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1104A - Actuator for camera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depth image using single camera including the same - Google Patents

Actuator for camera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depth image using single camera includ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1104A
KR20190101104A KR1020180021051A KR20180021051A KR20190101104A KR 20190101104 A KR20190101104 A KR 20190101104A KR 1020180021051 A KR1020180021051 A KR 1020180021051A KR 20180021051 A KR20180021051 A KR 20180021051A KR 20190101104 A KR20190101104 A KR 201901011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lectometer
driving
main frame
present
contro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105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신두식
김기호
박용민
권영현
이차균
이재필
Original Assignee
자화전자(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자화전자(주) filed Critical 자화전자(주)
Priority to KR10201800210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01104A/en
Publication of KR201901011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110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04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 H04N13/207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using a single 2D image sensor
    • H04N13/218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using a single 2D image sensor using spatial multiplexing
    • H04N5/2254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5/02Lateral adjustment of lens
    • H04N5/2252
    • H04N5/23212
    • H04N5/2329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An actuator for camera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main frame provided with a reflectometer reflecting light in a lens direction of a camera module; a base frame in which the main frame is housed; a driving unit moving the main frame with respect to the base frame according to a driving control signal applied from the outside; and a memory unit storing the driving control signal, position information of the reflectometer moved by the driving control signal, and characteristic information in which shift information for a shift size of an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module at a corresponding moving position of the reflectometer is interrelated with each other.

Description

카메라용 액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단일 카메라를 이용한 심도영상 생성장치{ACTUATOR FOR CAMERA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DEPTH IMAGE USING SINGLE CAMERA INCLUDING THE SAME}ACTUATOR FOR CAMERA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DEPTH IMAGE USING SINGLE CAMERA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카메라용 액추에이터 및 이를 이용한 심도영상 생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액추에이터의 구동스펙정보가 저장된 메모리 유닛과 반사계의 이동 특성을 이용하여 단일의 카메라 또는 렌즈만으로 심도 영상을 생성할 수 있는 카메라용 액추에이터 및 심도영상 생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ctuator for a camera and an apparatus for generating a depth image us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generate a depth image using only a single camera or a lens using movement characteristics of a memory unit and a reflectometer storing driving specification information of an actuator. It relates to a camera actuator and a depth image generating device that can be.

하드웨어 기술의 발전, 사용자 환경 등의 변화에 따라 스마트폰 등의 휴대 단말(모바일 단말)에는 통신을 위한 기본적인 기능 이외에 오토포커스(AF, Auto Focus), 손떨림 보정(OIS, Optical Image Stabilization) 등의 다양하고 복합적인 기능이 통합적으로 구현되고 있다. With the development of hardware technology and changes in user environment, there are various functions such as auto focus (AF) and image stabilization (OIS) in addition to the basic functions for communication in portable terminals (mobile terminals) such as smartphones. And complex functions are being integrated.

근래에는 촬영되는 영상에서 초점이 맞는 부분과 그 영역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카메라로부터 가까운 부분은 선명하게 조절하고 그 외의 부분은 흐리게 조절하는 아웃포커스(Out of Focus), 가까운 부분은 흐리게 조절하고 그 외의 부분은 선명하게 조절하는 인포커스(In Focus) 및 가까운 부분과 그 외의 부분 모두를 선명하게 조절하는 팬포커스(Pan Focus) 등의 효과를 반영한 심도(depth) 영상을 생성하는 기능도 구현되고 있다.In recent years, by adjusting the size of the focused area and the area of the image being captured, it is possible to sharpen the near part from the camera and to blur the other part. The function of generating depth images reflecting effects such as In Focus for sharply adjusting parts and Pan Focus for sharply adjusting both near and other parts is also implemented.

심도 영상은 통상적으로 고정된 이격 거리를 가지는 복수 개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 사이에 발생하는 양안시차(Binocular Disparity Parallax), 주시각(Convergence Angle) 차이 및 복수 개 카메라 사이의 거리 등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생성된다.Depth images are typically taken using a plurality of cameras having a fixed separation distance, and the binocular disparity, convergence angle difference, and distance between the plurality of cameras. It is produced by the method using.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은 양안시차와 주시각 차이를 발생시키기 위해 반드시 복수 개의 카메라를 설치해야 하므로 비용이 증가하고 공간 활용성이 저하되는 근본적인 문제를 발생시킴은 물론, 복수 개의 카메라 모두를 휴대 단말의 특정 위치에 설치하여야 하므로 휴대 단말의 소형화 내지 경량화 경향에 부합되지 못하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However, such a prior art requires the installation of a plurality of cameras in order to generate binocular parallax and a difference in viewing angle, thereby causing a fundamental problem of increased cost and reduced space utilization. Since it must be installed in a specific location, there is a limit that cannot meet the trend of miniaturization or light weight of the portable terminal.

또한, 복수 개의 카메라 각각에 구비되는 렌즈와 이미지 센서 등은 서로 다른 스펙을 가지도록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각각의 카메라 영상의 화질 또는 밝기 등에서 차이가 발생하게 되어 심도 영상을 생성하기 위하여 이러한 차이를 보정하는 프로세싱이 추가적으로 구현되어야 하므로 데이터 처리의 효율성이 저하된다.In addition, since a lens and an image sensor provid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cameras are generally configured to have different specifications, a difference occurs in the image quality or brightness of each camera image, and such a difference is corrected to generate a depth image. Processing must be additionally implemented, which reduces the efficiency of data processing.

나아가, 종래기술의 경우 심도 영상을 생성하는데 필수적인 파라미터인 복수 개 카메라 사이의 이격 거리가 고정되어 있어 심도 영상의 특성, 피사체의 특성, 주변 환경 등과 같은 영상 환경을 다양하게 반영하여 더욱 효율성 높은 심도 영상을 생성할 수 없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Furthermore, in the prior art, since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a plurality of cameras, which is an essential parameter for generating a depth image, is fixed, a depth image that is more efficient by reflecting various image environments such as characteristics of a depth image, a characteristic of a subject, and a surrounding environment There is a limit that cannot be generat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배경에서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렌즈 측으로 피사체의 광을 유입시키는 반사계의 위치 등을 변화시킴으로써 단일의 카메라만으로도 복수 개의 영상을 획득하고 이를 이용하여 심도 영상 등을 효과적으로 생성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반사계의 위치 변화 및 이 위치 변화에 따른 다른 파라미터들을 유기적으로 활용함으로써 더욱 높은 품질의 심도 영상을 생성할 수 있는 카메라용 액추에이터 및 이를 이용한 심도 영상 생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in the background as described above, and by obtaining a plurality of images using a single camera by changing the position of a reflectometer for introducing light of a subject to the lens side and using the depth image. A camera actuator and a depth image arranging device that can generate a higher quality depth image by organically utilizing the position change of the reflectometer and other parameters according to the position change as well as effectively generating the light. The purpose is to provide.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아래의 설명에 의하여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난 구성과 그 구성의 조합에 의하여 실현될 수 있다.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alized by the configuration shown in the claims and combinations thereof.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카메라용 액추에이터는 카메라 모듈의 렌즈 방향으로 광을 반사시키는 반사계가 구비된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이 수용되는 베이스프레임; 외부에서 인가되는 구동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베이스프레임을 기준으로 상기 메인프레임을 이동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제어신호, 상기 구동제어신호에 의하여 이동한 상기 반사계의 위치정보 및 상기 반사계의 해당 이동 위치에서 상기 카메라 모듈에 의하여 촬영된 촬영 영상의 쉬프트 크기에 대한 쉬프트정보가 상호 연계된 특성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actuator for the camera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comprises a main frame having a reflectometer for reflecting light toward the lens of the camera module; A base frame in which the main frame is accommodated; A driving unit which moves the main frame with respect to the base frame according to a driving control signal applied from the outside; And the shift information on the shift size of the photographed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module at the driving control signal,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reflectometer moved by the driving control signal, and the corresponding moving position of the reflecting system.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memory unit in which information is stored.

또한, 본 발명의 메인프레임은 홈부라인이 형성되며, 본 발명의 상기 베이스프레임은 상기 홈부라인과 대응되는 가이드라인이 형성되고, 상기 홈부라인과 가이드라인 사이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볼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in fram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groove line is formed, the base fram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with a guide line corresponding to the groove line, and further comprises one or more balls located between the groove line and the guide line Can be configured.

나아가 본 발명의 상기 홈부라인은 라운드진 형상을 가지며, 본 발명의 상기 구동부는 상기 홈부라인에 대응되는 경로를 따라 상기 베이스프레임을 기준으로 상기 메인프레임을 회전 이동시키고 이 경우, 상기 반사계의 위치정보는 기준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반사계가 회전 이동한 각도의 크기와 방향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Furthermore, the groove part lin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rounded shape, and the driving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rotates the main frame with respect to the base frame along a path corresponding to the groove part line, and in this case, the position of the reflectometer The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about the magnitude and direction of the angle at which the reflectometer is rotated relative to the reference position.

실시형태에 따라, 본 발명의 상기 구동부는 상기 메인프레임에 구비되는 구동마그네트; 및 상기 구동마그네트에 전자기력을 발생시켜 상기 베이스프레임을 기준으로 상기 메인프레임을 이동시키는 구동코일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driv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rive magnet provided in the main frame; And a driving coil for generating an electromagnetic force on the driving magnet to move the main frame with respect to the base frame.

본 발명의 카메라용 액추에이터는 상기 반사계의 위치를 센싱하는 홀센서를 더 포함하고 이 경우, 상기 특성정보는 상기 반사계의 해당 위치에서 상기 홀센서가 출력하는 기준센싱값이 더 연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actuator for the camera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hall sensor sensing the position of the reflectometer, and in this case,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may be configured such that a reference sensing value output from the hall sensor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of the reflectometer is further linked. Can be.

본 발명의 메모리 유닛은 외부와 인터페이싱이 가능한 형태로 회로기판에 탑재될 수 있다.The memory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unted on a circuit board in the form of interfacing with the outside.

한편, 본 발명의 단일 카메라를 이용한 심도영상 생성장치는 카메라 모듈의 렌즈 방향으로 광을 반사시키는 반사계가 구비된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이 수용되는 베이스프레임, 외부에서 인가되는 구동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베이스프레임을 기준으로 상기 메인프레임을 이동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제어신호, 상기 구동제어신호에 의하여 이동한 상기 반사계의 위치정보 및 상기 반사계의 해당 이동 위치에서 상기 카메라 모듈에 의하여 촬영된 촬영 영상의 쉬프트 크기에 대한 쉬프트정보가 상호 연계된 특성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 유닛을 포함하는 액추에이터; 상기 메모리 유닛에 저장된 특성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반사계가 복수 개의 위치로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상기 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구동제어부; 상기 반사계가 상기 복수 개의 위치로 이동한 각 시점에 상기 카메라 모듈의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촬영제어부; 및 상기 카메라 모듈에서 촬영된 복수 개 영상을 대상으로 데이터 처리프로세싱을 수행하는 데이터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epth image generating apparatus using a single camer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main frame having a reflectometer for reflecting light toward the lens of the camera module, the base frame is accommodated, according to the drive control signal applied from the outside A driving unit for moving the main frame with respect to a base frame, the driving control signal, position information of the reflectometer moved by the driving control signal, and a photographed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module at a corresponding movement position of the reflectometer An actuator including a memory unit in which characteristic information, in which shift information on a shift size of the shift information is interrelated, is stored; A driving control unit for outputting the driving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reflection system to move to a plurality of positions by using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unit; A photographing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photographing of the camera module at each point of time when the reflectometer is moved to the plurality of positions; And a data processor configured to perform data processing processing on a plurality of images captured by the camera module.

실시형태에 따라, 본 발명의 상기 데이터처리부는 상기 메모리 유닛에 저장된 특성정보를 이용하여 심도영상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data processo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generate a depth image using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unit.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구동제어부는 기준 위치 및 상기 기준 위치를 기준으로 대칭되는 두 개의 대칭 위치로 상기 반사계가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본 발명의 상기 촬영제어부는 상기 반사계가 상기 기준 위치 및 대칭 위치로 이동한 각 시점에 상기 카메라 모듈의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rive control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output a drive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movement of the reflectometer to a reference position and two symmetrical positions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position, in this case, the photograph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may be configured to control the photographing of the camera module to be performed at each time point when the reflectometer is moved to the reference position and the symmetric position.

실시형태를 달리하여, 본 발명의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반사계의 위치를 센싱하는 홀센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본 발명의 상기 특성정보는 상기 반사계의 해당 위치에서 상기 홀센서가 출력하는 기준센싱값이 더 연계되며, 본 발명의 상기 촬영제어부는 상기 반사계가 상기 복수 개의 위치로 이동한 각 시점에 상기 카메라 모듈의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되, 상기 홀센서가 현재 출력하는 센싱값이 상기 메모리 유닛에 저장된 기준센싱값에 해당될 때 상기 카메라 모듈의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other embodiments, the actu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mprise a Hall sensor for sensing the position of the reflectometer, in which case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Hall sensor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of the reflectometer. The reference sensing value outputted by the controller is further linked, and the photographing controller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photographing of the camera module to be performed at each time point when the reflectometer is moved to the plurality of positions, but the sensing currently output by the hall sensor. When the value corresponds to the reference sensing value stored in the memory unit, the camera module may control to photograph the camera modul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할 때, 반사계의 이동에 대한 특성 정보 및 이 특성정보와 연동하는 다른 파라미터들을 유기적으로 결합시킨 데이터를 메모리 유닛에 저장시키고 이 메모리 유닛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반사계를 이동시키며 그 이동에 따라 각각 촬영된 복수 개 영상을 활용함으로써 단일의 카메라 또는 렌즈만으로도 심도 영상을 효과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ata in which the characteristics information on the movement of the reflectometer and other parameters in association with the characteristics information are organically combined is stored in the memory unit and the data stored in the memory unit is used. By moving the reflectometer and utilizing a plurality of images respectively photographed according to the movement, the depth image can be effectively generated with a single camera or a lens.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단일의 카메라만으로도 심도 영상을 생성할 수 있으므로 비용 효율성 및 휴대 단말의 공간 활용성을 더욱 향상시킴은 물론, 휴대 단말이 지향하는 소형화 및 경량화에 더욱 부합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generate a depth image using only a single camera, thereby further improving cost efficiency and space utiliz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nd providing an effect more suited to the miniaturization and light weight of the mobile terminal. .

또한, 본 발명의 메모리 유닛은 외부와 인터페이싱이 가능한 형태로 회로기판에 탑재되므로 메모리 유닛에 저장된 스펙정보를 이용하는 프로세싱이 더욱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어 복수 개 영상 생성 과정은 물론, 심도 영상 생성 과정의 효율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memory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circuit board in the form of interfacing with the outside, processing using the spec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unit can be implemented more easily. The efficiency can be further improved.

나아가 본 발명은 피사체와의 거리 별로 세분화된 특성정보가 메모리 유닛에 저장되도록 구성되므로 이 정보를 반영하여 실제 심도 영상을 생성하는 프로세싱에 피사체와의 거리에 최적화된 양안시차와 주시각 차이를 반영할 수 있어 더욱 고품질의 심도 영상을 생성할 수 있게 된다. Furthermore, since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store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broken down by distance from the subject in the memory unit, the binocular disparity and gaze difference optimized for the distance to the subject may be reflected in the processing for generating the actual depth image by reflecting the information. This allows for higher quality depth images.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더욱 효과적으로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이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카메라용 액추에이터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분해 결합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메인프레임과 베이스프레임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지지프레임과 미들프레임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특성정보를 생성하는 프로세싱을 도식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특성정보를 생성하는 프로세싱을 도시한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특성정보에 대한 바람직한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심도영상 생성장치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심도영상 생성장치에서 심도영상이 생성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9는 베이스프레임을 기준으로 반사계(미들프레임)가 이동함으로써 구현되는 반사광의 Y축 방향 이동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미들프레임을 기준으로 반사계(지지프레임)가 이동함으로써 구현되는 반사광의 X축 방향 이동을 도시한 도면이다.
The following drawings, which are attached to this specification, illustrat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serve to more effectively underst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in these drawings.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matters.
1 is an exploded coupling view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n actuator for a camer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a mainframe and a baseframe shown in FIG. 1;
3 is a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a support frame and a middle frame shown in FIG. 1;
4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processing for generating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showing processing for generating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preferred example of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depth image gene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generating a depth image in the depth image gene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Y-axis movement of reflected light implemented by moving a reflectometer (middle frame) with respect to a base frame;
FIG.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X-axis movement of reflected light implemented by moving a reflectometer (support frame) with respect to a middle fram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common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s should properly explain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best explain their own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can be defined,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rrespon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the drawing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equivalents that may be substituted for them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water and variation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카메라용 액추에이터(이하 ‘액추에이터’라 지칭한다)(100)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분해 결합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메인프레임(125)과 베이스프레임(140)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지지프레임(120)과 미들프레임(130)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베이스프레임(140)을 기준으로 반사계(110)가 이동함으로써 구현되는 반사광의 Y축 방향 이동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10은 미들프레임(130)을 기준으로 반사계(110)가 이동함으로써 구현되는 반사광의 X축 방향 이동을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n exploded coupling view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camera actuator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actuato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main frame 125 shown in FIG. ) Is a view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base frame 140, Figure 3 is a view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support frame 120 and the middle frame 130 shown in Figure 1, Figure 9 is a base frame ( FIG. 10 is a view illustrating movement of the reflected light in the Y-axis direction by moving the reflectometer 110 with reference to 140. FIG. 10 is a view illustrating the reflected light implemented by moving the reflectometer 110 with respect to the middle frame 130.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movement of an X-axis direction.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3,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액추에이터(100)의 상세 구성 및 각 구성의 구동 관계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9 and 1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actuator 100 and the drive relationship of each configuration.

본 발명의 카메라용 액추에이터(이하 ‘액추에이터’라 지칭한다)(100)는 반사계(110)의 이동에 대한 특성 정보를 메모리 유닛(260)에 저장하고, 이 정보를 활용하여 반사계(110)를 이동시켜 양안시차와 주시각 차이를 가지는 복수 개의 영상이 카메라 모듈에서 촬영되도록 하는 장치에 해당한다.The actuator for a camera (hereinafter referred to as 'actuato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stores characteristic information on movement of the reflectometer 110 in the memory unit 260 and utilizes the information to reflect the reflectometer 110. It corresponds to a device for moving a plurality of images having a binocular parallax and a difference in viewing angle to be photographed by the camera module.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액추에이터(100)는 메인프레임(125), 베이스프레임(140), 구동부(200) 및 메모리 유닛(26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actuato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main frame 125, a base frame 140, a driver 200, a memory unit 260, and the like.

피사체의 빛이 외계로부터 Z1경로를 거쳐 케이스(15)에 형성된 개방구를 통하여 본 발명의 액추에이터(100) 내부로 유입되면, 내부로 유입된 빛은 본 발명의 반사계(110)에 의하여 경로가 변경(굴절 내지 반사 등)(Z 경로)되어 본 발명의 구동부(200) 하부(Z축 기준)에 위치하는 카메라모듈(미도시)의 렌즈(미도시) 또는 촬상소자(미도시) 측으로 유입된다. When the light of the subject is introduced into the actuato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opening formed in the case 15 through the Z1 path from the outside, the light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is routed by the reflectometer 110 of the present invention. Changed (refractive to reflective, etc.) (Z path) is introduced into the lens (not shown) or the image pickup device (not shown) of the camera module (not shown) positioned below the driving unit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Z-axis reference) .

빛의 경로를 변경시키는 반사계(110)는 미러(mirror) 또는 프리즘(prism) 중 선택된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으며, 외계에서 유입되는 빛을 광축 방향으로 변경시킬 수 있는 다양한 부재를 이용하여 사출, 절단 등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미러 또는 프리즘은 광학적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유리(glass) 재질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reflectometer 110 for changing the path of the light may be one selected from a mirror or a prism or a combination thereof, using various members capable of changing the light flowing from the outside in the direction of the optical axis. It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such as injection, cutting. The mirror or prism is preferably implemented with a glass material to improve optical performance.

본 발명의 반사계(110)는 도 1에 도시된 예를 기준으로 액추에이터(100)에서 빛이 유입되는 케이스(15)의 개방구 방향 즉, Y축 방향 전면을 향하는 방향에 설치된다.  Reflector 1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direction toward the opening direction of the case 15, that is, the Y-axis direction front surface in which light is introduced from the actuator 100 based on the example shown in FIG.

이하 설명에서, 렌즈의 수직축 방향 즉, 렌즈로 빛이 들어가는 경로에 대응되는 축을 광축(Z축)으로 정의하며, 이 광축(Z축)과 수직한 평면상의 두 축을 X축과 Y축으로 정의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n axis corresponding to the vertical axis direction of the lens, that is, a path through which light enters the lens, is defined as an optical axis (Z axis), and two axes o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Z axis) are defined as the X axis and the Y axis. .

반사계(110)는 도 1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계(110)를 물리적으로 지지하는 메인프레임(125)에 구비되며, 본 발명의 메인프레임(125)은 반사계(110)가 설치된 상태에서 본 발명의 베이스프레임(140)에 수용된다.The reflectometer 110 is provided in the main frame 125 that physically supports the reflectometer 110, as shown in Figure 1, etc., the main frame 125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where the reflectometer 110 is installed It is accommodated in the base frame 140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메인프레임(125)은 이동 내지 회전 이동이 가능하도록 본 발명의 베이스프레임(140)에 수용되며, 메인프레임(125)이 이동 내지 회전 이동됨에 따라 메인프레임(125)에 설치된 반사계(110) 또한, 그 물리적 이동을 함께하게 된다. The main frame 125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ccommodated in the base frame 140 of the present invention so as to be moved or rotated, the reflectometer installed in the main frame 125 as the main frame 125 is moved or rotated ( 110, also with the physical movement.

반사계(110) 즉, 메인프레임(125)의 이동 내지 회전 이동은 메인프레임(125)과 베이스프레임(140) 사이의 결합 관계 또는 후술되는 홈부라인(160-1, 160-2)과 가이드라인(170-1, 170-2)의 형태 등에 따라 다양한 방향으로 구현될 수 있다. Movement or rotational movement of the reflectometer 110, that is, the main frame 125 may be performed by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main frame 125 and the base frame 140 or the groove line lines 160-1 and 160-2 and guides described below. I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rections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line (170-1, 170-2).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반사계(110)가 도 1의 YZ평면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 내지 회전 이동하는 실시예를 먼저 설명한 후, 도 1의 XY 평면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 내지 회전 이동하는 실시 예를 후술하도록 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in which the reflectometer 110 of the present invention moves or rotates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with respect to the YZ plane of FIG. 1 will be described first, and then clockwise or anticlockwise based on the XY plane of FIG. 1. An embodiment of moving or rotating in a clockwise direction will be described later.

반사계(110)가 YZ평면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 내지 회전 이동하게 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계(110)에서 반사되는 광은 +Y 방향 또는 -Y 방향으로 이동되어 촬상소자 또는 렌즈로 입사하게 된다.When the reflectometer 110 moves or rotates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with respect to the YZ plane, the light reflected by the reflectometer 110 is reflected in the + Y direction or the -Y direction as shown in FIG. 9. It is moved to enter the image pickup device or the lens.

그러므로 이하에서는, 이해의 편의성을 높이기 위하여 메인프레임(125)이 이동 내지 회전 이동하는 방향을 촬상소자 또는 렌즈를 기준으로 피사체의 빛(반사광)이 이동하는 방향으로 대체하여 지칭하도록 한다. Therefore, hereinafter, the direction in which the main frame 125 moves or rotates will be replaced with the direction in which the light (reflected light) of the subject moves relative to the image pickup device or the lens in order to increase the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즉, 메인프레임(125)이 YZ평면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하는 방향을 Y축 방향(제1방향)의 양의 방향 또는 음의 방향으로 지칭하도록 한다. That is, the direction in which the main frame 125 moves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with respect to the YZ plane is referred to as a positive or negative direction in the Y-axis direction (first direction).

본 발명의 구동부(200)는 외부에서 인가되는 구동제어신호에 따라 베이스프레임(140)을 기준으로 메인프레임(125)을 광축과 수직한 Y축 방향(제1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성에 해당한다. The driving unit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riving force for moving the main frame 125 in the Y-axis direction (first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based on the base frame 140 according to a driving control signal applied from the outside. Corresponds to the configuration.

메인프레임(125)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성은 형상기억합금(Shape Memery Alloy, SMA), 압전소자, 초소형 정밀 기계 시스템(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 MEMS) 등 다양한 적용례가 가능하나, 소비전력, 저소음, 공간 활용 등을 고려하여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전자기력을 구동력으로 사용하는 제1구동코일(150-1) 및 제1구동마그네트(210)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Configurations that provide driving force to the mainframe 125 can be used for various applications such as shape memory alloys (SMA), piezoelectric elements, and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MEMS), but do not include power consumption, low noise, In consideration of space utilization, the first driving coil 150-1 and the first driving magnet 210 that use electromagnetic force as a driving force, as illustrated in the drawing, are preferably implemented.

메인프레임(125)의 이동을 구동시키기 위하여 제1구동마그네트(210)(도 2 참조)가 메인프레임(125)에 구비되고, 이 제1구동마그네트(210)에 전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제1구동코일(150-1)은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프레임(140)에 결합되는 회로기판(10) 상에 배치된다. In order to drive the movement of the main frame 125, a first driving magnet 210 (see FIG. 2) is provided in the main frame 125, and the first driving coil for generating electromagnetic force in the first driving magnet 210. 150-1 is disposed on the circuit board 10 coupled to the base frame 140 as illustrated in FIG. 1.

이와 같이, 제1구동코일(150-1) 및 제1구동마그네트(210)가 메인프레임(125)을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원으로 이용되는 경우, 구동제어신호에 대응되는 전원이 회로기판(10)을 통하여 제1구동코일(150-1)로 인가되면, 제1구동코일(150-1)은 제1구동마그네트(210)에 전자기력을 발생시키게 되고, 이 전자기력에 의하여 메인프레임(125)이 베이스프레임(140)을 기준으로 Y축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As such, when the first driving coil 150-1 and the first driving magnet 210 are used as driving sources for moving the main frame 125 in the Y-axis direction, a power source corresponding to the driving control signal is supplied to the circuit board ( When the first driving coil 150-1 is applied to the first driving coil 150-1 through 10), the first driving coil 150-1 generates an electromagnetic force on the first driving magnet 210, and the main frame 125 is driven by the electromagnetic force. The base frame 140 is moved in the Y-axis direction.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메인프레임(125)은 베이스프레임(140)을 기준으로 Y축 방향으로 이동 내지 회전 이동하도록 구성되는데, 이를 위하여 메인프레임(125)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프레임(125)의 Y축 방향 이동이 가이딩되도록 유도하는 제1홈부라인(160-1)이 형성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main frame 125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move or rotate in the Y-axis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base frame 140. For this, the main frame 125 has a main frame as shown in FIG. 2. The first groove part line 160-1 may be formed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frame 125 in the Y-axis direction.

실시형태에 따라, 반사계(110) 즉, 반사계(110)가 결합되는 메인프레임(125)의 이동은 회전 이동이 되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하여 상기 메인프레임(125)에 형성되는 제1홈부라인(160-1)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운드진 형태로서 회전이동에 따른 최적화된 곡률을 가지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메인프레임(125)의 Y축 방향 이동을 가이딩하도록 하기 위하여 Z축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movement of the reflectometer 110, that is, the mainframe 125 to which the reflectometer 110 is coupled, may be configured to be a rotational movement. For this purpose, a first formed in the mainframe 125 may be used. Groove line (160-1) is a rounded shape as shown in the figure is preferably configured to have an optimized curvature according to the rotational movement, to guide the movement in the Y-axis direction of the main frame (125) For this reason, it is preferable to have a shape extending in the Z-axis longitudinal direction.

메인프레임(125)이 회전 이동하는 것을 물리적으로 지지하는 본 발명의 베이스프레임(140)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홈부라인(160-1)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1홈부라인(160-1)과 대응되는 형상 즉, 라운드진 형태로서 Z축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지는 제1가이드라인(170-1)이 형성될 수 있다.In the base frame 140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physically supports the rotation of the main frame 125, the first groove part line is position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groove part line 160-1 as shown in FIG. 2. A first guide line 170-1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160-1, that is, a rounded shape and extending in the Z-axis length direction may be formed.

본 발명의 메인프레임(125)은 이와 같이 라운드진 형상을 가지는 제1홈부라인(160-1) 또는 이에 상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제1가이드라인(170-1)에 대응되는 경로를 따라 회전이동하게 된다. The main frame 125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otated along the path corresponding to the first groove line (160-1) having a rounded shape or the first guide line (170-1) having a corresponding shape as described above Done.

실시형태에 따라서 베이스프레임(140) 구조를 메인프레임(125)의 상부에 배치하거나 수직으로 절곡된 프레임 구조로 구현하는 경우 상기 제1홈부라인(160-1)은 메인프레임(125)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base frame 140 is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frame 125 or the frame structure bent vertically, the first groove portion line 160-1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frame 125. It may be provided in.

메인프레임(125)의 흔들림이나 유격 등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상기 제1홈부라인(160-1)과 제1가이드라인(170-1)은 각각 나란한 방향으로 2열로 배치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The first groove line 160-1 and the first guide line 170-1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rranged in two rows in parallel to each other so that shaking or play of the main frame 125 can be minimized. desirable.

실시형태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홈부라인(160-1)과 제1가이드라인(170-1) 사이에는 하나 이상의 제1볼(240-1)이 위치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제1볼(240-1)의 배치를 통하여 본 발명의 메인프레임(125)과 베이스프레임(140)은 일정 간격이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고, 볼에 의한 점접촉(point-contact)에 의하여 최소화된 마찰력으로 본 발명의 메인프레임(125)이 베이스프레임(140)을 기준으로 Y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as shown in FIG. 2, one or more first balls 240-1 may be located between the first groove line 160-1 and the first guide line 170-1. Through the arrangement of the first ball 240-1, the main frame 125 and the base frame 14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aintain a predetermined spaced apart state, and are point-contacted by balls. The main frame 125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ved in the Y-axis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base frame 140 with the friction force minimized by).

메인프레임(125)과 베이스프레임(140) 사이의 이격을 적절한 거리만큼 유지시키기 위하여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1볼(240-1)은 제1홈부라인(160-1) 또는 제1가이드라인(170-1)에 일정 부분이 수용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2 to maintain the separation between the main frame 125 and the base frame 140 by an appropriate distance, the first ball 240-1 may be formed in the first groove line line 160-1 or the first groove line 160-1. The guide line 170-1 may be provided in a shape in which a predetermined portion is accommodated.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베이스프레임(140)에는 상기 제1구동마그네트(210)와 대면하는 위치에 자성을 가지는 금속 재질 등의 제1요크(180)가 구비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2, the base frame 14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a first yoke 180 such as a metal material having magnetic properties at a position facing the first driving magnet 210.

이 제1요크(180)는 메인프레임(125)에 구비된 제1구동마그네트(210)와 인력을 발생시켜 메인프레임(125)을 베이스프레임(140) 방향으로 당기게 되므로, 이 인력에 의하여 메인프레임(125)은 제1볼(240-1)과 지속적으로 점접촉(point-contact)하게 되고 메인프레임(125)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Since the first yoke 180 generates the attraction force with the first driving magnet 210 provided in the main frame 125, the main frame 125 is pulled toward the base frame 140. The 125 may be continuously point-contacted with the first ball 240-1 and the main frame 125 may be effectively prevented from escaping to the outside.

한편, 본 발명의 액추에이터(100)는 반사계(110)를 Y축 방향뿐만 아니라 이와 수직되는 X축 방향으로 이동 내지 회전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actuato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move or rotate the reflectometer 110 not only in the Y-axis direction but also in the X-axis direction perpendicular thereto.

본 발명의 액추에이터(100)는 메인프레임(125)을 물리적으로 이원화시키고, 이원화된 구성 중 하나를 상대적인 이동체로 이용하며 나머지 하나를 상대적인 고정체로 이용함으로써 반사계(110)를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The actuato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physically dualizes the mainframe 125, moves one of the reflectometers 110 in the X-axis direction by using one of the dualized configurations as a relative moving body and using the other as a relative fixed body. It is configured to.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메인프레임(125)은 상대적인 고정체로 기능하는 미들프레임(130) 및 상대적인 이동체로 기능하는 지지프레임(12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본 발명의 액추에이터(100)는 미들프레임(130)을 기준으로 지지프레임(120)을 X축 방향으로 이동 또는 회전 이동시켜 X축 방향에 대한 반사계(110) 이동을 구현한다.Specifically, the main frame 125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iddle frame 130 functioning as a relative stationary body and a support frame 120 functioning as a relative moving body, the actuato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iddle frame ( 130, the support frame 120 is moved or rotated in the X-axis direction to implement the movement of the reflectometer 110 with respect to the X-axis direction.

본 발명의 반사계(110)는 도 1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계(110)를 물리적으로 지지하는 지지프레임(120)에 설치되며, 전술된 본 발명의 제1구동마그네트(210)는 미들프레임(130)에 구비된다. Reflector 1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support frame 120 for physically supporting the reflectometer 110, as shown in Figure 1, etc., the first drive magnet 210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the middle frame 130 is provided.

본 발명의 지지프레임(120)은 도 3의 XY평면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 내지 회전 이동이 가능하도록 본 발명의 미들프레임(130)에 설치되며, 지지프레임(120)이 이동 내지 회전 이동함에 따라 지지프레임(120)에 설치된 반사계(110) 또한, 그 물리적 이동을 함께하게 된다.The support frame 12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middle frame 130 of the present invention so as to be able to move or rotate in a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based on the XY plane of FIG. 3, and the support frame 120 is moved. As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reflectometer 110 installed in the support frame 120, the physical movement is also accompanied.

반사계(110)가 XY평면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 내지 회전 이동하게 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계(110)에서 반사되는 광은 +X 방향 또는 -X 방향으로 편향되어 촬상소자 또는 렌즈로 입사하게 된다.When the reflectometer 110 moves or rotates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with respect to the XY plane, the light reflected by the reflectometer 110 is reflected in the + X direction or the -X direction as shown in FIG. 10. It is deflected to enter the image pickup device or the lens.

그러므로 이하에서는, 이해의 편의성을 높이기 위하여 지지프레임(120)이 이동 내지 회전 이동하는 방향을 촬상소자 또는 렌즈를 기준으로 피사체의 빛이 이동하는 방향으로 대체하여 지칭하도록 한다. 즉, 지지프레임(120)이 XY평면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하는 방향을 X축 방향(제2방향)의 양의 방향 또는 음의 방향으로 지칭하도록 한다.Therefore, hereinafter, the direction in which the support frame 120 moves or rotates will be replaced with the direction in which the light of the subject moves based on the image pickup device or the lens in order to increase the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That is, the direction in which the support frame 120 moves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with respect to the XY plane is referred to as a positive or negative direction in the X-axis direction (second direction).

지지프레임(120)의 회전 이동을 구동시키기 위하여 제2구동마그네트(210-2)는 미들프레임(130)에 구비되고, 이 제2구동마그네트(210-2)에 전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제2구동코일(150-2)은 도 3 등에 예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프레임(140)에 결합되는 회로기판(10) 상에 탑재된다. In order to drive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support frame 120, the second drive magnet 210-2 is provided in the middle frame 130, the second drive coil for generating an electromagnetic force on the second drive magnet (210-2) 150-2 is mounted on the circuit board 10 coupled to the base frame 140 as illustrated in FIG.

본 발명의 지지프레임(120)은 미들프레임(130)을 기준으로 독립적인 회전 이동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므로 미들프레임(130)이 베이스프레임(140)을 기준으로 Y축 방향으로 회전 이동하더라도 제2구동코일(150-2)에 전자기력이 발생되면 본 발명의 지지프레임(120)은 X축 방향으로 독립된 회전 이동을 할 수 있다.Since the support frame 12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capable of independent rotational movement based on the middle frame 130, even if the middle frame 130 is rotated in the Y-axis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base frame 140, When electromagnetic force is generated in the driving coil 150-2, the support frame 12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erform independent rotational movement in the X-axis direc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지지프레임(120)에는 지지프레임(120) 자체의 X축 방향 이동이 더욱 안정적으로 가이딩되도록 하는 제2홈부라인(160-2)이 형성될 수 있으며, 미들프레임(130)에는 상기 제2홈부라인(160-2)과 대응되는 제2가이드라인(170-2)이 구비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3, a second groove part line 160-2 may be formed in the support frame 120 of the present invention to more stably guide the X-axis movement of the support frame 120 itself. The middle frame 130 may be provided with a second guide line 170-2 corresponding to the second groove line 160-2.

제2홈부라인(160-2)과 제2가이드라인(170-2)은 상호 대응되는 형상 즉, X축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지며 지지프레임(120)의 회전 이동이 효과적으로 지지되도록 라운드진 형상 내지 최적화되고 상호 대응되는 곡률을 가지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econd groove portion line 160-2 and the second guide line 170-2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each other, that is, a shape extending in the X-axis length direction and are rounded to effectively support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support frame 120. It is preferably configured to have a true shape to an optimized and mutually corresponding curvature.

미들프레임(130)이 지지프레임(120)의 회전 이동을 지지함과 동시에 자신이 베이스프레임(140)을 기준으로 회전 이동하는 것이 독립적으로 구현되도록 하기 위하여 도 3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가이드라인(170-2)은 미들프레임(130)에서 제1구동마그네트(210)가 구비된 면과 다른 면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econd guideline as shown in FIG. 3 and the like in order for the middle frame 130 to support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support frame 120 and to independently rotate the movement relative to the base frame 140. The 170-2 is preferably provided on a surface different from the surface on which the first driving magnet 210 is provided in the middle frame 130.

대응되는 관점에서, 미들프레임(130)이 베이스프레임(140)을 기준으로 회전 이동하는 것을 가이딩하는 제1홈부라인(160-1)도 상기 제2가이드라인(170-2)이 구비된 면과 다른 면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 corresponding aspect, the first groove line 160-1, which guides the middle frame 130 to be rotated relative to the base frame 140, is also provided with the second guide line 170-2. It is preferable to be provided in the surface different from a surface.

즉, 첨부된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2가이드라인(170-2)은 미들프레임(130)의 일측에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제1홈부라인(160-1)는 제2가이드라인(170-2)이 구비되지 않는 영역인 타측에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at is, as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econd guide line 170-2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middle frame 130, and the first groove part line 160-1 is the second guide line 170. -2) is preferably formed on the other side, which is a region not provided.

또한, 지지프레임(120)의 X축 방향 이동과 미들프레임(130)의 Y축 방향 이동이 독립적으로 구현될 수 있도록 지지프레임(120)에 구비되는 제2홈부라인(160-2)과 미들프레임(130)에 구비되는 제1홈부라인(160-1)은 서로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second groove line line 160-2 and the middle provided in the support frame 120 so that the X-axis movement of the support frame 120 and the Y-axis movement of the middle frame 130 can be implemented independently. The first groove part line 160-1 provided in the frame 130 is preferably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each other.

실시형태에 따라, 지지프레임(120)의 X축 방향 이동이 더욱 유연하고 정밀하게 구현될 수 있도록 제2볼(240-2)이 제2홈부라인(160-2)과 제2가이드라인(170-2)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second ball 240-2 is the second groove portion line (160-2) and the second guide line (2) so that the movement in the X-axis direction of the support frame 120 can be implemented more flexibly and precisely 170-2).

또한, 제2구동마그네트(210-2)와의 사이에 발생하는 인력에 의하여 지지프레임(120)이 제2볼(240-2)과 항시적으로 점접촉(point-contact)하게 하고 지지프레임(120)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하여 자성체인 제2요크(190)가 미들프레임(130)에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pport frame 120 is always point-contacted with the second ball 240-2 by the attraction force generated between the second driving magnet 210-2 and the support frame 120 The second yoke 190, which is a magnetic material, may be provided in the middle frame 130 to effectively prevent the deviating to the outside.

이상에서 지지프레임(120)을 X축 방향으로 회전 이동시키고 미들프레임(130)(메인프레임(125))을 Y축 방향으로 회전 이동시키는 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가 설명되었으나, 실시형태에 따라서 서로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한다면 지지프레임(120)을 Y축 방향으로 회전 이동시키고, 미들프레임(130)(메인프레임(125))을 X축 방향으로 회전 이동시키는 형태도 충분히 가능함은 물론이다. As described above,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n example in which the support frame 120 is rotated in the X-axis direction and the middle frame 130 (the main frame 125) is rotated in the Y-axis direction. Therefore, if the movement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each other to rotate the support frame 120 in the Y-axis direction, the middle frame 130 (main frame 125) in the form of the rotational movement in the X-axis direction is of course possible enough.

한편,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액추에이터(100)는 반사계(110)의 이동에 대한 특성 정보를 메모리 유닛(260)에 저장하고, 이 정보를 활용하여 반사계(110)를 이동시켜 양안시차와 주시각 차이를 가지는 복수 개의 영상이 카메라 모듈에서 촬영되도록 하는 장치에 해당한다.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the actuato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stores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on the movement of the reflectometer 110 in the memory unit 260, by using the information to move the reflectometer 110 binocular parallax And a plurality of images having a difference in viewing angles from the camera module.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메모리 유닛(260)에는 구동제어신호, 반사계(110)의 위치정보, 쉬프트정보 및 기준센싱값이 상호 연계된 특성정보가 저장된다.To this end, the memory unit 260 of the present invention stores characteristic information in which the driving control signal,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reflectometer 110, the shift information, and the reference sensing value are interrelated with each other.

메모리 유닛(260)에 저장되는 구동제어신호는 구동부(200)에 인가되어 구동부(200)에서 구동력이 발생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신호로서, 본 발명의 구동부(200)가 구동마그네트와 구동코일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실시예에서 구동제어신호는 전자기력(구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구동코일에 인가되는 전류의 방향과 크기에 대한 정보가 수록된 신호체계일 수 있다.The driving control signal stored in the memory unit 260 is a control signal applied to the driving unit 200 to control the driving force to be generated in the driving unit 200. The driving unit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riving magnet and a driving coil. In the configured embodiment, the drive control signal may be a signal system that contains information on the direction and magnitude of the current applied to the drive coil to generate an electromagnetic force (drive force).

구동부(200)가 구동력을 제공하면 본 발명의 메인프레임(125)(구체적으로 메임프레임(125)에 설치되는 반사계(110))은 구동제어신호와 대응되는 크기 및 방향으로 이동 내지 회전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동제어신호에 따라 반사계(110)가 이동하면 해당 구동제어신호에 따른 반사계(110)의 위치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위치정보를 해당 구동제어신호와 연계한다.When the driving unit 200 provides a driving force, the main frame 125 (specifically, the reflectometer 110 installed in the main frame 125) of the present invention moves or rotates in the size and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driving control signal. do. As such, when the reflectometer 110 moves according to the driving control signal,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reflectometer 110 according to the driving control signal is generated, and the generated position information is associated with the driving control signal.

반사계(110)를 회전 이동시키는 전술된 실시예에서, 반사계(110)의 위치정보는 기준 위치를 기준으로 반사계(110)가 회전 이동한 각도의 크기와 방향에 대한 정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기준 위치는 구동제어신호가 인가되지 않는 초기 위치는 물론, 반사계(110)가 회전 이동한 각도의 크기를 확인할 수 있는 다양한 위치일 수 있다.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of rotating the reflectometer 110,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reflectometer 110 may be formed of information about the size and direction of the angle at which the reflectometer 110 is rotated relative to the reference position. . The reference position may be an initial position at which the driving control signal is not applied, as well as various positions for checking the magnitude of the angle at which the reflectometer 110 is rotated.

반사계(110)가 이동 내지 회전 이동하게 되면 반사계(110)에서 반사된 광(반사광)이 카메라모듈(미도시)의 렌즈 방향으로 입사되는 각도 또는 위치가 변화하게 되므로 카메라모듈에서 촬영되는 영상 또한, 반사광의 위치 변화에 대응하여 이동(쉬프트)하게 된다.When the reflectometer 110 is moved or rotated, the angle or position at which the light (reflected light) reflected by the reflectometer 110 is incident toward the lens of the camera module (not shown) is changed, so the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module In addition, it moves (shifts) in response to a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reflected light.

이와 같이 반사계(110)가 이동함에 따라 카메라모듈에서 촬영되는 영상이 이동하게 되면, 반사계(110)가 기준 위치에 위치할 때 생성되는 영상을 기준으로 촬영 영상이 쉬프트(shift)하는 크기에 대한 쉬프트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쉬프트정보를 해당 반사계(110)의 위치정보와 연계하여 특성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특성정보를 메모리 유닛(260)에 저장한다.As the reflector 110 moves as described above, when the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module moves, the photographed image shifts based on the image generated when the reflectometer 110 is positioned at the reference position. Generating the shift information, generating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by linking the generated shift information with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reflectometer 110, and storing the generated characteristic information in the memory unit 260.

실시형태에 따라, 회로기판(10)에는 홀효과(hall effect)를 이용하여 제1방향 또는 제2방향을 기준으로 제1구동마그네트(210) 또는 제2구동마그네트(210-2)의 위치를 센싱함으로써 반사계(110))의 위치를 감지하는 제1홀센서(250-1) 및 제2홀센서(250-2)가 구비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ircuit board 10 uses a hall effect to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first driving magnet 210 or the second driving magnet 210-2 based on the first direction or the second direction. The first hall sensor 250-1 and the second hall sensor 250-2 may be provided to sense the position of the reflectometer 110 by sensing.

이와 같이, 홀센서(250-1, 250-2)가 구비되는 실시예의 경우 상기 홀센서(250-1, 250-2)가 이동된 반사계(110)의 위치를 센싱한 기준센싱값을 출력하면 출력된 기준센싱값을 특성정보에 더 연계하여 메모리 유닛(260)에 저장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where the hall sensors 250-1 and 250-2 are provided, a reference sensing value that senses the position of the reflectometer 110 to which the hall sensors 250-1 and 250-2 are moved is output. In response, the output reference sensing value is further stored in the memory unit 260 in association with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본 발명의 메모리 유닛(260)은 write된 정보를 read할 수 있는 ROM(Read 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등과 같은 하드웨어 칩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 SOC(System On Chip)를 통하여 AF 또는 OIS 구동 IC에 통합된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The memory unit 26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hardware chip such as a read only memory (ROM) capable of reading the written information, an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EPROM), or the like, and the system on Chip) can also be implemented as an integrated form of AF or OIS driver ICs.

또한, 복수 개 영상 생성 및 심도 영상을 생성하는 프로세싱 등에서 메모리 유닛(260)에 저장된 정보를 쉽게 엑세스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메모리 유닛(260)은 회로기판(10)에 형성된 인터페이싱부(11)를 통하여 외부와 인터페이싱이 가능한 형태로 상기 회로기판(10)에 탑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order to easily access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unit 260 in a process of generating a plurality of images, a depth image, and the like, the memory unit 260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interface unit 11 formed on the circuit board 10. It is preferable to be mounted on the circuit board 10 in a form that can interface with the outside through.

본 발명의 메모리 유닛(260)은 도 1 및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1구동마그네트(210)와 대면하는 방향에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 공간 활용성, 다른 구성과의 배치 관계 등을 고려하여 회로기판(10)의 측면부 등 다양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The memory unit 26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in a direction facing the first driving magnet 210 as illustrated in FIGS. 1 and 2, as well as the space utilization and the arrangement relationship with other components. In consid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ircuit board 10 may be provided at various positions such as a side portion of the circuit board 10.

도 4는 본 발명의 특성정보를 생성하는 프로세싱을 도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특성정보를 생성하는 프로세싱을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특성정보에 대한 바람직한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4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processing for generating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flowchart showing processing for generating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xample is shown.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특성정보를 생성하는 프로세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고, 이 프로세싱을 통하여 생성되고 메모리 유닛(260)에 저장되는 특성정보의 일 예를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process of generating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4 to 6, and an example of characteristic information generated through this processing and stored in the memory unit 260 will be described.

먼저, 피사체(P)가 촬영을 위하여 놓이게 될 위치를 n(n은 1이상의 자연수)개로 설정하고 이 중 k(k는 1이상의 자연수, default=1)번째 위치에 피사체(P)를 위치시킨다(S510).First, set n (n is a natural number of 1 or more) positions where the subject P will be placed for shooting, and position the subject P at k (k is a natural number of 1 or more, default = 1). S510).

피사체(P)의 위치 설정이 완료된 후, 반사계(110)의 회전 이동이 다양한 각도로 구현되도록 서로 다른 구동제어신호를 구동부(200)에 인가하여(S520), 인가된 구동제어신호의 크기와 방향에 대응되도록 반사계(110)가 회전 이동하도록 제어한다.After the position setting of the subject P is completed, different driving control signals are applied to the driving unit 200 so that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reflectometer 110 is implemented at various angles (S520). The reflectometer 110 is rotat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direction.

예를 들어, 특정 방향 값과 특정 크기 값을 가지는 구동제어신호가 구동부(200)에 인가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계(110)가 기준 위치를 기준으로 구동제어신호의 방향 값과 대응되는 반시계 방향으로 구동제어신호의 크기 값과 대응되는 θ1 각도만큼 회전 이동하게 된다.For example, when a driving control signal having a specific direction value and a specific magnitude value is applied to the driving unit 200, as shown in FIG. 4, the reflectometer 110 has a direction value of the driving control signal based on a reference position. The counterclockwise rotation is moved by an angle θ1 corresponding to the magnitude value of the driving control signal.

또한, 반대 방향 값과 상대적으로 큰 크기 값을 가지는 구동제어신호가 구동부(200)에 인가되면, 반사계(110)는 기준 위치를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θ1 각도보다 상대적으로 큰 θ2 각도만큼 회전 이동하게 된다.In addition, when a driving control signal having a magnitude value relatively larger in the opposite direction is applied to the driving unit 200, the reflectometer 110 is rotated by a θ2 angle that is relatively larger than θ1 angle in the clockwis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position. Done.

각각의 구동제어신호에 따라 반사계(110)가 회전 이동한 각도(θ1, θ2 등)인 반사계(110)의 위치정보를 측정한다(S530). 또한, 반사계(110)가 회전 이동한 각도(θ1, θ2 등)에 대한 홀센서(250-1, 250-2)의 출력 값인 기준센싱값을 측정한다(S530).According to each driving control signal,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reflectometer 110, which is an angle (θ1, θ2, etc.) in which the reflectometer 110 is rotated and measured, is measured (S530). In addition, the reference sensing value which is an output value of the Hall sensors 250-1 and 250-2 with respect to the angle (θ1, θ2, etc.) in which the reflectometer 110 rotates is measured (S530).

반사계(110)가 회전 이동하게 되면 반사계(110)로 유입되는 피사체(P)의 광은 반사계(110)의 기준 위치에서 촬상소자(53)로 입사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θ1 또는 θ2 각도만큼 이격된 각도로 반사되어 렌즈 또는 렌즈모듈(55)을 지나 CCD 등의 촬상소자(53)로 유입되게 된다.When the reflectometer 110 is rotated and moved, the light of the subject P flowing into the reflectometer 110 is angled θ1 or θ2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reflector 110 is incident on the image pickup device 53 at a reference position of the reflectometer 110. As it is reflected at a spaced apart angle, it passes through the lens or the lens module 55 and enters the imaging device 53 such as a CCD.

촬상소자(53)에 θ1 또는 θ2 각도로 유입되는 광은 반사계(110)의 기준 위치에서 반사된 광이 촬상소자(53)로 입사하게 되는 위치를 기준으로 d1만큼 이격된 위치 또는 d2만큼 이격된 위치에 입사하게 된다.The light flowing into the image pickup device 53 at an angle of θ1 or θ2 is spaced apart by d1 or d2 based on the position at which the light reflected from the reference position of the reflectometer 110 is incident on the image pickup device 53. It enters the position where it was.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경우에 카메라 모듈에서 촬영되는 영상은 d1 또는 d2만큼 이동(shift)하게 된다. 이와 같이 반사계(110)의 회전 이동에 따라 촬영되는 영상이 d1 또는 d2만큼 이동하게 되면, 촬영 영상이 이동된 값인 영상 쉬프트정보를 측정한다(S530). 영상 쉬프트정보는 기준 위치의 영상을 기준으로 촬영 영상이 이동한 정도를 거리 단위로 생성하거나 또는 촬영 해상도를 기준으로 한 픽셀 수 단위로 생성될 수 있다. Therefore, as shown in FIG. 4, in each case, the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module is shifted by d1 or d2. As described above, when the image photographed according to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reflectometer 110 moves by d1 or d2, image shift information, which is the value of the photographed image, is measured (S530). The image shift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in units of distance based on the moving distance of the captured image based on the image of the reference position or in units of pixels based on the imaging resolution.

인가된 구동제어신호와 전술된 프로세싱을 통해 측정된 반사계(110)의 위치정보, 홀센서 출력값(기준센싱값) 및 영상 쉬프트정보를 상호 연계하여 k번째 특성정보를 생성한다(S540).The k-th characteristic information is generated by interworking the applied driving control signal with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reflectometer 110, the hall sensor output value (reference sensing value), and the image shift information measured through the aforementioned processing (S540).

k 번째 위치를 기준으로 생성되는 특성정보에 대한 일 예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특성정보는 반사계(110)를 구동하는 구동제어신호, 해당 각 구동제어신호에 의하여 실질적으로 이동 또는 회전 이동하는 반사계(110)의 물리적 특성값(위치정보), 반사계의 이동 또는 회전 이동에 따라 CCD 등의 촬상소자에서 생성되는 영상이 기준되는 위치를 기준으로 얼마만큼 이동하는지에 대한 영상 쉬프트 정보가 연계되는 정보에 해당한다.An example of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generated based on the k-th position is illustrated in FIG. 6.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includes a drive control signal for driving the reflectometer 110, a physical characteristic valu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reflectometer 110 that is substantially moved or rotated by the respective drive control signals, and the movement or rotational movement of the reflectometer. This corresponds to information associated with image shift information on how much an image generated by an image pickup device such as a CCD moves based on a reference position.

그러므로 이와 같은 정보가 연계되는 특성정보는 렌즈의 초점 거리 또는 화각 등과 같은 카메라모듈(50)의 스펙과 홀센서의 위치 또는 분해능, 반사계(110)의 물리적 특성, 반사계(100)를 회전시키는 구동부의 구성과 해당 구성의 전기적 또는 기구적 특성 등에 따라 다양한 예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Therefore,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to which such information is linked includes the specification of the camera module 50 such as the focal length or angle of view of the lens, the position or resolution of the Hall sensor,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reflectometer 110, and the reflectometer 100. Various examples are possible depending on the configuration of the driving unit and the electrical or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the configuration.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가된 구동제어신호는 크기 및 방향을 기준으로 표현될 수 있으며, 반사계(110)가 이동 내지 회전 이동한 위치에 대한 정보인 반사계(110)의 위치정보(회전 방향 및 각도 정보)는 인가된 구동제어신호와 연계되어 저장된다.As shown in FIG. 6, the applied driving control signal may be expressed based on size and direction, and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reflectometer 110, which is information about a position at which the reflectometer 110 moves or rotates, may be represented. Rotation direction and angle information) are stored in association with the applied drive control signal.

또한 카메라 모듈에서 촬영되는 영상의 이동 크기에 대한 정보인 영상 쉬프트정보는 반사계(110)의 위치정보와 연계되어 저장되며, 이동한 반사계(110)의 위치를 홀센서를 이용하여 측정한 기준센싱값은 반사계(110)의 위치정보와 연계되어 저장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mage shift information, which is information about the movement size of the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module, is stored in association with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reflectometer 110, and the reference of measuring the position of the moved reflectometer 110 using a hall sensor The sensing value may be stored in association with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reflectometer 110.

k번째 위치를 기준으로 한 특성정보의 생성이 완료되면 설정된 n개의 위치에 대한 특성정보의 생성이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한다(S560). 특성정보의 생성이 요구되는 위치가 존재하는 경우 피사체(S)를 다음 번째 위치로 이동시켜 전술된 프로세싱을 수행함으로써 해당 위치를 기준으로 한 특성정보를 생성한다.When the generation of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based on the k-th position is complete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generation of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for the set n positions is completed (S560). If there is a position where the generation of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is required, the object S is moved to the next position and the above-described processing is performed to generate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based on the position.

이러한 프로세싱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모든 위치(n개의 위치)를 기준으로 한 특성정보가 생성되면 생성된 각 위치에서의 특성정보를 미리 정해진 DB 구조로 생성하여 본 발명의 메모리 유닛(260)에 저장한다(S570).When such processing is repeatedly performed to generate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based on all positions (n positions),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at each generated position is generated in a predetermined DB structure and stored in the memory unit 260 of the present invention. (S570).

n의 크기가 증가하면 특성정보를 더욱 세분화된 위치마다 생성할 수 있으므로 심도 영상을 생성하는 프로세싱에서 이용 가능한 특성정보가 더욱 정밀해져 실제 심도 영상을 생성하는 프로세싱에 더욱 정확한 특성정보를 반영할 수 있어 더욱 고품질의 심도 영상을 생성할 수 있게 되므로 분할된 위치 n은 충분히 큰 크기를 가지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the size of n increases,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can be generated for each of the more detailed positions. Therefore,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available in the processing for generating the depth image is more precise, so that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can be more accurately reflected in the processing for generating the actual depth image. Since a higher quality depth image can be generated, it is preferable that the divided position n is set to have a sufficiently large size.

다만, 메모리 유닛(260)의 저장 용량, 최적화된 특성정보를 선별하는 프로세싱의 간소화 등을 고려하여 메모리 유닛(260)에 저장되는 특성정보의 개수(n)를 적절한 크기로 설정하고 데이터 보간법(interpolation) 등을 이용하여 산출되는 추정데이터를 통해 심도 영상 생성 프로세싱이 구현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However, in consideration of the storage capacity of the memory unit 260 and the simplification of the processing for selecting the optimized characteristic information, the number n of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unit 260 is set to an appropriate size and the data interpolation method is performed. Depth image generation processing may be implemented through the estimated data calculated using the < RTI ID = 0.0 >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메모리 유닛(260)에는 피사체의 위치는 물론, 반사계(110)의 회전 각도 등에 따라 세분화된 특성정보가 저장되므로 실제 심도 영상을 생성하는 프로세싱에 피사체와의 거리에 최적화된 양안시차와 주시각 차이를 반영할 수 있어 더욱 고품질의 심도 영상을 생성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memory unit 260 of the present invention stores characteristic information subdivid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subject as well as the rotation angle of the reflectometer 110, and thus is optimized for the distance to the subject for processing to generate an actual depth image. The binocular disparity and the difference in the viewing angle can be reflected, and thus a higher quality depth image can be generated.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심도영상 생성장치(이하 ‘생성장치’라 지칭한다)(300)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생성장치(300)에서 심도영상이 생성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FIG. 7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depth image generating apparatus 300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gene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generating apparatus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generating a depth image.

이하에서는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의한 생성장치(300)의 구체적인 구성 및 생성장치(300)를 통하여 심도 영상이 생성되는 과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generating apparatus 300 and the process of generating a depth image through the generating apparatus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7 and 8.

본 발명의 생성장치(300)는 본 발명의 액추에이터(100)와 카메라모듈(렌즈, 셔터, CCD 등)(50)을 구동시켜 복수 개의 영상을 생성하고, 이 복수 개의 영상을 대상으로 데이터 처리 프로세싱을 수행하여 파노라마 영상, 심도 영상 등을 생성하는 장치에 해당한다.The generating device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drives the actuator 100 and the camera module (lens, shutter, CCD, etc.) 50 of the present invention to generate a plurality of images, and processes the data for the plurality of images. Corresponds to an apparatus for generating a panorama image, a depth image, and the like.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생성장치(300)는 카메라모듈(50), 액추에이터(100), 구동제어부(310), 촬영제어부(320) 및 데이터처리부(3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7, the generating apparatus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mera module 50, an actuator 100, a driving controller 310, a photographing controller 320, and a data processor 330. Can be.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구동제어부(310), 촬영제어부(320) 및 데이터처리부(330) 구성은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구성요소라기보다는 논리적으로 구분되는 구성요소로 이해되어야 한다.Prior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figuration of the driving control unit 310, the imaging control unit 320 and the data processing unit 330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ure 7 is divided into logically divided components rather than physically divided components It must be understood.

즉, 각각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실현하기 위한 논리적인 구성요소에 해당하므로 각각의 구성요소가 통합 또는 분리되어 구성되더라도 본 발명의 논리 구성이 수행하는 기능이 실현될 수 있다면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고 해석되어야 하며,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라면 그 명칭 상의 일치성 여부와는 무관히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고 해석되어야 함은 물론이다.That is, since each configuration corresponds to a logical component for realiz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each component is integrated or separated, if the function performed by the logica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alized, It should be construed that it is within the scope, and that components that perform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are to be interpreted as be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regardless of whether their names are consistent.

심도 영상 생성신호가 수신되면(S810), 본 발명의 구동제어부(310)는 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하여(S820, S850) 액추에이터(100)에 구비된 구동부(200)에 의하여 반사계(110)가 복수 개의 위치로 이동하도록 제어한다.When the depth image generation signal is received (S810), the driving controller 310 of the present invention outputs a driving control signal (S820, S850) so that the reflector 110 is driven by the driving unit 200 provided in the actuator 100. Control to move to a plurality of positions.

반사계(110)를 복수 개의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면 본 발명의 구동제어부(310)가 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방식은 다양한 방식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구동제어부(310)가 구동제어신호를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If the reflectometer 110 can be moved to a plurality of positions, the method of outputting the driving control signal by the driving controller 31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using various methods. Hereinafter, the driving control unit 31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n embodiment of sequentially outputting a driving control signal.

구동제어부(310)가 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하는 프로세싱은 메모리 유닛(260)에 저장된 특성정보를 이용하여 구현된다. 구체적으로 구동제어부(310)는 특성정보에 포함된 구동제어신호 중 피사체와의 거리, 카메라 모듈의 스펙, 렌즈의 초점 거리 등을 고려하여 피사체에 대한 심도 영상을 생성하는데 최적화된 쉬프트정보를 선별하고 이와 연계되어 있는 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한다(S820).Processing in which the drive control unit 310 outputs a drive control signal is implemented using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unit 260. In detail, the driving controller 310 selects the shift information optimized for generating a depth image of the subject in consideration of the distance from the subject, the specification of the camera module, the focal length of the lens, and the like among the driving control signals included in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The driving control signal associated with this is output (S820).

첫 번째 구동제어신호가 출력되면(S820), 반사계(110)는 첫 번째 구동제어신호와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하게 되고, 본 발명의 촬영제어부(320)는 반사계(110)가 제1위치로 이동한 시점에 카메라모듈(50)의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카메라모듈(50)을 제어한다(S840).When the first driving control signal is output (S820), the reflectometer 110 is moved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driving control signal, and the imaging control unit 32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reflectometer 110 at the first position. The camera module 50 is controlled to take a picture of the camera module 50 at the time point at which it is moved (S840).

실시형태에 따라, 본 발명의 촬영제어부(320)는 액추에이터(100)에 구비된 홀센서(250-1, 250-2)가 출력하는 센싱값이 메모리 유닛(260)에 저장된 기준센싱값에 해당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830), 상기 홀센서(250-1, 250-2)가 출력하는 센싱값이 메모리 유닛(260)에 저장된 기준센싱값에 해당되는 경우에 한하여 제1위치에서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S840).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the image capturing controller 320 of the present invention corresponds to a reference sensing value stored in the memory unit 260 by the sensing values output by the hall sensors 250-1 and 250-2 provided in the actuator 100. In operation S830, imaging is performed at the first position only when the sensing values output by the hall sensors 250-1 and 250-2 correspond to the reference sensing values stored in the memory unit 260. It may be controlled to lose (S840).

제1위치에서 촬영이 이루어지면, 본 발명의 구동제어부(310)는 전술된 프로세싱과 마찬가지로 메모리 유닛(260)에 저장된 특성정보를 이용하여 반사계(110)가 제2위치로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두 번째 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한다(S850). When the image is taken at the first position, the driving controller 310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reflectometer 110 to move to the second position using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unit 260 as in the above-described processing. The second drive control signal is output (S850).

본 발명의 촬영제어부(320)는 반사계(110)가 제2위치로 이동한 시점에 카메라모듈(50)의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거나(S870), 홀센서(250-1, 250-2)가 출력하는 센싱값이 메모리 유닛(260)에 저장된 기준센싱값에 해당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860) 해당되는 경우에 한하여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S870).The photographing controller 320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photographing of the camera module 50 to be performed at the time when the reflectometer 110 moves to the second position (S870), or the hall sensors 250-1 and 250-2.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sensed value outputted by the controller corresponds to the reference sensed value stored in the memory unit 260 (S860), and control is performed so that photographing is performed only in this case (S870).

한편, 구동제어부(310)가 반사계(110)의 이동을 제어하고 촬영제어부(320)가 카메라모듈(50)의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싱은 전술된 바와 같이 반사계(110)를 제1위치 및 제2위치로 이동시키고 각각의 위치에서 카메라모듈(50)의 촬영이 이루어지는 방식 이외에도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rocessing in which the driving controller 310 controls the movement of the reflector 110 and the photographing controller 320 controls the photographing of the camera module 50 to be taken is performed by the first reflector 110 as described above. In addition to the method of moving to the position and the second position and the photographing of the camera module 50 in each position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예를 들어, 구동제어부(310)는 반사계(110)의 초기 위치에 해당하는 기준 위치 및 상기 기준 위치를 기준으로 대칭되는 두 개의 대칭 위치로 반사계(110)가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촬영제어부(320)는 반사계(110)가 상기 기준 위치 및 대칭 위치로 이동한 각 시점에 카메라모듈(50)의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driving controller 310 controls the movement of the reflectometer 110 to move to a referenc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initial position of the reflectometer 110 and two symmetric positions that ar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position. The photographing controller 320 may be implemented by controlling the photographing of the camera module 50 at each time point when the reflectometer 110 moves to the reference position and the symmetric position.

반사계(110)의 초기 위치는 반사계(110)에 구동력이 인가되지 않아 반사계(110)가 이동하지 않은 위치에 해당하므로, 반사계(110)를 기준 위치로 이동시키는 구동제어신호는 도 6에 예시된 0㎃에 해당하는 구동제어신호를 의미한다.Since the initial position of the reflectometer 110 corresponds to the position at which the reflectometer 110 is not moved because the driving force is not applied to the reflectometer 110, the drive control signal for moving the reflectometer 110 to the reference position is shown in FIG. Means a drive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0 된 illustrated in 6.

이러한 프로세싱에 의하여 카메라모듈(50)에서 복수 개의 영상이 촬영되면, 본 발명의 데이터처리부(330)는 촬영된 복수 개의 영상을 대상으로 데이터 처리 프로세싱을 수행한다.When a plurality of images are photographed by the camera module 50 by such processing, the data processor 330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data processing processing on the plurality of photographed images.

본 발명의 데이터처리부(330)에서 수행되는 데이터 처리 프로세싱은 모션 영상, 3D 영상, 파노라마 영상, 심도 영상 등을 생성하는 프로세싱일 수 있으며 피사체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프로세싱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데이터처리부(330)에서 수행되는 상기와 같은 다양한 프로세싱 중 심도 영상을 생성하는 프로세싱과 파노라마 영상을 생성하는 프로세싱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The data processing processing performed by the data processor 33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cessing for generating a motion image, a 3D image, a panorama image, a depth image, or the like, and may be a process for measuring a distance from a subject. Hereinafter, the processing of generating the depth image and the processing of generating the panorama image among the various processing performed by the data processor 330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데이터처리부(330)는 심도 영상을 생성하기 위하여 먼저, 복수 개 영상을 좌표화하는 프로세싱과 상기 복수 개 영상에서 사용자의 요청신호에 따라 선명하게 처리할 영상 영역(관심 영역)을 설정하는 프로세싱을 수행한다(S841, S871)In order to generate a depth image, the data processor 330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sets a processing area that coordinates a plurality of images and an image area (region of interest) to be clearly processed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signal from the plurality of images. Processing is performed (S841, S871)

영상 좌표화 프로세싱과 관심 영역 설정 프로세싱이 완료되면, 카메라모듈(50)은 설정된 관심 영역을 기준으로 AF 기능을 구동시켜(S843, S873) 복수 개 영상에서 선명하게 데이터 처리할 영상 영역(관심 영역)과 흐리게(초점이 맞지 않게) 처리할 영상 영역을 차등적으로 데이터 처리하는 프로세싱을 수행하고, 이와 같은 프로세싱이 완료된 복수 개의 영상으로부터 정지 영상을 각각 획득한다.After the image coordinate processing and the ROI setting processing are completed, the camera module 50 drives the AF function based on the set ROI (S843, S873) to perform image data processing clearly from a plurality of images (interest region). Processing is performed to differentially process an image area to be processed to be blurred and out of focus, and a still image is obtained from a plurality of images in which such processing is completed.

정지 영상이 획득되면, 본 발명의 데이터처리부(330)는 획득된 복수 개의 정지 영상 각각에서 특징점을 검출하고(S845, S875), 복수 개 정지 영상의 특징점을 상호 매칭시키는(S880) 프로세싱을 수행한다.When a still image is acquired, the data processor 330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a feature point from each of the obtained plurality of still images (S845 and S875), and performs processing to match the feature points of the plurality of still images (S880). .

실시형태에 따라, 획득된 정지 영상의 품질을 더욱 높여 더욱 정확한 심도 영상이 생성되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데이터처리부(330)는 획득된 복수 개의 정지 영상에 이미지 왜곡 개선 프로세싱을 수행할 수도 있다(S845, S875).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 order to further increase the quality of the acquired still image to generate a more accurate depth image, the data processor 33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erform image distortion improvement processing on the obtained plurality of still images ( S845, S875).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특성정보는 반사계(110)의 회전 각도에 대한 정보, 회전 각도마다의 영상 쉬프트 정보, 픽셀 이동 정보 등이 연계되어 저장되어 있으므로 회전 각도 정보와 해당 회전 각도에 따른 영상 쉬프트 정보를 함수적으로 활용하면 종래 복수 개 카메라를 이용하여 심도 영상을 생성하는 방법에서 요구되는 파라미터인 복수 개 카메라 사이의 거리 정보에 대응되는 파라미터를 생성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tored in association with information about the rotation angle of the reflectometer 110, image shift information for each rotation angle, pixel movement information, and the like, the rotation angle information and the corresponding rotation angle are stored. When the image shift information is used as a function, a parameter corresponding to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a plurality of cameras, which is a parameter required by a conventional method of generating a depth image using a plurality of cameras, may be generated.

그러므로 복수 개 카메라 사이의 거리 정보, 렌즈의 초점 거리, 영상 내 ROI 또는 특징점 픽셀 등의 상대적 3차원 위치 값을 통하여 생성되는 종래 심도영상 생성방법을 그대로 본 발명에 적용하여 심도 영상을 생성할 수있게 된다. Therefore, it is possible to generate a depth image by applying a conventional depth image generation method, which is generated through relative three-dimensional position values such as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a plurality of cameras, a focal length of a lens, an ROI or a feature pixel in an image, and the like. do.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데이터처리부(330)는 획득된(특징점이 상호 매칭된) 복수 개의 영상, 특성정보에 포함된 반사계(110)의 위치정보, 영상 쉬프트정보 등을 삼각함수, 역삼각함수 등에 적용하거나 기하학적으로 연산하여 피사체와 카메라모듈(50) 사이의 거리, 피사체들 사이의 거리 등을 연산함으로써 심도 영상을 생성하는 프로세싱을 수행한다(S890).In detail, the data processor 330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triangular function, inverse trigonometric function, and the like on a plurality of acquired images (matched feature points), position information of the reflectometer 110 included in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image shift information, and the like. Processing to generate a depth image by calculating a distance between the subject and the camera module 50, a distance between the subjects, and the like by applying the same or performing a geometric operation (S890).

실시형태에 따라, 본 발명의 데이터처리부(330)는 복수 개의 영상에서 중첩되는 영역을 기준으로 복수 개의 영상을 연결함으로써 파노라마 영상을 생성하는 프로세싱을 수행할 수도 있다(S890).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data processor 33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erform a process of generating a panorama image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images based on regions overlapping in the plurality of images (S890).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생성장치(300)는 단일의 카메라모듈(50)을 이용하여 파노마라 영상 또는 심도 영상 등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므로 복수 개의 카메라를 이용하는 종래 기술에 비해 공간 활용성이 더욱 향상됨은 물론, 휴대 단말이 지향하는 소형화 및 경량화에 더욱 부합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generating device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generate a panoramara image or a depth image using a single camera module 50, the space utilization is further improved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technology using a plurality of cameras. Of course,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ffect more suited to the miniaturization and weight reduction that the mobile terminal is directed.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by means of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will be described below by the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상술된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 제1, 제2, 서브 등과 같은 수식어는 상호 간의 구성요소를 상대적으로 구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도구적 개념의 용어일 뿐이므로, 특정의 순서, 우선순위 등을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되는 용어가 아니라고 해석되어야 한다.In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odifiers such as first, second, sub, and the like are merely terms of a tool concept used to relatively distinguish the components from each other, and thus indicate a specific order, priority, and the like. It should not be interpreted to be a term used for the purpose.

본 발명의 설명과 그에 대한 실시예의 도시를 위하여 첨부된 도면 등은 본 발명에 의한 기술 내용을 강조 내지 부각하기 위하여 다소 과장된 형태로 도시될 수 있으나, 앞서 기술된 내용과 도면에 도시된 사항 등을 고려하여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 수준에서 다양한 형태의 변형 적용 예가 가능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고 해석되어야 한다.The accompanying drawing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mbodiments thereof may be shown in somewhat exaggerated form in order to emphasize or highlight the technical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ous forms of modification application may be possible at the level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in consideration.

100 : 액추에이터
110 : 반사계 120 : 지지프레임
125 : 메인프레임 130 : 미들프레임
140 : 베이스프레임 150-1 : 제1구동코일
150-2 : 제2구동코일 160-1 : 제1홈부라인
160-2 : 제2홈부라인 170-1 : 제1가이드라인
170-2 : 제2가이드라인 180 : 제1요크
190 : 제2요크 200 : 구동부
210 : 제1구동마그네트 210-2 : 제2구동마그네트
220 : 제1서브마그네트 230 : 제2서브마그네트
250-1 : 제1홀센서 250-2 : 제2홀센서
260 : 메모리 유닛 300 : 심도영상 생성장치
310 : 구동제어부 320 : 촬영제어부
330 : 데이터처리부
100: actuator
110: reflectometer 120: support frame
125: main frame 130: middle frame
140: base frame 150-1: first drive coil
150-2: second drive coil 160-1: first groove line
160-2: second groove line 170-1: first guide line
170-2: second guideline 180: first yoke
190: second yoke 200: drive unit
210: first driving magnet 210-2: second driving magnet
220: first sub magnet 230: second sub magnet
250-1: first hall sensor 250-2: second hall sensor
260: memory unit 300: depth image generating device
310: driving control unit 320: shooting control unit
330: data processing unit

Claims (10)

카메라 모듈의 렌즈 방향으로 광을 반사시키는 반사계가 구비된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이 수용되는 베이스프레임;
외부에서 인가되는 구동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베이스프레임을 기준으로 상기 메인프레임을 이동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제어신호, 상기 구동제어신호에 의하여 이동한 상기 반사계의 위치정보 및 상기 반사계의 해당 이동 위치에서 상기 카메라 모듈에 의하여 촬영된 촬영 영상의 쉬프트 크기에 대한 쉬프트정보가 상호 연계된 특성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액추에이터.
A main frame having a reflectometer for reflecting light toward the lens of the camera module;
A base frame in which the main frame is accommodated;
A driving unit which moves the main frame with respect to the base frame according to a driving control signal applied from the outside; And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driving control signal,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reflectometer moved by the driving control signal, and the shift information on the shift size of the photographed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module at the corresponding moving position of the reflectometer Actuator for a camera,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memory unit is stored.
제 1항에 있어서, 메인프레임은,
홈부라인이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프레임은 상기 홈부라인과 대응되는 가이드라인이 형성되고,
상기 홈부라인과 가이드라인 사이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액추에이터.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mainframe,
Groove line is formed,
The base frame has a guide line corresponding to the groove portion line,
And at least one ball located between the groove line and the guide line.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라인은,
라운드진 형상을 가지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홈부라인에 대응되는 경로를 따라 상기 베이스프레임을 기준으로 상기 메인프레임을 회전 이동시키고,
상기 반사계의 위치정보는 기준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반사계가 회전 이동한 각도의 크기와 방향에 대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액추에이터.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groove portion line,
Has a rounded shape,
The driving unit rotates the main frame with respect to the base frame along a path corresponding to the groove lin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reflectometer is an actuator for a camera, characterized in that the information about the size and direction of the angle the rotation of the reflectometer based on the reference posi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메인프레임에 구비되는 구동마그네트; 및
상기 구동마그네트에 전자기력을 발생시켜 상기 베이스프레임을 기준으로 상기 메인프레임을 이동시키는 구동코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액추에이터.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riving unit,
A driving magnet provided in the main frame; And
And a driving coil for generating an electromagnetic force in the driving magnet to move the main frame with respect to the base fram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계의 위치를 센싱하는 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특성정보는,
상기 반사계의 해당 위치에서 상기 홀센서가 출력하는 기준센싱값이 더 연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액추에이터.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Hall sensor for sensing the position of the reflectometer,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And a reference sensing value output from the hall sensor at a corresponding position of the reflectomet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유닛은,
외부와 인터페이싱이 가능한 형태로 회로기판에 탑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액추에이터.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memory unit,
Actuator for a camera, characterized in that mounted on the circuit board in the form capable of interfacing with the outside.
카메라 모듈의 렌즈 방향으로 광을 반사시키는 반사계가 구비된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이 수용되는 베이스프레임, 외부에서 인가되는 구동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베이스프레임을 기준으로 상기 메인프레임을 이동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제어신호, 상기 구동제어신호에 의하여 이동한 상기 반사계의 위치정보 및 상기 반사계의 해당 이동 위치에서 상기 카메라 모듈에 의하여 촬영된 촬영 영상의 쉬프트 크기에 대한 쉬프트정보가 상호 연계된 특성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 유닛을 포함하는 액추에이터;
상기 메모리 유닛에 저장된 특성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반사계가 복수 개의 위치로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상기 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구동제어부;
상기 반사계가 상기 복수 개의 위치로 이동한 각 시점에 상기 카메라 모듈의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촬영제어부; 및
상기 카메라 모듈에서 촬영된 복수 개 영상을 대상으로 데이터 처리프로세싱을 수행하는 데이터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카메라를 이용한 심도영상 생성장치.
A main frame including a main frame reflecting light toward a lens of the camera module, a base frame accommodating the main frame, a driving unit moving the main frame with respect to the base frame according to a driving control signal applied from the outside, and Characteristic information in which the driving control signal,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reflector moved by the driving control signal, and the shift information on the shift size of the photographed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module at the corresponding moving position of the reflecting system are mutually correlated An actuator including a memory unit to be stored;
A driving control unit for outputting the driving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reflection system to move to a plurality of positions by using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unit;
A photographing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photographing of the camera module at each point of time when the reflectometer is moved to the plurality of positions; And
And a data processor configured to perform data processing processing on a plurality of images captured by the camera module.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처리부는,
상기 메모리 유닛에 저장된 특성정보를 이용하여 심도영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카메라를 이용한 심도영상 생성장치.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data processing unit,
Depth image generation apparatus using a single camera, characterized in that for generating a depth image using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unit.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제어부는,
기준 위치 및 상기 기준 위치를 기준으로 대칭되는 두 개의 대칭 위치로 상기 반사계가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촬영제어부는,
상기 반사계가 상기 기준 위치 및 대칭 위치로 이동한 각 시점에 상기 카메라 모듈의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카메라를 이용한 심도영상 생성장치.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drive control unit,
Outputs a driving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reflection system to move to a reference position and two symmetric positions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position,
The photographing control unit,
Depth image generating apparatus using a single camera,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the photographing of the camera module at each point of time when the reflectometer is moved to the reference position and the symmetric position.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반사계의 위치를 센싱하는 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특성정보는,
상기 반사계의 해당 위치에서 상기 홀센서가 출력하는 기준센싱값이 더 연계되며,
상기 촬영제어부는,
상기 반사계가 상기 복수 개의 위치로 이동한 각 시점에 상기 카메라 모듈의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되, 상기 홀센서가 현재 출력하는 센싱값이 상기 메모리 유닛에 저장된 기준센싱값에 해당될 때 상기 카메라 모듈의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카메라를 이용한 심도영상 생성장치.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actuator,
Further comprising a Hall sensor for sensing the position of the reflectometer,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The reference sensing value output by the Hall sensor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of the reflectometer is further linked,
The photographing control unit,
The camera module controls the photographing of the camera module to be taken at each time point when the reflectometer is moved to the plurality of positions, when the sensing value currently output by the hall sensor corresponds to the reference sensing value stored in the memory unit. Depth image generating device using a single camera,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to shoot.
KR1020180021051A 2018-02-22 2018-02-22 Actuator for camera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depth image using single camera including the same KR2019010110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1051A KR20190101104A (en) 2018-02-22 2018-02-22 Actuator for camera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depth image using single camera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1051A KR20190101104A (en) 2018-02-22 2018-02-22 Actuator for camera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depth image using single camera includ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1104A true KR20190101104A (en) 2019-08-30

Family

ID=67776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1051A KR20190101104A (en) 2018-02-22 2018-02-22 Actuator for camera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depth image using single camera includ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01104A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1597B1 (en) * 2019-10-18 2020-08-05 (주)아이엠 Folded camera modu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KR102146385B1 (en) * 2020-04-24 2020-08-20 성우전자 주식회사 Image sensor actuator for ois and camera module including it
WO2021120225A1 (en) * 2019-12-20 2021-06-24 南昌欧菲光电技术有限公司 Camera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WO2021221410A1 (en) * 2020-04-28 2021-11-0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Camera actuator and camera module including same
KR20220043338A (en) * 2020-09-29 2022-04-05 자화전자(주) Actuator for driving reflector in dual directions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US12007681B2 (en) 2020-04-28 2024-06-11 Lg Innotek Co., Ltd. Camera actuator and camera module including same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1597B1 (en) * 2019-10-18 2020-08-05 (주)아이엠 Folded camera modu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WO2021120225A1 (en) * 2019-12-20 2021-06-24 南昌欧菲光电技术有限公司 Camera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KR102146385B1 (en) * 2020-04-24 2020-08-20 성우전자 주식회사 Image sensor actuator for ois and camera module including it
WO2021221410A1 (en) * 2020-04-28 2021-11-0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Camera actuator and camera module including same
US12007681B2 (en) 2020-04-28 2024-06-11 Lg Innotek Co., Ltd. Camera actuator and camera module including same
KR20220043338A (en) * 2020-09-29 2022-04-05 자화전자(주) Actuator for driving reflector in dual directions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KR20220043860A (en) * 2020-09-29 2022-04-05 자화전자(주) Actuator for driving reflect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40659B1 (en) Camera module and camera device
CN111355872B (en) Camera module, anti-shake subassembly and terminal
US11131836B2 (en) Auto focus and optical image stabilization in a compact folded camera
US9860434B2 (en) Auto-focus in low-profile folded optics multi-camera system
KR20190101104A (en) Actuator for camera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depth image using single camera including the same
KR102494681B1 (en) Camera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CN110099198B (en) Camera module
KR101901705B1 (en) Camera module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0921552B1 (en) Autofocus apparatus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KR102166942B1 (en) Apparatus for driving optical-reflector for ois with multi-axisal structure
CN109564339B (en) Adapting a camera system to an accessory lens
JP6837841B2 (en) Autofocus for folding optics array cameras
CN107918183A (en) Equipment for driving optical reflector
KR102226523B1 (en) Apparatus for driving optical-reflector for ois with sma wire
CN109581616B (en) Camera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CN111246070A (en) Camera module and electronic equipment
KR20210071253A (en) Camera movement controlling method and apparatus
KR20190095986A (en) Apparatus for driving optical system with memory unit
KR20180037877A (en) Apparatus for driving optical-reflector for ois
CN112394536B (en) Optical anti-shake device and control method
CN113711124A (en) Folding camera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200113748A (en) Camera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camera device thereof
CN116076079A (en) Camera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