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1073A - Guide device for compensation chain of elevator - Google Patents

Guide device for compensation chain of elev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1073A
KR20190101073A KR1020180021007A KR20180021007A KR20190101073A KR 20190101073 A KR20190101073 A KR 20190101073A KR 1020180021007 A KR1020180021007 A KR 1020180021007A KR 20180021007 A KR20180021007 A KR 20180021007A KR 20190101073 A KR20190101073 A KR 201901010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fixing member
compensation chain
chain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100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22057B1 (en
Inventor
이창민
Original Assignee
한국미쓰비시엘리베이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미쓰비시엘리베이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미쓰비시엘리베이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210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2057B1/en
Publication of KR201901010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107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20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205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 B66B7/066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65Ro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uide device for a compensation chain of an elevator. The guide device for a compensation chain of an elevator comprises: a fixing member fixed on a support frame installed to be adjacent to the compensation chain of the elevator; and a roller unit including a guide roller rotated when coming in contact with the compensation chain, connected to the fixing member and provided to be elastically rotatable around a connection point with the fixing member to disperse an impact energy generated when colliding with the compensation chain.

Description

엘리베이터 보상체인의 가이드장치{GUIDE DEVICE FOR COMPENSATION CHAIN OF ELEVATOR}Guide device of elevator compensation chain {GUIDE DEVICE FOR COMPENSATION CHAIN OF ELEVATO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보상체인의 가이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상체인의 흔들림을 제한하여 충돌을 완화하고 소음을 저감하는 엘리베이터 보상체인의 가이드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uide device of the elevator compensation chain, and more particularly, to a guide device of the elevator compensation chain to mitigate the collision by reducing the shake of the compensation chain to reduce the noise.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는 승객이 탑승한 승강차를 고층 건물 등에 수직 방향으로 승강시키면서 상기 승객을 이송하는 장치로써, 모터로 견인되는 다수의 로우프에 연결되어 승, 하강 된다.In general, an elevator is a device for transporting the passenger while the passenger car is in a vertical direction, such as a high-rise building, connected to a plurality of ropes to be pulled by a motor, the elevator is lowered.

특히, 고층건물 등에 사용되는 엘리베이터에는 트랙션비를 작게 하고 주로프와 제어 케이블에 의한 구동시브와의 로프 인장력에 대한 불균형을 최소화하여 승강차의 위치에 상관없이 구동시브와 모터에 작고 일정한 부하를 줄 수 있도록 보상체인(compensation chain)이 사용된다. 보상체인은 승강차의 바닥면에 연결되어 피트를 경유하여 무게추의 하단의 주로프에 매달린 상태로 설치된다. In particular, elevators used in high-rise buildings have a small traction ratio and minimize the unbalance of rope tension between the drive sheave by the main rope and the control cable, thus reducing the small and constant load on the drive sheave and the motor regardless of the position of the lift. Compensation chains are used. The compensating chain is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car and is installed while hanging on the main rope at the bottom of the weight via the pit.

그런데 엘리베이터의 운행 도중에 승강차의 유동이 발생하여 보상체인에 흔들림이 발생하면서, 그 흔들림이 승강차로 다시 전달되거나 주변 부품에 부딪힘으로써 발생하는 충격과 소음으로 탑승자의 불안감을 야기시키고 있다. By the way, the elevator flows during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causing a shake in the compensating chain, causing the anxiety of the occupants due to the shock and noise generated by the shaking being transmitted back to the elevator or hitting the surrounding parts.

이에 따라 최근에는 보상체인의 흔들림을 제한하는 가이드를 사용하고 있다. 도 1 및 도 2에는 종래 보상체인의 가이드가 도시된다. 도 1은 정지상태 중의 보상체인의 흔들림이 없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운행 상태 중의 보상체인의 흔들림이 있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가이드는 카와 무게추(균형추) 사이에 설치된다. 도 2와 같이 보상체인 보상체인의 흔들림이 큰 경우 보상체인이 가이드에 충돌함으로써 보상체인이 일정 범위 이상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refore, recently, a guide for limiting the shaking of the compensation chain is used. 1 and 2 illustrate a guide of a conventional compensation chain.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ase where there is no shaking of the compensation chain in a stationary state, and FIG. Referring to Figure 1, the guide is installed between the car and the weight (balance weight). As shown in FIG. 2, when the shake of the compensation chain compensation chain is large, the compensation chain collides with the guide to prevent the compensation chain from moving beyond a certain range.

그런데, 종래의 가이드는 고정식이므로 보상체인이 가이드에 충돌하면 소음과 함께 가이드와 보상체인의 손상을 동반할 수 있다. 또한, 종래 가이드는 에너지를 분산시키는 장치가 없기 때문에 보상체인의 비정상적인 움직임을 유발하여 주변 부품 또는 승강로벽(1)과 2차 충돌을 일으키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guide is fixed, when the compensating chain collides with the guide, the guide and the compensating chain may be damaged together with the noise. In addition, since the conventional guide does not have a device for distributing energy, a problem may occur that causes a secondary collision with the surrounding components or the hoistway wall 1 by causing abnormal movement of the compensation chain.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보상체인의 비정상적인 움직임을 제한하는 과정에서, 소음과 마찰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에너지를 분산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보상체인의 흔들림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엘리베이터 보상체인의 가이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n the process of limiting the abnormal movement of the compensation chain,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noise and friction and at the same time to disperse energy, thereby more effectively preventing the shake of the compensation chai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uide device for an elevator compensation chai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보상체인의 가이드장치는, 엘리베이터의 보상체인에 인접하게 설치된 지지프레임에 고정된 고정부재와, 상기 보상체인과 접촉 시에 회전하는 가이드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에 연결되되, 상기 보상체인과의 충돌 시에 발생하는 충격에너지를 분산시키도록 상기 고정부재와의 연결지점을 중심으로 탄성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롤러부를 포함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guide device of the elevator compensation cha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xing member fixed to a support frame installed adjacent to the compensation chain of the elevator, and a guide roller that rotates in contact with the compensation chain; And a roller unit connected to the fixing member, the roller unit being elastically rotatable about a connection point with the fixing member so as to disperse the impact energy generated during the collision with the compensating chain.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보상체인의 가이드장치는, 가이드롤러가 회전함과 동시에, 롤러부 자체가 고정식이 아닌, 고정부재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비됨으로써, 충돌 시에 발생하는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다. The guide device of the elevator compensating cha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absorb energy generated at the time of collision by rotating the guide roller and rotating the roller part itself relative to the fixing member instead of the fixed type.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보상체인의 비정상적인 움직임을 제한하는 과정에서, 소음과 마찰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에너지를 분산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보상체인의 흔들림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엘리베이터의 안전주행 및 승객의 승차감 증대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ocess of limiting the abnormal movement of the compensation chain, it is possible to minimize noise and friction and at the same time to disperse energy, thereby more effectively preventing the compensation chain from shaking, thereby ensuring the safety driving of the elevator and It can provide a ride comfort effect.

도 1은 종래 보상체인의 가이드를 도시한 부분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보상체인이 비정상적인 움직임을 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엘리베이터 보상체인의 가이드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엘리베이터 보상체인의 가이드장치를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3의 엘리베이터 보상체인의 가이드장치의 작동을 도시한 작동도이다.
1 is a partial front view illustrating a guide of a conventional compensation chain.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ase in which the compensation chain of FIG. 1 performs abnormal movement.
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guide device of the elevator compensation cha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4 is an enlarged view illustrating a guide device of the elevator compensation chain of FIG. 3.
5 is an operation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guide device of the elevator compensation chain of FIG.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인 엘리베이터 보상체인의 가이드장치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적합한 실시예들이다. 다만, 본 발명이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하여 적용되거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First,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re embodiments suitable for understanding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guide device of the elevator compensation chain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or appli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nd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엘리베이터 보상체인의 가이드장치(100)는, 고정부재(300)와 롤러부(400)를 포함한다. 3 and 4, the guide device 100 of the elevator compensation cha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xing member 300 and a roller unit 400.

고정부재(300)는, 엘리베이터의 보상체인(10)에 인접하게 설치된 지지프레임(200)에 고정된다. The fixing member 300 is fixed to the support frame 200 installed adjacent to the compensating chain 10 of the elevator.

지지프레임(200)은 보상체인(10)에 인접하게 구비되고 위치가 고정되는 부재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지지프레임(200)은 U 형으로 무게추 등에 매달린 보상체인(10)의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프레임(200)은 균형추 스크린 또는 기타 고정용 브라켓일 수 있다. The support frame 200 may be a member provided adjacent to the compensation chain 10 and having a fixed position. More specifically, the support frame 200 may be provided between the compensating chain 10 suspended in the U-shaped weight and the like. For example, the support frame 200 may be a counterweight screen or other fixing bracket.

고정부재(300)는 절곡된 형강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지지프레임(200)에 볼트결합될 수 있다. 다만 고정부재(300)의 형상과 재질 및 고정방법은 상기한 바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지지프레임(200)에 고정결합될 수 있다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The fixing member 300 may be made of bent section steel, and may be bolted to the support frame 200. However, the shape, material, and fixing method of the fixing member 300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if the fixing member 300 may be fixedly coupled to the support frame 200.

롤러부(400)는, 보상체인(10)과 접촉 시에 회전하는 가이드롤러(410)를 포함하고, 고정부재(300)에 연결되되, 보상체인(10)과의 충돌 시에 발생하는 충격에너지를 분산시키도록 고정부재(300)와의 연결지점을 중심으로 탄성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The roller unit 400 includes a guide roller 410 that rotates in contact with the compensating chain 10, and is connected to the fixing member 300, and impact energy generated when the roller is in collision with the compensating chain 10. It is provided to be elastically rotatable about the connection point with the fixing member 300 to disperse.

구체적으로, 롤러부(400)는 고정부재(300)에 연결되어 지지프레임(20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가이드롤러(410)는 롤러축(411)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며 보상체인(10)과 충돌하면 롤러축(411)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충돌 시의 소음과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roller unit 400 may be connected to the fixing member 300 and supported by the support frame 200. The guide roller 410 is provided to be rotatable about the roller shaft 411 and when the collision with the compensation chain 10 rotates around the roller shaft 411,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noise and friction during the collision.

또한, 롤러부(400)는 보상체인(10)과 충돌하면 고정부재(300)와의 연결지점을 중심으로 탄성적으로 회전함으로써, 보상체인(10)과의 충돌 시에 발생하는 충격에너지를 분산시킬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roller 400 collides with the compensating chain 10, the roller 400 rotates elastically about a connection point with the fixing member 300, thereby dispersing impact energy generated when the compensating chain 10 collides with the compensating chain 10. Can be.

더욱 구체적으로, 롤러부(400)의 회전 중, 가이드롤러(410)가 롤러축(411)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을 제1 회전이라고 정의하고, 롤러부(400) 전체가 고정부재(300)와의 연결지점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을 제2 회전이라고 정의한다. 또한, 롤러부(400)와 보상체인(10)의 충돌 중, 상대적으로 강도가 약한 충돌을 제1 충돌이라고 정의하고, 제1 충돌보다 상대적으로 강한 충돌을 제2 충돌이라고 정의한다. More specifically, during the rotation of the roller unit 400, the rotation of the guide roller 410 about the roller shaft 411 is defined as the first rotation, the entire roller portion 400 with the fixing member 300 The rotation about the connection point is defined as the second rotation. In addition, among the collision between the roller unit 400 and the compensating chain 10, a collision having a relatively weak strength is defined as a first collision, and a collision that is relatively stronger than the first collision is defined as a second collision.

본 발명에 따른 롤러부(400)는, 제1 충돌 시에는 제1 회전을 함으로써 충돌 시의 소음과 마찰을 최소화하고, 제2 충돌 시에는 가이드롤러(410)가 제1 회전을 함과 동시에, 롤러부(400) 전체가 제2 회전을 함으로써 충돌 시의 충격에너지를 분산시킬 수 있다.The roller unit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inimizes the noise and friction during the collision by the first rotation in the first collision, and at the same time the guide roller 410 performs the first rotation in the second collision, As the entire roller portion 400 performs the second rotation, the impact energy during the collision can be dispersed.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보상체인의 가이드장치(100)는, 가이드롤러(410)가 회전함과 동시에, 롤러부(400) 자체가 고정식이 아닌, 고정부재(30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비됨으로써, 충돌 시에 발생하는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다. Thus, the guide device 100 of the elevator compensation cha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guide roller 410 is rotated at the same time, the roller portion 400 itself is not fixed, rotatably provided with respect to the fixing member 300. As a result, energy generated at the time of collision can be absorbed.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보상체인(10)의 비정상적인 움직임을 제한하는 과정에서, 소음과 마찰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에너지를 분산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보상체인(10)의 흔들림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엘리베이터의 안전주행 및 승객의 승차감 증대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ocess of limiting abnormal movement of the compensation chain 10, noise and friction can be minimized and energy can be dissipated, thereby preventing the shaking of the compensation chain 10 more effectively. It can provide the effect of safe driving and increased passenger comfort.

한편, 본 발명은 에너지 분산부재(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energy dispersing member 500.

에너지 분산부재(500)는, 롤러부(400)를 고정부재(300)에 연결하고, 보상체인(10)과 롤러부(400)의 충돌 시에 롤러부(400)를 탄성적으로 회전시키며, 충돌 이후에 롤러부(400)를 원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The energy dispersing member 500 connects the roller portion 400 to the fixing member 300, and elastically rotates the roller portion 400 when the compensating chain 10 and the roller portion 400 collide with each other. After the collision, the roller unit 400 may be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구체적으로, 에너지 분산부재(500)는 보상체인(10)이 롤러부(400)와 충돌하면, 중심부(501)를 중심으로 롤러부(400)를 회전시켜서 충돌 시의 에너지를 분산시킬 수 있다. 즉, 에너지 분산부재(500)는, 롤러부(400)를 제2 회전 시킴으로써 충격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다(도 5 참조).Specifically, when the compensating chain 10 collides with the roller unit 400, the energy dispersing member 500 may rotate the roller unit 400 around the center 501 to disperse the energy during the collision. That is, the energy dispersing member 500 can absorb the impact energy by rotating the roller unit 400 a second time (see FIG. 5).

또한, 운행 정지 중이거나 충돌이 없으면 탄성복원력에 의해 롤러부(400)의 위치를 원위치로 복원시킬 수 있다. 롤러부(400)는 에너지 분산부재(500)에 의해 원위치로 복원되면서, 이 후 보상체인(10)과의 충돌에 대한 대기상태가 될 수 있다(도 3 참조).In addition, if the driving is stopped or there is no collision, the position of the roller unit 400 may be restored to its original position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The roller unit 400 may be restored to its original position by the energy dispersing member 500, and then may be in a standby state for collision with the compensation chain 10 (see FIG. 3).

예를 들어 에너지 분산부재(500)는 비틀림 스프링(torsion spring)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For example, the energy dissipation member 500 may be a torsion spring, but is not limited thereto.

한편 고정부재(300)는, 제1 고정파트(310)와 제2 고정파트(3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xing member 300 may include a first fixing part 310 and a second fixing part 320.

제1 고정파트(310)는 지지프레임(200)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2 고정파트(320)는 제1 고정파트(310)에서 소정 각도를 이루며 연장되고, 에너지 분산부재(500)가 결합될 수 있다. The first fixing part 310 may be coupled to the support frame 200. In addition, the second fixing part 320 may extend at a predetermined angle from the first fixing part 310 and the energy dissipation member 500 may be coupled.

예를 들어, 고정부재(300)는 지지프레임(200)에 결합되는 ㄴ 자 형강일 수 있고, 지지프레임(200)에 결합되는 제1 고정파트(310)와 에너지 분산부재(500)에 결합되는 제2 고정파트(320)는 직각으로 절곡된 형태일 수 있다. 제2 고정파트(320)에는 에너지 분산부재(500)를 통해 롤러부(400)가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고정파트(310)와 지지프레임(200) 및, 제2 고정파트(320)와 에너지 분산부재(500) 사이의 결합은 볼트체결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fixing member 300 may be an N-shaped steel coupled to the support frame 200, and may be coupled to the first fixing part 310 and the energy dissipation member 500 coupled to the support frame 200. The second fixing part 320 may be bent at a right angle. The roller part 400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fixing part 320 through the energy dispersing member 500. Here, the coupling between the first fixed part 310 and the support frame 200, and the second fixed part 320 and the energy dissipation member 500 may be coupled in a bolted manner.

다만, 고정부재(300)의 재질과 형상은 상기한 바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또한, 제1 고정파트(310)와 지지프레임(200) 및, 제2 고정파트(320)와 에너지 분산부재(500) 사이의 체결방식은 상기한 볼트체결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However, the material and shape of the fixing member 300 is not limited to the above,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In addition, the fastening method between the first fixed part 310 and the support frame 200 and the second fixed part 320 and the energy dissipation member 500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bolt fastening, but may be coupled in various ways. Of course it can.

롤러부(400)는 롤러프레임(4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롤러프레임(430)은 가이드롤러(410)를 에너지 분산부재(500)에 연결하고 에너지 분산부재(500)에 의해 선회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The roller unit 400 may further include a roller frame 430. The roller frame 430 may be provided to connect the guide roller 410 to the energy dispersing member 500 and to be pivotable by the energy dispersing member 500.

구체적으로, 롤러프레임(430)은 본체(431)와 롤러지지대(43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롤러프레임(430)은 걸림턱(435)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detail, the roller frame 430 may include a main body 431 and a roller support 433. In addition, the roller frame 430 may further include a locking step 435.

본체(431)는 에너지 분산부재(500)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431)는 판 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2 고정파트(320)에 대하여 수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수직한 상측은, 에너지 분산부재(500)에 볼트체결될 수 있고, 하측에는 롤러지지대(433)가 구비될 수 있다. 다만, 본체(431)의 형상 및 체결방식은 상기한 바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에너지 분산부재(500)에 고정될 수 있다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The body 431 may be fixed to the energy dissipation member 500. For example, the body 431 may be formed in a plate shape, and may be provided perpendicular to the second fixing part 320. In addition, the vertical upper side may be bolted to the energy dissipation member 500, and the roller support 433 may be provided at the lower side. However, the shape and the fastening method of the main body 431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and may be variously modified if it can be fixed to the energy dissipation member 500.

또한 롤러지지대(433)는, 본체(431)에 결합되고, 가이드롤러(410)를 롤러축(41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oller support 433 is coupled to the main body 431, it is possible to rotatably support the guide roller 410 around the roller shaft 411.

구체적으로 롤러지지대(433)는 본체(431)에 일체로 결합되어 일체로 거동하며, 가이드롤러(410)의 롤러축(411)이 끼워지는 롤러홈이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롤러(410)는 롤러홈에 롤러축(411)이 끼워진 상태에서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롤러부(400)와 보상체인(10)이 접촉 또는 충돌하면 가이드롤러(410)는 롤러지지대(433)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롤러축(411)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소음과 마찰을 저감시킬 수 있다. Specifically, the roller support 433 may be integrally coupled to the main body 431 to be integrated and may be provided with a roller groove into which the roller shaft 411 of the guide roller 410 is fitted. The guide roller 410 may be rotatably provided in a state where the roller shaft 411 is inserted into the roller groove. Accordingly, when the roller unit 400 and the compensating chain 10 contact or collide, the guide roller 410 is rotated about the roller shaft 411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roller support 433 to reduce noise and friction. You can.

또한 걸림턱(435)은, 고정부재(300)와 접촉하여 롤러부(400)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본체(431)에서 고정부재(300)를 향하는 방향의 단부에 ㄴ 형상으로 구부려져서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atching jaw 435 is to be formed by being bent in a b-shape at the end portion of the main body 431 toward the fixing member 300 in contact with the fixing member 300 to limit the rotation of the roller 400. Can be.

예를 들어 걸림턱(435)은 본체(431)의 상단부에서 연장되되 본체(431)의 상단부에서 수직으로 절곡되어 제2 고정파트(320)에 접촉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걸림턱(435)은 제1 고정파트(310)(또는 지지프레임(200))을 향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롤러부(400)가 보상체인(10)과 충돌하면 지지프레임(200)을 향하는 방향으로 제2 회전하고, 충돌이 완료되면 에너지 분산부재(500)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기 위해 제2 회전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 시에, 걸림턱(435)이 제2 고정파트(320)에 걸리면서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따라서, 대기상태에서의 위치가 일정한 위치로 고정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locking jaw 435 may extend from an upper end of the main body 431 but be vertically bent at an upper end of the main body 431 to be in contact with the second fixing part 320. More specifically, the locking jaw 435 may be bent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toward the first fixing part 310 (or the support frame 200). Accordingly, when the roller 400 collides with the compensating chain 10, the second rotation is performed in the direction toward the support frame 200, and when the collision is completed, the second rotation is performed to return to the original position by the energy dispersing member 500. When rotat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locking jaw 435 is caught by the second fixing part 320 may be limited to the rotation. Therefore, the position in the standby state can be fixed to a constant position.

다만, 걸림턱(435)의 형상과 형성방식은 상기한 바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체(431)의 단부에 구비되어 롤러부(400)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However, the shape and the formation method of the locking step 435 is not limited to the above, and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if the rotation of the roller unit 400 is limited at the end of the main body 431.

에너지 분산부재(500)는, 구체적으로 중심부(501)와 제1 연장부(510)와 제2 연장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energy dissipation member 500 may specifically include a central portion 501, a first extension portion 510, and a second extension portion 520.

중심부(501)는 코일 형태로 감겨진 부분일 수 있고, 코일이 감겨진 횟수는 제한이 없다.The central portion 501 may be a portion wound in the form of a coil, and the number of times the coil is wound is not limited.

제1 연장부(510)는, 중심부(501)에서 일측으로 연장되고 고정부재(300)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2 연장부(520)는, 중심부(501)에서 타측으로 연장되고 롤러부(400)에 결합되며, 중심부(501)를 중심으로 제1 연장부(510)와 이루는 각도가 탄성적으로 가변될 수 있다. The first extension part 510 may extend to one side from the central part 501 and be fixed to the fixing member 300. In addition, the second extension part 520 extends from the center part 501 to the other side and is coupled to the roller part 400, and the angle formed with the first extension part 510 about the center part 501 is elastically elastic. Can be variable.

구체적으로, 제1 연장부(510)는 제2 고정파트(320)에 볼트결합될 수 있고,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2 연장부(520)는 탄성스프링의 특성에 따라, 외력을 받으면 중심부(501)를 중심으로 제1 연장부(510)를 향하는 방향으로 선회하고, 외력이 해제되면 제1 연장부(51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복원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연장부(510)와 제2 연장부(520)가 이루는 각도가 탄성적으로 가변된다. Specifically, the first extension part 510 may be bolted to the second fixing part 320 and the position may be fixed.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astic spring, the second extension part 520 pivots toward the first extension part 510 around the central part 501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ceived, and the first extension part 520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leased. It may be restored in a direction away from 510. Accordingly, the angle formed by the first extension part 510 and the second extension part 520 is elastically variable.

제2 연장부(520)는 롤러프레임(430)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롤러프레임(430)은 제2 연장부(520)와 일체로 거동함으로써, 에너지 분산부재(500)의 중심부(501)를 중심으로 탄성적으로 제2 회전할 수 있다.The second extension part 520 may be coupled to the roller frame 430. Therefore, the roller frame 430 integrally behaves with the second extension part 520, so that the roller frame 430 may elastically rotate about the central portion 501 of the energy dissipation member 500.

이와 같이 에너지 분산부재(500)는 중심부(501)와 제1 연장부(510) 및 제2 연장부(520)를 포함하는 비틀림 스프링(토션스프링)의 구조로 구비됨으로써, 직선운동하는 코일 스프링에 비해, 충격완화를 위해 필요한 공간이 적게 소요될 수 있고, 좁은 공간에서도 충분한 스트로크를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분산부재(500)는 보상체인(10)의 승, 하강 운동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보상체인(10)과 롤러부(400)의 충돌에 따른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As such, the energy dissipation member 500 has a structure of a torsion spring (torsion spring) including a central portion 501, a first extension portion 510, and a second extension portion 520. On the contrary, it is possible to take less space required for the impact mitigation and to secure sufficient stroke even in a narrow space. Therefore, the energy dispersing member 5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ectively disperse the energy due to the collision of the compensation chain 10 and the roller unit 400 without disturbing the lifting and lowering movement of the compensation chain 10. .

한편, 가이드롤러(410)는 충격을 완화하고 소음을 저감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롤러(410)는 경질의 플라스틱이나 고무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On the other hand, the guide roller 410 may be made of a material that can mitigate the impact and reduce the noise. For example, the guide roller 410 may be made of hard plastic or rubb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가이드롤러(410)는 외주면에 다수의 브러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다수의 브러시는 가이드롤러(410)의 외주면에 촘촘하게 배치되고, 털실을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다만, 브러시의 형태나 재질은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보상체인(10)과의 충돌 시에 소음과 마찰을 저감할 수 있다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In addition, the guide roller 410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brushes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brushes are densely arrang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uide roller 410, it may be made of a yarn material. However, the shape or material of the brush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as long as noise and friction can be reduced during collision with the compensation chain 10.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보상체인의 가이드장치는, 가이드롤러가 회전함과 동시에, 롤러부 자체가 고정식이 아닌, 고정부재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비됨으로써, 충돌 시에 발생하는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다. In this way, the guide device of the elevator compensation cha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guide roller rotates, and the roller portion itself is rotatably provided with respect to the fixed member, it is possible to absorb the energy generated during the collision. have.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보상체인의 비정상적인 움직임을 제한하는 과정에서, 소음과 마찰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에너지를 분산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보상체인의 흔들림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엘리베이터의 안전주행 및 승객의 승차감 증대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ocess of limiting the abnormal movement of the compensation chain, it is possible to minimize noise and friction and at the same time to disperse energy, thereby more effectively preventing the compensation chain from shaking, thereby ensuring the safety driving of the elevator and It can provide a ride comfort effect.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지만,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Although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s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described in the claim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100: 엘리베이터 보상체인의 가이드장치
200: 지지프레임 300: 고정부재
310: 제1 고정파트 320: 제2 고정파트
400: 롤러부 410: 가이드롤러
411: 롤러축 430: 롤러프레임
431: 본체 433: 롤러지지대
435: 걸림턱 500: 에너지 분산부재
501: 중심부 510: 제1 연장부
520: 제2 연장부 10: 보상체인
100: guide device of elevator compensation chain
200: support frame 300: fixing member
310: first fixed part 320: second fixed part
400: roller 410: guide roller
411: roller shaft 430: roller frame
431: main body 433: roller support
435: locking step 500: energy dissipation member
501: central portion 510: first extension portion
520: second extension unit 10: reward chain

Claims (9)

엘리베이터의 보상체인에 인접하게 설치된 지지프레임에 고정된 고정부재; 및,
상기 보상체인과 접촉 시에 회전하는 가이드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에 연결되되, 상기 보상체인과의 충돌 시에 발생하는 충격에너지를 분산시키도록 상기 고정부재와의 연결지점을 중심으로 탄성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롤러부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보상체인의 가이드장치.
A fixing member fixed to a support frame installed adjacent to the compensation chain of the elevator; And,
And a guide roller which rotates in contact with the compensating chain and is connected to the fixing member, and is elastically around a connection point with the fixing member so as to disperse the impact energy generated during the collision with the compensating chain. Guide device of the elevator compensation chain comprising a roller portion rotatably provid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부를 상기 고정부재에 연결하고, 상기 보상체인과 상기 롤러부의 충돌 시에 상기 롤러부를 탄성적으로 회전시키며, 충돌 이후에 상기 롤러부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에너지 분산부재를 더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보상체인의 가이드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an energy dissipation member which connects the roller part to the fixing member, elastically rotates the roller part when the compensating chain and the roller part collide, and returns the roller part to its original position after the collision. Guide devi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분산부재는,
코일 형태로 감겨진 중심부;
상기 중심부에서 일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고정부재에 고정되는 제1 연장부; 및,
상기 중심부에서 타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롤러부에 결합되며, 상기 중심부를 중심으로 상기 제1 연장부와 이루는 각도가 탄성적으로 가변되는 제2 연장부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보상체인의 가이드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energy dissipation member,
A core wound in the form of a coil;
A first extension part extending from the center to one side and fixed to the fixing member; And,
And a second extension portion extending from the center portion to the other side and coupled to the roller portion,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being elastically variable with respect to the center portion of the first extension por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지지프레임에 결합되는 제1 고정파트; 및,
상기 제1 고정파트에서 소정 각도를 이루며 연장되고, 상기 에너지 분산부재가 결합되는 제2 고정파트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보상체인의 가이드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fixing member,
A first fixing part coupled to the support frame; And,
And a second fixing part extending at a predetermined angle from the first fixing part and to which the energy dissipation member is couple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부는, 상기 가이드롤러를 상기 에너지 분산부재에 연결하고 상기 에너지 분산부재에 의해 선회 가능하게 구비되는 롤러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보상체인의 가이드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roller unit further comprises a roller frame which connects the guide roller to the energy dissipation member and is pivotally provided by the energy dissipation membe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프레임은,
상기 에너지 분산부재에 고정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롤러를 롤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롤러지지대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보상체인의 가이드장치.
The method of claim 5,
The roller frame,
A main body fixed to the energy dissipation member; And,
And a roller support coupled to the main body to support the guide roller rotatably about a roller shaf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프레임은, 상기 고정부재와 접촉하여 상기 롤러부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상기 본체에서 상기 고정부재를 향하는 방향의 단부에 ㄴ 형상으로 구부려져서 형성된 걸림턱을 더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보상체인의 가이드장치.
The method of claim 6,
The roller frame further comprises a locking jaw formed by bending in a b-shape at the end of the main body toward the fixing member in contact with the fixing member to limit the rotation of the roller unit, the guide device of the elevator compensation chain.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롤러는, 외주면에 다수의 브러시가 구비되는, 엘리베이터 보상체인의 가이드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guide roller is a guide device of the elevator compensation chain, which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brushes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부는, 제1 충돌 시에 상기 가이드롤러가 롤러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1 회전을 하고, 상기 제1 충돌보다 강한 강도의 제2 충돌 시에 상기 제1 회전과 동시에, 상기 롤러프레임이 상기 에너지 분산부재에 구비된 중심부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2 회전을 하는, 엘리베이터 보상체인의 가이드장치.
The method of claim 5,
The roller unit may perform a first rotation in which the guide roller rotates about a roller axis in a first collision, and at the same time as the first rotation in a second collision having a stronger strength than the first collision, the roller frame may be The guide device of the elevator compensation chain for a second rotation to rotate about the center portion provided in the energy distribution member.
KR1020180021007A 2018-02-22 2018-02-22 Guide device for compensation chain of elevator KR10202205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1007A KR102022057B1 (en) 2018-02-22 2018-02-22 Guide device for compensation chain of elev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1007A KR102022057B1 (en) 2018-02-22 2018-02-22 Guide device for compensation chain of elev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1073A true KR20190101073A (en) 2019-08-30
KR102022057B1 KR102022057B1 (en) 2019-09-18

Family

ID=67776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1007A KR102022057B1 (en) 2018-02-22 2018-02-22 Guide device for compensation chain of elev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205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70168A1 (en) * 2022-09-30 2024-04-0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Elevato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4289U (en) * 2007-03-28 2008-10-02 세이프테크 (주) Brush roller for supporting a chain in an elevator
CN205419415U (en) * 2016-02-03 2016-08-03 蒂森克虏伯电梯(上海)有限公司 Compensation chain guid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4289U (en) * 2007-03-28 2008-10-02 세이프테크 (주) Brush roller for supporting a chain in an elevator
CN205419415U (en) * 2016-02-03 2016-08-03 蒂森克虏伯电梯(上海)有限公司 Compensation chain guid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70168A1 (en) * 2022-09-30 2024-04-0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Elev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2057B1 (en) 2019-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29537B1 (en) Elevator
KR101332582B1 (en) Elevator system with rope sway mitigation
JP5122953B2 (en) elevator
JP4468823B2 (en) Elevator and elevator manufacturing
US20040182651A1 (en) Machineroom-less elevator
JP5161563B2 (en) elevator
US4230205A (en) Elevator system
JP4975234B2 (en) Elevator equipment
WO2003008318A1 (en) Elevator device
JP2006264862A (en) Elevator without machine room
KR102022057B1 (en) Guide device for compensation chain of elevator
JP3991657B2 (en) elevator
WO2005118451A1 (en) Machine room-less elevator
JP2016060635A (en) Tension adjuster of main rope and elevator device having the same
JP2003118949A (en) Elevator device
JP4216252B2 (en) Elevator equipment
JPWO2004050528A1 (en) Elevator equipment
JP6432926B1 (en) Elevator equipment
JP2002179356A (en) Elevator
KR102368156B1 (en) Apparatus for Preventing Falling Down of Elevator Traction Machine
JP4658067B2 (en) Elevator equipment
WO2016157535A1 (en) Elevator device
JP2003246564A (en) Elevator device
JP2004059208A (en) Outdoor elevator
JP4641738B2 (en) Elevator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