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0532A - 감염병 확산 방지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감염병 확산 방지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0532A
KR20190100532A KR1020180015927A KR20180015927A KR20190100532A KR 20190100532 A KR20190100532 A KR 20190100532A KR 1020180015927 A KR1020180015927 A KR 1020180015927A KR 20180015927 A KR20180015927 A KR 20180015927A KR 20190100532 A KR20190100532 A KR 201901005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ectious disease
information
spread
mobile terminal
prevention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5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800159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00532A/ko
Publication of KR201901005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05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 세계에 걸쳐 시시각각으로 발생하는 감염병 정보를 총괄하여 관리함으로써 일부 지역에서 발생한 감염병이 다른 지역으로 쉽게 확산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감염병 확산 방지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감염병 확산 방지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THE SPREAD OF INFECTIOUS DISEASES}
본 발명은 감염병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토착 전염병(이하, 감염병)의 일종인 에볼라, 메르스, 지카 바이러스 등의 감염병이 전 세계적으로 급속하게 퍼지는 것이 일상화되었으며, 한국도 2015년 메르스 유입으로 국가적 재난을 경험하였다. 2014년 에볼라 바이러스의 경우 전세계에서 11,000 여명의 사망자가 발생하였고, 2016년 지카 바이러스의 경우 현 시점 최근 2개월 사이 29개 국가에 전파되어 약 640억 달러의 관광 손실이 있었다. 그리고 향후 100년 이내에 최소한 하나 이상의 감염병이 전 세계를 휩쓸 것이며 4개 이상의 감염병이 발생할 확률도 20% 이상으로 예상되고 있다. 그리고 잠재적으로 발생 가능한 감염병으로 인해 전 세계에서 연평균 600억 달러 이상의 경제적 손실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일부 지역에서 발생된 감염병이 전 세계적으로 쉽게 확산되는 경향을 보이게된 이유는, 다수의 저가 항공이 새롭게 사업을 개시하여 세계 곳곳으로 이동이 쉬워졌고, 소득의 증가, 삶에 대한 자세 변화, 욜로(YOLO)족의 출현 등에 기인하여 여행객 및 비지니스 관련 이동이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예전에는 출입이 적었던 아프리카, 인도, 남미 등으로도 여행객이 증가하여, 이들 지역에서 발생되는 치명적인 감염병이 전 세계로 쉽게 확산되고 있다.
이러한 감염병을 발생지역에서 차단하지 못하면 전 세계적으로 쉽게 확산되어 엄청난 피해가 발생한다. 2015년 한국의 메르스 사태의 경우, 1번 확진자의 사우디 방문 사실을 확인하지 못하여 공항 및 증상 발현 후 최초 방문 병원에서 차단에 실패하였다. 그 결과, 메르스가 확진 이후 역학조사 및 방역에 많은 노력을 기울였음에도 막대한 피해가 발생하였다. 이제, 감염병 차단은 일부 국가의 노력에서 벗어나 범세계적인 노력으로 관리되어야 한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대부분의 국가들은 감염병 발생지역을 방문하고 귀국한 사람들에게, 법령에 근거하여 감염병 발생지역에 방문한 사실을 통지할 것을 강제하고 있다. 그러나, 방문자가 감염병으로 오염된 지역을 방문하였다는 사실을 신고하기 위해서는 모든 감염병의 종류 및 감염병 발생지역에 대한 정보를 알고 있어야 하는데, 감염병의 종류도 많을 뿐더러 감염병이 발생한 지역이 지속적으로 변경될 수 있어 방문자가 스스로 신고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것은 어려운 일이고, 이를 개인의 의무로만 남기기에는 이후 발생할 피해가 너무 크다.
따라서, 감염병 오염지역을 방문한 사람들을 정확하게 찾아내고, 이들에게 해당 감염병과 관련된 검역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범세계적인 노력이 절실하다.
본 발명은 전 세계에 걸쳐 시시각각으로 발생하는 감염병 정보를 총괄하여 관리함으로써 일부 지역에서 발생한 감염병이 다른 지역으로 쉽게 확산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감염병 확산 방지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감염병 확산 방지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감염병 확산 방지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감염병 확산 방지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감염병 확산 방지 시스템(130)은 통신망(120)을 통해 이동 단말(110)과 통신한다.
이동 단말(110)은 이동 중에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등을 제공하고, 또한 위치 측정 기능을 구비하여 실시간 위치를 측정할 수 있는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통신 단말이다. 이동 단말(110)은 감염병 확산 방지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해당 어플리케이션은 통신망(120)을 통해 감염병 확산 방지 시스템(130)과 통신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위치 측정 기능은, GPS 위치 측정, 또는 Wi-Fi를 이용한 위치 측정, 또는 이동통신 기지국을 이용한 위치 측정 등을 포함하나 여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위치 측정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이동 단말(110)은 GPS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고, Wi-Fi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최초 실행시, 사용자로부터 개인정보 수집 이용동의를 수신하고, 또한 사용자로부터 국적, 주민등록번호, 전화번호 등의 개인정보를 수신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며, 개인정보 수집 이용동의에 관한 정보 그리고 개인정보를 감염병 확산 방지 시스템(130)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통신망(120)을 통해 감염병 확산 방지 시스템(130)으로부터 감염병 오염 지역 정보를 수신하여 메모리에 저장한다. 어플리케이션은 이동 단말(110)의 위치 측정 기능을 주기적으로 활성화하여 측정되는 위치와 상기 감염병 오염 지역 정보를 비교하여, 이동 단말(110)의 위치가 감염병 오염 지역에 있는 경우 이동 단말(110)의 화면에 감염병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감염병 정보에는 감염병 명칭, 잠복기, 증상 발현시 취해야 할 행동 등의 안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감염병 오염 지역 정보는, 감염병 오염 지역의 위치 정보(예, 위/경도, 또는 국가 정보 또는 도시 정보, 또는 행정구역 정보 등)와, 관련 감염병 정보, 감염병과 관련한 안내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위치 측정 기능을 활성화하는 주기를 가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110)의 센서를 통해 파악된 이동 속도가 임계 속도 이상인 경우, 주기를 짧게 할 수 있고, 이동을 하지 않는 경우에는 주기를 길게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이동 단말(110)의 배터리 소모를 줄일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이동 단말(110)의 위치가 감염병 오염 지역에 있는 경우, 이에 관한 로그 기록을 생성하여 메모리에 저장하고, 또한 해당 로그 기록을 통신망(120)을 통해 감염병 확산 방지 시스템(130)으로 전송한다. 로그 기록에는 위치 측정 시간, 위치 정보(예, 위/경도 등), 관련 감염병 정보, 그리고 이동 단말(110)의 식별정보(예, 전화번호, 또는 IMEI 등), 사용자의 국적 등의 개인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감염병 확산 방지 시스템(130)은, 감염병 오염 지역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고, 그 감염병 오염 지역 정보를 이동 단말(110)의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한다. 감염병 확산 방지 시스템(130)은, WHO IHR, Promed, GPHIN 등의 사이트에서 감염병 정보를 크롤링하여 수집할 수 있다. 여기서, 감염병 정보는, 감염병 명칭, 감염병 발생일, 감염병 종료일, 오염국가 명칭, 오염지역 명칭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감염병 확산 방지 시스템(130)은, 주기적으로 감염병 오염 지역 정보를 갱신하고, 갱신시마다 감염병 오염 지역 정보를 이동 단말(110)의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한다.
감염병 확산 방지 시스템(130)은, 이동 단말(110)의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이동 단말(110)의 감염병 오염 지역 방문 정보인 로그 기록을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감염병 확산 방지 시스템(130)은 이 로그 기록에 포함된 개인정보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110)의 사용자의 국적을 확인하고, 확인된 국적에 대응하는 국가의 질병관리본부 등에 로그 기록을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감염병 확산 방지 시스템(130)은 각 국가의 질병관리본부 등의 시스템과 통신 연결될 수 있다. 감염병 확산 방지 시스템(130)은, 이동 단말(110)의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수신된 개인정보 수집 이용동의에 관한 정보와 개인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로서, 감염병 확산 방지 시스템(130)은, 이동 단말(110)에 장착되는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110)이 감염병 오염 지역에 방문하였는지를 확인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해외 여행을 할 때 여행객들은 해외 로밍 서비스를 이용하기 보다는 현지 통신사에서 판매하는 선불형 USIM을 구매한 후 이동 단말(110)에 장착하여 사용한다. 선불형 USIM에는 통신사 정보와 전화번호 등의 정보가 저장되어 있고, 따라서 이동 단말(110)은 새로운 선불형 USIM이 장착되면, 선불형 USIM에서 통신사 정보와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USIM 정보를 추출하고, 그 추출한 USIM 정보 그리고 이동 단말(110)의 고유 식별정보(예, IMEI)를 통신망(120)을 통해 감염병 확산 방지 시스템(130)으로 전송한다. 감염병 확산 방지 시스템(130)은, 이동 단말(110)로부터 수신된 USIM 정보를 토대로 이동 단말(110)이 통신 서비스를 이용하는 통신사를 확인하고, 그 통신사로 USIM 정보 및/또는 이동 단말(110)의 고유 식별정보를 전송하여 해당 이동 단말(110)의 위치 로그 기록을 요청하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위치 로그 기록을 수신한다. 감염병 확산 방지 시스템(130)은 통신사로부터 수신된 위치 로그 기록과 감염병 오염 지역 정보를 비교하여 이동 단말(110)이 감염병 오염 지역에 방문하였는지 확인한다. 감염병 확산 방지 시스템(130)은 이동 단말(110)이 감염병 오염 지역에 방문한 경우 이동 단말(110)로 감염병 안내 정보를 전송한다. 감염병 안내 정보는 SMS 또는 MMS 메시지 형태로 전송될 수 있고, 또는 카카오톡 등의 SNS 채널을 통해 전송될 수도 있다. 아울러, 감염병 확산 방지 시스템(130)은 이동 단말(110)의 고유 식별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국적을 확인한 후 해당 국가의 질병관리본부 등의 시스템으로 이동 단말(110)의 고유 식별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도 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감염병 확산 방지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고하면, 감염병 확산 방지 시스템(350)은 통신망(330)을 통해 사용자 단말(310) 및 서비스 서버(340)와 통신한다.
사용자 단말(310)은 노트북 또는 데스크탑 컴퓨터 또는 스마트폰 등과 같은 통신 단말이다. 사용자 단말(310)은, 네트워크 접속 장비(320)를 통해 통신망(330)에 연결되어 서비스 서버(340)에 접속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 접속 장비(320)는 유선 또는 무선 공유기 등의 사용자 단말(310)에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장비이다. 사용자 단말(310)은 서비스 서버(340)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은 카카오톡과 같은 채팅 프로그램일 수 있다.
서비스 서버(340)는 사용자 단말(310)에 대해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의 서버이다. 서비스 서버(340)는 감염병 확산 방지 시스템(130)으로부터 감염병 오염 지역 정보를 수신하여 메모리에 저장한다. 서비스 서버(340)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는 회원 가입이 필요한 서비스이다. 따라서 서비스 서버(340)는 회원 가입된 사용자들의 개인 정보, 예를 들어 전화번호, 이름, 국적 등을 저장하여 관리한다. 서비스 서버(340)는 사용자 단말(310)의 어플리케이션이 접속할 때, 사용자 단말(310)의 IP 주소와 MAC 주소를 수집하고, 수집된 IP 주소와 MAC 주소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310)의 위치를 확인한다. 또한 서비스 서버(340)는 확인된 위치와 감염병 오염 지역 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 단말(310)이 감염병 오염 지역에 있는 경우, 사용자 단말(310)의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추출하여 로그 기록을 생성한 후 로그 기록을 감염병 확산 방지 시스템(350)으로 전송한다. 로그 기록에는 날짜, 시간, 위치 정보, 관련 감염병 정보, 그리고 사용자의 개인정보(전화번호, 국적 등)를 포함할 수 있다.
감염병 확산 방지 시스템(350)은, 감염병 오염 지역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고, 그 감염병 오염 지역 정보를 서비스 서버(340)로 전송한다. 감염병 확산 방지 시스템(350)은, WHO IHR, Promed, GPHIN 등의 사이트에서 감염병 정보를 크롤링하여 수집할 수 있다. 여기서, 감염병 정보는, 감염병 명칭, 감염병 발생일, 감염병 종료일, 오염국가 명칭, 오염지역 명칭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감염병 확산 방지 시스템(350)은, 주기적으로 감염병 오염 지역 정보를 갱신하고, 갱신시마다 감염병 오염 지역 정보를 서비스 서버(340)로 전송한다.
감염병 확산 방지 시스템(350)은, 서비스 서버(340)로부터 사용자 단말(310)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감염병 오염 지역 방문 정보인 로그 기록을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감염병 확산 방지 시스템(350)은 이 로그 기록에 포함된 개인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국적을 확인하고, 확인된 국적에 대응하는 국가의 질병관리본부 등에 로그 기록을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감염병 확산 방지 시스템(350)은 각 국가의 질병관리본부 등의 시스템과 통신 연결될 수 있다.
이상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감염병 확산 방지 시스템(130, 350)은, 메모리, 메모리 제어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CPU), 주변 인터페이스, 입출력(I/O) 서브시스템, 디스플레이 장치, 입력 장치 및 통신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통신 버스 또는 신호선을 통하여 통신한다. 이러한 여러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신호 처리 및/또는 애플리케이션 전용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를 포함하여,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는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고, 또한 하나 이상의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 플래시 메모리 장치와 같은 불휘발성 메모리, 또는 다른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메모리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로부터 멀리 떨어져 위치하는 저장 장치, 예를 들어 RF 회로와, 인터넷, 인트라넷, LAN(Local Area Network), WLAN(Wide LAN), SAN(Storage Area Network) 등, 또는 이들의 적절한 조합과 같은 통신 네트워크(도시하지 않음)를 통하여 액세스되는 네트워크 부착형(attached) 저장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 및 주변 인터페이스와 같은 장치의 다른 구성요소에 의한 메모리로의 액세스는 메모리 제어기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주변 인터페이스는 장치의 입출력 주변 장치를 프로세서 및 메모리와 연결한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다양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또는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명령어 세트를 실행하여 시스템을 위한 여러 기능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주변 인터페이스, 프로세서 및 메모리 제어기는 칩과 같은 단일 칩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일부 다른 실시예에서, 이들은 별개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I/O 서브시스템은 디스플레이 장치, 입력 장치와 같은 장치의 입출력 주변장치와 주변 인터페이스 사이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기술 또는 LPD(light emitting polymer display) 기술을 사용할 수 있고,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용량형, 저항형, 적외선형 등의 터치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터치 디스플레이는 시스템과 사용자 사이에 출력 인터페이스 및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터치 디스플레이는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출력을 표시한다. 시각적 출력은 텍스트, 그래픽, 비디오와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시각적 출력의 일부 또는 전부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대상에 대응할 수 있다. 터치 디스플레이는 사용자 입력을 수용하는 터치 감지면을 형성한다.
프로세서는 시스템에 연관된 동작을 수행하고 명령어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로서, 예를 들어, 메모리로부터 검색된 명령어들을 이용하여, 시스템의 컴포넌트 간의 입력 및 출력 데이터의 수신과 조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는 운영 체제, 그래픽 모듈(명령어 세트), 본 발명을 위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탑재(설치)된다.
운영 체제는, 예를 들어, 다윈(Darwin), RTXC, LINUX, UNIX, OSX, WINDOWS 또는 VxWorks, 안드로이드, iOS 등과 같은 내장 운영체제일 수 있고, 일반적인 시스템 태스크(task)(예를 들어, 메모리 관리, 저장 장치 제어, 전력 관리 등)를 제어 및 관리하는 다양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장치를 포함하고, 다양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사이의 통신을 촉진시킨다.
그래픽 모듈은 디스플레이 장치상에 그래픽을 제공하고 표시하기 위한 주지의 여러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그래픽(graphics)"이란 용어는 텍스트, 웹 페이지, 아이콘(예컨대, 소프트 키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대상), 디지털 이미지, 비디오, 애니메이션 등을 제한 없이 포함하여, 사용자에게 표시될 수 있는 모든 대상을 포함한다.
통신 회로는 이더넷 통신 회로 및 RF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더넷 통신 회로는 유선 통신을 수행하고, RF 회로는 전자파를 송수신한다. RF 회로는 전기 신호를 전자파로 또는 그 반대로 변환하며 이 전자파를 통하여 통신 네트워크, 다른 이동형 게이트웨이 및 통신 장치와 통신한다. RF 회로는 예를 들어 안테나 시스템, RF 트랜시버, 하나 이상의 증폭기, 튜너, 하나 이상의 오실레이터, 디지털 신호 처리기, CODEC 칩셋, 메모리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주지의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RF 회로는 셀룰러 전화 네트워크, 무선 LAN 및/또는 MAN(metropolitan area network)와 같은 무선 네트워크, 그리고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하여 다른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많은 특징을 포함하는 반면, 그러한 특징은 본 발명의 범위 또는 특허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별적인 실시예에서 설명된 특징들은 단일 실시예에서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반대로, 본 명세서에서 단일 실시예에서 설명된 다양한 특징들은 개별적으로 다양한 실시예에서 구현되거나, 적절히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시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더 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Claims (1)

  1. 감염병 오염 지역 정보를 저장하고 위치를 측정하여 그 측정된 위치와 상기 감염병 오염 지역 정보를 비교하며 측정된 위치가 감염병 오염 지역인 경우 감염병 오염 지역 방문의 로그 기록을 전송하는 이동 단말로부터 상기 로그 기록을 수신하는 감염병 확산 방지 시스템.
KR1020180015927A 2018-02-08 2018-02-08 감염병 확산 방지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1901005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5927A KR20190100532A (ko) 2018-02-08 2018-02-08 감염병 확산 방지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5927A KR20190100532A (ko) 2018-02-08 2018-02-08 감염병 확산 방지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0532A true KR20190100532A (ko) 2019-08-29

Family

ID=67776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5927A KR20190100532A (ko) 2018-02-08 2018-02-08 감염병 확산 방지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00532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6627B1 (ko) 2020-04-06 2020-10-19 (주) 넥스모어시스템즈 안전플랫폼을 활용한 위치기반의 감염질병 접촉자 판별 및 알림 서비스 제공방법
KR102195155B1 (ko) 2020-04-24 2020-12-24 주식회사 케이에이치오티오 택시용 비말 차단막
KR102218307B1 (ko) * 2020-07-07 2021-02-22 이원환 감염증에 대응하기 위한 전자출입명부를 관리하는 방법 및 전자출입명부 서버
KR102230154B1 (ko) 2020-05-07 2021-03-19 김영대 감염병 확산 방지를 위한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6627B1 (ko) 2020-04-06 2020-10-19 (주) 넥스모어시스템즈 안전플랫폼을 활용한 위치기반의 감염질병 접촉자 판별 및 알림 서비스 제공방법
KR102195155B1 (ko) 2020-04-24 2020-12-24 주식회사 케이에이치오티오 택시용 비말 차단막
KR102230154B1 (ko) 2020-05-07 2021-03-19 김영대 감염병 확산 방지를 위한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218307B1 (ko) * 2020-07-07 2021-02-22 이원환 감염증에 대응하기 위한 전자출입명부를 관리하는 방법 및 전자출입명부 서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leinman et al. Digital contact tracing for COVID-19
US8073467B2 (en) WiFi and GSM landmarks and neighborhoods for location based services
US1014911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geolocation services in a mobile-based crowdsourcing platform
CN107508883B (zh) 信息推送方法、装置、存储介质及移动终端
US9998860B2 (en) Mobile network based geofencing
US20200279657A1 (en) Infectious disease proliferation prevention system and method
KR20190100532A (ko) 감염병 확산 방지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Min-Allah et al. A survey of COVID-19 contact-tracing apps
US8972605B2 (en) Secure location identification service
US8989701B2 (en) Identifying a wireless device of a target user for communication interception based on individual usage pattern(S)
CN103596172A (zh) 用户信息保护的方法、装置及系统
JP2016184306A (ja) 保護支援システム、保護支援サーバー及び保護端末
WO2018212607A1 (ko) 인접 기반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Bu-Pasha et al. EU law perspectives on location data privacy in smartphones and informed consent for transparency
US9479920B1 (en) Power management in crowd-sourced lost-and-found service
KR20160012575A (ko) 재난 알림 서버 및 재난 알림 서버의 재난 알림 방법
EP3809386B1 (en) Guardian service provision system, program, and guardian service provision method
JP2018023089A (ja) 行動管理装置、行動管理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5952852B2 (ja) 情報生成装置及び受信装置を備えたシステム
Klimburg et al. Pandemic mitigation in the digital age
KR10053053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 가능 지역 등록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CN103402172A (zh) 一种短信息的显示方法、装置和系统
Kuznetsov et al. Application of Bluetooth, Wi-Fi and GPS Technologies in the Means of Contact Tracking
Elazab et al. Location Based Approach for Messaging Services.
JP2017049893A (ja) 情報提供サーバ、アクセスポイント、情報提供システム、情報提供方法、情報共有方法、情報提供プログラム及び情報共有プログラム