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2336A - 조립식 인터락킹 건축 블록 및 인터락킹 블록 건축 시스템 - Google Patents

조립식 인터락킹 건축 블록 및 인터락킹 블록 건축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2336A
KR20190102336A KR1020180022453A KR20180022453A KR20190102336A KR 20190102336 A KR20190102336 A KR 20190102336A KR 1020180022453 A KR1020180022453 A KR 1020180022453A KR 20180022453 A KR20180022453 A KR 20180022453A KR 20190102336 A KR20190102336 A KR 201901023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locking
unit
block
interlocks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24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하얀
Original Assignee
김하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하얀 filed Critical 김하얀
Priority to KR10201800224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02336A/ko
Publication of KR201901023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23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42Walls having cavities between, as well as in, the elements; Walls of elements each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kept in distance by means of spacers, at least one of the parts having cavities
    • E04B2/44Walls having cavities between, as well as in, the elements; Walls of elements each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kept in distance by means of spacers, at least one of the parts having cavities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Spacers for cavity walls
    • E04B2/46Walls having cavities between, as well as in, the elements; Walls of elements each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kept in distance by means of spacers, at least one of the parts having cavities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Spacers for cavity walls by interlocking of projections or inserts with indentations, e.g. of tongues, grooves, dov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42Walls having cavities between, as well as in, the elements; Walls of elements each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kept in distance by means of spacers, at least one of the parts having cavities
    • E04B2/44Walls having cavities between, as well as in, the elements; Walls of elements each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kept in distance by means of spacers, at least one of the parts having cavities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Spacers for cavity walls
    • E04B2/48Walls having cavities between, as well as in, the elements; Walls of elements each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kept in distance by means of spacers, at least one of the parts having cavities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Spacers for cavity walls by filling material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s in small channels in, or in grooves between, the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02Details of connections
    • E04B2002/0204Non-undercut connections, e.g.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04B2002/0226Non-undercut connections, e.g.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with tongues and grooves next to each other on the end su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encing (AREA)

Abstract

조립식 인터락킹 블록은 제1 멤버와 제2 멤버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멤버는 각각 일반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의 토대를 갖는다. 제1 멤버의 인터락은 제1 멤버의 토대의 내측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일정 길이만큼 연장되며 또한 제1 멤버의 토대의 하부면으로부터 상부면을 향하여 일정 높이만큼 연장되고, 일반적으로 ㄱ자 구조를 가진다. 마찬가지로, 제2 멤버의 인터락은 제2 멤버의 토대의 내측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일정 길이만큼 연장되며 또한 제2 멤버의 토대의 하부면으로부터 상부면을 향하여 일정 높이만큼 연장되고, 일반적으로 ㄱ자 구조를 가진다. 제1 멤버와 제2 멤버가 조립될 때, 제1 멤버의 토대의 내측면과 제2 멤버의 토대의 내측면이 서로 마주보게 되며, 또한 제1 멤버의 인터락의 ㄱ자 구조가 제2 멤버의 인터락의 ㄱ자 구조와 맞물림으로써 인터락킹 부분이 형성된다.

Description

조립식 인터락킹 건축 블록 및 인터락킹 블록 건축 시스템{ASSEMBLY INTERLOCKING BUILDING BLOCK AND INTERLOCKING BLOCK CONSTRUCTION SYSTEM}
본 발명은 모르타르 없이 벽을 건축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인터락킹 건축 블록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대칭적 대향 구조를 갖는 한 쌍의 멤버 블록을 조립할 때 멤버 블록 각각에 제공되는 인터락들이 서로 맞물리게 되어 인터락킹 부분을 형성함으로써 건축물의 벽을 축조하게 되는 인터락킹 건축 블록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인터락킹 건축 블록과 연결하여 사용하기 위한 모서리 블록 및 마감 블록에 관한 것이다.
모르타르 없는 벽을 건축하는데 사용되는 인터락킹 건축 블록들은 전형적으로 블록의 상부면에 형성된 돌출부들 및 블록의 하부면에 형성되는 대응하는 리세스들 가지고 있어, 한 블록의 돌출부들은 겹치는 블록의 리세스들에 수용되도록 맞춰지게 됨으로써 층과 층 사이에 고착시키기 위한 모르타르의 필요성을 없애게 된다. 그러한 블록들은 건축물을 건설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건축물을 완성하는데 요구되는 시간을 줄임으로써 건축비를 절감하기 위해 개발국들에서 점차 인기리에 사용되고 있다.
벽이나 다른 건축물을 건설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수직으로 인접하는 블록들은 블록 길이의 1/2 만큼 엇갈리게 배열된다. 편의상 석조 공사에서 사용되는 블록들은 길이 대 폭의 비율이 2:1이므로 모서리에서와 같이 제1 블록이 제2 블록에 대해 가로로 배치되면, 제1 블록은 제2 블록의 길이의 절반을 차지하며 겹치는 블록들 사이의 모듈(module) 관계는 변하지 않게 되고, 그에 따라 일정하면서 미적 외관을 유지하게 된다.
인터락킹 건축 블록과 관련하여 종래 기술들에서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거나 개량한 많은 발명들이 제안되었고 또 그들 중 일부는 특허로 발행되었다. 그러나 종래 기술들은 모두 하나의 일체화된 블록을 전제로 하여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블록들을 서로 맞물리게 만들기 위한 구조로서 블록의 반대되는 두 면의 한 면에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다른 한 면에는 돌출부에 상응하는 리세스를 형성하여, 이들 하나 이상의 돌출부와 리세스가 서로 맞물림(인터락킹)되게 하는 구조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일체화된 인터락킹 건축 블록들을 이용하여 벽을 쌓는 것은 그다지 용이하지 않은 작업이며, 특히 비숙련자들에게는 더욱 그러하다.
나아가 종래의 기술들에 따른 인터락킹 건축 블록들에서는 콘크리트 보강용 철근을 사용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으며, 이것은 인터락킹 건축 블록에 의한 벽 등의 건축물의 내력에 한계로 작용하게 되고, 따라서 일정 높이의 건축물을 건설하는데 장애가 된다.
<문헌 정보> 미국 특허번호 제5,894,702호 미국 특허번호 제6,065,265호 미국 특허번호 7,712,281 B2 미국 특허번호 8,640,407 B2 미국 특허번호 9,416,534 B2
기존의 인터락킹 블록들은 일반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의 블록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와 이에 상응하여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리세스를 서로 맞물리게 함으로써 블록들 사이의 인터락킹을 달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인터락킹 블록들을 이루는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의 블록에 일체적으로 형성이 되므로 인터락킹 블록들의 무게가 비교적 무거우며 그 구조도 복잡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적 복잡성과 무거운 무게로 인해 인터락킹 블록을 다루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며, 따라서 건축 비용면에서도 바람직하지 않다.
종래 인터락킹 블록들에서 수평 및 특히 수직 하중을 지지하기 위해 수평 및 수직 보강 철근을 설치하는 것은 어려운 작업이며, 특히 수평 보강 철근을 설치하는 것은 더더욱 어렵다.
또한 인터락킹 블록들은 대부분 돌이나 콘크리트를 이용해 만들어지기 때문에 그 무게를 줄이는 데에는 한계가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들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립식 인터락킹 블록이 제공되는데, 조립식 인터락킹 블록은 토대와 한 쌍의 인터락을 포함하는 제1 유닛과 토대와 한 쌍의 인터락을 포함하는 제2 유닛을 포함한다. 제1 유닛과 제2 유닛 각각의 토대는 대향하는 외측면 및 내측면, 수평으로 연장되어 대향하는 상부면 및 하부면, 및 상기 외측면과 내측면 및 상기 상부면과 하부면을 가로지르는 한 쌍의 대향 단부면들을 포함한다. 또한 제1 유닛과 제2 유닛 각각의 한 쌍의 인터락들 각각은 서로 이격된 상태로 상기 내측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일정한 두께로 일정 길이만큼 연장되며 또한 상기 하부면으로부터 상기 상부면을 향하여 일정 높이만큼 연장되고, 일반적으로 ㄱ자 구조를 가진다. 제1 유닛과 제2 유닛은 서로 조립되어 조립식 인터락킹 블록이 완성되는데, 조립될 때 제1 유닛의 토대의 내측면과 제2 유닛의 토대의 내측면이 서로 마주보게 되며, 또한 제1 유닛의 한 쌍의 인터락 각각의 ㄱ자 구조가 제2 유닛의 한 쌍의 인터락 각각의 ㄱ자 구조와 맞물림으로써 한 쌍의 인터락킹 부분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가장 주요한 특징은 조립 방식의 인터락킹 건축 블록 및 조립에 의한 인터락킹을 제공하는 것으로, 이것은 두 개의 유닛 또는 멤버들을 조립하여 하나의 인터락킹 블록을 형성함으로써 구현된다.
조립식 인터락킹 건축 블록은 이중 멤버/유닛 인터락킹 블록과 단일 멤버/유닛 인터락킹 블록의 두 가지 유형이 있다. 이중 멤버/유닛 인터락킹 블록은 주 블록으로서 벽과 같은 건축물을 시공할 때 기본 블록으로서 사용된다. 단일 멤버/유닛 인터락킹 블록은 하프 블록(half block)으로서 이중 멤버 블록의 절반 크기이고, 인터락킹 블록들을 수직 방향으로 여러 층을 적층할 때 층과 층 사이에서 인터락킹 블록들이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도록 만들기 위한 목적으로 주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인터락킹 건축 블록이 조립에 의해 얻어지므로 비숙련가도 손쉽게 사용할 수 있으며, 조립 인터락킹 블록을 형성하는 개별 멤버/유닛은 그만큼 가볍고, 그러므로 다루기 용이하다.
또 다른 특징은 조립된 블록들 사이에서도 인터락킹 기능이 제공되는데, 이는 돌출부와 리세스를 개별 멤버/유닛을 형성하는 토대의 대향하는 양단부에 각각 제공함으로써 실현된다. 본 발명의 인터락킹 블록들을 사용하여 건축물의 건설을 위한 층을 쌓고 벽을 형성할 때, 대향하는 양단부에 각각 형성된 돌출부와 리세스가 인접하는 인터락킹 블록의 대향하는 양단부에 형성된 리세스와 돌출부에 대응하여 맞물리게 된다. 따라서 각 층마다 인접하는 블록들은 수평 방향으로 인터락킹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건축물의 심미적 외관이 달성된다. 벽을 쌓기 위해 제1 또는 기저층을 형성한 다음 그 위에 제2 층을 쌓을 때, 단일 멤버/유닛 인터락킹 블록을 적절하게 배치함으로써 수지 방향으로 인접하는 층들 사이의 인터락킹 블록들은 서로 엇갈리게 배치된다. 이는 완성된 벽에 좋은 미적 외관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수직 및 수평 하중에 견고한 벽과 건축물을 제공하게 되는데, 이는 수직 및/또는 수평 보강용 철근을 인터락킹 블록들 내부에 배치함으로써 달성된다. 특히 수평 보강용 철근은 대부분의 종래의 인터락킹 블록들에서는 고려의 대상에서 제외되는데, 그것은 수평 보강용 철근을 배치하는 것이 수직 보강용 철근을 배치하는 것이 구조상 어렵기 때문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조립된 인터락킹 블록들을 가로질러 형성되는 움푹한 부분들을 통해 쉽게 수평 보강용 철근을 배치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두 개의 멤버/유닛을 조립하여 하나의 조립된 인터락킹 블록이 작업 현장에서 실현되는 조립 방식의 인터락킹 건축 블록 및 조립에 의한 인터락킹이 제공되므로, 작업이 용이하고 가볍고 다루기 쉽다. 숙련자뿐만 아니라 비숙련자도 쉽게 본 발명의 인터락킹 블록을 이용하여 벽 등 건축물을 시공할 수 있다.
두 개의 개별 멤버/유닛을 조립함으로써 블록 자테네에서 인터라킹이 얻어지게 되며, 또한 조립된 인터락킹 블록들을 쌓아 형성되는 수평 층 에서도 인접하는 블록들 사이에 인터락킹이 달성된다. 따라서 이중 인터락킹이 제공된다.
건축물의 벽들을 형성하는 인터락킹 블록들의 층들은 수직으로 인접하는 층들 간에 블록들이 서로 엇갈리게 배치됨으로써 심미적으로 우수한 건축물이 제공된다.
수직 및 수평 보강용 철근을 용이하게 각 층마다 배치할 수 있으므로 수직 및 수평 하중에 견고한 건축물이 제공된다.
이러한 여러 가지 특징들은 공사비 절감, 공사기간 단축으로 이어져 누구나 손쉽게 공사할 수 있는 경제적 이익 또한 얻어진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멤버/유닛 인터락킹 블록에 대한 평면도로서, 두 쌍의 멤버들이 서로 조립되어 인터락킹 부분을 형성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2는 도1의 이중 멤버/유닛 인터락킹 블록을 구성하고 있는 두 쌍의 멤버들 중 하부에 위치한 두 개의 멤버들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3은 도1의 이중 멤버/유닛 인터락킹 블록을 구성하고 있는 두 쌍의 멤버들 중 상부에 위치한 두 개의 멤버들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4는 도3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단일 멤버/유닛 인터락킹 블록에 대한 평면도로서, 한 쌍의 멤버/유닛들이 서로 조립되어 인터락킹 부분을 형성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6은 도5의 단일 멤버/유닛 인터락킹 블록을 구성하고 있는 한 쌍의 멤버/유닛들 중 상부에 위치한 멤버/유닛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7은 도5의 멤버/유닛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인터락킹 블록 건축 시스템에 사용하기 적합한 모서리 블록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9는 도8의 사시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인터락킹 블록 건축 시스템에 사용하기 적합한 마감 블록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11은 도10의 사시도이다.
도1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및 단일 멤버/유닛 인터락킹 블록들을 사용하여 건축물의 벽을 형성했을 때, 인터락킹 블록들로 형성된 수직 방향의 이웃 층들의 서로 엇갈리는 배치, 수직 보강용 철근들의 배치, 및 마감 블록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1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및 단일 멤버/유닛 인터락킹 블록들을 사용하여 건축물의 벽을 형성했을 때, 수평 보강용 철근의 배치관계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인터락킹 건축 블록(interlocking buildingblock)은 조립식으로 구현되는데, 이런 조립식 인터락킹 건축 블록은 이중 멤버/유닛 인터락킹 블록(double member/units interlocking block)과 단일 멤버/유닛 인터락킹 블록(single member/unit interlocking block)의 두 가지 유형이 있다. 이중 멤버/유닛 인터락킹 블록은 주 블록(main block)으로서 벽과 같은 건축물을 시공할 때 기본 블록으로서 가장 많이 사용된다. (도1 내지 도4 참조) 단일 멤버/유닛 인터락킹 블록은 하프 블록(half block)으로서 이중 멤버 블록의 절반 크기이고, 인터락킹 블록들을 수직 방향으로 여러 층을 적층할 때 층과 층 사이에서 인터락킹 블록들이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도록 만들기 위한 목적으로 주로 사용된다. (도 5 내지 도7 참조)
이중 멤버/유닛 인터락킹 블록이든 단일 멤버/유닛 인터락킹 블록이든 모두 조립에 의해 인터락킹 블록이 형성되며, 단일 블록은 한 쌍의 멤버들(members)을 포함하며, 이중 블록은 두 쌍의 멤버들을 포함한다.
단일 블록에서든 이중 블록에서든 멤버는 2개 즉 한 쌍이 서로 조립되어 인터락킹 블록을 형성하게 되며, 이렇게 한 쌍을 이루게 되는 멤버들은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서 대칭 관계이다. 그러므로 단일 멤버/유닛 인터락킹 블록에서는, 한 쌍의 멤버들이 조립될 때 멤버들은 대칭의 중심을 중심으로 180도 회전시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서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인터락킹 부분을 형성하게 된다. 반면, 이중 멤버/유닛 인터락킹 블록에서는, 두 쌍의 멤버들이 조립되게 되며, 4개의 멤버들은 각각의 대칭의 중심을 중심으로 180도 회전시 2개씩 각각 한 쌍이 되어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서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인터락킹 부분들을 형성하게 된다. 즉 이중 블록에서는 2개의 인터락킹 부분들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터락킹 블록들은 단일이든 이중이든 멤버들이 서로 조립될 때 인터락킹이 달성되는데 이는 블록 내부에서 발생하는 인터락킹이다. 이를 편의상 내부적 또는 조립 인터락킹이라 부를 수 있을 것이다.
다른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인터락킹 블록 건축 시스템은 이중 멤버 인터락킹 블록(도1-도4), 단일 멤버 인터락킹 블록(도5-도7), 모서리 인터락킹 블록(도8과 도9), 및 마감 인터락킹 블록(도10과 도11)을 포함한다.
여기서 주목할 점은, 이하의 설명에서 명확해지겠지만, 이중 멤버/유닛 인터락킹 블록과 단일 멤버/유닛 인터락킹 블록에서는 각각 위에서 언급한 내부적 인터락킹이 제공된다.
또한 이중 멤버/유닛 블록들과 이중 멤버/유닛 블록들 사이에서도 인터락킹이 제공되며, 단일 멤버/유닛 블록들과 단일 멤버/유닛 블록들 사이에서도 인터락킹이 제공되며, 나아가 이중 멤버/유닛 블록들과 단일 멤버/유닛 블록들 사이에서도 인터락킹이 제공된다. 그리고 또한 이중 멤버 블록 및/또는 단일 멤버 블록과 모서리 인터락킹 블록 및/또는 마감 인터락킹 블록 사이에서도 인터락킹이 제공된다. 앞의 내부적 인터락킹 기능에 대비하여 이들 인터락킹들은 편의상 외부적 또는 블록간 인터락킹이라 부를 수 있을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르면 이중 인터락킹 기능이 제공된다. 하나는 멤버들이 쌍을 이루어 조립될 때 발생하는 내부적 또는 조립 인터락킹이며, 다른 하나는 블록들 사이에 발생하는 외부적 또는 블록간 인터락킹이다.
이제 도1 내지 도4를 참조하여 이중 멤버/유닛 인터락킹 블록에 대해 설명한다. 이중 멤버/유닛 인터락킹 블록(10)은 두 쌍의 멤버들(20, 20′: 21, 21′)을 포함한다. 두 쌍의 멤버들(20, 20′: 21, 21′) 각각은 대칭의 중심을 중심으로 180도 회전시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서 대칭적인 관계에 있다. 공통으로 형성된 토대(30, 30′)의 중간 위치를 기준으로 할 때, 두 쌍의 멤버들(20, 20′: 21, 21′) 중 한 쌍의 멤버들(20, 20′)은 토대(30, 30′)와 인터락(40, 40′)으로 구성되며 다른 한 쌍의 멤버들(21, 21′)도 같은 구조인 토대(30, 30′)와 인터락(41, 41′)으로 구성되며, 한 쌍의 멤버들(20, 20′)은 공통 토대(30, 30′)의 왼쪽에 다른 한 쌍의 멤버들(21, 21′)은 공통 토대(30, 30′)의 오른쪽에 각각 배치된다.
이와 같이 쌍을 이루는 멤버들(20, 20′ 또는 21, 21′) 각각은 서로 같은 구성요소들로 형성되며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각각의 멤버 쌍(20, 20′) 또는(21, 21′)을 형성하고 있는 토대(서로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된 공통 토대임)(30, 30′)와 인터락들(멤버 쌍 20, 20′에서는 40과 40′: 멤버 쌍 21, 21′에서는 41과 41′)은 대칭의 중심을 중심으로 180ㅀ 회전 상태에서 서로 대칭적인 관계를 유지하며 맞물림 즉 인터락킹이 발생한다. 그러므로 이하에서는 설명과 이해의 복잡성을 피하고 편의를 위해 두 쌍의 멤버들(20, 20′: 21, 21′)이 서로 분리된 상태를 중심으로 설명을 진행한다.
멤버(20, 20′, 21, 또는 21′)는 어떤 멤버이든 토대(30 또는 30′)와 인터락(40, 40′, 41, 또는 41′)을 포함한다. 토대(30, 30′)는 서로 일체로 형성되므로 멤버들(20과 21, 또는 20′와 21′)은 토대(30 또는 30′)를 공유하게 된다. 바꾸어 말하면, 각각 한 쌍을 이루는 멤버들(20, 20′ 또는 21, 21′)에 각각 형성되는 인터락(40과 41, 또는 40′와 41′)은 일체로 형성된 토대(30 또는 30′) 위에 적절한 간격을 유지한 채 형성된다.
멤버에 대한 설명과 이해의 편의를 위해 멤버들(20, 20′, 21, 또는 21′) 가운데 하나의 멤버(20)를 특정하여 설명한다.
멤버(20)는 토대(30)와 인터락(40)을 포함한다. 토대(30)는 제1 대향 면 또는 외측면(도면에서)(32) 및 제2 대향 면 또는 내측면(역시 도면에서. 이하 같음)(33), 그리고 제1 또는 좌측 및 제2 또는 우측 대향 단부면들(36, 37)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대향 단부면들(36, 37)은 제1 및 제2 대향 면들(32, 33)로부터 연장된다. 토대(30)는 또한 실질적으로 편평한 제1 대향 면(상부면) 및 제2 대향 면(하부면)(34, 35)을 포함한다. 멤버(20)의 토대(30)에는 2개의 채널(38)이 상부면(34)과 하부면(35) 사이에서 연장되어 형성된다. 토대(30)는 일반적으로 직사각형 형태를 취한다.
멤버(30)의 인터락(40)은 크로스바(cross bar)(42)와 연장부(44)를 포함한다. 크로스바(42)는 제2 면(내측면)(33)으로부터 수직으로 일정한 두께로 일정 길이만큼 연장된다. 크로스바(42)는 또한 편평하고 대향하는 하부면(35)으로부터 상부면(34)을 향하여 일정 높이만큼 연장되는데, 상부면(34)보다는 어느 정도 낮게 형성되어 토대(30)와 인터락(40)의 상부면 사이에는 움푹한 부분이 제공된다. 이처럼 크로스바(42)가 상부면(42) 보다 낮게 형성이 되는 것은 후술하는 수평 보강용 철근(도13 도면번호 161)의 두께를 고려하여 정해지게 된다.
인터락(40)의 연장부(44)는 크로스바(42)의 자유 단부로부터 직각 방향으로(직교하여) 일정 길이 연장되며, 크로스바(42)와 같은 높이로 연장된다. 토대(30)의 내측면(33)과 크로스바(42)와 연장부(44) 사이에는 결합 리세스(46)가 형성된다.
여기서, 토대(30)에 제공되는 한 쌍의 인터락(40, 41)은 서로 이격되어 일반적으로 "ㄱ자" 형상의 구조로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ㄱ"자 형상이란 "ㄱ"자를 이루는 가로 성분과 세로 성분이 서로 직교하여 만날 수도 있으며, 아니면 쐐기나 갈고리와 같은 예각으로 만날 수도 있으며, 또는 둔각으로 만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멤버(20)와 멤버(21) 각각의 토대는 서로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되므로 2개의 멤버(20, 21)는 공통 토대(30)를 가지게 된다. 멤버들(20, 21) 각각의 토대가 분리되어 있다고 가정하는 경우, 멤버(20)의 크로스바(42)는 자신의 토대의 좌측 단부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져 내측면(33)으로부터 연장되고 멤버(21)의 크로스바(42)는 자신의 토대의 좌측 단부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내측면(33)으로부터 연장될 것이다. 그러나 멤버들(20, 21)은 공통으로 토대(30)를 가지므로 토대(30)에는 2개의 멤버(20, 21)가 배치되고, 멤버(20)의 인터락(40)의 크로스바(42)는 토대(30)의 좌측 단부면(36)으로부터 일정거리 떨어져 형성되며 멤버(21)의 인터락(41)의 크로스바(43)는 토대(30)의 중간 부근, 즉 중심선으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져 형성된다. 그리고 멤버(20)의 인터락(40)의 연장부(44)와 멤버(21)의 인터락(41)의 연장부(45)는 토대(30)의 좌측 단부면(36)으로부터 대향하는 우측 단부면(37) 방향으로 연장된다.
멤버(20)의 좌우측에는 각각 자유 공간(52, 50)이 제공되며, 멤버(21)의 좌우측에도 같은 자유 공간(53, 50)이 제공된다. 나머지 멤버들(20′, 21′)에서도 마찬가지로 공간들이 제공된다.
이중 멤버/유닛 인터락킹 블록(10)을 형성하는 2개의 멤버(20, 21)는 방금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구성과 구조를 갖는다. 2개의 멤버(20, 21)와 점대칭 관계에 있는 나머지 2개의 멤버(20′, 21′) 각각은 멤버들(20, 21)과 동일한 구성과 구조를 가지고 있으나 다만 구성요소들이 배치되는 방향에 있어서는 서로 반대 방향이 될 것이다. 이것은 이하의 설명에서 언급되는 구성요소들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도 1 내지 4에서, 멤버들(20, 21)의 상부 토대(30)에는 2개의 인터락(40, 41)이 제공되어 제1 또는 상부 유닛(12)을 형성하며, 멤버들(20′, 21′)의 하부 토대(30′)에는 2개의 인터락(40′, 41′)이 제공되어 제2 또는 하부 유닛(14)을 형성한다. 제1 및 제2 유닛(12, 14)도 마찬가지로 점대칭 관계에 있다. 그러므로 위에서 멤버와 관련하여 설명한 사항들은 적절하게 제1 및 제2 유닛에도 적용될 것이다.
제1 및 제2 유닛(12, 14)을 서로 조립할 때, 멤버(20)의 인터락(40)과 멤버(20′)의 인터락(40′)은 서로 맞물리게 되어 인터락킹 부분을 형성하며, 같은 방법으로 멤버(21)의 인터락(41)과 멤버(21′)의 인터락(41′)은 서로 맞물리게 되어 인터락킹 부분을 형성한다. 즉 멤버(20)의 인터락(40)에 제공된 결합 리세스(46)에는 멤버(20′)의 인터락(40′)에 제공된 연장부(44′)가 수용되고 멤버(20′)의 인터락(40′)에 제공된 결합 리세스(46′)에는 멤버(20)의 인터락(40)에 제공된 연장부(44)가 수용됨으로써 인터락킹 부분이 형성된다. 같은 방법으로 멤버(21)의 인터락(41)에 제공된 결합 리세스(47)에는 멤버(21′)의 인터락(41′)에 제공된 연장부(45′)가 수용되고 멤버(21′)의 인터락(41′)에 제공된 결합 리세스(47′)에는 멤버(21)의 인터락(41)에 제공된 연장부(45)가 수용됨으로써 인터락킹 부분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1 유닛(12)과 제2 유닛(14)이 서로 조립되어 결합될 때, 4개의 멤버들(20, 20′, 21, 21′) 사이에는 2개의 인터락킹 부분이 발생되어 이중 멤버/유닛 인터락킹 블록(10)이 형성된다. 이를 앞서 언급했듯이 내부적 또는 조립 인터락킹이라 부를 수 있을 것이다.
제1 및 제2 유닛(12, 14)을 서로 조립할 때, 이웃하는 인터락들, 즉 멤버(21) 또는 상부 유닛(12)의 인터락(41)과 멤버(20′) 또는 하부 유닛(14)의 인터락(40′) 사이에는 각각의 공간(50)의 만남에 의해 형성되는 중앙 공동이 제공된다. 또한 두 개의 유닛(12, 14)을 조립할 때, 자유 공간들(52, 53)은 각각 제1 또는 좌측 공동과 제2 또는 우측 공동을 형성한다. 중앙 공동은 후술하는 수직 보강용 철근(도12 도면번호 160)을 그 내부에 수용하는 기능 및 레미콘을 그 내부에 충전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제1 및 제2 공동은 레미콘을 그 내부에 충전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멤버들(20, 20′, 21, 21′) 또는 제1 및 제2 유닛(12, 14)이 서로 조립되어 인터락킹될 때, 중앙 공동에는 수직 보강용 철근(도12, 160) 및 레미콘이 수용되고 제1 및 제2 공동에는 레미콘이 충전된다. 수직 및 수평 보강용 철근(도12와 도13, 160, 161)은 건설된 건축물의 내력 강도를 향상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며, 레미콘은 조립된 이중 멤버/유닛 인터락킹 블록들(10) 각각의 내부를 충전할 뿐만 아니라(중앙 공동 및 채널들(38)을 통해) 또한 이웃하는 인터락킹 블록(10)과 인터락킹 블록(10)을 서로 접착시켜 결합되게 한다.
멤버들(20, 21) 또는 상부 유닛(12)의 토대(30)는 우측 단부면(37)에 형성된 돌출부(48)와 좌측 단부면(36)에 형성된 단부 리세스(49), 및 개구들(31)을 더 포함한다. 멤버들(20′, 21′) 또는 하부 유닛(14)의 토대(30′)는 좌측 단부면(36′)에 형성된 돌출부(48′)와 우측 단부면(37′)에 형성된 단부 리세스(49′), 및 개구들(도시 않음)을 더 포함한다. 단부 돌출부들(48, 48′)과 단부 리세스들(49, 49′)은 이중 멤버/유닛 인터락킹 블록을 이용하여 건축물의 벽을 쌍을 때 같은 층을 형성하는 인터락킹 블록과 인터락킹 블록 사이에 인터락킹을 제공한다. 위에서 언급했듯이 이를 외부적 또는 블록간 인터락킹이라 한다.
개구들(31)은 멤버들(20, 21) 또는 상부 유닛(12)에 제공된 4개의 채널들(38) 각각에 형성된다. 개구들(31) 각각은 인터락들(40, 41)의 상부면과 같은 평면 상에 있도록 형성된다. 앞서 언급했듯이 수평 보강용 철근(도12, 161)을 수용하도록 인터락들(40, 41)의 상부면은 토대(30)의 상부면(34) 보다 다소 낮게 형성이 되어 움푹한 부분이 제공된다. 이들 개구들(31)은 이중 멤버/유닛 인터락킹 블록들을 이용하여 벽을 쌍은 다음 레미콘으로 채널들(38)을 포함하여 인터락킹 블록의 내부를 충전할 때, 레미콘이 채널들(38) 내부로 잘 충전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멤버들(20, 21) 또는 상부 유닛(12)의 인터락(40, 41)의 연장부들(44, 45) 각각에는 연장부들(44, 45) 각각의 상부면으로부터 토대(30)의 상부면(34)과 동일 평면까지 연장되는 직립부들(54, 55)이 제공된다. 직립부들(54, 55)은 이중 멤버/유닛 인터락킹 블록들을 이용하여 벽을 형성할 때 층과 층 사이에 배치되는 인터락킹 블록들이 기울어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멤버들(20, 21) 또는 상부 유닛(12)의 인터락들(40, 41) 각각의 크로스바(42, 43)에는 보강부(59, 59′)가 더 형성되며, 토대(30)의 양단에는 경사부(58)가 더 형성된다. 경사부들(58)은 후술하는 마감재와의 인터락킹을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이제 도5 내지 도7을 참조하여 단일 멤버/유닛 인터락킹 블록에 대해 설명한다. 단일 멤버/유닛 인터락킹 블록(60)은 한 쌍의 멤버들 또는 유닛들(70, 70′)을 포함한다. 한 쌍의 멤버들(70, 70′)은 대칭의 중심을 중심으로 180도 회전시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서 대칭적인 관계에 있다. 한 쌍의 멤버들(70, 70′) 각각은 토대(80, 80′)와 인터락(90, 90′)을 포함한다.
멤버 또는 유닛(70, 70′)은 서로 같은 구성요소와 구조를 가지고 서로 대칭관계에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설명과 이해의 편의를 위해 한 쌍의 멤버들/유닛들(70, 70′) 가운데 하나의 멤버/유닛(70)에 중점을 두고 설명한다.
멤버 또는 유닛(70)은 토대(80)와 인터락(90)을 포함한다. 토대(80)는 제1 대향 면 또는 외측면(도면에서)(82) 및 제2 대향 면 또는 내측면(역시 도면에서. 이하 같음)(83), 그리고 제1 또는 좌측 및 제2 또는 우측 대향 단부면들(84, 85)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단부면들(84, 85)은 제1 및 제2 대향 면들(82, 83)로부터 연장된다. 토대(80)는 또한 실질적으로 편평한 제1 대향 면(상부면) 및 제2 대향 면(하부면)(86, 87)을 포함한다. 멤버 또는 유닛(70)의 토대(80)에는 2개의 채널(88)이 상부면(86)과 하부면(87) 사이에서 연장되어 형성된다. 토대(80)는 일반적으로 직사각형 형태를 취한다.
멤버 또는 유닛(70)의 인터락(90)은 크로스바(92)와 연장부(94)를 포함한다. 크로스바(92)는 제2 대향 면(내측면)(83)으로부터 수직으로 일정한 두께로 일정 길이만큼 연장된다. 크로스바(92)는 또한 편평하고 대향하는 하부면(87)으로부터 상부면(86)을 향하여 일정 높이만큼 연장되는데, 상부면(86)보다는 어느 정도 낮게 형성되어 토대(80)와 인터락(90)의 상부면 사이에는 움푹한 부분이 제공된다. 이처럼 크로스바(42)가 상부면(42) 보다 낮게 형성이 되는 것은 후술하는 수평 보강용 철근(도13 도면번호 161)의 두께를 고려하여 정해지게 된다.
인터락(90)의 연장부(94)는 크로스바(92)의 자유 단부로부터 직각 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며, 크로스바(92)와 같은 높이로 연장된다. 토대(80)의 내측면(83)과 크로스바(92)와 연장부(94) 사이에는 결합 리세스(96)가 형성된다.
여기서 유념할 것은, 토대(80)에 제공되는 한 쌍의 인터락(90, 90′)은 서로 이격되어 일반적으로 "ㄱ자" 형상의 구조로 형성된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ㄱ"자 형상이란 "ㄱ"자를 이루는 가로 성분과 세로 성분이 서로 직교하여 만날 수도 있으며, 아니면 쐐기나 갈고리와 같은 예각으로 만날 수도 있으며, 또는 둔각으로 만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멤버 또는 유닛(70)의 좌우측에는 각각 자유 공간(106, 108)이 제공되며, 멤버(70′)의 좌우측에도 마찬가지로 자유 공간(도시 않음)이 제공된다.
단일 멤버/유닛 인터락킹 블록(60)을 형성하는 2개의 멤버/유닛(70, 70′)은 방금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구성과 구조를 갖는다. 2개의 멤버/유닛(70, 70′)은 점대칭 관계에 있으므로 양자의 구성과 구조는 동일하나 다만 구성요소들이 배치되는 방향에 있어서는 서로 반대 방향이 될 것이다. 이것은 이하의 설명에서 언급되는 구성요소들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도5-7에서, 멤버(70)의 토대(80)에는 1개의 인터락(90)이 제공되어 제1 유닛을 형성하며, 멤버(70′)의 토대(80′)에는 1개의 인터락(90′)이 제공되어 제2 하부 유닛을 형성한다.
제1 및 제2 유닛, 즉 멤버(70)와 멤버(70′)를 서로 조립할 때, 멤버(70)의 인터락(90)과 멤버(70′)의 인터락(90′)은 서로 맞물리게 되어 인터락킹 부분을 형성한다. 즉 멤버(70)의 인터락(90)에 제공된 결합 리세스(96)에는 멤버(70′)의 인터락(90′)에 제공된 연장부(94′)가 수용되고 멤버(70′)의 인터락(90′)에 제공된 결합 리세스(96′)에는 멤버(70)의 인터락(90)에 제공된 연장부(94)가 수용됨으로써 인터락킹 부분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1 유닛 즉 멤버(70)와 제2 유닛 즉 멤버(70′)가 서로 조립되어 결합될 때, 멤버들(70, 70′) 사이에는 1개의 인터락킹 부분이 발생되어 단일 멤버/유닛 인터락킹 블록(60)이 형성된다. 이를 앞서 언급했듯이 내부적 또는 조립 인터락킹이라 부를 수 있을 것이다.
제1 및 제2 유닛, 즉 멤버(70)와 멤버(70′)를 서로 조립할 때, 이웃하는 인터락들, 즉 멤버(70) 즉 상부 유닛의 인터락(90)과 멤버(70′) 즉 하부 유닛의 인터락(90′) 사이에는 각각의 공간(106 또는 108)의 만남에 의해 형성되는 공동이 제공된다. 즉 단일 멤버/유닛 인터락킹 블록(60)을 쌍을 때, 이웃하는 단일 블록들(60) 사이에는 공동이 형성된다. 공동은 후술하는 수직 보강용 철근(도12 도면번호 160)을 그 내부에 수용하거나 또는 레미콘을 그 내부에 충전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멤버들(70, 70′)이 서로 조립되어 인터락킹될 때 형성되는 공동에는 수직 보강용 철근이나 레미콘이 수용됨으로써 건설된 건축물의 내력 강도를 향상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레미콘은 조립된 단일 멤버/유닛 인터락킹 블록들(60) 각각의 내부의 공동을 충전할 뿐만 아니라 또한 이웃하는 인터락킹 블록(60)과 인터락킹 블록(60)을 서로 접착시켜 결합되게 한다.
멤버(70) 또는 유닛의 토대(80)는 우측 단부면(85)에 형성된 단부 돌출부(97)와 좌측 단부면(84)에 형성된 단부 리세스(98), 및 개구들(89)을 더 포함한다. 멤버(70′)에도 같은 방법으로 단부 돌출부, 단부 리세스, 및 개구들이 형성된다. 각각의 단부 돌출부들과 단부 리세스들은 단일 멤버/유닛 인터락킹 블록(60)을 이용하여 건축물의 벽을 쌍을 때 같은 층을 형성하는 인터락킹 블록과 인터락킹 블록 사이에 인터락킹을 제공한다. 위에서 언급했듯이 이를 외부적 또는 블록간 인터락킹이라 한다.
개구들(89)은 멤버(70)에 제공된 2개의 채널들(88) 각각에 형성된다. 개구들(89) 각각은 인터락들(90)의 상부면과 같은 평면 상에 있도록 형성된다. 앞서 언급했듯이 수평 보강용 철근(도13, 161)을 수용하도록 인터락들(90, 90′)의 상부면은 토대(80, 80′)의 상부면(86) 보다 다소 낮게 형성이 되어 움푹한 부분이 제공된다. 이들 개구들(89)은 단일 멤버/유닛 인터락킹 블록들을 이용하여 벽을 쌍은 다음 레미콘으로 채널들(88)을 포함하여 인터락킹 블록의 내부를 충전할 때, 레미콘이 채널들(88) 내부로 잘 충전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멤버(70) 또는 유닛의 인터락(90)의 연장부(94)에는 연장부(44, 45)의 상부면으로부터 토대(80)의 상부면(86)과 동일 평면까지 연장되는 직립부(100)가 제공된다. 직립부(100)는 단일 멤버/유닛 인터락킹 블록들을 이용하여 벽을 형성할 때 층과 층 사이에 배치되는 인터락킹 블록들이 기울어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멤버(70)의 인터락(90)의 크로스바(92)에는 보강부(104)가 더 형성되며, 토대(80)의 양단에는 경사부(102)가 더 형성된다. 경사부들(102)은 후술하는 마감재와의 인터락킹을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이제 도8과 도9를 참조하면, 건축물의 벽을 쌓을 때 같은 층을 이루는 이중 또는 단일 인터락킹 블록들이 서로 직각 방향으로 만나는 부분이 있는 경우 사용하기 위한 모서리 블록(110)이 도시되어 있다. 모서리 블록(110)은 한 쌍의 브랜치(branch)(120, 130)를 포함한다. 브랜치(120)는 제1 대향 면 또는 외측면(122) 및 제2 대향 면 또는 내측면(123), 그리고 단부면(126)을 포함한다. 단부면(126)은 제1 및 제2 대향 면들(122, 123)로부터 연장된다. 브랜치(120)는 또한 실질적으로 편평한 제1 대향 면(상부면) 및 제2 대향 면(하부면)(124, 125)을 포함한다. 브랜치(120)에는 또한 채널(127)이 상부면(124)과 하부면(125) 사이에서 연장되어 형성된다.
브랜치(130)는 제1 대향 면 또는 외측면(132) 및 제2 대향 면 또는 내측면(133), 그리고 단부면(136)을 포함한다. 단부면(136)은 제1 및 제2 대향 면들(132, 133)로부터 연장된다. 브랜치(130)는 또한 실질적으로 편평한 제1 대향 면(상부면) 및 제2 대향 면(하부면)(134, 135)을 포함한다. 브랜치(130)에는 채널(137)이 상부면(134)과 하부면(135) 사이에서 연장되어 형성된다.
브랜치(120)와 브랜치(130)는 서로 직각을 이루어 만나며, 또한 각각의 내측면(123, 133)이 만나는 부분에는 삼각 형상의 빔(140)이 제공된다. 브랜치(120)와 브랜치(130)가 교차하는 부분에는 서로 직각으로 교차하는 "ㄱ자" 모양의 채널(135)이 형성된다. 빔(140)의 상부면은 브랜치(120)의 상부면(124) 및 브랜치(130)의 상부면(134) 보다 다소 낮게 형성이 되어 움푹한 부분이 제공된다. 채널들(127, 137) 각각에는 개구(129, 139)가 형성되며 채널(135)에도 개구가 형성되는데, 개구들은 빔(140)의 상부면과 같은 평면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도10과 도11은 적층된 수평 층들의 좌우 양 단부를 마감하기 위한 마감 블록(150)을 도시하고 있다. 마감 블록(150)은 적층된 수평 층들 각각의 양 단부에 배치되어 마감하는 밀폐부(152) 및 밀폐부(152)의 내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마름모 형상의 융기부(154)를 포함한다. 밀폐부(152)의 한쪽 단부 부근에는 돌출부(156)가 형성되고 대향 단부 부근에는 리세스(158)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인터락킹 블록들(10, 60, 110, 150)을 사용하는 조립식 인터락킹 블록 건축 시스템에서, 이중 멤버/유닛 인터락킹 블록(10)은 두 쌍의 멤버들(20, 20′; 21, 21′) 혹은 한 쌍의 상부 및 하부 유닛(12, 14)이 서로 조립되어 인터락킹 블록을 형성한다. 한편 단일 멤버/유닛 인터락킹 블록(60)은 한 쌍의 멤버 또는 유닛(70, 70′)이 서로 조립되어 인터락킹 블록을 형성한다. 이처럼 조립된 이중 또는 단일 멤버/유닛 인터락킹 블록들(10, 60)을 사용하여 건축물의 벽을 쌓을 때, 이웃하는 인터락킹 블록들은 이중 인터락킹 블록이든 단일 인터락킹 블록이든, 돌출부와 리세스 사이에서 인터락킹이 발생되어 서로 결합된다. 즉, 이중 멤버/유닛 인터락킹 블록(10)은 돌출부(48)와 단부 리세스(49)가, 단일 멤버/유닛 인터락킹 블록(60)에서는 돌출부(97)와 단부 리세스(98)가 인터락킹 블록과 인터락킹 블록을 연결시켜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인터락킹 블록들(10, 60)에 형성되는 돌출부들(48, 97)과 리세스들(49, 98)을 이용하여 인터락킹 블록들을 서로 연결시키는 구성은 모서리 블록(110)과 마감 블록(150)에도 그대로 적용된다. 그러므로 모서리 블록(110)과 인터락킹 블록들(10, 60)도 돌출부들(48, 97)과 리세스들(49, 98), 및 돌출부(128)와 리세스(138)의 상호 맞물림에 의해 블록들 사이에 인터락킹이 발생한다. 같은 방법으로, 인터락킹 블록들(10, 60)과 마감 블록(150) 사이의 인터락킹은 돌출부들(48, 97)과 리세스들(49, 98), 및 돌출부(156)와 리세스(158)의 상호 맞물림에 의해 달성된다. 다만, 마감 블록(150)의 경우마름모 형상의 융기부(154)가, 이중 유닛 인터락킹 블록(10)에서는 상부 유닛(12)과 하부 유닛(14) 각각의 양단부에 형성된 경사부들(58)사이에 끼워 맞춤되고 단일 유닛 인터락킹 블록에서는 유닛들(70, 70′) 각각의 양단부에 형성된 경사부들(102)에 끼워 맞춤되어, 벽의 단부를 밀폐시키게 된다.
도1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및 단일 멤버/유닛 인터락킹 블록들(10, 60)을 사용하여 건축물의 벽을 형성했을 때, 이중 유닛 인터락킹 블록들(10)과 단일 유닛 인터락킹 블록들(60)을 사용하여 어떻게 벽의 수평 층들을 형성하며, 어떻게 수직 방향의 이웃 층들을 서로 엇갈리게 배치하는가를 보여준다. 그리고 직각으로 굴절된 벽의 양쪽 단부에 인터락킹된 마감 블록들(150)을 보여준다. 도12에서 각각의 인터락킹 블록들(10, 60, 150)과 수직 보강용 철근들 사이에는 레미콘이 충전되어 있다.
도1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및 단일 멤버/유닛 인터락킹 블록들(10, 60)을 사용하여 건축물의 벽을 형성했을 때, 수평 보강용 철근(161)의 배치관계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화와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0 : 이중 멤버/유닛 인터락킹 블록 12 : 상부 유닛
14 : 하부 유닛 20, 20′, 21, 21′ : 멤버
30 : 토대 40, 41 : 인터락
42, 43 : 크로스바 44, 45 : 연장부
46, 47 : 결합 리세스 48 : 돌출부
70 : 멤버/유닛 80 : 토대
90 : 인터락 92 : 크로스바

Claims (22)

  1. 토대와 한 쌍의 인터락을 포함하는 제1 유닛;
    상기 토대는 대향하는 외측면 및 내측면, 수평으로 연장되어 대향하는 상부면 및 하부면, 및 상기 외측면과 내측면 및 상기 상부면과 하부면을 가로지르는 한 쌍의 대향 단부면들을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인터락 각각은 서로 이격된 상태로 상기 내측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일정한 두께로 일정 길이만큼 연장되며 또한 상기 하부면으로부터 상기 상부면을 향하여 일정 높이만큼 연장되고, 일반적으로 ㄱ자 구조를 가지며;
    토대와 한 쌍의 인터락을 포함하는 제2 유닛;
    상기 제2 유닛의 상기 토대는 대향하는 외측면 및 내측면, 수평으로 연장되어 대향하는 상부면 및 하부면, 및 상기 외측면과 내측면 및 상기 상부면과 하부면을 가로지르는 한 쌍의 대향 단부면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유닛의 상기 한 쌍의 인터락 각각은 서로 이격된 상태로 상기 제2 유닛의 상기 토대의 상기 내측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일정한 두께로 일정 길이만큼 연장되며 또한 상기 제2 유닛의 상기 토대의 상기 하부면으로부터 상기 상부면을 향하여 일정 높이만큼 연장되고, 일반적으로 ㄱ자 구조를 가지며; 및
    여기서, 상기 제1 유닛과 상기 제2 유닛이 서로 조립될 때, 상기 제1 유닛의 상기 토대의 상기 내측면과 상기 제2 유닛의 상기 토대의 상기 내측면이 서로 마주보게 되며, 또한 상기 제1 유닛의 상기 한 쌍의 인터락 각각의 ㄱ자 구조가 상기 제2 유닛의 상기 한 쌍의 인터락 각각의 ㄱ자 구조와 맞물림으로써 한 쌍의 인터락킹 부분이 형성되는 것; 을 포함하는 조립식 인터락킹 건축 블록 및 인터락킹 블록 건축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닛의 상기 한 쌍의 인터락의 상기 ㄱ자 구조들 중 상기 제1 유닛의 상기 토대의 상기 내측면과 평행한 성분들이 서로 같은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유닛의 상기 한 쌍의 인터락의 상기 ㄱ자 구조들 중 상기 제2 유닛의 상기 토대의 상기 내측면과 평행한 성분들이 서로 같은 방향으로 형성되는, 조립식 인터락킹 건축 블록 및 인터락킹 블록 건축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닛의 상기 한 쌍의 인터락과 상기 제2 유닛의 상기 한 쌍의 인터락이 서로 점대칭인, 조립식 인터락킹 건축 블록 및 인터락킹 블록 건축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닛의 상기 한 쌍의 인터락 각각이 상기 제1 유닛의 상기 토대의 상기 내측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는 크로스바 및 상기 크로스바의 자유 단부로부터 직교하여 상기 크로스바와 같은 높이로 일정 길이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유닛의 상기 한 쌍의 인터락 각각이 상기 제2 유닛의 상기 토대의 상기 내측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는 크로스바 및 상기 크로스바의 자유 단부로부터 직교하여 상기 크로스바와 같은 높이로 일정 길이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조립식 인터락킹 건축 블록 및 인터락킹 블록 건축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닛의 상기 한 쌍의 인터락의 상기 연장부들이 같은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2 유닛의 상기 한 쌍의 인터락의 상기 연장부들이 같은 방향으로 연장되는, 조립식 인터락킹 건축 블록 및 인터락킹 블록 건축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닛의 상기 한 쌍의 인터락과 상기 제2 유닛의 상기 한 쌍의 인터락이 서로 점대칭인, 조립식 인터락킹 건축 블록 및 인터락킹 블록 건축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닛의 상기 인터락들 각각과 상기 제2 유닛의 상기 인터락들 각각이 맞물림으로써 형성되는 상기 인터락킹 부분들 사이에는 공동이 형성되는, 조립식 인터락킹 건축 블록 및 인터락킹 블록 건축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에는 수직 보강용 철근이 수용되는, 조립식 인터락킹 건축 블록 및 인터락킹 블록 건축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닛의 상기 인터락들이 상기 제1 유닛의 상기 토대의 상기 상부면보다 다소 낮게 형성됨으로써, 또한 상기 제2 유닛의 상기 인터락들이 상기 제2 유닛의 상기 토대의 상기 상부면보다 다소 낮게 형성됨으로써, 움푹한 부분이 형성되는, 조립식 인터락킹 건축 블록 및 인터락킹 블록 건축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움푹한 부분에는 수평 보강용 철근이 수용되는, 조립식 인터락킹 건축 블록 및 인터락킹 블록 건축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닛의 상기 인터락들 각각과 상기 제2 유닛의 상기 인터락들 각각이 맞물림으로써 형성되는 상기 인터락킹 부분들 사이에 공동이 형성되며, 상기 인터락킹 부분들의 좌우에 상기 제1 및 제2 유닛의 단부면들과의 관계에서 각각 하나의 공간이 형성되는, 조립식 인터락킹 건축 블록 및 인터락킹 블록 건축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닛의 상기 토대가 그 내부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채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유닛의 상기 토대가 그 내부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채널을 더 포함하는, 조립식 인터락킹 건축 블록 및 인터락킹 블록 건축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닛의 상기 채널과 상기 제1 유닛의 상기 내측면 사이에 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제2 유닛의 상기 채널과 상기 제2 유닛의 상기 내측면 사이에 개구가 형성되는, 조립식 인터락킹 건축 블록 및 인터락킹 블록 건축 시스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닛의 상기 토대의 상기 단부면들 중 하나에 돌출부가 형성되고 다른 단부면에는 리세스가 형성되며, 상기 제2 유닛의 상기 토대의 상기 단부면들 중 상기 제1 유닛의 상기 토대에 형성된 상기 리세스와 대향하는 하나에 돌출부가 형성되고 다른 단부면에는 리세스가 형성되는, 조립식 인터락킹 건축 블록 및 인터락킹 블록 건축 시스템.
  15. 토대와 인터락을 포함하는 제1 멤버;
    토대와 인터락을 포함하는 제2 멤버;
    상기 제1 멤버의 상기 토대는 대향하는 외측면 및 내측면, 수평으로 연장되어 대향하는 상부면 및 하부면, 및 상기 외측면과 내측면 및 상기 상부면과 하부면을 가로지르는 한 쌍의 대향 단부면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멤버의 상기 인터락은 상기 제1 멤버의 상기 토대의 상기 내측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일정 길이만큼 연장되며 또한 상기 제1 멤버의 상기 토대의 상기 하부면으로부터 상기 상부면을 향하여 일정 높이만큼 연장되고, 일반적으로 ㄱ자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제2 멤버의 상기 토대는 대향하는 외측면 및 내측면, 수평으로 연장되어 대향하는 상부면 및 하부면, 및 상기 외측면과 내측면 및 상기 상부면과 하부면을 가로지르는 한 쌍의 대향 단부면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멤버의 상기 인터락은 상기 제2 멤버의 상기 토대의 상기 내측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일정 길이만큼 연장되며 또한 상기 제2 멤버의 상기 토대의 상기 하부면으로부터 상기 상부면을 향하여 일정 높이만큼 연장되고, 일반적으로 ㄱ자 구조를 가지며; 및
    여기서, 상기 제1 멤버와 상기 제2 멤버가 조립될 때, 상기 제1 멤버의 상기 토대의 상기 내측면과 상기 제2 멤버의 상기 토대의 상기 내측면이 서로 마주보게 되며, 또한 상기 제1 멤버의 상기 인터락의 상기 ㄱ자 구조가 상기 제2 멤버의 상기 인터락의 상기 ㄱ자 구조와 맞물림으로써 인터락킹 부분이 형성되는 것;
    을 포함하는 조립식 인터락킹 건축 블록 및 인터락킹 블록 건축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멤버의 상기 인터락과 상기 제2 멤버의 상기 인터락이 서로 점대칭인, 조립식 인터락킹 건축 블록 및 인터락킹 블록 건축 시스템.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멤버의 상기 인터락이 상기 제1 멤버의 상기 토대의 상기 내측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는 크로스바 및 상기 크로스바의 자유 단부로부터 직교하여 상기 크로스바와 같은 높이로 일정 길이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멤버의 상기 인터락이 상기 제2 멤버의 상기 토대의 상기 내측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는 크로스바 및 상기 크로스바의 자유 단부로부터 직교하여 상기 크로스바와 같은 높이로 일정 길이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조립식 인터락킹 건축 블록 및 인터락킹 블록 건축 시스템.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멤버의 상기 인터락이 상기 제1 멤버의 상기 토대의 상기 상부면보다 다소 낮게 형성됨으로써, 또한 상기 제2 멤버의 상기 인터락이 상기 제2 멤버의 상기 토대의 상기 상부면보다 다소 낮게 형성됨으로써, 움푹한 부분이 형성되는, 조립식 인터락킹 건축 블록 및 인터락킹 블록 건축 시스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움푹한 부분에는 수평 보강용 철근이 수용되는, 조립식 인터락킹 건축 블록 및 인터락킹 블록 건축 시스템.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락킹 부분의 좌우에 상기 제1 및 제2 멤버의 단부면들과의 관계에서 각각 하나의 공간이 형성되는, 조립식 인터락킹 건축 블록 및 인터락킹 블록 건축 시스템.
  21.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멤버의 상기 토대가 그 내부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채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멤버의 상기 토대가 그 내부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채널을 더 포함하는, 조립식 인터락킹 건축 블록 및 인터락킹 블록 건축 시스템.
  22.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멤버의 상기 토대의 상기 단부면들 중 하나에 돌출부가 형성되고 다른 단부면에는 리세스가 형성되며, 상기 제2 멤버의 상기 토대의 상기 단부면들 중 상기 제1 멤버의 상기 토대에 형성된 상기 리세스와 대향하는 하나에 돌출부가 형성되고 다른 단부면에는 리세스가 형성되는, 조립식 인터락킹 건축 블록 및 인터락킹 블록 건축 시스템.
KR1020180022453A 2018-02-25 2018-02-25 조립식 인터락킹 건축 블록 및 인터락킹 블록 건축 시스템 KR201901023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2453A KR20190102336A (ko) 2018-02-25 2018-02-25 조립식 인터락킹 건축 블록 및 인터락킹 블록 건축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2453A KR20190102336A (ko) 2018-02-25 2018-02-25 조립식 인터락킹 건축 블록 및 인터락킹 블록 건축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2336A true KR20190102336A (ko) 2019-09-04

Family

ID=67950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2453A KR20190102336A (ko) 2018-02-25 2018-02-25 조립식 인터락킹 건축 블록 및 인터락킹 블록 건축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02336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94702A (en) 1997-05-01 1999-04-20 Newtec Building Products Inc. Interlocking building block
US6065265A (en) 1997-05-01 2000-05-23 Newtec Building Products Inc. Corner and end block for interlocking building block system
US7712281B2 (en) 2003-01-09 2010-05-11 Allan Block Corporation Interlocking building block
US8640407B2 (en) 2012-06-13 2014-02-04 King Saud University Masonry building block and interlocking wall system incorporating such blocks
US9416534B2 (en) 2013-02-15 2016-08-16 Andrew Kovitch Interlocking block construction system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94702A (en) 1997-05-01 1999-04-20 Newtec Building Products Inc. Interlocking building block
US6065265A (en) 1997-05-01 2000-05-23 Newtec Building Products Inc. Corner and end block for interlocking building block system
US7712281B2 (en) 2003-01-09 2010-05-11 Allan Block Corporation Interlocking building block
US8640407B2 (en) 2012-06-13 2014-02-04 King Saud University Masonry building block and interlocking wall system incorporating such blocks
US9416534B2 (en) 2013-02-15 2016-08-16 Andrew Kovitch Interlocking block construction system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문헌 정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74687B2 (en) Web offset lug dry-stack system
EP0767855B1 (en) Interlocking mortarless building block system
US4426815A (en) Mortarless concrete block system having reinforcing bond beam courses
US6523312B2 (en) Wall forming system for retaining and non-retaining concrete walls
EP0166249B1 (en) Interlocking building blocks and system for using the same
EP0830484B1 (en) Interconnectable formwork elements
US5339592A (en) Insulated building blocks and composite walls having stackable half-bond symmetry
US20080172970A1 (en) Columnar block fence system
US20070193183A1 (en) Concrete block for forming columns
US3449878A (en) Building bricks or blocks and structures utilising the same
CA2346719A1 (en) Building block
JPS5949385B2 (ja) 自立壁を組立てる方法とはめ合せブロツク
US3956862A (en) Building system
US5894702A (en) Interlocking building block
US4633630A (en) Structural blocks and structural system utilizing same
WO2002090677A2 (en) Interlocking construction components
US4794749A (en) Building system
KR101954280B1 (ko) 조립식 인터락킹 블록
US4766711A (en) Building element and a construction method using such an element
EP2766536B1 (en) Modular system for precise construction of walls
US11414861B2 (en) Building block and method for assembling building blocks
KR20190102336A (ko) 조립식 인터락킹 건축 블록 및 인터락킹 블록 건축 시스템
JPH0754360A (ja) 壁面構成用ブロック及び壁面構築方法
KR20190115571A (ko) 건축물의 내벽 건축을 위한 조립식 인터락킹 건축 블록
EP0616091B1 (en) Building bloc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