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2565A - 접이식 핸드카트 - Google Patents

접이식 핸드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2565A
KR20190102565A KR1020180023086A KR20180023086A KR20190102565A KR 20190102565 A KR20190102565 A KR 20190102565A KR 1020180023086 A KR1020180023086 A KR 1020180023086A KR 20180023086 A KR20180023086 A KR 20180023086A KR 20190102565 A KR20190102565 A KR 201901025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frame
load
ground
folded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30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34655B1 (ko
Inventor
김선희
한상윤
Original Assignee
한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230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4655B1/ko
Publication of KR201901025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25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46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46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2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being adjustable,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1/00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 B62B1/02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in which the wheel axis is disposed between the load and the handles
    • B62B1/08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in which the wheel axis is disposed between the load and the handles having auxiliary wheels used during loading or unloa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5/00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 B62B2205/12Collapsible whe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핸드카트는, 메인바퀴가 지면과 접촉되도록 하여 손잡이부를 베이스프레임과 나란하게 펼친 상태로 받침판에 적재물을 적재하거나, 메인바퀴와 보조바퀴가 지면과 접촉되도록 하여 손잡이부를 전방측으로 접은 상태로 적재패널에 적재물을 적재할 수 있도록 쉽게 변형됨으로써, 적재물의 크기에 따라 변형시켜 받침판 또는 적재패널에 적재물을 싣고 편리하게 운반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신축프레임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줄일 수 있고, 받침판을 적재패널과 포개지도록 접을 수 있으며, 메인바퀴를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접고, 보조바퀴를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접을 수 있게 됨으로써, 부피를 줄여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본체를 케이스에 넣어 복수 개의 접이식 핸드카트를 나란히 겹쳐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접이식 핸드카트{Hand Cart}
본 발명은 접이식 핸드카트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무게가 무거운 짐을 편리하게 이동 및 운반시킬 수 있는 접이식 핸드카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핸드카트는 무게가 무거운 짐을 편리하게 이동 및 운반시킬 수 있는 것으로써, 크기에 따라 각기 다르게 사용되고 있다.
즉, 매장이나 시장에서 부피가 크고 무게가 무거운 짐을 운반하거나 많은 짐을 운반할 경우, 크기를 크게 제작한 핸드카트를 주로 사용하게 되고, 주부들이 시장에서 부피가 작고 무게가 비교적 가벼운 물품을 구입하여 운반할 경우, 크기를 작게 제작한 핸드카트를 주로 사용하게 된다.
일예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1-0003219호(2011.03.30 공개)에는 양측 세로지지대(11)가 가로지지대(13)에 의해 연결 형성되는 본체프레임(10)과, 본체프레임(10)의 하단 후방에 설치되어 본체프레임(10)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2개의 바퀴(20)와, 본체프레임(10)의 하단에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물품의 적재를 가능하게 하는 고정식 물품적재대(30)와, 본체프레임(10)의 하단에 그 하단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사용시 고정식 물품적재대(30) 상에 놓여져 물품 적재량의 증대를 가능하게 하는 회동식 물품적재대(40)와, 본체프레임(10)의 상측에 후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파지핸들(50)과, 본체프레임(10)의 가로지지대(13)에 구비되고 회동식 물품적재대(40)의 미사용시 상방으로 회동된 회동식 물품적재대(40)가 전방으로 회동되지 않도록 그 상단을 자체탄성을 통해 지지고정하는 탄성가압지지구(60)를 포함하는 회동식 물품적재대가 구비된 핸드카트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회동식 물품적재대가 구비된 핸드카트는 물품적재대에 짐을 적재한 다음 바퀴를 이용하여 손쉽게 운반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적재프레임의 크기에 의해 적재되는 짐의 크기에 제한이 생겨 적재프레임보다 큰 짐을 적재하여 운반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보관시, 고정식 물품적재대(30)와 바퀴(20)가 본체프레임(10)의 하단 전방과 후방에 각각 돌출된 상태로 설치되어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1-0003219호(2011.03.30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메인바퀴가 지면과 접촉되도록 하여 손잡이부를 베이스프레임과 나란하게 펼친 상태로 받침판에 적재물을 적재하거나, 메인바퀴와 보조바퀴가 지면과 접촉되도록 하여 손잡이부를 전방측으로 접은 상태로 적재패널에 적재물을 적재할 수 있도록 쉽게 변형됨으로써, 적재물의 크기에 따라 변형시켜 받침판 또는 적재패널에 적재물을 싣고 편리하게 운반할 수 있는 접이식 핸드카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신축프레임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줄일 수 있고, 받침판을 적재패널과 포개지도록 접을 수 있으며, 메인바퀴를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접을 수 있고, 보조바퀴를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접을 수 있게 됨으로써, 부피를 줄여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본체를 케이스에 넣어 복수 개의 접이식 핸드카트를 나란히 겹쳐 보관할 수 있는 접이식 핸드카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핸드카트는, 양측 세로지지대가 가로지지대에 의해 연결되고, 적재패널이 상기 세로지지대 사이에 결합되는 베이스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하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포개지게 접히거나 적재물을 지지하도록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전방측으로 펼쳐지는 받침판; 지면과 접촉하며 적재물의 하중을 지탱하는 메인바퀴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하부 양측에 설치되는 한쌍의 메인바퀴홀더; 지면과 접촉하며 적재물의 하중을 지탱하는 보조바퀴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부 양측에 설치되는 한쌍의 보조바퀴홀더; 및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프레임과 나란하게 펼쳐지거나 상기 베이스프레임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전방측으로 접혀지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핸드카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프레임과 나란하게 펼쳐지거나 상기 베이스프레임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전방측으로 접혀지는 핸들프레임; 및 상기 핸들프레임의 상부에 길이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는 신축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한쌍의 상기 메인바퀴홀더는,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하부에 상기 세로지지대를 중심축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서로 나란하게 펼쳐지거나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접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한쌍의 상기 보조바퀴홀더는,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부에 상기 세로지지대를 중심축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서로 나란하게 펼쳐지거나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접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핸드카트에 의하면, 메인바퀴가 지면과 접촉되도록 하여 손잡이부를 베이스프레임과 나란하게 펼친 상태로 받침판에 적재물을 적재하거나, 메인바퀴와 보조바퀴가 지면과 접촉되도록 하여 손잡이부를 전방측으로 접은 상태로 적재패널에 적재물을 적재할 수 있도록 쉽게 변형됨으로써, 적재물의 크기에 따라 변형시켜 받침판 또는 적재패널에 적재물을 싣고 편리하게 운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신축프레임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줄일 수 있고, 받침판을 적재패널과 포개지도록 접을 수 있으며, 메인바퀴를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접고, 보조바퀴를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접을 수 있게 됨으로써, 부피를 줄여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본체를 케이스에 넣어 복수 개의 접이식 핸드카트를 나란히 겹쳐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핸드카트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핸드카트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핸드카트의 배면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핸드카트의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핸드카트의 본체가 케이스에 보관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핸드카트의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접이식 핸드카트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핸드카트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핸드카트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핸드카트의 배면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핸드카트의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접이식 핸드카트가 보관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들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핸드카트는, 양측 세로지지대(114)가 가로지지대(116)에 의해 연결되고, 적재패널(112)이 세로지지대(114) 사이에 결합되는 베이스프레임(110); 베이스프레임(110)의 하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베이스프레임(110)에 포개지게 접히거나 적재물을 지지하도록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전방측으로 펼쳐지는 받침판(120); 지면과 접촉하며 적재물의 하중을 지탱하는 메인바퀴(160)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베이스프레임(110)의 하부 양측에 설치되는 한쌍의 메인바퀴홀더(150); 지면과 접촉하며 적재물의 하중을 지탱하는 보조바퀴(180)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베이스프레임(110)의 상부 양측에 설치되는 한쌍의 보조바퀴홀더(170); 및 베이스프레임(110)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베이스프레임(110)과 나란하게 펼쳐지거나 베이스프레임(110)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전방측으로 접혀지는 손잡이부(130);를 포함한다.
본체(100)는 베이스프레임(110), 받침판(120), 손잡이부(130), 메인바퀴(160)가 장착된 메인바퀴홀더(150) 및 보조바퀴(180)가 장착된 보조바퀴홀더(170)를 포함한다.
베이스프레임(110)은 양측 세로지지대(114)가 가로지지대(116)에 의해 연결되고, 적재패널(112)이 세로지지대(114) 사이에 결합된다.
보다 상세하게 베이스프레임(110)은 적재물이 적재되거나 받침판(120)에 적재된 적재물의 측면을 지지하는 것으로,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양측 세로지지대(114)가 가로지지대(116)에 의해 연결형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이때, 베이스프레임(110)은 양측 세로지지대(114) 사이에 복수 개의 수직방향 지지대와 복수 개의 수평방향 지지대 및 비스듬하게 경사진 복수 개의 지지대가 연결된 구조로 이루어지며, 뒤틀리거나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적재물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베이스프레임(110)은 적재물이 적재되거나 받침판(120)에 적재된 적재물의 측면을 지지하는 적재패널(112)이 양측 세로지지대(114) 사이에 결합된다.
적재패널(112)은 대략 사각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양측 세로지지대(114) 사이에 결합되며, 적재물이 적재되거나 받침판(120)에 적재된 적재물의 측면을 지지하게 된다.
여기서, 적재패널(112)은 양측 세로지지대(114) 사이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즉, 적재패널(112)은 받침판(120)과 포개지지 않도록 상측으로 이동하거나 받침판(120)에 적재된 적재물의 측면을 지지하도록 하측으로 이동할 수도 있다.
받침판(120)은 베이스프레임(110)의 하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베이스프레임(110)에 포개지게 접히거나 적재물을 지지하도록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전방측으로 펼쳐지게 된다.
즉, 받침판(120)은 적재물이 적재되거나 적재패널(112)에 적재된 적재물의 측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대략 사각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양측 세로지지대(114)의 하단부에 힌지 결합되며, 베이스프레임(110)에 포개지게 접히거나 적재물을 지지하도록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전방측으로 펼쳐지게 된다.
이때, 받침판(120)은 베이스프레임(110)에 포개지게 접히거나 적재물을 지지하도록 적재패널(112)과 대략 수직하게 전방측으로 펼쳐지게 된다.
여기서, 받침판(120)은 지면에 위치한 적재물이 받침판(120)을 따라 이동하여 적재패널(112)에 적재될 수 있도록 전방측으로 펼쳐지며 단부가 지면에 지지될 수도 있다.
즉, 받침판(120)은 양측에 각도조절부(122)가 구비되어 각도조절부(122)에 의해 베이스프레임(110)에 포개진 상태로 고정되거나 적재패널(112)과 대략 수직하게 전방측으로 펼쳐진 상태로 고정될 수 있고, 단부가 지면에 지지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각도조절부(122)는 선택적으로 받침판(120)을 베이스프레임(110)에 포개진 상태로 고정시키거나, 적재패널(112)과 대략 수직하게 전방측으로 펼쳐진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고, 단부가 지면에 지지된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다.
메인바퀴(160)는 지면과 접촉하며 받침판(120) 또는 적재패널(112)에 적재된 적재물의 하중을 지탱하는 것으로, 메인바퀴홀더(15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지면에서 구름이동 하게 된다.
메인바퀴홀더(150)는 지면과 접촉하며 받침판(120) 또는 적재패널(112)에 적재된 적재물의 하중을 지탱하는 메인바퀴(160)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베이스프레임(110)의 하부 양측에 각각 설치된다.
이와 같은 한쌍의 메인바퀴홀더(150)는 베이스프레임(110)의 하부에 세로지지대(114)를 중심축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서로 나란하게 펼쳐지거나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접혀지게 된다.
이때, 메인바퀴홀더(150)는 고정부(152)가 구비되어 고정부(152)에 의해 서로 나란하게 펼쳐진 상태로 베이스프레임(110)에 고정되거나,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접혀지며 고정될 수 있다.
고정부(152)는 선택적으로 메인바퀴홀더(150)를 서로 나란하게 펼쳐진 상태로 고정시키거나, 메인바퀴홀더(150)를 세로지지대(114) 사이에 접혀진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다.
보조바퀴(180)는 지면과 접촉하며 적재패널(112)에 적재된 적재물의 하중을 지탱하는 것으로, 보조바퀴홀더(17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지면에서 구름이동 하게 된다.
보조바퀴홀더(170)는 지면과 접촉하며 적재패널(112)에 적재된 적재물의 하중을 지탱하는 보조바퀴(180)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베이스프레임(110)의 상부 양측에 각각 설치된다.
이와 같은 한쌍의 보조바퀴홀더(170)는 베이스프레임(110)의 하부에 세로지지대(114)를 중심축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서로 나란하게 펼쳐지거나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접혀지게 된다.
이때, 보조바퀴홀더(170)는 고정부(176)가 구비되어 고정부(176)에 의해 서로 나란하게 펼쳐진 상태로 베이스프레임(110)에 고정되거나,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접혀지며 고정될 수 있다.
고정부(176)는 선택적으로 보조바퀴홀더(170)를 서로 나란하게 펼쳐진 상태로 고정시키거나, 보조바퀴홀더(170)를 세로지지대(114) 사이에 접혀진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다.
여기서, 보조바퀴홀더(170)는 보조바퀴(180)가 세로지지대(114)와 수직한 방향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보조바퀴(180)가 장착되는 보조바퀴 지지부(174)가 세로지지대(114)에 설치되는 지지프레임(172)에 회전축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손잡이부(130)는 베이스프레임(110)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베이스프레임(110)과 나란하게 펼쳐지거나 베이스프레임(110)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전방측으로 접혀지게 된다.
이와 같은 손잡이부(130)는 베이스프레임(110)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베이스프레임(110)과 나란하게 펼쳐지거나 베이스프레임(110)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전방측으로 접혀지는 핸들프레임(132); 및 핸들프레임(132)의 상부에 길이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는 신축프레임(136);을 포함한다.
핸들프레임(132)은 베이스프레임(110)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베이스프레임(110)과 나란하게 펼쳐지거나 베이스프레임(110)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전방측으로 접혀지게 된다.
이때, 핸들프레임(132)은 각도조절부(134)가 구비되어 각도조절부(134)에 의해 베이스프레임(110)과 나란하게 펼쳐진 상태로 고정되거나, 베이스프레임(110)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전방측으로 접혀지며 고정될 수 있다.
각도조절부(134)는 선택적으로 핸들프레임(132)을 베이스프레임(110)과 나란하게 펼쳐진 상태로 고정시키거나, 핸들프레임(132)을 펼쳐진 받침판(120)과 나란한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다.
신축프레임(136)은 핸들프레임(132)의 상부에 길이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며, 밀거나 당길 수 있도록 파지부(138)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신축프레임(136)은 핸들프레임(132)의 내부에 삽입 또는 인출되며 단계적으로 길이가 조절되고, 상부에 단계적으로 길이조절을 할 수 있도록 길이조절 버튼(140)이 구비된다.
따라서, 본체(100)는 메인바퀴(160)가 지면과 접촉되어 받침판(120)에 적재물이 적재되도록 손잡이부(130)가 베이스프레임(110)과 나란하게 펼쳐진 상태로 지면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이동하거나, 메인바퀴(160)와 보조바퀴(180)가 지면과 접촉되어 적재패널(112)에 적재물이 적재되도록 손잡이부(130)가 전방측으로 접혀진 상태로 지면과 마주하며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메인바퀴(160)가 지면과 접촉되도록 하여 손잡이부(130)를 베이스프레임(110)과 나란하게 펼친 상태로 받침판(120)에 적재물을 적재하거나, 메인바퀴(160)와 보조바퀴(180)가 지면과 접촉되도록 하여 손잡이부(130)를 전방측으로 접은 상태로 적재패널(112)에 적재물을 적재할 수 있도록 쉽게 변형됨으로써, 적재물의 크기에 따라 변형시켜 받침판(120) 또는 적재패널(112)에 적재물을 싣고 편리하게 운반할 수 있게 된다.
즉, 메인바퀴(160)가 지면과 접촉되도록 손잡이부(130)가 베이스프레임(110)과 나란하게 펼쳐진 상태로 베이스프레임(110)이 지면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이동함으로써, 받침판(120)에 적재물을 적재하여 편리하게 운반할 수 있으며, 메인바퀴(160)와 보조바퀴(180)가 지면과 접촉되도록 손잡이부(130)가 전방측으로 접혀진 상태로 베이스프레임(110)이 지면과 마주하며 이동함으로써, 적재패널(112)에 적재물을 적재하여 편리하게 운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케이스(190)는 내부에 본체(100)가 수용되는 수용공간부가 형성되며, 상부에 수용공간부를 개폐하도록 덮개(190)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보다 상세하게 케이스(190)는 내부에 본체(100)가 수용되는 수용공간부가 형성되도록 배면패널(192)의 상부 양측에 상측 측면패널(194a)이 각각 결합되고, 배면패널(192)의 하부 양측에 하측 측면패널(194b)이 각각 결합되며, 배면패널(192)과 하측 측면패널(194b)의 하측에 저면패널(196)이 결합되고, 하측 측면패널(194b)과 저면패널(196)의 전방측에 전면패널(198)이 결합되어 배면과 양측면 그리고 저면과 정면을 마감하게 된다.
이때, 상측과 전방측 일부를 덮도록 상측 측면패널(194a)의 상측에 덮개(199)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에 따라 본체(100)를 케이스(190)에 보관시 상측의 덮개를 열어 본체(100)를 넣은 후 덮개를 닫아 보관하면 된다.
이와 같이, 본체(100)는 신축프레임(136)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줄일 수 있고, 받침판(120)을 적재패널(112)과 포개지도록 접을 수 있으며, 메인바퀴(160)를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접고, 보조바퀴(180)를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접을 수 있게 됨으로써, 부피를 줄여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본체(100)를 케이스(190)에 넣어 복수 개의 접이식 핸드카트를 나란히 겹쳐 보관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핸드카트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본체(100)는 양측 세로지지대(114)가 가로지지대(116)에 의해 연결되고, 적재패널(112)이 세로지지대(114) 사이에 결합되며, 세로지지대(114)에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레일(118)이 각각 설치되는 베이스프레임(110); 베이스프레임(110)의 하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베이스프레임(110)에 포개지게 접히거나 적재물을 지지하도록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전방측으로 펼쳐지는 받침판(120); 지면과 접촉하며 적재물의 하중을 지탱하는 메인바퀴(160)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베이스프레임(110)의 하부 양측에 설치되는 한쌍의 메인바퀴홀더(150) 및 지면과 접촉하며 적재물의 하중을 지탱하는 보조바퀴(180)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가이드레일(118)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쌍의 보조바퀴홀더(17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가이드레일(118)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보조바퀴(180)가 설치됨으로써, 메인바퀴(160)와 나란하게 보조바퀴(180)를 하측으로 이동하여 지면에 밀착시 메인바퀴(160)와 보조바퀴(180)에 의해 보다 안정적으로 적재물을 운반할 수 있고, 보조바퀴(180)를 상측으로 이동하여 지면에 밀착시 적재패널(112)이 지면과 평행하게 각도 조절되어 다양한 크기의 화물을 적재패널(112)에 싣고 편리하게 운반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본체
110 : 베이스프레임
112 : 적재패널
114 : 가이드레일
120 : 받침판
130 : 손잡이부
132 : 핸들프레임
134 : 각도조절부
136 : 신축프레임
150 : 메인바퀴
160 : 메인바퀴홀더
170 : 보조바퀴
180 : 보조바퀴홀더
190 : 케이스

Claims (6)

  1. 양측 세로지지대가 가로지지대에 의해 연결되고, 적재패널이 상기 세로지지대 사이에 결합되는 베이스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하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포개지게 접히거나 적재물을 지지하도록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전방측으로 펼쳐지는 받침판;
    지면과 접촉하며 적재물의 하중을 지탱하는 메인바퀴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하부 양측에 설치되는 한쌍의 메인바퀴홀더;
    지면과 접촉하며 적재물의 하중을 지탱하는 보조바퀴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부 양측에 설치되는 한쌍의 보조바퀴홀더; 및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프레임과 나란하게 펼쳐지거나 상기 베이스프레임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전방측으로 접혀지는 손잡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핸드카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프레임과 나란하게 펼쳐지거나 상기 베이스프레임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전방측으로 접혀지는 핸들프레임; 및
    상기 핸들프레임의 상부에 길이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는 신축프레임;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핸드카트.
  3. 제 1 항에 있어서,
    한쌍의 상기 메인바퀴홀더는,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하부에 상기 세로지지대를 중심축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서로 나란하게 펼쳐지거나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접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핸드카트.
  4. 제 1 항에 있어서,
    한쌍의 상기 보조바퀴홀더는,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부에 상기 세로지지대를 중심축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서로 나란하게 펼쳐지거나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접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핸드카트.
  5. 양측 세로지지대가 가로지지대에 의해 연결되고, 적재패널이 상기 세로지지대 사이에 결합되는 베이스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하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포개지게 접히거나 적재물을 지지하도록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전방측으로 펼쳐지는 받침판, 지면과 접촉하며 적재물의 하중을 지탱하는 메인바퀴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하부 양측에 설치되는 한쌍의 메인바퀴홀더, 지면과 접촉하며 적재물의 하중을 지탱하는 보조바퀴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부 양측에 설치되는 한쌍의 보조바퀴홀더 및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프레임과 나란하게 펼쳐지거나 상기 베이스프레임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전방측으로 접혀지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본체; 및
    내부에 상기 본체가 수용되는 수용공간부가 형성되며, 상부에 상기 수용공간부를 개폐하도록 덮개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케이스;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핸드카트.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받침판에 적재물이 적재되도록 상기 손잡이부가 상기 베이스프레임과 나란하게 펼쳐진 상태로 지면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지면과 접촉된 상기 메인바퀴를 통해 이동하거나, 상기 적재패널에 적재물이 적재되도록 상기 손잡이부가 전방측으로 접혀진 상태로 지면과 마주하며 지면과 접촉된 상기 메인바퀴와 상기 보조바퀴를 통해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핸드카트.
KR1020180023086A 2018-02-26 2018-02-26 접이식 핸드카트 KR1020346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3086A KR102034655B1 (ko) 2018-02-26 2018-02-26 접이식 핸드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3086A KR102034655B1 (ko) 2018-02-26 2018-02-26 접이식 핸드카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2565A true KR20190102565A (ko) 2019-09-04
KR102034655B1 KR102034655B1 (ko) 2019-10-21

Family

ID=67950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3086A KR102034655B1 (ko) 2018-02-26 2018-02-26 접이식 핸드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465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4671B1 (ko) * 2020-03-13 2021-08-30 김재경 다기능 핸드 카트
KR20230136372A (ko) 2022-03-18 2023-09-26 이수진 접이식 핸드 카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12970U (ko) * 1987-01-17 1988-07-20
US20080197591A1 (en) * 2007-02-16 2008-08-21 Haiming Tsai Hand truck
KR20090092178A (ko) * 2008-02-26 2009-08-31 이석 가방형 접철식 대차
KR20110003219U (ko) 2009-09-24 2011-03-30 김호현 회동식 물품적재대가 구비된 핸드카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12970U (ko) * 1987-01-17 1988-07-20
US20080197591A1 (en) * 2007-02-16 2008-08-21 Haiming Tsai Hand truck
KR20090092178A (ko) * 2008-02-26 2009-08-31 이석 가방형 접철식 대차
KR20110003219U (ko) 2009-09-24 2011-03-30 김호현 회동식 물품적재대가 구비된 핸드카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4655B1 (ko) 2019-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65304B2 (en) Case
CA2882760C (en) Foldable shopping cart
RU2617218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хранения множества предметов, таких как ящики
US9849582B2 (en) Rollaway storage cart with collapsible legs
US10974752B2 (en) Folding handcart
KR20110032139A (ko) 확장 및 절첩 가능한 이동대차
US20160184676A1 (en) Collapsible transport carriage
KR102034655B1 (ko) 접이식 핸드카트
CA3009156C (en) Cart and dolly handle with stacking position
EP3950464A1 (en) Foldable four-wheeled handcart
KR200492292Y1 (ko) 접이식 상자용 카트
KR101632379B1 (ko) 접이식 바퀴가 구비된 손수레
KR20090092098A (ko) 가판대
US4199171A (en) Mobile artist cart
KR101329768B1 (ko) 접이식 카트
TWM576553U (zh) Folding trolley
KR101585956B1 (ko) 접이식 카트
KR20140088674A (ko) 접이식 파렛트
KR200443371Y1 (ko) 운반용 수레
JP2001112556A (ja) テーブル装置
KR20150131585A (ko) 접이식 카트
KR101947694B1 (ko) 휴대용 접이식 카트
KR20130016505A (ko) 접철 구조를 갖는 가변식 손수레
CN210083801U (zh) 一种箱体的折叠机构
KR20220167711A (ko) 복층 접이식 쇼핑카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