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2540A - Materials bonding unit and bonding material tester - Google Patents

Materials bonding unit and bonding material tes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2540A
KR20190102540A KR1020180023033A KR20180023033A KR20190102540A KR 20190102540 A KR20190102540 A KR 20190102540A KR 1020180023033 A KR1020180023033 A KR 1020180023033A KR 20180023033 A KR20180023033 A KR 20180023033A KR 20190102540 A KR20190102540 A KR 201901025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adhesive
pillar
gap forming
form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303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86218B1 (en
Inventor
이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800230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6218B1/en
Publication of KR201901025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254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62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621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01N1/36Embedding or analogous mounting of samp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8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steady tensile or compressive forces
    • G01N3/18Performing tests at high or low temperatur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Abstrac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aterial adhesion unit comprises a support member on which a first material is mounted, and a gap forming member arranged to be in contact with an upper surface of a first material at a lower surface thereof and having a second material mounted on an upper surface thereof. The gap forming member can form a gap in which an adhesion is accommodated between the first material and the second material. In addition, a material adhesion tes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omprise: the material adhesion unit; an oven unit for accommodating the material adhesion unit inside where a high temperature environment is formed; and a tension unit for pulling the first material and the second material bonded by the adhesion solidified in the oven unit in different directions from each other.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significantly reducing a time required to manufacture a specimen for a material adhesion experiment.

Description

소재접착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소재접착 시험장치{Materials bonding unit and bonding material tester}Material bonding unit and material bonding test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Materials bonding unit and bonding material tester}

본 발명은 소재접착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소재접착 시험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terial adhesion unit and a material adhesion test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자동차소재 접합은 대부분 용접을 통해 진행되고 있으나, 최근에는 자동차소재 용접대체 방식으로 접착제 이용이 점차 확대되는 추세이다. 특히 자동차 조립부의 방음과 방수, 진동으로 인한 충격흡수 목적으로 접착제 이용이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다.Bonding automotive materials is mostly progressed through welding, but recently, the use of adhesives is gradually increasing as an alternative to welding automotive materials. In particular, the use of adhesives has been actively promoted for the purpose of shock absorption due to soundproofing, waterproofing and vibration of automobile assembly parts.

자동차소재의 접착성평가 목적으로 실험시편 제작을 통해 소재와 접착제의 품질평가를 진행한다. 실험시편 제작과정은 소재 끝부분에 스페이스소재를 조립하고, 조립된 스페이스부재에서부터 길이를 측정하여 소재의 접착제 도포면적을 선으로 표기하고, 표기된 위치에 테이프 또는 실리콘을 이용하여 실험 목적 두께의 또 다른 스페이스소재를 고정한다. 즉 소재 표면에는 실험목적의 접착제 두께와 면적에 해당하는 두 개의 스페이스부재가 일정 간격을 가지고 조립된다. For the purpose of evaluating the adhesion of automobile materials, the quality of materials and adhesives is evaluated through the production of test specimens. The test specimen manufacturing process is to assemble the space material at the end of the material, measure the length from the assembled space member, and mark the adhesive coating area of the material with a line. Fix the space material. In other words, two space members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and area of the adhesive for the test purpose are assembled at regular intervals.

상기 공정은 준비된 소재의 스페이스소재의 고정이 완료될 때까지 반복적이며 연속적으로 진행된다.The process is repeated and continuously until the fixing of the space material of the prepared material is completed.

준비된 소재의 실험목적의 도포될 접착제의 두께와 면적 제어를 위한 스페이스부재의 고정이 완료되면, 두께와 면적이 제어된 소재의 표면 부분에 접착제를 일정두께 도포한다. 일정 간격으로 안착된 복수 개의 소재 표면에 접착제의 도포가 완료되면, 또 다른 소재를 접착제가 도포된 소재의 길이 방향의 반대로 상부에 밀착하여 안착시킨다. 이때 제어된 두께와 면적에서 잉여된 접착제는 좌우로 돌출되며 돌출된 접착제는 나이프를 이용하여 제거하고, 상하에 접착제로 부착된 한 쌍의 소재를 클립을 이용하여 고정한다.When the fixing of the space member for controlling the thickness and area of the adhesive to be applied for the experimental purpose of the prepared material is completed, a certain thickness of the adhesive is applied to the surface portion of the material whose thickness and area are controlled. When the application of the adhesive is completed on the surface of the plurality of material seated at regular intervals, another material is placed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ide opposite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terial on which the adhesive is applied. At this time, the excess adhesive in the controlled thickness and area protrudes from side to side, and the protruding adhesive is removed using a knife, and a pair of materials attached to the upper and lower adhesives is fixed using a clip.

이후 도포된 접착제를 매개로 길이 반대 방향으로 상하 밀착 소재는 클립으로 고정된 상태로 오븐에 장입되어 실험목적의 온도와 시간으로 베이킹이 진행된다. Then, the contact material up and down in the lengthwise direction through the applied adhesive is charged into the oven fixed with a clip and baking is carried out at the temperature and time of the experimental purpose.

베이킹으로 고정된 소재는 상온에서 일정시간 냉각을 진행하며 냉각이 완료된 소재는 접착제 도포와 제어목적으로 조립된 테이브와 스페이스부재, 클립을 제거한 후 인장실험을 통해 인장강도와 접착제 파단면 형상으로 품질을 평가하게 된다.The material fixed by baking is cooled at room temperature for a certain time, and the material after cooling is removed from the tape, space member and clip assembled for adhesive application and control purposes. Evaluate.

앞서 설명한 자동차소재를 이용한 접착성 평가는 접착제와 적용되는 소재 종류, 실험방법 및 조건에 따라 매우 많은 양의 평가소재가 필요하며 반복적인 작업과 공정으로 시간지연의 문제가 발생된다. 특히 실험목적의 접착제 두께와 도포면적 제어를 위해 길이 측정과 테이프를 이용한 반복적 스페이스의 밀착고정이 진행됨에 따라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Evaluation of adhesiveness using the automotive materials described above requires a very large amount of evaluation materials depending on the adhesive, the type of material applied, the test method, and the conditions, and a problem of time delay occurs due to repetitive operations and processes. In particular, it takes a lot of time for the adhesive thickness and the application area to be controlled for the experimental purpose as the length measurement and the tight fixation of the repetitive space using the tape proceed.

또한 이후의 인장 실험을 위해서, 길이 방향의 서로 다른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하로 적층된 소재 사이에 접착제가 도포되므로 클립을 이용한 상하 소재의 고정은 필연적이고, 이러한 클립을 이용한 소재의 상하 밀착 고정은 오븐을 이용한 베이킹 과정에서 소재에 대한 간섭으로 변형을 일으키는 문제가 있고, 이로 인한 평가 소재의 반복적 제작 작업으로 시간지연은 물론 실험비용과 경비 증가되는 단점이 있다.In addition, for the subsequent tensile experiments, since the adhesive is applied between the materials protruded in different direction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stacked up and down, the fixing of the upper and lower materials using the clips is inevitable, and the upper and lower contact fixing of the materials using the clips is oven In the baking process, there is a problem of causing deformation due to interference with the material, and thus,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time delay as well as an experiment cost and an expense due to the repeated production of the evaluation material.

더하여, 클립에 의한 상하 소재의 고정 상태로 오븐에 장입되어 베이킹되는 과정에서 좌우로 돌출된 접착제가 클립에 부착되어 클립의 제거가 곤란해지는 문제도 있고, 또한 오븐에서의 가열 과정에서 클립에 의한 소재 사이의 불균일 열전달로 인하여 접착제의 불균일 응고 등으로 실험 신뢰도가 저하되는 문제도 발생된다.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dhesive is protruded from side to side in the process of being inserted into the oven and baked in the fixed state of the upper and lower materials by the clip, and it is difficult to remove the clip, and also the material by the clip during the heating process in the oven. Due to the nonuniform heat transfer therebetween, there is also a problem that the reliability of the experiment is lowered due to nonuniform coagulation of the adhesive.

따라서,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소재접착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소재접착 시험장치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게 되었다.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material adhesion unit and the material adhesion test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한국 출원 번호 제10-2003-0029474호Korean Application No. 10-2003-0029474

본 발명은 소재 접착 실험을 위한 시편의 제작 소요 시간을 현저히 감축할 수 있는 소재접착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소재접착 시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aterial adhesion unit and a material adhesion test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which can significantly reduce a production time of a specimen for a material adhesion experiment.

또한, 본 발명은 접착제를 사이에 두고 적층되는 상하의 소재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고, 다른 측면에서는 소재의 고정을 위한 구성에 의해서 소재의 변형이 야기되거나 불균일 접착됨에 따라 실험 신뢰도가 저하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소재접착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소재접착 시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stably fix the upper and lower materials laminated with an adhesive therebetween, in another aspect the problem that the experimental reliability is lowered as the deformation of the material is caused or the non-uniform adhesion by the configuration for fixing the material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aterial adhesion unit and a material adhesion test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접착유닛은 제1소재가 안착되는 지지부재 및 하면이 상기 제1소재의 상면에 접하게 배치되고, 상면에 제2소재가 안착되는 간극형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간극형성부재는, 상기 제1소재와 상기 제2소재 사이에 접착제가 수용되는 간극을 형성할 수 있다.The material bond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pport member on which a first material is seated and a lower surface disposed in contact with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material, and a gap forming member on which a second material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The gap forming member may form a gap in which an adhesive is accommodated between the first material and the second material.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접착유닛의 상기 간극형성부재는, 상기 지지부재의 상방으로 돌출된 기둥부에 결합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의 양단부에서 각각 상기 지지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1소재와 상기 제2소재 사이에 배치되는 한 쌍의 레그부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gap forming member of the material bond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upling portion coupled to the pillar portion protruding upward of the support member and at both ends of the coupling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member, respectively It may extend and include a pair of leg portions disposed between the first material and the second material.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접착유닛의 한 쌍의 상기 레그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결합부의 중앙부를 향하여 위치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Here, at least one of the pair of leg portions of the material bond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position is changed toward the central portion of the coupling portion.

더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접착유닛의 상기 간극형성부재는, 상기 레그부에 접하게 구비되며, 상기 레그부에 자성을 부여하는 자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gap forming member of the material bonding un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in contact with the leg portion, and may include a magnetic force portion to impart magnetism to the leg portion.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접착유닛의 상기 자력부는, 전자석으로 구비되어 상기 레그부에 부여하는 자력 크기를 조정하거나, 영구자석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nd, the magnetic force portion of the material bond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with an electromagnet to adjust the magnitude of the magnetic force applied to the leg portion, or may be provided as a permanent magnet.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접착유닛의 상기 지지부재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일단부에서 상방으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간극형성부재가 결합되는 기둥부 및 상기 기둥부의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제1소재에 대응되는 형태로 안착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1소재가 안착되는 플레이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pport member of the material bond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to protrude upward from the base portion, one end of the base portion, the pillar portion to which the gap forming member is coupled and one side of the pillar portion. Is coupled to, the mounting groove is formed in a form corresponding to the first material may include a plate portion on which the first material is seated.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접착유닛의 상기 기둥부는, 상기 베이스부에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 주기둥 및 상기 주기둥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되며, 상기 주기둥의 상단부에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 연결기둥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기둥은, 상기 간극형성부재의 결합부에 형성된 결합홀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Here, the pillar portion of the material bond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pillar is formed protruding upward from the base portion and a width smaller than the main pillar, the connection formed protruding up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main pillar It includes a pillar, the connecting column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ing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formed in the coupling portion of the gap forming member.

더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접착유닛의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플레이트부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상기 간극형성부재의 한 쌍의 레그부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플레이트부에서 상방으로 연장 형성된 가이드판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pport member of the material bond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between the pair of leg portions of the gap forming member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late portion, and formed upwardly extending from the plate portion. It may include a guide plat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재접착 시험장치는 상기 소재접착유닛, 고온 환경이 형성된 내부로 상기 소재접착유닛을 수용하는 오븐유닛 및 상기 오븐유닛에서 응고된 상기 접착제에 의해 결합된 상기 제1소재 및 상기 제2소재를 서로 상이한 방향으로 잡아당기는 인장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Material adhesion test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material bonding unit, the oven unit for accommodating the material bonding unit into the interior formed with a high temperature environment and the first material coupled by the adhesive solidified in the oven unit And it may include a tension unit for pulling the second material in different directions from each other.

본 발명의 소재접착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소재접착 시험장치는 소재 접착 실험을 위한 시편의 제작 소요 시간을 현저히 감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material adhesion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terial adhesion test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have the effect of significantly reducing the time required for fabrication of the specimen for the material adhesion experiment.

즉, 본 발명의 소재접착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소재접착 시험장치는 접착 실험을 위한 소재의 시편 제작 과정에서 소재의 안정적인 지지와 고정으로 실험의 신속하며 효율적 진행이 가능하다.That is, the material adhesion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terial adhesion test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it is possible to proceed quickly and efficiently of the experiment by the stable support and fixing of the material in the specimen preparation process of the material for the adhesion experiment.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소재접착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소재접착 시험장치는 소재의 고정을 위한 구성에 의해서 소재의 변형이 야기되거나 불균일 접착됨에 따라 실험 신뢰도가 저하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nother aspect, the material adhesion unit and the material adhesion test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can prevent the problem of deterioration of the reliability of experiments caused by deformation or non-uniform adhesion of the material by the configuration for fixing the material have.

다만,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various and advantageous advantages an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and will be more readily understood in the course of describing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소재접착유닛을 도시한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소재접착유닛에서 지지부재가 가이드판부를 더 포함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소재접착유닛에서 지지부재의 레그부가 위치 가변되는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소재접착유닛에 의해서 소재를 접착한 시편을 제작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소재접착 시험장치에서 오븐유닛, 인장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1 and 2 are a perspective view and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material bond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the support member further comprises a guide plate in the material bond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the position of the leg portion of the support member in the adhesive material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5 to 9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process of manufacturing a specimen bonded to the material by the material bond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illustrating an oven unit and a tension unit in a material adhesion test apparatu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 various other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additio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more complete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Shape and size of the element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more clear description.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며,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 또는 유사한 방식으로 부여된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것으로 한다.Also,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s "a", "an" and "the" are intended to include th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or corresponding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 shall do it.

본 발명은 소재접착유닛(1) 및 이를 포함하는 소재접착 시험장치에 관한 것으로, 소재 접착 실험을 위한 시편의 제작 소요 시간을 현저히 감축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terial adhesion unit (1) and a material adhesion test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it is possible to significantly reduce the production time of the specimen for the material adhesion experiment.

즉, 접착 실험을 위한 소재의 시편 제작 과정에서 소재의 안정적인 지지와 고정으로 실험의 신속하며 효율적 진행이 가능하게 구성된 것이다.That is,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experiment quickly and efficiently by the stable support and fixation of the material in the specimen production process for the adhesion test.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소재의 고정을 위한 종래의 클립, 클램프 등의 소재를 가압하여 고정하는 구성에 의해서 소재의 변형이 야기되거나 불균일 접착됨에 따라 실험 신뢰도가 저하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problem that the experimental reliability is lowered as the deformation of the material is caused or the non-uniform adhesion caused by the configuration of pressing the material, such as a conventional clip, clamp for fixing the material.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자동차 프레임 소재 등의 접합을 위하여 접착제(a)를 사용하는 경우에 필요한 접착 결합 실험을 위한 시편을 신속하고 신뢰도 높게 생산하여 신뢰도 높은 실험 결과를 도출할 수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quickly and reliably produce specimens for the adhesive bonding experiments required when the adhesive (a) is used for the bonding of automobile frame materials, thereby obtaining highly reliable experimental results.

여기서 우선 소재의 접합 실험시편을 제작하기 위한 선 과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즉, 일정 크기로 가공된 소재에 대하여 그 표면을 탈지한 후 접착제(a) 도포를 위한 면적에 오일침적으로 약 24시간 상온에서 대기시킨 후에 접합 실험시편의 제작을 위해 공급될 수 있다.In this case, first, a line process for fabricating a test specimen of bonding may be performed. That is, after degreasing the surface of a material processed to a certain size, the area for applying the adhesive (a) may be supplied for preparation of a bonding test specimen after waiting at room temperature for about 24 hours with oil deposition.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소재접착유닛(1)을 구체적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1은 본 발명의 소재접착유닛(1)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소재접착유닛(1)에 의해서 소재를 접착한 시편을 제작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접착유닛(1)은 제1소재(m1)가 안착되는 지지부재(10) 및 하면이 상기 제1소재(m1)의 상면에 접하게 배치되고, 상면에 제2소재(m2)가 안착되는 간극형성부재(20)를 포함하며, 상기 간극형성부재(20)는, 상기 제1소재(m1)와 상기 제2소재(m2) 사이에 접착제(a)가 수용되는 간극을 형성할 수 있다.Referring to the material bonding unit 1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aterial bonding unit 1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5 to 9 are the material bo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ocess of manufacturing a specimen bonded to the material by the unit (1), referring to this material bonding unit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upport member on which the first material (m1) is seated 10 and the lower surface includes a gap forming member 20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material (m1), the second material (m2)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the gap forming member 20, A gap may be formed between the first material m1 and the second material m2 to accommodate the adhesive a.

이와 같이, 제1소재(m1), 제2소재(m2) 사이에 접착제(a)의 도포 영역을 한정하기 위한 상기 간극형성부재(20)를 배치하는 구성을 안정적 적층 구조로 형성하기 위해서 상기 제1소재(m1)를 지지하는 지지부재(10)를 포함하게 되며, 이러한 구조에 의해서 제1소재(m1), 접착제(a), 제2소재(m2)가 적층되어 형성되는 시편의 제작을 안정적이며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form a structure in which the gap forming member 20 for defining the application area of the adhesive a is defined between the first material m1 and the second material m2 in a stable laminated structure, It includes a support member 10 for supporting the first material (m1), by the structure of the first material (m1), the adhesive (a), the second material (m2) is formed to stack the specimen is formed stable And can be performed quickly.

더욱이 상기 제1소재(m1)와 제2소재(m2) 사이의 접착제(a) 도포 영역을 상기 간극형성부재(20)에 의해서 균일하게 형성함에 따라 복수의 시편 제작도 오차를 줄이면서 신뢰도 높게 형성할 수 있게 된다.Furthermore, as the adhesive (a) coating area between the first material m1 and the second material m2 is uniformly formed by the gap forming member 20, a plurality of specimens are manufactured with high reliability while reducing errors. You can do it.

상기 지지부재(10)는 접착제(a)가 도포되는 제1소재(m1)를 안착 지지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상기 지지부재(10)에는 상기 제1소재(m1)가 안착되고, 상기 지지부재(10)에 안착된 제1소재(m1)의 상면에 접착제(a)가 도포된 후에 그 상부에 제2소재(m2)가 적층되어 시편이 제작되는 것이다.The support member 10 serves to seat and support the first material m1 to which the adhesive a is applied. That is, the first material m1 is seated on the support member 10, and after the adhesive a is appli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material m1 seated on the support member 10, the first material m1 is placed on the support member 10. Two materials (m2) are stacked to produce a specimen.

이를 위해, 상기 지지부재(10)는 베이스부(11), 기둥부(12), 플레이트부(13) 등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2를 참조하여 후술한다.To this end, the support member 10 may include a base portion 11, a pillar portion 12, a plate portion 13, etc.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상기 간극형성부재(20)는 상기 제1소재(m1)와 상기 제2소재(m2) 사이에 위치되는 접착제(a)의 도포 영역을 한정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상기 간극형성부재(20)는 상기 지지부재(10)에 안착된 제1소재(m1)의 상면에 접하게 배치되어, 이후에 상기 제1소재(m1) 상면 상에 도포되는 접착제(a)의 영역을 한정하게 되는 것이다. The gap forming member 20 serves to define an application area of the adhesive (a)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material m1 and the second material m2. That is, the gap forming member 20 is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material m1 seated on the support member 10, and then the adhesive (a) is appli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material m1. It will limit the area of.

이를 위해서, 상기 간극형성부재(20)는 결합부(21), 레그부(22)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접착유닛(1)의 상기 간극형성부재(20)는, 상기 지지부재(10)의 상방으로 돌출된 기둥부(12)에 결합되는 결합부(21) 및 상기 결합부(21)의 양단부에서 각각 상기 지지부재(1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1소재(m1)와 상기 제2소재(m2) 사이에 배치되는 한 쌍의 레그부(22)를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gap forming member 20 may include a coupling part 21, a leg part 22, and the like. That is, the gap forming member 20 of the material bonding unit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upling portion 21 is coupled to the pillar portion 12 protruding upward of the support member 10 And a pair of leg parts formed at both ends of the coupling part 2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member 10 and disposed between the first material m1 and the second material m2 ( 22).

여기서, 상기 결합부(21)는 상기 제1소재(m1) 상면에 안착되면서 안정적으로 지지되기 위해서, 상기 지지부재(10)의 돌출 형성된 기둥부(12)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21)에서 연장 형성된 상기 레그부(22)에 의해서 상기 제1소재(m1)의 상면 상에 접착제(a) 도포 영역을 한정하게 된다.Here, the coupling portion 21 is coupled to the protruding pillar portion 12 of the support member 10 in order to be stably supported while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material (m1). In addition, the application area of the adhesive (a) is defin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material m1 by the leg part 22 extending from the coupling part 21.

상기 결합부(21)는 상기 기둥부(12)에 결합되기 위해서, 상기 기둥부(12)의 연결기둥(12b)이 삽입되는 결합홀(21a)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21)는 상기 레그부(22)가 가변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레그부(22)의 슬라이딩탭(22a)이 삽입되어 이동되는 슬라이딩홀(21b)이 형성될 수 있다.The coupling part 21 may be formed with a coupling hole 21a into which the connection column 12b of the pillar part 12 is inserted in order to be coupled to the pillar part 12. In addition, the coupling part 21 may have a sliding hole 21b to which the sliding tab 22a of the leg part 22 is inserted and moved so that the leg part 22 may be variably moved.

상기 레그부(22)는 상기 결합부(21)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소재(m1)와 제2소재(m2) 사이에 배치되는 구성으로, 상기 제1소재(m1)의 상면에 안착되어 상기 제1소재(m1)의 상면에 도포되는 접착제(a)의 도포 영역을 한정하게 된다.The leg portion 22 extends from the coupling portion 21 and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material m1 and the second material m2, and is seat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material m1. The application area of the adhesive a appli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material m1 is defined.

즉, 상기 레그부(22)는 상기 결합부(21)의 양단부에 각각 구비되어, 한 쌍의 상기 레그부(22)가 접착제(a) 도포 영역의 측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1소재(m1)의 상면이 접착제(a) 도포 영역의 하면을 형성하게 된다.That is, the leg portions 22 are respectively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coupling portion 21, a pair of the leg portion 22 forms the side surface of the adhesive (a) application area, the first material (m1) ) Forms the lower surface of the adhesive (a) application area.

더하여, 한 쌍의 상기 레그부(22)는 그 사이의 폭을 조정하여 접착제(a)가 도포될 영역을 조정할 수도 있는데, 이에 대하여는 도 4를 참조하여 자세히 후술한다.In addition, the pair of leg portions 22 may adjust the width between them to adjust the area to which the adhesive a is applied,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4.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접착유닛(1)의 상기 간극형성부재(20)는, 상기 레그부(22)에 접하게 구비되며, 상기 레그부(22)에 자성을 부여하는 자력부(23)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gap forming member 20 of the material bonding unit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contact with the leg portion 22, a magnetic force portion to impart magnetism to the leg portion 22 (23) may be included.

이에 의해서, 상기 제1소재(m1)와 제2소재(m2)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레그부(22)가 상기 제1소재(m1) 및 제2소재(m2)를 고정시킬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클립, 클램프 등을 필요로 하지 않게 된다. 더욱이, 클립, 클램프와는 달리 자력에 의해서 상기 제1소재(m1), 제2소재(m2)를 고정하는 경우에는 균일한 자력이 작용되므로, 접착제(a)의 경화 또는 응고 전에 제1소재(m1), 제2소재(m2)가 변형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the leg part 22 disposed between the first material m1 and the second material m2 can fix the first material m1 and the second material m2. No clips, clamps, etc. are required. In addition, unlike the clips and clamps, when the first material m1 and the second material m2 are fixed by a magnetic force, a uniform magnetic force is applied. Therefore, the first material ( m1),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roblem that the second material (m2) is deformed.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접착유닛(1)의 상기 자력부(23)는, 전자석으로 구비되어 상기 레그부(22)에 부여하는 자력 크기를 조정하거나, 영구자석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nd, the magnetic force portion 23 of the material bonding unit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with an electromagnet to adjust the magnitude of the magnetic force applied to the leg portion 22, or to be provided as a permanent magnet It can be characterized.

여기서, 기본적으로 상기 자력부(23)가 자력을 상기 레그부(22)에 부여하기 위해서 영구자석으로 제공될 수 있는 것이다. Here, basically, the magnetic force unit 23 may be provided as a permanent magnet to impart magnetic force to the leg unit 22.

또한 상기 자력부(23)가 전자석으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1소재(m1), 제2소재(m2)를 고정하는 자력을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제1소재(m1) 및 제2소재(m2)의 경도에 따른 자력을 조정하여 제1소재(m1), 제2소재(m2)의 변형이 발생되지 않도록 세밀하게 조정할 수도 있다.In addition, when the magnetic force portion 23 is provided with an electromagnet, the magnetic force for fixing the first material m1 and the second material m2 can be adjusted, and thus, the first material m1 and the second material m2. It is also possible to finely adjust so that deformation of the first material (m1), the second material (m2) does not occur by adjusting the magnetic force according to the hardness of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소재접착유닛(1)은 지지부재(10), 간극형성부재(20)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제1소재(m1), 제2소재(m2)를 접착시키는 접착제(a)의 도포 영역을 한정하여 빠른 시편의 제작을 가능하게 하면서도 신뢰도 높은 시편의 제작이 가능하다.Thus, the material bonding unit 1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support member 10, the gap forming member 20, the adhesive of the adhesive (a) for adhering the first material (m1), the second material (m2) By limiting the coating area, it is possible to produce a specimen that is fast and reliable.

이를 제작 과정에 따라 설명하면, 우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10) 상에 제1소재(m1)가 안착되며, 특히 상기 지지부재(10)의 플레이트부(13)에 형성된 안착홈(13a)에 안착되게 구성되며, 이때 상기 안착홈(13a)이 상기 플레이트부(13)에 복수 개가 형성되어 복수 개의 한 번에 제작하여 시편 제작 소요 시간을 단축하게 된다.When described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process, as shown in Figure 5, the first material (m1) is first mounted on the support member 10, in particular, the mounting groove formed in the plate portion 13 of the support member 10 It is configured to be seated on (13a), wherein the seating groove (13a) is formed in the plate portion 13 is formed in a plurality of at a time to shorten the time required to produce the specimen.

그 후에 상기 제1소재(m1)의 상면에 간극형성부재(20)가 안착되며,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부재(10)의 기둥부(12)에 상기 간극형성부재(20)의 결합부(21)가 결합되고, 상기 제1소재(m1)의 상면에는 한 쌍의 레그부(22)가 접하게 배치된다. 그 후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제(a)가 한 쌍의 상기 레그부(22) 사이에 영역이 한정된 제1소재(m1)의 상면에 도포된다.Thereafter, the gap forming member 20 is seat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material m1, and specifically, the coupling part 21 of the gap forming member 20 is connected to the pillar part 12 of the support member 10. Is coupled, and a pair of leg portions 22 are disposed to be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material m1. Thereafter, as shown in FIG. 6, an adhesive a is appli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material m1 in which an area is defined between the pair of leg portions 22.

다음으로 상기 레그부(22)의 상부에 제2소재(m2)가 안착되며, 이 때 상기 제2소재(m2)는 상기 제1소재(m1)와는 반대의 돌출되게 안착된다. 즉, 레그부(22) 하면에 접하는 제1소재(m1)는 일측 방향으로 돌출된 상태로 배치되고, 레그부(22) 상면에 접하는 제2소재(m2)는 타측 방향으로 돌출된 상태로 배치되는 것이다.Next, the second material (m2) is se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leg portion 22, wherein the second material (m2) is mounted to protrude opposite to the first material (m1). That is, the first material m1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leg part 22 is disposed to protrude in one direction, and the second material m2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leg part 22 is disposed in the state protruding in the other direction. Will be.

이와 같이, 접착제(a) 도포 영역의 하면을 형성하는 제1소재(m1)와 양측면을 형성하는 한 쌍의 레그부(22)가 배치된 후 접착제(a)가 도포되고, 다음으로 접착제(a) 도포 영역의 상면을 형성하는 제2소재(m2) 안착되면, 접착제(a) 도포 영역의 4개의 측면 중에 한 쌍의 레그부(22)에 의해서 차단된 2개 면을 제외한 나머지 2개면으로 잉여 접착제(a)가 유출되는데, 이와 같은 잉여 접착제(a)는 나이프 등을 이용하여 제거한다. In this way, the first material m1 forming the lower surface of the adhesive application a region and the pair of leg portions 22 forming both sides are arranged, and then the adhesive a is applied, and then the adhesive a When the second material (m2) forming the upper surface of the application area is seated, surplus to the other two surfaces except for the two surfaces blocked by the pair of leg portions 22 among the four sides of the adhesive (a) application area. The adhesive (a) flows out, and such excess adhesive (a) is removed using a knife or the like.

여기서 한 쌍의 레그부(22)가 차단하는 2개의 접착제(a) 도포 영역의 측면 이외의 나머지 2개 측면은 지지부재(10)에 추가로 구비되는 가이드판부(14)에 의해서 차단되게 구성될 수도 있는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Here, the other two sides other than the side of the two adhesive (a) application areas blocked by the pair of leg portions 22 may be configured to be blocked by the guide plate portion 14 additionally provided on the supporting member 10.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3.

이와 같이 잉여 접착제(a)까지 제거된 후에는 상기 간극형성부재(20)의 자력부(23)에 의한 자력의 부여로 제1소재(m1) 및 제2소재(m2)가 상기 레그부(22)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결합부(21)가 상기 기둥부(12)에서 분리된다. 이는 도 8을 참조할 수 있다.After the excess adhesive (a) is removed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material m1 and the second material m2 are applied to the leg part 22 by applying magnetic force by the magnetic force part 23 of the gap forming member 20. The coupling part 21 is separated from the pillar part 12 in a fixed state. This may refer to FIG. 8.

마지막으로 접착제(a)의 경화 내지 응고에 의해서 제1소재(m1) 및 제2소재(m2)가 부착되어 형성된 시편을 상기 레그부(22)의 일측으로 밀어 내어 분리하여 시편 제작을 완료하게 된다. 이는 도 9를 참조할 수 있다.Finally, the specimen formed by attaching the first material m1 and the second material m2 by curing or solidifying the adhesive (a) is pushed to one side of the leg portion 22 to separate the specimen, thereby completing the preparation of the specimen. . This may refer to FIG. 9.

도 2는 본 발명의 소재접착유닛(1)을 도시한 분해사시도로서,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접착유닛(1)의 상기 지지부재(10)는, 베이스부(11), 상기 베이스부(11)의 일단부에서 상방으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간극형성부재(20)가 결합되는 기둥부(12) 및 상기 기둥부(12)의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제1소재(m1)에 대응되는 형태로 안착홈(13a)이 형성되어 상기 제1소재(m1)가 안착되는 플레이트부(13)를 포함할 수 있다.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material bonding unit 1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this, the support member 10 of the material bonding unit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e portion 11 ), Protruding upward from one end of the base portion 11, coupled to one side of the pillar portion 12 and the pillar portion 12 to which the gap forming member 20 is coupled, and The mounting groove 13a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material m1, and may include a plate part 13 on which the first material m1 is seated.

여기서, 상기 베이스부(11)는 지면 등의 지지부재(10)가 안착되는 면상에 안착되는 구성이고, 상기 기둥부(12)는 상기 베이스부(11)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간극형성부재(20) 등이 결합되는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기둥부(12)는 상기 간극형성부재(20)가 결합되기 위해서 주기둥(12a), 연결기둥(12b)으로 구분될 수 있다.Here, the base portion 11 is a configuration that is seated on the surface on which the support member 10, such as the ground is seated, the pillar portion 12 is formed protruding from the base portion 11, the gap forming member ( 20) etc. are combined. In addition, the pillar part 12 may be divided into a main pillar 12a and a connection pillar 12b in order to couple the gap forming member 20.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접착유닛(1)의 상기 기둥부(12)는, 상기 베이스부(11)에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 주기둥(12a) 및 상기 주기둥(12a)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되며, 상기 주기둥(12a)의 상단부에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 연결기둥(12b)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기둥(12b)은, 상기 간극형성부재(20)의 결합부(21)에 형성된 결합홀(21a)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at is, the pillar portion 12 of the material bonding unit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maller than the main pillar 12a and the main pillar 12a protruding upward from the base portion 11. It is formed in a width, and comprises a connecting pillar 12b protruding up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main pillar 12a, the connecting pillar 12b is formed in the engaging portion 21 of the gap forming member 20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ertion is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21a).

다시 말해, 상기 연결기둥(12b)이 상기 주기둥(12a)보다 폭이 좁기 때문에 단차진 형상을 형성하게 되며, 이러한 단차 형상에 상기 결합부(21)에 형성된 결합홀(21a)이 끼워짐으로써,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In other words, since the connection column 12b is narrower than the main column 12a, a stepped shape is formed, and the coupling hole 21a formed in the coupling part 21 is fitted into the stepped shape. Can be combined.

상기 플레이트부(13)는 상기 제1소재(m1)가 안착되는 구성으로, 상기 기둥부(12)의 측면에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플레이트부(13)는 상기 기둥부(12)의 상부에 결합되는 간극형성부재(20)보다 아래에 위치하게 된다.The plate portion 13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first material m1 is seated, and may be coupl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pillar portion 12. Accordingly, the plate portion 13 is positioned below the gap forming member 20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pillar portion 12.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부(13)에는 상기 제1소재(m1)의 안착이 안정적으로 수행되기 위한 안착홈(13a)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안착홈(13a)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 제1소재(m1)는 안착될 위치가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In addition, a seating groove 13a may be formed in the plate part 13 to stably mount the first material m1. That is, as the seating groove 13a is formed, the first material m1 may be fixed to a position to be seated.

더하여, 상기 안착홈(13a)은 상기 플레이트 부에 복수 개가 형성됨에 따라 복수 개의 제1소재(m1)가 안착되게 구성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복수 개의 시편을 한 번의 작업으로 제작할 수 있어, 시편 제작 소요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seating groove 13a may be configured such that a plurality of first materials m1 is seated as a plurality of seating grooves are formed in the plate part, and thus, a plurality of specimens may be manufactured in one operation. This can reduce the time required.

도 3은 본 발명의 소재접착유닛(1)에서 지지부재(10)가 가이드판부(14)를 더 포함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접착유닛(1)의 상기 지지부재(10)는, 상기 플레이트부(13)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상기 간극형성부재(20)의 한 쌍의 레그부(22)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플레이트부(13)에서 상방으로 연장 형성된 가이드판부(14)를 포함할 수 있다.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the support member 10 further includes a guide plate portion 14 in the material bonding unit 1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the drawing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member 10 of the material bonding unit 1 is positioned between the pair of leg portions 22 of the gap forming member 20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late portion 13, and the plate It may include a guide plate portion 14 extending upward from the portion (13).

이와 같이 가이드판부(14)는 상기 플레이트부(13)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상기 간극형성부재(20)의 한 쌍의 레그부(22)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안착홈(13a)의 내벽면을 따라 상방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As such, the guide plate portion 14 is positioned between the pair of leg portions 22 of the gap forming member 20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late portion 13, and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seating groove 13a. It may be formed extending upward along.

이에 따라, 상기 가이드판부(14)는 한 쌍의 레그부(22)가 차단하는 접착제(a) 도포 영역의 2개의 측면 이외의 나머지 2개 측면을 차단함으로써, 상기 접착제(a)가 도포될 영역의 측면을 완전히 차단하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접착제(a) 도포시에 접착제(a)의 이탈 위험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the guide plate portion 14 blocks the other two sides other than the two sides of the adhesive (a) application region blocked by the pair of leg portions 22, thereby the region to which the adhesive (a) is to be applied It can be made to completely block the side of the.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risk of detachment of the adhesive (a) when applying the adhesive (a).

그리고, 상기 가이드판부(14)에 의해서 상기 접착제(a)의 도포 영역의 측면 일부를 차단하는 경우에는 도포될 접착제(a)가 남지 않도록 도포 접착제(a)의 양을 미리 정해진 양으로 제어하여 도포해야 한다.And, when the part of the side of the application area of the adhesive (a) is blocked by the guide plate portion 14, the amount of the coating adhesive (a) is controlled to a predetermined amount so that the adhesive (a) to be applied is not left. Should be.

도 4는 본 발명의 소재접착유닛(1)에서 지지부재(10)의 레그부(22)가 위치 가변되는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접착유닛(1)의 한 쌍의 상기 레그부(22)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결합부(21)의 중앙부를 향하여 위치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the leg portion 22 of the support member 10 is variable in position in the material bonding unit 1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the drawing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of the pair of leg portions 22 of the material bonding unit 1 may be changed in position toward the center portion of the coupling portion 21.

즉, 한 쌍의 상기 레그부(22) 사이의 간격이 조정되게 구비됨으로써, 한 쌍의 상기 레그부(22)는 그 사이의 폭에 따른 접착제(a)가 도포될 영역을 조정할 수 있게 된다.That is, the interval between the pair of the leg portion 22 is provided to be adjusted, so that the pair of the leg portion 22 can adjust the area to be applied the adhesive (a) according to the width therebetween.

여기서, 한 쌍의 레그부(22) 모두 위치 이동하게 구성될 수도 있고, 어느 하나의 레그부(22)만이 위치 이동되게 구성될 수도 있다.Here, both of the pair of leg portions 22 may be configured to move in position, or only one leg portion 22 may be configured to move in position.

상기 레그부(22)가 위치 이동하기 위한 구체적 구성으로, 상기 레그부(22)에는 슬라이딩탭(22a)이 형성되고, 이러한 슬라이딩탭(22a)은 상기 결합부(21)에 형성된 슬라이딩홀(21b)에서 위치 이동되게 결합된다. 즉, 상기 레그부(22)의 단부에 형성된 슬라이딩탭(22a)의 단부에는 플랜지와 같은 단차진 형상이 형성되며, 이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워진 "T" 형상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탭(22a)이 삽입되는 상기 슬라이딩홀(21b)도 상기 슬라이딩탭(22a)이 이탈되지 않으면서 가이드되도록 상기 슬라이딩탭(22a)에 대응되는 "T" 형상의 홀로 형성될 수 있다.As a specific configuration for the leg portion 22 to move the position, the leg portion 22 is formed with a sliding tab 22a, the sliding tab 22a is a sliding hole 21b formed in the engaging portion 21 Are coupled to move position. That is, a stepped shape such as a flange is formed at the end of the sliding tab 22a formed at the end of the leg portion 22, which may be a "T" shape laid down as shown in FIG. In addition, the sliding hole 21b into which the sliding tab 22a is inserted may also be formed as a “T” shaped hole corresponding to the sliding tab 22a so that the sliding tab 22a is guided without being separated. .

도 10은 소재접착 시험장치에서 오븐유닛(2), 인장유닛(3)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10의 (a)는 오븐유닛(2)을 도시한 것이고, 도 10의 (b)는 인장유닛(3)을 도시한 것으로,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재접착 시험장치는 상기 소재접착유닛(1), 고온 환경이 형성된 내부로 상기 소재접착유닛(1)을 수용하는 오븐유닛(2) 및 상기 오븐유닛(2)에서 응고된 상기 접착제(a)에 의해 결합된 상기 제1소재(m1) 및 상기 제2소재(m2)를 서로 상이한 방향으로 잡아당기는 인장유닛(3)을 포함할 수 있다.FIG. 10 is a view illustrating an oven unit 2 and a tension unit 3 in a material adhesion test apparatus. FIG. 10A illustrates an oven unit 2, and FIG. 10B illustrates a tension. Referring to the drawing, the unit 3 is a material adhesion test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nsile unit for pulling the first material (m1) and the second material (m2) bonded by the oven unit (2) to accommodate and the adhesive (a) solidified in the oven unit (2) in a different direction from each other (3) may be included.

즉, 상기 소재접착유닛(1)에 의해서 제1소재(m1), 접착제(a), 제2소재(m2)가 순차로 적층되어 자력에 의해 결합된 간극형성부재(20)를 상기 오븐유닛(2)에 수용시킨 후에 고온 환경에서 상기 접착제(a)를 경화 내지 응고시켜 접착제(a)의 접착력에 의해서 상기 제1소재(m1)와 제2소재(m2)가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한다.That is, the first material m1, the adhesive a, and the second material m2 are sequentially stacked by the material bonding unit 1, and the gap forming member 20, which is coupled by magnetic force, is attached to the oven unit ( After accommodating 2), the adhesive (a) is cured or solidified in a high-temperature environment so that the first material (m1) and the second material (m2) remain attached by the adhesive force of the adhesive (a).

이와 같이 상기 오븐유닛(2)에서 제1소재(m1) 및 제2소재(m2)가 접착제(a)의 접착력에 의해서 결합되어 형성된 시편은 상기 간극형성부재(20)에서 빼내어지고, 인장유닛(3)에서 상기 제1소재(m1) 및 제2소재(m2)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잡아 당겨 인장 실험을 실시하게 된다.Thus, the specimen formed by combining the first material (m1) and the second material (m2) in the oven unit 2 by the adhesive force of the adhesive (a) is removed from the gap forming member 20, the tension unit ( In 3), the first material m1 and the second material m2 are pulled in opposite directions to perform a tensile test.

이와 같은 인장 시험에 의해서 접착력을 측정하고, 파단시의 파단면을 측정하는 등에 의해서 접착제(a)에 의한 소재의 접착력을 시험을 실시하게 된다. The adhesive force is measured by such a tensile test, and the adhesive force of the raw material by the adhesive agent (a) is tested by measuring the fracture surface at the time of breaking.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It will be obvious to one with ordinary knowledge.

1: 소재접착유닛 2: 오븐유닛
3: 인장유닛 10: 지지부재
11: 베이스부 12: 기둥부
13: 플레이트부 14: 가이드판부
20: 간극형성부재 21: 결합부
22: 레그부 23: 자력부
1: material bonding unit 2: oven unit
3: tension unit 10: support member
11: base portion 12: pillar portion
13: plate portion 14: guide plate portion
20: gap forming member 21: coupling portion
22: leg part 23: magnetic part

Claims (9)

제1소재가 안착되는 지지부재; 및
하면이 상기 제1소재의 상면에 접하게 배치되고, 상면에 제2소재가 안착되는 간극형성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간극형성부재는, 상기 제1소재와 상기 제2소재 사이에 접착제가 수용되는 간극을 형성하는 소재접착유닛.
A support member on which the first material is seated; And
A gap forming member having a bottom surface contacting the top surface of the first material and having a second material seated on the top surface;
Including;
The gap forming member is a material bonding unit for forming a gap in which an adhesive is accommodated between the first material and the second materi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극형성부재는,
상기 지지부재의 상방으로 돌출된 기둥부에 결합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의 양단부에서 각각 상기 지지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1소재와 상기 제2소재 사이에 배치되는 한 쌍의 레그부;
를 포함하는 소재접착유닛.
The method of claim 1,
The gap forming member,
A coupling part coupled to the pillar part protruding upward of the support member; And
A pair of leg portions formed at both ends of the coupling portion and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member, and disposed between the first material and the second material;
Material adhesive unit comprising a.
제2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레그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결합부의 중앙부를 향하여 위치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접착유닛.
The method of claim 2,
At least one of the pair of the leg portion is a material bonding unit, characterized in that for changing the position toward the center of the coupling por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간극형성부재는,
상기 레그부에 접하게 구비되며, 상기 레그부에 자성을 부여하는 자력부;
를 포함하는 소재접착유닛.
The method of claim 2,
The gap forming member,
A magnetic force portion provided in contact with the leg portion to impart magnetism to the leg portion;
Material adhesive unit comprising a.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자력부는, 전자석으로 구비되어 상기 레그부에 부여하는 자력 크기를 조정하거나, 영구자석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접착유닛.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magnetic force unit is provided with an electromagnet to adjust the size of the magnetic force applied to the leg portion, or the material bonding unit,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as a permanent magne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일단부에서 상방으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간극형성부재가 결합되는 기둥부; 및
상기 기둥부의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제1소재에 대응되는 형태로 안착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1소재가 안착되는 플레이트부;
를 포함하는 소재접착유닛.
The method of claim 1,
The support member,
A base portion;
A pillar portion protruding upward from one end of the base portion and coupled to the gap forming member; And
A plate portion coupled to one side of the pillar portion and having a seating groov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material to seat the first material;
Material adhesive unit comprising a.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부는,
상기 베이스부에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 주기둥; 및
상기 주기둥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되며, 상기 주기둥의 상단부에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 연결기둥;
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기둥은, 상기 간극형성부재의 결합부에 형성된 결합홀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접착유닛.
The method of claim 6,
The pillar portion,
A main pillar protruding upward from the base portion; And
A connection pillar formed in a width smaller than the period pillar and protruding upward from an upper end of the period pillar;
Including;
The connecting column is a material bonding unit,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ing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formed in the coupling portion of the gap forming membe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플레이트부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상기 간극형성부재의 한 쌍의 레그부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플레이트부에서 상방으로 연장 형성된 가이드판부;
를 포함하는 소재접착유닛.
The method of claim 6,
The support member,
A guide plate portion positioned between the pair of leg portions of the gap forming member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late portion and extending upward from the plate portion;
Material adhesive unit comprising a.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소재접착유닛;
고온 환경이 형성된 내부로 상기 소재접착유닛을 수용하는 오븐유닛; 및
상기 오븐유닛에서 응고된 상기 접착제에 의해 결합된 상기 제1소재 및 상기 제2소재를 서로 상이한 방향으로 잡아당기는 인장유닛;
을 포함하는 소재접착 시험장치.
Claim 1 to 8 of any one of the material bonding unit;
An oven unit accommodating the material bonding unit into a high temperature environment therein; And
A tension unit that pulls the first material and the second material joined by the adhesive solidified in the oven unit in different directions from each other;
Material adhesion test apparatus comprising a.
KR1020180023033A 2018-02-26 2018-02-26 Materials bonding unit and bonding material tester KR10208621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3033A KR102086218B1 (en) 2018-02-26 2018-02-26 Materials bonding unit and bonding material tes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3033A KR102086218B1 (en) 2018-02-26 2018-02-26 Materials bonding unit and bonding material tes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2540A true KR20190102540A (en) 2019-09-04
KR102086218B1 KR102086218B1 (en) 2020-03-06

Family

ID=67950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3033A KR102086218B1 (en) 2018-02-26 2018-02-26 Materials bonding unit and bonding material tes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6218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8713U (en) * 1992-09-21 1994-04-15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Adhesive force measuring tool
KR20030029474A (en) 2001-10-03 2003-04-14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Composite apparatus and facsimile apparatus connectable to lan, and control method for lan connection
KR20090084457A (en) * 2008-02-01 2009-08-05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The brick bond strength test mold and will reach and the brick bond strength test brick production method
KR20130016885A (en) * 2011-08-09 2013-02-1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Shear strength measuring apparatus
KR101723445B1 (en) * 2015-12-07 2017-04-05 주식회사 포스코 An apparatus for testing of laminated material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8713U (en) * 1992-09-21 1994-04-15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Adhesive force measuring tool
KR20030029474A (en) 2001-10-03 2003-04-14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Composite apparatus and facsimile apparatus connectable to lan, and control method for lan connection
KR20090084457A (en) * 2008-02-01 2009-08-05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The brick bond strength test mold and will reach and the brick bond strength test brick production method
KR20130016885A (en) * 2011-08-09 2013-02-1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Shear strength measuring apparatus
KR101723445B1 (en) * 2015-12-07 2017-04-05 주식회사 포스코 An apparatus for testing of laminated materi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6218B1 (en) 2020-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29508B2 (en) Testing head of electronic devices
TW201636622A (en) Testing head with vertical probes having an improved sliding movement within respective guide holes and correct holding of the probes within the testing head under different operative conditions
KR20140139295A (en) Device for bonding window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JPH02269536A (en) Method for mounting elongate workpiece on supporter means
US5673477A (en) Method of fabricating probe unit
EP3205437B1 (en) Electrical bonding method and electrical bonding device
KR102086218B1 (en) Materials bonding unit and bonding material tester
JP2007240327A (en) Method of measuring adhering strength
KR101723445B1 (en) An apparatus for testing of laminated material
KR20100088753A (en) Probe structure and probe card having the same
CN110088592B (en) Test jig and test method
KR101086759B1 (en) Jig device for testing adhesive strength
KR20170063568A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the curing behaviour of an adhesive- or sealant bead
EP4198488A1 (en) Fixtures for preparing cross-bonded specimens
KR102143869B1 (en) position modify module for fixing specimen on hydraulic chuck and axial loading tester
KR102390944B1 (en) Improved Device and Method of Measuring Pressure Distribution of Substrates, and Vacuum Bonding Apparatus and Method of Substrates Having the Same
KR20190085352A (en) Apparatus for osculating of heat block and mold
KR10259253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properties of microscopiv specimens
KR100757601B1 (en) Jig for making strip sealer
CN219684398U (en) Stud welding positioning tool
CN215768174U (en) Device for applying uniform stress to film
JP6712919B2 (en) Measuring jig
JP2001281499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optical fiber array and optical fiber array
JP6781064B2 (en) Coating device
KR20150025222A (en) Peel strength measuring apparatus for substra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