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0891A - 폴더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폴더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0891A
KR20190100891A KR1020190070644A KR20190070644A KR20190100891A KR 20190100891 A KR20190100891 A KR 20190100891A KR 1020190070644 A KR1020190070644 A KR 1020190070644A KR 20190070644 A KR20190070644 A KR 20190070644A KR 20190100891 A KR20190100891 A KR 201901008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unit
main body
hinge
mobile terminal
fa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0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46110B1 (ko
Inventor
박신호
송의석
Original Assignee
박신호
송의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신호, 송의석 filed Critical 박신호
Priority to KR10201900706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6110B1/ko
Publication of KR201901008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08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61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61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Abstract

두 개의 디스플레이를 가지며 접을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이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제 1 본체, 제 1 본체와 나란히 배치된 제 2 본체; 제 1 본체의 일면에 위치한 제 1 디스플레이부, 제 2 본체의 일면에 위치한 제 2 디스플레이부; 및 제 1 본체와 제 2 본체를 결합시키는 힌지부를 포함하되, 제 1 디스플레이부의 일측면과 제 2 디스플레이부의 일측면은 제 1 본체와 제 2 본체의 측면이 마주보도록 제 1 본체와 제 2 본체가 평면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맞닿도록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폴더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A FOLDABLE MOBILE DEVICE AN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이동 단말기에 대한 기술로서 특히, 두 개의 디스플레이를 가지며 접을 수 있고, 펼쳤을 때는 두 개의 디스플레이가 한 화면처럼 결합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펼쳤을 때는 넓은 화면을 사용할 수 있고 접었을 때는 크기를 줄여서 휴대가 편리한 폴더블한 이동 단말기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폴더블 이동 단말기는 외력에 의해 형태가 변형되는 하나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형태와, 둘 이상으로 분리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형태로 분류될 수 있다.
하나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이동 단말기는 외력에 의해 형태가 구부러짐, 휘어짐, 접힘, 비틀림, 말림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형태의 이동 단말기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특성 상 구부러지거나 접히는 부분에 의도하지 않은 변형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품질 저하가 발생할 수 있다.
둘 이상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이동 단말기는 나누어진 디스플레이가 힌지에 의해 결합되며, 디스플레이가 직접적으로 구부러지거나 접히지 않는 바, 품질 저하가 발생하지 않는다. 반면, 연결된 디스플레이 간 간격 등에 의해 화면의 연속성이 떨어질 수 있다.
두 개의 디스플레이를 가지며 접을 수 있으면서도, 펼쳤을 때는 두 개의 디스플레이가 결합되어 한 화면처럼 기능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일 양상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는 제 1 본체, 제 1 본체와 나란히 배치된 제 2 본체; 제 1 본체의 일면에 위치한 제 1 디스플레이부, 제 2 본체의 일면에 위치한 제 2 디스플레이부; 및 제 1 본체와 제 2 본체를 결합시키는 힌지부를 포함하되, 제 1 디스플레이부의 일측면과 제 2 디스플레이부의 일측면은 제 1 본체와 제 2 본체가 평면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서로 맞닿도록 구성될 수 있다.
힌지부는 제 1 디스플레이부가 위치한 일면과 마주보는 타면에 형성되는 제 1 결합부 및 제 2 디스플레이부가 위치한 일면과 마주보는 타면에 형성되는 제 2 결합부를 포함하며, 제 1 결합부 및 제 2 결합부는 치합될 수 있다.
제 1 본체와 제 2 본체는 디스플레이부가 위치하는 일면과 마주보는 각각의 타면이 맞닿는 방향으로 접힐 수 있다.
힌지부는 제 2 본체와 마주보는 측면과 접하고 있는 제 1 본체의 2개의 측면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 1 결합부 및 제 1 본체와 마주보는 측면과 접하고 있는 제 2 본체의 2개의 측면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 2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결합부와 제 2 결합부는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 1 결합부는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고정 레버를 포함하며, 제 2 결합부는 고정 레버와 결합되는 가이드홈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본체와 제 2 본체는 디스플레이부가 위치하는 각각의 일면이 맞닿는 방향으로 접힐 수 있다.
힌지부는 제 2 본체와 마주보는 측면과 접하고 있는 제 1 본체의 2개의 측면에 각각 회전 및 이동 중 적어도 하나가 가능하게 결합된 제 1 결합부 및 제 1 본체와 마주보는 측면과 접하고 있는 제 2 본체의 2개의 측면에 각각 회전 및 이동 중 적어도 하나가 가능하게 결합된 제 2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결합부 및 제 2 결합부 중 적어도 하나는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 1 본체와 제 2 본체는 제 1 디스플레이부가 위치하는 제 1 본체의 일면과 제 2 디스플레이부가 위치하는 일면과 마주보는 제 2 본체의 타면이 일부 또는 전부가 맞닿는 방향으로 접힐 수 있다.
제 1 디스플레이부가 위치하는 일면과 마주보는 제 1 본체의 타면에 위치하며, 제 2 본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는 제 1 결합부의 이동에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 1 본체와 제 2 본체가 마주보는 각각의 측면에 구성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는 고정홈 및 고정돌기를 포함하며, 고정홈 및 고정돌기는 각각 다른 본체의 측면에 대응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고정부는 제 1 본체의 측면에 구성된 제 1 자성체 및 제 2 본체의 측면에 구성된 제 2 자성체를 포함하며, 제 1 자성체 및 제 2 자성체는 인력이 작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 1 자성체 및 제 2 자성체는 제 1 본체 및 제 2 본체의 내부에 포함될 수 있다.
제 1 본체 및 제 2 본체의 펼쳐진 상태를 검출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로부터 펼쳐진 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며, 정보를 기초로 제 1 디스플레이부 및 제 2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영상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제어부는 제 1 본체 및 제 2 본체가 펼쳐진 상태인지 또는 접힌 상태인지에 따라 제 1 디스플레이부 및 제 2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영상을 다르게 제어할 수 있다.
제 1 본체와 제 2 본체의 측면이 맞닿은 상태에서 제 1 본체와 제 2 본체가 평면으로 펼쳐진 경우, 영상 제어부는 제 1 디스플레이부와 제 2 디스플레이부가 하나의 영상을 분할하여 연속성 있게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두 개의 디스플레이를 밀착시킬 수 있는 폴더블한 이동 단말기의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플렉서블한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와 같이 화면의 연속성을 보장하는 동시에 플렉서블한 디스플레이에서 발생하는 디스플레이의 변형 문제를 극복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이동 단말기의 예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힌지 구조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3은 일 예에 따른 힌지 구조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4는 일 예에 따른 폴딩 동작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힌지 구조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6은 일 예에 따른 힌지 구조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7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힌지 구조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8은 일 예에 따른 지지부 구조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구성도이다.
도 12는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폴더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의 실시예들을 도면들을 참고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이동 단말기의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폴더블 이동 단말기(100)는 제 1 본체, 제 1 본체와 나란히 배치된 제 2 본체를 포함하며, 제 1 본체의 일면에 제 1 디스플레이부(120), 제 2 본체의 일면에 제 2 디스플레이부(160)가 위치할 수 있다. 또한, 폴더블 이동 단말기(100)는 제 1 본체(110)와 제 2 본체(150)를 결합시키는 힌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힌지부는 제 1 본체(110) 및 제 2 본체(150)의 내부 또는 외부에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디스플레이부(120)의 일측면과 제 2 디스플레이부(160)의 일측면은 제 1 본체(110)와 제 2 본체(150)의 측면이 마주보도록 제 1 본체(110)와 제 2 본체(150)가 평면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맞닿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를 들어, 본체는 디스플레이부를 둘러싸는 베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체 일면의 적어도 하나의 가장자리에는 베젤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서와 같이, 제 1 본체는 제 2 본체와 마주보는 가장자리에 베젤을 포함하지 않으며, 그 외의 가장자리에는 제 1 디스플레이부(120)를 둘러싸는 베젤을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 2 본체는 제 1 본체와 마주보는 가장자리에는 베젤을 포함하지 않으며, 그 외의 가장자리에는 제 2 디스플레이부(160)를 둘러싸는 베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 1 디스플레이부(120)가 제 2 디스플레이부(160)와 직접 맞닿을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제 1 본체(110)의 베젤과 제 2 본체(150)의 베젤은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디스플레이부를 감싸고 있는 베젤의 두께가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본체와 제 2 본체가 맞닿는 일측면과 마주보고 있는 타측면에서 제 1 본체의 베젤 두께와 제 2 본체의 베젤 두께가 다를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서 두 개의 면이 맞닿도록 구성된다는 의미는 두 개의 면이 직접 닿는 것을 의미할 뿐만 아니라, 두 개의 면이 소정 거리 이내로 이격된 것을 포함한다.
일 예에 따르면, 본체에 포함되는 베젤과 디스플레이부는 단차 없이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힌지 구조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힌지부(130)는 제 1 디스플레이부가 위치한 일면과 마주보는 타면에 형성되는 제 1 힌지(131) 및 제 2 디스플레이부가 위치한 일면과 마주보는 타면에 형성되는 제 2 힌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힌지부(130)는 타면에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르면, 힌지부(130)는 타면과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제 1 힌지(131)는 제 1 본체(110) 타면 일부에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 1 힌지(131)는 둘 이상의 돌출부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제 1 힌지(131)는 타면의 하방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제 2 본체 방향으로 돌출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제 1 힌지(131) 및 제 2 힌지(132)는 치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 1 힌지(131)의 일부와 제 2 힌지(132)의 일부가 맞닿아 치합되는 구조로 결합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제 1 힌지(131) 및 제 2 힌지(132)는 제 1 힌지(131)와 제 2 힌지(132)가 치합되어 맞닿는 부분에 힌지심이 삽입될 수 있는 통과공(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일 예에 따른 힌지 구조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3은 이동 단말의 단면을 보여주고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 1 본체(110)는 타면에 돌출되어 형성된 제 1 힌지(131)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제 1 힌지(131)는 제 1 본체(110)의 타면에 하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제 1 힌지(131)의 일측면은 제 2 힌지(150)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일 예에 따르면, 제 1 힌지(131)는 힌지심을 삽입하기 위한 통과공(131a)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통과공(131a)의 중심은 제 2 본체와 맞닿는 제 1 본체의 측면의 연장선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제 2 본체(150)도 제 1 본체(110)와 동일한 방식으로 형성된 제 2 힌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제 1 힌지(131)의 돌출된 측면과 제 2 힌지(132)의 돌출된 측면은 치합될 수 있으며, 치합 시 제 1 힌지(131)의 통과공(131a)과 제 2 힌지(132)의 통과공(132a)은 일치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힌지심은 제 1 힌지(131)의 통과공(131a)과 제 2 힌지(132)의 통과공(132a)에 삽입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제 1 본체(110)와 제 2 본체(150)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제 1 본체(110)와 제 2 본체(150)는 디스플레이부가 위치하는 일면과 마주보는 각각의 타면이 맞닿는 방향으로 접힐 수 있다.
도 4는 일 예에 따른 폴딩 동작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제 1 본체(110)와 제 2 본체(150)는 타면이 마주보는 방향으로 접힐 수 있다. 이때, 타면에 위치한 힌지부(130)에 의해 제 1 본체(110)의 타면과 제 2 본체(150)의 타면 사이가 이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물리적인 힘이 가해지면 힌지부(130)가 파손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제 1 본체(110) 및 제 2 본체(150) 중 적어도 하나는 타면에 이격된 공간을 없앨 수 있는 이격부(1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본체(110)는 타면의 일부에 돌출되어 형성된 이격부(11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 1 본체(110)의 이격부(111)는 제 2 본체(150)의 타면과 직접 닿을 수 있으며, 물리적인 힘이 가해지는 경우 두 본체의 간격이 유지될 수 있도록 지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힌지부(13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b)는 이격부(113)의 다른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4(b-1)를 참조하면, 이격부(113)는 제 1 본체의 타면 일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단면이 'ㅁ'또는 'ㄷ'과 같은 형태로 구성되어 관통된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관통된 공간의 한쪽은 외부로 노출되며, 다른 한쪽은 노출되지 않도록 막혀 있을 수 있다. 이격부(113) 노출면은 제 2 본체와 접촉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본체에 물리적인 힘이 가해지는 경우 힌지부(130)를 보호할 수 있다. 도 4(b-2)는 이동 단말기의 저면도이다. 도 4(b-2)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이격부(113)은 제 1 본체(110)의 타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격부(113)의 관통된 공간은 신용 카드 등을 삽입하여 보관하도록 활용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힌지부(130)는 제 1 본체(110)와 제 2 본체(150)가 접힐 시 제 1 본체(110)와 제 2 본체(150)의 일부가 닿을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c-1)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 1 본체(110)와 제 2 본체(150)가 접히는 경우, 힌지부(130)가 위치한 타면의 반대쪽 타면 일부가 닿을 수 있다. 일 예로, 힌지부(130)는 본체의 타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된 노출면이 타면과 소정의 기울기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c-2)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힌지부는 본체의 타면과 접촉되는 면(130a)과 하방으로 돌출된 노출면(130b)이 소정의 기울기(130c)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힌지 구조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힌지부는 제 2 본체(150)와 마주보는 측면과 접하고 있는 제 1 본체의 2개의 측면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 1 힌지(133) 및 제 1 본체(110)와 마주보는 측면과 접하고 있는 제 2 본체의 2개의 측면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 2 힌지(13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a)를 참조하면, 제 1 힌지(133)는 제 1 본체(110)의 일 측면 및 일 측면과 마주보는 타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 2 힌지(134)는 제 2 본체(150)의 일 측면 및 일 측면과 마주보는 타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제 1 힌지(133) 및 제 2 힌지(134)는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힌지(133) 및 제 2 힌지(134)는 직선 이동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 1 힌지(133)의 회전 결합 부분과 제 2 힌지(134)의 회전 결합 부분의 거리가 가변될 수 있다. 도 5(a)와 도 5(b)를 비교하면, 제 1 힌지(133) 및 제 2 힌지(134) 간의 이동에 따라 제 1 본체 및 제 2 본체가 맞닿거나 이격될 수 있다.
도 5(c)를 참조하면, 제 1 본체(110)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 1 힌지(110) 및 제 2 본체(150)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 2 힌지(134)가 회전 이동을 함으로써 제 1 본체(110) 및 제 2 본체(150)의 소정 면이 맞닿도록 접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본체(110) 및 제 2 본체(150)는 제 1 디스플레이부와 제 2 디스플레이부가 위치하고 있는 각각의 일면이 맞닿는 방향으로 접힐 수 있다.
도 5(d)를 검토하면, 제 1 본체(110) 일면의 일부 또는 전부는 제 2 본체(155) 일면의 일부 또는 전부와 맞닿을 수 있다. 일 예로, 제 1 힌지(133) 및 제 2 힌지(134)는 제 1 본체(110) 및 제 2 본체(150)가 소정 위치까지 회전한 후 제 1 본체(110) 및 제 2 본체(150)를 밀착시키기 위하여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본체(110) 및 제 2 본체(150)의 회전을 위하여 제 1 힌지(133)의 회전 결합 부분과 제 2 힌지(134)의 회전 결합 부분의 거리가 멀어질 수 있으며, 회전이 완료된 후 제 1 본체(110) 및 제 2 본체(150)를 밀착시키기 위하여 제 1 힌지(133)의 회전 결합 부분과 제 2 힌지(134)의 회전 결합 부분의 거리가 가까워 질 수 있다.
도 6은 일 예에 따른 힌지 구조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 1 힌지(133)는 제 1 본체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회전 결합 부분(133a), 제 1 힌지(133)와 제 2 힌지(134) 간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고정 레버(133c) 및 고정 레버 홈(133b)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고정 레버(133c)는 고정 레버 홈(133b)을 따라 움직일 수 있으며, 제 2 힌지(134)의 소정 부분과 결합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제 2 힌지(134)는 제 2 본체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회전 결합 부분(134a)과 제 1 힌지(133)의 고정 레버(133c)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홈(134b)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홈(134b)은 제 1 힌지(133)와 제 2 힌지(134)가 직선 이동 시 고정 레버(133c)가 이동할 수 있도록 제 1 힌지(133)와 제 2 힌지(134)의 이동 가능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된 수평홈과, 제 1 힌지(133)와 제 2 힌지(134)의 이동을 고정하기 위하여 제 1 힌지(133)와 제 2 힌지(134)의 이동 가능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고정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c)를 참조하면, 고정 레버(133c)가 가이드홈(134b)의 수평홈에 위치하는 경우, 제 1 힌지(133)와 제 2 힌지(134)가 직선 이동을 할 수 있다. 반면, 고정 레버(133c)가 가이드홈(134b)의 고정홈에 위치하는 경우, 제 1 힌지(133)와 제 2 힌지(134)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도 7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힌지 구조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힌지부(135)는 제 2 본체와 마주보는 측면과 접하고 있는 제 1 본체의 2개의 측면에 각각 회전 및 이동 중 적어도 하나가 가능하게 결합된 제 1 결합부(135a) 및 제 1 본체와 마주보는 측면과 접하고 있는 제 2 본체의 2개의 측면에 각각 회전 및 이동 중 적어도 하나가 가능하게 결합된 제 2 결합부(135b)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제 1 결합부(135a)는 이동 및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 2 결합부(135b)는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제 1 결합부(135a)가 이동 및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경우, 제 1 본체(110)는 제 1 결합부(135a)가 이동할 수 있는 이동홈(136)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b)는 제 1 결합부(135a)와 제 2 결합부(135b)가 회전 이동하는 방법을 나타내고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제 1 결합부(135a)와 제 2 결합부(135b)는 제 1 본체(110)는 제 2 본체(150)의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회전 이동할 수 있다. 이후, 제 2 본체(150)가 소정 위치까지 회전 이동한 후, 제 1 결합부(135a)는 직선 이동을 할 수 있다.
도 7(c)를 참조하면, 제 2 본체(150)는 제 1 본체(110)의 일면을 따라 슬라이딩하며 이동할 수 있으며, 제 1 본체(110)의 일면의 일부 또는 전부는 제 2 본체(150)의 타면의 일부 또는 전부와 맞닿을 수 있다.
도 8은 일 예에 따른 지지부 구조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제 1 본체(110)는 지지대(115)와 지지대 수납부(116)를 포함하는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지지대 수납부(116)는 제 1 본체(110)의 타면에 돌출되어 구성되거나, 결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지지대 수납부(116)는 지지대(115)가 수납될 수 있으며, 지지대(115)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지지대(115)의 일부 또는 전부는 지지대 수납부(116)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지지대(115)는 힌지부(135)의 이동에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지지대(115)는 힌지부(135)와 소정의 연결 수단(미도시)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도 8(b)를 참조하면, 일 예로, 지지대(115)는 직선 이동 범위를 제한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걸림돌기(115a, 115b) 및 지지대(115)를 사용자가 잡고 이동시킬 수 있는 손잡이(115c)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지지대 수납부(116)는 지지대(115)의 직선 이동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걸림돌기(116a, 116b)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지지대(115)의 일부 걸림돌기(115a)는 지지대(115)가 지지대 수납부(116) 밖으로 이동 시 지지대 수납부(116)의 일부 걸림돌기(116a)에 걸릴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지지대(115)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르면, 지지대(115)의 일부 걸림돌기(115b)는 지지대(115)가 지지대 수납부(116) 안으로 이동 시 지지대 수납부(116)의 일부 걸림돌기(116b)에 걸릴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지지대(115)가 지지대 수납부(116)에 들어가는 정도를 제한할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본체(110)와 제 2 본체(150)는 마주보는 측면의 외부 또는 내부에 고정부(117, 157)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a)를 참조하면, 고정부(117, 157)는 고정홈(157) 및 고정돌기(117)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고정홈(157) 및 고정돌기(117)는 각각 다른 본체의 측면에 대응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9(a)와 같이 고정돌기(117)는 제 1 본체(110)의 일측면에 구성될 수 있다. 고정홈(157)은 제 1 본체(110)와 제 2 본체(150)의 측면이 마주보도록 제 1 본체(110)와 제 2 본체(150)가 평면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측면이 맞닿는 경우 고정돌기(117)와 결합될 수 있도록 대응되는 위치에 구성될 수 있다.
도 9(b)를 참조하면, 고정부(117, 157)는 제 1 본체(110) 및 제 2 본체(150)의 내부에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고정부는 제 1 본체의 측면에 구성된 제 1 자성체(117) 및 제 2 본체의 측면에 구성된 제 2 자성체(157)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 자성체 및 제 2 자성체는 제 1 본체(110)와 제 2 본체(150)의 측면이 마주보도록 제 1 본체(110)와 제 2 본체(150)가 평면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측면을 서로 밀착시키기 위한 인력이 작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 1 자성체(117) 및 제 2 자성체(157)의 일부는 제 1 본체(110) 및 제 2 본체(15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도 9(a)와 도9(b)의 구성은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돌기(117)에 제 1 자성체(117)가 포함될 수 있으며, 고정홈(157)에 제 2 자성체(157)가 포함될 수 있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단말은 제 1 본체 및 제 2 본체의 펼쳐진 상태를 검출하는 센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a)을 참조하면, 제 1 본체(110) 및 제 2 본체(150)는 제 1 본체 및 제 2 본체의 펼쳐진 상태를 검출하는 센서부(118, 158)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118, 158)는 제 1 본체(110) 및 제 2 본체(150)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될 수 있다. 일 예로, 센서부(118, 158)는 제 1 본체(110) 및 제 2 본체(150)의 내부 또는 외부에 포함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센서부(118, 158)는 두 면이 접촉하는지 여부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는 면과 면이 닿을 때 발생하는 물리적인 힘을 기초로 두 면이 접촉하는지 여부를 측정하는 센서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센서는 전기적 특성 또는 자기적 특성을 이용하여 두 면이 소정 거리 이내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센서일 수 있다.
도 10(b)를 참조하면, 센서부(119)는 힌지부가 이동하는 이동홈(136)에 구성될 수 있다. 센서부(119)는 이동홈(136)을 따라 이동하는 힌지부가 물리적으로 누르는 힘을 기초로 동작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센서부(119)는 전기적 특성 또는 자기적인 특성을 이용하여 힌지부와의 거리를 판단할 수 있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힌지부가 센서부(119)상에 위치하는 경우, 센서부(119)는 제 1 본체 및 제 2 본체가 펼쳐진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는 센서부로부터 펼쳐진 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며, 정보를 기초로 제 1 디스플레이부 및 제 2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영상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구성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100)는 제 1 디스플레이부(1110), 제 2 디스플레이부(1120), 영상 제어부(1130) 및 센서부(1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영상 제어부(1130)는 센서부(1140)로부터 제 1 본체 및 제 2 본체가 펼쳐진 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영상 제어부(1130)는 센서부(1140)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기초로 제 1 디스플레이부(1110) 및 제 2 디스플레이부(112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영상 제어부(1130)는 제 1 본체 및 제 2 본체가 펼쳐진 상태가 되면 자동적으로 제 1 디스플레이부(1110)와 제 2 디스플레이부(1120)의 전원을 켜고 접힌 상태에서는 자동적으로 전원을 끌 수 있다.
일 예로, 영상 제어부(1130)는 제 1 본체 및 제 2 본체가 펼쳐진 상태인지 또는 접힌 상태인지에 따라 제 1 디스플레이부(1110) 및 제 2 디스플레이부(1120)에 출력되는 영상을 다르게 제어할 수 있다.
도 12는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2(a)를 참조하면, 제 1 본체(110)와 제 2 본체(150)의 측면이 마주보는 상태에서 제 1 본체(110)와 제 2 본체(150)가 평면으로 펼쳐진 경우, 영상 제어부(1130)는 제 1 디스플레이부(120)와 제 2 디스플레이부(160)가 하나의 영상을 분할하여 연속성 있게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반면, 도 12(b)를 참조하면, 제 1 본체(110)와 제 2 본체(120)가 접힌 경우, 영상 제어부(1130)는 제 2 디스플레이부(160)가 하나의 영상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제 1 디스플레이부는 다른 하나의 영상을 출력하거나 또는 영상이 출력되지 않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의 프로그램을 구현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당해 분야의 컴퓨터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디스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작성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과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다양한 실시 형태가 포함되도록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이동 단말기 110: 제 1 본체
120: 제 1 디스플레이부 130: 힌지부
150: 제 2 본체 160: 제 2 디스플레이부
1100: 이동 단말기 1110: 제 1 디스플레이부
1120: 제 2 디스플레이부 1130: 영상 제어부
1140: 센서부

Claims (20)

  1. 제 1 본체, 상기 제 1 본체와 나란히 배치된 제 2 본체;
    상기 제 1 본체의 일면에 위치한 제 1 디스플레이부, 상기 제 2 본체의 일면에 위치한 제 2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 1 본체와 상기 제 2 본체를 결합시키는 힌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의 일측면과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의 일측면은 상기 제 1 본체와 상기 제 2 본체의 측면이 마주보도록 상기 제 1 본체와 상기 제 2 본체가 평면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맞닿도록 구성되는, 이동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가 위치한 일면과 마주보는 타면에 형성되는 제 1 결합부 및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가 위치한 일면과 마주보는 타면에 형성되는 제 2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결합부 및 상기 제 2 결합부는 치합되는, 이동 단말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본체와 상기 제 2 본체는 디스플레이부가 위치하는 일면과 마주보는 각각의 타면이 맞닿는 방향으로 접히는, 이동 단말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제 2 본체와 마주보는 측면과 접하고 있는 상기 제 1 본체의 2개의 측면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 1 결합부 및 상기 제 1 본체와 마주보는 측면과 접하고 있는 상기 제 2 본체의 2개의 측면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 2 결합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결합부와 상기 제 2 결합부는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이동 단말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결합부는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고정 레버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결합부는 상기 고정 레버와 결합되는 가이드홈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본체와 상기 제 2 본체는 디스플레이부가 위치하는 각각의 일면이 맞닿는 방향으로 접히는, 이동 단말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제 2 본체와 마주보는 측면과 접하고 있는 상기 제 1 본체의 2개의 측면에 각각 회전 및 이동 중 적어도 하나가 가능하게 결합된 제 1 결합부 및 상기 제 1 본체와 마주보는 측면과 접하고 있는 상기 제 2 본체의 2개의 측면에 각각 회전 및 이동 중 적어도 하나가 가능하게 결합된 제 2 결합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결합부 및 상기 제 2 결합부 중 적어도 하나는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이동 단말기.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본체와 상기 제 2 본체는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가 위치하는 제 1 본체의 일면과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가 위치하는 일면과 마주보는 제 2 본체의 타면이 일부 또는 전부가 맞닿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접히는, 이동 단말기.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가 위치하는 일면과 마주보는 제 1 본체의 타면에 위치하며, 상기 제 2 본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 1 결합부의 이동에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된, 이동 단말기.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본체와 상기 제 2 본체가 마주보는 각각의 측면에 구성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고정홈 및 고정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홈 및 상기 고정돌기는 각각 다른 본체의 측면에 대응되도록 구성되는, 이동 단말기.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 1 본체의 측면에 구성된 제 1 자성체 및 상기 제 2 본체의 측면에 구성된 제 2 자성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자성체 및 상기 제 2 자성체는 인력이 작용하도록 구성된, 이동 단말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자성체 및 상기 제 2 자성체는 상기 제 1 본체 및 상기 제 2 본체의 내부에 포함된, 이동 단말기.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본체 및 상기 제 2 본체의 펼쳐진 상태를 검출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로부터 펼쳐진 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영상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제어부는
    상기 제 1 본체 및 상기 제 2 본체가 펼쳐진 상태인지 또는 접힌 상태인지에 따라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영상을 다르게 제어하는, 이동 단말기.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본체와 상기 제 2 본체의 측면이 마주보도록 상기 제 1 본체와 상기 제 2 본체가 평면으로 펼쳐진 경우,
    상기 영상 제어부는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가 하나의 영상을 분할하여 연속성 있게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이동 단말기.
KR1020190070644A 2019-06-14 2019-06-14 폴더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4461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0644A KR102446110B1 (ko) 2019-06-14 2019-06-14 폴더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0644A KR102446110B1 (ko) 2019-06-14 2019-06-14 폴더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0891A true KR20190100891A (ko) 2019-08-29
KR102446110B1 KR102446110B1 (ko) 2022-09-22

Family

ID=67776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0644A KR102446110B1 (ko) 2019-06-14 2019-06-14 폴더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61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70773A (zh) * 2019-09-18 2019-12-13 昆山工研院新型平板显示技术中心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面板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2729A (ko) * 2009-07-02 2011-0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KR101139866B1 (ko) * 2010-12-10 2012-05-02 (주) 프렉코 폴딩 방식 휴대 단말기의 힌지 장치
KR20160083318A (ko) * 2014-12-30 2016-07-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KR20170093658A (ko) * 2016-02-05 2017-08-16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디스플레이들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80027467A (ko) * 2014-05-23 2018-03-14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더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180040968A (ko) * 2016-10-13 2018-04-23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KR20180097225A (ko) * 2017-02-23 2018-08-31 엘지전자 주식회사 폴더블 이동 단말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2729A (ko) * 2009-07-02 2011-0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KR101139866B1 (ko) * 2010-12-10 2012-05-02 (주) 프렉코 폴딩 방식 휴대 단말기의 힌지 장치
KR20180027467A (ko) * 2014-05-23 2018-03-14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더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083318A (ko) * 2014-12-30 2016-07-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KR20170093658A (ko) * 2016-02-05 2017-08-16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디스플레이들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80040968A (ko) * 2016-10-13 2018-04-23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KR20180097225A (ko) * 2017-02-23 2018-08-31 엘지전자 주식회사 폴더블 이동 단말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70773A (zh) * 2019-09-18 2019-12-13 昆山工研院新型平板显示技术中心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面板
CN110570773B (zh) * 2019-09-18 2021-06-11 昆山工研院新型平板显示技术中心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面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6110B1 (ko) 2022-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580239B (zh) 镜头驱动模块
US7543099B2 (en) Digital multimedia device
US8024019B2 (en)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JP4842223B2 (ja) 電子機器及びスライドモジュール
US20090170566A1 (en) Mobile terminal having rear keypad
JP6727916B2 (ja) 撮像装置のフレキシブル基板の配設構造、撮像装置
TW200826006A (en) Front lighting for rollable or wrappable display devices
EP2034719B1 (en) Camera lens module
US10602627B2 (en) Key device of electronic device
KR102243690B1 (ko) 이동 단말기
KR20160134321A (ko)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20210247795A1 (en) Linking Structure Of Operation Lever, And Input Device Including The Linking Structure
KR101063408B1 (ko) 힌지장치 및 이를 가지는 전자기기
US11782324B2 (en) Optical member driving mechanism
KR20190100891A (ko) 폴더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EP3305131B1 (en) Integral intelligent desktop device
US9906728B2 (en) Imaging apparatus and support mechanism for movable member
JP2009098415A (ja) 電子機器
US20150358512A1 (en) Opening-closing device
US11378867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ovable lens-shutting module thereof
KR20070024697A (ko) 이동단말기
JP2008089754A (ja) 蓋開閉装置
US20050173276A1 (en) Housing device for hand-held electronic product
JP2010086127A (ja) 携帯型電子機器
TWI646883B (zh) 拼接式顯示裝置及筆記型電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1101001086;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10430

Effective date: 20220216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