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1632A - 한약재를 포함하는 항염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한약재를 포함하는 항염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1632A
KR20190101632A KR1020180021851A KR20180021851A KR20190101632A KR 20190101632 A KR20190101632 A KR 20190101632A KR 1020180021851 A KR1020180021851 A KR 1020180021851A KR 20180021851 A KR20180021851 A KR 20180021851A KR 20190101632 A KR20190101632 A KR 201901016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lammatory
composition
present
weight
herbal medic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18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학주
김구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미싹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미싹바이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미싹바이오
Priority to KR10201800218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01632A/ko
Publication of KR201901016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16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57Birds; Materials from birds, e.g. eggs, feathers, egg white, egg yolk or endothelium corneum gigeriae galli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2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animal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1Amaranthaceae (Amaranth family), e.g. pigweed, rockwort or globe amaran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6Carthamus (distaff thist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8Taraxacum (dandel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8Pueraria (kudzu)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2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joint disorders, e.g. arthritis, arth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Epidem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Rheumat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염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닭발추출물을 포함하는 분말화된 항염용 한약재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안정성이 매우 우수하고, 인체에 무해할 뿐 아니라 염증성 질환 관련 매개 인자의 발현을 효과적으로 억제함으로써, 우수한 항염 효과를 나타내어 염증성 질환의 개선과 치료에 탁월한 효과를 구현한다.

Description

한약재를 포함하는 항염용 조성물{ANTI-INFLAMMATORY COMPOSITION CONTAINING MEDICINAL HERBS}
본 발명은 염증성 질환 관련 매개 인자의 발현을 억제하여 우수한 항염 효과를 나타내는 항염용 조성물로, 상세하게는 닭발추출물을 포함하는 분말화된 항염용 한약재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염증은 외부의 생물학적인 원인(세균, 바이러스, 기생충), 물리학적인 원인(기계적인 자극, 열, 방사선, 전기), 화학적인 원인 등으로 인한 세포손상이 유발될 때 이를 방어하기 위한 작용으로서 시작되며, 다양한 면역세포와 염증 유도 사이토카인이 관여한다. 구체적으로, 염증은 염증 유도 사이토카인 등이 방출됨에 따라, 혈관확장, 모세혈관 투과성 증가 및 염증부위로 대식세포의 집결이 일어나고, 이에 따라서 감염부위의 혈류량 증가, 부종, 면역세포 및 항체 이동, 통증, 발열 등에 의해 생체 조직이 손상되는 것을 막기 위한 생체의 방어 반응 중 하나이다.
염증에 의한 질환의 일종인 관절염은 관절 연골이 닳아 없어지면서, 국소적인 퇴행성 변화가 나타나는 질환을 일컫는다. 그 발병 원인은 아직 불확실하나, 노화 현상이나 과대한 체중과 관계가 깊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퇴행성 관절염은 퇴행성 관절 질환, 골관절염 또는 골관절증이라고도 불린다.
관절염이 진행되면, 뼈가 딱딱해지고, 관절 주변에 골의 과잉 형성, 관절의 변형 등이 발생할 수 있다. 미국에서의 임상 연구에 따르면 퇴행성 관절염은 관절의 염증성 질환 중 가장 많이 발생하며, 방사선 검사에서는 55세 이상의 약 80%, 75세에서는 거의 전인구가 퇴행성 관절염의 소견을 나타낸다고 한다.
퇴행성 관절염은 이렇게 높은 발병률을 가지기 때문에 관절염 환자의 약물 치료에 대한 많은 관심과 연구가 있는 것은 물론이고, 치료제 이외에도 관절염에 유용한 식품 또는 건강보조제의 개발에도 많은 노력이 있어 왔다.
종래 기술에서 알려진 관절 기능 개선용 기능성 식품 또는 건강보조제의 많은 수가 글루코사민 성분을 갖추고 있다. 대개 이러한 식품 또는 건강보조제는 글루코사민 단일 성분으로 구성된 약제를 사용하고 있으나, 근본적인 치료 또는 개선보다는 증상 억제 효과만 나타내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관절 연골 자체를 보호하거나 손상을 직접적으로 치료 또는 개선시킬 수 있는 약제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한약재에서 유래되는 관절염 개선제를 찾기 위한 노력이 다양한 방면에서 시도되고 있으나, 한약재에 의한 소화장애는 물론 보관 안정성(예, 변질 또는 부패 등) 불량 등의 이유로 그 사용량이 제한되거나 실제 제품 적용시 용도의 제한으로 인하여 실질적인 효과를 거두기 어려웠다.
이에, 본 발명자는 생체에 안전하고 관절염과 같은 염증성 질환에 효과가 높은 새로운 항염용 조성물에 대한 연구를 거듭하였다. 그 결과, 퇴행성 관절염 개선에 효능을 갖는 닭발추출물에 조합된 한약재 성분들을 혼합함에 따라 부형제 없이 분말화가 가능함은 물론 염증성 질환에 관여하는 염증 유도 사이토카인의 발현 억제에 탁월한 효과를 발휘함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닭발 추출물을 부형제 없이도 분말화가 가능하여, 장기 보관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항염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염증 유도 사이토카인을 효과적으로 억제함으로써, 염증성 질환의 개선과 치료에 탁월한 항염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목적은 할 수 있는 염증성 질환의 개선과 치료에 탁월하고 안전한 항염용 식품 조성물 및 항염용 사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닭발추출물에 민들레, 홍화씨, 우슬 및 갈근을 포함하는 혼합 한약재를 투입하고 분말화한 추출 가공 부산물을 포함하는 항염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혼합 한약재는 하기 관계식 1을 만족하는 것일 수 있다.
[관계식 1]
0.7 ≤ A+B/C+D ≤ 1.3
[상기 관계식 1에서,
A(민들레), B(홍화씨), C(우슬) 및 D(갈근)는 분말상의 각 한약재의 중량%로, 각 한약재의 중량%는 상기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상기 닭발 추출물 15 내지 40중량% 및 상기 혼합 한약재 45 내지 80중량%를 포함하는 항염용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글루코사민, 글루코사민 유도체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그 염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글루코사민 유도체는 N-아세틸 글루코사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정제 또는 환제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항염용 약학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항염용 약학 조성물은 염증성 질환 개선용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염증성 질환은 관절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항염용 식품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항염용 사료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고함량의 닭발 추출물을 함유하는 분말화된 조성물로, 닭발 추출물의 문제점인 교질상태에서 쉽게 변질 또는 부패되는 불량한 안정성 문제를 해결하였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르면 닭발 추출물의 보관 안정성은 물론이고 향상된 가공성으로 이의 응용을 확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염증 유도 사이토카인의 발현을 효과적으로 억제시켜, 향상된 항염 및 소염 효과를 나타낸다. 특히, 글루코사민계 화합물과의 조합으로, 항염 및 소염 효과에 시너지는 물론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하는 여러 형태의 염증성 질환으로부터 야기되는 통증 완화에도 탁월함을 보인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안정성이 확보된 조합된 한약재 성분들을 사용함에 따라 인체에 대한 안전성도 매우 우수하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실시예 1의 처리에 따른 인터루킨-1베타(IL-1β)의 발현량을 정량화한 그래프이다.
도 2는 발명에서 실시예 1의 처리에 따른 인터루킨-6(IL-6)의 발현량을 정량화한 그래프이다.
도 3은 종양괴사 인자-알파(TNF-α)의 발현량을 정량화한 그래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항염용 조성물에 대하여 이하 상술하나, 이때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염증"은 세포나 조직이 어떠한 원인에 의해 손상을 받으면 그 반응을 최소화하고 손상된 부위를 원상으로 회복시키려는 일련의 방어 목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신경, 혈관, 임파관, 체액 반응, 세포 반응을 일으켜 결과적으로 통증, 부종, 발적, 발열 등을 일으켜 기능장애를 유발하는 것을 통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염증성 질환”은 연골 관련 염증성 질환을 의미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인터루킨-1베타(IL-1β), 인터루킨-6(IL-6), 종양괴사 인자-알파(TNF-α) 등의 염증 유도 사이토카인에 의해 유발되는 질환을 말하며, 연골, 연골 조직, 관절 조직(활막, 관절포, 연골하골 등) 등이 염증 반응에 의해 상해됨으로써 발생하는 질환을 통칭한다. 일 예로, 골관절염, 퇴행성 관절염, 류마티스성 관절염, 라임관절염, 석회화근염, 상완골외과염, 족저근막염, 박리성 골연골염, 반월상 연골판 손상 후 관절염 및 이단성 골연골염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염증 유도 사이토카인”은 염증 반응에 의해 발현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며, 이의 발현을 억제시킴으로써 염증성 질환을 개선 또는 치료한다. 이때, 염증성 질환을 개선 또는 치료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의해 염증성 질환이 호전되거나 이롭게 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닭발추출물”은 깨끗이 세척하고 멸균된 닭발로부터 추출된 콜라겐추출물을 의미한다. 콜라겐은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섬유상 단백질로서 장기를 감싸는 막, 연골, 치아, 머리카락, 근육, 뼈와 피부 등에 주로 존재하고 관절을 튼튼하게 한다. 예전부터 닭발은 관절염, 특히 퇴행성 관절염에 효능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왔고, 최근 알려진 피부미용과 혈압강화에 효능을 갖는 다는 것도 이러한 성분의 생리활성 작용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민들레”는 국화과 여러해살이풀로, 민들레(Taraxacum nonogolicum H. Mazz), 산민들레(Taraxacum ohwianum Kitamura), 흰민들레(Taraxacum coreanum Nakai), 서양민들레(Taraxcum officinale Weber) 등으로부터 수득된 한약재이다. 민들레는 열로 인한 종창이나 유방염, 인후염, 급성간염 등에 활용하고 면역기능을 강화하고, 간 기능 보호 작용과 이뇨작용이 있다 알려졌다. 민들레에는 총 구성 아미노산 중 시스틴(cystin)을 제외한 17종을 포함하며, 필수 아미노산 8종 모두 다량 함유되어 있다. 또한 K, Ca 등의 무기질이 매우 풍부할 뿐만 아니라 Mg, Mn, Fe 등의 함량 또한 높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홍화씨”홍화의 씨에 해당하는 한약재로, 다량의 지방을 함유하고 있다. 홍화씨는 동맥경화, 고지혈증, 고혈압 등의 순환기 질환과 골다공증, 관절염 등의 뼈질환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우슬”은 비름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초본식물로, 식물 줄기에 있는 마디의 형상이 소의 무릎과 유사하다고 하여 쇠무릎이라 호칭되기도 한다. 우슬은 쇠무릎의 뿌리에 해당하는 한약재로, 유효성분으로는 사포닌과 다량의 칼슘을 함유하고 있으며 무릎의 질환(관절염·류머티스성 관절염·타박으로 인한 염증), 고혈압, 이뇨작용 등의 효능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갈근”은 칡뿌리의 껍질에 해당하는 한약재로, 콜라겐을 생합성 하는 과정에 관여하는 여성 호르몬(예, 이소플라본 등)을 많이 함유하고 있다. 이는 석류 추출물 대비 무려 600배 정도에 해당한다. 갈근은 땀을 내며, 열을 내려 고열·두통을 치료하고 갈증을 멎게하고, 소화불량, 두통, 빈혈, 이질, 복통, 술독, 감기, 구토와 부인들의 하혈에 쓰이고 소화를 돕는다.
관절염에 효능을 갖는다 알려진 닭발 추출물은 액상 또는 교질상태로는 그 안정성이 낮아 오랫동안 보관하기가 용이하지 않았다. 이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추출 후 멸균처리를 하여 보관하거나 부형제를 사용하여 분말화하는 방법들이 제시되었다. 그러나, 멸균처리의 경우에도 보관 안정성이 6개월 남짓에 불과하였으며, 부형제를 사용하여 분말화하는 방법 역시 닭발 추출물의 완벽한 분말화가 불가능하고, 보관 안정성 역시 크게 개선되는 효과를 볼 수 없었다.
이러한 문제점에 착안하여, 본 발명자들은 관절염 등의 염증성 질환에 탁월한 효능을 갖는 닭발 추출물의 완벽한 분말화를 돕는 한약재의 조합을 찾기 위한 연구를 거듭하였다. 이에, 놀랍게도 민들레, 홍화씨, 우슬 및 갈근을 포함하는 혼합 한약재를 분말상태로 닭발 추출물에 가미한 결과, 닭발 추출물을 포함하는 분말화된 추출 가공 부산물을 수득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나아가, 수득된 추출 가공 부산물은 염증 유도 사이토카인의 발현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이로부터 유도되는 염증성 질환에 대한 탁월한 효과를 보임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은 닭발추출물에 민들레, 홍화씨, 우슬 및 갈근을 포함하는 혼합 한약재를 투입하고 분말화한 추출 가공 부산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은 상술된 혼합 한약재를 가미함에 따라 적당한 크기의 입자로 분말화된 추출 가공 부산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에 있어서, 각각의 한약재는 식물의 잎, 꽃, 줄기, 가지, 뿌리, 전초 또는 씨 등을 건조하여 분쇄한 후 식용 가능하게 전처리된 분말상태의 것일 수 있다. 또한 각각의 한약재는 식물의 잎, 꽃, 줄기, 가지, 뿌리, 전초 및 열매 등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에 추출용매를 가하여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추출된 추출물을 농축하여 수든된 분말상태의 것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서의 민들레, 홍화씨, 우슬 및 갈근은 각각의 한약재로부터 수득된 건조물이거나 추출용매에 의해 추출된 모든 추출물 또는 분획물의 농축물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민들레 및 우슬은 각 식물의 전초를 건조하여 분쇄한 후 식용 가능하게 전처리된 분말상태의 것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홍화씨는 홍화씨를 건조하여 분쇄한 후 식용 가능하게 전처리된 분말상태의 것일 수 있다.
일 예로, 갈근은 식물의 뿌리를 건조하여 분쇄한 후 식용 가능하게 전처리된 분말상태의 것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민들레, 홍화씨, 우슬 및 갈근의 입자 사이즈는 제한되지 않으나, 100 내지 5,000nm의 평균입경을 갖는 것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200 내지 3,000nm, 보다 구체적으로는 300 내지 1,500nm의 평균입경을 갖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혼합 한약재는 하기 관계식 1을 만족하도록 투입됨에 따라 분말화가 용이하다.
[관계식 1]
0.7 ≤ A+B/C+D ≤ 1.3
[상기 관계식 1에서,
A(민들레), B(홍화씨), C(우슬) 및 D(갈근)는 분말상의 각 한약재의 중량%로, 각 한약재의 중량%는 상기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A+B/C+D의 값은 구체적으로 0.75 내지 1.3, 보다 구체적으로 0.85 내지 1.2인 것이 좋다.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양질의 분말화된 추출 가공 부산물을 제공할 수 있어, 이의 보관 안정성을 향시킬 수 있다. 이에, 닭발 추출물의 변질 또는 부패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어 좋다. 그러나, 상기 범위를 만족하지 않는 조성물의 경우, 다소 눅진한 겔상으로 목적하는 보관 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으나, 정제 또는 환제 등으로 제형화시 추가의 결합제 없이도 제형화가 가능다는 측면을 갖는다.
상기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닭발 추출물 15 내지 40중량% 및 민들레, 홍화씨, 우슬 및 갈근을 포함하는 혼합 한약재 45 내지 80중량%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닭발 추출물 15 내지 35중량% 및 민들레, 홍화씨, 우슬 및 갈근을 포함하는 혼합 한약재 50 내지 80중량%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닭발 추출물 20 내지 35중량% 및 민들레, 홍화씨, 우슬 및 갈근을 포함하는 혼합 한약재 55 내지 75중량%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상술된 조성비로 관계식 1을 만족하도록 투입됨에 따라 보다 안정적인 분말상의 추출 가공 부산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은 항염용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은 항염 효과, 즉 염증 유도 사이토카인 발현 억제 효과에 탁월함을 보인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르면 탁월한 항염 효과를 갖는 조성물을 보다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음은 물론 염증 유도 사이토카인의 발현으로부터 유발되는 염증성 질환에 탁월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은 장기 보관 안정성이 확보되어, 효과 발현을 위해 지속적인 공급을 요구하는 경구 투여 치료제, 식품 또는 건강보조제 등에 효과적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은 인터루킨-1베타(IL-1β), 인터루킨-6(IL-6) 및 종양괴사인자-알파(TNF-α)의 발현량을 효과적으로 억제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염증성 질환, 즉 관절염에 탁월한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은 글루코사민, 글루코사민 유도체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그 염에서 선택되는 글루코사민계 화합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글루코사민 유도체는 N-아세틸 글루코사민 등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글루코사민계 화합물을 1 내지 20중량%로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5 내지 20중량%, 보다 구체적으로 5 내지 15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조성물은 닭발 추출물 25중량%, 민들레 15중량%, 홍화씨 20중량%, 우슬 15중량%, 갈근 15중량% 및 N-아세틸 글루코사민 10중량%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조성물은 닭발 추출물 25중량%, 민들레 15중량%, 홍화씨 25중량%, 우슬 15중량%, 갈근 20중량% 및 N-아세틸 글루코사민 10중량%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은 글루코사민계 화합물을 가미함으로써, 놀랍게 향상된 항염 효과는 물론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하는 염증성 질환으로부터 야기되는 통증의 완화에도 탁월함을 보인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의 구체적인 양태를 살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은 항염용 약학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항염용 약학 조성물은 생체에 안전할 뿐 아니라 한약재 성분들의 조합으로 부작용을 야기하지 않으며, 염증성 질환 관련 매개 인자의 발현을 조절함으로써, 염증성 질환을 효과적으로 개선 또는 치료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염용 약학 조성물은 구체적으로, 인터루킨-1베타(IL-1β), 인터루킨-6(IL-6) 및 종양괴사인자-알파(TNF-α)의 발현량을 효과적으로 억제함으로써, 향상된 항염 효과를 부여한다. 이때, 본 발명은 상술된 바와 같이 글루코사민계 화합물을 더하여 항염 효과에 대한 시너지는 물론 통증 완화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염용 약학 조성물은 세포의 증식을 유도하지 않는 범위의 농도에서 독성을 나타내지 않음을 확인함으로써, 이들이 매우 안전함을 규명하였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염용 약학 조성물은 경구 투여되어, 염증 유도 사이토카인 발현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우수한 항염 효과를 나타내고, 보관 안정성이 확보됨에 따라 다양한 양태의 제형으로 개발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때, 상기 제형의 바람직한 일 예로는 분말, 정제 또는 환제 등을 들 수 있다.
염증성 질환의 일 예로는 골관절염, 퇴행성 관절염, 류마티스성 관절염, 라임관절염, 석회화근염, 상완골외과염, 족저근막염, 박리성 골연골염, 반월상 연골판 손상 후 관절염 및 이단성 골연골염 등을 들 수 있으며,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항염용 약학 조성물은 골관절염, 퇴행성 관절염, 류마티스성 관절염 등의 관절염 개선 또는 치료에 탁월함을 보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은 항염용 약학 조성물은 정제 또는 환제 등으로 제형화 될 수 있다.
일 예로, 본 발명에 따른 항염용 약학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본 발명에 따른 추출 가공 부산물을 35 내지 50중량%로 포함하는 환제로 제형화될 수 있다.
일 예로, 본 발명에 따른 항염용 약학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본 발명에 따른 추출 가공 부산물을 70 내지 95중량%로 포함하는 정제로 제형화될 수 있다.
또한 목적하는 제형화를 위해 약제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경구투여용의 약제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는 결합제, 활탁제, 붕해제, 부형제, 가용화제, 분산제, 안정화제, 현탁화제, 색소, 향료, 비타민, 미네랄(예, 식이유황 등)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하여 제형화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담체는 본 발명에 따른 항염용 약학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추출 가공 부산물을 제외한 잔량으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은 항염용 식품 조성물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항염용 식품 조성물은 각종 식품류, 건강보조 식품류의 고체 상태의 제형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며, 일 예로 분말, 환제(과립), 정제 등으로 제형화 될 수 있다.
일 예로, 본 발명에 따른 항염용 식품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본 발명에 따른 추출 가공 부산물을 35 내지 50중량%로 포함하는 환제로 제형화될 수 있다.
일 예로, 본 발명에 따른 항염용 식품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본 발명에 따른 추출 가공 부산물을 70 내지 95중량%로 포함하는 정제로 제형화될 수 있다.
또한 목적하는 제형화를 위해 당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유기산,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미네랄(예, 식이유황 등)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하여 제형화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성분들은 본 발명에 따른 항염용 식품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추출 가공 부산물을 제외한 잔량으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은 항염용 사료 조성물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항염용 사료 조성물은 고체 상태의 제형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며, 일 예로 분말, 환제(과립), 정제 등으로 제형화 될 수 있다.
일 예로, 본 발명에 따른 항염용 사료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본 발명에 따른 추출 가공 부산물을 35 내지 50중량%로 포함하는 분말형태로 제형화될 수 있다.
일 예로, 본 발명에 따른 항염용 사료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본 발명에 따른 추출 가공 부산물을 35 내지 50중량%로 포함하는 환제로 제형화될 수 있다.
일 예로, 본 발명에 따른 항염용 사료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본 발명에 따른 추출 가공 부산물을 70 내지 95중량%로 포함하는 정제로 제형화될 수 있다.
또한 목적하는 제형화를 위해 당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사료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곡물류, 근과류, 식품 가공 부산물류, 조류, 섬유질류, 제약 부산물류, 유지류, 전분류, 박류 또는 곡물 부산물류 등과 같은 식물성 사료 첨가제; 단백질류, 무기물류, 유지류, 광물성류, 유지류, 단세포 단백질 또는 동물성 플랑크톤류 등과 같은 동물성 사료 첨가제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하여 제형화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료 첨가제는 본 발명에 따른 항염용 사료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추출 가공 부산물을 제외한 잔량으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추출 가공 부산물은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하기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어떤 식으로든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평가방법)
항염 효능 측정을 위해, 급성 염증 유발된 마우스의 혈액으로부터 염증 유발 사이토카인(IL-1β, IL-6, TNF-α)의 발현량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항염 효능 측정을 위해 BALB/c 마우스를 1주간 안정기를 거친 루 6주령이된 마우스를 실험에 사용하였다.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정상군(normal)과 증류수만을 투여하는 대조군(control), 실시예 또는 비교예의 조성물을 각각 200, 400(㎎/㎏/day)로 투여하는 실험군 등 총 4개의 그룹으로 나누어 매일 1회, 오후 2시에 200㎕씩 경구용 주사침(oral zonde)을 이용하여 7일간 경구 투여하였으며, 실험이 진행되는 동안 자유식을 공급하였다. 경구 투여 7일 후 지질다당류(LPS) 1㎎/㎏을 복강에 주사한 후 90분 후에 에틸에테르로 마취하고 심장 천자법으로 채혈하였다. 이때, 시료의 투여량은 1회 분량을 성인 체중 60 kg에 1회 섭취량으로 하고, 1회 섭취량으로부터 얻은 시료를 마우스 체중 30 g으로 기준하여 산출하였다.
실험 종료 후 심장 천자법을 이용하여 채취된 혈액을 30분간 상온(23℃)에서 굳힌 뒤 3,000rpm에서 15분간 원심분리 후 혈청을 분리하였다. 분리한 혈청으로 염증 유도 사이토카인(IL-1β, IL-6, TNF-α)의 발현량을 Luminex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측정된 실험 결과는 SPSS 11.0의 unpairedstudent's T-test와 ANOVA를 사용하여 통계처리 하였고, p<0.05, p<0.01 및 p<0.001 수준에서 그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실시예 1)
세척한 닭발(10kg)을 중탕솥에 넣고 121℃의 온도로 2기압의 압력을 가하여 15분 동안 고압멸균한 후 증류수 15kg을 중탕솥에 넣고, 100℃의 온도로 24시간동안 끓였다. 그런 다음, 60℃의 온도에서 감압 농축 공정으로 증류수 증류하여 닭발 추출물을 수득하였다(5kg).
수득된 닭발 추출물 350g을 60℃의 온도로 가온된 증류수 2.5kg에 투입하였다. 내용물의 온도가 40℃로 하온된 후, 민들레 150g, 홍화씨 200g, 우슬 150g 및 갈근 150g의 혼합 한약재를 동시에 투입하고, 30분간 균일하게 교반한 후 통상의 방법으로 동결건조를 수행하여, 갈색 분말을 수득하였다(650g). 이때, 각 한약재 성분은 200메쉬(평균입경 1,270nm)의 분말이 사용되었다. 각 성분의 사용량은 하기 표 1을 참조한다.
수득된 조성물을 이용하여 상기 평가 방법에 따라 항염 효능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2)
하기 표 1의 사용량으로 각 성분을 실시예 1의 방법에 따라 제조 및 투입한 후 동결건조를 수행하여, 갈색 분말을 수득하였다(600g). 이때, N-아세틸 글루코사민은 혼합 한약재 투입시 동시에 투입되었다.
수득된 조성물을 이용하여 상기 평가 방법에 따라 항염 효능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3 내지 6)
하기 표 1의 사용량으로 각 성분을 실시예 1의 방법에 따라 제조 및 투입한 후 동결건조를 수행하여, 갈색 분말을 수득하였다(600g).
수득된 조성물을 이용하여 상기 평가 방법에 따라 항염 효능을 측정하였다.또한 상기 평가 방법에 따라 항염 효능을 측정하였다.
(비교예 1 내지 3)
하기 표 1의 사용량으로 각 성분을 실시예 1의 방법에 따라 제조 및 투입한 후 동결건조를 수행하였다(600g). 그러나, 각 비교예에서 수득된 조성물은 분말상이 아닌 눅진한 겔상이었다.
수득된 조성물을 이용하여 상기 평가 방법에 따라 항염 효능을 측정하였다.
Figure pat00001
(제형예 1)
실시예 2의 조성물 35g, 미강 35g, 해조칼슘 10g, 식이유황(Methylsulfonylmethane, MSM) 10g 및 비타민 C 10g을 혼합하고, 유동층 과립기를 사용하여 과립으로 성형한 후 포에 충진하여 환제를 제조하였다.
(제형예 2)
실시예 2의 조성물 85g, 미강 10g 및 해조칼슘 5g을 혼합하고, 유동층 건조기를 이용하여 과립한 후 당 에스테르(sugar ester) 6mg을 첨가하여 타정기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하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2를 200 또는 400(㎎/㎏/day)로 경구 투여한 그룹에서, 각각 132.27±17.34 pg/㎖, 120.51±24.4 pg/㎖로 인터루킨-1베타(IL-1β)의 발현량을 현저하게 억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 2를 경구 투여한 그룹에서, 인터루킨-6(IL-6) 및 종양괴사인자-알파(TNF-α)의 발현량에서 역시 현저한 억제능을 보임을 확인하였으며, 이의 효과는 농도 의존적으로 발현량 억제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도 2 및 3 참조).
이와 같은 결과는 본 발명에 따른 모든 실시예에서 대조군(control) 대비 유의성(*** : p<0.001) 있는 감소에 해당하며, 구체적으로 상술된 실시예 2의 항염 효과는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서 사용된 동량의 N-아세틸글루코사민 단독의 항염 효과 대비 현저한 수준에 해당한다.
반면, 비교예에서는 상술된 염증 유도 사이토카인에 대한 발현 억제 효과가 미미하였다. 뿐만 아니라, 비교예 1 내지 3의 경우 수득된 조성물은 눅진한 겔형태를 보였음은 물론 이로인해 빠른 산패(변질 또는 부패)를 야기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항염 효과, 즉 염증 유도 사이토카인의 발현 억제 효과가 탁월하고, 오랫동안 안정적인 품질을 유지할 수 있음에 따라 다양한 양태의 염증성 질환 관련 제형으로의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하여 진다고 할 것이다.

Claims (11)

  1. 닭발추출물에 민들레, 홍화씨, 우슬 및 갈근을 포함하는 혼합 한약재를 투입하고 분말화한 추출 가공 부산물을 포함하는 항염용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한약재는 하기 관계식 1을 만족하는 것인 항염용 조성물:
    [관계식 1]
    0.7 ≤ A+B/C+D ≤ 1.3
    [상기 관계식 1에서,
    A(민들레), B(홍화씨), C(우슬) 및 D(갈근)는 분말상의 각 한약재의 중량%로, 각 한약재의 중량%는 상기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한다.]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닭발 추출물 15 내지 40중량% 및 상기 혼합 한약재 45 내지 80중량%를 포함하는 항염용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글루코사민, 글루코사민 유도체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그 염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인 항염용 조성물.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글루코사민 유도체는 N-아세틸 글루코사민인 항염용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정제 또는 환제로 제형화되는 것인 항염용 조성물.
  7. 제 1항 내지 제 6항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항염용 약학 조성물.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 조성물은 염증성 질환 개선용인 항염용 약학 조성물.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염증성 질환은 관절염인 항염용 약학 조성물.
  10. 제 1항 내지 제 6항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항염용 식품 조성물.
  11. 제 1항 내지 제 6항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항염용 사료 조성물.
KR1020180021851A 2018-02-23 2018-02-23 한약재를 포함하는 항염용 조성물 KR201901016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1851A KR20190101632A (ko) 2018-02-23 2018-02-23 한약재를 포함하는 항염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1851A KR20190101632A (ko) 2018-02-23 2018-02-23 한약재를 포함하는 항염용 조성물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3972A Division KR102113431B1 (ko) 2019-10-25 2019-10-25 한약재를 포함하는 항염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1632A true KR20190101632A (ko) 2019-09-02

Family

ID=67951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1851A KR20190101632A (ko) 2018-02-23 2018-02-23 한약재를 포함하는 항염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0163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870076A (zh) * 2023-08-25 2023-10-13 遵义医科大学珠海校区 一种抗炎镇痛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870076A (zh) * 2023-08-25 2023-10-13 遵义医科大学珠海校区 一种抗炎镇痛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16870076B (zh) * 2023-08-25 2024-04-09 遵义医科大学珠海校区 一种抗炎镇痛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ulkarni et al. Indian gooseberry (Emblica officinalis): Complete pharmacognosy review
Priya et al. Phyllanthus emblica Linn.(Amla)—a natural gift to humans: an overview
CN103796661A (zh) 用于维持骨骼健康以及治疗骨关节炎和关节的骨关节病的组合物
CN100443109C (zh) 预防与治疗衰老病的药物
CN104739925A (zh) 一种治疗痤疮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
JP2011506579A (ja) ローズヒップ抽出物含有調剤
JP2014015430A (ja) 深部体温上昇剤
JP2011525527A (ja) 軟骨再生、痛症の抑制及び浮腫抑制用生薬組成物
CN105166544A (zh) 一种猪配合饲料及其制备方法
CN104783003A (zh) 用于小猪的中草药全价饲料及其制备方法
EP1583547B1 (en) Anti-obesity ingredients from medicinal plants and their composition
KR20190101632A (ko) 한약재를 포함하는 항염용 조성물
CN111387345A (zh) 一种复合多糖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7551140B (zh) 一种治疗肾虚寒的蒙药及其制备方法
KR102416513B1 (ko) 반려동물 변비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13431B1 (ko) 한약재를 포함하는 항염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31373A (ko) 비타민나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
KR20140143952A (ko) 면역력 및 혈액순환 개선 기능을 갖는 관절염 치료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20180126691A (ko) 관절염용 환제 및 그 제조방법
CN109381491B (zh) 一种防治骨质疏松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1248378B1 (ko) 관절염 치료 및 예방용 약학조성물
KR101911877B1 (ko)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관절염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CN110721256A (zh) 一种防治蛋鸡绦虫病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20110121849A (ko) 벌개미취 또는 참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01584750B (zh) 一种无花果复方制剂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