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1141A - Plc 시스템 - Google Patents

Plc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1141A
KR20190101141A KR1020180021129A KR20180021129A KR20190101141A KR 20190101141 A KR20190101141 A KR 20190101141A KR 1020180021129 A KR1020180021129 A KR 1020180021129A KR 20180021129 A KR20180021129 A KR 20180021129A KR 20190101141 A KR20190101141 A KR 201901011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ction module
switch
feedback signal
identifier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11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34128B1 (ko
Inventor
최기홍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211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4128B1/ko
Publication of KR201901011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11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41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41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5Programmable logic controllers, e.g. simulating logic interconnections of signals according to ladder diagrams or function chart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6/00Internal feedback arrangements for obtaining particular characteristics, e.g. proportional, integral, differential
    • G05B6/02Internal feedback arrangements for obtaining particular characteristics, e.g. proportional, integral, differential electric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10Plc systems
    • G05B2219/14Plc safety
    • G05B2219/14027IN, plc and comparator, feedback OUT, OU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02Total factory control, e.g. smart factories,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or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rogrammable Controll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LC 시스템은 제1 및 제2 기능 모듈; 상기 제1 및 제2 기능 모듈 중 어느 하나로부터 인터럽트(Interrupt) 동작과 관련된 제1 피드백 신호를 제공받는 베이스 모듈; 및 상기 베이스 모듈로부터 상기 제1 피드백 신호를 제공받고, 상기 제1 및 제2 기능 모듈 중 상기 제1 피드백 신호를 제공한 기능 모듈을 식별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및 제2 기능 모듈은 상호간 상기 제1 피드백 신호의 제공 여부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PLC 시스템{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SYSTEM}
본 발명은 PLC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기능 모듈의 인터럽트 요청을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PLC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PLC 시스템(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System;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 시스템)은 산업 현장에서 각종 기기나 설비 등을 제어하는 장치이다.
도 1은 종래의 PLC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PLC 시스템(100)은 각 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1 전원 모듈(110)과 제2 전원 모듈(150), 프로세서(120) 및 제1 내지 제N 기능 모듈(130-1~130-N)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베이스 모듈(10) 및 증설 베이스 모듈(20)은 각종 모듈을 기계적,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증설 케이블(30)을 통해 증설 베이스 모듈(20)을 메인 베이스 모듈(10)에 연결함으로써 다수의 기능 모듈을 추가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내지 제N 기능 모듈(130-1~130-N) 각각은 아날로그 입력 모듈, 아날로그 출력 모듈, 디지털 입력 모듈, 디지털 출력 모듈 등 종래의 PLC 시스템(100)에 구비될 수 있는 모듈 중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20)는 일정한 주기에 따라 제1 기능 모듈(130-1) 내지 제N 기능 모듈(130-N)로부터 입력값을 제공받고, 제공받은 입력값을 토대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로직, 시퀀싱, 타이밍, 카운팅 등 다양한 처리를 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프로그램의 실행 결과로 출력값을 제1 내지 제N 기능 모듈(130-1~130-N)에게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프로세서(120)가 입력값을 제공받고,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출력값을 제공하는 일련의 과정을 '스캔'이라고 한다.
프로세서(120)는 스캔을 수행하는 중 제1 내지 제N 기능 모듈(130-1~130-N)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인터럽트 동작을 요청 받으면, 스캔을 중단하고 미리 설정된 인터럽트 동작을 우선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제1 내지 제N 기능 모듈(130-1~130-N) 각각은 미리 설정된 인터럽트 조건이 만족되면, 인터럽트 동작 요청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제1 내지 제N 기능 모듈(130-1~130-N) 각각이 출력하는 인터럽트 동작 요청 신호를 와이어드 앤드(wired-AND) 연결을 통해 전달받을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1 내지 제N 기능 모듈 중 하나라도 인터럽트 동작 요청 신호를 출력하면, 프로세서(120)는 인터럽트 동작 요청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하지만, 종래의 PLC 시스템(100)에서 프로세서(120)는 인터럽트 동작 요청 여부만 감지할 수 있을 뿐, 어떤 기능 모듈이 인터럽트 동작 요청 신호를 전송했는지 파악할 수 없었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120)는 종래의 PLC 시스템(100) 내에서 프로세서(120)와 가까운 위치의 기능 모듈(예를 들어, 제1 기능 모듈(130-1))부터 가장 먼 위치의 기능 모듈(예를 들어, 제N 기능 모듈(130-N))까지 순차적으로 탐색하며 인터럽트 동작을 요청한 기능 모듈을 찾고, 해당 기능 모듈에 대해 미리 설정된 인터럽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종래의 PLC 시스템(100)에서는 프로세서(120)가 어떤 기능 모듈이 인터럽트 동작 요청 신호를 전송했는지 파악할 수 없었기 때문에, 인터럽트 동작 요청 신호를 수신한 이후 인터럽트 동작을 요청한 기능 모듈을 찾는데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PLC 시스템(100)에서는 프로세서(120)가 인터럽트 동작 요청 신호를 수신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기능 모듈을 탐색하기 때문에, 기능 모듈의 개수가 많을수록 인터럽트 동작 요청 신호를 수신한 이후 인터럽트 동작을 수행하기까지 소요되는 시간이 증가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인터럽트 동작을 요청한 기능 모듈의 식별자에 대응하는 신호를 프로세서에게 제공함으로써 인터럽트 동작을 요청한 기능 모듈을 찾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는 PLC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인터럽트 동작을 요청한 기능 모듈의 식별자에 대응하는 신호를 프로세서에게 제공함으로써 기능 모듈의 개수가 증가하더라도 인터럽트 동작 요청을 수신한 이후 인터럽트 동작을 수행하기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PLC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LC 시스템은 제1 및 제2 기능 모듈; 상기 제1 및 제2 기능 모듈 중 어느 하나로부터 인터럽트(Interrupt) 동작과 관련된 제1 피드백 신호를 제공받는 베이스 모듈; 및 상기 베이스 모듈로부터 상기 제1 피드백 신호를 제공받고, 상기 제1 및 제2 기능 모듈 중 상기 제1 피드백 신호를 제공한 기능 모듈을 식별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및 제2 기능 모듈은 상호간 상기 제1 피드백 신호의 제공 여부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LC 시스템은 인터럽트 동작을 요청한 기능 모듈의 식별자에 대응하는 신호를 프로세서에게 제공함으로써 인터럽트 동작을 요청한 기능 모듈을 찾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가 스캔을 중단하는 시간이 감소될 수 있으며, PLC 시스템 전체의 처리 성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LC 시스템은 인터럽트 동작을 요청한 기능 모듈의 식별자에 대응하는 신호를 프로세서에게 제공함으로써 기능 모듈의 개수가 증가하더라도 인터럽트 동작 요청을 수신한 이후 인터럽트 동작을 수행하기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능 모듈의 개수가 증가하더라도 기능 모듈의 인터럽트 동작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PLC 시스템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LC 시스템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2의 PLC 시스템의 구성 간의 연결 관계를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제1 도선을 중심으로 PLC 시스템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5는 도 3의 제1 도선에 인가되는 제1 피드백 신호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3의 제2 도선을 중심으로 PLC 시스템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7은 도 3의 제2 도선에 인가되는 제2 피드백 신호의 일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3의 제2 도선에 인가되는 제2 피드백 신호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2의 제1 기능 모듈이 수행하는 인터럽트 동작 처리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도 9의 S940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1은 도 2의 프로세서가 수행하는 인터럽트 동작 처리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LC 시스템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LC 시스템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2의 PLC 시스템의 구성 간의 연결 관계를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PLC 시스템(200)은 산업 현장에서 각종 기기나 설비 등을 제어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PLC 시스템(200)은 다양한 기능 모듈과 프로세서(240)를 통해 로직, 시퀀싱, 타이밍 카운팅 또는 연산 등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PLC 시스템(200)은 베이스 모듈(210), 제1 기능 모듈(220), 제2 기능 모듈(230) 및 프로세서(240)를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PLC 시스템(200)은 각종 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모듈(미도시), 제 3 기능 모듈(미도시) 내지 제N 기능 모듈(340)을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베이스 모듈(210), 제1 기능 모듈(220), 제2 기능 모듈(230) 및 프로세서(240)를 중심으로 PLC 시스템(200)을 설명하기로 한다.
베이스 모듈(210)은 PLC 시스템(200)의 각종 모듈을 기계적,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모듈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베이스 모듈(210)은 PLC 시스템(200)의 각종 모듈이 기계적,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슬롯을 복수 개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베이스 모듈(210)에 연결된 각종 모듈은 베이스 모듈(210)에 구비된 각종 도선, 데이터 버스(310) 등을 통해 서로 통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240), 제1 기능 모듈(220) 내지 제N 기능 모듈(340)은 모두 베이스 모듈(21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240), 제1 기능 모듈(220) 내지 제N 기능 모듈(340)은 각각 베이스 모듈(210)에 탈부착이 가능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참고로, 도 2 및 도 3에는 PLC 시스템(200)이 하나의 베이스 모듈(210)만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LC 시스템(200)은 증설 베이스 모듈(미도시), 증설 베이스 모듈과 베이스 모듈(210)을 연결하는 증설 케이블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베이스 모듈(210)에는 데이터 버스(310), 제1 도선(320) 및 제2 도선(330)이 구비될 수 있다.
데이터 버스(310)는 베이스 모듈(210)에 연결된 각종 모듈이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로일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 버스(310)는 프로세서(240), 제1 기능 모듈(220) 내지 제N 기능 모듈(340)과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베이스 모듈(210)에 연결된 프로세서(240), 제1 기능 모듈(220) 내지 제N 기능 모듈(340) 각각은 데이터 버스(310)를 통해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제1 도선(320)은 프로세서(240), 제1 기능 모듈(220) 내지 제N 기능 모듈(340)과 연결되는 도선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도선(320)은 제1 기능 모듈(220) 내지 제N 기능 모듈(340) 각각이 인터럽트(interrupt) 동작과 관련된 제1 피드백 신호를 제공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피드백 신호는 제1 도선(320)에 인가되는 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베이스 모듈은 제1 기능 모듈(220) 및 제2 기능 모듈(230) 중 어느 하나로부터 제1 피드백 신호를 제공받을 수 있다.
제1 도선(320)에 대해서는 도 4 및 도 5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2 도선(330)도 제1 도선(320)과 마찬가지로 프로세서(240), 제1 기능 모듈(220) 내지 제N 기능 모듈(340)과 연결되는 도선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도선(330)은 제1 기능 모듈(220) 내지 제N 기능 모듈(340) 각각의 식별자와 관련된 제2 피드백 신호를 제공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피드백 신호는 제2 도선(330)에 인가되는 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한편, 기능 모듈은 아날로그 입력 모듈, 아날로그 출력 모듈, 디지털 입력 모듈, 디지털 출력 모듈, 통신 모듈 등 PLC 시스템(200)에 구비될 수 있는 각종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입력 모듈은 자신과 연결된 외부 장치로부터 디지털 신호를 제공받고, PLC 시스템(200)에 구비된 다른 모듈에게 전송하는 모듈일 수 있다. 그리고, 디지털 출력 모듈은 프로세서(240)로부터 출력값을 제공받고, 이를 디지털 신호로 외부 장치에게 제공하는 모듈일 수 있다.
나아가, 아날로그 입력 모듈은 자신과 연결된 외부 장치로부터 아날로그 신호를 제공받고, PLC 시스템(200)에 구비된 다른 모듈에게 전송하는 모듈일 수 있다. 그리고, 아날로그 출력 모듈은 프로세서(240)로부터 출력값을 제공받고, 이를 아날로그 신호로 외부 장치에게 제공하는 모듈일 수 있다.
통신 모듈은 이더넷 등 각종 통신 프로토콜에 따른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모듈일 수 있다.
한편, 제1 기능 모듈(220) 내지 제N 기능 모듈(340) 각각은 전술한 다양한 기능 모듈 중 하나일 수 있다.
여기서, 제1 기능 모듈(220) 및 제2 기능 모듈(230)은 상호간 제1 피드백 신호의 제공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기능 모듈(220)은 제1 도선(320) 및 제2 도선(330)과 연결되고, 미리 설정된 제1 인터럽트 조건이 만족되면, 제1 도선(320)과 연결된 제1 스위치(411)를 턴온(Turn On)시켜 제1 도선(320)에 로우 레벨(low level; 예를 들어, 0)의 제1 피드백 신호를 인가하고, 제2 도선(330)과 연결된 제2 스위치를 턴온 또는 턴오프(Turn Off)시켜 제1 식별자에 대응하는 로우 레벨 또는 하이 레벨(high level; 예를 들어, 1)의 제2 피드백 신호를 제2 도선(330)에 순차적으로 인가할 수 있다.
참고로, 식별자는 제1 기능 모듈(220) 내지 제N 기능 모듈(340) 각각의 미리 설정된 2진수 식별자일 수 있다. 그리고, 식별자는 M개의 비트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M은 임의의 양의 정수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별자는 PLC 시스템(200)에서 기능 모듈 각각의 슬롯 번호, 기능 모듈 각각의 시리얼 번호, 기능 모듈 각각의 맥(MAC) 어드레스 등 각각의 기능 모듈별로 미리 설정된 고유한 식별자일 수 있다. 여기서, 슬롯 번호는 PLC 시스템(200)에서 각각의 기능 모듈이 연결된 슬롯의 번호를 의미할 수 있다.
이하에서, 제1 식별자 내지 제N 식별자는 제1 기능 모듈(220) 내지 제N 기능 모듈(340) 각각의 미리 설정된 식별자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식별자 내지 제N 식별자 각각이 제1 기능 모듈(220) 내지 제N 기능 모듈(340) 각각의 슬롯 번호인 경우, 제1 식별자는 0001, 제2 식별자는 0010, 제3 식별자는 0011가 될 수 있다.
한편, 인터럽트 동작은 프로세서(240)의 우선적인 처리를 요구하는 동작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240)는 제1 기능 모듈(220) 내지 제N 기능 모듈(340)로부터 인터럽트 동작을 요청 받으면, 수행하던 동작을 중단하고, 인터럽트 동작을 요청한 기능 모듈에 대해 미리 설정된 인터럽트 동작을 우선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인터럽트 조건은 프로세서(240)에게 인터럽트 동작을 요청하기 위한 조건일 수 있다. 참고로, 미리 설정된 인터럽트 조건은 제1 기능 모듈(220) 내지 제N 기능 모듈(340) 각각에 대해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 미리 설정된 제1 인터럽트 조건 내지 미리 설정된 제N 인터럽트 조건은 제1 기능 모듈(220) 내지 제N 기능 모듈(340) 각각의 미리 설정된 인터럽트 조건일 수 있다.
그리고, 미리 설정된 인터럽트 동작은 프로세서(240)가 인터럽트 동작 요청에 따라 수행해야 하는 동작으로, 인터럽트 동작을 요청한 기능 모듈 각각에 대해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기능 모듈(220)이 모터로부터 전류값을 제공받는 아날로그 입력 모듈인 경우, 미리 설정된 제1 인터럽트 조건은 전류값이 0.1mA 이하가 되는 조건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모터로부터 제공받는 전류값이 0.1mA 이하가 되면, 제1 기능 모듈(220)은 프로세서(240)에게 인터럽트 동작을 요청할 수 있다. 그러면, 프로세서(240)는 제1 기능 모듈(220)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인터럽트 동작(예를 들어, 모터에 비상 전원을 공급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2 기능 모듈(230)이 비상 스위치로부터 디지털 신호를 제공받는 디지털 입력 모듈인 경우, 미리 설정된 제2 인터럽트 조건은 비상 정지 스위치가 온(ON)되어 디지털 신호를 제공받는 조건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기능 모듈(230)은 제공받는 디지털 신호가 하이 레벨 신호가 되면, 프로세서(240)에게 인터럽트 동작을 요청할 수 있다. 그러면, 프로세서(240)는 제2 기능 모듈(230)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인터럽트 동작(예를 들어, PLC 시스템(200)과 연결된 외부 장치 전체의 전원을 끄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다시 제1 기능 모듈(220)에 대해 설명하면, 제1 기능 모듈(220)은 미리 설정된 제1 인터럽트 조건이 만족되면, 제1 스위치(411)를 턴온시킴으로써 프로세서(240)에게 인터럽트 동작을 요청할 수 있다.
제1 기능 모듈(220)의 동작에 대해서는 도 4 내지 도 8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제2 기능 모듈(230)은 제1 도선(320) 및 제2 도선(330)과 연결되고, 미리 설정된 제2 인터럽트 조건이 만족되면, 제1 도선(320)에 하이 레벨의 제1 피드백 신호가 인가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기능 모듈(230)은 제1 도선(320)에 하이 레벨의 제1 피드백 신호가 인가되는 경우, 제1 도선(320)과 연결된 제3 스위치(421)를 턴온시켜 제1 도선(320)에 로우 레벨의 제1 피드백 신호를 인가하고, 제2 도선(330)에 연결된 제4 스위치(621)를 턴온 또는 턴오프시켜 제2 식별자에 대응하는 하이 레벨(high level) 또는 로우 레벨(low level)의 제2 피드백 신호를 상기 제2 도선(330)에 순차적으로 인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기능 모듈(230)은 미리 설정된 제2 인터럽트 조건이 만족되면, 제3 스위치(421)를 턴온시킴으로써 프로세서(240)에게 인터럽트를 요청할 수 있다.
제2 기능 모듈(230)의 동작에 대해서도 도 4 내지 도 8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제1 기능 모듈(220) 및 제2 기능 모듈(230)은 서로 동일한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으며, 제3 기능 모듈(미도시) 내지 제N 기능 모듈(340)도 제1 기능 모듈(220) 및 제2 기능 모듈(230)과 동일한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제1 기능 모듈(220) 및 제2 기능 모듈(230)을 중심으로 PLC 시스템(200)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나아가, 프로세서(240)는 제1 도선(320) 및 제2 도선(330)과 연결되고, 제1 도선(320)에 로우 레벨의 제1 피드백 신호가 인가되는 경우, 제2 도선(330)에 순차적으로 인가되는 하이 레벨 또는 로우 레벨의 제2 피드백 신호에 기초하여 제1 식별자 및 제2 식별자 중 어느 하나를 식별하고, 식별된 식별자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인터럽트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240)는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라 스캔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스캔은 프로세서(240)가 각종 기능 모듈로부터 입력값을 제공받고, 입력값에 기초하여 프로세서(24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프로그램의 실행 결과인 출력값을 각종 기능 모듈에게 제공하는 일련의 과정을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240)는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라 제1 기능 모듈(220) 내지 제N 기능 모듈(340)로부터 제공받은 입력값을 토대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로직, 시퀀싱, 타이밍, 카운팅 등 다양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240)는 프로그램의 실행 결과인 출력값을 제1 기능 모듈(220) 내지 제N 기능 모듈(340)에게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240)는 제1 기능 모듈(220) 내지 제N 기능 모듈(34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인터럽트 동작을 요청 받으면, 스캔을 중단하고, 인터럽트 동작을 요청한 기능 모듈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인터럽트 동작을 우선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240)에는 제1 기능 모듈(220) 내지 제N 기능 모듈(340) 각각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인터럽트 동작이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미리 설정된 인터럽트 동작 각각에 제1 기능 모듈(220) 내지 제N 기능 모듈(340) 각각의 식별자가 매칭되어 프로세서(240)에 저장될 수 있다.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제1 도선(320)을 중심으로 PLC 시스템(200)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4는 도 3의 제1 도선을 중심으로 PLC 시스템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5는 도 3의 제1 도선에 인가되는 제1 피드백 신호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에서 R1은 미리 설정된 저항값을 갖는 저항일 수 있다. 그리고, VCC1은 미리 설정된 전압값을 갖는 전압원일 수 있다.
R1은 제1 도선(320)에서 풀 업 저항(Pull-up resister)으로 사용될 수 있다. 즉, 제1 기능 모듈(220) 내지 제N 기능 모듈(340)에서 제1 도선(320)과 연결된 모든 스위치가 턴오프되는 경우, R1으로 인해 플로팅(floating) 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며, 제1 도선(320)에 VCC1의 전압값(즉, 하이 레벨 신호)이 인가될 수 있다.
제1 기능 모듈(220)은 제1 스위치(411), 제A1 노드(412) 및 제어부(41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스위치(411)는 NPN 트랜지스터일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스위치(411)의 이미터(Emitter)는 접지에 연결되고, 제1 스위치(411)의 베이스(Base)는 제어부(413)에 연결되고, 제1 스위치(411)의 컬렉터(Collector)는 제1 도선(320)과 연결될 수 있다.
제A1 노드(412)는 제1 스위치(411)와 제1 도선(320) 사이에 위치하는 노드일 수 있다.
제어부(413)는 제1 스위치(411)의 베이스 및 제A1 노드(412)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413)는 제1 스위치(411)의 베이스에 로우 레벨 신호 또는 하이 레벨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제1 스위치(411)를 턴온시키거나 턴오프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1 기능 모듈(220) 내지 제N 기능 모듈(340) 각각의 제어부가 제1 기능 모듈(220) 내지 제N 기능 모듈(340) 각각에서 제1 도선(320)과 연결되는 스위치의 베이스에 대해 출력하는 신호를 '제1 인터럽트 신호' 내지 '제N 인터럽트 신호'로 정의하기로 한다.
즉, 제어부(413)가 제1 스위치(411)의 베이스에 대해 출력하는 신호를 '제1 인터럽트 신호'로 정의하기로 한다. 그리고, 제어부(423)가 제3 스위치(421)의 베이스에 대해 출력하는 신호를 '제2 인터럽트 신호'로 정의하기로 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413)가 로우 레벨의 제1 인터럽트 신호를 출력하면, 제1 스위치(411)가 턴온될 수 있다. 그러면, 제1 도선(320)에 로우 레벨의 제1 피드백 신호가 인가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413)가 하이 레벨의 제1 인터럽트 신호를 출력하면, 제1 스위치(411)가 턴오프될 수 있다. 이때, 제1 기능 모듈(220) 내지 제N 기능 모듈(340)에서 제1 도선(320)과 연결된 스위치가 모두 턴오프된 경우, 제1 도선(320)에 하이 레벨의 제1 피드백 신호가 인가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413)는 제A1 노드(412)를 통해 제1 도선(320)에 인가되는 제1 피드백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참고로, 제2 기능 모듈(230)의 제어부(423), 제3 스위치(421), 제A2 노드(422) 각각은 제1 기능 모듈(220)의 제어부(413), 제1 스위치(411), 제A1 노드(412) 각각과 동일하게 구현되고, 동작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마찬가지로, 제3 기능 모듈(미도시) 내지 제N 기능 모듈(340) 각각의 제어부, 스위치, 노드 각각은 제1 기능 모듈(220)의 제어부(413), 제1 스위치(411), 제A1 노드(412)와 동일한 방식으로 구현되고, 동작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제1 기능 모듈(220) 내지 제N 기능 모듈(340) 각각이 수행하는 동작은 제1 기능 모듈(220) 내지 제N 기능 모듈(340) 각각에 구비된 제어부가 수행하는 동작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제1 기능 모듈(220) 내지 제N 기능 모듈(340) 내부에 구비되고, 제1 도선(320)과 연결된 스위치 중 적어도 하나가 턴온되면, 제1 도선(320)이 접지와 연결되므로, 제1 피드백 신호는 로우 레벨 신호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t2부터 t4까지, t5에서 t7까지, t8에서 t9까지 제1 피드백 신호는 로우 레벨 신호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기능 모듈(220) 내지 제N 기능 모듈(340)에서 제1 도선(320)과 연결된 스위치가 모두 턴오프되는 경우, 제1 피드백 신호는 하이 레벨 신호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t1에서 t2까지, t4에서 t5까지, t7에서 t8까지 제1 피드백 신호는 하이 레벨 신호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기능 모듈(220)은 미리 설정된 제1 인터럽트 조건이 만족되면, 제1 스위치(411)를 턴온시켜 제1 도선(320)에 로우 레벨의 제1 피드백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기능 모듈(220)은 미리 설정된 제1 인터럽트 조건이 만족되면, 로우 레벨의 제1 인터럽트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프로세서(240)에게 인터럽트 동작을 요청할 수 있다. 그러면, 제1 스위치(411)가 턴온되고, 제1 도선(320)에 로우 레벨의 제1 피드백 신호가 인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t2 이전에 미리 설정된 제1 인터럽트 조건이 만족되면, 제1 기능 모듈(220)은 t2에서 로우 레벨의 제1 피드백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그리고, t8 이전에 미리 설정된 제1 인터럽트 조건이 만족되면, 제1 기능 모듈(220)은 t8에서 로우 레벨의 제1 피드백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나아가, 제1 기능 모듈(220)은 미리 설정된 제1 인터럽트 조건이 만족되면, 제1 피드백 신호가 하이 레벨 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기능 모듈(220)은 제2 기능 모듈(230)이 인터럽트 동작을 요청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왜냐하면, 제2 기능 모듈(230)이 하이 레벨의 제2 인터럽트 신호를 출력한 경우에만 제1 피드백 신호가 하이 레벨 신호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제1 피드백 신호가 하이 레벨 신호인 경우, 제1 기능 모듈(220)은 로우 레벨의 제1 인터럽트 신호를 출력하여 제1 스위치(411)를 턴온시킬 수 있다. 그러면, 제1 도선(320)에 로우 레벨 신호가 인가될 수 있다. 즉, 제1 피드백 신호가 로우 레벨 신호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t5에서 t7사이에 미리 설정된 제1 인터럽트 조건이 만족되면, 제1 기능 모듈(220)은 제1 피드백 신호가 하이 레벨 신호가 될 때까지 대기할 수 있다. t7에서 제1 피드백 신호가 하이 레벨 신호가 되었으므로, 제1 기능 모듈(220)은 t8에서 로우 레벨의 제1 인터럽트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기능 모듈(220)은 로우 레벨의 제1 인터럽트 신호를 출력한 이후, 제2 스위치(611)를 턴온 또는 턴오프시켜 제1 식별자에 대응하는 로우 레벨 또는 하이 레벨의 제2 피드백 신호를 제2 도선(330)에 순차적으로 인가할 수 있다. 제2 도선(330)에 대한 제1 기능 모듈(220)의 동작은 도 6 내지 도 8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 기능 모듈(220)과 마찬가지로, 제2 기능 모듈(230)은 미리 설정된 제2 인터럽트 조건이 만족되면, 제1 피드백 신호가 하이 레벨 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피드백 신호가 하이 레벨 신호인 경우, 제2 기능 모듈(230)은 로우 레벨의 제2 인터럽트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그러면, 제3 스위치(421)가 턴온되고, 제1 피드백 신호가 로우 레벨 신호가 될 수 있다. 즉, 제1 도선(320)에 로우 레벨 신호가 인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기능 모듈(230)은 t5에서 t7사이에 미리 설정된 제2 인터럽트 조건이 만족되면, 제2 기능 모듈(230)은 제1 피드백 신호가 하이 레벨 신호가 될 때까지 대기할 수 있다. t7에서 제2 피드백 신호가 하이 레벨 신호가 되었으므로, 제2 기능 모듈(230)은 t8에서 로우 레벨의 제2 인터럽트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나아가, 제2 기능 모듈(230)은 로우 레벨의 제2 인터럽트 신호를 출력한 후, 제4 스위치(621)를 턴온 또는 턴오프시켜 제2 식별자에 대응하는 하이 레벨 또는 로우 레벨의 제2 피드백 신호를 제2 도선(330)에 순차적으로 인가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240)는 제1 도선(320)과 연결되므로 베이스 모듈(210)로부터 제1 피드백 신호(즉, 제1 도선(320)에 인가되는 신호)를 제공받을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240)는 제1 기능 모듈(220) 및 제2 기능 모듈(230) 중 제1 피드백 신호를 제공한 기능 모듈을 식별할 수 있다.
먼저, 프로세서(240)는 제1 피드백 신호를 통해 인터럽트 동작을 요청한 기능 모듈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240)가 하이 레벨의 제1 피드백 신호를 감지하는 경우, 프로세서(240)는 인터럽트 동작을 요청한 기능 모듈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240)가 로우 레벨의 제1 피드백 신호를 감지하는 경우, 프로세서(240)는 인터럽트 동작을 요청한 기능 모듈이 존재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나아가, 프로세서(240)가 로우 레벨의 제1 피드백 신호를 감지한 이후, 프로세서(240)는 제2 도선(330)에 순차적으로 인가되는 하이 레벨 또는 로우 레벨의 제2 피드백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240)는 제2 도선(330)에 순차적으로 인가되는 하이 레벨 또는 로우 레벨의 제2 피드백 신호에 기초하여 제1 및 제2 식별자 중 어느 하나를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240)는 식별된 식별자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인터럽트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이하,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제2 도선(330)을 중심으로 PLC 시스템(200)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6은 도 3의 제2 도선(330)을 중심으로 PLC 시스템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7은 도 3의 제2 도선(330)에 인가되는 제2 피드백 신호의 일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3의 제2 도선(330)에 인가되는 제2 피드백 신호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참고로, 도 6내지 도 8에서 제2 도선(330)에는 도 4 및 도 5의 제1 도선(320)과 동일한 방식으로 신호가 인가될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에서 R2는 도 4의 R1과 같이 미리 설정된 저항값을 갖는 저항일 수 있다. 그리고, VCC2는 도 4의 VCC1과 같이 미리 설정된 전압값을 갖는 전압원일 수 있다. R2도 도 4의 R1과 같이 제2 도선(330)에서 풀 업 저항으로 사용될 수 있다.
제1 기능 모듈(220)은 제2 스위치(611), 제B1 노드(612), 제어부(41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스위치(611)는 NPN 트랜지스터일 수 있다. 제2 스위치(611)의 이미터는 접지에 연결되고, 제2 스위치(611)의 베이스는 제어부에 연결되고, 제2 스위치(611)의 컬렉터는 제2 도선(330)과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B1 노드는 제2 스위치(611)와 제2 도선(330) 사이에 위치하는 노드일 수 있다.
제어부는 제2 스위치(611)의 베이스와 연결되고, 제B1 노드와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는 제2 스위치(611)의 베이스에 로우 레벨 또는 하이 레벨의 제2 피드백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제2 스위치(611)를 턴온시키거나 턴오프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 제1 기능 모듈(220) 내지 제N 기능 모듈(340) 각각의 제어부가 제1 기능 모듈(220) 내지 제N 기능 모듈(340) 각각에서 제2 도선(330)을 연결하는 스위치의 베이스에 대해 출력하는 신호를 '제1 식별자 신호' 내지 '제N 식별자 신호'로 정의하기로 한다.
즉, 제어부(413)가 제2 스위치(611)의 베이스에 대해 출력하는 신호를 '제1 식별자 신호'로 정의하기로 한다. 그리고, 제어부(423)가 제4 스위치(621)에 대해 출력하는 신호를 '제2 식별자 신호'로 정의하기로 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413)가 로우 레벨의 제1 식별자 신호를 출력하면, 제2 스위치(611)가 턴온될 수 있다. 그러면, 제2 도선(330)에 로우 레벨의 제2 피드백 신호가 인가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가 하이 레벨의 제1 식별자 신호를 출력하면, 제2 스위치(611)가 턴오프될 수 있다. 이때, 제1 기능 모듈(220) 내지 제N 기능 모듈(340)에서 제2 도선(330)과 연결된 스위치가 모두 턴오프된 경우, 제2 도선(330)에 하이 레벨의 제2 피드백 신호가 인가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는 제B1 노드를 통해 제2 도선(330)에 인가되는 제2 피드백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참고로, 제2 기능 모듈(230)의 제어부(423), 제4 스위치(621) 및 제B2 노드(622) 각각은 제1 기능 모듈(220)의 제어부(413), 제2 스위치(611) 및 제B2 노드(612) 각각과 동일하게 구현되고, 동작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마찬가지로, 제3 기능 모듈(미도시) 내지 제N 기능 모듈(340) 각각의 제어부, 스위치, 노드 각각은 제1 기능 모듈(220)의 제어부, 제2 스위치(611), 제B1 노드와 동일한 방식으로 구현되고, 동작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 기능 모듈(220)은 제1 스위치(411)를 턴온시켜 제1 도선(320)에 로우 레벨의 제1 피드백 신호를 인가한 후, 제2 도선(330)과 연결된 제2 스위치(611)를 턴온 또는 턴오프시켜 제1 식별자에 대응하는 로우 레벨 또는 하이 레벨의 제2 피드백 신호를 제2 도선(330)에 순차적으로 인가할 수 있다.
제1 기능 모듈(220)은 로우 레벨의 제1 인터럽트 신호를 출력한 후, 제1 식별자의 제1 비트부터 제1 식별자의 제M 비트 각각에 대응하는 로우 레벨 또는 하이 레벨의 제2 피드백 신호를 제2 도선(330)에 순차적으로 인가할 수 있다.
이하에서, 제1 식별자 내지 제N 식별자 각각의 제1 비트는 제1 식별자 내지 제N 식별자의 최상위 비트(most significant bit)를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식별자 내지 제N 식별자 각각의 제M 비트는 제1 식별자 내지 제N 식별자 각각의 최하위 비트(least significant bit)를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식별자 내지 제N 식별자 각각의 비트값 중 0은 로우 레벨 신호에 대응하고, 제1 식별자 내지 제N 식별자 각각의 비트값 중 1은 하이 레벨 신호에 대응할 수 있다.
제1 식별자가 01인 경우를 예로 들면, 제1 기능 모듈(220)은 제1 비트인 0에 대응하는 로우 레벨의 제2 피드백 신호 및 제2 비트인 1에 대응하는 하이 레벨의 제2 피드백 신호를 제2 도선(330)에 순차적으로 인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기능 모듈(220)은 로우 레벨의 제1 식별자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제2 스위치(611)를 턴온시킬 수 있다. 그 후, 제1 기능 모듈(220)은 하이 레벨의 제1 식별자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제2 스위치(611)를 턴오프시킬 수 있다.
즉, 제1 기능 모듈(220)은 제1 식별자 01에 대응하는 로우 레벨의 제1 식별자 신호 및 하이 레벨의 제1 식별자 신호를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그러면, 제2 도선(330)에는 로우 레벨의 제2 피드백 신호가 인가된 후, 하이 레벨의 제2 피드백 신호가 인가될 수 있다.
한편, 제1 기능 모듈(220) 및 제2 기능 모듈(230)이 동시에 로우 레벨의 제1 인터럽트 신호 및 로우 레벨의 제2 인터럽트 신호를 출력하는 경우, 제2 스위치(611) 및 제4 스위치(621)가 동시에 턴온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기능 모듈(220)이 하이 레벨의 제1 식별자 신호를 출력하여 제2 스위치(611)가 턴오프된 상태에서 제2 피드백 신호가 로우 레벨 신호가 되면, 제1 기능 모듈(220)은 제2 스위치(611)를 턴오프시킨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1 기능 모듈(220)은 출력된 제1 식별자 신호와 제2 피드백 신호가 일치하지 않으면, 제1 식별자에 대응하는 제1 식별자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중단하고, 하이 레벨의 제1 식별자 신호를 출력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제2 기능 모듈(230)은 제2 인터럽트 신호를 출력한 후, 제2 식별자의 제1 비트부터 제2 식별자의 제M 비트 각각에 대응하는 로우 레벨 또는 하이 레벨의 제2 피드백 신호를 제2 도선(330)에 순차적으로 인가할 수 있다.
제2 식별자가 10인 경우를 예로 들면, 제2 기능 모듈(230)은 제1 비트인 1에 대응하는 하이 레벨의 제2 피드백 신호 및 제2 비트인 0에 대응하는 로우 레벨의 제2 피드백 신호를 제2 도선(330)에 순차적으로 인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기능 모듈(230)은 하이 레벨의 제2 식별자 신호를 출력한 후에 로우 레벨의 제2 식별자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그러면, 제2 도선(330)에는 하이 레벨의 제2 피드백 신호가 인가된 후, 로우 레벨의 제2 피드백 신호가 인가될 수 있다.
한편, 제1 기능 모듈(220) 및 제2 기능 모듈(230)이 동시에 로우 레벨의 제1 인터럽트 신호 및 로우 레벨의 제2 인터럽트 신호를 출력하는 경우, 제2 스위치(611) 및 제4 스위치(621)가 동시에 턴온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2 기능 모듈(230)이 하이 레벨의 제2 식별자 신호를 출력하여 제2 스위치(611)가 턴오프된 상태에서 제2 피드백 신호가 로우 레벨 신호가 되면, 제2 기능 모듈(230)은 제4 스위치(621)를 턴오프시킨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2 기능 모듈(230)은 출력된 제2 식별자 신호와 제2 피드백 신호가 일치하지 않으면, 제2 식별자에 대응하는 제2 식별자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중단하고, 하이 레벨의 제2 식별자 신호를 출력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참고로, 제1 기능 모듈(220) 및 제2 기능 모듈(230) 각각은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예를 들어, 1μs)에 따라 순차적으로 제1 식별자 신호 및 제2 식별자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240)는 제2 도선(330)에 순차적으로 인가되는 하이 레벨 또는 로우 레벨의 제2 피드백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240)는 제2 도선(330)에 순차적으로 인가되는 하이 레벨 또는 로우 레벨의 제2 피드백 신호에 기초하여 제1 식별자 및 제2 식별자 중 어느 하나를 식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240)는 식별된 식별자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인터럽트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40)가 제1 식별자를 식별한 경우, 프로세서(240)는 제1 식별자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인터럽트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240)는 제1 기능 모듈(220)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인터럽트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프로세서(240)가 제2 식별자를 식별한 경우, 프로세서(240)는 제2 식별자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인터럽트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240)는 제2 기능 모듈(230)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인터럽트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240)는 식별된 식별자에 대응하는 인터럽트 동작의 실행이 완료되면, 데이터 버스(310)를 통해 제1 기능 모듈(220) 또는 제2 기능 모듈(230) 중 식별된 식별자에 대응하는 기능 모듈에게 실행 완료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실행 완료 메시지는 인터럽트 동작의 실행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일 수 있다.
제1 기능 모듈(220)이 프로세서(240)로부터 실행 완료 메시지를 제공받은 경우, 제1 기능 모듈(220)은 제1 스위치(411)를 턴오프시킬 수 있다. 즉, 제1 기능 모듈(220)은 하이 레벨의 제1 인터럽트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제2 기능 모듈(230)이 프로세서(240)로부터 실행 완료 메시지를 제공받은 경우, 제2 기능 모듈(230)은 제3 스위치(421)를 턴오프시킬 수 있다. 즉, 제2 기능 모듈(230)은 하이 레벨의 제2 인터럽트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제1 식별자가 00, 제2 식별자가 10인 경우의 PLC 시스템(200)의 동작의 예시를 설명한다.
제1 기능 모듈(220)은 t11부터 t12까지 제1 식별자의 제1 비트(즉, 0)에 대응하는 로우 레벨의 제1 식별자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기능 모듈(220)은 t11부터 t12까지 출력된 제1 식별자 신호와 제2 피드백 신호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t11부터 t12까지 출력된 제2 피드백 신호도 로우 레벨 신호이므로, 제1 기능 모듈(220)은 t11부터 t12까지 출력된 제1 식별자 신호와 제2 피드백 신호가 일치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그러면, 제1 기능 모듈(220)은 t12부터 t13까지 제1 식별자의 제2 비트(즉, 0)에 대응하는 로우 레벨의 제1 식별자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t11부터 t13까지 제1 식별자에 대응하는 제1 피드백 신호를 모두 출력한 이후, 제1 기능 모듈(220)은 t13부터 하이 레벨의 제1 피드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t11부터 t12까지, 제2 기능 모듈(230)은 제2 식별자의 제1 비트(즉, 1)에 대응하는 하이 레벨의 제2 식별자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기능 모듈(230)은 t11에서 t12까지 출력된 제2 식별자 신호와 제2 피드백 신호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t11에서 t12까지 출력된 제2 피드백 신호가 로우 레벨 신호이므로, 제2 기능 모듈(230)은 t11에서 t12까지 출력된 제2 식별자 신호와 제2 피드백 신호가 일치하지 않는다고 판단할 수 있다.
그러면, 제2 기능 모듈(230)은 t12에서 t13까지 제2 식별자에 대응하는 제2 식별자 신호(즉, 0)를 출력하는 것을 중단하고, 하이 레벨의 제2 식별자 신호를 출력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나아가, 제2 기능 모듈(230)은 하이 레벨의 제2 인터럽트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그러면, 제3 스위치(421)가 턴오프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기능 모듈(230)은 제1 피드백 신호가 하이 레벨 신호가 될 때까지 대기할 수 있다. 이후, 제1 피드백 신호가 하이 레벨 신호가 되면, 제2 기능 모듈(230)은 로우 레벨의 제2 인터럽트 신호를 출력하여 프로세서(240)에게 다시 인터럽트 동작을 요청할 수 있다.
나아가, 프로세서(240)는 t11부터 t13까지 제2 도선(330)에 순차적으로 인가되는 하이 레벨 또는 로우 레벨의 제2 피드백 신호에 기초하여 제1 식별자를 식별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240)는 t11에서 t12까지 로우 레벨의 제2 피드백 신호, t12에서 t13까지 로우 레벨의 제2 피드백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240)는 제1 식별자(즉, 00)을 식별할 수 있다.
그러면, 프로세서(240)는 제1 식별자에 대응하는 인터럽트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240)는 제1 기능 모듈(220)에 대응하는 인터럽트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제1 식별자에 대응하는 인터럽트 동작의 실행이 완료되면, 프로세서(240)는 데이터 버스(310)를 통해 제1 기능 모듈(220)에게 실행 완료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면, 제1 기능 모듈(220)은 하이 레벨의 제1 인터럽트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여 제1 식별자가 0101, 제2 식별자가 0010인 경우의 PLC 시스템(200)의 동작의 예시를 설명한다.
제1 기능 모듈(220)은 t21부터 t22까지 제1 식별자의 제1 비트(즉, 0)에 대응하는 로우 레벨의 제1 식별자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t21부터 t22까지의 제2 피드백 신호가 로우 레벨 신호이므로, 제1 기능 모듈(220)은 t21부터 t22까지 출력된 제1 식별자 신호와 제2 피드백 신호가 일치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기능 모듈(220)은 t22부터 t23까지 제1 식별자의 제2 비트(즉, 1)에 대응하는 하이 레벨의 제1 식별자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t22부터 t23까지의 제2 피드백 신호가 로우 레벨 신호이므로, 제1 기능 모듈(220)은 t22부터 t23까지 제1 식별자의 제2 비트에 대응하는 제1 식별자 신호와 제2 피드백 신호가 일치하지 않는다고 판단할 수 있다.
그러면, 제1 기능 모듈(220)은 t23 이후에는 제1 식별자에 대응하는 제1 식별자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중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기능 모듈(220)은 t23부터 하이 레벨의 제1 식별자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나아가, 제1 기능 모듈(220)은 하이 레벨의 제1 인터럽트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그러면, 제1 스위치가 턴오프될 수 있다.
한편, 제2 기능 모듈(230)은 제2 식별자의 제1 비트(즉, 0)에 대응하는 로우 레벨의 제2 식별자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t21부터 t22까지의 제2 피드백 신호가 로우 레벨 신호이므로, 제2 기능 모듈(230)은 t21부터 t22까지 출력된 제2 식별자 신호와 제2 피드백 신호가 일치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기능 모듈(230)은 t22부터 t23까지 제2 식별자의 제2 비트(즉, 0)에 대응하는 로우 레벨의 제2 식별자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t22부터 t23까지의 제2 피드백 신호가 로우 레벨 신호이므로, 제2 기능 모듈(230)은 t22부터 t23까지 출력된 제2 식별자 신호와 제2 피드백 신호가 일치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기능 모듈(230)은 t23부터 t24까지 제2 식별자의 제3 비트(즉, 1)에 대응하는 하이 레벨의 제2 식별자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t23부터 t24까지의 제2 피드백 신호가 하이 레벨 신호이므로, 제2 기능 모듈(230)은 t23부터 t24까지 출력된 제2 식별자 신호와 제2 피드백 신호가 일치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기능 모듈(230)은 t24부터 t25까지 제2 식별자의 제4 비트(즉, 0)에 대응하는 로우 레벨의 제2 식별자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t21부터 t25까지 제2 식별자에 대응하는 제2 피드백 신호를 모두 출력한 이후, 제2 기능 모듈(230)은 t25부터 하이 레벨의 제2 피드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나아가, 프로세서(240)는 t21부터 t26까지 제2 도선(330)에 순차적으로 인가되는 하이 레벨 또는 로우 레벨의 제2 피드백 신호에 기초하여 제1 식별자를 식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240)는 t21부터 t26까지, 로우 레벨의 제2 피드백 신호, 로우 레벨의 제2 피드백 신호, 하이 레벨의 제2 피드백 신호, 로우 레벨의 제2 피드백 신호를 순차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240)는 순차적으로 감지한 제2 피드백 신호에 기초하여 제2 식별자(즉, 0010)를 식별할 수 있다.
그러면, 프로세서(240)는 제2 식별자에 대응하는 인터럽트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240)는 제2 기능 모듈(230)에 대응하는 인터럽트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제2 식별자에 대응하는 인터럽트 동작의 실행이 완료되면, 프로세서(240)는 데이터 버스(310)를 통해 제2 기능 모듈(230)에게 실행 완료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면, 제2 기능 모듈(230)은 하이 레벨의 제2 인터럽트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제1 기능 모듈(220) 내지 제N 기능 모듈(340)이 수행하는 인터럽트 동작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도 2의 제1 기능 모듈이 수행하는 인터럽트 동작 처리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도 9의 S940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제1 기능 모듈이 수행하는 인터럽트 동작 처리 방법은, 제2 기능 모듈(230) 내지 제N 기능 모듈(340) 각각에 의해서 동일한 과정 및 단계를 거쳐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기능 모듈(220)을 중심으로 인터럽트 동작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제1 기능 모듈(220)은 미리 설정된 제1 인터럽트 조건이 만족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910).
예를 들어, 제1 기능 모듈(220)이 외부 장치로부터 전압값을 입력받는 아날로그 입력 모듈이고, 미리 설정된 제1 인터럽트 조건이 전압값이 0.1mV 이하가 되는 조건일 수 있다.
그러면, 외부 장치로부터 입력받은 전압값이 0.1mV 이하인 경우, 제1 기능 모듈(220)은 제1 인터럽트 조건이 만족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반대로, 외부 장치로부터 입력받은 전압값이 0.1mV 초과인 경우, 제1 기능 모듈(220)은 제1 인터럽트 조건인 만족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1 인터럽트 조건이 만족되지 않는 경우, 제1 기능 모듈(220)은 단계(S910)를 다시 수행할 수 있다.
제1 인터럽트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제1 기능 모듈(220)은 제1 피드백 신호가 하이 레벨 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920).
여기서, 제1 기능 모듈(220)은 제1 피드백 신호가 하이 레벨 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다른 기능 모듈이 인터럽트 신호를 출력했는지 여부를 알 수 있다.
제1 피드백 신호가 로우 레벨 신호인 경우, 제1 기능 모듈(220)은 단계(S920)를 다시 수행할 수 있다.
제1 피드백 신호가 하이 레벨 신호인 경우, 제1 기능 모듈(220)은 제1 스위치(411)를 턴온시킬 수 있다(S930).
구체적으로, 제1 기능 모듈(220)은 로우 레벨의 제1 인터럽트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그러면, 제1 스위치(411)가 턴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도선(320)에 로우 레벨 신호가 인가될 수 있다.
단계(S930)를 수행한 이후, 제1 기능 모듈(220)은 제1 식별자에 대응하는 로우 레벨 신호 또는 하이 레벨 신호를 제2 도선(330)에 순차적으로 인가할 수 있다(S940).
구체적으로, 제1 기능 모듈(220)은 제1 식별자에 대응하는 제1 식별자 신호를 순차적으로 출력하여 제2 스위치(611)를 턴온시키거나 턴오프시킬 수 있다.
제2 스위치(611)가 턴온되는 경우, 제2 도선(330)에 로우 레벨의 제2 피드백 신호가 인가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스위치(611)가 턴오프되는 경우, 제2 도선(330)에 하이 레벨의 제2 피드백 신호가 인가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여, 단계(S940)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계(S930)를 수행한 이후, 제1 기능 모듈(220)은 제1 식별자의 제1 비트에 대응하는 제1 식별자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S1010).
구체적으로, 제1 식별자의 제1 비트가 1인 경우, 제1 기능 모듈(220)은 하이 레벨의 제1 식별자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식별자의 제1 비트가 0인 경우, 제1 기능 모듈(220)은 로우 레벨의 제1 식별자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단계(S1010)를 수행한 이후, 제1 기능 모듈(220)은 제1 식별자 신호와 제2 피드백 신호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1 식별자의 제1 비트에 대응하는 제1 식별자 신호와 제2 피드백 신호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제1 기능 모듈(220)은 단계(S920)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식별자의 제1 비트에 대응하는 제1 식별자 신호와 제2 피드백 신호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제1 기능 모듈(220)은 하이 레벨의 제1 식별자 신호를 출력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제1 기능 모듈(220)은 제2 스위치(611)를 턴오프시킨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 후, 제1 기능 모듈(220)은 단계(S920)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제1 식별자의 제1 비트에 대응하는 제1 식별자 신호와 제2 피드백 신호가 일치하는 경우, 제1 기능 모듈(220)은 제1 식별자의 제2 비트에 대응하는 제1 식별자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S1030).
구체적으로, 제1 식별자의 제2 비트가 1인 경우, 제1 기능 모듈(220)은 하이 레벨의 제1 식별자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식별자의 제2 비트가 0인 경우, 제1 기능 모듈(220)은 로우 레벨의 제1 식별자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단계(S1030)를 수행한 이후, 제1 기능 모듈(220)은 제1 식별자의 제2 비트에 대응하는 제1 식별자 신호와 제2 피드백 신호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040).
제1 식별자의 제2 비트에 대응하는 제1 식별자 신호와 제2 피드백 신호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제1 기능 모듈(220)은 하이 레벨의 제1 식별자 신호를 출력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제1 기능 모듈(220)은 제2 스위치(611)를 턴오프시킨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 후, 제1 기능 모듈(220)은 단계(S920)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제1 식별자의 제2 비트에 대응하는 제1 식별자 신호와 제2 피드백 신호가 일치하는 경우, 제1 기능 모듈(220)은 단계(950)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0에서 제1 식별자가 2개의 비트로 구성된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에 있어서 제1 식별자가 1개 이하 또는 3개 이상의 비트로 구성된 경우에도 제1 기능 모듈(220)은 도 10의 흐름도와 동일한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다시 도 9를 참조하면, 단계(S940)를 수행한 이후, 제1 기능 모듈(220)은 프로세서(240)로부터 실행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950).
제1 기능 모듈(220)이 프로세서(240)로부터 실행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 제1 기능 모듈(220)은 단계(S950)를 다시 수행할 수 있다.
제1 기능 모듈(220)이 프로세서(240)로부터 실행 완료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제1 기능 모듈(220)은 제1 스위치(411)를 턴오프시킬 수 있다(S960).
구체적으로, 제1 기능 모듈(220)은 프로세서(240)로부터 실행 완료 메시지를 수신한 이후, 하이 레벨의 제1 인터럽트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제1 스위치(411)를 턴오프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 도 11을 참조하여 프로세서(240)가 수행하는 인터럽트 동작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은 도 2의 프로세서가 수행하는 인터럽트 동작 처리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프로세서(240)는 제1 피드백 신호(즉, 제1 도선(320)에 인가되는 신호)가 로우 레벨 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110).
구체적으로, 프로세서(240)는 제1 피드백 신호가 로우 레벨 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인터럽트 동작을 요청한 기능 모듈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1 피드백 신호가 하이 레벨 신호인 경우, 프로세서(240)는 단계(S1110)를 다시 수행할 수 있다.
즉, 제1 피드백 신호가 하이 레벨 신호인 경우, 프로세서(240)는 인터럽트 동작을 요청한 기능 모듈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240)는 단계(S1110)를 다시 수행할 수 있다.
제1 피드백 신호가 로우 레벨 신호인 경우, 프로세서(240)는 제2 피드백 신호의 수신 완료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S1120).
구체적으로, 프로세서(240)는 인터럽트 동작을 요청한 기능 모듈의 미리 설정된 식별자(제1 식별자 또는 제2 식별자)에 대응하는 제2 피드백 신호를 순차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240)는 미리 설정된 식별자의 비트 길이만큼 제2 피드백 신호를 순차적으로 수신하면, 제2 피드백 신호의 수신이 완료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식별자의 비트 길이가 4인 경우, 프로세서(240)는 로우 레벨의 제1 피드백 신호를 수신한 후, 기능 모듈이 비트 길이 4의 제2 피드백 신호를 인가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예를 들어, 4μs)만큼 대기할 수 있다.
제2 피드백 신호의 수신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 프로세서(240)는 단계(S1120)를 다시 수행할 수 있다.
제2 피드백 신호의 수신이 완료된 경우, 프로세서(240)는 순차적으로 수신된 제2 피드백 신호에 기초하여 식별자를 식별할 수 있다(S1130).
구체적으로, 프로세서(240)는 순차적으로 수신된 제2 피드백 신호에 기초하여 제1 식별자 및 제 2 식별자 중 어느 하나를 식별할 수 있다.
단계(S1130)를 수행한 이후, 프로세서(240)는 식별자에 대응하는 인터럽트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S1140).
구체적으로, 프로세서(240)가 제1 식별자를 식별한 경우, 프로세서(240)는 제1 식별자에 대응하는 인터럽트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240)는 제1 기능 모듈(220)에 대응하는 인터럽트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240)가 제2 식별자를 식별한 경우, 프로세서(240)는 제2 식별자에 대응하는 인터럽트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240)는 제2 기능 모듈(230)에 대응하는 인터럽트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단계(S1140)를 수행한 이후, 프로세서(240)는 식별자에 대응하는 기능 모듈에게 실행 완료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S1150).
구체적으로, 프로세서(240)는 인터럽트 동작의 실행이 완료되면, 데이터 버스(310)를 통해 식별자에 대응하는 기능 모듈에게 실행 완료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40)가 제1 식별자에 대응하는 인터럽트 동작의 실행을 완료한 경우, 제1 기능 모듈(220)에게 실행 완료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240)가 제2 식별자에 대응하는 인터럽트 동작의 실행을 완료한 경우, 제2 기능 모듈(230)에게 실행 완료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LC 시스템(200)은 인터럽트 동작을 요청한 기능 모듈의 식별자에 대응하는 제2 피드백 신호를 프로세서(240)에게 제공함으로써 인터럽트 동작을 요청한 기능 모듈을 찾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240)가 스캔을 중단하는 시간이 감소될 수 있으며, PLC 시스템 전체의 처리 성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LC 시스템은 인터럽트 동작을 요청한 기능 모듈의 식별자에 대응하는 제2 피드백 신호를 프로세서(240)에게 제공함으로써 기능 모듈의 개수가 증가하더라도 인터럽트 동작 요청을 수신한 이후 인터럽트 동작을 수행하기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능 모듈의 개수가 증가하더라도 기능 모듈의 인터럽트 동작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200: PLC 시스템
210: 베이스 모듈
220: 제1 기능 모듈
230: 제2 기능 모듈
240: 프로세서

Claims (12)

  1. 제1 및 제2 기능 모듈;
    상기 제1 및 제2 기능 모듈 중 어느 하나로부터 인터럽트(Interrupt) 동작과 관련된 제1 피드백 신호를 제공받는 베이스 모듈; 및
    상기 베이스 모듈로부터 상기 제1 피드백 신호를 제공받고, 상기 제1 및 제2 기능 모듈 중 상기 제1 피드백 신호를 제공한 기능 모듈을 식별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및 제2 기능 모듈은 상호간 상기 제1 피드백 신호의 제공 여부를 감지하는
    PLC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모듈은 제1 및 제2 도선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 기능 모듈과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및 제2 도선에 연결되되,
    상기 제1 기능 모듈은 미리 설정된 제1 인터럽트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제1 도선과 연결된 제1 스위치를 턴온시켜 상기 제1 도선에 로우 레벨의 제1 피드백 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제2 도선과 연결된 제2 스위치를 턴온 또는 턴오프시켜 제1 식별자에 대응하는 로우 레벨(low level) 또는 하이 레벨(high level)의 제2 피드백 신호를 상기 제2 도선에 순차적으로 인가하는
    PLC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능 모듈은 미리 설정된 제2 인터럽트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제1 도선에 하이 레벨의 제1 피드백 신호가 인가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PLC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능 모듈은 상기 제1 도선에 하이 레벨의 제1 피드백 신호가 인가되는 경우, 상기 제1 도선과 연결된 제3 스위치를 턴온시켜 상기 제1 도선에 로우 레벨의 제1 피드백 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제2 도선에 연결된 제4 스위치를 턴온 또는 턴오프시켜 제2 식별자에 대응하는 하이 레벨 또는 로우 레벨의 제2 피드백신호를 상기 제2 도선에 순차적으로 인가하는
    PLC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도선에 로우 레벨의 제1 피드백 신호가 인가되는 경우, 상기 제2 도선에 순차적으로 인가되는 하이 레벨 또는 로우 레벨의 제2 피드백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및 제2 식별자 중 어느 하나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식별자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인터럽트 동작을 실행하는
    PLC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3 스위치 중 적어도 하나가 턴온되면 상기 제1 도선에 로우 레벨의 제1 피드백 신호가 인가되고,
    상기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3 스위치가 턴오프되면 상기 제1 도선에 하이 레벨의 제1 피드백 신호가 인가되는
    PLC 시스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위치 및 상기 제4 스위치 중 적어도 하나가 턴온되면 상기 제2 도선에 로우 레벨의 제2 피드백 신호가 인가되고,
    상기 제2 스위치 및 상기 제4 스위치가 모두 턴오프되면 상기 제2 도선에 하이 레벨의 제2 피드백 신호가 인가되는
    PLC 시스템.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식별자 각각은 M개의 비트로 구성되고,
    상기 제1 기능 모듈은 상기 제1 스위치를 턴온시킨 후, 상기 제2 스위치를 턴온 또는 턴오프시켜 상기 제1 식별자의 제1 비트부터 제M 비트 각각에 대응하는 로우 레벨 또는 하이 레벨의 제2 피드백 신호를 상기 제2 도선에 순차적으로 인가하는
    PLC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능 모듈은 상기 제3 스위치를 턴온시킨 후, 상기 제4 스위치를 턴온 또는 턴오프시켜 상기 제2 식별자의 제1 비트부터 제M 비트 각각에 대응하는 로우 레벨 신호 또는 하이 레벨의 제2 피드백 신호를 순차적으로 인가하는
    PLC 시스템.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능 모듈 및 상기 제2 기능 모듈 각각이 상기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3 스위치 각각을 동시에 턴온시킨 경우,
    상기 제1 기능 모듈은,
    상기 제1 스위치를 턴온시킨 후, 상기 제2 스위치를 턴온 또는 턴오프시켜 상기 제1 식별자의 상기 제1 비트부터 상기 제M 비트 각각에 대응하는 로우 레벨 또는 하이 레벨의 제2 피드백 신호를 상기 제2 도선에 순차적으로 인가하고,
    상기 제2 기능 모듈은,
    상기 제3 스위치를 턴온시킨 후, 상기 제4 스위치를 턴온 또는 턴오프시켜 상기 제2 식별자의 제1 비트부터 제M 비트 각각에 대응하는 로우 레벨 또는 하이 레벨의 제2 피드백 신호를 상기 제2 도선에 순차적으로 인가하되,
    상기 제4 스위치가 턴오프된 상태에서 상기 제2 도선에 로우 레벨의 제2 피드백 신호가 인가되는 경우, 상기 제4 스위치를 턴오프시킨 상태를 유지하는
    PLC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능 모듈은 상기 제2 스위치가 턴오프된 상태에서 상기 제2 도선에 로우 레벨의 제2 피드백 신호가 인가되는 경우, 상기 제2 스위치를 턴오프시킨 상태를 유지하는
    PLC 시스템.
  12.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모듈은 상기 제1 기능 모듈, 상기 제2 기능 모듈 및 상기 프로세서에 연결되는 데이터 버스를 더 구비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식별된 식별자에 대응하는 인터럽트 동작의 실행이 완료되면, 상기 데이터 버스를 통해 상기 제1 기능 모듈 또는 상기 제2 기능 모듈 중 상기 식별된 식별자에 대응하는 기능 모듈에게 실행 완료 메시지를 제공하는
    PLC 시스템.
KR1020180021129A 2018-02-22 2018-02-22 Plc 시스템 KR1024341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1129A KR102434128B1 (ko) 2018-02-22 2018-02-22 Plc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1129A KR102434128B1 (ko) 2018-02-22 2018-02-22 Plc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1141A true KR20190101141A (ko) 2019-08-30
KR102434128B1 KR102434128B1 (ko) 2022-08-18

Family

ID=67776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1129A KR102434128B1 (ko) 2018-02-22 2018-02-22 Plc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41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36941A (zh) * 2021-09-10 2022-01-14 华为数字能源技术有限公司 一种开关装置及配电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63108A (ja) * 1998-11-27 2000-06-16 Mitsubishi Electric Corp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
KR20160134994A (ko) * 2015-05-14 2016-11-24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모듈형 plc 시스템의 인터럽트 처리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63108A (ja) * 1998-11-27 2000-06-16 Mitsubishi Electric Corp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
KR20160134994A (ko) * 2015-05-14 2016-11-24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모듈형 plc 시스템의 인터럽트 처리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36941A (zh) * 2021-09-10 2022-01-14 华为数字能源技术有限公司 一种开关装置及配电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4128B1 (ko) 2022-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599082B (zh) 自适应寻址及编址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2291387B (zh) 主从机自动寻址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EP3338416A1 (en) Reducing flooding of link state changes in networks
KR102434128B1 (ko) Plc 시스템
JP2015033952A (ja) 制御システム
WO2019019384A1 (zh) 消息推送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US10025752B2 (en) Data processing method, processor, and data processing device
US20230198648A1 (en) Time synchronization method, device and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US20150006661A1 (en) Discovering devices in a network
KR20170047810A (ko) 프로파일링 기반의 자동화된 네트워크 성능 최적화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9030025A (ja) イーサネット(登録商標)フレーム検知回路
US11403248B2 (en) Bi-directional bus topology
WO2015172306A1 (zh) 天线级联关系的识别方法、天线设备及天线控制设备
US20200348716A1 (en) Method for configuring master/slave in double board, and board thereof
TW201626210A (zh) 配件偵測系統及方法
JPWO2009028231A1 (ja) 通信方法
US668427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ging context in link channelization
US9905264B2 (en) Servo control system having function of switching learning memory
CN112994969B (zh) 一种业务探测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US11700144B2 (en) Master slave communication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master slave communication system
CN113711542B (zh) 网络机器
US8930586B2 (en) Identification of electronic devices operating within a computing system
US20220335001A1 (en) Bi-directional bus topology
JP2014016907A (ja) 通信システムおよびアドレス割当て方法
KR20190114511A (ko) 모듈형 plc 시스템에서 기능 모듈의 인터럽트 처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