 상하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되, 위치고정링(22b)의 우측에 위치된다.
상기 가로유로(42)는 로드(22)의 타측 끝부분 내부에 형성되되 세로유로(41)의 중간부분에 연결된다.
상기 설치홀(43)은 가로유로(42)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로드(22)의 타측 끝부분 내부에 형성된다.
상기 체크볼(44)은 구(球) 형태를 갖는 것으로서, 설치홀(43) 내부에서 움직이면서 가로유로(42)를 개폐한다.
한편, 설치홀(43)의 끝단, 즉 로드(22)의 타측 끝단 내측면에는 이탈방지돌기(22d)가 돌출 형성되어 체크볼(44)이 설치홀(43)에서 로드(22)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유압유로(45)는 위치고정링(22b)에 의해 구획되는 바디(10)의 내부공간 양측을 연결한다. 즉 위치고정링(22b)에 의해 관통로(11)가 좌우 양측으로 구획되는데, 유압유로(45)는 이 관통로(11)의 좌측과 우측을 연결하도록 바디(10)에 형성된다.
상기 유압조절밸브(46)는 유압유로(45)에 설치하여 위치고정링(22b)을 중심으로 한 바디(10) 내부 양측의 유압유가 교류되는 양이 조절되도록 한다. 따라서 유압조절밸브(46)의 조절에 의해 도어(D)의 폐쇄속도가 조절된다.
상기 바디 고정부(50)는 바디(10)의 상면 타측에 구비되어 일정각도 회동된 바디(10)를 상부 프레임(F3)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도어(D)가 완전히 닫히지 않고 비스듬하게 닫혔을 때 도어(D)가 제대로 닫히도록 도움을 준다.
즉, 도어(D)가 비스듬히 닫히면 좌우측 프레임(F1,F2)과 도어(D) 사이에 이격된 틈이 발생되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는 수단이 필요한데, 이렇게 도어(D)가 비스듬히 닫혔을 때 바디(10)의 타측 끝단을 전방으로 잡아당기거나 후방으로 밀면 바디(10)의 원형판(14c)은 결합패널(14a)의 중앙에 형성된 구멍 내에서 회전을 하면서 바디(10)가 일정각도 회동된다. 이렇게 회동된 상태에서 바디 고정부(50)를 사용하여 바디(10)를 상부 프레임(F3)에 고정시키면 도어(D)가 비스듬하게 닫히지 않고 완전히 닫히게 된다.
이러한 바디 고정부(50)는 하부 압착판(51)과, 상기 상부 프레임(F3) 상측에 위치되는 상부 압착판(52)과, 상기 하부 압착판(51)과 상부 압착판(52)을 연결하는 결합볼트(53)로 구성된다.
상기 하부 압착판(51)은 전체적인 형태가 한글의 'ㄷ'자와 유사한 형태를 갖는 것으로서, 바디(10)의 상면에 형성된 리브(13)의 저면에 밀착된다.
상기 상부 압착판(52)은 상부 프레임(F3)의 상면에 밀착된다. 따라서, 하부 압착판(51)과 상부 압착판(52) 사이에는 상부 프레임(F3)의 상면과 바디(10)의 리브(13)가 위치된다.
상기 결합볼트(53)는 하부 압착판(51)과 상부 압착판(52)을 관통하고 상부 압착판(52)과 나선결합되어 상기 바디(10)의 리브(13)와 상부 프레임(F3)의 상면을 강하게 압착시킨다 .따라서 바디(10)는 그 위치가 견고하게 고정되어 움직이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회동부(14)의 결합패널(14a)이 상부 프레임(F3)의 상면 일측에 견고하게 결합되고, 힌지축(30)에 설치되는 지지판(37)이 상부 프레임(F3)의 밑면에 견고하게 결합되며, 바디 고정부(50)의 상부 압착판(52)이 상부 프레임(F3)의 상면 타측에 견고하게 결합됨으로써 본 발명은 상부 프레임(F3)의 3곳에 견고하게 지지된다. 따라서 도어(D)의 하중이 본 발명에 가해지더라도 본 발명은 안정적으로 설치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마감캡(60)은 바디(10)의 양단, 즉 바디(10)에 형성된 관통로(11)의 양단을 밀폐하도록 설치함으로써, 바디(10)의 내부에 저장된 유압유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한다.
10: 바디 11: 관통로
11a: 단턱 12: 힌지축 삽입홈
13: 리브 14: 회동부
14a: 결합패널 14b: 삽입홈
14c: 원형판 20: 피스톤
21: 헤드 21a: 캠 삽입홈
21b: 가압면 22: 로드
22a: 고정볼트 22b: 위치고정링
22c: 환형돌기 22d: 이탈방지돌기
23: 스프링 23a: 지지링
30: 힌지축 31: 캠
32: 베어링 33: 연결바
34: 고정대 35: 체결볼트
40: 유압조절부 41: 세로유로
42: 가로유로 43: 설치홀
44: 체크볼 45: 유압유로
46: 유압조절밸브 50: 바디 고정부
51: 하부 압착판 52: 상부 압착판
53: 결합볼트 60: 마감캡
D: 도어 F1: 좌측 프레임
F2: 우측 프레임 F3: 상부 프레임

Claims (13)

  1. 건물 출입구에 설치된 여닫이 도어의 개폐를 위한 도어 개폐용 플로어 힌지장치에 있어서,
    벽체에 직립 설치된 좌우측 프레임(F1,F2)의 상단에 설치되는 상부 프레임(F3)에 상기 도어 개폐용 플로어 힌지장치가 내장되어 힌지축(30)이 도어(D)의 상단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용 플로어 힌지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어 개폐용 플로어 힌지장치는 상기 도어(D)의 상단에 설치되는 고정대(34)와, 상기 힌지축(30)에 설치되고 상기 고정대(34)의 내부에 밀착되게 수용되어 도어(D) 개폐시 회동하는 고정대(34)와 함께 회동되는 연결바(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용 플로어 힌지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연결바(33)의 측면과 고정대(34)의 측면에는 체결볼트(35)가 설치되어 연결바(33)와 고정대(34)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용 플로어 힌지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도어 개폐용 플로어 힌지장치는 상기 상부 프레임(F3)에 내장되고, 내부에 유압유가 채워지는 바디(10)와;
    상기 바디(10) 내부에 좌우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피스톤(20)과;
    상기 피스톤(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하단 부분에 상기 연결바(33)가 설치되고, 도어(D) 개방시에 도어(D)와 함께 회전함으로써 피스톤(20)을 가압하여 우측으로 이동시키는 캠(31)이 구비된 힌지축(3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용 플로어 힌지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30)의 외주면에는 조인트링(36)이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조인트링(36)을 지지하는 지지판(37)이 설치되며, 상기 지지판(37)은 상기 상부 프레임(F3)의 밑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용 플로어 힌지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20)은 상기 힌지축(30)에 의해 관통되고 상기 캠(31)이 삽입되는 캠 삽입홈(21a)이 형성됨과 아울러 캠(31)에 의해 가압되는 가압면(21b)이 구비된 헤드(21)와;
    상기 헤드(21)의 좌측면에 연결되고, 외측면이 상기 바디(10)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위치고정링(22b)이 관통 설치되는 로드(22)와;
    상기 로드(22) 주위를 둘러싸고, 일측 끝단이 상기 바디(10)의 내측면에 형성된 단턱(11a)에 의해 지지됨과 아울러 타측 끝단이 상기 위치고정링(22b)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도어(D)의 개방시에 압축되는 스프링(23);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용 플로어 힌지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도어(D)의 개폐시에 유동하는 유압유의 양을 조절하여 도어(D)의 개폐속도를 조절하는 유압조절부(40)가 더 구비되되,
    상기 유압조절부(40)는 상기 로드(22)에 상하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세로유로(41)와;
    상기 세로유로(41)에 연통되는 좌우방향의 가로유로(42)와;
    상기 가로유로(42)에 연통되는 설치홀(43)과;
    상기 설치홀(43)에 설치되어 상기 가로유로(42)를 개폐하는 체크볼(44)과;
    상기 위치고정링(22b)에 의해 구획되는 바디(10)의 내부공간 양측을 연결하는 유압유로(45)와;
    상기 유압유로(45)를 개폐함과 아울러 개폐정도를 조절하는 유압조절밸브(46);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용 플로어 힌지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로드(22)에는 체크볼(44)이 설치홀(43)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돌기(22d)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용 플로어 힌지장치.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헤드(21)의 가압면(21b)은 상기 캠(31) 쪽을 향하여 그 높이가 점점 높아지다가 점점 낮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용 플로어 힌지장치.
  10.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바디(10)의 일측에는 회동부(14)가 구비되어 상기 회동부(14)를 중심으로 바디(10)가 상기 상부 프레임(F3)에서 회동하고,
    상기 바디(10)의 타측에는 바디 고정부(50)가 구비되어 일정각도 회동된 바디(10)를 상기 상부 프레임(F3)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용 플로어 힌지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14)는 상기 상부 프레임(F3)의 상면에 체결되는 결합패널(14a)과;
    상기 바디(10)의 상면에 상기 결합패널(14a)보다 그 폭이 크게 형성되어 결합패널(14a)이 삽입되는 삽입홈(14b)과;
    상기 삽입홈(14b)의 중앙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결합패널(14a)을 관통하는 원형판(14c);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용 플로어 힌지장치.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바디 고정부(50)는 상기 바디(10)의 상면에서 일체로 돌출 형성된 리브(13)의 저면에 밀착되는 하부 압착판(51)과;
    상기 상부 프레임(F3)의 상면에 밀착되는 상부 압착판(52)과;
    상기 하부 압착판(51)과 상부 압착판(52)을 관통하고 상부 압착판(52)과 나선결합되어 상기 바디(10)와 상부 프레임(F3)의 상면을 압착시키는 결합볼트(5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용 플로어 힌지장치.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F3)은 밑면이 착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용 플로어 힌지장치.
KR1020180023788A 2018-02-27 2018-02-27 도어 개폐용 플로어 힌지장치 KR1025300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3788A KR102530099B1 (ko) 2018-02-27 2018-02-27 도어 개폐용 플로어 힌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3788A KR102530099B1 (ko) 2018-02-27 2018-02-27 도어 개폐용 플로어 힌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2826A true KR20190102826A (ko) 2019-09-04
KR102530099B1 KR102530099B1 (ko) 2023-05-08

Family

ID=67950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3788A KR102530099B1 (ko) 2018-02-27 2018-02-27 도어 개폐용 플로어 힌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009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0016A (ko) * 2005-03-16 2006-09-20 이재권 도어의 힌지축 제어장치
KR20080021481A (ko) * 2007-05-11 2008-03-07 우희범 유리문 개폐용 유압식 플로어힌지장치
US20110030167A1 (en) * 2009-08-07 2011-02-10 Heng Kuo Co., Ltd. Adjustable hinged door closer
KR101476352B1 (ko) * 2014-05-22 2014-12-24 우희범 플로어힌지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0016A (ko) * 2005-03-16 2006-09-20 이재권 도어의 힌지축 제어장치
KR20080021481A (ko) * 2007-05-11 2008-03-07 우희범 유리문 개폐용 유압식 플로어힌지장치
KR100929213B1 (ko) 2007-05-11 2009-12-01 우희범 유리문 개폐용 유압식 플로어힌지장치
US20110030167A1 (en) * 2009-08-07 2011-02-10 Heng Kuo Co., Ltd. Adjustable hinged door closer
KR101476352B1 (ko) * 2014-05-22 2014-12-24 우희범 플로어힌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0099B1 (ko) 2023-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3824B1 (ko) 컴팩트 플로어 힌지
US20120279146A1 (en) Adjustable and reversible pillar
KR20140000327U (ko) 도어 패널에 은폐되는 플로어 힌지
KR101774469B1 (ko) 전후방 개폐형 자동 닫힘 도어힌지
KR20190107575A (ko) 도어 개폐용 어퍼 힌지장치
EP2682552A2 (en) Floor hinge hidden in door panel
KR20190102826A (ko) 도어 개폐용 플로어 힌지장치
KR102176888B1 (ko) 도어 수직바의 위치조절 및 시공이 용이한 도어
KR102255003B1 (ko) 여닫이문 귀환장치
TW200417671A (en) Two-way door closer
KR20170014218A (ko) 높이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일체형 맨홀 철개 조립품
KR100684234B1 (ko) 문짝용 경첩
KR102072149B1 (ko) 3중 슬라이딩 연동 도어의 하부롤러 어셈블리
KR102405052B1 (ko) 스프링 캠 댐핑장치가 구비된 조립 및 분해용이한 도어힌지장치
CN106014045A (zh) 一种隐藏式门轴铰链及使用该铰链的门体结构
KR100718239B1 (ko) 도어용 경첩
KR102289512B1 (ko) 여닫이문 귀환장치
KR100869128B1 (ko) 유압식 힌지장치가 장착된 자동 닫힘 도어를 위한회전조절수단을 갖는 베이스 플레이트
KR101939692B1 (ko) 박스 하수관용 수문형 물막이 시공방법
AU2020102404A4 (en) Swing Gate for Sloping Passages
KR19980072194A (ko) 플로어힌지용 도어클로저
KR102344845B1 (ko) 반자동 스윙도어 힌지장치
KR102200793B1 (ko) 경첩이 필요없는 폴딩도어 개폐조절장치
CN220815371U (zh) 一种仿形门
KR101397752B1 (ko) 공간 확장형 컨테이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