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4845B1 - 반자동 스윙도어 힌지장치 - Google Patents

반자동 스윙도어 힌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4845B1
KR102344845B1 KR1020210067648A KR20210067648A KR102344845B1 KR 102344845 B1 KR102344845 B1 KR 102344845B1 KR 1020210067648 A KR1020210067648 A KR 1020210067648A KR 20210067648 A KR20210067648 A KR 20210067648A KR 102344845 B1 KR102344845 B1 KR 1023448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door
holder
coupling part
rota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76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성복
Original Assignee
(주) 한국택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한국택트 filed Critical (주) 한국택트
Priority to KR10202100676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48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48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48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009Adjustable hinges
    • E05D7/0018Adjustable hinges at the hinge axis
    • E05D7/0027Adjustable hinges at the hinge axis in an axial dir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 E05F1/12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springs
    • E05F1/1207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springs with a coil spring parallel with the pivot axis
    • E05F1/1223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springs with a coil spring parallel with the pivot axis with a compression or traction sp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2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자동 스윙도어 힌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실내 중문 등에 설치된 스윙도어나 폴딩도어 또는 양개도어의 손잡이를 잡고 열은 후 손잡이를 놓으면 자동으로 도어가 닫히는 동작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로서, 그 구조가 간단하고, 스윙도어나 폴딩도어 또는 양개도어에 매립되는 방식으로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도어의 자동 닫힘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조절너트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사용자 임의적으로 조절너트를 조절하여 도어의 자동 닫힘 속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반자동 스윙도어 힌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도어가 열리고 닫히는 동작을 함에 따라 상반되는 방향으로 회전을 하는 회전축(10); 회전축(10)의 상측 단부에 결합하는 홀더결합부(20); 홀더결합부(20)의 하방에 위치하며, 회전축(10)이 관통하여 삽입되고, 도어에 결합하여 고정되는 고정브라켓(30); 고정브라켓(30)의 하방에 위치하고, 회전축(10)이 관통하여 삽입되며, 높이의 차이가 있는 볼록면과 오목면으로 구성된 캠면이 형성되고, 회전축(10)이 회전을 하더라도 회전을 하지 않고 위치가 고정되는 상부캠(40); 회전축(10)이 관통하여 삽입되고, 높이의 차이가 있는 볼록면과 오목면으로 구성된 캠면이 형성되며, 캠면이 상부캠(40)의 캠면과 서로 접촉하여 회전축(10)이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하면서 상부캠(40)의 캠면을 따라 이동하며 상하방향으로 운동하는 하부캠(50); 회전축(10)에 외삽되어 하부캠(50)과 하부칼라(100) 사이에 위치하며, 회전축(10)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하부캠(50)의 캠면이 상부캠(40)의 캠면을 따라 회전 이동하며 상방 또는 하방으로 운동을 함에 따라 압축 또는 팽창을 하는 캠연동탄성체(60); 및 고정브라켓(30)의 내측에 위치하고, 중앙부에 회전축(10)이 삽입 관통되어 회전축(10)이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을 하며 회전축(10)의 축방향 하중을 지지하는 스러스트베어링(90)을 포함하는 반자동 스윙도어 힌지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반자동 스윙도어 힌지장치 {Semi-automatic swing door swing hinge device}
본 발명은 반자동 스윙도어 힌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실내 중문 등에 설치된 스윙도어나 폴딩도어 또는 양개도어의 손잡이를 잡고 열은 후 손잡이를 놓으면 자동으로 도어가 닫히는 동작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로서, 그 구조가 간단하고, 스윙도어나 폴딩도어 또는 양개도어에 매립되는 방식으로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도어의 자동 닫힘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조절너트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사용자 임의적으로 조절너트를 조절하여 도어의 자동 닫힘 속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반자동 스윙도어 힌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윙도어나 폴딩도어 또는 양개도어는 현관의 중문 등에 사용되고 있으며, 도어의 문틀에 형성된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운동을 하며 절접되는 방식으로 개폐되고, 양방향으로 개폐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러한 도어에는 절첩부위 또는 도어의 측면에 스윙힌지 장치가 구비된다. 이 스윙힌지 장치는 도어가 닫힐 때, 사용자가 도어의 손잡이를 놓게되면 자동으로 닫히게 하는 기능이 포함된다.
또한, 도어의 힌지장치에는 개폐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속도조절장치가 장착된다.
그러나, 종래의 도어 힌지장치와 속도조절장치는 주로 유압실린더 방식이 사용되고 있고, 힌지장치와 속도조절장치는 그 구성 및 구조가 복잡하여 설지가 쉽지 않고, 힌지장치에 고장이 발생할 경우, 유지 및 보수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종래의 힌지장치는 대부분 도어의 외부에 노출이 되는 방식이로 설치되기 때문에 도어의 외관에 나사 또는 볼트 등의 자국 흠집을 남길 수 있어 미관상 미료하지 않고, 시공시 경제적이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도어의 개폐속도를 조절하는 속도조절수단이 외부에 노출되어 있지 않아 사용자가 임의로 도어의 개폐속도를 조절할 수 없거나 조절에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간단한 구조에 의해 스윙도어나 폴딩도어 또는 양개도어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하며, 도어의 자동 개폐 속도를 사용자 임의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힌지장치가 필요하다.
선행기술문헌 : KR등록특허공보 제10-1834972호(2018.0.19. 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사용자가 실내 중문 등에 설치된 스윙도어나 폴딩도어 또는 양개도어의 손잡이를 잡고 열은 후 손잡이를 놓으면 자동으로 도어가 닫히는 동작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로서, 그 구조가 간단하고, 스윙도어나 폴딩도어 또는 양개도어에 매립되는 방식으로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도어의 자동 닫힘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조절너트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사용자 임의적으로 조절너트를 조절하여 도어의 자동 닫힘 속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반자동 스윙도어 힌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에 따른 반자동 스윙도어 힌지장치는 도어가 열리고 닫히는 동작을 함에 따라 상반되는 방향으로 회전을 하는 회전축(10); 회전축(10)의 상측 단부에 결합하는 홀더결합부(20); 홀더결합부(20)의 하방에 위치하며, 회전축(10)이 관통하여 삽입되고, 도어에 결합하여 고정되는 고정브라켓(30); 고정브라켓(30)의 하방에 위치하고, 회전축(10)이 관통하여 삽입되며, 높이의 차이가 있는 볼록면과 오목면으로 구성된 캠면이 형성되고, 회전축(10)이 회전을 하더라도 회전을 하지 않고 위치가 고정되는 상부캠(40); 회전축(10)이 관통하여 삽입되고, 높이의 차이가 있는 볼록면과 오목면으로 구성된 캠면이 형성되며, 캠면이 상부캠(40)의 캠면과 서로 접촉하여 회전축(10)이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하면서 상부캠(40)의 캠면을 따라 이동하며 상하방향으로 운동하는 하부캠(50); 회전축(10)에 외삽되어 하부캠(50)과 하부칼라(100) 사이에 위치하며, 회전축(10)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하부캠(50)의 캠면이 상부캠(40)의 캠면을 따라 회전 이동하며 상방 또는 하방으로 운동을 함에 따라 압축 또는 팽창을 하는 캠연동탄성체(60); 및 고정브라켓(30)의 내측에 위치하고, 중앙부에 회전축(10)이 삽입 관통되어 회전축(10)이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을 하며 회전축(10)의 축방향 하중을 지지하는 스러스트베어링(90)을 포함한다.
또한, 중앙부에 회전축(10)이 관통하여 결합하고, 홀더결합부(20)와 고정브라켓(30) 사이에서 외부에 노출이 되도록 위치하고, 캠연동탄성체(60)의 초기 압축 또는 팽창 상태를 포함한 초기 탄성력을 조절하여 도어의 자동 닫힘속도를 조절하는 조절너트(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어가 설치되는 문틀에 결합하고, 중앙부에 결합부삽입홈(102)이 형성되어 홀더결합부(20)가 결합부삽입홈(102)에 삽입되어 결합하는 문틀결합홀더(1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그 구조가 간단하여 내구성이 뛰어나고, 스윙도어나 폴딩도어 또는 양개도어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그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폴딩도어의 자동 닫힘 속도를 사용자 쉽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자동 스윙도어 힌지장치가 문틀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반자동 스윙도어 힌지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반자동 스윙도어 힌지장치의 제작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상부캠과 하부캠의 갬면 중 볼록면이 상호 접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상부캠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하부캠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문틀결합홀더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문틀결합홀더에 반자동 스윙도어 힌지장치가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자동 스윙도어 힌지장치가 문틀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반자동 스윙도어 힌지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3는 반자동 스윙도어 힌지장치의 제작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은 상부캠과 하부캠의 갬면 중 볼록면이 상호 접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상부캠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하부캠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문틀결합홀더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문틀결합홀더에 반자동 스윙도어 힌지장치가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자동 스윙도어 힌지장치는,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회전축(10), 홀더결합부(20), 고정브라켓(30), 상부캠(40), 하부캠(50), 캠연동탄성체(60), 조절너트(70), 포지셔닝탄성체(80), 스러스트베어링(90), 하부칼라(100), 문틀결합홀더(1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반자동 스윙도어 힌지장치는 사용자가 실내 중문 등에 설치된 스윙도어나 폴딩도어 또는 양개도어의 손잡이를 잡고 열은 후 손잡이를 놓으면 자동으로 도어가 닫히는 동작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로서, 그 구조가 간단하고 도어에 매립되는 방식으로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데 그 특징이 있다.
또한, 도어의 자동 개폐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조절너트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사용자 임의적으로 조절너트를 조절하여 도어의 자동 닫힘 속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데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스윙힌지 장치는 도 1을 참조하면, 고정브라켓(30)을 기준으로 고정브라켓(30)의 상측에 위치한 홀더결합부(20)는 폴딩도어가 설치되는 문틀(2)에 설치되는 문틀결합홀더(110)에 결합하고, 고정브라켓(30)을 포함하여 고정브라켓(30)의 하측에 위치한 구성은 하우징(120)의 내측에 위치하며 도어의 측면에 매립되는 방식으로 설치되어 도어가 설치되는 문틀과 도어를 서로 연결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자동 스윙도어 힌지장치의 구성 요소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회전축(10)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도어가 열리고 닫히는 동작을 함에 따라 상반되는 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된다.
회전축(10)이 회전함에 따라 아래에 서술된 하부캠(50)이 회전축(10)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함께 회전을 하면서 상부캠(40)의 캠면을 따라서 상방 또는 하방으로 캠운동을 하며 캠연동탄성체(60)를 압축시키거나 팽창시키게 된다.
홀더결합부(20)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회전축(10)의 상측 단부에 위치하며, 중앙부에 회전축(10)의 상측 단부가 관통 삽입되어 결합한다.
홀더결합부(20)는 아래에 서술된 도어의 문틀에 결합하는 문틀결합홀더(110)에 형성된 결합부삽입홈(102)에 끼워져 문틀과 도어를 상호 연결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고정브라켓(30)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홀더결합부(20)의 하방에 위치하며, 회전축(10)이 관통하여 삽입되고, 도어의 상부면에 결합하여 고정된다.
고정브라켓(30)은 캠연동탄성체(60)가 탄성에 의한 수직운동과 캠의 회전운동시 발생하는 힘으로부터 힌지장치를 지지하며 보호하게 된다.
상부캠(40)은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고정브라켓(30)의 하방에 위치하고, 회전축(10)이 관통하여 삽입되며, 높이의 차이가 있는 볼록면과 오목면으로 구성된 캠면이 외주면 따라서 형성되며, 회전축(10)이 회전을 하더라도 회전을 하지 않고 위치가 고정된다.
상부캠(40)에서 회전축(10)이 관통하는 축공은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어 단면이 각이 진 육각 형태의 회전축(10)이 헛돌게 되어 회전축(10)이 회전하더라도 상부캠(40)은 회전하지 않게 된다.
하부캠(50)은 도 1 내지 도 4와 도 6를 참조하면, 중앙부에 회전축(10)이 관통하여 삽입되고, 높이의 차이가 있는 볼록면과 오목면으로 구성된 캠면이 형성된다.
하부캠(50)의 캠면은 상부캠(40)에 형성된 캠면과 상반되게 위치하고, 하부캠(50)의 캠면이 상부캠(40)의 캠면과 서로 맞물리도록 접촉된 후, 회전축(10)이 회전함에 따라 하부캠(50)이 함께 회전하면서 하부캠(50)의 캠면이 상부캠(40)의 캠면을 따라 이동하며 상하방향으로 운동하게 된다.
하부캠(50)의 캠면이 상부캠(40)의 캠면을 따라 회전하며 하방으로 운동할 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캠(40)의 볼록면과 하부캠(50)의 볼록면이 서로 접하게 되면, 하부캠(50)이 아래에 서술된 캠연동탄성체(60)를 압축하게 되며, 도 3에서와 같이 상부캠(40)의 볼록면과 하부캠(50)의 오목면이 서로 맞물리게 되면 캠연동탄성체(60)는 팽창상태에 있게 된다.
한편, 도 5와 도 6을 참조하면, 상부캠(40) 및 하부캠(50)에는 외측에 볼록면과 오목면을 형성하는 외부캠면(40a, 50a)과 외부캠면(40a, 50a)의 내측에 또다른 볼록면과 오목면을 형성하는 내부캠면(40b, 50b)을 포함하는 2단의 캠면을 형성한다.
여기서, 외부캠면(40a, 50a)과 내부캠면(40b, 50b)에 각각 형성된 볼록면과 오목면은 서로 상반되는 모양으로 배치된다. 일례로 상부캠(40)의 외부캠면에 볼록면이 형성되면, 볼록면과 같은 방향에 있는 상부캠(40)의 내부캠면(40b, 50b)은 오목면으로 형성된다.
상부캠(40)과 하부캠(50)에 각각 형성된 외부캠면(40a, 50a)과 내부캠면(40b, 50b)을 포함한 2단의 캠면은 회전축(10)이 회전함에 따라 발생하는 비틀림응력에 대해 캠의 강도를 개선하여 캠의 비틀림변형을 방지하고, 아래에 서술된 캠연동탄성체(60)의 반복된 수직하중에 대해 상부캠(40)과 하부캠(50) 상호 간의 캠면 접촉면적을 넓혀 캠의 벌어짐 현상과 같은 외부 변형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캠연동탄성체(60)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회전축(10)에 외삽되어 하부캠(50)과 회전축의 하측 단부에 결합하는 하부칼라(100) 사이에 위치하며, 회전축(10)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하부캠(50)의 캠면이 상부캠(40)의 캠면을 따라 회전 이동하며 상방 또는 하방으로 운동을 함에 따라 압축 또는 팽창을 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도어를 열때, 회전축(10)이 회전을 하면 하부캠(50)도 함께 회전을 하게 되고, 이때 하부캠(50)의 볼록면이 상부캠(40)의 볼록면 방향으로 이동을 하게 되면, 하부캠(50)이 캠연동탄성체(60)를 하방으로 밀어 캠연동탄성체(60)는 압축 상태가 된다.
또한, 사용자가 도어의 손잡이를 놓게 되면, 압축 상태에 있는 캠연동탄성체(60)가 팽창하면서 하부캠(50)을 상방으로 밀어올리게 되고, 이때 하부캠(50)이 회전을 하면서 회전축(10)을 회전시키는 동시에 하부캠(50)이 상방으로 운동을 하면서 하부캠(50)의 볼록면이 상부캠(40)의 오목면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부캠(40)의 오목면에 삽입되어 맞물리는 과정에 도어가 자동으로 닫히게 된다.
조절너트(70)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중앙부에 회전축(10)이 관통하여 결합하고, 홀더결합부(20)와 고정브라켓(30) 사이에서 외부에 노출이 되도록 위치하며, 캠연동탄성체(60)의 초기 압축 또는 팽창 상태를 포함한 초기 탄성력을 조절하여 도어의 자동 닫힘속도를 조절한다.
즉, 조절너트(70)를 하방으로 돌려 위치시킬 경우, 회전축(10)이 상방으로 운동하면서 회전축(10)과 연결된 하부칼라(100)도 함께 상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때 하부캠(50)과 하부칼라(100) 사이의 이격거리가 짧아지면서 하부캠(50)과 하부칼라(100) 사이에 위치한 캠연동탄성체(60)를 압축하게 된다.
캠연동탄성체(60)가 초기 압축상태가 되면 캠연동탄성체(60)의 초기 팽창 탄성력이 커져 도어의 개폐속도가 빨라지게 된다.
조절너트(70)는 도어의 문틀에 결합하는 홀더결합부(20)와 도어에 결합하는 고정브라켓(30) 사이에 위치하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스윙힌지 장치가 도어에 설치될 때 외부에 노출이 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스윙힌지 장치가 도어에 설치된 후, 사용자가 임의로 외부에 노출이된 조절너트(70)를 조절하여 캠연동탄성체(60)의 초기 탄성력을 조절함으로서 도어의 자동 닫힘속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포지셔닝탄성체(80)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홀더결합부(20)와 조절너트(70) 사이에서 회전축(10)에 외삽되어 위치하고, 홀더결합부(20)가 아래에 서술된 문틀결합홀더(110)에 형성된 결합부삽입홈(102)에 삽입되어 결합할 때, 홀더결합부(20)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홀더결합부(20)가 문틀결합홀더(110)의 결합부삽입홈(102) 내부에 용이하게 자리를 잡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홀더결합부(20)가 문틀결합홀더(110)에 탄성력에 의한 지속적인 압착력을 가하여 문틀결합홀더(110)와 홀더결합부(20) 간의 결합력을 증가시킨다.
스러스트베어링(90)은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고정브라켓(30)의 내측에 위치하고, 중앙부에 회전축(10)이 삽입 관통되어 회전축(10)이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을 하며 회전축(10)의 축방향 하중을 지지한다.
문틀결합홀더(110)는 도 1과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도어가 결합하는 문틀에 삽입되어 결합하고, 문틀결합홀더(110)의 중앙부에는 홀더결합부(20)가 삽입되는 결합부삽입홈(112)이 형성되며, 이 결합부삽입홈(112)에 홀더결합부(20)가 삽입되어 결합한다.
문틀결합홀더(110)는 본 발명에 따른 스윙 힌지장치가 문틀의 특정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위치를 결정하고, 스윙 힌지장치가 구비되는 도어와 도어가 설치되는 문틀을 연결하는 기능과 스윙 힌지장치를 고정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문틀결합홀더(100)는 무두볼트를 포함한 볼트체결방식에 의해 문틀에 결합한다.
문틀결합홀더(110)의 하면 양 측면에는 문틀에 형성된 레일에 결합할 수 있는 레일결합부(114)가 형성되어 문틀결합홀더(110)가 문틀의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운동을 하며 이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홀더결합부(20)가 문틀결합홀더(110)에 결합할 때 문틀에서 결합하는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하여 조립과 분해를 용이할 수 있다.
또한, 문틀결합홀더(110)에 형성된 결합부삽입홈(112)의 가장자리 둘레에는 라운드 모따기 방식으로 경사면(116)을 형성하여 홀더결합부(20)가 결합부삽입홈(112)에 삽입되며 결합할 때 결합부삽입홈(112)의 가장자리에 걸리지 않고, 경사면을 따라 결합부삽입홈(112)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경사면(116)이 안내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문틀결합홀더(110)에는 축삽입공(118)이 형성되어 조절나사(70)의 조절에 의해 회전축(10)이 상방으로 운동할 때 또는 포지셔닝탄성체(80)의 탄성에 의해 홀더결합부(20)가 상방으로 탄성운동을 할 때 회전축(10)의 단부가 홀더결합부(20)를 관통하여 문틀결합홀더(110)에 형성된 축삽입공(118)을 관통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회전축 20 - 홀더결합부
30 - 고정브라켓 40 - 상부캠
50 - 하부캠 60 - 캠연동탄성체
70 - 조절너트 80 - 포지셔닝탄성체
90 - 스러스트베어링 100 - 하부칼라
110 - 문틀결합홀더

Claims (3)

  1. 도어가 열리고 닫히는 동작을 함에 따라 상반되는 방향으로 회전을 하는 회전축(10);
    회전축(10)의 상측 단부에 결합하는 홀더결합부(20);
    홀더결합부(20)의 하방에 위치하며, 회전축(10)이 관통하여 삽입되고, 도어에 결합하여 고정되는 고정브라켓(30);
    고정브라켓(30)의 하방에 위치하고, 회전축(10)이 관통하여 삽입되며, 높이의 차이가 있는 볼록면과 오목면으로 구성된 캠면이 형성되고, 회전축(10)이 회전을 하더라도 회전을 하지 않고 위치가 고정되는 상부캠(40);
    회전축(10)이 관통하여 삽입되고, 높이의 차이가 있는 볼록면과 오목면으로 구성된 캠면이 형성되며, 캠면이 상부캠(40)의 캠면과 서로 접촉하여 회전축(10)이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하면서 상부캠(40)의 캠면을 따라 이동하며 상하방향으로 운동하는 하부캠(50);
    회전축(10)에 외삽되어 하부캠(50)과 회전축의 하측 단부에 결합하는 하부칼라(100) 사이에 위치하며, 회전축(10)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하부캠(50)의 캠면이 상부캠(40)의 캠면을 따라 회전 이동하며 상방 또는 하방으로 운동을 함에 따라 압축 또는 팽창을 하는 캠연동탄성체(60);
    고정브라켓(30)의 내측에 위치하고, 중앙부에 회전축(10)이 삽입 관통되어 회전축(10)이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을 하며 회전축(10)의 축방향 하중을 지지하는 스러스트베어링(90);
    중앙부에 회전축(10)이 관통하여 결합하고, 홀더결합부(20)와 고정브라켓(30) 사이에서 외부에 노출이 되도록 위치하고, 캠연동탄성체(60)의 초기 압축 또는 팽창 상태를 포함한 초기 탄성력을 조절하여 도어의 자동 닫힘속도를 조절하는 조절너트(70) [청구항 2]; 및
    도어가 설치되는 문틀에 결합하고, 중앙부에 결합부삽입홈(102)이 형성되어 홀더결합부(20)가 결합부삽입홈(102)에 삽입되어 결합하는 문틀결합홀더(110)
    를 포함하고,
    홀더결합부(20)와 조절너트(70) 사이에서 회전축(10)에 외삽되어 위치하고, 홀더결합부(20)가 문틀결합홀더(110)에 형성된 결합부삽입홈(102)에 삽입되어 결합할 때, 홀더결합부(2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포지셔닝탄성체(80)
    를 포함하며,
    문틀결합홀더(110)에 형성된 결합부삽입홈(112)의 가장자리 둘레에는 라운드 모따기 방식으로 경사면(116)을 형성하여 홀더결합부(20)가 결합부삽입홈(112)에 삽입되며 결합할 때 경사면(116)이 안내 기능을 수행하는 것
    을 포함하는, 반자동 스윙도어 힌지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210067648A 2021-05-26 2021-05-26 반자동 스윙도어 힌지장치 KR1023448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7648A KR102344845B1 (ko) 2021-05-26 2021-05-26 반자동 스윙도어 힌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7648A KR102344845B1 (ko) 2021-05-26 2021-05-26 반자동 스윙도어 힌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4845B1 true KR102344845B1 (ko) 2021-12-29

Family

ID=79176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7648A KR102344845B1 (ko) 2021-05-26 2021-05-26 반자동 스윙도어 힌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484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47171A (ja) * 2009-08-26 2011-03-10 Sugimoto Soken:Kk ヒンジ機構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47171A (ja) * 2009-08-26 2011-03-10 Sugimoto Soken:Kk ヒンジ機構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35580B2 (ja) 自動開閉扉蝶番
KR101718659B1 (ko) 슬라이딩도어의 자동닫힘장치
KR100938132B1 (ko) 도어클로저 어셈블리
KR20180003009U (ko) 이중 여닫이문의 연동장치
KR102344845B1 (ko) 반자동 스윙도어 힌지장치
KR200190938Y1 (ko) 자동 록킹기능을 갖는 도어 힌지장치
CN211598188U (zh) 一种闭门器及冰箱
KR100684234B1 (ko) 문짝용 경첩
EP3597847B1 (en) Shower room switch door structure
KR20170111110A (ko) 폴딩도어의 양방향 회전식 절첩장치
KR20110002241U (ko) 비상 자동문 잠금장치
KR102116350B1 (ko) 여닫이 도어의 내장형 양방향 힌지구조
KR100718239B1 (ko) 도어용 경첩
KR200396924Y1 (ko) 문짝용 경첩
KR100434953B1 (ko) 회전식 도어의 힌지장치
CN109914955A (zh) 一种宠物窝双向开门铰链
KR20230148604A (ko) 경사를 이용한 문의 자동 닫힘구조
WO2023284042A1 (zh) 一种缓冲安全自动关门合页
KR101900854B1 (ko) 쇼크 업소버를 이용한 도어 개폐장치
CN216617251U (zh) 一种电动螺杆式开窗器的安装结构
KR20090100130A (ko) 체크기능을 갖춘 도어장치
KR100807174B1 (ko) 도어의 힌지 장치
KR101817892B1 (ko) 도어 힌지장치
CN207110841U (zh) 门窗及其拉杆结构
KR20090038198A (ko) 문이 천천히 닫히게 하는 기능이 있는 도어 힌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